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國民賃貸住宅政策과 開發制限區域 解除에 關한 硏究

        최태근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751

        When she was still developing, Korea designed and implemented a series of economic development plans focusing on labor-intensive industries and putting priorities on people''s living and nation''s economic growth through export-driving policies. During that period, economic policies were aimed at improving three basic human needs or ''clothing, foods and housing'', while creating the material spaces for their comfortable rest and progressing towards a welfare society in the future, but people were not aware of importance of such policies. In this 21st century or an age of state-of-the-art IT, the absolute poverty seems to have been more or less improved owing to the remarkable economic growth, but the relative poverty still remains unresolved in social terms, especially in the housing life, and in economic terms, housing life seems to be an important index of nation''s economy, too. For a sustainable economic growth, the economic fundamentals should be stable, and so, it must be necessary to construct more public rental houses to solve the housing shortages and thereby, stabilize people''s housing life. In this context,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designed a housing plan to supply one million public rental houses every year, a total of 10 million houses for a decade from 2003 until 2012. However, various problems have been arising in its implementation. Regretfully, some of the problems seem to have been caused by some politicians'' populism, and particularly, some development-limited regions have been lifted to be designated as housing development sites unilaterally without polling local autonomous administrations'' and citizens'' opinions only to create conflicts among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citize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ddress such problems and suggest their solution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sampled 3 housing site development regions out of 18 development-limited regions in Gyeoggi Province; these 3 regions or Neunggok, Mokgam and Janghyun in Sihung city were lifted from development-limited zones and now under development for public rental housing sites. Thus, the researcher examined purpose and background of the development-limited zoning system and reviewed how much Sihung city and its citizens have suffered from the zoning system in terms of local development in jeopardy and infringements on citizens'' property rights until its recent life. The government is obliged to analyze the economic aspects of its policies for majorities'' benefits before make them, and therefore, even if they must serve the national interests, they should reflect local autonomous administrations'' and citizens'' opinions, while being implemented in a fair and transparent way. Wrong policies would result in nation''s economic losses, tangible or intangible as well as social losses and conflicts or confusion. The consequential social ''sunk costs'' would lead to increased social opportunity costs. The problems of Participatory Government''s "10 Million Public Rental Housing Policy" can be addressed as follows; The first problem involves the geographic conditions. The policy seems to put priority on achievement of a quantitative goal or the target housing ownership ratio. In view of a stable housing life, the public rental houses need to be built in the regions where the low-income people can continue to be engaged in their economic activities. Nevertheless, if the development-limited zones in the outskirts of the metropolitan cities should be lifted to provide for cheap housing sites, their would-be residents would be less productive at their workplaces due to long commuting and working hours. The result would be their avoidance of the public rental houses, which would lead to unbalanced housing demands and supplies among regions; namely, supply would fall short of demand in the metropolitan areas, and vice versa in the local areas. Second, the natives have suffered unbelievably from innumerable legal restrictions and sense of deprival as well as infringements on their property rights, while living for about 35 years in the development-limited regions. During last Presidential election campaigns, the candidate President had promised to deregulate the development-limited zones, and had followed up his promises to relieve the natives of their economic and mental stresses, but only within several months, the government would contradict its promise by designating the deregulated regions as public housing site development regions without any public hearing to appropriate the land. Third, Sihung city administration seems to agree to central government''s policy for construction of the public rental houses for homeless people. However, the problem involves its implementations. The central government designated the housing development sites unilaterally with no consultation with the local autonomous administration, and thereby, has wasted citizens'' enormous taxes and human resources for the long-term land development plans, negating all urban development projects implemented by the local administration. The 3 housing development sites had been secured by Sihung city administration alone, and thus, had been prepared for a local development spending an enormous local budget on their basic urban facilities. So, the city administration quite naturally requests the central government to compensate for their losses caused by suspension of their housing site development plan at Maehwa, Gwarim and Sinhyun districts for some 15 thousand citizens. In addition, since the ratio of the public rental houses planned by the central government is too high, the local autonomous administration will have to spend far more budget amounting to billions of wons for the low-income citizens'' social welfare. Moreover, if the low-income citizens should request for additional basic facilities as did the citizens living in the rental apartments built on the site at Jeongwang district developed by Water Resources Development Corporation, the financial self-reliance of the city administration would drop more to a level of financial crisis. Even now, the city administration has to invest more than 20 billion wons in the basic urban facilities, but due to shortage of budget, they only invest hundreds of million dollars in the facilities, leaving a considerable number of citizens in the poor living environment. On the other hand, it is being argued that the area of the rental houses should be extended from 60㎡ to 80㎡. Summing up citizens'' positions and city administration''s, it may be concluded that the central government make their policies unilaterally only to cause conflicts between central and local administrations or citizens, and that the irrational top-down policy-making has retrogressed from the age of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being matured. Hence, the central government is requested to make continued efforts to activate construction of the public rental houses in a harmony between national and local developments, while stabilizing low-income citizens'' housing life. 우리나라는 과거 개발도상국으로 노동집약산업을 주축으로 한 제2차, 3차 경제개발계획을 수립하고 적극적으로 수출진흥정책을 앞세워 무엇보다 민생과 경제개발이 우선시 되었던 시기가 있었다. 이때는 인간 생활의 3대 기본 요소인 ''의․식․주'' 중 ''주''는 사회기반의 기초가 되고 기본적인 삶의 의미와 욕구를 충족 시켜주며 물적 기반으로 편안하게 쉴 공간을 확보하여 미래의 복지사회 구현을 위한 것이었으나 이에 대해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했다. 그러나 첨단 정보와 시대인 21세기에 들어서서는 국가의 발전과 함께 경제 성장의 과정으로서 사회적 측면에서 볼 때 절대적 빈곤의 문제는 어느 정도 해결되고 있지만 상대적 빈곤의 문제가 표출되고 있는 대표적인 분야가 주택부분으로 부각되기 시작 하였고 경제적 측면에서는 주택문제가 국가 경제의 지표로서 매우 중요하였다.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주택의 수요와 공급이 적절하지 않은 지금의 상황에서 최소한의 주거목적을 위한 공공 임대주택 활성화는 경제기반의 안정이라는 측면에서 매우 크다. 따라서 참여정부는 2003년부터 국민임대주택을 매년 10만호씩 2012년까지 100만호를 건설하여 공급하겠다는 주택정책을 설정하여 적극 추진하고 있는 과정에서 많은 문제점이 돌출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 중 일부는 정치인들의 포퓰리즘(populism)일 수도 있기 때문에 안타깝고 특히 개발제한구역을 해제하여 택지지구를 지정하는 과정에서는 해당 지방자치단체 및 주민의 의견수렴 없이 일방적으로 지정하여 갈등(conflict)을 일으키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런 문제점과 대안에 대하여 경기도의 15개시 18개 지구 중 개발제한구역의 해제가 확정되어 임대주택의 택지개발 사업이 진행 중인 시흥시의 능곡, 목감, 장현 3개 택지지구를 연구의 대상으로 하여 개발제한구역의 도입 목적과 배경 그리고 최근 해제되기까지 시흥시와 지역주민들이 겪어왔던 지방발전의 둔화 그리고 사유재산 침해에 대해 현실적인 사례를 정리했다. 국가의 모든 정책(policy)은 경제성 분석과 함께 다수를 위한 정책인가를 면밀히 검토하여 결정하여야 하며 국가적으로 불가피한 사업이라도 해당지자체와 주민 의견을 존중하여야 하고 추진과정에서 모든 절차는 공정하고 투명하게 합리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잘못된 정책 결정은 유형 무형의 국가 경제적 손실과 사회적 갈등 그리고 혼란을 일으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한 사회적 매몰비용(sunk cost)이 발생되어 그것이 곧 사회적 기회비용을 증가 시키게 된다. 참여정부의「국민임대주택100만호 공급」계획의 문제점으로는 첫째, 입지조건이다. 주택보급률에 있어서 양적측면의 목표달성 만을 위한 정책이 우선시 되어 있다. 주거의 안정이라는 것은 주민(저소득층)이 현재의 생활근거지에서 지속적으로 경제활동 할 수 있는 지역에 공급되어야 한다. 그러나 토지가격이 저렴하다는 이유만으로 대도시외곽의 개발제한구역을 해제하여 그곳을 선정하게 되므로 입주자는 교통수단의 한계 및 장시간의 노동시간으로 인한 피로에 의해 생산성 저하 요인을 유발시킬 수 있다. 그로인해 임대주택을 기피하는 현상이 나타나 지역별 물량공급 불균형 현상으로 수요가 많은 대도시에는 매우 부족하고 수요가 적은 지방에는 과잉 공급되는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둘째, 개발제한구역을 해제하여 택지로 선정 하는데 있어, 35년간 개발제한구역에서 거주하며 일반 도시민은 상상도 하지 못할 법적인 제한과 토지의 비현실 가격으로 사유 재산상 및 정신적인 피해를 감수하며 살아왔다. 그러나 지난 대선 당시 대통령 공약으로 최근 규제완화와 해제로 인해 다소 경제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안정을 찾아가는데 해제를 발표한지 불과 몇 개월 만에 다시 국책사업이라는 명분으로 사전에 주민의 의견 수렴도 없이 일방적으로 택지지구를 지정하여 토지 수용을 하겠다는 국가 행정이 너무나도 모순점이 많다. 셋째, 시흥시는 기초지방자치단체의 입장에서는 무주택 서민의 주거 안정을 위해 정부가 추진하는 공익사업인 공공임대주택건설을 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생각 한다. 그러나 사업추진 과정에서의 문제가 있다. 시흥시와 단 한번의 협의 없이 택지를 지정하여 수년전부터 장기적인 종합개발계획에 엄청난 주민의 혈세와 인력투자가 모두 낭비 되고 그동안의 모든 도시개발 사업계획이 무산되어야 하는 위기에 처해져 있으며, 3개 지구의 토지의 면적은 시흥시가 광역계획에 따라 자체적으로 확보하여 활용 할 수 있는 가용토지면적에 포함되고 그 지역은 시흥시의 가장 노른자 지역으로 수년간 도시기반시설에 엄청난 예산을 반영시켜 지역 발전을 위해 준비해 왔던 곳으로 적어도 그 토지의 면적만큼은 시흥시가 요구 하는 지역을 절대적으로 정부가 보상하는 인센티브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왜냐하면 시흥시의 지역특성상 기존도시와 원거리에 있는 인구 15,000명 이하인 소규모 지역(매화,과림,신현동)의 발전을 위해 택지개발을 추진하던 것이 중단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일반 분양주택과 비교할 때 임대주택의 비율이 너무 높아 향후 저소득층 수만명이 한꺼번에 입주하게 되면 시흥시가 부담해야할 수십억 혹은 수백억의 사회복지 비용증가와 입주 후 주민이 추가적인 지역기반시설을 요구(수자원공사가 택지 개발한 정왕동 지역의 주민은 입주 후 시에게 매년 기반시설을 추가로 요구하고 있다)해 올 때는 지금보다 더 자립도가 낮아져 시흥시의 예산은 더욱더 어려운 위기에 처할 것이다. 지금도 년 200억 이상 도시기반 시설에 투자해야 하나 예산의 부족으로 불과 수십억의 예산만을 편성하게 되어 소규모 지역의 주민은 계속되는 도시기반시설의 열악한 조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항상 소외당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리고 임대주택 분양 평수의 규모도 늘려 60㎡의 규모에서 80㎡의 규모의 세대수를 확대시켜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러한 주민의 입장과 시흥시의 입장을 종합적으로 살펴 볼 때 결론은 정부의 모순된 일방적 정책결정으로 정부는 주민과 지자체를 상대로 갈등을 야기 시키고 사업의 추진과정에서는 비합리적인 Top-down식 정책의 결정으로 세계화 시대로 가기 위해 노력하고 성숙되어 가는 지방 자치화 시대에 역행하는 잘못된 정책이었음을 인식하고 국가와 함께하는 지방발전으로 국민임대주택건설의 활성화와 무주택 서민의 주거안정이라는 목표달성을 위해 지속적인 연구 노력이 필요하다.

