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 대학에서의 뉴미디어음악학과 개설과 특성화 전략에 대한 연구

        최붕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831

        중국 실용음악의 발전은 사회와 국민의 필요에 따른 것이고, 아울러 자체 발전의 필요에 따른 것이다. 시대의 발전과 변화에 적응하고 국민의 필요와 기대에 부응하려면 자체의 발전을 통해 더 많은 작품들을 창작하고 우수한 인재를 배출해야 한다. 중국 대학의 실용음악학과는 1990년대 이후 지금까지 30여 년의 교육 역사를 가지고 있지만, 정보화 시대가 도래하면서 정보기술이 사회 곳곳에 급속히 영향을 미치면서 사람들의 사회 공간과 생활 방식을 변화시키고 있으며, 교육 형식의 변화도 갈수록 시급해지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을 전제로 중국 대학의 음악 교육, 특히 실용음악학과 교육이 어떻게 하면 학과의 위치를 세우고 그 자리에서 최대한 교육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인가? 또 현재 중국 대학들은 사회, 언론, 청소년의 기대에 부응하는 정보화 시대에 발맞춰가고 있는 것일까? 앞으로 대학에서 실용음악학과의 구축을 강화하는 것이 대학 음악교육의 발전 동향 중 하나로 자리잡을 것으로 전망하며, 본 연구는 바로 이러한 질문을 제기하는 것에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과 문제를 가지고 본문에서는 중국 대학의 실용음악 전공 과목 현황 및 전공 개설 과정에서의 문제점들을 바탕으로 실용음악 교육 전문가 및 관련 전공 교수들과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수집한 정보를 분석한 결과, 중국 실용음악 전공은 현재 다음과 같은 문제를 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전공 개설 관념이 불분명하고, 낙후되어 사회의 변화에 제때 적응하지 못하고 있다. 둘째, 학생 양성 과정에 미비점이 많다. 종합 조사 결과를 보면, 현재 중국 대학의 실용음악 전공 개설 인력 양성이 직면한 가장 큰 문제점들은 바로 양성 과정의 미비점들이다. 학교별 양성 계획, 교과 과정 개설, 교수 역량 등의 차이가 이런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셋째, 학과 개설 계획이 체계적이지 못하다. 넷째, 학술연구 업무 준비가 충분하지 않다. 다섯째, 수업 체계가 부실하다. 여섯째, 교사진 구성이 합리적이지 못한 것도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토대로 해외대학 실용음악 전공 과정, 개설 이념, 학과 발전 등을 조사하고, 중국 대학 실용음악 전공 현황과 연계해 ‘중국 대학에서의 뉴미디어음악음악학과 개설’전략을 주제로 현재 중국 대학 실용음악전공의 특성을 분석하고 관련 문제를 해결해 기존의 실용음악 발전과 새로운 뉴미디어음악학과 신설을 위한 이론적 연구를 제시하였다. 중국 대학 뉴미디어음악학과의 신설과 발전을 대학 교육, 사회 및 문화 발전과 결합하여 관련 교육 이념과 실천탐구를 연구하고 다양한 학과의 통합 이론과 연구 방법을 결합하였다. 또 대학 뉴미디어음악학과의 신설 이론적 근거, 대학 뉴미디어음악학과 신설에 대한 이론적 설계와 실행 과정, 중국의 국정과 결합하여 학과의 비전과 목표, 운영 방향, 학술 설정, 국제화, 신기술 등에 대해 서술하였다. 논문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과 설립으로 뉴미디어음악학과를 추진하는 데 있어 뉴미디어음악학과를 체계적으로 기획하고 관련 전공의 학술 연구를 심도있게 추진해야 한다. 둘째, 오늘날의 시대적 배경에서 교육도 시대에 맞게 추진해야 하는 만큼 뉴미디어음악학과 과정 및 교육 설계에 있어 학과 간 연계를 다양화해야 한다. 셋째, 관련 교육산업의 투자 및 연구개발을 확대하고, 음악산업과 음악교육의 산학협력을 활성화하며, 학생의 종합적인 자질과 실력을 키우는 데 중점을 두고 현실과 접목해야 한다. 넷째, 교육 인프라를 세워야 한다. 이는 교육환경을 개선하여 현장 경험과 기술 기능을 갖춘 지도 교사를 양성하고 현장형 인재를 양성한다. 다섯째, 뉴미디어 음악과정의 교육체계 설치를 보완하고 신기술을 접목하여 강의내용, 방법, 수업평가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다. 여섯째, 뉴미디어음악학과는 사회 서비스와 구축, 보장에 있어‘합동 육성’을 이루어야 하며, 학과 발전의 궁극적인 목적은 사회를 위해 봉사하고 교육 이념을 한 단계 향상시키는 데 있다. 이 논문을 통해 중국 대학의 미래 실용음악 전공 방향에 대한 이론적 참고를 제공하고, 미래에 관련 연구를 하는 연구자들에게 좋은 귀감이 되며, 중국 대학의 뉴미디어음악학과 개설에도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The development of China’s Practical music is based on the needs of society and the people, as well as the needs of its own development. To adapt to the development and changes of the times, and to meet the needs and expectations of the people,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more outstanding works and outstanding talents through our own development. Practical music majors in Chinese universities have a history of more than 30 years of education since the 1990s. However, with the advent of the information age, information technology is infiltrating all aspects of society with its rapid momentum and changing people’s society. Changes in space, life styles, and educational forms are becoming more and more urgent and more important. With this background as the premise, how can music education in Chinese universities, especially the professional education of practical music, grasp its own position and maximize the role of education? Are Chinese universities now keeping up with the pace of the information age and live up to the expectations of society, the media, and young people? It is expected that in the future, strengthening the construction of practical music majors in universities will become one of the development trends of university music education. This research starts by raising these questions. With such a background and problems, this article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practical music professional courses in Chinese universities and the problems encountered in the development of the professional construction and development proces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practical music education experts and professors, the collected information is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it is found that China’s practical music majors currently have the following problems: 1. The professional construction concept is not clear enough, the construction concept is backward, and it cannot adapt to social changes in time; 2. The student training process is not perfect. According to the comprehensive survey results of the current Chinese universities, the biggest problem and confusion faced by the cultivation of talents for the construction of practical music is that the training process is not perfect. The