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소아청소년 심리치료를 위한 공간지각치료 프로그램 및 운영에 관한 연구 : 문화교차학적 연구 경험을 중심으로

        김동철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36399

        이 논문은 약물과 인지행동 치료적 상담 위주의 기존 상담의 한계를 극복하고 문화교차학적 심리상담 치료 프로그램의 실현 가능성을 실제 임상 결과를 통해 보여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문화교차학적 심리 프로그램을 고안하고 이를 실제 임상 과정에서 적용하여 보았다. 임상 실험 결과 기존의 심리 상담 프로그램에 비해 문화교차학적 심리 상담 프로그램의 완치율이 월등히 높음을 확인하였다. 이 프로그램의 특징은 내담자 스스로 자신감을 회복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다. 또한 치료 이후의 심리적 요요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 긍정강점 심리를 우선으로 하여 내담자가 지속적인 행복감을 느낄 수 있는데 도움을 주었다. 수년 동안 운영되어온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그 실제 임상 과정의 실증적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상담 프로그램의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1) 문화교차학적 공간지각치료 프로그램의 도입 배경 2) 프로그램을 통한 심리 치료의 경험과 변화 과정의 실제, 그리고 치료과정을 통해 새롭게 개발된 공간지각검사와 상황심리치료 방법이 실제 3)문화교차학적 심리프로그램의 실제 임상과정 등을 다루고 있다. 본 연구에서 활용된 주요 데이터는 기존 상담자 중심의 상담치료 방법에서 소아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된 문화교차학적 공간지각 프로그램의 결과물이다. 이를 통해 공간지각 프로그램의 미래 가치를 실증적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초기연구의 임상 표본은 소아 청소년 150명이다. 이 중에는 약물을 지속적으로 복용한 이도 포함되어 있다. 임상 치료 과정은 개인, 단체로 이루어졌으며 연령 혹은 증상에 따른 공간지각치료방법을 적용 하였다. 유아의 경우 상황심리 O, X 검사를 통해 심리상태를 분석하고 치료에 적용하였다. 초등학생을 포함한 청소년의 경우 회복 탄력성 검사, 우울증 검사, 몸맘뇌 검사를 통해 심리상태를 분석하고 증상에 따라 문화교차학 공간지각 프로그램으로 치료를 하였다. 더불어 공간 상황 능력이나 지각지능 향상에 도움이 되는 감각기억, 단기기억 등의 프로그램으로 내담자의 심리안정에 집중도를 높이고자 노력하였다. 이로 인해 내담자들은 높은 긍정적 치료 효과와 요요현상의 감소를 경험하였다. 그 외 치료에 대한 다양한 접근으로 비만상담치료, 물 건강 심리치료 등을 기옵과 함께 다양한 임상연구도 함께 진행 하였다. 본 연구는 문화교차학적 상담의 임상 효과를 실제적으로 증명하였다는 데 의미가 있다. 문화교차학 공간지각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개인 혹은 집단의 고립이 해소 되고, 가족 간의 소통이 이루어지는 등 확산속도가 상당히 빠름을 임상 경험을 통해 알 수 있었다.

