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립무용단의 정기공연 작품변천사 고찰

        엄은진 경기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50815

        본 연구는 국립무용단에서 발표한 정기공연과 역대 단장의 작품세계를 시대적 흐름의 순서로 정렬하여 1926년 일제 강점기에서 시작된 실질적인 신무용의 시작부터 출발하여 2012년에 이르기까지 고찰하고 분석하였으며 이를 배경으로 하여 향후 국립무용단이 지향해야 할 공연의 방향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연구방법은 귀납적 형태의 종설연구인 문헌고찰이다. 연구 자료는 국립극장 60년사, 연보를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국립무용단의 창단부터 시작하여 정기공연을 중심으로 작품 정리와 각 단장별 작품 특징을 구분하였고, 비평가들의 비평을 분석하였다. 특히 국립무용단의 역사는 각 단장들의 가치관과 예술관, 춤의 특징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역대 단장들에 대하여 인물중심 연구도 함께 병행하였다. 창립한 1962년부터 2012년까지 국립무용단의 정기공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기(1962-1969) 정기공연은 발레와 한국무용 구분이 정립된 시기였다. 즉 종전의 발레, 현대무용 등 서구 무용위주로 공연되었던 흐름에서 벗어나 <화관무>, <부채춤>, <살풀이춤> 등 전통문화유산 발굴 및 한국무용의 춤 소품들을 새롭게 정립되었으며, 작품에 맞춘 무용음악의 창작 시도와 코리안 발레의 수립이 이 시기 국립무용단의 가장 중요한 업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2기(1973-1986) 정기공연은 극중심 무용시대였다. 1972년 국립무용단이 국립발레단과 분리되면서 발레적인 무용극에서 탈피하여 <검은 태양>, <멍든 산하>, <아!1919> 등은 한국적 무용극이 그 기반을 다지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별의 전설>, <꿈, 꿈, 꿈>, <원효대사>, <시집가는 날>등은 서구 무용기법과 음악을 차용해 한국무용의 표현 영역을 확대하기 시작했다. 한편, 이 시기에는 LA에서 <도미부인>이 호평 받으면서 한국무용작품의 예술성이 해외로 알려지기 시작했으며, 86아시안 게임의 서울 개최는 한국문화와 무용에 대한 세계인들의 관심을 증폭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3기(1987-1999) 정기공연은 춤 예술 중심의 무용극 시대였다. 스토리중심의 무용극에서 나아가 춤과 연출적 요소가 강조되는 춤예술 중심의 무용극으로 발전하였다. 또한 <북의 대합주>, <티벳의 하늘>, <천년의 춤> 등 역사인식의 작품들이 등장하면서 단순히 소품수준으로 머물고 있었던 민속춤이 예술춤의 영역으로 상승되었다. 한편, 88서울올림픽을 계기로 한국무용의 본격적인 세계화 작업이 시도되었다. 4기(2000~) 정기공연은 현대적 감각이 중시되는 한국 창작 춤 시대였다. 실험적이며 현대적인 감각이 중시되는 <바다>, <매창(梅窓)―매화 창에 어리다>, <신라의 빛>, <Soul, 해바라기> 등의 작품은 종전의 한국무용극에서 벗어나 예술성 측면에서 한층 진화한 작품세계를 보여주었다. 더욱이 2002월드컵을 계기로 <코리아 환타지>, <코리아 환타지Ⅲ>, <Soul, 해바라기>등 은 외국에서 현지 기획되거나 제작 투자가 이루어지면서 진정한 의미의 한국무용의 세계화가 실현되기 시작했다. 한편, 국립무용단 정기공연에 외부의 30, 40대 중견안무가들 및 20대 젊은 안무가들도 참여하면서 국립무용단 안무자의 대폭적인 개방화와 혁신이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또한 관객 관람형태도 초대공연에서 유료공연으로 변화하여 국가의 전면적인 지원 아래 개최된 정기공연은 수익창출이라는 본격적인 마케팅 아래, 2000년대부터 공연예술마케팅과 세계시장에서 치열한 생존경쟁을 하는 시장 경제논리에 국면하게 되었다. 역대 단장들의 작품세계와 성과는 분석결과 다음과 같다 초대 단장 송범(1973년 5월 1일~1992년 12월 31일 재직)은 약 20여 년간의 재임기간 동안 한국무용에 서양적인 직선적인 춤과 정형화된 동작을 접목하여 대형군무의 직선적이고 통일된 웅장한 한국무용극이라는 새로운 공연 장르를 탄생시켰다. 제2대 단장, 조흥동(1993년 1월 2일~1994년 12월 31일 재직)은 전통춤의 남성화를 시도하였고, 궁중정재와 민속무용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고전적인 춤사위 위주의 장편 무용극을 안무하였다. 제4대 단장, 국수호(1996년 1월 1일~1999년 10월 8일 재직)는 한국무용에 연극적 기법을 활용하여 무대공간의 스펙터클한 이미지를 강조하였다. 음악, 미술, 연극과의 총체적 예술을 지향한 그는 대형 춤 무대 구성력 측면에서 독보적인 존재로 평가받았다. 제5대, 제7대, 제8대 단장, 배정혜(2000년 1월 2일~2002년 12월 31일/ 2006년 1월 2일~2011년12월 31일 재직)는 국립무용단 창단 후 첫 여성단장으로 취임하였다. 현대적 감수성과 세련된 예술적 표현이 뛰어난 그녀는, 무용스타 시스템을 적용하여 춤의 대중화를 확립했다. 특히, 해외공연이 공연마케팅 차원에서 이루어짐으로서 국립무용단의 작품을 문화상품으로 업그레이드시켰다. 제6대 단장 김현자(2003년 1월 2일~2005년 12월 31일 재직)는 실험성으로 국립무용단 작품 성향의 범위를 확대시켰다. 한국무용의 최첨단 진화를 보여준 김현자 단장은 신예 주역 남녀무용수를 발탁하여 국립무용단 스타군단에 힘을 배가시켰다. 그동안 국립무용단 역대 단장들 안무작업의 공통점은 전통에 끊임없이 관심을 갖고 정기공연 작품창작 작업을 하였다는 점이다. 이는 역대 단장들이 국립무용단의 중요 역할로서 전통소재의 개발과 한국인의 정체성을 표상해야할 의무이자 과제가 있음을 중요하게 여긴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역대 단장들의 뛰어난 예술가적 능력은 “전통의 현대화와 세계화”라는 모토 아래, 한국을 이끌어 가는 새로운 공연 장르를 탄생시켰으며, 전통을 발굴하고 세계 속의 국립무용단으로 성장시키는 초석이 되는 등 국립무용단의 발전과 위상을 드높여 왔다. 이를 바탕으로 2012년을 기점으로 50주년을 맞은 국립무용단이 미래로 나아가야 할 향후 작품방향성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연 래퍼토리의 다양한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90년대에 이르러 기존 래퍼토리의 재사용, 재배치되는 공연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이는 시대감각과 점점 멀어지는 결과를 가져올 수밖에 없다. 둘째 전통과 현대의 조화 속에서 새로운 작품이 지속적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국립무용단은 개인이 아닌 국가를 대표하는 무용단으로서 한국적 정서를 살리는 것이 국가적 차원의 위무이자 책임이기 때문이다. 셋째, 단장 개인역량 중심의 세계화작업에 나아가서 세계화에 알맞은 국가브랜드 작품을 선정하여 완성도 높은 작품이 발표되어야 한다. 글로벌화가 본격화되면서 국가의 이익을 위한 여러 활동 중 문화 특히 공연예술은 큰 몫을 차지하게 되었다. 이제 국립무용단은 세계화 추세에 알맞은 작품들을 지속적으로 개발 및 국가브랜드 공연으로 선정하여 한국의 국가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촉매제 역할을 다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방안들을 현실화한다면, 미래사회를 대비하며 시대감각에 앞서가는 동시에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국내 유일의 진정한 대한민국 대표 무용단이자 국가의 이미지와 위상을 드높이는 세계적인 수준의 국립무용단이 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한국궁중무용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무용 전공자들의 인식현황을 중심으로

