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도시재생사업 만족도가 지역사회 애착 및 주민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분석 : 중국 베이징시 동사남지역을 중심으로

        사운주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8447

        2000년후에 세계적으로 도시재생의 최종목표를 기존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제고하는 것이라고 많이 논의되고 있다. 이러한 최종목표를 이루기 위해 도시재생사업이 주민이 원하는 도시재생과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요구하는 부분을 충족할 수 있도록 하는 지속가능한 주민참여가 도시재생의 초점으로 주목되고 있다. 또한 지역사회 개발이 사회적인 유대관계를 변화시키며, 거주민의 지역사회에 대한 애착심을 상실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고 이에 대해 중국학계에서는 도시재생사업에 전반적인 변화보다는 개체로서 지역사회 애착 등 사람의 심리변화를 중요시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이루기 위해 지역사회 애착의 역할이 무엇이냐는 질문을 가져 도시재생사업에서 전체 만족도의 영향요인과 도시재생사업에서 지역사회 애착과 주민참여의도의 영향요인과 영향관계에 대해 분석을 진행하였다. 2010년대 초에 중국에서 지역 주민의 거주문화를 보호하기 위해 '미재생'사업이 새로운 주거지 재생유형으로서 등장하였고 근 10년 동안 진행되어 왔으며 여러 지역에서 효과가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의 대상지는 '미재생'사업이 진행중인 중국 베이징시(北京市) 동사남지역(东四南历史文化街区)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대상지 거주민의 개인특성을 살펴보면, 중국 베이징시 동사남지역의 거주민은 주로 50, 60대 기혼의 2-4인 가구가 많았다. 인구유동성이 베이징시 다른 주거지역보다 매우 낮은 편이며 거주기간이 15년을 넘은 경우가 많다. 도시재생사업에 대해 참여수준은 정보를 요청하거나 의견 제시하는 단계에 해당되는 거주민이 가장 많은 것으로 보였다. 중국 베이징시 동사남 지역의 거주민은 도시재생사업들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하고 있으며 물리적 환경개선, 사회문화 프로그램, 공동체 역량강화 순으로 비교적 고른 분포의 높은 만족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 애착 정도는 정체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의존성이 2순위를 차지하였다. 주민참여 필요성 인식은 대부분의 응답자가 '필요'와 '매우 필요'에 응답하여 주민참여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중국 베이징시 동사남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거주민의 전체 만족도의 영향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전체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물리적 환경개선 부문의 골목길 환경개선, 사회문화 프로그램 부문은 여가활동, 취미양성활동, 실버 프로그램으로 나타났다. 전체 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사회문화 프로그램 부문의 대외적인 활동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 애착과 참여의도간의 영향요인 모델에서는 지역사회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로서 사회문화 프로그램, 공동체 역량강화와 개인특성으로 나타났다.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로서는 물리적 환경개선 한 가지만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 애착과 참여의도간의 영향관계 모델에서는 요인으로서 도시재생사업 각 부문에 대한 만족도와 개인특성에 관한 결과는 지역사회 애착과 참여의도의 영향요인 모델과 큰 차이가 없다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지역사회 애착은 참여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사회 애착은 참여의도의 영향관계 모델에서 매개효과가 없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도출된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거지재생사업을 진행하는데에 있어 경제적인 효과와 관광적인 효과를 추구함으로 인해 대외적인 활동은 거주민의 만족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니 신중하게 전개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둘째, 지역사회 애착을 높이기 위해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정기적으로 진행되는 사회문화 프로그램과 지역사회 공동체 강화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셋째, 거주문화나 건축형태를 보호하기 위한 물리적 환경개선 부분의 한계가 있는 경우 주민참여를 확보하기 위하여 지역사회 애착을 높일 수 있는 사회문화 프로그램과 공동체 역량강화 등 사업의 증진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도시재생사업의 주민주도 운영 앵커시설에 관한 이용자 인식 특성에 관한 연구 : 서울시 5개 근린재생 일반형 사업지역 중 상도4동, 성수, 암사를 대상으로

