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수산자원 산란·서식장 조성을 위한 적지판정 기법연구 : 말쥐치(Thamnaconus modestus)를 중심으로

        김병섭 전남대학교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19

        급감하는 연안의 수산자원을 회복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었지만, 기대 이상의 효과가 얻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대상생물의 생활사 및 해역생태계를 기반으로, 자원생물의 산란, 성육장을 조성하여, 한층 진보된 수산자원 조성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개념에서 국가 주도로 추진하는 수산자원 산란․서식장 조성사업 중에는 과거 국민 간식으로 취급받았으나, 급속한 자원감소로 자원조성에 의한 자원회복이 시급한 말쥐치를 대상으로 산란․서식장 조성사례를 제시하고, 도출되는 문제점 등을 파악하여, 앞으로 효율적인 산란·서식장 조성사업의 적지 선정 방법을 고찰하였다. 말쥐치(black scraper, Thamnaconus modestus Günther 1877)는 분류학상 척삭동물 문, 조기어강, 복어목, 쥐치과에 속하는 어류이다. 분포는 서태평양 연안인 한국, 일본, 중국 연안해역인 동해, 동중국해 및 남중국해의 수심 70-100 m에 무리를 지어 서식한다. 군집성이 강한 어류로 4-6월 얕은 연안의 암초지대나 해조류에 부착하는 침성접착난을 산란하며, 먹이 습성은 식물과, 동물을 모두 섭식하는 잡식성이다. 한국 연안의 쥐치류 어획량은 1990년 이전은 연간 약 200,000 M/T 수준이었지만, 1991년 약 100,000 M/T 이하로 감소하기 시작하여 최근은 약 2,000 M/T 전후를 급감하였다. 정부 주도 사업으로 생태기반의 말쥐치 산란․서식장 조성사례는 거제도 연안에서 실시되었다. 조사는 난․자치어, 설문, 산란군 어획 조사 등을 포함하는 기본조사를 50개 광역 정점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5개 정점을 대상으로 해양환경, 해양생물, 자치어, 산란 및 섭식 생태 등에 대한 심화 조사를 수행하여 적지 판정에 사용하였다. 결과, 외해쪽에서 발생한 자치어는 연안부로 이동보다는 더욱 외해로 이동되고 있어, 연안부의 말쥐치 자치어는 외해쪽에서 유입된 것이 아니라, 연안에서 부화한 것으로 판단된다. 생물조사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이 계절성을 나타내지만, 유해성 적조생물인 와편모조류, Margalefidinium polykrikoides나, 유독플랑크톤인 Pseudo-nitzschia 속 등이 우점 출현하는 것은 자원조성에 부정적 영향으로 판단되었고, 동물플랑크톤에서 말쥐치 먹이생물인 중형동물플랑크톤에 대한 세부적 검토가 미흡하였다. 저서동물 및 해조류, 그리고 말쥐치 자지어 및 산란, 섭식 생태에 대한 조사도 대상생물인 말쥐치의 생활사와 성장단계를 고려한 객관적 조사 및 결과가 필요하였다, 산란생태에 대한 조직학적 분석에 사용한 성어는 산란 퇴화 및 휴지기인 8월에서 10월에 채집된 시료를 사용하고 있어 조사 결과의 신뢰성이 확보되지 못하였다. 한편, 기장군 연안에서 수행된 말쥐치 산란ㆍ서식장 조성사례는 해양생태를 기반으로 하였던 거제도 연안과는 다르게 기존 자료 및 수치해석 결과를 이용하였다. 즉 한국수산자원공단에서 활용하는 해조류(모자반) 서식처 분석모델을 기반으로 수치계산에 의해, 모자반 서식 가능 수심과 암반분포, 안정적 서식환경 확보를 위한 파랑 영향이 작은 해역이 적지로 선정되었다. 이러한 두 가지 사례는 제한된 시간 범위에서 생활사를 기반으로 하는 대상생물의 산란 및 서식장 조성이란 목적을 달성하기에는 출발부터 많은 제한을 포함하고 있어, 객관적 결과 도출은 어려웠다. 그러기에 이 논문에서는 시ㆍ공간적 제한이 많을 때에는 다양한 인자를 모두 제시하여 평가하는 것보다 대상생물의 산란 및 서식에 관여하는 제한적 인자만으로 적지 산정을 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임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실제 수산생물의 생활사를 고려한 효과적인 자원조성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요구된다. 우선 대상 자원생물 생활사의 각 성장단계에서 생존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환경인자 도출과 그에 대한 괸리 방안을 제시한다. 다음으로 분석된 인자 사이의 단순한 비교가 아닌 다양한 인자들을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여야 한다. 다양한 인자들을 통합하여 분석할 수 있는 수단으로 다변량 통계 방법이나 인공신경망 연산 등을 고려할 수 있으며, 이들 방법은 다양한 자료를 다층구조의 분석 방법으로 단순화 과정을 통해 객관적 결과를 도출하게 된다. 또한 사업추진 과정에서의 효율적이면서 객관적 결과 도출을 위해서는 현재와 같이 한정된 시간 범위에서 모든 결과 도출을 요구하는 방법을 탈피할 필요성이 있다. 즉, 사업계획 수립단계에서 대상 자원생물이 선정되면, 우선 대상생물의 생활사와 성장단계에서 생잔율을 지배하는 유․무형의 생태환경인자를 광범위하게 도출할 수 있는 기획연구를 실시하여, 과업에 필요한 내용을 도출한다. 도출된 내용을 기반으로 현장 조사 계획을 수립하여 해역 특성을 고려한 자원생물의 성장단계별 환경인자의 변화 내용을 추적한 다음 다층구조의 통계기법이나, 인공신경망에 의해 적지를 선정하여, 수산자원 산란ㆍ서식장 조성사업이 추진될 수 있기를 기대하여 본다. Various methods have been tried to recover the fishery stock in the coastal waters, which were rapidly declining, but the effect beyond expectations is not obtained. Therefore, recently, based on the life history of the target fishery species and the marine ecosystems, a advanced method of creating fishery stock has been proposed by creating a spawning and nursery grounds for fishery species. With this concept in mind, this thesis examines the case of spawning and nursery grounds creation for black scraper, which were treated as a national snack in the past in the seafood spawning and nursery grounds creation project promoted by the government-led, but in urgent need of resource recovery by resource creation due to rapid resource reduc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sent and identify the problems that arise, and to select a suitable sites for an efficient spawning and nursery grounds creation project in the future. The black scraper (Thamnaconus modestus Günther 1877) was a taxonomically fish belonging to the phylum Chordota, class Actinopterygiians, order Tetraodontiformes, and family Monacanthidae. It was distributed in groups at depths of 70-100 m in the Korea, Japan, East Sea/Japan Sea, East China Sea and South China Sea in the western Pacific coast. It was a highly gregarious fish that lays eggs attached to reefs or seaweeds in shallow coastal reefs from April to June. Its feeding habits were omnivorous, feeding on both plants and animals. The catch of filefishes off the Korean Coastal Waters was about 200,000 M/T per year before 1990, but it started to decrease to less than about 100,000 M/T in 1991 and has recently dropped to around 2,000 M/T. As a government-led project, an ecologically-based case of spawning and nursery grounds for black scraper was carried out in the Geoje Coastal Waters. In order to understand the marine environments and the basic ecological parameters of the black scraper, a wide-area basic survey on 50 stations and a detailed in-depth survey on 5 station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suitable sites. The basic survey was conducted with items such as egg/fish larvae, questionnaire, and catch of spawning population, and the in-depth survey was conducted by dividing the survey into marine environments, marine biology, fish larvae, spawning and feeding ecology, and determination of the suitable sites. As a result, the egg and larvae of black scraper that occurred in the open sea are moving to the open sea more than to the coastal regions, so it was means that the sea bass did not flow from the open sea but hatched from the coastal regions. Although the phytoplankton community shows seasonality in the biological survey, the dominant appearance of harmful red tide organisms such as dinoflagellates, Margalefidinium polykrikoides, and toxic phytoplankton, the genus Pseudo-nitzschia, was mean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recovery of fishery stock, and in zooplankton, detailed review of mesozooplankton, which was a food organisms for black scraper, was insufficient. For macro-benthic fauna, seaweeds, larvae and spawning and feeding ecology also required in consideration of the growth stages and the life history for black scraper. For adult fish used for histological analysis of spawning ecology, the reliability of the survey results is not secured because used samples are collected from August to October, which are the spawning degeneration and rest periods. On the other hand, the case of spawning and nursery grounds of black scraper carried out in the coastal waters of Gijang was different from the coastal waters of Geoje, which was based on marine ecology, using existing data and numerical analysis results. In other words, by numerical calculations based on the analysis model for the habitats of seaweeds used by the FIRA, the sea area with a small influence of waves for securing a stable habitat, the depth of the seaweed and the distribution of rock formations, was selected as a suitable sites. These two cases included many limitations from the start to achieve the purpose of spawning and nursery grounds creation of target fishery species based on their life history within a limited time periods, making it difficult to derive objective results. Therefore, this paper suggested that when there are many temporal and spatial limitations, it was more effective to estimate the suitable sites with only a few limited factors related to the spawning and nursery of black scraper rather than presenting and evaluating all the measuring factors. In addition, the following contents were necessary for effective fishery stock cre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life history of actual fishery species. First of all, the deduction of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biological factors that can maximize the survival rate at each growth stage of the life cycle of the target fishery species and its management plan were presented. Next, It was necessary to analyze various factors in an integrated manner rather than a simple comparison between the analyzed factors. There are various methods for integrating and analyzing various factors, but for example, multivariate statistical methods or artificial neural network calculations can be considered, through theses method, objective results were derived through the process of simplifying various data into a multi-layered analysis method. And in order to derive efficient and objective results in the process of project promotion, it was necessary to avoid thr requirement to derive results within a limited time periods as in the present. When a target fishery species was selected in the master plan establishment stage, first, planning research was conducted that its life cycle and it can broadly derive the ecological environmental factors that govern the survival rate in the growth stage of the fishery species, and the necessary contents for the task are derived. Based on the derived contents, an in-situ survey plan is established, and changes in environmental factors were tracked by growth stage of fishery specie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reation sea regions. It is hoped that the spawning and nursery grounds creation project will be promoted. 급감하는 연안의 수산자원을 회복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었지만, 기대 이상의 효과가 얻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대상생물의 생활사 및 해역생태계를 기반으로, 자원생물의 산란, 성육장을 조성하여, 한층 진보된 수산자원 조성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개념에서 국가 주도로 추진하는 수산자원 산란․서식장 조성사업 중에는 과거 국민 간식으로 취급받았으나, 급속한 자원감소로 자원조성에 의한 자원회복이 시급한 말쥐치를 대상으로 산란․서식장 조성사례를 제시하고, 도출되는 문제점 등을 파악하여, 앞으로 효율적인 산란·서식장 조성사업의 적지 선정 방법을 고찰하였다. 말쥐치(black scraper, Thamnaconus modestus Günther 1877)는 분류학상 척삭동물 문, 조기어강, 복어목, 쥐치과에 속하는 어류이다. 분포는 서태평양 연안인 한국, 일본, 중국 연안해역인 동해, 동중국해 및 남중국해의 수심 70-100 m에 무리를 지어 서식한다. 군집성이 강한 어류로 4-6월 얕은 연안의 암초지대나 해조류에 부착하는 침성접착난을 산란하며, 먹이 습성은 식물과, 동물을 모두 섭식하는 잡식성이다. 한국 연안의 쥐치류 어획량은 1990년 이전은 연간 약 200,000 M/T 수준이었지만, 1991년 약 100,000 M/T 이하로 감소하기 시작하여 최근은 약 2,000 M/T 전후를 급감하였다. 정부 주도 사업으로 생태기반의 말쥐치 산란․서식장 조성사례는 거제도 연안에서 실시되었다. 조사는 난․자치어, 설문, 산란군 어획 조사 등을 포함하는 기본조사를 50개 광역 정점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5개 정점을 대상으로 해양환경, 해양생물, 자치어, 산란 및 섭식 생태 등에 대한 심화 조사를 수행하여 적지 판정에 사용하였다. 결과, 외해쪽에서 발생한 자치어는 연안부로 이동보다는 더욱 외해로 이동되고 있어, 연안부의 말쥐치 자치어는 외해쪽에서 유입된 것이 아니라, 연안에서 부화한 것으로 판단된다. 생물조사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이 계절성을 나타내지만, 유해성 적조생물인 와편모조류, Margalefidinium polykrikoides나, 유독플랑크톤인 Pseudo-nitzschia 속 등이 우점 출현하는 것은 자원조성에 부정적 영향으로 판단되었고, 동물플랑크톤에서 말쥐치 먹이생물인 중형동물플랑크톤에 대한 세부적 검토가 미흡하였다. 저서동물 및 해조류, 그리고 말쥐치 자지어 및 산란, 섭식 생태에 대한 조사도 대상생물인 말쥐치의 생활사와 성장단계를 고려한 객관적 조사 및 결과가 필요하였다, 산란생태에 대한 조직학적 분석에 사용한 성어는 산란 퇴화 및 휴지기인 8월에서 10월에 채집된 시료를 사용하고 있어 조사 결과의 신뢰성이 확보되지 못하였다. 한편, 기장군 연안에서 수행된 말쥐치 산란ㆍ서식장 조성사례는 해양생태를 기반으로 하였던 거제도 연안과는 다르게 기존 자료 및 수치해석 결과를 이용하였다. 즉 한국수산자원공단에서 활용하는 해조류(모자반) 서식처 분석모델을 기반으로 수치계산에 의해, 모자반 서식 가능 수심과 암반분포, 안정적 서식환경 확보를 위한 파랑 영향이 작은 해역이 적지로 선정되었다. 이러한 두 가지 사례는 제한된 시간 범위에서 생활사를 기반으로 하는 대상생물의 산란 및 서식장 조성이란 목적을 달성하기에는 출발부터 많은 제한을 포함하고 있어, 객관적 결과 도출은 어려웠다. 그러기에 이 논문에서는 시ㆍ공간적 제한이 많을 때에는 다양한 인자를 모두 제시하여 평가하는 것보다 대상생물의 산란 및 서식에 관여하는 제한적 인자만으로 적지 산정을 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임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실제 수산생물의 생활사를 고려한 효과적인 자원조성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요구된다. 우선 대상 자원생물 생활사의 각 성장단계에서 생존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환경인자 도출과 그에 대한 괸리 방안을 제시한다. 다음으로 분석된 인자 사이의 단순한 비교가 아닌 다양한 인자들을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여야 한다. 다양한 인자들을 통합하여 분석할 수 있는 수단으로 다변량 통계 방법이나 인공신경망 연산 등을 고려할 수 있으며, 이들 방법은 다양한 자료를 다층구조의 분석 방법으로 단순화 과정을 통해 객관적 결과를 도출하게 된다. 또한 사업추진 과정에서의 효율적이면서 객관적 결과 도출을 위해서는 현재와 같이 한정된 시간 범위에서 모든 결과 도출을 요구하는 방법을 탈피할 필요성이 있다. 즉, 사업계획 수립단계에서 대상 자원생물이 선정되면, 우선 대상생물의 생활사와 성장단계에서 생잔율을 지배하는 유․무형의 생태환경인자를 광범위하게 도출할 수 있는 기획연구를 실시하여, 과업에 필요한 내용을 도출한다. 도출된 내용을 기반으로 현장 조사 계획을 수립하여 해역 특성을 고려한 자원생물의 성장단계별 환경인자의 변화 내용을 추적한 다음 다층구조의 통계기법이나, 인공신경망에 의해 적지를 선정하여, 수산자원 산란ㆍ서식장 조성사업이 추진될 수 있기를 기대하여 본다.

