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누리과정의 인성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행

        이소형 서울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국문 초록 누리과정의 인성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행 이 소 형 M. A. 보육학 전공 서울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본 연구는 3-5세 누리과정 인성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행정도, 관심과 필요성 인식의 정도에 따른 실행의 차이와 관계 등에 대하여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3-5세 누리과정 인성교육의 필요성, 내용, 방법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2. 3-5세 누리과정 인성교육에 대한 교사의 실행 수준은 어떠한가? 3. 3-5세 누리과정 인성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따라 실행의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인천 소재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3-5세 누리과정 교육을 실행하고 있는 만3-5세 담임교사 315명이다. 연구도구는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와 해설서(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 2013), 선행연구(최태경, 1999; 류말순, 2002; 임정렬, 2002)의 내용을 기초로 한 박경옥(2010)의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예비 유아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설문지’를 토대로, 김경신(2010)의 ‘인성교육 실태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설문지’, 원인숙(2010)의 ‘유아 인성 교육 설문지(교사용)’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였다. 본 조사의 자료 분석을 위해서는 SPSS Win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빈도와 백분율, 독립표본 t 검정, 상관분석, χ² 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인성교육에 대하여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인성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유아들의 바른 인성교육을 위하여 ‘가정과의 연계’, ‘기본생활습관 지도’, ‘부모와 교사의 가치관’이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그러나 교사 자신이 유아의 행동모델로서는 부족하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둘째, 누리과정 교육은 대부분의 교사들이 받았으며, 인성교육은 70%정도의 교사들이 연수를 받았다. 교사들은 ‘교육은 실시했지만 자신감은 없다’는 교사가 가장 많았다. 어린이집에서 이루어지는 누리과정의 인성교육은 ‘주제에 맞는 프로그램’을 ‘누리과정 자료집을 활용’하여 ‘일주일에 1회 정도’실행하는 것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기본생활습관 형성’에 중점을 두고 인성교육을 하며, ‘관찰평가방법’을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었다. 셋째, 누리과정 인성교육의 인식정도에 따른 실행의 차이에 대하여 경력, 인성교육연수, 관심, 필요성 인식에 따라 실행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필요성 인식, 관심, 인성교육 순으로 인성교육 실행의 유의미한 차이는 높게 나타났다. 반면 경력에 따른 인성교육의 실행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아 인성교육의 실행을 위하여 필요한 것은 교사의 경력의 높고, 낮음보다 교사의 관심과 인식, 교사의 인성교육과 결부되어 있다. Abstract Teachers’ perception and use about the character education of Nuri Curriculum So Hyeong, Lee Master of Arts in Child Care and Education Graduate School Seoul Theologica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and correlation of results according to teachers’ perception, a level of use, a degree of concern and an awareness of necessity about the character education of Nurri Curriculum for young children. The question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1. How well teachers are aware of the necessity, contents and mechanism of a character education of Nurri Curriculum for age 3-5. 2. How successful teachers are in implementation on a character education of Nurri Curriculum for age 3-5. 3. How different is the level of implementation according to teachers’ awareness on a character education of Nurri Curriculum for age 3-5. This study represents 315 nursery school teachers in Incheon who implement Nurri Curriculum for 3-5 year-old children. This study refers to ‘A manual for teachers in Nurri Curriculum by age 3-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inistry of Education, 2013), ‘Preceding research’ (Te-Kyeong, Choi, 1999; Mal-Soon, Ryu, 2002; Jeong-Ryeol, Lim, 2002), ‘A study on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on a character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Kyeong-Ok, Park, 2010), ‘A research on the actual status of character education and improvement plan’ (Kyeong-Sin, Kim, 2010) and ‘Research on a character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n-Suk, Won, 2010) for connected purposes. For this study, SPSS Win 17.0 program was used to analyse the data, and frequency, percentage, independent sample t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χ² test were implemented.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First of all, teachers are very concerned about character education and aware of the necessity of it. Teachers are also aware that connecting with families, daily life habit and values parents and teachers have are most important. However they think themselves are not enough role model for young children. 2. Secondly, most teachers take the courses for Nurri Curriculum, but only 70% of them for character education. Many teachers are not quite confident enough, even though they took the courses. The number of teachers who implement programs for character education for children once a week by using Nurri Curriculum guide book is the highest. They have been implementing character education focusing on building children’s daily life habit. Observation and evaluation are the most preferred way to do it. 3. Thirdly, as for Nurri Curriculum, an awareness of necessity, a degree of concern, and character education courses, work experiences are the 4 factors set for this study to see the differences and correlation of result. An awareness of necessity came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llowed by a degree of concern and character education courses. On the other hand, work experiences has less impact on a character education. In conclusion, teachers’ awareness, concern and character education courses are more related to the result of children character education than just teachers’ work experiences.