        박재라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8447

        본 연구는 주민주도로 운영되는 도시재생지역 앵커시설에 대한 지역별 이용자 인식 특성 도출, 주민주도 운영 앵커시설에 대한 만족도와 앵커시설과 공동체 의식 함양의 상관관계에 대한 체감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도출하여, 도시재생 사업에서 앵커시설의 안정적인 주민주도 운영을 위한 정책적 방향을 제언하였다. 주민주도 운영 앵커시설에 대한 필요성 인식분석 결과, 앵커시설이 도시재생에서 필요한 시설로써 인지되고 있으나, 앵커시설이 반드시 물리적 시설로만 존재해야한다는 필요성에 대한 체감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민주도 운영 앵커시설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는 성수동, 암사동, 상도4동의 순으로 높았으며, 대상지 3곳 모두에서 앵커시설이 주민공동체 의식 함양과 상관관계가 있는 시설로써 충분히 인지되고 있음이 도출되었다. 주민주도 운영 앵커시설 설립 및 운영에 대한 만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도출 결과, 앵커시설의 설립 시 주민 의견을 적극 반영하는 것, 적극적인 주민참여 분위기를 앵커시설의 설립과 운영과정에서 체감하는 것, 앵커시설 내부 운영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만족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민주도 운영 앵커시설과 주민공동체 의식 함양의 상관관계 체감인식에 대한 영향요소 도출 결과, 사회적 연계 및 새로운 네트워크 형성을 체감한 정도가 높을수록 앵커시설과 주민공동체 의식의 상관관계에 대한 체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발전을 위하여 주민들이 앵커시설에 모이려 하는 의지에 대한 체감이 높을수록 앵커시설과 주민공동체 의식의 상관관계에 대한 체감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한 시대적 흐름의 대전환 상황에서 진행함으로써, 주민주도 운영 앵커시설에 대한 운영자 및 이용자의 인식 특성의 분석을 통하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주민주도 운영 앵커시설이 ‘주민 공동체 의식 형성’과 ‘앵커로서의 순기능 활성화’를 위하여, 나아갈 방향을 제시한 점에 의의가 있다. 앞선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도시재생지역에서 안정적인 주민주도의 앵커시설 운영을 위한 정책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재생 사업에서 앵커시설의 설립 시, 오프라인의 물리적 앵커시설 플랫폼 설립에만 집중하기보다는 비대면 온라인 앵커시설 플랫폼에 대한 적극적인 설립지원을 통하여, 주민의견 반영을 객관화 하고, 주민참여과정을 시각화하여, 앵커 설립에 대한 주민 참여 분위기 체감 향상이 필요하다. 둘째, 앵커 설립과정에서 주민 의견을 합리적으로 반영하기 위한, 다채롭고 타당한 커뮤니티 설계기법이 개발되고 적용되어야 한다. 셋째, 도시재생사업 종료 이후에도, 앵커시설이 안정적인 주민주도형으로 운영되기 위하여, 일정 기간 동안 공공의 재정·행정적·기술적 지원 보완으로 주민주도의 앵커시설 운영을 주민들이 포기하지 않도록 시기적절한 지원이 필요하다. This study proposed a policy direction for stable resident-led operation of anchor facilities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by deriving regional user awareness characteristics, satisfaction with resident-led anchor facilities, and awarenes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nchor facilities and community awarenes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need for resident-led operating anchor facilities, anchor facilities are recognized as necessary facilities in urban regeneration, but there is a low sense of the need for anchor facilities to exist only as physical facilities. Overall satisfaction with resident-led anchor facilities was high in the order of Seongsu-dong, Amsa-dong, and Sangdo 4-dong, and all three target sites were fully recognized as facilities related to the cultivation of residents' community awarenes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r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anchor facility, the more positive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anchor facility, the more positive the anchor facility's internal oper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between resident-led anchor facilities and fostering awareness of the residents' community, the higher the social connection and the formation of a new network, the higher the sense of correlation between anchor facilities and residents' community consciousness. In addition, the higher the feeling of residents' willingness to gather at anchor facilities for regional development, the more positively affected the percept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anchor facilities and residents' community consciousnes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resident-led operating anchor facility presented a direction to "create a sense of community" and "activate net function as an anchor" in the post-corona era through an analysis of the perceptions of operators and users of resident-led anchor facil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vious analysis, policy proposals for the stable operation of anchor facilities led by residents in urban regeneration areas are as follows: First, when establishing anchor facilities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t is necessary to objectify residents' opinions, visualize the process of residents' participation, and improve the atmosphere of residents' participation in anchor establishment by actively supporting non-face-to-face online anchor facility platforms. Second, various and appropriate community design techniques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to reasonably reflect residents' opinions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chors. Third, even after the end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timely support is needed to prevent residents from giving up on the operation of anchor facilities by supplementing public financial, administrative, and technical suppor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 지역공동체 주도 도시재생사업의 프로그램과 참여활동 간의 관계 및 사회적관계망 특성 분석 : 군산 영화타운 및 로컬라이즈 사업을 중심으로

        박주영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8447

        공공주도 도시재생사업의 한계가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Botton-up방식의 지역공동체 주도형 도시재생사업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도시재생사업은 사람 중심의 사업이기 때문에 참여자들의 네트워크가 중요시 된다. 도시재생사업에서 네트워크는 사회적 자본의 기반이 되며, 사회적 자본이 축척되면 지역사회에 경제적, 삶의 만족도, 지속가능성의 측면 등에서 긍정적 역할을 한다. 또한 네트워크는 참여자의 활동을 통해 생겨나므로 초기기반 마련과 지속적으로 유지·관리 할 수 있는 전략이 중요하다. 본 연구 대상지는 지역공동체 주도 도시재생사업지로 네트워크가 순차적으로 일어난 곳이다. 영화타운은 국책연구기관의 활동가가 기획하였고, 지역 주민인 활동가는 단순 참여를 넘어 지역관리회사를 통해 영화타운을 운영·관리하게 된다. 이후 영화타운은 로컬라이즈와 네트워크가 이루어진다. 두 집단은 추후 DIT사업을 협력으로 진행하였고, 일부 참여자는 협업까지 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동체주도 도시재생사업의 프로그램과 참여활동 간의 관계를 DEMATEL을 통해 분석하였고, 네트워크의 특성을 Net-Miner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인적 요소가 가장 강한 변수는 영화타운 프로그램이었다. 지역관리회사 및 창업자의 참여활동은 다른 요소에 매개적 역할을 하고 있었다. 이는 단순한 참여를 넘어 조직화를 통해 대상지를 운영·관리 까지 하게 되면서 나타난 효과라 볼 수 있었다. 로컬라이즈 프로그램은 청년 창업자의 참여활동과 빈 공간 개선 참여활동에 영향을 주고 있었으며, 청년들의 참여활동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초기 주민참여자의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추후에 진행되는 프로그램과 참여활동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참여자가 지속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로컬라이즈 및 DIT' 시기는 네트워크에 확산이 일어났다. 참여자의 대부분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아는 사람이 증가하였다. 즉, 프로그램 참여로 인해 긍정적 네트워크의 확산이 이루어졌다. 영화타운과 로컬라이즈 프로그램은 지역에서 활동할 수 있는 기반과 거점을 마련해 주었다. 또한 후기사업은 선행사업과의 연계 전략을 마련하였기에 두 집단이 교류가 가능했다. 이에 사업초기부터 활동기반을 마련하고 서로 연계할 수 있도록 해야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영화타운' 시기 정보공유 네트워크는 강한 연결의 네트워크로 실제로 협력까지 나아가는데 영향을 주고 있었다. 이는 강한 사회적 자본이 협력을 가능하게 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로컬라이즈 및 DIT' 시기는 협력 네트워크가 아직 활성화의 단계로 발전하지는 않았다. 따라서 정보공유 네트워크가 협업 네트워크 단계로 발전할 수 있도록 연결의 강화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넷째, '영화타운' 시기의 주요참여자는 외부 활동가였으나, ‘로컬라이즈 및 DIT’시기는 지역주민으로 전환되었다. 지역 주민하게 되면서 공동체가 유지될 가능성이 높아 졌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영화타운의 지역주민이 지역관리회사를 설립을 통해 지역 내에서 꾸준히 활동할 수 있었고, 두 집단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성격의 프로그램을 마련하였기에 주민주도로 전환이 가능해졌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공공은 '영화타운' 시기와 '로컬라이즈 및 DIT'시기 외곽에 위치하고 있었다. 그러나 ‘로컬라이즈 및 DIT’시기에 좀 더 중심 참여자와 가까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로 인해 공공은 주요참여자와 중점적으로 네트워크를 맺고 있으며, 지원의 역할을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즉, 공공은 최소한의 개입을 하고 주요참여자와 사업을 진행하면서, 주민의 역량을 강화하고 지역공동체를 형성을 유도하는 역할을 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네트워크가 도시재생사업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수평적 네트워크이자, 개방적이며, 집단 간 연결되어진 연결적 네트워크로 발전시켜야한다. 이를 위해서는 사업 초기 주민의 지속적 참여활동이 가능하도록 기반 및 거점을 마련하여야 한다. 또한 후행사업 진행시 이전 사업과 연계를 고려하여야 한다. 아울러 이러한 집단이 지역 내 주민까지 연결되도록 전략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정보공유는 신뢰와 규범을 생성시키고 이로 인해 협력으로 나아가게 한다. 정보공유도 중요하나, 도시재생사업에서 생산성을 통한 지역활성화를 위해서는 협력으로 발전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정보공유 네트워크가 협력까지 나아갈 수 있도록 참여자들 간 협력의 기회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이때 지역 및 참여자의 특성을 고려한 프로그램을 통해 참여자 참여활동이 자발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지역공동체의 지속가능성과 Botton-up방식의 효과를 위해서는, 주민인 참여자가 사업을 이끄는 것이 필요하다. 단순 참여뿐 아니라 이를 조직화하고 주민이 사업을 이끌어 나갈 수 있도록 주민의 역량을 강화하여야 한다. 이때 역량 있는 외부 전문가를 영입하여 사업을 진행하면서 주민의 역량을 강화해 나가는 것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공공은 지역의 공동체가 활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하되, 핵심이 되는 중심 참여자와는 꾸준한 상호작용 하는 것이 필요하다. 수직적인 정보의 흐름은 지양하되, 참여자들이 활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로 인해 지역공동체가 지속적이고 자발적인 참여활동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유도하여야 한다.