      • 韓半島 大運河 建設에 따른 都市空間構造에 關한 硏究

        박성근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735

        1960년대 산업화의 진전과 함께 지난 수십 년 동안 인구와 산업의 계속적인 집중으로 과밀현상이 심화되었고, 국토 내륙의 대도시를 중심으로 규모의 불균형을 이루며 많은 문제점을 유발해왔다. 특히 내륙의 육로를 통한 도시중심의 발달은 서울을 중심으로 80년대에 접어들면서 자체의 성장 잠재력이 수도권 관련 정책, 신도시 건설, 도로확충에 따른 교통시설 발달, 사회경제적 구조의 변화등과 상승작용을 일으켜 분산적 도시화(decentrali zation)현상을 급속히 초래해 왔다. 이러한 현상은 주요도로(서울~부산간 경부고속도로)를 중심으로 주변도시의 관계보다는 하나의 대도시권으로 통합시키는 방향으로 지역적, 공간적 측면에서 변화하고 있어 기존의 도시성장 과정과는 다른 양상의 대도시권화 과정(metropolitanization)을 보여주고 있다. 도시의 공간구조는 정치, 사회, 문화적 제 현상들의 복합체로, 도시에 대한 이해는 이러한 현상들에 대한 설명에서 비롯될 수 있다. 또한 도시는 그 시대의 산물이며 시대상을 잘 반영한 공간형태이며 사회적, 기술적, 이념적 변화 등에 따라 살아 있는 유기체와 같이 끊임없이 변화한다. 이에 한반도 대운하건설이 도시의 공간구조 변화에 어떠한 요소로 작용할지에 대하여 객관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도시 공간구조의 변화에는 여러 요소가 작용할 수 있지만 본 연구를 통해 그 요소를 도출해 보고자 한다. For the last decades since 1960's when Korea began to be industrialized, population and industries have continued to be concentrated to make cities more and more crowded, while the inland metropolitan cities have grown, posing various problems including the unbalanced development among regions. Particularly by 1980's, development of the core cities along the inland roads would be combined with such trends as capital area policies, new town constructions, expansion of roads and development of traffic facilities and socio-economic structural changes to create a synergy effect for rapid decentralization. Due to such phenomenon, the regional and spatial changes have been made to create an integrated metropolitan sphere rather than set the inter-city relationships along the main axis (Seoul-Busan Express Way), which shows a metropolitanization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urbanization. The spatial structure of a city is a complex of various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phenomena, and therefore, understanding of a city should start with explanation of such phenomena. In addition, cities may well have been the results of the time, reflecting the image of their time, and therefore, continue to vary according to social, technological and ideological changes, just as a living organism does. So, it is deemed necessary to objectively examine the effects of the grand canal construction on changes of the urban spatial structure. With such background in mind, this study aimed to draw the elements possibly affecting changes of the urban spatial structure.

