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문도예고교의 창의적 표현증대를 위한 교육방법 연구

        이보미 경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91

        創意的な 人才の養成するため 教育が 社会の 色々の分野で 最近 強調されている. これによって 未来産業の 主役になる 専門家の養成を目標にしている専門係の高校の 陶磁器工芸の 教育現場でも 学生たちの 創意的な 考え方を 引き出す 效率的な 教育方法に対して 研究が調って 授業が行われている. この研究は 伝統の飾り技法を 応用する 新しい表現技法を用いる授業を 通じて 学生たちに 計画の段階の 限界を脱して 能動的に 自由で 創意的な 表現を導いて 陶磁器工芸の応用する 表わし方に 好奇心を持って 表現活動を 楽しんで 事故の柔軟性と 創意力の 増進を目的に 教育方法を 提案する. 陶磁器工芸教育にあって 美的感覚を 利用して 自分の内面世界を現わせるように 教育することは 未来の創意力とこれに相応しい表現力を 帯びる作家を 排出することに非常に重要な過程である. これは 美術教育の全般の過程で 重要なことで 認めているし 良く行っているが陶磁器工芸の場合 いまだに 足りない 実情だ. それで この研究では 陶磁器工芸教育によって 創意的な発想表現の 成果範囲を 考察するために 陶磁器工芸と創意性の価値, 現在 専門係高校の 教科の陶磁器教育の課程に対して 調べて 分析を やて見た. これを 基礎として 陶磁器芸教育に 学習者の 能動的な 創意的発想表現を 目的にして 現在専門係高学で 行われている 創意力の増進のための 授業指導案を 分析した。 そうして 学生たちの 興味と 教科学習を 基本として 応用した '色粘土重なる飾り技法を応用した 図版作業を '教授-学習指案で 案提して 借用学習を 利用して見た. 授業の結果物の比較と アンケートを通じて 借用学習を 利用した 飾り技法授業は 学生たちの 能動的な発想表現を 誘導させることにして ただの模倣ではない 応用を通じる 発展可能性を 見せた. 創意的な表現能力を 進める 教育方法の研究目標は 学習者に 表現技法を 習得させることに 限るだけではなく 学習者の自分で 正しい価値観の形成と それを 基礎として 真正な創作の道を 教えてくれることであり こうして 陶芸教科の 特殊性を 勘案する研究は 学生たちの大学進学や 今後の作家活動の展開する時 現在の価値を飛び越える未来指向的で創意的な教育效果で現われるようになる. ですから 現代陶芸を含めた現代美術の発展史及びに 伝統的な陶芸方式を基礎にした指導教師と専門家の持続的な 教育方法の研究とプログラム開発の 活性化がかなり重要で学生たちひとりひとりの 新しい表現発想の表出ができるように 深層的な研究が持続的に模索されなければならない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이 사회의 모든 분야에서 그 어느 때보다도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미래 산업의 주역이 되는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하는 전문계 고등학교 도자공예교육 현장에서도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를 도울 수 있는 효율적인 교육 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수업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전통 장식기법을 응용한 새로운 표현기법을 이용한 수업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한계점을 극복한 작품계획을 위하여 능동적으로 자유롭고 창의적인 표현을 유도하였고 도자공예의 응용된 표현방법에 호기심을 갖고 접근하여 표현활동을 즐기며 사고의 유연성과 창의력증진을 목적으로 차용학습을 이용한 교육방법을 제안해 보았다. 도자공예 교육에서 미적 감각을 이용하여 자신의 내면세계를 나타낼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은 미래의 창의력과 그에 맞는 표현력을 지닌 작가를 배출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과정인 것이다. 이것은 모든 미술교육과정에서 중요하고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도자공예의 경우 많이 미흡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자공예 교육에 있어서 창의적 발상표현의 성과 범위를 고찰하기 위하여 도자공예 교육과 창의성의 가치, 현재 전문계 고등학교의 도예교과의 교육과정 에 대해 알아보고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도자공예교육에 학습자의 능동적인 창의적 발상표현을 목적으로 하여 현재 전문계 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창의력 증진을 위한 수업지도안을 분석하였고 학생들의 흥미와 교과학습을 기본으로 응용한 '색 화장토 겹치기 장식기법을 응용한 도판작업 '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안하였다. 수업 결과물 비교와 설문조사를 통해, 차용학습을 이용한 장식기법 수업은 학생들의 능동적 발상 표현을 유도함으로써 단순한 모방이 아닌 응용을 통한 발전가능성을 보였고 학습자의 이해도를 높여주는 역할을 하였다. 창의적 표현 능력을 향상 시키는 교육방법의 연구 목표는 학습자에게 표현기법을 습득시키는 것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 스스로의 올바른 가치관형성과 그를 바탕으로 한 진정한 창작의 길을 알려주는 것이며 이렇게 도예교과의 특수성을 감안한 연구는 학생들의 대학 진학이나 향후 작가활동 전개 시 현재의 가치를 뛰어넘는 미래지향적이고 창의적인 교육 효과로 나타나게 된다. 그러므로 도자공예교육을 통한 창의적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현대도예를 비롯한 현대미술의 발전사 및 전통적 도예방식을 바탕으로 한 지도교사와 전문가들의 지속적인 교육방법연구와 프로그램 개발 활성화와 학생들 개개인의 새로운 표현발상이 표출 될 수 있도록 심층적인 연구가 지속적으로 모색 되어야 한다.