        송민숙 경기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50799

        문화란 행위의 일부인 물질적 객체들과 아울러 인간에게 행해진 행위이다. 또한 문화는 언어, 이상, 신념, 규범, 제도, 도구, 예술작품 등의 다양한 부산물들로 이뤄진다. 삶의 생활방식으로서의 문화는 한 국가의 주체성 및 정신적 사상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고 보기 때문에 우리전통문화의 역할을 매우 중요하다. 궁중무용은 전통문화의 중요한 부문이라고 보아 궁중무용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나아가 대중으로부터 사랑받는 무용이 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무용전공자들의 궁중무용에 대한 인식현황을 조사한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는 무용전공자 및 졸업자들을 대상으로 2개 대학생 127명, 무용단 31명, 보존연구회 42명을 조사하여 통계 처리 하였다. 무용전문가들과 무용을 전공하는 학생들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하여 무용인들이 생각하는 반드시 해결해야 과제와 궁중무용이 활성화가 안 되는 이유를 조사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된 석·박사 논문 및 관련서적, 무용전공자들의 인식조사 등을 통하여 그 내용과 성과들을 연구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궁중무용의 시대적 배경을 조사하였다. 또한 주요극장인 국립국악원, 아르코예술극장, 세종문화회관에서 2003년부터 2005년까지 공연된 공연물의 현황을 조사하여 이를 바탕으로 몇 가지 결과물을 도출하였다. 첫째, 궁중무용 공연과 관련하여서는 궁중무용에 공연 회수가 저조하고 전문공연장이 부족하며 전문 기획인의 활용이 낮다는 것이다. 둘째, 일반사람들의 인식과 관련하여서는 궁중무용에 대한 제도 교육편입이 형식적이고, 홍보와 마케팅이 부족하며 공연에 접촉할 수 있는 기회가 너무 적다는 것이다. 셋째, 외국공연과 관련하여서는 민속무용과 달리 궁중무용이 거의 알려지지 않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위와 같은 이유로 궁중무용은 활성화가 되어 있지 않다는 결론이 나왔다. 이러한 결론을 근간으로 무용전공자들의 인식현황에서 찾아보았다. 제언으로는 궁중무용에 대한 공연이 많이 늘어야 할 것이고, 일반인들의 인식을 높이기 위해 해설을 겸한 공연들이 많이 올려져야 한다. 또한, 기본 교과과정의 편입, 문화센터나 사회교육원에서의 궁중무용 강좌 개설, 그리고 공연장의 확대를 통해 자연스럽게 궁중무용을 접할 기회를 늘려야 한다. 이처럼 궁중무용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단기적 관점이 아닌 장기적 안목에서의 계획과 정책이 필요하다. 우리 전통문화인 궁중무용은 세계무대에서 타 국가의 문화와 겨를 수 있는 경쟁력, 즉 내용적 측면과 외형적 측면 모두를 갖고 있는 문화이므로 위에서 언급한 내용들이 보완되고 시행된다면 세계무대에 당당히 설 수 있을 것이다. 문화를 잃으면 민족을 잃고 민족을 잃으면 국가를 잃는다. 따라서 국가의 경쟁력을 키워 선진국 대열에 합류하기 위해서는 우리 고유의 문화인 전통문화, 그 중에서도 궁중무용의 활성화가 전제되어야 할 것이라고 믿는다. Culture is physical objects as part of actions as well as actions taken to people. In addition, culture is composed of various byproducts including languages, ideologies, beliefs, norms, systems, tools and art works. Because culture as lifestyle reflects a country's subjective and spiritual ideology, our traditional culture plays very crucial roles. Assuming that court dance is an important part of traditional culture,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survey dance students and graduates' perception on court dance and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activating court dances and making it loved by people. For this purpose, we surveyed dance students and graduates living in Seoul and the capital area. The subjects were 127 students at two universities, 31 dancers in dance companies and 42 members in the Court Dance Preservation and Research Association.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Through the survey of dance specialists and dance students, we investigated problems to be solved and reasons for activating court dance. In addition to the survey of dance students and graduates' perception, previous researches and relevant literature were reviewed. In addition,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court dance was examined. Moreover, we investigated performances made at major theaters such as Nation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 Arco Art Theater and Sejong Art Center during the period from 2003 to 2005 and derived a number of results from the investigation. First, with regard to the performance of court dance, the number of performances related to court dance is too small, there are not many places specialized for the performance of court dance, and professional planners are not used in performing court dance. Second, with regard to ordinary people' s perception on court dance, court dance is not properly included as official educational curriculum, there are not many advertisements and marketing for court dances, and there are few chances to watch court dance performance. Third, with regard to performance at foreign countries, court dance is little known to foreign countries compared to folk dances. Considering these facts, we concluded that court dance has not been activated. Based on the conclusion, we looked for dance specialists' opinions to overcome such problems. Suggestions made by dance specialists were as follows. The number of court dance performances should be increased and explanations should be given in performance for improving ordinary people' s understanding of court dance. In addition, it should be included in as an official educational curriculum, and opportunities to experience court should be increased by opening court dance programs at cultural centers, social education centers, etc, and developing places to perform court dance. In this way, long-term plans and policies are required to activate court dance. Court dance as our traditional culture has competitiveness in contents and in form against other countries' culture in the global stage. Thus, by complementing what were mentioned above, court dance will go on to the global stage with dignity. If we lose culture we lose our nation and if we lose our nation we lose our country. Thus, in order to join the group of developed countries based on national competitiveness, we should activate our unique traditional culture and particularly court dance as a prerequisite.

