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동절기 주택 실내 환경 공기질 조사 연구

        최봉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초록 제목 : 동절기 주택 실내 환경 공기질 조사 연구 최근 우리나라 현대인들은 하루 중 90% 이상을 실내에 거주하며, 동절기 에너지 절약을 위한 높은 기밀성은 환기 율을 저하시키고 실내 환경을 악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TVOCs(총 휘발성 유기화합물) 및 포름알데히드(HCHO)와 같은 화학물질을 방출하는 건축자재는 2000년 초반부터 많은 제약 없이 사용되어 새집증후군의 원인이 되어왔다. 새집증후군 원인은 바닥재, 단열재, 페인트, 접착제 등 각종 건축자재에 포름알데히드 (HCHO), 톨루엔, 라돈,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TVOCs)의 방출이 문제가 되고 있으며, 포름알데히드는 실내온도 및 습도 그리고 환기 율에 따라 방출량에 영향을 주며, 일반적으로 건축물에서 방출되는 기간은 4.4년으로 추정되고 있다. 인체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눈, 코, 목 등의 자극 증상이 나타나며, 동물 실험에서 발암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고, 휘발성 유기화합물도 인체에 피로감 및 정신착란 투통 등 신경계에 장애를 일으키고, 심한 경우에는 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택의 실내 공기환경 개선을 위해 환경부는 다중이용시설 포름알데히드 기준치를 0.084ppm,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 기준치를 0.200ppm, 이산화탄소 기준치를 1,000ppm으로 규정하고 있다. 새집증후군과 관련하여 1990년 후반부터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어왔지만, 주택 실내 공기 유해물질에 관련된 연구자료 중 동절기에 실내 공기 환경에 대한 연구 자료는 매우 미비하였다. 위의 사유로 본 연구는 춘·추계에 20개 주택을 준공년도와 유형별로 채택하여 실내 환경 공기 유해물질을 측정한 선행 논문『남기철. (2017) 주택 실내 공기환경 실태조사에 관한 기초연구. 석사논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업대학원 건축과』 조사, 분석한 것을 동절기 실내 환경에서의 공기환경 실태에 대한 객관적 조사를 통해 실내 공기 유해물질에 거주자들의 노출 정도를 조사 분석하기 위하여 조사 대상 20개 주택을 재차 방문하였다. 조사측정 기간은 2016년 11월부터 2017년 3월 까지 소요되었다. 조사결과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실내 공간 0.163ppm, 가전제품 0.155ppm 평균치를 보이고 있었으며, 20개 주택 중 환경부 다중이용시설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 (TVOCs) 기준치 0.200ppm을 초과하는 주택 실내공간은 20개 주택 중 4개 주택 20%, 가전제품에서는 6개 주택 30%로 분석되었다. 포름알데히드(HCHO)는 실내 공간 0.095ppm, 가전제품 0.113ppm 평균치를 보였고, 환경부 다중이용시설 기준치 0.084ppm 초과하는 주택 실내공간은 10개 주택 50%, 가전제품에서는 14개 주택 70%로 분석되었다. 이산화탄소(CO₂)는 아침 거실 1,049ppm, 안방 1,192ppm, 저녁 거실 973ppm, 안방 1,027ppm 의 평균치를 보였고, 환경부 기준치 1,000ppm 초과하는 주택 거실은 아침 10개 주택 50%, 저녁10개 주택 50%, 안방 아침 12개 주택 60%, 저녁 10개 주택 50%로 분석되었다. 조사 주택 중 단독주택은 실내공간에서 포름알데히드(HCHO)가 환경부 다중이용시설 기준치 0.084ppm 기준보다 높은 0.130ppm으로 조사 분석되었다. 원인으로는 주택 실내에 화학물질을 방출하는 가구들이 많았으며, 실내에 외부 공기 유입도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동절기 20개 주택을 조사한 결과 포름알데히드(HCHO),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TVOCs)는 주택의 준공연도와 크기와의 관계보다는, 주택 실내 환경에 의해 유해공기질 농도가 높게 측정된 원인으로 조사되었다. 이산화탄소(CO₂)는 주택에서 거주하는 인원에 의해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조사 대상 중 5년 이하의 다세대 주택 1인 가구가 거실과 안방 아침, 저녁 모두 1,000ppm을 초과하였다. 원인은 주택에 거주하는 시간보다 외부에서 활동이 더 높아 주택의 쾌적한 실내 환경 조성에 취약하여 높은 수치가 측정되는 결과로 조사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동절기 주택의 실내 TVOCs, HCHO 의 측정값이 높은 이유는 실내의 난방온도 와 에너지 절약을 위해 보조단열을 하여, 높은 밀폐성의 원인과 실내에 비치된 친환경제품이 아닌 화합물질을 방출하는 각종 가구들이 많을수록 수치가 높게 측정된 것으로 조사 되었다. 