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내 기록관리학분야 석·박사학위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2001∼2010

        신준성 한성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9807

        1999년 “공공기관의 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고 2000년에 한국기록관리학회가 창설되면서 국내에서도 기록관리학분야가 학문으로서 자리잡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런 연유로 목포대학교 일반대학원에서 협동과정으로 전문학위과정이 개설된 것을 비롯하여 전국에 20개 대학원에 기록관리학 전공과정이 개설되어 약 10년동안 운영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기록관리학 전공 대학원에서 간행된 학위논문의 주제 및 인용분석을 통하여 연구동향과 학문의 추이를 살펴보고자 2001년 2월부터 2010년 2월까지 간행된 국내 기록관리학분야의 석·박사학위논문 총 560편(석사학위논문 558편, 박사학위논문 2편)을 조사 분석하였다. 첫째, 학위논문에 대한 일반현황 분석을 위하여 연도별 간행 현황, 주제영역, 지도교수의 전공 분야, 연구방법, 자료수집방법, 연구대상기관을 조사하였다. 그 다음 국내 기록관리학분야의 학술지를 대상으로 연구동향을 분석한 선행연구 3편과 본 연구를 비교분석하였다. 둘째, 학위논문의 인용문헌 분석을 위하여 최근 2년간(2008.8∼2010.2) 간행된 학위논문 262편을 대상으로 인용문헌의 인용빈도와 인용문헌의 수명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인용된 학술지 중 인용빈도의 순위가 높은 국내외 학술지를 열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위논문의 간행 현황을 살펴보면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최근 3년동안 간행된 학위논문이 74.7%(429편)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연구자의 수가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학위논문의 주제영역은 ‘아카이브즈 및 기록물관리’, ‘기록정보서비스’, ‘기록물 및 기록매체’, ‘조직화’의 주제영역에 60.5%의 학위논문이 집중되어 있었다. 셋째, 학위논문의 연구대상기관을 대학이 위치한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경기도 지역의 대학들은 중앙행정부처의 기록관에 대한 연구를 많이 다루고 있는 반면에 경상도, 충청도 및 전라도 지역의 대학들은 지방자치단체의 기록관에 대한 연구가 많이 수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용문헌의 자료유형별 인용빈도는 학술지, 단행본, 웹자료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국내 문헌은 학술지를 가장 많이 인용하고 있었고 국외 문헌은 웹자료를 가장 많이 인용하고 있었다. 다섯째, 인용빈도가 높은 학술지를 살펴보았는데 국내 학술지의 경우 상위순위 3개의 학술지가 기록관리학분야의 학술지였고 그 다음순위 4개의 학술지가 문헌정보학분야의 학술지인 것으로 분석되어 두 학문간의 유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인용된 학술지, 단행본 및 학위논문의 수명을 분석하였는데 국내의 경우 간행연도를 기점으로 10년이 지나면 이용가치가 점차 감소하였다. 국외의 경우에는 간행된지 10년이 지난 자료들도 상당수 인용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As “The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was enacted in 1999 and Korean Society of Archival Studies was founded in 2000, the field of Archives & Records Management came to place itself as a science in Korea. For this reason, a professional degree program was established as a interdisciplinary course in the Graduate School of Mokpo University, and the major course of Archives & Records Management were established in 20 graduate schools nationwide, which have been operated for about 10 years. This study inquired into and analyzed total 560 papers (558 master's theses and 2 doctoral dissertations) in the field of Archives & Records Management published in Korea from February 2001 through February 2010 in order to examine the trend of research and changes of the study through the topics and cited analyses of the papers for a degree published in graduate schools for the major of Archives & Records Management in Korea. First, for the analysis of the general situations of the theses for a degree, the status of publication per year, subject fields, the major fields of the academic advisors, research methods, data collection methods, and the target institutions of the research were surveyed. Next, 3 precedents studies that analyzed the trend of the research for domestic journals in the field of Archives & Records Management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is study. Second, for the analysis of the cited literatures of the theses for a degree, for 262 theses published in recent 2 years (Aug. 2008∼Feb. 2010), the frequency and life span of the cited literatures, etc. were analyzed. In addition, the domestic/foreign journals at the high ranking of citation among the cited journals were lis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o examine the situations of publication of the theses for a degree, those published for the recent 3 years from 2007 through 2010 took 74.7%(429 pieces), so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researchers increased. Second, the subject fields of 60.5% of the theses were concentrated on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Archival Reference Services’, ‘Archives and Recording Medium’, ‘Arrangement for Archives and Records’. Third, to examine the target institutions of the theses by the region in which the colleges are located, colleges in Seoul and Gyeonggi mostly dealt with the archives of the central administrative departments while those in Gyeongsang, Chungcheong and Jeolla provinces with the archives of municipalities. Fourth, the frequency of cited literatures for each type of data among the cited literatures was in the order of journals, books, and web materials. They mostly cited journals for domestic literature while foreign ones web materials the most. Fifth, it examined the journals with more than higher frequency of cited literatures, and for the domestic journals, the top 3 journals were those from the field of Archives & Records Management, followed by 4 journals from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which showed high relevance between the two studies. Sixth, it analyzed the life span of the cited journals, books, and theses, and for the domestic ones, the use value decreased gradually from 10 years after the year of publication. For foreign ones, numerous materials past 10 years from publication were still being cited.

