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PD 저널리즘과 기자저널리즘의 비교연구 : KBS의 '추적 60분'과 '취재파일 4321'을 중심으로

        고희일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33375

        대통령 탄핵사건, 황우석교수 논문조작 사건, 한ㆍ미 FTA협상, 광우병 파동 등의 방송을 계기로 언론계와 학자들은 저널리즘의 주변부에 위치하고 있다고 여겨온 PD저널리즘을 기자저널리즘과 구분하여 그 가능성과 문제점에 대해 다양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흔히 PD저널리즘은 ‘진실을 파헤치는 발굴자’, ‘환경감시의 파수꾼’이란 찬사를 듣기도 하지만 ‘선정주의 저널리즘’, ‘목적을 위한 주창저널리즘의 극치’란 비판을 받으며 객관성과 공정성 논란에 휩싸이기도 한다. 일부에서는 방송저널리즘을 PD저널리즘과 기자저널리즘으로 구분하는 것 자체를 부정적인 시각으로 보면서 ‘PD저널리즘’이란 용어가 전혀 일반화될 수 없는 한국 언론장(journalism field)에서 일시적으로 유행하는 특수한 용어라고 비판하기도 한다. 그러나 한국에서 PD저널리즘과 기자저널리즘을 구분하고, 이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지는 현실을 감안할 때 두 저널리즘에 대해 심층적이고 이론적인 비교 연구의 가치는 충분히 크다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은 PD저널리즘과 기자저널리즘의 구분 가능성을 전제하고, 양자가 어떠한 차이점을 보이는지를 한국의 대표 공영방송인 KBS의 ‘추적60분’과 ‘취재파일4321’프로그램을 대상으로 두 가지의 연구방법을 통해서 조사하였다. 첫째, ‘추적60분’과 ‘취재파일’이 방송한 텍스트를 대상으로 유목분류, 서사구조, 이데올로기에 있어 어떠한 차이를 드러내는지를 분석하였다. 둘째, 수용자들은 ‘추적60분’과 ‘취재파일’의 두 프로그램에 대해 심층성, 공정성, 서사구조, 이데올로기에 있어 어떠한 인식의 차이를 보이는지를 실험연구를 통해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두 저널리즘 간에는 재현 길이에서부터 유목, 서사구조, 이데올로기 및 수용자의 인식에 있어 차이점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먼저 재현길이에 있어 ‘추적60분’은 하나의 소재를 택하여 50여분 정도로 길게 방송을 하는 반면에 ‘취재파일’은 세 개의 소재를 택하여 아이템 당 12분여 정도로 비교적 짧게 방송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재현길이의 차이가 프로그램의 내용적 측면에서는 심층성 부분에, 프로그램의 형식적 측면에서는 세트(set)를 이용한 스튜디오의 사용여부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 유목부분에 있어 ‘추적60분’은 사회-정치-경제-문화 순으로 소재를 선택한데 비하여 ‘취재파일’은 사회-문화-경제-정치 순으로 선택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두 프로그램이 모두 시사고발 프로그램이므로 사회분야 소재가 1위를 차지한 것은 당연하다 할 수 있지만 ‘추적60분’에서는 정치 분야가 2위를 차지한데 비하여 ‘취재파일’에서는 문화 분야가 2위를 차지한 것은 특이한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추적60분’이 ‘취재파일’에 비해 보다 시의성 있는 소재를 선택하는 경향을 가진다고 말할 수 있다. 서사구조 부분에 있어 ‘추적60분’은 하나의 소재를 가지고 시간과 공간의 흐름을 따라 현장을 엮어나가는 영상중심 통합체적 서사구조(scene-based syntagmatic narrative structure)를 취하는 반면에 ‘취재파일’은 아무 관련이 없는 각기 다른 세 개의 소재를 가지고 원고의 흐름을 쫓는 기사중심 계열체적 서사구조(article-based paradigmatic narrative structure)를 취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데올로기 부분에서는 ‘추적60분’은 한국사회의 가치관이나 질서에 도전하는 듯한 저항적 이데올로기를, ‘취재파일’은 옹호 내지 보완적 이데올로기를 추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두 프로그램을 보는 수용자의 인식에 있어서도 많은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우선 심층성 부분을 보면 수용자는 두 프로그램 모두가 심층취재를 하는 편이라고 인식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추적60분’이 ‘취재파일’에 비해 사안을 더욱 심층적으로 보도한다고 느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수용자들은 공정성 부분에서는 두 프로그램 모두에 대해 공정하지 않은 편이라고 느끼고 있으며, 두 프로그램의 비교에 있어서는 ‘추적60분’이 ‘취재파일’에 비해 덜 공정하다고 느끼고 있지 않았다. 수용자는 서사구조를 보는 데 있어서도 ‘추적60분’은 현장을 중심으로 시간과 공간의 흐름을 좇아가는 영상중심 서사구조를 취하는데 비해, ‘취재파일’은 영상문법을 무시한 기사중심 서사구조를 취하고 있다고 느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데올로기 부분에 있어서도 수용자들은 ‘추적60분’은 한구사회의 지배적 가치관이나 질서에 도전하는 듯한 저항적 이데올로기를, ‘취재파일’은 기존 사회의 가치를 옹호하거나 대체하는 듯한 보완적 이데올로기를 추구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더불어 두 저널리즘이 취하고 있는 서사구조 및 이데올로기에 대한 수용자들의 평가는 텍스트분석을 통해 밝혀진 연구결과와 정확히 일치한다는 것도 확인하였다. 수용자들은 선명하면서도 균형을 갖춘 프로그램을 바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PD저널리즘과 기자저널리즘의 장점을 살린 통합적인 저널리즘 모델을 정착시키는 것이 한국의 방송계가 풀어야 할 과제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 방송 시민기자의 뉴스생산과정에 관한 연구