      • 에코폴리스와 지역도시개발에 관한연구 : 경기도 고양시를 중심으로

        류범열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735

        2002년 고양시 환경보전계획 수립이후 가장 두드러진 환경 이슈는 당연히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 요구이다. 2008년부터 교토의정서에 의한 온실가스 의무 감축기간이 시작되면서 탄소거래시장을 중심으로 기후변화 대응 움직임이 활발해 지고 있다. 탄소 배출권 거래가 본격화 되면서 2010년에는 세계반도체시장의 절반 규모인 1,500억 달러 이상으로 거래시장 규모가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윤순진, 2008). 고양시의 경우 계획된 신도시 내부의 개발이 완료상태에 이르고, 주변 개발 압력이 한강변과 파주시 연담부로 확장되면서 도시 열섬현상과 도시홍수 등 기후변화가 가중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특히 신도시 내부의 열섬현상은 점점 더 악화되고 있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국내적으로는 신정부 출범과 함께 경제 살리기 정책이 가속화되고, 대외적으로는 기후변화협약에 따라 기후변화대응 종합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저탄소 녹색성장에 대비하고 있다. 또한 에너지 자원의 고갈과 환경악화 등으로 인하여 국제적으로 환경 규제를 강화하는 등 국내ㆍ외 여건이 급변하고 있다. 이는 환경에 대한 수요도 같이 변화하고 있다는 이야기가 된다. 고양시는 이렇게 국내ㆍ외 여건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환경분야의 전반적인 점검이 필요한 시기에 와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에코폴리스가 중장기종합도시계획이라는 점을 감안하여 고양시 전역을 대상으로 한 환경개발정책의 종합적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고양시 뉴타운 3곳을 대상으로 녹지부문, 부동산부문, 에너지부문으로 각각 나누어 경제적ㆍ사회적 분석을 하였으며, 그에 따른 정책적 제안을 하였다. 각 장별 내용을 살펴보면, 제1장 에서는 본 연구에 대한 목적과 연구의 범위에 대하여 적시하였고, 제2장 에서는 에코폴리스의 이론적 고찰과 기존 도시계획과의 비교를 통하여 차이점과 개념을 정리하였다. 제3장 에서는 고양시의 현황과 에코폴리스의 도입배경, 계획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국내의 적용사례 5섯곳과 해외 적용사례 6섯곳의 사례를 들어 각각의 문제점과 시사점을 도출 하였다. 제4장 에서는 고양시의 원당지구, 일산지구, 능곡지구를 대상으로 녹지부문, 부동산부문, 에너지부문으로 나누어 경제적ㆍ사회적 분석을 하고, 그에 따른 정책적 제안을 하였다. 제5장 에서는 본 논문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과 결언을 하였으며, 본 연구의 한계를 설명하였다. 위와같은 논문의 구성을 통하여 지금의 고양시 현실을 정확히 인식하고 점검하여, 에코고양시로의 방향을 제시 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을 요약해 보면, 첫째, 녹지부문에서는 일산지역 뉴타운 3곳이 에코시티로 개발이 완료 되었을시 녹지부문의 탄소감축량이 762,871톤으로 나타났다. 각 지구별로 살펴보면 원당지구가 279,116톤, 일산지구가 279,510톤, 능곡지구가 204,246의 탄소를 감축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동산부문에서는 고양시 뉴타운아파트에 생태기술을 적용하여 건축하였을 시 생태기술 요인 중 비오톱 설치 할때는 20%정도의 가격상승을 가져 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파트 가격상승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자연에너지 사용시로 39%정도의 가격상승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생태기술적용에 따른 에코아파트가 부동산 가격 상승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에너지부문중 에코주택의 경우 고양시 뉴타운지구에 적용해 보면, 에너지 절감율이 38.4%로 나타났으며, 초기투자비용은 16,690천원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연간회수자금은 1,447천원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투자회수기간도 사례지역보다 평균 11.5년으로 단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례아파트 면적보다 대상지 아파트가 5평정도 더 커서 나타난 현상이다. 따라서 면적이 커질수록 에코아파트의 에너지 절감효과 또한 커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뉴타운지역의 자동차 교통에너지의 절감을 분석한 결과 녹색성장의 에너지 감축비율인 47%를 적용하여 산출된 고양 뉴타운 지역의 이산화탄소 감축량이 20,077톤으로 나타났다. 이를 화폐단위로 환산하면 20,849백만원으로, 이는 차량 한 대당 년간 77만원을 절감할 수 있는 수치다. 이상의 분석을 통하여 본 결과 각각의 부문별 경제성도 확인 할 수 있었지만 더 중요한 것은 경제성이 어느 한 부문에 국한되지 않고 상호 유기적인 시너지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에코주택의 경우 생태기술을 적용 하였을시 부동산 가치상승과 함께 에코주택의 시설에 의한 에너지 절감효과도 동시에 나타난다는 것이다. 고양시는 수도권 서북부 지역을 대표하는 도시로 성장하였다. 또한 북한산 자락과 넓은 들녘, 한강을 끼고 있는 천혜의 자연 자원을 가지고 있다. 거기에 신도시의 호수공원과 도시녹지축도 잘 갖추어져 있다. ‘지속가능 발전을 지향하는 생태도시’ 즉 ‘애코고양시’는 현재 고양시가 추구해야 할 가장 가치있는 미래 비전이자, 최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정책적 목표가 되어야 할 것이다.

      • 地域均衡開發事業의 推進方案 硏究

        이명호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50735

        국토계획경제학과 이 명 호 우리나라는 1960년대 초부터 ‘經濟開發5個年計劃’에 따라 경제성장 및 지역개발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하기 시작하였고,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면서 개발의 파급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4대강 유역을 우선 개발하는 성장거점개발정책, 경제성장에 따른 급속한 수도권 집중현상을 해소하기 위한 首都圈集中抑制정책 등이 상호 병행하면서 추진되었다. 그 결과 우리는 지난 반세기 동안 壓縮成長을 통하여 급속한 경제발전을 이룩할 수 있었으나, 무리하게 추진된 개발시대의 또 다른 측면에서는 京釜軸 중심의 성장, 수도권에의 과도한 集中, 지방의 상대적 沈滯, 낙후지역의 만성화와 같은 지역간 불균형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었고, 이러한 불균형의 문제는 자연스럽게 지역균형개발이라는 사회적 가치에 새로운 관심을 가지게 하는 계기를 제공하게 된다. 이미 심각하게 대두한 불균형발전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정부는 西海岸 新産業지대의 개발을 중심으로 하는 국토의 균형발전정책을 추진하는 동시에, 首都圈分散政策을 강력하게 추진하면서 지방경제의 활성화를 유도하는 정책을 추진하였고, 최근에는 신행정수도이전의 후속조치로서 행정중심복합도시의 건설, 공공기관의 지방이전, 혁신도시 · 기업도시 건설 등의 다양한 지역균형발전 정책들이 추진되고 있다. 하지만, 시기적인 문제 또는 중추적인 관리기능의 이전문제 등과 맞물려 아직까지는 행정·문화·교육·기업본사·연구개발 등 中樞機能이 여전히 수도권에 편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장기간에 걸친 지역균형발전정책의 추진에도 불구하고, 이처럼 지역간 격차가 완화되지 않고 오히려 심화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는 이유는 여러 가지로 살펴 볼 수 있다. 모든 經濟開發정책이나 地域開發정책까지도 중앙정부에 의해 결정되어지면서 지역의 특성에 맞는 지역개발정책은 엄두도 내지 못하고 있으며, 지방자치단체의 經濟行政能力이 미흡하여 지방정부 스스로 자율적이면서 주도적인 地域經濟活性化정책 등을 추진할 수 없고, 地方財政力이 脆弱하여 자발적인 투자여건을 형성하지 못하고 있으며, 지방소재 기업들의 經濟活動環境이 열악하여 自生的인 지역발전을 꾀할 수 없는 등의 이유로 아직까지는 진정한 의미의 지역균형개발이나 지역격차 해소를 위한 근본적인 문제가 해결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地域間 不均衡의 문제를 해소하는 동시에 지방경제의 활성화를 꾀하는 진정한 의미의 지역균형개발을 이룩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핵심적인 정책들의 뒷받침이 필요하다. 首都圈 機能은 그 나름대로 國際化시대에서의 競爭力이 요구되고 있으므로 이를 약화시키지 않아야 함은 물론, 취약한 기능은 오히려 보완시켜 나가야 하고, 수도권 내부적으로는 기능별多核分散形 공간구조를 형성하여 內部의 격차를 해소하여야 하며, 首都圈 過密化에 따른 비효율성의 문제를 해결하여 서울의 국제경쟁력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뿐만 아니라 地域均衡開發政策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대책으로서 지역의 인력을 양성하고, 지방의 재정력을 확충하기 위한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으면서 수도권에 편중된 中樞的인 기능을 지역의 특성과 잠재력을 고려한 특정기능을 위주로 서로 협력하고 경쟁하는 政.産.學.硏 群集體系를 이루는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등 지역의 역량에 의한 지역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지속적이며 강력한 정책추진이 요구되어진다.