      • ISO 30301 기록경영시스템 표준 인증제도의 도입방안 연구

        김효선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91

        The ISO 30301 MSR Standards established by the ISO/TC46/SC11 in November 2011 are the standards that can support successful management of organization while providing strategic plans to the issue of records management. In Korea, these standards are established as the national standard (KS) in May 2013, and also, there are actions being taken to adopt the certification of the ISO 30301 Standards. ISO 30301 certification can provide the standard to evaluation whether the records management work is being carried out correctly from the organization's management perspective. However, to adopt such certification, it is required that the certification operation system needs to be organized, as well as that the society in general should understand about records management. Accordingly, it is even more required an in-depth review on the adoption of the system. This study has the purpose in seeking for a successful plan for the adoption of ISO 30301 certification given the circumstance that the ISO 30301 certification is not yet adopted in Korea.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is carried out as in the following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in-depth interviews. Firstly, the literature review looks at the backgrounds to the establishment of ISO 30301 standards as well as the contents and the structure. For this purpose, this paper has also referenced the KS X ISO 30300, the KS X ISO 30301 Standards and the ISO Management System Standards that are established as the Korea Industry Standards. Also, the ISO 30301 Standards and the existing ISO records management field standards and technical reports are comparatively analyzed by each clause to grasp the correlation, and through this, it is studied the records management aspect that had been embossed in the ISO 30301 Standards. Moreover, by studying the concept and the expected effects of certification that is being carried out with the ISO 30301 Standards, it is discussed the necessity of the adoption of the relevant standards' certification. Secondly, there are in-depth interviews carried out to study for the adoption plan for the ISO 30301 certification. The participants to the interviews include five records and certification related workers and five records managers at national records center direct supervision institutions. The interviews consisted of the primary mail response documents and the secondary phone or visiting interviews between April 23rd and May 13th, 2014. The interviews are carried out in a semi-structured form with questionnaires included protocols of four large sections and relatively free and flexible questions. The interview data are open-coded and axis-coded following the research procedure under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which is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Firstly, through the open coding procedure, the common elements are extracted to name the concept and categorize. Based on these, the axis coding procedure is followed to place the phenomenon on the middle axis by putting the relevance between the categories based on the paradigm model, and structure the casual, the contextual and the interventional conditions, the strategies and the results.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interviews, the phenomenon out of the paradigm elements appeared in this study is found to be the ‘adoption of certification of ISO 30301 MSR Standards'. In such phenomenon, there is the causal condition of ‘the change in paradigm for records management' from control to management. Also in the phenomenon, there is the contextual condition of 'the change of production and management environment for records' reflected. On the other hand, for the practical difficulties in adopting the ISO 30301 certification, it is found that there are interventional conditional applied, namely: 'lack of organizational records management infrastructure'; 'lack of influence of the national records center in promoting the certification'; and 'side effects in adopting the certification'. For the practical strategies to overcome these, the recommendations include the plans for 'organization of certification management system' and 'promotion of awareness with regards to records management'. Based on these strategies, the expectation is the 'conversion into records operation system of management focus' with expected effects of 'internal and external promotion effects of organization through certification'. Based on such interview analysis result, the ISO 30301 certification adoption plan is contemplated. The direction of the proposal of this research is deployed inside the frame that the ISO 30301 certification is applied following the international regulations, and it is largely divided into the plans for the certification operation system organization and those for the promotion of awareness on records management. Firstly, the certification operation system organization plans are proposed by classifying them into: 1)organization of certification organization system; 2)preparation for legal foundation; 3)preparation for incentive policies; and 4)test business operation. Firstly, the certification organization system is to be guaranteed for international mobility based on the domestic ISO management system certification organization structure so that ISO 30301 certification, too, can follow the existing certification organization structure. For this, the relevant laws are to be established or modified to prepare for a legal foundation, and it is also proposed to include the contents of the certification organization structure within those relevant legislations. Secondly, for the preparation of a legal foundation for the adoption of the certification, there is the controversy on whether to include the relevant contents by only modifying the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and the related legislations or to modify the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and the related legislations as well as establishing new laws, so the merits and demerits of each case are presented separately. Since such modification and establishment of relevant laws have both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it is necessary for the relevant professionals and interested parties to have a further in-depth discussion. Thirdly, for the incentive policies for the certification, it is recommended to provide merit points in those public institution management evaluation and chief of institution evaluation. And, in case of obtaining the certification, it is recommended to exempt the organization from the records management evaluation which public institutions are subject to, and by expanding this, the records management evaluation is to be replaced with the certification in the future. Lastly, it is also proposed to provide support with the obtaining of the certification through exemption laws for each of the different industries. Fourth, it is proposed the operation of a test certification business for the experience of