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장기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구강보건지식 및 구강보건 제공 실태조사

        김은희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767

        본 연구는 장기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구강보건지식 및 구강보건 제공 실태를 조사하고, 구강보건위생지침서와 구강보건교육이 구강보건 제공 실태에 주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여 요양보호대상자에게 보다 나은 구강보건을 제공하고, 요양보호사의 구강보건 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의정부시에 소재한 장기요양시설 71개소 중 본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설문을 허락한 장기요양시설(요양원) 39개소, 요양보호사 369명 이었다. 설문은 334부(90.5%)를 회수하였고, 응답이 불충분한 28부를 제외한 306부(82.9%)를 최종 분석하였다. 설문은 인적사항 5문항, 구강보건지식문항 20문항, 구강보건 제공 실천 8문항, 구강보건교육관련 2문항으로 구성하였고, 구강보건지식과 구강보건실태를 정답 1점으로 하여 100점 단위로 점수화 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자의 구강보건지식과 구강보건 제공 실태는 빈도분석을 하였고, 연령과 경력 및 대상자에 따른 구강보건지식과 구강보건 제공 실태는 분산분석과 t-test를 실시하였다. 또 구강보건 교육경험과 구강보건 위생지침서의 유무에 따른 구강보건지식과 구강보건 제공 실태는 교차분석과 t-test를 실시하였고, 연구대상자의 연령과 경력, 요양보호대상자 수, 지식이 구강보건 제공 실태에 미치는 영향은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요양보호사의 구강보건지식 점수는 100점 만점에 평균 82.8점이었고, 구강보건 제 공 실태 점수는 평균 78.8점이었다. 2. 요양보호대상자 수가 적을수록 구강위생용품 사용과 치과정기검진이 더 제공되었고, 구강보건교육경험이 있으면 구강보건 제공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3. 구강보건교육경험이 있으면 구강보건 제공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나, 구강보건지식 점수는 높지 않았다. 4. 장기요양시설에 구강보건위생지침서가 비치되어 있는 경우 구강보건 제공 점수가 더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5. 구강보건교육경험과 구강보건위생지침서가 있는 경우 구강보건 제공 점수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구강보건위생지침서가 통계적으로 더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This is to survey the oral-health knowledge of nursing home staffs working in the long-term care facilities (sanatoriums) and their effort to provide oral health services,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al health care services and oral health education for the nursing staff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69 nursing home staffs working in 39 nursing homes that were selected from 71 long-term care facilities in Euijeongbu city, Gyeonggi Province. Of 369 staffs, 334 respondents(90.5%) returned the questionnaire. After excluding 28 incomplete answers, 306 respondents(82.9%) were analyzed. As for oral health knowledge, one point was given to the right answers and the sum scores were recalculated on the basis of 100 points. The results were tested by SPSS 18.0 package, ANOVA and t-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education and their provision were analyzed by mu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nursing home staffs got 82.8/100 scores in oral health knowledge, and 78.8/100 scores in oral health care provision. 2) The less the nursing home patients per staffs was, the more oral health care services were given significantly. Also, there was significant increase in oral care services when the staffs were educated for oral health care. 3) If the staffs were educated for oral health care, the scores of care service were higher significantly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oral health knowledge scores. 4)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oral health knowledge according to their age and career, but the number of recipients made significant differences in use of dental hygiene supplies and periodical dental examination. 5) The correlation between the oral health care services and oral hygiene guidebook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relationship with oral health education. Conclusively, the better oral health care services were provided for elderly patients when the long-term care facilities were equipped with dental hygiene guides and when the nursing home staff members received oral health education.

      • 가철성 의치장착 노인의 의치만족도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만족도 조사연구

        유상희 원광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50719

        연구목적 : 본 연구는 가철성 의치장착 노인의 의치만족도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의치만족도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만족도와의 관련성을 조사하여 향후 노인의 구강건강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07년 8월 1일부터 12월 5일까지 전라북도 익산시, 전주시, 남원시, 임실군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가철성 의치장착 노인 310명을 대상으로 개별 면접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내용은 일반적 특성, 의치관련 특성,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주관적 건강상태, 의치만족도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만족도이었다. 연구성적 : 전체 조사대상자의 각 세부요인별 의치만족도는 통증에 대한 만족도가 81.66점으로 가장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으며, 일반적 치료만족도가 66.57점으로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연구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각 세부요인별 만족도가 달랐는데, 특히 월 평균 생활비, 의치가격에 대한 생각,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에 따라 모든 세부요인별 의치만족도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의치만족도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연간 구강질환기인 활동제한 경험, 정기적인 모임이나 여가활동, 동거가족 형태 등이었으며,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인은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이었고, 모형의 설명력은 50.5%이었다. 전체 조사대상자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만족도는 100점 만점 중 80.46점으로 나타났다. 구강건강관련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연간 구강질환기인 활동제한 경험, 의치관리상태, 정기적인 모임이나 여가활동 등이었으며,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인은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이었다. 각 세부요인별 의치만족도 중 구강건강관련 삶의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인은 통증에 대한 만족도이었고, 일반적 치료만족도, 심미적인 만족도 순이었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60.0%이었다. 결 론 : 분석결과 의치만족도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세부요인별 의치만족도 중 구강건강관련 삶의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인은 통증에 대한 만족도이었다. 의치장착 노인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의치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여러 가지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겠다.