      • 원격탐사 기법 및 지리정보기반의 서울시 도시 변화 분석

        조동균 高麗大學校 政策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50719

        서울은 1960년대 이후의 경제발전으로 엄청난 인구 증가와 면적의 확장이 이루어져 현재는 천 만 명 이상의 인구와 605.25㎢의 면적을 지니게 되었으며, 급속한 도시성장을 거쳐 전 세계 거대 도시 중의 하나가 되었다. 과거에 이루어졌던 서울시의 개발 및 변화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면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서울시 확장 분석에 대한 필요성을 알 수 있다. 1960년에 추진된 1, 2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은 서울의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의 시작점이 되었으며 인구 집중 현상이 심화된 직접적인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국가적 차원에서 수립 및 시행된 경제계발 계획으로 서울의 인구수가 300만 명 이상이 되어, 결국 1963년 도시계획구역도가 713.2㎢로 대폭 확대되어 서울시의 확장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후 1966년 <서울도시기본계획>이 발표되었다. 이 계획은 사회경제부문에 대한 내용까지 고려한 종합적인 장기계획으로서, 서울을 현대적 도시로 건설하여 1985년까지 500만 이상의 인구가 거주할 수 있도록 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500만의 목표 인구가 1970년에 초과하게 되며 이에 대한 보완의 필요하게 되어 1972년에는 수정계획이 수립되었으며, 국토 계획에 있어 수도권의 인구의 과밀화 억제 정책과 수도권의 인구 과밀화 억제 정책과 전국토의 균형 발전에 대한 내용이 중요시되기 시작하였다. 1970년대 이후에는 고층 사무용 건물들이 건설되기 시작하였으며, 본격화된 강남 개발로 대단위 아파트 단지가 개발되었으며, 한강을 경계로 강북과 강남이 형성되고 위성도시들이 모습을 갖추며 서울은 거대도시의 모습을 지니게 되었다. 1980년에는 <서울도시계획 장기 구상 및 중기계획>에 대한 작업이 이루어졌으며, 1984년 <서울도시기본계획안>을 성안하게 되었다. 아시안게임과 올림픽의 영향과 지하철 3, 4호선의 개통 등으로 인하여 도시개발이 활발한 시기였다. 1990년에는 실질적으로 최초의 법정 계획인 <2000년대를 향한 서울시 도시기본계획>이 수립되었다. 이후 2011년을 목표로 하는 서울시 도시기본계획에 대한 지속적인 수정 보완이 이루어지고 1997년 건설교통부의 승인을 거쳐 공고되었다. 최근에는 2021년을 목표로 하는 도시기본계획 재조정 작업이 추진되고 있으며, 이 계획에서는 상위계획들과 개발 제한구역에 대한 조정 및 인구 변화 추세들을 반영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지금까지 이루어진 서울의 도시 확장을 살펴보았을 때, 도시계획에서 지형공간정보가 필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수집된 지형공간정보를 분석하는 것은 효율적인 이용계획 수립과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전의 도시개발에 대한 정확한 기록을 이용하여 도시 확장 분석을 정확하게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은 인구 대비 면적 비율이 낮고 대도시의 인구 과밀화가 이루어져있는 우리나라와 같은 국가에서 특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오늘날 지형공간정보의 기본 자료로 인공위성이나 항공사진에서 촬영된 원격탐측 데이터의 이용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도시 지역에 대한 변화 탐지 기술은 촬영 면적이나 기간에 대한 제약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는 이유로 위성영상을 이용하는 방법이 점차 관심 및 주목을 받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해상도 2.5m급의 SPOT 5호 영상을 이용하여 기하보정을 수행하고 영상 융합을 수행한 후, 정량적 분석을 위해 영상의 분류를 수행하고 GIS 기술을 이용하여 변화 분석을 수행하여 서울의 도시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영상 분류는 eCognition Developer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였고 보정 및 융합 등의 영상 처리와 변화 분석은 Geomatica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였다. GIS 기술의 중첩기법을 활용한 분석을 통하여 서로 다른 시기의 분류 결과 간의 변화를 계산하여 도심지와 비 도심지역 간의 변화를 살펴보고 변화된 지역을 행정경계 단위별로 확인하여 변화 상황을 고찰하였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urban change for Seoul based on satellite imageries acquired on 2005 and 2007. The images were preprocessed by geometrically correction, mosaic, and pansharpening. Object based segmentation method and nearest neighbor classification method were used to created the classifications, which provide urban and non-urban feature informations. And the comparison was taken for two products based on GIS technology to get the urban change analysis. As a result, it was observed that the green area was reduced meanwhile urban area was increased much, the rate of increase for urban area was 3.38%. Additionally, when observing on each districts(Gu) including Seoul, Yangcheon Gu was the district showed the hight increasement of area, 13.36㎢ was increased in urban area of Yangcheon Gu. It was considered due to the new town development master plan established on 2005.