      • 인구감소지역에서 도시재생사업 앵커시설 계획의 선호도와 지역공동체 향상 기대감 및 지속거주의향의 영향에 관한 연구 : 경상북도 일반근린형 도시재생사업 완료 예정지역을 중심으로

        송병철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8447

        This study analyzes the preference of residents for the anchor facility plan in the planning stage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and examined whether the anchor facility plan had a direct or indirect effect on the expectation of improvement of the local community and the intention of continuous residence. In addition, by deriving facilities and program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residents' preferences,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anchor facility plan were presented. As the result of analysis of preference for anchor facility plans by region, Non-physical programs for supporting start-up/youth/senior/living and cultural facility plan, and Physical regeneration projects for women and multi-cultural support facility plan, Physical and non-physical regeneration projects for infant and child support facility plan are appeared to be preferred by local residents. In terms of regional preference differences, the Non-physical program for supporting start-up facility plan was preferred higher in Yeongyang-gun than in Seongju-gun, and the Physical regeneration project for infant and child support facility plan was higher in Seongju-gun than in Yeongyang-gun. Uiseong-gun and Seongju-gun preferred Non-physical programs for infant and child/youth support facility plans and Physical regeneration projects for women and multi-cultural support facility plans than Yeongyang-gun. And in the non-physical programs for senior support facility plan, Yeongyang-gun was higher than the Uiseong-gun. Also, Uiseong-gun preferred non-physical program for living and cultural support facility plan than Yeongyang-gun's. Among the preference items of the anchor facility plan, Non-physical programs for infants and children, youth, and senior support facilities and Physical regeneration projects for the living and cultural facilities were analyzed as factors that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expectation of improvement of the local community.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of continuous residence by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were the Non-physical programs for youth support facilities among the preferred items of the anchor facility plan, the Degree of reflection of resident opinions among the resident participation items, and the Satisfaction of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influence between factors, it was found that the facility and program plan of the anchor facility plan affected the expectation of improvement of the local community, bu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o intention of continuous residence. In this study, the preference for the anchor facility plan was evaluated and analyzed in the stage of urban regeneration activation plan when residents can actively participate and reflect opinions, so It is meaningful in that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anticipation for improvement of local community and intention of continuous residence. Through the analysis result, the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direction for anchor facilities to be planned in the future are as follows. First, the anchor facility plan needs to be carried out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nd collecting the opinions of the residents. This is supported by the fact that the reflection of residents' opinions in the resident participation item has a positive (+) effect on the expectation of improvement of the local community and the intention of continuous residence by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Second, the anchor facility plan should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nd facilities and programs should be suitable for the region. Third, future anchor facility plans need to focus on Non-physical programs and supporting the younger age group. It was found that local residents preferred non-physical programs to physical regeneration projects, and preferred support for younger age groups such as infants, children, and youth. Therefore, in the anchor facility planning process, encouraging local characteristics and local residents' participation and selecting regionally-tailored support facilities and programs can be seen as contributing to the achievement of the purpose of anchor facilities for local community revitalization.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 활성화 계획 단계에서 주민들의 앵커시설 계획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고, 앵커시설 계획이 지역공동체 향상 기대감 및 지속거주의향에 대하여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주민들의 선호도 분석에 따른 시설 및 프로그램을 도출하여 도시재생사업 앵커시설계획의 개선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 하였다. 지역에 따른 앵커시설 계획에 대한 선호도 분석 결과, 비물리적 프로그램사업으로 창업지원 시설계획, 청소년 지원시설 계획, 노인지원시설계획, 생활・문화 지원시설 계획, 물리적 재생사업으로 여성・다문화 지원 시설계획, 물리적・비물리적 재생사업에서 유아・어린이 지원시설계획 항목이 지역주민들이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의 차이로는, 창업지원 시설계획을 위한 비물리적 프로그램사업은 영양군이 성주군에 비해 높았고, 유아・어린이 지원시설계획 물리적 재생사업은 영양군에 비해 성주군이 높았다. 유아・어린이 지원시설계획 및 청소년 지원시설계획을 위한 비물리적 프로그램 사업과 여성・다문화 지원시설계획을 위한 물리적 재생사업은 영양군에 비해 의성군, 성주군이 높았고, 노인지원시설계획을 위한 비물리적 프로그램 사업은 의성군에 비해 영양군이 높았다. 또한 생활・문화 지원시설 계획을 위한 비물리적 프로그램 사업은 영양군에 비해 의성군이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앵커시설 계획의 선호도 항목 중 지역공동체 향상 기대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유아・어린이, 청소년, 노인 지원시설을 위한 비물리적 프로그램 사업과 생활・문화시설을 위한 물리적 재생사업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여성·다문화 지원 시설 및 창업 지원시설을 위한 물리적 재생사업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분석 되었다. 그리고, 주민참여 항목 중 앵커시설계획에 대한 주민의견의 반영 정도, 응답자 특성 항목 중 직업 여부, 월평균 소득이 지역공동체 향상 기대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재생사업에 의한 지속거주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앵커시설 계획의 선호도 항목 중 청소년 지원시설을 위한 비물리적 프로그램 사업, 주민참여 항목 중 주민의견 반영정도, 응답자 특성 중 동네환경 만족도로 나타났다. 요인 간의 영향관계에 대한 분석 결과, 앵커시설계획의 시설 및 프로그램 계획이 지역공동체 향상 기대감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지속거주의향의 영향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주민들이 도시재생 사업의 진행 과정 중 적극적인 참여와 의견 반영이 가능한 시점에서의 도시재생 활성화계획 단계의 앵커시설 계획에 대해서 선호도 평가를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앵커시설계획의 선호도와 지역공동체 향상 기대감 및 지속거주의향의 영향관계를 파악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분석 결과를 통해, 향후 계획될 앵커시설 계획의 개선방향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앵커시설 계획은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며 진행 할 필요가 있다. 주민참여 항목의 주민의견 반영이 지역공동체 향상 기대감과 도시재생 사업에 의한 지속거주의향의 영향과 정(+)의 영향관계에 있는 것이 이를 뒷받침 해준다. 둘째, 앵커시설 계획은 지역의 특성을 반영하고 지역에 적합한 시설 및 프로그램이 도입되어야 한다. 셋째, 향후 진행되는 앵커시설 계획은 비물리적 프로그램 사업과 낮은 연령층의 지원사업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지역 주민들은 물리적 재생사업 보다 비물리적 프로그램 사업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아, 어린이, 청소년 등 낮은 연령층에 대한 지원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앵커시설 계획과정에서 지역의 특성과 지역 주민들의 참여를 독려하고, 지역맞춤의 중점지원시설 및 프로그램을 계획하는 것이 지역의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앵커 시설로서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 도심형 산업 밀집지역 도시재생사업에서 신규입주업체의 입주유형별 거래협력네트워크 특성에 관한 연구 : 세운상가 일대 도시재생사업 1단계 지역을 중심으로

