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학교 사회 교과서에 재현된 이슬람 지역 : -교수요목시기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 지리영역을 중심으로-

        라영숙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51807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이슬람 지역에 대한 재현 속에 내재되어 있는 식민 담론을 비판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이슬람 지역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바로 잡을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데 있다. 연구주제는 첫째, 교육과정 시기별 이슬람 지역 관련 단원의 체계와 서술 분량 및 비중은 어떻게 달라지는가, 둘째, 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지리 영역에서 이슬람 지역에 대한 재현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셋째, 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지리 영역에서 이슬람 지역에 대한 재현은 교육과정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가 하는 3가지로 설정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내용분석법을 활용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교육과정의 재개념화와 포스트모더니즘 교육과정 연구, 탈식민주의와 사이드의 ��Orientalism��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리고 Said(1978)의 ��Orientalism��과 오리엔탈리즘을 범주화한 기존 연구, 그리고 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이슬람 관련 내용에 대한 반복적인 검토를 통해 '열등한 타자', '지배와 관리의 대상', '전쟁과 분쟁 지역'을 분석 준거로 설정하였다. 분석 대상은 교수요목시기부터 2009개정 교육과정 시기에 이르는 중학교 사회 교과서 16권이며, 질적 내용분석법을 활용한 해석적 추론을 통해 문맥이나 내용 속에 숨어 있는 암묵적이고 잠재적인 내용과 맥락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슬람 지역 관련 단원의 교육과정 시기별 내용 체계 분석 결과, 교수요목시기에는 서남아시아가 대단원에, 1차·3차·4차·5차·6차·7차 교육과정 시기에는 중단원에, 2차와 2007개정,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소단원에 편성되고 있다. 그리고 교수요목시기부터 2차 교육과정까지는 서남아시아가 단독 단원으로 편성되고 있으나, 3차와 4차 교육과정시기에는 아프리카와 통합하고 있고, 5차 교육과정부터 7차 교육과정 까지는 북부 아프리카와 통합하여 편성하고 있다. 교육과정 시기별 서술 분량과 비중은, 교수요목시기가 가장 높고(8.3%), 1차 교육과정 시기(5.3%)가 그 다음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반면 2차 교육과정 시기 최복현의 교과서는 3.5쪽(1.2%)으로 지역지리 방식으로 세계지리가 구성된 교수요목시기에서 7차 교육과정 시기의 중학교 사회 교과서 중에서 가장 낮은 비중을 보이고 있다. 또한, 계통지리 방식으로 구성된 2007개정 교육과정과 2009개정 교육과정 시기는 서술 분량(2~3쪽)과 비중(0.8~1.0)이 가장 낮게 나타나고 있으며, 지역지리 방식으로 구성되던 시기보다 서술 분량과 비중이 감소하고 있다. 둘째, 오리엔탈리즘이 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이슬람 지역에 대한 재현에서 어떤 형태로 등장하고 있는지 분석한 결과, 교수요목시기에서 7차 교육과정까지 시기는 194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약 60여년에 해당하는 시간임에도 불구하고 이슬람 지역을 열악하고 열등한 지역으로 강조하거나, 수동적인 존재로 비하하거나 전쟁과 분쟁 지역으로 왜곡하고, 그리고 부정적으로 서술하는 오리엔탈리즘적인 재현 양상이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반면에 2007개정 교육과정과 2009개정 교육과정 교과서는 비록 서술 분량과 비중은 낮지만 이슬람 지역의 긍정적인 측면을 강조하여 서술하고 있으며, 이슬람 지역을 부정적으로 왜곡해서 재현하던 오리엔탈리즘적인 서술 형태에서 벗어나고 있었다. 셋째, 이슬람 지역에 대한 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재현이 교육과정 시기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오리엔탈리즘의 태동 시기인 교수요목시기에서부터 1차 교육과정 시기, 오리엔탈리즘의 심화 경향을 보이는 2차에서 3차 교육과정 시기, 일반화와 정형화를 통한 고정관념의 확대가 이루어지는 4차에서 5차 교육과정 시기, 오리엔탈리즘적인 서술 경향이 약화되는 6차 교육과정 시기, 오리엔탈리즘적인 경향이 다시 강화되는 7차 교육과정 시기, 그리고 탈오리엔탈리즘적인 경향을 보이는 2007개정 교육과정과 2009개정 교육과정 시기로 구분 할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후에 대한 환경 결정론적이고 서구중심적인 서술 방식을 지양해야 한다. 둘째, 세계 여러 지역을 서술할 때 외부자의 시각이 아니라 그들의 시각에서 서술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생들에게 교과서를 비판적으로 읽어낼 수 있는 시간과 기회를 줘야 한다. 넷째, 교과서를 보는 교사의 인식이 변화되어야 한다. 다섯째, 학생들이 인터넷을 통해 학습 자료를 찾는 경향이 많아지고 있는 만큼, 차후 인터넷 학습 자료의 이슬람지역 재현 양상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졌으면 한다. This study aims to redress negative views on Islamic regions within Korean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through a critical analysis of the colonial discourses that underlie the representation of Islamic regions. This study focuses on three areas. The first is the differences in the representation of Islamic regions in terms of unit structure, description quantity, and importance according to each curriculum revision period. The second is how Islamic regions were represented in Korean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according to geographic area. The third is the differences in representation of Islamic regions by the curriculum revision periods. This study utilized literature review and content analysis methods.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re was a reexamination of the curricula, postmodern curricula, post-colonialism, and Said’s Orientalism. In addition, the concepts of ‘inferior others’, ‘objects of domination and management’, and ‘war and conflict regions’ were used as analysis criteria alongside an examination of Said's Orientalism and existing literature categorizing orientalism, and Islam-related content in Korean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16 Korean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were analyzed from the 1945-54 syllabus period to the 2009 curriculum revision. They were analysed for their implicit and intrinsic contexts and contents through interpretive reasoning with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ontent