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교사회복지사의 업무수행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

        권태순 동양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학교사회복지사들의 업무수행에 대한 경험을 이해하고, 이들의 경험을 과정으로 설명하는 실체이론을 개발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학교사회복지사의 업무수행 경험과정은 어떠한가?’로 Strauss & Corbin(1990)이 제시한 근거이론방법을 적용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사회복지사의 업무수행 경험과정에 대해 내부자적 관점에 입각한 질적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이들의 업무수행 경험을 도울 수 있는 보다 현실적이고 효율적인 개입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의 참여자는 학교현장에서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실천가로 근무하고 있는 학교사회복지사 9명으로 하였다. 연구참여자 선정은 지인을 통해 개인적 으로 접촉하는 눈덩이 표집(Snowball sampling)과 이론적 표본추출방법(Theoretical Sampling)을 활용하여 이론적으로 적합한 대상자를 인위적으로 표본추출하는 과정을 거쳤다. 참여자들은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취득하고 네트워크경험이 있는 자로들로 자격요건을 갖추고 있다. 참여자들은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경력이 3년차가 5명, 1년차가 4명이며, 사회복지학을 전공한 참여자는 2명이고, 다수는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가진 다양한 전공자들로 이루어져 있었다. 자료 수집은 2013년 6월부터 7월까지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면담 전에 참여자로부터 서면으로 참여 동의서를 받았고, 면담내용은 녹음한 후 필사하였다. 근거이론의 절차에 따라 개방코딩을 하고 축코딩 단계에서는 패러다임에 의한 범주분석과 과정분석을 하였으며 선택코딩에서는 핵심범주를 발견하고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범주의 관련성을 도출하고 상황모형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결과 개방코딩에서는 90개의 개념과 25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10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또한 축코딩에서 패러다임에 의한 범주분석 결과, 참여자의 업무수행 경험에 대한 인과적 조건은 ‘방향성 없는 교육복지의 현실’과 ‘부족한 역량으로 인한 내적갈등’이었고, 중심현상은 ‘무력감’이었다. 이 현상의 맥락적 조건은 ‘학교조직 내 공감대 형성 부족’ 그리고 ‘교육복지에 대한 제도적 지원부족’이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작용하는 중재적 조건은 ‘신념체계 강화’와 ‘사회적 지지’였다. 또 이러한 중재적 조건에 의한 작용/상호작용의 전략으로는 ‘현재의 나를 뛰어넘기’와 ‘현실의 벽 인정’으로 나타나고, 그 결과는 ‘변화의 조짐과 가능성’, ‘더디지만 찾아오는 변화들’, ‘성과 사회 현실 인정하기’의 하위범주로 도출된 ‘존재의 의미 찾기’ 로 나타났다. 학교사회복지사들의 업무수행 경험에 대한 과정은 ‘인식하기’, ‘맞닥뜨리기’, ‘변화시도하기’, ‘나아가기’의 4단계로 파악되었다. 첫 번째 단계인 ‘인식하기’는 방향성 없는 교육복지의 현실과 부족한 역량으로 인한 내적갈등을 인식하는 단계이고 이 단계에서 신념체계 강화는 중재적 조건으로 작용하고 내실화의 노력과 반 박자 앞서 변화하기의 노력 그리고 사업추진에 대한 의지로 나를 뛰어넘기 위한 전략을 사용하며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하였다. 두 번째 단계인 ‘맞닥뜨리기’는 맞닥뜨린 현실 앞에 힘들어하며 갈등하는 단계이고 이 단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중재적 조건으로 작용하고 현실의 벽 인정의 전략을 사용하였다. 세 번째 단계는 ‘변화시도하기’로 스트레스 상황에 처해있는 참여자들은 이 단계에서 변화시도의 과정을 경험한다. 내실화의 노력과 반 박자 앞서 변화하기를 통해 현재의 나를 뛰어넘을 수 있게 하고, 적극적인 문제해결자세로 변화를 꾀함과 동시에 현실인정과 조직문화에 동화하는 양면적인 자세를 취하기도 하였다. 이 단계에서 교육복지에 대한 한계는 맥락적 조건으로 작용하여 중심현상인 무력감에도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나아가기’는 참여자들이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한 난관을 잘 견디고 처음 마음을 생각하며 성장을 도모하는 단계이다. 변화의 조짐과 가능성이 보이고 더디지만 찾아오는 변화에 보람과 성취감을 느끼며 한편으로 성과 사회의 현실을 인정하는 결과를 얻기도 하며 존재의 의미를 찾게 된다. 선택코딩에서 학교사회복지사의 업무수행 경험과정에 대한 핵심범주는 ‘무력감에 발버둥 치며 변화 모색하기’로 나타났다. 방향성 없는 교육복지의 현실과 부족한 역량으로 인한 내적 갈등은 학교조직 내 공감대 형성 부족과 교육복지에 대한 제도적 한계로 인해 무력감을 경험하게 되지만 신념체계 강화와 사회적 지지의 영향으로 현재의 나를 뛰어넘기와 현실의 벽 인정을 통해 더디지만 찾아오는 보람과 성취감, 성과사회 현실 용인하기로 존재의 의미를 찾아가는 모습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에서 발견된 결과를 토대로 결론에서는 학교사회복지사의 업무수행 경험과정에 대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덧붙였다.

