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구경북 자동차부품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수요자 중심의 기술정책에 관한 연구

        이석호 경북대학교 산업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5407

        Development period of automobile industry of Korea is shorter than that of many advanced countries such as United States, Japan, and Germany. As we go through the skyrocketing economic growth at 70’s, demands of automobile increased rapidly and ripple effect of automobile industry recognized nationally. Even though supporting policy has been expanded, it was limited to complete vehicle and development of automobile component industry was just stage of following complete vehicle industry. One of main industries of Daegu-Gyeongbuk area, which is automobile components industry, involves crucial problems like lack of complete vehicle company and production of low added value component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courage the Daegu-Gyeongbuk area’s future automobile components industry based on analysis of study the main trend and existing technical policy to suggest modified technical policy of Daegu-Gyeongbuk area automobile components industry.

      • 고성능 9축 관성센서 제작을 위한 스마트 시스템 융·복합 통합 방안

        김상원 경북대학교 산업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5359

        미래 산업의 획기적인 신기술 패러다임은 바로 스마트센서를 기존의 IT기기와 융합하는 방법에 대한 것일 것이다. 스마트센서는 융합산업 및 미래 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핵심요소기술의 하나로서, IT 융·복합 등 융합산업을 촉진시키는 센서 기술개발 및 기반조성이 필요하다. 소량 다품종의 센서 산업의 특성으로 대기업은 생산 투자를 기피하고 중소기업은 높은 기술진입 장벽과 생산설비 여력이 부족한 상황으로 미국, 일본 업체에 대부분의 저가 센서를 잠식당한 상태이다. 개별 기업 단위의 경쟁에서 센서산업 생태계 단위의 독가점이 확대되고 있는 글로벌 센서시장의 기술 확보를 위해서는 중소기업 중심의 우리나라 스마트센서산업의 글로벌 원천기술 및 기반 기술 산업의 경쟁력 확보가 무엇보다도 절실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업이 접근할 수 있는 스마트센서 산업 중 9축 관성센서의 개별 모듈을 융합하여 간편한 모션 구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조합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단일 센서 기반 및 6축 센서 모듈기반에서 9축 센서 모듈로 넘어가는 조합방법에 대한 개념적 요소 설명과 오차 보정과 개선을 위한 접근 방법들을 체계적으로 포함하였다. 또한, 안드로이드 OS기반의 센서 융·복합에 대한 내용을 기술하여 현재 스마트센서를 이용한 스마트폰의 적용을 위한 구성과 방법에 대한 요소 내용을 설명하였다. 성능향상을 위한 전략적 요소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스마트 9축 관성센서를 접근하고자 하는 기업의 진입장벽을 낮추고 개별 동작의 센서와 프로세서의 접목을 통한 차별화된 융·복합 스마트센서 통합전략에 대한 효율적인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고성능 9축 관성센서의 융·복합 요소기술에 대한 내용을 제안하고 있다. The innovative new technological paradigm of the future industries should be the way to incorporate ‘smart sensors’ to the existing IT devices. The smart sensor is one of the most essential core technologies to fortify the competitiveness of future industries and IT convergence industries. Thus, it is required to develop sensor technologies and create foundations which would promote the development of IT fusion, integration and convergence industries.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a small quantity batch production in the sensor industry, large firms avoid investing in productions, and small-and-medium enterprises face high technological entry barriers and insufficient production capacity. As a result, most low-cost sensors are taken by the U.S. and Japanese enterprises. In order to secure technology in the global market for sensors, where the monopolistic ecosystem is growing in the competition among the individual business unit, it is critically required for Korea’s smart sensor industries, focused on small-and-medium enterprises, to secure competitiveness in global source technologies and base technology industries. In this context, this study suggests a way of facilitating a simple motion sensor composition by fusing individual modules of the 9-axis inertial sensors among the sensor industries that firms may have access to. The study consists of a conceptual explanation of combining way in a single sensor base, shifting to 9-axis sensor modules of the 6-axis sensor module base, and composes a systematic explanation of the ways of approaching calibrating errors and improvements. Moreover, by describing the content about the fusion and integration of the android OS-based sensors, it includes contents that explain the ways and compositions needed in order to apply smartphones by using the current smart sensors.By suggesting strategic points for improving performances, it lowers the firm’s entry barrier that attempts to approach the 9-axis inertial sensors; by suggesting effective ways of fusion and integration strategy of differentiated convergence of smart sensors through grafting individual operation sensors and processors, it explains fusion and integration technologies of high-performance 9-axis inertial sensors as a way to secure global competitiveness in firms.