      • 親環境 國土利用을 위한 樹木裝 導入 方案 硏究

        김남용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719

        Today, the increasing demand of land from the cities, industries, and leisure activities is leading to the reckless development of the land. On top of this, the ever growing numbers of burials and the graves from it each year is causing problems such as taking up the limited land resources and damaging the mountains. For these reasons, our already limited spaces of dwellings are getting even scarcer, and the need to secure further dwelling spaces for the future is more critical than ever. With the limited land spaces in our country, in order not to be confined to narrow dwelling spaces and secure comfortable lives,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mountains, which takes upto 64.2% of the total land spaces in Korea, as a new source of the land and use it more efficiently. Woodland burial is a new method of burial and means burying the ashes of the deceased around the root of a certain tree, based on the concept of going back to the nature where we came from and coexisting with the tree. It first began in Swiss, and now widely practiced in Germany and other places.Also, unlike the ossuaries or the mountains where the object of cherishing was uncertain, the memorial tree specifies the exact object to cherish the dead person?s memory, solving the uncertainty problem. As a new alternative to improve the efficiency in the land use and further the interest of the public, the woodland burial is introduced and the expected effect has been analyzed here. Also, another purpose our research here is to improve the practice of woodland burial to fit into our own unique environment, where the land available for use is highly limited. Especially, another focus has been put on improving the currently burial-dominated funeral culture, enriching forest resources, and showing another possibility of using the land in a more environment-friendly and efficient way. To reach our goal of this research, the previous literature on woodland burial and case studies in and out of the country, the traditional culture of funeral in Korea,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woodland burial have been analyzed to make out its impact on the efficient usage of the land and figure out likely problems of them, and finally we studied how woodland burials can be introduced to enable the environment-friendly use of the land as an alternative. In chapter 1, we will go through the not-so-efficient practices of the land management in our country as they are today, and take a look at the necessity of using the mountains that is gaining attention in terms of land use these days. Chapter 2 covers the concepts and forms of the funeral culture, as well as the changes of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 funeral practices and the problems of the traditional burial culture with an objective approach to give a broader understanding of them. And, as the problems of the traditional burial culture, the inefficient use of the land, NIMBY phenomenon, and social conflicts from it will be illustrated, and an alternative of the burial culture will be considered. In chapter 3, the solutions of the problems illustrated in chapter 2 will be given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woodland burial and analyzing the economic and environmental effect from it by studying overseas cases. Also, the future of the Korean woodland burial will be envisioned with a legal suggestion, and we also contemplated on how to promote the practice of woodland burial. The necessity of the introduction of woodland burial is emphasized with a view to the preservation of the nature,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lives by providing the necessary land for housing and economic activities, the balanced development of country and minimizing the social costs by it, and the efficient and environment ?friendly use and management of the limited land in our country. The introduction of woodland burial, with an assumption of replacing 180,000 graves with memorial trees, is expected to give us benefits such as cutting down the funeral costs, furthering the values of the forest resources by adding the memorial tress in the mountains, acquiring the carbon emission right as a result of the expansion of the forest, and giving a new profit model to so-far slack economies of mountain villages. As a result, it will not only contribute to the efficient use of the land but also to the national economy. Most significantly, the importance of the introduction of woodland burial gets even more weight, as it will be contributing to the balanced development of the country land and enhancement of the quality of the lives by cutting down the social cost and giving sufficient supply of the land resources. 오늘날 도시, 산업, 레저 등으로 인한 국토의 이용 수요 증가는 무분별한 난개발로 이어지고 있으며, 이에 더해 매년 매장으로 늘어나는 묘지는 심각한 국토 잠식현상과 산지 훼손 등의 문제를 낳고 있다. 이러한 각종 요인들로 인해서 갈수록 우리의 생활공간은 좁아지고 있고 앞으로 새로운 생활공간으로써의 토지 확보의 필요성이 더욱 절실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국토가 한정되어 있는 상황에서 생활공간의 협소화를 해결하고 국민들에게 보다 쾌적한 생활공간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전국토의 64.2%를 차지하는 산지를 새로운 토지공급원으로서 인식하고 효율적으로 이용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수목장은 화장된 분골을 지정된 수목의 뿌리 주위에 묻어줌으로써 그 나무와 함께 상생한다는 자연회귀의 섭리에 근거한 새로운 장묘 방법이다. 스위스에서 시작되어 독일 등에서 널리 행해지고 있으며 추모목을 통해 고인을 기릴 수 있는 대상을 확립하여 기존 납골이나 산골이 가졌던 추모대상의 불확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국토의 경제성과 공익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대안으로서 수목장의 도입 및 효과를 분석 하였다. 또한 가용 면적이 협소한 우리나라의 국토 환경에 적합하도록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수목장 활성화를 통한 매장 중심의 장묘문화를 개선과 더불어 산림자원 육성을 도모하며 친환경적 효율적 국토이용의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그 주안점을 두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수목장 관련 선행 연구 자료 및 국내외 관련 사례, 한국 고유의 전통적 장묘문화의 형태, 수목장의 장?단점 등의 분석을 통하여 국토의 효율적 활용방안에 미치는 영향 및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국토의 친환경적 이용이 가능한 수목장 도입 방안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1장에서는 그동안 효율적으로 이루어 지지 못했던 국토관리의 현주소를 살펴보고, 최근 국토 이용에 있어서 주목 받고 있는 산지 활용에 대한 필요성을 알아본다. 제2장에서는 장묘문화의 개념과 형태를 알아보고 장묘환경 변화와 기존 장묘문화의 문제점을 객관적인 시각으로 폭넓은 이해를 도모한다. 그리고 기존 장묘문화의 문제점으로서 매장으로 인한 국토의 비효율성, 지역 이기주의 현상과 갈등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장묘문화를 대체할만한 대안을 모색해본다. 제3장에서는 2장에서 언급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으로 제시할 수목장에 대한 개념, 해외 수목장 사례분석을 통한 수목장의 경제 및 환경적 효과에 대하여 연구하고, 친환경 장묘문화로서의 수목장 도입효과와 함께 법률적 제언을 통한 한국형 수목장의 미래를 조명해보는 동시에 수목장의 확산을 장려하는 방법을 생각해 보았다. 우리 국토는 자연환경의 보존 및 자원을 효율적인 활용 통하여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루기 위하여 국민생활과 경제활동에 필요한 토지를 원활히 공급하고 자연환경 및 경관보전과 훼손된 자연환경 개선 및 주거 등 생활환경 개선을 통한 국민의 질을 향상시키고, 국토 균형발전을 통하여 사회적 비용을 최소화하여 우리나라 구조상 한정된 토지를 친환경적 효율적으로 이용 관리하는 방안으로서 수목장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본다. 수목장 도입을 통한 기대효과는 연간 매장으로 발생되는 18만여 기의 묘지를 완전히 수목장으로 대체한다는 전제하에 장묘비용의 절감, 추모목을 통한 기존 산림의 새로운 가치창출, 육림의 촉진으로 인한 탄소배출권 확보와 함께 그동안 침체되어 있던 산촌의 새로운 수익 사업 모델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국토의 효율적 이용뿐만 아니라, 국가 경제에도 상당히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고 판단된다. 무엇보다도 수목장의 도입을 통하여 국토의 균형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과, 사회적 비용의 절감 및 원활한 토지 공급으로 국민의 ?삶의 질? 개선에 일조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된다.