      • 주민생활지원서비스 전달체계 개편에 따른 민관협력 실태 및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정석희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의 주민생활지원서비스가 주민에게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1차 주민생활지원서비스 전달체계 개편 지역인 경산시의 공무원 및 보건, 복지, 고용, 주거, 평생학습 등 지역의 주민생활지원서비스와 관련한 업무를 하고 있거나 지역복지협의체, 주민네트워크에서 활동하고 있는 대상자를 중심으로 지역사회복지협의체와 주민네트워크의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문제점을 규명하여 주민 중심의 민관협력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발전방향에 대하여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역사회복지협의체에 대하여는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구성에 대한 인식이 미흡하여 사회복지전달체계에 대한 도움 정도도 높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상호협력적인 운영이 필요하고 여기에 수반되는 사업비의 충당을 중앙과 지자체에서 어느 정도 부담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현재 시행되고 있는 분기별 1회의 정기회는 매월로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주민네트워크에 대하여는 지역사회복지협의체에 비하여 주민네트워크에 대한 인식과 도움정도가 높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지역사회복지협의체와 마찬가지로 상호협력적인 운영이 필요하다고 나타났으며, 재정적인 지원에 있어서, 중앙과 지자체는 물론 이를 이용하는 민간의 회비형태의 재정적이 부담도 수반되어야 한다고 나타났다. 그리고 지역주민의 복지욕구와 자원상태를 반영한 실제 지역사회복지에 기여할 수 있고, 민과 관, 민과 민 사이의 네트워크 형성, 지역사회 내 자원의 동원 및 관리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발전해 나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지역사회복지협의체와 주민네트워크의 상관성에 대하여 기능의 관계성, 향후 발전방향, 실질적 도움정도, 민-민간의 네트워크 필요성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 상호 중복되는 관계로 주민네트워크로 일원화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지역사회복지협의체와 주민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주민생활지원서비스 전달체계의 운영 실태를 바탕으로 발전방향을 살펴보면, 지역사회복지협의체와 주민네트워크 간의 명확한 역할분담 내지 일원화를 통한 업무의 효율성을 추구하여야 하며, 주민생활지원서비스 전달체계개편 취지에 대한 명확한 인식과 함께 제도를 담당하고 있는 공무원들의 업무역량 제고 및 협업체계가 요구되어 진다. 그리고 운영상에 있어서 재정적인 뒷받침과 지역자원 발굴과 주민서비스 통합시스템의 조기구축으로 복잡하고 비효율적인 주민생활지원서비스 전달체계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공공과 민간이 유기적인 협력체계를 가지고 전달체계 개편에 임해야 할 것이며, 아울러 정부에서는 정책적이고 제도적인 뒷받침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자면, 민관협력에 대한 인식과 제도적인 뒷받침의 부재로 뿌리내리지 못하고 있는 네트워크에 대하여 지역적인 발전방향 뿐만 아니라 바람직한 민관협력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정책적인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tends to understand the operation status of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Council and Citizen network and to examine the problems related with the status. The development course to establish a citizen-centered civilian and government cooperation system should be found out so that the resident life supporting system can be carried effectively on the spot to the citizens. Followings are the result of this study as for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council, as it receives low understanding in its structure, the level of help for the social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 is not shown high. It is desirable that mutual cooperative operation should be required and working expenses should be shared by both central are local government. It is also desirable that the regular meeting which is held tri-monthly should be changed to the monthly meeting. The recognition of local residents' network and the level of help are shown high compared with that of community social welfare council. The necessarily of the mutual cooperative operation is indicated like community social welfare council. All financial expenses should be borne by the civilian type fee as well as local and central government support. Local residents' network should be developed to contribute to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which reflects on the local residents' desire for welfare and resource situation, and to establish networks between civilians and government and among civilians which can carry out the mobilization and maintenance of community resources. as for the inter relation between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council and Local Residents' Networks the result of the research on the correlation of function, development course in the future, the level of substantial help necessity of network among civilians, revealed the desirability of unification of network into the local residents' network on account of overlapping. as for the development course of community social welfare council and local residents' network on the basis of the operation status of resident life supporting service delivery system, the job efficiency through the share of function and the unification of business should be pursued. The purport of the reform of resident life supporting system as well as cooperative work system should be clearly understood. The reconsideration of service capability of government officials who are in charge of the system is to be required. The problems of complicated and inefficient resident life supporting service system should be improved through the financial support and the cultivation of community resources and the early establishment of the unified resident service system. In conclusion, the delivery system should be reformed with the official, unofficial organic cooperative work system and the policy and the system should be supported by the government.

      • 교회사회복지사업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기독교한국침례회를 중심으로

        서덕원 목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831

        오늘날 한국교회는 양적 성장에 비해 교회의 사회복지사업 참여가 매우 부족하여 사회선교적 사명을 소홀히 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침례교단의 사회복지사업은 타 교단에 비하여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이는 학술적 연구와 실천이 초보단계에 머무르고 있으며, 교회사회복지사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구체적으로 파악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또한 개교회의 특성에 따라 어떤 방식으로 복지사업을 수행해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개선방안도 제시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교회사회복지사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이고, 교회의 특성별로 어떤 자원을 어떻게 동원하고 어떤 복지사업을 전개해가야 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아울러 지역사회를 향한 교회의 사회복지사업 참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보다 적극적이면서 효율적으로 지역사회를 섬기기 위하여 교회 안의 자원들을 어떻게 발견하고, 개발하여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침례교단의 교회사회복지사업 활성화를 위하여 교회내의 사회복지 자원 동원 방안 및 활용방안을 구체적으로 논의하는 데 있다. 즉, 교회 내의 활용 가능한 자원의 종류와 양, 그리고 교회의 자원활용 실태를 분석하고, 각종 교회자원의 동원 및 활용방안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교회사회복지사업의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교회의 특성에 따라 사회복지사업 수행도에 의미 있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회의 사회복지사업 수행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각각의 영향요인을 발견하여 이를 개선해 나가야 할 필요가 있다는 인식 하에, 목회자의 특성·교회의 재정자원·시설자원·인적자원·조직자원이라는 5개 요인과 관련된 변인이 교회의 사회복지사업 수행도에 각기 다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연구가설에 대한 검증 결과, 교회의 사회복지사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적자원이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조직자원, 목회자 요인, 재정자원, 시설자원의 순이었다. 