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하우스브랜드 안경 분석과 안경디자인의 명품화 방안에 관한 연구

        이길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9791

        Balanced development between regions is essential for development of a nation and is a critical issue of our society. It is also important to let each area hav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by developing regional special-quality industry reflecting its specificity. Along with fashion, textile and car parts industry, eyeglass frame manufacture is a specialized industry of Taegu area of Korea. For last several decades, the stimulation of eyeglass frame manufacturing industry made Korea one of the top four main eyeglass manufacturing countries in the world, i.e., Belluno, Italy; Fukui, Japan; Wenzhou, China; Taegu, Korea. About 570 companies which are 83% of domestic eyeglass manufacturers in Korea are aggregated densely in Taegu. The eyeglass manufacturing area of Taegu has not been set up intentionally but naturally since the 1950s. It is the reason why Korean Optical Industry Support Center (KOISC) is located there. However, most of eyeglass manufactures in Taegu area is relying on traditional labor-intensive methods by comparative paltry enterprises. A feature of eyeglass manufacturing industry in Taegu is wearing labor-intensive industry form generally by method that many company purveys to OEM (OEM) or manufacturing industry mother-of-pearl occurrence mountain (ODM) without its own brand. It is real condition that value is devalued even though some enterprise has its own brand and design can refer to design of new goods that collect in foreign countries glasses exhibition back mainly that is level that imitate suitableness part. The background of development in eyeglass manufacturing industry in Italy, Japan, Germany, Denmark has is briefly examined. These countries have developed description throughout continuous eyeglass manufacturing from past because they have historical background from the beginning they made first eye glasses. The professionalism of the nations in this field surpasses other nations. In addition, house brand eyeglasses products are actively manufactured by strength with the development of advanced new materials and emphasis on creative industry that emphasize the unique designs Lindberg Co. of Denmark and ic-berlin Co. of Germany are the leading companies that develop creative design and perform brand marketing successfully. Specially, Lindberg Co. has been awarded over 40 times in and has overflowed maximally utilizing eyeglass related international exhibition such as SILMO Award, IOFT Award, iF Design Award, red dot design Award. As a professional eyeglass designer, Ralph Anderl, founder and designer of ic-berlin Co, also made new eyeglass brand by creating unique pattern and innovative structure of eyeglass, exploited new market and came to the forefront in eyeglass manufacturing industry. In these processes, these house brands were recognized as top brands among world main eyeglass brands. These play a role in which eyeglass industry is being promoted in parallel with eyeglass brand. It is another aim of the research to present the standard for the selection of high-quality eyeglass product along with the competitiveness eyeglass industry strengthening through value reform of the customer-centered product values. Therefore, broad understanding on age and culture is very important in practice of design. The creativity of design and specification of individual brand image of design reflects age and culture tide, and is evaluated as important as trend leader. Domestic eyeglass industry must precede policy for epoch-making development and strategy plan for development of eyeglass industry located in Taegu province. The developmental policy for eyeglass industry may be found and set through investigating what high value-added products are featuring. Eyeglass manufacturing industry should pull away from the Chinese offensive low-cost product and grows by high value-added industry. As the core of policy on high value-added eyeglass, the rearing policy for house brand eyeglass brand is as follow: First, launching majority house brand that can display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Second, reinforcing internationally preferred designing capacity. Third, reinforcing developmental research of advanced material in connection with industry,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and government. Fourth, developing eyeglass-related marketing capacity in foreign countries. The strategic planning for the second is as follow: First, individual identity design by each house brand. Second, valued design preferred over brand products. Third, high-quality image design. Fourth, differentiated unique design. Fifth, simple design. Sixth,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policy to develop eyeglass professional. Seventh, strengthe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and industry for developing advance new material. Eighth, construction of human and physical resource infrastructure. This research promises future development of domestic eyeglasses industry through policy based on design fine article anger of house brand glasses with singularity and I wished to take advantage of design policy to become work that development of each area ointment industry puts foundation of nation development and society combination. 국가 발전을 위해서 각 지역 간 균형적 발전은 필수적인 사항이다. 각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지역 특화산업을 발전시켜 국제적인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일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근래 지역 간 균형발전이 우리 사회의 주요 이슈가 되고 있다. 대구지역은 섬유, 패션, 자동차 부품제조와 함께 안경테 제조업이 지역의 특화산업이다. 이 지역의 안경테 제조업 활성화로 지난 수십 년 동안 우리나라를 세계 4대 안경 생산국으로 자리 매김을 하도록 하고 있다. 이태리 벨루노(Belluno), 일본의 후쿠이(Fukui 福井), 중국의 웬조우(Wenzhou 溫州), 한국의 대구(Daegu 大邱), 이 4곳이 세계 4대 안경 산지이다. 대구시 북구 노원동 일대를 중심으로 국내 안경테 제조업체의 83%인 570여개 업체가 밀집되어 있다. 이곳 노원동 안경 생산지역은 인위적으로 조성한 것이 아닌 1950년대 이후로 자연스럽게 조성되어진 안경산업특화단지를 이루고 있다. 최근 (재)한국안경산업지원센터(KOISC)가 이곳에 위치하게 된 것도 그런 이유에서다. 그러나 이 지역 안경제조업은 비교적 영세한 기업들에 의해서 상당부분이 노동집약적인 방법의 생산하고 있다. 대구지역 안경산업의 특징은 상당수 업체가 자체 브랜드 없이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이나 또는 제조업자개발생산(ODM)으로 납품하는 방식의 산업형태를 띠고 있다. 또, 일부 기업이 자체 브랜드를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가치가 저평가되어있는 실정이고 디자인은 주로 해외안경박람회 등에서 수집한 새로운 상품의 디자인을 상당부분 모방하는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 보다 안경분야 선진국인 이태리, 일본, 독일, 덴마크가 안경산업의 발전을 가져오게 된 내용을 살펴보았다. 이 나라들은 안경을 처음 만들었던 역사적 배경을 가지고 있어서 과거로부터 지속적인 안경제작에 관한 기술을 발전시켜 왔다. 현재도 이 분야의 전문성이 뛰어나고 첨단 신소재 개발 기술이나 독특한 디자인을 발상하는 창조산업능력이 뛰어난 점을 강점으로 하우스브랜드 안경제품 생산이 활발한 실정이다. 이들 나라에서 하우스브랜드의 창의적인 디자인개발과 브랜드 마케팅의 대표적인 성공사례로서 덴마크의 Lindberg사와 독일의 ic-berlin사를 들 수 있다. Lindberg사는 SILMO Award, IOFT Award, iF Design Award, red dot design Award 등 안경관련 국제전시회에서 지금까지 40여회가 넘는 상을 수상하여 창의적인 안경디자인분야에서 독보적인 존재가 되는데 국제전시회를 최대한 활용했다. ic-berlin사의 창업자겸 디자이너인 랠프 앤드릴(Ralph Anderl)도 역시 안경디자인 전문가로 안경디자인에서 독창적인 형태와 혁신적인 구조를 창안하여 새로운 안경 브랜드를 만들고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는 등 세계안경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이러한 과정에서 이들 하우스브랜드는 세계주요안경브랜드 중에서 명품브랜드로 인정받게 되었다. 이점은 안경산업의 또 다른 한 축인 안경산업의 메이저 브랜드와 병행하여 안경산업을 특화 시키는 요소로서 작용한다. 안경도 고객중심의 상품가치혁신을 통한 안경산업 경쟁력 강화와 더불어 고급안경제품 선택에 대한 가치기준을 제시하는 것이 연구의 또 다른 취지이다. 따라서 디자인의 실행에 있어서 시대와 문화에 대한 폭넓은 이해는 매우 중요하다. 디자인의 조형적 창의성과 독자적인 브랜드 이미지를 특성화 하는 것이야말로 시대와 문화조류를 반영하는 것이고 안경산업이 트렌드 리더로서 중요한 가치를 평가 받게 되는 것이다. 이제 국내 안경산업도 획기적인 발전을 위한 차별화된 정책을 추진해야만 하며 아울러 대구의 지역연고산업인 안경산업을 위한 성공시킬 수 있는 전략 방안을 면밀히 모색해야 할 것이다. 이에 우리나라 안경산업 발전정책은 이 시대의 주요 소비 트랜드인 명품화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 안경산업은 중국의 저가 제품의 공세에서 벗어나야 하고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서 안경의 명품화는 필연적인 정책이 되고 있으며 이에 본 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 안경 명품화 정책의 핵심으로 명품안경제조 능력을 갖춘 안경테 하우스브랜드 육성 방안 추진을 비롯한 세부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제 경쟁력을 발휘할 수 있는 다수 하우스브랜드 런칭 둘째, 국제적 선호 디자인역량 강화 추진 셋째, 산,학,연,관 협력강화로 안경테 첨단 신소재 개발연구 강화 넷째, 해외 안경전문 마케팅 능력개발이다. 위 명품화 정책의 두 번째 항목인 ‘국제적 선호 디자인역량 강화 추진’을 위한 전략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각 하우스브랜드별 독자적 정체성 디자인 둘째, 다른 브랜드 제품보다 선호될 수 있는 가치 디자인 셋째, 고급 이미지 디자인 넷째, 차별화된 독특성 디자인 다섯째, 수월성 디자인 여섯째, 안경디자인 전문인력 양성교육정책 추진 일곱째, 안경테 첨단 신소재와 디자인 개발을 위한 학제간 협력강화 여덟째, 디자인의 인적, 물적 인프라 조성이다. 본 연구는 이상과 같이 하우스브랜드 안경의 디자인 명품화에 기초한 정책을 통하여 국내 안경산업의 미래 발전을 기하고 각 지역 연고산업의 발전이 국가발전과 사회 화합의 초석을 놓는 작업으로 되도록 디자인 정책을 활용하고자 하였다.