이산화탄소의 경우는 실내에 외부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실내 환기의 횟수가 적을수록 높은 수치가 측정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동절기 20개 주택 실내 공기오염물질 분석 결과 춘·추계 보다 동절기 실내 환경 공기의 오염물질이 더 많이 검출 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주택의 준공년도와 형식 및 주택의 크기의 관계보다는, 주택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생활습관 과 실내에 비치된 가전제품과 가구류 및 실내 마감재의 사용년도 수와 관계가 있었다. 건강하고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실내의 온도를 적정수준으로 유지하고 친환경적인 자재를 사용하며, 환기횟수를 높이는 방법과 실내 환경 개선의 중요성을 인식한다면, 쾌적하고 건강한 실내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사료된다.

      • <딜러 스코피디오 + 렌프로> 건축에 나타나는 지각의 활성화

        서현식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407

        This study regards the activation of perception at a dimension different from everyday perception as the core of experimental works of architect couple Elizabeth Diller and Ricardo Scofidio who have raised provocative issues at the boundary related to the limit of architecture introduced experimental works with backgrounds heterogeneous with architecture since the 1980s and Charles Renfro who joined them after the 2000s (Diller Scofidio + Renfro is the full title of the office established when he joined, hereafter abbreviated as ‘DS+R’), and it attempts to look into their properties. DS+R’s works fall into three periods. The first period is one in which it sought designs in various non-normative and non-hierarchical genres influenced by contemporary culture and arts in experimental works heterogeneous with architecture through exhibitions and performances in the 1970s and 1980s. The second period is one in which it focused on public design related to the city in the 1990s. This stage can be described as a period in which they pursued design dealing with the boundary between the real and the imaginary. The third period is one in which Renfro joined them and it concretely realized the themes experimented in the previous two periods in its works on larger scales, such as architecture, urban public design and landscape.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a process in which the activation of perception becomes architecture, based on the fact that the perception newly awakened, that is, activated perception as compared with everyday perception appears in various methods in seemingly independent works, although the objects of interest differ by each stage. In such a process, ‘Slow House’ (1991) occupies a critical position. It is because it was realized in artistic experiments like its early exhibitions or performances, and it best expresses the way of activating perception architecturally shown in the two periods using technological devices like supplements in the 1990s. Its characteristics are investigated in two aspects of activating perception: ① To transform traditional and customary architectural elements into strange and unfamiliar elements to make architecture ‘be perceived in another way’ and ② To actively accept mechanical devices such as cameras, screens and closed circuits as important factors of architecture to ‘be perceived newly.’ ‘Slow House’ viewed from these two aspects can be analyzed and organized as a ‘visual machine’ generating various perceptual experiences. Two properties activating the perception, captured by ‘Slow House’ become the key to investigation of DS+R’s works before and after. Artworks such as its early exhibitions and performances can be divided by two ways: ① To transform everyday objects such as cups, clothes and mirrors to be perceived newly and ② To make performances perceived more richly using supplements like TVs or projectors in plays and dances. It is noted that these two properties were expressed and integrated architecturally in ‘Slow House.’ Thus, these early works become a process of potential experiments for a sort of ‘becoming architecture’ in ‘Slow House’ to express in a Deleuzian approach. In its later buildings or urban public design works, the ways of activating two kinds of perception, captured in ‘Slow House’ are transformed in various methods. While the ways of activating perception in its early artworks constituted a process of ‘becoming architecture’ through ‘Slow House,’ its later works are a process of another ‘becoming’ for the activation of perception in which they are transformed and expressed in various methods. The activation of perception that becomes concrete in ‘Slow House’ and transformed in its later architecture and urban public design can be classified into four specific methods: ① control of sight; ② control of speed; ③ control of materials; and ④ tension between the real and the virtual, which show close relationships between ‘Slow House’ and later works more clearly. While the two ways of activating the perception drawn from ‘Slow House’ focus on the peculiarities expressed in a single building with distinctive characteristics and spread it outside to be understood in a ‘horizontal (chronological)’ structure with other works, an analysis through four kinds of methods for the activation of perception allows peculiarities for the activation of perception in a ‘net of relationships’ with other works to be ‘vertically’ understood. Through this analysis, it is found that the distinctiveness of DS+R’s works is that the ideas experimented in works of genres absolutely distinct from architecture are expressed architecturally and that its architectural ideas are further enriched through multidisciplinary works. Like Marcel Duchamp opened the way of modern art crossing the domains of the arts, DS+R is thought to contribute to modern architecture specially in that it expands and reinforces the discipline of architecture ranging from everyday objects to huge urban public design and crossing the boundaries of different areas, such as arts, landscaping, information science and consumer culture. 