따라서 교회의 사회복지사업 수행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교인들에 대한 사회복지사업 관련 교육 훈련을 강화하고 참여를 강조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교인들로 하여금 성서의 교훈을 실천에 옮길 수 있도록 적절한 동기를 부여하여야 한다. 둘째로, 교회의 사회복지사업을 보다 전문적이고 효율적으로 실천할 수 있기 위하여 전담부서 설치와 함께 전문인력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신학교육과 함께 사회복지학을 전공한 목회자를 양성하고 교회의 사회복지사업 전담부서 또는 조직에 채용함으로써 전문성을 추구해야 한다. 셋째로, 목회자는 교회의 사회복지사업 실행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므로 이들에 대한 교육과 정보제공을 통한 동기 부여 및 현장경험을 실시해야 한다. 넷째로, 재정 및 시설자원은 교회의 여건에 따라 단시간 내에 확보되는 것이 아니므로 중, 장기적인 계획을 세워 교회의 형편에 맞게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진행해 나가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교회사회복지사업 활성화를 위하여 교회내의 가용한 자원의 종류와 양, 현재 교회의 자원활용 실태를 분석하고, 각종 교회자원의 동원 및 활용방안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상당한 의의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조사대상 교회가 침례교단으로 국한되어 있는 관계로 침례교단의 사회복지사업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 방안은 제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방안들이 침례교단 이외의 다른 교단 소속 교회로까지 일반화시켜 적용하는데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교회의 사회복지사업 수행도나 교인의 사회봉사 참여도 등을 목회자의 자의적 보고에 의존함으로써 실제 수행도 및 참여도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다른 교단과의 비교연구와 목회자와 성도, 제직 전부를 조사대상으로 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실제 교회사회복지사업을 실행하고 그 과정에서 자원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측정하는 실험적 연구가 후속연구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Contemporary Korean churches are criticized that, compared to the remarkable quantitative growth, their participation in social welfare service has been minimal. In other words, they have neglected their social mission. Among many church alliances, especially the Korean Baptist Church Alliance(KBCA) has been less active in social welfare service. There are several reasons for this. Firstly, the academic study and the corresponding practice on church social work have not been accomplished sufficiently. Secondly, the factors influencing churches' participation in social welfare service have not been analyzed deeply and concretely yet. Finally, the practical methods that are implementable for each individual church according to its own particularity have not been clearly defined. Therefore, it must be explained in detail that what factors affect a church's participation in social welfare service, how it mobilizes what kind of resources, and what kind of social work it should actively involve. In addition to them, in order for a church to recognize the significance of its role and mission in social welfare service and to serve its local community actively and effectively, how to discover and utilize a church's potential resources it already possesses should be analyz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appropriate methods of mobilizing a church's potential resources for church social work and to promote vigorous utilization of the methods. That is to say, I attempt to analyze the kinds of and the amount of resources that a church possesses, to investigate how effectively the church has made use of the resources, and to contribute to promoting active participation in church social welfare service by finding and suggesting the alternatives for resource mobilization and application. In the process of this study, I have found meaningful differences in churches' execution of social welfare service according to their particularity. Thus, in order to promote church social work, it is necessary to examine each individual factor influencing church social work and to develop the corresponding betterment for each factor. Bearing this in mind, I set up a hypothesis that five factors within a church, that is, ministers' characteristics, financial resource, facility resource, human resource and organization resource, affect the church's participation in social work. As the outcome of the verification of this hypothes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church social work is human resource, and the next are organization resource, minister factor, financial resource and facility resource in order. Therefore, in order to encourage churches' participation in social welfare service, the reinforcement of education and training to the members of the churches on social welfare service and the emphasis on the significance of their participation are more essential than any other things. Also, churches ought to motivate the members to exercise the Biblical lessons willingly and actively. Secondly, in order to implement more effective and professional church social work, it is inevitable for a church to establish a department or an office within the church, which is in full charge for the social work, and at the same time to secure abundant experts. In other words, a church should pursue the speciality by nurturing professional ministers who study both theology and social welfare and by establishing a full-charged department or an office. Thirdly, ministers need to get appropriate education and enough information and to obtain field experience for their own motivations, because they have enormous influence on their churches' participation in social welfare service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Finally, each church should plan and implement proper medium- and long-term programs that are applicable for itself, in order to secure financial and facility resources, which are not obtained in a short period of tim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it analyzes the kinds, the amount, and the degree of application of the potential resources that a church possesses for church social work and that it suggests solutions for mobilizing and utilizing resources effectively. However,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limited to the KBCA. Though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KBCA, they may not be suitable to be generalized covering all Korean churches or church alliances. Besides, the real participation may be different from that of the churches' reports on their social work, which I have utilized in this study, because the reports were made voluntarily by the churches themselves. Accordingly, I suggest that a comparative study with other alliances and further studies which investigates all church members' characteristics including deacons' and elders', as well as ministers', be accomplished. Also, experimental studies on measuring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utilizing resources in the process of church social work should be carried out.

