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소년의 친구관계와 자아존중감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허지혜 대구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51679

        최근 2~3년 동안 휴대폰의 급격한 기술 발달은 ‘스마트폰’이라는 새로운 문화 도구를 만들었으며, 그 영향력은 ‘스마트폰 중독’으로 확대되었다. 스마트폰이 청소년들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자리하고 있는 현재에 스마트폰 중독은 행동 중독 현상의 하나로 나타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청소년들이 스마트폰 사용에 지나치게 집착하게 되는 중독 행동을 보이면 스마트폰은 더 이상 언어소통을 위한 도구가 아니라, 청소년의 삶을 지배하는 수단이 되어 버리는 것이다. 가족과의 대화가 단절되고, 스마트폰 사용이 아닌 취미활동이나 학교생활에는 소홀해지는 것이다. 인터넷 중독처럼 스마트폰 내에서의 인간관계에만 집착을 하게 되어서 정상적인 성격형성이나 인간관계 형성 또한 어렵게 된다. 본 연구는 청소년 중에서도 중학교 1,2,3학년을 대상으로 하여 친구관계와 자아존중감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에 재학 중인 중학생 6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20.0을 이용하여 설문지를 분석하고 검증하였다. 조사대상을 중학생으로 선정한 이유는 청소년의 초기단계로 본 연구에서 보고자 하는 자아존중감과 친구관계가 신체적․심리적 변화를 겪으면서 구체적으로 형성되는 시기를 중학생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수준에 대한 분석 결과 자아존중감이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성별, 스마트폰 사용 후 인터넷 사용시간 경감유무, 스마트폰 하루 사용시간,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부모님 태도가 스마트폰 중독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각각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스마트폰은 휴대폰의 기능과 PC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가지고 있는 도구이며, 스마트폰 중독이란 청소년기에 보여지는 인터넷 중독, 게임 중독과 비슷한 성격을 가진 새로운 개념의 중독현상임을 알 수 있다. 중독현상의 하나로서 스마트폰의 중독 수준은 높아지고 있으며, 자아존중감이 낮은 청소년일수록, 특히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일수록,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길수록, 부모님의 잔소리와 같은 간섭이 심할수록 스마트폰 중독 수준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며, 청소년이 바람직한 스마트폰 사용 방향을 인식하게 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청소년 복지에서 문제시 되고 있는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예방과 치료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Recently, 2-3 years rapid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mobile phones 'smart phone' has created a new cultural tool, its influence 'smartphone addiction' has been expanded to. Smart phones as a means of communication to offer young people in the current smartphone addiction is a behavioral addiction appears as one of the. In other words, young people use smartphones to be overly obsessed smartphone addiction behavior you see is no longer the language as a tool for communication, a means to dominate the lives of youth will become. Cut off the conversation with your family and hobbies and non-use of smart phones in school is to be neglected. Internet addiction in smartphones like the obsession to be the only normal human relationships and human relationships formed character is also difficult  This study among adolescents in middle school for grades 1, 2, 3, and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s smartphone investigate the effect of addic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Daegu and Gyeongsangbuk-do middle school students enrolled in a survey of 610 people was conducted, SPSS 20.0 and analyzed by using the questionnaire was verified. The reason for selection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surveyed in the early stages of the youth in this study to evaluate the physical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s. While undergoing psychological changes when formed specifically to middle school students had seen. About the level of youth addicted to smartphones analysis esteem affects a smartphone addiction was confirmed that the gender, using smart phones and Internet time captain or not, using smartphones hours a day, parents attitudes about using smart phones the smart phone addiction that significantly affect were eac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unctions of a mobile phone smart phone and the PC is a tool that has a combination of features, smart phones, internet addiction shown in Iranian adolescent addiction, game addiction is similar to the nature of the addiction with a new concept that can be seen. Addiction as one of the higher levels of smartphone addiction, and youth with low self-esteem the more, the more female students than male students in particular, the longer smartphone use, such as parents' nagging interference increases the severity level of the smart phone addiction could se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of adolescents addicted to smartphones with a greater understanding of material will be important to broaden youth is desirable to recognize the direction of smartphones will be able to provide that opportunity. In addition, the youth welfare is at issue in the smart phone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for addiction based on the data is expected to be able to present.