      • 문화교차학의 위안 : ‘나 찾기’ 노인미술교육 연구

        구서경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36399

        본 연구는 내 몸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나를 사랑하는 방법을 고전을 통해 밝히고 그것을 근거로 나의 현장을 되돌아봄으로써 노인 몸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챙기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근거로 하여 노인미술교육의 문화교차학적 기초를 세우고 문화교차학적 노인미술교육의 지향점을 제시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논문은 과거와 미래에 대한 ‘나’의 이야기로 시작했다. 나의 과거를 볼 때면 과거의 나는 준비되지 않은 이른 결혼과 출산으로 인해 ‘나는 없다’라고 생각하며 우울해했다. 다른 한편으로 나의 미래를 볼 때면 미래의 나는 노인미술수업의 노인들을 보면서 언젠가는 ‘나도 늙고 병들어 죽게 되는구나’라는 두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논문에 착수했던 그 당시 현재의 나는 과거의 나와 미래의 나에 대해서 생각하면 할수록 슬픔과 두려움에 빠져들 수밖에 없었다. 그 결과 현재의 나는 사라지고 없었다. 그렇게 아파하고 있었던 나는 우연한 기회로 국민대학교 문화교차학과에서 강의하는 고전 수업을 들을 수 있었다. 그 수업은 조중빈 교수의 논어(論語) 읽기였는데, 수업 중 불현듯 나는 나의 이야기에 대해서 ‘보고 아는’ 것과 ‘알고 보는’ 것의 차이에 대해서 생각했다. 나의 이야기에 대한 이와 같은 분별은 나로 하여금 과거의 아픔과 미래의 두려움을 치유할 수 있다는 희망을 갖게 했다. 그래서 나는 그 희망을 찾고 배우기 위해 문화교차학을 공부하기로 마음먹었다. 나는 공자의 사여학(思與學)을 내 논문의 기초 연구방법으로 정했다. 왜냐하면 ‘보고 아는’ 것만이 나의 이야기의 전부라고 생각했던 나에게 ‘알고 보는’ 나의 이야기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했기 때문이다. 이때 그 확인의 방법은 ‘나’ 자신에 대한 ‘나’의 생각이다. 이것이 사여학(思與學)의 사(思)이다. 이렇게 내 생각의 ‘자명(自明)’에 기초하여 나는 본 논문의 기초문헌인 유가(儒家)의 사서(四書)를 읽음으로써 나 스스로 나의 아픔을 치유했다. 이것이 사여학(思與學)의 학(學)이다. 논문의 연구방법인 사여학(思與學)을 통해서 나는 학문의 논리를 다음과 같이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초록을 쓰고 있는 지금의 나는 이 논리를 ‘문화교차학의 논리’라고 이해하고 있다. 그 논리란, ‘나’라는 존재의 사실로서 ‘내 몸’의 생김 그 자체의 사실로부터 ‘필연적’으로 ‘나’는 ‘내 몸’의 생김 그 자체의 사실만을 따라서 살 수밖에 없다는 ‘단 하나의 필연성’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논리는 영원으로부터 영원에 이르는 영원한 사실이라서 이 논리를 어기고 존재하는 것은 생각조차 할 수 없다. 이상, 문화교차학의 논리는 연구방법인 사여학(思與學)으로부터 필연적으로 도출되는 것이므로 그 과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나는 사여학(思與學)을 근거로 하여 ‘없다’고 생각한 나를 찾았다. 내가 그토록 찾던 ‘나’는 ‘나’ 밖에 별도로 어딘가에 있는 것이 아니라 이미 엄마 아빠의 사랑으로 있음을 『논어(論語)』를 중심으로 사서(四書)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결과 과거의 우울했던 ‘나’ 역시도 엄마 아빠의 영원 무한한 사랑을 받은 ‘나’로 존재하며, 그러한 나는 이미 영생인 내 몸 잘 살피며 살아가니 미래는 두려운 것이 아니라 매일 매일이 영원한 축복 안에서 새롭다는 사실이다. 내 몸의 진실을 밝힌 다음, 비로소 나는 노인미술교육이라는 나의 현장을 올바르게 바라볼 수 있었다. 노인의 몸은 생로병사로 곧 사라지는 몸이 아니다. 노인의 몸 역시 영원 무한의 생명과 사랑 안에서 자신의 새로움을 영원한 축복 속에서 즐기고 있다. 노인의 몸도 내 몸의 존재 원리와 동일하게 엄마 아빠의 사랑인 영원 무한 안에서 그 사랑만을 따라서 살아가고 있음을 알았다. 이처럼 문화교차학의 논리를 나의 현장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침내 사여학(思與學)을 통하여 내 몸의 사실로부터 노인 몸의 사실을 깨닫고 난 이후, 나는 기존 노인미술교육이 노인의 몸을 타당하지 못한 인식으로 정의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이러한 잘못된 정의에 입각하여 잘못된 교육 정책과 프로그램이 시행되고 있다는 사실도 알 수 있었다. 동시에 지난날 내가 진행했었던 노인미술교육에 대해서 부끄러움과 함께 깊은 반성을 했다. 그 결과 본 논문은 노인 몸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근거로 문화교차학의 노인미술교육을 새롭게 정의했고 이 정의를 토대로 노인미술교육의 문화교차학적 기초와 지향점을 제시했다. 끝으로 문화교차학의 논리에 입각한 노인미술교육의 문화교차학적 기초와 그 지향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본 논문은 노인 미술 교육의 문화교차학적 기초를 『중용(中庸)』 제1장의 ‘천명지성(天命之性) · 솔성지도(率性之道) · 수도지교(修道之敎)’로 요약했으며, 지향점은 미술의 조형 원리를 문화교차학의 주요 개념으로 구체화하여 ‘균형 · 비례 · 조화’로 정리했다. 『중용(中庸)』의 천명지성(天命之性)은 몸의 생김을 영원한 축복의 몸으로 정의하며, 솔성지도(率性之道)는 몸의 놀이가 생김의 영원한 축복 안에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수도지교(修道之敎)는 이러한 몸의 진실을 배우는 것이 학문의 핵심임을 정리했다. 본 논문은 이 논리에 기초하여 노인미술교육을 ‘나 찾기’ 노인미술교육으로 명명했다. 즉 노인미술교육에서 교육철학의 제1원리는 내 몸의 진면목을 밝혀서 참답게 아는 것이다. ‘나 찾기’ 노인미술교육의 철학적 기초 위에서 이 교육이 추구하는 지향점을 조중빈의 「몸표」에 근거하여 세 가지로 제시했다. ‘균형 있는 나’는 영원과 무한이 교차하는 내 몸이며 성(性)을 말한다. ‘비례 있는 나’는 나답게 성욕(性欲)이 나와 너를 즐기는 정욕(情欲)을 말한다. ‘조화 있는 나’는 나와 너를 즐기는 정욕(情欲)이 나답게 성욕(性欲)을 배우는 자기 이해의 자리이다. 위와 같이 본 연구는 노인미술교육의 문화교차학적 기초와 문화교차학적 노인미술교육의 지향점을 도출해냈다. 이것을 근거로 본 논문은 프로그램의 한 예시로서 ‘나 찾기’ 노인미술교육 프로그램의 철학적 기초와 교안 그리고 그에 따른 기대효과를 제시했다. This study confirms the ways to understand my body and love myself correctly through the Classics and thereupon, introspects on my conditions for a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elderly’s body.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up the Xcultural basis of the elderly art education and suggest a direction for the Xcultural elderly art education. This study started from the stories about past ‘me’ and future ‘me’. In my past, I was depressed much, thinking ‘I do not exist’ due to the sudden marriage and childbirth. On the other hand, when I view the future ‘me’, I fear that ‘I shall get old and sick to die, while I view the elderly who are learning about the elderly art. When I started this study, I would fall in grief and fear, thinking about past “me” and future “me”. As a result, the present “me’ has disappeared. In the meantime, I happened to listen to the lecture about the Classics at the Department of Cross-Cultural Studies, Kookmin University. The class was about ‘Noneo(論語)’ taught by the prof. Cho Choong Bin. During the class, I suddenly thought about the differences between my story ‘seen and known’ and the one ‘known and seen’. Such difference about my story urged me to hope that my past pain and fear of my future would be treated. So, in order to search for and learn about the hope, I decided to learn about the Xcultural studies. I determined Gonja(孔子)’ “Sayeohak(思與學)” as the basic research method of my dissertation. For I had used to think ‘seeing and knowing’ was all about my story, but I came to confirm that I could ‘know and see’ my story. Here, the method of confirmation is ‘my’ thought about ‘me’. This is Sa(思) of Sayeohak(思與學). Thus, based on ‘Jamyeong(自明)’ of my thinking, I would read the Saseo(四書) or the basic of Yuga(儒家) only to heal my pain. This is the very Hak(學) of Sayeohak(思與學). Through Sayeohak(思與學) or the method of the study, I could confirm the logics of learning as follows, and even now I am writing this abstract of the study, I understand this logics as ‘that of the Xcultural studies’. The logic is ‘the only inevitability’ that ‘I’ as a being of existence’ cannot but live my life according to the fact that ‘I’ must live my life ‘essentially’ according to the shape of ‘my body’. Hence, such logic is the eternal fact from eternity to eternity, and therefore, I could not even think about it and its existence. All in all, the logic of the Xcultural studies is inevitably inferred from ‘Sayeohak(思與學)’. The process can well be summarized as follows; Above all, based on ‘Sayeohak(思與學)’, I could find ‘me’ who I thought did not exist. The ‘me’ I have searched for does not exist somewhere but exists in my mom’s and dad’s love, which I could confirm in the ‘Saseo(四書)’ centered about “Noneo(論語)”. As a result, ‘I’ who was depressed in the past exist in the eternity and infinite love of my mom and dad, and such ‘I’ live, taking care of my eternal body, so the future is not fearful but would be renewed in the bosom of the eternal blessing every day. After I had confirmed the truth about my body, I could see my current condition or elderly art education correctly. Their bodies would not perish due to living, aging, disease and death. Their bodies are enjoying their newness in the eternity and infinite life and love. Their bodies, like mine, would live in their moms’ and dads’ eternity and infinite love. I could well confirm such logic of the Xcultural studies on my field. After all, through ‘Sayeohak(思與學)’, I could be aware of the truth about my body as well as that about the elderly’s bodies, and then, I could discover that the conventional elderly’s art education was not based on the correct recognition of elderly’s body. Furthermore, wrong educational policies and programs are operated based on such wrong definition. At the same time, I felt a shame for my elderly’s art program, reflecting much on it. After all, this study defines the elderly’s art education of the Xcultural studies correctly on such a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elderly’s bodies, and thereupon, suggested a basics and direction for the elderly’s art education. Lastly, the basics of the Xcultural studies for the elderly’s art education and their direction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is study summarized the basics of the Xcultural studies for the elderly’s art education according to the first chapters of ‘Zhongyong(中庸)’: ChunmyeongjiSeong(天命之性), Solseongjido(率性之道) and Sudojikyo(修道之敎). The directions were set as follows by specifying the formative principles of art into the major concepts of the Xcultural studies: Balance, Proportion and Harmony. ChunmyeongjiSeong(天命之性) of ‘Zhongyong(中庸)’ defines the shape of body as eternal blessing, while its Solseongjido(率性之道) confirms the play of the body is in the eternal blessing, and its Sudojikyo(修道之敎) is the core of learning about the truth of such body. Based on such logics, this study defines the elderly’s art education as ‘Finding Oneself’ elderly’s art education. Namely, the first principle of the educational philosophy in the elderly’s art education is reviewing of the true aspect of my body and knowing about it correctly. Based on such philosophical theories of ‘Finding Oneself’ elderly’s art education, this study suggests three directions for the education, according to Cho Choong Bin’s ‘Mompyo’. ‘The balanced me’ is my body and Seong(性) where eternity and infinity cross each other. ‘The proportional me’ is a lust enjoying me and you or the Seongyok(性欲). ‘The harmonious me’ means that ‘I learn about the Seongyok(性欲), enjoying Jeongyok(情欲), or understand me. As discussed above, this study defined the basics of Xcultural studies for the elderly art education and the directions for it. Based on such definitions and directions, this study suggests a philosophical basis and semester teaching program for the ‘Finding Oneself’ elderly art education and the expected effects thereof.