trial and error in the operation of certification as well as to amend or supplement to issues for an early spread of the certification. It is argued that in operating such test certification business, there must be a work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zation obtaining the certification in advance so that the test case can be applied as a detailed certification index by each organization, and also to invest in enough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certification obtaining period. For the plans to promote awareness on records management, the proposals are made in the following two ways of: 1)spreading the importance of records management; and 2)diversification of promotion and education on records management. For the main contents on the spreading of the importance of records management include the following. Firstly, for the integration of the organizational work process and the records management procedure, it is argued to research and develop the policies of records management that fit the special features of each organization. Secondly, to promote the awareness on the ISO 30301 certification, it is proposed to find and spread excellent cases in records management. Here, it is also emphasized to develop tools for quantitative and standard evaluation that can estimate the performance of records management as well as the general status of records management within organizations. Furthermore, to allow the top management and the organization members to sympathize and communicate on records management, it is proposed to diversity the promotion and education on records management. In this sense, it is recommended of promotion and education plans for each subject groups of: the CEO and high-level supervisors; records managers; IT and security managers; and records management students. It is believed that the awareness promotion plans and the certification operation structure plans on records management propos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materials for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the relevant standards and certification. Furthermore, it is expected to spread out the concept and the importance of ‘records management', while also contributing to the activities in settling down the records management culture inside organizations. 2011년 11월 국제표준화기구 문헌정보 기술위원회의 기록관리 분과위원회(ISO/TC46/SC11)에서 제정한 ISO 30301 기록경영시스템 표준은 기록관리 과제에 대한 전략적인 방안을 제공하며 조직의 성공적인 경영을 지원할 수 있다. 국내에서는 해당 표준을 2013년 5월 국가표준(KS)으로 제정하였으며, ISO 30301 표준의 인증제도를 도입하기 위한 움직임이 대두되고 있다. ISO 30301 인증제도는 기록관리 업무가 조직의 경영차원에서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하여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인증제도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인증 운영체계의 정비는 물론 기록경영에 대한 사회 전반의 공감대가 형성되어야 하므로 제도 도입에 대한 더욱 심도 있는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에 따라 아직까지 국내에 ISO 30301 인증제도가 도입되지 않은 상황에서, ISO 30301 인증제도의 성공적인 도입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심층인터뷰를 통해 다음과 같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ISO 30301 표준의 제정 배경과 내용 및 구조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업표준(KS)으로 제정된 KS X ISO 30300과 KS X ISO 30301 표준 및 ISO 경영시스템 표준 등을 참고하였다. 또한 ISO 30301 표준과 기존의 ISO 기록관리 분야 표준 및 기술보고서의 각 조항을 비교․분석하여 상호 연관성을 파악하였으며, 이를 통해 ISO 30301 표준에 부각된 기록경영의 측면을 고찰하였다. 아울러 ISO 30301 표준에 수반되는 인증제도의 개념과 기대효과를 살펴봄으로써, 해당 표준 인증제도 도입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둘째, ISO 30301 인증제도 도입방안을 연구하기 위해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에는 기록 및 인증제도 관련 업무담당자 5명과 국가기록원 직접관리기관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5명이 참여하였다. 인터뷰는 2014년 4월 23일부터 5월 13일 사이에 1차 메일 회신자료를 바탕으로 2차적으로 전화나 방문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때 각각 4개의 대범주로 구분된 프로토콜로 이루어진 질문지를 바탕으로 필요할 경우 새로운 질문을 추가하는 반구조화된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인터뷰 자료는 질적연구방법의 하나인 근거이론방법(grounded theory methodology)의 연구절차에 따라 개방코딩과 축코딩 작업이 이루어졌다. 먼저 개방코딩 절차를 통해 공통요소를 추출하여 개념을 명명하고 범주화하였다. 이를 토대로 축코딩 절차를 통해 범주 간 관련성을 패러다임 모형에 근거하여 중심현상을 가운데 축에 놓고 인과적 조건, 맥락적 조건, 중재적 조건, 전략, 결과를 구조화하였다. 인터뷰 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 나타난 패러다임 요소 중 중심현상은 ‘ISO 30301 기록경영시스템 표준에 의한 인증제도의 도입’이다. 이 같은 중심현상에는 관리에서 경영으로 ‘기록관리에 대한 패러다임의 변화’라는 인과적 조건이 내재되어 있다. 또한 중심현상에는 ‘기록의 생산․관리 환경의 변화’라는 맥락적 조건이 반영되었다. 한편 ISO 30301 인증제도가 도입되는데 현실적 어려움으로 ‘조직의 기록경영 인프라 부실’, ‘인증제도 추진 시 국가기록원의 영향력 미흡’, ‘인증제도 도입의 부작용’이라는 중재적 조건이 작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실천전략으로는 ‘인증제도 운영체계의 정비’, ‘기록경영에 대한 인식 제고’ 방안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전략에 따라 ‘경영 중심의 기록관리체계로 전환’되는 한편 ‘인증을 통한 기관의 대내외적 홍보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인터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ISO 30301 인증제도 도입방안을 고찰해 보았다. 본 연구의 제언의 방향은 ISO 30301 인증제도를 국제규범에 따라 적용한다는 틀 안에서 전개되었으며 크게 인증 운영체계 정비와 기록경영에 대한 인식 제고 방안으로 나누었다. 먼저 인증 운영체계 정비방안을 1)인증 조직체계의 정비, 2)법적 기반 마련, 3)인센티브 정책 마련, 4)시범사업 운영으로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첫째, 인증 조직체계는 국내 ISO 경영시스템 인증 조직체계를 바탕으로 ISO 30301 인증제도 역시 기존의 인증 조직체계를 따라 국제적 통용성이 보장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관련법을 제정 혹은 개정하여 법적 기반을 만들고, 관련법령 안에 인증 조직체계에 대한 내용을 포함할 것을 제안하였다. 둘째, 인증제도 도입을 위한 법적 기반 마련에 대해서는 「기록물법」과 유관 법령만 개정하여 관련 내용을 포함할 것인지, 또 「기록물법」 및 유관 법령의 개정과 함께 새로운 법을 제정할 것인지에 대한 논란이 있으므로 각각의 장단점을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이러한 관련법의 제․개정 방안은 모두 장단점을 수반하므로 관련 전문가 및 이해관계자들 간의 더욱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 셋째, 인증제도의 인센티브 정책으로는 먼저 공공기관 경영평가 및 기관장 평가에 가점을 부여하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인증 취득 시 현재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기록관리 평가를 면제하고, 이를 점차 확대하여 향후 기록관리 평가를 대체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산업분야별 특례법에 인증 취득 시 지원 혜택을 제시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넷째, 인증제도 운영의 시행착오와 문제점을 수정․보완하여 조기에 확산시킬 수 있도록 시범 인증사업의 운영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시범 인증사업을 운영할 때에는 인증을 취득하는 기관의 특성을 충분히 파악하는 작업을 선행하여 기관별로 세부 인증지표가 적용될 수 있어야 하며 인증 취득 소요기간을 고려하여 충분한 시간을 투자할 것을 주장하였다. 기록경영에 대한 인식 제고방안으로 1)기록경영의 중요성 전파, 2)기록경영에 대한 홍보․교육 다양화로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첫째, 기록경영의 중요성 전파를 위해 조직의 업무프로세스와 기록관리 절차가 통합될 수 있도록 기관별 특성에 맞는 기록경영 정책을 연구․개발할 것을 주장하였다. 또한 ISO 30301 인증제도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기 위해 기록경영 우수사례를 발굴․전파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 때, 조직 내 기록관리 업무의 일반적인 현황과 함께 기록경영의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정량적․정성적 평가의 도구도 함께 개발할 것을 강조하였다. 둘째, 최고경영자를 비롯한 조직 구성원이 기록경영에 대한 공감과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록경영에 대한 홍보․교육을 다양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에 최고경영자 및 상위관리자,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정보시스템 및 보안관리자, 기록관리학 전공생으로 나누어 각각의 대상에 맞는 홍보․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기록경영에 대한 인식 제고 방안과 인증 운영체계 방안은 해당 표준과 인증제도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기록경영’의 개념과 중요성을 널리 알리고, 조직 내 기록경영문화를 정착시키는 활동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박물관 기록물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 국립민속·국립고궁박물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태중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91

