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다문화주의 음악교육을 적용한 수업지도안 연구 : 초등학교 3-4학년 음악교과서 中 유럽지역을 중심으로

        배지현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4383

        다문화 교육은 편견이 형성되어 지기 시작하는 어린 연령대부터 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학생들이 접하는 여러 교과들 중 다른 교과에 비해 훨씬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과목이 ‘음악’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음악교과서가 정식으로 분리된 초등학교 3,4학년 음악교과서 중 유럽지역의 악곡을 선택하여 다문화 음악교육을 적용한 수업지도안을 연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 다문화 음악교육을 통한 중학교 음악교과 수업지도 방안 연구 : 서아프리카민요와 동부민요를 중심으로 : focus on west African and east Korean folksong

        손신혜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4383

        다문화의 교육은 각 문화의 다양성과 차이점을 이해하도록 돕는 교육이어야 하며 그런의미에서 음악교육 또한 다문화 사회에서 중요한 부분이라 하겠다. 이와같은 필요성의 인식에 따라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아프리카 민요와 우리나라 민요의 공통적인 특징인 메기고 받는 형식을 중심으로 음악 수업을 지도하기 위한 방안을 연구 하였다. To solve these troubles, multicultural education is coming to the fore. At this point,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considered to understand diversity and difference of each culture.So, research on instructional method for increasing multicultural students and on many folksongs of the world that are put in the textbook are urgent problems. , the world folksong has to be treated in depth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 education.

      • 창작영역을 중심으로 음악과 수업 방법에 관한 연구 : 중학교 1학년 교과서 5종을 중심으로 : Focused on five kinds of textbooks of 1st-year students of middle school

        김현정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4383

        현대사회에서 창의성 교육은 매우 중요시되며 음악교육에서도 창의성, 창조적인 능력을 강조하고 있다. 가창, 기악, 창작, 감상 네 가지 음악 활동 영역 중에서 특히 창작 영역은 학생들이 자신의 음악적인 사고를 가장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영역이며, 교육의 본질적인 목적인 ‘창의적인 인재 양성’에 가장 궁극적으로 일치하는 교육이므로, 이에 대한 수업 방법에 관한 연구를 주제로 하였다. 이 연구는 이론적 배경으로 선행 연구 논문 및 서적을 참고하였으며, 2007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중학교 1학년 교과서의 내용 및 체계를 출판사별로 비교・분석 하였다. 창의성은 ‘누구에게나 잠재되어 있으며, 개인이나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나타나는 자기표현의 과정이자 문제에 임하는 태도’를 말하며, 창의성의 계발을 통하여 생활 속의 다양한 문제 상황에 대해 적절하고 독창적인 산출물을 만들어 내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이러한 창의적 능력은 후천적인 교육으로 얼마든지 계발이 가능하며 창의적 교육을 통하여 길러질 수 있는데, 특히 음악교과에서는 다양한 음악적 경험을 제공하여 학생들에게 인지적・정의적・심동적 영역에서 전인적 교육이 가능하며, 음악적 잠재력과 창의력을 성장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음악과 창작 수업을 위한 지도방안으로, 창의적인 교사의 역할을 제안하였고 ‘리듬과 박자를 이용한 창작활동’, ‘가락과 화성을 이용한 창작활동’ 2차시의 창작 활동을 제시하였다. 1차시인 ‘리듬과 박자를 이용한 창작활동’에서는, 다양한 리듬이 사용된 음악을 감상하고, 신체활동이나 말리듬을 통하여 음악 요소를 익히고 난 후 박자 개념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중학교 1학년 교육과정에 따라 ‘한도막형식’의 리듬짓기를 할 수 있도록 방법을 제시하였다. 2차시에는 화음의 개념을 이해하고, 다양한 악곡의 분석을 통하여 ‘계속되는 느낌’과 ‘끝나는 느낌’을 적절히 사용하여 가락짓기를 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또한 1,2차시에서 창작 활동을 통하여 얻은 결과물을 구체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평가표를 작성하여, 학생 스스로 보완해야 할 음악적 요소에 대하여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평가결과를 통하여 학생들이 다음 차시에 발전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논문은 교사가 위와 같은 창작영역 수업 방안을 수업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창의성을 신장시킬 수 있음을 목적으로 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음악적으로 잘 표현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체계적이고 계획적인 지도가 필요하며, 이는 체계적이고 계획적인 지도안을 통하여 적절한 심화 단계를 통하여 진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끊임없는 수업 방법 계발로 학생들에게 자기 생각과 느낌을 음악을 통하여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하며, 학생들의 적극적인 창작 활동을 위하여 흥미를 유발시키고, 학생 개인의 창의성을 존중해주는 자세를 갖고 지도해야 한다.