differences in training plans, curriculum settings, and teachers of different types of schools will cause this situation; 3, the discipline construction plan is not systematic; 4 , Insufficient preparation for academic research; 5. Incomplete curriculum system setting; 6. Inadequate teacher team structure and other 6 major problems. Based on these issues, we conducted research on practical music major courses, opening concepts, and discipline development in overseas universities, and combined with the status of practical music majors in Chinese universities, proposed the “new media music major in Chinese universities“ strategy as the research theme, and comprehensively studied the current situation. The Practical Music major of Chinese universities are analyzed by its characteristics, are discovered, and are solved related problems, and are provided theoretical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the existing practical music and the new media music major. Combine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new media music majors in Chinese universities with higher education, social and cultural development, research related educational concepts and practical explorations, and combine comprehensive theories and research methods from multiple disciplines.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university’s new media music major,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university’s new media music major, combined with China’s national conditions, subject planning and goals; operational direction; academic settings; internationalization; new technologies, etc. Expounded. The conclusions are: 1. In terms of promoting the construction of new media music majors through discipline construction, we must strive to scientifically plan the construction of new media music disciplines, and in-depth advance the academic research work of related majors; 2. Under the current background of the times, education must also be done To keep pace with the times, so in terms of new media music professional courses and teaching design, we must be “diversified and open“ to increase the connection between disciplines. 3. Increase investment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in related education industries, activate the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between the music industry and music education, focus on cultivating students’ comprehensive qualities and practical abilities, and develop in accordance with actual conditions. 4. To build educational infrastructure. This means improv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cultivating instructors with rich on-site experience and technical skills, and cultivating on-site talents; 5. Improving the new media music curriculum education system setting, combining the application of new technologies, and teaching content/methods/courses Evaluation and formulation of relevant plans; 6. In terms of social services and construction guarantees for new media music professionals, to achieve “joint training“, the ultimate goal of professional development is to better serve the society and further improve the concept of education . It is hoped that through this thesis, it will provide a theoretical reference for the future direction of music majors in Chinese universities, provide a solid and useful reference for future or future generations to carry out similar or identical research, and contribute to the construction of new media music in Chinese universities. 中国实用音乐的发展是根据社会和国民的需求,也是根据自身发展的需要.要适应时代的发展和变化,适应人民的需要和期待,就要通过自身的发展,培养出更多优秀的作品和优秀人才.中国高校的实用音乐专业从上世纪90年代发展至今已经有三十多年的教育历史,但随着信息化时代的到来,信息技术正以其迅猛态势渗透于社会的方方面面,改变着人们的社会空间和生活方式,教育形式的改变也越来越紧迫,越来越重要.以这样的时代背景为前提,中国大学的音乐教育,尤其是实用音乐专业教育,如何才能把握好自己的位置,最大限度地发挥教育的作用?现在中国的大学是不是跟上了信息化时代下的步伐,不辜负社会、媒体和青少年的期待? 预计今后大学加强实用音乐专业建设将成为大学音乐教育的发展趋势之一,本研究是从提出这些问题开始的. 带着这样的时代背景和问题,本文分析了中国大学的实用音乐专业课程现状以及专业建设发展过程中遇到的问题为基础,通过深入采访实用音乐教育专家及各位教授,对收集到的信息进行分析,发现中国实用音乐专业目前主要存在以下的问题:1,专业建设观念不够明确,建设观念落后,不能及时适应社会的变化;2,学生培养过程不够完善,综合调研结果来看,当前中国大学实用音乐专业建设人才培养面临的最大问题与困惑就是培养过程不够完善,不同类别的学校在培养计划,课程设置,师资力量等方面的差别会造成这种局面;3,学科建设规划不系统;4,学术研究工作准备不充分;5,课程体系设置不全面;6,教师队伍结构不够合理等6大方面的的问题. 基于这些问题,对海外大学实用音乐专业课程, 开设理念, 学科发展等进行调研,并结合中国大学实用音乐专业现状提出了以“新设中国大学新媒体音乐专业”战略为研究主题,全面研究当下中国大学实用音乐专业,分析其特点,发现并解决相关问题,为现有的实用音乐的发展和新设新媒体音乐专业提供理论研究. 将中国大学新媒体音乐专业的新建与发展与高等教育, 社会及文化发展相结合,研究相关教育理念和实践探索,结合多种学科的综合理论和研究方法. 对大学新媒体音乐专业的新设理论依据, 大学新媒体音乐专业的新设理论设计和实施过程,结合中国的国情,对学科的规划和目标;运营方向;学术设置;国际化;新技术等方面进行了阐述,结论是:1,在以学科建设促进新媒体音乐专业建设方面,要努力做到科学规划新媒体音乐学科建设,深入推进相关专业的学术研究工作;2,当前的时代背景下,教育也要做到与时俱进,所以在新媒体音乐专业课程及教学设计方面,要做到“多元化开放式”,增加学科与学科之间的联系; 3,加大相关教育产业的投入及研发,激活音乐产业与音乐教育的产学合作,以培养学生的综合素质和实际能力为重点,结合实际情况发展. 4,要建设教育基础设施, 这意味着要改善教育环境,培养具有丰富现场经验和技术技能的指导教师,要培养现场型人才;5,完善新媒体音乐课程教育体系设置,结合新技术的应用,对讲课内容/方法/课程评价,制定相关计划;6,新媒体音乐专业社会服务与建设保障方面,要实现“联合培养”,专业发展的最终目的都是为了能更好的服务社会,让教育理念的理念得到进一步的提高. 希望通过本论文,对中国大学未来的音乐专业方向提供理论参考,为未来或后人开展相似或相同研究提供扎实有益的借鉴,能够为中国大学新媒体音乐建设尽一份绵薄之力.