      • 현대 중국 드라마에 나타난 문화정체성 연구 : 한국 드라마 모방 현상을 중심으로

        성원홍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6383

        The intersperse between different countries is shrinking, in that sense TV programs are more than entertaining shows that light up the daily lives, TV programs has become a significant approach in cultural communications between country to country. This paper picks out some deficiencies in the industry by analyzing the issue of imitation in modern Chinese TV series. The ultimate intention is to explore the future path of Chinese TV series industry and appeal for productions of stronger Chinese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opinions of audience and experts towards some samples of unoriginal TV series. The period of 1990s was the golden time for Chinese TV series, TV started its domineering coverage in the country and became one of the necessary electronic appliances under the social context of fast-developing economy in China. At the same time, TV series became the centre work of TV station, more diversified topics are introduced in TV series and Chinese audience had more colorful visual experiences. It was the time that Chinese TV series descended into the ordinary lives of the mass and kept communicating with general public by filming the ordinary lives. What's more, the enriched categories of TV series can attract different types of audience, the output of Chinese TV series in its "golden time" reached the peak. The fast pace the industry took intensified competitions, innovation on themes entered into a period of stasis. The lack of originality led major TV corporations to repeatedly play series of the same topics. Symptoms of stasis period were monotonous themes and repeated plots. What's more, imported series began to appear on domestic televisions as cultural globalization strengthened the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untries. South Korean TV shows is a representative winner in this cultural output competition. The similar background of oriental culture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n as well as the novelty of foreign culture made South Korean TV series attractive to Chinese audience. Its success gave Chinese producers some hints, they tried to reproduce TV series with the same theme as South Korean's. This attempt failed to bring new hopes to Chinese TV industry, instead it triggered suspicion of imitation. Seemingly, Chinese imitated South Korean out of similar cultural background, but audience held harsh tones towards these reproductions. This paper classifies the imitation behavior into two phases including "moderate imitation" and "complete reproduction", two examples of imitation TV series representing each phase are selected for study. These four TV series are all successful whether in TV or online, but audience had different opinions towards them. This paper is to look into problems hidden deeply in Chinese TV series by evaluating opinions of audience. Audience's aversion towards reproduction and the effects of political events in 2016(South Korean TV shows were limited) made Chinese producers reflect upon what Chinese audience really wanted. The mission of cultural communication makes TV serie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means to manifest domestic culture in the context of globalization. The imitation TV series shows the receptive quality in Chinese industry towards foreign culture in the context of cultural globalization. The suggestion given to the innovative production of Chinese TV series is to learn from South Korean and combine its advantage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The premise of producing TV series in the Chinese way is the recognition of advantages in Chinese culture. During 60 years' history, Chinese TV series is not only the necessity in the daily lives of citizens, but also record of great changes and events of China. 세계화의 영향력이 점차 확대되어 가는 오늘날, 드라마는 사람들의 일상생활 속에 단순하게 선택되는 오락거리의 하나가 아니라, 각국 간 문화적 상호교류 및 전파의 중요한 경로가 되었다. 본 논문은 현대 중국 드라마의 발전과정 속에 등장한 '모방 드라마'를 통해 분석을 진행하고 중국 드라마의 발전 과정에서 드러난 일부 문제점을 제기하고자 한다. 또한, 모방 드라마에 관한 구체적인 사례와 시청자 평가 및 중국학자들의 관점을 통한 분석 진행과 더불어 중국 드라마의 향후 발전 방향 모색을 통해 중국 문화의 특징을 잘 드러내는 '중국식' 드라마 제작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1990년대는 중국 드라마 발전의 황금기였다. 중국의 급속한 경제발전이라는 사회적 환경 속에서 TV는 더욱더 전면적으로 중국 전역을 휩쓸기 시작해 모든 가정에 필요한 가전제품의 하나가 되었고, 이와 동시에 드라마 역시 점차 방송국의 핵심 사업으로 떠오르면서 더욱더 다양화된 주제의 드라마가 중국 시청자들의 시야 속에 등장하기 시작했다. 중국 드라마는 이 시기부터 중국 대중의 삶 속에 진입하기 시작했으며 대중들의 삶을 창작 소재로 삼아 끊임없이 대중들 사이의 감정적 공명을 일으키게 되었다. 주제의 다양화 역시 여러 시청자의 요구를 충분히 만족하게 하면서 중국 드라마는 이러한 '황금기' 속에서 전대미문의 드라마 제작 수량에 도달하게 되었다. 중국 드라마의 신속한 발전은 시장의 경쟁을 점점 더 치열하게 이야기시켰을 뿐만 아니라 주제창작 측면에서도 침체국면으로 접어들게 하였다. 드라마 주제의 창작력 저하는 각 대형 방송국이 시청률 획득을 위해 같은 주제의 드라마를 계속해서 중복촬영 하게끔 하였다. 유사한 주제와 중복된 내용은 중국 드라마의 발전과정이 정체기에 접어들었다는 중요한 표현이 되었다. 문화의 세계화는 각국 간 문화전파를 더욱더 긴밀하게 만들었으며 각각의 국이 제작한 드라마 역시 이러한 시기에 중국 대중의 삶 속에 등장하기 시작했다. 한국 드라마는 강한 추세로 문화 수출을 이루고 있는 대표적 사례의 하나이다. 중한 양국의 유사한 동방 유가 문화적 소양, 거기에 대중들의 외래문화에 대한 호기심이 더해지면서 한국 드라마는 중국 시청자들의 사랑을 받게 되었다. 한국 드라마의 높은 시청률이 중국 드라마 제작자의 눈길을 끌게 되면서, 중국은 한국 드라마와 유사한 주제의 드라마 제작을 시도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이러한 시도는 중국 드라마에 새로운 발전 방향을 가져다주지 않았고 오히려 중국 드라마를 '모방 드라마'라는 소용돌이 속으로 빠져들도록 만들었다. 표면적으로 볼 때, 중국의 모방 한국 드라마는 유사한 문화적 소양을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드라마 방영은 시청자들의 강렬한 반응을 불러일으켰다. 본 논문은 모방드라마를 '반 모방'과 '완전 모방'의 두 가지 단계로 구분하고 이러한 두 가지 단계 중 각각 두 편의 모방 드라마를 사례로 구체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네 편의 드라마의 방송은 모두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으며 인터넷상에서도 높은 화제도(관심도)를 지닌 드라마이다. 하지만 시청자 평론의 측면을 살펴보면 매우 큰 차이가 드러난다. 따라서 시청자 평론을 통해 더욱 심층적으로 중국 드라마 발전과정 속에 드러난 폐단을 분석하고자 한다. 시청자들의 모방 드라마에 대한 반감 및 2016년 정치적 사건은(한국 드라마의 중국 내 방영 수량 감소) 중국 드라마 제작 측에게 중국 대중의 시청요구가 시작되게 만들었다. 드라마 자체가 부담하고 있는 문화전파의 의의는 드라마를 세계화 시대 속에서 자국 문화의 인정감을 구현하는 중요한 경로가 되었다. 모방 드라마의 출현은 문화 세계화라는 배경 속에서 중국이 받아들인 외래문화의 필연적 산물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한국 드라마 제작의 장점을 학습하고 자국 문화와 결합한 중국 드라마 창작 및 발전에 참고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중국 드라마는 자국의 문화적 우세를 뚜렷하게 인식하는 기초 상에서 '중국식' 드라마를 제작해야 할 것이다. 중국 드라마 발전의 60여 년의 시간 속에서, 드라마는 중국 대중에게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사물이자 중국 사회의 변천과 발전을 기록하고 있는 중요한 사물이 되었다.