      • 유아기의 효율적인 도예교육 적용방안 연구

        왕연희 경희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75

        최근 각종 유아 교육기관에서는 '유아기에 경험하는 도예활동이 유아들의 신체 발달과 정서적 안정에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 라는 이유를 근거로 도예 교육에 관심을 갖고 활발히 운영되고 있다. 유아기의 도예 수업의 효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유아의 특성에 맞추어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되어야 하지만 현재 교육 현장에서 부딪치는 여러 가지 문제들로 인해 프로그램 운영에 많은 제약을 받는다. 이러한 현실적 문제를 열악한 교육 여건, 강사와 학부모간의 의견 마찰, 교육 정보의 부족 등으로 보고 본 연구자는 이에 관한 실태 조사를 통하여 효율적인 도예교육 적용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 대상을 문화센터로 정한 이유는 수시로 급변하는 학부모들의 교육 성향이 잘 드러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같은 조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현장에서 실제 프로그램으로 활용 될 수 있도록 수업지도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대형 마트에서 운영하는 문화센터를 중심으로 유아 도예 교육 현장에 관한 실태와 교육 방법, 활성화 방안에 대해 설문 조사하였다. 설문 결과 도예 교육 활동은 유아기 아이들에게 정서 및 신체 발달, 표현력 증진, 창의적 놀이 등에 효과적이라면서 긍정적인 답변이 많았다. 하지만 아직까지 수업에 관한 기초 지식이 부족한 학부모들이 많아서 장기적인 교육의 필요성이나 수업의 특성을 이해하지 못하고 수업에 불만을 가지는 경우도 많았다. 또한 도예 강사들도 교류가 없다보니 프로그램 개발에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유아들에게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제공으로 도예 교육 활동의 효과를 기대하기 위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체험 활동을 할 수 있게 설비나 시간, 장소에 구애 받지 않는 수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교육 활동의 질을 높이고 새로운 방향으로 전환하기 위해서 유아 도예 지도 강사들 간에 교류를 통해 정보의 교류와 재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유아 도예 교육활동 운영에 중요한 사항에 대해 결정권을 가지고 있는 학부모들의 도예 교육에 대한 의식 전환 및 협조가 있어야 한다. 위에서 제시한 결과를 바탕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간다면 질 높은 유아 도예 교육 프로그램 및 교육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Lately many educational institutes for infants are interested in ceramic art education and operate it actively on the basis of 'ceramic art activity in babyhood give a positive effect on infants' physical development and mental stability'. To expect the effect of ceramic art lesson in babyhood, various programs fit to infants' characteristics must be progressed, but now there are a lot of restrictions on operating program owing to several problems facing in class. The researcher considered this realistic problem was caused by inferior educational condition, trouble between instructors and parents, lack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so on, and the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for these causes. Also the researcher visited the lesson in cultural center which ceramic art educational activity was working well to examine its feature. The reason why cultural center is decided as a subject is to show the educational propensity of parents well that is changed rapidly on occasion. And on the basis of the result, this study presented the lesson plan to apply program well in real class. In this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actual condition of ceramic art education lesson for infants, teaching methods, and a plan of revitalization centered on cultural center that large-sized marts operate. As the result of survey, the answers were usually positive because respondents thought ceramic art educational activity was effective to emotional and physical development of infants in babyhood, improvement of expression, creative plays, and so on. However, still there were many parents who were lack of basic knowledge about lesson, and also there were many cases that they didn't understand the necessity of a long-term education or the characteristics of lesson, and they expressed dissatisfaction from lesson. Furthermore ceramic art instructors had no interchange each other, so they felt difficulty in developing new program. According to this, this study suggests a revitalization plan of expecting the effect of ceramic art education activity with providing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to infants as follows. First, the lesson that is not constrained by facilities, time, and place must be performed for infants to have various experiential activities. Second, inter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ceramic art instructors for infant and re-education are required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al activity and change to new direction. Third, the change of parents' awareness of ceramic art education and cooperation who have the right to decide on important matters in operation ceramic art educational activity for infant are demanded. If we solve problem on the basis of result presented above, we can expect high quality ceramic art education program for infant and educational effect.

      • 도예문화센터의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김은경 경희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75

        백화점 문화센터 강좌의 현황과 분석을 통해서 사회 도예 교육의 한 단면을 살펴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도예 수업이 전개되고 있는 평생교육의 한 유형인 백화점 문화센터를 중심으로 일반인의 도예교육의 실제를 고찰함으로서 앞으로의 도예문화센터 프로그램의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과 자료수집을 토대로 도예교육의 중요성과 평생교육으로서의 백화점 문화센터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고, 백화점 문화센터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도예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현지조사와 설문조사를 병행하였으며, 백화점 문화센터의 도예교실 분포도와 지속도를 조사하여 연구에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백화점에서 운영하는 도예교실을 수강하고 있는 수강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전국 백화점 문화센터 도예교실의 강의환경, 개설현황, 분포도를 통해 현황을 파악함으로서 체계화 되지 못한 백화점 문화센터의 도예교실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개선하고 앞으로의 지향해야할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파악한 결과 대부분의 문화센터에서 교육대상이 주부로 편중되어 있고 수업이 주부만을 위해 진행되고 있었으며 강좌가 서울, 경기권에 편중 되어있었다. 지역주민들의 도예문화에 대한 인식이 서울, 경기권에 비해 낮음으로 나타났다. 또한 강의시간이 한정되어 있어 다양한 수업을 진행하는데 설비와 공간이 충분하지 않아 수업이 다양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수강생들은 자기작품에 자신감을 가질 수 있는 계기가 없고 기존의 흥미를 꾸준하게 유지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예 문화 인식의 변화에 있어 새로운 일반인의 참여가 부족하고 도예문화에 대한 전체적인 인지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다섯 가지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여 앞으로 전개될 도예문화센터의 교육이 내용과 형식면에서 보다 체계화되고, 도예문화센터가 도예교육을 담당하는 평생교육기관으로서 그 면모를 갖추기를 기대하며, 본 연구가 도예문화센터의 도예교육의 발전에 작은 토양이 되었으면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to improve ceramic education programs. In order to investigate public ceramic education system, the current status of the system was checked and education courses in department stores' cultural centers were also evaluated. It was made up by current status analysis of the ceramic education system in department stores' cultural centers as a part of continuing education. In the paper, first of all the importance of ceramic education is emphasized and the theory based on paper research is studied . Secondly study on the spot and survey were performed to check the current status of ceramic education system in the department stores' cultural centers. Lastly distribution and duration of the ceramic courses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make these points, the survey to students who is taking the ceramic courses in the cultural centers was performed. Besides as figuring out the current status through checking lecture condition, open-courses status and distribution, I point out the problem which badly-organized the cultural centers' courses have and guide to improve them. In conclusion, I got the result which the target customers of the courses are limited to married women and lectures are mainly for the married women. Moreover most of the courses are open in Seoul and Kyung-gi area. It cause that name-recognition for ceramic culture of people in other area is lower. Lecture time is limited and equipment and space are also lack, so that the lectures are not various. Therefore existing students can neither be confident in their works nor keep their interest in ceramic art. In addition in terms of more name-recognition of ceramic culture, new people's joining is less and the overall name-recognition is evaluated low. I suggest more practical five ways to improve the problems. Finally I hope that the courses are getting better in side of contents and organization. I also hope that the ceramic cultural centers are satisfied as lifelong education and this study is helpful to make the ceramic education system better and better as well.