      •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K-Pop 프로듀싱 커리큘럼 개발에 대한 연구

        길유경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19

        In modern society, K-Pop is expanding to the global market with the development of media and rapid change and growth of the music industry. Accordingly, the number of cases of studying abroad in the Department of Applied Music at Korean universities in order to take K-Pop-related classes is increasing. However, the current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Applied Music in Korea consists of jazz-based classes and lacks K-Pop-related classes. This leads to dissatisfaction of the international students who lost their purpose of studying abroad in Korea. As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is expected to gradually increase, it is necessary to expand and change the curriculum in line with the rapidly changing music market. Based on this problem, this study proceeds as follows to find out whether the K-Pop producing curriculum has educational research value within the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Applied Music in Korea. First, this study consists of K-Pop market analysis and the increase rate analysis regarding the international students who have entered the Department of Applied Music in Korea over the past 5 years, and introduces examples of domestic and foreign K-Pop related education. Next, the value of this study is presented by examining the purpose of studying abroad and their satisfaction with the curriculum through surveys and interviews of international students who entered the Department of Applied Music at Korean universities. Next, the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Applied Music at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ies are compared and analyzed to present a curriculum which contains the classes that conveys common musical knowledge from both universities. Also, the analysis regarding the differences in the curriculum of each university is conducted to suggest other necessary subjects. Finally, a curriculum is presented based on the views on the K-Pop market, work process, and the needs for a K-Pop producing curriculum from the point of view of practitioners, obtained through interviews with K-Pop producers and current educators of the Department of Applied Music. Through this research, I expect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Applied Music education in line with the global music market and the expansion of the international studies of music. 현대사회는 미디어의 발전과 동시에 음악 산업이 빠르게 변화하고 성장함에 따라 K-Pop이 글로벌한 시장으로 확대되었고 동시에 K-Pop 관련된 수업을 받기위하여 한국 대학 실용음악학과로 유학을 오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현재 한국 실용음악학과 커리큘럼의 바탕은 재즈기반의 수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K-Pop에 관련한 수업은 미비하여 유학생들은 유학목적을 잃어버리고 커리큘럼의 대한 불만족을 표하고 있다. 유학생의 수는 점차 증가할 것으로 보아 빠르게 변화하는 음악시장에 맞추어 커리큘럼의 확대와 변화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바탕으로 한국 실용음악학과의 커리큘럼에서 K-Pop 프로듀싱 커리큘럼이 교육적 연구가치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다음 연구를 진행한다. K-Pop 시장분석과 최근 5년간 한국 실용음악학과에 진학한 유학생 증가율을 분석하고, 국내·외 K-Pop 관련 교육의 사례를 제시한다. 이어서 한국 대학 실용음악학과에 진학한 유학생의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통해 그들의 유학 목적과 커리큘럼 만족도를 조사를 통하여 이 연구의 가치를 제시한다. 이후 국내·외 대학 실용음악학과의 커리큘럼을 분석하여 공통이 되는 음악적 소양을 위한 커리큘럼을 제시하고, 각 학교별 차이가 보이는 커리큘럼 또한 분석하여 필요한 과목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K-Pop 프로듀싱 실무자와 현재 실용음악학과의 교육자 인터뷰를 통하여 K-Pop시장과 작업과정과 실무자입장에서 K-Pop 프로듀싱 커리큘럼의 필요성에 대한 견해를 포함한 내용을 토대로 커리큘럼을 제시한다. 이 연구를 통해 앞으로 전 세계 음악시장에 발맞춘 한국 실용음악 교육 발전에 가치가 있는 연구가 되어 글로벌한 음악 유학의 확장이 되기를 기대한다.

      • 뉴미디어를 활용한 중국음악교육 개선안

        우혜평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19

        The first, Sequence on the part of a briefly introduction the thesis necessity and purpose of research content and research methods, and 100 Chinese students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The seco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paper definition of new media, as well as the elements and have characteristics of new media. And new media in education in the use of new media content and its education bit, briefly. The third, Elaborated the integral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new media. The fourth, Music education in the use of new media technology development direction. Convenience, the re-education of teachers and the use of new media, made easy, and the most state of the art equipment to build an introduction. The fifth, Focusing on China's music education using new media technology program, New media program applied learning program of music education and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new media programs in music teaching job in China. The sixth, The result analysis

      • PBL(Project based Learning) 기반 뉴미디어를 활용한 중등 음악 교육의 할용 방안 -인문계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이문수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논문은 실제 직접 운영하였던 학교 내 음악 교육 프로그램 세 사례를 중심으로 대중음악에서 사용하고 있는 뉴미디어(New Media) 매체를 활용하여 음악을 올바르게 인지하고 접할 수 있도록 고등학교 1~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음악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학습자들에게 시대의 흐름에 맞는 효과적인 학습방법을 마련하는 데 목적을 두었고 결과와 시사점을 통해 결론과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현대 음악은 디지털 매체들이 확산됨에 따라 디지털 매체에 대한 사용이 일상화 되고 아날로그 장비들은 디지털 장비로 많이 대체되는 변화를 겪고 있다. 이를 통해 누구나 쉽게 음악을 만들고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생산, 소통, 소비의 방법마저 변화시키고 있다. 또한, 뉴미디어는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고 하나의 창작 도구로써 많은 음악가들에게 일반화되어지고 있다. 이 중 가장 대표적인 매체가 컴퓨터 음악인 MIDI(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이며, 이로 인해 일반인들도 음악을 쉽게 만들고 접할 수 있게 되어 표현의 법위가 점차 확장되고 있다. 이처럼 변화하는 현상 속에서 음악 분야에서 뉴미디어 비중은 커지고 있으나 정작 학교 현장에서는 활용되지 않고 전통적인 교육 방식만을 고집하고 있는 실정이다. 무엇보다 현재 고등학생들은 Z세대(Z세대 : 1996년부터 2010년 사이에 태어난 사람들)로 Post Digital 세대라고 얘기한다. 전통적인 아날로그 방식의 교육보다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수업이 현재의 학생들에게는 더욱 익숙하고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뉴미디어 음악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학습자들이 다양한 시각적 청각적 이미지를 올바르게 인지하며 이를 통해 음악 시장의 전반적인 내용을 이해하고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자 본 프로그램을 연구하였다. 또한, 단순히 뉴미디어음악을 활용한 교육 방식만이 아닌 현대 사회에서 가장 주목을 받고 있는 교수법인 PBL(Project based Learning)방식을 연구하고 적용하여 보다 효과적인 학습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2장에서는 뉴미디어 매체와 PBL의 이론적 배경과 뉴미디어와 음악의 이론적 배경 그리고 이를 이용한 사례들에 대해 설명하고 3장에서는 P.B.L기반 뉴미디어음악을 활용하여 적용한 음악 교육 운영사례들을 소개하고 이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본 프로그램이 학습자들에게 끼치는 여러 가지 긍정적인 면과 여러 한계점을 도출하였다. 뉴미디어를 활용한 음악 수업 프로그램은 학습자들에게 현대음악을 쉽게 인식시키고 창작 활동을 가능하게 했으며 시대의 흐름에 적응하는데 좋은 방안이 될 뿐만 아니라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통해 뉴미디어 음악 활용자로서 성장 하는 데 발판을 마련해줄 것이다. 또한, 학습자들의 관심영역에 대한 탐구의 적극성과 창의성, 협동심등의 필요한 덕목을 갖추게 할뿐 아니라 무엇보다 자기주도적 해결능력의 발달을 기대할 수 있다. 본 프로그램이 앞으로의 음악 교육 발전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어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주요어 : 뉴미디어, 음악 교육, PBL, Z세대 This paper has its purpose in developing music education programs for high school students in their first and second years by utilizing new media used in popular music by using three specific cases of musical education programs in school run by the author as reference to enable students to be able to appropriately perceive and learn music according to current trends, drawing conclusions and possible enhancements through results and implications found through research. As digital media is being widely used in media, use of digital media is becoming more common and analog equipment are being replaced by digital equipment. These changes have enabled people to create and enjoy music more easily. Such changes are bringing about changes to ways of production, communication and consumption as well. Furthermore, new media is now accessible in everyday life, and are being commonly used by many musicians as creative tools. A case in point would be MIDI (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a type of computer music. This largely increased accessibility of new media is enabling the general public to be able to create and enjoy music at ease, expanding their scope of expression. In such changes, the proportion of new media is increasing in the field of music. However, new media is not being utilized in school education, which is still adhering to traditional pedagogy. More than anything, current high school students are the Generation Z (Generation Z: Demographic cohort of people born from 1996 to 2010), or the Post Digital Generation. Music classes utilizing digital media, rather than traditional analog media as part of its curriculum may provide more familiar and effective education to students. Therefore, this program has been researched to provide educational opportunities to raise awareness of the necessity of new media music education, to let learners perceive different visual and audio images appropriately, and to allow the understanding and appropriate usage of the music market. Also, this paper aims to suggest more effective learning methods by researching and applying PBL(Project-based Learning) method, a pedagogical method garnering the most attention in modern society as well as educational methods simply utilizing new media music. In the second chapter,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new media and PBL,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new media and music and notable cases utilizing them will be explained. In the third chapter, cases of music education programs utilizing and applying new media music based in PBL will be introduced, compared, and analyzed. Different positive impacts on learners and different outlooks of these programs have been found according to research. Music class programs utilizing new media will enable learners to easily recognize modern music and allow participation in creative activities. Furthermore, they will serve as a positive means to adapt to the change of the era, and will serve as a springboard for students learning music to be able to grow to utilize new media music through learner-oriented education. Also, they will nurture enthusiasm in exploring interested areas, creativity and cooperation, and foster development of self-directed problem-solving skills. I hope that this program would be able to contribute to and be utilized in developing music education. Keyword : New Media, Music education, PBL, Z Generation

