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 미용 교육 현황 및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 전공 학생·교수·산업체 종사자를 대상으로

        리루 광주여자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34367

        본 연구는 중국 미용대학 교육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중국 대학교 미용 관련 학과 교수 및 재학생, 또는 미용 산업체 종사자 등을 대상으로 기존의 미용교육에 대한 실태와 전공교육 만족도, 요구 등을 여러 측면으로 조사·분석함으로써 중국 대학 미용 교육과정 개혁에 소중한 자료를 제기하도록 하는 데에 목표를 둔다. 이를 위해 해당하는 학교 및 기관에서의 미용 전공 학생과 교수, 그리고 미용 산업 종사자를 선정하여 각 연구대상에 따라 연구자가 연구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한 자기 기입식 설문지 3가지를 각각 이용하여 2018년 3월 29일부터 4월 10일 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대상은 중국 국내 8개 대학의 미용관련 학과 학생 총 220명, 교수 70명, 60개소 이상의 미용 관련 산업체 종사자 210명 등 총 500부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회수한 설문지 중에서 응답 내용이 불충분하거나 부적절한 응답을 제외한 학생 대상 설문지 213부, 교수 대상 설문지 64부, 산업체 종사자 설문지 205부로 총 482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최종 분석은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성별은 여성이 많았고, 학생은 23세 이하가, 교수는 30대 이상이, 산업체 종사자는 24세 이후가 가장 많았고, 최종학력은 교수와 산업체 모두 대학 졸업자가 가장 많았다. 둘째, 최초 미용교육을 받은 곳은 ‘대학 미용과’가 가장 많았고, 대학에서 교수들의 주당 강의시간은 10시간 이상이, 산업체 종사자들의 일 근무시간은 8~10시간 미만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셋째, 미용교육 관련 현황 및 태도는 미용 전공동기의 경우 학생은 ‘적성을 고려해서’가 16.9%였으며, 산업체 종사자들이 49.8%로 가장 많았다. 교수와 학생은 모두 ‘전문 직업을 얻기 위해서라’는 응답이 주류를 이루었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미용교육의 문제점에 대해서 세 그룹 모두에서 ‘교육자의 수적부족’이라고 응답한 것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미용학과 교수의 특성으로는 경력이 11년 이상, 전임교수의 산업체 근무경력은 60%이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지도 교수의 관계가 진로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에 대해서 그렇다는 응답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현행 교육과정에 대한 전반적 평가 결과를 보면 모두가 문제가 있다고 보았으며, 현재 무시험 자격증 제도에 대해서 세 그룹 모두 의견이 없다고 응답하였지만 합리적이라고 보는 사람도 일부 있었으며 자격증 취득에 대해서 모두가 필요하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생들이 가장 어렵다고 생각하는 분야는 ‘미용 이론’과 ‘외국어’라고 응답하였다. 다섯째, 미용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와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에서 학생은 ‘교육과정의 내용 이해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많았고, 교수는 ‘졸업생 전공 분야 취업률’, ‘졸업생의 취업 시 취업조건’ 순서로 나타났으며, 산업체 종사자의 만족도는 ‘미용학과 전반적 교육 과목’이 가장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교육과정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선행되어야 할 요구사항은 학생과 교수는 ‘미용 현장에 대한 적응 능력’이 가장 많았고 산업체 종사자는 ‘미용에 대한 우수한 실기 실력’을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그리고 미용교육에서 적절한 이론과 실기교육 비율로 학생과 산업체 종사자는 ‘이론30:실기70’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교수는 ‘이론50:실기50’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에 따른 미용 전공 대학의 적합한 교육목표에 대해서 학생과 산업체 종사자는 ‘미용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기초 지식에 중점을 둔 교육’이 가장 많았으며, 교수는 ‘현장에서 사용할 실무의 완성’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상 살펴 본 결과에 의하면 학생들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현장 적응 교육 요구를 충족시키고 기술적 목표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필히 실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또 산업체와 협력하여 학교와 산업체 학제를 시도하여 이론과 실기 및 실습 삼각형 교육 제도를 실시해야할 것이며, 미용교육의 문제점으로 제시된 교수자의 수적부족에 대한 문제는 실무자들도 교사의 역할을 수행될 수 있게 정규 학제 수업에 투입하여 수적 부족 상황에 보완할 수 있게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교수는 교수 방법에 대해서 심화 학습을 하기 위한 학교 또는 국가 측면에서 지원 사업을 운영해야 하며 또한 전문적인 교육을 위해서는 영역 세분화를 실시하며 미용 교육 목표를 명확하게 하여 전문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분야의 전문화가 필요하다고 하다고 제안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를 통해서 중국 미용교육 과정을 개혁하는 데에 소중한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하며, 중국 미용 교육 분야의 발전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블렌디드러닝(Blended Learning) 환경에서 학습자특성이 학습몰입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 북부지역의 미용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쟈위에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박사 사용) 2024 국내박사