      • 대경권 금속부품 성형산업 육성을 위한 중소기업 기술지원 방안

        이상일 경북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35359

        Metal forming, in which a metal part with certain geometric shape and function is produced, is one of key technologie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Despite Daegu-Gyeongbuk region's economic dependence on automotive, machinery, and metal working business based on metal forming industry, the regional support remains idle. Small to medium vendors that mainly form the industry suffer from lack of manpower, lack of high end technology, and therefore lack of business power eventually hurting the quality and productivity of the end product. This paper analyzes the outlook on current metal forming industry at national and global level, studies the regional standings in the industry, and proposes technological policies to maximize engineering competency of small to medium manufacturers.

      • 고령 다산주물단지 구조 개선 방안 연구

        정영훈 경북대학교 산업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5343

        Casting lies at heart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leading the industrial growth in fundamental aspects, but its importance is often degraded due to its notoriety for being dirty, difficult, and dangerous. Dasan Cast Complex is a decade old industrial complex struggling against jammed technological growth and severe environmental problems. Through an extensive survey for manufacturers in the complex, this paperquarries needs for improvement in working environments, automation and computerization in manufacturing systems,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lso, it proposes strategi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complex including recycling of zinc oxide, facility restoration green factory conversion, facility restor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 국가 R&D 연구성과 활용성 제고를 위한 기술사업화 촉진 방안

        김성칠 경북대학교 산업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5343

        (Abstract) A substantial part of the national budget(14.8 trillion won in 2011, 15.9 trillion won in 2012 etc.) is being expended for national R&D projects every year, and yet there are few cases that research performances from which are connected to commercialized. This paper, therefore, finds the reason of inactive using of previous research performances of national R&D projects by analyzing their kinds and current state through reports or web site information of related organizations and abroad exemplary cases. Furthermore, it suggests several improvement measures on successful utilization of national R&D research performance. In details of the measure, in national R&D performance, it suggests management period setting for more efficient utilization in patent performance. It also suggests other ways such as right implement of the process which is fit for the purpose, development of additional projects to utilize present performances, and building regional specialized organization to commercialize research performances. It aims activation of commercialization rate of national R&D projects performances derived up to present and future results by suggesting some assignments; planning or running system improvement for government, and implement development for local level.

      • 대학의 지적재산권 기술이전 활성화 방안

        이기영 경북대학교 산업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5343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s product of the creature of human mental activity, like Industrial or scientific inventions, and literary, like academic, artistic creations. such Property Rights is Contributing to national development by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of Technology, Technology transfer of Property Rights Between companies or individuals is actively being made now. But Technology transfer of many Property Rights possessed at the university is not being made actively by Technology transfer Relevant Legal system and Problem of Technology transfer organization dedicated. So Activation Plan of Technology transfer of the University's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s offered by analyzing the existing problems of legal framework and Technology transfer organization.

      • 대구 솔라시티 사업의 수용성 제고방안

        이영식 경북대학교 산업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5343

        Daegu city has been conducting Solar City Daegu Project(SCDP) since as early as year 2000 to response the global issues of fossil fuel depletion and global climate change at the city level. SCDP has been pursuing energy efficiency improvement and renewable energy dissemination together with other international solar cities. However, SCDP has required a change in policy directions and programs, as the related policies and their implementation circumstance, and social paradigm has been changed. Accordingly, this thesis suggests that SCDP is needed to discover new factors to meet the changing policy demands, and to include the factors in the process of planning and implementation. This study is to figure out practical problems and issues of SCDP, by analysing and benchmarking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process of other solar cities models. Sustainable Energy Utility (SEU) program of US Delaware state is one of these models and shows us the way to find options for financial funding and private-public partnership building. In oder to improve policy acceptability for SCDP revitalization, this thesis suggests firstly Daegu city to build a regular monitoring system for the factors related with policy implementation, and utilize it to plan and evaluate the programs of SCDP. For this,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data base system of regional companies, technological and human resources, and market trends, for the city to obtain, process, and use the available informations in real time basis. Secondly, policy contents are necessary to attract the interests of policy partners, and to meet it. Daegu city should be secure the policy support and the beneficial gains for policy partners by supporting directly the financial burdens, and by elevating organizational positions. Third, it is also required to secure the practical feasibility from the planning and design stage. The information af policies and projects must be open and the public opinions need to be collected within the legal and institutional arrangements. Finally, the priority of project implementation also needs be given to the direct benefits for the stakeholder parties. The direct and indirect benefits from the projects should not be biased toward Daegu City’s interests. If all these options would be properly implemented, the effectiveness and sustainability of SCDP could be secured. Through transforming SCDP by elevating its policy acceptance, the status of Daegu as a host city of first International Solar Cities Congress would be rise, and also the city could lead a new energy paradigm in the age of creative economy.