      • 뉴미디어시대의 국내 음악대학 작곡전공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권상희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671

        In modern society, the music consumption is generally enjoyed by streaming on mobile or PC. On the occasion of the new media age, the music industry has changed more rapidly. As different media and different contents have been developed, it is changing more rapidly and even professional musicians are expanding their activities and music styles. Nevertheless, are domestic colleges of music in the country taking account of such changes? This study began with such issues raised. The precedent study on the issue of the curriculum at colleges of music indicates that it mainly lacks in career or job guidance. In other words, the curriculum, which is biased only in the subject majored in music, makes it difficult to enter society. However, the students’field adaptability and practical skills are not improved through some career and job subjects. Thus, the curriculum at colleges of music needs to be improved to ensure that they can have the skills and commitment necessary to advance into the field and at the same time they are concerned about their career path and advancement to society. In order to draw up measures to improve the curriculum majored in composition at colleges of music according to such needs, it was analyzed for the current conditions of the curriculum for composition major at domestic college of music and the method of operation at foreign colleges of the music curriculum. In addition, further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ongoing issues and improvement measures at colleges of music recognized by those specialists at the music industrial field along with students at colleges of music, while analyzing particularly on what knowledge and skills or commitment are required at the field. As a result, the findings support that the music theory area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of the curriculum majored in composition at domestic college of music, and it clearly showed that the curriculum relating to music technology or job career required by students and the field were insufficient. In the analysis of overseas cases, the curriculum at colleges of music showed many subjects relating to the theory of music, but it consisted mainly of music theory needed for creative activities, and various programs were operating to experience collaboration, internships and mentoring with companies through different activities other than the curriculum. In particular, it was designed to freely utilize electronic music research centers or hub centers in providing education on music technology, while supporting students to experience various creative activities through collaboration or convergence projects with other majors. The result of the in-depth interview with students, professors and field specialists shows that the ongoing problems of the curriculum majored in composition at college of music is mainly with the theory that has a gap from the field as shown in the analysis result of the curriculum and that it is a kind of practical education course almost far from the development of the job practical ability. In order to resolve such problems, it is clear to beef up the practice on the music technology substantially using at the field while expanding the opportunity of the job experience and career by strengthen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field, so it is much more requested to reorganize the curriculum on a large scale since the current curriculum is mainly with the theor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uggestion is made for the improvement measures on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majored in composition at domestic colleges of music and its operation method: First, the curriculum majored in composition at college of music should be reorganized on a large scale based on a careful analysis on the job ability at the field.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field-based course that is linked to a field. At the university level, efforts should be made to expand the opportunities for practice while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diversity of music advances. Thir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connection with other majors. The process for connection with different majors should be operated so that they will be competent persons required in the age of convergence. It is hoped that the outcome of the study will serve as a motive for enhancement of the curriculum majored in composition at college of music to meet the social requirements. 현대사회에서 음악 소비는 모바일 또는 PC에서 스트리밍으로 즐기는 것이 보편적이다. 뉴미디어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음악 산업은 더욱 급변하게 되었다. 다양한 매체의 발달과 콘텐츠 개발 방식에 따라 변화 속도는 점차 빨라지고 있으며, 전문 음악가들도 음악을 표현하는 방식과 활동 영역을 점차 넓혀가고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음악대학이 이러한 변화를 반영하고 있는가?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 제기로 시작되었다. 음악대학의 교육과정의 문제점에 관한 선행연구를 보면 주로 진로나 취업지도가 미흡하다는 내용이 많다. 음악 전공과목에만 치우쳐져 있는 교육과정 때문에 사회진출에 어려움이 있다고 보는 것이다. 그러나 몇 개의 진로, 취업 교과목을 통해 학생들의 현장 적응력과 실무능력이 향상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진로나 사회진출에 대한 고민과 동시에 현장 진출 시 필요한 기술과 태도를 갖출 수 있도록 음악대학의 교육과정이 개선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요에 따라 음악대학 작곡 전공 교육과정의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국내 음악대학 작곡 전공 교육과정의 운영 현황과 국외 음악대학의 교육과정 운영방식을 분석했다. 또한, 음악대학의 학생들과 음악 산업 현장에 진출해 있는 현장 전문가들이 인식하고 있는 현재 음악대학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특히 산업현장에서 요구하고 있는 지식이나 기술, 태도는 무엇인지에 대해 심층 인터뷰를 통해 분석해보았다. 분석결과 국내대학의 작곡 전공 교육과정은 음악이론 영역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생들과 현장에서 요구하는 뮤직테크놀로지 관련 교과목이나 진로직업과 관련된 교육과정이 부족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해외 사례분석 결과에서도 마찬가지로 음악대학의 교육과정은 음악이론에 해당하는 교과목이 많았으나, 주로 창작 활동에 필요한 음악이론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교과과정 외에 여러 활동을 통해 기업과의 협업, 인턴십, 멘토링을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었다. 특히 뮤직테크놀로지 교육을 함에도 전자음악 연구센터나 허브센터 등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게 되어있었고 타 전공과의 협업이나 융합 프로젝트를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창작 활동 경험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었다. 학생, 교수, 현장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심층 인터뷰 결과 도출된 것은 현재 음악대학 작곡전공 교육과정의 문제점은 교육과정 분석결과와 마찬가지로 현장과 괴리되어 있는 이론 중심의 교육과정과 실무능력 개발과 관련성이 낮은 실기과정이라는 것이었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 활용하고 있는 실질적인 뮤직테크놀로지에 대한 실습 강화와 현장과의 연계를 강화하여 진로 및 직업체험의 기회를 확대, 이론 위주의 교육과정에 대한 대대적인 개편 등의 요구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국내 음악대학 작곡전공 교육과정의 내용과 운영방식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음악대학의 교육과정 개편을 위하여 현장에서의 직무능력에 대해 면밀한 분석을 하고 이를 기반으로 교육과정을 개편해야 한다. 둘째, 현장과 연계된 현장실습 위주의 과정 개설이 필요하다. 음악 진출 분야의 다양성에 대한 정보제공과 함께 실습 기회를 확대할 수 있도록 대학 차원에서 노력해야 한다. 셋 째, 타전공, 타 학문과의 연계를 강화해야 한다. 융합의 시대에 필요한 인재가 될 수 있도록 다양한 전공과의 연계 과정이 운영되어야 한다. 본 연구결과가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는 음악대학 작곡전공 교육과정 개선의 단초가 되기를 기대한다.