      •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자질요인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춘미 대구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35471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서 정신보건사회복지를 실천하고 있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인성적 자질, 전문적 자질, 선택 동기로 살펴본 자질 요인과 직무만족도의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자질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종합병원, 전문정신병원, 정신보건센터, 사회복귀 시설 등 에서 근무하고 있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 137명을 대상으로 인성적 자질과 전문적 자질, 선택 동기와 직무만족 정도를 파악하고,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자질 요인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가 어떠한지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성적 자질 요인의 특성을 살펴보면,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자격증과 경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즉, 정신보건사회복지사 2급 자격증을 소지한 정신보건사회복지사와 3년 이상~5년 미만의 경력을 가진 정신보건사회복지사가 정신장애인들에 대하여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공감능력은 성별과 경력, 학력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여, 남자가, 기혼자가, 정신장애인들을 더 잘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5년 이상~10년 미만의 경력을 가진 정신보건사회복지사와 대학원졸업자가 공감능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문적 자질 요인의 특성을 살펴보면, 정신보건사회복지사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전문지식은 사례관리와 지역사회자원개발 및 관리로 분류한 지역사회복지서비스에 관한 지식이 가장 높은 지식으로 나타났으며, 전문지식에 대한 자기평가에서도 중요도와 마찬가지로 지역사회복지서비스에 관한 지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과의 관계에서는 남자가, 기혼자, 연령이 높을수록, 정신보건 2급 자격소지자가, 학력이 높을수록 전문지식에 대한 자기평가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현재 1년 동안 이루어진 재교육의 실태를 파악해보면 95.6%가 재교육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만족도에서 보통이상이 95.4%로 나타났다. 실천기술 중요도에서는 정보수집 및 사정에 관한 기술, 개입기술, 지역사회복지실천에 관한 기술, 업무에 관한 기술 순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평가에서는 업무에 관한 기술, 정보수집 및 사정에 관한 기술, 개입에 관한 기술, 지역사회실천에 관한 기술 순으로 실천기술을 높게 평가하였다. 일반적 특성과의 관계에서는, 성별과 결혼상태, 경력, 정신보건 자격증, 근무기관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기혼자가 미혼자보다, 경력이 높을수록, 1급 자격을 소지한 정신보건사회복지사가, 학력이 높을수록 자신의 실천기술을 더 높게 평가하였다. 그리고 슈퍼비전 실시 현황을 살펴보면, ‘거의 받지 않는다’가 35.0%로 30%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슈퍼비전을 받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 중 71.5%가 슈퍼비전에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만족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도 28.5%로 나타났다. 셋째,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선택 동기와 일반적 특성에 관해 살펴보면, 경제적 동기 요인은 결혼상태와 학력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개인적 경험 요인은 학력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에 반해 사회기여 요인은 일반적 특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도의 정도는 보통수준보다 높은 만족도를 보여 자신의 직무에 대체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 결혼상태, 학력수준, 성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자질 요인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실천기술 자기평가가 높을수록, 전문지식 자기평가가 높을수록, 정신장애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공감정도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여섯째, 자질 요인과 직무만족도 사이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실천기술 자기평가가 p>.001 수준에서 가장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자질 요인과 관련하여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정신장애인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와 공감능력, 전문지식과 실천기술을 높여 줄 수 있는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하겠다. 특히 인성적 측면들을 키워 줄 수 있는 교육이나 프로그램 등의 실시가 요구되며,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의 다양한 활동영역에 따른 전문적 지식에 관한 교육도 영역별로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슈퍼비전의 활성화를 통하여 실무경험이 많은 슈퍼바이저가 경험이 적고 덜 숙련된 정신보건사회복지사에게 지식과 기술을 전수함으로써 슈퍼비전을 받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가 보다 효율적으로 역할 수행을 하고 나아가 업무에 대한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여야 하겠다. This study is to identify disposition factors significantly impacting job satisfaction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by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isposition factors and job satisfaction from the perspectives of human nature qualities, professional qualities and selection motive of the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in the communities. The results drawn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or human nature qualities, the attitude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certificates and work experiences of the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That is, the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with 2nd class certificate and those with 3-5 years of work experience showed positive attitude towards mentally disabled people. Sympathy ability of the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work experience and education background: Men and married people showed more sympathy with mentally disabled people. Those with 5-10 years of work experience and postgraduates as a mental health social worker showed higher sympathy ability. Second, for professional qualities, expertise that is considered as important by the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is the knowledge of community welfare service, which has been classified into case study management and community resources development and management. In self-evaluation of expertise, the knowledge of community welfare service was the highest. For reeducation situation conducted for a year, 95.6% of the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received reeducation, and 95.4% of more than average of satisfaction was shown. For practical technique importance, the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thought technique of information collection and assessment, intervention technique, technique of community welfare practice and technique of work as important in order. For self-evaluation, they highly evaluated the technique of work, information collection and assessment technique, intervention technique and community practice technique in order. For supervision situation, 35.0% was seldom supervised, and among the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who were supervised, 71.5% was satisfied with supervision, but 28.5% said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supervision. Third, for selection motive and general features of the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an economic motive factor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rital status and education background. Personal experience factor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ducation background. Meanwhile, a social contribution factor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general features. Fourth, the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showed higher job satisfaction than average satisfaction level, and this implied the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ir job.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by gender, marital status and education background. Fifth, for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disposition factors, as the self-evaluation of practice technique and evaluation was higher, attitude toward mentally disabled people was more positive, and sympathy extent was higher, these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job satisfaction. Sixth,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impacts between disposition factors and job satisfaction, the most significant impact was shown when practice technique self-evaluation was at the level of p>.001. Summarizing these results, a systematic education program to enhance positive attitude, sympathy ability, and expertise and practice technique toward mentally disabled people is required so as to improve job satisfaction in relation to the disposition factors of the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Especially, education or programs to enhance human nature aspects are needed, and the education for expertise according to various activity domains of the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should also be systematically carried out. Through activation of supervision, the supervisors with much of practical work experience can hand down their knowledge and techniques to less skilled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With this, the supervised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need to more efficiently conduct their roles and improve their satisfaction with job.