      • 공통 주제의 음악 비교를 통한 다문화 음악교육 지도 방안 연구 : 아시아 노동요를 중심으로

        김성혜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4383

        For effective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we selected the common themes from folk songs containing unique culture of each country, and by linking these sharing ideas of unique folk songs from many countries, intensiv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is study can be possible. Work song, which is a folk song related to job has been selected as a common theme of this study. Also, the scope of the countries is limited to Asian countries, especially to Korea, Japan, China, Mongolia, and Israel. Expecting to give more chance for experiencing various music, songs other than middle school music text book corresponding to the 2009 educational curriculum are added. The selected songs are as below. ‘Onghe’, a work song in Korea, ‘Bush turmoil (ソ?ラン 節)’ in Japan, ‘Fishing sing (綱魚歌)’ in China, ‘Night of song (Mongolian night song)’ in Mongol and ‘Jum gali (Zum gali)’ in Israel. Based on each country musical background and features of folk song, we conducted a research on the guidance plan for learning.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다문화 음악교육의 수업 지도 방안이 될 수 있도록, 나라별 고유한 문화를 담고 있는 민요들을 소재로 공통 주제를 선정하여 집중적으로 비교?분석하는 수업이 되도록 지도 방안을 연구 해 보았다. 공통 주제의 민요로는 직업 관련 민요인 노동요를 선정하고, 나라의 범위를 아시아권으로 제한하였다. 그 중에서도 한국, 일본, 중국, 몽골, 이스라엘로 선정하였고, 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 교과서 외의 악곡들도 포함하였다. 선정된 악곡은 다음과 같다. 한국의 노동요는 ‘옹헤야’, 일본의 노동요는 ‘소란부시(ソ?ラン節)’, 중국의 노동요는 ‘중국 고기잡이 노래(綱魚歌)’, 몽골의 노동요는 ‘밤의 노래(Mongolian Night Song)’, 이스라엘의 노동요는 ‘줌갈리(Zum gali)’로 선정하고 각 나라별 음악적 배경과 민요의 특징들을 조사하여 이를 토대로 학습지도안을 연구 해 보았다.

      •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음악교육에 대한 고찰

        김민희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4383

        Recently, a study released the result that a chil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ASD) is 1 out of 38. Analogizing from this result, most of teachers are highly expected to see and educate the child with ASD in the educational field; hence teachers need to be interested in educating them. The juvenile with ASD has social, recognition, and behavioral traits as same as other disabled child, which is different from ordinary child. These features, especially, such as deficiency of social communication and behavioral mannerism, are distinguished from other handicapped kid. Except for these two characters, they have other characteristics as below: - Sensitivity which over-sensitive or in-sensitive response over the visual - Auditory or tactual stimulation, obsession over the regularity and ordinary day - Excessive humiliation and empathy disabled - Intelligent trait which specific area of intellectual(intelligent) ability is disabled - ‘Savant’ feature that a handicapped child has special ability and talent Of all the traits, we need to focus on their acoustic trait. Various studies have found that they have musical characters; as considering these results, the children with ASD are highly interested in listening and singing songs or playing an musical instrument, and also have a special talent to distinguish a pitch of a sound or music. Furthermore, they respond to music more than other stimulus; more likely have a perfect pitch than normal children. Some theories such as Weak Central Coherence theory, Enhanced Perceptual Functioning theory, and Left Brain Damage theory make it possible to demonstrate the causes for these musical traits. Categorizing according to educational surroundings, it is to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High functioning verbal, Non-verbal, and Regression Category. Children in High Function Verbal category needs the education related to social communication; the education focusing on communication is necessary for kids in Non-verbal category because they do not use verbal language. Juveniles in Regression category are expected to be learned about behavioral mannerism. There are mainly two methods applying to them, which are music education and music therapy. Originally, there was conceptual difference, but it's hard to apply separately to a disabled kid and seems to be impossible to exclude one from another. Even though the history of a handicapped child education is relatively short, it has taken several steps; and currently the Basic Curriculum and Common Curriculum and Elective Curriculum are applied to the education. I have examined various case studies in this paper as it is effective to educate them, considering the traits and types of the child with ASD. As a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Music educ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deficiency of social communication and behavior mannerism. Therefore, this paper could clarify that a handicapped child has musical character and explain educational ground(base)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music education regarding disabled child and overall characters of the child with ASD. In addition, this study has a significant meaning to prove that music is educationally effective for them from the music education case studies about two main features of a disabled child.