      • 자율주행 전기자동차 디자인 비례와 조형 변화 연구: 외장디자인 중심으로

        강용원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75

        2020년 초반에 발생한 코로나19라는 초유의 사태로 전 세계는 지금까지 경험해 보지 못한 엄청난 변화와 혼돈, 불확실한 미래와 공포에 직면해 있다. 또한 ‘4차 산업혁명’을 통한 지속 가능한 ‘인간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초연결 미래사회 실현은 우리의 미래 과제다. 우리는 현재 ‘코로나19’, ‘4차 산업혁명’과 ‘탄소 제로’로 대변되는 ‘지구 온난화’ 등 다중의 변수로 인한 심각한 위기와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코로나19’ 종식에 따른 ‘포스트 코로나 시대’와 ‘탄소 제로’에 의한 ‘지구 온난화’ 현상 해소, ‘4차 산업혁명’을 통한 초연결에 의한 ‘지속 가능한 미래사회 실현’은 우리에게 거스를 수 없는 중요한 해결 과제다. 자동차 디자인에서도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하고 ‘4차 산업혁명’ 핵심 요소인 자율주행과 ‘지구 온난화’ 현상 해소를 위한 전기자동차를 융복합한 ‘자율주행 전기자동차’의 필요성과 산업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자동차 디자인의 새로운 조형의 가치와 방향성을 모색하고 대안을 제시해야 할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스마트 모빌리티’ 구축을 위한 최적의 동력원인 전기자동차의 주요한 특징 분석과 글로벌 제조사들의 ‘스마트 모빌리티’ 대응 전략을 파악하고, 전기자동차와 내연기관 자동차의 변화 요소 분석하여 자동차 디자인 조형의 재해석을 통해 ‘자율주행 전기자동차’의 새로운 미래 가치 창출 요소를 파악하였다. ‘자율주행 전기자동차’의 단계별 정의와 조형의 변화 요소를 외장디자인 중심으로 분석하고 정리하여 소유와 공유 관점, 공공 영역의 가치를 이해하고 다양한 시나리오 전개로 제시된 ‘자율주행 전기자동차’의 모델별 분석을 통해 ‘스마트 모빌리티’의 자동차 패러다임 변화와 자동차 외장디자인의 새로운 조형의 가치와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와 분석을 통해 ‘자율주행 전기자동차’가 ‘스마트 모빌리티 디바이스’ 완성을 위한 중요한 과제임을 인식하였다. 하지만 자동차 디자인의 조형적 접근으로 ‘자율주행 전기자동차’의 새로운 조형의 가치와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은 한계점이 존재한다. ‘자율주행 전기자동차’는 다양한 전문가 그룹의 집단 지성을 통해 이동의 목적에 기반한 사용자 경험과 가치를 추구하는 미래 테마 도출과 시나리오 전개가 요구된다. 시간과 장소, 공간의 제약이 없는 사용자 맞춤형 최적의 이동 환경을 제공하는 ‘스마트 모빌리티 디바이스’ 개발은 ‘자율주행 전기자동차’ 디자인이 추구하는 목표다.

      • 정보화시대 여성을 위한 디지털 정보기기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유니버설 디자인(Universal Design)을 적용한 정보기기 중심으로