      • 부모의 맞벌이 여부에 따른 아동의 구강건강 상태 연구 : 강북구 지역에 거주하는 아동대상

        서민희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719

        최근 사회경제적 환경과 가족구조의 변화로 여성의 사회참여율이 높아지면서 맞벌이 가구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부모의 관심이 필요한 시기에 미취학 아동들이 보육시설에 맡겨지면서 구강건강에 소홀하게 된다. 학령전기의 아동은 구강건강을 위해서 보호자의 역할이 절대적으로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맞벌이 부모의 경우 시간적 제약과 자녀에 대한 관심 부족으로 다른 신체질환에 비해 잘 드러나지 않는 구강보건을 더 소홀히 할 가능성이 있어 구강건강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부모의 맞벌이로 인한 어머니의 취업상태가 자녀의 구강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2013년 5월 한 달 간 강북구 소재의 아동시설 중 비확률 편의추출 된 4곳의 만3세부터 만5세 아동 대상자 315명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서면으로 설명하고 동의를 구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아동시설을 직접 방문하여 구강검진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부모가 맞벌이 하는 경우는 49.8%, 외벌이인 경우는 50.2%로 비슷한 비율을 차지했다. 어머니의 직업관련 특성은 전문직 21.5%, 비전문직 31.1%, 전업주부 47.5%였다. 부모의 학력 중 어머니의 학력은 고졸이하 31.5%, 대졸 64.8%, 대학원 이상 3.7%이었다. 자녀의 유치 우식치 개수는 어머니가 취업을 한 경우 평균 1.93개, 하지 않은 경우 평균 0.62개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자녀의 유치 우식치 개수는 어머니의 학력이 고졸 이하인 경우 평균 2.76개, 대졸인 경우 평균 1.56개, 대학원 이상인 경우 평균 0.67개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자녀의 유치 우식치 개수는 어머니의 직업이 전문직일 때 평균 1.94개, 비전문직인 경우 평균 1.82개, 전업주부의 경우 평균 0.63개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p<0.05), 부모의 소득에 따른 자녀의 dft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부모의 자녀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도는 맞벌이 여부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부모의 자녀 구강건강에 대한 실천도를 파악하기 위해 잇솔질 지도여부를 조사하였는데 자녀의 유치 우식치 개수는 외벌이 부모에서 잇솔질 지도를 할 경우 평균 0.64개, 지도를 하지 않을 경우 평균 0.50개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자녀의 유치 우식치 개수는 맞벌이 부모에서 잇솔질 지도를 할 경우 평균 1.72개, 안 할 경우 3.46개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자녀의 구강건강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유치 우식치 개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맞벌이 유무인 것으로 나타났다(p<0.05).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상대적으로 자녀와 보내는 시간이 적은 맞벌이 부부가 자녀의 구강건강관리에 더욱 관심을 가져야 하며 정부차원에서도 맞벌이 가정에서 자녀의 구강건강 관리를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사회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There is lately an increase in women's social participation due to the changes of socioeconomic environments and family structure, and the number of double-income families is on the rise as well. As a consequence, many preschool children are being placed under the care of childcare centers even though they are in need of parental concerns, and their oral health is eventually disregarded. Parental roles are mandatory for the oral health of children of preschool age, but working parents are more likely to be not concerned about their children's oral health because of time constraints, though oral health problems are not easy to find out in comparison with other diseases. Preschool children's oral health is apt to be damaged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employment of working mothers on children's oral health.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parents of 315 children who were selected by nonprobability convenience sampling from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Gangbuk-gu. The children aged from three to five. After the purpose and method of this study were explained in writing, a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ir consent in May, 2013. The childcare centers were visited by the researcher to conduct dental checkup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rate of both parents working stood at 49.8 percent, and families in which only the husbands were working accounted for 50.2 percent. The rate of the two cases were similar. As for the job-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mothers, 21.5 percent were professionals, and 31.1 percent were non-professional workers. 47.5 percent were full-time homemakers. By academic credential, 31.5 percent of the mothers received high-school or lower education, and 64. percent were college graduates. 3.7 percent received graduate-school or higher education. Concerning the number of the children's dft, children with employed mothers had a mean of 1.93 dft, and children with unemployed mothers had a mean of 0.62 dft. The difference between the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Children whose mothers received high-school or lower education had a mean of 2.76 dft, and children whose mothers were college graduates had a mean of 1.56 dft. Children whose mothers received graduate-school or higher education had a mean of 0.67 dft. All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Children whose mothers were professionals had an average of 1.94 dft, and children whose mothers were non-professional workers had a mean of 1.82 dft. Children whose mothers were full-time homemakers had a mean of 0.63 dft. All thes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and there were no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income of the parents. Whether both of the parents were working or not made no differences to their concerns for their children's oral health. Whether the parents taught their children how to brush their teeth was analyzed to determine their care for their children's oral health. The dft number of the children who learned Toothbrushing from their non-working mothers was 0.64 on average, and the dft number of the children who didn't learn from their non-working mothers was 0.50 on average.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dft number of the children who learned toothbrushing from their working parents was 1.72 on average, and that of the children who didn't learn toothbrushing from their working parents was 3.46 on average.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When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made, whether both of the parents were working or not was identified as a factor to affect the number of dft(p<0.05).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 that working parents who spend less time with their children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their children's oral health care. The government also should try to create the kind of environments that double-income families can take good care of their children's oral health, and parents should be obliged to have their infants, toddlers and preschoolers get dental checkups to promote the children's oral health. Thus, the government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preschool children's oral health.