      •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직무열의가 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양은경 성신여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work engagement on teaching efficacy with childcare teachers. The research questions we have set for thi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self-esteem, work engagement and childcare teachers’ teaching efficacy? Second, what is the relativ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work engagement on childcare teachers' teaching efficacy? This study surveyed 234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home, private, corporate, and public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area from May 28 to June 25, 2018. To measure social support, the test developed by Park, Ji-won(1985) and modified by Ahn, Hye-jung(2013) was used with correcting and complementing. Self-Esteem Inventory was used that developed by Coopersmith(1967), then translated by Kang, Jong Gu(1986), and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Kim Jong Eun(2010). In order to measure work engagement, the test of the Utrecht Work Engagement Scale(UWES) of Schaufeli and Bakker(2003) that Lee, Rang(2006) tranlated and Choi, Sun(2012) modified and supplemented. In order to measure the teaching efficacy, the tool that Shin, Hye Young(2004) used based on the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STEBI) developed by Enochs and Riggs(1990) was used with correcting and complemented. For the analysi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24.0 program. First,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to examin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the Cronbach's coefficient of the measurement tools used in the study was calculated to test the reliability.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also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self-esteem, work engagement, and teaching efficacy of childcare teachers. Final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v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enthusiasm on the teachers efficacy.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ll sub factors of social support, self-esteem, work engagement, and teaching efficac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self-esteem, work engagement and teaching efficacy. Seco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self-esteem, and work engagement perceived by the childcare teacher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teaching efficacy respectively, and social support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impact. In details of sub-factors of teaching efficacy, the relativ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work engagement perceived by the teachers on general teaching efficacy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ly on work engagement. Also, the relativ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work engagement perceived by the teachers on personal teaching efficacy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in order of self-esteem and work engagement, but social support had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In this study,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self-esteem, work engagement, and teaching efficacy perceived by the childcare teachers. In addition, through analyz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work engagement on teaching efficacy, it was found that self-esteem and work engagement had a higher influence on teaching efficacy than social support. This implies that the internal factors than external factors, and personal teaching efficacy than general one have mor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teaching efficacy of childcare teache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based on these results, childcare teachers’ teaching efficacy is promoted, and the basic data for the quality improvement of the child care is presented.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직무열의, 그리고 교수효능감의 관계를 살펴보고, 각 변인들이 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직무열의와 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직무열의가 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에 미 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2018년 5월 28일부터 6월 25일까지 서울, 경기지역에 소재한 가정, 민간, 법인, 국·공립 어린이집에서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23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보육교사의 사회적지지를 측정하기 위하여 박지원(1985)이 개발하고 안혜정(2013)이 사용한 도구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고,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Coopersmith(1967)가 개발한 Self-Esteem Inventory를 강종구(1986)가 번안하고 김정은(2010)이 사용한 도구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직무열의를 측정하기 위하여 Schaufeli와 Bakker(2003)의 직무열의 측정도구(Utrecht Work Engagement Scale, UWES)를 이랑(2006)이 번안하고 최선(2012)의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교수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Enochs와 Riggs(1990)가 개발한 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 측정도구(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STEBI)를 신혜영(2004)의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먼저,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신뢰도 검증을 위해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의 Cronbach's 계수를 산출하였다. 보육교사의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직무열의, 교수효능감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직무열의가 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가 인식한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직무열의와 교수효능감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직무열의와 교수효능감의 하위변인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직무열의가 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아존중감, 직무열의의 순으로 교수효능감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회적지지는 교수효능감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교수효능감의 하위변인으로 나누어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직무열의가 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 중 하위변인인 일반적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유일하게 세 변인 중 직무열의만이 일반적 교수효능감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직무열의가 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 중 하위변인인 개인적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자아존중감, 직무열의의 순으로 개인적 교수효능감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지지는 개인적 교수효능감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가 인식한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직무열의와 교수효능감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분석하였고,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직무열의가 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봄으로써 사회적지지보다 자아존중감과 직무열의가 상대적으로 교수효능감에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교사의 교수효능감에 외적변인 보다는 내적변인이, 일반적 교수효능감보다는 개인적 교수효능감이 더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을 증진시키고, 나아가 보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정서표현이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미정 성신여자대학교 생애복지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유아의 개인변인에 따른 스트레스 행동의 차이를 살펴보고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정서표현이 유아 스트레스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은 개인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과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정서표현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정서표현이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인천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3, 4, 5세 유아들의 어머니 20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정서표현 및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에 대한 내용을 각 유아의 어머니가 평정하도록 각 가정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조사기간은 2015년 1월 16일부터 3월 17일까지이며 연구허락을 받은 유치원과 어린이집을 통해 설문지 250부를 배부하고 회수하였다. 