      • 학제에 따른 실용음악학과 비교연구 : 2년제, 3년제, 4년제 대학의 설립역사, 입시요강, 교과과정연구

        신계열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71

        21세기의 예술은 대중을 중심으로 그 활동이 확대되고, 이러한 예술의 대중화와 보편화는 연극·영화·TV·라디오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그 범위가 더욱 확대되고 있다. 대중매체는 21세기의 새로운 음악, 문화를 이끌어 가고 있는 중요한 수단이고 대중은 미디어 문화를 이끄는 주체인 것이다. 이렇듯 시대가 변하면서 문화의 모습도 바뀌고 학문의 영역과 논의도 바뀌어 가고 있다. 예를 들어 미술은 순수회화 이외에 컴퓨터 그래픽, 디자인, 설치미술이나 섬유예술 등의 전공들이 있고, 체육에서는 현대무용이나 에어로빅, 스포츠 댄스 등의 전공이 개설 되어 시대의 변화에 따라 점차 실용적인 학문으로 변화 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실용음악의 사회적 요구에 따라서 2000년도를 전, 후로 많은 대학과 대학원 더 넓게는 사설학원과 고등학교 등 다양한 교육기관에 관련 학과가 개설되었다. 처음에는 주로 2년제 대학 위주로 개설 되었는데 근래에는 4년제 대학들로 점차 확대 되어가고 있다. 2011년도 입시에서 처음 신입생을 모집하는 한양대는 95대 1을, 서울예술대는 평균 68대1의 경쟁률을 보였다. 매년 입시 경쟁률도 계속해서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전국적으로 실용음악과 관련된 학과가 개설된 대학은 2년제 42개, 3년제 3개, 4년제 35개 대학이다. 동아방송예술대학과 서울예술대학은 2년제로 출발하여 2008년에 3년제 학제로 변환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실용음악의 역사를 대학, 고등학교, 대학원 등으로 구별하여 알아보고, 2010년을 기준으로 2년제, 3년제, 4년제 학제로 운영되는 실용음악학과를 3개 학교씩 선정하여 대학별 입시요강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하여 각 대학이 지향하고 있는 교육의 목표를 밝히고자 한다. 그리고 이것은 곧 지금 우리나라 실용음악 교육의 현재상황이며 교육 환경인 것이다. 그리고 이것을 통해 실용음악교육에 있어 좀 더 발전적인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논문의 연구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용음악학과가 독립된 하나의 과가 아닌 음악과 안에 실용음악 전공으로 개설되어 있는 학교들도 있었다. 이러한 운영은 수도권대학보다는 비수권대학에서 더 많이 이뤄지고 있다. 둘째, 입시 경쟁률을 보면 입시생들이 4년제 대학이라고 선호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개설년도가 오래되고, 교과과정이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는 학교가 경쟁률도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2년제와 3년제 대학은 동서울대학을 빼고는 모두 교직과 관련된 수업이 개설되어 있는 반면, 4년제 대학은 모두 교직과 관련된 수업이 없다. 넷째, 실용음악학과 교과과정 중 합주(Ensemble) 수업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고, 컴퓨터음악과 재즈화성학은 9개 모든 학교에 공통적으로 개설되어 있어서 이론수업과 실기수업이 함께 이뤄지고 있다. 다섯째, 3년제인 동아방송예술대학과 서울예술대학은 학교 내에 1,2년 과정의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이 개설되어 있다. 3년을 이수하고 1년을 더 다니게 되면 4년제 학사학위를 수여받아 대학원 등으로 진학 할 수 있게 하여 학위 문제를 보완하였다. 여섯째, 현재의 교과과정은 전공별 구분 없이 이뤄져 있는데 전공별로 보다 세분화된 교과과정이 분화되어, 다양하고 전문화된 교과목이 개설되어야 한다. In 21st century art, the scope of activity has been extended centering on the public, and such popularization and generalization of art has even further extended the scope through various media such as plays•movies•TV•radio. Mass media is an important means of leading the new music and culture of the 21st century, and the public is an independent subject of leading media culture. As such, the changing era has also changed the appearance of culture, the area of studies, and relevant discussions. For example, fine art involves majors such as computer graphics, design, and installation art or textile art aside from pure painting, and physical education has seen the introduction of majors such as contemporary dancing or aerobics or sports dance; thus, it shows a gradual transition toward applied studies along with the change of times. In Korea, many more colleges and graduate schools, and further, diverse educational institutes such as private learning centers and high schools, have opened departments related to applied music around the 2000s according to social demand. At first, this type of department was introduced mainly in two-year colleges, and, lately, its opening has been gradually expanded to four-year colleges. In the college entrance exam for 2011, Hanyang University, which recruited newly enrolled students for the first time, showed the entrance competition ratio of 1:95 and Seoul Institute of the Arts recorded the entrance competition ratio of 1:68, on average. The entrance competition ratio for entering a college has increased every year. Currently, there are 42 two-year colleges, 3 three-year colleges, and 35 four-year colleges that have opened a department relative to applied music. Dong-Ah Institute of Media and Arts and Seoul Institute of the Arts began as two-year colleges, but changed to become three-year school systems. Therefore, this paper looked into the history of applied music by classifying it into that of college, high school, and graduate school, and selected the departments of applied music of three two-year colleges, three three-year colleges, and three four-year colleges as of 2010 and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admission plan and curriculum according to college; thus, it aims to identify the goal of education pursued by each college. Also, this is the current situatio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of Korean applied music education. In addition, this study is to seek a more advanced direction in applied music education from the above. The research results of the paper include the following. First, in some schools, an applied music course was introduced as part of the department of music, instead of being an independent department. Such an operation was more frequently offered in colleges in the non-metropolitan areas than colleges in the metropolitan areas. Second, in looking into the entrance competition ratio, applicants were discovered to have not necessarily preferred four-year colleges. A school at which the department of applied music has been long established and its curriculum has been varied was found to have a high entrance competition ratio. Third, two-year colleges and three-year colleges opened a course in teaching except for Dong Seoul College, whereas all four-year colleges didn’t have a course in teaching. Fourth, out of the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applied music, the ensemble class most frequently appeared, and the department of computer music and the department of jazz harmony were opened in common in all the schools; thus, a course for theory and a course for practice have been established, together. Fifth, at Dong-Ah Institute of Media and Arts and Seoul Institute of the Arts, which are three-year colleges, one-year and two-year advanced courses for the bachelor’s degree were open. When students attend one more year after completing three years, they are able to receive a bachelor’s degree for four-year college and to go on to a graduate school. In this way, the degree issue has been complemented. Sixth, the current curriculum is formed regardless of the classification of majors. Then, it is necessary to divide more segmented curriculum according to major, thereby opening various specialized subjects.