      • 협동 학습을 적용한 음악과 수업의 지도방안 연구 : 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송연경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4383

        경쟁을 부추기는 사회 현상과 가정 및 사회적 문제는 우리 아이들을 개인주의적인 존재로 만들고, 경쟁으로 내몰고 있으며 학교에서 또한 창의·인성교육이 주가 되어야 할 전인교육은 무시되고 입시 위주의 경쟁 교육이 강조되면서 학생들을 더욱 물질만능주의에 물들어 가도록 방치하고 있다. 획일적 교육 방식에서 벗어나 창의적이고 인성교육으로의 대전환이 필요한 시점에 새로운 돌파구를 제공해 줄 수 있는 대안으로 협동학습을 들 수 있다. 협동학습은 소집단이 공동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동료들과 함께 학습하는 구조화된 체계적인 수업 기법으로 학생들의 흥미 유발과 학업 성취에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사회적 상호작용 기술 향상 등 여러 가지 교육적 성과를 거둘 수 있기 때문에 교육적 대안으로 거론되고 있으며 최근에 들어 현장 교사들에게 호응을 얻기 시작하면서 교육현장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고 또한, 학습의 효율성이 크게 향상되었다는 연구 결과가 많이 보고 되고 있다. 이러한 협동학습의 긍정적 효과에도 불구하고 다른 교과에 비해 음악교과의 다양한 협동학습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협동학습 대해 연구하고 이를 음악과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 ․ 학습방법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협동하는 사회적 기술 학생 구성원 사이의 상호작용을 최대화 시키고 이를 실제 수업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수업 지도안을 연구하여, 협동 학습을 통한 음악 교육으로 학생들에게 음악 교과의 인지적 영역과 더불어 정의적 영역에서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협동 학습의 개념과 특징을 살펴보고, 음악과 협동 학습의 개념 및 필요성을 알고 이를 적용하여 실제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협동 학습 모형을 선택하고 학습주제와 내용에 적합하도록 제재곡을 중심으로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표현, 감상 영역에 적용하여 지도안을 구성하였다. 표현영역 내용에서는 노래 부르기, 악기연주하기 부분을 선택하였다. 이를 협동 학습 모형에서 과제중심모형 - JIGSAW I 모형, 보상중심모형 - STAD모형, 구조중심모형을 사용하여 각 영역을 위한 교수·학습 지도안을 구성하였다. 음악교육에서 협동학습이 성공적이기 위해서는 교사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므로 교사는 협동학습 모형과 구조에 대한 정확한 지식과 절차의 숙지가 사전에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학생이 협동학습을 통해 음악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음악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도록 지도해야 한다. 본 연구에 이어 협동학습을 적용한 음악개념학습에 대한 심화된 연구가 계속됨으로써 음악수업의 질을 개선하고 음악교육의 효과를 증진시키기를 기대한다.