이러한 과정으로 회수된 211부의 설문지 중 응답 내용이 불성실한 설문지 10부를 제외한 201부를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연구 도구는 어머니의 양육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박주희(2001)가 개발한 어머니의 양육행동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어머니의 정서표현 측정을 위하여 Halberstadt, Cassidy, Stifter, Parke와 Fox(1995)가 제작한 가정에서의 자기표현 질문지(Self-Expressiveness in the Family Questionna ire)를 한영민(2005)이 번역한 것을 사용하였다.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을 관찰하기 위한 Burts, Hart, Charlesworth와 Kirt(1990)가 제작한 CCSBI(Classroo m ChildStress Behavior Instrument)를 이윤경(1992)이 번역하고 민은영(2014)이 사용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연구문제에 따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은 개인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유아의 연령과 어머니의 연령에 따른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유아의 성별과 어머니의 직업 및 학력수준에 따른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과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정서표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정서표현은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가 온정·격려, 한계설정의 양육태도를 보일수록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과보호· 호, 거부·방임의 양육태도를 보일수록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가 긍정적인 정서표현을 할수록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은 낮아지고, 부정적 정서표현을 할수록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정서표현이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정서표현보다 양육태도가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어머니의 온정적이고 격려하는 양육태도가 유아의 소극적, 적극적 스트레스 행동을 모두를 낮추는데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과보호 또는 허용하는 양육태도는 유아의 소극적, 적극적 스트레스 행동을 높이는데 영향력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어린이집 조직문화가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차현주 서울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세 가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검토하는데 있다. 1. 어린이집의 조직문화가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어린이집의 조직문화가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 어린이집의 조직문화,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간에 상관관계는 어떠한가?를 검토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기존에 검증된 연구도구인 어린이집 조직문화척도(조인숙, 2005), 교사효능감척도(김해리, 2018), 직무만족도 측정도구(신동희, 2004)를 이용하여 부천시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3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고, 연구도구의 문제점이 발견되지 않아 본 연구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에 참여한 부천시와 인천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는 총 350명으로 그 중 31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분석방법은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22.0 Korean version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어린이집 조직문화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주관적인 신념인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에서 교수효능감과 양육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또한 보육활동에 대한 만족도인 직무만족도에서는 원장과의 관계, 근무환경 및 시설, 부모교사 관계, 동료교사와의 관계, 지지자원 및 복지에 미치는 영향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며, 보육교사로서의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개발문화와 합리문화는 긍정적인 영향이, 위계문화에서는 부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앞으로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긍정적이고 바람직한 어린이집의 조직문화의 형성이 필요함을 말해주고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 간에도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보육의 질을 높이는 방법으로 보육교사의 높은 직무만족으로 교사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근무환경을 마련하는 것은 영·유아의 발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임을 말해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ollowing three questions. 1. What an effect does organizational culture in child care centers have on child care teachers' teacher efficacy? 2. What an effect does organizational culture in child care centers have on child 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3. What is the correlation among organizational culture in child care centers and child care teachers'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30 child care teachers working in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Bucheon-si was conducted by using the existing validated research tools such as the scale of organizational culture in child care centers (Jo Insuk, 2005), the scale of teacher efficacy (Kim Haeri, 2018) and the measuring tool of job satisfaction (Sin Donghui, 2004). Then,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s any problems were not found from the tools. A total of 3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350 child care teachers working in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Bucheon-si and Incheon-si and then 310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analysis. An empirical analysis on them was conducted by using the Korean version of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22.0. The findings showed that organizational culture in child care cent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ub-factors of teacher efficacy, teachers' subjective faith in their abilities, such as teaching and parenting efficacy; those of job satisfaction, their satisfaction with child care activities, such as relationship with directors, working environment and facilities, relationship with parents, relationship with fellow teachers, support resources and well-being; development and rational culture, but had a negative effect on hierarchical culture, for job performance. They tell the formation of positive and desirable organizational culture in child care centers is required as a method for enhancing child care teachers'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is a positive relation between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s a measur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child care, the establishment of working environment in which child care teachers' higher job satisfaction can enhance their teacher efficac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toddlers and infants.