        강은희 인천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의 목적은 방송 시민기자의 뉴스생산과정의 특성을 추출해 보고, 뉴스생산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규명함으로써, 시민기자가 생산한 뉴스 콘텐츠들이 방송 뉴스의 현실 재구성에 의해 어떻게 취급되고 있는가를 확인하고, 더 나아가 시민 저널리즘의 실천적 가능성과 한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질적 연구방법 중 문화 기술적(ethnographic) 면접법을 사용하였으며, 현재 KBS 명예뉴스 VJ로 활동하고 있는 4명의 방송 시민기자와 심층면접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연구결과, 시민기자의 뉴스생산과정은 직업기자의 뉴스생산과정의 흐름과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시민기자의 뉴스생산과정에 있어 뉴스 아이템 선정, 취재, 리포트작성 및 편집 등 일련의 과정에 대해 시민기자들은 상당한 재량권을 발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시민기자가 생산한 뉴스 콘텐츠는 데스크에 의해 최종 방송 뉴스로 선택된다는 점에서 시민기자 역시 직업기자와 마찬가지로 뉴스 조직의 영향력을 배제할 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시민기자들의 뉴스 가치 판단 기준은 시의성/속보성, 흥미성/희귀성, 근접성, 영향성으로 나타났다. 즉 시민기자들은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뉴스거리와 자신을 비롯한 주변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는 뉴스거리를 뉴스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반면, 정치와 갈등이 첨예한 사안 등 시민기자가 접근할 수 없는 뉴스거리는 의도적으로 배제시키는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시민기자들은 뉴스생산과정에서 개인의 가치 및 경험, 취재관행, 데스크의 의도 및 직업기자의 경쟁, 제도적‧법적 제재 및 취재원 압력 등 다차원적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연구 결과는 방송 뉴스의 현실에 대한 구조화, 정형화, 관습화 된 틀에 의해 시민기자의 다양한 뉴스 콘텐츠 생산에도 불구하고 방송 뉴스에는 제한적으로 반영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시민기자의 뉴스생산과정에 있어서 시민의 다양한 목소리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실천적 시민저널리즘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the characteristics of TV news making process of civil journalists for clarifying what would b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news making process in a way of confirming how news contents produced by civil journalists would be handled by the restructuring in fact for the broadcasting news, and further, it finds out the practical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in civil journalism thereof. For this purpose, the ethnographic interview was used from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the following results are obtained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 with four civil journalists who are currently active as the 'KBS honorary news VJ'.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news making process of civil journalists is shown similarly to the flow of the news making process of professional journalist, and in the news making process of civil journalists, civil journalists are shown to assert substantial discretion power on a series of process in news item selection, coverage, report preparation, edition and others. In the meantime, the news contents produced by civil journalists would be selected as the final broadcasting news by the desk that civil journalists would be unable to exclude the influence of the news organization as in the professional journalists. In addition,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news value of civil journalists are shown for timeliness/promptness, interest/rarity, accessibility and influence. In other words, civil journalists evaluate highly with the news value for the news that may easily be available in the surroundings and the news to influence on people around. In the meantime, it was able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s of intentionally excluding the news that civil journalists could not easily access, such as, sharply conflicting issues with politics and the like. Furthermore, the civil journalists are shown to be influenced by multi-dimensional factors in the news making process, such as, individual value and experience, coverage customs, intent of desk, competition of professional journalists, systematic and legal sanctions, pressure of news source and others. The foregoing study result displayed the fact that the broadcasting news is reflected on limited basis in spite of diverse new contents production of civil journalists under the structured, formulated or customized frame on the reality of broadcasting news, and in news making process of civil journalists, the diverse voices of citizens would not appropriately reflect as its limitation. Therefore, there is a new approach on practical civil journalism.

      • 문화 저널리즘 관점으로 본 문화 팟캐스트 ‘잉여싸롱’ 이용자 주관성 연구 : Q방법론의 적용

        서정민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3343

        이 연구는 인터넷 포털 시대를 맞아 비평이 사라지고 단순정보, 가십만 넘쳐나는 등 문화 저널리즘이 약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유튜브, 인터넷 방송, 팟캐스트로 대표되는 1인 미디어가 새로운 문화 저널리즘의 대안으로 기능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기성미디어인 한겨레신문이 만든 문화 팟캐스트 ‘잉여싸롱’ 이용자들의 주관성을 Q방법론을 적용해 연구함으로써 그들이 잉여싸롱을 어떤 동기로 이용하는지, 또 이용 동기에 문화 저널리즘의 요소로 읽을 만한 것들이 있는지 등을 알아보고자 했다. 연구결과, 잉여싸롱 이용자들을 2개의 주관적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비평적 정보 유희형’이라 명명한 제1유형은 문화에 대한 풍부한 비평과 그에서 느끼는 유희가 잉여싸롱을 이용하는 가장 큰 동기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전문적 진행자 선호형’이라 명명한 제2유형은 전문성을 지닌 진행자로부터 양질의 콘텐츠를 얻는다는 점 때문에 잉여싸롱을 이용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용자 주관성 유형 분석을 종합한 결과, 이용자들은 잉여싸롱에서 비평 정보와 그로부터 얻는 재미, 신뢰할 만한 진행자, 전문지식 등을 기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문화 저널리즘의 핵심 요소와도 연결된다. 문화 저널리즘을 제대로 구현하지 못하는 기성미디어로부터 갈증을 느낀 이들이 기자나 평론가의 1인 미디어 성격을 가진 문화 팟캐스트에서 갈증을 해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기술의 발달, 플랫폼의 변화로 위기를 맞은 기성미디어가 1인 미디어, 인터넷 방송, 팟캐스트 등 새로운 플랫폼을 활용함으로써 새로운 형태의 저널리즘을 추구할 수 있다는 가능성과 방향을 제시했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determine whether one-person media, such as YouTube, Internet broadcasts, and podcasts, can function as new culture journalism alternatives as criticism disappears and culture journalism continues to deliver only simple information and gossip and to grow weak. The study analyzed the subjectivity of users of The Hankyoreh’s culture podcast, Surplus Salon, using the Q methodology to determine what motivates them to use Surplus Salon and what, if any, of those motivations could be interpreted as culture journalism elements. The analysis revealed that Surplus Salon users could be categorized into two subjective types. The first type, named the “critical information appreciators” in the study, is motivated to use Surplus Salon by the joy received from in-depth criticisms on culture. The second type, named the “professional host appreciators” in the study, is motivated by gaining high-quality content from a professional host. Review of the analysis findings also suggested that users of Surplus Salon expect critical and entertaining information, a trustworthy host, and expert knowledge from the podcast. These findings are linked to core elements of culture journalism. Those who felt frustrated by the established media’s failure to properly realize culture journalism were choosing culture podcasts exhibiting qualities of one-person media to quench their thirs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s the possibility and directionality for the established media, which currently faces a crisis due to technological advancements and platform changes, to utilize new platforms such as one-person media, internet broadcasts, and podcasts to seek a new form of journalism.