        RANK : 234367

        최근 인터넷과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은 비즈니스의 변화뿐만 아니라 교육환경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학습자들이 상황적, 공간적인 제약이 없이 자기주도적(Self-Directed)인 수업이 요구되면서 LMS를 이용한 비대면 수업과 토론 및 심화학습을 위한 대면수업이 혼합된 미래지향적인 블렌디드러닝 교육방법이 확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 북부지역의 5개 대학의 미용관련학과를 중심으로 블렌디드러닝 수업을 경험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연구내용은 블렌디드러닝 수업방식과 학습자특성이 학습몰입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의 주요 변수는 일반적인 특성, 블렌디드러닝 수업방식, 블렌디드러닝 학습자특성, 학습몰입, 학습만족도이었다. 기간은, 2023년 07월 01일부터 08월 01일까지 조사된 총 249부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5.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독립표본 t-test,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일반적 특성의 성별은 여성, 연령은 만 19∼21세, 학과는 의료미용 학과, 학년은 2학년, 전공은 피부미용, 전공선택동기는 적성, 흥미, 전공만족 부분은 취업 및 진학에 대한 정보제공, 졸업 후 희망진로는 교육 강사, 전공만족도는 중, 학업성적은 중위권 경우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블렌디드러닝 수업방식과 학습자특성, 학습몰입, 학습만족도의 요인을 알아본 결과 학습자 특성은 학습가치, 학습효능감 2가지요인, 수업방식은 교육환경, 인지도, 의사소통, 수업과정, 교사영역 5가지요인, 학습몰입은 명확한 학습목표, 학업과 인식통합 2가지 요인, 학습만족도는 온라인, 오프라인, 혼합방식 3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신뢰도 검증결과 블렌디드러닝 학습자특성 .962, 수업방식 .800, 학습몰입 .870, 학습만족도 .803으로 평가되었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블렌디드러닝 학습자특성, 수업방식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학습만족도의 의사소통 하위요인에서 성별, 학년에 따른 전공만족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혼합방식의 학업성적 하위요인에서 전공만족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셋째, 블렌디드러닝 수업방식과 학습자특성, 학습몰입, 학습만족도와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학습몰입은 블렌디드러닝 수업방식의 수업과정, 교사영역 순으로 정(+)의 상관관계가 높았고, 학습몰입의 명확한 학습목표와 학업과 인식통합에서 정(+)의 상관관계가 높았다. 학습만족도와는 수업방식의 의사소통과는 높은 정(+)의 상관관계가 높았고, 학습만족도의 오프라인과 혼합방식에서 정(+)의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블렌디드러닝 수업방식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분석결과에서 수업방식의 수업과정, 교사영역이 높을수록 학습몰입의 명확한 학습목표와 학업과 인식통합에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블렌디드러닝 수업방식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수업방식의 의사소통이 높을수록 오프라인 만족도가 높았으나, 수업방식의 의사소통이 높을수록, 교육환경이 낮을수록 혼합방식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블렌디드러닝 학습자 특성이 학습몰입, 학습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결과에서 전체적인 만족도에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위의 결과에서 중국의 미용전공 대학생들은 블렌디드러닝 학습환경에서 수업방식의 수업과정, 교사영역, 의사소통은 학습몰입과 만족도에는 영향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미용전공학생들의 학습몰입 및 학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온ㆍ오프라인의 좋은 교육환경과 교수자의 학습목표와 학업과 인식통합은 물론 의사소통이 원활한 수업설계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 기후에 따른 중국여성의 미용관심도 및 한국화장품 선호도에 관한 연구