      • 주택재개발 단위별 사업연계 방안연구 : 광주광역시 동구 계림동 사업구역을 중심으로

        박상옥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719

        재개발 사업의 주된 목적은 열악한 주거환경을 개선하는데 그 목적이 있지만 최대한의 용적율 확보와 이의 실현으로 기존 세대수를 훨씬 상회하는 아파트를 건립하는데 총력을 기울이는 반면 그의 상응하는 기반시설의 설치에는 소극적인 상황이다. 이에 따른 교통체증과 과밀학급 발생 그리고 기존 도로망과 보행동선은 단절되고 주변경관과 도시의 조망권이 훼손되고, 인접지역의 일조권 침해 등의 문제가 야기되고 있으며, 주변과 단절된 채 하나의 섬과 같은 공간이 양산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현재 재개발사업 단위별 사업방식의 경우에서는 필연적으로 야기될 수밖에 없는 문제이다. 우리나라는 1960년대 이후 급격한 산업화·도시화로 많은 농촌인구가 도시로 몰려들어 노후불량지가 형성되었고, 노후 불량지는 주거환경이 열악할뿐더러 생활 경제적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가 대부분이여서 현재 환경개선을 위한 정책과 제도가 점진적으로 진척되고 있다. 광주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사업 기본예정구역 현황 실태 분석으로 주변도시환경과 연계된 종합적인 정비계획 미수립으로 발생된 문제 그리고 계림동 일대 사업구역을 중심으로 노후불량지역 주택재개발 정비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정비구역 간 상호 유기적인 계획 및 광역적인 정비계획 수립이 필요함을 적실하다는 것과 문제를 제시하였다.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사업의 통합과 사업체계적 추진을 위해 도시및주거환경정비법을 제정하여 선계획-후개발에 입각한 도시 관리를 도모하였고 2010 광주광역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에 계림동일대 재개발 사업지를 기준으로 현재 추진되고 있는 정비계획과 도시계획 및 주변의 푸른 길 공원과 연계된 사업계획 그리고 구역중심의 단위별 주택재개발사업을 구역 간 상충문제를 해결하고 간선도로를 포함한 정비기반 시설정비를 통한 시가지 정비효과를 제시하였다. 도심활성화와 문화중심 도시에 부합하는 시가지를 정비하고 조화롭고 환경 친화적인 주거지정비, 생활권 단위의 정비, 도시 및 주거환경의 질적수준 향상이 광주시 도시기본계획에 맞추어 적정가능한 개발사업이 전개되는가 문제점을 제시하여야 한다. 주택재개발 사업은 몇 년 안에 노후주거지를 대단위 주민이 거주하는 신규아파트로 만드는 역동적인 사업이다. 이런 역동적 사업 전개는 개별단위 사업방식으로 가능했으며, 토지 등 건축물 소유자와 세입자, 건설업체, 각종 용역업체 모두에게 이익을 보장하기 때문에 추진되는 사업의 특성 때문에 서로 인접한 여타구역과 종합적인 재개발이 가능함에도 사업구역 간 연계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추진하거나 하나의 구역을 사업구성 이윤추구로 인하여 여러 구역으로 분할하여 사업을 추진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한 문제점을 확인하고 계림동지역 사업연계 방안 안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향후 사업유형과 주민의견이 상이한 여러 재개발 사업구역을 1차, 2차, 3차 사업계획으로 사업을 성공적으로 완료하려면 행정, 주민, 전문가 협력시스템 구축을 통한 지속적인 도시운영이 가능하도록 사업연계 성공사례를 전파하고 주민 간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여야 한다. 이러한 사업연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사업연계 계획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계획수립이 제도화 되어야하며, 무엇보다도 주민참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계획수립은 절차상 주민으로부터 위임받아 공공기관이 주관하여 계획을 수립하고 그 전문가 집단과 기술적 자문을 받아 계획의 주체는 지역주민이기에 계획내용과 직접적인 이해관계를 갖는 주민의 동의와 협조를 얻어야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광주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에 따른 재개발사업이 시작되면서 주민 간 크고 작은 문제가 발생한 만큼 지역주민 간 사업구역별간 연계는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연계에 필요한 협의회 구성으로 재개발사업장의 조합장, 주민자치 위원회 위원장 그리고 학식과 경륜을 겸비한 덕망 있는 주민대표, 지역여건을 충분히 인지하고 지역을 토대로 활동 중인 시민단체, 도시계획 전문가가 협의회 위원으로서 도시정비 사업과 연계된 가로경관 및 녹지 공간 조성을 위한 협의 및 살고 싶은 도시 만들기를 실현하여 지역현실을 토대로 한 미래지향적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고 연구하여 사업연계에 따른 정비사업 목표 달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서울시 準工業地域 工場이적지 管理改善方案에 관한 硏究 : 서울시 가양동을 중심으로