        이문우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775

        우리는 지금 인류문명의 대전환점으로 일컬어지는 21세기에 살고 있다. 오늘날 우리가 사는 시대는 세계화시대, 징보화시대, 탈산업화시대, 다원주의시대, 지적자본 우월주의 시대, 그리고 예술 문화 전성시대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워지고 있다. 산업사회와 비교되는 21세기는 성격을 가늠해 볼 수 있는 명칭의 다양성 외에도 사회변화의 속도와 변화에 따른 개인과 사회, 인류에 미치는 영향력은 상상을 초월할 만큼 크다. 이러한 변화는 생산양식과 사회관계의 변화에서 시작하여 일상생활과 가치관 전반에 걸쳐 영향을 주고, 변화에 적응하는 개인의 적응정도에 따라 새로운 격차를 만든다. 지난 19세기부터 시작된 통신과 정보기술의 급속한 발달은 20세기 말에 이르러 인터넷과 전자상거래의 출현 그리고 IT 산업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사회·경제·문화 전반에 일대 혁명적 변화를 가져오면서 기존 산업시대는 디지털시대로 변화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디지털화로 인한 변화는 인류역사상 농업혁명과 산업혁명에 이은 제3의 혁명으로 불리울 만큼 그 변화의 폭과 속도가 엄청나다. 이런 상황에서 디지털화는 이제 선택의 문제가 아니리 생존의 문제(Digital or Die)로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디지털은 과거의 산업 사회의 패러다임인 일방적E 커뮤니케이션을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의 방식으로 변화시켰으며, 개인용 컴퓨터의 보급은 컴퓨터를 이제 업무 뿐만 아니라 오락·통신· 쇼핑에 이르는 광범위한 영역에서 사용하도록 만들었다. 이는 컴퓨터의 사용이 소수 전문가들의 전유물이 아닌 보편적이고 일상적인 도구가 되어가고 있음을 의미한다. 즉, 발신자와 수신자를 매개로 한 전통적인 방식으로부터 1인 미디어의 시대로 진화되고 있는 것이다. 인류는 농업사회, 공업사회라는 패러다임을 경험하면서 새로운 문명을 탄생시켜 왔고, 최근에는 정보화 사회라는 또 다른 패러다임을 깨닫기 시작했다 급격한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 덕분에 정보화 시대는 태동하자 마자 그 발전의 속도를 더욱 가속화하고 있다. 그로 인하여 사회전반의 모든 활동이 신속하게 변화해 가고, 일상생활에서의 모든 흐름이 빨라짐에 따라 현대인은 자연히 가속화된 시간 감각을 갖게 되었다. 현대사회를 일컬어 ‘정보화 사회’ 라고 한다. 이는 마치 산업사회에서 자본과 동력이 전략상 중요시 되고 자원으로 변모해 왔던 것처럼 후기 산업사회 즉 정보화 사회에서는 지식과 정보가 전략적으로 중요시 되고 한 사회의 자원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말한다. 이렇게 정보의 중요성이 높아져 가고 있는 가운데 이러한 정보들을 수집·분석·처리·전송해야 하는 필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정보화란 정보를 생산, 관리, 전달. 활용하는 인간활동을 의미하며, 정보사회는 정보화가 사회 전체적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상태로서 정의된다. 정보 사회란 첨단 정보기술을 이용한 정보의 창조나 개발이 일반기계나 자연에너지를 이용한 물재(物財)나 서비스의 산출보다 부가가치나 인력분포의 면에서 보다 큰 비중을 차지함으로써 전체 사회가 정보가치의 창출에 주력하는 상태로서 규정된다. 정보 사회의 특징을 보면 첫째, 창의력과 감성적 능력이 힘을 발휘하는 사회이며, Hard Society에서 Soft Society로 성격이 바뀜에 따라 여성들이 능력을 발휘하기에 적합한 환경이다. 둘째, 쌍방향적 커뮤니케이션이 새로운 대화방식으로 등장함에 따라 정보사회는 수직적·직선적 관계에서 수평적 연결망적 특징을 갖는 사회가 된다. 하지만 이러한 특징을 갖는 정보사회의 미래는 낙관적인 전망만으로 이어지지 않는다. 정보사회는 새로운 생산 요소만 정보의 소유 및 활용 여부에 따른 정보격차(Digital Divide)를 야기한다. 산업사회에서 부의 불평등이 정보 불평등으로 이어진다면 이는 우리에게 정보 활용도의 제고를 통한 생활의 질 향상이라는 새로운 과제를 남긴다. 정보화 사회에서 디지털 정보의 활용은 경제적으로 부가가치를 생산할 뿐만 아니라, 개인 및 가족의 오락 그리고 여가생활, 의료 시스템, 문화생활 등 생활전반에 영항을 미치게 된다. 즉 정보에의 접근성이나 활용도가 떨어진다는 것은 개인 및 가족의 전반적인 생활의 질이 낮아짐을 의미한다. 또한 정보화 시대 가정의 기능이 생산적 기능에서 소비적 기능으로 이전되므로 이제는 정보자원을 중심으로 가징 내에서의 정보생산 활동이 활발해지고 있다. 가정체계의 생산적 역할이 약화되고 가족원들의 욕구충족을 위해 점점 더 시장의 재화와 서비스에 대한 의존성이 높아지면서 소비자로서의 가계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정보기술의 발전과 인터넷의 보급은 의사소통의 방식을 쌍방향의 네트워크형으로 전환시켰고 이는 정보사회에서의 가정체계를 더 이상 정보의 수용자로서 머물지 않고 능동적인 정보의 생산자로 기능 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정보는 빠른 발전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정보를 검색·창출·활용할 수 있는 가정과 그렇지 못한 가정과의 괴리를 생성하게 되었고, 이것은 산업사회에서의 빈부격차 보다도 훨씬 심각한 문제로 대두될 수 있다. 즉 정보사용 능력이 없는 사람은 정보사회에서 낙오되어 새로운 소외계층으로 등장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정보사회에서는 컴퓨터의 사용능력과 정보사용능력, 지식과 정보의 가공 및 창출능력이 생산활동의 원천이 되므로, 이러한 정보격차가 세대간에 일어날 경우에는 가족원간의 소외감이 야기되고 정보를 많이 가진 자와 적게 가진 자간의 차이로 인해 생활의 질 또한 달라질 것이다. 정보화시대 가정의 역할 변화로 인하여 과거의 주부 역할만을 가지고는 현대의 주부 역할을 수행하는데 큰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고 본다. 이는 주부에게 예전과는 다른 능력을 요구하는 시대로 변화되었음을 의미한다. 단순히 어머니, 아내로써의 역할(Housewife)이 아닌 전문적으로 주부’ 의 역할을 수행하는 가정관리자(Homemaker)로서의 여성의 역할이 중요하게 지적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현대적인 지식과 경험을 필요로 한다. 남편과의 다양한 대화와 폭 넓은 사물에 대한 이해로 자녀를 양육하고 교육시키는 교육자로써의 주부, 그리고 풍요로운 문화생활과 풍족한 경제생활을 위한 주부의 가정경제 분담 역할은 전통적인 여성의 역할과는 그 차이가 있다. 가정을 돌보면서도 자신만의 독특한 지식과 기술로 주부의 전문화, 차별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산업사회와는 달리 정보화 시대는 많은 양의 정보를 선별하여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러한 정보의 습득과 활용은 기존의 학습 방법으로는 정보의 발전속도를 맞추기 불가능하며. 따리서 정보기기 활용의 필요성은 더욱 증대되고 있다. 이렇게 정보화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정보활용 능력의 부재는 새로운 장애로 확대 해석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장애의 극복을 위해 유니버설 디자인의 개념을 접목하여 기기에 누구나 손쉬운 접근과 활용을 이룰 수 있게하여 인간과 인간사이의 원활한 정보 공유로 발전하여 인간중심의 사회에 초석이 되었으면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변화에 대비한 문화교류 및 정보교환과 처리를 합리화 하기위한 정보화시대 여성을 위한 정보기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방향 설정을 위한 연구 배경과 목적을 제시하고 연구 범위 및 방법에 대해 서술하였다. 2장에서는 디지털 시대에 대한 핵심적인 개념 설명과 디지털 환경이 파급되어 발생할 현상들에 대해 서술하였다. 3장에서는 정보화 사회의 개념과 특징 등을 토대로 앞으로 전개될 정보화의 변화 양상과 그에 따른 부작용 등을 문헌과 자료를 중심으로 다루었다. 4장에서는 차후 제시될 디자인 컨셉 설정의 토대로서 3장에서 분석되어진 내용을 근거한 정보화 시대의 파급효과를 분석하고 새롭게 야기되는 가정의 정보화 도래와 이로 인한 여성 정보화의 현황과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5장에서는 앞서 분석되었던 내용과 유니버설 디자인의 분석적 결과를 접목하여 유니버설 디자인과 여성을 위한 제품디자인의 합목적성 및 유효 적절성의 당위성을 기술하였다. 6장 결론 부분으로 본 연구로 인하여 적용될 수 있는 여성을 위한 정보기기 디자인의 제시와 아울러 향후 전개되어질 제품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본 논문에서는 정보화 사회의 도래와 발전으로 인한 환경의 변화를 인식해 보고, 정보화의 진행으로 인한 가정의 변화모습을 통해 가정 내에서의 여성의 역할의 변화를 도출하여 정보의 중요성이 날로 더해가는 요즈음 여성의 정보화가 왜 필요한가를 중심으로 그에 따른 효율적 이용 방법과 대응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We are living in the 21s' century, which is a great turning point for the human race. The age, we are living in right now, is called in many different names, like the age of globalization, information, de-industrialization, pluralism, superiority of intellectual capital, and the age of prosperity for art and culture. In addition to the diverse names that tell us a lot about the 21St century, which is different from the industrial society, speed of social change is enormously great, and also the affect on individual, society, and mankind. These changes start from the production pattern and social relationship, and widely affect the everyday-life and one' s sense of value. It also forms a gap between the ones that have adapted the change and the ones that haven' t.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 that started in the 19th century, Internet and electronic commerce has arisen, and the information technology has grown remarkably. These evolutions brought revolutionary changes through out society, economy, and culture, which started to turn the industrial age into the digital age. The speed and the diversity of changes, which result from such digitalization, is so tremendous that it can be call the third revolution, following the agriculture revolution and the industrial revolution. Considering these circumstances, digitalization, nowadays, is not a matter of choice, but a matter of Digital or Death. Digitalization has changed one-way communication, which is the paradigm of the industrial society, into a bilateral communication. And also the spreading of PCs (personal computers) has made computers into necessities that are, now. being used in various areas. In other words, the traditional way of communication. which has a sender and a receiver, is evolving into a personal-media era. Mankind has brought forth new civilizations through agriculture and industrial society, and recently they have started to perceive a now paradigm called the information society. Due to a rapid growth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 the information society is greatly accelerating its speed of changes, following its birth. As a result, all the activities through out society are changing promptly. And these speeding-ups of all flows of everyday-life has given up-speeded sense of time to the modern people. Modern society is called the 'information society'. Knowledge and information are becoming an important resource of the information society, like capital and power was considered important and has become the main resource for the industrial society. Thus,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is increasing, also the needs for gathering, analyzing, processing, and transferring these information are becoming higher. Informationalize is production, management, transfer. and use of information, and information society is defined as a state where informationalize is spread through out the society. Information society is also defined as a state where the entire society concentrate on creating information values, for creating and developing information through high-information technology is considered more important in added value or distribution of manpower aspect compared to the production of services or goods using machines and energy. If you look at the distinctive features of information society, first, it' s a society where creativity and sensitivity is considered important, and character of the society has changed from Hard to Soft, which is a adequate for women to show their ability. Second, the information society became a lateral and interconnecting society from a vertical and straight society, due to the appearance of bilateral communication. But the future of information society with such distinctive features is not as bright as it seems. The information society causes Digital Divide, which is due to possession and application of information, which is a new production element. If inequality of wealth of industrial society continues on to inequality of information, we are confronted with increasing the quality of life through reconsidering the use of information. The use of Digital information in information society not only produces economic added value, but also affect the everyday-life such as amusement of individual and family, leisure, medical facility, and culture. The function of families of information era has changed from productive to consumption, and the production of information inside families, nowadays, is growing fast around information resources. The consuming role of families are becoming stronger due to the weakening of productive role of families. and the increasing dependence of services and goods of the market to satisfy the needs of family members. But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spreading of internet have changed the way of communication to bilateral network, and this made it possible for families to not only receive but also produce information. Among these changes information is changing rapidly, and the families that can search, create, and use the information are being separated from the one that can' t. And this can become much worse of a problem than the separation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of the industrial society. In other words, the possibilities of the ones that don' t have the ability to use information are to fall behind in the information society and form a new type of alienated stratum is growing higher. In the information society the ability to use computers and information, along with creating and process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are the source of production, so if the separation of information appears between generations, sense of alienation will occur between family members, and the quality of life between the ones possessing more information and the ones that doesn' t will be different. Due to the change of roles of families in the information age, housewives of the past will have many difficulties if they keep to their roles of the past. This means the society have changed where abilitie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past are required for housewives. Simply not just a role as a housewife but also a role as a housemaker, who carries of the role of a housewife in a professional way, is becoming important. This requires modern knowledge and experience. A housewife who raises and teaches her child with overall understanding of things and various conversations with her husband, and a housewife who shares the family finance for an abundant life. are different from traditional housewives. The ability to specialize and differentiate the role of housewives with distinctive knowledge and technique while taking care of the family is being required. Different from the industrial society. in the information society, the ability to select and use a lot of amount of information is required. It is impossible to keep up with such learning and using of information through existing learning method, so the necessity of information equipment is growing higher. Due to such change in the information environment, absence of ability to use information are being over looked as a new handicap. To over come these handicaps we have combined the concept of universal design, so anyone can easily access and use equipment. And we hope this will develop into smooth sharing of information between mankind, and become the foundation of a society where mankind is considered most important. This study would like to propose a information equipment for women of the information society to rationalize the cultural and information exchange and process preparing such changes. In the First Chapter, the background for setting the direction of this study and the object of the study are presented, and the range and method of the study are described. In the Second Chapter. explanation of main concept about digital era and phenomena that might occur due to the spreading of digital environment are described. In the Third Chapter, aspects of information change of the future and its side effects based on distinctive features and concepts of information society, following documents and data. In the Forth Chapter, we analyzed the effecting of spreading of information era. which will be the base for setting the design concept that will be presented later, based on the 3^'d chapter. and also deducted the present condition and necessity of informationalize of women due to the informationalize of families. In the Fifth Chapter. through combining the analyzed contents of the ones before and the ones of the Universal design, we described the reason why the Universal design is appropriate for product design for women. In the Sixth Chapter, designs of information equipment for women that can be applied through this study. are presented, and also the direction of designs of the future. Thus, in this essay we would like to go over the change of environment due to the arrival and development of information society, and deduct the change of roles of women in a family through change of family due to progressing of informationalize. Finally, we would like to think about effective ways and correspondences of using the fact that the informationalize of women is important.