        송금수 광주여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34351

        중국의 기후는 광대한 국토, 다양한 지형의 영향에 따라 북쪽의 냉대 기후, 남쪽의 아열대성 기후 다양하게 형성되었다. 이러한 기후의 영향으로 중국여성들은 피부가 건조하면서 거친 피부 관리를 위한 화장품 소비자 층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여성들을 대상으로 미용관심도 및 한국 화장품 선호도에 대해 알아보고, 화장품에 대한 관련 정보 획득과 선호도에 따른 한국 화장품 중국시장에 실행할 마케팅 전략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중국여성들을 대상으로 2018년 9월 21일부터 10월 28일까지 약 한달 간에 걸쳐 웹 설문형식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중국여성들의 미용관심도, 한국 화장품의 선호도 및 구매실태를 조사·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첫째, 중국 여성들의 피부 특성을 살펴본 결과는 피부건강 관심도는 ‘매우 그렇다’ 47.6%, ‘어느정도 있다’ 36.5%, ‘보통이다’ 9.2%, ‘그렇지 않다’ 6.8% 순으로 피부건강에 관심이 높은 응답자는 전체의 84.1%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중국 경제발전에 따라 중국 여성들이 피부 관심도를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피부 관리형태에 대한 분석 결과는 현재 본인 피부상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피부 관리를 하고 있는 응답자는 55.8%, 그렇지 않은 응답자는 44.2%이었다. 평소 피부 관리 방법으로는 ‘홈케어’가 61.8%로 가장 많았고, ‘병·의원’은 8.9%, ‘화장품 구입 시 서비스’는 8.1%, ‘전문 관리실’은 6.8% 순이었으며, 피부 관리를 ‘안 한다’는 14.5%이었다. 집에서 기초관리를 하는 방법으로는 ‘팩’이 73.2%로 대부분이었으며, ‘마사지’는 3.7%, ‘가정용 기기관리’는 2.9%이었고, 집에서 별다른 피부 관리를 하지 않는 응답자는 20.2%이었다. 셋째, 화장품 사용실태를 알아본 결과 현재 사용하고 있는 화장품 브랜드는 ‘Sulwhasoo’가 17.9%, ‘WHOO’가 17.3%, ‘Laneige’가 16.5%, ‘기타’가 15.0%, ‘Nature republic’이 8.2%, ‘Too cool for school’이 6.6%, ‘VDL’이 4.4%, ‘Innisfree’가 4.0%, ‘3 concept eyes’가 3.7% 순이었으며, 브랜드 선택기준은 ‘품질/기능’이 28.2%, ‘디자인’이 26.3%, ‘피부적합성’이 18.1%, ‘천연성분’이 17.7%, ‘광고모델’이 4.7% 순이었다. 한국화장품 브랜드의 인지도는 ‘좋다’ 46.8%, ‘보통이다’ 46.1%, ‘좋지 않다’ 5.0%, ‘매우 좋다’ 2.1% 순으로 한국화장품 브랜드에 대해 좋다고 인식하는 응답자는 전체의 48.9%이었다. 넷째, 기후에 따른 피부상태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기후에 따른 피부유형과 피부상태 중 가장 문제가 되는 부분, 피부상태로 인한 스트레스정도의 차이는 유의미하였으나, 피부건강 관심도의 차이는 유의수준 5%에서 유의미하지 않았다. 기후에 따른 평소 피부관리 방법과 집에서 기초관리를 하는 방법, 피부관리를 희망하는 이유의 차이는 유의미하였으나, 현재 본인 피부상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피부관리를 하고 있는지의 유무는 기후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기후에 따른 현재 사용하고 있는 화장품 브랜드와 브랜드 선택기준, 한국화장품 브랜드 인지도, 화장품 브랜드를 접하게 된 이유의 차이는 모두 유의미하였다. 본 연구에서 중국여성 대상으로 조사된 연구결과로 기초 화장품을 구매할 때 피부 적합성, 기능성, 품질, 가격, 브랜드의 인지도와 제조기업의 신뢰도 등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기후에 따른 중국여성의 한국화장품 선호도를 알고 이를 바탕으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피부관리사들의 근무형태에 따른 여드름지식도 및 재교육 현황