      • 토목섬유산업의 지역전략산업화를 위한 발전방안

        이동협 경북대학교 산업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5343

        In current and future society that focus on environment, the demand of geosynthetics has been continuously developing because of grand scale infrastructure erection like harbor, bridge, offshore airport. Even though the demand of high added-value goods that requires technology competitiveness is dominated by global big business such as Dupont of US and Teijin of Japan, domestic geosynthetics companies have difficulties in increasing their global market share in high added-value market. For the development of Daegu·Gyungbuk regional geosynthetics industry, some strategies including activation of technical exchange committee, opening of cooperative course between civil engineering and textile engineering in regional universities, establishment of technical information and machinery support center, and consolidation of marketing capabilities are demanded urgently.

      • 융합형 연구개발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를 위한 경제성 분석

        박혜진 경북대학교 산업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5343

        1. 제1장 서 론 1.1. 가. 연구 배경 예비타당성조사는 국가재정을 효율적 관리하기 위하여 국가재정법에 따라 시행하는 법적 과정이다 [1]. 국가재정법 제38조에는 “기획재정부장관은 총사업비가 500억원 이상이고 국가의 재정지원 규모가 300억원 이상인 신규 사업으로, 대규모 사업에 대한 예산을 편성하기 위하여 미리 예비타당성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요약하여 국회 소관 상임위원회와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 제출하여야 한다” 라고 규정하고 있다. 특히, 예비타당성조사는 정부가 국가재정을 관리․운용하기 위해 실시하는 단계별 재정관리 과정의 일부분이며, 그 중에서도 사전단계에서 실시하는 것이다. 예비타당성조사는 사전단계에 실시되지만, 집행 및 사후단계에서 재정을 관리하는 준거가 되며, 타당성재조사 등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국가재정관리 제도에서 예비타당성조사가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이 되는 대규모 사업은 크게 세가지로 구분된다. 첫 번째로 건설사업은 토목, 건축 등 건설공사가 포함된 사업을 말하며, 두 번째로 정보화사업은 ‘예산안편성 세부지침’의 ‘세부사업유형별 지침’에 따라 정보화 예산으로 편성되는 사업, 세 번째로 국가 연구개발사업은 ‘예산안편성 세부지침’의 ‘세부사업유형별 지침’에 따라 연구개발사업 예산으로 편성되는 사업을 말한다 [2]. 연구개발사업은 다른 사업들과 달리 비교적 최근에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에 편입되었다. 국가 연구개발 투자의 불확실성을 줄이고 연구개발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정부 각 부처와 기관들은 기획단계에서부터 사업의 타당성을 사전에 철저하게 검증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오래 전부터 제기되어 왔다. 이에 따라 국가 연구개발사업의 추진 이전에 타당성 여부를 조사하는 제도는 국회예산정책처가 2004년 SOC사업을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는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사업의 범위를 연구개발사업, 대량구매사업, 정보화사업 등으로 확대할 것을 제안한 것을 계기로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되었다. 여러 가지 논의와 기획을 거친 이후, 2007년부터 정부는 예산 반영 여부 및 투자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연구개발사업에 대해 예비타당성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3-4]. 법적 근거로는 국가재정법 제38조에서 「과학기술기본법」 제11조에 따른 국가연구개발사업도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임을 명시하고 있다. 한편, 건설사업 및 정보화사업과 달리 국가 연구개발사업의 타당성을 사전에 검증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것은 과학 또는 기술의 발전이 단선적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투입과 창출의 인과관계 규명이 쉬지 않다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연구개발사업은 기본적으로 그 특성상 불확실성의 위험도가 높고, 연국개발 결과물의 부가가치 창출에 대한 직접적 기여 효과 분석이 어려워 예비타당성조사를 통해 그 타당성을 검증한다는 자체가 매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특히, 연구개발사업에서 경제성을 분석하는 것은 건축사업이나, 정보화 사업과 달리 정형화된 분석 틀이 존재하지 않고 분석 주체에 따라 그 결과가 천차만별로 달라질 가능성이 높다. 