      • 가정어린이집 실외놀이 자원봉사자로 참여한 어머니들의 경험

        한은희 성신여자대학교 생애복지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논 문 개 요 본 연구는 가정 어린이집 영아반 실외놀이 활동에 자원봉사자로 참여한 어머니들의 참여 동기는 어떠하며, 실외놀이 활동에 대한 부모의 경험과 어머니들이 자원봉사를 통해 느끼는 보람은 무엇인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어린이집 실외놀이 활동에 자원봉사자로 참여한 어머니들의 동기는 어떠한가? 둘째, 가정어린이집 실외놀이 활동에 자원봉사자로 참여한 어머니들의 실외놀이에 대한 경험은 어떠한가? 셋째, 가정어린이집 실외놀이 활동에 자원봉사자로 참여한 어머니들이 자원봉사자로서 느끼는 보람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참여자는 경기도 N시에 소재한 가정어린이집인 E어린이집에 재원중인 원아 어머니 7명이다. E어린이집 실외놀이 활동에 자원봉사자로 부모들의 경험을 알아보고자 E어린이집 학부모를 대상으로 연구 참여자를 모집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참여관찰은 2014년 9월 22일부터 2014년 12월 22일까지 3개월 동안 실외놀이 활동이 진행되는 시간에 실시하였다. 심층면담은 개별면담과 집단면담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개별면담은 자원봉사 활동을 시작하기 전과 후 20-30분으로, 자원봉사 활동 참여가 있을 때 마다 실시하였으며 집단면담은 자원봉사활동 시작 전과 후(2회)에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에 대한 객관성을 확보하고자 사진을 촬영하고, 모든 면담의 내용은 녹음하여 전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반복하여 읽으면서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나타난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어린이집 실외놀이 활동에 자원봉사자로 참여한 어머니들은 어린이집 생활에 자녀와 함께 참여하면서 자녀의 어린이집 생활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고 생각하여 참여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또한 자원봉사자로 참여하게 되면 공식적이고 지속적인 참여를 통해 자유로운 어린이집 출입이 가능할 것이라는 생각으로 참여를 하게 되었으며 자원봉사 활동에 자신이 참여하지 않으면 자신의 자녀가 소외감을 느낄 것 같다는 생각에서 실외놀이 자원봉사에 참여하였다. 둘째, 어머니들은 실외놀이 자원봉사를 통해 실외놀이는 산책을 통해 자연스럽게 자연을 접하는 시간이고, 교사와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언어적 발달 및 사회성 발달이 촉진되는 시간이며 배움의 시간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고 하였다. 또한 실외놀이는 자녀들이 즐거워하나 안전에 대한 염려가 공존하는 시간이며, 실외놀이 지도에 대한 교사의 어려움을 공감하는 시간도 되었다고 하였다. 셋째, 실외놀이 자원봉사자로 참여한 어머니들은 내 아이의 선생님이라는 즐거움과 자녀 친구들의 선생님이 되어 본다는 점에서 보람을 느꼈으며 자녀와 또래 친구들의 행동 특성과 발달에 대해 이해하는 시간도 가질 수 있어서 뜻 깊은 시간이 되었다고 하였다. 또한 실외놀이 활동에 자녀와 함께 참여하면서 자연에 대한 새로운 발견을 하고, 자연환경에서 느끼는 여유로움과 정서적 안정감을 느끼는 시간이었다고 하였다. ABSTRACT Experience of Volunteering Mothers in Outdoor Plays at Home Daycare Center Han Eun-Hee Department of Child care and Education Child Care and Education Major Graduate School of Lifetime Welfare Sungshin Women's University This study explores the participation motives of mothers who volunteered for outdoor play activities with an infant class of a home daycare center, the experiences of parents in outdoor play activities, and their feeling of reward from volunteering. The research questions proposed by the purpose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motives of mothers who volunteered for outdoor play activities in the home daycare center? Second, what are the experiences of mothers who volunteered for outdoor play activities in the home daycare center? Third, what are the rewarding feeling of mothers who volunteered for outdoor play activities in the home daycare center? Participants of this study include 7 mothers of children in E home daycare center in N city, Gyeonggi-do. Participants were recruited out of the parents of children in E home daycare center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volunteering parents in outdoor play activities in E home daycare center,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participation observ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Participation observations were carried out during outdoor play activities for 3 months, from September 22, 2014 to December 22, 2014. In-depth interviews were divided into individual interviews and group interviews. Individual interviews were carried out between 20-30 minutes before and after every participation in volunteering activities, and group interviews before and after volunteering activities (total 2 interviews). For the sake of objectivity of data collection, we took photos, recorded and transcribed all interviews, and categorized and analyzed the data while repeatedly reading them. The major results of the research procedure are as follows: First, the volunteered mothers who volunteered for outdoor play activities in the home daycare center answered that they participated because it would help find their curiosity about their children's lives in the daycare while they participate in the life of daycare together with their children. They also thought they would be able to visit the daycare more freely through official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if they volunteer and participate, and they decided to join the volunteering because their children might feel left out if they did not volunteer. Second, they answered they learned, through volunteering for outdoor play activities, that their children can naturally experience the nature while walking outside and linguistic development and social development are promoted through interactions with the teachers and peers. In addition, they found that enjoyment of children and worries about safety coexist during the outdoor plays, and also could sympathize with the difficulties of teachers who supervise outdoor plays. Third, the volunteering mothers in the outdoor plays felt rewards from happiness of being teachers of their own children and teachers of their children's friends, and they found it meaningful that they could understand behavior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of their children and their peers. They also answered that they could make new discoveries about t도 nature and feel relaxation and emotional stability while they participated in outdoor play activities.