        김수린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4351

        피부관리실 형태의 다양화로 일반 피부관리실과 메디컬 스킨케어실의 직무영역과 근무형태가 달라지고 있다. 또한, 고객은 전문적이고 과학적인 관리 시스템을 원하기 때문에 관리사들은 새로운 지식과 정보의 습득을 위해 재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피부관리사들의 근무형태에 따른 여드름 지식도와 재교육 현황에 대해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 내용은 2019년 6월 1일부터 8월 10일까지 피부관리사들을 대상으로 일반 피부관리실 근무자 97부, 메디컬 스킨케어실 근무자 153부를 조사하여 총 250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자료는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신뢰도 Cronbach‘s 검증, 기술통계, t-test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카이스케어 검정()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드름 지식도의 평균값은 여드름 악화요인, 여드름 발생원인, 여드름 관리지식도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재교육 현황 및 실태에서 소속된 피부관리실에서 실시하는 교육은 기술교육, 피부관리사들은 교육이 매우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배우고 싶은 피부미용 교육으로는 피부 이론과 메디컬 교육이었다. 셋째, 재교육 만족도의 평가에서 만족도가 보통 이상보다 높았으며, 그 중 자기 개발에 도움이 되었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피부관리사들의 근무형태에 따른 여드름 지식도의 관련성은 근무 년 수와 직위에서 모두 여드름 관리지식과 악화요인 지식에서 여드름 지식도의 차이가 유의미하였다. 다섯째, 피부관리사들의 근무형태에 따른 재교육 현황의 관련성에서 근무업종에 따른 차이는 교육 담당자, 자체 직무교육 정도, 실시 교육, 업무수행에 도움이 되는 정도, 피부미용 교육 후 개선된 점, 교육 필요성, 배우고 싶은 교육이 유의미하였다. 근무 년 수와의 차이는 소속 교육 담당자와 자체 직무교육 정도, 실시 교육, 업무수행에 도움이 되는 정도, 피부미용 교육 후 개선된 점에서 모두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직위와의 차이는 소속 교육 담당자, 자체 현장 직무교육 정도, 실시 교육, 업무수행에 도움이 되는 정도, 교육 후 개선된 점, 배우고 싶은 교육에서 유의미하였다. 여섯째, 피부관리사들의 근무형태에 따른 재교육 만족도의 관련성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다. 근무업종에 따른 차이는 교육내용 만족, 교육내용 습득을 위한 교육시간 적절성, 교육 스케줄 및 시간대 만족에서 유의하게 나타내었다. 직위에 따른 차이는 자기 개발에 도움, 강사의 자질 충분, 전공에 대한 이론에 이해도, 고객 피부의 개선 효과 시기, 신제품/신기구의 정보 관심, 사후관리(홈케어)지도능력이 향상에서 각각 유의하게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 피부관리사들의 여드름 지식도를 통해서 여드름 교육 및 전문지식에 대한 교육을 요구하였다. 또한, 근무형태별로 차별화된 재교육이 필요함으로써 기존 연구에 좀 더 다양하고 심층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속적인 재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한·중 여성의 피부관리 소비심리와 피부관리실 이용실태