        오늘날 기록물 관리에 대한 관심은 사회 여러 분야에 나타나 있다. 이는 기록관을 포함하여 박물관에서도 기록물 관리에 대한 활동들을 수행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박물관 기록물의 효율적인 관리와 보존이 필요하다는 문제인식에서 출발하여 국립민속박물관과 국립고궁박물관을 선정하여 기록물관리현황을 살펴보고 문제점을 분석한 뒤, 박물관 기록물관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진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사례연구법을 주로 사용하였으며, 부차적으로 문헌연구와 담당자와의 인터뷰, 웹 자료조사 등의 방법을 병행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기록관리기준표의 문제점과 기록물 보존시설 확충의 필요성, 비치기록물 및 미등록 기록물 처리 시 고려사항 등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사례 분석을 토대로 박물관 기록관리기준표에서 비치기록물과 관련된 사항을 고려요소로 제시하고, 미등록 기록물의 처리 개선, 박물관 아카이브 설립과 기록관리 인력의 전문화를 방안으로 제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포함하여 이에 대한 구체적인 후속연구를 통해, 효율적인 박물관의 기록물 관리체계에 대한 학문적 기틀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se days, public interests on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are shown in many areas in our society. It is found that activities on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are carried by museums as well as archives. Thus, the study started at the perception that efficient management on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in museums is necessary, and in the study, it's intended to propose a plan to improve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in museum by choosing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and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investigating their current situations of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and analyzing their problems. In the study, case study method was mainly used, and secondarily, the problems were analyzed together with document study, interviewing with relevant personnel, and investigating materials from web sit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problems in standard table of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necessity to expand and improve preservatory facilities for records and archives, and considerations in dealing records and archives, and unregistered records and archives were resulted. Based on the case study, as consideration factors, items relating to furnished records and archives were presented herein, and as improvement plans, improvements of treating unregistered records and archives, constructing museum archives, and specializing man power for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were proposed too. Therefore, through the study and sequential study in details, it is believed that academic frame for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system can be built up.