      • 노인복지정책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김재옥 檀國大學校 行政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8831

        노인복지는 사회복지 영역에 포함되어 있으나, 다른 사회복지분야보다 뒤떨어져 있어 초보적 단계를 면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그런데 국민 생활수준의 향상과 과학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수명은 점점 연장되어 급속한 노인인구의 증가를 초래함으로서 노인문제가 사회복지 영역 중에서 당면한 최대의 관심사로 인식되게 되었다. 현재의 노인문제에 관한 한국의 사회복지 정책은 전체적인 노인인구에 상응하는 제도적 보완책에 불과한 편이다. 이러한 견지에서 노인복지정책은 현재의 노인 인구층만이 아니라 다음 세대에 나타날 노년인구층에 대하여 어떠한 방법의 사회복지 정책이 적합할 것인가라는 안목에서 인식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노인복지정책이 헐벗고 굶주린 사람에게 생명 유지를 위한 임시 변통적인 대응책이 아니라, 노후생활의 경제적 측면은 물론이고 정신적·사회적 측면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접근을 통해 노인의 전체 생활 속에서의 욕구를 충족할 수 있도록 종합적인 정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이같은 문제의식을 전제로, 본 연구는 서론과 결론을 합쳐 5개장으로 구성하였다. 그 내용을 간추리면, 우선 노인복지에 관한 이론적 접근으로서 노령에 관한 제이론, 노인복지의 개념과 문제의 발생배경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노인복지의 현황을 검토하되 사회복지의 제도적 측면과 사회복지서비스적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그에 따라 노인복지의 문제점을 발견하려고 하였다. 여기서 간과할 수 없는 것은 경로사상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 노인복지의 제도적 문제점을 지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한국 노인복지의 과제와 개선방안에 대한 정책을 제시하되 사회보험적 측면과 노인복지정책의 기본방향 틀을 설정하고자 시도하였다. 그 결과 첫째 노인의 소득보장 면에서 노후생활을 도울 수 있는 국민연금제도 가 2000년 10월 1일부터 시행될 예정에 있지만 그 내용을 보면 그 보호 수준이 최저 생계비에 훨씬 못 미치는 수준에서 책정되었고 재원조달과 재원의 효율적인 사용문제에서도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다. 둘째로 노인의 의료보장 면에서 의료보험은 여러 가지 문제점 중에서도 수혜범위가 좁은 것을 지적할 수 있다. 노인에게 적용되는 의료보험은 부양자녀가 전제되는 것이므로 실질적으로 노인복지에 직결되는 것이라고 할 수 없다. 앞으로도, 노인복지에 관한 연구는 끊임없이 지속되고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The welfare of the aged, though it is included in the range of social welfare is still in an early stage because it has been behind other social welfare range. But with results of the bettermant of national standard of living and the developments of science and medicine, human's life has lengthened and the population of the aged has increased, and so that, the problem of aged is now recognized as the most interesting one among the fields of social welfare. Today, the social welfare policy for aged in Korea is more than a complementary measure for the total policies of the old people's population. In the respect, we should approach and recognize the problem in the view point of not only the layer of present aged people but also the one of next generation. The policy for the aged, therefore, should be established synthetically in order not to be a temporary counter-measure for sustaining the hungry men's life, but to make their needs satisfied in their total life, with supporting them in the various fields of the spiritual, social, and cultural sides, as well as economical one. Presupposing the above problems, this thesis consists with six chapter including preface and conclusion. To summarize it ; As a theoretical approach, first of all, I survey the concept of the welfare of the aged and the background of the problemetic through data and theories. Basing on the theory, I study the reality of welfare of the aged, and investigate in Korea. With this, I tried to find the problems of the welfare of the aged that I could not overlook here. Through the process, I tried to establish the fundamental improving direction of the old people's welfare policy in Korea. I should say it is here that there is a core of this study. Studies on the welfare of the aged must be lasted and inquired without stopping, for this is the most serious problem in modern society. It could be said that this study is the humble attempt to encounter with it.