      • 국내 안경 산업의 브랜드 경쟁력 제고방안

        박세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75

        현대사회는 과학기술과 경제적 성공에 힘입어 그 어느 때 보다 풍요로운 물질의 시대를 맞고 있다. 이러한 모습은 전통적인 생활기구, 필수품 등에서 더 잘 드러나고 있는데 특히 안경과 같은 착용제품의 경우 건강과 보건을 위해 고안된 제품이 본래의 기능을 넘어서 다른 어떤 상품보다도 민감하게 디자인을 요구받는 제품이 되었다. 안경 산업에 있어도 기술과 품질은 기업 생존의 필수조건이나 디자인과 브랜드 또한 전자의 이윤창출 규모를 뛰어넘는 고부가 가치의 수단이다. 날이 갈수록 강력한 브랜드나 새로운 디자인으로 승부하는 국내외 제품들이 시장에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그러나 과거 OEM 안경대국으로 맹위를 떨쳤던 우리나라가 수출은 물론 안경의 기반 산업까지 위협받는 현실에 봉착하게 되었다. 중국의 대량 저가공세와 유럽의 세련된 디자인 브랜드 사이에서 국산 안경은 중저가 상품의 이미지레벨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우리나라 안경 산업은 중소기업 중심의 대표적 노동집약적 구조를 취하고 있으며, 전체의 90% 가량이 OEM(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 방식)제작에 의존하면서 독자적인 브랜드 개발을 시작부터 미뤄왔다. 우리나라 안경 산업의 강력한 무기는 적절한 기술수준에 비해서 가격경쟁력을 갖추어 왔다는 것이다. 그러나 지금은 중국을 필두로 한 동남아시아 등의 신흥 공업 국가들에 밀리고, 전통적으로 정밀생산기술을 앞세운 일본과의 품질 면에서 뒤지고 있으며 이탈리아, 프랑스, 독일 등의 선진 유럽 국가들의 높은 브랜드 인지도, 우수한 디자인과 경쟁해야 하는 3중고를 겪고 있다. 이렇게 열악한 환경에서 더 이상 우수한 인재들이 산업을 지켜나가기 어려운 것도 현실이다. 안경 산업의 선진화를 위해 디자인 마인드, 브랜드 전략과 세계적 경영능력을 갖춘 업계의 구조조정이 필요하다. 선진화된 의식으로 지금의 어려운 국내 안경 산업에 근본적인 대안과 해결방안이 요구되는 때이다. 본 연구는 국내 안경 산업이 소비시장의 현실을 잘 반영하여 산업계의 자체적 체질개선과 구조 조정 그리고 지속적인 투자와 개발을 확충해 나간다면 가까운 장래에 국제 경쟁력을 확보함과 동시에 수출 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는 산업으로 탈바꿈할 수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하였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순서와 범위에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 1 장 : ‘서론’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 그리고 범위 방법을 서술하고자 한다. 제 2 장 : ‘안경디자인의 이론적 고찰’에서는 안경디자인의 개념과 변천사를 이해하고 다양한 안경 디자인 접근방법을 통해 이론적 체계를 구축하였다. 제 3 장 : ‘국내 안경 산업의 실태분석 및 디자인’에서는 국내 안경 산업의 특징과 현황을 통해 실태를 분석한 뒤 국내 안경 브랜드 성공 사례와 디자인 개발 현황을 통해 현 국내 안경 시장의 위치를 파악하고 디자인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제 4 장 : ‘국외 안경 산업의 환경과 디자인’에서는 주요 선진국들의 안경 산업 환경을 이해하고 브랜드 사례를 통한 디자인 개발현황으로 국외 안경 산업의 디자인 경쟁력을 분석하였다. 제 5 장 : ‘국내 안경 산업의 문제점 분석’에서는 국내 안경 산업의 경영상의 문제점 및 디자인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주요 과제를 제시하였다. 제 6 장 : ‘국내 안경 산업의 브랜드 활성화 방안 제안’에서는 현 시장의 이해와 고찰을 통하여 우리나라 안경 산업 브랜드 활성화 방안을 연구, 제안하였다. 제 7 장 : ‘결론’에서는 연구의 이해와 타당성을 통하여 연구 결과가 작용될 방향에 대하여 설명하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는 21세기형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써 국내 안경 산업의 발전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글라스를 포함하지 않고 시력교정 안경에 그 연구 대상을 국한시켜 향후 선글라스, 렌즈 등 광의의 안경 또는 대체제품에 있어서는 후속 연구를 필요로 한다. Our contemporaries are entering the era of material affluence owing to the accumulation of economic wealth. This trend is well brought out in the necessaries of life, and in particular, the users' demands are decided by the designs than any other product and also the effect the value added created can be said to be very large in case of wear products such as glasses. In particular, the technology and quality are the basic conditions of the corporate survival competition in the present glasses industry, and further, the design and brand are being an essential condition of the competitive power raise through the value-added valorization of a glasses industry. The products to try conclusion with famous brands or designs are cutting a conspicuous figure gradually in the market. But the recognition on Korean glasses brands has not gotten out of the recognition of low and mid-price products. Korea's glasses industry shows small and medium enterprises-centric labor intensive structure, and the independent brand development is lagging according as about 90% of the whole is formed as OEM. Also, the competitive price which was a potent weapon of Korea's glasses industry is suffering from triple distress of being thrust by the Newly Industrializing Countries such as Southeast Asia with China first in order, of losing its competitiveness in the quality against Japan that traditionally gives priority to the precise manufacturing technique, and of not acquiring the competitiveness also against the excellent design capacity and the high brand awareness of advanced European countries such as Italy, France, Germany and so on. To make Korea's glasses industry competitive in international markets as well as in Korea's markets after overcoming the difficulties,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excellent experts, to improve the design technology level and build the information system related to it, to expand the R&D investment related to the designs, develop a new material and functional glasses, and have Co-Branding and marketing strategies of Korea's glasses industry. This paper began with the premise that Korea's glasses industry would be able to enhance epochally the possibility of increasing exports as well as gaining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f keeping up the structure improvement, the restructuring and the constant investment and development of the glasses industrial world. In this context, this paper conducted took on the research in the following order and scope. Chapter 1: It tries to describe the background, purpose and scope method of this research in 'Introduction'. Chapter 2: It has understood the concept and history of the glasses designs, and established the theoretical system through various approaches of the glasses designs in 'The Theoretical Study of Glasses Designs'. Chapter 3: It has grasped the present position of Korea's glasses industry and recognized the necessity of the designs through the successful cases of Korea's glasses brand and the design development status after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 through the characteristics and the present condition of Korea's glasses industry in 'The Actual Condition Analysis and the Design of Korea's Glasses Industry'. Chapter 4: It has understood the glasses industry environment of important advanced countries and analyzed the design competitiveness of overseas glasses industry through the dbevelopment status of the brand cases in 'The Environment and Design of Overseas Glasses Industry'. Chapter 5: It presented the managerial issues of Korea's glasses industry and the main tasks to become competitive globally in the design in 'The Problem Analysis of Korea's Glasses Industry'. Chapter 6: It has studied and presented the activation scheme of Korea's glasses industry design through the understanding and consideration of the present market in 'The Brand Activation Plan Suggestion of Korea's Glasses Industry'. Chapter 7: It explained the direction where the research results would be applied through the understanding and adequacy of the research, and introduced the possibilities in 'Conclusion'. As mentioned above, this research has introduced the possibilities of Korea's glasses industry as the 21st century-type higher value-added business. This research has sought the future development measur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managerial issues and the influence of designs from it centering around the internal and external glasses market, and, finally, by proposing the activation plan for the brand competitiveness raise of Korea's glasses industry. But, because the glasses definition of this research was decided as the scope of the glasses for correcting eyesight, not including sunglasses, the follow-up researches will be required in the industries related to the glasses such as sunglasses, a lens.

      • 산업디자인의 효율적인 실무교육을 위한 현장실습 시스템개발에 관한 연구

        나한범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75

        In industrial society focused on labor and capital, knowledge has been converted and merged to technology for being a center of production, as well global competition has been deepen according to industrial paradigm changing to knowledge based society. As a result, it has been reached to the age of limitless competition for survival of nation, city and company. Nation also has focused on innovation of policy system and development of growth engine policy, besides company has concentrated on securing global competition through innovative technology and design, securing talent and strengthening marketing strategy. In the trend of industrial paradigm, design is a pivotal way to enhance productivity and high value product in knowledge based society thus it has grown fast as a main factor for innovative and competitive industry. Design industry in Korea has been flowing smoothly by diverse supporting policy of government and training many designers in Universities but, the level of quality falls short of industry’s expectation. In reality, many students in University have difficulty in getting a job after completion of training design course work. As well industry has trouble in securing outstanding workforce and has consumed human and material resource to retrain new company members. In this study, it draws a necessity of work experience based on limitation and problem of design education in University. Moreover it aims to develop field practice system of industrial design that focused on demand systematically for training talented individuals with global capability. System development for efficient operation in field education of industrial design in University provided a solution plan by understanding course of study in University, awareness condition of field education, and requirement for system buildup. The elements for establishing field education system in industrial design are First, field education should be matched to demand of participant students and industries, Second, prior education should be performed to pre-understand duty and business of industry, Third, it should be managed and inspected consistently by advisor’s round instruction and interim review Fourth, field education with credit system should be operated for leading participation of students. Fifth,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ing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for leading participation of industries, Sixth, evaluating and following up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for connecting to get a job and incentive from company. With integrating these factors, field education of industrial design is established, and through this perspective it provides capabilities that students can learn not only design theory but also correct profession in aptitude based on the practical skills by themselves. As well it strengthens employment competitiveness by capability cultivation in practical level and self-improvement. Therefore, University will be able to expand demand centered program by introducing more interchange with industry and strengthening cooperation system with virtuous circulation thus it helps support foreign competition from employment rise. Beside it is expected that the effort for retraining new members will be decreased by securing elite manpower who completed field education program in University. Moreover, training talented individuals and enhancing design competitiveness that required to knowledge based society expect to improvement of the nation’s competitiveness. 노동과 자본 중심의 산업사회에서 지식이 기술로 전환·융합되어 생산의 중심이 되고 상품으로 활용되는 지식기반사회로 산업의 패러다임이 변화함에 따라 글로벌 경쟁이 갈수록 심화되어 가고 있다. 때문에 국가·도시·기업 모두가 생존을 위한 무한 경쟁시대에 이르렀으며, 국가적으로는 정책시스템의 혁신과 성장 동력사업을 발굴하고, 기업에서는 기술과 디자인혁신, 인재확보, 마케팅 강화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이러한 산업패러다임의 변화 속에서 디자인은 지식기반사회에서 생산력을 향상시키고 고부가가치화를 실현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산업혁신과 산업 경쟁력의 핵심 요소로 부상하게 되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디자인산업은 정부의 다양한 지원정책과 함께 많은 대학에서 디자인교육으로 디자이너를 양성하면서 양적인 성장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질적인 수준은 산업체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실제로 대학의 디자인 교육과정을 이수하고 졸업 후 취업으로 이어져야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해 많은 학생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산업체에서는 우수한 디자인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느끼고 신입디자이너의 재교육에도 많은 인적·물적 비용을 소모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대학 디자인교육의 한계와 문제점을 토대로 산업디자인 현장실습의 필요성 도출하고 부족한 대학 디자인 교육과정을 보충하여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실무형 디자인 인재양성을 위해 체계적이며 수요자가 중심이 되는 산업디자인 현장실습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대학의 산업디자인 현장실습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시스템개발은 현장실습의 주체인 학생과 교수, 산업체의 설문조사를 통해 각 주체별로 대학교육과정과 현장실습의 인식·실태조사 및 시스템 구축의 요구사항을 도출하여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산업디자인 현장실습 시스템 구축을 위한 요소로는 첫째, 현장실습 매칭 시 참여하는 학생과 산업체의 니즈에 부합하는 매칭을 실시하고, 둘째, 산업체의 직무와 업무에 대해 사전에 이해할 수 있도록 사전교육을 실시하며, 셋째, 지도교수의 순회지도와 중간점검발표를 통해 지속적으로 현장실습 관리·점검하고, 넷째, 학생들의 참여유도를 위한 학점제 현장실습을 운영한다. 다섯째, 산업체의 참여유도를 위한 정부나 학교의 행정적·재정적 지원체계를 확립하고, 여섯째, 학생의 취업연계와 산업체의 Incentive를 위한 평가 및 사후관리체계 확립 등이 있다. 이러한 요소를 통합하여 산업디자인 현장실습 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이를 통해 대학을 취업의 관문으로 보는 것이 아닌 대학에서 배우고 연구한 디자인 이론과 실기를 바탕으로 학생 스스로 본인의 적성에 맞는 직업을 탐색하고, 희망하는 진로에 맞는 일자리를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 주며, 실제 직무 능력 함양과 자기계발을 통해서 취업경쟁력을 강화시키고자 하였다. 따라서 대학은 산업체와의 선순환구조를 구축하면서 대학과 산업체간의 교류 증가와 협력체계 강화로 수요자 중심의 고용 프로그램으로 확대 시켜나갈 수 있을 것이며, 취업률 상승으로 인한 대외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산업체에서는 대학으로부터 현장실습 교육프로그램을 이수한 우수 인력을 확보하여 재교육에 소모되는 자원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더 나아가 지식기반사회에서 요구하는 디자인인재양성과 산업체에서의 글로벌 디자인경쟁력 강화로 인해 기업 경쟁력 향상은 물론 국가 경쟁력의 향상에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새로운 산업 패러다임에 따른 디자인 변화와 서비스 산업에서의 CMF 분석 연구 : 립 메이크업 CMF 분석을 중심으로

