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의 보건의료부문 공적개발원조 현황과 과제

        박주아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759

        보건의료는 개발의 핵심적인 요소의 하나로 개별 국가의 경제 사회 발전에 있어서 인간의 인적기본수요를 충족시키는데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을 뿐 아니라, 그 나라의 빈곤상항, 교육 등 전반적인 발전 수준과 깊은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서 세계화, 지식정보화 추세 속에서 좁아지고 있는 지구촌 사회의 주요 국제개발과제의 하나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 나라는 국제개발협력 차원의 공적개발원조 중 보건의료부분만 특별히 구분되어 연구된 적이 없으며, 인구, HIV/AIDS 등 국제개발협력 분야 중 보건분야의 중요성이 높아져 가고 있는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 나라 보건 분야 국제개발협력의 실태를 알아보고, 일본, 미국의 경우와 비교를 통하여 우리 나라의 특성에 맞는 국제보건협력의 방향을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우리 나라 보건 분야 국제개발협력은 KOICA를 중심으로 1차보건의료서비스를 확충하며, 아프리카 등 의료혜택이 불충분한 개도국에 만연된 질병의 퇴치 등 인도주의에 의한 헌신적인 의료활동을 제공하고 있다. KOICA 설립후 본격적으로 시작된 활동으로 1991년부터 1997년까지 총 15국 22건 1,453만불의 프로젝트 사업, 232명의 연수생 초청, 737만불의 물자지원, 91명의 봉사단윈, 140명의 의료단, 87만불 규모의 비정부기구 지윈사업을 실시하여 왔다. 1998년 KOICA내 보건의료 협력윈조규모는 인구/가족계획 분야의 0.3%를 포함하여 12.9%로서 630만불의 규모에 해당한다. ODA 형태별로는 양자간 96%, 다자간 4%, 양자간 지원중 프로젝트 30%, 물자지원 8%, 기술협력 58%의 형태로 실시되고 있다. 향후 국제보건협력의 방향 제시로서 먼저 예산 분포를 살펴보면 양자간 지원 예산 중 약 10%를 인구·보건이 담당하고 있지만, 전체 ODA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극히 미약하다. 적은 예산 규모로 인하여 DAC 목표에 부합되는 목표, 사업수행, 성과측정의 프로그램 접근 사업수행에는 미흡한 편이다. 적은 예산의 효율적 수행을 위하여, 정책측면에서 USAID의 JPPC와 같이 LLDC, LICs 중심의 집중대상국가를 선정, 재경부 EDCF, NGO, 다자간기구, 각국정부와의 다각적 협력과 다년도 예산제도의 병행을 통해 수혜국 중심의 장기적인 역량 구축을 유도하는 것이 개발협력 자체의 목표에 한층 더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조직측면에서 USAID의 PHNC, JICA의 의료협력부와 같이 전문인력을 갖추고, 현장과 본부, 지역사무소를 연결하는 네트워크의 형성이 필요하다. 또한, 1회성 프로젝트형 기술협력위주에서 강화된 목표, 수행, 성과측정, 사후관리 중심으로 물자, 인력, 건축, 시설을 포함한 프로그램 중심 연합형 프로젝트로의 사업수행 접근이 요구된다. 우리 나라는 인구정책수립, 외원의 관리, 가족계획보급, 피임시술, 홍보교육, 기관설립 및 운영 등 40년간 수혜받은 역사를 토대로 한 인구보건사업의 비교우위를 갖고 있다고 보인다. 이러한 분야에서의 국제협력 경험을 바탕으로 보건의료 부문의 인구사업 기술협력과 프로젝트의 모델을 구축한다면, 우리 나라가 각 개도국의 현실에 부응하는 21세기 개발협력 과제를 개발하고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Health care has been playing an important role to satisfy with the basic human needs which ha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in each country. However,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ODA) especially in the health care field in Korea has not been sufficiently studied. Although the significance of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health care field has been recognized more than ever before, health care issues including population, HIV/AIDS and many more issues have not been properly rai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present status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health care field of Korea and to propose future directions for 21st century after thorough analysis of that of Japan and the U. S. First of all, Korean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health care, carrying out by KOICA, consists of the activities for primary health care and the eradication of diseases in some developing countries where don't have available benefits for health care. From 1991 to 1997, KOICA had spent 14.53 million dollars for 22 projects in 15 different countries, invited 232 trainees, offered equipment supplies in the amount of 7.37 million dollars, sent 91 volunteers and medical experts, and had voluntary NGO projects with 87 million dollars. In 1998, KOICA's expenditure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health care field had allocated 6.3million dollars, which portioned 12.9%, including 0.3% in population and family planning programs. By the types of ODA, bilateral and multilateral assistance have been consisting of 96% and 4% respectively. In the bilateral assistance, the ODA allocated to the project assistance 30%, equipment supply 8% and technical cooperation 58% respectively. This study is also proposing the future directions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health care field. The proportion of health care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health care field in bilateral ODA is 10%, which is quite small portion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and this budget is too small to select the proper target for the programs and to execute the health care programme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and to assess the performance of the programs. Thus, in order for the effective operation with small budget, in the policy wise, it is necessary for reach the ultimate goal in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1) by selecting countries concentrated in point of LLDC, LICs like JPPC of USAID, 2) by pursuing the multi-focused cooperation between Ministry of Finance, EDCF, NGO,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governments benefited and 3) by parallelling multi-years based budget system with the present of one-year based budget system for the establishment of long term target. In the aspect of organization, it is needed for experts and network system to connect the center and with regional offices, like the examples of medical cooperation by JICA and PHNC of USAID. And it is also desirable to change the approach for the policy implementation from the one-time project types of technical cooperation to multi-year composite projects combined with the target setting, policy assessment, ex post facto management including personnel, supplies, facilities management. Korea has been acquired plenty of experiences in the field of population, due to implement population policies and family planning programs including the education and diffusion of contraception technique and inform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operation body. In conclusion, it can be suggested that Korea be able to further develop the future, especially 21st century, international cooperation models and projects corresponded with the needs of developing countries based upon population health field experience.