      • 현대 중국의 대중문화 연구 : 한류의 수용현황을 중심으로

        오시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화교차학협동과정 문화예술학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36383

        In the 1970s, China began to implement Chinese Economic Reform. This policy not only led to the rapid growth in economy, but also brought huge changes in culture that the mass culture originated from western countries began to appear in China. However, compared to that of capitalist countries, mass culture has inevitably changed due to the particularities of historical background and social background after entering China. It is also more complicated in definition and cannot completely be duplicated from the original concept of western mass culture. In contrast to the traditional mass culture in the west, the definition of Chinese mass culture needs further clarification and identification to provide a basic conceptual guidance for the study of the current status of Chinese mass culture. Since the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established in 1992, the two countries have conducted extensive and profound communications in various fields such as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The "Korean Wave" has even triggered a boom in China for nearly 20 years. After defining the basic concept of Korean Wave, this article explained the birth and development of Korean Wave in China and gave a concrete analysis of the causes of Korean Wave. The underlying reason is that the popularity came from cultural and psychological identification. Taking Korean drama as an example, the social culture, family culture, and ethical ideology expressed in the TV dramas always show the quintessence of Confucian culture, which makes Chinese people feel the familiar and seemly long lost traditional Chinese culture without cultural barriers while watching. From the aspect of inclusivity, Korean culture, as a foreign culture, has experienced ups and downs in its development in China. In the first ten years of development, it was mainly drama and K-POP sweeping the Chinese market. But in recent years, the variety shows began to have a strong development momentum and the shadow of Korean variety shows can be seen everywhere in Chinese TV shows. New changes have happened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Wave in China. The Korean Wave has been popular in China for nearly 20 years. It almost grew along with the Chinese mass culture, which was inevitably influenced by Korean Wave under this circumstance. However, due to the immaturity and instability of itself, a variety of problems have been exposed in Chinese mass culture in recent years such as serious plagiarism, over-entertainment, over-consumption, and large number of homogenized works emerging at the same time etc. Under the background of the cultural globalization, it becomes urgent to get problems exposed and seek solutions for Chinese mass culture in order to get good development and be competitive internationally. The Korean Wave has experienced a thriving period of two decades since the 1990s. In comparison with the Chinese popular culture which is still in the exploratory stage, Korean popular culture has constructed the cultural system with national features. Moreover, it gets attention not only in Asia, but also across the globe. As the product of combining western civilization and traditional culture, the success of the Korean fad has reference significance for the Chinese popular culture which desires to look for culture export ways under the background of cultural globalization. 본 논문은 대중문화 정의에 입각하여 중국 대중문화의 복잡성과 특수성을 논하고, 한류에 대한 기본적인 논술을 한 뒤, 한류가 중국 대중문화에 미친 영향을 통해 현대 중국 대중문화에 존재하는 문제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나아가 대중문화를 성공적으로 발전시킨 한국의 사례를 참고하여 향후 중국 대중문화의 발전 방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70년대, 중국은 개혁개방을 실시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정책은 경제의 급속한 발전뿐만 아니라 문화 범위 내에서도 큰 변혁을 일으켰으며, 서양 국가에서 탄생한 대중문화도 중국에서 등장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자본주의 국가의 대중문화에 비해 역사적 배경과 사회적 배경의 특수성으로 인해 대중문화는 중국에 진입한 후 불가피하게 변화가 발생했고, 정의도 더욱 복잡해졌기에 서양 대중문화의 원시적 개념을 그대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 서양의 전통적인 대중문화에 비해 중국 대중문화의 정의는 보다 상세하고 명확한 설명이 필요하다. 중국 대중문화의 현황을 연구하기 위해 기본적인 개념 인도를 진행한다. 1992년 한중 양국이 수교 이후, 양국은 정치, 경제,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광범위하고, 깊이 있는 교류를 해왔으며, '한류'는 중국에서 20년 가까이 열풍을 일으켰다. 본 논문은 한류의 기본 개념에 대해 정의를 내린 뒤 한류가 중국에서의 탄생과 발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며, 한류의 형성 원인에 대해 구체적인 분석을 했다. 그중 심층적인 원인은 바로 문화와 풍속의 심리적인 공감이다. 한국 드라마를 예로 들었을 때, 드라마에서 표현한 사회문화, 가정문화, 윤리관 등은 모두 유가문화의 정수를 표현한 것이기에 중국 시청자들은 이러한 콘텐츠를 시청할 때 문화 장벽으로 인한 장애가 없을 뿐만 아니라, 익숙하지만 오랜 시간 동안 잃어버린 중국 전통문화를 느낄 수 있다. 수용성으로 보았을 때 한류는 외래문화로서 중국에서의 발전 과정 역시 기복을 이루는 상황이 나타났다. 최초 10년 동안의 발전기에서는 주로 한국 드라마와 K-POP이 한류를 이끌고 중국 시장을 휩쓸었다. 하지만 최근 몇 년간 한국의 예능 프로그램은 강세를 보이면서 중국의 TV프로그램 곳곳에 한국 예능 프로그램의 그림자가 드러났고, 중국에서 한류의 발전은 새로운 변화가 나타났다. 한류는 이미 중국에서 20년 가까이 유행해왔으며, 중국의 대중문화와 더불어 거의 동시에 성장해 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국의 대중문화는 불가피하게 한류의 영향을 받았지만, 자신의 발전 미숙과 불안정성으로 인해 최근 몇 년 사이 중국의 대중문화에는 다양한 문제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예를 들면 심각한 표절 문제, 과도한 오락화 및 소비화 문제, 동질화 작품의 대량 등장 등 문제가 있다. 문화의 세계화 시대 배경 속에서 중국의 대중문화가 제도로 발전하여 국제적으로 경쟁력을 갖추려면 문제점을 밝히고, 해결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급선무로 되었다. 1990년대부터 한류는 중국에서 20년 동안의 전성기를 겪었다. 중국 대중문화와 비교했을 때 한국의 대중문화는 이미 민족적 특색을 지닌 문화 체계를 형성했으며, 아시아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한류는 서양 문화와 전통 문화의 결합으로 한류의 성공은 같은 문화 글로벌화 배경 속에서 문화 수출의 길을 탐구하려는 중국 대중문화에 대해 참고적 의미가 있다.