      • 동중국해 수산자원 분포와 현존량 추정에 관한 기초 연구

        이정관 전남대학교%0A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동중국해 해역의 효율적인 수산자원관리와 지속적인 어획량 유지를 위하여 실시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 전남대학교 실습선 새동백호(GT: 2,996 ton, HP: 3,500 kw)의 최첨단 조사 장비를 이용하여 이 해역의 해양 환경 특성과 수산 자원량 분포 조사를 실시하였다. 저층트롤 조사를 통해 어류의 종과 분포 정보를 파악하였고, 해수에서 eDNA 조사 방법을 이용하여 어종을 식별하고, 과학어군탐지기(Scientific fish finder, EK80, Simrad, Norway)를 이용한 조사 방법을 통해 계절별(월별)로 2022년 4월, 7월, 8월, 11월에 과학적 수산자원 조사를 실시하였다. 해양조사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이용하여 동중국해 해역의 수산자원 분포와 밀도를 파악하고, 본 연구를 통하여 조사해역에서 분포하고 있는 어종, 분포 위치, 분포 밀도 등 현존하는 수산 자원량의 평가 및 추정 기술을 발전시키고, 정도를 개선하고자 하였다. 수층별 수온·염분 측정기(Conductivity temperature depth with water sample, Sea bird SBE 911 Plus, Otronix, USA)를 이용한 해양 환경조사 결과, 해양 환경 변화에 따라 소해면적법을 이용한 저층트롤 조사에서 계절별(월별)로 어획된 출현종과 출현 밀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저층트롤을 이용한 수산자원 조사 결과, 동중국해 조사해역에서 계절별(월별)로 어획된 생물의 총 출현 종수는 어류 21종, 갑각류 6종, 두족류 6종, 극피동물류가 2종 출현하였다. 8월에 생물의 출현 종수는 22종으로 가장 많았고, 4월에는 생물의 출현 종수가 9종으로 가장 적었다. 분류군별 개체수는 갑각류가 전체의 50.4 %로 최우점하였고, 어류가 42.7 %, 두족류가 4.4 %, 극피동물류가 2.6 %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생체량은 어류가 전체의 52.4 %로 최우점하였고, 갑각류가 29.3 %, 극피동물류가 13.5 %, 두족류가 4.8 %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동중국해 조사해역에서 어획된 갑각류의 출현 개체수를 파악한 결과, 깨다시꽃게(Ovalipes punctatus)와 꽃게(Portunus trituberculatus)가 우점하였다. 두족류의 출현 개체수를 살펴보면, 반원니꼴뚜기(Loliolus japonica)와 살오징어(Todarodes pacificus), 매오징어(Watasenia scintillans)가 우점하였다. 어류의 출현 개체수를 파악한 결과, 전갱이(Trachurus japonicus)와 갈치(Trichiurus lepturus), 민어(Sciaenidae), 성대(Chelidonichthys spinosus) 순으로 우점하였다. 소해면적법을 이용한 계절별(월별) 총 단위 면적당 평균 개체수 밀도는 4월에 84.8 (inds./km2)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11월에 809.0 (inds./km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계절별(월별) 총 단위 면적당 평균 생체량 밀도는 동일하게 4월에 7,516.7 (g/km2)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11월에 52,057.4 (g/km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과학어군탐지기의 38 kHz와 120 kHz 주파수 차이를 이용하여 어류의 음향자료를 추출하고, 추출된 자료의 우점종에 대한 계절별(월별) 수산자원의 시․공간분포를 면적 산란계수(Nautical Area Scattering Coefficient, NASC, m2/nmi2)로 나타낸 결과, 7월에 65.80 m2/nmi2, 11월에 70.10 m2/nmi2로 높게 나타났으며, 4월에 6.63 m2/nmi2, 8월에 0.23 m2/nmi2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NASC 값을 이용하여 계절별(월별) 우점종의 음향 분포 밀도를 추정한 결과, 4월에 꽃게(P. trituberculatus)가 0.021 g/m2로 나타났고, 7월에 갈치(T. lepturus)가 0.007 g/m2, 고등어(Scomber japonicus) 0.451 g/m2, 전갱이(T. japonicus) 0.335 g/m2로 나타났다. 또한, 8월에 갈치(T. lepturus)가 0.001 g/m2, 고등어(S. japonicus) 0.255 g/m2, 전갱이(T. japonicus) 0.248 g/m2로 나타났으며, 11월에는 병어(Pampus argenteus)가 1.709 g/m2로 나타났다. eDNA를 이용한 메타바코팅 분석 기술로 어종을 식별한 결과, 계절별(월별) 우점종은 4월에 고등어(S. japonicus), 날개다랑어(Thunnus alalunga), 멸치(Engraulis japonicus), 쥐노래미(Hexagrammos otakii)로 나타났고, 7월에는 날개다랑어(T. alalunga), 멸치(E. japonicus)로 나타났다. 또한, 8월에는 다랑어(Thunnini), 멸치(E. japonicus)로 나타났으며, 11월에는 참다랑어(Thunnus orientalis), 날개다랑어(T. alalunga), 멸치(E. japonicus)로 나타났다. eDNA와 과학어군탐지기를 결합한 계절별(월별) 우점종의 평균 밀도는 4월에 고등어(S. japonicus) 0.043 g/m2, 날개다랑어(T. alalunga) 0.085 g/m2, 멸치(E. japonicus) 0.020 g/m2, 쥐노래미(H. otakii) 0.173 g/m2로 나타났다. 7월에는 날개다랑어(T. alalunga) 0.085 g/m2, 멸치(E. japonicus) 0.020 g/m2로 나타났고, 8월에는 다랑어(Thunnini) 0.085 g/m2, 멸치(E. japonicus) 0.020 g/m2로 나타났다. 또한, 11월에는 참다랑어(T. orientlis) 0.057 g/m2, 날개다랑어(T. alalunga) 0.057 g/m2, 멸치(E. japonicus) 0.013 g/m2로 나타났다. 저층트롤 어구를 이용한 어획 조사 결과, 계절별(월별)로 어획된 출현종과 밀도가 다르게 나타났고, 어획 자료를 기반으로 한 우점종의 음향 분포 밀도와 과학어군탐지기 및 eDNA를 결합한 밀도도 계절별(월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eDNA를 이용한 메타바코딩 분석 기술로 어종을 식별한 결과, 계절별(월별) 우점종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이것은 동중국해 해역에 있어서 해양의 물리화학적 요소, 해류, 서식종 등이 다양하게 변화함과 동시에, 수산 자원량 추정 방법 그리고 식별된 우점종이 상이함에 따라 분포 특성의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동중국해 해역에서 해양 환경 변화에 따른 어류의 출현종을 파악하는 기초 자료로 이용할 수 있고, 나아가 과학어군탐지기를 이용한 수산자원의 밀도 추정 기술, eDNA를 이용한 어류의 식별 기술 등과 함께, 과학어군탐지기를 이용한 음향 조사에서 물리적 제약에 의해 발생하는 저층 음향 불능 구간(해저 데드존, Bottom Dead Zone)에서 수산 자원량 추정을 저층트롤 어구의 소해면적법으로 추정하여 조사대상 해역의 수산 자원량 평가 기술을 개선하는 기초 연구로 활용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최근에 새로 도입된 최첨단 트롤 모니터링 시스템과 같은 최첨단 장비는 보다 정확한 자원량 추정을 가능하게 하여, 해양에서의 수산자원평가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추정한 수산 자원량 정도의 신뢰도가 개선될 것으로 판단된다. As part of the basic research conducted to efficiently manage fishery resources and maintain sustainable catch in the East China Sea,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rine environment and the distribution of fishery resources in this area using state-of-the-art research equipment of T/S SAEDONGBAEK (GT: 2,996 tons, HP: 3,500 kw, Chonnam National University). Distributions of fish species were confirmed using bottom trawl and scientific fish finder (EK80, Simrad, Norway). Each species was identified using the eDNA method in seawater. We conducted seasonal (monthly) surveys (April, July, August, and November 2022) using these methods. Using the data collected through marine survey, we tried to understand the distribution and density of fishery resources in the East China Sea, develop technologies for evaluating and estimating existing fishery resources such as fish species, distribution location, and density in the survey area, and improve the degree. Results of the marine environment survey using a conductivity, temperature, depth profile with water sampler (CTD, Sea bird SBE 911 Plus, Otronix, USA) showed different occurrence densities compared to those of the seasonal (monthly) caught species in the bottom-trawl survey using the swept area method. The total number of fish species caught seasonally (monthly) in the East China Sea was 21 teleosteis, 6 crustaceans, 6 cephalopods, and 2 echinoderms. In August, the number of species occurred the most with 22 species, and in April, the number of species occurred the least, with 9 species. As for individuals by taxon, crustacean ranked first with 50.4 % of the total, followed by teleostei with 42.7 %, cephalopods with 4.4 %, and echinodermata with 2.6 %. As for biomass by taxon, teleostei ranked first with 52.4 % of the total, followed by crustacean with 29.3 %, echinodermata with 13.5 %, and cephalopods with 4.8 %. Furthermore, as a result of occurrence individuals of crustaceans caught in the survey area, Ovalipes punctatus and Portunus trituberculatus dominated. As a result of the occurrence individuals of cephalopods, Loliolus japonica, Todarodes pacificus, and Watasenia scintillans dominated. And as a result of the occurrence individuals of teleosteis, the dominant position was in the order of Trachurus japonicus, Trichiurus lepturus, Sciaenidae, and Chelidonichthys spinosus. The average density of individuals per seasonal (monthly) total unit area using the swept area method was the lowest at 84.8 (inds./km2) in April, and the highest at 809.0 (inds./km2) in November. The average density of biomass per seasonal (monthly) total unit area was similarly the lowest at 7,516.7 (g/km2) in April, and the highest at 52,057.4 (g/km2) in November. Using the 38 kHz and 120 kHz frequency differences of the scientific fish finder, the sound data of teleostei was extracted, and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seasonal (monthly) aquatic resources for the dominant species of the extracted data was calculated as the nautical area scattering coefficient (NASC, m2/nmi2). The NASC results were high at 65.80 m2/nmi2 in July and 70.10 m2/nmi2 in November, while relatively low at 6.63 m2/nmi2 in April and 0.23 m2/nmi2 in August. Also,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sound distribution of seasonal (monthly) density of dominant species using NASC, P. trituberculatus was found to be 0.021 g/m2 in April, T. lepturus was found to be 0.007 g/m2, Scomber japonicus was 0.451 g/m2, and T. japonicus was 0.335 g/m2 in July. In August, T. lepturus was found to be 0.001 g/m2, S. japonicus was 0.255 g/m2, T. japonicus was 0.248 g/m2, and Pampus argenteus was found to be 1.709 g/m2 in November.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of fish species using eDNA, the seasonal (monthly) dominant species were S. japonicus, Thunnus alalunga, Engraulis japonicus, Hexagrammos otakii in April, and T. alalunga and E. japonicus in July, Thunnini and E. japonicus in August, and Thunnus orientalis, T. alalunga and E. japonicus in November. The average density of seasonal (monthly) dominant species combined with eDNA and scientific fish finder was 0.043 g/m2 for S. japonicus, 0.085 g/m2 for T. alunga, 0.020 g/m2 for E. japonicus, and 0.173 g/m2 for H. otakii. In July, the average density of the species was 0.085 g/m2 for T. alunga, 0.085 g/m2 for E. japonicus, and 0.020 g/m2 for Thunnini, and 0.020 g/m2 for E. japonicus in August. In addition, in November, the average density of T. alunga was 0.057 g/m2 for T. alunga, and 0.013 g/m2 for E. japonicus. As a result of the catch survey using bottom-trawl gear, the seasonal (monthly) occurrence of species and caught density were different, and the sound distribution density of dominant species using catch data, as well as the density combining scientific fish finder and eDNA method, were also different by season (month). Additionally, fish species identification using metabarcoding analysis technology using eDNA revealed that seasonal (monthly) dominant species differed. This is thought to be due to various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factors, currents, and habitat of species in the ocean in the East China Sea, as well as differences in the method of estimating fishery resources and the identified dominant spec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identify the fish species occurring in the East China Sea due to changes in the marine environment, and furthermore, together with the technology to estimate and identify the density of fishery resources using scientific fish finder and eDNA. Also, it is believed that it will be used as a basic study to improve the assessment technology of fishery resources in the study area of the bottom dead zone caused by physical constraints in the acoustic survey using scientific fish finder. And cutting-edge equipment, such as the recently introduced state-of-the-art trawl monitoring system, is expected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estimated amount of fishery resource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fishery resource evaluation technology in the ocean.