      • 지상파방송 재송신에 대한 매체별 전문종사자 인식 연구

        정국진 경희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3311

        재송신제도는 국민의 채널 접근권을 보장하기 위해서 유료 매체로 하여금 의무적으로 지정된 채널을 전송케 하는 것이다. 국가마다 방송서비스 및 규제 형태, 방송사업자간의 관계에 차이를 보이고 있어 일반화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나, 대부분의 나라에서 의무재송신 규제를 실시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방송의 공공성과 지역성 구현, 방송의 다양성 실현이라는 과제를 위하여 재송신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방송통신융합의 가속화와 방송의 디지털 전환으로 말미암아 지상파 재송신과 관련하여 법과 제도에 대한 변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지상파 재송신 문제는 방송산업 전반에 걸쳐 지상파가 가지고 있는 위상 때문에 매체별로 이해관계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고 이해관계가 복합적이고 다중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정책방안 마련이 쉽지 않다. 이런 상황에서 새로운 방송환경에 따라 불거진 재송신 이슈와 이의 해결방안에 대해 각 매체의 재송신 업무 종사자들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 해결의 첫걸음이 될 수 있기에, 매체별 재전송 업무와 관련한 전문 종사자들에 대한 심층면접(In-depth interview)을 통해 재전송 이슈에 대한 인식과 해결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심층면접에 앞서 재송신 개념, 의의를 포함한 재송신제도에 대한 고찰과 지상파 재송신과 관련한 외국의 정책, 지상파 외 공공채널·공익채널이라는 이름으로 재송신하게 되어 있는 의무재송신 채널 현황, 재송신 이슈와 부딪히고 있는 저작권 문제에 대하여 정리하고 이러한 것을 바탕으로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연구문제1] 국내에서 적용되고 있는 의무재송신 제도의 유효성과 저작권 등과 관련된 문제의 해결방안에 대해 매체별 종사자는 어떤 인식을 갖고 있는가 [연구문제2] 의무재송신 채널 외 지상파채널의 재송신 범위 및 방법에 대해 매체별 종사자가 갖는 인식은 무엇인가 [연구문제3] 방송통신융합 환경에서 매체별 종사자가 생각하는 바람직한 재송신 정책은 무엇인가 조사 의견을 종합하면, 지상파방송의 의무재송신제도는 효용가치가 있는 제도로서 유지 또는 확대되어야 하고 재송신에 따른 저작권 분쟁은 당사자간 자율로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송의 디지털화에 따라 현실과 괴리된 재송신 관련 현행 법체계는 수정의 필요성이 있다. 하지만 법규정의 합목적적인 해석을 통해 사업자간 자율 해결도 가능하다. 의무재송신 채널 외 지상파채널의 재송신 범위는 당사자간의 자율 협약으로 정함이 바람직하고 지상파방송 외 의무재송신 채널에 대해서는 채널운용 및 편성의 다양성 확보를 위해 일정부분의 공익·공공채널 의무편성의 필요성은 인정하지만 사업자가 탄력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방송통신융합 환경하에서 재송신 정책은 매체 위주의 수직적 규제체계에서 디지털 시대에 맞게 전송망과 콘텐츠를 분리하는 수평적 규제체계로, 규제 최소화의 방향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또한 공정경쟁 측면에서 규제는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 As the convergence becomes widespread among broadcasting, telecommunication, and digitalization of the existing broadcast media, there is an increasing concern about the need of legal and institutional amendment of re-transmission laws. In this study, as an initial step to identify what issues have been raised by recent environmental changes and what methods c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o resolve those issues, a series of in-depth interview have been conducted with professionals engaged in re-transmission work in various media. The perception of those professionals on desirable institutional amendment concerning re-transmission and potential solutions have been surveyed. The results of this survey reveal that the majority of media professionals regard that it is desirable to maintain and extend the existing institutional re-transmission of terrestrial TV channels considering its positive effects on broadcasting industry, and that it is reasonable to dissolve copyright-related disputes aroused in the course of re-transmission autonomously between the parties concerned. It also proposes the necessity to revise present re-transmission laws due to the fact that they have been separated from the reality of broadcasting landscape having been changed due to ongoing digitalization in broadcasting landscape. It is also presented by the survey that the scope of terrestrial TV channels to be retransmitted, other than currently obligatory ones, should be decided with autonomous agreement between the parties concerned, and that subscription-based media operators should be allowed to select, terrestrial TV channels to be re-transmitted at their own discrepancy, regardless of the fact that obligatory re-transmission of public service broadcasters’ channels is highly required to some extent from the aspect of channel operation and to acquire diversified channel programming. In conclusion, it has been found that majority of media professionals argue that current re-transmission policy should be revised so that it can be changed from its existing media-oriented vertical regulatory system and moved towards horizontal one, more pursuant to digital media era, which may separate media into delivery methods and delivered content and eventually minimize regulatory measures, while taking a prudent approach in terms of fair competition.