본 연구는 1980년대 이후 건축과 이질적 배경을 지닌 실험적 작업을 도입하여 건축의 한계와 관련된 경계에서 도발적인 문제를 제기해 온 부부 건축가 엘리자베스 딜러와 리카르도 스코피디오 및 2000년대 이후 이들과 합류한 렌프로(합류하면서 지은 사무소 정식 이름은 딜러 스코피디오 + 렌프로이며, 이하 DS+R로 약칭)의 실험적인 작업의 핵심을 일상적인 지각과 다른 차원의 지각을 활성화한 것으로 파악하고, 그 속성을 규명하려 한 것이다. DS+R의 작업은 시기적으로 크게 3기로 구분된다. 1기는 1970년대와 1980년대 전시회, 퍼포먼스를 통해 건축과 이질적인 실험적 작업 속에서 동시대의 문화 예술에 많은 영향을 받아 탈-규범적이고 탈-위계적인 다양한 장르의 디자인을 모색한 시기이다. 2기는 1990년대로 도시와 연관된 공공디자인에 집중한 시기이다. 이 단계에서는 실제와 가상의 경계를 다루는 미디어 작업과 공공디자인을 추구한 시기라 할 수 있다. 3기는 렌프로가 합류하여 기존 두 시기에 실험했던 주제들을 건축과 도시 공공디자인 그리고 조경과 같은 보다 큰 스케일의 작업에서 구체적으로 실현시켰던 시기이다. 본 연구는 각 단계별로 관심대상이 서로 다름에도 불구하고, 일상적인 지각에 반해, 새롭게 일깨워지는 지각 즉, 활성화된 지각이 서로 독립적으로 보이는 작품들 가운데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난다는 점에 착안하여, 지각의 활성화가 건축화 되는 과정을 밝히고자 한다. 그러한 과정에서 <Slow House, 1991>가 결정적인 위치를 차지한다고 보았다. 그 이유는 초기 전시나 퍼포먼스와 같은 예술실험에서 구현되었고 90년대 이후 보철과 같은 기술적 장치를 사용하여 나타냈던 양 시기의 지각의 활성화의 방식을 건축적으로 가장 잘 표현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 특징은 2가지 측면에서 규명된다. 그것은 ①전통적이고 관습적인 건축 요소를 기이하고 낯선 요소로 변형시켜 건축을 ‘다른 방식으로 지각’하게 만드는 것과 ②카메라, 스크린, 폐쇄 회로와 같은 기계장치를 건축의 중요한 요소로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새롭게 지각’하게 만드는 두 가지의 지각을 활성화 하는 특성으로 구분된다. 이 2가지 측면에서 본 <Slow House>는 다채로운 지각적 경험을 생성하는 ‘시각적 기계’로 분석하고, 정리할 수 있다. <Slow House>에서 파악한 지각을 활성화 시키는 2가지 특성은 이전과 이후의 DS+R의 작업을 규명하는 열쇠가 된다. 초기 전시 및 퍼포먼스와 같은 예술작업은 2가지의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것은 ①컵, 옷, 거울과 같은 일상적인 사물을 변형시켜 새롭게 지각하게 만드는 것과 ②연극이나 무용에 TV나 프로젝터와 같은 보철을 사용하여 퍼포먼스를 더욱 풍부하게 지각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다. 이 2가지 특성이 <Slow House>에서 건축적으로 집약되어 표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초기의 작업들은 <Slow House>에서 ‘건축-되기’를 위한 잠재적 실험의 과정이 된다. 이후의 건축물이나 도시 공공디자인 작업에서는 <Slow House>에서 파악된 2가지 지각을 활성화 하는 특성이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되어 나타난다. 초기 예술작업에서 지각 활성화 방식들이 <Slow House>를 통해 ‘건축-되기’의 과정을 이루었다면, <Slow House> 이후의 작업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변이되고 표현되는 지각 활성화를 위한 또 다른‘-되기’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Slow House>에서 구체화 되고 이후 건축과 도시 공공 디자인에서 변형되어 나타나는 지각의 활성화는 4가지의 특정한 기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것은 ①시각의 조절, ②속도의 조절, ③재료의 조절, ④실재/가상의 긴장의 조절을 통해 <Slow House>와 이후 작품의 밀접한 관계를 더욱 명확하게 보여준다. <Slow House>에서 도출된 지각을 활성화 시키는 2가지 방식은 변별적인 특성을 갖는 하나의 작품에서의 특이성에 주목하여 이를 밖으로 펼쳐서 다른 작품들과 ‘횡적(연대기적)’인 구조 속에서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지각 활성화를 위한 4가지 기법을 통한 분석방식은 다른 작품과의 ‘관계의 그물망’속에서 지각 활성화를 위한 특이성들을 ‘종적’으로 파악하게 해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살펴 본 DS+R의 작업이 갖는 특성은 건축과 전혀 다른 장르의 작업에서 실험되었던 아이디어들이 건축적인 방식으로 발현된다는 것과 다학제적(multidisciplinary) 작업들을 통해 건축적 아이디어가 더욱 풍부해지는 점에 있다. DS+R은 뒤샹이 예술의 영역을 넘나들며 현대 예술이 길을 열었듯이, 일상적 사물에서 거대한 도시 공공 디자인에 이르기까지 또 예술, 조경, 정보과학, 소비문화와 같은 다른 영역의 디시플린(discipline)의 경계를 넘나들며 건축 디시플린을 확장시키고 강화한다는 점에서 현대건축에 독특한 방식으로 기여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 근 · 현대 한국 건축가 작품에 투영된 현상학적 공간 체계에 관한 연구

        이정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4 국내박사

        RANK : 247407