system analysis of the units relating to Islamic regions, Southwest Asia was covered in the big units during the 1945-1954 syllabus period, in the middle units during the first, third, fourth, fifth, sixth, and seventh curriculum periods, and in the small units during the second as well as the 2007 and 2009 revision periods. Furthermore, during the syllabus period and the second revision period, Southwest Asia was organized as an independent unit; however, during the third and fourth curriculum periods, it was combined with the units on Africa, and it was combined with the units on North Africa from the fifth to seventh curriculum periods. The quantity and importance of the content on the region were highest during the syllabus period of 1945 through 1954 (8.3%), followed by the first curriculum revision period (5.3%). On the other hand, Choi Bokhyeon’s textbook during the second curriculum revision period allotted only 3.5 pages (1.2%), which is the lowest among the Korean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from the syllabus period in which world geography comprised part of the regional geography method until the seventh curriculum period. In addition, during the 2007 and 2009 curriculum revision period, when textbooks were organized according to the way of systematic geography, the quantity and importance were lowest (2~3 pages, 0.8 ~1.0%), which is lower in quantity and importance than the period in which world geography comprised part of the regional geography method.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how orientalism was represented in the description of Islamic regions, distorted and negative aspects repeatedly appear when inferior aspects and the backwardness of Islamic regions as regions of war and conflict were emphasized, or the people were degraded as passive beings. On the other hand, in the textbooks during the 2007 and 2009 curriculum revision periods, though quantity and importance remained low, the positive aspects of Islamic regions were described, ending with orientalist perspective descriptions which negatively distorted Islamic region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s in representation of Islamic regions by period, the syllabus period until the first curriculum revision was the emergence of the period of orientalism; this deepened in the second and third curriculum revision periods; the stereotype of orientalism expanded through generalization and standardization during the periods of the fourth and fifth revision; the orientalism description weakened during the sixth revision; orientalist tendencies strengthened during the seventh revision; and post-orientalism is displayed in the 2007 and 2009 curriculum revision period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d like to make the following proposals. First, the environmental determinism and western-centric narrative has to be abandoned. Second, the diverse regions of the world need to be describ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eople living in those regions rather than from the perspective of outsiders. Third, students should be given the time and opportunity to critically read textbooks. Fourth, teachers' perceptions of textbooks must change. Fifth, as students tend to search for learning materials on the Internet, there needs to be analysis of the representation of Islam in Internet materials.

      • 지속가능한 제주관광을 위한 지오투어리즘 활성화 방안 : 성산일출봉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범훈 제주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35407

        The volcanic island Jeju, listed as the World Natural Heritage by the UNESCO, has witnessed an age of mega tourism in its history with 10 million local and global visitors in 2013. Despite its external growth and an increasing number of tourists, however, tourism in Jeju Island finds itself drawn into environmentally, socio-culturally and economically negative discourses to the extent that tourist destinations become further disconnected from the local community. Simply put, tourism in Jeju Island is in an urgent condition that requires sustainable qualitative growth strategies. In this context, the present study pays attention to geotourism, emerging globally as a new type of sustainable tourism. The present study aims to seek for measures to activate geotourism for the benefit of sustainable tourism in Jeju and thus to lay the foundation for coexistence between tourist destinations and local community. Seongsan Ilchulbong Peak located on the eastern seashore of Jeju Island has been chosen as the site for this case study. Seongsan Ilchulbong is the UNESCO-designated World Natural Heritage site and a globally renowned geopark. As for study methods, local and global literature review including relevant reports, SWOT