      • 구강양치액과 타액대체제 병용이 치아 침식에 미치는 영향

        마미혜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703

        노인인구의 증가에 따라 구강건조증을 호소하는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임상에서 구강건조증을 완화하기 위해 타액대체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잇몸질환이나 충치 예방 등을 목적으로 구강양치액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연구의 목적은 타액대체제가 인공 우식 법랑질과 치근 상아질에 미치는 영향과 구강양치액과 타액대체제를 병용했을 때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인공 우식 법랑질과 치근 상아질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알기 위함이다. 세 가지 종류의 타액대체제와 한 가지 종류의 구강양치액을 반복 도포하여 QLF-D (Quantitative Light induced Fluorescence - Digital) 장비로 치아 침식 정도를 분석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건전한 소의 하악 전치 96개를 대상으로 하였다. 발거한 우치는 치면을 세척 및 건조한 후 법랑질과 치근 상아질에 2mm * 3mm의 윈도우를 형성하였다. 치아를 무작위로 선정하여 3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1군은 구강양치액만 사용한 군으로 인공 타액에 보관한 우치를 1일 2회 구강양치액에 10분간 침적하였고 침적 후 증류수로 세척하여 인공 타액에 보관하였다. 2군은 타액대체제만 사용한 군으로 인공 타액에 보관한 우치를 1일 6회 Spray 형식의 타액대체제인 오아시스 (Oasis Consumer Health, Cleveland, OH, USA)와 제로미아액 (Xeromia Solution, Ostempama Co., Korea)을 분사하여 3분 후 증류수로 세척하여 인공 타액에 보관하였다. Gel 형식의 타액대체제인 드라이문트겔 (DryMund Gel, Dong-a CO., Korea)은 1일 6회 면봉을 이용하여 탈회된 치면에 도포하고 3분 후 인공 타액에 보관하였다. 3군은 타액대체제와 구강양치액을 병용한 군으로 인공 타액에 보관한 우치를 1일 6회 Spray 형식의 타액대체제인 제로미아액과 오아시스를 분사하여 3분 후 증류수로 세척하여 인공 타액에 보관하였고, 하루 2회 구강양치액에 10분간 침적하였다. Gel 형식의 타액대체제인 드라이문트겔은 1일 6회 면봉을 이용하여 탈회된 치면에 도포하고 3분 후 인공 타액에 보관하였고 하루 2회 구강양치액인 구강양치액에 10분간 침적하였다. 대조군을 위해 1일 2회 3분간 탈회 치면을 증류수로 닦은 후 인공 타액에 보관하였다. 모든 군의 인공 타액은 24시간마다 교체하였다. 치아 시편을 3-way syringe로 충분히 건조한 후 아크릴 상자에 시편을 넣어 동일한 환경에서 동일한 촬영자가 촬영을 진행하였다. QLF-D 촬영 시점은 탈회 전, 0일, 3일, 7일, 14일이며 1개의 치아 당 법랑질과 치근 상아질 두개의 영역을 촬영하였다. 각 군의 ΔQ (병소 깊이에 대한 형광 소실도 단위 %, 병변의 면적의 곱 단위 px2) 의 변화량을 비교하기 위해 QLF-D 전용 분석 프로그램 (QA2, Inspektor research systems BV, Amsterdam, The Netherland) 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통계 분석은 SPSS 28.0 (SPSS, Chicago, IL, USA)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유의수준은 0.05로 하여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타액대체제와 구강양치액이 법랑질과 치근 상아질에 미치는 영향을 시간에 따라 확인하기 위하여 Repeated Measures ANOVA를 사용하였고, 시간에 따른 ΔQ값의 변화와 제품에 따른 상호작용에 효과가 있는지 판단하기 위하여 Greenhouse-Geisser 검정을 사용하였으며 Tukey의 사후 검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타액대체제를 사용했을 때 법랑질의 ΔQ를 비교한 결과 14일째에서 오아시스보다 제로미아, 드라이문트겔이 침식의 정도가 유의하게 더 컸다 (p < 0.05). 타액대체제를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와 구강양치액과 타액대체제를 병용하였을 때의 법랑질의 ΔQ를 비교한 결과 드라이문트겔을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가 대조군, 오아시스, 제로미아+CPC, 드라이문트겔+CPC에 비해 침식의 정도가 유의하게 더 컸다 (p < 0.05).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비교적 pH가 높은 타액대체제의 사용을 추천하며 낮은 pH를 가진 타액대체제를 사용할 때에는 보다 높은 pH를 가진 구강양치액을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무기질 소실량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With increasing the elderly population, the number of patients complaining of dry mouth is increasing. In clinical practice, saliva substitutes can be used to relieve dry mouth, and many people are using mouthwash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gum disease or tooth decay.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alivary substitutes on artificial carious enamel and root dentin as a function of time. Three types of mouthwash were repeatedly applied and analyzed by QLF-D (Quantitative Light Induced Fluorescence – Digital) equipment for comparative evaluation.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on 96 healthy cow bovine teeth. After extraction, these are washed and dried, and a window which has 2mm*3mm area was formed in the enamel and root dentin. Teeth were randomly selected and divided into three groups. Group 1 was a group applying only oral gargle, which was immersed in artificial saliva twice a day for 10 minutes. After immersion, it was washed with distilled water and stored in artificial saliva. Group 2 utilized only salivary substitutes. Oasis (Oasis Consumer Health, Cleveland, OH, USA) and Xeromia Solution (Ostempama Co., Korea), washed with distilled water after 3minutes, and stored in artificial saliva. DryMund Gel (Dong-a Co., Korea), a gel-type saliva substitute was applied to the demineralized tooth surface by using cotton swab 6 times a day and stored in artificial saliva after 3 minutes. Group 3 was a group which was conducted by combination of saliva substitute and oral gargle, and spray-type salivary substitutes, Xeromia and Oasis solution were sprayed 6 times a day, and then washed with distilled water and stored in artificial saliva. Then, they were immersed in mouthwash twice a day for 10 minutes. DryMund gel was applied to the demineralized tooth surface using cotton swab 6 times a day, stored in artificial saliva after 3 minutes, and immersed in oral gargle twice a day for 10 minutes. For the control group, after wiping the demineralized tooth surface with distilled water twice a day for 3 minutes. This group also was stored in artificial saliva. Artificial saliva in all groups was replaced every 24 hours. After sufficiently drying with a 3-way syringe, the specimens were placed in an acrylic box, and the same experimental conductor took pictures in the same environment. The QLF-D imaging time points were 0, 3, 7 and 14 days before demineralization, and two areas of enamel and root dentin were photographed per tooth. QLF-D (QA2, Inspektor research systems BV, Amsterdam, The Netherland) was utilized to compare the amount of change in ∆Q (fluorescence loss unit % for lesion depth, product unit, px2, of lesion area) for each group and evaluated. For statistical analysis, SPSS 28.0 (SPSS Chicago, IL, USA) program was used, and it was determin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hen p < 0.05. Repeated Measures ANOVA was used to verify the effect on enamel and root dentin over time, and Greenhouse-Geisser test was conducted to figure out if there was an effect on the change in ∆Q value and interaction between products and changes. Finally, Tukey’s post hoc test was applied to prov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Q values.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to p < 0.05. As a result, when comparting the ∆Q of enamel using saliva substitutes, the degree of erosion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Xeromia and DryMund get than in Oasis on day 14 (p < 0.05). Also, when comparing the ∆Q of the enamel When both situations that were the saliva substitutes were used alone and both mouthwash and saliva substitute were used in combination were conducted, using only DryMund-gel indicated significant erosion (p < 0.05) than blended use of Oasis, Xeromia+CPC, DryMund-gel + CPC.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is recommended to use a saliva substitute with a relatively high pH, and when using a saliva substitute with a low pH, it is believed that using a mouthwash with a higher pH can help reduce the amount of mineral loss.