      • 광역자치단체 기록물 수집정책 방안 연구

        신은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91

        At the second half of 1990’s, we realized the importance of archives, and consequently new legislation, which is [Records Management of public institution Act], raised in 1999, and the enforcement ordinance was proclaimed early in 2000 in order to systematically produce, collect, and manage archives. After then, this legislation was revised as the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in 2006. For this, we have had a foundation that the state institutions can collect and preserve records produced from a public institution as well as some private archival things that are public or are judged as valuable to permanently preserve at a national level. These regulations exist, but among the metropolitan councils in Korea, there is no one who establishes and operates a permanent archives management agency according to the law. Thus,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collect and control the important records to bring together and handle with a high quality of archives when the agency is set up in the future. Based on that, this study aims to discuss a plan about the fact that it is urgent for us to formulate an archival collection policy for the metropolitan council to gather archives systematically. In order to that, as a theoretical study, we examined a function and role of the record management institution of the metropolitan council, investigated the elements of an archive collection policy, and analyzed a case of the collection policy that domestic and foreign local governments have established. On a basis of the analysis result, we suggest seven plans of the collection policy. First, the government must set up a collection policy because there are only two that have the policy among the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institutions of the Korean Metropolitan Councils. Second, it should include six elements, such as the mission and purpose of making a collection, the scope of the collected records, the priority and exception to collect, the targeted users for records, service programs, and the collecting procedures at the lowest estimate that a majority of the archives and records institutions have regulated in a study of the archival collection policy that twelve of domestic and foreign archives and records institutions have established. Third, it needs to regulate that the mission and purpose of making a collection and the scope of the collected records out of those elements are responsible for collecting and preserving the historically and permanently valuable records to preserve among local public and private records. So, it should prescribe a wide range of collecting the records for its mission and purpose. Fourth,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an exact regulation about the first priority collectable records that are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in the archives and records institutions and the collection exceptions that the institutions don’t gather because it can thoughtlessly collect records if there is the widely prescribed scope of the collected records. Fifth, in order to collect the records from any collectors who don’t want to donate archival things, the government needs to make a contract with them by purchasing them or requesting commission management and provide the process to donate in detail for users who want to donate. Sixth, it should clearly define the fact that the right of ownership and copyright for the records that any collectors donate would be transferred to the archives and records institutions because it is possible to have a problem about these rights. Also, it must prescribe a legislation related to the records including any sensitive information such as personal information within a collection policy. Seventh, it has to provide a variety of service programs, such as the experience or a field trip of the archives and records institutions to make users feel a sense of intimacy toward the institutions and prescribe the service that the institutions provide within a collection policy. 1900년데 후반에 들어서면서 기록물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하게 되었고, 그 결과 기록물을 체계적으로 생산, 수집, 관리하기 위하여 1999년 「공공기관의 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이 제정이 되고 2000년 초 시행령이 공포되었다. 이후 2006년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로 법령을 개정하면서 공공기관에서 생산된 기록물뿐만 아니라 사적인 기록물 중 공공성을 가지며 국가적인 차원에서 영구적으로 보존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는 기록물을 국가기관에서 수집 및 보존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들었다. 이러한 규정들이 존재하지만 우리나라 광역자치단체 중 법에 따라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을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는 곳은 존재하지 않는다. 향후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이 설치되었을 때 양질의 기록물의 수집되고 관리되기 위해서는 중요한 기록물을 체계적으로 수집하여 관리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 본 연구는 광역자치단체에서 체계적으로 기록물을 수집하기 위해 기록물 수집정책의 수립이 시급하다는 인식 아래 이에 대한 방안을 논의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이론 연구로서 광역자치단체 기록물 관리기관의 기능과 역할을 살펴보고, 기록물 수집정책의 구성요소를 조사하였으며 국내⦁외 지방자치단체에서 수립하고 있는 수집정책 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결론에 7가지 수집정책 방안을 제안한다. 첫째, 우리나라 광역자치단체 기록관 중 수집정책을 수립하고 있는 기록관은 두 곳 뿐이기 때문에 수집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둘째, 국내⦁외 12곳의 기록관이 수립하고 있는 기록물 수집정책을 조사한 결과 과반수이상의 기록관에서 규정하고 있는 수집의 사명 및 목적, 수집 기록물의 범위, 수집 우선순위와 제외대상, 수집 기록물 이용대상, 서비스 프로그램, 수집절차 6개의 구성요소는 최소한의 요소로 수집정책에 포함해야 한다. 셋째, 수집정책 구성요소 중 수집의 사명 및 목적, 수집 기록물의 범위는 지역 내의 공공 기록과 민간 기록 중 역사적으로 보존할 가치가 있는 기록물과 영구적으로 보존할 가치가 있는 기록물을 수집하여 보존하는 것에 책임이 있다고 규정하고 수집 기록물의 범위 또한 수집의 사명 및 목적에 맞게 광범위하게 규정해야 한다. 넷째, 수집 기록물의 범위를 폭 넓게 규정하면 기록물의 수집이 무분별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기록관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우선순위 수집대상 기록물과 기록관에서 수집하지 않을 수집 제외대상 기록물을 정확하게 규정해야 한다. 다섯째, 기증을 원하지 않는 소장자에게서 기록물을 수집하기 위해서는 구매를 하거나 위탁관리 등의 계약을 체결하여야 하며 기증을 원하는 이용자를 위해 기증 절차를 상세하게 규정해야 한다. 여섯째, 소유권 및 저작권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기록물을 기증할 경우 소유권 및 저작권이 기록관으로 이전된다는 것을 명확하게 규정하여야 하며 개인정보 등 민감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기록물과 관련된 법률도 수집정책에 정확하게 규정해야 한다. 일곱째, 이용자들이 기록관에 친밀감을 느낄 수 있도록 기록관 체험, 견학 프로그램 등 다양한 서비스 프로그램을 제공하여야 하며 기록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또한 수집정책에서 규정해야 한다.