      • 공공사회복지전달체계에서 기대되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역할에 관한 인식

        정기영 대구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35471

        This study is a research to typify the roles of psychiatric social workers who play significant roles in social service delivery system. This study utilized the Q methodology to achieve such goal. The roles of psychiatric social workers were extracted from Q statements, 142 from the 1st, 62 from the 2nd, and 54 from the 3rd, by establishing a total of 378 Q subjects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literature. The Q statements were operated for the research and analysis by targeting a total of 38 people including government officials responsible for social services, specialized agents for integrated social services, psychiatric social workers, social workers, policy experts and professors of social services. As a result, the key roles of psychiatric social workers are typified as follows in this study: ‘counselor’, ‘supporter’ ‘educator’ and mediator’. First, the ‘counselor’ is most saliently defined by psychosocial assessment, specialized skills, counseling and medical treatment. It appeared to be the element of common function as well as key role in all preceding studies of psychiatric social workers; and it appeared as a typical characteristic that showed the most differentiated standard of role between psychiatric social workers and general social workers. Second, the ‘supporter’ is most saliently defined by sympathy, understanding, support and representation. This is unique compared with other types since it showed specialization in the supportive manner from the stance of the beneficiary of the service from the stance of the client. Third, the ‘educator’ is most saliently defined by family education, crisis intervention, case management, drive and problem solving. ‘Educator’ is analyzed as a role that improves the rehabilitative and social skills by carrying out crisis intervention, case management, and family education. Fourth, the ‘mediator’ is most saliently expressed by analysis of strengths, case management, and liaison. This is an image of a liaison as well as a mediator of a local community who solve problems through case management and analysis of strengths. As the type that is most relevant to this study’s theme, it shows the importance of case management. The Q methodology obtaine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as below. First of all is the aspect of theoretical implication. It is the expanded aspect of sight of practice of psychiatric social service and the composition of various research subjects that included the ordinary people and the government officials for Q Methodology. Also, four typ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obtained from the application of Q Methodology that possesses mutual supplementation of quantitative study and qualitative study, and the utilization of Q subjects and the preliminary data of the final Q statements were suggested. Next is the aspect of practical implication. This study is able to suggest an integrated and practical role to the field workers of the public domain by analyzing as statement of integrated theory. Also, the four types of roles that are suggest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all appeared to support specialization and in order to perform such specialized roles, establishment of a clear position and detailed suggestions for policy with legal foundation is necessary. The utilization methods in regards to the four typ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clear, separate guideline in regards to the duties and the roles in the field of psychiatric social service in social service delivery system is necessary is performing the role of ‘counselor’, the first typ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legal protection of identity and granting of authority is necessary. Second, the need for a separate enactment of code of ethics for psychiatric social workers is suggested when it comes to the role of ‘supporter’, the second type present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rd, raise the service accessibility with increasing manpower in order to perform the role of ‘educator’, the third typ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case management must be carried out as medical treatment not management. Fourth, the development of a linked program (tentatively named Integrated Resource Information System) of government institution’s integrated information network for social services and private institute’s general information system for facilities is necessary to perform the role of ‘mediator’, the fourth typ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본 연구는 공공사회복지전달체계에서 중요하게 인식하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역할을 유형화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Q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사회복지통합전문요원,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사회복지사, 정책전문가, 사회복지교수로 구성된 총 38명을 조사대상으로 Q진술문을 실시하여 조사․분석하고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역할요인의 유형은 다음과 같이 ‘상담자형’, ‘옹호자형’, ‘교육자형’, ‘조정자형’으로 제시되었다. 첫째, ‘상담자형’의 유형은 심리사회적 사정과 전문적 기술, 상담 및 치료가 핵심표현으로 나타났다. 정신보건사회복지사와 일반사회복지사간의 역할기준 차이를 나타내는 유형적 특성으로 나타났다. 둘째, ‘옹호자형’은 공감과 이해, 옹호와 대변자가 핵심표현으로 나타났다. 클라이언트 입장에서 옹호와 지지적인 태도로서 다른 유형에 비해 독특성이 나타났다. 셋째, ‘교육자형’은 가족교육, 위기개입, 사례관리, 욕구와 문제해결이 핵심표현으로 나타났다. ‘교육자형’은 개입장면에 있어서 위기개입, 사례관리, 가족교육 등을 수행하여 재활과 사회적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역할로 분석되었다. 넷째, ‘조정자형’은 강점, 사례관리, 연계가 핵심표현으로 나타났다. 사례관리와 강점접근으로 지역사회의 연계 및 조정자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어 본 연구의 주제와 가장 밀접한 관련성을 가진 유형으로 사례관리의 중요성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른 네가지 유형에 대한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자형’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공공사회복지전달체계에서 별도의 정신보건 분야 직무 및 역할에 관한 명확한 지침과 상담자의 역할을 수행함에 있어 법적 신분 보장과 직무에 따른 권한 부여가 필요하다. 둘째, ‘옹호자형’ 역할에 있어 정신보건사회복지사 별도의 윤리강령의 제정이 필요하다. 셋째, ‘교육자형’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인력을 증대하여 서비스의 접근성을 높이고 관리차원이 아닌 치료차원의 사례관리가 필요하다. 넷째, ‘조정자형’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공공기관의 사회복지통합정보망과 민간기관의 시설종합정보시스템과 연동 프로그램의 개발(가칭 통합자원정보시스템)이 필요하다.

      • 사회복지의 관점에서 본 마음의 행복 : 「요한복음」과 「수심결」을 중심으로

        김종철 위덕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5391

        경제성장에 힘입은 물질적 풍요가 가져다 주는 쾌적하고 편리한 생활 속에서 살아가면서도 정신적 불안과 우울증에 시달리며 이로 인해 자살이라는 극한상황까지 가는 현대인들을 볼 때, 인간은 물질적 풍요 속에서 신체적·생리적으로 편안하고 쾌적한 삶을 산다는 것만으로는 행복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인간은 신체적·생리적인 동시에 정신적인 차원을 가진 존재이며, 이러한 인간의 정신적 안정 곧 마음의 행복이 사회복지에서 중요한 것임을 말해 준다. 향후의 사회복지가 가야 할 길은 경제성장이 가져다준 물질적 풍요 속에서도 행복하지 못하고 정신적 불안에 빠진 사람들이 정신적 안정을 찾고 인간으로 존엄성을 지키면서 살 수 있는가를 확인하고 인도하는 과정이 되어야 할 것이다. 곧 사회복지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길은 인간을 행복하게 하기 위한 복지여야 한다는 것이다. 기든스(A. Giddens)의 지적처럼 행복이란 단순히 부정적인 것들의 존재하지 않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긍정적인 것들이 존재함을 뜻하며, 웰빙(well-being)의 또 다른 표현이라 할 수 있다. 사회복지는 물질적 만족만을 주는 소극적 복지에서 마음의 행복을 주는 적극적 복지로 나가야 한다. 이에 마음의 행복의 길을 잘 규명해주는 두 텍스트를 선택하여 적극적 복지의 문제를 모색해 보았다. 곧 현세에 구원을 얻을 수 있다는 「요한복음」과 마음을 깨달고 닦음으로 행복해 질 수 있다는 「수심결」을 통하여 마음의 행복을 찾고자 하였다. 그 논점은 두 가지로서 첫째, 「요한복음」과 「수심결」을 통해서 마음의 행복을 가로막는 ‘마음의 생태’에 대하여 살펴 보았고, 둘째, 두 텍스트에 함의(含意)되어 있는 ‘행복의 원리’를 사회복지의 관점에서 도출해 보았다.