      • 국제보건 환경 변화에 따른 비정부 기구 의료활동의 현황과 과제

        김정아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59

        The circumstances of international health are changing and the role of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NGO) is getting more important. Since 1980s the main stream of international health was primary health care, health reform, and public private partnership. NGOs in health sector have been adjusting their roles to these changes.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on ‘international health trend and NGOs in oral health’ and treatment- focused activities of NGOs in oral health are criticized in terms of efficiency and substantial help for the people.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right direction for the NGOs in oral health when they work in the third world.The analytic point of this study is the comparison of NGOs role in health sector and in oral health sector under the circumstances of primary health care, health reform and global public private partnership.The result is that the primary health care project was introduced later and not active in NGOs in oral health sector compared to the NGOs in health sector. The change of NGOs role in oral health sector related to health reform was rarely found, but the governments plan to collaborate with NGOs for the quality and efficiency of national oral health service. The NGOs in oral health has not various types in global public private partnership.In conclusion, NGOs in oral health sector need to change more in their roles to adapt the changing international health circumstances. 국제보건 환경은 변화하고 있으며, 국제사회에서 NGO의 역할과 비중은 증가하고 있다. 1980년대 이후에 국제보건 환경의 주된 흐름은 일차보건의료(Primary Health Care), 의료개혁(Health Reform), 공공 민간 파트너쉽(Public Private Partnership)이었는데, 의료 영역에서 활동하는 NGO는 이런 변화에 맞춰 여러 모습으로 적응해 왔다.그러나, 치과의료 영역에서는 국제보건의 환경 변화와 관련된 NGO의 활동변화에 대해 특별히 연구된 바가 없었을 뿐만 아니라, 그 동안의 연구에 의하면 치과의료 NGO의 활동은 치료에 치중되어 각 국가 주민들에게 실제적인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비판이 있어왔다.따라서, 본 연구는 국제보건 변화 속에서의 치과의료 NGO의 올바른 활동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관련 문헌 및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일차보건의료에서는 일차보건의료 사업의 시작 시기, 대상 지역, 일차보건의료 원리의 적용 여부에 대해 비교하였고, 의료개혁에서는 지방분권화, 시장화, 사유화의 세 가지 현상과 관련된 NGO의 활동 변화를 각각 행정의 변화가 NGO에게 미치는 영향 (지방분권화), NGO 소속 의료기관 내 시장원리의 도입 및 본인부담제 도입 여부 (시장화), 효율적 의료 서비스 전달을 위한 정부와 NGO의 협력증가 (사유화)의 측면에서 비교하였다. 공공 민간 파트너쉽은 목적에 따른 세 가지 유형인 상품 기부, 상품개발, 의료체계 파트너쉽 중 어느 유형으로 활동하는지 비교하였다.연구 결과를 보면 치과의료 NGO는 일반의료 NGO에 비해 일차보건의료 사업의 도입시기가 늦고, 활발하지 못하였다. 의료개혁과 관련된 활동의 변화는 거의 나타나지 않은 반면, 각 국 정부는 각 국 의료제공 시 의료의 질 향상과 효율화를 위해 치과의료 NGO와의 협력을 기대하고 있었다. 공공 민간 파트너쉽을 보면 세 가지 파트너쉽 유형 중에서 상품 개발 파트너쉽(Product development partnership)으로 활동하고 있는 치과의료 NGO가 발견되었으나, 공공 민간 파트너쉽 유형은 의료영역에 비해 다양하지 못하였다.결론적으로 1980년대 이후 치과의료 NGO는 일반의료 NGO에 비해 국제보건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2000년대 들어 국제보건과 관련된 일차보건의료, 의료개혁, 공공 민간 파트너쉽의 세 가지 변화가 동시에 일부 지역에서 소규모로 일어나고 있다.