      • 무용공연의 관객증대를 위한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 연구 :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백승주 경기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50767

        본 연구는 경기도 지역의 무용 공연 관객증대를 위한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위해 연구 되었으며, 무용 공연 마케팅 관련 연구의 기초적인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지역의 수원시와 안양시의 일반관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220부의 설문지를 무용 공연장을 중심으로 연구자가 직접 배포하여 수거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일반 관객들의 인식을 실증적으로 조사하기 위하여 설문지 법을 택하였고, 설문지 작성은 공연 및 여가활동의 특성을 위해 장수정(2002), 오현전(1998)의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였으며 마케팅 기법인 4PsCM을 측정하기 위해 김시내(2002), 고희경(1996)의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설문내용의 적합성과 적용가능성 및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한 후 본 연구의 목적에 맞도록 수정하였다. 설문 내용은 인구사회학적 변인 4문항(성별, 연령, 학력, 직업), 공연 및 여가활동 특성에 따른 변인 2문항(공연 관람 첫수, 여가 지출비용), 마케팅기법인 4PsCM(공연작품, 가격, 장소, 촉진, 고객관리)을 이용한 하위변인 17문항으로 구성되어있다. 설문 자료처리는 데이터 코팅(Data Coding)과 데이터 크리닝(Data Cleaning) 과정을 거쳐 SPSS 12.0 version을 사용하였으며, 구체적인 분석방법은 응답자들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고 관객집단의 4PsCM의 중요도 인식간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피어슨 상관관계분석(Pearson's 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또 한, 관객집단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 및 공연/여가활동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T-test 검증과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관객집단의 4PsCM 중요도 인식 수준은 전체로 보았을 때 장소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공연작품, 가격, 촉진, 고객관리 순으로 나타나 장소가 주요변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4PsCM의 중요도 인식 간 상관관계에서는 모두 유의한 관계를 보여 각 중요도 인식 간에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나타냈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4PsCM의 중요도 인식 차이는 성별에 따라 전체 인식도는 남자가 여자보다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나타냈고, 연령별에 따른 중요도 인식 차이는 고객관리에서만 20대가 높게 나타났으며 공연작품, 가격, 장소 및 촉진에 대한 인식은 차이없이 대체로 중요하게 나타났다. 또, 학력에 따른 중요도 인식 차이는 공연 작품에서만 고등학교 졸업자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직업에 따른 중요도 인식 차이에서는 전체적으로 전문직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상대적으로 주부의 중요도가 낮게 나타났다. 셋째, 공연 및 여가활동 특성에 따른 4PsCM의 중요도 인식차이는 공연 관람 횟수에 따라 6-10회와 11회 이상인 관객이 높게 나타났고, 여가활동 지출비용에 따라 31만원 이상의 관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토대로 경기도 지역의 무용공연 관객증대에 있어 장소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이를 위해 경기도 지역 자체 무용 공연 프로그램을 만들고 무용단체들에게 공연을 할 수 있는 조건을 충분히 갖춘 공연장을 마련해주어야 할 것이다. 또, 공연장까지의 대중교통의 편리성이나 셔틀버스 운행으로 관객이 쉽게 공연장을 찾을 수 있도록 유도해야하며 충분한 주차시설과 공연장 직원들의 서비스 교육으로 관객들에게 친숙하게 다가가야 할 것이다. 이러한 여러 방안이 구축되고 프로그램이 마련된다면 경기도 무용공연의 관객증대는 물론 관객의 무용 인식도 높이고 관객이 좀 더 무용공연을 친숙하게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점차적으로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purposed to prepare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for enlargement of audiences on dance performance in the area of Gyeonggi-do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studies related to marketing for dance performance.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 general audience in Suwon-si and Anyang-si in the area of Gyeonggi-do. The total of 22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round dance performance halls and collected by this researcher. As a measure tool, a questionnaire survey method was chosen to investigate recognition of a general audience positively. Questionnaires made by Jang Su-jeong(2002) and Oh Heyong-jeon(1998) were modified and supplemented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performance and leisure activities and questionnaire developed by Kim Si-nae(2002) and Goh Hee-kyeong(1996)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to measure 4PsCM, a marketing technique, after their suitability, possibility of application, propriety, and confidence were verified and modified to be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Questionnaires consisted of four variables items(sex, age, academic career, and occupation) depending on sociology of population, two variables items(frequency of seeing performance, expenses for leisure) depending on characteristics of performance and leisure activities, sub-variables 17 items using 4PsCM, a marketing technique, (performance, price, place, promotion, and customer management). To treat data, SPSS 12.0 version was used after data was treated through data coding and data cleaning.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find out relations between recognition of importance of 4PsCM by audience. In addition,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sociology of population and those of performance and leisure activities,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drawn: First, recognition of importance of 4PsCM by audience showed place was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 performance, price, promotion and customer management. This result indicates that place functions as the main variable. With regard to correlation between recognition of importance of 4PsCM, all variables showed significant relations, which indicates that recognition of importance of each variables are related closely. Second, as for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importance of 4PsCM depending on sociology of population, generally men recognized the importance more than women did in general.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importance of 4PsCM by age showed that those who are in twenties were recognized customer management to be important highly and recognition of performance, price, place and promotion were recognized to be important generally without differences. Besides,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importance by academic career showed that high school graduate people recognized only performances highly important and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importance by occupation showed people with professional occupation recognized the importance most in general, while housewife showed low recognition of importance relatively. Third, in respect of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importance of 4PsCM depending on performance and leisure activities, an audience who sees performances six to ten times and more than 11 times recognized the importance highly and an audience who expends more than 310,000 won on leisure activities recognized the importance mo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place functions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developing an audience of dance performance in the area of Gyeonggi-do. To develop an audience, it is required that dance performance programs are made in Gyeonggi-do on its own and performance halls with enough conditions for dance group to perform are prepared. In addition, with convenience of public transportation to the performance halls and operation of shuttle bus, it is needed to induce audience to visit performance halls. With enough parking lots and service education for staffs, it is also required to approach audience familiarly. If these plans are set up and programs are prepared, it helps not only to develop audience of dance performance in the area of Gyeonggi-do but also to improve recognition of dance by audience. As well, Efforts are needed to make chances for audience to approach familiarly so that dance performances may draw people's interest step by step.