      • 어린이집 CCTV 운영에 대한 부모의 경험과 요구

        신윤지 성신여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어린이집 CCTV 운영에 대한 부모들의 경험과 요구를 심층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바람직한 운영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어린이집 CCTV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 및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해 선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CCTV 운영에 대한 부모의 경험은 어떠한가? 둘째, 어린이집 CCTV 운영에 대한 부모의 요구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CCTV를 운영 중인 어린이집에 자녀가 재원하고 있는 부모 10명을 대상으로 2018년 4월 16일부터 2018년 8월 31일까지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마다 각 2회씩, 총 20회의 면담이 진행되었다. 심층면담을 바탕으로 녹음자료, 면담 전사본, 연구자저널을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면담내용을 반복적으로 검토하여 내용을 분류하고 범주화하는 과정을 거쳐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CCTV 운영에 대한 부모의 경험을 살펴본 결과, 부모들은 어린이집에서 CCTV를 운영함으로써 어린이집에 대한 신뢰를 높이게 된다고 하였다. 부모들은 비록 어린이집 교사들의 입장에서는 어린이집 CCTV 운영이 불편할 수도 있겠지만 영아와 상호작용 해야 하는 어린이집 교사라는 직업의 특수성으로 이해하여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또한 부모들은 어린이집 CCTV 운영을 통해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노력하는 교사들의 모습을 볼 수 있게 되었으며, 교사의 이러한 노력이 자녀의 안전사고와 아동학대를 예방하게 될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더불어 어린이집 CCTV 열람을 통해 자녀의 안전사고 및 아동학대 영상을 확인할 수 있으며 자녀의 사고에 대한 객관적 증거로 활용 할 수 있다고 보았다. 하지만 부모들은 어린이집 CCTV를 열람하고 싶더라도 담임교사 및 원장과의 관계, 사실 확인에 대한 두려움으로 어린이집에 열람의사를 밝히는 과정까지 많은 고민을 하고 있었다. 또한 열람을 하는 과정에 있어 부모들은 어린이집마다 CCTV 열람 매뉴얼이 서로 다르게 운영되고 있는 것에 혼란스러워하였으며 개선의 필요를 느끼고 있었다. 둘째, 어린이집 CCTV 운영에 대한 부모의 요구를 살펴본 결과, 부모들은 현재 실행되고 있는 어린이집 CCTV 운영안내 교육이 부모들이 이해하기에 쉽고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되기를 기대하였다. 부모들은 어린이집 CCTV가 ‘아동학대 예방’ 뿐만 아니라 CCTV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기능을 활용하여 효율적인 하루일과 운영을 위한 보조적 기능 및 어린이집 운영에 관한 불만 사례 해결, 어린이집 외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범죄예방, 부모 상담 자료 등의 역할로 활용되기를 기대하였다. 한편 부모들은 어린이집 CCTV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느끼고 있으며 객관성 있는 평가와 공정한 관리 감독 등 정부 차원의 적극적 개입이 필요하다고 요구하였다. 또한 부모들은 대중매체를 통해 접하게 되는 어린이집 관련 CCTV 영상이 대부분 ‘아동학대사건’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는 것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며 어린이집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고정되지 않도록 보다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언론의 역할을 요구하였다. 더불어 부모들은 기존에 어린이집을 대하던 소극적이고 비참여적인 태도를 반성하며 어린이집 CCTV 운영관리에 보다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참여하는 부모 스스로의 역할 변화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도덕 판단력과의 관련성 연구

        신춘옥 서울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A Study on Correlationship between Parents' Parenting Behaviors and Little Children's Moral Judgement Shin, Chun-Ok Major: Child Care and Education Graduate School in Seoul Theologica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parenting behaviors and moral judgement of their little children, and how dependent moral judgement of little children is on their age and gender, relating to parent's parenting behavior. In addition, this study has another aim to suggest parents the parenting behaviors to improve raise moral judgement of their little children, and also provide teachers in education field basic data necessary to plan morality education for little education and education for parents as well. The thema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1. How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parenting behaviors and moral judgement of their little children? 2. Are there differences in parenting behaviors and children's moral judgments by age and gender? The tool for measurement is the modified scale from the <measurement scales of mothers' parenting behaviors> of Lee, Won-Young, which was transformed from the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MBRI)>(Schaefer, 1959). Our tool has been proved as appropriate for applying to parents in Korea. The <measurement scales of mothers' parenting behaviors> has 154 items in 28 dimensions, which was too complex and has too many items. So, we modified and supplemented the questionnaire by getting consults from 3 educational professionals, resulting into survey to ask only two types of parenting attitudes, 'affectionate-autonomous behaviors' and 'rejective-controling behaviors, according to dimensions of affection-rejection and autonomy-control. Confidence level of <measurement scale of parents' parenting behaviors> in this research, or Cronbach α, was relatively high, 0.95 for the fathers' survey, and 0.90 for the mothers' survey. In order to test moral judgment of little children, <measurement scale of little children's moral judgment development> was used as the tool for the research, with modified and supplemented from the questionnaire provided by Park, Sung-Hye(1991), and Choi, Sung-Suk(1996) with illustrations, which was originated from the theory of Piaget and then Hebble(1971).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92 little children from 4-5-years-old, who belong to 5 kindergartens in Kyoungi and Incheon Province, and their 92 parents. The collected data was coded and revised about data errors using SPSS 14.0, then put and treated statistically. Averages, standard deviation, X2-test, and correlationship were calculated, and one-way ANOVA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rrelationship between moral judgment and parenting behavior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behavior and her child's moral judgment. However, control-rejection in fathers' behaviors has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hip with children's good intention(r=-.245, p< .05) and bad intention(r=-.270, p< .01). It means that the more control-rejection in fathers' parenting behaviors, the lower children's moral judgment. Second, by analysis of cor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behaviors