        런자 광주여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34335

        중국은 다양한 미용관련 소비가 급속히 증가함으로 피부관리실을 이용하는 고객지향적 서비스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지역과 중국 강절후지역(江浙沪地域)에 상주하고 있는 여성들의 피부관리 소비심리와 피부관리실 이용실태를 비교하고자 한다. 설문지는 피부관련 특성, 피부관리 소비심리, 피부관리실 선택 중요도, 피부관리실 이용실태를 2019년 8월 1일에서 8월 31일까지 조사한 한국인 292부, 중국인 293부 총 585부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교차분석(-test), t-test으로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한·중 여성들의 피부관련 특성의 차이에서 피부유형과 피부상태, 피부고민, 피부관리를 위한 생활습관이 유의미하였다. 피부관리 소비심리와 피부관리실 선택 중요도의 전체 평균이 매우 높았다. 피부관리에 대한 소비심리의 차이는 유행/인기, 새로운/트렌드 체험, 시대에 부응, 양질의 피부관리실 선택, 지인과 함께 방문하면 나도 받고 싶음, 광고/홍보 영향력, 본인 피부상태 신경 쓰는 편, 좋은 피부로 관심끌기에서 모두 유의미하였다. 피부관리실 선택 중요도의 차이는 위생상태, 기계설비의 다양성, 관리에 대한 충분한 설명, 피부관리 비용, 피부상태 개선 효과, 부가서비스에서 모두 유의미하였고 피부관리실 이용실태 차이는 이용의향, 희망 장소, 경험여부, 화장품 구매여부, 비구매 이유에서 모두 유의미하였다. 그리고 한·중 여성들이 피부관리실 경험여부에 따른 이용자 특성의 차이는 피부관리실을 처음 이용하기 시작한 시기, 이용동기, 피부관리 프로그램, 관리요법, 기기이용, 프로그램 구성, 효과시기, 1회 관리비용에서 모두 유의미하였고, 미이용자의 특성은 경험이 없는 이유, 이용동기, 희망 프로그램, 희망 관리요법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한·중 여성들의 피부관리 소비심리, 피부관리실 선택 중요도의 차이가 한국보다 중국이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국의 뷰티교육 체계 및 뷰티산업 활성화가 불안전한 것으로 판단되어 피부관리 의식에 대한 홍보전략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With rapidly increasing various beauty-related consumption, China needs customer-oriented service strategies to use a skin care sho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onsumption psychology of skin care and the use of a skin care shop in women who resided in Korea and Jiangsu Province, Zhejiang Province, and Shanghai in China. The questionnaire survey on the characteristics of skin care, the consumption psychology of skin care, the selection importance of a skin care shop, and the use of a skin care shop was conducted from August 1 to 31, 2019. A total of 585 questionnaires of 292 Korean and 293 Chinese women were analyze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ross-tab analysis(-test), and t-test were used in the SPSS WIN 21.0 program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characteristics of skin care in Korean and Chinese wome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skin types, skin conditions, skin problems, and life habits for skin care. The total average of consumption psychology of skin care and selection importance of a skin care shop was very high. The consumption psychology of skin car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rend/popularity, new/trend experience, meeting times, selection of a quality skin care shop, wanting to taking skin care when visiting with friends, the influence of ad/publicity, caring about skin conditions, and attracting people’s attention by good skin. The selection importance of a skin care shop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hygiene, various mechanical equipment, good explanation for care, skin care expenses, the effects of improving skin conditions, and additional service. The use of a skin care shop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intention to use, a desired place, experience, purchase of cosmetics or not, and reasons not to purchase. The users’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experience in a skin care shop in Korean and Chinese wome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period of the first use of a skin care shop, motivation of use, skin care programs, care therapy, use of equipment, program structure, the period of effects, and expense of one-time care. The characteristics of non-use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motivation of use, desired programs, and desired care therapy. Based on the findings, differences in the consumption psychology of skin care and the selection importance of a skin care shop were slightly lower in Chinse women than in Korea women. It suggests that beauty education system and the activation of the beauty industry is not secure in Chin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rategies to publicize the consciousness of skin care.