      • 한국 내 중국유학생의 다문화사회 적응과정 연구

        예순요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6383

        한국의 국제적 지위와 경제수준의 향상에 힘입어 점점 더 많은 중국 유학생들이 한국 유학을 선택하고 있다. 한국 교육부 통계에 따르면, 2012년부터 한국 대학에서 유학생활을 하는 중국인 유학생 수가 점차 증가하기 시작했으며 2013년을 기점으로 K-POP등 한국 문화 콘텐츠 산업의 영향을 받아 한국으로 유학을 선택한 중국인 유학생 수가 수직 상승하면서 한국 전체 유학생의 45%이상을 차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이러한 추세가 지속적으로 이어지면서 한국을 찾아온 수많은 중국인 유학생들이 다문화 적응 과정이라는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한국과 중국이 보유하고 있는 자국문화는 비록 모두 동아시아 문화권에 속하지만 확실한 차이점이 존재하기에 중국인 유학생의 다문화 적응에 관한 연구는 현실적으로 필요한 상황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게다가 한중 양국에서 진행 중인 무역과 문화교류 등이 날로 증가하는 상황 하에서 한국에서 생활하고 있는 중국인 유학생들의 학습 및 생활을 돕는 것은 유학생 개체의 성장에 대한 관심뿐만 아니라 한중 문화교류 등과의 관계에 있어서도 매우 밀접하게 연관된다. 현재 이미 존재하는 기존 문헌의 대다수는 미시적 관점에서 중국인 유학생들의 다문화 적응에 따른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혹은 심리학적 관점에서의 중국인 유학생들의 다문화 적응에 내재된 심리기제 연구에 치중해 있으며, 중국인 유학생들의 다문화 적응 과정 및 조절방식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편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서울에서 유학생활을 하고 있는 중국인 유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다문화 적응과정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시도하였으며, 다문화 적응 과정인 각각의 단계에서 유학생들이 과연 어떻게 위기에 직면하고 어떤 방법을 통해 위기를 수습하는가 등에 대한 분석을 거쳐 최종적으로 한국의 문화상황에 대한 적응 정도를 점진적으로 완성시켰다. 또한 정성 연구방법을 채택하여 서울 소재 대학에서 유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 10명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고 단계별로 중국인 유학생의 다문화 적응과정에 대한 묘사를 진행하였다. 다문화 적응 이론 및 다문화 U형 곡선 이론의 지도 하에 중국인 유학생들의 다문화 적응 과정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 준비단계에서 주동적으로 한국 유학을 선택한 학생의 입장을 비교해 볼 때, 외재적 원인으로 인해 수동적으로 한국 유학을 선택한 중국인 유학생의 경우 준비단계에서 소비한 노력이 비교적 미흡함에 따라 더욱 더 빠르게 위기기에 접어들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밀월기 단계에서 다문화 초기의 응답자 대다수는 한국 문화 상황에 대한 호기심을 보이며 비교적 유쾌한 정서를 나타냈으나 유학동기, 한국 생활에 대한 기대, 한국 문화에 대한 객관적 이해상황 등에서 차이가 존재했으며, 일부 유학생들은 유학초기에 부적응 상황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위기단계에서는 유학생들에게 부적응을 가져다 주는 주요 원인에 대한 분석을 진행했으며 각각 중국인 유학생들의 단일한 교류범위, 한중 양국의 문화 및 가치관의 차이, 미비한 유학생 교내활동, 한중 양국의 교육 방식의 차이 등으로 구분하였다. 마지막으로 복원기 단계에서는 위기기를 맞이해 직면하게 된 여러 가지 부적응에 대해 본 논문의 응답자들은 주로 적극적인 대응형, 수동적 수용형, 회피형 등 세 가지 방식으로 대응하였음을 발견하였다. 그 밖에 개별적으로 위기기에서 비교적 소극적이고 수동적이었던 응답자는 주변사람들의 효과적인 사회적 지원 하에서 고비를 안전하게 넘길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사회적 지원 시스템이 중국인 유학생들의 다문화 적응에 있어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 볼 때, 본 논문에서는 재한(在韩) 중국인 유학생이 겪고 있는 다문화 적응과정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서는 한국대학, 중국 유학생 관리 기구, 중국 유학생 등 세 가지 측면에서 모두 공통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여기고 있다. 먼저, 한국 대학 측에서는 학교의 다문화 적응 기제를 개선, 한중 양국 학생들이 참여하는 다양한 교류활동 조직, 중국인 유학생회의 정기적인 유학생 의견 수렴, 교내 학습 과정에서 유학생이 마주하게 되는 문제점 및 어려움 등의 적시 발견 등이 필요하다. 둘째, 중국 유학생 관리 기구는 하루 빨리 단기 문화교육 커리큘럼을 개설함으로써 한국의 생활 환경 및 학교 환경에 대한 사실적인 홍보 확보, 현지 역사 및 정치 등 관련지식 사전교육, 마지막으로 실천 학습 활동 등을 설계함으로써 유학생들의 몰입식 현지 문화 체험을 도울 수 있다. 마지막으로 셋째, 중국인 유학생들은 적응력 향상, 자신 스스로의 유학목적 확립, 사회지원 시스템의 적극적인 구축 등을 최대한 이뤄내야 한다. With the improvement of South Korea's international status and economic strength, more and more Chinese students choose to study in South Korea. According to the statistic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South Korea, the number of Chinese students in Korean universities has been increasing steadily in the past 12 years. And from year 2013 on, due to the influence of K-POP and other Korean cultural industries, the number of Chinese students in South Korea has increased sporadically, accounting for 45 percentage of the total foreign students in Korean. Moreover, there is a tendency to continue to rise on the percentage. However, many Chinese students coming to Korea are facing challenges in the process of cross-cultural adaptation. Although that the Chinese and Korean cultures belong to the cultural circle of East Asian, there are certain differences exiting between Chinese and Korean cultures. Therefore, it is a realistic requirement to study the cross-culture on Chinese students in South Korea. Moreover, due to the increasing trade and cultural exchange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helping Chinese students in South Korea to adapt to the study and life in South Korea is not only concerned with the growth of individual foreign students, but also related to cultural exchange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The existing literature mostly studies the influencing factors of cross-cultural adaptation of Chinese students from a micro perspective or focuses on the study of the internal psychological mechanism of cross-cultural adaptation of Chinese students from a psychological perspective,. However, there are relatively less studies on the process and adjustment methods of cross-cultural adaptation of Chinese students. Taking Chinese students in Seoul, South Korea as the research object, this study tries to explore their process of cross-cultural adaptation, analyzes those crises they are facing in different stages of cross-cultural adaptation, and what kind of adjustment methods are used to solve those crises, and finally, how to gradually adapt to the Korean cultural context. By adopting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10 Chinese students studying at a university in Seoul, South Korea, this article describes the cross-cultural adaptation process of Chinese students from different stages. Based on the guidance of cross-cultural adaptation theory and cross-cultural U-shaped curve theory, this article makes a deep exploration on the process of cross-cultural adaptation of Chinese students abroad. Through research, we found that during the preparation stage, compared with students who actively choose to study in South Korea, Chinese students who choose to study in Korea passively due to external reasons spend less time in the preparation stage, and may enter the crisis stage faster. At the early stage of cross-cultural adaption, most of the respondents showed curiosity about the Korean cultural situation, and they were more pleasant. However, due to differences in motivation for studying abroad, expectations for Korean life, and objective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some students abroad have developed a sense of discomfort in the early stage of studying abroad. At the crisis stage, we analyzed the main reasons for the discomfort of students abroad, namely single communication circle for Chinese students in South Korea, different cultural value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less campus activities for students abroad, and different educational model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In the face of the various discomforts arose in the crisis period, the respondents in this article mainly responded in three ways: active response type, passive acceptance type, and avoidance type. In addition, because of the effective social support of their surroundings, some respondents who were more passive during the crisis period were able to pull through the crisis successfully. This shows that the social support system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cross-cultural adaptation of Chinese students in South Korea. According to above conclusions, in order to ensure the successful cross-cultural adaptation process for Chinese students in South Korea, this article believes that the joint efforts of Korean universities, Chinese study abroad management institutions, and Chinese students abroad are required. First of all, Korean colleges and universities shall improve their cross-cultural adaptation mechanism as much as possible, organize more communication activiti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students, and let the Chinese Students Association regularly collect opinions from students abroad to promptly find the problems and difficulties encountered by them in school. Secondly, the Chinese study abroad management institution shall set up short-term cultural education courses as soon as possible to ensure objective and true publicity of the Korean living environment and school environment. Those courses can also teach Chinese students the South Korean history and politics and other related knowledge in advance. Moreover, they can design practical learning activities to help Chinese students experience the Korean culture. Thirdly, Chinese students shall improve their adaptability, clarify their purpose of studying abroad, and actively build a social support system.

      • 학교 예술교육 프로그램 연구 : 중등학교 음악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송화자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36383