and children's moral judgment by age and genders, for 4-years-old childre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ther's behaviors and children's moral judgment, but for 5-years-old children, control-rejections of fathers have negative correlationship with children's good intention. However, for 5-years-old children, the higher control-rejection of fathers' parenting behaviors, the lower moral judgment about good intention expressed by children. Also, in correlationship between fathers' behaviors and children's moral judgment depending on genders, there was no difference in girls. But, in fathers' parenting behaviors, control-rejection has negative correlationship with children's good intention. It means that the higher control-rejection of a father, the lower his boy's moral judgement. Bu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behaviors and children's moral judgment depending on gende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4-years-old children and 5-years-old children.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behaviors and moral judgment of little children has no statistical meaning depending on boys and girls. It means that mothers' parenting behaviors and children's moral judgment have no relationship based on children's genders. Therefore, from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parenting behaviors and children's moral judgment, fathers' parenting behaviors had significant correlationship with children's moral judgment, but mothers' parenting behaviors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ship with children's moral judgment.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도덕 판단력과의 관련성 연구 신 춘 옥 M. A. 보육학전공 서울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도덕 판단력과의 관계에 초점을 두고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도덕 판단력은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 고, 유아의 도덕 판단력은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라 연령별, 성별에 따라 차이 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또한, 부모에게는 유아의 도덕 판 단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양육태도를 제시해줄 뿐만 아니라 현장에 있는 교 사들에게는 유아의 도덕교육과 나아가 부모교육을 계획하고 실천하는데 필요 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도덕 판단력은 어떠한 관련이 있는가? 2.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도덕 판단력은 연령별,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가? 부모의 양육태도 측정도구는 Schaefer(1959)의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MBRI)를 우리나라 이원영(1983)이 번안하여 사용한 어머니의 양 육태도 측정척도 를 수정하여 사용한 것으로 우리나라 부모에게 사용하여도 무리가 없음이 검증되었던 도구이다. 이원영의 어머니의 양육태도 측정척도 는 모두 28개 요인의 154문항으로 지나치게 복잡할 뿐만 아니라 문항수가 너 무 많기 때문에 이 연구에 맞게 유아교육 전문가 3인의 자문을 얻어 수정, 보 완하여 Schaefer의 부모 양육태도의 기본 모형인 애정-거부 차원과 자율-통 제 차원에 따른 애정-자율적 양육태도, 거부- 통제적 양육 태도의 두 가지 유 형만을 조사하는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부모의 양육태도 측정척도 의 신뢰도는 Cronbach α의 결과 아버지용이 α=.95, 어머니용이 α=90으로 비 교적 높게 나타났다. 유아의 도덕 판단력 발달 측정척도 는 유아의 도덕 판단력검사를 하기 위해 Piaget의 이론을 바탕으로 Hebble(1971)이 제시한 이론을 중심으로 박성혜 (1991), 최성숙(1996)이 그림을 그려 제시한 질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연구도구 로 사용하였다. 경기, 인천지역의 5개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4, 5세의 유아 92명과 그 부모들 각각 9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14.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코딩과 데이터오류 검토과정을 거쳐 입력한 뒤 통계처리 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카이검증, 상관관계를 산출하고 일원변량분석 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도덕 판단력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도덕 판단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 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아버지 양육태도의 통제거부 는 유아의 좋은 의도(r=-.245, p< .05)와 나쁜 의도(r=-.270, p< .01)와는 유의한 부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아버지 양육태도의 통제거부가 높아질수록 유아 의 도덕 판단력은 낮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유아의 연령, 성별에 따른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도덕 판단력과의 관련성을 분석해 본 결과, 유아의 연령에 따른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도적적판단과의 관계는 4세 유아에 따른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도덕 판 단력은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으나, 5세 유아에 따른 아버지의 양육태도의 통 제거부는 유아의 좋은 의도와는 부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5세 유아는 아버지 의 양육태도에서 보이는 통제거부가 심해질수록 유아가 표현하는 좋은 의도 도덕 판단력은 낮아졌다. 또한, 유아의 성별에 따른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유아 의 도덕 판단력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여아에 따른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차이 가 없는 것을 나타났다. 그러나 남아에 따른 아버지의 양육태도에서 통제거부 는 유아의 좋은 의도와는 부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남아가 아버지의 양 육태도에서 보이는 통제거부가 높아질수록 남아가 보이는 도덕 판단력이 낮아 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유아의 연령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 아의 도덕 판단력과의 관계는 4, 5세 유아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 의 도덕 판단력은 의미가 나타나지 않았다. 유아의 성별에 따른 어머니 양육 태도와 유아 도덕 판단력과의 관계는 남아와 여아에 따른 양육태도와 유아의 도덕 판단력은 통계적으로 의미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유아의 성별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도덕 판단력과의 관련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 다. 따라서, 유아의 연령, 성별에 따른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도덕 판단력과 의 관련성을 분석해 본 결과,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도덕 판단력과의 관련성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어머니의 양육태도 와 유아의 도덕 판단력과의 관련성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탐색 : 직무성 스트레스 및 감정노동을 중심으로