      • 임신부의 치주질환 관련요인과 치주 병인 균 상관분석

        하은진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70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rrelation of the periodontal pathogens analyzed using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with oral hygiene behaviors, bleeding on probing (BOP), probing pocket depth (PPD), and clinical attachment level (CAL) during pregnancy in Korea.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ho attended the programs of Pregnancy 49 and Non-Pregnancy 45 (age 20 y–40 y) were recruited from Bundang-Gu Health Center, Seongnam, Korea and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Seoul, Korea. A questionnaire survey was also performed to examine subjective oral hygiene behaviors. A periodontal exam was performed using the Ramfjord index (#16, #21, #24, #36, #41, #44) and clinical examination involved analysis of BOP, PPD, and clinical attachment level. The periodontal pathogen levels in saliva were detected by real-time PCR at the same points in time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Aa: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red complex: Porphyromonas gingivalis, Tannerella forsythia, Treponema denticola; orange complex: Prevotella intermedia, Fusobacterium nucleatum, Poliana micra, Campylobacter rectus, Prevotella nigrescens, Eubacterium nodatum; green complex: Eikenella corrodens. Results: When the subjects brushed their teeth 3 times or more per day, only low levels of A. actinomycetemcomitans were detected; when the subjects brushed their teeth twice or less per day, the likelihood of detecting A. actinomycetemcomitans increased 3.5 fold. In the group that underwent tooth scaling within the last year, high levels of P. gingivalis and E. nodatum were detected,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ean BOP was high in pregnant women,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trimesters. When there was bleeding, the likelihood of detecting high concentrations of red complex pathogens increased 8.7 fold, and the oral pathogen index increased 10.669 fold. The PPD was high in pregnant women when their BOP was high, and red complex and orange complex pathogens correlated with BOP. Conclusion: Gingival bleeding increased during pregnancy. Periodontal pathogen levels affect oral hygiene behaviors and BOP. Oral health behaviors and BOP affect periodontal disease-related pathogenic microorganisms. For healthy pregnancy and delivery, proper periodontal care during pregnancy is essential. 본 연구는 임신 성 치주질환과 관련된 병원성 미생물을 파악하고 치주질환관련요인에 따른 치주 병인 균을 상관 분석하여 개인 상태에 맞는 치료전략과 계획을 세워 좀 더 건강하게 치주질환을 관리할 수 있기를 기대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당보건소와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목동병원에 내원한 환자 중 건강한 20~40대의 임신부 49명, 일반여성 45명을 모집하여 타액을 채취한 후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검사기법으로 치주질환 관련 병원성 미생물의 종과 양을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구강관리 행태를 조사하고, 연구대상자의 치주평가 지수를 조사하여 11종 병원성 미생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통계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구강보건행태와 병원성미생물 그룹의 관련성은 칫솔질 횟수 ‘3회이상’ 일 때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A. actinomycetemcomitans)그룹의‘주의’지수가 적게 나타났다(p<0.05). 2. 칫솔질횟수가 ‘2회이하’일 때 A. actinomycetemcomitans 그룹의 고농도 수치는 3.5배 높았으며, ‘3회이상’일 때 A. actinomycetemcomitans는 낮게 나타났다(p<0.05). 3. Porphyromonas gingivalis (P. gingivalis)와 Eubacterium nodatum (E. nodatum)은 스켈링한지 ‘1년이내’라고 응답한 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4. 일반인과 임신부 두 그룹의 치주평가 지수의 평균을 비교한 결과 bleeding on probing(BOP)의 평균이 임신부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인과 임신부의 BOP평균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5. 일반여성과 임신부의 병원성미생물 정량비교에서 두 집단 모두 Prevotella intermedia(P. intermedia)가 가장 높게 검출되었다. 또한 병원성미생물을 그룹 별로 비교 분석한 결과, 구강미생물위험 ‘주의’ 수준은 임신부그룹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6. 치주평가 지수와 병원성미생물의 상관분석은 임신부는 BOP지수가 높을 때 probing pocket depth(PPD)지수도 높게 나왔으며, 일반여성은 PPD지수가 높을 때 A. actinomycetemcomitans의 검출 량이 높게 나왔다. 또한 P. gingivalis와 P. intermedia는 같이 검출되며, Red complex와 Orange complex는 상호관계가 있었다(p<0.05). 7. 임신 주수에 따른 병원성미생물의 차이로는 Parvimonas micra(P. micra)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임신 주수에 따른 BOP평균은 임신 2기와 3기에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p<0.01). 8. BOP평균이 1증가할 때 Red complex의 항생제처방 초과 기준은 8.7배 높았으며, 구강미생물위험지수는10.669배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이상의 결과를 볼 때, 구강보건행태와 출혈지수는 치주질환 관련 병원성미생물 검출에 영향을 주었으며 임신 주수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이 연구는 예방적인 측면에서 개개인의 특성에 맞춘 계획을 세워 효율적인 치료 및 관리를 할 수 있는 객관적인 근거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구강 미생물 채취법 및 치주염 치료법에 따른 구강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황현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87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sample differences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oral microbiome according to periodontitis diagnosis and collection methods (unstimulated saliva, gingival sulcus plaqu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sampling