        김보람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75

        The new paradigm of industry reflects on the innovative technique and development of industry, and it simultaneously complement each various field with developing and create a new value. Not only the new paradigm helps the main techniques to be more professional and flexible but also to leap forward the field of service and design. In future, it is expected to become a new advanced type which can be integrated in various field. The new paradigm has generally advanced with conflation of technique. Regarding of this, the new material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factor. Especially, people observe this new material because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competitiveness of nations and firms and even they tried to develop their own technologies to raise the competitiveness. Recently, CMF (Color, Material, Finishing) has been recognized as competitive element in various fields that could satisfy the technique, functions and aesthetic factors. In addition, CMF is highly estimated while it helps to create and increase the value-added. However, the related field employees lack of understanding in CMF and it is difficult to evaluate the CMF of finished product since there is no systematic rating scale and analyses. The sensibility and emotion of customer are particularly considered to an important value while the design concept has expanded into the service concept, the comprehensive review of consumer response is still insufficien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the comprehensive analysis on sensitivity of consumer in order to understand their needs, use this to analysis each factors of products. This study focused on the fashion and beauty products, especially the lipstick. The specific analysis target based on the blind test result from ‘Get It Beauty’, the Korean TV show program. In order that, constructed the scaling analysis to compare and examine CMF of lipsticks of various brands and followed the process research and classification from the preceding research analysis. First of all, randomly chose 70 customers and collected a total of 1485 their expression and adjective phrase for lipstick. Secondly, classify the expressions into small groups based on each elements of CMF. Following that, grouping each expression together into each character from each element and indexing by choosing the standard concept or specific words. The 3 professions who work in beauty industry have implemented the FGI to demonstrate the suitability and validity of the constructed analysis index. Lastly, analysis the CMF based on the constructed analysis index of research. The color analysis especially analyzed CMF of lipsticks of various brands with the Lab value and Munsell value. The component analysis refer to ‘Hwahae’, the application analyze the cosmetic products, and the service from Swanicoco which analyze the harmful ingredients of cosmetic. The finished analysis is organized with customer expression for each branded lipstick. As a result, the constructed scaling analysis comprehend the characteristic of each brands with CMF and develop customer needs and identify the product essentials. The result showed that this analysis is recognized as a key to estimate the needs of customer and market. In addition, this can be applied on other analysis objects as various lip makeup products or color cosmetics, instead of limiting the range as lipstick. Further research is recommende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analyzing the products and its limits of various products, not only the lipstick. This may need to be repeated to investigate the cosmetic ingredients and find out customer needs, and it is required to deliver the common sense of skin and correct information of skin color. 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은 혁신적인 기술과 산업 발전으로 나타나는 변화이며 동시다발적으로 다양한 분야와 상호작용하며 발전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낸다. 주요 기술은 물론, 서비스와 디자인 분야의 도약을 돕고, 앞으로 여러 분야에서 융합되며 더욱 새롭고 발전된 형태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전반적으로 기술과의 융합으로 성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신소재의 역할도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이는 특히 국가와 기업의 경쟁력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큰 관심과 주목을 받고 있고, 이에 빠르게 대응하는 경우 자체적인 기술을 확보하며 경쟁력을 키우고 있다. 이미 많은 분야에서는 기능과 성능, 심미적 부분 등에서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은 물론, 부가 가치를 높이거나 창출할 수 있도록 하는 CMF를 높게 평가하고 있다. 하지만 CMF 관련 종사자들도 이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체계적인 평가 척도나 분석 척도가 없어 완제품에 대한 CMF 평가 및 분석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특히 디자인 개념이 서비스로서의 개념으로 확대되면서 소비자의 감성과 정서가 더욱 중요시되고 있지만, 소비자 반응에 대한 종합적 고찰 및 파악은 여전히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 감성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종합적인 분석 척도 구축에 목적을 두었고, 이를 통해 CMF 각 요소를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패션·뷰티 산업에 주목하여, 산업혁명과 더불어 거듭 진화하고 디자인 척도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립스틱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구체적인 분석 대상 선정은 겟잇뷰티의 블라인트 테스트 결과를 기반으로 선정하였다. 이후 브랜드별 립스틱의 CMF를 비교·분석하기 위해 분석 척도를 구축하였다. 연구 과정과 세부 분류 항목들은 모두 선행연구들을 기반으로 선정하여 정리하였다. 먼저, 70명의 소비자를 무작위로 선정하여 립스틱에 대한 표현 및 형용사를 총 1485개를 취합하였다. 이후, 취합한 표현들을 CMF 각 요소별로 분류하였다. 다음으로는, 표현들을 CMF 각 요소 안에서 특성별로 그룹화하여 정리하였고, 그 중에서 기준이 되는 개념 또는 단어를 선정하여 지표화하였다. 구축된 분석 지표는 3명의 화장품 관련 전문 종사자를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여 적합성과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구축한 분석 지표를 가지고 CMF 분석을 진행하였다. 컬러 분석은 지표와 동일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지표보다는 Lab값과 Munsell값을 통하여 브랜드별 립스틱 컬러를 비교·분석하였다. 소재 분석은 ‘화해’ 어플과 스와니코코 브랜드의 화장품 유해성분 분석 서비스를 기반으로 성분을 파악하였고, 구축한 분석 지표를 이용하여 브랜드별 립스틱 성분을 정리하고 비교해 보았다. 마감 분석은 각 브랜드별 립스틱에 대한 소비자들의 표현을 분석 지표를 중심으로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구축한 분석 척도는 CMF를 통해 브랜드별 특성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제품의 본질과 소비자의 성향 및 니즈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소비자와 시장을 사전에 미리 예측하고 파악할 수 있는 척도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분석 대상을 립스틱에 국한하지 않고, 다양한 립 메이크업 제품 또는 색조 화장품으로 변경하여도 충분히 분석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추후 다양한 제품군을 대상으로 분석해보고, 제품의 성과 및 한계 파악에 효과적이고 효율적인지 체계적으로 검증해보고자 한다. 또한 앞으로 더욱 스마트해지는 소비자층을 위해서는 피부 톤에 대한 상식과 색상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전달을 위한 노력이 필요해 보이며, 성분과 소비자에 대한 연구 또한 지속적이고 깊이 있게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융·복합 기반의 가구산업 디자인 전략 연구 : 경기북부 지역을 중심으로