      • 敎授媒體를 활용한 도예교육 학습모형개발 : 중학교 과정을 중심으로

        조선희 경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75

        The 21st century we live in is information and knowledge era and unlike an industrial society based on material, social activities based on knowledge and information form the mainstream. The education of this era should predict social change and has the responsibility to cultivate talents that society needs. This is the time that has to be changed into a learner-centered new paradigm that emphasizes autonomy and diversity away from the existing transmissive and uniform provider-centered traditional paradigm. Media can motivate students by stimulating their senses and can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by presenting learning content in a visual way. Learning experience through media deepens and expands the contents of experience by lending realism and leads learners to participate in learning activities voluntarily. Education actively needs to accept visual and cultural aspects that became today's children and young people's daily lives. Because ceramic art of art education whose material is clay has plasticity, which is nature that can freely change the shape as one makes, ceramic art education is the most suitable for adolescents corresponding to the middle school students as a means of self-expression. Ceramic art education of an adolescent period must emphasize learner-led independent and creative activities. Learner-led education is not performed alone without any stimulus or media but starts from the expression of learner's inner world in a free atmosphere for aesthetic experience with the mix of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of teachers. That is, to make students give shape with more individual and creative visual language and find formative nature, teacher - student interaction must be enriched and to do this, the use of various instructional media is needed. The role and importance of instructional media are said to be further highlighted in art education. This study aimed at getting learning motivation and effect of prior learning by selecting instructional media which is the most suitable for ceramic art education and looking for ways to vitalize and improve ceramic art classes qualitatively in conjunction with other subjects including several lessons of art subject beyond the soil play and aimed at knowing the traditional culture and succeeding, developing it and produced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so as to achieve ceramic art education systematically and effectively. The main contents of this paper is as follows: For an understanding of instructional media, I investigated theoretical content on the definition of instructional media, the selection of instructional media, kinds and types of instructional media in chapter 2. In chapter 3, I examined middle school art and curriculum and studied the need for instructional media in art education by analyzing the previous papers on use of instructional media in art classes. In Chapter 3 and Section 2, I analyzed national authorized art and seven kinds of textbooks and organized the proportion of ceramic art lesson and learning contents in art education through art textbooks and examined the status of ceramic art education by analyzing the previous papers. In chapter 4, I studied teaching methods of ceramic art education using instructional media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of chapter 2 and 3. The subjects are male and female students in 7th,8th,9th grade of general middle schools and I examined starting point behavior on ceramic art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selected learning contents, considering that they are non-majors of art classes. I determined one lesson as 2 hours (1 unit - 45minutes) and 2 times depending on the numbers of the current middle school art classes and previous learning is a class dealing with basic knowledge on ceramic art and I focused on a variety of Instructional Media selection in order to make students feel interested in ceramic art classes and understand the nature of soil, which is the most basic ingredient of ceramic art class. Also, in lesson decision and learning subject selection, I decided themes in conjunction with the various sections of art curriculum (dancing body, three-dimensional structure in space) away from the limited contents of ceramic art lesson. In addition, I determined lessons by integrating science subject, not only confined to art subject. According to the purpose or goal of the two subjects, art and science, I made lesson plan by integrating knowledge and inquiry process of science and aesthetic experience area and expression area of art, focusing on helping understanding on nature and holistic human growth in the end. Moreover, I utilized a variety of instructional media to learn basic knowledge called 'high-tech material ceramic', scientific basis. In the main learning, this is a stage that produces three dimensional artwork bringing out the characteristics of soil and I organized for students to make sculptures that they want to produce by using viscosity and plasticity of soil well that they learned through previous learning, directly touching soil and previously sketching the target to be expressed after observing it and utilized OHP film so as for ceramic art classes to be done without directly touching soil. In the follow-up learning, I let students discuss their opinions, describing the intention of works through their works using OHP film or their own sculptures produced in the main learning and appreciating other students' works. I organized so as for students themselves to actively participate by writing his own appreciation activity report and practice report after discussion, In reality, practice classes including theory classes of ceramic art classes in art classes have not been performed until now due to poor school environment, lack of the number of classes and lack of art teachers' function. Hereto, I produced a new learning model as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of ceramic art classes and used it in classes by selecting the most appropriate instructional media to help students understand. I hope that a model of learning of this paper can be smoothly practiced and utilized in the actual middle school art education and the activation of ceramic art education in art classes will come true. 우리가 살아가는 21세기는 지식정보화시대로 물질을 기반으로 한 산업사회와는 달리 지식과 정보를 기초한 사회활동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시대의 교육은 사회적 변화를 예측하고 그러한 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재를 길러야 할 책무성을 갖는다. 기존의 전달식, 획일적인 공급자 중심의 전통적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자율성과 다양성을 중시하는 학습자 중심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변화해야 하는 시기이다. 매체는 학생의 오감을 자극함으로써 동기유발이 가능하며, 학습내용을 시청각적인 방법으로 제시함으로써 학습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매체를 통한 학습경험은 현실감을 부여하여 경험의 내용을 심화·확충하며, 학습자가 자발적으로 학습활동에 참여 하도록 유도한다. 오늘날의 어린이와 청소년들의 일상생활이 되어버린 시각 문화적 양상들은 교육에서 적극적으로 수용할 필요가 있다. 미술교육 중에서 점토를 재료로 하는 도예영역은 빚는 데로 자유롭게 형태를 변화 시킬 수 있는 성질인 가소성이 있기 때문에 청소년시기에 해당하는 중학교 학생들에게 자기표현을 하기 위한 방법으로 도예교육이 가장 적합하다. 청소년기의 도예교육은 학습자 주도의 자주적이고 창의적인 활동이 강조되어야 한다. 학습자 주도의 학습은 아무런 자극이나 매체 없이 홀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미적체험을 위한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교사의 적절한 수업방법이 어우러진 가운데 학습자가 자신의 내면세계를 표출하는 것에서 시작하는 것이다. 즉 학생으로 하여금 보다 개성적이고 창의적 조형언어로 형상화 시키거나 조형성을 발견하게 하기 위해서는 교사 -학생의 상호작용을 풍부하게 하여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다양한 교수매체의 활용을 필요로 한다. 교수매체의 역할과 중요성은 미술교과 교육에서 더욱 강조되어 진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도예교육에 가장 적합한 교수매체를 선정하여 학습동기 유발 및 선수학습의 효과를 얻고, 흙 놀이 차원을 넘어 미술교과의 여러 단원을 비롯하여 타 교과와도 연계하여 도예수업의 질적 향상과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 더불어 전통문화를 바로 알고 계승, 발전시키는데 그 목적을 두어 도예교육을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모형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교수매체의 이해를 위해 교수매체의 정의, 교수매체의 선정, 교수매체의 종류와 유형에 관하여 이론적인 내용을 고찰하였다. 3장에서는 중학교 미술과 교육과정을 살펴보고 미술과 수업에서의 교수매체활용에 관한 선행논문을 분석하여 미술교육에서의 교수매체의 필요성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3장 2절에서는 국가 검정 미술과 7종 교과서를 분석하고 미술교과서를 통해 미술교육에서의 도예단원의 비중과 학습내용을 정리하고 선행논문들을 분석하여 미술교육에서의 도예교육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4장에서는 2장 3장의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교수매체를 활용한 도예교육의 지도방안을 연구하였다. 대상은 일반 중학교 7, 8, 9학년 남, 여 학생을 대상으로 하고, 미술과 수업의 비전공자임을 유념하여 중학교 학생들의 도예에 대한 출발점 행동을 진단하고 학습내용을 선정하였다. 현행 중학교 미술수업의 수업시수에 따라 한 단원을 2시간(1단위-45분 기준)2차시로 정하였고, 선수학습은 도예에 관한 기초지식을 다루는 수업으로써 도예수업의 가장기본 재료인 흙의 성질을 이해하고 도예수업에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기위해 다양한 교수매체선정에 중점을 두었다. 또한 단원 설정과 학습주제 선정에 있어서 단순히 도예단원에 한정된 내용에서 벗어나 미술교과의 여러 단원들과 연계하여(춤추는 몸, 공간속의 입체 등) 주제를 정하였다. 더불어 미술교과영역에 국한된 수업이 아닌 과학교과와도 통합하여 단원 설정을 하였다. 미술과 과학의 두 교과의 목적이나 목표에서 결국은 자연에 대한 이해와 전인적인 인간 성장을 돕는 다는 것에 중점을 두어 과학의 지식과 탐구과정과 미술의 미적체험영역과 표현영역을 통합하여 학습지도안을 제작하였다. 나아가 과학의 기초 ‘첨단소재 세라믹’ 이라는 기초 지식을 학습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수매체를 활용하였다. 본시학습에서는 흙의 특성을 잘 살려 입체 조형을 제작하는 단계로 표현할 대상을 관찰하여 미리 스케치하고 직접 흙을 다루면서 선수학습을 통해 배웠던 흙의 가소성과 점력을 잘 활용하여 제작하고자하는 조형물을 만들 수 있도록 구성하였고, 흙을 직접 다루지 않고도 도예수업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OHP필름을 활용하였다. 후속학습에서는 본시학습에서 제작한 각자의 조형물이나 OHP필름을 활용한 자신의 작품을 통해 작품의도를 설명하고 다른 학생의 작품도 감상해 보면서 서로의 의견을 토론해보도록 하였다. 토론 후 각자의 감상 활동지와 실습지를 작성해 봄으로써 학생들 스스로 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 하도록 구성하였다. 지금까지 미술수업에서의 도예수업은 학교 환경의 열악함과 수업시수의 부족 미술교사의 기능부족으로 인해 이론수업을 비롯하여 실기수업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효율적인 도예수업의 지도방안으로 새로운 학습모형을 제작해 보았으며 학생들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적합한 교수매체를 선정하여 수업에 활용해 보았다. 본 논문의 학습모형을 통해 실제 중학교 미술교육에서 원활히 실천되고 활용되어 미술수업에서의 도예교육의 활성화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 도자공예의 마케팅교육방법에 관한 연구 : 국내 대학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이윤미 경희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75