methods was analyzed through the pattern of changes in the oral microbiome after mechanical treatment (scaling) and antimicrobial treatment (chlorhexidine). Unstimulated Saliva and Gingival sulcus plaque samples were performed at T0 (time point 0: baseline, enroll, sampling) and T1 (time point 1: prognosis, sampling) for six periodontally healthy groups and 12 periodontitis groups. At T0, mechanical treatment (scaling) or antimicrobial treatment (chlorhexidine) was applied. For samples, 5ml of unstimulated saliva and gingival sulcus plaque (swabbing method) were collected from T0, and T1. Next-generation sequencing was used for the collected samples by amplifying and analyzing the V4 region of the 16s rRNA gene from DNA. We compared the diversity and relative abundance of microbial composition in the oral cavity with unstimulated saliva and gingival sulcus plaque samples before and after treatment in the periodontally healthy and periodontitis groups. An average of 216 OTUs (Operational Taxonomic Units) were identified in the sample. The total microbial diversity was higher in the gingival sulcus plaque sample than in the unstimulated saliva sample in both periodontally healthy and periodontitis groups. Depending on the collection method at T0, various bacteria were identified in the periodontitis groups than in the periodontally healthy groups. According to the time point, bacteria that could serve as taxonomic biomarkers were identified in the periodontally healthy groups treated with mechanical treatment, the periodontally healthy groups treated with chemical treatment, and the periodontitis groups treated with mechanical treatment. Also, g_Actinotignum and s_Actinomycetaceae bacterium were higher at T0. H. pittmaniae was a species with a decrease in the total amount post-treatment (T1) in unstimulated saliva.   Post-treatment (T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 diversity of species in the sample in both the periodontally healthy and periodontitis groups were higher in gingival sulcus plaque than in unstimulated saliva. Alternatively, the number of bacteria was higher in unstimulated saliva than in the gingival sulcus plaque in both periodontally healthy and periodontitis groups. In both sampling methods, gingival sulcus plaque was more common than unstimulated saliva in both the periodontally healthy and periodontitis groups to which chlorhexidine was applied. On one hand, unstimulated saliva was abundant in the periodontally healthy group and periodontitis group after scaling treatment compared to the gingival sulcus plaqu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ral microbiome abundance and diversity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T0, T1), but the abundance and diversity increased after intervention except for the gingival sulcus plaque groups in the periodontally healthy groups following scaling intervention.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gingival sulcus sampling method distributed more diverse strains than the unstimulated saliva collection method, and bacterial community variation was more abundant in the unstimulated saliva sample than in the gingival sulcus plague. In the gingival sulcus sampling method, more diverse strains were found than the unstimulated saliva collection method. 본 연구는 치주염 진단과 채취법 (비자극성 타액, 치은 열구 치태)에 따른 구강 마이크로바이옴의 차이와 그 유효성을 비교하고자 하였으며, 기계적 (스케일링) 혹은 항균세정 (클로르헥시딘) 후 구강 내 마이크로바이옴 (Microbiome)의 변화 양상을 통해 치료법에 따른 연관성 또한 분석하고자 하였다. 비자극성 타액과 치은 열구 치태는 T0 (time point 0: baseline, enroll, sampling)와 T1 (time point 1: prognosis, sampling)에서 6명의 정상군과 12명의 치주염군을 대상에게서 채취되었다. T0에서 기계적 (스케일링) 혹은 항균세정 (클로르헥시딘)치료를 시행했다. 시료는 T0와 T1에서 비자극성 타액 5ml, 치은 열구 치태 (swabbing 방식)가 채취되었다. 채취된 시료는 DNA에서 16s rRNA유전자의 V4영역을 증폭하여 분석하는 차세대 염기서열분석법 (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을 사용하였다. 정상군과 치주염군의 치료 전 후에서 비자극성 타액과 치은 열구 치태 시료에 따른 구강 내 미생물 조성의 다양성과 상대적 풍부도 (abundance)를 비교하였다. 평균 216개의 OTUs (Operational Taxonomic Units)가 시료에서 식별되었으며, 미생물균의 다양성은 정상군과 치주염군 모두 치은 열구 치태 시료가 비자극성 타액 채취법보다 총량이 많았다. T0 시점에서는 채취법에 따라 정상군보다 치주염군에서 다양한 균이 확인되었다. 치료 전후에서 스케일링을 시행한 정상군, 클로르헥시딘을 적용한 정상군과 스케일링을 시행한 치주염군에서 분류학적 바이오마커 (taxonomic biomarker)역할을 할 수 있는 균이 확인되었으며, 속 (genus)의 Actinotignum, 종 (species) 수준의 Actinomycetaceae bacterium이 T0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비자극성 타액에서 치료 후 (T1) 총량이 감소한 종으로는 Haemophilus pittmaniae가 있었다. 치료 후 (T1),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정상군과 치주염군 모두 시료 내 종의 다양성은 치은 열구 치태가 비자극성 타액보다 높았다. 반면, 균의 총량은 정상군과 치주염군 모두 치은 열구 치태보다 비자극성 타액에서 높았다. 두 채취법에서 클로르헥시딘을 적용한 정상군과 치주염군 모두 치은 열구 치태가 비자극성 타액보다 풍부하였다. 반면, 스케일링 적용 후 정상군과 치주염군에서는 치은 열구 치태보다 비자극성 타액의 총량이 많았다. 치료 전과 후 (T0, T1), 균의 총량과 다양성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스케일링 치료에 따른 정상군의 치은 열구 치태 그룹을 제외하고 모두 치료 후 총량과 다양성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치주염 및 구강건강과 관련 있는 Eubacterium infirmum group, Solobacterium moorei, Filifactor alocis 균이 정상군과 치주염군 모두 치은 열구 치태에서 차이를 보였다. 정상군과 치주염군 모두 치은 열구 채취법이 비자극성 타액 채취법보다 다양한 균이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군집 내 다양성은 치은 열구 치태보다 비자극성 타액 시료에서 풍부 (abundance)하였다.