      • 한국의 보건의료분야 지속가능개발목표 (SDG3) 이행 향상 방안 : 일본과의 비교제도론적 고찰을 중심으로

        최윤아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743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are launched in January 2016 and are global task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economy, society and environment around the world from 2016 to 2030. SDGs call for efforts at the national level and implementation of SDGs has been critical because not only developing countries but also advanced countries must work together to resolve them. Korea submitted the Voluntary National Review to the High-Level Political Forum (HLPF) in 2016 for global-level monitoring of SDGs implementation. According to the data by SDG Index & Dashboards Report, which is an assessment of the implementation of SDGs by country, South Korea's index ranking in implementing SDGs is in the mid-tier range. Meanwhile, Japan's SDG Index world ranking is higher than Korea's., but has a similar political and social system to Korea. In addition, the health systems for all citizens, such as Universal Health Coverage, and welfare policies to cope with aging societies, are similar to those of Korea. Thus, Japan's initial implementation case of SDGs will be of much help to improve Korea's SDGs governance in the future. Also, I hope to find how Korea can contribute to the global health community by implementing SDGs while examining two countries' national health strategy and policy which are associated with SDG3. Therefore, this study looked at how well Korea's SDGs implementation was performed in comparison with the Japanese case and compared how well the policies of the two countries on the health sector reflected SDG3. To carry out this study, the research method presented here is a literature review. I compared SDGs implementation system based on the detailed objectives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for 2030 Agenda of the United Nations, the governance questions required by the VNR, and the governance survey questions asked by the 2018 SDG Index & Dashboar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ile the Ministry of Environment plays a central role to implement SDGs in Korea, the national health and medical targets in the Third Basic Pla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failed to properly reflect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for 2030 Agenda, and failed to establish appropriate measures for health and medical issues at home and abroad. Second, Korea's The Third Basic Plan has changed two years after its implementation, and this prevents consistent implementation of SDG for a long period of time until 2030. Also, Korea's implementation of SDGs is inconsistent as a country's policy because they are divided into domestic and international sectors and each ministry in charge establishes and implements policies. Third, Korea also has a health care system for all citizens like Japan. The Moon Jae In Care (Strengthening Health Insurance Coverage) is one of political agenda of current Moon administration is related to SDG3 including establishment of UHC. Also, K-SDGs do not include global health projects. On the other hand, most of Japan's policies related to SDG3 are global health projects including partnerships with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the agenda discussed at international conferences. Finally, the government of Korea is not very interested in SDGs even though it is the country that produced UN Secretary-General Ban Ki-moon, who led the MDGs era. In Japan's case, the Japanese government and Prime Minister Shinzo Abe have expressed interest in SDGs from the stage of preparation, leading the implementation of SDGs as a national project. Policy implication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As one of G20 nations, Korea must be well positioned to be an example for implementing SDGs. Therefore, the government needs to be more interested in implementing SDGs and reorganize organizations and system that can enhance consistency and connectivity of SDGs implementation by utilizing existing organizational systems and policies. Also, if Korea's health policies and experience with Universal Health Care are reflected in K-SDGs and applied to the implementation of SDG3, Korea will also be able to find a leading role in global health. 2016년 1월에 시작된 지속가능개발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이하 SDGs)는 2016년~2030년까지 전 세계의 경제, 사회, 환경에 대한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전 세계의 과제이며, 개발도상국의 빈곤과 가난 해결에 중점을 두었던 MDGs와 달리 개발도상국뿐만 아니라 선진국들도 함께 노력해서 해결해 나아가야 한다. SDGs는 국가 수준에서의 노력을 요구하며 SDGs 이행이 잘 이루어지는 가는 매우 중요하다. 한국은 2016년 SDGs 이행에 대한 글로벌 수준의 모니터링을 위해 고위급정치포럼(HLPF)에 Voluntary National Review를 제출하였다. 국가별 SDGs 이행에 대한 평가를 담은 SDG Index & Dashboards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SDG 이행에 대한 Index 순위는 중위권에 속한다. 한편 세계 3대 경제 강국으로 손꼽히는 선진 국가인 일본의 SDG Index 세계 순위는 한국보다 높은 상위 국가에 속한다. 하지만, 전 국민 대상의 의료보험 보장과 고령화에 대응하는 복지정책은 한국과 유사하다. 그러므로 일본의 SDGs 이행 사례는 앞으로 한국의 SDGs 이행을 보완하고자 할 때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특히, 일본과 한국의 SDGs 이행에 대한 국가 계획 중 보건의료분야 지속가능개발목표(SDG3)를 반영한 양국의 보건정책을 알아봄으로써 한국이 SDGs를 통해 어떻게 국제보건 분야에 기여할 수 있을지를 발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이러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조사를 활용하였으며, UN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2030 아젠다의 거버넌스 관련 SDG17의 세부목표와 Voluntary National Review에서 요구한 SDGs 이행 점검관련 질문과 2018 SDG Index & Dashboards에서 국가의 거버넌스 현황을 조사하기위해 실시한 질문을 바탕으로 SDGs 이행 현황을 비교하고, 보건의료분야 지속가능개발목표와 지표를 기준으로 양국의 보건의료정책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는 SDGs 이행 추진에 대해서 환경부가 중심적 역할을 하지만, SDGs 이행을 위한 국가계획의 보건의료분야 목표는 지속가능개발목표를 위한 2030아젠다의 보건의료분야 목표를 제대로 반영치 못하였고, 국내외 보건의료 문제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수립하지 못하였다. 둘째, 한국의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은 시행 후 2년만에 변경이 되는 등, 2030년까지의 일관성 있는 장기적 이행의 어려움이 있다. 또한, 한국의 SDGs 이행은 국내와 국외로 나뉘어 각각의 담당기관에서 정책을 수립하고 이행되기 때문에 한 국가의 정책으로서 일관성을 띄지 않는다. 셋째, 우리나라도 일본 못지않은 전 국민 의료보장 시스템을 갖고 있으며, 현 정부의 국정과제중 하나인 문재인케어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는 SDG3의 주요과제인 UHC 확립과 연관이 높다. 하지만, K-SDGs 에는 국제보건 사업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반면에 일본의 대부분의 SDG3관련 보건의료정책은 국제기구와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국제협력 프로젝트가 대부분이며, 또한, 국제 회의에서 논의된 아젠다를 SDG3 이행에 반영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은 MDGs 시대를 이끌었던 UN 반기문 사무총장을 배출한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SDGs에 대한 관심이 높지 않다. 일본의 사례를 보면 일본 정부와 아베신조 총리는 SDGs의 준비 단계에서부터 SDGs에 대한 관심을 나타냈고, SDGs 이행을 국가적 사업으로 이끌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서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한국은 G20국가로서 SDG이행이 모범이 될 만한 위치에 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의 SDG3 이행의 개선을 위해 SDGs 이행 정책의 일관성과 연계성을 높여야 하며, 이를 위해 지속가능발전위원회를 비롯한 기존의 조직 체제를 활용한 조직의 재구성이 필요하다. 또한, 국정과제와 한국의 경험을 다룬 전 국민의료보장 시스템을 비롯한 한국의 건강정책을 SDG3 이행에 활용한다. 마지막으로 정부가 조금만 더 SDGs 이행에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개입한다면 국제보건의 리더로써, 국제사회가 기대하는 한국의 역할에 부응하게 될 것이다.