        문화 예술의 상품적 가치를 갖게 되는 사회의 변화 속에서 근래에 들어와 예술 시장은 큰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분야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하지만 소비자와 생산자 간의 커뮤니케이션과 시장의 흐름에 미흡한 부분을 보인 도예 분야는 시장 활성화의 한 방안으로 마케팅의 필요성을 제안하였고 이에 근본적으로 마케팅 교육을 실시하려는 대학들이 늘어나게 되었다. 도예 시장의 침체와 함께 대학에서의 도예교육은 함께 고민되어질 필요가 있으며 고부가가치 도예 산업으로 평가되기 위한 마케팅 교육방법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 중에서도 대학에서 배출될 인력들의 마케팅교육이 시급하여, 현재까지의 시행착오와 도예 마케팅교육에 관한 사회적 인식을 제고하기 위한 연구를 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보수적인 성향이 강한 도예 분야에서는 상품적 가치에 대한 왜곡된 시각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대학에서의 기초적인 교육이 필요하나 도예의 특성을 반영하는 전문적인 마케팅 이론이 정립되어 있지 않고 필요한 정보들의 인프라가 구축되어 있지 않아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체계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 또한 도예 마케팅교육은 이론 뿐 아니라 실무적인 교육도 필요하여 인턴쉽 프로그램의 도입이 학습 효과를 증대시키고 예비 인력들을 위한 효과적인 방안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현재 가장 필요한 것은 기존 인력들의 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향후 인력 창출을 위한 노력이 시급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대학의 사회 교육원이나 마케팅 연수, 대학원 프로그램 등을 개발하여 기존의 인력들에게 마케팅을 교육하는 방법들을 통해 시행착오를 줄여가는 방향을 제안하였다. 또한, 안으로는 예술행정교육을 통한 기초를 마련하고, 밖으로는 사회의 지원을 확대할 대안을 적극 구축하여야 소비자와 생산자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확보할 수 있다. 이렇게 사회에 접근하는 도예 마케팅교육은 도예 전공자들의 인식부터 변화를 주며 도예가들의 경제적 능력이 떨어지는 단점을 보안, 스스로의 경영을 위해 필요하다. 자신을 개발하는 능력과 시장규모를 향상시킬 능력을 향상시킬 현실적 도예 마케팅교육은 끊임없는 실험과 변신이 시도되어야 한다. 끝으로 본 논문에서 제시한 도예 마케팅교육의 개선 방법이 한국 도예 마케팅교육 분야 연구에 도움이 되길 기대하며 향후 도예 분야에서 마케팅교육의 구체적이고 심도 있는 연구가 계속되기를 기대한다. In social changes that culture and art have come to have their own commercial value, the art market is rising as one of fields showing considerable increase in growth levels, in recent years. However, the field of ceramic arts and crafts field which reveled lack of ability in not only communicating between consumers and producers but also coping with the current of the market, has suggested the necessity for marketing as a plan for vitalizing the market, resulting in increased universities want to offer marketing education in a fundamental way. With stagnation in the ceramic crafts market, it is needed to take a close look at ceramic crafts education in universities and also it has come to be required to suggest educational methods in the marketing in order for ceramic crafts to be evaluated as a higher value-added industry. Notably, it is an urgent task that universities educate students to be produced in ceramic crafts marketing, and in light of this, this study lays its purpose on examining trials and errors in the marketing education and finding plans for improving social perceptions of the ceramic craft marketing. In the ceramic arts and crafts fields with a higher conservative tendency, since a biased view on the concept of commercial value may exist, it is required for universities to offer basic education, but it is needed to design instructional frameworks and contents easily accessible because there is no established marketing theory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ceramic arts and crafts and no infra structure established regarding necessary information. In addition, in education in ceramic crafts marketing,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education should be regarded as important, and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introduction of the internship program is an effective plan for enhancing the effects of learning and also training preliminary human resources. However, the most urgent and necessary thing at this point is to make efforts to produce professionals for the future, such as through developing refresher courses or programs for preexisting human resource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a direction for reducing trials and errors through educational methods in the marketing for preexisting human resources by developing courses in continuing educational institutions attached to universities, marketing training programs, graduate school programs and so on.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one should establish a foundation regarding related perceptions and knowledge through education in art administration from an in-house perspective, and construct countermeasures for expanding social support from an outside-house perspective, in order to make good communication between consumers and producers. This marketing education approaching to the social settings is necessary for changing perceptions among persons majoring in ceramic arts and crafts, and also to complementing shortcomings in terms of potters' lack of economic ability, and helping them manage their economic life well. Realistic marketing education to improve ability in developing potters themselves and expand the size of the ceramic crafts market should attempted ceaseless experiments and transformations to cope with the social and market environment. Finally, the researcher expects that improvement plans for education in ceramic crafts marketing, suggested in this study, contribute to researches in the field of ceramic crafts marketing in Korea, as well as further researches for the future work continue to be conducted with a more concrete and profound manner in this field.