        길현기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8447

        본 연구는 대상지는 세운상가 일대 도시재생사업지역 중 마중물사업이 완료된 1단계 구간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서울형 도시재생사업 중 중심시가지형 도시재생사업이 해당된다. 도심 내 지역산업 활성화를 위하여 거점시설을 조성하고 세운메이커스 큐브를 조성하여 청년 스타트업을 유입을 유도한 산업재생, 종묘에서부터 남산까지 보행데크로 연결하는 보행재생, 지속가능하고 주민 주도의 재생사업을 위한 공동체 재생사업으로 추진되었다. 특히 거점시설을 조성하여 많은 외부 입주업체를 입주시켰으며, 산업 활성화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지역 장인과 젊은 청년 스타트업과의 협업을 유도하여 지역산업을 활성화 시킨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이에 따라 도시재생사업 이후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새롭게 입주한 업체의 입주 특성을 파악하고 재생 사업 및 거점시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도심형 산업 밀집 지역으로 신규입주업체들의 거래관계 및 세운상가 일대의 거래협력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지역업체들과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신규입주업체를 입주유형을 공모형 신규입주업체와 자생형 신규입주업체로 구분하였다. 공모형 신규입주업체는 공공에서 재생사업활성화를 위하여 시 소유공간인 세운메이커스 큐브에 공모를 통해 모집한 업체와 협약을 통해 입주시킨 전략기관, 그리고 거점시설 운영 및 활성화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중간 지원 조직으로 정의하였으며, 자생형 신규입주업체는 재생사업 시작 이후 공공의 지원 없이 민간 공간에 스스로 입주한 업체를 말한다. 분석 결과 첫째, 신규입주업체의 입주유형별 업종 및 특성으로 전체적으로 신규입주업체는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공모형 신규입주업체는 제조서비스업체와 디자인업체가 많이 입주해 있는 반면 자생형 신규입주업체는 문화예술, 도소매업체가 많이 입주해 있으며 입주유형에 따라 시기별로 업종 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둘째 거점시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PLS-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공모형 신규입주업체의 만족도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창업 공간, 상권 및 상업 활성화, 음(-)의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교통 접근성과, 공동체 활성화로 확인되었다. 자생형 신규입주업체는 만족도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창업 공간, 지역 이미지 개선, 음(-)의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거점시설 입지, 문화전시 및 교육 공간으로 입주유형별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신규입주업체의 유형별 거래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크게 업무거래관계와 친목도모관계를 살펴보았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공모형 신규입주업체는 단순 거래, 용역을 받는 거래, 신규입주업체 간 정보교류, 친목 도모관계를 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자생형 신규입주업체는 업무거래관계는 많은 반면 신규입주업체 간 정보교류 및 친목 도모관계와 같은 친목 관계는 적을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거래관계는 산업 활동의 기초가 되고 친목 도모관계는 산업혁신의 바탕이 되므로 공모형 신규입주업체가 도심형 산업집적지에서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신규입주업체의 유형별 거래협력네트워크를 세운상가 일대로 살펴보면 거래관계에서 살펴보았듯이 공모형 신규입주업체가 자생형 신규입주업체에 비해 세운상가 일대와 많은 거래협력네트워크가 형성됨을 알 수 있어 도새재생사업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라고 할 수 있겠다. 주요 시사점으로는 첫째, 산업재생을 통해 재생사업을 추진할 경우에는 업종변화 및 주변 지역 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입주유형, 업종, 등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지속적인 도시재생사업이 추진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입주유형별로 거래관계 및 거래협력네트워크에 차이가 있으며, 활성화 프로그램 참여 등으로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어 공모형 신규입주업체에 국한하지 말고 자생형 신규입주업체도 도시재생사업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추진 할 필요가 있다. 셋째, 거점시설에 대하여 업종 및 운영방식에 대하여 고정시키지 말고 거래관계 및 거래협력네트워크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산업과 연계 가능한 업종에 대하여 입주 시킬 필요가 있겠다.