      • 중학생이 인식하는 좋은 무용예술강사의 유형과 특성

        조정흠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76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ypes and attributes of good dance teaching artists as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analyze the mean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Such efforts are made to present a strategy for fostering dance teaching artists and to lay the proper and efficient framework for art education that is also preferred by middle school students. To that end, a Q-sample was confirmed on good dance teaching artists based on the in-depth interviews and discussions and the Q methodology was applied. Of the total of 126 questionnaires from the Q parent group, those that were seemed to be overlapping in meaning were excluded. From the remaining 44 samples, 36 that were deemed representative were finally selected as a Q sample. For P sample, 10 students in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10 students in the second year of middle school and 10 students in the third year of middle school were selected. Data was processed using the PC-QUANL program to analyze the major factors and Varimax was used for rotating method. The findings based on this process were as follows. First, for good dance teaching artists, there were found to be four types. Type 1: Those that develop a creative instruction method (n=10), Type 2: Those who emphasize character development and self-control (n=5), Type 3: Those who guide students to experience art (n=3) and Type 4: Those who promote educational effects (n=8).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were concluded through an analysis of the factor weight. Type 1 (those who develop creative instruction methods) focused on developing their unique instruction method with their own aesthetic sense, but did not think it important to create the right classroom environment or promoting persistence. Type 2 (those who value character development and self-control) valued fair evaluation and character development but did not emphasize the dance teacher’s artistic ability on site. Type 3(those who guide artistic experience) valued various artistic experiences that stimulate the motivation of students but did not think collaboration with on site teachers and the strict adherence to class hours as important. Type 4 (those who pursue educational effects) valued the leadership and feedback regarding the art activities of students, but did not think as important student-oriented education, fair evaluation or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 methods. Third, an analysis of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different types of dance teaching artists as categorized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The large difference in standard scores between Type 1 and Type 2 is the statement, “One must have a correct character.” Respondents of Type 1 showed a slightly negative attitude, but respondents in Type 2 showed a very positive attitude. The statement that showed a great difference in the standard score between Type 1 and Type 3 was “I adhere to classroom hours well.” Respondents of Type 1 showed a very positive attitude, while those in Type 3 showed a strong negative attitude. Between Type 1 and Type 4, the statement “I constantly develop my own instruction method” showed the greatest difference in standard scores. Those in Type 1 showed a very positive attitude, while those in Type 4 showed a strongly negative attitude. Between Type 2 and Type 3, the statement, “One must have a correct character” showed the greatest difference. Those in Type 2 had a very positive attitude while those in Type 3 showed a slightly negative attitude. Between Type 2 and Type 4, it was the statement “Evaluation is fair.” While those in Type 2 showed a very positive attitude, those in Type 3 showed a very negative attitude. Between Type 3 and Type 4, the statement, “I guide students with great patience and persistence” showed the greatest difference. Respondents in Type 3 showed highly negative attitude but those in Type 4 showed a slightly positive attitude. Next, similarities that each type commonly took a positive or negative attitude towards were reviewed. The review showed that the type of dance teaching artist that respondents commonly had a positive attitude towards was not found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but there was a type that they had a commonly negative attitude towards. They did not highly value “harmonious collaboration with on site teachers” or “encouraging students to find their dream”. The above findings together show that Type 1 are those who develop creative and unique instruction methods through their aesthetic sense. Type 2 are those who value character and self-control as well as fair evaluation and character development. Type 3 are those who stimulate the motivation of students and who value various artistic experiences. Type 4 are dance teaching artists who value leadership and feedback regarding the student’s art activitie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esent an optimal model for dance teaching artists based on the types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us offer help in understanding and guiding middle school students. Moreover, the study is expected to offer a basic set of data for an effective and systematic guidance in art and culture education. 이 연구는 중학생이 인식하는 좋은 무용예술강사에 대한 주관적 인식을 유형화하고, 각 유형의 특성에 따른 의미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노력은 문화예술교육에 있어 중학생이 선호하는 효율적인 무용예술강사의 틀을 마련하고 바람직한 무용예술강사 양성을 위한 전략적인 제시가 되기 위함이다. 연구목적을 규명하기 위하여 심층면담과 토의과정을 거쳐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좋은 무용예술강사에 관한 진술문(Q-sample)을 확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Q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개개인과의 면담을 통해 수집한 총 126개의 Q모집단 중에서 의미상 중복되는 것들을 제외한 44개의 진술문에서 대표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36개의 진술문을 Q표본으로 최종 선정하였다. P표본은 학년별로 중학교 1학년 10명, 2학년 10명, 3학년 10명으로 선정하였으며, 자료처리는 PC-QUANL 프로그램을 통해 주요인분석을 실시하고, 회전방식은 Varimax를 사용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얻어진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좋은 무용예술강사에 대해 제 1유형: 창의적 교수법 개발형(n=10), 제 2유형: 인성·자기통제 중시형(n=5), 제 3유형: 예술체험 유도형(n=3), 제 4유형: 교육효과 추구형(n=8)으로 총 4가지의 유형으로 나타났다. 둘째, 각 유형별 특성은 인자 가중치(factor weight) 분석을 통해 좋은 무용예술강사 유형별 특성을 도출하였다. 제 1유형(창의적 교수법 개발형)의 특성은 예술적 감각으로 자신만의 교수법 개발을 중시하는 반면, 학생을 가르치는데 있어 인내심과 끈기 및 수업환경 조성은 그다지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다. 제 2유형(인성·자기통제 중시형)의 특성은 공정한 평가와 인성교육을 중시하는 반면, 학생의 우수한 실기능력과 무용예술강사의 현장 활동 예술능력은 그다지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다. 제 3유형(예술체험 유도형)의 특성은 수업에서 학생의 동기를 자극하여 다양한 예술 경험을 중시하는 반면, 현장교사와의 협력 및 수업시간 엄수는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다. 제 4유형(교육효과 추구형)의 특성은 학생의 예술 활동에 대한 리더십과 피드백을 중시하는 반면, 학생 중심 교육과 공정한 평가 및 교수법 개발은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다. 셋째, 분류한 좋은 무용예술강사의 유형 간 유사점과 차이점을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형 1과 유형 2사이의 표준점수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난 것은 “올바른 인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라는 진술문이다. 유형 1에 속한 응답자는 약한 부정의 태도를 보였으나, 유형 2에 속한 응답자는 강한 긍정의 태도를 보였다. 유형 1과 유형 3사이에서 표준점수의 차이가 큰 문항은 “수업시간을 잘 지킨다”는 진술문이다. 유형 1에 속한 응답자는 강한 긍정의 태도를 보인 반면, 유형 3에 속한 응답자는 강한 부정의 태도를 보였다. 유형 1과 유형 4사이에서는 “자신의 교수방법을 꾸준히 연마하고 발전시킨다”라는 진술문이다. 유형 1에 속한 응답자는 강한 긍정의 태도를 보인 반면, 유형 4에 속한 응답자는 강한 부정의 태도를 보였다. 유형 2와 유형 3사이에서는 “올바른 인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라는 진술문이다. 유형 2에 속한 응답자는 강한 긍정의 태도를 보인 반면, 유형 3에 속한 사람들은 약한 부정의 태도를 보였다. 유형 2와 유형 4사이에서는 “평가가 공정하다”라는 진술문이다. 유형 2에 속한 응답자는 강한 긍정의 태도를 보인 반면, 유형 4에 속한 응답자는 강한 부정의 태도를 보였다. 유형 3과 유형 4사에서는 “인내심을 갖고 끈기 있게 학생을 지도한다”라는 진술문이다. 유형 3에 속한 응답자는 강한 부정의 태도를 보였으나 유형 4에 속한 응답자는 약한 긍정의 태도를 보였다. 다음으로 각각의 유형들이 공통적으로 긍정하거나 부정하는 유형 간 유사점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공통적으로 긍정하는 좋은 무용예술강사 유형은 중학생에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중학생이 공통적으로 부정하는 무용예술강사 유형은 “현장교사와 협력이 조화롭게 이루는 것”과 “학생들이 꿈을 찾고 이루도록 희망을 주는 것”에 대하여 그다지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 보면, 제 1유형인 창의적 교수법 개발형은 예술적 감각으로 자신만의 교수법 개발을 중시하는 무용예술강사, 제 2유형인 인성·자기통제 중시형은 공정한 평가와 인성교육을 중시하는 무용예술강사, 제 3유형인 예술체험 유도형은 학생의 동기를 자극하여 다양한 예술 경험을 중시하는 무용예술강사, 제 4유형인 교육효과 추구형은 학생의 예술 활동에 대한 리더십과 피드백을 중시하는 무용예술강사이다. 이 연구는 중학생이 인식하는 좋은 무용예술강사 유형을 바탕으로 바람직한 무용예술강사의 모습을 심어주고, 중학생을 이해하고 지도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문화예술교육을 지도하는데 학교 교육현장에서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공연예술 작품 분석을 통한 스트릿 댄스 공연의 적용 방안 탐색