      • 중국여성의 메디컬 피부관리 행동에 따른 메디컬 스킨케어 서비스 소비자 행동 연구

        자오민 광주여자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34335

        중국 경제의 급속한 발전은 현대 의학 미용기술을 사용하여 이미지 변화를 원하는 여성이 증가함에 따라 미용 시장에서 중요한 소비군이 되어 있다. 특히 성인여성은 메디컬 스킨케어 시장에서 가장 큰 소비군이 되고 있어 중국여성의 메디컬 스킨케어 서비스의 소비자 행동 연구는 매우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중국여성의 메디컬 피부관리 행동에 통해 메디컬 스킨케어 서비스 소비자 행동 연구에 관한 피부건강 증진행위, 메디컬 스킨케어 서비스 혜택, 메디컬 스킨케어 서비스 위험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메디컬 스킨케어 서비스의 소비가치 및 소비자 관계지속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중국지역에서 거주하는 20∼50대 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설문기간은 2019년 3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 1개월 동안에 실시하여, 최종 679부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각 변인의 빈도분석, 요인분석, t-test와 ANOVA,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피부건강 증진행위는 피부 예방가치, 심미가치, 치료가치 3요인으로 분류하였다, 메디컬 스킨케어 서비스 혜택은 치료효과성, 고객화, 안정성, 공감성, 유형성 5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메디컬 스킨케어 서비스 위험은 효율성 위험, 금전적 위험, 신뢰성 위험 3요인으로 도출하였고 요인의 다탕도 적합하게 나타내었다. 둘째, 피부건강 증진행위의 하위요인인 피부 예방가치, 심미가치, 치료가치와 메디컬 스킨케어 서비스 혜택의 하위요인인 치료효과성, 고객화, 안정성, 공감성, 유형성과 메디컬 스킨케어 서비스의 소비가치, 소비자의 관계지속 의도는 모두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메디컬 스킨케어 서비스 위험의 하위요인에서는 효율성 위험, 금전적 위험, 신뢰성 위험, 메디컬 스킨케어 서비스 소비가치, 소비자의 관계지속 의도는 모두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셋째, 피부건강 증진행위, 메디컬 스킨케어 서비스 혜택, 소비가치는 소비자의 관계지속 의도에 정(+)의 영향을 나타내었고, 메디컬 스킨케어 서비스 위험(효율성 위험, 금전적 위험)은 소비자의 관계지속 의도에 부(-)의 영향을 나타내었다. 넷째, 메디컬 스킨케어 서비스의 소비가치는 피부건강 증진행위, 메디컬 스킨케어 서비스 혜택, 메디컬 스킨케어 서비스 위험(효율성 위험, 금전적 위험)과 소비자의 관계지속 의도와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다섯째, 메디컬 피부관리 행동과 피부건강 증진행동의 요인별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피부 예방가치와 심미가치는 메디컬 스킨케어 서비스 선택 시 중요사항에 따른 차이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피부 예방가치와 치료가치는 메디컬 스킨케어 주이용 서비스에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메디컬 피부관리 행동과 메디컬 스킨케어 서비스 혜택의 요인별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치료효과성, 공감성 및 유형성은 메디컬 스킨케어 1회 지출비용에 따른 차이가 유의한 관련성을 나타내었다. 메디컬 피부관리 행동과 메디컬 스킨케어 서비스 위험의 요인별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신뢰성 위험은 메디컬 스킨케어 1회 지출비용에 따른 차이가 유의한 관련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는 종합해 보면, 중국여성의 메디컬 스킨케어 서비스의 소비자 행동연구에서 피부건강 증진행위, 메디컬 스킨케어 서비스 혜택 및 위험, 중국여성의 메디컬 스킨케어 서비스 소비가치 및 소비자의 관계지속 의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영향요인을 확인하였다.

      • 시니어 여성의 피부변화 및 외모관리가 화장품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김태희 광주여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34335

        본 연구 대상자는 50세 이상의 시니어 여성들로 선정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와 URL을 이용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기간은 2017년 09월부터 2017년 11월까지 약 3달간 이루어졌으며, 총 480부의 설문지를 배포·수거하여 총 444부가 최종 사용되었으며, 수집된 자료의 통계 분석은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및 교차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서는 조사대상자인 시니어 연령층을 ‘50-64세의 초년기’, ‘65-74세의 중년기’, ‘75세 이상의 노년기’로 나타났으며, 가장 많이 자각하는 피부의 변화가 높은 연령은 ‘75세 이상의 노년기’로 나타났다. 둘째, 외모관리행동의 토탈 뷰티 실천, 체중 및 피부 관리 실천은 자각하는 피부변화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였고 ‘50-64세의 초년기’에서 외모관리행동이 가장 높았으며 특히, 토탈 뷰티 실천을 가장 신경을 쓰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브랜드 충성도의 품질 효과성, 인지도, 선호도, 가격합리성 모두 자각하는 피부변화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75세 이상의 노년기’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넷째, 자각하는 피부변화, 외모관리행동과 브랜드 충성도와의 상관계로 브랜드 충성도는 자각하는 피부변화의 기능성화장품 사용 유무, 안면피부노화 개선을 위한 한 달 투자비용, 피부관리 경험, 미용성형 경험으로 상관이 있었고, 외모관리행동의 피부 건강의지, 토탈 뷰티 실천과 유의미한 정의 상관으로 보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고령 사회로 진입한 우리사회의 시니어 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연령 구분에 따라 자각하는 피부변화로 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구명하기 위해 시도하였으며, 이를 통해 시니어 여성들의 피부변화, 외모관리행동, 브랜드 충성도에 대한 요구도에 상관성 관계를 정확히 규명하여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것을 기대한다.