      • 전남 연안해역의 수산자원 및 어항 관리에 관한 연구

        주승용 전남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19

        Jeollanam-do (hereinafter, Jeonnam) Province, as the country's de facto first province leading the development of fisheries, is equipped with optimized location, humane and natural environments for fisheries. However, it is increasingly faced with difficult situations as the internal and external conditions surrounding the fisheries are getting aggravated, and thus the policy measures for securing the survival and sustainability of fisheries are urgent. This study purport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the internal, and external conditions of marine fisheries in Jeonnam Province and, based on this analysis, to select the priority areas and to provide suggestion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future growth of the marine fisheries in Jeonnam Province. Until now, the development strategies relating to marine fisheries have been limited to the analysis with focusing on some competitive varieties and items, based on the data on overall Korean fisheries. In addition, data or informations relating to marine fisheries issued by local research institutions are out of date and thus not adequate to utilize. In case of researches on Jeonnam marine fisheries, the focus was on the specific sectors of the fisheries, therefore, the policy data for establishing the overall development indicators are insufficient. This study, utilizing the most recent data and information available, purports to analyze the status of Jeonnam marine fisheries, to select the policy measures, and to provide policy suggestions that should be urgently carried out reflecting the realities of Jeonnam marine fisheries. For the effective conduct of the research and the timely policy recommendation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position of marine fisheries sector by conducting the SWOT analysis for each sector of the marine fisheries of Jeonnam Province. The SWOT analysis shows that Jeonnam marine fisheries have more advantages than other local marine fisheries and can be managed more efficiently than the others, if it overcomes the weakness and threats and utilizes the strength and opportunities. Thus, the Jeonnam Province can help to strengthen the food security and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if it develops the marine fisheries as a new engine for the development. Besides,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of fishing port development policies and provides the foundations for the preparation of fishing port development policies by examining comprehensively the value of fishing port that is considered as the sources of local fisheries development and the creation of value added. Based on results derived from this research, this study provides policy suggestions with proposing some core projects for the preparation of policies required to develop the marine fisheries in order to revive the Jeonnam Province as the country's de facto first province leading the development of marine fisheries in the future. The major policy recommendations derived from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Jeonnam Province should secure and maintain the sustainability of marine fisheries resources in order to secure the competitiveness and profitability of marine fisheries. It should maintain the stable amount of fisheries resources by setting an adequate closed season and operating area, and expanding sea ranch and sea forests. In addition, it should prevent the over-fishing and devastation of fishing ground resulting from over -fishing by the continued implementation of the restructuring of the offshore fishing vessels and the establishment of operation order. Second, small-scale fisheries and their structure need to be scaled and commercialized to raise the fisheries that can produce high value added. The income of fishermen and the benefits of consumers need to be maximized by the improvements of underdeveloped marine fisheries distribution structure. In addition, Jeonnam Province should raise aquaculture industry as a strategic industry yielding high value added in the future. To fulfil this purpose, the restructuring of fisheries should be enforced and future strategic breeds should be raised intensively. In addition, the management of safety and quality should be strengthened in order to overcome safety barriers of the increasing international food hygiene and safety requirements and to ensure export competitiveness of local fisheries products. Third, multi-functional complex fishing ports that meet local conditions should be developed through the expansion of infrastructure of fishing ports in order to secure the living conditions of the fishing villages, the conditions of stable production, other income of fishermen and residents of fishing villages, and their creation of value added. Fourth, policy support to fishing villages such as the support to returnee fishermen should be expanded in order to enliven the fishery economy that is suffering from the gradual loss of competitiveness due to the aging and population decrease in the residents. More efforts should be devoted to secure the professional fisheries experts such as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institutions in order to raise the promising human resources that will react flexibly to the value and the potential of the marine fisheries resources and lead the new era of local fisheries. In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ly suggests timely policy recommendations based on the scrutinized examination of conditions and realities of Jeonnam marine fisheries. Besides, this study covers statistical indicators and suggests policy projects that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preparations of policy measures that can be utilized for the development and advancement of Jeonnam marine fisherie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be widely used by the policy makers of the local marine fisheries and regional fishery managers. 전라남도(이하 전남)는 명실상부 우리나라의 수산업 발전을 견인하는 제1의 해양수산도로서 수산업에 최적화된 입지조건과 인문·자연환경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수산업을 둘러싼 대내·외 여건 변화에 따라 갈수록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고 있어, 수산업의 생존과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전남 해양수산의 현황과 대내·외적 여건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전남 해양수산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미래 성장동력화’를 위한 우선과제 선정 및 제언마련에 목적을 두어 연구를 추진하였다. 지금까지 해양수산 관련 발전전략 개발은 주로 우리나라 수산업 전반에 대한 분석자료를 토대로 일부 경쟁력을 갖춘 품종 및 품목에 중점을 두어 이루어졌다. 아울러 지역의 연구기관에서 발행하는 해양수산 관련 연구자료들은 이미 시일이 많이 경과되어 적시성이 떨어진다. 또 전남에 관한 연구의 경우에도 지역의 특화된 일부 수산업 부문에 대한 연구 성과가 주를 이루고 있어, 수산부문 전반을 아우른 발전지표 설정을 위한 정책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자료 및 정보를 활용하여 지역의 수산업 여건을 분석하고 수산업계의 현실을 최대한 반영, 시급히 추진해야할 정책과제 선정 및 제언에 본질적인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효율적인 수행과 적시성을 갖춘 정책제언을 위해 전남의 각 수산부문에 대한 SWOT 분석을 수행하여 지역 해양수산부문의 현 위치를 파악해 보았다. 전남의 연근해어선어업, 양식어업, 유통·가공업의 약점과 위협요소를 제거하고 강점과 기회요인을 지혜롭게 활용한다면 수산자원의 특성이 타 지역에 비하여 매우 좋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므로 전남발전의 우선순위로 수산업을 선정하고, 신성장동력화 한다면 향후 식량안보의 극복은 물론, 국가 경쟁력 강화에도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지역의 수산업 발전과 부가가치 창출의 원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는 어항의 가치에 대해 종합적으로 검토해 봄으로써 어항 개발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발전전략 마련을 위한 토대를 쌓고자 하였다. 끝으로 이와 같은 연구수행과정에서 도출된 결과자료를 바탕으로 향후 전남이 경쟁력을 갖춘 해양수산도로 거듭나기 위한 수산업 육성방안 마련에 대해 몇 가지 핵심과제를 들어 정책제언을 해 보았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에 따른 주요 정책제언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남 수산업의 경쟁력 확보와 채산성 유지를 위해 해양수산자원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해야만 한다. 현실에 적합한 금어기, 조업구역 등의 설정과 함께 바다목장·바다 숲 조성을 확대하여 수산자원량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연근해어선어업에 대한 구조조정의 지속적 시행과 어업질서 확립을 통해 수산자원의 남획 및 이로 인한 어장 황폐화를 방지해야만 한다. 둘째, 고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수산업 육성을 위해 영세한 규모로 이루어지고 있는 수산업 구조를 규모화·기업화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낙후된 수산물 유통구조를 개선하여 어업인들의 소득창출과 함께 수요자들의 편익을 극대화 해야만 한다. 아울러 양식어업에 대한 구조조정을 시행하는 한편, 미래 양식 전략품종에 대한 집중 육성을 통해, 양식산업을 향후 지역의 전략산업으로 육성하여 고부가가치 창출의 원천으로 삼아야 한다. 또한 국제적으로 강화되고 있는 식품위생·안전장벽을 극복하고 지역 수산물의 수출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수산물의 안전 및 품질관리를 강화해야만 할 것이다. 셋째 어항에 대한 기반시설 확충을 통해 어촌의 정주여건과 어민들의 안정적인 생산 환경을 보장하고, 어업인·어촌주민의 어업 외 소득 확보와 부가가치 창출 차원에서 지역의 수산여건에 적합한 복합적 다기능 어항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고령화와 인구감소로 점차 경쟁력을 상실하고 있는 어촌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귀어가 지원방안마련 등 정책적 지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수산해양자원의 가치와 발전가능성에 유연하게 반응하고, 지역의 신 해양시대를 선도할 유망인재 육성 차원에서 인재양성기관 설립 등 수산 전문인력 확보를 위한 노력이 이루어져야만 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전남 해양수산의 여건과 현실을 보다 면밀히 파악하고, 시의성을 확보한 정책을 제안한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논문에서는 전남 해양수산업의 발전 및 선진화를 위한 방안 마련 시 필히 고려해야 할 통계지표와 정책적 수행과제를 다루고 있다. 지역의 해양 및 수산관련 정책 입안자들과 수산경영인들에게 본 연구의 의의가 폭 넓게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무안군 해수면 어업생산기반 및 낙지생산어가 어업실태에 관한 연구

        김태형 전남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19

        (국문초록) 우리나라 국민 일인 당 연간 수산물 소비량은 국민 소득의 향상과 건강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수산물 중 낙지 생산량은 지난 20여 년 전에 비해 약 37.1%가 감소하였고, 본 연구의 대상지인 무안군 역시 지난 10여 년 전에 비해 낙지 어획량이 약 49.7% 감소하였다. 하지만 국내 낙지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국내 생산량으로 공급이 부족하게 되자 낙지 수요에 있어서 중국 수입 의존도가 매우 높은 것이 현실이다. 우리나라 낙지 어획량의 60% 이상이 전남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볼 때, 전남에서도 낙지의 주 생산지인 무안군과 신안군의 수산자원과 갯벌어장 환경의 관리가 지속적인 낙지 어획과 국내 낙지 자급률을 높이기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전라남도는 천혜의 섬과 우리나라 전체의 42%의 갯벌이 분포 하는 등 풍부한 해양자원을 가지고 있다. 특히 무안군은 비교우위의 자원인 ‘갯벌’ 등을 활용하여 지속적으로 어촌공동체를 영위하고 수산업 발전과 함께 안정적인 어업생산기반을 조성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라남도 무안군 낙지생산어가를 중심으로 어업생산기반 조사를 통해 현재의 실태를 반영한 통계자료 및 기초자료를 확보하여 수산물 생산, 어업경영 및 수산물 유통개선 등 수산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함으로써 어업생산력 향상과 어업인 소득증대 방안 등 지속가능한 낙지 어업생산기반 조성을 위한 전략을 모색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우선 무안군 관내의 어업권과 연안어업허가 그리고 신고어업을 분석해 수산업 현황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무안군 낙지 조업 방법에는 다양한 전통어업이 존재하는데, 낙지 조업 방법별 현황을 분석하였고, 무안군 낙지 어획량과 소득액을 파악하였다. 또한 무안군 낙지 판매 방법 및 전남지역 낙지 계통판매 실태를 조사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에 따라서 다음과 같은 지속가능한 낙지 어업생산기반 조성을 위한 전략을 제시하였다. 지속가능한 어업생산기반 조성을 위해서는 두 가지 관점으로 살펴봐야 한다. 하나는 자연 · 환경적인 관점이고 다른 하나는 사회 · 경제적인 관점이다. 하드웨어 부분이라고 할 수 있는 자연 · 환경적인 관점은 바다라는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자원조성, 환경 보호 및 보존 활동이고, 소프트웨어 부분이라 할 수 있는 사회 · 경제적인 관점은 공동체의 기능, 어업질서의 확립, 사회 · 경제 활동을 포함한다. 자연 · 환경적인 관점과 사회 · 경제적인 관점의 구체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자연 · 환경적인 관점으로는 해양환경의 조성, 수산자원의 산란장 및 서식장 조성, 인공어초 · 바다숲 · 바다목장의 확대, 수산종묘방류, 총허용어획량(TAC) 제도, 금어기 설정, 갯벌의 보호 · 복원 및 이용, 해양보호구역의 관리 등을 들 수 있고, 사회 · 경제적인 관점으로는 자율관리어업 육성, 어촌계의 활성화, 계통 · 비계통의 유통문제개선, 불법어업으로부터 어업질서의 확립, 수산정책자금 지원제도, 직접지불제, 수협의 확대, 수산전문인력 육성, 귀어 · 귀촌정책, 어촌종합개발, 어항개발, 어촌체험마을 및 관광사업, 지역 수산물 브랜드화 등을 들 수 있다.