        김소진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767

        이 연구는 대중예술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는 스트릿 댄스를 타 장르의 공연예술 작품 분석을 활용하여 공연예술로서 발전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자는 공연예술의 범위를 극장에서 이루어지는 무대 공연예술로 한정하고, 뮤지컬 「캣츠」, 넌버벌 퍼포먼스 「난타」, 무용 「호두까기 인형」을 대표작품으로 선정했다. 작품 분석을 통해 작품 연출, 기획·운영, 홍보·마케팅의 성공요인을 도출해냈다. 앞선 분석을 통해 도출해낸 성공요인을 스트릿 댄스 공연에 적용했다. 이와 동시에 스트릿 댄스의 특성을 고려한 스트릿 댄스만의 공연 적용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첫째, 스트릿 댄스를 레퍼토리화 시키고 그에 맞는 안무와 무대연출을 통한 스트릿 댄스 공연의 퍼스널 브랜딩을 개발하고자 한다. 둘째, 스트릿 댄스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전문 인력을 양성하여 스트릿 댄스 공연의 창작전산망 구축하고자 한다. 셋째, 단방향 정보제공이 아닌 양방향적인 홍보를 통해 관객과 소통할 수 있는 공연홍보 방법을 구축하고자 한다. 연구를 통해 스트릿 댄스가 공연예술로서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스트릿 댄스 공연을 활성화하는 것에 의의를 두고 있다. 이는 향후 스트릿 댄스가 공연예술로서 그 위치를 확고히 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treet dance, which is drawing attention as a popular art, by using the analysis of performing arts in other genres th propose ways to develop street dance as a type of performing arts. The research set the scope or performing arts as stage performing arts on theaters and selected musical 「Cats」, non-verbal performance 「Nanta」 and ballet 「Nutcrackers」 as the main works. Next, the research drew the success factors of production, planning·operation, and promotion·marketing of the performing arts through analysis and applied the factors th street dance performance. The study proposed how th apply street dance performance considering the features of street dance as follows. First, the study seeks to make street dance a repertoire and develop the personal branding or street dance performance through the appropriate choreography and stage production. Second, it aims to nurture professionals sho have a high understanding or street dance performance. Third, this study seek to develop performance promotion methods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audience through a two-way promotion rather than unilaterally providing inform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promotes street dance performance by finding ways that street dance can develop as a performing art, which is considered th contribute to fortifying the position or street dance as a performing art.