      • 도시지역 가족문제 해결을 위한 지역사회복지관 개입에 관한 일 연구 : 이용자와 제공자의 관점을 종합하여

        정소영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831

        We live in the information society experienced with rapid change. This change has an influence on form and function of family. And also this change demand a new family concept which is deviated from traditional family concept. After the foreign exchange crisis, the increase of family of unemployed parents brings about the social problem and family crisis. Therefore it is evitable that the national and private organization intervene in family and the need of family welfare service in a community is seriously deman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tervention of community welfare center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ocial welfare need in order to cope actively with family problems. The comprehensive approach considering the user and server is taken for this intervention. The study questions for this purpose is as follows; 1) analyze the change and the problem of family 2)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 and the problem of the family welfare program at community welfare center 3) analyze the family welfare need in the viewpoint of user 4)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family welfare service practice in the position of server 5) examine the intervention of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for settlement of the family problem through the research on documents and the actual condition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of 400 residents at Bongcheon 10 dong and Bongcheon bon dong near C center. This study include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 family system, the fostering of child, the support of the parents, the family relationship, the economic problem, the need of social welfare service and the analysis of the actual condition of offering social welfare service through the case study of social welfare worker in charge of family welfare in C cen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systematize family welfare service for strengthening family function. The result of case study showed the absence of reasonable program standard of classification in the agency. Therefore, systematic standard of classification should be established to develop family welfare service. From this point of view, the researcher proposes four standards of classification of family welfare service which are functions of building family relations up, family welfare practice, economic support and family protection. Second, various programs are required to face rapidly changing and various family needs immediately. The result of survey of needs represents differences of family welfare needs depending on family system, public assistance, gender, age and different analysis of prerequisite for needs of service. For that reason, developing family welfare program is necessary to satisfy various family needs. Third, professional meddling is needed to solve local family problems by family-centered practice. It means professionalism of family welfare service and is significant in offering distinctive services from the other fields.

      • 이혼 예방을 위한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

        김선주 성산효도대학원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8831

        IMF 경제위기 이후 증가되고 있는 우리 사회의 이혼율은 '이혼 공화국'이라는 불명예를 안겨주었다. 최근 통계청에서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2003년에 30만4천9백 커플이 결혼하였고, 16만7천1백 커플이 이혼을 하였다. (1일 평균 약 458 커플이 이혼) 이 통계는 2000년에 33만4천3십 커플이 결혼하여 12만 커플이 이혼한 수치보다 결혼은 9%가 줄고, 이혼은 30.9%가 늘어난 것으로 우리사회의 이혼율이 해를 거듭할수록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혼율 급등현상을 분석해보면 사회 경제 문화적 환경의 급변에 따라 증가하는 추세에 있지만, 개인적으로 일상적 부부생활에서 부딪히는 갈등을 해결하지 못하고 이혼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음을 볼 수 있다. 서로 다른 환경과 가정에서 성장한 남녀가 결혼생활을 시작하면서 부딪히는 문화·가치관의 충돌은 심각한 부부갈등을 초래한다. 이러한 갈등을 적절히 해소하지 못한 부부들은 배우자에게 성격 결함이 있는 것으로 단정하고 서로를 비난하면서 결혼생활이 파국에 이르게 되는 것이다. 이혼 당사자들은 최선의 선택을 했지만 사회의 편견과 자녀양육의 문제 등 새로운 생활에 적응하기까지 정서적·신체적·경제적 고통을 겪게 된다. 또 이혼 가정의 자녀들은 자신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고통스러운 부모의 이혼과정을 지켜보면서 상처를 받고 한부모와 생활하면서 경제적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심한 경우 소년소녀가장이 되어 가사노동에 시달리기도 하고, 이혼하는 부모로부터 버림받고 시설에 입소하는 자녀도 해마다 늘고 있다. 가족해체로 인하여 질병에 시달리며 손자를 키우는 노인도 증가하고 있고, 자식에게서 버림받고 자살하는 노인 문제도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렇듯 이혼으로 인한 가족해체는 사회병리현상을 초래하면서 나날이 증가 하고 있지만 이혼 가족에 대한 사회복지 서비스는 미미한 현실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을 준비하고 있는 예비부부들에게 결혼예비교육을 통하여 결혼에 관한 지나친 환상이나 비판에서 벗어나 예비부부들이 꿈꾸는 결혼에 대해 진지한 탐색을 해보고 결혼 후 가족생활을 위한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결혼생활에 대한 이해를 도와준다. 둘째, 가족 구성원들이 긍정적인 가치를 강화하고 사회 기능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사회복지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보급하여 건강한 가정을 유지하도록 도와준다.. 셋째, 결혼생활에서 겪게 되는 어려움으로 이혼을 고려하게 될 때 전문사회복지 상담사를 통하여 부부갈등을 해결하도록 돕는다. 행복한 가정생활을 위해 부부가 같이 동참하여 이혼에 대해 보다 차분하고 객관적으로 심사숙고함으로써 후회 없는 결정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넷째, 이혼을 선택한 당사자들과 가족들이 새로운 생활에 적응할 수 있도록 법적, 경제적, 정서적, 사회적응 등 다양한 사회복지서비스를 통하여 대처방안을 모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마지막으로 지역사회와 사회복지기관과의 연계방안을 구축하고 사회복지 서비스 프로그램을 활성화 하여, 이혼을 예방하고 가족 해체로 인한 사회 병리 현상의 확산을 막기 위한 노력을 한다. 이혼은 개인의 문제라는 편견을 버리고 사회 전반에 병리현상을 일으키는 사회의 문제임을 우리 모두가 인식하고 이혼예방을 위하여, 이혼당사자와 이혼 가족들을 위하여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활용하고 적극적인 지원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Korea's rise in the rate of divorce following the Asian economic crisis have brought upon the dishonor of being labeled "the divorce republic." According to a recent data released by th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in the year 2003, 304,900 couples were married and 167,100 couples have divorced, resulting in about 458 couples filing for divorce daily. Comparing this data to the year 2000, when 334,030 couples were married, marriage decreased by 9 percent while divorce increased by 30.9%, showing a phenomenal annual increase in the rate of divorce. Although an analysis of the increase in the rate of divorce may be due to rapid changes in the socio-economic and cultural trends of our environment, it is also evident that the inability to resolve everyday personal conflicts adds to reasons couples pursue divorce. It is inevitable when two people who grew up in different families and backgrounds and share different culture and values to gradually have conflicts. Therefore, couples incapable of resolving such complications eventually criticize each other blaming character defects, putting a catastrophic end to their marriage. Although the contracting parties of the divorce may have tried their best, their social reputation, rearing of children, and adjusting to their new life accompany emotional, physical, and economic pain. In addition, children raised from divorced parents suffer from watching the painful process and sometimes experience economic hardship. Moreover, in certain severe cases, they suffer from household labor serving as a head of the family, and children entering orphanage facilities are increasing annually. Consequently, family breakups resulting from divorce have brought about many social issues. However, in reality, welfare services to combat these problems are still insufficient.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he following: First, by providing prior education to couples planning marriage, they would escape from fantasies or criticisms and search for the truth meaning of their marriage. Moreover, following their marriage, social welfare programs intended to help better understand marriage life would be commenced to aid their family life. Second, by developing and providing social welfare education programs intended to strengthen the family members' positive values, this goal aims to maintain a healthy family. Third, when considering the possibility of filing for divorce from complications resulting in marriage life, one should try resolving the tensions through the help of a professional social welfare consultant. By jointly and patiently contemplating the possibility of divorce, they could formulate a decision without regret and qualms. Fourth, for the contracting parties who chose divorce to properly adjust to their new life, help should be given to find legal, economic, emotional, and social welfare. Last, try finding a link between the regional society and the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revive social welfare programs to prevent divorce and social issues that rise from family breakups. Leaving behind a common notion that divorce is simply a personal matter, we should rather be conscious that it is a social issue. Hence, to prevent divorce, social welfare programs must be revived and respective support systems must be in place for both the contracting parties of divorce and their families.