      • 정신장애인의 직업적응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대구ㆍ경북지역을 중심으로

        김영미 대구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35391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mentally ill's ability to adjust to their jobs and to set up effective social welfare system for the improvement of their ability to acquaint themselves. To achieve this, it made use of the local Rehabilitation Institutions and Mental Health Centers that are located in Daegu and Gyungbouk regions and conducted an analysis for 165 of the mentally Disabled People who have a job experience concern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vocational abilities of these people. The findings are as following. First, there was no indication of any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ir adjustabilities viewed up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However, for the period of job maintenance and post management, the visit of a Vocational Rehabilitation Expert made some meaningful differences. The longer the period that they have a job, the higher their job performances. Also, the post-management through the visit to job places made bigger difference than a plain management. Second, when it comes to adjusting ability built on the Social Skill Training, differences were made by how much training they had. Third, according to the factor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their abilities showed some degree of differences between the sense of self-effectiveness, will to get a job, and satisfactions with their job fields. And last, in terms of the social conditions, the factors including the support from the clinic staff and friends, and social bias influenced their adjustment capabilities. To combine the above findings, we can summarize that the social skill training is prerequisite to improvement of these people's vocational Adjustment Ability. Included in these training programs will be the programs of upshoot their self-respect and desire for a job as well as rehabilitation programs teaching the alternatives to fight against job stress. On these foundations, we should enhance the post management and the social supporting systems by means of job place visit programs. Besides, it might be argued that campaigns to eliminate the public bias toward these mentally ill should continuously be promoted.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직업적응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 고 정신장애인의 직업적응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사회복지적 방안을 모 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구·경북지역의 사 회복귀시설과 정신보건센터를 이용하고 있으며 취업경험이 있는 정신장애인 165명을 대상으로 정신장애인의 직업적응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분석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업적응능력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 았다.취업경험에 따른 직업적응능력에서는 직업유지기간과 사후관리 형태 중 직업재활전문가의 취업장 방문만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직업유지기간이 길어질수록 직업적응능력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또한,다른 사후관리 형태 보다 취업장 방문을 통한 사후관리 형태가 직업적응능력을 높이는 것으로 나 타났다. 둘째,사회기술훈련에 따른 직업적응능력에서는 사회기술훈련의 정도에 따 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직업재활 요인에 따른 직업적응능력에서는 자기효능감,취업의지,직 무만족도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사회·환경적 요인에 따른 직업적응능력에서는 치료진의 지지,친구의 지지,사회적 편견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정신장애인의 직업적응능력을 향상시키기 위 해서는 취업 전에는 사회기술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회기술훈련이 선행되 어야 할 것이다.그러한 사회기술훈련에는 정신장애인의 자기효능감을 향상시 킬 수 있는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과,취업의지를 향상시킬 수 있고 직무 스트레스 대처방법을 교육하는 직업재활프로그램들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그 후 직업재활전문가의 취업장 방문을 통한 사후관리와 사회적 지지 체계의 강화가 지원되어야 할 것이다.또한,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편견 해소를 위한 홍보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정신장애인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이재남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5391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 수준을 알아보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며,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와 경북에 소재한 사회복귀시설과 정신보건센터 이용 중인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총 131부의 수집된 자료는 SPSS PASW 17.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기술통계분석, t-검증과 ANOVA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장애인들이 지각하는 가족 지지는 중간수준보다 약간 높게 타나 났으며 하위영역별로 정서적 지지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정보적 지지가, 물질적 지지, 평가적 지지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이웃 지지 수준은 중간수준보다 낮게 나타났다. 하위영역별로는 정서적 지지, 다음으로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 평가적 지지 순으로 나타났다. 의료인 지지의 수준은 중간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하위영역별로는 정서적 지지가, 정보적 지지가, 물질적 지지, 평가적 지지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삶의 질 수준은 중간수준을 약간 밑도는 것으로, 하위영역별로는 자아감 및 일반적 삶의 질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여가활동 만족도, 가족 및 친척관계 만족도, 주거환경 만족도, 신체 및 정신건강 만족도, 직업 및 하루 일과 만족도, 의․식․경제 만족도, 친구 및 대인관계 만족도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을 살펴본 결과 여자가 남자에 비해 다소 높았다. 교육수준에 따라서는 초등학교 졸업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대학교, 고등학교, 무학, 중학교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결혼상태에 따른 삶의 질에서는 기혼자 집단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미혼, 이혼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의료보장형태와 거주형태, 월평균 수입에 따라서 통계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건강보험 가입자들이 의료보호 대상자들보다, 가족과 거주하는 집단이 독립적으로 거주하는 집단보다, 월평균 수입 100만원 - 200만원 미만인 집단이 ‘없음’집단보다, 200만원 - 300만원 미만인 집단이 ‘없음’집단보다, 300만원 이상인 집단이 ‘없음’집단보다 삶의 질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회적지지 중에서 가족의지지 이웃의지지 의료인의지지 각각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가족의 지지와 의료인의 지지가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주요변수인 사회적 지지에서 가족 지지와 이웃지지 그리고 의료인의지지 하위요인과 삶의 질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가족의지지 중에서 정서적 지지와 정보적 지지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의료인의지지 중에서 하위요인인 평가적 지지가 삶의 질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organized to analyze perceived social support level of the mentally disordered and their quality of life, what differences general traits made to their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and then how their perceived social support affects their quality of life. The research target was the 131 mentally disordered from social rehabilitation center and mental health center for mentally disordered in Daegu metropoltan city and Gyeongsangbuk-do.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social support level of the mentally disordered is average ranging 3.24 out of 5. Each factors of the social support are emotional support average 3.27, informative support 3.27, physical support 3.25, evaluative support 2.50. And the quality level of life that the mentally disordered feel is average ranging 2.98 out of 5. Each factors of the quality level of life are sense of self and general degree of life-satisfaction average 3.18, leisure activity 3.02, family and relative relationship 2.99, housing environment 2.98, physical and mental health 2.94, occupation and daily work 2.92, clothing/food/economy 2.89, friend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2.88. Second, it is found that in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eral traits of the mentally disordered, their family suppor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marital status, health security type, housing type and monthly income. It means, that the mentally disordered who were married and were not married, join national health insurance, live with family were higher the family support level than divorced from spouse, join medical assistance, live not with family, and who have monthly income under one million won and have monthly income under one million-two million won were higher the family support level than have not monthly income. Their neighborhood suppor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marital status, health security type and monthly income. It means, that the mentally disordered who were not married, join national health insurance and have monthly income under two million-three million won were higher the neighborhood support level than divorced from spouse, join medical assistance and have not monthly income. Their medical professional suppor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only their marital status. It means, that the mentally disordered who were not married were higher the medical professional support level than divorced from spouse. And it is found that in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eral traits of the mentally disordered, their quality level of lif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health security type, housing type and monthly income. It means, that the mentally disordered who join national health insurance, live with family and have monthly income under two million-three million won were higher the quality level of life than join medical assistance, live not with family and have not monthly income. Third, the followings show how the social support have effects on the quality of life. Their family support and neighborhood support have a positive impact on overall quality of life. It means, that the higher level of family support and the higher level of neighborhood support led to more overall quality level of life.