      • 참여예술로서 농 당스

        고나율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751

        국 문 초 록 예술의 변화는 관객의 지위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작품 감상자에서 예술 참여자의 입장으로 변화되었고, 참여예술이라는 영역도 새로이 모색되었다. 참여예술은 다양한 예술장르로 시도되고 있으며 무용에서도 그 입지는 같은 맥락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예술 참여자와 관련한 개념에 대한 새로운 방법을 찾고자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하였다. 즉 참여예술의 형태와 유사한 성격을 띠고 있는 춤의 개념인 농 당스(Non Danse)를 반영하여 참여예술의 새로운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통한 무용 참여자의 확장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농 당스의 대표적 안무가인 X. Roy와 J. Bel의 작품분석을 통해 농 당스의 성향을 도출하고 대입하여 그 활용방안을 탐색하였다. 논의결과 농 당스 작품의 성향은 첫째, 일상적인 움직임으로 구성되어 있어 참여자의 활동에 제약을 두지 않는다. 둘째, 다양한 오브제의 사용으로 춤이 아닌 다른 표현방법이라고 하는 새로운 성향을 나타내고 있다. 셋째, 비전공자의 참여빈도가 높은 경향을 확인함으로써 참여예술로서의 적합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성향의 탐색을 통하여 농 당스는 다음과 같은 참여예술로써의 활용방안이 모색되었다. 첫째, 남녀노소 모두에게 용이한 예술입문의 방법으로 적합함을 확인함으로써 무용예술로의 입문에 적격임을 제안할 수 있다. 둘째, 일상적 움직임을 활용하는 농 당스는 동작의 제약이 없기에 무대에서 자기표현의 기회를 가질 수 있다. 셋째, 농 당스를 통해 사회에서 발현되는 문제들을 해소하고자 하는 목적이 무용을 통한 공동체 문화를 형성하는 일환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제안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참여예술로서 농 당스는 비전공자들이 춤에 접근하는 새로운 방법임을 증명하는 한편, 기존 무용교육에 대한 새로운 대안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실용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장르에 따른 무용상해 종류와 빈도

        염유진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751

        이 연구는 무용상해의 기본적인 배경과 종류에 대해 알아보고 실용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장르(댄스스포츠, 벨리댄스, 힙합과 스트릿 댄스, 재즈댄스)에 대한 특징을 파악하여 이에 따른 실용무용 장르별 무용상해의 종류와 빈도를 분석하여 올바른 대처와 예방법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구, 경북 지역에 소재한 대학교의 실용무용전공 대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설문지 중 불성실하거나 자료처리에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설문지를 제외한 최종 322부의 표본을 사용하여 SPSS 23.0 프로그램을 통해 실용무용 장르에 따라 무용상해 경험, 부위별 상해발생, 상해 부위 및 횟수간의 종류와 빈도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상해 경험은 각 장르별 대상의 50% 이상이 상해를 경험하였으며 벨리댄스는 상해시간은 오전, 상해상황은 개인연습시간, 상해계절은 가을에 상해를 주로 입었다. 이를 제외한 나머지 장르 (댄스스포츠, 힙합과 스트릿 댄스, 재즈댄스)의 경우, 상해시간은 오후, 상해상황은 개인연습시간, 상해계절은 겨울에 상해를 많이 입는다는 결과를 나타냈다. 둘째, 부위별 상해발생은 댄스스포츠의 경우, 발 부분 55회, 벨리댄스는 허리부분 11회, 힙합과 스트릿 댄스는 발 부분 89회, 재즈댄스는 발부분 41회 순으로 상해가 발생하였다. 이처럼 벨리댄스를 제외한 나머지 장르 댄스스포츠, 힙합과 스트릿 댄스, 재즈댄스는 발 부분 상해가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셋째, 장르별 상해 부위 및 종류와 빈도에서 댄스스포츠, 벨리댄스, 힙합과 스트릿 댄스 전공의 경우 피부상해에서 물집, 관절상해에서 염좌, 근육,건 상해에서 근육경련이 많이 발생하였다. 그러나 재즈댄스의 경우 물집, 염좌 상해는 같으나 근육,건 상해에서 근육타박 상해가 많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무용상해 경험은 각 장르별 대상의 50%이상이 상해를 경험하였으며, 대부분 오후, 개인연습시간, 겨울에 상해를 입는다. 부위별 상해 발생은 발 부분 상해가 가장 흔하게 발생하였고, 장르별 상해 부위 및 종류와 빈도는 물집, 염좌, 근육경련이 많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예방하기 위해 상해가 발생하였을 시 빠르게 치료 받아 만성적 상해로 이어지지 않도록 상해에 대해 제대로 인지하고 중요성을 필히 인식하여야 하며, 충분한 워밍업, 간단한 처지방법과 응급처치 대처 요령은 필수적으로 교육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 실용무용전공 대학생들의 각 장르별 상해 부위와 종류를 파악하여 체계적인 방법으로 상해발생을 줄이고 무용수행 능력에 긍정적인 자기지각과 대회, 공연 시 더 나은 기량을 보여줄 수 있도록 이에 관련된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basic background and types of dance injury, understand the features of different genres such as dance sports, belly dance, hip hop - street dance and jazz dance and analyze the types and frequency of dance injury by genre of practical dance finally to suggest right ways to handle and prevent them. The practical dance major students of the colleges in Daegu, Gyeongbuk area were selected for the survey. Considered indecent or inappropriate to be data, a few samples were excluded. 322 samples were analyzes by SPSS 23.0 to investigate by genre of practical dance 1)experience of dance injury, 2)injury occurrence by part and 3)injury part and type and frequency.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More than 50% of each genre have experiences of injury. In case of belly dance, injury time is mainly morning, injury occasion is usually individual practice and injury season is mostly fall. In case of the rest such as dance sports, hip hop - street dance, and jazz dance, they are afternoon, individual practice and winter respectively. 2) The number of foot injury is 55 for dance sports, 89 for hip hop - street dance and 41 for jazz dance. The number of waist injury is 11 for belly dance. Except for belly dance, what occurs the most is foot injury in the other genres. 3) In dance sports, belly dance and hip hop - street dance, what occurs the most is blister in skin injury, sprain in joint injury and cramp in muscle - tendon injury respectively. In jazz dance, blister and sprain is the most in each injury while muscle bruise is the most in muscle - tendon injury. In conclusion, more than 50% of each genre have experienced dance injury, mostly in the morning, during individual practice and in winter. The most common part of injury is foot. The most common type of injury is blister, sprain and cramp by part. Proper recognition of injury is very critical to receive a speedy treatment to prevent it from being chronic and it is the key of effective prevention to educate students about decent warming-up, simple treatment and first aid. The study is to help understand injury part and type by genre that practical dance major students experience. Many further studies related to it are required to reduce injury in a systematic way and help them have positive self-perception of dance performance ability to present better performance on stage.