      • 민간기록물 수집체계에 관한 연구

        채수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91

        본 연구에서는 민간기록물 수집과 관련하여 민간기록물 수집을 위한 기록물관리체계와 민간기록물 수집정책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민간기록물 수집은 기록물 관리체계와 밀접한 관련이 있어 해외의 사례를 살펴보고 국내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해외의 사례에서 민간기록물은 대부분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이 수집하고 있었던 반면에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이 존재하지 않는 국내의 경우 중앙기록물관리기관인 국가기록원이 수집하고 있다는 것을 배경으로 국가기록원 산하 지역별 서고인 나라기록관, 역사기록관, 대전서고에 분산보존되는 시스템에서 민간기록물의 효율적인 수집과 관리를 위해 각 서고를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역할로 승급하는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민간기록물 수집정책은 해외의 수집정책 사례를 살펴보고 국내의 경우 민간기록물을 소장하고 있는 일반 이용자 및 연구자들에게 쉽게 이해하도록 국가기록원의 민간기록물 수집정책 개선방안을 이용자 측면의 수집정책 설명, 기증 등 수집방법의 상세화, 유관기관과의 협력 명시화, 기록조사위원 위촉 조항 삭제를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presents a collecting, a management system and an improvement plan of records collection policies about private records. A collecting private records is intimate with records & archives management system, so this research examines cases of foreign countries for analyzing internal services problems. Stand on in case of US and UK, most of private records are mostly under management of local public archives but in Korea, none of local records archive exists and NA totally collects private records. This research presents an improvement plan to promote repositories affiliated with NA like NARA archives, Pusan archives and repository of Dae-jeon to local record management organizations for efficient collect and management. Also in this research examined foreign collecting policies and suggests explanation of collect policies through the eyeglasses of owners of private records and researchers, make concreted collecting methods like donation, clearing cooperation with related organization, rescind an article about entrusting private records examiner to increase understanding about private records collecting polices in Korea.

      • 기록관리기관 이용 학술연구자의 정보이용행태 연구

        성면섭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91

        전문직 이용자, 학술연구자, 학생 등 기록관리기관을 이용하는 다양한 유형의 이용자들은 웹을 통하여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시·공간의 제약 없이 검색하고 활용할 수 있게 되었고, 이들의 정보이용행태에 따라 기록관리기관의 기록정보서비스에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기록정보서비스 측면에서 기록관리기관에서는 이용자들의 기록정보에 대한 요구 및 추구 등, 그들의 정보이용행태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해졌다. 오늘날 기록관리기관은 이용자의 정보요구충족을 위한 기록정보콘텐츠, 검색시스템, 온라인 원문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기록물 열람서비스는 정보공개청구 방식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현행 기록관리제도 상 기록정보서비스(정보공개청구)는 기록관리기관을 이용하는 일반 이용자와 학술 목적의 이용자 등 모든 이용자에게 민원 성격의 행정적 절차를 동일하게 적용하고 있어, 학술 목적 이용자의 연구 활동을 저해시킨다는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학술연구자를 기록관리기관의 주요한 이용자 집단의 하나로 설정하고, 연구자들이 주로 연구에 활용하는 정보원, 기록관리기관에 대한 연구자들의 이용행태, 기록정보서비스에 대한 경험 및 인식 등을 조사·분석함으로써, 기록관리기관의 효율적인 기록정보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를 위해 기록관리기관의 소장기록물을 학술논문에 활용한 연구자들과 현재 대학원 과정에서 기록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을 연구자 집단으로 설정하였고, 이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면담조사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는 다음의 4가지 연구 질문을 설정하였다. (1) 연구자들이 주로 활용하는 자료는 무엇이며, 전자자료의 이용 경험은 어떠한가? (2) 연구자들이 주로 이용하는 기록관리기관의 소장기록물은 어떠한 것이며, 그들의 기록관리기관에 대한 이용 경험은 어떠한가? (3) 연구자들이 이용해 본 기록정보서비스는 어떠한 것이며, 본인이 이용한 기록정보서비스는 연구 활동에 얼마나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가? (4) 연구자들의 기록관리기관에 관한 개선 요구사항 및 희망서비스는 무엇인가? 설문조사는 2020년 4월 16일부터 5월 1일까지 총 16일간 진행되었으며, 면담조사는 4월 27일부터 5월 18일까지 총 5차례에 걸친 대면 면담, 전화면담, 이메일 면담을 진행하였다. 결과적으로 75명의 설문결과와 8명의 면담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고, 엑셀 스프레드시트와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각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연구자 배경정보, 활용 정보원, 기록관리기관 이용행태, 기록정보서비스 활용, 개선 요구사항 및 희망서비스로 정리하였으며, 이후 연구 초기에 설정한 4가지 연구문제를 기반으로 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기록관리기관의 효율적인 기록정보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5가지에 관한 제언하였다. (1) 검색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검색결과 정보의 다양성 확보 (2) 열람서비스 개선 및 연구지원서비스 확대 (3) 다양한 유형의 기록물 제공 (4) 적극적인 기록관리기관 홍보 (5) 이용자 연구의 필요 이 연구의 결과는 다양한 학문 분야 연구자들의 응답뿐만 아니라 기록학적 이론을 바탕에 두고 기록관리기관을 이용한 기록학 전공자들의 응답을 함께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연구에서 확인한 학술연구자들의 기록정보 이용행태 및 요구사항은 기록관리기관에서 이용자의 이용행태 등을 파악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으며, 향후 기록정보서비스에 관한 개선연구, 특정 유형의 이용자에 관한 연구 등에서 유의미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Various types of individuals using archival institutions such as professionals, academic researchers, and students can search and digest the information they want through the Web without restrictions on time and space. According to their information use behavior,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in the archival reference service of archival institutions. In terms of archival reference services, it has become crucial for archival institutions to understand users’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Currently, archival institutions provide various services such as archival information content, search systems, and online texts to satisfy users’ information needs, and archives reading services are enabled via the method of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s. However, under the current archival management system, the archival reference service has applied administrative procedures of civil petitions to all individuals using archival institutions, which has been hindering the research activities of users for academic purposes. Accordingly, this study focuses on academic researchers as one of the major user groups of records management institutions, and investigated information sources mainly used for research, researchers’ use behavior for archival institutions, and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archival reference services, as well as suggests measures for the efficient provision of archival reference services by archival institutions. To this end, researchers using the archival institution for academic papers and students majoring in archival studies in the current graduate school were designated as a group of researchers, and they were surveyed and interviewed. This study formulated the following four research questions: (1) What data do researchers mainly use, and what is the experience of using electronic data? (2) What are the archives of the archival institution mainly used by researchers, and what are their experience of using the archival institutions? (3) What kind of archival reference service was used by researchers, and how much do they think the archival reference service they use will help their research activities? (4) What are researchers’ requirements for improvement and desired services regarding the archival institutions? The survey was conducted April 16-May 1, 2020 for a total of 16 days, and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April 27-May 18 for a total of five face-to-face interviews, telephone interviews, and email interviews. As a result, 75 questionnaire results and eight interview results were confirmed, and each data was analyzed the Excel spreadsheet and SPSS 25.0 progra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summarized into the background information of the researcher, use information sources, archival institution use behavior, use of archival reference services, improvement requirements, and desired services Based on the four research questions formulated at the beginning of this study, this paper analyzed them comprehensively and derived implications. And based on this, the following five suggestions were rendered to provide efficient archival reference services for records management organizations. Based on this, five suggestions were rendered for the efficient provision archival reference services by archival institutions. (1) Secure diversity of search result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search system. (2) Improvement of reading service and expansion of research support service. (3) Provide various types of archives. (4) Promote active archival institutions. (5) Need for user stud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d the responses of majors in archives studies using archival institutions based on the archival theory as well as the responses of researchers in various fields of study. Also, the academic researchers’ use behavior and requirements of the archival information confirm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identify the users’ behavior in the archival institution, and it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used as reference data in future research on improvement of archival reference services and research for specific types of users.