      • 대한민국 해외긴급구호대의 세계보건기구 응급의료팀 인증에 대한 질적연구

        김대동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27

        Background and Purpose : Humanitarian activities by Korea in response to international disasters are carried out in the form of the Korea Disaster Relief Team(KDRT) dispatched by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The UN Disaster Response Team evaluation criteria regarding overseas emergency relief teams are divided into rescue team and emergency medical team(EMT). In the certification evaluation conducted by the United Nations International Search and Rescue Advisory Group, the rescue team of the KDRT received the highest grade of Heavy in 2011, and their capabilities were recognized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But the EMT of the KDRT does not yet have any grades recogniz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and from 2016 to the present, it is preparing for the certification of the type 1 fixed EM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areas of preparation and improvement are urgently needed for the certification of the WHO Type 1 fixed EMT of the Republic of Korea. Methods : To determine the current status of Korea on the minimum standard capacity for EMT, the level of readiness and achievement of the minimum standards was looked into by investigating the EMT activity of the National Medical Center. In addi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related experts, we sought to come up with an improvement plan by gathering expert opinions on the capabilities that the EMT of the KDRT should have. Results : Korea has promoted its certification process for type 1 EMT since 2016, but has been delayed due to the lack of governance in the command structure and nationwide interest rather than the complexity of the certification preparation itself. In addition, the most important issues seem to be on the ability to prepare enough logistics to enable self-sufficiency and strengthening the capacity for dispatched personnel. The shortage of experts related to disaster relief and emergency disaster medical treatment has also been pointed out as a factor that prevents efficient KDRT EMT activities. In comparison with that of advanced foreign donor countries, there is a limit in Korea’s humanitarian aid in that it is confined to natural disasters. It has been found that agreements and support systems such as the circulation of materials at the National Medical Center and the use of military transport aircraft were needed for more efficient and diverse activitie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forming teams by module, according to the type of disaster, as well as public-private cooperation with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NGOs) with verified capabilities, in order to strengthen the expertise and capacity of the emergency medical team. Conclusion : In order to achieve systematic, integrated and efficient development assistance advocated by the Korean government, and to be certified by the WHO EMT, an organized implementation system and efficient governance of the host and enforcement of agencies are absolutely necessary. To this end, through the acquisition of certification of the EMT and collaboration with logistics experts as well as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experts, we should bear the responsibility to play a role that fits our capabilities in this international society in the age of a global epidemic. 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의 국제 재난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은 외교부에서 파견하는 대한민국 해외긴급구호대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UN 재난대응팀에서는 해외긴급구호대를 구조팀과 응급 의료팀으로 각각 나누어 평가하는데 유엔 국제탐색구조자문단 주관의 인증평가에서 대한민국 해외긴급구호대의 구조팀은 2011년 최상급인 Heavy 등급을 받아 그 역량을 국제 사회에서 인정받았지만 응급의료팀의 경우는 아직 국제보건기구에서 인정하는 어떠한 등급도 가지고 있지 않으며 2016년부터 현재까지 제 1형 고정형 응급의료팀 인증을 위해 준비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한민국 해외긴급구호대의 세계보건기구 제 1형 고정형 응급의료팀 인증을 위해 어떠한 부분에서의 준비와 개선이 시급한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국제보건기구에서 배포한 응급의료팀별 최소기준 역량에 대한 우리나라의 현 주소를 파악하기 위해 국립중앙의료원 내 공공보건의료본부에 속한 재난 해외응급의료지원팀을 통해 최소기준에 대한 준비도 및 달성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국제적십자사연맹과 국제보건기구의 해외응급의료팀 관리 문건을 바탕으로 해외긴급구호대 응급의료팀 관련부서 실무자 및 실제 파견자와의 심층 면접을 통해 우리나라 해외긴급구호대의 응급 의료팀이 갖추어야 할 역량에 대한 의견을 전문가 의견법을 통해 수집 후 개선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가 2016년부터 제 1형 응급의료팀 인증절차를 추진하였으나 현재까지 지연되는 이유는 인증준비 자체의 복잡성보다는 국가적인 관심과 지휘관련 구조에 있어 거버넌스가 부족해 준비 지속성과 업무 연속성이 떨어지는 것이 가장 큰 문제로 대두되었다. 또한 응급의료팀 인증과정 중 자급자족과 관계된 물류준비 능력과 파견인력 소집에 관한 역량강화가 응급의료팀 활동에 있어 중요한 문제라는 의견이 있었으며 그 외에도 재난구호 및 응급재난의료관련 전문가의 부족도 지적되었다. 외국 선진공여국과 우리나라와의 비교에서는 우리의 인도적 지원이 자연재난 후 지원에만 머무르는 한계가 있음과 좀 더 효율적이고 다양한 활동을 위해 국립의료원에서 물자의 순환활용이나 국방부의 군수송기를 활용과 같은 협약 및 지원체계가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또한 응급의료팀의 전문성과 역량강화를 위해 역량이 검증된 비정부기구(NGO)과의 민관협력과 함께 재난의 종류에 따라 모듈별 팀 구성을 고려하는 것도 필요하겠다. 결론: 우리 정부가 표방하는 체계적, 통합적, 효율적 개발원조를 달성하고 해외긴급구호대 응급의료팀의 세계보건기구 인증을 위해서는 총괄적인 재난상황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을 위해 주관기관과 시행기관의 체계적 추진체계 구축과 효율적인 거버넌스의 위임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이를 위해 응급의료팀의 인증획득과 물류전문가 및 공적개발원조 전문가와의 협업을 통해 대한민국 해외긴급구호대 응급의료팀으로서의 책무성과 전문성을 갖추어 세계적 유행시대에 살고 있는 국제사회에서 우리의 역량에 맞는 역할을 감당해야 할 것이다.