      • 부부관계 증진 접촉무용프로그램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이다미 영남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50751

        부부관계 증진 접촉무용프로그램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이다미 영남대학교 대학원 무용공연예술학과 무용예술학전공 (지도교수 우혜영) 요 약 본 연구의 목적은 접촉무용프로그램이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매우 다양한 사회·심리적 요인들로 작용할 것이라는 가정 하에 프로그램 참여 유무에 따라 중년부부의 결혼만족도에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 살펴봄으로써 접촉무용프로그램 적용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시가 주최하고 서울문화재단과 서울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및 홍댄스컴퍼니가 주관하는 2015 지역특성화(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 사업 ‘부부의 예술동행-춤으로 포옹하다’에 참여한 40-50대 중년부부를 실험집단으로, 요가프로그램에 참여한 40-50대 중년부부를 통제집단으로 선정, 총 24명을 표집하였다. 부부관계 증진 접촉무용프로그램은 12주에 걸쳐 주 1회 90분씩 총 12차시를 실시하였으며, 요가프로그램 또한 동일하게 12주에 걸쳐 주 1회 90분씩 총 12차시를 실시하였다. 부부관계 증진 접촉무용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조사도구는 Snyder(1979)가 다차원 척도로 개발한 결혼만족도 검사(MSI)를 국내 실정에 맞게 권정혜, 채규만(1999)이 수정, 번안한 한국판 결혼만족도(K-MSI)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두 집단 간, 사전·사후 검사를 독립표본 t-test와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얻어진 프로그램 효과 검증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만족도의 하위변인인 경제적 갈등, 관습적 성역할 태도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재, 결혼만족도의 하위변인인 관습적 반응, 전반적 불만족, 정서적 의사소통, 문제해결 의사소통, 공격행동, 공유시간 갈등, 성적 불만족, 배우자 가족과의 갈등, 자녀양육 갈등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부부관계 증진 접촉무용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요가프로그램을 실시한 통제집단 보다 결혼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부부관계 증진 접촉무용프로그램은 결혼만족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부부관계 증진 접촉무용프로그램 참여는 부부 간의 소통 능력과 정서적 이해 및 공유 그리고 배우자를 바라보는 인식변화에 상당 부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는 중년을 넘어 행복한 노후로의 지속 여부를 판가름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부부관계 증진 접촉무용프로그램 참여는 부부관계 회복 및 증진을 통해 높아져가는 이혼율을 줄이는데 있어서 그 가치를 인증할 것으로 기대한다. 이에 본 연구는 여가생활이 강조되는 오늘날 부부가 함께하는 무용활동을 제공함으로써 긍정적인 여가문화로 자리매김 하는데 기여할 것이며, 부부 갈등 문제를 개선, 회복함으로써 결혼만족도를 입증하는데 필요한 기초적 자료제공과 더불어 무용사회학과 무용여가학의 지식체 형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건강하고 행복한 부부관계 형성을 위하여 부부가 공동으로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여가무용활동 프로그램으로의 확대가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주요어 : 중년부부, 부부관계, 접촉무용프로그램, 결혼만족도

      • 무용지도자의 교수가치관 탐색

        박한솔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735

        이 연구는 무용지도자의 교수가치관을 탐색하여 예비 무용지도자의 교육철학을 정립하고, 학습자에게 교육할 합리적인 학습과정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의 목적을 달성을 위해 교수가치관은 신체성, 인지력, 정서관 등으로 설정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무용전문가와의 면담을 통해 그들의 의식을 탐색하고, 이를 기반으로 무용교육의 개선책을 모색하였다. 무용지도자의 교수가치관에 대한 논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전공자가 갖추어야 할 신체성의 형성을 위해서는 무용지도자가 우선적으로 신체법형과 신체기능 요소에 관한 전문적인 교수가치관을 형성하고, 무용감상 및 평가의 미적 시각성을 익혀야 한다. 둘째, 무용전공자의 인지력 형성을 위해서는 무용지도자가 무용교육의 전문성을 파악하고 무용교육의 심층적인 기본지식을 습득해야 한다. 또한 심리학을 비롯한 사회과학적 지식은 물론 무용 이외의 예술장르에 대한 지식습득과 무용의 시대적 흐름의 파악해야 한다. 셋째, 무용전공자가 갖추어야 할 정서관의 형성을 위해서는 감성교육을 기반으로 학습자의 품성과 건전한 태도배양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이는 교육자로서의 사명감과 책임감을 포함한 교육철학적 사고를 갖춘 무용지도자와 그에 따른 교육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상의 논의는 무용전공자가 갖추어야 할 요인인 신체성, 인지력, 정서관 등이 조화를 이루어 전인교육으로서의 무용교육이 정착되어야 함을 의미하고, 이를 위해서는 무용지도자의 교수가치관이 확고히 정립되어야 함을 요구하는 것이다.