      • 차세대염기서열분석을 이용한 한국인 치주염 환자의 구강마이크로바이옴 분석

        황선영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87

        치주질환은 우리나라뿐 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다빈도로 발병하는 질환이며, 구강 마이크로바이옴 모니터링은 치주질환의 예후 관찰을 위한 중요한 방법 중 하나로 선택되어지고 있다. 이에따라 본 연구에서는 치주치료 전 임상검사 및 유전자 검사를 실시하여 치주염군과 대조군의 치주상태에 따른 구강 마이크로바이옴을 차세대염기서열 분석을 이용하여 구강내 총 미생물에 대한 정성적, 정량적 분석을 하여 각 병원균과 치주질환 사이의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21년 이화의대부속목동병원 구강악안면외과에 내원한 외래 환자 및 본 연구 모집공고문을 통해 자의로 참여의사를 밝힌 참여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18명의 대상자를 모집하여 임상적 평가에 따라 치주염군 10명과 대조군 8명으로 분류하였다. 임상적 평가는 치주낭 깊이(Probing depth, PD) 측정에 따라 선정하였다. 구강검사는 6개의 대상치아(상악 우측 대구치, 상악 우측 중절치, 상악 좌측 대구치, 하악 우측 대구치, 하악 좌측 중절치, 하악 좌측 대구치)를 선정하여 1mm단위로 반올림한 수치 기록하였다. 구강 swab을 통해 채취한 검체는 유전자위탁검사기관에 의뢰하여 NGS기법을 이용한 16s rRNA 분석이 이루어 졌으며, MiseqDx장비(MiseqDx, illumina, USA)가 사용되었다. 18개의 검체는 식별가능한 raw data로 제공받았다. 제공받은 데이터를 SPSS 소프트웨어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Mann-Whiteny 검정을 시행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p<0.05로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치주 병원균 총 12문 21강 30목 58과 119속 251종에 대하여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한국인 만성 치주염 환자에서 많이 발견되고 있는 치주염균인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Atopobium parvulum, Campylobacter gracilis, Dialister invisus, Filifactor alocis, Fusobacterium nucleatum, Porphyromonas endodontalis, Porphyromonas gingivalis, Prevotella intermedia, Tannerella forsythia, Treponema denticola, Treponema socranskii는 치주염군에서 많이 발견되었고, 건강한 구강에 상주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진 Streptococcus, Veillonella는 대조군에서 많은 양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치주염환자에서 Leptotrichia wadei는 약 15배, Actinomycetales, Alloprevotella tannerae, Campylobacter gracilis 이 약 6배, Dialister invisus 이 약 4배, Eubacterium brachy, Fusobacterium nucleatum이 약 3배 측정되었으며, Prevotella histicola 치주염군에서만 나타났다. 따라서 이 결과는 Actinomycetales, Alloprevotella tannerae, Campylobacter gracilis, Dialister invisus, Eubacterium brachy, Fusobacterium nucleatum, Leptotrichia wadei, Prevotella histicola이 한국인 치주염 환자에게서 많이 측정된다고 볼 수 있다. 향후 더욱 많은 대상자를 통한 지속적인 연구로 앞에서 밝혀진 균이 새로운 치주염 바이오마커로써의 역할 수행이 가능한지에 대하여 입증이 되어야 할 것이며, 종 수준에서 대조군보다 치주염군에 유의하게 많이 검출된 Actino-mycetales, Alloprevotella tannerae, Campylobacter gracilis, Dialister invisus, Eubacterium brachy, Fusobacterium nucleatum, Leptotrichia wadei, Prevotella histicola, Prevotella nigrescens, Prevotella oris, Streptococcus anginosus, Streptococcus constellatus균이 치주염환자에서 많이 발견된다는 결과는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향후 한국인 치주염 예후 관찰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orrelation of the oral microbiome according to the periodontal condition to the total microorganisms in the oral cavity by using the next-generation sequencing analysis by conducting clinical and genetic tests before periodontal treatment. Methods: Oral microbiome analysis through group classification through periodontal measurement and next-generation sequencing of samples collected through oral swab. Results: Through this study, a total of 12 phylums, 21 classes, 30 orders, 58 families, 119 genera and 251 species of oral microorganisms could be identified. As a result,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significant results were shown between the periodontitis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1 gate, 3 classes, 4 orders, 7 families, 4 genera, and 12 species. Conclusions: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ral microbiome between the periodontitis group and the control group.

      • 디지털구강스캐너의 학습 전후 치과위생사의 인식도 변화

        박혜란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687