      • 저널리즘 교육 전문화에 관한 탐구 : 한국형 저널리즘 전문 교육기관 모델 개발을 중심으로

        김봉석 경희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3311

        최근의 저널리즘의 환경은 디지털 저널리즘 환경으로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정보통신(IT) 산업의 발달로 인터넷과 디지털 정보 기술이 저널리즘 영역에 확산되고 있다. 디지털저널리즘 환경은 스마트폰과 iPad로 대변되는 모바일저널리즘의 시대로 변화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저널리즘 환경은 디지털 교육과 편집, 빅데이터, 통합뉴스룸, 멀티미디어, 기사작성의 디지털 라이팅(Digital Writing), 대안언론 등장과 함께 저널리즘 전문성 향상과 디지털저널리즘 전문교육 필요성을 요구하고 있다. 결국 한국 저널리즘과 저널리스트의 교육과 전문성 재교육의 부재 상황은 한국 저널리즘의 위기 상황을 지속시키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그것은 한국 저널리즘 교육이 프로페셔널저널리즘을 위해 부단한 노력이 필요함을 함의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 저널리즘의 위기와 지속이유, 한국 제도권/비제도권 저널리즘 교육의 부재상황은 어떤 상황인지, 저널리스트 전문성 향상과 저널리즘 전문 교육기관은 왜 필요한가 하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시작되었다. 특히 모범적인 해외 저널리즘 전문교육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고 어떤 운영요소로 진행되고 있는지도 살펴보고, 그래서 최종적으로 국내 저널리즘 상황에 적합하고 가장 바람직하게 적용 가능한 한국형 저널리즘 전문 교육기관 모델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목적에 근거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 번째 연구문제는 전문가가 인식하는 한국 저널리즘 교육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두 번째 연구문제는 전문가가 인식하는 모범적인 해외 저널리즘 전문교육의 특성은 무엇인가? 세 번째 연구문제는 연구문제 1, 2에서 도출된 답을 바탕으로 국내에 적용 가능한 한국형 저널리즘 전문 교육기관의 모델을 개발하는 청사진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들 연구문제를 파악하기 위해서 언론관련 전문가그룹을 연구대상으로 심층인터뷰 방식으로 자료 분석한 결과, 첫 번째, 한국 저널리즘의 위기의 본질은 신뢰의 하락이다. 이 위기를 치유 방안은 뉴스라는 것은 아무나, 누구나, 쉽게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진실성(T)있는 통찰력(I)에 의한 메시지 제시 혹은 의제를 설정할 수 있는 비젼(V)을 제시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말할 수 있는 티브(TIV)를 할 수 있는 저널리즘과 저널리스트 통해 전문성의 영역이 필요하고, 저널리스트의 윤리의식에 대한 철저하고 지속적인 재교육과 전문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한 제도권/비제도권 저널리즘 교육은 저널리스트 양성에 치중하고 재교육은 부재한 상황임을 도출하였다. 현재의 한국 저널리즘 수준과 인식은 선진국에 비해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저널리스트 재교육에 관심과 연구를 지속해온 언론재단 같은 공적기관을 통한 전문 학위과정의 단계적 도입을 시급히 시작해야 하는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두 번째, 모범적인 해외 저널리즘 전문교육 모델은 미국식 저널리즘 전문대학원 모델이다. 모델의 특징은 전문 저널리스트 재교육을 위한 경험위주의 현업 전문 강사진에 의한 전문화 커리큘럼으로 특성화된 저널리즘 전문 스쿨 모델이다. 세 번째, 연구문제 1, 2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에 적용 가능한 저널리즘 전문 교육기관은 저널리즘 전문 교육기관의 설립요소 측면과 저널리즘 전문 교육기관의 모델 제시의 제도적 지원방안 측면과 ‘저널리즘의 기본원칙’에 입각한 한국형 저널리즘 전문 교육기관 모델 제시 측면 등을 융합하는 모델이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국내 저널리즘 전문성 재교육과 교육기관의 필요성과 설립 요건, 성공조건, 확대 전략, 언론관련 단체들의 사회적 대타협 등이 활성화 되고 논의가 본격화되길 기대한다. 또한 이 연구를 계기로 학문적 학위의 연구 성과물로 인정되어 후속 연구자에게 연구적 자료와 정부의 정책적 자료로 활용되어 보다 다양한 관련 연구가 확대되길 기대한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저널리즘 전문 재교육이 한 단계 업그레이드되는 계기로 발전하길 간절히 염원한다. Recently the environment of journalism is changing rapidly to digital journalism environment. The Internet and digital information technology in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y is spreading in the area of journalism. Digital journalism environment has been changing into the era of mobile journalism, as represented by smart phones and iPad. These digital journalism environment, along with education and editing of digital, bigdata, integrated newsrooms, multimedia, digital lighting of article writing(Digital Writing), alternative media, is requiring to tighten up professionalism in journalism and digital journalism required professional education needs. After all the absence of the professional education and re-education of Korea journalism and journalist are being blamed for crisis last longer. So it means it is a constant struggle to keep Korea journalism education more professional. These professional journalism should be integrated into society publicized through the agenda setting Truth(T), Insight(I), Vision(V) in the various phenomena of social communities. Of course, These journalists should play a role, not anyone can do and should make it professionalism. This study began with a critical mind about the causes of the journalism crisis, the situation about the absence of institutional / non-institutional member status of journalism education of korea, which is why do we need about tighten up professionalism in journalism and the professional educational institutions of Journalist. In particular, this study can regard the way how foreign journalism professional education institutions do as an how progress and observe their operation modes. Then this study choose the most suitable and desirable the professional education institutions of journalism in korea style. Finally Thes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et based on the study purpose. The first subject of the study is what is the problem about education of journalism be recognized by experts in Korea. The second subject of study is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an exemplary foreign journalism professional education are recognized by experts. The third subject of study can imagine the future of the most suitable and applicable for Korea the professional education institutions of journalism in korea style based on study 1,2. So this study were analyzed date of in-depth interviews style to expert groups with media related to the study in order to identify these subjects of the study. This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nature of the crisis in Korea journalism decline in confidence. The plan is called a healing crisis is news everyone, anyone, can not easily be creative, 'TIV' which can be integrated into society publicized through the agenda setting Truth(T), Insight(I), Vision(V) in the various phenomena of social communities, need to be in the area of journalism and journalists through professionalism, It need to be refresher education on ethics for journalists and professional education that will be required. In addition, institutional / non-institutional journalism education has focused on journalist be nurtured, and journalists were derived that the absence of re-education. Currently the situation in standards and awareness of Korea journalism is laking compared to the situation in the developed countries. Korea's current level of awareness was drawn to journalism studies urgently need to begin a phased introduction of a professional degree programs through public institutions such as the media attention and study foundation that has continued to retrain journalists therefore lacking compared to the situation in developed countries. Therefore, this study were derived the findings urgently to need to begin a phased introduction of a professional degree programs through public institutions such as the media foundation that has sustained interest and study in journalists re-education. Second, an exemplary foreign journalism professional education model is the American Graduate School of Journalism model. The model can be characterized is the model of professional journalism school by specialized curriculum by professional instructors experience for professional journalists re-education. Third, the professional education institutions of journalism applicable in Korea based on the results based on the study subject 1 and 2, can establish the fusion model of the aspect of the foundation elements of he professional educational institutions of journalism, the aspect of model proposed the institution of the professional education institutions of journalism and the aspect of the model proposed of the professional education institutions of journalism in korea style to based on ‘The element of journalism’ etc. This study results, the necessity of education institutions the professionalism re-education of journalism in korea, condition of success, strategy of expansion, and make a composition with the press etc, expect to be a full-fledged discussion and to be becoming more and more active. In addition, this study recognized as an academic degree in the study achievements of the occasion, a study reference and the government' policy reference, expect to become study to enlarged useful not only the data but also to more various study to follow researcher. This study wish earnestly the professional re-education of journalism in korea can be upgraded step and make a better development through this study.