      • 북한의 무용교육 연구

        정지현 경기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50735

        본 연구는 주체사상으로 대표되는 북한무용교육의 이념과 제도를 살펴보고 무용교육과정을 분석함으로써 북한의 무용교육의 실체를 밝히고 본질을 객관적으로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통일 전·후 남북한의 교육적 반목을 극복하고 문화적, 민족적 동질성을 회복하고자 북한에 대한 객관적인 이해의 기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무용교육과정과 훈련법인 무용기본을 살펴본 바에 따르면, 남·북한 무용의 성향은 원류적 측면에서 민족적, 예술적 경향이 하나로 출발하였으나 분단이후 정치, 사상적 변화로 이질화되었다. 그러나 모든 것이 이질적인 것만은 아니어서 공통적이고도 긍정적인 점도 찾아볼 수 있었다. 북한 무용의 대부분이 정치, 혁명 수행의 수단으로 만들어진 춤이지만 인민을 즐겁게 해주는 민속무용도 있고 이념적인 춤이라 하더라도 예술적인 표현인 춤동작은 우리 춤과 유사한 점이 많기 때문이다. 북한의 무용기본을 분석해본 결과 남북이 다 같은 단일민족으로서의 동질적인 춤동작의 요소를 찾아 볼 수 있었는데, 특히 북한의 무용기본이 민족적 특성을 상당히 강조하여 조선춤의 특징을 나름대로의 시각에 입각하여 정선된 동작과 감각을 살려 쓰고 있다는 점은 아주 주목할 만하다. 또한 춤동작에 있어서는 민속무용의 경우 근원적으로 기후풍토나 북한사람들의 고구려적 기질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이는 한반도에 있어서 북부지역의 향토춤이라는 긍정적인 측면으로 우리가 분단체제로 이질화되어 있으나 결국엔 하나 된 단일민족임을 인식할 수 있었다. 남북한 무용교육에 있어 근본적 이질화의 원인은 무용 자체보다는 체제를 둘러싼 정치적 이념과 제도에 기인하는 것으로서 비록 북한의 문화가 경직되고 통제된 전체주의적인 예술문화임은 분명하나 향후 남북간의 접촉이 다양해지고 교류 또한 활성화된다면 동질성을 회복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체계적이고도 지속적인 남북문화교류가 이루어져 수용과 대응을 통해 점차 이해하게 되고, 동질성 회복을 위해 이데올로기나 국가 체제를 넘어서 순수한 우리 춤의 참모습을 밝혀내는 노력을 기울여야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의 무용교육의 목표는 심신을 단련하여 신체의 조화로운 발달을 도모하고, 집단적인 무용 활동을 통해 집단주의 정신을 고취시킴으로써 건장한 체력을 가진 공산주의적 혁명 인재를 길러내는 것이다. 둘째, 북한의 무용교육내용은 주체사상을 통한 사상교양에 중심을 두고 있으며, 주체무용, 체육무용, 체조무용, 군사무용을 통해 김일성부자의 충실성 교양과 혁명사상을 고취하여 혁명투사의 양성을 위한 교육을 하고 있다. 셋째, 북한은 무용이 체육 교과과정 안에 포함되어 있지만 무용이 교과자체로 인식되어 실제적으로 체계적인 학습 과정안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넷째, 북한의 전문 무용교육은 예체능계 전문 교육기관 위주로 실시되고 있으며 '조선아동무용기본'과 '조선민족무용기본'을 통해 체계적인 기초 훈련을 하고 있다. 다섯째, 북한의 무용기본이 민족적 특성을 상당히 강조하여 조선춤의 특징을 나름대로의 시각에 입각하여 정선된 동작과 감각을 살려 쓰고 있으며, 예술적인 표현인 춤동작은 우리 춤과 유사한 점이 많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남북이 원류적 측면에서 민족적, 예술적 경향이 하나로 출발하였으나 분단이후 정치, 사상적 변화로 이질화되었으며, 남북이 다 같은 단일민족임을 인식하고 동질성을 회복할 수 있는 중요한 열쇠이다. This study examines into the ideology and system of North Korean education of dance that is represented by the 'juche ideology'(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s basic ideology of sovereignty), and by analyzing the reality of the educational process of dance in North Korea, purports to clarify the reality of the dance education in North Korea and objectively comprehend its nature. Furthermore, the study also aims to serve as a objective basis for understanding on North Korea, in order to overcome the educational hostility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before and after unification and restore cultural and ethnical homogeneity.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procedures and dance standard, the training method, examined through the study, the dispositions of North and South Korean dances started from the same ethnic and artistic root, which has stemmed differently due to the political and ideological changes after separation. However, the heterogeneity does not apply to all aspects; some common and positive factors were discovered. Most of the North Korean dances were developed as means of political and revolutionary executions; yet there are folk dances that amuse the people, and despite the ideology they contain, the dance moves, which are naturally artistic expressions, have significant common factors with the South Korean dance. By analyzing the North Korean dance standard, the factors in dance moves homogeneous with those of South Korea were identified. Specifically,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ance standard of North Korea strongly emphasizes ethnical features in using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Chosun dance: carefully selected movements and sensitivity, in their own perspective. Moreover, for dance moves, the folk dances originate from the culture of Koguryo in North Koreans; this is a positive aspect for the Korean peninsula in that it is a local dance of the Northern region. It is acknowledged that although the North and South are heterogeneous due to the separation, after all, a united ethnicity. The heterogeneity of North and South Korean education of dance basically attributes to political ideology and system surrounding the structure. Although it is evident that the North Korean culture is rigid and controlled totalitarian art, the hope for restoration of homogeneity still remains hereafter, upon increase of North-South contacts and activation of exchanges. In the future, efforts should be made in order to promote systematic and consistent North-South cultural exchanges for improved understanding through accommodations and responses and discover the essential image of 'Korean' dance by overcoming ideology and national structures for restoration of homogeneity.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objective of dance education in North Korea is to promote harmonized development of physical development and inspiring groupism through group dance activities, thereby fostering healthy communist talents of revolution. Second the dance education of North Korea centralizes on education of 'juche ideology,' and through juche dance, physical education dance, gymnastics dance, and military dance, the loyalty to Kim, Il Sung and Kim, Jung Il, and the revolution ideology are inspired ; thus the purpose of education is training the fighters of revolution. Third, North Korean educational curriculum comprises dance in physical education; however, dance itself is acknowledged as a curriculum and is actually proceeded through a systematic educational plan. Fourth, the expert dance education in North Korea is mainly executed in educational institutions dedicated to arts and physical education. The basic training is systematically managed through 'Chosun children's dance standard,' and 'Chosun people's dance standard.' Fifth, the dance standard of North Korea strongly emphasizes ethnical features in using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Chosun dance: carefully selected movements and sensitivity, in their own perspective. The dance movements, artistic expressions, have much in common with South Korean dance. This fact is an important key to recognize the unity of races and restoration of homogeneity, since the ethnical and artistic inclinations of North and South started from single root, but stemmed differently due to the political and ideological changes after sepa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