      • 2009개정 음악·미술 교과 통합교육에 관한 연구 : 인상주의 사조를 중심으로 : Focused on impressionism

        조혜진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4383

        In this study, we propose the integration of music and art education. Music and art were frequently exchanges for a long time. In addition, music and art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while another commonly applied to our lives. Just as music and art influence each other while've developed historically, modern and has a variety of disciplines and knowledge are being accumulated, it is necessary linkage and integration that can be reconfigured or equipped creativity. The importance of inclusive education looks at the reasons highlighted for this purpose, in music education were discussed inclusive education in music theory and other fields through the reamer.  In this study, linked to music and art thoughts and feelings, and looked for a way to learn and understand as a whole to recognize the correlation between music and art.  Music, art students through the integration of education in music, fine arts, as well as to be aware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knowledge of the various fields to promote the ability to deal with a lot of information in the information society. Underst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each of the yarns having a conversation with a representative selection of works from the Impressionist composers were concrete activities lesson plans integrate art education through music step by step. This integrative thinking in the same class have extended the concept of learner fun and interesting modern art feel inspired an interest in music and art to enjoy and look forward to a variety of art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learners.

      • 스마트 교육기기를 활용한 효과적인 음악수업 방안

        류진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4383

        세계가 인정하는 우리나라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은 일반 국민의 생활뿐만 아니라 학교교육 현장에서도 많은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컴퓨터시스템의 일반적인 기능들은 이미 교육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되어 왔으며, 현재에도 컴퓨터와 인터넷 기반의 교수기기를 활용하는 수업을 많이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교수기기들을 활용하여 수업할 경우 대부분의 교과목에서는 이론 중심의 재미없는 수업을, 체험중심의 참여하는 수업으로 바꿀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 첨단 스마트기기의 보급과 이들 기기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는 기능성 응용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등장은 일상생활에서 여러 가지 편리성을 제공하고 있으며 교육 분야에서도 엄청난 가능성을 예고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기기의 보급률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며, 스마트 폰 및 태블릿 PC등의 형태로 필수품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이 첨단 기기들이 지닌 빠른 속도, 터치 방식의 편리함,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뛰어난 확장성, 강력한 그래픽 기능 등의 장점을 교실 수업현장에서 적극 활용한다면 분명 효율성 높은 학습 도구가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교육의 이론적 배경에 문헌 조사한 결과 실제 수업에서의 효과를 인정할 수 있게 되었으며, 현재 활용되고 있는 음악 애플리케이션을 사례연구를 통해 분석한 결과, 그 장점과 기능성을 통해 본시 수업에 적용할 만한 가치를 입증하였으며, 그중에서 교육과정상 충분히 적용 가능한 단원을 추출하여, 기존 구매 가능한 몇 가지 애플리케이션을 적용한 지도안을 구안하여 실습 위주의 음악 수업에 활용하고자 연구하였다. 스마트기기의 음악 애플리케이션은 선행 연구 조사 결과, 기존 컴퓨터 음악 프로그램과 동등한 기능을 갖추고 있었고, 오히려 쉽게 다룰 수 있고, 준비시간이 짧아 효율성이 높으며, 가격도 저렴하여 경제적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수업 안은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실제 수업에 활용할 수 있으며, 그에 대한 효과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스마트기기를 음악 수업에 활용하려면 기기의 보급, 다양한 음악 애플리케이션 개발 등의 제한점이 있지만 이를 해결하고 수업에 잘 활용한다면 실습을 통해 쉽게 학습하는 음악 수업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다른 과목에서도 스마트기기 사용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 할 것이며, 이러한 연구들은 스마트기기를 컴퓨터에 이어 또 다른 수업의 도구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스마트 교육기기를 활용한 교육은 학습자들에게 첨단 생활필수품 이면서도 늘 가까이 있고,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 실제 수업에서도 매력적인 기능을 제공한다면, 학습에 대한 큰 흥미를 줄 것이며 그에 따라 학습 능력도 길러주며, 교사들에게는 제한적인 교실환경에서 가상의 공간으로 넓혀가며 음악 교과를 효과적으로 가르치는데 큰 도움을 줄 것이 분명해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스마트 교육기기를 활용한 음악 수업 지도 방법이 실제 교육 환경에 폭넓게 적용되기를 기대해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