      • 과학어군탐지기를 이용한 보령 연안의 어군의 분포와 자원량 추정에 관한 연구

        윤은아 全南大學校 2009 국내석사

        RANK : 248687

        최근 세계적으로 과도한 남획으로 인하여 자원고갈 현상이 일어나고 있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업자원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수산 선진국에서 과학어군탐지기를 이용한 수산자원 평가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계절별로 회유하고 있는 수산생물의 분포 및 우점종 자원량을 추정하기 위해 2006년 9월∼2007년 6월 사계절에 걸쳐 과학어군탐지기를 이용하여 보령연안 해역에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해역은 수심과 섬의 위치를 고려하여 조사정선을 설계하였으며, 조사에 이용된 시스템은 200kHz Dual beam 방식의 진동자와 송·수신기, 지시기, 신호처리기, GPS로 구성되었고, 현장에서 기록된 데이터는 차후 실험실에서 에코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처리하였다. 계절별 면적산란강도(SA)는 2006년 9월 여름철은 -62.0∼-68.0dB, 2006년 11월 가을철은 -65.0∼-72.0dB, 2007년 3월 겨울철은 -63.0∼-71.0dB, 2007년 6월 봄철은 -55.0∼-66.0dB로 나타났다. 또한 수산생물이 많이 분포하고 있는 해역의 평균 후방산란강도(TS)는 여름철에 -57.0dB, 가을철에 -69.2dB, 겨울철에 -69.1dB, 봄철에 -64.8dB이었다. 근해안강망으로 어획된 총 어획량과 수산생물은 2006년 9월 29일∼30일에는 약 14.6톤 어획되었고, 멸치가 전체 어획량의 99%로 단일 수산생물로 극우점하였다. 2006년 11월 19일∼20일에는 총 어획량은 약 7.5톤으로 젓새우가 많이 어획되었다. 2007년 3월 23일∼24일에는 약 11.5톤이 어획되었고, 가을철과 같이 젓새우가 우점하였다. 2007년 6월 12일∼13일 어획량은 약 14.7톤으로 꽃새우와 꼴뚜기가 많이 어획되었다. 위의 자료를 토대로 계절별 우점종의 자원량은 여름철에 멸치가 약 11,164.7톤, 가을철에는 젓새우가 약 423.3톤, 겨울철에는 가을철과 같은종인 젓새우가 약 2,063.8톤, 봄철에는 꽃새우가 약 13,397.7톤, 꼴뚜기가 약 153.4톤으로 추정되었다. 음향자료와 어획자료를 비교해 본 결과 면적산란강도(SA)와 평균 후방산란강도(TS)가 여름철과 봄철에 가을철과 겨울철보다 높았으며, 어획량 또한 여름철과 봄철이 많았다. Fisheries resources around the world are being depleted by overfishing. Therefore, countries with advanced marine technology are actively conducting fisheries resource assessments by using the scientific echo sounder in order to preserve their own fisheries resources. The biomass estimation and distribution of the fish school in Boryeong coastal area were studied by using the scientific echo sounder from September 2006 to June 2007, with samples taken during each of the four seasons. The survey was performed by using 200kHz dual beam system, transmitter-receiver, indicator and GPS.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Echo view software. The survey line was desinged after due consideration of the depth and the location. Based on the survey line the survey waters were divided into six sections of 227.68km2. The area backscattering strength(SA) was -62.0 to -68.0dB during September 2006(summer), -67.0 to -72.0dB during November 2006(autumn), -65.0 to -71.0dB during March 2007(winter) and -55.0 to -66.0dB during June 2007(spring). In addition, the mean target strength(TS) of the survey area distributed many fishes in September, November, March and June was -57.0dB, -69.2dB, -69.1dB and -64.8dB, respectively. The catch was about 14.6ton on 19~20 September 2006, about 7.5ton on 11~19 November 2006, about 11.5ton on 23~24 March 2007 and about 14.7ton on 12~13 June 2007. The dominated aquatic organisms were anchovy in autumn, akiami paste shrimp in winter and spring, and southern rough shrimp and beka squid in winter. The existing biomass of each dominant species was estimated as about 11,164.7ton of anchovy in summer, about 423.3ton of akiami paste shrimp in autumn, about 2,063.8ton of akiami paste shrimp in winter, and about 13,397.7ton of southern rough shrimp and about 153.4ton of beka squid in spring. The area backscattering strength(SA) and mean target strength(TS) were higher in summer and spring than they were in autumn and winter. Also the catch frequented in summer and spring.