      • 지역 방송사의 경영 성과와 사업 다각화 전략에 관한 연구 : 지역 MBC 계열사를 중심으로

        이승현 경희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3311

        최근 방송 시장이 방송과 통신이 융합된 시장으로 확장됨에 따라 방송 영역에 새로운 사업자들의 진입이 활발해지고 있다. 이로 인해 방송 산업의 규모는 성장하고 있지만 지상파 방송의 시장 점유율은 갈수록 하락하고 있는 추세이다. 치열한 경쟁 속에 미디어 환경의 변화를 가장 크게 겪고 있는 곳은 자생력이 취약한 지역 지상파 방송사이다. 새로운 방송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지역 방송사들은 사업 다각화를 통해 또 다른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매체, 다채널 시대를 맞아 지역 지상파 방송사가 새로운 매체 환경이라는 도전에 직면해 어떻게 대응을 하고, 어떤 생존 전략을 가지고 있는지 지역 MBC 계열사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공익성을 지키며 수익성도 담보하는 지역 방송사의 바람직한 경영 전략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세 개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고 문헌 연구와 함께 지역 MBC 계열사의 다양한 경영 자료들을 분석하고 경영 책임자들의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다. 첫 번째 연구 문제는 지역 MBC 계열사의 경영 현황은 어떠하고 경영상의 문제점은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결과 지역 방송사는 변화를 모색하지 않으면 안 되는 현실에 노출되어 있었다. 독점적 지위를 누리면서 지속적인 성장을 해온 지상파 방송사들은 지금까지와 같은 성장을 기대하기 힘든 상황을 맞이한 것이다. 지역 MBC 일부 계열사의 간부와 광고 ․ 사업부서 담당자들을 심층 인터뷰한 결과, 방송 고유의 시장이 방송과 통신이 융합된 시장으로 확장됨에 따라 새로운 사업자들의 진입이 활발해지고 기존의 방송 사업자가 경쟁해야 할 상대는 늘어나고 있어 방송 산업은 위기 또는 전환의 시점이라는 인식을 갖고 있었다. 지역 MBC 계열사의 경영의 안정성, 수익성, 활동성, 성장성, 생산성 등을 측정 지표로 경영 성과를 분석한 결과, 매출액 증가율로 살펴본 성장성은 대체로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고, 매출액과 순손익율을 통해 측정한 수익성은 전반적으로 양호했다. 부채 비율을 통해 측정한 안정성은 높은 안정성을 보였다. 지역 MBC 계열사는 안팎으로 조성되어 있는 위기감에 비해 경영 지표상으로는 양호한 경영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지역 MBC 계열사의 경우 자체 영업 활동을 통한 광고 수익 보다 한국방송광고공사를 통한 연계 판매 수입에 전적으로 의존해 왔기 때문에 경영 합리화 보다는 방송 광고 시장 활성화라는 외부 효과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다. 두 번째 연구 문제는 지역 MBC 계열사의 생존 및 성장 전략으로 어떠한 방안들이 이용되는지 조사하는 것이다. 지역 MBC 계열사는 공통적으로 미디어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들을 수립하고 이를 실행에 옮기고 있었다. 공영 방송인 MBC의 사업들은 수익적 측면보다 이미지 개선, 영향력 확보를 위한 공익적 차원의 문화 사업이 대부분이었다. 또 심층 인터뷰 결과 면밀한 시장 분석에 의한 장기 사업이 아닌 단발성 이벤트가 많은 것은 최고경영자(사장)의 임기가 3년으로 한시적이고 본사에서 임명되어 현지 사정에 밝지 않은 것이 원인이자 한계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역 문화 창달이라는 사회 공헌 행사는 계량화하기 어려워 공익 사업 추진 자체를 성과로 평가하고 있었고, 수익 사업도 성과 여부와 관계없이 신규 사업을 개발하고 이슈화하는데 의미를 두는 경우가 많았다. 지역 MBC 계열사의 사업 분야를 한국표준산업분류표에 의해 분류해 본 결과, 지역 MBC 계열사는 공통적으로 전시 및 행사 대행업, 공연 기획업, 광고 영화 및 비디오물 제작업, 국외 및 일반 여행사업 등을 진행하고 있었고, 일부 지역 MBC 계열사는 예식장업, 영화관 운영업, 외국어학원, 포털 및 기타 인터넷 정보 매개 서비스업, 내부 통신배선 공사업 등을 추진하여 경영 성과를 거두고 있었다. IMF 이후 본격적으로 시작된 지역 방송사의 사업 다각화는 10여 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정착된 사업은 많지 않고 시행착오를 겪으며 여전히 새로운 사업 분야를 물색 중이었다. 성공적 모델에 대해서는 계열사 간에 노하우를 공유하며 공동 브랜드를 구축하는 등 위험성을 분산시키는 것은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세 번째 연구 문제는 첫 번째와 두 번째 연구 문제의 결과를 토대로 지역 MBC 계열사의 효율적인 사업 다각화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지역 MBC 계열사의 경영 지표상 경영 상태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지역 MBC의 수익 구조에서 본사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은 것은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지역 MBC 계열사의 사업 다각화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역 방송사의 수익 사업은 지역의 문화 ․ 경제 요인 등 특수성을 고려하여 수행되어야 한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같은 분야의 사업을 진행하여도 지역마다 경영 성과에는 큰 차이를 보이기도 하였다. 지역 방송사가 단독 사업을 추진하는 것보다 계열사 간 네트워크를 활용해 규모의 경제를 이루는 것은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왔다. 10여 개 지역 MBC 계열사가 여행사 공동 브랜드를 출시하여 네트워크를 형성한 것은 지역 방송사의 성공적인 사례로 꼽힌다. 미디어 환경 변화에 지역 MBC 계열사의 대응과 전략을 살펴보는 과정에서 도달한 결론은 시장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방송사 경영자 및 구성원들은 시장 분석을 통해 시장을 이해함으로써 변화를 예측하고 그에 대응하는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는 해당 시장에 대한 분석만으로 충분했으나 이제는 연관 산업까지 시장의 영역을 확장해야 한다. 기술의 발달로 방송과 통신이 융합된 시대에는 지역 방송과 전국 방송, 국내 방송과 해외 방송의 경계 구분이 무의미하다. 지역 방송사도 시장의 범위와 사업의 영역 설정을 재설정해야 하는 시점에 와있다. 이 연구는 시장에서의 생존이 방송사의 공공성을 확보할 수 있는 조건이라는 전제에서 출발하였다. 하지만 지역 방송사의 사업 확장이 방송의 본령인 공공성을 훼손하지 않는가에 대한 물음도 함께 던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As broadcasting market is expanded with combination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new participants have actively entered the market recently. Although overall size of broadcasting market has increased, market share of ground wave broadcasting stations has decreased. In particular, regional ground wave broadcasting stations are experiencing rapid changes of media environment under fierce competition. To deal with this new broadcasting environment, regional stations are looking for a new profit generating business models through diversificatio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appropriate business strategy that ensures public interest and profitability for regional broadcasting stations, by analyzing regional MBC stations’ survival strategies and reactions after facing new environment of multi-device and multi-channel period. For this purpose, we set three research goals, analyzed various management resources of regional MBC stations, studied related documents and conducted an interview with senior management. First research goal was to find out the status and problems of current management of regional MBC stations. Results we found revealed an environment that forces the regional stations to seek changes. Regional stations, which continued growth by enjoying monopoly, are exposed to a situation where they cannot expect a continuing growth. Based on the interviews conducted with CEOs and advertisement/business division managers of regional MBC stations, we found out that many of them was feeling that the now is the transitional and critical period in which existing stations are experiencing increasing competition from new market players who are entering broadcasting market that is being expanded under the fusion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markets. After analyzing management results of regional MBC stations through various financial measures including stability, profitability, activity, growth potential and productivity, growth potential based on revenue increase was very weak for most stations, but profitability based on total revenue and net profit was sound. Additionally, stability based on debt ratio was also showed good results. Compared to the sense of crisis that is prevalent around industry, regional MBC stations are seem to be under the sound management based on various business statistical data. However, since MBC stations has depended on profit from linkage sales through KOBACO(Korea Broadcast Advertising Corporation) rather than individual sales activity, they can be criticized that they are benefiting from outside factors, such as revitalized TV advertising market, rather than from internal factors such as reasonable business model. Secondly, we analyzed methods of survival and growth of regional MBC stations. Regional MBC subsidiaries are mostly constructing business strategies to deal with changes in media environment and executing those strategies. Business strategy of MBC, a public broadcasting station, is mostly concerned with culture business that promotes public interest such as image improvement and influence expansion. In addition, MBC has a lot of one-time events, instead of long-term business model based on thorough market research, because CEO’s term lasts only three years and he is appointed by MBC headquarter. Thus, he is not so familiar with local business environment in many cases. Since it is difficult to measure the success of local community event in quantitative measure, event itself is considered as an accomplishment. Furthermore, profit generating businesses are also assessed not by accomplished results, and emphasis is put on developing new business model itself. By classifying business fields by Korea Industry Classification Standard, we found out that most regional MBC stations were engaged in event execution, concert planning, movie and show production, and travel agency. A few stations were also engaged in wedding hall business, movie theater business, foreign language academy, internet information service, and communication wiring installment. Although regional stations explored diversification of business model for 10 years since IMF, many business models were not stable and stations are still looking for a new profit generating fields. In contrast, risk diversification by sharing business model know-how and business brand resulted in some positive results. Lastly, third goal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an effective business diversification strategy for regional MBC stations based on result from first and second research goals. Even though MBC subsidiaries’ management status based on various financial statements are sound, they are depending too much on MBC headquarters for profit generation. By analyzing current status of MBC stations’ business diversification, we reached a conclusion that they should select business models based on local factors such as characteristics of regional economy and culture. In some cases, stations had different result from same field of business. Additionally, pursuing economy of scale through networking of regional stations had positive effect on profitability. Good example is a common travel agency brand released by network of 10 regional stations. As we looked into regional MBC stations’ reaction and strategies in dealing with changing media environment, we reached a conclusion that through market research is required for success. By analyzing and understanding the market, CEOs and employees of broadcasting stations can expect future changes in business environment and react accordingly. Until now, analysis on proposed market was enough for new business model development, but research should be expanded into related business fields from now on. In a period in which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is combined with development of new technologies, boundaries between regional stations and main stations, and domestic stations and foreign stations, are meaningless. Regional stations are in a period in which they should reset the boundaries and areas of their business model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survival of broadcasting stations in the market is a prerequisite for ensuring public interest. However, it seems like that we have to ask another question concerning whether the expansion of business fields of regional stations are damaging original purpose of broadcasting, which is a guarantee of public interest.