      • 마코프 체인 모델과 몬테칼로 시뮬레이션 모델을 결합한 자동작곡 연구모델의 개발에 관한 연구

        최성락 상명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논문에서는 음악의 작곡에 있어서 작곡가의 작곡행위에서 알고리듬(Algorithm)을 추출하여 그것을 패턴화(Patternize)하고 실제적인 작곡의 룰(Rule)과 제약조건(Constraints) 등을 설계한 후 확률이라는 수학의 개념을 활용하여 화성(Harmony) 혹은 멜로디를 제시하는 방식인 '자동작곡(Automated Composition)'의 알고리듬 및 제반 프로세스 (Process)가 반영된 연구 모델 및 방법론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는 연쇄확률이론인 마코프 체인 모델(Markov Chain Model)과 시뮬레이션 기법인 몬테칼로 시뮬레이션(Monte Carlo Simulation) 기법을 결합하여 자동작곡 방법론을 개발하였고 이를 활용하여 故 Antonio Carlos Jobim의 작품을 분석하고 패턴을 추출한 후 자동작곡 결과물을 도출하였다. 마코프 체인 모델을 통하여 하모니 및 멜로디 패턴 간의 전이확률행렬(Transitional Probability Matrix)을 도출하고 몬테 칼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코드진행 및 멜로디를 구성한 자동작곡 최종 결과물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방법론을 활용하여 하모니 및 멜로디 패턴들이 마코프 분석에서 추출된 패턴 간 전이확률행렬 및 시뮬레이션 과정을 거쳐 실제적인 작곡 결과물로 연결될 수 있다는 점을 검증하였으며, 기존의 관련분야 연구 결과물에서 도출되었던 최종 결과물들이 지나치게 우연적이고 음악 미학적 관점에서 공감을 얻기가 어려웠던데 비하여 본 연구에서는 분석의 단위를 패턴(Pattern)으로 설정하고 실제적인 대중음악 작곡의 규칙을 반영하여 진행함에 따라 자동작곡을 통해 실제적이고 대중적인 작곡 결과물을 도출할 수 있는 가능성 및 자동작곡분야의 음악 미학적 가치를 제고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research model and methodology on automated composition which contains stochastic algorithms and processes that can extract and patternize the algorithms from compositions of specific composer and set rules and constraints. To implement the research objectives, I developed integrated research model and methodology combining markov chain model and monte carlo simulation model. I analyzed and extracted patterns from compositions of the last Antonio Carlos Jobim and executed automated composition process to produce automated composition output. Transitional probability matrix was deduced from markov chain analysis and final automated composition output which has chord progression and melody was produced from monte carlo simulation. In this study, I have shown that harmonic and melodic patterns can be organized into practical composition output through transitional probability matrix and simulation processes by applying the methodology I presented. Prior automatic composition outputs from related research were too much accidental and have little aesthetic value, but in this study which was executed by practical compositional rules and patterns, I presented the possibility of automated composition that can be used to produce popular music and enhance music aesthetic value.