      • 도예문화 저변확대를 위한 주민자치센터 도예교육방안 연구 : 도자기 핸드페인팅 기법을 중심으로

        조수진 경희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75

        오늘날 우리 도예문화는 과거 찬란한 도자기 역사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나라와 비교해 볼 때 그 발달이 미미 할뿐 아니라 문화 예술로서의 저변도 제대로 확보되어있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렇게 도예문화 저변 발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 원인으로 여러 가지 경제적 문화적 이유가 있지만 그중 한가지로 대중들을 대상으로 한 제대로 된 평생교육이 이루어지지 못한 점을 들 수 있다. 80년대에 들어 많은 대학에서 도예학과가 신설되어 많은 작가와 도예인구를 배출하고 있지만 청소년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도예평생교육은 대학 내 평생교육원 및 백화점 문화센터, 개인공방 등 한정된 기관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교육 이 각 교육기관별 환경과 특징에 맞게 프로그램 되어 있지 않아 수강생들의 흥미를 이끌어내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정된 도예 평생교육기관을 확대하고자 1999년 시범실시에 들어가 활성화되기 시작한 주민자치센터를 대상하고 실습 시설 없이도 완성도 높은 작업이 가능하고 대중들의 관심도가 높은 도자기 핸드페인팅을 주요 교육내용으로 설정하였다. 주민자치센터의 특성상 지역주민들과 접근성이 뛰어나고 주민들의 참여도가 높으며 각종평생교육프로그램의 수강료가 저렴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민자치센터의 평생교육 프로그램에서 도예교육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점을 감안, 주민자치센터에 적합한 도예교육 방안을 제시하기위하여 설문조사와 흙가래 성형과 도자기 핸드페인팅 수업으로 나누어 실제 도예수업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주민자치센터에서 도예교육프로그램이 활성화되기 위한 발전적 방안을 모색할 수 있었다. 첫째 일반적인 흙으로 만드는 수업보다 도자기 핸드페인팅을 중심으로 한 도예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다. 둘째, 도예에 관한 기본교육이 같이 진행되어야 한다. 셋째, 지역실태 조사를 통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이루어져야한다. 넷째, 강좌의 주요목표를 실용적 용품과 미를 결합한 결과물의 완성으로 한다. 이러한 양적, 질적인 내용의 확충이 이루어진다면 주민자치센터에서의 도예교육은 활성화 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도예평생교육의 활성화가 도예문화의 저변을 확대하는 계기가 되어 우리의 고유한 도예문화를 계승하고 긍지를 심어주고 세계최고로 인정받고 있는 우리의 도자문화를 발전시킬 수 있어야 하겠다. Despite its glorious tradition of pottery in the past, the development of our country’s ceramic art has been minimal, compared with that of other countries and has not secured the base as culture and art. There are many economic and cultural reasons why our ceramic art cultural base has not been fully developed, but one reason is that there has not been proper lifelong education for the general public in our country. In the 1980s, many universities established departments of ceramic art and produced many artists and ceramic art people but ceramic art social education for teenagers and youth and the general public has been conducted in limited organizations such as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annexed to universities, cultural centers within department stores, and individual workshops. And the education has not been programmed so that it is suitable to the environment and characteristics of each individual educational institute, so it can hardly attract interest from those who are present at a lecture class. In line with expanding the limited ceramic art lifelong cational organizations, the contents of this research consist of residents’ autonomous centers that have been revitalized since test operation in 1999 and pottery hand painting which can be practiced without practice facilities to attain a high degree of perfection in work. The residents’ autonomous centers are characterized by prominent accessibility and high degree of participation by the residents and by low fees for attending the lectures in various lifelong educational programs. Nevertheless, ceramic art education has seldom been conducted in the lifelong educational programs of the residents’ autonomous center, so in order to present the schemes for ceramic art education suitable to the residents’ autonomous centers, survey by questionnaires and actual class on clod shaping and pottery hand painting were conducted. As a result, the developmental schemes to revitalize ceramic art educational programs in the residents’ autonomous centers could be explored. First, the ceramic art educational programs focusing on pottery hand painting, rather than for making pottery with ordinary clay, should be applied. Second, the ceramic art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together with the basic education on the ceramic art Third, the ceramic art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development through the survey on local actual condition investigation Fourth, the main purpose of the ceramic art course is the completion of the products as a result of combining functional work with beauty. When the contents are expande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e ceramic art education in the residents’ autonomous centers will be revitalized. Such revitalization of ceramic art lifelong education will expand the base of the ceramic art culture, and our own ceramic art culture should be inherited together with pride so that we can develop our ceramic art culture which is recognized as the highest in the world.