      • 보건분야 공적개발원조의 지속가능성 제고방안 : 고등교육 역량강화 사업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김정건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27

        공적개발원조 규모의 증가와 함께 공적개발원조의 지속가능성 제고 방안은 꾸준히 논의되어 왔으나, 고등교육 역량강화와 연계하여 수행한 보건분야 공적개발원조의 지속가능성 제고에 관한 선행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교육 역량강화와 연계한 보건분야 공적개발원조의 일부 사례를 비교 분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보건분야, 고등교육 역량강화 공적개발원조의 지속가능성 제고에 관한 선행연구 검토, 한국국제협력단과 한국연구재단이 수행 중인 고등교육을 연계한 공적개발원조 사업의 모집 선발, 성과관리, 단계별 평가 시 사용된 항목들을 검토하여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분석하는 틀을 마련하고, 라긴(Ragin(1987))의 비교사례연구법에 근거하여 사업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확인한 고등교육 역량강화를 연계한 보건분야 공개발원조사업의 기획단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현지 대학 구성원 자립 준비를 위한 계획(졸업생 진로 및 관리체계 및 교수 요원 확보 계획 및 관련 출구전략)’과 ‘배출된 졸업생의 유관분야 취업을 위한 산업계와의 네트워크 계획 수립’과 ‘수원국 협력 및 파트너기관과의 협의과정과 결과의 문서화’로 나타났다. 그 다음 운영 단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신규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학사제도 및 행정지원제도 구축’과 ‘현지에서 종료 후에도 유지할 수 있는 재정의 보유’와 ‘사업운영 단계에서 컨설팅 제도 활용’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성과단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해당 교육과정을 위한 예산 확보’ 와 ‘학과 설립 유지를 위한 학사제도와 행정지원 제도의 유지’로 파악되었다. 이에 따라 사업기획 단계에서의 지속가능성 제고 방안은 위의 영향 인자를 고등교육 역량강화를 연계한 보건분야 사업에 필수로 포함하고, 성과지표를 두어 사업 종료 시까지 관리될 수 있도록 하고, 수원국과의 협의과정과 결과를 문서화하여 그 정보를 보관하고, 고등교육 역량강화 연계 사업의 목표 달성을 위한 충분한 사업기간 담보하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사업운영 단계에서는 컨설팅 제도의 활용 시에는 컨설팅 전문가의 컨설팅 품질 제고를 위해 공적개발원조 사업에 대한 지식과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 섭외, 컨설팅 내용의 일관성과 연속성 확보를 위해 사업 기간 동안 동일한 전문가가 컨설팅 할 수 있도록 구성, 사업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사업단과 전문가 간 지속적인 소통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사업성과 단계에서는 사업 기획 단계에서부터 평가결과 환류에 걸친 컨설팅 제도의 활용을 제안하였다.

      •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출신국가별 가족관계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 남양주시 거주 국제결혼 이주여성을 중심으로

        김세아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11

        Since 1990's, the international marriages have continued to increase in the Korean society. Assuming that the foreign women married to the Korean men and emigrated into Korea are more likely to experience the intra-family relationship conflicts, it was deemed necessary to survey their stress and health conditions in specific and integrated ways.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foreign women married to the Korean men for their intra-family relationship stress level and perceived health conditions, and thereby,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ir intra-family stress and perceived health conditions and thus, explore the ways to relieve them of the stress.In this study, 80 foreign woman married to the Korean men living in Namyangju-si were interviewed face-to-face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data collected were processed using the SPSS WIN 12.0 program for One-way ANOVA,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s well as for Logistic Regression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intra-family relationship stress on women's perceived health condi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The sample women's intra-family relationship stress scored 1.56 on average on a 5-point scale, which seemed to be less serious. In view of the factors affecting their stress, they were experiencing the highest level of stress due to their relationship with husbands, followed by health problems, financial problems, their relationship with parents-in-law and their relationship with children in their order. Their perceived health conditions scored 3.25 on average, which was deemed normal. Their intra-family relationship stress level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ir origin of country, age and number of children, while their perceived health conditions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ir origin of country, age, difference of age between them and their husbands, and period of residence.It was found that the women's intra-family relationship stress was reversely correlated with their perceived health conditions, which suggests that the more they were stressed due to the intra-family relationship, their perceived health conditions were worse. Although this study was limited because it was a sectional study, it confirmed that th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women's perceived health conditions were such factors influencing their intra-family relationship stress as their relationship with husbands and financial problems. Most of them answered that the most effective solution to relief of their intra-family relationship stress would be 'conversation'.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pecific alternatives should be arranged to help the foreign women married to the Korean men to adapt themselves to the Korean society and improve their health conditions. To this end, local autonomous administrations and public health service institutions are obliged to understand them holistically and approach them very carefully. 1990년대 이후 한국 사회의 국제결혼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사회적 현상이다. 국제결혼 이주여성이 언어 및 생활방식, 가치관의 차이로 인해 가족 간 갈등을 경험할 위험이 높은 것을 감안할 때 이들에 대한 스트레스와 건강상태에 대한 구체적이고 통합적인 조사가 필요하게 되었다.본 연구는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가족관계스트레스 수준, 주관적 건강인식도 등 건강상태를 알아보고, 가족관계스트레스, 주관적 건강인식도간의 관련성 및 미치는 영향을 통해 스트레스 해결방안을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행되었다.연구 대상은 경기도 남양주시에서 본 연구의 참여에 동의한 국제결혼 이주여성 80명이었고, 자료 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일대일 설문조사로 수행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가족관계스트레스, 주관적 건강인식도의 수준을 살펴보기 위해 One-way ANOVA, T-test, 각 변수 간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Pearson Correlation Coeffients, 가족관계스트레스가 주관적 건강인식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Logistic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국제결혼 이주여성의 가족관계스트레스 수준은 5점 만점에서 평균 1.56(±0.67)점으로, 별로 심각하지 않은 정도의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었고, 5개의 하위요인별로 나누어 살펴본 가족관계스트레스 수준은 남편관계에서 가장 높았고, 건강관련문제, 경제문제, 시부모관계, 자녀관계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주관적 건강인식도는 평균 3.25(±0.83)점으로 보통의 수준을 보였다.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가족관계스트레스 전체 수준은 국적, 연령, 자녀수, 남편관계스트레스는 국적, 자녀관계스트레스는 국적, 연령, 종교, 거주기간, 자녀수, 시부모관계스트레스는 가족형태, 경제관련 스트레스는 국적, 연령, 배우자와의 연령차이, 거주기간, 자녀수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나, 건강관련 스트레스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주관적 건강인식도 수준은 국적, 연령, 배우자와의 연령차이, 거주기간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국제결혼 이주여성의 가족관계스트레스와 주관적 건강인식도 간에는 상호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즉, 모두 역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이는 가족관계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인식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음을 의미하고, 가족관계스트레스가 주관적 건강인식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단면연구라 제한점은 있지만, 가족관계스트레스 중 남편관계, 경제관련 스트레스가 주관적 건강인식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으며, 가족관계스트레스에 대한 원하는 해결방안으로는 대부분 ‘대화’라고 응답하여 이들의 요구를 알 수 있었다.이상의 결과를 통해 볼 때 본 연구는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사회적응 및 건강수준 향상을 위한 스트레스 관리의 구체적 대안이 필요함을 시사해 주며, 지방자치단체 등 보건의료당국은 이들에 대한 전인적인 이해와 세심한 접근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 베트남 초등학교 학생 건강검진 제도 현황 및 내실화 방안 고찰 : WHO 새로운 건강증진학교 모형 중심