      • Carlos Nakai의 곡들을 통해 본 Native American Flute 음악의 특징에 관한 연구

        박성균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Native American Flute은 북아메리카의 원주민들이 전통적으로 사용해온 가장 중요한 선율 악기이다. 종족음악학(Ethnomusicology)적으로도 가치가 있지만 지금은 음반과 공연 등으로 많이 활용되고 알려지고 있기도 하다. 인디언 플룻에 대한 연구를 하기 위해, 북미 인디언들의 역사와 전통 문화, 종교 철학 등을 살펴보고, 음악이 그들의 삶에서 가졌던 역할과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그들의 음악 특징을 이해하기 위해 인디언들이 사용한 악기들을 종족음악학에서 사용하는 방법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플룻을 이해하기 위해 악기의 구조와 제작방법을 살펴보았고, 악기의 스케일과 운지법, 음역, 연주법 등 악기 전반에 관한 내용을 연구하였다. 실제 플롯 곡들을 연구하기 위하여 서양문물의 침투로 사라져갈 뻔 한 인디언 플롯 음악을 정리하고 대중화하는데 가장 기여를 한 Carlos Nakai의 곡을 선택하였다. 그의 곡과 전통곡들을 선율 분석, 형식 분석, 스케일 분석을 하였고, 형식과 연관하여 가능한 기능 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현대적으로 편곡되어 연주되는 곡을 선정하여 이 악기의 현대적 사용 예를 연구하였다. Native American Flute은 전통적인 방식으로도, 그리고 현대화한 방식으로도 다양하게 통용되고 있으며, 예술적 표현력과 넓은 적용범위로 앞으로도 더 많은 활용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를 통해서 새로운 음악 매체로서 월드뮤직 악기의 하나인 Native American Flute에 대한 관심과 더 많은 활용 및 새로운 시도가 일어나길 바란다. Native American Flute is the most important melodic instrument in traditional Native American music. It has ethnomusicological value and it is also being well used as a part of contemporary world music. For studying Native American Flute music, their history, traditions, culture and religion were studied first. In their tradition, the role of music was very important and even considered sacred. They used various musical instruments, which were categorized here according to 'Hornbostel-Sachs' classification system which is normally used in ethnomusicology. The study started with looking into structure and manufacturing of flute. And it covered the available scales, fingering methods, note range, and ornaments of the Flute. For analyzing Native American Flute music, Carlos Nakai's songs were selected. He contributed very much to researches and popularization of Native American Flute music which could be vanished after the impact of western culture. The study analyzed melody, song structure, used scales, used notes, and suggested a possible functional harmonies which are related to song structure. A modern song played by Native American Flute was selected and studied as well. Nowadays Native American Flutes are played in both traditional way and modernized way. Its expressiveness and wide range of application give it much potential as a musical instrument. Through study on this Native American Flute music,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more interest and use, more researches, and more new experiments about this instrument.

      • 뉴미디어 테크놀로지를 이용한 이명도 검사 측정개발 연구

        정병규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음악적 뉴미디어 테크놀로지(New media technology)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Software library)를 이용한 이명도(Tinnitogram) 측정을 제안한다. 개발된 라이브러리는 다양한 사운드의 합성과 변형을 사용자의 의도에 맞는 환경으로 구축할 수 있는 Native Instruments 社의 리액터(Reaktor)를 이용하여 제작하였으며 누구나 무료로 이용 가능한 리액터 플레이어(Reaktor Player)를 통해 사용할 수 있다. 주관적인 이명 사운드의 형태를 신시사이저(Synthesizer)의 합성 원리를 이용하여 구현하도록 설계 하였고 심리음향 인자인 쯔비커 파라미터(Zwicker Parameter)를 적용하여 이명으로 느껴지는 불편의 모형을 검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명의 주파수와 강도로 측정되는 기존의 2차원적(Two-Dimensional Space) 측정에서 소리를 구성하는 다양한 주파수와 강도의 상호 작용인 복잡성(Complexity) 요소를 추가하여 3차원적(Three-Dimensional Space)형태를 적용하여 이명의 측정을 보완하였고 의료진의 진단 후 이루어지는 이명 습관화 치료에 사용되는 사운드 치료를 시스템적으로 통합함으로서 검사와 치료에 필요한 시간 단축과 올인원(All in One) 패키지 솔루션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연구를 위하여 의학적 문헌 고찰을 실시하여 인체의 청각학적 구조, 소리의 인식 과정 등을 살펴보고 이명의 원인, 진단, 치료의 측면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명 사운드의 표본을 음향학적 물리량, 심리량 분석을 실시하여 특징을 판별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기존의 의학계에서 제시한 이명도를 측정하는 5가지 방법을 적용하여 설계를 진행 하였으며 의료 기관에 설치 후 의료진과의 상호작용으로 개발된 라이브러리의 평가와 문제점을 수정하며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뉴미디어적 오디오 기술이 환자의 이명 측정, 개선을 돕고 더불어 바이오테크, 자동차, 항공, 스마트기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의 첨단기술(IT), 문화, 리빙(Living) 등의 다양한 산업과 융합되어 응용 발전되는 단초가 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proposes the measurement of tinnitus using a software library made using musical new media technology. The developed library was created using Reactor of Native Instruments, which can build a variety of sound synthesis and transformation into an environment suited to the user's intention, and anyone can use it through the Reactor Player, which can be used free of charge. The subjective tinnitus sound was designed to be implemented using the synthesis principle of a synthesizer, and the psychoacoustic factor, Zwicker Parameter, was applied to verify the model of discomfort felt by tinnitus. Three-Dimensional Space form by adding a Complexity factor, which is the interaction of various frequency and intensity that make up the sound in the existing two-dimensional space measurement, which is measured by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tinnitus. The measurement of tinnitus was supplemented by applying the method, and by systematically integrating the sound therapy used for the treatment of tinnitus habituation after diagnosis by medical staff, the time required for examination and treatment and an All in One package solution was presented. In this paper, a medical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auditory structure of the human body, sound recognition process, etc., and the causes, diagnosis, and treatment aspects of tinnitus. In addition, characteristics of the tinnitus sound were determined by analyzing acoustic physical and psychological quantities.Based on the analyzed results, the design was carried out by applying five methods of measuring tinnitus suggested by the existing medical field, and after installation in a medical institution, the ev aluation and problems of the developed library through interaction with medical staff were corrected. Based on the results shown in this study, new media audio technolog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elps patients measure and improve tinnitus, and advanced technology (IT) such as biotech, automobiles, aviation, smart devices, wearable devices, etc. It is expected to be the beginning of application and development by converging with various industries.