      • 해양 유류오염에 의한 어업피해 배·보상제도개선 연구

        최장훈 전남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8687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figuring out the problems on the compensation·indemnity system for the damage on fishery from the ocean oil pollution problems and suggesting the improving measure for it. The practical method such as documentary survey, the statistical data survey, visitation of the agencies concerned, web searching and the case analysis had been conducted for collecting data.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and evaluated then arranged. Furthermore, the compensation · indemnity systems for damage on fishery from the ocean pollution in abroad such as EU, Engl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Japan and China were analyzed by the comparative method in this study. The contents of this study could be subdivided by each chapter as shown below. In chapter 1, the research purpose, scale and research method were suggested. In chapter 2, the contents about the criteria on the compensation · indemnity system for damage on fishery from the ocean oil pollution. The content related with the legal basis of securing against the oil damage such as character of the oil pollution accident by the oil tanker, the international agreement about the damage of the oil pollution, the compensation security law for the oil damage in South Korea,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national agreement and the compensation security law and etc were included. Also, the international fund indemnity criterion was included such as the prevention measure expenses, the casualty, the loss of property, the consequent loss, the purely economical loss and the relief measure expenses for it, the environmental loss and the effect of international fund compensation criteria. In addition, the content of the compensation·indemnity system for damage on fishery from the ocean oil pollution in overseas countries was treated such as EU, Spain, Germany, France, Engl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Japan and China. In chapter 3, the actual compensation·indemnity cases of damage on fishery from the ocean oil pollution. As the main content of this chapter, the compensation · indemnity procedure of damage on fishery from the ocean oil pollution(the claim of the damage, the conflict resolution through the consultation, the conflict resolution throuth the lawsuit and so on). In addition, the compensation · indemnity status in overseas and in domestic scale were included with the damage compensation · indemnity case by the Hebei spirit oil spill(the claim of damage and the compensation procedure on the oil pollution damage, the responsibility of damage, the responsibility limitation of damage, the compensation · indemnity claim for damage and the inspection rate). In chapter 4, the problem of damage compensation · indemnity toward the oil pollution was analyzed. First, the incomplete rules related with the damage compensation · indemnity toward the oil pollution(the problem by the incomplete rules related with the damage compensation · indemnity toward the oil pollution, the compensation · indemnity evaluation method comparing the damage on fishery by the oil pollution with the public services) were included. Second, the insufficient proof about the relationship on the causes and the results(the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proving method on the damage by the public services, the status of the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proof on the damage by the oil pollution and so on) were contained. In final, the other compensation · indemnity problems with the oil pollution(the lower compensation rates compared to the other countries, the lower compensation rates compared to the public services, the problems on the bare hands declaration system). In chapter 5, the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compensation · indemnity system toward the oil pollution damage based on the problem analysis results were suggested. The main content is about the reorganization of the oil pollution act amended damage(the damage proof and improvement in the damaged expenses calculation system, the establishment of compensation fund for oil pollution damage), The system improvement for the shortage of proof in the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the establishment of the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investigation by the specialized organization, the establishment of distribution and production system for marine product and etc) were considered. Furthermore, the improving measures for the other problems(the reorganization of management system for bare hands declaration in marine business, the reinforcement of individual roles for reasonable compensation · indemnity and many other problems on the marine business system), the institution improvement for damage relief before the lawsuit of the ocean pollution conflict(the environmental conflict institution, the conflict managing committee and the other conflict resolving institution excepting the lawsuit) were considered in this chapter. For the last, in chapter 6 as the conclusion part, the main contents were summarized and organized. Especially, the significant meaning of this research in the aspect of academic interests and social influence were described. Also, the criteria for the further research assignment was suggested by describing the limitation of this research.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roblems in compensation · indemnity system for damage in marine business from the oceanic oil pollution are shown as below. First, the compensation·indemnity rules are incomplete for damage from the oil pollution. The rules of compensation security law for oil pollution damage are incomplete and totally depend on the claim manual regulated by the IOPC fund. The problems about the fisher men excluded from the compensation · indemnity subject lists unreasonably because of the inability for suggesting the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objectively between the oil spill and the damage based on the customary differences or marine product institution originated in South Korea has been evoked. Second, the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proving method on the oil pollution damage is incomplete. The IOPC fund requires to suggest the objective and reasonable compensation basis for oil pollution damage. However, there are some limitation to suggest objectively recognizable data such as the marine animal or plant trading records for what they produced ; tax invoice or consignment sales record under the current system taking the free listing institution for marine product trading custom. Third, the lower compensation rates for the marine business damage from the oil pollution comparing to the overseas countries. It is not improved yet and concluded as the lower compensating rates comparing to the foreign countries’s similar cases because of the incompleteness in objective and reasonable damage proving data as it considered in above. Forth, the marine business declaration certificate(previous, a certificate of fisheries report) is being issued to non-qualified applier without normal management of declared marine business men. As the result, it caused the excessive time demanding for taking compensation payment with lower rates comparing to the damage amount to the victims. Fifth, the reason why the time and expense are being wasted excessively until the compensation is that the calculated damage according to the claim manual from the IOPC fund is excessively low because of the objective and reasonable evidence shortage. The improving measures for the efficient compensation system of fishery damage by the oceanic pollution accident based on the analysis of those problems mentioned above were suggested as shown below. First, the reorganization of oil pollution damage compensation security law. The improvement in oil pollution damage compensation security law is required in the way it could be applied analogically with the compensation evaluating regulation to the fishery damage provided from the marine product business law. The current claim manual the compensation criteria provided from the IOPC fund operated by the international fund agreement and the international civil responsibility agreement is contrary to South Korean marine product system. That is why, the oil pollution damage compensation security law is should be reorganized in the way it could be applied analogically with the asterisk 4 clause 69 implementing ordinance in marine product business law regulating compensation rule on he oil pollution damage compensation security law directly as the complement method for compensating the victims damaged from the oil pollution fairly Second, the system improvement on the incompleteness of the cause effect relationship proof. The fishery damage compensation evaluation for the public services is being solved reasonably even the related data was not suggested though as the public service conductor requested the services for investigating the fishery damage to the specialized research organization, the specialized research organization investigated the range of damage, damaging period, damaging degree, the annual producing amount of economically valuable marine product in the scientific and social scientific methods. The appraiser determined the annual total income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organization, processed for determining the final compensation amount by researching the sales management expenses and the related marine product producing expenses then, supported the consignment sales record and the annual production amount record even under the free distribution system. As it explained above, the system improvement measure is suggested for estimating the damage fairly and objectively through the specialized research organization to the oil pollution damage. Third, the improvement for the problem of the bare hands declaration in marine business system. The thoughtless issue of fishery business declaration certificate to the some of corrupt bare hands declared fishery business targeting compensation causes the problem of wasting compensation expenses belong to right person with some bodies having no right. Consequently, it evoked the excessive time demanding for calculating compensation expense to the actual victim. So, the institution should be reorganized for preventing the extra damage to the right people by making the declaration process more clear to the prospective bare hands declarators on fishery business. Forth, the improvement of damage relief system before the lawsuit in the oceanic pollution conflict. After IOPC fund evaluated the damage, the agreement with the victim about the damage should be followed to get compensated from the oil pollution damage. If not, it requires another process as suing to South Korean court then gaining final statement to determining the final damage. However, the damaged victims give it up sometimes when the damage is quiet little or the procedure takes too excessive money and time. On the other hand, it actually takes real long time to calculate the damage until the final statement because of the lack in professionalism in the judical branch and the majority of the damage declarators. The countermeasure for these realistic problems, the deliberation in the environmental conflict management committee should be processed before suing with the professionalism of administration organization. Also, it would reduce the pressure on the judical department. Furthermore, it would reduce the expenses and time cost for the aspect of damaged victim by judged according to the professionalism of the administration department. It should be institutionalized that when the case proceed to sue even it is still in the deliberation steps in the environmental conflict management committee, the judical department should refer to the deliberation content to achieving the right compensation to the oil pollution victims with the professionalism of administrative department. 본 연구는 해양 유류오염사고로 인한 어업피해에 대한 배⋅보상제도 문제점들을 파악하고,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주요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문헌 조사, 통계자료 조사, 관계기관 방문, 인터넷 검색, 도서관 검색, 사례분석 등 구체적인 방법들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는 다시 분석하고 평가하여 정리하였다. 이외에도 본 연구에서는 해외의 해양 오염으로 인한 어업피해의 배⋅보상제도를 EU, 영⋅미 및 동양의 일본⋅중국 등으로 나누어 비교 방법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내용을 각 장별로 세분화하여 분석하여보면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목적, 연구범위, 연구방법을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해양 유류오염손해배⋅보상기준에 대한 내용을 기술하고 있다. 본 장에서는 유류오염손해보장의 법적근거(유조선에 의한 유류오염사고의 특징, 유류오염손해에 관한 국제협약, 우리나라의 유류오염손해배상 보장법, 국제협약과 유류오염손해배상 보장법의 관계 등), 국제기금보상기준(방제조치비용, 인적손해. 물적손해 및 간접손실, 순수한 경제적 손실 및 그에 대한 방지 및 경감조치비용, 환경손해, 국제기금 보상기준의 효력 등), 외국(EU, 스페인, 독일, 프랑스, 영⋅미의 영국, 미국, 동양의 일본, 중국)의 해양 유류오염 피해 배⋅보상제도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제3장에서는 해양 유류오염의 피해 배∙보상실태를 다루고 있으며 본 장의 주요 내용으로 해양 유류오염 배⋅보상절차(피해의 청구, 협의에 의한 분쟁해결, 소송에 의한 분쟁해결 등), 국내⋅외 해양 유류오염 피해 배⋅보상현황, 허베이 스프리트호에 의한 피해 배⋅보상사례(유류오염 피해에 대한 피해청구 및 보상절차, 피해의 책임, 피해책임의 한도, 피해 배⋅보상청구와 사정율) 등을 포함한다. 제4장에서는 유류오염 피해 배⋅보상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본 장에서는 유류오염 피해 배⋅보상규정 미비(유류오염 피해 배⋅보상 규정미비로 인한 문제점, 공익사업과 유류오염에 의한 어업피해 배⋅보상의 평가방법의 비교), 원인과 결과에 대한 인과관계 입증 부족(공익사업으로 인한 피해의 인과관계 입증방법, 유류오염으로 인한 피해의 인과관계 입증실태 등), 그 밖의 유류오염 피해 배⋅보상 문제점(다른 나라에 비하여 낮은 보상율, 공공사업에 비하여 낮은 손해 배⋅보상율, 맨손신고어업제도의 문제) 등을 포함한다. 제5장에서는 유류오염 피해 배⋅보상 문제점을 분석결과를 토대로 유류오염 피해 배⋅보상제도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장의 주요 내용으로는 유배법의 재정비(피해입증 및 피해액산정 제도개선, 유류피해보상기금 설치 등), 인과관계 입증부족에 대한 제도개선(전문기관에 의한 인과관계 조사체계 구축, 수산물 생산과 유통체계의 구축 등), 그 밖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맨손신고어업 관리체계정비, 합리적인 피해 배⋅보상을 위한 각 당사자의 역할 강화, 기타 어업제도상 문제점 등), 해양 오염 분쟁의 재판전 피해구제 제도개선(환경분쟁제도, 해양 오염과 분쟁조정위원회, 재판외 분쟁해결제도)등을 다루고 있다. 마지막으로 제6장 결론부분에서는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을 요약⋅정리하였으며, 특히 본 연구가 갖는 학문적⋅사회적 의의를 기술하였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에서의 한계점을 기술하여 향후 연구과제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해양 유류오염으로 인한 어업피해의 배⋅보상제도에서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류오염의 피해에 대한 배⋅보상규정이 미비하다. 유류피해에 대한 배⋅보상에 대한 유류오염손해배상 보장법의 규정이 미비하고, IOPC Fund에서 규정하고 있는 클레임 매뉴얼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그리고 우리나라 고유의 수산 제도나 관습의 차이로 인하여 객관적으로 유류유출과 피해사이의 인과관계를 제시하지 못하기 때문에 배⋅보상대상에서 불합리하게 제외되는 피해어민에 대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둘째, 유류오염 피해에 대한 인과관계 입증방법이 미비하다. IOPC Fund에서는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유류피해 배⋅보상의 근거자료 제시를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수산물 거래관행은 자유상장제를 채택하고 있는 현행제도 하에서 어민들이 생산한 해양 동⋅식물의 거래자료 즉, 세금계산서나, 위판실적자료 등 객관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증빙자료를 제시하는데 한계가 있다. 셋째, 유류오염으로 인한 어업피해 배⋅보상율이 외국에 비하여 턱없이 낮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피해 입증자료의 미비는 외국의 유사한 피해사례와 비교해 볼 때 낮은 배⋅보상율로 귀착되고 있으며 이는 아직까지도 개선되지 않는 점이다. 넷째, 신고어업의 문제점으로 신고어업자의 관리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무자격자에 대한 어업신고증명서(구, 어업신고필증)을 교부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 결과 피해를 입은 어민들이 피해대비 낮은 금액으로 배⋅보상을 받을 우려가 있고, 배⋅보상금을 수령하기까지 과도한 시간이 소요되는 경우가 많아서 문제가 되고 있다. 다섯째, 배⋅보상을 받기까지 시간과 비용이 과도하게 낭비되고 있는 원인중의 하나는 IOPC Fund의 클레임 매뉴얼에 따라 산정된 피해액이 합리적⋅객관적인 증거의 부족 등으로 인하여 턱없이 낮게 산정되고 있다. 상기의 문제점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해양 오염사고의 어업피해 배⋅보상제도에 대한 효율적인 제도개선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유류오염손해배상 보장법의 재정비. 유류오염손해배상 보장법에 수산업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어업피해에 대한 보상평가규정을 유추적용을 할 수 있도록 법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현재 국제민사책임협약과 국제기금협약에서 운용하고 있는 IOPC Fund에 의하여 마련된 배⋅보상기준인 클레임 매뉴얼은 우리나라 수산제도와 배치되는 부분이 있다. 그러므로 유류피해어민들의 정당한 피해 배⋅보상을 받지 못하는 부분을 최대한 보완하는 방법으로 유류오염손해배상 보장법에 수산업법 시행령 제69조 별표4항을 유추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유배법을 정비하여야 한다. 둘째, 인과관계 입증부족에 대한 제도개선 공익사업에 따른 어업피해에 대한 보상평가는 어민들이 어업피해에 대한 자료를 제시하지 않더라도 사업시행자가 전문연구기관에 어업피해용역을 의뢰하고, 전문연구기관은 자연과학적, 사회과학적 방법으로 피해의 범위, 피해기간, 피해정도, 피해지역내에서 생산되는 경제적 가치가 있는 수산물의 연간 생산량 등을 조사하고, 감정평가사는 전문연구기관의 용역결과를 기초로 연간 총수익을 결정하고, 경제적 가치가 있는 수산물의 생산비 및 판매관리비 등을 조사하여 최종 보상액을 결정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침으로써 수산물의 자유로운 유통제도에 따라 연간생산량 및 수산물의 위판자료의 미비로 인해 발생하는 인과관계의 부족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고 있다. 이와 같이 유류오염 피해에 대하여도 전문연구기관의 피해조사를 통한 객관적이고 정당한 피해액 산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도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맨손신고어업제도 등 문제점에 대한 개선 배⋅보상을 노린 일부 부정한 맨손신고어업에 대한 무분별한 신고어업증명서의 교부는 정당한 권리자에게 귀속되어야 할 배⋅보상액 몫이 무권리자에게 분배되는 문제점을 낳게 되고, 어업에 거의 종사하지 않은 자들도 피해신고 및 배⋅보상청구를 함으로써 실제 어업에 종사하고 있는 피해어민 등의 배⋅보상액 사정에 많은 시간이 지체되는 결과를 낳는다. 따라서 향후 맨손신고어업자의 신고과정을 보다 투명하게 함으로써 정당한 권리자가 피해를 입는 사례를 예방할 수 있도록 제도를 정비하여야 한다. 넷째, 해양 오염분쟁의 재판전 피해구제제도의 개선 유류유출로 인한 피해를 배⋅보상받기 위해서는 IOPC Fund에서 피해액을 사정한 후 유류피해자와 피해액에 대한 협의를 거쳐야 하지만 협의가 성립되지 않으면 최종 피해액을 결정하기 위해서 우리나라 법원에 제소하여 최종판결을 얻어야 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피해 어민들의 피해가 상대적으로 과소한 경우 또는 과다한 시간과 비용으로 인하여 제소를 포기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한편으로는 법원에서 최종판결까지 피해신고자의 다수성 및 사법부의 전문성 결여 등의 원인으로 피해액을 산정하기까지 장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적인 문제점에 대한 대책으로 행정기관의 전문성을 살려 환경분쟁조정위원회에서 소송제기 이전에 심의를 거치게 함으로써 사법부의 업무 부담을 덜어주고, 피해어민 등의 입장에서는 행정기관의 전문성에 의지하여 심판을 받음으로써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적인 대책이 될 수 있다. 아울러 환경분쟁조정위원회에서 심의과정에 있더라도 소송으로 진행되면 환경분쟁조정위원회의 심의내용을 사법부가 재판과정에서 참고하도록 하여 행정기관의 전문성을 살려 유류피해의 정당한 배⋅보상이 될 수 있도록 제도화하여야 한다.