      • 병식이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치료순응도와 병대처의 매개효과

        변영아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5375

        정신보건 서비스가 지역사회 중심으로 전환되면서 정신보건의 목적 역시 회복으로 변화되었다. 그러나 오늘날 정신보건서비스가 삶의 질 향상을 통한 회복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하여도 여전히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은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신장애의 매우 중요한 특성 중 하나인 병식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치료순응도와 병에 대한 대처가 어떻게 매개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조사는 2010년 10월부터 2010년 11월에 거쳐 이루어졌고, 조사 대상자는 경기, 경남, 부산, 서울, 충남 지역 소재의 9개의 지역사회 정신보건센터와 8개의 사회복귀시설을 이용하는 지역사회거주 정신장애인 279명이다. 참여자의 전체 평균 연령은 39.73(±9.34)세였고, 성별은 남자가 59.5%, 여자가 40.5%를 차지하였다. 결혼 상태는 미혼이 81.7%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는데, 현재 배우자가 없는 상태라고 대답한 응답자가 전체의 92.8%였다. 진단명은 정신분열병 80.3%, 분열정동장애 4.3%, 기분장애 10.8%, 기타 4.7%로 정신분열병으로 진단받은 대상자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유병기간은 평균 16.78(±8.87)년이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병식, 치료순응도, 병대처, 삶의 질 4개 주요 변수의 평균, 표준편차를 알아본 결과 평균점수는 병식 3.77, 치료순응도 3.94, 병대처 3.18, 삶의 질 3.09 로 다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특성 · 장애특성에 따른 주요 변수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우선, 배우자 유무에 따라 삶의 질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배우자가 있는 집단이 배우자가 없는 집단에 비해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다. 학력에 따른 차이는 병식만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는데 중학교 졸업 집단이 고등학교 졸업 · 대학교 졸업 이상 집단에 비해 병식이 낮게 나타났다. 진단명에 따라 치료순응도 · 병대처 · 삶의 질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분열정동장애 집단이 정신분열병 집단에 비해 치료순응도 · 병대처 ·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병식과 관련한 교육을 받은 경험에 따라서는 치료순응도와 삶의 질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집단이 없는 집단에 비해 치료순응도와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주요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주요 변수인 병식 · 삶의 질 · 치료순응도 · 병대처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정신장애인의 병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치료순응도 및 병대처의 매개효과 모형을 검증한 결과 병식은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가지지 않아 직접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경로분석을 통해 병식이 치료순응도 및 병대처로 가는 경로와 치료순응도 및 병대처가 삶의 질로 가는 경로의 계수를 살펴보면, 병식이 높을수록 치료순응도 및 병대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치료순응도 및 병대처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치료순응도 및 병대처가 병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적 요소인 병식이 삶의 질에 직접적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치료순응도와 병대처라는 행동적 요소의 중요성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따라서 명확한 대안이 제시되지 않은 강제적인 인지는 정신장애인의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고려하여 병식증진 교육이 인지능력 향상에 그치지 않고 행동적 요소로 발현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둘째,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치료순응도와 병대처라는 정신장애인 당사자의 치료참여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병식으로 인한 행동적 변화는 정신장애인의 치료참여와 연결되어 있는데, 이를 돕기 위해서는 소비자 중심 서비스 체계 내에서 제공자의 인식전환이 중요할 것이다. 셋째, 자신의 질병을 받아들이고 순응하며 관리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개입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병식을 높이기 위해 제공되는 교육은 개인의 다양한 특성을 반영하여 개별화되어야 한다. 지역사회 정신보건시설을 이용하는 정신장애인은 다양한 진단과 증상을 보이므로 개인이 처한 환경, 교육수준, 진단명 및 사회적 지지 정도에 따라 차별화된 교육이 필요하다. 이는 지역사회 정신보건서비스체계 내에서 정신장애인의 재발과 만성화를 예방하는 또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다. As mental health service has been provided mainly by local communities, the purpose of mental health has changed to recovery. However, although the current mental health service aims recovery, the quality of life of persons with mental disorder is still considerably low. Therefore, this study is conducted to analyze how treatment compliance and symptom coping mediate in the process for insight or one of critical characteristics of mental disorder to influence quality of life.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279 mental disorder patients using nine local mental health centers and eight community psychiatric rehabilitation centers located in Gyeonggi, Gyeongnam, Busan, Seoul and Chungnam, from October to November 2010. The mean age of the total participants was 39.73(±9.34) years and the rates of males and females were 59.5% and 40.5%, respectively. Most of the subjects were unmarried by accounting for 81.7%, and 92.8% of them did not live with their spouses. As 80.3%, 4.3%, 10.8% and 4.7% of the total subjects were diagnosed as schizophrenia, schizoaffective disorder, mood disorder and others, respectively, the largest number of them had schizophrenia. The mean duration was 16.78(±8.87) year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means and standard deviation of four main variables - insight, treatment compliance, symptom coping and quality of life were examined, the means were slightly high by recording 3.77, 3.94, 3.18 and 3.09, respectively. Second, the difference in the variables was investigated by demographic and disorder characteristics. Most of all, quality of lif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 existence of a spouse and the group with spouses showed higher quality of life than the other group without them. For the difference by educational background, only insigh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nd the subjects graduating middle school had lower insight than those graduating high school, college or higher academic institutions. Treatment compliance, symptom coping and quality of lif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diagnosis names. In addition, treatment compliance and quality of lif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experiences of education about insight and the group having received the education recorded higher treatment compliance and higher quality of life than the other. Third, analysis on the cor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revealed that all of the four variables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Forth, in the model about the mediating effect of treatment compliance and symptom coping on the influence of insight on quality of life, insight was found not to provoke a direct effect on quality of life. However, when coefficients of a path from insight to treatment compliance and symptom coping and a path from treatment compliance and symptom coping to quality of life were examined, higher insight was associated with higher treatment compliance and symptom coping and higher treatment compliance and symptom coping led to higher quality of life. In short, treatment compliance and symptom coping completely mediated the effect of insight on quality of life. From these results, following meanings could be obtained. First, while a cognitive factor or insight was observed not to influence quality of life directly, behavioral factors or treatment compliance and symptom coping were found to be important. Therefore, the education for better insight should not limit to the improvement of cognitive ability and should produce the enhancement of behavioral factors by considering that a compulsory cognition without clearly suggested measures can influence negatively the life of persons with mental disorder. Seconds, this study found the importance of the participation of the persons with mental disorder such as treatment compliance and symptom coping. Behavioral changes following insight are connected with their participation in treatments, and for this the awareness of providers should be changed in the service focusing on consumers. Third, interventions for persons with mental disorder to accept the disorder, to comply with treatments for it and to care themselves, are necessary. The education for enhancement of insight should be customized by reflecting various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Because the persons with mental disorder using mental health facilities of local communities have different diagnosis names and symptoms, a differentiated education is needed by personal circumstances, educational background, a diagnosis name and a social support. That can be one of measures to prevent the recurrence of mental disorder and chronic disorder under the mental health service system of local communities.