analysis and a questionnaire survey were used to discuss the topic. In the early 1990s, geotourism was discussed in a narrow sense focusing on geomorphology and geological resources. At the turn of the century, however, a broad concept focusing on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a place has officially come the fore, extending the scope of a place to not only geomorphology and geological resources but also to daily life of local residents. Jeju’s history, culture, and nature are humanized with Jeju’s local history, culture and life. In this vein, this study reasons that geotourism in Jeju Island should be extensively applied as a broad concept. Here, the sustainability of tourism in Jeju Island is critically diagnosed from environmental, socio-cultural and economic perspectives. In terms of environment, large-scale development including golf courses for tourists is considered to threaten the eco-system of Gotjawal, which serves as the lung for vegetation in Jeju and the ground-water recharge furrow. In view of socio-culture, gambling addiction issues of those who use Jeju Racecourse and the resultant severity have been diagnosed. In light of economy, the controversial privatization and land sales surrounding Seopjikoji in the Seongsanpo Marine Tourism Complex are discussed. These are the cases of development eventually causing negative discourses that spread throughout the entire community. To activate geotourism around Seongsan Ilchulbong, this study has conducted SWOT analysis and a questionnaire survey. From the analysis and survey, measures for activating 5 content areas were derived, i.e. year-round Seongsan Ilchul Festival ;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for increasing the awareness of geomorphology and geological resources; continual experience of Jeju Haenyeo’s life ; visiting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ic and cultural heritages ; and betterment of quality of life for local residents. As for the measures for activating geotourism in Jeju Island, whether to develop core contents driving natural and humanistic resources is regarded as the key to secure sustainability. As for Seongsan Ilchulbong, ‘year-round Seongsan Ilchul Festival’ was found to be an appropriate core content representing local place-ness, symbolicity and identity. Furthermore, specific measures for the year-round Seongsan Ilchul Festival were proposed. That is, the Seonsan Ilchul Festival should be held 12 times a year on the first day of each month by the residents of the heritage village Seongsanli with the support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nd World Natural Heritage Management Group, which would contribute to establishingSeongsan Ilchulbong as a sustainable heritage such that local residents could retrieve the pride in their World Heritage Village. For instance, conflicting parties in society may participate in the Seongsan Ilchul Festival with a monthly theme on the first day of each month. Then, relevant strategies were developed to turn the Seongsan Inchul Festival into a festival of hope, communication, impression and fun. Among the measures to activate the geotourism around Seongsan Ilchulbong, the ‘betterment of quality of life for local people’ was perceived as the foremost issue in real life. Seongsan Ilchulbong is a tourist destination representing Jeju, attracting an increasing number of tourists, while it is not the case with the Heritage Village. Thus, the disparity between the village and the popular destination Seongsan Ilchulbong is increasing. This issue was addressed here from the perspective of dealing with the residents’ long-cherished projects. First, the village’s overarching issue is the invasion of privacy due to the over-saturated parking lot for Seongsan Ilchulbong, which should be moved and expanded. Also, the KBS’ transmitting station occupying the land of the small village and spoiling its landscape need be moved. The issue of opening the current folk market daily instead of every five days is urgent for income generation for residents. These projects are significant for the coexistence of the World Natural Heritage Seongsan Ilchulbong with the Heritage Village, calling for an determined action by the provincial authorities. Here, three integral issues were derived in relation to realizing the sustainable Jeju tourism from the case study on Seongsan Ilchulbong. First, core geotourism contents held by local residents should be developed, Second, the village center should be consistently included in the geotourism course for visitors. Third, every stakeholder should participate in relevant monitoring and evaluation, which is expected to activate geotourism in Jeju Island as the foundation for coexistence between tourist attractions and local