        김미숙 대구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9775

        가구산업은 생활밀착형 산업임과 동시에 부가가치 창출 산업으로 성장 가능성이 높은 산업이다. 또한 중소기업형 산업으로 고용효과가 큰 산업이기도 하며, 미래형 첨단산업으로 수출 잠재력이 큰 산업이다. 따라서 경기북부 지역의 특화산업인 가구산업이 사양 산업이라는 인식에서 벗어나,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첨단 고부가 가치 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고, 미래형 특화산업으로 지역 경제에 이바지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융합’을 기반으로 하는 4차 산업혁명의 시대적 흐름에 따라 IT 기술의 발전을 동반한 산업의 변화가 빨라지고 있다. 이에 따라, 첨단산업과는 거리가 멀게 느껴졌던 가구산업에 IT 기술과 융합한 가구제품들이 개발, 출시되고, 이전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가구의 형태를 제시하면서 생활소비재로서 가구가 고부가 가치 프리미엄 산업으로 전환할 수 있는 계기를 맞이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단순화된 산업 구조만으로 경기북부 가구산업의 성장 잠재력을 끌어올릴 수 없다는 인식 아래, IT 기술을 비롯한 산업의 융․복합을 통하여 고부가 가치, 생활소비재 산업으로의 성장 계기를 마련할 수 있는 융·복합 디자인 전략을 연구하였다. 연구 범위를 경기북부 지역 특화산업인 가구산업으로 정하고 참고문헌조사, 현장 방문조사, 인터뷰 및 설문조사 등의 연구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경기북부 가구산업은 지역 경제를 담당해 온 지역 특화산업이다. 그러나 이들 가구업체는 정부나 지자체에 의해 계획적으로 조성된 것이 아닌, 서울과 수도권 신도시의 지가 상승에 의해 밀려난 영세한 가구업체들이 하나 둘 모여 자생적으로 성장하면서 조성된 것이다. 또한 군사시설보호구역 및 수도권 정비구역 등 각종 규제 조치로 인하여 개발에 제한을 받아 왔고, 노동집약적 산업 특성으로 인하여 사양 산업으로 인식되어 왔다. 최근에는 동남아로부터 들어온 저가 가구와 이케아의 한국 진출로 중저가 가구 시장이 잠식당하는 상황까지 겹치면서, 경기북부 가구산업은 고사 직전으로 내몰리고 있다. 그러나 경기북부 가구산업은 높은 품질과 중저가 가격을 바탕으로 성장한 만큼 기술과 가격경쟁력에서 중국산 제품에 비해 우위를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가구산업의 스마트 융·복합에 의한 생활소비재 첨단산업으로의 성장 가능성을 열어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세계 가구 시장 동향 분석 및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세계 인구구조 변화와 소비 트렌드 등 사회 전반에 걸친 변화와 동향을 살펴보고, 이케아 진출이 가져온 국내 가구산업의 동향과 홈퍼니싱 산업의 시장 흐름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석 결과를 경기북부 가구산업의 융·복합 디자인 전략 마련에 활용하였다. 또한 IT 융·복합 가구 기술 개발과 경기북부 가구산업에서 생산 가능한 스마트 가구 개발을 위한 산업 환경 분석을 위하여 경기북부 가구산업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첨단 IT 기술 개발보다, 기존 생산 기반 시설을 활용할 수 있는 저렴한 적정 기술의 스마트 가구 개발에 대한 니즈(Need)와 이(異) 업종 산업과의 융·복합으로 홈퍼니싱 산업으로의 확대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분석을 통한 융·복합 디자인 전략으로 첫째, IT 융·복합 디자인 전략 둘째, 이(異) 업종 산업과의 융·복합 디자인 전략 셋째, 지역 산업과의 융·복합전략을 도출하고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항목들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IT 융·복합 디자인 전략이다. 최근 스마트 가구는 가구에 대한 인간의 사용성에 대한 기본 기능으로부터 더욱 발전된 다기능 가구로 진화하고 있다. 전자장치 및 센서와 같은 IT 기술의 폭넓은 활용은 스마트 가구의 기능을 더욱 확장시키고 있다. 스마트 가구는 전자 장치와 가구와의 융·복합이다. 가구에 내장된 센서 메커니즘이 설정된 사용자의 데이터를 기본으로 혈압, 심박 수, 호흡, 체중, 체온 등과 같은 생리적 지표를 모니터링 하는 것이다. 경기북부에 적용 가능한 무선충전 기술, 블루투스 기술, 센서 기술들을 활용한 적정 제품이 개발되어야 한다. 그리고 1인 가구의 증가와 도시화의 진행에 대응할 수 있는 기능 융합형 트랜스포머 가구와 공간융합형 모듈 가구 등도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이(異) 업종 산업과의 융·복합 전략이다. 가구산업과 홈퍼니싱 산업의 이(異) 업종 산업과의 융·복합은 최근 소비 주체로 떠오른 1인 가구를 비롯하여, 수도권 소비자의 구매력을 높이기 위한 경기북부 가구산업 필수 전략이다. 해외 가구업체들도 이(異) 업종 산업과의 융·복합으로 새로운 시장 창출과 가구의 고기능, 안전․ 친환경 등의 첨단소재와 소비자 중심 설계 등 디자인 혁신의 프리미엄 화를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경기북부 가구산업도 이(異) 업종 산업의 융·복합을 통해 첨단 프리미엄 생활소비재 산업으로의 전환과 성장 동력 마련이 요구된다. 셋째, 지역 산업과의 융·복합전략이다. 경기북부 지역은 수도권역이지만, 경기 남부와 달리 각종 규제 개발로 인하여, 대부분 전통적인 농업과 제조업을 산업기반으로 하며, DMZ 지역과 동두천의 소요산, 포천의 산정호수, 백운계곡 등 수려한 자연자원과 선사시대 유적지 및 광릉 국립수목원, 아트 벨리 등 매력적인 관광요소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자연자원을 경기북부 가구산업의 친환경 홍보활동 및 마케팅 전략으로 삼아 지역 경제발전의 시너지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특산품 등 지역 향토자원과 연계하여 매년 봄이나 가을 등에 개최되고 있는 지역 특산품 축제나 관광 축제 등과 융·복합할 수 있는 프로그램 마련이 중요하다. 가구 단지를 둘러보고, 체험하며, 시식하고 구매할 수 있는 다양한 이벤트와 가구 프리마켓 등을 개최하여 경기북부 지역만이 가지고 있는 분위기와 정서로 사람이 모일 수 있는 전략을 통하여 새로운 소비 경험 가치를 창출하고, 이를 지역 경제 활성화 기반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융·복합을 이해하고 세계 가구산업의 동향과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선진국의 가구 시장 및 제품개발 사례 분석을 통하여 경기북부 가구산업에 적용할 수 있는 실천적 융·복합 디자인 전략을 마련하는 것에 기대효과가 있다. 향후 연구는 경기북부 가구산업 관련 단체들을 융합시킬 수 있는 강력한 리딩(Leading agency) 기관인 ‘가구산업혁신 센터’(가칭) 설립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이는 경기북부 가구산업을 비롯하여 국내 가구산업 관련 단체, 그리고 기업, 학교 등 산․학․연․관․민이 공통의 관심을 가지고 지속 가능한 가구 디자인 및 소재 개발과 적용에 이르기까지 생산 현장에 필요한 실천적 역량 강화와 플랫폼 구축을 위함이다. The furniture industry has close relation with life to produce values and to be likely to grow. It is small business industry to have high employment effect and to be future industry and to have potential of export. Furniture industry in northern Gyeonggi should be developed to be high added value industry and to help local economy and to be future industry. Industry with IT technology has been rapidly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ased on convergence. Furniture with IT technology that was thought to be far from state-of-the-art has been developed to sell in the market and to give new type. Furniture of life consumable can be high added value industry. Existing industrial structure was thought not to make growth potential of furniture industry in northern Gyeonggi. This study investigated convergence design strategy that could develop added value and life consumable industry. The subject was furniture industry in northern Gyeonggi. Literature, on-the-spot visit, interview and questionnaire were used. The furniture industry in northern Gyeonggi could develop local economy to produce and grow up by small businesses at high land prices. The industry was given restriction of development not to be developed because of labor intensiveness. These days, low priced furniture from South East Asia as well as IKEA entered low priced market in Korea to threaten furniture industry in northern Gyeonggi. And, the furniture industry has competitiveness edge of technology and price than Chinese made furniture had. This study examined growth of convergence life consumable industry by high added value of furniture industry. The study investigated 4th industrial revolution, world and local population and changes of consumption trend by investigation into world furniture market to make convergence design strategy of the furniture industry. And, the study examined trend of local furniture market, and trend of furniture and home furnishing industry and market flow. Questionnaire and in-depth interview were used. Development of furniture with inexpensive technology as well as convergence of different industries was needed. The strategy consisted of first, convergence design, second, design with different industries, and third, convergence with local industries. First, IT convergence design strategy, Smart furniture has been developed to have human use and multi-function. Electronic device and sensor and other digital technology expanded function of smart furniture. In other words, smart furniture design has combined electronic device and furniture. User data of built-in mechanism can monitor blood pressure, heart beat, breathing, weight and body temperature and others. Wireless charging, blue-tooth, sensor and others shall develop products. Convergence transformer household and space convergence module furniture shall be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one person household and urbanization. Second, strategies with other industries Convergence of both furniture industry and home furnishing industry can increase buying ability of consumers in Metropolitan areas. Convergence with other industries of foreign furniture business can produce new market, high performance and safe and environment friendly material to strengthen consumer oriented design and to innovate design. Growth power of the industry is needed to make state of the art life consumer material. Third, convergence with local industries Northern Gyeonggi is based on agriculture and factories to consist of DMZ areas, Soyosan at Dongducheon, Sanjeonghosu at Pocheon, Baekun Valley and other beautiful natural resources and remains in the era of prehistory, Gwangneung national Arboretum and art valley, etc and attractive tourism factors. The natural resource and furniture product in the area shall develop certification mark to assure of environment friendliness and to maximize synergy effect of local economy development and to open local product festival and to make program and to make strategy of gathering by atmosphere and emotion of the area. This study examined convergenc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o cognize market and product trend in advanced countries and to make practical strategies for northern Gyeonggi furniture industry. Further study shall investigate opening of 'Furniture industry innovation center' that can combine organizations of furniture industries in northern Gyeonggi. Industries, academic world and research centers shall cooperate each other to strengthen capability and to make role and establish furniture industry center.