      • 부랑인복지시설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류혜영 대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35375

        This research analyzed result about factor for affirmative consolidation of social welfare four which grasp and carry on the head, and work in welfare facilities that analyze factors that influence in job satisfaction and is vagrancy general special quality and professionalism level and job satisfaction level because do to society fortune governor plain that work in welfare facilities that is vagrancy. That is general special quality and professionalism low rank change factor to 16 equipment total 148 people among welfare facilities 38 equipments that is wtore country vagrancy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of psearch purpoformation inflection, belief about service, belief about itself regulation, eclipse of seyal summons about psearch pu, about belief about autonomy invrctigation result that analyze-and get in ancient temple as following be . First, result appeared that work career exerts effect that keep in mind in job satisfaction in religion, main business, present company in general special quality of welfare facilities social welfare four which is vagrancy. In professionalism low rank change factor was expose that influence in job satisfaction in general, but that is low rank jargon of professional formation practical use reach that result in whole average point appear . Second, job satisfaction itself area point appeared highest in low rank change factor that influence in job satisfaction level of welfare facilities social welfare four which is vagrancy, below whole average low rank change factor promotion and company in my repair aspect head of a family daytime study finding appear . Third, it is if examine correlation between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of social welfare four in welfare facilities that is vagrancy, and whole job satisfaction professionalism low rank jargon be that of professional formation inflection, belief about service, belief about itself regulation, eclipse of royal summons about profession, statical correlation in belief about autonomy appear . Fourth, result that enforce multiple regressionnnnnsearch factor that general special quality of welfare facilities social welfare four which is vagrancy and professionalism low rank change factor influence in job satisfaction was expose that main business, professional formation practical use and expressionnof royal summons about profession exerts influence that do That there is meaning. If present proposal that professionalism of welfare facilities social welfare four which is vagrancy with this study finding can influence in job satisfaction, is as following. First, result that exert effect that main business of social welfare four enfilade persons which is working in welfare facilities that is vagrancy keeps in mind in job satisfaction degree appeared, but study finding that social welfare four satisfactions are not greatly different from whole average point appeared. If do job grant grasping individuation ability of social welfare four in reply, job satisfaction degree may rise. Life person administration weight of main business of social welfare four which work in welfare facilities that is vagrancy as appear in study finding of front appeared but is high, and was expose that servant administration business, account/administration business exerts effect that do That there is meaning in job satisfaction than life person administration business that is principal business of social welfare four. Care part is included in life person janitor service, and main business of welfare facilities social welfare four which is vagrancy by care preponderance done part be . Therefore, job satisfaction is that qualitative service that elevation is little more better to business improvement of social welfare four and homeless welfare facilities life length can be offered when give job which can give professionalism of welfare facilities social welfare four which is vagrancy. Second, study finding of social welfare four which is working in welfare facilities that is vagrancy appeared that firm belief and target about own profession of welfare facilities social welfare four which thing that way of royal summons about profession is high is vagrancy are established. But, promotion and company is connected with my repair and study finding fewer than average and study finding that vanishing completely phenomenon appears in case work career is more than 3 years in present rectum of daytime appeared relatively. May become opportunity that can elevate job satisfaction of welfare facilities social welfare four which when disposal plan that can solidify an opportunity and repair education and professionalism of fair and systematic promotion with compensation system preparation in reply consists, it is vagrancy. If synthesize study finding executing research and investigation to welfare facilities whole equipment society fortune governor plain that is vagrancy to be result about effect that professionalism of social welfare four gets in job satisfaction to(16 equipments) 148 people that is not social welfare four to work in welfare facilities that is whole 38 equipment vagrancies in this research, think that correcter study finding could be drawn. Also, studied about effect that have general special quality and professionalism 5 low rank change factor about effect that professionalism of welfare facilities social welfare four which is vagrancy in this research gets in job satisfaction and get in job satisfaction, succession research may have to consist by little more atomized area that can exert effect that professionalism does that there is meaning in job satisfaction. 본 연구는 부랑인복지시설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들을 대상으로 하여 일반적 특성과 전문성 수준 및 직무만족 수준을 파악하고,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여 부랑인복지시설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들의 긍정적 강화를 위한 요인에 대해서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국 부랑인복지시설 38개 시설 중에서 16개 시설, 총 148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과 전문성 하위변인 중 전문조직 활용, 서비스에 대한 신념, 자체규제에 대한 신념,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 자율성에 대한 신념에 대해 조사․분석하여 고찰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랑인복지시설 사회복지사의 일반적 특성에서는 종교, 주 업무, 현 직장에서 근무경력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결과가 나타났다. 전문성 에서 하위변인은 대체적으로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하위 변인 중 전문조직 활용은 전체 평균 점수에도 미치지 못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부랑인복지시설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하위변인에서는 직무만족 자체 영역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전체 평균 이하 하위변인은 승진과 직장 내 보수면에서 가장 낮은 연구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부랑인복지시설에서 사회복지사의 전문성과 직무만족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전체 직무만족은 전문성 하위 변인 중 전문조직 활용, 서비스에 대한 신념, 자체규제에 대한 신념,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 자율성에 대한 신념에 있어서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부랑인복지시설 사회복지사의 일반적 특성과 전문성 하위변인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를 실시한 결과는 주 업무, 전문조직 활용 및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이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부랑인복지시설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랑인복지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사 종사자들의 주 업무가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결과가 나타났지만, 사회복지사 만족도는 전체 평균 점수와 크게 다르지 않은 연구 결과가 나타났다. 