communiti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ree ways. First, it suggests a new potential wayto realize sustainable tourism in Jeju by extending the scope of research on geotourism, emerging lately and globally as a sustainable type of tourism to humanistic resources associated with the geomorphological landscape and geological resources on the volcanic island Jeju endorsed by the UNESCO. Secondly, the present study provides an underdrawing of a sustainable place of coexistence via development of connected contents for activating geotourism as an effort to sort out the worsening disconnection between Seongsan Ilchulbong representing tourism in Jeju Island and the Heritage Village Seongsanli. Third, in that domestic research on geotourism is subjected to distinct logical arguments and perspectives in geography, geology, geomorphology and tourism, this study elicits meaningful implications for interdisciplinary ties. This study is limited to suggesting general directions without empirical efforts to shed light on the measures for activating sustainable geotourism in Jeju. Also, regarding the development in connection with contents for activating geotourism around the Seongsan Ilchulbong area, this study failed to discuss ‘Developing programs for experiencing the inland waters and marine tourism’ and ‘Developing imaginative space with classical scholars, calligraphers and poets’ due to priorities. Further studies should overcome those limitations and delve into geotourism from the disciplinary perspectives in order to drive sustainable local development and geotourism in Jeju Island in favor of coexistence of residents with tourist attractions. 제주는 세계자연유산 등재 등 유네스코 브랜드에 힘입어 2013년 사상 처음으로 국내외 관광객 1,000만 명이라는 메가 투어리즘 시대를 맞았다. 그러나 관광객의 수적 증가에 치중하는 외형적 성장의 이면에는 환경적, 사회․문화적, 경제적 측면의 지속가능성과 관련하여 부정적 담론이 확산되고 관광지와 지역 공동체와의 단절을 우려하는 목소리까지 등장하고 있다. 제주관광은 지속가능한 질적 성장전략을 모색해야하는 시급한 현안에 직면하여 있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필자는 세계적으로 지속가능한 관광 유형으로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지오투어리즘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화산섬 제주의 지속가능한 관광을 위한 지오투어리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나아가 관광지와 지역 공동체가 공존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이자 세계 지오파크의 대표 명소이며 제주도의 대표적인 해안관광지인 성산일출봉을 사례 연구 지역으로 설정하였다. 연구 방법은 선행 논문과 관련 보고서 등의 국내외 문헌연구, SWOT 분석과 설문 조사 등을 바탕으로 하였다. 지오투어리즘은 1990년대 초기에는 지형 및 지질자원에 초점을 맞추는 협의적개념으로 논의되어 왔다. 그러나 2000년을 전후하여 장소의 지리적 특성에 초점을 맞추는 광의적 개념이 등장하게 되면서 대상의 범위 역시 지형 및 지질자원 뿐 아니라 지역의 역사․문화와 주민들의 일상생활까지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확장되고 있다. 제주지역의 자연은 오랜 세월동안 제주인들의 역사․문화와 삶이 깃든 인문화된 자연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제주지역의 지오투어리즘 논의는 광의적 개념으로 확장하여 적용하는 것이 보다 합리적이라고 판단하였다. 제주관광의 지속가능성 실태를 환경적, 사회․문화적, 경제적 측면에서 비판적으로 진단하였다. 환경적 측면에서는 골프장 등 대규모 관광개발로 인해 제주 식생의 허파이자 지하수 함양지대인 곶자왈 파괴가 지속되고 있는 점을 고찰하였다. 사회․문화적 측면에서는 제주경마장 이용객의 도박 중독문제와 그에 따른 심각성을 진단하였다. 경제적 측면에서는 성산포해양관광단지의 섭지코지 사유화 및 부동산 투기 논란 등을 다루었다. 이들 사례는 제주사회에서 관광개발로 인해 대두된 부정적 담론의 대표적인 사례라 할 수 있다. 성산일출봉 지오투어리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SWOT 분석과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성산일출제의 연중 확대 상설화, 지형 및 지질자원의 인식과 교육 프로그램 개발, 제주해녀의 삶 체험 지속화, 근현대 역사문화유산 탐방,지역주민의 삶의 질 개선 등 5개의 콘텐츠 분야를 선정하였다. 제주지역 지오투어리즘 활성화 방안은 자연 및 인문자원의 콘텐츠들을 선도할 수 있는 핵심적인 콘텐츠 개발 여부가 지속가능성을 확실하게 담보하는 관건으로 판단하였다. 성산일출봉의 경우 ‘성산일출제의 연중 확대 상설화’가 지역의 장소성․상징성․정체성을 대표하는 핵심 콘텐츠로 적합하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성산일출제의 연중 확대 상설화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자연유산관리단의 지원과 유산마을인 성산리 주민들의 주관 하에 매월 1일, 1년 12회에 걸쳐 성산일출제를 실시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그동안 세계유산마을이라는 자부심이 갈수록 약화되던 지역주민들에게 성산일출봉이 지속가능한 자연 유산이라는 인식을 확고히 심어주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매월 1일 개최되는 성산일출제에는 주제별로 한국사회 갈등의 당사자들이 참여하는 방안을 예시하였다. 이를 통해 성산일출제는 희망의 축제, 소통의 축제, 감동과 즐거움의 축제로 승화시킨다는 전략을 모색하였다. 성산일출봉 지오투어리즘 활성화 방안 가운데 ‘지역주민들의 삶의 질 개선’ 분야는 가장 현실적인 문제로 인식되었다. 성산일출봉은 제주도의 대표적인 관광지로서 방문객이 급증하고 있는 반면, 유산마을은 성산일출봉 방문객들이 찾지 않음에 따라 성산일출봉 관광과 단절되는 양상이 심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분야는 주민 숙원사업 해결차원에서 접근하였다. 우선, 주민들의 일상에 불편을 초래하고 있는 주차장 이전 확충 문제는 마을의 최대 현안이다. 또한 면적이 협소한 성산리의 토지를 장기 점유하면서 세계자연유산 마을의 경관까지 헤치고 있는 KBS 제주송신소의 이전 문제도 해결 과제다. 현 오일시장의 매일 민속시장화 추진 문제 역시 주민소득 창출 차원에서 시급한 문제다. 이들 사업은 세계자연유산 성산일출봉과 유산마을의 공존 여부가 달린 현안으로 제주도 당국의 적극적인 추진을 주문하였다. 본 연구는 성산일출봉의 사례 연구를 통해 지속가능한 제주 관광의 실현을 위한 필수적인 사안 3가지를 도출하였다. 첫째, 지역주민들이 직접 실행하는 핵심적인 지오투어리즘 콘텐츠를 개발해야한다. 둘째, 지오투어리즘 탐방코스의 마을 경유가 지속화돼야 한다. 셋째, 이에 대한 모든 이해관계자들의 참여 하에 모니터링과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이는 곧 관광지와 지역 공동체가 공존하는 토대로써 제주지역 지오투어리즘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의의는 크게 3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최근 세계적으로 지속가능한 관광유형으로 부각되고 있는 지오투어리즘에 대한 논의를 제주의 지형 및 지질자원 뿐 아니라 문화․역사와 주민생활에 이르기까지 적용 대상을 확장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제주관광의 실현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둘째, 제주관광을 대표하는 성산일출봉과 유산마을인 성산리의 단절 양상을 해소하는 방안으로 콘텐츠의 연계 개발을 통해 지속가능한 공존의 장을 모색하였다. 