        국 문 초 록 본 논문은 연구자가 교육자로서 학교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문화교차학적 관점에서 연구한 결과물이다. 연구자는 앎과 삶이 일치된 지(智)의 교육으로 나가야 하는 방법론 이라고 생각하는 문화교차학적 예술교육의 이론을 바탕으로 실제로 경험한 음악수업사례를 통해서 ‘몸’과 ‘감정’이‘한 짝’이 된 ‘몸 체험’에 중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자는 학교에서의 예술교육은 학생들이 스스로 자신의‘몸’을 움직여서‘나’의 소중함을 느끼고 자신의 오감을 다양하고 조화롭게 체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이를 위해서 연구자는 학생들의 창의적 표현 욕구를 충족시키고 다른 사람과 소통을 하며 인류의 문화를 계승하고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문화교차학의 창의성 개념을 교육에 도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았다. 문화교차학에서의 인간이란 ‘좋음’을 추구하는 본성을 태어날 때부터 이미 가지고 있는 사람이기 때문에 누가 가르치지 않아도 우리 스스로가 창조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특히 음악은 합창과 같이 모두가 함께하는 공동체 활동을 통해서 학생들 스스로가 ‘내 몸이 좋다’는 감정이‘내 몸’안에 있고 그것이 저절로 우러나오는‘좋음’을 수업을 통해 확인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연구자는 예술교육과 관련하여 특별히 ‘아리랑’에 주목을 하였다. ‘아리랑’은 현대에서도 끊임없이 스스로 모든 것을 수용하고 변하면서 ‘좋음’의 감정을 지닌 채 전해져 내려온 민요다. 아리랑의 상태는 그때그때 시대와 상황에 따라 변화했지만 늘 모든 것을 받아들이는 평화의 사상은 자연스러움과 함께 배어있다. 따라서 연구자는 ‘아리랑’이 한국인 모두를 공감하게 하는 언어로 맺어진 노래로서 전통사회의 유산이며 그 의미는 21세기 한국인에게도 여전히 유효하다고 보았다. 연구자는 아리랑에 문화교차학적 예술교육론을 적용하여 ‘완전한 나’는 원래부터 있었던 경기민요인 아리랑으로, ‘사랑받은 나’는 신민요 강남아리랑이며 ‘함께하는 나’는 두 개의 민요가 교차하여 만나 어울리는‘아리랑연곡’이라고 보았다. 아리랑에는 ‘몸’은 ‘감정’이요 ‘나’는 혼자가 아닌 부모가 모두 있는 ‘공동체’라는 의미가 들어있다고 본 것이다. 현재 중고등학교에서 전통문화의 전승차원에서 국악교육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가 연구자는 가창과 감상위주의 수동적인 학습이었다고 보았다. 이것은 정규교과의 음악수업이 그동안의 근대화 과정 속에서 무비판적으로 서양위주의 음악을 추종한 결과이기도 하다. 연구자는 문제의 대안으로 남북의 대표적인 아리랑 두곡을 아리랑연곡으로 재구성 하였고 합창을 통하여 학생들이 직접‘몸 체험’을 통하여 흥겹고 신나는 행복한 교실문화를 만들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아리랑 연곡에 의한 사물놀이와 퓨전활동도 시도해 보았다. 비정규교과의 동아리활동에서는 기악합주반과 뮤지컬반 그리고 등굣길 음악회를 통해서 아름다운 학교문화를 펼쳐나갈 수 있는 사례를 제시해 보았다. 연구자에게 있어서 교육이란 평화이며 행복하게 섞여 사는 인간마음을 가르치고 배우는 것이다. 즉, 교육의 본질은 바로 인간의 마음속에 그대로 있는 좋은 감정을 회복시키는 것이라고 본다. 연구자가 생각하는 학교에서의 행복교육이란 단지 정규교육과정과 비정규교육과정으로 따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며 같은 시간과 공간에서 만나는 통합적인 교육활동으로 체험할 때 문화교차학적 배움과 삶의 철학을 느낄 수 있다. 자발적으로 우러나온 우리의 몸짓, 소리, 언어 등이 아리랑과 함께 Kculture가 되고 공동체 문화인 우리의 ‘정’이 살아있는 예술과 접목하여 새롭게 발전하기를 기대하는 것이다. 그 결과로 공동체문화의 활동과 가치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새로운 대안 제시가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연구자는 문화교차학 관점의 ‘몸 철학’을 통해서 우리가 다 함께 섞여 사는 행복한 마음을 찾을 수 있다고 본다. 그리고 문화교차학의 ‘몸 철학’을 학교 예술교육 프로그램에 접목한다면 ‘다 좋은 세상’이 펼쳐질 것이라 확신을 한다.

      • “예술낭독” 속의 감정 내러티브 연구

        부정옥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36367

        본 논문은 연구자 본인이 진행해온 “예술낭독” 수업을 문화교차학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새로운 ‘힐링 낭독’ 프로그램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낭독은 오랜 역사를 갖는다. 문화의 발전에 따라 처음에는 간단한 문자에 대한 읽기에서 오늘날에는 낭독의 예술화된 표현으로 변모해 오고 있다. “예술낭독”은 언어의 생존 공간, 규범 공간, 심미 공간을 기반으로 음성언어의 예술화 창작을 통해 텍스트와 낭독자, 수용자 간의 상호작용을 체험하는 교육으로, 일종의 새로운 문화예술교육의 변주라고 할 수 있다. 21세기에 들어와 낭독을 내러티브로 해석하는 새로운 이해가 생겨나면서, 낭독 교육 또한 패러다임적 사고에서 내러티브로적 사고로의 전환을 경험한다. 이에 예술낭독 교육의 내연과 외연을 심화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무의식과 감정 내러티브 이론을 배경으로 현대 중국의 낭독문화 현장을 교차적으로 탐구하는 작업이다. 즉 언어학, 낭독학, 내러티브, 정신분석 등의 이론을 융합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천 연구를 진행한다. 이에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사건과 감정의 관계를 분석하고, 낭독에서 감정에 대한 이해와 표현의 중요성을 밝힌다. 이 과정은 예술낭독의 영역을 언어의 네 번째 공간인 ‘힐링 공간’으로 확대하는 작업이다. 나아가 기존의 예술낭독 교육을 정신분석의 관점에서 재해석하고, 감정 내러티브와의 연결을 통해 ‘과거/현재/미래’가 서로 관통하는 ‘낭독╳내러티브’의 구조를 파악한다. 동시에 감정의 자기 이해와 자기 회복을 실현하고, 순수언어로의 회귀를 통한 언어의 치유적 힘을 고찰한다. 본 연구는 크게 이론과 실천 두 가지 부분으로 구성된다. 이론 부분에서는 프로이트, 라캉의 무의식 이론과 호건의 감정 내러티브 이론을 중심으로 통시태적/공시태적 연구와 문헌 정리를 다룬다. 또한 낭독문화의 기원과 발전에 대한 통시태적 연구를 진행하면서 특히 중국의 낭송/낭독문화 연구에 중점을 둔다. 실천 부분에서 연구자는 다년간의 예술낭독 교육 경험을 바탕으로 현재 교육개발 과정에서 드러나는 문제점을 둘러싼 교육 이념과 교육 방식의 변화를 제시한다. 이에 시간과 내러티브의 상관관계를 다룬 폴 리쾨르의 ‘세겹의 시간’과 ‘삼중의 미메시스’ 이론을 바탕으로 ‘힐링 낭독(Reading for Healing)’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주로 문헌분석법을 이용한 이론 연구 및 내러티브 방법 중심의 실천 연구를 수행한다. 특히 실천 연구에서는 중국 낭독문화의 특성을 접목한 내러티브 분석법을 활용해 힐링 낭독 프로그램의 형성과 발전 과정을 고찰하고, 다양한 학문 간 교차 연구를 시도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consider the "Artistic Reading" class conducted by the researcher himself from a cultur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and to propose a new "Reading for Healing" program. Reading has a long history. With the development of culture, it has been transformed from reading simple characters at first to artificial expressions of reading today. "Artistic Reading" is an education that experiences the interaction between text, readers, and audiences through the creation of amortization of phonetic language based on the survival space, normative space, and aesthetic space of language, and can be said to be a variation of new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as a new understanding of interpreting reading as a narrative emerges, reading education also experiences a shift from paradigmatic thinking to narrative think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epen the internal and external aspects of Artistic Reading education. This study is work to cross-explore the reading culture sites of modern China against the backdrop of unconsciousness and emotional narrative theory. In other words, theories such as linguistics, reading, narrative, and mental analysis are fused, and practical research is conducted based on this. Therefore, from a psychoanalytic point of 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events and emotions is analyzed, and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of emotions is revealed in reading. This process is to expand the area of Artistic Reading to the fourth space of language, Healing Space. Furthermore the existing Artistic Reading education is reinterpreted from the perspective of mental analysis, and the structure of ‘reading+narratives’ through which ‘past/present/future’ penetrates each other through connection with emotional narratives. At the same time, self-understanding of emotions and self-recovery are realized, and the healing power of language is considered through the return to a pure language. This study is largely composed of two parts: theory and practice. The theory section deals with syntactic/public research and literature theorem focusing on Freud and Lacan's unconscious theory and Hogan's emotional narrative theory. In addition, while conducting a synchronic study on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reading culture, it focuses especially on the study of Chinese recitation/reading culture. In practice, researchers present changes in educational ideology and educational methods surrounding problems revealed in the current educational development process based on years of experience in Artistic Reading education. Accordingly, based on Paul Ricoeur’s ‘Three-Layer Time’ and ‘Triple Mimesis theories’ that deal with the correlation between time and narrative, the Reading for Healing program is proposed. In this paper, theoretical research using literature analysis and practical research focusing on narrative methods are mainly conducted. In particular, practical research examines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reading for healing programs using narrative analysis that combines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reading culture and attempts cross-research between various disciplines.