      • 가막만 빈산소 수괴의 특성과 해양생태계 교란

        최성민 전남대학교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87

        가막만 빈산소 수괴의 특성과 해양생태계 교란 최 성 민 전남대학교대학원 수산과학과 (지도교수 : 최상덕) (국문초록) 빈산소 수괴(hypoxia water mass)는 환경오염 및 내만 수괴의 성층화 현상과 유기물 분해 등 다양한 영향으로 인하여 용존산소의 농도가 2 mgL-1이하로 낮아지는 현상을 말한다. 빈산소 수괴(hypoxia water mass)가 형성하게 되면 저서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수산자원 관리·회복을 위한 목적으로 주요 발생시기별 가막만 해역에 대하여 해수유동, 수질환경, 퇴적환경, 미생물, 부유생물 및 저서생물에 대하여 분석하여 발생 전후에 저서생태계 변화 양상을 조사하였다. 더불어 빈산소 수괴의 빈번한 발생으로 반폐쇄적 해역의 연안 정착성 수산자원 감소 및 관리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향도 제시해 보고자 한다. 빈산소 수괴가 빈번히 발생하고 장기적인 수층이 형성되는 전라남도 여수시 가막만해역을 조사지역으로 선정하였다. 가막만 내만 북서해역을 중심으로 10개의 정점을 선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기간은 빈산소 수괴가 형성되는 시기부터 종료되는 시기(2017년 5월-10월)까지로 선행조사 등을 통하여 정하였으며, 매월 1회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중 빈산소 수괴 현상이 가장 빈번한 하계(2017년 7월-8월)에는 대조기, 소조기 각 1회씩 월 2회 조사를 실시하였다. 해양물리 특성을 파악해 본 결과 조사 대상 해역의 조류는 창조시 외해에서 유입된 흐름은 북-북서향하며 여수 내만으로 유입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북서향하는 주류는 장도 섬의 지형적인 영향으로 시계방향의 와류가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치모의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낙조류가 창조류보다 큰 조류비대칭 현상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지형적으로 수로 폭이 좁고 유속이 강한 조석수로에서 낙조류 우세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내었다. 이러한 현상은 장도 섬의 지형적인 영향으로 지형적인 영향과 수심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조사 대상 해역에서의 흐름은 북향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낙조시에는 이와 반대의 경향이 나타났다. 해양환경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온은 표층에서 19.9-29.2℃(평균 25.5℃)의 범위를 보였으며, 저층에서는 18.7-28.5℃(평균 23.7℃)로 나타났다. 염분농도는 31.6-33.9 psu(평균 32.9 psu)의 범위를 보였으며, 저층에서는 31.7-33.9 psu(평균 33.2 psu)로 나타났다. 수소이온농도는 표층에서 7.86-8.40(평균 8.07)의 범위를 보였으며, 저층에서는 7.49-8.09(평균 7.81)로 나타났다. 용존산소 농도 변화를 살펴본 결과 빈산소 수괴는 6월부터 발생하여 9월까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결과 저층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5월 이후에 용존산소 농도가 6.35 mgL-1에서 0.92 mgL-1로 급격히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빈산소 수괴는 수온이 상승하는 시기인 6월부터 9월까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기에는 가막만 북측 내측에서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층퇴적물 중 강열감량(IL) 조사 결과 전 조사기간 동안 평균 9.19±1.94%로 나타났으며, 화학적산소요구량(COD) 평균 20.00±9.40 mgO2/g-dry, 산화발성황화물(AVS) 평균 030±0.25 mgS/g-dry로, 총유기탄소(TOC) 평균 1.4±0.5%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내만측에서 농도가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고, 외양 측으로 갈수록 농도가 낮은 경향을 보였다. 빈산소 수괴가 발생하는 해역에 대한 위생학적 조사를 위하여 총세균수와 대장균군에 대하여 일반실험과 혐기성조건에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 표층수에 비해 빈산소 수괴가 발생하는 저층과 표층퇴적물에서는 혐기배양 실험 방법에서 일반배양에 비해 총세균수가 낮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으며, 대장균군의 경우 표층수, 저층수, 표층 퇴적물 조사시기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내지는 않았으며, 빈산소 수괴가 발생하는 저층수에서 대장균군이 비교적 낮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빈산소 수괴 발생으로 총세균수와 대장균군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물플랑크톤의 주요 분류군은 요각류(copepoda), 지각류(cladocera), 척삭동물(chordata), 동물플랑크톤 유생, 따개비류, 이매패류, 복족류, 불가사리류, 환형동물의 유생과 이외에 야광충, 단각류, 화살벌레류 등 총 44분류군이 출현하였다. 동물플랑크톤의 출현 개체수는 평균 1,858(5월 26일)-79,376 ind.m-3 (2017년 8월 대조기)로 나타났다. 육식성 동물플랑크톤 Aidanosagitta crassa는 춘계와 추계 만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갈수록 출현개체수는 증가하였으나, 빈산소 수괴가 형성된 하계에는 만 안쪽에서 높은 출현 개체수를 나타냈다. 조사 지역에 출현한 우점 동물플랑크톤은 지각류인 Evadne tergestina, Penilia avirostris, 따개비 유생이 우점 출현하였으며, 우점 요각류는 Paracalanus parvus s. l.과 Acartia erythraea, Oithona spp.가 우점 출현을 하였다. 저서동물은 조사기간 동안 채집된 출현종수는 총 34종으로 나타났으며, 연체동물 23종(67.7%), 환형동물 4종(11.8%), 절지동물 2종(5.9%), 척삭동물 1종(2.9%), 극피동물 3종(8.8%), 기타동물 1종(2.9%)순으로 나타났다. 채집된 개체수는 총 903.5 inds./m2로 나타났으며, 연체동물 467.04 inds./m2(51.7%), 환형동물 378.08 inds./m2(41.8%), 절지동물 25.02 inds./m2(2.8%), 극피동물 25.02 inds./m2(2.8%), 척삭동물 5.56 inds./m2(0.60%), 기타 2.78 inds./m2(0.3%)순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빈산소 수괴가 형성되어 극심한 저서환경이 악화되는 시기에는 저서동물의 출현종수가 현저히 낮아지는 현상을 보였으며, 이는 생물이 살 수 없는 조건에서 저서동물의 사멸로 인한 종 조성이 낮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저서동물은 환형동물에 속하는 저서다모류가 극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빈산소 수괴가 형성되어 용존산소 농도가 낮은 곳에서도 일부 다모류 개체들만이 극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빈산소 수괴 발생으로 인한 저서동물 군집구조 변화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30개 케이스에 대해 집괴분석(cluster analysis) 등 다변량 분석을 적용하였다. 빈산소 발생으로 위치와 저서다모류군집의 특성변화가 정점군 구분의 기준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에 더하여 일부 해역에서는 발생에 따른 군집 변동이 반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저서동물군집은 발생 전과 발생 후가 명확하게 구분되어졌다. C와 D정점의 경우 빈산소 발생 후 생물량 급감으로 인하여 저서동물군집은 독립적인 군집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막만은 수온이 상승하는 6월부터 발생하여 9월까지 빈산소 현상이 지속되는 것으로 조사결과 나타났다. 최근 5년간 빈산소 수괴 발생일을 살펴보면, 평균 15.9일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7년 23일로 가장 높은 발생빈도를 나타내었다. 빈산소 수괴 해소방안을 물리·화학적 환경 개선 방법을 기초로 하여 생물학적 환경정화 방법(bio remediation)과 생태계 진행 촉진방법(augmentation ecosystem process) 등 검토한 결과 퇴적물개선기술, 미생물을 통한 방지기술, 천연해조장 조성 기술 등이 가장 적합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빈산소 수괴가 빈번히 발생하는 가막만은 수산자원 이용현황을 파악해 본 결과, 전체적으로 패류양식어업이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막만 내만에 위치한 양식어장은 대부분 굴과 진주담치 수하식 양식장이며 빈산소 수괴 발생으로 인한 직접적인 피해로 어장생산성이 해마다 감소하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가막만 수하식 양식어장의 경우 빈산소 수괴가 자주 발생하는 6월부터 9월까지는 수하식 양식연을 중층에 수하연을 로프에 연결하여 부류시키는 방법으로 양식하는 방법(dynamic longline culture)을 사용하면 대량 폐사 등을 막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방법은 어장환경 변화가 심한 경우 국외에서 수행하는 방법으로 고정형 수하식 양식(static longline culture)을 탈피한 방식으로 사육시기에 따라 적정 수층에서 성육시킬 수 있을 것이다. Characteristics of Hypoxia Water Masses and the Disruption of Marine Ecosystem in Gamak Bay Choi, Sung Min Department of Fisheries Science Graduate School Chonnam National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Choi, Sang Duk) (Abstract) Hypoxia water mass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the concentration of dissolved oxygen decreases to 2 mgL-1 or less due to various effects such as environmental pollution, stratification of the inner bay, and decomposition of organic matter.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useful implications for the management and recovery of fisheries resources by grasping the effect of the formation of hypoxia water mass on the benthic ecosystem. For this purpose, seawater flow, water quality environment, sedimentation environment, microorganisms, floating organisms, and benthic organisms were investigated in the Gamak bay waters by the time of occurrence of the hypoxia water mass, and the changes in benthic ecosystem before and after the occurrence of the hypoxia water mass were analyzed. 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present directions to improve the problems related to the reduction and management of coastal fishery resources in semi-closed waters where the frequent formations of hypoxia water masses occur. Gamak bay, Yeosu city, Jeollanam-do, where hypoxia water masses frequently occur and long-term water layers are formed, was selected as the survey area. The survey was conducted in the selected 10 survey stations centering on the northwest sea area of ​​Gamak bay. The survey period was determined through prior investigations, and from the time when the hypoxia water mass was formed to the time when it was terminated (May to October 2017).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once a month. Among them, in the summer (July to August 2017), when the phenomenon of hypoxia water mass is the most frequent, surveys were conducted twice a month, one in neap tide and the other in spring tide. The result of investigation of the marine physics characteristics shows that the tide in the survey area flows to north-northwest from the open sea at the time of rising tide and flows into Yeosu bay, and some of the northwest tidal currents generate clockwise eddy currents due to the topographical influence of Jangdo Island. The result of the numerical simulation shows the tide current asymmetry in that the falling tide is greater than rising tide, The result also shows the ebb-dominant tidal flow in the tidal channel with narrow width and strong flow velocity. This phenomenon seems to be caused by the geographical influence and depth of sea around Jangdo Islan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flow of tide in the survey sea area was directed to the north, and the opposite trend was shown at the time of falling tide Marine environment survey shows that the water temperature ranged from 19.9 to 29.2°C (average 25.5°C) in the surface layer and 18.7 to 28.5°C (average 23.7°C) in the bottom layer. The salinity concentration ranged from 31.6 to 33.9 psu (average 32.9 psu), and in the lower layer, 31.7 to 33.9 psu (average 33.2 psu). The hydrogen ion concentration ranged from 7.86 to 8.40 (average 8.07) in the surface layer, and 7.49 to 8.09 (average 7.81) in the bottom layer. The result of investigation of surface sediments shows 9.19±1.94% of ignition of waste on average, 20.00±9.40 mgO2/g-dry of chemical oxygen demand (COD) on average, 030±0.25 mgS/g-dry of acid volatile sulfide(AVS) on average, and 1.4±0.5% of total organic carbon (TOC) on average. Overall, the concentration tended to be high in the inner bay side, and tended to be low toward the outer side. For the sanitary investigation of the sea area where the hypoxia water mass occurs, the total number of bacteria and the coliform group were tested in general and under anaerobic condi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otal number of bacteria tended to be lower in the anaerobic culture method compared to the general culture experiment for the bottom layer and the surface sediment where the hypoxia water mass is generated compared to the surface water. In the case of the coliform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the investigation seasons among the surface layer, the bottom layer, and the surface sediment during the investigation period. Total number of bacteria in coliform group tended to be relatively small in the bottom layer water where the hypoxia water mass was formed. The main taxa of the zooplankton that appeared in the survey includes copepoda, cladocera, chordata, zooplankton larvae, barnacles, bivalvia, gastropoda, asteroidea, annelida, Noctilucales, amphipods and chaetognaths. The number of zooplankton appeared on average was 1,858 (May 26) - 79,376 ind.m-3 (at the time of rising tide in August 2017). The number of the carnivorous zooplankton Aidanosagitta crassa increased from the inside of the bay to the outside in spring and autumn, but in the summer when the hypoxia water mass was formed, the number of individuals appeared in the inside of the bay was large. The dominant zooplankton that appeared in the survey area were the crustaceans Evadne tergestina, Penilia avirostris and barnacle larvae, and the dominant copepods were Paracalanus parvus s. l. and Acartia erythraea, Oithona spp. The number of benthic species collected during the survey period was 34 species, and the composition ratio was 23 molluscs (67.7%), 4 annular animals (11.8%), 2 arthropods (5.9%), and chords. One animal (2.9%), three epidermal animals (8.8%), and one other animal (2.9%). The number of collected populations was 903.5 inds./m2 in total, and the composition ratio was 467.04 inds./m2 (51.7%) of molluscs, 378.08 inds./m2 (41.8%) of circular animals, 25.02 inds./m2 of arthropods (arthropods). 2.8%), echinoderm 25.02 inds./m2 (2.8%), chordal animals 5.56 inds./m2 (0.60%), and other 2.78 inds./m2 (0.3%). In the period when the benthic environment was severely deteriorated due to the formation of hypoxia water masses, the number of species of benthic animals was significantly smaller. This is due to the decrease in the species composition due to the death of benthic animals under conditions where living things cannot live. Benthos were found to have extreme dominance in benthic polychaetes belonging to annular animals, and only some polychaetes were found to be extremely dominant even in places with low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due to the formation of hypoxia water mass. Multivariate analysis, such as cluster analysis, was applied to 30 case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 in the benthic polychaetous community structure due to the occurrence of a hypoxia water mass. The location of the occurrence of the hypoxia water masess and the change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nthic polychaete cluster were used as criteria for the division of the stations. In some seas, it was found that the occurrence of hypoxia water masses was acting on the cluster fluctuations. In other words, the benthic fauna was clearly divided in terms of before and after hypoxia development. In the case of stations C and D, the benthic fauna showed independent community characteristics due to the sudden decrease in biomass after the occurrence of hypoxia. The result of the investigation showed that in Gamak bay, from June when the water temperature rises, a hypoxic phenomenon occurs and continues until September. Looking at the number of days of occurrence of hypoxia water masses in the last 5 years, it was found to occur on an average of 15.9 days, with the highest incidence on the 23rd of 2017. From the result of reviewing bio remediation and augmentation ecosystem process based on the physical and chemical environment improvement method in order to find the measures to remove the hypoxia water mass, sediment improvement technology, prevention technology through microorganisms and technology for creating a natural seaweed plant were found to be most appropriate.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use of fishery resources in Gamak bay where hypoxia water masses frequently occur shows that shellfish farming dominates as a whole. Most of the fish farms located in the inner Gamak bay are using dynamic longline culture for oysters and pearl mussels. The fishery productivity has been decreasing year by year due to direct damage caused by the occurrence of hypoxia water masses. Therefore, for the line hanging aquaculture farm of oysters or pearl mussels in Gamak bay, from June to September when Hypoxia water masses often occur, the method of dynamic longline culture in the middle water layer can prevent the mass death of oysters or pearl mussels. This method other than static longline culture is also being carried out in foreign countries as a way to grow oysters or pearl mussels in an appropriate water layer depending on the breeding season, when the fishing ground environment is severely changed.