셋째, 국내의 지오투어리즘에 대한 연구가 지리학, 지형학, 지질학, 관광학 등 각 분야에서 별개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점에 주목하여 볼 때 본 연구는 제학문간 연계와 융합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제주관광을 위한 지오투어리즘 활성화 방안에 대해 보다 실증적으로 접근하지 못함으로써 큰 틀의 방향 제시에 그쳤다는 한계를 가진다. 또한 성산일출봉 지오투어리즘 활성화를 위한 콘텐츠 연계 개발과정에서 ‘해양관광 및 내수면 체험 프로그램 개발’과 ‘선비 묵객들과 시인들의 심상 공간 개발’분야를 논의하지 못한 점도 아쉬움으로 남는다. 앞으로 이같은 한계를 극복하는 지오투어리즘 연구가 다방면에 걸쳐 본격화된다면 제주지역 지오투어리즘은 관광지와 주민들이 공존하는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의 견인차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지역 기반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중학교 사회과 수업 모듈 개발 : 제주 지역을 사례로

        한상희 제주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35375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instructional module for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as part of place-bas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lace-bas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ims to foster global citizenship and educate students to understand the interdependencies and interrelations between others and oneself, the region and oneself, and the world and oneself through regional issues covering nature, history, society, culture, and others.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are: first, the relevance between the theoretical explication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the revised 2015 curriculum; second, the methods used in developing an instructional module for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third, the method applied in the module for middle school classes. The study was mainly based on reference research and action research. For the theoretical discussion, there is an examination of globalization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research trends and main issues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the relatedness betwee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urthermore, proposals are made as to the direction of, and avenues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s appropriate to Korean society. This is achieved by resetting the concept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practice-oriented and place-bas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s they have been restricted to the dimension of theory up to now.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module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as designed as the implementation of the research method, and a case study was conducted with Jeju as its base. The place-based class module developed for this study is the case of Jeju Island and is focused on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classes as oriented to the integrated curriculu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objective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ore competencies of the revised 2015 curriculum, and social studies are not exclusive, but complementary.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cludes the cognitive domain that grasps interrelations and interdependencies between regions, nations, and the world; the social and affective domain that fosters love for humanity through respect, solidarity, and sympathy regarding differences and diversity; and the conductive domain for ethical and responsible practice at regional, national, and international dimensions, all of which are mutually connected to the revised 2015 curriculum and the objectives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refor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ppropriate to Korean society is required to change the direction toward the intersection of related education between fields, integrat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practical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by finding a way to connect to the national curriculum. Accordingly, I propose place-bas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s an appropriate plan. Second, I developed a class module for place-bas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or this module, I created principles for the class module for place-bas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compose the class module by focusing on the case of Jeju Island. The design of this module went through 3 stages. The first stage explores regional issues by considering mutual relationships and the context from which suitable themes to foster global citizenship in the region are uncovered. The second stage explores the geological, historical,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of the place-based issues. The third stage expands on the contexts of the regional issues and practice to exercise global citizenship.