      • 현대미술의 권력관계에 관한 문화교차적 연구 : 현대미술관과 연관 개체를 중심으로

        이진우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36367

        본 연구는 현대미술이 가지고 있는 예술 창작자와 향유자 간의 소통의 문제와 현대미술이 제시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인위적 현상을 다루고 있다. 현재 현대미술에는 소통의 문제가 심각하다. 현대미술을 대중과 소통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은 현대미술 창작자와 향유자 모두에게 중요하다. 이는 사회 구성원 다수가 공감할 수 있는 예술적 가치를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일이다. 이를 위해서는 지금의 현대미술을 말하고 있는 다양한 개념들을 살펴보고 이를 재정립함으로써 현대미술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소통의 구조를 만들어가 가야 한다. 예술의 가치를 형성하는 것은 특별한 집단이 아닌, 현재의 문화와 삶을 공유하며 소통하는 사회구성원 모두의 몫이다. 우리가 공감할 수 있는 예술의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고, 우리의 삶과 괴리가 없는 예술을 논하는 것은 현대미술의 소통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대미술의 인위적이며 부자연스런 설정과 소통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역사적으로 성공한 현대미술관은 현대미술작품을 선별함에 있어 대중적 소통을 중요한 가치로 생각했고, 그 안에 제시된 현대미술은 다수의 문화를 적극적으로 반영했다. 또한 초기 현대미술의 전개과정을 통해 현대미술작품이 대중과 소통하기 위해서는 다수가 공감하는 문화 코드를 가져야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서로 이해할 수 있는 문화 코드가 존재하지 않거나 미비하다면, 작품을 이해하는 것은 당연히 어려울 수밖에 없다. 따라서 현대미술에 대한 괴리감을 없애고 소통적 예술의 가치를 구체화하기 위해서는, 현대미술이 가지고 있는 동시대성과 문화 반영성을 강화해야한다. 동시대성과 문화 반영성은 소통에 필요한 문화적 코드를 보유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동시대성과 문화 반영성을 강조하여 모호한 현대미술의 개념과 방향성을 재구성하는 것이 소통을 강화하고 현대미술 문화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 된다. 이러한 소통의 활성화는 권력적 이익구조를 약화시킨다. 따라서 가치를 왜곡함으로써 이익을 얻는 소수계층은 소통적 구조보다는 현대미술을 일방적으로 제시하는 폐쇄적 구조를 강화하고 유지하려한다. 권력은 현대미술의 소통적 문화를 방해하는 부자연스런 설정을 제도화하고 합리화함으로써 그 권위와 경제적 이익을 유지한다. 권력적 설정에 의해 대중은 세뇌될 수 있고 현대미술에 대한 왜곡된 가치를 여과 없이 받아들일 수 있다. 권력 속에서 대중은 먼저 권력을 인식하여야 한다. 그리고 사회적 행위자로서 현실을 능동적으로 평가하고 자신의 가치를 신뢰함으로써 예술의 가치를 설정하는 합의자가 될 수 있다. 예술의 가치를 학문적으로 제시하는 예술사회학은 권력 안에서 대중이 통제되고 세뇌되는 현상을 논리적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예술의 사회 합의적 관점을 강조함으로써 다수를 위한 예술의 가치를 제공했다. 하지만 예술사회학이 태생적으로 가질 수밖에 없는 예술창작에 대한 비전문성과 그에 대한 수동적 해석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해 현대미술의 문제점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사회합의적 예술의 관점을 전제로 현대미술의 가치를 재해석한다면, 소통적 현대미술의 재구성이 가능하다. 사회 합의적 관점에서 본다면 사회의 구성원에게 현대미술의 가치와 개념을 제도적으로 전달해 주는 연결고리의 중심은 현대미술관이다. 현대미술의 관계자들은 현대미술관을 통해 가치를 공증 받으려 하며, 현대미술관은 현대미술 작품의 수집․전시를 통해 현대미술을 사회에 제시한다. 공적인 대표성을 가지는 현대미술관이 어떤 작품을 어떻게 제시하느냐에 따라 대중은 그것을 예술적 가치 기준으로서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현대미술관이 권력적인 형태를 가지면 현대미술에 대한 가치 판단이 대중에게 일방적으로 제시될 것이다. 하지만 대중 또는 시대의 문화를 적극적으로 반영하려는 노력을 한다면 현대미술계의 전반적인 가치 개념에 대해 보다 원활한 소통이 이뤄질 수 있도록 변화시킬 수 있다. 초창기 현대미술관은 소통에 많은 관심을 가졌으나 현재에는 자본의 개입과 예술 권력에의 추구가 현대미술 자체를 왜곡시키고 있다. 현대미술계의 중심축으로서 현대미술관은 대중의 접근성을 강화하고, 일방적이고 과거를 답습하는 형태를 벗어남으로써 동시대의 문화와 호흡하는 현대미술을 사회에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미술관은 권력의 붕괴 과정에서 만들어졌으나 예술계는 여전히 권력적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초기 현대미술관은 대중 친화적인 공간으로 소통에 적극적이었지만 예술권력과 자본의 개입이 강화되면서 폐쇄적으로 변화했다. 또한 기득권을 유지하고자 하는 미술계의 지식권력과 자본권력은 현대미술을 소수를 위한 상품으로 변화시켰다. 현대사회의 미술향유자의 다수는 대중이다. 현대미술의 근본적 개념들은 권력친화적인 정의에서 대중친화적 정의로 재해석되어야 한다. 이러한 소통의 문제에도 불구하고 현대미술은 그 어느 때보다 자유로운 표현양식을 추구하고 있다. 오늘 This study is on unnatural settings and communication in the contemporary art.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are rampant in the contemporary art. To communicatively form culture of contemporary art is important to both the contemporary art system and to those who enjoy it. It is required to improve vague concepts to form values of art in which the majority in society can have sympathy and to communicatively compose the identity and structure of the contemporary art system. Values of art are not formed by a particular group but they are social sympathy of every member in society who shares and communicates with the current culture and life. It is very important in communication of art to make efforts to invigorate art which we can empathize and to discuss conditions of art which do not feature gap in our lives and values. Hereupon, this dissertation studies on unnatural settings and communication in the contemporary art. Successful contemporary art museums have historically considered popular communication as a significant value in selecting works of contemporary art and the contemporary art presented in it has actively reflected culture of the majority. It is also shown that contemporary artworks should have a cultural code empathized by the majority for communication with them through investigating early stages of contemporary art. When a cultural code on which people are able to understand each other does not exist or is not strong enough, it may well be challenging to understand the artworks. Therefore, contemporary characteristics and reflection on culture of the contemporary art should be enhanced to get rid of the gap in the contemporary art and to actualize values of communicative art. Contemporary characteristics and reflection on culture mean to possess the cultural code needed in communication. In other words, to restructure concepts and directivity of vague contemporary art system with emphasizing contemporary characteristics and reflection on culture is a significant means to strengthen communication and invigorate culture of contemporary art. The invigorated communication weakens politics in interest structures. Hence, the minority who profits from distorting values intends to strengthen and maintain one-sided suggestions rather than communicative structures. Power maintains their authority and economic benefits by institutionalizing and rationalizing unnatural settings which interrupt communicative culture of contemporary art. The masses can be brainwashed and unconditionally accept distorted values of the contemporary art by authoritative settings. The masses in the power should first recognize the power itself. They, as social players, can be debaters who decide the artistic values by actively evaluating the reality and by trusting their own values. Aesthetic sociology that academically presents values of art logically shows phenomenon that the masses in the power are controlled and brainwashed and provides artistic values for the majority by putting emphasis on aspects of social agreement in art. Still, it cannot solve problems of contemporary art since it fails to overcome limitations in lack of professionalism and passive interpretation. From the aspects of social agreement in art, however, it is feasible to restructure the communicative contemporary art system. It is contemporary art museums that, in the respects of social agreement, are centers of linkage for institutionally conveying values and concepts of contemporary art to members in society. Those who are involved in contemporary art museums intend to notarize values through the museums and the museums present the contemporary art to society by collecting and exhibiting the contemporary artworks. The public consider the artworks which are presented based on settings of the museums with public typicality as standards of artistic values. Therefore, one-sidedness of contemporary art increases when the museums feature authoritative forms. In contrast, overall value concepts of contemporary art system can be transformed to communicative ones when museums have communicative forms. Current museums are characterized as authoritative forms by distortion in forms coming from intervention of interests and authoritative values while contemporary art museums in early stages used to have communicative forms. Contemporary art museums, as a center of contemporary art, can suggest contemporary art to society which is in line with contemporary culture by enhancing the public’s access to art and by escaping from one-sided and imitated forms. Although art museums were formed during the process in collapse of power, the art world maintained the authoritative forms. Contemporary art museums in early days were public friendly but they gradually changed into exclusive with intensified intervention of interests from the power. Those who with knowledgepower and the capital in the art world who intended to maintain their vested rights have turned contemporary art into goods for the minority. It is the public who occupy the major part in enjoying the contemporary art. Fundamental concepts in contemporary art should be reinterpreted as public-friendly definitions from power-friendly ones. Though there are issues of communication arising, expressions in the contemporary art have never been freer. When values of contemporary art are improved to communicative ones, contemporary art will be created based on humans’ natural feelings and visions and be respected as the communicative art. This plays a significant role in identifying homogeneity in people’s feelings and in making the harmonious world. Communicative settlement in contemporary art starts by recognizing authoritative settings that emphasize every individual differs. Artistic values of the contemporary art can be socially acknowledged by recovering homogeneity of cultural values. This study on concepts and problems in contemporary art and discussions on artistic