        백주희 서울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psychological exhaustion, job stress, and emotional labor appear in relation to the age of childcare teachers. Second, it is to find out how psychological exhaustion, job stress, and emotional labor appear in relation to to the career of childcare teachers. Third, it is to find out how psychological exhaustion, job stress, and emotional labor appear in relation to the age of the class in charge of childcare teachers. Fourth, it is to find out how job stress influences the psychlogical exhaustion of childcare teachers. Fifth, it is to find out how emotional labor influences the psychological exhaustion of childcare teachers. As for the research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for 413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the age of childcare teachers on psychological burnout, it was found that emotional burnout and achievement from among the sub-factors of psychological burnout had a significant effect,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depersonalization. Looking at the contents, it can be seen that younger teachers had a higher emotional level than older teachers, and older teachers had a higher level of achievement than younger teachers.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job performance stress according to age, younger teachers had a higher level of stress than older teachers. However, unlike psychological exhaustion and job stress, emotional labor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ge of childcare teacher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careers on psychological exhaustion, job stress, and emotional labor, it was found that i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tres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sychological exhaustion and emotional labor.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the age of the childcare teacher's class on psychological exhaustion, job stress, and emotional labo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the sub-factors of psychological burnout, emotional burnout and depersonalization were higher in the kindergarten class than in the daycare class, and the sense of achievement was higher in the daycare class than in the kindergarten class.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nfluence of job performance stress on the psychological burnout of childcare teachers, it was found that i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performance stress. Looking at each sub-factor, first of all, emotional exhaustion was influenced by parental communication stress, leisure loss stress, and social prejudice stress. Child guidance stress, parental communication stress, leisure loss stress, and social prejudice stress were influential in the sense of achievement. Depersonalization was found to be a factor influenced by child guidance stress, workplace relationship stress, parental communication stress, and social prejudice stress. Fifth, emotional labor was found to have a high correlation with three sub-factors of psychological exhaustion: emotional exhaustion, sense of achievement, and depersonalizati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psychological exhaustion of childcare teacher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set up support measures according to the teacher's age, work experience, and age in charge of childcare. In addition, since the problem of teacher job stress and emotional labor has a strong influence on the psychological exhaustion of teachers, it can be seen that it is urgent to promote a teacher-supported childcare policy to solve this problem.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보육교사의 연령에 따른 심리적 소진, 직무성 스트레스, 감정노동이 차이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둘째, 보육교사의 경력에 따른 심리적 소진, 직무성 스트레스, 감정노동이 차이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셋째, 보육교사의 담당 학급연령에 따른 심리적 소진, 직무성 스트레스, 감정노동이 차이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넷째, 보육교사의 직무성 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력이 어떻게 나타나는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다섯째,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력이 어떻게 나타나는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서울, 경기, 인천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413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연령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심리적 소진의 하위 요인 중 정서적 소진과 성취감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탈인격화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정서적 소진은 저연령 교사가 고연령 교사보다 정서적 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고, 성취감은 고연령 교사가 저연령 교사보다 성취감의 수준이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연령에 따른 직무성 스트레스를 분석한 결과, 저연령 교사가 고연령 교사보다 스트레스의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감정노동은 심리적 소진과 직무성 스트레스와는 달리 보육교사의 연령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보육교사의 경력이 심리적 소진, 직무성 스트레스, 감정노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직무성 스트레스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심리적 소진과 감정노동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보육교사의 담당 학급 연령이 심리적 소진과 직무성 스트레스, 감정노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심리적 소진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정서적 소진과 탈인격화는 유아반 교사가 영아반 교사에 비해 높은 수준을 보였고, 성취감은 영아반 교사가 유아반 교사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직무성 스트레스의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직무성 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먼저, 정서적 소진에는 보호자 대응 스트레스와 여유 상실 스트레스, 사회적 편견 스트레스가 영향력이 나타났다. 성취감에는 아이 지도 스트레스, 보호자 대응 스트레스, 여유 상실 스트레스, 사회적 편견 스트레스가 영향력이 있었다. 탈인격화는 아이 지도 스트레스, 직장 인간관계 스트레스, 보호자 대응 스트레스, 사회적 편견 스트레스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감정노동은 심리적 소진의 하위 요인인 정서적 소진, 성취감, 탈인격화 3가지 하위 요인에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앞으로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연령과 근무 경력, 담당 학급연령에 따른 지원방안의 설정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고 하겠다. 또한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는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감정노동의 문제가 강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한 교사 지원 보육 정책의 추진이 시급함을 알 수 있다. 개선 방안으로써 국가가 보육교사의 사회적 인식이 제고될 수 있도록 도와야 하며, 보건복지부, 육아종합지원센터 등 보육 관련 각 기관에서는 보육 현장에 적합한 심리적 지원 프로그램을 지원해야 한다.