        A Study on Phenomenological Spatial Systems Reflected in the Works of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Architects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phenomenological spatial language reflected in the works of three Korean architects who have operated within the temporal scope of modern and contemporary eras. By studying the system and characteristics of their works, the research intends to propose theoretical possibilities for new architectural spaces. Architectural space is based on various phenomena that occur within the confines of time, such as experiences or memories formed by events like the boundaries of a building's exterior walls. However, human experiences or memories that people empathize with do not necessarily change over time; they only vary in the intensity of sensory perceptions or the differences in the immediacy of intuitive events or memories. These differences sometimes lead to misunderstandings or confusion about the essence of architecture, influenced by misconceptions, prejudices, or the complexities of the contemporary situation. Moreover, recognizing that the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West and the East are not differences in civilization but rather a period of confusion due to the time lag, especially with the delayed technical innovations in modern materials such as reinforced concrete in the East, exploring frameworks for a profound understanding of architecture, such as a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architecture, becomes a highly meaningful endeavor. Western philosophical systems can be condensed into epistemology, ontology, and materialism. However, the timeframe of thought regarding architectural space, place, or architectural elements is not extensive. Instead, in the East, spatial thinking about the framework of architecture and boundaries, which forms the backbone of construction, traces back to Confucius, establishing the basis for a practical and physical architectural theory. Nevertheless, the 18th-century French Revolution and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UK prompted the awakening of modern ideologies, diverging from the decorative and classical styles pursued by the École des Beaux-Arts, leading to art movements and education, such as Dutch De Stijl, German Deutscher Werkbund, and Bauhaus, as well as the International Congress of Modern Architecture (Congrès Internationaux d'Architecture Moderne (CIAM)). Despite this, architects could not free themselves from the influence of international styles in modern and contemporary architecture, and their interpretation of identity and tradition was confined by the logic of power, such as imperialistic colonial modernization theories, relying on self-justifying authority and criticism. In fact, the origin of thought on form can be traced back to Plato and his metaphysical theories. However, the history of phenomenology in relation to architectural philosophy is relatively