      • 우리나라 대학 행정박물의 효율적인 관리에 관한 연구

        조혜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91

        1999년 『공공기관의 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면서 우리나라는 기록물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더불어, 관리 대상 기록물의 범위를 넓게 적용하였다. 대학에서는 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제정 이전부터 학교사 편찬을 목적으로 대학 역사에 관련된 각종 자료를 수집하고 관리하는 ‘교사자료실’을 운영하였으며, 2006년에 개정된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에서는 대학을 기록관 설치의무기관으로 지정하고 대학에서 체계적인 기록물 관리가 이루어져야함을 명시하고 있다. 이러한 규정들이 존재하지만 우리나라 대학에서 대학기록관을 설치·운영하고 있는 곳은 소수이고, 대학기록물의 체계적인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행정적 가치와 함께 역사적 가치를 갖고 있는 특징적 기록물인 행정박물의 중요성에 관한 인식과 관련 규정 및 인프라 부족 등으로 인해 관리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국·공립대학에서의 행정박물 관리현황을 조직 및 인력, 시설에 대한 행정박물 관리 인프라, 행정박물의 관리 규정 및 관리시스템에 대한 행정박물 관리 정책, 실질적으로 관리하고 있는 행정박물 보유 현황으로 나누어 파악한 사례 분석을 통해 대학에서의 행정박물 관리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둔다. 국·공립대학의 행정박물 관리 현황을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 대학 행정박물의 효율적인 관리 필요성을 정리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의 행정박물은 국가에서 관리 표준으로 제시한 일반 행정박물과는 다른 특성이 있기에 대학에서 기록물로서 행정박물의 특별한 관리가 필요하다. 둘째, 대학은 단순한 기능이 아닌 학위 수여, 지식 전수, 기관 존속, 연구 수행, 사회 봉사, 사회화 촉진, 문화 진흥의 7가지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부서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부서에서 생산되고 있는 행정박물 유형 또한 다양하다. 또한 대학의 다양한 구성원에 의해 일반적인 업무 수행에서 뿐만 아니라 여러 상황을 통해서 생산되고 있기에 대학의 기록물로써 가치가 있는 행정박물은 수집의 단계에서부터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대학당국과 기록물 관리 담당자의 대학 기록물로써의 행정박물 관리 필요성에 대한 인식의 부족과 행정박물 관리시스템의 부재는 중요한 기록물의 유실이라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행정박물 관리의 문제점은 앞으로 해결되어야 할 중요한 과제이다. As 'Act on the Management of Public Archives' was enacted in 1999, range of records requiring management was widely applied together with a recognition for importance of records in our country. In the universities, they operated 'university history reference room' that collects and manages various data relevant to university history for the purpose of compiling university history even before enactment of above law and in above law revised in 2006, it stipulates that records be managed systematically at university by designating universities as institutions that are required to mandatorily install Record Repositories. These regulations are stipulated but number of universities of our country that install, operate Record Repositories are limited to a few and they experience difficulty in managing records systematically. In particular, its management is unsatisfactory due to lack of recognition for importance of administrative artifact that is specific record having historical value together with administrative value and relevant regulation and infrastructure. Under this situa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necessity of administrative artifact management in universities through case study that identified its current management status at national, public university by dividing it into organization, manpower, administrative artifact management infrastructure for the facilities, its management regulation, policy for management regulation, system of administrative artifact, its possession status being actually managed. Based on analysis contents of its management status in national, public universities, necessity of its efficient management wa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features of administrative artifact of university are different from that of general administrative artifact being presented as management standard by the government, its special management in universities is required. Second, university is composed of diversified departments that perform 7 functions including confer credentials, convey knowledge, sustain the institution, conduct research, provide public service, foster socialization, promote culture and type of administrative artifact being produced in each department is also diversified, beyond simple function. In addition, administrative artifact that is valuable as university record is required to be managed systematically from the stage of its collection as it is produced not only by general business performance by diversified members of the university but also by several situations. Third, problem of administrative artifact management is an important task to be solved in the future as lack of recognition for management of administrative artifact as university record by university and record management personnel and its management system may lead to loss of important record.