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s and developmental stages for the class module, I then compose three Jeju-based modules. Third, I developed and conducted a Jeju-based instructional module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or the themes and Jeju cases of the place-based module, I present sympathy for universal values through the life of Kim Mandeok who gave aid to the poor in the late Joseon era; respect for diversity and difference through the history of Haenamcheon, the Jeju immigrant community during early industrialization; and solidarity and practice through the Jeju 4․3 Uprising and Massacre. These three class modules can be utilized independently or stage by stage. Based on this study, I make the following few proposals: First, to include practical aspect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daily life, classes should be implemented in connection to fields relating t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using the topics of nature, society, history, and cultural phenomena or facts relevant to the local community of which learners are part. Seco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has to embrace social, sentimental, and practical aspects beyond the cognitive domain; therefore, it is useful to design it as an integrated educational process by integrating various activities and knowledge as seen in the integration of knowledge and experiences, between subjects, and curriculum activities. Third, place-bas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o foster global citizenship intends to apprehend the interrelation in itself; therefore, the educational effects can be maximized when the following are activated for school culture and global citizenship: local community solidarity; cooperation between teachers; and cooperation between subjects and institutions. I concede that this study has spatial and content limitations due to the fact that the Jeju cases are only presented among domains relating t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hich means that follow-up research is required to expand into relating domains and other regions. In addition, this study has other limits in that it hasn’t been verified quantitatively by presenting the effect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only through the stories of students who attended this class and the follow-up educational activities through this module. Lastly, I hope that the proposed module in this study will be utilized for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class modules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other regions.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 기반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중학교 사회과 수업 모듈을 개발하는 데 있다. 지역 기반 세계시민교육은 지역의 자연, 역사, 사회, 문화 등의 이슈를 통해 나와 타인, 나와 지역, 나와 세계와의 상호 의존성과 상호 연계성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세계시민성을 함양하는 교육이다. 주요 연구 내용은 세 가지이다: 첫째, 세계시민교육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은 어떤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가, 둘째, 지역 기반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중학교 사회과 수업 모듈은 어떻게 설계할 수 있는가, 셋째, 지역 기반 세계시민교육 수업 모듈은 중학교 수업 현장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가. 연구 방법은 주로 문헌연구와 실행연구(action research)를 활용하였다. 우선 이론적 논의에서는 세계화와 세계시민교육, 세계시민교육의 연구 동향과 주요 쟁점, 2015 개정 교육과정과 세계시민교육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그동안 이론적 차원에서 머물렀던 세계시민성의 개념을 실천 중심, 지역 기반 세계시민교육으로 재설정하여 한국 사회에 적합한 세계시민교육의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실행연구 방법으로 지역 기반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중학교 사회과 수업 모듈을 설계하고 제주지역의 사례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지역 기반 수업 모듈은 제주지역을 사례로 하였으며, 통합교육과정을 지향하는 중학교 사회과 수업에 초점을 맞추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시민교육의 목표와 2015 개정교육과정의 핵심역량, 사회과 교육의 목표는 배타적이지 않고 보완적이다. 세계시민교육은 지역, 국가, 세계 간의 상호 연계성과 상호 의존성을 파악하는 인지적 영역과 차이와 다양성에 대한 존중, 연대 및 공감을 통해 인류애를 함양하는 사회․정서적 영역, 그리고 지역, 국가, 세계적 차원에서 윤리적이고 책임감 있게 실천하는 행동적 영역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2015 개정교육과정과 사회과교육과정의 목표와도 상호 연계된다. 따라서 한국 사회에 적합한 세계시민교육은 국가 교육과정과의 연계를 모색하면서, 관련 영역 간 연계교육과 통합적 세계시민교육, 실천적인 세계시민교육으로 방향 전환이 필요하며 이에 적합한 방안으로 지역 기반 세계시민교육을 제시하였다. 둘째, 지역 기반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수업 모듈을 설계하였다. 수업 모듈 설계는 먼저 지역 기반 세계시민교육 수업 모듈의 원리를 설정하고, 이에 따라 제주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수업 모듈을 구성하였다. 모듈 설계는 3단계로 구성되는데, 1단계는 상호 연계성과 맥락(context)을 고려하여 지역 기반 이슈를 탐색하는 것으로 세계시민성 함양을 위한 적절한 주제를 지역에서 찾는 단계이다. 2단계는 지역 기반 이슈에 담긴 지리적, 역사적, 사회적, 문화적 맥락을 찾는 학습이 이루어지는 단계이다. 3단계는 지역 기반 이슈의 맥락을 확장하여 세계시민성을 발휘하도록 실천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수업 모듈의 원리와 단계를 적용하여 제주지역에 기반한 수업 모듈 3가지를 제시하였다. 