      • 방송드라마 생산자 ‘작가주의’ : 드라마작가들의 활동에 대한 인터뷰와 참여관찰을 중심으로

        구혜정 경희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3311

        우리는 방송드라마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높은 시대에 살고 있다. 방송드라마에서 드라마작가들의 영향력은 높고 대중의 관심을 받으며 작품 활동을 하고 있다. 대중의 인기를 얻은 드라마작가들은 드라마 제작 과정에서 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드라마작가의 활동을 통해 드라마 제작 과정을 이해하고, ‘드라마 생산자 작가주의(auteurism)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과정이다. 드라마작가들의 활동에 대한 인터뷰와 참여관찰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다수의 드라마작가들은 방송사 단막극 공모를 통해 등단하였다. 90년대 초반부터 한국방송작가교육원에서 드라마 작법을 교육함으로 이를 통해 등단하는 경우도 많아졌다. 간혹 예능 프로그램 작가에서 드라마작가로 등단하기도 하였다. 기성 드라마작가의 보조작가로 활동하다가 등단하는 경우도 있다. 드라마작가와 보조작가의 관계는 드라마작가마다 다르다. 보조작가로서 스크립터의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지만, 메인 작가를 대신하여 집필하는 경우도 있다. 다수의 보조작가 시스템은 도제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숙식을 함께 함으로 가족 같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나 드라마작가와 보조작가는 작업에 있어서 엄격한 수직관계를 이루고 있다. 이 논문에서 각 방송사별 드라마제작국 시스템과 드라마 외주제작여부를 알아보았다. 또 필자는 방송위원회에 보고된 각 방송사 드라마별 방영 시간을 토대로 드라마 외주제작율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각 방송사별 드라마 외주제작비율은 KBS가 35.19%, MBC가 75.64%, SBS가 92.68%를 기록했다. 드라마 외주제작비율 조사 결과 알 수 있듯이 시간이 흐를 수록 드라마 외주제작비율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언론보도와 필자가 조사한 방송사 드라마 감독들의 인터뷰에 의하면 3~4년 전만 하더라도 드라마제작국 자체 제작 드라마는 전체 편성의 50% 이상 차지하였으나 지금 그 수치는 현저히 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드라마 제작과정은 프리프로덕션, 프로덕션, 포스트프로덕션 단계로 나눌 수 있다. 프리프로덕션 단계에서 드라마는 기획되고 라인업 과정을 거치게 된다. 드라마 기획은 대부분 작가에 의해서 기획된다. 상황에 따라 감독이 기획을 주도할 때도 있고, 방송사 혹은 외주제작사에서 원작을 구매한 경우 감독과 작가를 만나는 경우로 나뉜다. 정규 편성을 받게 되면 프로덕션 단계가 시작된다. 프로덕션 단계는 대본집필, 촬영의 과정을 거친다. 포스트프로덕션은 편집, 특수효과, 타이틀 작업, 음악 등 후반작업을 뜻한다. 드라마작가들이 지향하는 작가주의(auteurism)는 무엇이고 드라마작가들이 생각하는 작가의 역할과 기능은 무엇인가. 드라마작가와 감독간의 역할과 상호 협력은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드라마작가 8명에게 다음과 같은 질문을 인터뷰 했다. 그리고 드라마작가와의 관계, 드라마 제작 과정, 드라마 제작 시스템을 알기 위해 각 방송사 드라마감독들과 외주제작사 감독 그리고 프로듀서에 대한 인터뷰를 진행했다. ‘종합병원’, ‘허준’, ‘상도’, ‘올인’, ‘주몽’ 등 사극과 현대극으로 대중적인 작품을 많이 집필한 최완규 작가와 ‘국희’, ‘황금시대’, ‘패션70s’, ‘서울1945’ 등 시대극과 현대극을 통해 많은 대중적인 작품을 많이 집필한 정선희 작가를 인터뷰 했다. ‘학교’, ‘신세대보고 어른들은 몰라요’ 청소년드라마부터 ‘해뜨고 달뜨고’, ‘비단향 꽃무’, ‘저 푸른 초원위에’ 등 멜로드라마와 가족드라마 그리고 ‘부활’, ‘마왕’ 추리 스릴러 드라마까지 폭넓은 장르의 드라마를 집필한 김지우 작가를 인터뷰 했다. ‘거짓말’, ‘우리가 정말 사랑했을까’, ‘화려한 시절’, ‘고독’, ‘꽃보다 아름다워’ 등 수많은 인간애를 다룬 작가주의 드라마의 노희경 작가와 드라마의 법칙을 재창조한 작가주의 드라마 ‘네 멋대로 해라’, ‘아일랜드’의 인정옥 작가를 인터뷰 했다. 전국을 폐인 열풍으로 뜨겁게 달군 퓨전 사극 ‘다모’로 작가성을 인정받고, 고구려 드라마 ‘주몽’으로 대중성도 인정받은 정형수 작가와 코믹 드라마 ‘쾌걸 춘향’, ‘마이걸’, ‘환상의 커플’, ‘쾌도 홍길동’의 홍정은 · 홍미란 작가를 인터뷰 했다. 각기 다른 드라마 장르와 지향하는 드라마가 다른 드라마작가들을 통해 그들의 글쓰기 특징과 필모그래피를 중심으로 드라마의 생산과 드라마 시나리오 쓰는 과정을 담았다. 드라마작가와 감독의 관계는 드라마제작 과정 중 생길 수 있는 민감한 사안에 대해서 어떻게 대처하느냐에 따라 우호적인 관계가 될 수도 있고, 적대적인 관계가 될 수도 있다. 드라마작가는 스토리 설정도 대본 수정도 절대 용납할 수 없는 성역의 공간으로 생각한다. 감독들은 ‘대본 수정’(드라마 스토리 설정)은 작품을 위해 필요할 수도 있는 단계라고 생각한다. 드라마작가는 드라마작가가 권력화가 되면서 감독과의 드라마 ‘주도권 쟁탈’ 또한 관계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드라마작가는 ‘쪽 대본’이 나올 수밖에 없는 상황과 작가로서의 끈기를 앞세워 타당하다고 생각하나, 감독은 절대 용납할 수 없는 행위라고 한다. 드라마작가 일부는 ‘쪽 대본’은 작가들의 잘못이라고 인정하기도 했다. 드라마작가는 드라마를 통해 사회에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사회적 발언자로서의 역할이 있다. 시청자들에게 ‘~해야만 한다’고 강요해서는 안되고 ‘~이러한 일도 있다’는 사회적 현상을 전달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필자의 판단으로 드라마작가는 인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인류학자이어야 하고 사회의 가치 판단에 화두를 던지는 삶의 철학자이어야 한다. ‘작가주의(auteurism)’란 그 작가(auteur)만이 가진 집필 방법, 사회적인 시각과 통찰력, 캐릭터, 지금까지 집필한 작품들이 독창성과 일관성을 지닐 때 ‘작가주의(auteurism)’가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드라마감독 역시 자신만의 독특한 연출 스타일과 배우 기용 능력 드라마 극의 구성 등을 통해 ‘작가주의(auteurism)’를 표현하고 있다. 드라마작가의 ‘작가주의(auteurism)’와 감독의 ‘작가주의(auteurism)’가 다르지 않다. 드라마작가든 감독이든 자신만의 스타일을 가지고 어떤 상황에서든지 자기 자신을 표현할 수 있다면 그것이 바로 ‘작가주의(auteurism)’이다. 생산자 환경이 미진한 상태에서 김훈순 · 박동숙(1999)의 연구 여성 방송작가의 ‘작가주의(auteurism)’의 이론적인 것을 빌려올 수밖에 없었다. 새로운 사실은 ‘작가주의’는 이전에 작가와 감독 사이의 알력보다 새로운 외부 요인 외주제작사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노희경 작가가 ‘꽃 보다 아름다워’를 기획할 때 가족드라마 어머니가 주인공인 드라마를 기획했을 때 7~80년대도 아닌데 가족 이야기가 먹히겠냐고 비판했다고 한다. 그 외에도 인정옥, 김지우, 정형수 등 드라마작가들이 작가주의적 드라마를 기획할 때 외주제작사는 제작을 망설이는 경우가 많고, 기획이 되었다가도 중간에 그만두는 경우도 있다. 외주제작사는 시청률이 보장되는 대중성 있는 드라마를 선호한다. 작품성 있는 ‘작가주의(auteurism)’ 드라마작가들의 작품 활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We live in an age when the public are very interested in television drama. Popular drama writers have a great influence on drama production process. This study focuses on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① What is auteurism, performed by drama writers· ② How do drama writers consider their roles and functions· ③ How roles and mutual cooperation between drama writers and directors are arranged· Especially, the central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swer a question : 'what is auteurism of drama writers·' This study conducts series to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about the activities of drama writers. The relations between drama writers and directors can be either amicable or hostile. They depends on how they deal with the sensitive problems in the drama creating process. In recent years, drama writers have gained significant influence. These factors also have affected their relationships. Drama writers play important roles as social speakers, and public recognition who can send strong messages to society through drama. 'Auteurism' of drama can be defined by specific writing styles, social perspectives, characters of the auteur, and consistency to work.