      • 부이형 어군 탐지기를 이용한 수산자원 모니터링 기술에 관한 연구

        강태종 전남대학교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71

        현재 우리나라 연안 바다는 수산자원의 무분별한 남획 및 기후 변화로 인하여 어획량이 감소하고 있다. 수산자원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고 관리할 목적으로 총허용어획량 (TAC, Total Allowable Catch) 제도 운용, 어선어업 구조조정, 수산자원조성과 같은 수산증강을 위해 노력해 왔으나 현재의 결과로 보면 그 성과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산자원조성 중 인공어초는 대상 해양생물을 정착시키거나 유집하고, 그에 대한 보호와 배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해저에 시설하는 인공 구조물로써, 해양생물의 생활환경과 특성을 활용한 대표적이고 중요한 수산자원 조성방법이다. 인공어초 주변에 생태 습성을 파악하려는 방법으로는 어구 조사, 잠수 조사, 음향 조사, 수중 CCTV 및 카메라 조사 등과 같이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다. 이중 음향 조사방법은 선박에 음향 시스템을 장착하여 조사가 진행되며 시간의 제약과 탁도 등의 해양환경에 상관없이 조사할 수 있지만, 선박이 일정한 속도로 항주하여 조사가 이루어지는 방법으로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 해양 관측 분야에 있어서 해양환경, 인력과 시간 등 물리적 제약을 극복하려는 방법의 하나로 해상 부이를 이용한 무인화 계측 기술이 도입되어 항해 안전을 위한 항로표지, 기상관측, 해양환경 모니터링, 국방 감시 등 다양한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해상 부이를 이용한 어류의 생태 습성 및 분포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연구 사례는 현저히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이형 어군탐지기를 이용한 수산자원 모니터링 기술을 개발하여 인공어초 주변의 어군분포를 추정하고 해상에서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육상으로 어군탐지기 데이터를 보내 사용자가 직접 감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부이 어탐의 전송항목, 전력소모량, 운영방법 등에 관한 연구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Currently, the catch of coastal seas in Korea is decreasing due to indiscriminate overfishing of fishery resources and climate change. In order to effectively protect and manage fishery resources, efforts have been made to strengthen fisheries, such as the operation of the Total Allowed Catch (TAC) system, restructuring of fishing boats, and creation of fishery resources, but the results are insignificant. Among the creation of heavy fishery resources, artificial reefs are artificial structures installed on the seabed for the purpose of settling or attracting target marine life, protecting and cultivating it, and are a representative and important method of creating fishery resources using the living environment and characteristics of marine life. Various methods have been reported to understand ecological habits around artificial reefs, such as fishing gear survey, diving, acoustic survey, underwater CCTV, and cameras. The dual acoustic survey method can be investigated regardless of the marine environment such as time constraints and turbidity by installing an acoustic system on a ship, but it takes a lot of manpower and time for the ship to run at a constant speed. As such, surveys around artificial reefs are being conducted in an artificial way, and a lot of time and labor are consumed. Marine buoys have been operat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route signs, weather observation, marine environment monitoring, and defense monitoring from the past, but research cases on the ecological habits and distribution of fish using marine buoys are significantly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ystem that estimates the distribution of fish groups around artificial reefs by developing a fishery resource monitoring technology using a buoyant fish detector and sends fish detector data on lan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from the sea.

      • 청평호 수산자원의 특성 및 관리방안

        김승용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71

        The survey had been conducted in April, June, August and October(or November) 2016 and 2017, and in March to December 2018 and 2019, and in March to August 2020. In the study, a total of 46 species in 11 families were collected in the period. And 36 species in 9 families were identified in 2016, 30 species of 8 families in 2017, 27 species of 7 families in 2018, 36 species of 8 families in 2019, and 32 species of 9 families in 2020. The most dominant family was Cyprinidae with 60.6% of the total, and sub-dominant was Centrarchidae with 38.4%. The dominant species of the highest frequency was Lepomis macrochirus with 36.0%, followed by Squalidus japonicus Koreanus and Zacco platypus. In the frequency of individuals by fishing gears, the fyke net occupied 89.3% of the total and the other was 10.7% by the gill net. In the case of biomass, the fyke net and gill net occupied 60.8% and 39.2% of the total. The fish composition showed the difference at the fishing gear, and individuals and biomass of species indicated the increase as the mesh size decreased. The fish collected in the fyke net had 11 families and 42 species of 23,331 individuals and 486,855.4g in a biomass, of which 10 families and 30 species of 7,098 individuals appeared in the fyke net (25 mm), with a biomass of 326,874.2g. In the fyke net (10 mm), 11 families and 40 species of 16,233 individuals appeared, and their biomass was 159,981.2g. The fish collected in the gill net were 7 families and 32 species of 2,789 individuals and 314,260.7g in the biomass, of which the largest mesh size(75 mm) net had 5 families and 14 species of 553 individuals, and 148,233.3g in the biomass. The second one(50 mm) had 6 families and 18 species of 533 individuals, and 121,313.1g. The last one(27 mm) had 6 families and 26 species of 1,568 individuals and 44,714.2g. Being based on the fish community structure according to mesh size of fishing gear, the result of similarity analysis was divided into 6 groups(0.5 at the level of similarity). The number of total individuals among the 6 groups was found to be the highest in Group C with 23,079, and the lowest in Group A.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fishery resources, it is important to conduct the research on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pecies that forms a commun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otal length(TL) and body weight(BW) of Carassius carassius, Pseudogobio esocinus and Micropterus salmoides, regression coefficient α was estimated at 0.000005, 0.000002 and 0.000005. And the parameter β was estimated at 3.2394, 3.2912 and 3.1652, respectively. The stomach contents of Carassius carassius and Pseudogobio esocinus contained preys of 15 and 14 species, with the ratio of zooplankton being 68.6% and 77.8%. Carassius carassius and Pseudogobio esocinus mainly feed on Copepoda(59.0%) and Diptera(42.9%), repectively. Of the 232 Micropterus salmoides collected from April to December in 2017, the average TL for 125 females was 303.1 mm, with a range of 96.0 to 476.0 mm. The average TL for 107 males was 301.9 mm, with a range of 145.0~419.0 mm. The monthly change in the marginal index(MI) was examined to check the formative period of a ring, and MI of Micropterus salmoides showed that a ring was formed in August. The observed age range of samples was 1 to 6 years old, and the most number of 138 individuals was found in 3 years old group. The average radius at age of both female and male was r1 = 1288.33 ㎛ and r7 = 5488.85. In the cas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tolith radius(R) and TL, the results indicated TL = 0.0845R-56.926 (r2 = 0.90) in female group, and TL = 0.0715R-4.84 (r2 = 0.70) in male group. The growth parameters for both female and male were 632.5 mm in theoretical maximum length(L∞), 0.18/year in growth coefficient(K), and theoretical age(t0) was 0.36 years, assuming that the length was 0. Of the total biomass in the survey period with 484.2 kg, the biomass in 2016 was 170.4kg, the highest catch. Annual catch had fluctuated in the period. The catch of 2020 being the latest survey, increased to 123.9kg, compared to that of 2019. The result of analysis for monthly catch data collected by fishermen showed that the catch of September and October was steadily increased. However, the catch in winter season dropped to 213.8 kg in November and 71.5 kg in December. In order to figure out the catch per unit effort(CPUE) at a fishing gear in 2019, the direct survey data was analyzed with the data collected by fishermen. The result of analysis showed that CPUE of fyke net was the highest at 7.7 kg/day and 6.9 kg/day in April and May, and the lowest at 1.3 kg/day in September and December. CPUE of gill net was the lowest at 12.4 kg/day in April, while the highest was 22.4 kg/day and 21.3 kg/day in September and October, respectively. In the direct survey, the catch of fyke net was the highest at 5.3 kg/day, and the lowest at 0.3 kg/day in November and December. In the case of gill net, the lowest catch was 3.0 kg/day and 2.7 kg/day in March and December, while the highest catch was 17.5 kg/day and 16.0 kg/day in September and October. Among the species with a high catch, the catch of Carassius carassius which occupied the highest value had decreased from 3.5 kg in 2017 to 2.6 kg in 2020. The catch of Lepomis macrochirus highly increased 28.2 kg in 2020. The catch of Micropterus salmoides had steadily increased from 1.7 kg in 2017 to 3.3 kg in 2020. Inland fishery in Cheongpyeong lake showed the catch of commercial fishery resources gradually decreased and more systematic management through exotic species management was needed. In particular, long-term statistical data can be used as a basis for the establishment of policies for resources management in the inland fishery if reports on catch by fishing gear as well as catch at species are collected by fishermen community. 본 연구는 2016년, 2017년 4월, 6월, 8월, 10월(11월) 조사를 실시하였고, 2018년, 2019년에는 3월부터 12월까지, 그리고 2020년에는 3월에서 8월까지 조사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조사기간 동안 총 11과 46종의 어류가 서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출현한 어류는 2016년에 9과 36종, 2017년에 8과 30종, 2018년에 7과 27종, 2019년에 8과 36종, 2020년도에 9과 32종이 확인되었다. 조사기간 동안 잉어과 어류가 60.6%로 가장 많이 출현하였고, 검정우럭과 어류가 38.4%가 출현하였다. 출현빈도가 가장 높은 우점종은 블루길로 36.0%가 출현하였고, 몰개, 피라미 순으로 출현빈도가 높았다. 어구에 따른 어획비율을 살펴보면, 삼각망이 전체 개체수의 89.3%, 삼중자망이 10.7%로 나타났고, 생체량은 삼각망이 60.8%, 삼중자망이 39.2%로 삼각망에서 높게 나타났다. 출현종은 망목의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각망에 채집된 어류는 11과 42종 23,331개체, 생체량은 486,855.4g이었고, 그 중 붕어망에서 10과 30종 7,098개체가 출현하였고, 생체량은 326,874.2g이었다. 빙어망에서는 11과 40종 16,233개체, 생체량은 159,981.2g이었다. 삼중자망에 채집된 어류는 7과 32종 2,789개체, 314,260.7g이었고, 그 중 가장 큰 망목인 5절(75 mm)에서 5과 14종 553개체, 148,233.3g이었고, 두 번째로 큰 망목인 7절(50 mm)에서는 6과 18종 668개체, 생체량은 121,313.1g이고, 마지막으로 12절(27 mm) 삼중자망에서는 6과 26종 1,568개체, 44,714.2g이었다. 조사시기에 따른 어구의 망목별 어류 군집 특성을 분석한 결과 유사도 0.5 수준에서 여섯 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6개의 그룹들 간의 총 개체수를 조사한 결과, 23,079개체로 그룹 C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룹 A에서 개체수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수산자원의 지속가능한 개발 및 관리를 위해서는 어류군집을 이루고 있는 각 개체군의 생태학적 특성치에 대한 연구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붕어, 모래무지, 배스의 전장에 대한 체중의 관계를 확인한 결과, 각각의 어종들의 회기계수 α는 0.000005(붕어), 0.000002(모래무지), 0.000005(배스), β는 3.2394(붕어), 3.2912(모래무지), 3.1652(배스)로 추정되었다. 붕어와 모래무지의 위 내용물은 각각 15종, 14종이 출현하였고, 두 종 모두 동물성플랑크톤의 섭식 비율이 68.6%, 77.8%를 차지하였다. 모래무지의 주요 먹이생물은 파리목(42.9%), 붕어의 주요 먹이생물은 요각류(59.0%)로 가장 높은 비율로 출현하였다. 청평호에서 2017년 4월부터 12월까지 채집된 배스 232개체 중 암컷 125개체의 평균 전장은 303.1 mm이였으며, 전장범위는 96.0~476.0 mm이었다. 수컷 107개체의 평균 전장은 301.9 mm이었으며, 전장범위는 145.0~419.0 mm이었다. 윤문의 주기성 출현 여부 및 형성 시기를 확인하기 위해 연역지수(MI)의 월별 변화를 살펴보았고, 윤문 연역지수를 통해 배스 이석의 윤문은 8월경에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측된 표본의 연령은 1세에서 6세로, 3세가 138 개체로 가장 많았다. 암∙수 전체에 대한 윤문별 평균 윤경은 r1 = 1288.33 ㎛에서 r7 = 5488.85로 나타났고, 이석반경(R)과 전장(TL)의 관계식은 암컷은 TL = 0.0845R-56.926 (r2 = 0.90), 수컷은 TL = 0.0715R-4.84 (r2 = 0.70)로 나타났으며, 암·수 전체의 관계식은 TL = 0.0797R-38.349 (r2 = 0.90) 이었다. 암·수 전체에 대한 성장 매개변수는 이론적 최대 전장(L∞)이 632.5 mm, 성장계수(K)는 0.18/year, 체장이 0일 때의 이론적 연령(t0)은 0.36 years이었다. 청평호에서 수산자원조사를 이용한 직접자원조사 생산량을 살펴보면 484.2 kg의 총 생산량 중 2016년에 가장 많은 어획량을 보였고, 170.4 kg의 생산량을 보였다. 연도별 생산량은 매년 증감이 있었고, 최근 조사인 2020년 123.9 kg으로 2019년에 비해 증가하였다. 어업인을 통해 어획실태조사 자료를 작성하여 월별로 어획량을 분석한 결과 9월, 10월로 갈수록 어획량이 증가하였다. 하지만 동절기로 들어가는 11월에 213.8 kg, 12월에 71.5 kg으로 감소하였다. 청평호에서 어법별 단위노력당 어획량을 알아보기 위해 2019년에 청평호에서 어업을 하는 어업인을 대상으로 어업실태조사표를 작성하였고, 직접자원조사와 비교를 하였다. 어업실태조사표를 분석한 결과 삼각망어업은 4월과 5월에 각각 7.7 kg/day, 6.9 kg/day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9월과 12월에 1.3 kg/day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자망어업은 4월에 12.4 kg/day로 가장 낮았던 반면에 9월과 10월에 각각 22.4 kg/day, 21.3 kg/day으로 가장 높았다. 직접자원조사에서 삼각망 어업은 5.3 kg/day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11월과 12월에 0.3 kg/day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자망어업의 경우 3월과 12월에 3.0 kg/day, 2.7 kg/day로 가장 낮았던 반면에 9월과 10월에 17.5 kg/day, 16.0 kg/day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주요 수산생물의 어획량의 경우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붕어의 어획량이 2017년도 3.5 kg에서 2020년 2.6 kg으로 감소하였다. 블루길의 경우 2017년도 이후 감소하다가 2020년도에 28.2 kg으로 증가하였고, 배스는 2017년 1.7 kg에서 2020년 3.3 kg으로 꾸준하게 증가하였다. 청평호 내수면어업은 경제성 어종의 자원량이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래종 관리를 통해 보다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내수면어업 관리가 필요하였다. 특히 자율관리공동체 또는 내수면 어업계별로 어획실태조사표, 어업별 조업량 및 생산실적 현황을 보고 받아 장기간의 통계자료를 확보한다면 내수면어업의 자원관리를 위한 정책수립에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감돌고기, Pseudopungtungia nigra의 초기발육 및 번식상태