      • 문화교차적 아동 미술교육 연구 : - ‘이미지로 표현하기’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장재희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6367

        국문초록 우리 사회의 교육열이 식을 줄 모르는 가운데 교육이 여러 가지 사회문제를 야기하는 부자연스러운 일이 벌어지고 있다. 본래 즐기며 행복하게 살기 위해 태어난 사람들이 결과주의적 경쟁사회에 몰입하며 살아가고 있기 때문에 이런 일이 생긴다고 나는 생각한다. 1등이 아니면 패배자라고 생각하도록 만들어지는 교육환경 속에서는 평화가 있을 수 없다. 1등자리를 빼앗고 빼앗긴다고 생각하니까 승자나 패자나 결핍감에 시달리기는 마찬가지이고, 두려움이 끝없이 이어진다. 자살률, 출산률, 행복지수와 관련하여 우리가 겪고 있는 고통은 이것과 무관하지 않다. 교육을 받겠다는 것이 문제일 리는 없는데 언제 어디에서부터 무엇이 문제가 되었을까? 수다한 문제의 진단과 다양한 해결책이 제시되고 있지만 이것들이 정곡을 찌르고 있지 못함을 직시하고 나는 이 연구에서 다음의 작업을 수행하고자 한다. 학생들의 ‘병들어 있음’에 초점을 맞추고 이의 ‘회복’에 관심을 가지면서 아래와 같은 이론적 시각에서 대안 프로그램을 제시한다. 나는 우선 현재 교육에서 시작하여 사회문제가 파생하는 원인이 다음과 같은 잘못된 생각에 있다고 생각한다. 첫째 ‘나와 너는 남이다.’라는 그릇된 사조를 무조건 적으로 수용하는 세태가 문제이다. ‘너와 내가 서로 다른 가운데 우리는 하나’라는 자연적 사실, 우리가 지켜온 전통을 저버리고 하나를 둘로 가르니 병들지 않을 수 없다. 둘째 ‘아는 것이 힘이다.’라는 말에서 나온 잘못된 인식이 교육의 목표가 되어 교육의 질을 해치고 있다. ‘아는 것은 행복’이고 행복하기 위해 교육하는 것이지 힘을 얻기 위함이 아니다. 아는 것 자체가 행복이고 즐거움이다. 경제적 능력, 권력 따위의 힘이 곧 행복의 근원이라고 착각하며 그 결핍을 충족시키려 부모들이 교육에 열을 올리는데 이것은 자녀를 망치는 일이다. 셋째 학문 연마와 교육이 나에 대하여 이야기하고 나를 이해할 수 있어야 하는데, 아무리 배우고 익혀도 바로 나에게 대입할 수 없는 교육, 내가 빠지고 남의 이야기만 배우는 것이 전부인 현재의 교육은 답이 아니다. 남의 이야기만으로 막혀있는 사고를 자기 이야기 중심의 열린 사고로 자연스럽게 전환시키는 것이 대안이 되어야한다. 한 마디로 ‘참나’를 알게 하는 교육이 필요한데 이는 자기 감정의 진실을 외면하지 않는 교육이며, 자기 감정을 이해하는 교육이다. 이 교육이 성공하면 교육에서 파생되는 제반 문제도 자연히 개선될 것이다. 이런 교육이 ‘참교육’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힐빙(heal-being)’이라는 말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다. 사람들은 그대로 두면 좋은 일을 하고 즐거움을 느낀다. 학생들도 마찬가지이다. 그들의 본성 그대로 참된 삶, 좋은 삶을 살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참교육이고 웰빙(Well-being, 육체적·정신적 건강의 조화를 통해 행복하고 아름다운 삶을 추구하는 삶의 유형이나 문화)이며, 잘못된 제도나 관습, 사상 따위로 병이 나서 부자연스러워지면 원래대로 자연스럽게 되돌리는 것이 힐링(Heeling, 마음이나 몸의 치유)’이니 참된 교육이 ‘힐빙’이라 할 수 있겠다. 이러한 참교육을 위하여 단순하게 새로운 교과목을 개발하는 것이 아니라 그 교과가 어떠한 내용을 담도록 하느냐가 관건이다. 위와 같은 필요에 따라 본 연구는 예술 활동을 통한 인간교육에 관심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미술교육이라는 자기표현 수단을 이용하여 문화교차적 관점에서 <이미지로 표현하기>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미술작품 제작은 물론 탐색, 놀이, 요리, 게임, 퀴즈, 협동작품, 발표와 토론 등의 다양한 분야를 미술교과에 녹여 아동들이 미술 수업에서 자기 감정을 이해하도록 하고 이로써 올바른 생활을 실천하고 또한 미래의 삶을 상상하는 기회를 갖도록 구성하였다. 이 프로그램의 개발은 다음과 같은 생각을 전제로 하고 있다. 학생은 이미 문제해결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자기에 대한 참된 이해’를 바탕으로 시비(옳고 그름)를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흠이 없는 무결한 존재이다. 미술은 가르쳐서 배우는 것이 아니라 경험을 통해 알고 익히는 것이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의 선천적 재능이 혹시 잘못될까 관찰하고, 타고난 본성을 그대로 키워나가도록 도와주는 조력자가 된다. 본 논문의 중심이 되는 미술교육 프로그램 <이미지로 표현하기>는 미술교과 수업을 통해 ‘참나’를 알고 ‘자기감정을 이해·공유’하는 문화교차의 참교육 현장이다. 나는 나의 기분으로 ‘나는 선하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알고 보니 세상이 좋은 세상이다.’, ‘모든 사람은 좋은 사람이다.’ 라는 것을 함께 경험하고 느낄 수 있다. 위와 같은 ‘앎’은 나에게 ‘없는 것을 있게 하는 것’이 아니라 ‘본래 있는 것을 발견’한다는 대목이 주목할 만한 점이다. 위와 같은 열린 사고로 삶의 진리를 경험하는 것이 행복이며, 이러한 경험에서 기대하지 않은 뜻밖의 행운도 얻을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와 앞으로 지속 될 교육 컨테츠들의 양적·질적 발전으로 우리 사회가 가진 교육문제와 교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