셋째, 제주지역을 기반으로 한 세계시민교육 수업 모듈을 개발하고 실행하였다. 지역 기반 세계시민교육 수업 모듈의 제주지역 사례로서 조선 후기 제주 빈민을 구제한 김만덕의 삶을 통한 보편적 가치에 대한 공감, 산업화 초기 제주 이주민 공동체인 해남촌 역사를 통해 본 차이와 다양성 존중, 제주 4․3을 통한 연대의식과 실천을 주제로 수업 사례를 제시하였다. 이들 3가지 수업 사례는 각각 독립적으로 학습할 수도 있고 일련의 단계별 수업 모듈로 학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시민교육을 일상생활 속에서 실천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살고 있는 지역 혹은 장소의 자연, 사회, 역사, 문화적인 현상이나 사실을 소재로 세계시민교육의 관련 영역과 연계하여 수업을 실행할 필요가 있다. 둘째, 세계시민교육은 인지적 영역을 넘어서 사회․정서적, 실천적인 측면을 포괄해야 하므로 지식과 경험, 교과 내용요소, 교육활동, 그리고 교육의 장(場)간 통합 등 여러 지식과 일상을 통합하는 교육과정으로 설계하는 것이 유용하다. 셋째, 세계시민성 함양을 위한 지역 기반 세계시민교육은 그 자체가 상호 연계성을 파악하고 실천 지향적인 교육이므로 지역사회 연계, 교사들 간의 협력, 학교 문화, 그리고 세계시민성 함양을 위한 각 교과 및 기관 간의 협력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때 교육적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이 연구는 세계시민교육 관련 영역 중 제주지역에 기반한 사례만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공간적이고 내용적인 한계를 가지며, 이후 관련 영역 및 다른 지역 사례로 확장하는 후속 연구의 과제를 남긴다. 또한, 수업 모듈의 적용을 통한 세계시민성 함양 효과를 참가 학생들의 수업 이야기와 후속 교육 활동 사례로만 제시함으로써 계량적으로 검증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가진다. 끝으로 이 연구에서 제시한 세계시민성 함양을 위한 지역 기반 세계시민교육 수업모듈이 각 지역의 세계시민교육 수업 모듈을 개발하고 확산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 제주 사회적경제 조직의 지역성과 이시돌협회의 경험을 통한 지속가능성

        허찬란 제주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5343

        세계는 경제활동으로 운영이 되는데 이것은 비단 시장 자본주의만을 말하지 않는다. 대안 경제로서 사회적경제라 불리는 시민경제, 모두를 위한 경제, 공동체경제, 사회적경제, 협동조합, 비영리재단 활동, 기부문화, 인증 사회적경제 등 다양한 경제 또한 운영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깁슨-그레엄(Gibson-Graham) 두 교수는 경제를 정해진 이론이 아닌 경제 동향으로 바라보며 세계 곳곳의 공동체경제 사례를 찾아다녔다. 공동체경제의 특성은 소규모 지역에 기초하여 적정 이윤을 창출하고 그 이익의 적당한 부분을 지역으로 환원하는 시스템이다. 특별히 공동체성이 남아 있는 제주의 경제활동은 공동체경제로서 자본주의 외의 다양한 세계가 가능함을 보여줄 수 있다. 제주의 공동체경제는 마을과 지역에 기초하여 일상의 소소함 속에서 자본 이외의 신뢰, 관계재, 사회적 자본을 통해 더 나은 세상을 지향하도록 이끌어 주고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경제활동의 영역에서 노력하는 사례들을 선정하여 그 확대 방안을 검토하였다. 연구자는 또한 현대 사례 20곳을 바탕으로 성공 요인을 도출하였고, 전통적인 이시돌협회(Isidore Development Association) 경험과 연계시켜 지속가능성을 타진해 보았다. 공동체경제는 지역사회 발전을 추구하는 아래로부터의 심오하고 유기적인 과정이다. 또한, 소규모 지역을 기반으로 공공성, 공유재, 공동체성이 실행되는 경제 동향이다. 그런데도 실증적으로 지역사회나 마을에 대한 논의나 소개가 그동안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논고를 통해 문헌연구와 인터뷰, 참여 관찰로 수집한 제주지역 사회적경제조직의 자료를 사회적경제에 관한 유럽연합 전문가 그룹 네트워크(EMES) 지표와 분석작업을 검토하며 핵심 요인을 정리해 보았다. 이 작업은 여러 형태의 사료분석에 도움이 되어 제주의 다양한 대안경제 형태로 진행되어 온 사회적경제를 구체적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사회적경제 연구 분야는 그 동안 인증절차, 지원, 창업, 고용, 네트워크, 자생력, 성과 등에 대해 다루어 왔지만, 연구자는 지역기반 공동체에 대한 논의와 그 안의 구성원들 간 결속을 살펴보며 사회적경제의 지역사회 공헌을 살펴보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지리적 관점에서 사회적경제를 지역의 니즈와 그 해결 요인으로 탐색해 보았다. 20개 사례가 현재까지 잘 운영되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지만 미래를 보장할 수 있도록 전통적인 사회적경제 복합체인 이시돌협회의 경험과 비교하며 지속가능성을 찾아볼 수 있었다. 사회적경제의 지속가능한 조건은 현대와 전통 모두에서 공동체경제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사회적경제는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목적사업의 구상부터 사업의 실행, 사회적 회계에 이르기까지 공동체 구성원이 담아낸 공동체 경제를 이룰 때 가장 제주다움을 보여준다. 지역에 기반한 관계재와 마을자원의 결속은 전통의 이시돌 사례부터 현대 사회적경제에 이르기까지 지리적 특성의 지속성으로 발전하였다. 불행히도, 전 지구적으로 자본주의 경제가 모든 영역을 침범하여 현대 세계는 지역개발에 있어 국가와 국가, 국내 지역 간의 불균형, 이제는 지역 주민간의 불균등으로 이어지고 있다. 그 결과 보이지 않는 수급자와 실업자, 차상위계층과 취약계층이 사회적 약자로 전락하였다. 그렇기에 연구자는 자본주의에 대항하는 비자본주의 주체의 비율이 제주 경제의 0.75%에 불과해도 그들이 지역사회의 약자들을 돌보며 서로 호혜적인 관계를 쌓고, 유한한 마을자원을 보존하는 데 큰 의미를 둔다. 제주지역 사회적경제의 임팩트로 포착된 수눌음, 일자리, 수익, 복지, 로컬푸드, 협업과, 공동체 구성원들의 결속, 사회공헌, 주민참여는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성공 요인이었다. 이를 가치적 측면에서는 사회적 가치, 환경적 가치, 경제적 가치로 설명할 수 있다. 또한, 공동체 영역으로 보면 지역사회의 지속가능한 공공성, 공유재, 공동체로 설명할 수 있다. 정리하면, 현대 사례 20개와 이시돌협회의 지속가능 요인을 합쳐보면 제주공동체경제의 결론이 도출된다. 한국 최초의 사회적경제 조직으로서 이시돌협회는 오랫동안 유기적 생명력으로 지속해 왔다. 이시돌협회의 경험과 교훈은 현대 사회적 경제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해주었다. 이처럼 현대와 전통이 결합한 공동체경제의 지속가능성은 첫째, 주민참여 및 일자리창출과 교육 및 돌봄 사업을 통한 공공성의 실현, 둘째, 토양 연구 및 초지개발과 사회공헌 및 환경보전을 통한 마을자원의 활용, 셋째, 공동체 구성원의 결속과 수눌음은 경제적 협력을 통한 공동체경제의 실현에서 찾을 수 있다. The world is run on economic activities, which do not just mean market capitalism. There are a variety of economies in work including civil economy called social economy as alternative economy, economy for all, community economy, social economy, cooperatives, non-profit organization activities, donation culture, and certified social economy. Professors Gibson and Graham searched for community economy cases all around the world, looking at the economy through economic trends rather than fixed theories. Community economy features the generation of proper profit based on a small community and the return of a proper portion of the profit to the community. Still keeping the community spirit, economic activities on Jeju Island especially show as a community economy that there are diverse worlds other than capitalism. The