        본 연구의 목적은 치과분야에서 도입 초기단계인 디지털 구강스캐너를 사용해본 적이 없는 임상가를 대상으로 스캐너 사용법을 교육하고, 스캐너의 학습 전후 인식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알아보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iTero와 Trios 두 가지 종류의 디지털 구강스캐너를 임상경력 3년 이상의 치과위생사 34명을 대상으로 하여 각각 아이테로군과 트리오스군으로 나누어 배정한 뒤, 4번에 걸쳐 총 12회 학습하였다. 그리고 학습하기 전과 후 설문지를 통해 난이도, 불편도, 인식도 및 학습 후 선호도, 스캐너의 임상 적용 부분을 알아보았다. 통계분석은 빈도와 백분율, paired t-test를 실행하고 유의수준은 p<0.05에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이테로군과 트리오스군 모두 기존의 인상채득과 비교했을 때 학습 전후 느끼는 난이도 및 불편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반면 아이테로군과 트리오스군 학습자들은 정확성, 편의성, 효율성, 경영 관련, 기술 습득 관련, 관심 정도 문항에서 학습 전후 모두 긍정적인 답변을 했고, 디지털 인상채득에 대한 선호도는 매우 높았다. 아이테로군의 학습자들은 iTero와 Trios를 학습한 후 두 스캐너를 비교한 결과 촬영자로서의 난이도와 피촬영자로서의 불편도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p<0.05) 아이테로가 어렵고 불편하다고 생각했다. 트리오스군은 촬영자로서의 난이도와 피촬영자로서의 불편도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디지털구강스캐너의 임상 적용 부분에서는 아이테로군과 트리오스군 학습자 모두 두 디지털구강스캐너 Head의 무게가 차이가 있다고 생각했고, iTero가 더 무겁다고 답변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아이테로군 학습자들은 임상가들의 학습 후 디지털 인상채득에 대한 선호도가 두 스캐너에서 모두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임상적용 비교에서 국내에 먼저 도입된iTero보다 최근에 도입된 Trios에 대해 긍정적 답변이 더 많은 것으로 미루어 과거보다 스캐너의 사용 편의성이 좋아졌고 인상채득의 디지털화가 실제 임상 환경에 맞추어 더 많은 발전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스캐너를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지고 임상에서 적용 가능한 시스템이 좀 더 많이 구축된다면 디지털 구강스캐너는 앞으로 치과계에 보편화되어 기존의 인상채득을 대체할 수 있는 디지털화를 실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clinicians, who did not have any exposure to digital intraoral scanner in the initial stages of introduction changed their perceptions of such technology before and after the actual experience of it. 34 dental hygienists with over 3 years of experience in the clinical environment were randomly divided into an iTero Group and a Trios Group, and learned to use it a total of 12 times over 4 different sessions. Through a questionnaire before and after the learning, level of difficulty, degree of inconvenience, perception and preference after learning, and clinical application of the scanner were examined.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analyze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and a paired t-test were conducted; the data was verified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p<0.05.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difficulty and the degree of inconvenience felt before and after learning in both iTero and Trios group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impression. However, both groups gave positive feedback on accuracy, convenience, efficiency, management, skill acquisition and degree of interest before and after learning; their preference for taking digital impression was very high. In comparing the two scanners after learning iTero and Trios, the iTero Group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difficulty in scanning a person and the degree of inconvenience in the person scanned. The Trios Group, however, demonstrat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difficulty in scanning a person and the level of inconvenience in the person scanned. Regarding the clinical application of the digital intraoral scanners, all learners, both in the iTero Group and the Trios Group, thought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weight that the head of the two digital intraoral scanners carried. Both groups agreed that iTero scanner was heavier.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clinicians’ preference for taking digital impression after learning was high with using both scanners. Nonetheless, despite the fact that iTero was introduced earlier in the clinical setting, the fact that there were more positive responses to Trios, which was only recently introduced in Korea, and that the Trios scanner was lighter, suggests that there were more developments in the digital impressions in the actual clinical environment compared to the past. Thus, if the clinicians are offered more opportunities to utilize such technologies and if more systems can be applied to the clinical settings, digital intraoral scanners may be generalized more rapidly in the field of dentistry, and the digital impressions will be able to replace the current conventional method.