이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개별능력을 파악하여 직무부여를 한다면 직무만족도가 높아질 것이다. 앞의 연구결과에서 나타나듯이 부랑인복지시설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들의 주 업무가 생활자 관리 비중이 높게 나타났지만, 사회복지사의 주된 업무인 생활자 관리 업무보다 봉사자 관리 업무, 회계/행정 업무가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자 관리업무에는 care부분도 포함되어 있으며, 부랑인복지시설 사회복지사들의 주 업무가 care로만 편중되어 있는 부분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부랑인복지시설 사회복지사들의 전문성을 부여할 수 있는 직무를 부여할 때 직무만족도 향상은 사회복지사의 업무증진과 부랑인복지시설 생활자들에게도 좀 더 나은 질적 서비스가 제공 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부랑인복지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사가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이 높다는 것은 부랑인복지시설 사회복지사들은 자신의 직업에 대한 확고한 신념과 목표가 확립되어 있다는 것으로 연구 결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승진과 직장 내 보수와 관련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평균 이하의 연구 결과와 현 직장에서 근무경력이 3년 이상일 경우 소진현상이 나타난다는 연구 결과가 나타났다. 이에 대한 보상체계 마련과 공정하고 체계적인 승진의 기회 그리고 보수교육 및 전문성 강화할 수 있는 대처 방안이 이루어질 때 부랑인복지시설 사회복지사들의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을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체 38개 시설 부랑인복지시설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가 아닌 148명만을 대상으로(16개 시설) 사회복지사들의 전문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물이기에 부랑인복지시설 전체 시설 사회복지사들을 대상으로 연구조사를 실시하여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보다 정확한 연구 결과가 도출될 수 있었으리라 생각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부랑인복지시설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일반적 특성과 전문성 5개 하위변인만을 가지고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연구하였는데, 전문성이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좀 더 세분화된 영역으로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기업후원자의 사회복지관 후원지속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원경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537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alp secure social welfare facilities' finance and develop corporational patron administration program by investigating factors that have an effect on corporational patron's decision to support social welfare facilities continuously. Subjects were 82 enterprises that regularly support 6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Daegu. The corporational factor and supporting activity factor of the patrons and continuous support determination factor were investigated.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as for the corporational factor, the core of civil resources supply to solve the financial problem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may be the corporational support. In spite of the social welfare facilities' insufficient corporational patron administration program, it was found out that centering around local retail, wholesale and manufacturing industry,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with 10 to 20 employees and monthly sales between 10 to 20 million won were actively taking part in the sponsoring activity. The increased social responsibility may have played a role together with the enterprises' indirect effect of sales increase and the marketing strategy of corporational image. The active sponsorship of the retail, wholesale and manufacturing industry seemed possible because it is easy to sponsor through cash and goods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Second, as for the factors of enterprises' sponsorship, the motive of corporational patron varied, but direct motive of sponsorship was very simple like introduction by patron's colleagues or acquaintance. The biggest reason for continuous sponsorship was corporational publicity and the social welfare confidence took high level of distribution. The corporational publicity might be profitable because the promoted corporational image through participation in social welfare area is able to increase the demand, reduce every kind of expenditures necessary for manufacturing activity, and even reduce the taxational burden. The transparent report of the result of sponsorship was analyzed also to have an effect on continuous sponsorship. Welfare facilities are required to develop various programs relating to individual and corporational patrons escaping from the simple and consistent program. They are also required to report a concrete result of the content of sponsorship escaping from the form nothing but a simple newsletter. Third, to maintain corporational patron's continuous sponsorship, a proper, not too much, amount of donation should be assessed. Interruption of sponsorship contains the possibility of continuous sponsorship and most corporational sponsorship is realized by the recommendation of religious body, work place or belonging organization.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an enterprise's discontinued sponsorship can lead to the loss of a new patron. It is more important to administrate the existing patron well than to develop a new patron. It seems that corporational patrons' pattern of social contribution activity is gradually moving from the simple charity donation to various forms like strategical social contribution or local community investment. Based on above content, social welfare facilities should develop sponsoring products fitted to various corporational factors, motivate patrons to continue the sponsorship, accomplish confidence in the project under way and to raise transparency over the use and treatment procedure of the funding. Research on corporational patron's decision of continuous sponsorship is expected to follow up. 본 연구는 기업후원자의 사회복지관 후원지속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봄으로써 사회복지관의 재정확충과 기업후원자 관리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6개의 사회복지관에 정기적으로 후원하는 기업82개처를 대상으로 사회복지관에 후원하는 기업의 기업요인과 후원활동요인에 대해 알아보고 후원지속결정요인이 어떠한 것이 있는지 조사하였다.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요인으로 사회복지관의 재정문제를 해결하기위한 민간자원 조달의 핵심은 기업후원이라 할 수 있는데 사회복지관의 미비한 기업후원관리 프로그램에도 불구하고 지역 내 도소매업과 제조업을 위주로 10명이상 20명 미만의 종업원을 두고 1,000만원 이상에서 2,000만원미만의 월평균 순수익금을 내는 중소기업이 후원활동에 활발히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간접적 매출증가효과와 기업이미지에 대한 마케팅전략과 더불어 사회적 책임감이 증대한 원인도 있다 하겠다. 도소매업과 제조업은 현금과 물품을 통한 후원이 다른 업종에 비해 용이하기 때문에 적극적인 후훤 활동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둘째, 기업 활동요인으로 사회복지관의 기업후원자들은 후원 동기는 다양하지만 직접적 후원계기는 후원자의 동료나 지인의 소개로 매우 단순한 계기로 이루어짐을 나타내었다. 후원지속이유로는 기업홍보가 가장 많았고 복지사업신뢰는 높은 분포를 차지하였다. 사회복지부문에 대한 참여를 통해 증진된 기업이미지는 수요를 증대시키고 생산 활동에 필요한 각종 투입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조세부담까지 경감할 수 있기 때문에 기업홍보는 유리한 면을 차지한다고 하겠다. 후원내용에 대한 투명한 결과보고도 후원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복지관에서 단순하고 일관된 프로그램에서 탈피하여 후원대상자와 지속적인 연계성과 기업과 관련된 다양한 프로그램개발이 요구되어 지며 단순히 소식지에 불과한 양식에서 벗어나 후원내용에 대한 구체적 결과보고를 요구하고 있다. 셋째, 기업후원자가 지속적으로 후원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부담스럽지 않는 적절한 후원금액을 사정해야 할 것이다. 후원중단은 지속적 후원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많은 기업후원자는 종교나 직장, 소속단체의 권유로 이뤄지므로 한 기업의 후원중단은 새로운 후원자를 잃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야 하며 기존 후원자를 잘 관리하는 것은 새로운 후원자를 개발하는 것보다 더욱 중요하다. 사회복지관 기업후원자의 사회공헌활동 양상이 단순한 자선적 기부로부터 전략적 사회공헌, 지역사회투자까지 다양한 형태로 서서히 이동해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사회복지관에서는 다양한 기업요인에 맞는 후원 상품개발, 후원을 지속할 수 있는 동기부여, 실시 사업에 대한 신뢰도성취 , 후원금품의 사용 및 처리절차에 대한 투명한 제고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앞으로도 기업후원자의 후원지속결정을 위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 농촌에서의 사회복지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농촌교회의 역할 : 의성군 사곡면 지역을 중심으로