      • VR 뉴스에 대한 영상기자들의 인식 연구 : Q 방법론을 중심으로

        이재섭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3295

        본 연구는 Q 방법론을 활용하여 VR 뉴스에 대한 방송사 영상기자들의 인식 유형을 탐색했다. 연구결과, VR 뉴스에 대한 영상기자들의 인식은 2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첫 번째 유형은 VR 뉴스의 한계에 대해 우선적으로 인식하는 ‘계륵형’이다. 이 유형은 VR 뉴스의 현재와 미래에 대해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두 번째 유형은 VR 뉴스의 효용과 가능성을 중시하는 ‘금상첨화형’이다. 이 유형은 VR 뉴스에 대해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냈다. 두 유형은 VR 뉴스 제작과 VR 뉴스를 제작하는 사람들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유사한 인식을 나타냈고, VR 뉴스의 실효성, 몰입감, 뉴스가치 같은 속성에 대한 인식에는 차이를 보였다. 한편, VR 뉴스 제작 경험 여부와 VR 뉴스 제작에 대한 태도에 따라서는 보다 구체적이고 다양한 인식 유형들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뉴스 생산자 중심의 연구이기에 뉴스 제작 현장에서 느끼고 있는 VR 뉴스의 한계와 가능성들을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분석을 통해 도출된 VR 뉴스의 효용은 발전시켜 나가고, 문제점은 극복해 나감으로서, VR 뉴스의 수용과 확산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시사점들을 제시했다는 측면에서 의미를 갖는다. This study explored the types of broadcast video Journalists' cognition of VR news using Q methodology. The study found that video journalists have two types of cognition about VR news. The first type is ‘the double-bind’which first recognizes the limitations of VR news. This type had a generally negative cognition of the current and future state of VR news. The second type is ‘the icing on the cake’ that values the utility and potential of VR news. This type generally showed positive cognition of VR news. The two types showed similar cognitions about the importance of producing VR news and the importance of producing VR news, but different cognitions of VR news properties such as effectiveness, immersion, and news value. Meanwhile, It showed more specific and diverse types of perception depending on whether or not VR news has been produced and its attitude towards VR news production. Since this study was centered on news producers, it was able to draw the limits and possibilities of VR news as it was felt at news production sites.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for the acceptance and diffusion of VR news by developing the utility of VR news derived through analysis and overcoming problems.