      • 중·한 여성의 자기표현, 신체 존중감 및 외모관리 태도가 미용소비 의도에 미치는 영향

        자오메이나 광주여자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34335

        본 연구는 중·한 여성들의 자기표현, 신체 존중감 및 외모관리 태도가 미용소비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고, 이 과정에서 각 변인들 간에 인과관계가 존재하는가와 국적에 따라 자기표현, 신체 존중감 및 외모관리 태도가 미용소비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료 수집은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중국 상해와 한국 서울에 거주한 20~30대 여성들을 대상으로, 2019년 3월 1일부터 3월 30일까지 총 55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된 설문지 중 506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for windows 25.0통계 Package를 이용하였고, 빈도 분석, 주성분 요인분석, 기술 통계 분석, 신뢰도 분석, 회귀분석, 경로분석, Sobel-tes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자기표현이 미용소비 의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적별로 중국과 한국 모두 자기표현이 미용소비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신체 존중감이 미용소비 의도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적별로는, 중국의 경우 전체적으로 신체 존중감이 미용소비 의도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신체 존중감의 각 차원은 모두 개별적인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한국 여성의 신체 존중감 차원 중 외모 존중감 차원만이 미용소비 의도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표현이 외모관리 태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적별로, 중국 여성의 경우 자기표현이 피부관리, 헤어관리 및 의복관리 태도 차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한국 여성의 경우, 자기표현이 헤어관리 태도 차원에만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 존중감이 외모관리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는데 전체적으로 중국과 한국 모두 자기표현이 외모관리 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외모관리 태도가 미용소비 의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 변인이라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국적별로는, 중국 여성의 경우, 외모관리 태도 차원 중 피부관리 태도, 몸매관리 태도, 의복관리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국 여성의 경우, 외모관리 태도 차원 중 헤어관리 태도, 몸매관리 태도 차원은 미용소비 의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표현과 미용소비 의도의 관계에서 외모관리 태도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적별로, 중국 여성의 경우에는 자기표현과 미용소비 의도의 관계에서 외모관리 태도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국의 경우에도 자기표현과 미용소비 의도의 관계에서 외모관리 태도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신체 존중감과 미용소비 의도의 관계에서 외모관리 태도의 매개효과가 통계적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적별로, 중국과 한국 경우는 모두 신체 존중감과 미용소비 의도의 관계에서 외모관리 태도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자기표현, 신체 존중감 및 외모관리 태도가 미용소비 의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영향요인인 것을 실증분석을 통해 확인되었다. 추후 연구에서는 한국미용 산업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되고 있고 중국의 미용시장도 확대되고 있으므로, 미용소비 시장의 큰 수요를 차지하고 있는 다른 서양 문화권 소비자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며, 현재 아시아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연구 대상국의 확대도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새터민 여성의 라이프스타일이 미용관리 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예서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4335

        본 연구는 새터민 여성의 라이프스타일이 미용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목포시에 거주하는 새터민 여성 120명을 대상으로 2018년 9월 1일에서 2018년 10월 1일까지 설문을 수행하였다. 설문지 내용은 자기기입식으로 총 1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한 후 135부를 회수하였으며, 불성실하게 응답하거나 무응답 등 결측치가 나타난 19부를 제외한 116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및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기술통계,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 희귀분석 등의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 할 수 있다. 첫째, 새터민 여성의 라이프스타일은 평등적 사고형, 건강 추구형, 외향적 추구형, 과시 욕구형, 유행 추구형으로 나타났으며, 연령, 학업, 직업에 따라 라이프스타일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새터민 여성의 미용관리행동은 피부관리, 헤어관리, 체중조절과 미용성형, 메이크업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 학력, 직업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새터민 여성의 라이프스타일과 미용관리행동의 관계에서는 각각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라 미용관리행동의 하위요인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유형에 따른 미용관리행동은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라이프스타일이 미용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외향적 추구경향과 평등적 추구경향, 과시욕구경향이 높은 사람이 미용관리행동의 하위요인인 헤어관리행동, 피부관리행동, 메이크업, 체중조절과 미용성형에 더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새터민 여성의 라이프스타일과 미용관리행동이 상관성이 있으며,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미용관리행동이 차이가 나고, 특히 라이프스타일 유형 중 외향적 추구경향, 과시욕구경향이 높은 사람이 미용관리행동 또한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향후 연구에서는 새터민 여성을 대상으로 한 라이프스타일과 미용관리행동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질적 연구가 동반되어 새터민 여성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외모관리행동 및 뷰티관련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베트남지역 여대생들의 외모관리행동