        송춘식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719

        As the industries in Seoul need to be restructured to serve the ever-expanding knowledge-based industry and economy, it is argued that future of the quasi-industrial zones in Seoul should be redirected with the industrial policies redesigned. Recently, as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began to comprehensively review how to manage the factory sites evacuated in the quasi-industrial zones in Seoul in accordance with the changing industrial structure, it is being argued whether their uses should be changed to allow for apartment houses and other uses. The legal ground for change of uses for the factory sites evacuated is arranged in ''Capital Sphere Regeneration Plan Law'' (Article 11) and ''Law about Planning and Using of the National Land'' (Article 19), but since change of uses for these sites should be approved by local autonomous administrations, it may well depend on their industrial policies. Currently,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keeps the policy not to permit any apartment house in the quasi-industrial zones according to its Urban Planning Ordinance (Article 35) for fear of possible encroachment on the industrial ground. However, until July, 2000 when the criteria for approval of apartment houses in the quasi-industrial zones in Seoul was amended to be more prohibiting, wide factory sites evacuated had been redeveloped, accommodating various urban functions, but not in consideration of adequate urban spatial structure for the region; the results were unharmonious cityscape and inefficient land uses. In overall terms, the quasi-industrial zones in Seoul account for 4.6% (8.44 million pyongs) of the entire Seoul area, but apartment houses are prohibited in most of the zones except for the zones of non-industrial functions prevailing where apartment houses can be built. In such circumstances, numerous small-scale apartment houses claiming to be elderly welfare houses and ''apartels'' or a varied version of officetel - both types of buildings are limitedly permitted in quasi-industrial zones - have been built disorderly among factory buildings by bending the law only to exacerbate the living environment and encroach on the industrial basis. Henc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s obliged to manage such evacuated factory sites by categorizing them into developable areas and industrial zones depending on their surrounding conditions and basic industrial functions. Despite it continues to be argued that the wide factory sites evacuated in Seoul should have a great potential of being redeveloped partly because they are changing the urban environment in terms of the urban space and partly because the downtown land developable falls short in downtown Seoul, the city government has still to put forwards some alternatives. Thus, it is deemed necessary to make effective uses of the evacuated factory sites more flexibly, taking advantages of their strong points. With such basic conceptions in mind, this study was aimed at suggesting some effective ideas for redevelopment and refunctioning of the evacuated factory sites in Seoul which can no longer play their industrial functions and thereby, presenting a futuristic management of them. To this end, the researcher sampled the wide factory site evacuated or scheduled to be evacuated at Gayang-dong, Seoul and thereby, designed a draft redevelopment plan for the site in consideration of urban space, profitability of redevelopment project and appropriate functions and uses. The sample site owned by ''C'' factory and scheduled to be evacuated was as wide as 106,311㎡, being located in a quasi-industrial zone at Gayang-dong, Gangseo-gu, Seoul. This study consists of the following 7 chapters; The first chapter introduces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study. The second chapter theoretically reviews concept,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factory sites evacuated as well as causes and effects of evacuation, while reviewing the results from preceding studies. The third chapter examines the policies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for quasi-industrial zones as well as their overall conditions. The fourth chapter addresses the problems of the current system for the factory sites evacuated in Seoul, focusing on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relevant polices. The fifth chapter comparatively reviews domestic and foreign cases. The sixth chapter analyzes the conditions of the sample site and suggest some basic ideas for its redevelopment, and then, comparatively reviews the background of its redevelopment plan and its conditions, and thereupon, discusses the draft land use plan designed by the researcher for the sample site. The seventh chapter sums up the results of the study, putting forwards the most efficient method for its redevelopment in terms of land u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researcher suggested a comprehensive complex development plan of a theme town including a apartment housing complex for the sample site. In addition, the theme town was designed to be linked with the subway station area to play a central role in the community with its facilities connected systematically with each other to cast off its existing image of factory to be energetic enough as a landmark for the region. In order to design such a redevelopment plan for the sample site, the researcher examined its geographic location, human and social environment and living environment and thereupon, reviewed its feasibility as a region playing a sub-downtown role and linking the area with nearby regions in the Southwestern part of Seoul. After all, the draft redevelopment plan was focused on rearrangement of the traffic system for the region including the sample site, reorganization of its land use plan, green park, public facilities and amenities, all required for a model of quasi-industrial zone development. 지식산업경제의 확대로 인한 서울시의 산업구조 변화가 초래됨에 따라 준공업지역의 미래상 및 산업정책 방향의 재정립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최근 서울시가 이러한 산업구조 변화에 맞춰 준공업지역내 공장이적지 활용방안을 포함한 준공업지역 관리방안에 대한 종합검토를 시작되면서 공동주택허용등 토지용도변경을 통한 개발여부가 이슈로 등장하고 있다. 공장이적지의 용도변경과 관련하여 수도권정비계획법(제11조)와 국토의계획및이용에관한법률(제19조)에서 이전적지(종전대지)의 이용에 관해 근거를 마련하고 있으나, 이전적지의 토지용도변경은 지자체에 입안권이 있어 지자체의 산업정책에 따라 대응방안이 다르다. 현재 서울시는 준공업지역의 잠식에 따른 산업기반 약화를 우려해 도시계획 조례(제35조)에서 공동주택의 건축을 불허하고 있다. 그동안 서울시의 준공업지역 공동주택 입지심의기준(2000.7)이 강화되기전까지 대규모 공장이전적지에 대한 개발과정에서 지역적인 도시공간구조를 고려하지 않은 도시기능의 수용, 도시경관의 부조화, 토지이용의 비효율적 개발이 진행되어온 것이 현실이다. 서울시 전체로 보면 현재 준공업지역이 시면적의 4.6%(844만평)에 달하고 있으나 서울시 도시계획조례로 비공업기능우세지구에 한해 제한적으로 공동주택 건축을 허용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준공업지역에서 공동주택 신축이 금지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그동안 노인복지주택을 표방한 변형된 소규모 아파트와 아파텔이라는 변형된 오피스텔 신축 등 편법형태의 주택이 난개발되어 주변의 공장등과 뒤섞여 주거환경이 악화되고 본래의 산업기반유지로서의 기능을 상실해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서울시는 준공업지역을 주변여건과 산업기반기능 여부에 따라 개발가능지역과 산업기능 존치지역으로 구분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다. 준공업지역내 대규모 공장이전적지가 도시공간적인 측면에서 도시환경의 변화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과 개발과정상 서울시가지내의 개발가능한 토지부족이라는 측면에서 개발잠재력이 큰 공장이전적지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대안책이 부족한 실정이고 대규모 공장이전적지가 지니고 있는 장점을 살려 보다 효율적인 공장이적지의 활용으로 토지의 유연성확대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인식하에서 본 연구는 산업기능을 상실한 준공업지역의 공동주택허용을 통한 공장이적지에 대한 실질적인 구상안의 마련과 적절한 기능도입을 통해 미래지향적인 서울시 준공업지역 공장이전적지 관리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서울시 가양동 준공업지역 대규모 공장이적지 및 이전 예정지지를 대상으로 도시공간적인 측면과 사업자의 수익측면을 고려하여 합리적이고 적절한 기능 및 용도 도입을 통한 개발계획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서울시 강서구 가양동 준공업지역인 C사의 공장이전 예정지로 국한하며 대상지의 면적은 106,311㎡이다. 본 연구는 총 7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장은 연구의 배경 및 목적을 기술하였고, 제2장은 이론적 고찰로서 공장이전적지에 대한 개념정의 및 특성, 이전적지의 발생원인 및 파생결과, 선행연구 등의 이론적인 배경을 검토하였다. 제3장에서는 서울시 준공업지역의 개요 및 산업정책 등을 검토하였다. 제4장에서는 서울시의 준공업지역 공장이전적지 관련 시책을 중심으로 현행 제도의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제5장에서는 국내 및 해외사례비교를 구체적으로 연구하였다. 제6장에서는 계획대상지의 현황분석 및 개발기본구상을 하고 대상지 여건 분석으로서 대상지가 현시점에서 계획하게 된 배경과 대상지가 처해있는 상황을 비교 검토해 보았고, 검토 결과에 따른 개발 컨셉을 가지고 토지이용 계획을 수립하여 보았다. 제7장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서 토지이용계획에 따른 가장 효율적인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연구 진행을 통하여 결과로 나타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는 가양동 준공업지역내 대규모 공장 이전예정지에 공동주택을 포함한 복합개발의 개념도입과 개별건축이 아닌 테마타운의 종합개발의 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역세권과 연계하여 지역의 중심 역활을 담당하게 하고 시설간의 유기적인 연결을 도모하여 기존 공장이미지를 탈피하고 지역의 랜드마크로 부각되는 개발계획을 수립하여 도시의 활력 있는 공간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강서구 가양동의 대규모 공장 이전예정지 개발을 계획하기 위하여 강서구의 지리적 위치와 인문 사회환경과 생활환경을 고찰함으로서 향후 강서구가 부도심의 역할을 담당하고 주변지역을 연계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지역으로 서울 서남부의 핵심이 되는 개발 타당성을 살펴본 후 개발계획을 수립하였다. 따라서 본 구상에서는 가양동 사업부지내 대규모 공장이전적지를 포함하여 주변지역의 입지 교통체계의 재정비 및 토지이용계획의 개편, 공원 녹지구상, 공공시설, 편익시설을 공급 함으로서 준공업지역의 개발모델을 제시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 주택재개발 사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정원표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50719

        우리나라는 1945년 광복과 한국전쟁 이후 급격한 사회변혁을 거치게 되었고 60~70년대 이후 급격한 산업화로 인한 사회경제적 변화와 자녀교육에 대한 욕구로 인구의 대도시로의 집중 현상이 폭발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로 인하여 대도시의 주택난이 일어났고 이를 해결하려는 서민들은 청계천 변을 비롯한 도심공지나 변두리야산, 전답 등에 무작정 무허가 판잣집 등을 짓고 살게 되었으며, 이러한 불량주택들로 인하여 환경, 위생, 교통, 공해, 범죄, 교육 등 심각한 도시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렇게 형성된 불량주택들을 개량하여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도시미관을 정비하여 도시문제를 해결해 보고자 한 것이 오늘날 도시재개발사업으로 발달하게 된 것이다. 우리의 재개발 역사는 이렇게 시작되었으며, 제도적으로 재개발 사업을 하기위한 법규는 1962년에 제정된 도시계획법에서 재개발 관련 규정을 두었었고, 1973년 불량주택 개량을 위한 임시조치법이 마련되어 비로소 불량주택을 계획적으로 개량하기 위한 기틀이 마련되었으며, 1982년 도시재개발법이 대폭 개정되면서 참여기업이 자금을 선투자하고 주민들이 토지를 제공하는 합동재개발 방식이 도입되어 도시재개발 사업이 활성화되었으며, 오늘날과 같은 재개발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그 동안 주거환경 개선사업은 주거환경개선을 위한 임시조치법에, 재개발사업은 도시재개발법에, 재건축사업은 주택건설 촉진법에, 도심재개발 사업은 도시재개발법에 따라 각각 추진되던 사업을 2003. 7. 1일부터 시행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이란 통일된 단일법으로 통합재정되어 시행되면서 재개발 재건축사업이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재개발사업은 이와 같이 제도적으로는 많이 발전되었으나 실제 시행과정에서는 아직도 많은 문제점들이 제기되어 어려움에 처하게 된 경우가 많다. 재개발지역의 부동산투기문제, 각종 분쟁으로 인한 사업기간의 장기화, 원주민들의 재산권보호문제와 재입주율 저하, 또 다른 지역에서의 불량주택집단지 발생, 도시계획차원에서 국지적개발과 행정기관들의 소극적인 행정으로 전체 광역도시계획과의 부조화와 난개발 등 많은 문제점들이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분석해보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해봄으로써 향후 시행될 재개발사업이 보다 더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재개발 사업이 시행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 통일경제특구지정에 따른 경기접경지역 발전방안과 그 경제적 파급효과