short, starting from Descartes' existential self-awareness, passing through Kant's critique of pure reason, Husserl's transcendental phenomenology, Heidegger's theories of dwelling and habitation, and culminating in Merleau-Ponty's experiential phenomenology and Schulze's architectural phenomenology. Therefore, understanding phenomenology or the understanding of phenomena involves grasping the evolution of European thought systems regarding the subject, object, and the perception system of entities. It also relates to the periods of the Enlightenment in the 17th to 18th centuries and the revolutionary era of the 19th century, corresponding to the innovative evolution of architecture driven by advancements in construction materials and techniques. This research confirms that the three architects discussed each express their discourse on the space, form, and discourse on the city in their architecture. Kim Soo-Geun's architectural philosophy became evident through his ultimate space, presented in a lecture commemorating the Pacific Architectural Prize in 1971. This ultimate space, representing a meditative and creative space with a sense of elegance, was highlighted. In his keynote speech at the UIA Tokyo Congress in 1980, Kim also mentioned Negativism. Negativism referred to the receptive characteristic of Korean architecture, emphasizing harmony between artificial and natural elements, signifying a kind of landscape or leisurely space. This concept is also connected to Kim Soo-geun's notion of prenatal space or uterine space. Kim Chung-Up's architectural theory is based on his experience working in Paris, where he met Le Corbusier and participated directly in regional projects such as the Palais de l'Assemblée in Chandigarh, India. Drawing on this experience, he implements his unique regional interpretation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structural construction techniques in the design of buildings in Korea, such as the French Embassy. Kim Jung-up asserts his own poetic formalism through these endeavors. While not covered in this paper, it seems that there is a need for a morphological study of Kim Jung-up's work on the main building of Jeju University. Seung Hyo-Sang, while designing Welcome-City and Su-Baek-Dang in 2000, discovered hidden cultural power within the urban landscape and social influence that previous modern and contemporary architects had overlooked. Activities such as the formation of the 4.3 Group in 1990 unfolded various efforts to break away from Western modernist architecture, restore traditional aspects of Korean architecture, and address fundamental and essential issues in architecture. The three modern and contemporary architects identified in this study, including Seung Hyo-sang, express a sense of longing for traditional architecture amid their unique struggles with identity. However, an appropriate evaluation should be made considering the belief in technological innovation embraced by modern architecture, the social value of architecture, and the fact that modern and contemporary architecture has established its own legacy even in crises such as the Korean War (6.25). 