      • 한·일 특성화고등학교 도예교육과정 비교연구

        채수미 경희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75

        This study is to find a method of specialized school lesson related to more effectual and systematical pottery and a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cess in terms of the specialized education of pottery at specialized high school. It results from comparing entire structures of educational process of specialized high school with pottery between Korea and Japan. Pottery course at Busan design high school, ceramic art course at Kyungjoo design high school and Korean pottery high school are chosen for the purpose of studying specialized high school with Korean pottery. In the event of Japanese specialized high school, pottery course at Yonako high school that is currently in the process of international exchange program with Busan design high school and artistic handicraft course at private Doda artistic handicraft high school are chosen. With these high schools, entire educational process in each of schools are investigated. Through studying fundamental resources of educational goal, formation and administration in respective pottery related specialized high schools, educational proces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respective country, region and school are comparatively studied. the educational difference, merit and shortcoming between tow countries are significantly studied so that pottery specialized education is more improved and fostering more creative, international advanced and competent man are supported. As a result of a study on comparing the education process between Korea and Japa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variety of education processes, to rearrange spontaneous formation and operation of the education process and to set up a relation between general subjects and special subjects, educational organization for middle schools and educational organization for high schools, explicit job ability in specified field and certificates and industrial workplace for systematical operating onsite practices. an onsite practice is emphasized by reason of extension of school lesson and should be well operated by absolute participation in the job educations of industrial organizations. Therefore, implementing theoretical lesson and practices simultaneously and in harmony rather than focusing only theories becomes a means of encouraging student's motives and raising an extent of understanding. Eventually, It is a signigicant matter that instructing a path to university and to reasonable employment for industrial specialized high school that is established to provide a path to employment should be activated and its infrastructure should be organized to search for substantial and effective methods.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도예 관련 특성화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의 전체적인 틀을 상호 비교 연구 해봄으로써 앞으로 한국의 도예 관련 특성화고등학교가 전문화된 도예 교육에 있어서 더욱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도예 관련 특성화 수업방식과 교육과정의 발전에 모색을 하였다. 연구대상의 범위로 한국의 도예 관련 특성화 고등학교인 부산에 있는 부산 디자인 고등학교의 도예 디자인과, 경주에 있는 경주디자인 고등학교의 세라믹디자인과 한국도예고등학교 등 세 곳을 선정하였고 일본의 경우, 현재 부산디자인 고등학교와 국제교류 중에 있는 돗토리 현립 요나고 고등학교의 도예과, 그리고 교토에 있는 시립 도다 공예미술고등학교의 미술공예과 두 곳을 선별함으로써 각 학교들의 전반적인 교육과정을 알아보았다. 각 도예 관련 특성화고등학교들의 교육과정의 교육적 목표와 편성·운영의 기초 자료 등을 통해 각 나라와 각 지역과 각 학교의 특징을 살린 교육과정을 비교연구 해보았고 특성화된 전문 교육의 활성화를 통해 나라 간의 교육적 차이점과 장점과 단점을 알아보았으며 시사점을 알아보고 앞으로 우리나라 도예특성화 교육에 더욱 발전이 되고 한국 실정에 맞는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해서 더욱 창의적이고 국제 경쟁력에 뒤지지 않는 인재양성에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한국과 일본 양국 간의 교육과정을 비교 연구 해본 결과, 다양한 교육과정의 개설 및 교육과정의 자율적 편성과 운영 등 보통교과를 전공별로 재구성하고 과목과 전문 교과목과의 연계, 중등 교육 기관과 고등 교육 기관 사이의 연계, 해당 분야의 구체적인 직업 능력과 자격증과의 연계 및 현장 실습을 체계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산업체 현장과의 연계 체제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있다. 현장 실습의 경우도 현장 실습이 학교 수업의 연장임을 강조하면서 산업체의 직업 교육에 대한 절대적인 참여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러므로 이론위주만의 교수학습법이 아니라 이론수업과 실습이 동시에 조화롭게 이루어져서 학생의 동기를 부여하고, 직업 세계와 관련된 학습을 통해 학생들의 이해도를 높이는 큰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마지막으로 취업을 목적으로 하는 실업계특성화 고등학교로서 대학 진학 위주만의 진로지도뿐만 아니라 합리적인 취업을 위한 진로 지도가 활성화되고 기반이 조성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이 모색되어야 한다.