연구개발사업의 이러한 특징에도 불구하고, 국가 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조사 요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국가 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조사 실행을 위해서는 먼저 체계적인 분석 방법의 정립이 요구되고 있다. 연구개발사업의 특징으로 인한 예비타당성조사의 어려움에 더해 최근에는 연구개발사업과 관련하고 확대되고 있는 융합화가 또 다른 도전적인 문제를 제시하고 있다. 국가융합기술 발전 기본계획(´09~´13)에 따르면 “차세대 기술혁명은 어느 한 분야에 국한되지 않고 신기술간 또는 이들과 타 분야와의 상승적 결합을 통한 융합기술이 주도할 것으로 예측‘ 된다. 따라서 ’신산업 및 신성장 분야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신기술을 바탕으로 한 융합기술의 조기 선점이 필수적‘이고, 이에 대응하여 ’융합기술 개발사업 추진을 국정과제‘로 제시함에 따라 융합형 연구개발사업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5]. 또한, 최근에는 융합이 다양한 형태로 확대 재생산 되고 있다. 즉, 융합이 이종 기술간 화학적 결합이라는 협의의 개념을 넘어 융합기술은 미래사회의 경제․사회적 다양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과학, 기술, 문화 등과의 창조적 융합이 강조되는 개념으로 변천함에 따라 융합의 양상과 형태가 다양해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기술융합은 이종 및 동종의 다양한 기술들의 결합까지를 포괄하는 폭넓은 개념으로 경제․사회적 수요를 해결하기 위한 학문 및 산업과의 결합까지 포함하여 재정의 되거나 진화 발전하고 있다 [5]. 융합이 모든 분야에서 대세가 되고, 융합의 개념이 확대되며, 그 양상이 다양하게 나타남에 따라 융합형 연구개발사업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은 더욱 어려워 지고 있다. 특히, 사전단계에서 실시되는 예비타당성조사를 통해 이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은 매우 힘든 작업임에 틀림이 없다. 하지만, 연구과제의 대형화 추세 등을 고려했을 때, 예비타당성조사에 대한 요구는 점점 강화될 것으로 예상되어 융합형 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조사 모델의 정형화가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1.1. 나. 연구 목적 및 논문 구성 본 논문의 목적은 최근 증가하고 있는 융합형 연구개발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에서 효과적인 경제성 분석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모든 학문 및 기술 분야에서 융합이 활성화 됨에 따라 융합형 연구개발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융합형 연구개발사업은 그 자체로 복잡한 학문 분야의 결합일 뿐만 아니라 경제성 분석에 있어서도 분야별 특수성으로 인해 경제성 분석의 복잡도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융합형 연구개발사업의 경제성 분석에 관한 체계적인 분석 방법의 제시는 시급하면서도 매우 중요하게 되었다. 연구개발사업의 경제성 분석은 일반적인 경제성 분석과 마찬가지로 비용과 편익을 산정하고, 이를 상호 비교하여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연구개발사업의 비용 산정이 어렵기는 하지만, 이에 관해서는 이미 정형화된 분석 틀이 존재하는 반면, 편익산정 방법에 있어서는 아직까지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기존의 연구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에서 경제성 분석을 위해서는 주로 시장수요접근법을 활용하여 편익을 산정하여 왔다. 시장수요접근법은 미래 시장 또는 미래 수요에 의해 발생하는 부가가치를 중심으로 새롭게 창출되는 부가가치 중 해당 연구개발사업의 기여에 의해 발생되는 편익을 산정하여 경제적 타당성 분석에 활용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시장수요접근법은 편익을 산정하는 한 방법일 수는 있지만, 융합형 연구개발사업 경우, 연구개발에 따른 결과물이 적용되는 시장이 아직 본격적으로 성장하지 않은 신시장인 관계로 시장규모를 산정하는 자체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융합형 연구개발사업의 경제성 분석에서 있어서 기존의 시장수요접근법에 의한 편익산정의 문제점 극복하고 융합형 연구개발사업에 적합한 새로운 방식의 경제성 분석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2장에서는 연구개발사업 예비타당성 조사 제도와 관련 현황에 대해서 살펴본다. 3장에서는 연구개발사업의 경제성 분석 방법에 대해 심도 있게 검토한다. 제4장에서는 융합형 연구개발사업의 경제성 분석에 있어서 유의점과 기존 방식의 한계를 분석하고, 새로운 경제성 분석 방법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제5장에서는 결론을 맺는다.