        김미진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11

        건강과 교육은 본질적으로 연관되어 있으며, 좋은 교육은 건강을 증진하고, 좋은 건강은 교육 목표 달성의 전제 조건이 된다. 학교보건 프로그램은 교육과 건강을 동시에 향상하는 가장 효율적인 국가 전략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세계보건기구는 아동, 청소년의 건강 위험을 예방하고,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 사회, 경제 그리고 정치 요인의 개선에 교육 분야를 참여시키는 방법으로 학교보건 프로그램을 장려하고 있으며, 2018년 유네스코와 함께 건강증진학교의 새로운 이니셔티브를 출범하였다. 베트남은 2000년 초반 보편적 초등교육을 달성하였고, 이제는 초등교육의 질적 측면과 그 일환인 건강한 학교 환경 구축을 고려할 시기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세계보건기구에서 제시하는 건강증진학교 모형을 기준으로 현재 베트남 초등학교 학생 건강검진의 법·제도 및 거버넌스를 분석하고, 베트남 초등학교 학생들이 형식적이지 않고 양질의 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도록 학생 건강검진 내실화 방안을 고찰하였다. 베트남 아동법, 교육법, 학교보건서비스 시행규칙 및 타인호아성 지역정부 설문을 통해 현황을 분석하였다. 현지 설문 결과 교육청, 보건청, 마을 보건소, 현 보건소의 관계자 모두 베트남 초등학교 학생 건강검진의 필요성을 공감하고 있었다. 하지만 세계보건기구의 건강증진학교 모형에 대한 인식도는 낮은 상황이었다. 특히 교육청 초등학교 담당 부서는 들어본 적이 없다고 답하여, 초등학교 학생 건강검진뿐만 아니라 학교에서의 학생 건강권 실현을 위해 거버넌스의 인식 증진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초등학교 학생 건강검진은 시행규칙에서 규정하고 있지만, 법적 구속력이 강하지 않으며, 건강검진기록 관리 조항이 포함되지 않아 내용 보완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베트남 초등학교 학생 건강검진 내실화 방안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법적 구속력 강화 및 내용 보완, 둘째, 정부 부처 간 협력 강조, 셋째, 학생 건강검진 기록 관리 강화 및 전산화이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베트남 초등학교 학생 건강검진 내실화 방안이 적용된다면, 베트남 초등학생들의 건강권 보장 및 학생 건강검진의 효과로 학생 스스로 건강관리를 하고 건강습관 형성이 가능하다는 의의가 있다. 또한, 정부는 학생 건강증진계획 수립과 효율적인 학생 건강증진 사업 수행에 필요한 양질의 학생 건강검진결과를 확보할 수 있다. 한국의 베트남 보건 분야 개발 협력 사업 측면에서는 보건 ODA 사업 구성 시, 설문에 참여한 현지 지역 정부 관계자들이 건강검진기록 활용에서 가장 필요한 요소로 응답하였던 건강검진기록의 전산화를 반영한다면, 파리선언의 5대 원칙 중 하나인 협력대상국과 공여국의 원조일치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Background: Health and education are intrinsically linked. Good education promotes better health and good health is a precondition for reaching education goals. School health program can be one of the most cost-effective national strategies to simultaneously improve health and education. Therefore, WHO promotes school health programs as a strategic means to prevent important health risks among youth and to engage the education sector in efforts to change the educational,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conditions that affect risk. In 2018, WHO and UNESCO launched a new initiative “Making Every School a Health Promoting School” through the development and promotion of Global Standards for Health Promoting Schools. Vietnam achieved universal primary education in the early 2000s, and now is the time to consider the qualitative aspect of primary educ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a healthy school environmen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advance ways to strengthen school-based high quality health examination for primary school students in Viet Nam. Methods: 1) Institutional approach in comparative politics in legal system and governance between Viet Nam and Korea based on WHO/UNESCO’s new health promoting school. 2) Survey Thanh Hoa provincial governance such as DoET, DoH, Commune Clinic and District Health Center. Results: As a result of the local survey, all of participants agreed on the need for school-based health examination for students. However, the awareness of the health promoting school is low, and in particular, officials who are from the department of primary school at DoET answered they never heard of it. So that it is necessary to raise awareness of governance not only for primary school students' health examination, but also for realization of the students' health right at school. In addition, there is also legal system, but it is less legal binding power and has no article for managing student health records. As a consequence, this study analyzed the considered ways to strengthen school-based high quality health examination for primary school students as follows. First, strengthening legal binding force and compensating contents. Second, emphasizing inter-sectoral government coordination. Third, strengthening student health records management and turn to be e-based records. Conclusions: This study, therefore, provide a stepping stone that primary school students could be guaranteed their health right and manage their own health by themselves and making healthy habits by the effects of student health examination. In addition, the government could make student health promotion plans and effective student health promotion programs using high quality student health records. Additionally, in Korea health ODA sector, when building projects, if reflects the local needs of turning to be e-based health records, which the survey participants from local government selected as the most necessary factor in using student health record, it is expected to meet “Alignment”, one of the principles of the Paris declaration.