      • 사회복지시설 입소자의 인권에 관한 연구 : 장애인생활시설을 중심을

        이완영 숭실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사회복지시설 입소자의 인권에 관한 연구로써 사회복지 시설 운영에 있어서 입소자 인권에 미치는 다양한 요인 중 시설의 일반적 특성, 시설 종사자의 처우, 시설 개방화요인을 중심으로 인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연구이다. 사회복지시설 운영에 있어서 입소자의 인권을 최대한 존중하며 운영하는데 이러한 요인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나아가 바람직한 시설운영을 하는데 입소자의 인권을 존중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를 하게 된 동기는 인권의 사각지대라고 할 수 있는 사회복지시설에서 시설의 다양한 운영상의 문제가 일어나고 있으며 시설 입소자 중심이 아니 공급자 중심의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는 폐쇄적인 시설운영을 하고 있는 시설들이 많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과연 시설이 좋고 규모가 크며 의·식·주만 잘 해결해 주는 것으로 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입소자의 행복한 삶과 인간으로서의 권리 즉, 인권이 보장되는 것인지, 또 시설운영의 다양한 요인들이 입소자의 인권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것인지, 어떠한 시설운영이 입소자의 인권을 보장하기 위한 것인가 하는 의문에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갖고 우리나라 장애인복지시설을 중심으로 시설의 일반적 특성, 시설종사자의 처우에 따라, 지역사회 개방화에 따라 입소자 인권 차이, 그리고 시설 입소자의 인권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하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종속변수는 입소자의 기본권, 자기결정권, 개별성으로 구분하여 이를 인권으로 하였으며 독립변수는 시설의 일반적 특성, 종사자의 처우, 운영상의 개방화로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조사 대상은 2007년 장애인복지시설평가지표를 2차 자료로 활용한 연구로써 전국 장애인생활시설 203곳으로 서울지역을 제외한 15시도에 위치한 시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WIN 1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조사도구의 신뢰성 분석을 위해 내적 일관성 분석인 Cronbach's 계수를 사용하였고 빈도분석을 실시하여 시설의 일반적인 특성과 전체적인 경향을 파악하였고, 시설의 일반적 특성 및 독립변수의 집단별 차이를 보기위해 t-검증(t-test)과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시설의 일반적 특성 요인과 시설 종사자의 처우요인, 지역사회 개방화 요인이 시설 입소자의 인권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관계를 분석한 후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주요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사회복지시설 입소자의 인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결과를 보면, 시설의 일반적 특성 중 시실이 위치한 지역에 따라 입소자 인권에 영향을 미쳤다. 즉, 시·도에 위치한 사회복지시설보다 광역시에 위치한 시설에서 입소자의 인권이 더 잘 존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시설 종사자의 처우가 잘 되는 시설일수록 입소자의 인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시설 종사자의 처우 체계가 잘 구축되어있고 명문화 되어있으며, 이에 따라 승진과 보상이 잘 이루어지는 시설에서 입소자의 인권존중이 잘 이루어지는 것으로 알 수 있다. 시설의 지역사회 개방화에서 시설 정보의 개방화, 지역사회와의 관계수립이 높을수록 입소자의 인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인적·물적 자원의 개방화, 프로그램의 개방화는 인권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립지원프로그램, 외부지원 프로그램, 후원금·품 관리, 후원자 관리, 직원채용은 사회복지시설 입소자의 인권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시설 접근성, 자원봉사 교육, 자원봉사자 개발 및 관리, 자원봉사 활용, 지역사회교류, 실습교육, 입·퇴소 승인철차, 사업홍보가 잘 될수록 입소자의 인권이 잘 존중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이론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시설의 지역사회 개방화가 입소자의 인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회귀분석에서 개방화 중 정보의 개방화, 지역사회와의 관계수립이 높을수록 입소자의 인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사회 개방화와 입소자의 인권을 생각할 때 우선 지역사회화의 관계수립과 정보의 개방화를 활성화 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지역 주민이 시설에 적극적으로 관심을 갖고 다양한 부분에 참여하여 자원봉사자나 지역주민의 의견이 시설 운영에 반영되게 하여야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시설 운영자의 독자적인 시설운영과 폐쇄적 운영에서 탈피하고 시설 입소자와 지역주민이 함께 운영의 주체에 합류하게 되어 결국 시설 입소자의 인권보호와 존중을 유지하고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시설 종사자의 처우가 입소자의 인권에 미치는 결과로써 직원들의 인사평가체계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생활시설에서 근무연수가 짧은 이유는 임금수준과도 관련이 있지만 승진에 있어서 어려움, 시설장들의 독단적인 운영, 의사결정구조의 비민주성, 그리고 사회복지 분야에 대한 일반의 낮은 평가 등이 그 이유라고 할 수 있다. 즉 직원들의 자기실현 욕구가 충족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직원들의 자아실현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철저한 평가에 대한 승진이나 포상, 인센티브와 같은 시스템이 명백하게 규정되어야 한다. 특히 명백하게 규정된 인사평가체계의 구축은 시설 입소자 보호책임이 있는 종사자들에게 있어 책임감을 증진시키고 나아가 입소자의 인권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분석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광역시 보다는 시·도 지역에 위치한 시설에서 입소자의 인권이 낮게 나왔다. 이러한 결과로써 시설의 지역 차별화, 그리고 미신고 시설에 대한 강력한 규제가 있어야 한다. 특히 지방에 미신고 시설이나 폐쇄적인 시설들이 많아 이들을 통제하고 입소자의 인권이 보장될 수 있는 법 제정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주기적으로 시설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에서의 평가가 이뤄져야하고 잘 운영되는 시설에 대해서는 인센티브가 제공 되어야 할 것이다. 을 확충하여야 한다. 결론적으로 사회복시시설 입소자의 인권을 존중하고 보장하고 위해서는 시설의 개방적인 운영을 통한 지역주민과의 상호교류가 활성화 되어야 한다. 이러한 상호교류를 통해서 지역주민들의 부정적인 편견을 없애며 시설 입소자에 대한 인식이 좋아지도록 시설의 개방화와 함께 시설 종사자들의 처우 개선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is one on human rights of those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explores how the elements, such as general characteristics, treatment of the employees and openness of the facilities, influence on human rights of those in the facilities. The facilities are operated with the maximum respect to the human rights of those staying there.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highlight that necessity and to find a way to make the facilities put more weight on human rights in administering the facilities. This study was motivated by the various operational problems which had occurred in the facilities, the so-called blind spots of human rights, even some of where the supplier-oriented, not user-oriented, services are provided. The study started from the questions that only with a well-furnished and sized hardware providing with the necessaries of life, whether happy life and human rights of those in the facilities are ensured, how the different factors of the operation have an impact on their human rights, and which operation can secure their human rights. Following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focus of the study was set: focusing on th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how the elements, such as general characteristics, treatment of the employees and openness of the facilities, influence on human rights of those in the facilities, and what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their human rights. A dependent variable was human rights which are detailed as the basic rights, the discretion and individuality of those in the facilities. An independent variable was measured as general characteristics, the treatment of the employees and the level of openness of the facilities. The subject of the research, which applies the assessment indicators of 2007 for the disabled facilities as the second source, was 203 facilities for the disabled located in 15 shis and provinces, except Seoul. The numbers are analyzed with SPSS WIN 13.0. To analyze the reliability of the research tool, the method for Cronbach's coefficient, or the internal consistency analysis was us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whole tendency of the facilities were examined. The t-test and the One-Way ANOVA were performed in order to se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differences of the independent variable among groups. In order to examine the impact on human rights by the factor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 treatment of the employees and the level of openness to the local community of the facilities, correlation was analyzed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n. The main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Out of the results,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 location of the facilities had an influence on the human rights of those staying there. That is, the human rights are more appreciated in the facilities located in metropolitan cities rather than those in shis and provinces. In addition to that, the better the workers in the facilities are treated, the more positive impact there had. It means that human rights are more respected in the facilities where the treatment system for the employees are well-established and stipulated and the promotion and the compensation are well-made. As for the level of openness to the local community, the higher the level and the rela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are, the more positive impact there had. Human rights appeared not to be affected by the openness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and programs. Self-sustenance programs, outside-support programs, administration of donations and donors and recruitment did not affect the human rights of those in the facilities. The better the accessibility to the facilities, the education, development and administration, and practical use of the volunteers, exchanges with local communities, practical training, process of entering and leaving, promotion of business are, it means the human rights are more respected.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are as follow. First, in the regression analysis to look into the 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openness of the facilities and human rights, the level of information openness and forming relations with local community appear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human rights. Therefore, those two factors can be said to be most important for human rights of those staying at the facilities. By the participation of the local residents in the facilities, the opinions of volunteers and local residents should be projected to the operation of the facilities. It would prevent the operators from taking his own and closed way. Thereby those in the facilities and local residents can participate in the operation of the facilities and it leads respect to the human rights to be promoted and maintained. Second, as for the treatment for the workers, performance rating of the employees appeared to have an effect. The short working period in the welfare facilities relates to the level of wage. However, difficulties in promotion, arbitrary operation, nondemocratic decision-making system and devaluation of the social welfare field are the reasons as well. It means the employee's desire of self-fulfilment is not satisfied. To meet the desires, therefore, the system about promotion and award or return by thorough evaluation, and incentives should be expressly defined. It can strengthen the responsibilities of staff for the protection of those staying at the facilities and promote their human rights. Third, as the analysis result shows, the state of human rights in the facilities is worse in shis and provinces than in metropolitan cities. Therefore, the facilities should be differentiated and the facilities which are not registered should be regulated strongly. Many unregistered and exclusive facilities are located particularly in the provinces. The laws need to be established to control these facilities and protect human rights there. Local authorities should carry out a periodic assessment on the facilities and the incentives should be offered those in good standing. In conclusion, in order to respect and secure the human rights of those staying at the social welfare facilities, mutual exchanges with local residents should be reinvigorated by open operation. Open operation and improvement of the treatment for the employees are needed to eliminate the local residents' prejudice and make a good awareness to those in the facilities through this mutual exchanges.