      • 역사문화거리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만족도가 향후 주민참여의사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 중국 소주우시 평강 역사문화거리 중심으로

        왕준이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8431

        국문초록 중국은 도시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도시의 규모가 크게 확대되었다. 이에 따라 도시를 구성하는 역사적 거리들은 시간이 지날수록 그 성능이 저하되기 시작했다. 이를 보호하기 위해 대규모 관광 재생사업을 진행해왔다. 하지만 소규모 도시재생사업의 중요성도 인지하고 사업을 시행해왔으며, 거주지역과 상업지역이 공존하는 역사문화지역에서 재생효과가 나타났다. 향후 주민들의 커뮤니티 소속감을 고취시킴으로써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거주민과 상인의 인식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인식을 갖게 되었다. 이에 중요성이 점차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족은 “상향식”의 주민의견 수렴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전환해야 하는 점에 대해 평가를 진행하고, 거주민과 상인의 향후 적극적 참여 유도하기 위해 소규모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만족도과 향후 참여와의 연향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대상지는 중국 소우주시 상업과 거주가 공존하는 지속적인 소규모 도시재생사업을 진행해왔다. 주거 기능과 건축물의 80 %가 그대로 유지되고 이웃 관계도 50 %는 그대로 유지된 것으로의 평강 역사문화거리를 선정하였다. 연구의 영향관계분석은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바탕으로 IPA, PLS-휘귀분석, PLS-구조방정식을 통해 거주민과 상인의 재생사업 중요도 인식, 전체 만족도와 향후 주민참여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며, 이를 통해서 향후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개인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거주민은 주로 20대, 30대 미혼의 임대 가구가 많고 교육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거주기간은 1년-5년 사이에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월 평균 소득은 3000원 이상~5000미만 저액소득 인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인은 주로 20대, 30대,40대 이혼의 임대 점포가 많고 교육수준이 거주민보다 늦은 편이 것으로 나타났다. 장사기간은 3년-5년 사이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민의 전체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는 한천 및 가로경관 개선, 주차장 개선, 공공 공간 및 가로 보행환경 개선, 보안방법 개선, 소매업 유치, 상인 역량 강화 프로그램, 자원봉사 활동, 대외적 역사문화 전시활동, 개인특성 부문에서 기존 참여정도가 전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났다. 상인의 전체 만족도를 분석 결과는 한천 및 가로경관 개선, 주차장 개선, 기존 역사문화건축물의 정비 및 개선, 자원봉사 활동, 대외적 역사문화 전시 활동, 개인특성 부문에서 기존 참여정도가 전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났다. 재생사업 만족도와 향후 참여의사의 영향관계 분석 결과는 거주민은 개인특성은 향후 주민참여의사에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리적 재생사업은 재생사업의 만족도와 향후 주민참여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났다. 비 물리적 재생사업은 재생사업의 만족도에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생사업의 만족도 매개효과 분석 결과 비 물리적 재생사업과 물리적 재생사업은 재생상업의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생사업의 만족도는 직접적인 향후 주민참여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나서 재생사업의 만족도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인은 개인특성과 물리적 재생사업과 비 물리적 재생사업은 재생사업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다. 재생사업의 만족도 매개효과 분석 결과 재생사업의 만족도는 향후 주민참여의사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서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물리적 재생사업과 비 물리적 재생사업은 직접적인 향후 참여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해 도출된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동 점은 지역경관, 주차장 등 이러한 공공 이용 공간 재생사업에 정책 과제로 삼아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다. 비 물리적 재생사업 중 이는 외부 관심을 초래할 수 있으면서 홍보도 할 수 있는 다양한 이벤트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다. 차이점은 상가에서 자전거 주차공간과 쉬는 공간의 구분에 못 해서 도로 혼잡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향후 자전거 주차공간과 쉬는 공간의 개선에 집중해야 하는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다. 축제와 이벤트를 정기적이고 장기적으로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다. 둘째, 거주민이 재생사업에 대한 만족감 높이를 통해 적극적으로 참여를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물리적 재생과 비 물리적 재생사업에 대해 정책적으로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상인이 물리적 재생과 비 물리적 재생사업에 대해 정책적으로 초점을 맞춤을 통해 상인이 관심을 가지는 의경이나 아이디어를 제안함으로써 적극적 참여 유도하도록 정책적으로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셋째, 역사문화 거리 소규모 도시재생사업 중 물리적 재생사업과 비 물리적 재생사업에 초점을 맞춰 만족감을 높임 및 참여를 통해 적극적 참여시키기 위해서 정책과정에서 거주민과 상인의 참여가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하다. 또한 향후 소극적 참여 단계부터 적극적 참여 단계로 유도하도록 거주민과 상인의 개입이 제한하지 않은 참여형태가 진행해야한 필요가 있다. 주요 용어: 역사문화거리, 소규모 도시재생사업, 도시재생사업, 주민참여, IPA, PLS-회귀분석, PLS-구조방정식, 평강 역사문화거리 In China, urbanization has progressed rapidly, and the size of cities has greatly expanded. Accordingly, the historical streets that make up the city began to deteriorate over time. To protect this, large-scale tourism regeneration projects have been carried out. However, the importance of small-scal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has been recognized and implemented, and the regeneration effect has been shown in historical and cultural areas where residential and commercial areas coexist. In order to induce active participation by inducing residents' sense of belonging to the community in the future, the awareness of residents and merchants has come to play an important role. The importance of this is gradually emerging. The Mok family in this study evaluates the need to switch to a method that combines “bottom-up” gathering of residents’ opinion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small-scal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nd future participation in order to induce active participation of residents and merchants in the future. The relationship was analyzed. The study site has been conducting a continuous small-scale urban regeneration project where commerce and residence coexist in Souzhou, China. The Pyeonggang History and Culture Street was selected as 80% of the residential functions and buildings were maintained as they are, and 50% of the neighborhood relationship was maintained. Based on the survey and interview, the impact relationship analysis of the study is based on the IPA, PLS-Historical Analysis, and PLS-Structural Equation to identify the importance of the regeneration project among residents and merchants, and what factors affect overall satisfaction and future resident participation. In this regard, future policy implications were presented. The results of this study's analysi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showed that the residents were mostly in their 20s and 30s, unmarried rental households, and had a high level of education. Most of the residence period was between 1 and 5 year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are many low-income people with an average monthly income of 3,000 won to less than 5,000 won. Merchants, mainly in their 20s, 30s, and 40s, had many rental stores and their education level was later than that of residents. The longest working period was between 3 and 5 year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overall satisfaction of residents are as follows: agar and streetscape improvement, parking lot improvement, public space and street pedestrian environment improvement, security method improvement, retail business attraction, merchant competency strengthening program, volunteer activity, external historical and cultural exhibition activity, personal characteristics The effect of the existing participation level on overall satisfaction was found in the sector. As a result of analyzing merchants' overall satisfaction, the effect of existing participation on overall satisfaction in agar and streetscape improvement, parking lot improvement, maintenance and improvement of existing historical and cultural buildings, volunteer activities, external historical and cultural exhibition activitie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was analyzed. appea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the rehabilitation project and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future, it was found that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residents directly affect only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future. The effect of the physical rehabilitation project on the satisfaction of the rehabilitation project and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future was shown. It was found that the non-physical regeneration project had a direct effect only on the satisfaction of the regeneration projec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satisfaction mediating effect of the recycling business, it was found that the non-physical recycling business and the physical recycling business directly affect the satisfaction of the recycling business. In addition, the satisfaction of the rehabilitation project showed a direct effect on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future, so it was confirmed that the satisfaction of the rehabilitation project had a mediating effect.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cause of death and the physical and non-physical regeneration projects do not affect the satisfaction of the regeneration projec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on satisfaction of the rehabilitation project, it was confirmed that the satisfaction of the rehabilitation project did not have any mediating effect because it did not affect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future.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physical and non-physical regeneration projects directly affect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future. The policy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judged that the common point needs to be supported as a policy task for these public space regeneration projects such as local landscapes and parking lots. Among the non-physical regeneration projects, it is judged that various events that can cause external interest and promote publicity are necessary. The difference is that road congestion occurs due to the inability to distinguish between bicycle parking spaces and rest areas in shopping malls. It is judged that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improvement of bicycle parking spaces and rest areas in the future.It is judged necessary to conduct regular and long-term festivals and events. Second, in order for resident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regeneration project by increasing their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physical and non-physical regeneration projects as a policy.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policy to induce the active participation of merchants by proposing ideas or ideas that merchants are interested in through policy focusing on physical and non-physical regeneration projects. Third, in order to increase satisfaction and actively participate through participation by focusing on physical and non-physical regeneration projects among small-scal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street, the necessity of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and merchants in the policy process is raised.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proceed with a form of participation that does not limit the intervention of residents and merchants to lead from the passive participation stage to the active participation stage in the future. Keywords: Historical and cultural streets, small-scal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urban regeneration projects, resident participation, IPA, PLS-Regression Analysis, PLS-Structural Equation, Pyeonggang History and Culture Distance