제 목 : 근 · 현대 한국 건축가 작품에 투영된 현상학적 공간 체계에 관한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근대와 현대의 시간적 범위에서 활동하였던 한국의 건축가 3인을 선정하여 그들의 작품에 투영된 현상학적 공간 언어를 분석하고 그 체계 및 특성을 연구함으로써 새로운 건축 공간의 이론적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건축은 물성을 지닌 돌과 나무 그리고 철과 같은 자연의 원초적인 단단함에 인간의 축조술을 가미한 조형예술이다. 이는 하나의 건축물이 축조되기까지 인간의 창조적인 정신 활동과 자연의 교감이 필요함을 의미하며 공간의 본질에 대한 깊은 이해가 전제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건축 공간의 이해는 곧 인간 문명에 대한 경외감이자 인간의 사고 방식에 대한 탐구이다. 이러한 믿음을 근거로 연구자는 동서양의 철학적 방법론이자 근대적 사고 방식의 전환점이라 할 수 있는 현상학과 그 체계를 활용하여 3인의 건축가와 그들의 건축물에 내재한 공간의 본질을 탐구하였다. 특히 모더니즘적 국제양식의 혼돈기에 잠식된 한국적인 건축 혹은 공간의 실체를 연구함으로써 근대 건축이 추구하였던 기술의 혁신과 근대적인 사고의 전환점을 확인하였고 그 실체적 특성을 돌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오랜 시간 사람들의 삶은 식민지와 전쟁의 고통 속에 스스로의 정체성을 확인하기 위한 방어 기제가 발동하며 전통을 배척하고 선진 문물과 서양의 문명을 동일시 하였고 건축의 기능과 효율 그리고 경제적 가치만을 추구하는 경향을 보여 왔으며 건축가들 자신도 이념화된 개념을 창작의 열기로 포장하거나 혁명의 수단으로 사용하였다. 근·현대 건축가들에게 공간과 형태는 기능과 표피, 기술과 장식의 또 다른 말이고 도시는 시민 활동(activity)과 인프라 시스템으로 형성된 밀도(density)와 조닝의 마스터 플랜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나 건축과 도시는 한 시대의 문화를 담는 그릇이며 선험적이며 내밀한 사람들의 심리를 품은 현상이기도 하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와 대상은 김수근의 공간 사옥, 김중업의 프랑스 대사관, 승효상의 웰컴 시티 및 수백당을 일부 적용하였고 시간상으로는 건축사에서 근대로 분류하는 산업혁명 이후에서 세계 2차 세계 대전 종식과 현대로 넘어서는 시기를 중심으로 다루었다. 그러나 서양의 근·현대와 동양의 시기적 차이를 감안하여 개항기 이후를 근·현대의 기점으로 삼았다. 연구의 방법론으로 3인의 건축가와 그들의 작품을 위주로 관련 문헌(서지)을 수집, 정리, 연구하였다. 전문 서적(관련 통·번역서 포함)과 정부의 공식 자료(국토교통부 및 관련기관의 자료), 언론 보도(일간지 및 건축 전문 잡지) 및 기록 그리고 선행 연구(대학, 학회, 연구소 및 다양 한 분야에서 전문성을 인정받는 국 내외의 연구 기관)는 물론 건축가와 연계된 국내·외 재단의 문서 자료나 사진 자료와 같은 기록물 등을 참고하였으며 정보화 시대에 맞추어 플랫폼 업체(platform company)들의 다양한 방송 매체와 AI의 기술을 활용하였다. 특히 국내·외의 다양한 TV나 인터넷 교육 방송을 활용하여 부족한 지식을 보충하였고 다양한 종류의 백과사전 및 건축 용어 사전 등을 활용하였으며 앞서 제시한 자료 들과 데이터 그리고 정보 및 통계 자료(토지 및 건축물대장)등은 신뢰도 높은 국가 기록을 우선하여 적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지를 통한 연구이자 뉴 메스미디어(new media)와 현장 탐방 및 사진 촬영, 인터뷰 등과 같은 방법을 활용한 아카이브한 연구이다. 연구의 방향은 건축가 김수근의 공간 사옥에서는 한·중·일 및 동남아시아 건축의 상관관계를 비교 연구함으로써 전통 건축과 근대 건축 사이에 존재하는 현상학적 공간 체계와 그 차이를 탐구하였고 건축가 김중업의 프랑스 대사관에서는 건축물의 형태 속에 내포된 근·현대 건축의 특성을 도출하였으며 건축가 승효상이 설계한 월컴 시티와 수백당에서는 빈자의 미학이나 다양한 철학적, 이념적 사유를 통해 묘사되는 그의 건축 언어 속에 담긴 도시 건축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연구는 건축 공간 현상 담론을 통해 그 본질을 논하였는데 근 · 현대 건축의 다양한 사조와 건축 이론 그리고 철학적인 사고의 틀 속에서 다루어지던 건축가 들의 공간 언어의 성격과 그 속에 내포된 공간의 본질을 탐구하기 위함이었다. 그 때문에 건축가가 살았던 시대적 상황이나 인문학적 배경 등의 평가는 뒤로하였으며 사고의 틀로 제시한 현상학적 관점을 유지하고 물리적인 건축 요소만을 간추려 비교 분석과 해석의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하여 본 연구를 위해 선정한 3인의 건축적 현상 유형에서 도출한 건축의 공간과 형태 그리고 도시 차원의 상호 관계를 연구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건축의 공간론은 서양철학의 양대 산맥을 형성하고 있는 인식론 및 존재론적 관점의 공간과 시간 혹은 장소에 대한 개념과 근·현대 건축의 공간 인식 및 분석론을 다루고 있다. 