      • John Wesley의 사회복지 사상에 관한 연구

        구금섭 성산효도대학원대학교 2004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사회복지 사업의 신학적인 근거를, 성서적 복음주의 전도자이며 사회운동가인 요한 웨슬레의 사회복지사상을 고찰하여 교회사회복지활동(churchs social welfare action)의 기조를 정립하는데 목적이 있다. 요한 웨슬레는 합리주의, 열광주의, 신비주의를 철저히 배격하고 성서와 전통, 이성과 경험에 따른 사변적이고 실제적인 신학을 전개하였다. 당시에 유행하던 인간의 이성을 기준으로 한 합리주의적 이신론은 심지어 교회까지 침투되어 신학은 계시를 떠나 있었고, 다만 신의 초월성만을 주장하여 우리의 삶에는 아무 상관이 없는 신, 숨어 있는 신으로 전락시켜버렸다. 이러한 상황에서 웨슬레는 하나님의 계시와 내재성을 강조하여 형식만 남아 있는 타락한 기독교에 도전하였다. 올더스케잇에서 체험을 통하여 정립한 그의 성화신학은 구원론에 있어서 인간의 책임을 두어 그의 신학에 새로운 전기를 가져왔다. 웨슬레의 성화신학의 특징은 회심 후에 오는 소위 제2의 축복이라 불리우는 성화의 체험 즉 온전한 구원에 있었다. 웨슬레는 지금 여기에서(here and now)의 직접적인 역사를 통해 변화된 그리스도인의 풍성한 삶에 대한 낙관론을 전개하였다. 웨슬레의 성화신학은 이 땅에서 온전한 전인적 구원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래서 구원받은 자의 증거인 사회적 책임을 사회선교 지향적인 사회복지운동으로 나타냈다. 그는 당시 심각한 사회의 병적인 문제해결에 일생을 바쳐 싸워 승리한 은총의 신학자이며 사회복지가였다. 웨슬레는 회심 체험 후, 교회 존재로서의 본질인 성서적 기독교를 구가하였다. 그리고 본질적인 사명을 실천하기 위하여 영혼의 갈증과 빈곤을 느끼는 영적, 정신적 갈등 자들에게 복음을 전했다. 그들의 삶의 정황에 둘러싸인 심각한 문제들을 함께 아파하며 해결하고자 눈물겨운 노력을 했던, 그의 삶이 곧 성화에로의 과정이었다. 역사 속에서 하나님께서 한 인간에게 주신 소명에 최선을 다한 일생이었다고 본다. 웨슬레는 그리스도의 사랑을 담은 복음과 함께 이웃사랑의 표현을 사회적 고통에 대한 책임의식을 갖고 점진적인 성화를 지향한 사회복지운동을 실천한 위대한 사회사업가였다. 웨슬레는 신앙과 삶을 분리하지 않고, 복음과 함께 이웃에 대한 사랑을 실천하여 성화를 정적이면서 동적으로 이해한 역동적인 삶을 살았던 사람이였다. 이것이 그의 사회복지신학이다. 웨슬레의 성화신학은 사회복지신학의 기초이며, 사회적 책임의식을 불러 일으켰고, 더불어 사는 건강한 사회를 지향한 사회복지 운동을 실천하였다. 사회복지를 위한 웨슬레의 사회봉사운동에는 병자방문, 무료진료소운영, 국민건강계몽운동 등의 의료복지와 집 없는 극빈자들을 위한 그룹 홈(group home)인 ‘나그네 친구회’, 노인(모자)복지, 신용조합 등을 운영했다. 종자돈 마련을 위한 기금 모금 및 무이자 대출사업, 가난한 산업노동자들과 그 자녀들을 위한 교육사업인 ‘킹스우드 학교’를 운영했다. 그리고 더불어 함께 잘 사는 사회복지를 위한 사회구조변혁운동으로 노예제도 폐지, 여성해방운동, 교도소 제도 개혁운동, 노동운동 등 영혼구원과 사회성화를 위한 복음전도와 복지서비스(welfare service)적 실천을 위해 일생을 바쳤다. 제도적 문제와 제반 부패-정치, 경제, 사회, 문화, 종교-등 사회적 아픔을 느끼지 못하고, 복음의 내면 지향적(개인구원)인 자세만 취하고, 외향적인 악(사회악)을 향한 전투적인 교회가 되지 못하는 교회는 산업혁명의 후유증으로 고통 하던 18세기의 영국의 교회처럼 역사와는 무관한 한 시대의 유물로 남게 되지 않을까 염려된다. 이제 한국교회는 paradigm의 변화와 함께 사회적 고통에 참여하는 대안 중의 하나로 사회성화를 극대화하는 교회사회복지를 구체적으로 실천 할 때이다. In this study, the keynote of churches social welfare action is formed by considering John Wesley, a preacher of the Bible evangelism and a person engaged in a social movement. John Wesley developed speculative and real theology according to the Bible, tradition, reason and experiment with rejecting rationalism, enthusiasm and mysticism, thoroughly. In those days, rationalistic Deism was widely known, which affected the churches. Therefore, the theology fell down from revelation and only God was sunk into transcendental being separated human society. In these situation, John Wesley challenged a corrupt and formal Christianity emphasizing God's revelation and divine immanence. His sanctified theology was organized through experience at Olderskeit, which was based on human duty in eternity. The characteristic of his was the emphasis of whole sanctification, which was so called the second blessing. He developed an optimistic view about the Christian life changed throughout experiment of 'here and now'. John Wesley's sanctified theology was based on the eternity of whole human. The social duty consciousness from the eternized was appeared into the social welfare action for the social missionary work. He was the theologian and the social welfare agent for his lifetime. After undergoing a change of heart, John Wesley pursued the Christianity based on the Bible. And he put in practice according to the Bible. These his life was exactly the way of sanctification. He did the social welfare movement pursuing sanctification with the sense of responsibility about the social pain. He was not separated belief and life. He practiced the love for neighbor with the Gospel. Namely, he lived comprehending sanctification actively and quietly. That was the his social welfare theology. John Wesley's sanctified theology was the basis of the social welfare's, raised the sense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practiced the social welfare movement for social coexistence. His movement was consisted of the medical welfare; patient visit, free medical clinic management, health enlightenment movement and et al., the group home for a pauper, the silver welfare, the lending welfare, the school operation, the social system reform movement; the antislavery, the feminism, the prison reform and the labor movement, and welfare service. Consequently, the churches must be interested in the social problem. If the problem is overlooked, the churches remains a relic of the past like the churches of England in the 18th century. Now, the churches of Korea must practice the social welfare for elevating the social sanctification along with changing paradigm.

      • 교회의 지역사회복지 실태 및 개선방안 : 도봉구 소재의 감리교회를 중심으로

        박정자 광운대학교 정보복지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831

        이제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국가와 사회기관의 활동에 교회가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교회만이 담당할 수 있는 역할을 계발하여 차별화된 서비스제공이 필요한 시대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교회가 추구하던 사회복지에 대한 기존 방향에 대한 전환이 어느 정도 불가피하며, 목회자 역시 목회 사역으로서 지역사회를 섬기는 일에 더 많은 관심과 노력이 필요할 때라고 생각한다. 지금까지 한국교회의 초점은 개인의 영혼구원과 교회성장, 즉 복음주의적 선교전략에 온 힘을 기울여 왔다. 그러나, 교회 안에서는 많은 개인적․사회적 문제와 비윤리적인 모습들이 해결되지 않은 채 있어 왔다. 매스컴을 통해 등장하는 기독교에 관계된 좋지 않은 보도와 관련하여 교회는 사회에 어떤 말을 해 줄 수 있을까? 교회와 목회자와 그리스도인의 문제는 결국 ‘교회 이기주의’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교회의 이기주의는 세상 사람들이 갖고 있는 교회에 대한 시선이 좋지 않은 것으로 변화되게 하였다. 모든 사람마다 자신의 고유한 역할이 있는 것과 같이, 교회도 나름대로의 역할이 있다. 바로,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라’는 기독교의 가장 중요한 두 계명이다. 현재 정부는 소외되고 외면당하고 있는 국민들을 다 책임지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민간 사회단체들과 종교단체에 그 책임을 나누어 질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교회는 교회가 사회복지사업에 미약하다는 평가에 대해 깊이 반성하고 교회의 본질을 회복해야 한다는 소리에 귀 기울일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교회지도자들이 해당 지역에 대해 관심을 갖고 지역사회의 문제들을 깊이 연구하고, 그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에 교회가 함께 동참하고 도움의 손길을 내밀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교회지역 사회복지의 실태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이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목회자의 지역사회복지 의식은 높으나 실천은 소극적이다. 둘째, 교회 내 자원의 비효율성이다. 셋째, 교회의 지역사회에 대한 전문성과 다양한 프로그램의 부족이다. 넷째, 교회의 지역사회에 대한 전문가와 전담부서의 부족이다. 다섯째, 교회와 지역사회 복지 시설과의 협력이 부족하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목회자 교육의 기회가 확대되어야한다. 둘째, 지역사회 복지를 목표로 교회의 자원이 활용되어야 한다. 셋째, 교회의 지역사회 복지에 대한 전문성 제고와 지역사회와 지역주민의 욕구충족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운영해야 한다. 넷째, 원활한 교회지역사회복지를 위하여 사회복지 전문가와 전담부서가 확대되어야 한다. 다섯째, 교회의 지역복지시설과 협력을 통한 공동체성이 회복되어야한다. 특히, 목회자가 전문적인 지역사회복지 사역을 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장치의 마련과 지원이 필요하며, 현재의 교회 내 조직과 구조를 재정비해야한다. 또한 교인들을 지역사회복지사업에 능동적이고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일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교회는 지역사회를 하나님이 맡겨주신 선물이라고 생각하고 지역 주민의 필요와 상황을 파악한 후 교회의 여건에 적합한 사업을 우선적으로 실시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그리고 교회는 예배만 드린다는 고정관념을 허물고 지역사회에 적극 참여하여 봉사와 섬김의 장이 될 수 있도록 교회의 문을 개방해야한다. 물론 실천과정에서는 지나치게 급진적인 변화를 취하기보다는 교회의 정황과 여건에 맞게 점진적인 개선이 되어야 할 것이다.