      • 어머니의 양육역할 수행과 유아의 정서지능 및 또래갈등 해결전략 간의 관계

        조현진 성신여자대학교 생애복지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역할 수행과 유아의 정서지능 및 또래갈등 해결전략의 일반적 경향과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어머니의 양육역할 수행과 유아의 정서지능 및 또래갈등 해결전략 간의 관계는 어떠한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어머니의 양육역할 수행과 유아의 정서지능 및 또래갈등 해결전 략의 일반적인 경향은 어떠한가? 2. 어머니의 양육역할 수행과 유아의 정서지능 및 또래갈등 해결전 략은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3. 어머니의 양육역할 수행과 유아의 정서지능 및 또래갈등 해결전 략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어린이집 6곳에 재원하고 있는 만 3∼5세 유아 17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어머니의 양육 역할 수행을 측정 하기 위해 육아정책연구소(2012)에서 개발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양육역 할 수행수준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유아의 정서지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병래(1998)가 개발한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또래갈등 해결전략을 측정 하기 위해 수정?보완한 송미선(2001)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측정에 사 용된 그림은 송미선(2001)의 도구를 바탕으로 윤동주(2013)가 제작한 그림 을 박혜림(2014)이 남아용, 여아용으로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PASW 20.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역할 수행과 유아의 정서지능과 또래갈등 해결전략 의 일반적인 경향을 분석한 결과, 어머니의 양육역할 수행 평균은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이며 양육역할 수행의 하위요인 중 기본적인 욕구 충족의 역할의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발달 지원, 교육의 역할, 사회연계의 역할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정서지능의 평균 또한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이며 유아의 정서지능의 하위요인 중 자기인식 및 표현능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타인조절 및 대인관계능력, 타인인식능력, 자기조절능력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래갈등 해결전략의 경우 친사회적 전략을 가장 빈번하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어서 자기주장 전략, 중재요청 전략, 수동적 전략, 적대적 전략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역할 수행과 유아의 정서지능과 또래갈등 해결전략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어머니의 양육역할 수행은 300만원 초과∼400만원 이하인 어머니의 유아가 500만원초과∼ 600만원 이하 어머니의 유아보다 사회연계의 역할을 더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정서지능은 여아가 남아보다 높았고, 연령이 높은 유아의 정서지능이 어린연령의 유아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래갈등 해결전략은 여아와 남아가 사용하는 전략의 차이가 있었고, 연령과 출생순위에 따라 또래갈등 해결전략이 차이가 있었다. 또한 어머니의 학력과 직업유무에 따라 또래갈등 해결전략에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역할 수행과 유아의 정서지능과 또래갈등 해결전략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양육역할 수행 전체와 또래갈등 해결 전략 중 자기주장적 전략 간에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하위요인별 관계를 살펴보면, 어머니의 양육역할 수행 하위영역 중 발달지원 및 교육의 역할과 또래갈등 해결전략 중 자기주장적 전략 간에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유아의 정서지능 전체와 또래갈등 해결전략의 하위요인 중 친사회적 전략과 정적으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수동적 전략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의 정서지능의 하위변인인 타인조절 및 대인관계 능력도 또래갈등 해결전략의 하위 변인 중 친사회적 전략과 정적으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동적 전략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어머니는 양육역할 수행에 있어 기본적 욕구 충족의 역할을 가장 높게 수행하고 있으며, 만3∼5세 유아의 정서지능은 비교적 높았고 만3∼5세 유아들은 또래갈등 해결을 위해 친사회적 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어머니의 양육역할 수행과 유아의 정서지능은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유아의 정서지능과 또래갈등 해결 전략 중 친사회적 전략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유아의 정서지능과 또래 갈등 해결전략 간에는 정적으로 상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