      • 디지털 구강스캐너 두 종의 학습곡선 비교

        김지선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687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들을 대상으로 하여 3차원 디지털 구강스캐너를 사용한 인상채득 시 반복적으로 촬영을 진행함에 따라 총 촬영시간에 변화가 있는지에 대해 학습곡선을 이용하여 알아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하여 3년 이상의 임상경력이 있는 치과위생사 29명을 학습자로 선정하여 디지털 스캐너 교육이 진행되었다. 학습자는 두 종류의 스캐너 중 하나의 스캐너를 사용하여 배정된 촬영대상자의 구강을 10회 반복촬영 하였으며, 구강모형을 학습 전과 후에 1회씩 총 2회 촬영하였다. 측정된 촬영시간은 초단위로 기록하였으며, 이를 repeated measure one factor analysis로 분석하였다. 또한 두 기기의 촬영시간 변화에 대한 비교는 repeated measure two factor analysis로 분석을 하였으며 이와 같은 연구 방법으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구강스캐너를 사용하여 구강을 10회 반복 촬영하였을 때, 평균 구내 촬영소요시간은 iTero®가 23분 31초, Trios®가 14분 23초이었다 2. iTero®와 Trios® 촬영소요시간이 각각 7분 26초, 4분 23초만큼 감소되면서 학습이 `이루어 졌으며(p<0.05), 촬영소요시간의 감소율은 iTero®가 더 컸다(p<0.05). 3. 학습자의 임상경력에 따라서는 iTero®의 경우 저연차와 고연차 간에 촬영소요시간의 차이가 있었지만(p=0.000), Trios®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만3~5년 p=0.23, 6~8년 p=0.39). 4. 4명의 각기 다른 촬영 대상자에 대해, 촬영 시점에 따른 촬영소요시간이 유의하게 차이가 난 군이 있었으며, 이는 iTero®의 경우, 대상자 B(p=0.00), C(p=0.00), Trios의 경우 대상자 D(p=0.03)에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iTero® 구강스캐너는 학습률은 좋으나 절대적인 총 촬영소요시간이 길고 사용자의 임상경력에도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임상 경험이 많은 술자에서 반복학습이 선행되어야 임상에서 원활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에 Trios®의 경우에는 학습률은 낮으나 총 촬영소요시간이 짧고 사용자의 임상경력에도 영향을 받지 않았으므로, 쉽게 임상에서 도입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whether dental hygienists repeatedly taking impressions using 3D digital intraoral scanner can change the total scanning time. The change was studied through learning curve. This research targets 29 dental hygienists with more than 3 years of working experience. Learners used one of two kinds of scanners to scan the assigned scanning subject’s oral cavity for 10 times, and each result value was analyzed through repeated measure one factor analysis. Also, the comparison of changes in two kinds of devices was analyzed through repeated measure two factor analysis. The results from study are as follows. 1. When two intraoral scanners scan oral cavity 1 to 10 times repeatedly, total scanning time was 23minutes 31seconds for iTero® and 14 minutes 23 seconds for Trios®. 2. The learning was achieved by total scanning time of iTero® and Trios® decreased to 7minutes 26seconds and 4 minutes 23 seconds respectively (p<0.05). The total scanning time reduction rate was greater in iTero® (p<0.05). 3. Depend on clinical career of learners the total oral cavity scanning time ha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p=0.000) in iTero®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3~5 years p=0.23, 6~8 years p=0.39) in Trios®. 4. Total oral cavity scanning time of two scanners ha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iTero® of B(p=0.00), iTero® of C(p=0.00) and Trios® of D(p=0.03) among four different scanning subjects. In case of iTero®, learning rate was fast but the absolute total scanning time was longer and manipulation was influenced by the experie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peated learning should be done to acquire advanced skills in order to in clinical setting. In case of Trios®, on the other hand learning rate was slow but the total scanning time was shorter and the handing of device was not influenced by the clinical experience. Therefore, it seems that Trios® can be introduced more easily introduced in clinical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