      • 한국의 라이브러리 음악의 필요성 연구

        최은주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23

        ABSTRACT Study on Necessity of Library Music in Korea Choe, Eun ju Dept. of New Media Music The Graduate School Sangmyung University While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digital age, we will come into contact with many images due to the development of image media. Music, which is one of the necessary elements in video, cannot be neglected, but most of the music that plays in videos such as current affairs, documentaries, advertisements, storefronts, games, variety shows, and dramas is library music. Library music is not music that the public is familiar with, and there are many things that we don't understand well, but even if it's contradictory, the music that most of us have heard and touched is also library music. Library music has great advantages in terms of convenience and economy, and in terms of time and cost, library music, which possesses a huge amount of various contents, genres, concepts, atmospheres, sound effects, polysounds, etc., is convenient. Economically,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producer, it is preferred over composing. It is also a good tool for people who want to insert music in broadcast programs that are produced in a short time or individuals who want to insert music in video production but cannot compose music. The majority of domestic entertainment programs, documentaries, current affairs programs, etc., generally use music imported from overseas, but there are many cases where music that is not easily buried in Korean emotional images is used. , Politics, Election campaigns, and it is not easy to find suitable music in overseas library music. This would be the reason for the need for Korean libraries. However, domestic library companies jumped into the library music market relatively early compared to overseas, so there are many points where the number of songs and quality are inferior to overseas libraries. Compared to overseas libraries, there are many points that fall short in terms of the number of songs and quality. Through research on the necessity of a domestic library, deviating from the dependence on foreign imported libraries, the demand for music that understands the Korean emotions and feelings of many contents that require domestically produced music. present a solution to the irreplaceable problems of the current music market. First, as mentioned earlier, he talked about publicity strategies and symbiotic effects that create a virtuous circle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libraries and artists. Second, he recognized the use of foreign music libraries in Korea and the problems that arose through this, and recognized the need for Korean-style library music with a high degree of understanding of Korean emotion and identity. The third is for the development of the library industry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If it is possible to create an opportunity for students' works to be included in the vast amount and quality of domestic libraries in the field of music production education through a contract with a music college, it will provide more diverse opportunities for students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library industry. He said this could lead to a virtuous cycle of synergistic effects. Fourthly,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domestic music production environment. If an environment is created in which domestic composers can proceed to recording through demonstrations and produce high-quality music, domestic libraries will be able to produce music of better quantity and quality. Departing from the current situation of relying on foreign library music, it will ultimately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the domestic cultural industry. Fifth, he mentioned the need for self-made commercial library music. In this paper, we are currently trying to deviate from Japan's dependence on foreign libraries and propose points to supplement the domestic library, with the prospect that it can be fully developed in Japan, and ultimately the need for domestic libraries. It also describes the expected effect of the domestic library by setting the nature and development direction. Theme: library music, video music, background music, BGM, trailer music 국 문 요 약 한국의 라이브러리 음악의 필요성 연구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뉴미디어음악학전공 최은주 우리는 디지털 시대에 접해 들어가면서 영상미디어의 발전으로 영상물들을 많이 접하게 된다. 영상에서 필요한 요소 중 하나인 음악을 빼놓을 수가 없는데 시사, 다큐멘터리, 광고, 매장, 게임, 예능, 드라마 등 영상 속에서 흘러나오는 음악 중 대다수 흘러나오는 음악들은 라이브러리 음악들이다. 라이브러리 음악은 대중들에게 익숙한 음악이 아니며 잘 모르는 경우도 많지만 모순되게도 우리가 대다수 많이 듣고 접해본 음악 또한 라이브러리 음악이다. 라이브러리 음악은 편리성과 경제성에서 큰 장점을 가지고 있고 시간적, 비용적인 면에서 다양한 츠와 장르, 컨셉, 분위기, 효과음, 폴리사운드 등 방대한 양을 소유한 라이브러리 음악이 편리성과 경제적으로 제작자 입장에서는 작곡에 비해 선호하게 된다. 빠른 시간내에 제작하는 방송 프로그램이나 개인이 영상 제작으로 음악을 삽입하고 싶은데 음악 작곡을 하지 못하는 이들에게도 좋은 수단이 되어 준다. 국내의 대다수 예능, 다큐멘터리, 시사 등의 방송 프로그램의 경우 대체적으로 해외로부터 음악을 수입해와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한국 정서적으로 맞추어진 영상에 잘 묻어나지 않는 음악을 사용하는 경우도 많고 정치, 선거 활동 또한 이에 맞는 음악을 국외 라이브러리 음악에서 찾기는 쉽지 않다. 이것은 한국적 라이브러리의 필요성에 대한 이유가 될 것이다. 하지만 국내 라이브러리 회사는 라이브러리 음악시장에 뛰어든지 비교적 오래되지 않았으므로 해외 라이브러리에 비해 양과 질적인 면에서 발전해야 할 요소들이 많다. 해외 수입형 라이브러리에 대한 의존적인 측면을 벗어나 국내 라이브러리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를 통해 국내에서 제작된 음악이 필요한 많은 콘텐츠의 한국적인 정서와 감정을 이해하는 음악에 대한 수요를 쫓아가지 못하는 현 음악시장의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향을 제시한다. 첫 번째로 앞에 기술하였듯이 라이브러리와 아티스트와의 협업을 통해 선순환 작용을 불러 일으키는 홍보전략과 상생효과를 말하였다. 두 번째는 한국에서 이루어진 해외 음악 라이브러리의 활용과 이를 통해 발생하였던 문제점들을 인지하여 한국의 정서와 정체성에 대해 이해도가 높은 음악의 한국적 라이브러리 음악의 필요성을 인지하였다. 세 번째는 라이브러리 산업발전과 인재양성을 위한 것이다. 음악제작에 관한 교육현장에서 국내 라이브러리의 방대한 영역에 학생들의 작품이 포함될 수 있는 기회를 음악대학들과의 계약을 통해 만들어 줄 수 있다면 학생들에게 보다 더 다양한 기회을 제공함과 동시에 라이브러리 산업의 발전에 도움이 되는 선순환적인 상생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음을 말하였다. 네 번째로 국내 음악 제작환경 개선의 필요성으로서 국내 작곡가가 실연을 통한 녹음까지 진행하여 높은 퀄리티의 음악을 제작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수만 있다면 국내 라이브러리는 더 나은 양과 질의 음악들을 만들고 해외 라이브러리 음악들에게 의존적인 현 상황에서 벗어나 최종적으로 국내의 문화산업 발전에 긍정적 효과를 주게 될 것을 기술하였다. 다섯 번째로 본 연구자가 연구하고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상업적 라이브러리 음악의 자체 제작 필요성을 말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국내 라이브러리의 보완점들과 이에 대한 제안점들이 국내의 해외 라이브러리들에 대한 의존적인 측면에서 벗어나 국내에서도 충분히 발전할 수 있는 전망을 갖고 최종적으로 국내 라이브러리의 필요성과 발전방향 설정으로 인한 국내 라이브러리로 인한 기대효과까지 기술하였다. 주제어 : 라이브러리 음악, 영상 음악, 배경 음악, BGM, 트레일러 음악, 영화 음악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