      • 중앙행정부처 웹 기반 기록물 관리 정책에 관한 연구

        이혁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91

        전자정부의 활성화로 인해 여러 분야에서 대량으로 생산되고 있는 중앙행정부처의 웹 기반 기록물은 국가적으로 중요한 전략적 자원임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정책의 미비로 인해 관리되어오지 못했다. 이는 UNESCO가 경고한 바와 같은 “집단적, 사회적 기록에서의 돌이킬 수 없는 훼손”을 일으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고 2009년 2월 입법예고한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 개정령(안)」의 시행에 대비하기 위한 중앙행정부처 웹 기반 기록물 관리 정책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련된 법령들과 국내 중앙행정부처들의 웹 사이트 관리 규정 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영국 TNA, 미국 NARA, 호주 NAA의 3개 해외 사례와 국립중앙도서관의 OASIS, 국가기록원의 통폐합부처 및 대통령 웹 기록 이관의 2개 국내 사례를 비교하였다. 이들 분석을 바탕으로 법 · 제도, 기관 협력, 보안 및 개인정보보호, 기술적 기준의 4개 영역에 걸쳐 중앙행정부처 웹 기반 기록물 관리 정책을 제시하였다. Since the Korean government has successfully developed its e-government system, massive web-based governmental records have produced in various governmental areas. However, although it is obvious that web-based records are significantly valuable resources, the government has not provided proper management policies for them. In this context, we are confronted with a possibility of that "our societies will suffer irremediable damage in their collective social memory" as UNESCO warned. The study aims at improving web-based records management environment. It discusses web-based records management policies for the Administration. The revised Enforcement Ordinance of the Act on public records management which put into force in May 2009 is also explored. The study analyzes legislations and regulations related to public records management and reviews several archival institutions such as TNA, NARA, NAA, and OASIS. As a result, the study presents four core policy areas for enhancing web-based governmental records management.

      • 개신교 교회 기록물관리의 개선방안 연구

        최유택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91

        오늘날 교회는 사회의 다양한 부분에서 활동을 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다양한 교회 기록물을 생산해 내고 있으므로 역사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갖는다. 하지만 현재 한국의 개신교의 교회 기록물관리는 기록물관리에 대한 낮은 인식과 필요성에 대한 부재로 인하여 증거적, 역사적, 가치 등을 갖는 교회기록물이 체계적으로 보존, 관리되지 못하는 상황에 처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본 논문에서는 개신교 교회의 기록물 관리의 현황을 분석하여 제시된 문제점을 언급해 보았다. 국내에는 아직까지 교회 내 기록관을 보유한 교회가 부족한 상태이며 기록관을 보유한 교회들도 기록관 성격이 아닌 전시관 성격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점은 특히 국내의 개신교 교회 기록물 관리 시스템에서의 이관 및 수집, 정리 및 기술, 분류, 폐기, 열람 및 서비스의 단계에서 많은 문제점을 보이고 있었으며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와 함께 후속연구가 이루어 진다면 향후 교회 기록관 설립과 체계적인 교회 기록물 관리 시스템이 보완되어 교회 기록물 관리가 효율적으로 실현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current church is working in the different part of society; therein it has historically important value due to generating various archives of church. However, the archives management of Korean protestant church in present is in bad condition which it is not preserved as well as managing systematically the church archives that has evidential and historical values due to the low recognition and the absence of necessity to the archives management. For this reason, this article was pointed out the problems presented by analyzing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archives management in protestant church and mentioned the problems presented. In the domestic, it is lack yet that the church retains an archive of records in-church, and even the church which has, it just has been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a pavilion. This point is appeared in the step of transfer, collecting, arrangement and technology, classification, disuse and service at the archives management system of protestant church in domestic, so this article was suggested the improvement method for it. Therefore, this author considers that the archives management of church will be effectively realized by building an archive of church and by compensating systematically the archives management of church if the further study is conducted with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