        추성환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537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 role of rural church to activate social welfare service in rural area where is relatively isolated than urban church about social welfare service due to local limit. Previous studies were read and survey was done with 73 male and 77 female, total 150 people at the age of more than 20 living in Gyeongbuk Uiseong-Gun SaGok-Myeon.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condition, economic life, cultural life, mental condition, experience and need about welfare service, and opinion about social welfare service provided by rural church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of this survey, this village area is aging village with lack of medical service center. An earned income (including farming income) is 70.7% and most population are engaged in agriculture with low income and lack of leisure and cultural activity. The interviewees had rarely experience about social welfare service and are in great need of it. The more experience they have, the more need. Regardles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viewee, they are in strong need of social welfare service. This means supply cannot meet demand. About social welfare service of rural church, 42.7% of the interviewee answered rural church must provide this service and 39.3% answered should, so total 82% answered naturally have to. About the participation rate, 36.7% of the interviewee will always participate in service, 53.3% will participate in it when it is necessary, so total rate is 90%. Cooperative management is suggested to make rural church provide social welfare service. It is necessary for rural church to develop and provide diverse welfare service that is suitable for the people in a village through diverse cooperative management solution, though rural church has lack of resource. In order to meet the need of social welfare service, a role of rural church is as follows. First, human resource should be trained and maintained for social welfare service. Second, financial support should be retained. Third, social welfare service program should be developed corresponding actual rural situation. Fourth, facility to provide social welfare service and system to use current church facility should be secured. Fifth, cooperative solidarity system to offer social welfare service should be expan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