      • 거주지 근린환경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중 여가통행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전업주부 및 무직자의 쇼핑, 레져, 외식 통행을 중심으로

        이남휘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38415

        도시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통행들과 도시의 공간구조 및 기능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다수 진행되었지만 기존 연구의 상당수는 통근통행이 대상이었다. 근린생활권 범위 내 일상적인 활동들과의 영향관계가 더 클 것으로 예상되는 비통근통행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최근 여가활동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발생되는 여가통행은 도시 내에서의 주요 비통근통행으로 볼 수 있다. 평일에 일상적으로 발생되는 거주지를 중심으로 한 여가통행은 도시의 공간구조 및 기능의 기본이 되는 거주지 주변 근린환경 특성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추정된다. 도시 내 일상적인 활동들이 이루어지는 근린생활권을 대상으로 하는 도시계획들이 실효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전업주부, 무직자와 같은 비경제활동인구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거주지를 중심으로 한 주중 여가통행의 주 대상자를 전업주부 및 무직자로 설정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한 주중 여가통행이 근린환경 특성 요인들과 어떤 영향관계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주중 여가통행을 쇼핑통행, 레져통행, 외식통행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각 유형별 주중 여가통행 거리와 통행 출발지의 개인·가구특성, 입지·통행특성, 토지이용특성간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인 특성 중에는 나이 변수가 모든 유형의 여가통행에 영향을 주고 있었으며, 성별은 레져통행과 외식통행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연령대가 높을수록, 남자보다는 여자가 주중 여가통행 거리가 짧게 나타난 것은 여성 및 중년·노년 세대의 여가활동이 거주지를 중심으로 하는 생활권 범위에서 많이 이루어진다는 것으로 판단되어 진다. 전업주부·무직·학생과 중년·노년 세대가 포함되는 비경제활동인구를 대상으로 한 여가서비스 공급이 필요할 것이다. 가구 특성 중 미취학아동은 모든 유형의 여가통행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미취학아동이 있는 가구의 주중 여가통행 거리가 짧아지는 것은 미취학아동들이 일상적인 여가활동에 제약조건이 된다는 것으로 판단되어 진다. 미취학아동이 있는 젊은 가족세대의 인구분포가 많은 지역에 대한 근린생활권 범위의 적정한 여가기능 공급이 필요할 것이다. 거주주택 형태는 쇼핑통행에만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파트에 비하여 다세대·다가구·단독주택과 기타유형 주택에 사는 가구의 주중 쇼핑통행 거리가 짧게 나타났다. 이는 저층주거지역 내 근생시설, 주상복합의 저층부 상업시설 등에서 일상적인 쇼핑이 이루어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주거지역 주택유형별 거주민 생활특성과 주거 환경을 반영한 여가기능 도입이 필요할 것이다. 입지 특성 중 출발권역은 쇼핑통행 및 레져통행과 영향관계에 있었다. 출발권역 중 도심권이 나머지 권역 보다 쇼핑통행 거리가 길게 나타났고, 서남권과 동남권은 상대적으로 레져통행 거리가 길게 나타났다. 도심권은 타 권역에 비하여 상업 및 업무지역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으며, 서남권은 준공업지역 비율이, 동남권은 업무지역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입지적 특성이 주중 여가통행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지역별 일률적인 여가기능 공급이 아닌 해당 지역의 근린환경 특성이 고려된 차별화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통행 특성 중 최초 교통수단은 모든 유형의 여가통행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주거지 생활권 범위에서의 주중 여가통행은 승용차나 버스·지하철 보다는 보행을 통하여 발생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주거지를 중심으로 한 도시민들의 원활한 여가활동을 위한 보행 중심의 근린환경 조성이 필요할 것이다. 통행 특성 중 대중교통 접근성은 버스정류장 접근성과 레져통행만 영향관계에 있었다. 버스정류장이 멀 수 록 레져통행 거리는 짧게 나타났다. 대중교통 접근성이 나쁠 때 생활권 범위 내에서 레져활동이 이루어 질 것으로 추정된다. 대중교통 특히 버스정류장의 접근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지역에 대한 근린생활권 범위의 레져기능 공급이 필요할 것이다. 토지이용특성 중에 상업시설 연면적은 쇼핑통행과 외식통행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주거시설 연면적은 쇼핑통행과 레져통행에, 기타시설 연면적은 레져통행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상업시설 연면적이 많을 수 록 주중 쇼핑통행, 외식통행 거리가 짧게 나타났다. 이는 근린생활권 범위에서 상업시설이 주중 여가활동 중 쇼핑과 외식활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일상적인 쇼핑, 외식활동을 위해서는 광역생활권 범위의 복합 여가시설과는 차별성을 가지는 근린생활권 범위 여가시설의 적정한 공급이 필요할 것이다. 주거시설 연면적은 쇼핑통행과 레져통행에 영향관계가 나타났다. 주거시설 연면적이 많을 수 록 레져통행 거리가 짧게 나타난 것은 주중 레져활동이 주거지역 내에서 많이 발생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주거지역 내에서 편리하게 레져활동을 할 수 있도록 근린생활권 범위의 적정한 레져기능 도입이 필요할 것이다. 공공시설 등이 포함된 기타시설 연면적은 레져통행과 영향관계가 나타났다. 기타시설 연면적이 많을 수 록 레져통행 거리가 짧게 나타난 것은 근린생활권 범위에서 공공시설 등이 주중 여가활동 중 레져활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근린생활권 내 공공시설을 활용한 레져기능 도입이 필요할 것이다. 실증분석 결과로 다양한 근린환경 특성들이 주중 여가통행과 영향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근린환경 특성 중 거주 주택형태, 출발권역, 대중교통 접근성, 단일용도 연면적 등의 물리적 특성이 주중 여가통행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서울시 주중 여가통행에 영향관계가 확인된 물리적 특성 변수들의 분석 결과는 도시계획 측면에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서울시는 통근·통학·쇼핑·여가 등 주민들의 일상적인 생활 활동이 이루어지는 지역생활권 계획을 포함하는 서울생활권계획을 수립하였다. 서울생활권계획의 지역별 발전구상, 지역별 공간관리지침 관련 내용은 서울시의 다양한 도시계획 및 도시관리에 활용된다. 서울생활권계획에서 일상적인 여가생활을 고려한 근린생활권별 여가기능 계획이 제시될 수 있도록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가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서울시 주중 여가통행에 영향관계가 확인된 물리적 특성 변수들의 분석 결과는 서울시 지역생활권 세부계획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신도시 산업구조 변화 경향과 유입통근자 특성 분석 : -수도권 1기 신도시를 대상으로-