community economy of Jeju is based on villages and communities and leads citizens toward a better world through trust, relational goods, and social capital in addition to capital amid trivial things in daily life. The investigator selected cases of making efforts in the area of economic activities and reviewed their expansion plans. The investigator identified success factors based on 20 modern cases and connected them to the experiences of the traditional Isidore Development Association to explore their sustainability. Community economy features a profound and organic bottom-up process to pursue community development and an economic trend of implementing publicness, common resources, and community spirit in a small community. There have not been, however, enough empirical discussions and introductions of communities and villages. This study reviewed the social economy organization data of Jeju collected with literature study, interviews,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 according to the EMergence des Enterprises Sociales en Europe (Emergence of Social Enterprises in Europe, EMES) indexes and analytical works to arrange core factors. This job helped analyze various forms of historical data and contributed to the specific arrangement of social economy that developed in various forms of alternative economy in Jeju. Unlike previous studies in the field of social economy research that covered the certification process, supports, startups, employment, networks, autogenic power, and achievements, the investigator examined discussions about locally-based communities, the solidarity of members in the community, and the contributions of the social economy to the community.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social economy from a geographical perspective based on local needs and their solution factors. The 20 cases examined in the study were considered to maintain good management so far, and the study examined their sustainability by comparing their experiences with those of the Isidore Development Association, a traditional social economy complex so that their future could be guaranteed. The sustainable conditions of social economy are based on community economy both in the modern and traditional cases. These cases displayed what was the most Jeju-like when their social economy fulfilled community economy through the community members from the conception of a target project through its implementation to its social accounting to realize social values. The solidarity between community-based relational goods and village resources developed into the continuity of geographical features from the traditional Isidore cases to the modern social economy. Unfortunately, the capitalist economy has penetrated all areas worldwide. In the modern world, local development has led to an imbalance between states and between regions in a nation and now to inequality among residents. As a consequence, invisible recipients, jobless people, the near poor, and the vulnerable degraded into the socially weak. The investigator finds huge significance in the economy of Jeju where the non-capitalist subjects against capitalism account for only 0.75% but work hard to take care of the weak in the community, establish mutually reciprocal relations with them, and preserve the finite village resources. A range of factor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impacts of the social economy on Jeju Island, and they included Sunureum, jobs, profit, welfare, local food, cooperation, solidarity among community members, social contribution, and resident participation. They turned out to be success factors both in traditional and modern cases. They can be explained with social, environmental, and economic values in the area of values and with publicness, common resources, and communities that are sustainable in the community area of the community. In short, the study put together the sustainable factors of the 20 modern cases and those of the Isidore Development Association and reached conclusions for the community economy of Jeju. As Korea's first social economy organization, the Isidore Development Association has kept its organic life force for many years. Its experiences and lessons guarantee the sustainability of the modern social economy. The sustainability of community economy combining modernity and tradition can be found in the realization of publicness through resident participation, job creation, and education and care projects, in the utilization of village resources through soil research, grassland development, social contributions, and environment preservation, and in the fulfillment of community economy through the solidarity of community members and economic cooperation in Sunure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