      • 포스트휴머니즘을 통한 산업 4.0 디자인 요소 재해석

        위문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9775

        It is now a generally accepted tha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the main trend in global wide in 21st century. As we know the development of high-tech such as AI, CPS(Cyber Physical System), Big data, iCloud, IoT, IoP and other things have changed humanity and human society since the beginning of this generation. The arrival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ar, which is a global issue, is bringing us a lot of transformation in many aspects of our life and also demonstrating a relation in philosophical thinking about posthumanism theory. Since the mid-1980s, design has been dominated by a human-centered paradigm. Currently, the implication of technological and environmental transformation are changing designers and experts in other fields to focus on complex social-technical systems. Research and analyz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posthumanism theory which is important to designers discover and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non-human. There is limited research investigating focus on finding a method to connec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ith the posthumanism theory. Nevertheless, the study is finding a method to understand Modern design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by the research of the design principl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posthumanism theory. This study provides detailed information on posthumanism theory an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a basis for many literature researchers and analysis of these two theories: Interconnection, Information transparency, Decentralized decisions and Technical assistance. It focus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s an instance analysis to explain the overall design elements. The mixture of posthumanism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is the foundation of modern design, and combing it with a philosophical relation makes the new generation of human society even more intelligent and efficient. In addition, the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machine, human and environment, human and system, machine and machine, machine and environment which emphasizes on the new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non-human world in design area, is a whole new trend of Industrial design. Nowadays technological development reflected more diversified manifestations in 21st century such as self-driving car, drone, smart home, smart nation etc. The study attempt to find the method which link up human and non-human conceptions in Modern design area. 21세기에는 제4차 산업혁명이란 개념은 큰 범위에서 인정을 받았다. 인공지능, 사이버물리시스템, 빅 데이터, 클라우드, IoT, IoP 그리고 다른 첨단 기술을 통해서 인간과 인류 사회를 혁신하는 시대를 시작하였다. 제4차 산업혁명이란 국제화 이슈의 도래에 따라 우리의 생활에서 많은 변화를 가져오기에 의해 철학적인 사상으로 이론 변화를 사고하는 포스트휴머니즘 철학 이론이 필요하다. 1980년대 중반부터 디자인은 인간 중심으로 주도하는 것이다. 근대부터 기술적이고 환경적인 변화의 발전에 따라 디자이너와 전문가들이 다른 영역에서 이런 변화로 복잡한 사회적-기술적 시스템을 집중하기 시작하였다. 포스트휴머니즘 이론의 특점에 대해 조사와 연구는 디자이너들이 인간-비인간의 새로운 관계를 발전하고 정의하는 중요한 도구로 볼 수 있다. 포스트휴머니즘으로 제4차 산업혁명을 탐구하는 연구를 부족하다. 그러지만 본 연구에서 제4차 산업혁명 시대 디자인의 요소를 통해서 제4차 산업혁명의 현대 디자인을 해석하고 이해하는 방법을 탐구하였다. 이 연구에서 포스트휴머니즘 이론에 관한 상세한 지식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많은 학자와 분석자들의 연구를 통해서 제4차 산업혁명의 디자인 요소를 얻었다. 즉 상호연결(Interconnection), 정보의 투명성(Information transparency), 분권화된 의사결정(Decentralized decisions) 그리고 기술 협조(Technical assistance). 제4차 산업혁명을 예로 이 시대의 디자인에 대해 전체적인 분석해서 디자인 요소를 도출한다. 현대 디자인의 기반은 포스트휴머니즘과 기술적인 발전의 결합이다. 철학적인 관계를 통해서 인간 사회가 더 지능화와 효율적인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또한, 인간과 기계, 인간과 환경. 인간과 시스템, 기계와 기계, 기계와 환경의 관계를 고려하며 디자인 영역에서 인간-비인간의 새로운 관계를 발견할 수 있다. 오늘날 21세기에 진입한 후 다양한 기술의 발전을 볼 수 있다. 예를 들며 자율주행자동차, 드론, 스마트 홈, 사마트 국가 등. 본 연구는 현대 디자인 영역에서 인간과 비인간의 링크를 발견하려고 시도한다.

      • 중국대학 디자인전공 입학실기전형방법 개선방안 연구

        송산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75

        중국정부는 2000년 이후 문화대국으로 성장하려는 정책을 진행해 빠른 속도로 발전하였고 ‘Made in china' 라는 제조국가에서 'Design in china’ 로 전환하게 되었으며 미래 2020년 창의국가를 건립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그러나 정부에서 계획한 창의국가 설립을 위한 정책 및 사회요구에도 불구하고 뒤떨어진 디자인전공 입학실기전형방법은 중국의 지역적, 정치적, 전통적 특징에 의해 여러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Since 2000, China government has processed a policy to be a great cultural country and has been developed rapidly and it has converted manufacture country ‘Made in china’ to design country ‘Design in china’, setting the goal to found ‘The Future 2020 Creativity country China.' Despite of the policy of the government plans for the foundation of creativity country China and the social demands, the design major entrance practice tests of China has problems by its own regional, political, traditional characters. This thesis has been studied on the top 20 schools in design major the past 3 years and has analysed. Based on the basic design competency refinement to major in design art, had analysed the design major entrance practice test models of China design schools in order to extract the characteristics of entrance practice tests in China art schools, examining developing way of the college entrance practice tests in major countries and Chinese art college entrance practice tests to improve the entrance practice tests of China art college. According to this proposed analysis, and also by comparing the entrance practice tests system of between china and western countries’ art schools,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the entrance practice tests in China. The design major entrance practice test of Korea, Japan and other major western countries has evaluated not only the candidates’ basic refinement, technical design ability but also creativity, individuality, and potential by their practices, portfolios, in-depth interview in various angles the feature of the entrance practice tests of China design schools is, first its uniformed entrance test subject by the control of the education department of China. Second, the fact China has the tradition of realism which was influenced from political effect and pursuing modernization over the fusion of middle and west. Third, the Chinese style quantitative line-up evaluation way. Fourth, the lack of creativity measurement, In order to improve the entrance practice test models, universities need to develop evaluations to select students in various angles. Instituting practical tests, portfolio and in-depth interview, practical tests should evaluate the basic refinement not mainly with existing realistic, objective description or expressions abilities, but the way tests the students’ problem-solve ability, creativity, such as asking “imagine and express’ Also, the format ability, expression ability, acquired ability and potential should be evaluated through the candidates’ portfolio in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ability, self-directed study attitude, interest of their own major field, intellectual curiosity should be apprised by essay and student’s file. In addition, should evaluate and select more suitable students through in-depth interview, setting minimum grade to prevent downward leveling. Nowdays China puts mass resources on founding the creativity China. By practicing education programs which lead gradually creativities from fundamental basic education, changing the entrance practice test system, then connect public education system and private education system to design major in college, future global design leaders would be produced from universities across China.

      • 한국디자인 행정체계의 개편과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최명식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9775