      • 특성화 교육을 위한 고교와 대학의 연계교육 과정 연구 : 도예학과를 중심으로

        이민주 경희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59

        국민소득 증대와 핵가족화로 인한 고등교육의 욕구가 증가되면서 우리나라 실업교육은 새로운 사회의 변화에 요구되는 전문 인력 양성 개혁이 필요하였다. 이에 교육개혁위원회는 새로운 교육 개혁방안으로 실업고교를 특성화 고교로 전환하였고, 이는 대학과의 원활한 연계를 위한 시작이였다.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와 대학간의 연계 중에서 도예학과의 교육과정과 교재 공동개발을 위하여 전공 교과목을 분석하여 연계교육과정 운영의 효율적인 방법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현재 특성화고등학교와 대학에서 가르치는 교과목을 분석하여 교과의 재구성에 대한 고등학교와 대학의 교육과정을 비교 하였고, 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연계교육의 인식과 현황에 대한 설문조사를 148부를 배부하여 회수는 103부이며 사용 가능한 93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사들은 연계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인식을 하고 있었지만, 과중한 업무와 활성화 정책의 부재로 인해 많은 부담감을 가지고 있는 상황이었고 일부 지방 대학은 학생유치를 위해 연계교육을 악용하고 있어 연계교육의 본 취지가 아닌 고등교육의 진학을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연계교육은 많은 문제점이 드러났으며 이론과 실제는 체계적이지 못한 결과가 나타난 것이다. 본 연구자는 체계적이지 못한 연계교육의 문제점을 교과분석을 통하여 운영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첫째, 교과와 내용의 중복으로 통합교과를 만들어 고교와 대학의 연계교육이 교과의 재구성과 학교급간의 교육과정에 대한 단계별 학습을 통하여 시작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이것은 특성화고등학교와 대학의 전문교과목 재편성과 통합교과를 구성함으로써 교육의 중복으로 인한 교육적 낭비를 제거할 수 있고, 고교의 교과목을 대학과 연계하여 학습함으로써 고등학교 교육이 완성 교육이 아닌 평생 교육체제로 전환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고교와 대학과의 효율적인 연계교육으로 도예 관련 전문기술인을 육성하는데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As desire for higher education is raised due to increase in the national income and turning into the age of nuclear families, vocational education in Korea has been required to reform practices regarding cultivating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being needed to meet the needs of changing society. According to this, the Educational Reform Committee has shifted vocational high schools to specialized ones as a part of new plans for educational reform and it was a start point in order to facilitate articulation between high schools and colleges. This study lays its purpose on finding out effective plans for managing the curriculum for articulation education notably in ceramic arts and crafts by analyzing the related subjects in order to develop the curriculum and teaching materials in the department of ceramic arts and crafts in particular among the other fields of departments regarding the articulation, with taking the both educational institutions' perspectives into consideration. In order to attain this study goal, the researcher compared curriculums in high schools and colleges through analyzing subjects taught in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colleges currently, and then distributed 148 questionnaires dealing with perceptions of and the actual state of articulation education to high school teachers, and analyzed only 93 survey sheets available among all the 103 returned sheets. As a results, it was revealed that the teachers recognize the necessity for articulation, while it becomes a heavy burden on them due to a burdensome workload and lack of policies for vitalizing the articulation, and some of local colleges make ill use of it for attracting students, indicating that the articulation is not used in a way that it should but a means for going on to colleges. Like this, many problems have been raised with regard to articulation education, resulting in unsystematic practices in terms of the relation between the theory and practice. This researcher attempted to find out management plans for it through analyzing related subjects by taking problems with unsystematic articulation education into consideration. First, it was thought that the subjects related to articulation in high schools and colleges should be reorganized by integrating those avoiding repeating the same contents and begin with step-by-step learning in the curriculum. This could eliminate waste in terms of educational efforts, caused by repeated education by reorganizing specialized subjects in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colleges and also organizing integrated subjects, and shift high school education as educational completion or termination to one process of a whole continuous and life-long education system by transferring subject courses to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without repetitive completion. Consequently, with this plan, one can contribute to cultivating professional technicians in ceramic arts and crafts by implementing effective articulation between high schools and colleges.

      • 中ㆍ高等學校 學生들의 人性敎育을 위한 陶藝學習指導 硏究

        김일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759

        흙은 자연물 가운데 매우 변화가 다양한 소재이다. 그것은 수분의 다소와 가소성(可塑性) 정도에 따라 그 견고함과 색감이 다르게 되며 어떠한 형태든지 자유자재로 수제작 할 수 있다. 흙은 물과 적당히 혼합하여 입자와 입자가 서로 밀착하게 되면 점력(粘力)이 생겨서 원하는 형태를 만들 수 있다. 인간은 흙을 보면 만지고 싶고 좀 더 관심이 높아지면서 무엇인가를 만들려고 하는 욕구가 잠재되어 있다. 이러한 친밀감을 느끼는 재료를 가지고 미술 수업을 하려고 한다. 미술 수업 시간에 점토를 이용한 도자기를 만들어 보는 것은 아주 신선한 충격이 될 것이다. 그러나 실제 교육 현장에서 점토를 이용한 도예 수업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왜냐하면 재료 구입이 번거롭고 시설이 갖추어져 있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사회가 복잡화, 다양화 되면서 청소년의 심성(心性)이 거칠어지고 그들의 범죄가 끊이지 않는 요즈음 흙을 만지고 손끝의 촉감(觸感)을 통한 도예 학습은 인성의 정서 순화는 물론 조화로운 인격 형성에도 필요하며 전인교육을 위한 도예 교육의 확산 시행에 매우 필요성을 느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성교육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중.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도자공예 학습을 통한 실기 학습을 다음과 같이 시행하였다. 우리는 도자 문화의 우수한 역사를 갖고 있다. 미술관, 박물관 등에서 전통 도자를 감상하여 옛 장인들의 정신을 배움으로써 현대 도자기까지의 변천사를 알고 이해하도록 현장 교육을 실시하였다. 학습자의 흥미유발을 위하여 석기시대의 토기로 부터 현대도자에 이르기까지의 프로젝트 TV 등 시청각 학습용 매체를 도입하여 설명하였다. 도자기의 정의와 소지(素地), 유약(Glaze), 소성(燒成)에 대해 이해하고 개성적이고 창의적인 작품을 만들 수 있도록 아이디어 스케치를 하였다. 학생들의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학습의 유의점을 설명하고 단계별 표현활동을 상세화하여 지도하였다. 학생들의 제작활동에서 성형법에 따른 기법과 응용력이 크게 신장되었고 기물 표면에 도구 사용을 적절히 하여 장식의 대담성과 표현의 창의성을 엿보였다. 고등학교 미술 시간에 도자공예 수업을 통하여 학생들의 도자공예에 대한 흥미도가 시행 전 보다 안목이 높아졌고 전통, 현대의 도예품에 대한 이해도(理解度) 증진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 그러나 도자공예의 수업이 효과를 거두려면 교사들이 자신의 전공 분야뿐만 아니라 방학 동안에 전통요장, 공방 등에서 연수교육을 통해 실기 교육 능력의 다양성을 지니기 위하여 도자공예에 대한 이해와 지식의 폭을 넓혀 나가야 하며 실기 학습을 할 수 있도록 제반 시설을 갖추어야겠다. 위와같은 도자실기 학습은 장인정신을 갖춘 현실사회에 유용한 생활인을 육성 할 뿐만 아니라 위의 학습 과정에서 인간의 정서 순화를 통한 인성 지도에도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Soil is changeable material among the natural stuff and it will has different solidity and color by appling heat or adding water so that we can make any forms of sculpture with hand. When soil mix with water proper amount, and then grains of clay stick together, we can make a form which a artist want to make. The desire to feel a thing with his or her hand and to make something with soil is in the deep of human's mind while seeing soil. Using this familiar material, I will do a activity in fin art class. It will be a shocking class to make a ceramic ware using clay in fine art class. However, in the real field of education, the ceramic class using clay haven't accomplished well because to buy materials for class is troublesome and there are not enough educational facilities to make ceramic ware in school. However, while society are getting complicated and various, teenagers are getting use more violences. Through the ceramic art education which allow teenagers to feel soil with his or her hand, we can build up teenager's character and purify their sentiments. Furthermore, I suggest to spread the ceramic art education more schools to actualize all-round education. Therefore, in my research, I did the ceramic art making activity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o build up their moral character. Koreans have great the culture of ceramic art, so I let students enjoy traditional korean ceramic wares for field study with students in museum or gallery. To bring out learners' motivation, I introduced audio-visual materials such as project TV and explained from earthen ware in stone age to modern china. I tried to cultivate students' understanding about Glaze, burnable quality, and the destination of ceramic ware. And then students sketched using their imagination to make creative works. I explained what students should pay attention and instructed specific activities to express their ideas so that students might improve their works. During the activities, the practicable ability and the skills according to molding manner of students were improved remarkably, and they also showed creativity and boldness with using tools on the surface of ceramic ware. After having the ceramic art education at find art class in the high school, students could have eye for ceramic arts with interest and could understand about traditional or modern types of ceramic wares. Also it needs to give training to teachers at a pottery kiln during vacation and to widen their knowledge and understanding about ceramic arts. And it needs to establish more facilities to do practical activities at school. Through ceramic art education, students will be grown up for the citizens who have master mind and who have good character.