      • 애프터마켓 시장공략을 통한 대경권 자동차 부품 산업의 활성화 전략

        김병호 경북대학교 산업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5327

        자동차부품 산업은 대구 및 경북지역 제조업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지역 경제 발전을 위해서 더욱 활성화 되어야 한다. 그러나 지역 자동차 부품 산업은 겨우 3.4%의 영업 이익률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러한 낮은 영업 이익률로는 추가적인 R&D투자가 어려운 실정이다. 현재 지역 내의 여러 기관과 지자체에서는 산업클러스터 조성, 연구 기관 설립 및 장기 사업 계획을 설정하는 등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지역 내 자동차 부품산업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2차, 3차 하위 업체를 위한 노력은 여전히 부족한 수준이다. 이 연구는 자동차 부품 애프터마켓 시장 공략을 통한 대경권 자동차 부품 산업의 발전 전략을 제시한다. 애프터마켓용 부품 시장 수요는 꾸준히 증가추세에 있고, 일부 국가에서는 이미 OE 수요를 넘어선 상태이다. 애프터마켓 부품의 경우, 품질 수준이 OE제품만큼 엄격하지 않고, 유통단계의 감소 등에 따른 이유로 이익률 또한 높은 수준이다. 한국 자동차 메이커의 글로벌 성공에 힘입어, 한국산 자동차 부품의 이미지가 많이 향상된 지금, 적절한 품질과 가격은 글로벌 시장에서 매우 강력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낮은 영업 이익률 가진 영세 업체의 경우에는 해외 마케팅이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상황이다. 따라서 적정한 품질과 가격 경쟁력을 갖춘 영세업체들이 글로벌 애프터마켓 시장을 공략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공동브랜드를 개발하여, 재무적 위험도를 낮추고, 품질 인증시스템을 채택하여 고객의 신뢰를 구축해야만 한다. 또한 한국과 FTA가 체결된 국가에 대한 공격적인 마케팅 활동이 필요하다. 그리고 지속적인 브랜드 홍보 및 노출로 브랜드 이미지를 쌓아가야 한다. 이러한 애프터마켓 공략을 통하여 지역 내 자동차 부품 산업의 활성화가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서 일자리가 창출되는 등 지역 경제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애프터마켓 공략을 통한 이익률의 증대를 기반으로 추가 R&D 투자가 가능해지며, 이는 지속적인 품질 및 가격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다. Auto parts industry, which is the largest part of manufacturing in Daegu & Gyeongbuk region (hereunder “DG”), should be strengthened for local economic development. DG auto parts industry, on its characteristic, has only 3.4% of operating margin and therefore it’s very difficult to make an additional R&D investment. Currently DG local government and related organizations are continuing their effort to activate local economy by making industry clusters, constructing research institutes and supporting enterprises to set up long-term business plan. However, there is still a lack of effort to increase profitability of secondary and tertiary sub-suppliers who hold a majority in DG. This study proposes a developmental strategy for DG auto parts industry by activating aftermarket. Global aftermarket demand of auto parts keeps increasing, and it exceeds OE demand in some major countries. In case of aftermarket, quality terms is not strict much as OE product and level of profit margin is far higher than OE business due to reduction in distribution stage. As the image of Korea-made goods has been improved a lot today by global success of Korean car maker, any Korean product with proper quality and price can be a very competitive one in global market. But overseas marketing is a hardly thinkable one for many secondary and tertiary sub-suppliers petty manufacturers working with very low margin. Therefore, it is positively necessary to support small local manufacturers who have proper quality and price level so that they can advance towards global aftermarket. It is available to reduce financial risks of petty manufacturers by co-branding, and to build up customers’ trust by adopting quality certification system. Also aggressive marketing activities are required in the countries that Korea signed Free Trade Agreement. Constant brand exposure may contribute its awareness and steady sales growth. The vitalization of auto parts industry by targeting aftermarket is very helpful for local economy as it will creates many jobs. Also its good profit makes R&D investment possible, and competitiveness in quality and technology will be constantly improved, then auto parts industry in DG will keep growing in the global aftermark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