        이성훈 麗水大學校 2004 국내박사

        RANK : 248655

        감돌고기, Pseudopungtungia nigra의 초기생활사를 파악하고 번식생태에 관한 기초적 기술 축적을 위하여 2001년 5월부터 2003년 7월까지 감돌고기의 산란지, 산란기, 산란습성 등을 관찰하였고, 채집된 어미로부터 수정란을 받아 난발생과정, 자치어형태 및 골격 발달에 관하여 관찰하였다. 번식 생태에 관한 연구로 수온이 난발생과 자치어의 성장 및 생존에 미치는 영향, 먹이 계열별 공급에 따른 영향 및 적정 사육 밀도 등에 관하여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감돌고기의 산란장은 전라북도 진안군 부귀면 월평리에 위치한 금강지류인 두남천에서 물이 맑고 수심이 30~90㎝쯤 되는 바닥에 자갈이 깔려 있는 곳으로, 유속이 완만한 곳에 돌 밑이나 바위틈 사이 무리를 지어 산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주 산란시기는 5월에서 6월 사이였다. 산란습성은 수컷이 무리를 지어 꺽지의 산란장에 들어가 꺽지를 유인, 이때 암컷이 꺽지 산란상에 방란을 하고 이후 감돌고기 수컷이 산란상 주위에 방정하여 수정시켰다. 난을 보호하는 습성을 가진 꺽지 등의 산란상에 산란하는 탁란 현상이 관찰된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감돌고기의 수정난은 구형이고, 반투명한 침성점착난으로 알의 크기는 2.00~2.31mm(평균 2.18mm, n=50) 범위였고, 위란강의 넓이는 0.45~0.50mm(n=50)였다. 인공 수정된 감돌고기의 난은 사육수온 19℃ 전후에서 수정 후 45분에 난막이 난황에서 분리되면서 배반이 형성되었고, 수정 후 5시간 10분에는 상실기에 도달하였으며, 수정 후 189시간 10분에는 가슴지느러미가 움직이기 시작하였고 머리부분과 등에 흑색 소포가 형성되면서 부화하기 시작하였다. 부화 직후의 자어는 전장 5.70~5.91mm(평균 5.82mm, n=10)로 항문과 입은 아직 열려있지 않았고, 난황은 거의 흡수한 상태였으며, 부화 후 3일째의 자어는 전장 6.61~6.80mm(평균 6.74mm, n=10)로 입과 항문이 열리고, 부화 후 6일째의 자어는 전장 8.00~8.20mm(평균 8.06mm, n=10)로, 섭이활동이 활발하게 관찰되면서, 척색 말단이 굽어 후기자어기로 이행하였다. 부화 44일째의 후기자어는 전장이 13.70~15.12mm(평균 14.52mm, n=10)로 모든 지느러미가 정수에 달하였고, 흑색소포는 체측면을 따라 꼬리지느러미기저까지 증가하여 출현하면서 치어기로 이행하였다. 감돌고기의 골격발달은 부화 직후의 자어는 평균전장이 5.82mm로 전혀 골격의 골화가 일어나지 않았지만, 부화 후 3일째의 자어는 평균전장이 6.74mm로 제일 먼저 두개부의 배쪽면에 가늘고 긴 막대기 모양의 부설골(parasphenoid)이, 섭이와 관련하는 악골부분의 위턱에 전상악골(premaxillry)과 아래턱에 치골(dentary)이 골화하기 시작하였다. 부화 후 78일째 치어는 평균전장이 17.58mm로 내장골의 모든 골격이 완성되었고, 안부의 안전골(preobital)과 안하골(suborbital)이 골화되었으며, 담기골의 신경간극과 혈관간극이 골화되었다. 그리고 이때 미부의 상미추골과 견대골의 후쇄골과 사출골이 완전히 골화하여 대부분의 골격이 완성되었다. 수정에서 부화에 이르기까지의 평균소요 시간은 수온 22.0℃에서는 수정 후 189~190시간, 수온 24.0℃에서 수정 후 164~168시간, 수온 26.0℃에서 수정 후 142~145시간이 소요되었고, 부화에 소요된 시간은 수온이 높을 수록 시간이 짧았으며, 수정률은 사육 수온이 22℃에서 평균 30.3%이고, 24℃에서 28.1%이며, 26℃에서는 22.4%로 나타났다. 부화율은 사육 수온 22.0℃에서 78.0%, 24.0℃에서 71.8%, 26.0℃에서 61.3%였다. 수온이 높음에 따라 부화시간은 크게 단축되지만 부화율이 낮았다. 감돌고기 수정난의 최적부화 수온은 22.0~23.0℃로 판단된다. 호르몬 이용시 수정율과 부화율은 HCG를 어체중 g당 1IU와 2IU로 복강에 주사하여 수정율은 자연산란시 30.3%이고, 1IU로 주사했을 때 26.1%이며, 2IU였을 때 수정율은 24.2%로 호르몬 처리보다는 자연산란시 수정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부화율은 자연산란시 부화율 78.0%이며, 1IU는 68.6%, 2IU는 61.3%로 자연산란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난발생에 있어서 광주기가 수정율과 부화율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정률은 16L/8D일때 33.1%였고, 12L/12D에서 30.2%였으며, 8L/16D였을때 23.2%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부화율은 16L/8D에서 평균 72.4%, 12L/12D에서는 69.8%였고, 8L/168D에서는 61.3%로 장일처리시 수정율이과 부화율이 높게나타났으며 부화시간은 단일처리시가 단축되었다. 수온 18, 20, 22, 24, 26℃ 실험구에서 200일간 사육 후 감돌고기 자어의 평균전장은 18.0℃에서 36.92mm, 20.0℃에서 39.51mm 22.0℃에서 41.62mm, 24.0℃에서 43.73mm, 26.0℃에서 47.65mm 와 26.0℃로 26℃에서 가장 성장이 양호하였다. 실험구별 생존율은 각각 87.71%(18℃), 80.65%(20℃), 78.17%(22℃), 68.58%(24℃), 53.84(26℃)로 나타나 성장률과는 달리 18℃에서 가장 높았고 26℃ 수온구에서 가장 낮은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자어기에 먹이종류별 A(rotifer+Artemia sp.+Daphonia sp.+배합사료), B(Artemia sp+Daphonia sp.+배합사료), C(Daphonia sp.+배합사료), D(배합사료)로 성장률과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 부화 후 200일째까지 실험구 A에서는 전장 평균이 41.24mm, B구는 32.71mm, C구에서는 전장 32.43mm, D구에서 부화 후 113일 후로는 성장이 진행되지 않았다. 생존율은 자어 초기에 난황이 흡수되기까지 모든 실험구간에서 거의 비슷한 생존율이 나타났으나, 부화 200일째 실험구 A와 B구사이에서 생존율에 있어 각각 77.14%와 60.54%로 차이가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실험구 C에서는 40.80%로 많은 개체가 폐사하였다. 배합사료만 단독으로 투여한 실험구에서는 부화 113일째 전 개체가 폐사하였다. 인공수정 후 부화되어 3일이 경과한 자어를 사육밀도를 다르게하여 200일간 자치어의 성장과 생존율를 조사한 결과, 100inds./100ℓ(A)의 실험구에서 전장이 13.14±0.5mm였고, 500inds./100ℓ(B)의 실험구에서 10.22±0.5mm, 1000inds./100ℓ(C)의 실험구에서 전장이 7.58±0.5mm였다. 밀도별 생존율은 A구에서 80.6%, B구에서 65.5%, C구에서 52.4%로 사육밀도가 낮을수록 생존율이 양호하게 나타났다. For the basic study of early life history and seed production breeding of Bleack shinner (Pesudopungtungia nigra), its spawning ground, season and behavior were investigated. Also development of the eggs, larvae and juveniles were investigated from the collected parental fishes. As the study about reproductive ecology, the influence of temperature, optimum initial feeding time and rearing density were determined. 1. Spawning ecology and early development The spawning ground of Pesudopungtungia nigra was Dunam stream located in Weolpyeongri, Buguimyeon, Jinankun, where the water was very clean and the bottom was covered with gravels. The spawning season was from April to July, and they spawned on the down side of stone or gap of rocks in 30~90cm water depth making school. The male schooled, lured Korean aucha perch(Coreoperca herzi) from his spawning ground, and then the female spawns on it around Korean aucha perch's eggs. The male ejaculate on it to fertilize. After that Korea aucha perch cares his and Pesudopungtungia nigra's eggs together. The fertilized eggs were spherial, translucent, demersal and cohesive, and were measured 2.00~2.31mm (mean 2.18mm, n=50) in diameter. Hatching period was about 189 hours 10 minutes, after fertilization at 19±0.5℃ of water temperature. The newly hatched larvae were 5.70~5.91mm. It's mouth and anus was not yet open, and the yolk sac was almost absorbed. At 6 days after hatched, the larvae had attained 8.00~8.20mm in total length (TL) and had transformed into the postlarvae stage. At 44 days after hatched, the postlarvae had attained 13.70~15.12mm in TL and had reached the juvenile stage. At 3 days after hatched, the larvae had attained 6.74mm in mean TL, and its parasphenoid, premaxillry and dentary had begun to be ossified. At 78 days after hatched, the juveniles attained 17.58mm in mean TL, and the all bones were almost completed at this stage. 2. Reproductive ecology Hetching periods after fertilizaion were 189~190 hours in 22.0℃, 164~168 hours in 24.0℃ and 142~145 hours in 26.0℃, respectively. Hatching rates were 78.0% in 22.0℃, 71.8% in 24.0℃ and 61.0% in 26.0℃, respectively. It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During the 200 days of the rearing in 5 different temperature conditions, growth of the larvae and juveniles was 36.92mm TL in 18.0℃, 39.51mm TL in 20.0℃, 41.62mm TL in 22.0℃, 43.73mm TL in 24.0℃ and 47.65mm TL in 26.0℃, respectively. Survival rate of them was 87.71% in 18.0℃, 80.65% in 20.0℃, 78.17% in 22.0℃, 68.58% in 24.0℃ and 53.84% in 26.0℃, respectively. Growth of them was the highest in 26.0℃, but survival rate was the lowest in 26.0℃. To determine the optimal feeding regime for growth and survival rate of the larvae and juveniles, they were fed with 4 different food (A: rotifer+Artemia sp.+Daphonia sp.+artifiicial food; B: Artemia sp.+Daphonia sp.+artifiicial food; C: Daphonia sp.+artifiicial food; D: artifiicial food). Larvae of 3 days after hatched were reared in different densities (100, 500 and 1000 inds./100㎖) during 200 days. The growth and survival rate of them in each group was 13.14mm (80.6%) in 100 inds./100㎖, 10.22mm (65.5%) 500 inds./100㎖ and 7.58mm (52.4%) 1000 inds./100㎖. In 100 inds./100㎖ rearing densities group, growth and survival rate was higher than other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