        Nguyen, Thi Thu Sang 광주여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34335

        최근 베트남은 경제적으로 부유해 지면서 미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평균 소득이 좋은 중년층의 미용 인지도가 증가하면서, 화장품 브랜드, 미용실, 스파 등 미용 관련 산업 발달과 함께 미용 제품도 더욱 다양해지면서, 외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베트남지역 여대생들의 신체적 외모에 대한 관심도를 알아보고, 외모관리행동을 분류하여 여대생의 외모관리행동의 실태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베트남의 북부, 남부, 중부 지역에 거주하는 여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SNS를 통하여 2020년 2월 1일부터 3월 30일까지 수집된 자료 362부를 분석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외모관심정도는 Cronbach‘s 의 계수로, 신뢰도 검증은 하였고,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연령은 20-21세가, 학년은 1학년이 전공은 경영계열이 가장 많았고, 고향은 남부, 북부, 중부순으로 나타났으며, 가족수는 4인 가정 월수입은 2000만동 이상이, BMI는 정상체중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외모관심정도는 ‘나는 내 외모에 대해 전혀 관심이 없다’가 신체만족도는 머리카락,얼굴 전체적 외모, 피부순으로 신체만족도가 높았다. 이상적인 외모 중요도는 얼굴, 피부, 전체적 외모, 순으로 나타나 신체만족도와 이상적인 외모중요도 인식은 상이함을 보였다. 외모관리행동 중 경험한 외모관리행동으로는 피부관리가 이상적인 외모를 유지하기 위해 가장 효과적인 외모관리행동으로는 체중조절이 , 체중조절을 시도해 본 경험이 있는 응답자가 많았으며, 체중조절을 경험한 이들이 시도한 다이어트 방법으로는 운동 식사조절 식품이, 체중감량정도는 2-3kg가, 가장 효과적인 체중조절방법으로는 식사조절이, 하루 식사횟수는 3회가 순으로 나타났다. 미용성형을 경험한 응답자는 그렇지 않은 응답자가 대부분이었으며, 향후 미용성형을 희망하는 응답자가 많았고, 수술을 희망하는 부위로는 ‘코 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장을 하는 정도는 ‘기초화장만 한다’가, 화장 시 가장 신경을 쓰는 부분으로는 ‘피부화장’이 . 피부, 미용관리를 위해 전문관리실을 방문한 경험이 있는 응답자 중 경험한 관리로는 ‘얼굴관리’가, 외모관리를 위해 선호하는 방법으로는 ‘피부관리’가 가장 많았다. 또 학년에 따른 이상적 외모를 위한 효과적인 방법과 관리실 방문여부의 차이는 유의미하였다. 전공에 따른 식사횟수와 화장정도, 관리실 방문여부, 희망 외모관리 방법의 차이는 유의미하였고, 외모관심정도에 따른 외모관리행동의 차이는 외모관심정도에 따른 체중조절 시도여부와 식사횟수, 미용성형 여부, 향후 성형희망여부, 관리실 방문여부의 차이는 유의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뷰티 산업의 주축이라고 할 수 있는 베트남 여대생의 미의식과 외모관리 행동 특성 분석을 통하여, 소비시장에 대한 이해와 이를 토대로 뷰티산업의 소비 계층적 분석의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또한 베트남 여대생의 소비 패턴 등의 더욱 자세한 소비행동 분석이 필요함을 느끼며. 현 뷰티산업에 적용하기 위하여 더욱 세밀하고 다양한 연구 대상자 간의 미의식과 외모관리 행동 패턴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