      • 탄자니아 아동 보건의료서비스 강화 사업 사례연구 : 탕가시, 무헤자군, 판가니군 지역 사업(2017-2019) 기획단계 분석을 중심으로

        박샘나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11

        탄자니아 탕가시, 무헤자군, 판가니군 지역에서 취약한 아동건강관리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아동 보건의료 서비스 강화 및 아동 보건환경을 개선을 목적으로 “탄자니아 탕가 지역 오지마을 아동 보건 서비스 강화 사업(2단계/ 2017-2019)”이 수행되었다. 이는 한국국제협력단(KOICA) 민관협력사업의 지원을 받았으며, 사업 수행기간 동안 성과관리팀이 파견되어 모니터링 및 평가를 실시하였다. 사업 종료 후 실시된 사후종료평가에 따르면 주요 활동의 목표치 달성에는 무리가 없었었던 것으로 파악하였다. 하지만 일부 활동이 비효율적이었고 사업 종료 후에 지속적으로 수행되지 않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사업은 오랜 사업 수행 경험과 사전조사를 바탕으로 기획되었지만, 지속가능 활동을 위해서 어떤 부분이 더 고려되었어야 하고 효율성을 위하여 어떤 활동에 더 중점을 두어야하였는지 의문점이 생겼다. 연구목적은 KOICA 민관협력사업으로 수행된 “탄자니아 탕가시, 무헤자군, 판가니군 오지마을 20곳 아동 보건의료 서비스 강화 사업”의 사례를 통해 지역사회 기반의 보건사업 기획 시 참고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한다. 첫째, 본 사업의 기획 단계에서 제시되었던 문제나무과 목표나무를 바탕으로 문제점을 재분석하고 개선방안을 파악한다. 둘째, 본 사업의 문제나무 및 목표나무를 재구성함으로써 NGOs 차원에서 반영할 수 있는 전략(안)을 도출한다. 셋째, 하나의 사례연구를 통해 향후 개발도상국 지역사회 기반 유사 보건사업 질적향상에 기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사업 기획단계에서 문제 분석을 위한 현지조사가 충분히 진행되지 않았다. 미흡한 현지조사의 이유는 사업 연계로 인한 현지조사 필요성 인식 부족과 사업 운영 및 인력의 역량 부족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획단계 목표분석 결과는 미흡한 현지조사 결과의 타당하지 못한 근거 기반 활동 기획이다. 1단계 사업 기획 시 핵심문제인 ‘아동의 취약한 건강관리’의 간접적 원인 중심으로 문제분석이 이루어짐에 따라 탄자니아 보건 시스템 및 정책에 부합하지 않는 서비스 제공 중심의 활동 기획과 인력이 고용되었다. 동 활동과 인력을 탄자니아 정부에 이양하고자 하였으나 구체적인 계획과 전략 수립이 미흡하였다. 본 활동을 통해 많은 아동이 치료를 제공받았지만 사업 종료 후 활동이 중단되는 지속가능하지 않은 활동이였으며, 보건 교육을 통해 지역사회 주민의 보건인식이 개선의 효과성을 예상하지만,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 설정이 미흡하였다. 결과를 토대로 지역 사회 기반의 보건사업 기획 시 반영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체계적인 현지조사 실시를 통한 문제분석이 필요하다. 충분한 사전조사 기간을 확보하여 현지의 보건시스템 및 정책조사와 이에 대한 현황 파악의 갭 분석이 필요하다. 또한 핵심문제의 전반적인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청중 별 상황분석이 실시되어야한다. 둘째, 타당한 근거에 기반한 전략별 활동 기획이 필요하다. 전략으로는 청중에 따라 지식 및 정보 개선, 긍정적인 태도 향상을 위한 정보·교육·커뮤니케이션/행동변화커뮤니케이션(IEC/BCC) 전략, 지역사회 기반의 일차보건의료체계 강화 전략, 청중별 개인/집단 효능감 및 지지 향상을 위한 사회동원 전략, 정책 결정자 대상으로 주인의식 및 리더십 강화를 위한 정부 옹호 전략이 있다. 셋째, 민관협력사업 이행을 위한 사업 운영 및 인력의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사업운영 및 역량 강화 목적의 교육 프로그램이 개설되고, 정기적으로 제공될 경우 사업의 효과성과 지속가능성을 확보한 사업 기획을 기대할 수 있다. 탄자니아의 3개 지역의 예로 다른 국가로 확대 적용하기에는 다소 제한이 있다. 공적개발원조 사업 중 지역사회 기반 보건사업 기획 단계에서 고려해야할 사항을 사례 연구함으로써 하나의 예시를 제시 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 보건의료 분야 비정부조직의 활성화 방안