      • 한국의 노인복지정책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김정숙 명지대학교 지방자치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831

        현대사회를 노령화사회, 산업화사회, 도시화사회, 과학화사회라고 부르는데 그러한 사회의 주요 특징 중의 하나가 노인인구의 증가와 노인인구의 전체인구에 대한 비율의 증가이다. 21세기를 맞이하면서 우리나라도 고령화 사회에 들어섰다. 특히 고령화 속도가 다른 어느 나라보다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노인문제가 더욱 다양해지고 심각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노인복지정책에 대한 획기적인 사고의 전환이 없이는 앞으로 노인문제는 더욱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급격한 고령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사전 예방적 노인복지정책을 추진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재정적·제도적인 정비를 통해 고령사회에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현재의 노인문제에 관한 한국의 사회복지정책은 전체적인 노인인구에 상응하는 제도적 보완책에 불과하다. 이러한 견지에서 노인복지정책은 현재의 노인 인구층만이 아니라 다음 세대에 나타날 노년 인구층에 대하여 어떤 방법의 사회복지 정책이 적합할 것인가라는 안목에서 인식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의 노인복지정책의 문제점은, 빈곤노인 복지정책, 생활보호제도, 노인보건의료정책, 기타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기반이 미비함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노인복지정책을 적극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재정 및 행정지원도 매우 부족한 현실이다. 1999년도 현재, 정부예산 80조 중 노인복지 예산은 0.24%인 1,900억원이며 320만 노인의 복지를 위한 예산으로는 매우 부족하고, 노인복지행정체계 측면에서도 고령화사회로 인하여 소득, 의료 주거보장, 여가, 취업 등 다양한 복지욕구가 분출하고 있으나, 현재 노인복지 행정체계로는 이렇게 분출하는 다양한 욕구를 감당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그러므로 노인복지정책이 헐벗고 굶주린 사람에게 생명 유지를 위한 임시 변통적인 대응책이 아니라, 노후 생활의 경제적 측면은 물론이고 정신적·사회적 측면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접근을 통해 노인의 전체 생활속에서의 욕구를 충족할 수 있도록 종합적인 정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 방법을 통하여, 우선 현대 한국사회의 노인들이 경험하고 있는 문제와 이에 대한 복지욕구를 파악하고, 선진복지국가의 노인복지 정책을 고찰하여 한국 노인복지정책과 비교·분석함으로써 노인복지정책이 나아가야 할 준거를 설정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주요 연구내용을 간략하게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서술하였다. 즉 우리나라 노인복지정책을 평가하고 이에 따른 문제점을 도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으며, 연구방법은 국내외 각종 연구서적과 자료를 이용하였다. 제2장은 현대사회의 노인들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들을 다루었는데, 이는 경제적 빈곤문제, 신체적 노화와 만성질환으로 인한 건강 및 의료보호문제, 사회적지위와 역할상실의 문제, 심리·사회적인 갈등으로 인한 소외와 고립문제로 요약할 수 있다. 제3장은 미국, 영국, 일본 등 선진국의 사회적 구조에 따른 노인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노인복지정책의 방향을 소득보장 정책, 의료보장 정책, 주택보장 정책, 사회적 서비스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제4장은 우리나라의 복지정책의 실태를 알아보았는데, 이를 파악하기 위해 소득보장, 의료보장, 주택보장, 사회적 서비스로 나누어 다루었다. 제5장에서는 우리나라 노인복지정책의 과제와 개선방안에 대하여 포괄적이고 일반적으로 고찰하여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노인복지 정책을 살펴본 결과, 노인복지문제는 다른 연령층의 문제보다 다양하고 복잡하며 그 문제의 대상폭이 계속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노인복지문제를 장기적이고 거시적인 안목을 가지고 생활안정기반의 조성, 건강한 노후생활의 보장, 복지서비스기반의 확충, 활기찬 노년문화의 형성이 이루어 진다면, 사회복지 서비스는 현재의 저소득 노인위주의 제한적 보호서비스에서 벗어나 전체노인의 다양한 욕구에 대응하는 보편적 서비스 제공체계로 전환될 수 있을 것이며, 수요자 중심의 통합적인 복지 서비스가 제공됨으로써 노인들에게는 만족스러운 양질의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The modern society is defined as aging, industrialized, urbanized and high-tech community. A growing number of aging people and the increasing ratio of elderly people to total population have characterized such a modern society. Facing 21st century, Korea entered an aging society. The aging people's problems are expected to pose a serious threat to Korean society because aging population is increasing more rapidly than any other countries' aging population. The aging people's problems could cause serious social problems unless a drastic changeover in Korean welfare policies for elderly people are prepared. Government should use precautionary measures to address the rapidly growing aging society. It also ought to build systems meeting the demands of an aging society by improving financial and institutional administration. However, the Korean welfare policies for elderly people seems to be only stopgap measures. Given current situation, the welfare systems should consider not only current aging group but also other aging group in next generation in deciding elderly people's welfare policies. The problems in Korean welfare systems lie in the welfare policies for poverty-stricken elderly people, the poor relief systems, the elderly people's medical policies and social security services. In fact,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does not come up to elderly people's expectations. In 1999, the government budgeted 80 trillion won a year for the national budget, apportioning only 0.24% of the budget, 190 billion won, to the welfare sectors for the aged. The amount of budget is definitely insufficient to meet the needs of 3.2 million elderly people. Current welfare systems cannot meet various welfare needs such as high-income, high quality medical services, housing, leisure and stable labour market. Therefore, government should not be committed to only poor relief systems by using band-aid measures, but meet elderly people's demands in various point of mental, social and economical view by making package plans. This paper studies Korean elderly people's problems in modern society and their demands for welfare systems by referring to various literatures. It intends to set criteria on which Korean welfare policies ground by comparing Korean welfare systems with those of developed countrie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The first chapter introduces the purpose, scope and methods of study. It tends to evaluate Korean welfare policy and find problems by using various references and data home and abroad. The second chapter reviews elderly people's problems in our modern society. The problems include economical poverty problems, health and medical insurance problems due to the symptom of senility and chronic diseases, forfeiture of social status and role in traditional society, and alienation resulted from psychological and social conflicts. The third chapter reviews the welfare systems in developed countries such as America, England and Japan in terms of family income policy, medical insurance policy, housing policy and social security services. The fourth chapter investigates the status of Korean welfare systems by referring four sectors such as family income policy, medical policy, housing policy and social security policy. The fifth chapter suggests package programs for improvement plans and government tasks. This paper shows that elderly people's welfare problems are complicated in terms of their structures and scope. Provided that basic foundation of living is prepared, happy retirement life is secured, welfare systems are expanded and active atmosphere for elderly people is produced, social security services could change from current limited welfare systems only for low-income elderly people to general systems which consider all elderly people's living. Consumer-oriented welfare systems are expected to provide elderly people with high-quality medical serv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