        이동엽 고려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50719

        본 연구에서는 낙후되어 있는 경기북부지역의 접경지역을 조사하는 동시에 통일경제특구 지정에 따른 향후 발전방안과 관련 경제성 분석을 심층적으로 연구·조사하였다. 특히 기존 정치권에서 논의되고 있는 통일경제특구 모델을 경기북부지역으로 한정하고 경기도 내 접경지역 7곳의 각 시군구별 면적, 인구현황, 경제적 여건, 도시화율, 사업체수, 군사시설보호구역, 접경지역 규제현황 및 정부정책 및 지원사업 등에 대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조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경기북부지역의 통일경제특구 지정 및 특구 조성 추진을 위하여 국내 경제특구 지정 현황과 장단점을 조사하는 동시에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경제특구의 유형과 그 제도적 현황을 면밀히 조사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통일경제특구’의 명칭은 접경지역을 지역구로 두고 있는 대한민국 접경지역 국회의원들을 중심으로 논의되고 있는 제정법률안의 명칭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통일경제특구 구상은 기존 경제특구방식과 유사해보이지만 접경지역이라는 특수성이 가미되며 새로운 형태의 경제특구 유형으로 봐야할 것이기에 본 연구에서는 ‘안보경제복합형특구’라는 새로운 특구모델을 제시하고 이에 따른 제도적 사항을 정리하였다. 남북이 대치하고 있는 접경지역은 군사적 긴장감이 상당히 높은 지역이다. 군사·안보적으로 각종 제도적 제약사항들이 발전의 발목을 묶어버린 실정인데, 이렇다보니 접경지역 내 도시들은 타 도시에 비교하여 도시발전 수준이 매우 열악하다. 하지만, 접경지역 일대를 본 연구구상에 따라 통일경제특구로 지정하고 조성계획을 추진·실시해나간다면 ‘새로운 도시설계 전략모델’로서의 접경지역은 기회의 땅으로 변모할 수 있는 그 기반여건이 충분하다. 남북으로 갈라진 한반도의 통일비용 추정의 주요 기준이 되는 ‘통일비용의 추정 시기와 예상통일 시기’에 따라 관련 분석방법과 비용산출도 천차만별로 달라진다. 통일을 위해서는 반드시 사전 준비가 필요하고, 이를 바탕으로 안정된 통일을 했을 때, 박근혜 대통령의 말처럼 ‘통일은 대박이다’는 전제가 성립될 것이다. 이러한 기조아래 통일에 따른 경제성 분석 연구가 학계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대한민국 국회 예산정책처에서 분석한 ‘한반도의 평화적 통일비용에 따른 비용추계’는 매우 큰 의미를 가지는데 이에 따르면, “통일에 따른 비용보다 통일에 따른 편익 비용이 약 3.1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일비용은 4,657조원으로 연평균 103조원의 자금이 투입되지만, 통일편익비용은 1경4,451조원으로 연평균 321조라는 어마어마한 경제적 파급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북한의 불안정한 정세도 지금의 ‘통일기대현상’을 반영하는데 한 몫 하고 있다. ‘통일’에 대한 화두가 대한민국 사회에 뿌리 내리고 있는 지금, 통일을 준비해야 한다. 급작스런 통일은 대규모 인구이동과 경제 붕괴 사태를 일으켜 한반도에 큰 혼란을 초래할 것이며, 이는 고스란히 대한민국 국민들의 부담으로 돌아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또한 통일을 대비한 통일완충지대를 마련해야 한다. 한반도의 지형학적 측면을 고려하고 배후기반시설 등을 감안하였을 때, 경기서북부 접경지역을 중심으로 통일경제특구를 조성하여, 다가올 통일한반도의 미래부담을 중간지대에서 일정부분 경감시켜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접경지역을 중심으로 통일경제특구 도입을 위한 접경지역의 구체적 현황조사와 발전방안에 대한 기존 논의를 선행조사 하였고, 이를 통한 향후 통일경제특구의 발전방향에 대해 제시하였다. 특히 경기도 김포시, 파주시 내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통일경제특구조성에 따른 그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한국은행의 지역산업연관모형(MRIO)을 활용하여 16개 지역의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를 도출하였고 관련 결과 값과 기존 선행연구 결과 값을 비교하여 독자적 연구 결과 값을 도출하였다. 선행연구 분석에서는 “1안(100만평)의 경우, 통일경제특구 조성 후 입주기업 생산액 추정 4조4,877억원, 전국적 생산유발효과 9조1,959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 3조6,108억원, 취업유발효과 7만2,972명이며, 2안(300만평)으로 그 규모를 늘리면, 통일경제특구 조성 후 입주기업 생산액 추정 10조7,704억원, 전국적 생산유발효과 22조4,343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 8조7,916억원, 취업유발효과 17만8,196명”으로 통일특구조성에 따른 장밋빛 경제적 파급효과를 전망했다. 하지만, 특정 산업단지 한곳의 데이터 분석만으로 대규모 국책과제가 될 수도 있는 통일경제특구 조성에 따른 경제성 분석 결과 값을 결론 내리기에는 많은 오류와 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 논문에서는 선행연구 산업단지(반월시화산업단지) 이외에 신규 산업단지 두 곳(김포-파주산업단지, 파주LCD클러스터 산업단지)을 추가하여 선행연구의 가정을 중심으로 총 세 곳의 산업단지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1안(100만평), 통일경제특구 조성 후 입주기업 생산액은 2조6,621억원, 전국적 생산유발효과는 5조9,694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는 2조2,394억원, 취업유발효과는 4만5,364명으로 나타났다. 2안(300만평), 통일경제특구 조성 후 입주기업 생산액은 6조3,889억원, 전국적 생산유발효과는 14조4,843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는 5조7,085억원, 취업유발효과는 11만1,937명’으로 나타났다. 통일경제특구 조성에 따른 그 경제적 파급효과는 분명 긍정적인 측면이 훨씬 크다. 하지만, 세 곳의 산업단지 파급효과 평균값을 도출한 결과, 단일 데이터를 통한 결과 값과의 차이가 발생했다. 물론, 각 산업단지 별 특수성을 좀 더 세분화한다면 그 차이는 더욱더 커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제학적 분석과 정책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접경지역 내 통일경제특구를 조성한다면 낙후된 접경지역의 발전은 물론이거니와 안보와 경제라는 두 마리 토끼를 한번에 잡을 수 있는 전략적 구상이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