        최민석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695

        전 세계적으로 비정부조직의 활동이 활발해지는 가운데 1980년대 이후 우리 나라에서도 비정부조직이 급성장하고 있다. 보건의료 분야에서 활동하는 단체들은 120여 개에 이른다. 이들은 대개 보건정책, 보건의료서비스, 의료교육 등의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 나라의 보건의료 발전을 위해 비정부조직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전제하에 이들 조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보건의료 분야의 비정부조직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사례연구를 한 결과 크게 회원, 조직, 재정, 사업의 측면에서 각각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재기되었다. 회원의 수가 적고 회원의 참여범위가 제한적이고, 조직의 규모가 적고 체계적이지 못하며 재정이 부족하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자연히 그 조직의 본연의 목표달성을 위한 사업의 위축으로 연결되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비정부조직을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회원확보, 조직구조 개선, 재정확충과 사업활성화 등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회원의 확보를 위하여 시민들이 공감하는 사명, 비전과 목표의 설정, 회원으로 참여하는 시민들에 대한 참여동기 유발 방안 개발과 적절한 홍보가 필요하다. 조직구조 개선을 위해서는 리더쉽의 확보와 사회저명인사의 참여 유도, 업무분장 체계화와 조직성원들에 대한 적절한 보상이 필요하다. 재정확보를 위해서는 회비의 확보, 후원금 조달 활성화와 기업 참여를 유도, 공공기금의 활용과 수익사업개발이 필요하다. 또, 시민들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도록 기부금에 대한 세제상의 유인책을 비롯한 각종 제도적인 개혁이 필요하다. 사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프로그램의 개발, 국제적 비정부조직 및 유사 비정부조직들간의 연대 구축, 종교계, 학계, 연구기관, 언론계와의 연계방안 마련과 시민들의 보건의료 관련 요구에 대한 모니터링 체계구축 등이 필요하다. Since 1980s,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hereafter 'NGOs') are growing rapidly in Korea, and there are nearly 120 NGOs in health care. These NGOs are working on the problems of health care policy, health care support and health education for the vulnerable social groups like elderly, poor people, and handicapped.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identify these NGOs' activities and their problems to be solved, and also to suggest some ways for activating those organizations on the assumption that their role is very important in national health promotion. By a couple of method including a questionnaire survey to 86 NGOs (30 NGOs responded) and another depth interview survey to 3 NGOs in health care, a few problems in current NGOs were identified in the phases of organization structure, financial aspect, and activities. Most NGOs have problems in that the number and scope of participation as members is too limited to achieve their objectives, and also the financial capacity is too small and make the NGOs' activities shrinking. Here are suggested some ways to solve these problems and activate the NGOs in health care. There are including increase and expansion of the participating members, improvements in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fund raising methods, and so on. To increase the number of participation, NGOs need to develope more socially persuadable mission, vision, and goals, and advertise them effectively. For more fund-raising, the number of member should be increased, more public funds and businessmen induced, and the national tax system reformed. To activate NGOs' programs, some attempts are needed to develop solidarities with international NGOs, religious, academic institutes, and media. And also it's desirable to make monitoring systems to follow up people's needs on the health care problems.

      • 국제진료센터 간호사의 역량 강화방안 연구

        김태서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고부가가치산업인 의료관광산업의 성장이 예상되는 가운데, 우리나라가 의료관광산업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필수적인 전문 인력 양성 및 실무자 역량개발 지원을 통한 인적 자원의 전문성 개발과 관리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된 질적 연구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국내 수도권 상급종합병원 국제진료센터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개인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질적내용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국제진료센터 간호사로서 필수적인 역량으로는 ‘의사소통 역량’, ‘문화적 역량’, ‘임상적 역량, ‘윤리적 역량’으로 총 4개가 도출되었다. 이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으로 환경적 측면인 ‘맞춤형 교육 기회 및 대외활동 지원’, 정책적 측면인 ‘보상체계 마련 및 직무규정 확립’, 기관적 측면으로 ‘인력충원과 외국인환자 친화적 인식 조성’의 3가지 지원방향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국제진료센터 간호사의 경험을 통해 현장에서 갖춰야할 필수 역량의 종류와 지원 방안을 제공하였다. 또한 간호사들이 외국인환자를 돌보면서 경험했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외국인환자들에게 최적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고민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부족한 수준별 언어‧문화 교육 기회, 마케팅 실무 교육의 부재, 모호한 직무규정 등의 자원 부족과 한계점이 있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제도적 노력과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하겠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제진료센터 간호사의 역량 개발이 이루어진다면 외국인환자에게 보다 질 높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conducted to suggest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management strategies in order to prepare for the growth of the medical tourism industry, which is a high-value-added industry, and to establish global competitiveness in the medical tourism industry of South Korea.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8 nurses working at international healthcare centers in tertiary hospitals located in Seoul, Incheon and the Gyeong-gi province, who are in charge of foreign patients who come to Korea for the treatment of severe and rare disease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our essential competencies for international clinic nurses were identified as: 'Communication skills', 'Cultural understanding', 'Clinical knowledge' and 'Ethical comprehension'. The three support directions were derived which are all important for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these essential competencies. Tailored education opportunities and support for external activities can help nurses to develop their communication, cultural, and clinical competencies. Establishment of compensation system and job regulations can help to attract and retain qualified nurses to work in international patient care. Recruitment of personnel and fostering of a friendly environment for foreign patients can help to create a supportive environment for nurses to provide care to foreign patients. This study provided the types and support plans of essential competencies that need to be acquired in the field through the experiences of international clinic nurses. It was also confirmed that nurses actively tried and considered to provide the best medical services to foreign patients, despite the difficulties such as language barriers, cultural differences, and unfamiliar administrative procedures they experienced while caring for them.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resource shortages and limitations such as insufficient level-based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opportunities, lack of marketing practical education, and ambiguous job regulations. Therefore, institutional efforts and support should be provided to address these iss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