        김민수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8415

        수도권 1기 신도시 건설 후 시간이 흐름에 따라 신도시에 대한 부정적 평가가 긍정적 평가로 전환되었다(김현수, 2005; 장준상 외, 2006; 정다운 외, 2010; 이희연 외, 2008; 이수기 외, 2015; 국토연구원, 2020). 대표적인 평가지표인 직주비(Jobs-Housing ratio)가 상승하면서 신도시의 고용기능이 성숙해졌을 뿐만 아니라 지역에 대한 고용 중심성을 가지게 되었다고 평가하였다. 평가지표는 자료의 총량을 사용하여 세부적으로 어떤 산업이 직주비 상승에 기여하였고 어디서 어떤 특성을 가진 통근자가 유입되는지는 확인할 수 없다. 신도시의 직주비 상승이란 경제기반이 성장하였음을 의미하며 1기 신도시는 서비스업 중심의 경제기반을 가지고 있다. 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숙박 및 음식점업과 관련된 소비자 서비스업과 금융 및 보험업,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과 관련된 생산자 서비스업으로 구분된다. 1기 신도시가 고차 생산자 서비스업 성장에 의한 고차 중심지인지 저차 소비자 서비스업 성장에 의한 소비도시로서 기능하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국내에 서비스업 특성에 따라 분류하여 신도시의 산업구조를 분석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직주비 상승은 통근통행에도 영향을 미친다. 지속가능한 신도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직주비보다는 주변과의 관계를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Cervero, 1995a). 국내 1기 신도시의 주된 유입통근 출발지는 인접한 도시라고 분석한 연구도 진행되었다(안국현 외, 2006; 정다운 외, 2010; 이수기 외, 2015). 유입통근자 분석 시 유입통근자의 출발지를 구분하여 신도시의 주요 유입지역인 인접지역 유입통근자 특성뿐만 아니라 신도시 산업이 성장함에 따라 원거리 유입통근자 특성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확인할 필요성이 있다. 국내에는 주변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출발지별로 신도시 유입통근자의 특성을 분석한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는 수도권 1기 신도시의 성장을 산업과 통근 측면에서 세부적으로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시간적 범위를 2002년과 2016년,공간적 범위는 산업구조 변화 경향은 신도시의 산업에 집중하여 1기 신도시, 유입통근자 특성 분석은 주변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수도권으로 설정하였다. 신도시 산업구조 변화 경향은 신도시 산업을 특성에 따라 생산자 서비스업, 소비자 서비스업, 기타 도시적 산업, 비도시적 산업으로 분류하여 산업별 종사자 수 변화를 확인하였다. 신도시 유입통근자 특성 분석에서는 유입통근 출발지를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출발지를 신도시 내부, 인접지역 유입, 원거리 유입으로 구분하여 차이검정(x²검정, ANOVA)과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을 활용해 출발지에 따른 신도시 유입통근자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기 신도시의 산업별 종사자 수는 2002년부터 2016년까지 생산자 서비스업에 비해 소비자 서비스업 종사자 수 증가량이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산업구조에 영향을 미칠 만큼 생산자 서비스업이 성장한 신도시는 분당신도시 정도이다. 둘째, 1기 신도시 유입통근자의 출발지는 신도시 인접지역에서의 유입이 점점 강해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초기에는 분당, 일산으로의 유입통행량이 많아 중동, 평촌, 산본과 같은 신도시는 주변에서의 유입을 확인하는 데 한계가 있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5개 신도시 모두 주변에서 유입통근량이 증가하여 주변에서의 유입이 강화되었다. 셋째, 출발지에 따른 1기 신도시 유입통근자 특성은 직업, 월평균소득, 고용형태, 주택유형을 중심으로 차이가 있다. 신도시는 시간 경과에 따라 산업이 성숙하여 원거리 행정·사무직에 대한 흡인력을 가지게 된다. 특히 분당과 일산은 행정·사무직뿐만 아니라 전문·기술직 종사자인 원거리 유입통근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분당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인접지역 유입통근자와의 소득격차는 사라지고 원거리 유입통근자의 소득이 신도시 내부통근자에 비해 더 높아지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일산은 신도시 내부통근자는 하위·상위 소득계층이 혼합된 소득구조를 가지고 인접지역 유입통근자가 중위 소득계층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 중동과 평촌은 신도시 내부통근자가 중위 소득계층이고, 인접지역 유입통근자가 하위·상위 소득계층이 혼합된 소득구조를 가지는 경향이 있다. 산본은 인접지역 유입통근자가 신도시 내부통근자에 비해 높은 소득수준을 가지는 경향이 발견되었다. 고용형태 측면에서 신도시의 일자리는 대부분 전일제의 고용형태를 가지고 있지만, 평촌, 산본은 인접지역 유입통근자가 시간제 및 기타의 고용형태를 가지는 경향이 있다. 주택유형 측면에서 분당과 일산은 인접지역 유입통근자의 아파트 거주가 증가하고 있는 경향을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중동, 평촌, 산본은 신도시 내부통근자의 아파트 거주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수도권 1기 신도시의 성장을 산업구조 변화 경향과 유입통근자 특성 분석을 통해 세부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를 가진다. 직주비 상승에 대한 소비자 서비스업의 영향이 크기 때문에 향후 신도시 계획에서는 생산자 서비스업 관련 기업을 초기시점부터 지속적으로 유치하는 장기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신도시가 인접지역 통근자를 끌어들임으로 인해 비효율적 통근을 줄이고 직주근접 달성을 통해 자족성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1기 신도시 자체의 자족성만을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신도시 주변까지 확장된 범위의 신도시 자족성에 대해 고려할 필요가 있다. 신도시 유입통근자의 특성은 각 도시별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직업, 월평균소득, 고용형태, 주택유형의 차이는 각 신도시의 특성 및 개발 배경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신도시 계획 시 목표에 부합하는 산업기능계획을 설정하는 데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중국 내 경제적 불평등이 사회적 자본 및 주관적인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도시와 농촌 거주자의 비교