      • 미술비평단계를 활용한 현대도예 감상 지도방안 : 고등학교 1학년 과정을 중심으로

        정유진 경희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59

        포스트모더니즘의 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는 획일적이고 정형화된 삶의 방식을 탈피하여 창의적이고 개성 있는 모습을 표현하는 것에 주력하고 있으며 자신의 이미지를 표현하고 개성을 강조함으로써 정체감을 확립하고자 한다.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따라 추구하는 아름다움의 가치나 개념 또한 계속 변화하고 있으며, 우리는 그러한 흐름을 이해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흐름의 주역이 되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오랜 시간동안 인류와 함께 문화를 형성해온 도자문화가 전통적인 공예의 형태에서 벗어나서 현대미술의 하나의 장르로서 어떠한 모습으로 변모하고 발전하여 왔는가를 이해하고 새로운 관점으로 접근해야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생소하게 느껴왔던 현대도예에 관련된 감상과 비평 활동을 통해 열린 자세로 도자문화에 접근할 수 있도록 그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현시대의 다양한 도자문화 이해를 통한 현대도예분야의 미의식 확대를 돕고자 한다. 또한 감상과 표현 영역을 연계함으로써 경험을 통한 비평 활동의 자기화를 추구하고 그 성과를 높일 수 있도록 수업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주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2장에서는 미술비평의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미술비평의 개념과 교육적 의의를 밝히며, 그 방법에 있어서 미술교육의 현장에서 감상의 방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펠드먼의 단계적 비평이론과 그에 대한 문제점의 보완으로 등장한 게히건의 비평적 탐구이론의 방법론을 각각 알아보고 두 방법론의 상호 보완적인 입장에서 통합적 비평과정과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제3장에서는 미술비평을 통한 현대도예 감상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감상에 앞서 현대도예의 형성 및 전개과정을 알아봄으로써 감상내용에 대한 개념의 성립을 도울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감상대상에 해당하는 고등학교 1학년 미술교과서를 분석하고 개정된 7차 교육과정의 미술교육과정에서의 감상영역 분석을 통해 현행 미술교육의 감상수업 문제점을 알아보고, 그에 대한 감상지도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제4장에서는 앞의 내용들을 토대로 하여 실제 수업시간에 미술교사가 활용할 수 있는 수업지도안을 구성하였으며, 수업은 총 4차시로 계획하여 현대도예에 대한 선수학습을 시작으로 현대 도예의 다양한 조형양식 감상을 통해 직접적인 표현활동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러한 지도방안은 실제 고등학교 1학년 미술수업에 적용한 결과 분석을 토대로 수정과 보완이 이루어졌다. 창의적이고 논리적인 사고가 요구되는 현 시대의 학생들에게 미술 비평 활동은 더 이상 교사의 주입식 내용 전달이 아닌 학생 스스로의 주체적인 감상활동의 훈련이 될 수 있다. 또한 전문적인 비평 활동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의 학습 수준과 흥미를 고려한 단계적인 비평교육을 활용함으로써 교사와 학생들이 미술 비평 활동에 대한 선입견을 버리고 감상수업에 효과적으로 활용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지도방안은 이러한 방법적인 측면을 활용하여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도자문화를 현대적인 측면에서 세계 속의 도자문화로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는 다양한 감상의 관점과 내용을 제시하고자 한다. In the postmodernism society, we consider it important to break the tradition of standardized and stereotyped lifestyle in order to express one's own creative and distinct personality and to secure one's identity by demonstrating one's image and personality. In the era where the value or concept of beauty is continuously changing, it is crucial to understand such trend for us to be its leading role. In this sens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change in pottery, which has transformed from a traditional craft into a new genre of modern art and to approach the area through a new view poi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students get rid of prejudice about traditional potters and have a broader understanding and aesthetic sense by providing them with new approaches to the ceramic culture through the activities in appreciation and criticism. In addition, the teaching process of the study is set by connecting the appreciation and expression realm in order to help them actively participate in the critique activity and achieve a higher level of results. The main contents of the study are the followings: in chapter two, the concept of art criticism and its educational significance are presented by reviewing various theories of art criticism. Especially, Feldman's and Geahigan's theories are presented for its wide use and its supplementation for the former, respectively, and compared in a complementary view to introduce a new way of criticism. Chapter three helps found the concept on appreciation of modern pottery by demonstrating its formation and development, before it offers a new method to appreciate modern pottery through art criticism. In addition, it includes the analysis on the art text books for the first-years in high school that are the target of the study and presents drawbacks of the revised 7th Curriculum in art classes to suggest new guidelines for appreciation. Art teachers can use of chapter four for teaching plan on the basis of former chapters. The course is composed of four classes beginning with prior learning in modern pottery and helps students develop their own expression through appreciation in leading sculptures in the field. This study also contains analysis of the results that are brought about by the application of the teaching plan in actual art class for the first-years of high school. As the present era requires a creative and logical way of thinking, activities in art criticism can offer students an independent discipline without rote learning. As the study does not insists on a professional criticism, but an educational and gradual criticism that suits for students' level and interest, both teachers and students will be able to get rid of their prejudice and to make use of the course in art appreciation. In this sense, the teaching plan presented earlier is expected to help establish a broader sense of aesthetics about ceramic culture through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of Korean traditional ceramic culture as global 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