      • "이야기(Talk) 보따리 풀어내기" HCN 금호방송 <대담 프로그램 '초대석'> 제작진의 인식과 제작과정 연구

        주보경 경희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3295

        이야기 하고자 하는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에서 시작된 토크는, 매스미디어라는 중재자를 통한 다양한 토크 프로그램을 통해서 사회적인 공론장의 기능을 수행해왔다. 중요한 정보획득의 수단이자, 말하기를 듣거나 보는 행위를 즐기는 오락거리 등과 같은 역할을 토크 프로그램이 해내고 있는 것이다. 토크 프로그램은 오랫동안 미디어와 함께해왔다. 여전히 대한민국 미디어 속 다양한 프로그램들의 포맷 중에 토크 프로그램은 빼놓을 수 없는 인기 프로그램 형태 중 하나이다. 2013년 상반기 호황기를 누렸던 토크 프로그램의 인기가 잠시 주춤했지만 현재까지 많은 토크 프로그램들이 사랑받고 있으며, 앞으로 점차 늘어날 것이라 전망된다. 더욱 치열해진 미디어 속 토크프로그램들 간의 경쟁은 곧 신변잡기 식 섭외 등과 같은 질적 수준의 한계를 보였고 지나친 연예인 중심, 중복 출연등과 같은 아이템 선정이 더 이상 차별화전략이 될 수 없다는 것에 동의한 토크프로그램 제작진들은 기본으로 돌아가겠다는 생각을 바탕으로 다양한 쇄신을 준비하고 있다. 지역 케이블 방송사 역시 실정이 다르지 않다. 토크 프로그램은 오랫동안 사랑받고 있는 프로그램 포맷이지만 이와 관련한 연구들은 미흡한 실정이다. 그동안 주를 이뤘던 수용자 중심의 연구에서 생산자 중심의 연구 역시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지만 주로 진행자의 특성에 한정되어 연구가 이뤄졌으며 토크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있는 제작진과 제작과정에 대해 들여다 볼 수 있는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저자는 토크프로그램을 대표한다고는 볼 수 없지만 같은 성격을 지니고 있다고 평가되는 지역 케이블 방송사의 대담프로그램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함으로써 제작진들은 프로그램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으며, 제작진들의 인식은 프로그램 제작과정에 있어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문제의식에서부터 연구는 시작되었다. 특히나 영업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제작진들이 프로그램의 성격과 더불어 제작에 있어 우선 가치를 어디에다 두고 있는지 살펴봤다. 이 같은 연구목적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가 설정되었다. 첫 번째, 대담프로그램 <초대석> 의 성격은 어떠한가에 대해 알아보고자 했다. 오락, 토론 등 다양한 형식의 토크 프로그램 중에서도 대담프로그램에 속하는 <초대석>의 성격은 무엇이며 특징을 살펴보았다. 두 번째, 제작진이 가지고 있는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있는 제작진들이 프로그램 내용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수용자인 시청자에 대해서는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더불어 제작진이 프로그램을 제작하며 느끼고 있는 고충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세 번째, 참여관찰과 심층 인터뷰 방식을 통해서 대담프로그램 <초대석>의 전반적인 제작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일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제작과정들은 어떠하며, 제작관행과 더불어 의사결정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성들이 제작에 있어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담당 PD와 작가, FD 등 제작구성원들 간의 의견 차이와 같은 불협화음은 없었는지, 갈등이 있다면 해소하는 방안은 무엇이며 크게는 토크 프로그램, 그리고 더 세부적으로 지역의 열악한 방송시스템을 통해 제작되는 토크프로그램들이 나아가야 할 방향까지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를 다음과 같다. 첫째, 대담프로그램 <초대석> 제작진은 프로그램 제작에 있어 가장 높은 가치로 공정성을 선택했다. 하지만 지역 케이블 방송사라는 상업적인 환경에서는 실질적인 영업이라는 문제 때문에 프로그램 제작의 아이템선정 및 출연자 섭외에 있어 항상 고민에 빠진다. 이 때문에 제작진은 제작방식의 변화와 더불어 전반적인 제작환경의 개선을 절실히 원하고 있다 둘째, 현재 <초대석> 제작진은 상대적으로 열악한 환경에서 제작된 해당 프로그램을 누가 시청하겠느냐는 부정적인 의견을 내놓지만, 이런 상황을 벗어나기 위해 아이템 및 출연자 선정, 시청자가 원하는 정보를 선별하는데 시간을 더욱 투자하고 있으며 예산편성 및 인력보강, 수평적인 의사소통을 통한 적극적인 의사개진 등 제작방식과 환경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제작진들은 대담프로그램 <초대석>을 제작하는데 있어 영업이라는 현실아래 내가 여기서 무엇을 하고 있는 건지에 대한 자괴감에 빠져든다고 고백한다. 출연자 선정에 있어 이윤창출이 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거절당하는 사례가 빈번해지면서 이 같은 생각을 더욱 증폭시키는 듯 했다. 무엇보다 회사 측의 적절한 환경 마련이 절실해 보인다. 넷째, 업무과정에서 이뤄지는 다소 수직적인 의사소통은 이견 없이 진행되기 때문에 빠른 제작에 있어서는 효율적이었으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지 못함으로써 전반적은 프로그램의 질 저하가 우려되었다. 프로그램 제작에 대한 의견들을 가지고 있지만 현재의 의사결정구조에 적응되어 있는 제작진들이 마음껏 의견을 개진할 수 있는 구조의 개선과 비공식적 자리의 마련이 시급해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들은 대담프로그램 <초대석> 뿐만이 아니라 지역케이블에서 제작되고 있는 대담프로그램 더 나아가서 토크쇼의 형태를 지닌 프로그램들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무엇보다 예산확대 및 인력지원과 같은 제작환경과 방식의 개선과 더불어서 다양한 의견을 개진할 수 있는 의사소통 구조의 변화가 시급해 보인다. 이는 프로그램의 질 향상은 물론, 장기적으로 인사관리 측면에서도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더불어 영업적인 측면에 지나치게 치우치지 않는 아이템 및 출연자 선정으로 토크 프로그램이 가지는 본래의 목적을 잃지 않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how a television production team perceives a talk show’s role and identity in terms of public sphere of the society; and the process in which the talk show is planned, produced, and broadcast as a whol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applied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RQ1.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alk show program <Invitation>? RQ2. What is the perception of the production team about the role and identity of <Invitation>? RQ3.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overall production and decision-making process of <Invitation>? The method of this study includes participant observation on the <Invitation> production team and in-depth interview with the production staff.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production team emphasized fairness as the highest value in the production of a talk show program. However, concerns about the production of the program regarding the production environment were also witnessed--they have to be involved in program promotion owing to the nature of a local cable television; (2) <Invitation> production team presented a negative opinion like "Who would watch the program produced in such a poor environment?" To avoid this circumstance, the team tried to broadcast as much information as viewers wanted and improve the production process. The production team confessed that it felt ashamed when the staff members were under the pressure to do sales promotion in the process of producing the program. Finally, a vertical communication system during work process was found to be effective for a rapid production but fail to collect a variety of opinions, which may lower the quality of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