        려송양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38399

        본 연구는 중국을 대상으로 먼저 경제적 불평등이 주민의 주관적인 행복감 및 사회적 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을 이론적으로 탐구한 후 미시적 조사 데이터와 실증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경제적 불평등과 주민의 주관적인 행복감 및 사회적 자본 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검증을 실시하였다. 경제적 불평등은 중국의 25개 성/시/자치구를 대상으로 2016년과 2020년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개인 수준의 Kakwani 지수와 지역 수준의 지니계수를 측정하였다. 주관적인 행복감, 사회적 자본, 개인 특성 변수는 China Family Panel Study 데이터에 있는 설문항목을 통해 구성하였다. 방법론으로 종속변수인 주관적 행복감은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였고, 사회적 신뢰는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사회적 네트워크 경우에는 OLS 모형을 활용하였으며, 커뮤니티 의식과 조절 효과와 분석에서의 종속변수인 주관적인 행복감은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주관적인 행복감은 주로 삶의 만족도와 미래에 대한 자신으로 구성하여 사회적 자본 요소는 사회적 신뢰, 커뮤니티 의식, 사회적 네트워크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경제적 불평등과 주관적인 행복감과 같이 다른 행복감 연구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중국을 대상으로 경제적 불평등이 높을수록 주관적인 행복감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경제적 불평등과 주관적인 행복감의 영향관계가 도시와 농촌 유형에 따른 차이가 있다는 것을 나타났다. 농촌 지역의 거주자보다 도시 지역의 주민의 삶의 만족도와 미래에 대한 자신에 더 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서구와 중국을 대상으로 경제적 불평등에 따른 사회적 자본 수준을 분석한 연구들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구조적 요소인 사회적 네트워크는 도시에 거주자에게 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인지적 요소인 커뮤니티 의식은 농촌 거주자에게 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에서 경제적 불평등과 주관적인 행복감의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커뮤니티 의식, 사회적 네트워크에 의해 완화할 수 있으며, 도시지역에서 더 강력한 조절 효과를 가진다. 농촌 주민들은 여전히 자신들의 커뮤니티를 긴밀한 집단으로 여길 수 있는 반면, 도시 시장 경제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전통적인 커뮤니티 문화가 부분적으로 침식될 수 있기 때문에 도시 주민들의 커뮤니티 의식을 약화할 수 있으며 사회적 네트워크 활용 및 의존도의 도시-농촌 차이는 왜 사회적 자본의 조절 효과가 도시 지역에서 더 강하게 나타났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의 주요 시사점은 첫째, 도시지역에서 사회적 자원은 중, 저소득층에 집중해야 하며 중, 저소득층의 사회적 보장 문제를 해결하고 더 많은 혜택을 제공하며, 생활수준과 주관적인 행복감을 보장한다. 또한 사회적 신뢰 수준을 높이고 더 많은 사회적 자본을 촉진한다. 높은 수준의 사회적 신뢰, 사회적 네트워크와 커뮤니티 의식이 되는 긴밀한 사회 활동 참여를 촉진하고 개인의 주관적인 행복감 수준을 향상할 수 있다. 둘째, 농촌지역에서 농촌 활성화와 빈곤 완화 목표를 위해 농촌지역 교육에 대한 투자를 늘려야 한다. 또한 더 많은 교육을 받으면 개인의 소득 획득 방법과 기회가 늘어나고, 소득분배 격차 확대 및 빈곤 심화로 인해 주민의 주관적인 행복감의 저하를 억제한다. 셋째, 전체적으로 도시와 농촌에서 다른 소득 계층을 좁혀보며 소득 격차 해소한다. 도시와 농촌 간의 균형발전을 도모하여 도시와 농촌 주민계층의 고착화를 방지하고 사회적 형평성을 증진하고 보장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