        21세기의 디자인은 단순히 경제적인 수단으로서 뿐만 아니라 “인류의 비전과 삶의 질 향상” 그 실현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론으로 까지 여겨지고 있다. 디자인은 산업의 가치혁신과 더불어 국가 및 기업 경쟁력의 핵심요소로 부각되면서 선진강국의 초석을 위한 전략적 정책으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글로벌 시장의 확대에 따른 국가의 경쟁력 강화와 다원화된 문화 속에서 국가의 정체성이 디자인으로 표현되고, 더 나아가 국민 삶의 질과 복지 증진을 위한 요소로 디자인이 대두되고 있다. 이것은 사회현상과 전통 그리고 문화 바탕을 둔 디자인이 자리 잡고 있음을 말해 주는 것이다. 따라서 21세기 디자인은 문화와 복지에 기반을 두고 콘텐츠, 서비스, 도시 환경, 국가 브랜드까지 다양화됨에 따라 국가가 정책적으로 접근할 필요성이 있다. 정부 부처 간 협력 할 수 있는 컨트롤 타워 역할 할 수 있는 독립된 기관이 필요하며 산업계 그리고 학계와의 상호 유기적 관계성을 확립할 수 있는 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국가는 디자인을 통해 선진국 대열에 합류하기 위해서는 디자인의 고유한 특성과 운영에 따른 기대효과 등을 고려하여 한국의 현 상황에 맞는 디자인정책의 ‘프레임웍(Frame Work)’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정책 수립 및 집행 가이드라인이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디자인정책의 ‘프레임웍(Frame Work)’의 제시는 현행 우리나라의 디자인 관련 주요 정책 체계와 사업을 분석하고, 평가하여 이에 따른 선진정책 대안과 더불어 다양한 사업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선진 디자인정책 체계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본 연구‘한국 디자인행정 체계의 개편과 정책과정에 관한 연구’에서는 디자인정책 체계를 구성하고 있는 변수요소들이 상호 관련되어 효율적으로 디자인정책을 수립하고 있는가? 디자인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디자인정책의 환경과 관련요소는 무엇인지? 선진 디자인정책 체계 구축과 행정 서비스 개편의 방향이 무엇인지? 의 연구를 통해 한국 디자인 진흥정책 체계를 진단하고,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선진 디자인정책 체계와 효율적 디자인 행정 체계를 위한 정책 체계모형 및 주요 촉진정책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 도출과 수행을 위한 제언을 한다. 첫째, 대한민국 선진 디자인정책 철학의 성공은 ‘공동선(共同善)의 디자인정책 기조’ 아래 범국가적 디자인문화운동과 더불어 산업디자인으로 편중되었던 디자인 관련 법 개정과 제도의 개선 등을 위한 정부의 적극 노력이 있어야 한다. 디자인정책은 사회 구성원 전체에 공통되는 이익과 공공복지(公共福祉)라는 공동선의 입장에서 접근 될 필요가 있으며 개인의 개별적 이익과 다수의 이익이 잘 조화되어 전체의 이익을 갈 수 있는 정책 철학이 필요하다. 또한 ‘디자인 산업촉진 정책기조’는 지속적인 성과창출 메커니즘의 개발로 정책 수립에 있어 디자인산업 예산 투입을 민간부문의 디자인 투자수준과 함께 디자인 활동 활성화, 수요 창출 등으로 연결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선진 디자인산업의 발전을 선도할 수 있는 혁신적이고 참신한 사업의 개발과 더불어 추진 사업의 효율화를 통해 내실을 다지는 노력이 병행되어야한다. 둘째, ‘선진 디자인정책 및 행정 체계 시스템 구축’은 디자인정책 목표와 수단 그리고 대상자에 이르는 범위와 역할을 점검해야 하고, 정책 주체와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살펴 정책 추진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 즉 디자인 기관을 국토의 종합관리계획과 산업의 육성, 복지적 차원과 더불어 국가의 브랜드 관리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정부 조직의 ‘청(廳)’ 혹은 ‘부(部)’의 수준으로 격상시켜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수 있는 기관이 필요하다. 더불어 지역디자인센터와 협력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디자인산업과 문화의 인프라 구축을 위해 민간단체와 정부 조직이 협업하는 체제아래 디자인의 특성을 고려한 현실적 정책이 제시 될 수 있도록 시스템이 필요하다. 선진 디자인정책의 근본적인 기조는 국가의 균형적인 발전 속에서 ‘공동선의 철학에서 독립된 기관화’, ‘기업과 지방자치단체 상호지원 체계 구축’, ‘평생학습과 디자인지식 허브 구축’, ‘ 각 단체의 자발적 참여와 동기부여 정책’ 등으로 문화적 기반임을 인식하고 이에 따른 선진 디자인정책 목표를 세워야 한다. 셋째, 선진 디자인정책을 기반으로 하는 촉진 정책은 우선 ‘행정 체계 개편을 통한 정책의 효율화’를 통해 디자인정책 기본방향인 토털디자인 개념으로 접근해야 하며 디자인정책 전담 기관을 설립하여 디자인 행정 체계를 일원화 할 필요성이 있다. 디자인정책의 원활한 수행은 집행 기관과 교육기관 및 관련 단체, 산업계 등의 역할을 합리적으로 분담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기존 정책 수립과 집행에 역할을 끼쳤던 한국 산업디자인진흥원과 지역디자인센터 그리고 디자인 관련 단체도 그 역할을 재정립해 각자의 위상에 맞는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시스템의 개편이 필요하다. 또한 지역과 지역디자인센터와 디자인혁신센터와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상호정보 교류를 통해 지역에 뿌리를 둔 국제적 협력 체계를 이루어야 한다. 그리고 디자인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요한 전제 조건인 ‘디자인 하부 구조 확립’으로 디자인정책 체계의 기반 시설을 확보해야 한다. 나아가 효과적인 선진 디자인정책 수행을 위해 ‘재정 확보 및 예산 지원’을 통한 디자인 진흥 기금을 마련함으로 적정 규모의 재정을 확보해야 하며, ‘제도 및 지적 재산권 보호’로 디자인 활동지원을 위해 법 개정을 통해 지적 재산권 보호, 제도 정비 인프라 구축에 역점을 두어야 한다. 넷째, ‘선진 디자인정책 촉진 전략’은 디자인강국 구현을 위한 기본 방향이며 목표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목표가 설정된 가운데 선진 디자인정책을 구축 촉진하는 ‘전략 체계도’를 만들어 창의적인 디자인강국 구현을 위한 디자인산업의 정책적 촉진전략의 가이드라인을 구축해야 한다. 디자인정책의 수행을 위한 촉진전략은 디자인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국가의 브랜드화, 국가 선진화 전략으로 접근할 수 있다. 디자인정책의 세부전략 추진 사업으로는 기업 활동 지원 체제 구축과 국가 환경디자인 및 공공 복지적 관점에서 ‘디자인 문화운동’을 추진할 수 있어야 하며 선진 디자인정책 촉진 전략으로 정책 기조 아래 국가차원의 ‘디자인 문화운동 전개’를 통해 생활 속에서 디자인의 인식과 중요성을 고취 시킨다. 이러한 과정에서 디자인 인력 교육과 산업의 환경 변화 및 트렌드를 반영한 창의적이고 실용적인 선진시스템의 전환을 유도하여 디자인은 사회 구성원 전체에 공통되는 이익, 즉, 공공복지(公共福祉)라는 철학을 갖게 된다. 이는 다수인과 개개의 이익이 잘 조화를 통해 전체의 이익을 갖는 선진문화가 이루어지게 될 것이다. 즉 대한민국 선진 디자인정책은 공동선의 디자인을 사회전반으로 확장시키는 교양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해야 한다. 이를 뒷받침하는 ‘디자인 문화운동’으로 열매를 맺도록 토양을 조성해야 한다. 향후 행정체계 개편과 정책 방향은 공동선의 디자인을 사회 전반의 교양으로 확장시킴으로써 이른바 선진국형 문화기반의 총체적인 국가 디자인 기조를 갖고 가야 한다. 디자인은 디자인산업과 국가의 정체성을 강화하는 중요 요인으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디자인산업은 국가산업의 가장 핵심역량으로 나라의 정치·경제·문화·사회·교육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이에 따른 제반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데에는 디자인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게 인식되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 ‘한국 디자인행정 체계 개편과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는 한국 디자인산업의 발전과 세계시장에서 경쟁력확보를 위한 제언으로 볼 수 있다. 국가는 전략적으로 디자인산업과 문화가 상호융합 할 수 있는 산업육성을 위해 체계적인 행정체계 개편과 선진 ‘디자인정책의 프레임웍(Frame Work)’이 필요하다. The design has become not only financial method but also another feasible method to optimize and reach the vision of mankind at the same time. It has brought up as the crucial element of the value of innovation and competitiveness in design industry. Especially, design expresses national identity amid various culture with the strong competitiveness along the expansion of global market. It also proves the design has become the substantial factor to improve the quality of human life, welfare. It proves the design plays an important role in social phenomena and culture. As a result, the design based on the culture and welfare becomes a various part in content, service, environment, and national brand, and its relationship becomes strong among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 agencies, industries, schools. For design industry, 'framework' of design industry should have foundation in the culture and welfare and set guideline, taking into an account of uniqueness and anticipation effect of design policy. An introduction of framework of design policy should analyze the industry and major design-related policy, evaluate the alternative methods to manage the implications, various industry thoroughly as a whole. As a result, this study 'the study about the reorganization of design management and policy process' is purposed mainly to provide the possible answers to these questions; Is the design policy set up effectively on the various related factors consisting of design policy system? What are environmental and related factors in implementing design policy due to the change of design paradigm? What is the prospect of management service reorganization to achieve the developed design policy? Based on the study materials, it will conclude the design policy system in Korea and suggest the system model and major policy for advanced design and effective design management system. First of all, the success of philosophy of developed design under 'Public design policy' should put an extra effort into the design-related laws, which used to focus mainly on industrial design, and reformation of system. It should differ from the individual benefit but coordinate and approach to benefit every member of society and public welfare. When it comes to implementing the business plan from the development of achievement mechanism along the 'design policy of business development', whether it is private or non governmental, the investment volume needs to have intimate connection with effective design activity and increase in demand. It also needs to innovative and creative enough to accomplish the effective business and therefore to lead the developed design industry as a result. Second, 'A system building in the advanced design policy structure' should examine the objective and means in making design policy and influential range of people and their jobs. The structure of policy progress should be based on the subject of policy and effecting factors. In another word, it implicates to elect the current design organizations to higher level and form the network with regional RDC. The currently applicable policy should be provid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of design under the co-existing environment of private and governmental organization to build infra for better design industry and culture. The fundamental in the design policy is to acknowledge the importance of building foundation for culture, 'separation of structure from public philosophy', 'construction of business supporting structure', and 'lifetime study and accomplishment of design knowledge'. It also is meant to set up the objective for developed design policy. Third, the policy should be approached as total design idea that is, in the 21st century, the fundamental objective direction of design policy through 'efficiency of policy with administrative system reorganization'- the promotion policy base on advanced design polic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exclusive responsible agency of design politic and unifiy the design administrative system. The smooth execution of design policy facilitates the effective division of executive organ, educational institution and related group, and other industries. The Korean institute of design promotion and local design centers need to reorganize for developed business accomplishment. In addition to it, RDC and DIC network system and international cooperative system with information exchange should be established. It should be promoted to construct base facility of design politic system,'Design establishment of lower-part structure' which is the important precondition for strong competitiveness in design industry, and prepare proper-sized design promotion fund from 'financial and budget support system' for effective politic accomplishment. It should be emphasized to protect intellectual property right for design activity support, construct various information network and institutional maintenance infra as well. Forth, 'Advanced design politic promotion strategy' is a fundimental objective method to achieve embodiment of powerful design country. The guideline of design politic promotion strategy should be in pursuit of objective and be consistent to be established for embodiment of powerful design country with 'strategic system'. The promotion strategy for accomplishment of design policy is to obtain the strong competitiveness in design industry, brand nation commercially, and advanced strategy of design industry. The detailed strategic propulsion enterprise of design policy is to support business, promotion of design spirit exercise to enhance public environmental design and social welfare, and building essential business plans. The policy makes a whole nation be inspired by‘cultural movement development of design spirit. It is extremely necessary to lead conversion of the creative and practical advanced system reflecting the change of design education, industrial environment, and trend. Besides, it needs to expand the movement of culture that makes the philosophy of public welfare and results in benefiting everyone while coordinating the benefits of majority of people and individuals simultaneously. The importance of cultural education that expands to public design should be emphasized. The movement of cultural design spirit is to provide with fertile soil, so-called culture, in order to bear the tasty fruit on the design tree. The public welfare design should be expanded to public culture in society and introduce the advanced national design philosophy and background. Recently, the design industry and design identity have become the major factors to enforce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The design industry acting as one of the majors in nation has close relationship with politics, economy, culture, society, and education, and it plays a significant role in resolving all sorts of issues. Therefore, a systematic frame work of design policy would be researched to strengthen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and Korean industrial design development based on the research of 'The study of the reorganization of design administrative system and politic process for culture· social welfa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