근·현대 서양철학은 산업혁명을 비롯한 세기의 전쟁과 경제적 파고를 넘으며 독일과 프랑스를 중심으로 대륙 철학과 영미로 이어지는 분석철학이 그 주류를 형성하는데, 특히 근대 이후 대륙 철학의 중심을 형성하고 있는 현상학 혹은 현상이란 단어에 주목하고 있다. 언어 중심의 과학적이고 객관성을 담보로 한 영미 철학자 비트겐슈타인(Ludwig Josef Johann Wittgenstein)과 프로이트(Sigmund Freud) 그리고 마르크스(Karl Marx)와 니체(Friedrich Wilhelm Nietzsche)를 벗어날 수 없는 후설(Edmund Husserl)의 선험적 현상학과 그의 제자이자 존재론적 현상학자로 불리는 하이데거(Martin Heidegger)의 존재와 시간, 사람 중심의 경험과 인식의 체계에 질문을 던지고 있는 메를로 퐁티(Maurice Merleau-Ponty)와 노르베르크 슐츠(C. Norberg-Schulz)의 터와 풍경에 대한 건축 현상학 등을 통해 나와 타인이 바라보고 인식하는 대상에 대한 현상학적 의문의 해답을 구하고자 하였다. 사람의 감각 기관은 자극의 강도와 심리 상태(마음, 정신)에 따라 대상의 인식 방식에 상당한 차이가 발생한다. 각 개인의 주관적 인식 속에 존재하는 경험의 세계와 실존하는 세계의 보편적인 본질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를 철학에서는 순수경험 西田幾多郞. (2019). 善の硏究. (윤인로, 역). 서울 : 도서출판b. (1911). pp.15~63. 이라 하며 실제로 경험한 대상과 사고 혹은 논리와 언어로 추측된 세계가 분리되어 있음을 자각한다. 때문에 팔라스마(Juhani Palssasmaa)와 같은 건축가는 감각과 건축의 문제를 다루며 시각적인 서양 건축의 역사를 촉각으로 전환하여야 함을 역설하고 있다. 공간과 시간 그리고 장소에 관한 논쟁은 신화와 종교 그리고 철학적 사고와 심리학(인지심리학)을 통해 논의됐으나 건축 공간에 대한 사유의 시간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공간이란 단어는 뉴턴(Isaac Newton)의 절대 공간론과 기하학적 표현 방식을 통해 획일적이고 무의미한, 텅 비어 있던 무엇으로부터 르 코르뷔지에(Le Corbusier)나 루이스 설리반(Louis H. Sullivan) 미스 반데로에(Ludwig Mies van der Rohe)와 같은 근대 건축가 들의 기능적이고 생산적이며 합리적인 건축물들이 한 자리를 차지하면서 본격적인 건축 공간론에 대한 이론적 체계가 세워진 까닭이다. 그리고 텅 빈 공간은 철학적이고 심리적인 그리고 미학적인 깊은 생각의 열매들이 자리하게 된다. 그러나 건축의 물성은 이러한 건축 공간 혹은 인간의 경험이나 시간과 역사적이고 사회적이며 문화적인 요인들 보다 깊은 신화와 오랜 화석과 같아서 이성이 논하는 논리보다 순수한 축조 방식에 담겨 건축의 본질을 간직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어쩌면 촉각을 향해 나아가는 건축의 방향성으로 인해, 보이는 것들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과 해석이 더욱 필요해지는 이유다. 본 연구는 크게 5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론의 1장과 결론의 5장을 비롯하여 2장 문헌 고찰 및 현상학적 접근과 3장 건축의 분석과 해석 그리고 4장 건축 공간 현상 담론으로 구성하였다. 1장 서론에서는 일반적인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연구의 대상과 방법 그리고 연구의 흐름을 알 수 있는 연구 흐름도를 표로 작성하였고 2장의 문헌 고찰 및 현상학적 접근에서는 다양한 건축 담론의 기조 및 본 연구의 핵심 주제인 현상학과 사람의 감각 기관 및 지각과 인식 그리고 지식의 단계에 대한 과학적이고 철학적이며 역사학적인 이해를 담고 있다. 그리고 전반적인 공간과 시간의 개념을 다루었고 현상학이란 무엇이며 왜 건축에서 현상 및 그 공간에 관하여 관심을 가져야 하며 이것이 건축과 어떠한 연관성을 가지는지에 대한 이해를 다루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3인의 건축가로 선정한 김수근과 김중업 그리고 승효상의 건축 언어에서 확인하여야 할 건축의 공간, 형태 그리고 도시에 대한 분석의 틀을 제시하여 본 연구에서 밝히고자 하였던 건축 공간 현상의 이론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3장 건축의 분석과 해석에서는 건축가 들의 대표작인 공간 사옥과 프랑스 대사관 그리고 웰컴 시티와 수백당을 현상학적 관점의 분석과 해석을 시도하였다. 김수근의 건축 공간에서는 한·중·일 및 동남아시아 국가 들이 보여 주었던 근대 건축물의 현상학적 특성과 전통 건축의 현상학적 특성을 통해 우리의 정체성을 확인하려 하였던 건축가의 건축 언어를 비교 분석 함으로써 김수근 공간의 다양한 면모와 건축적 가치를 논증하였고 김중업의 건축에서는 프랑스 대사관의 텍토닉(tectonic)한 건물의 형태가 지닌 매스(mass)의 의미를 그의 스승이자 직장 상사였던 르 코르뷔지에(Le Corbusier)의 건축물에 나타나고 있는 형태적 요소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우리 건축의 국제적인 면모는 물론 형태가 지닌 현상학적 의미를 논증하였다. 그리고 승효상의 건축 도시에서는 웰컴시티와 수백당 속에 담긴 빈자의 미학이나 다원주의적 공간과 문화 풍경으로 표현하고 있는 도시와 건축물의 이념적 측면을 통해 건축과 도시 그리고 자연의 관계로부터 연유된 사적인 공간과 공적인 공간의 변천사 및 사람 들의 공간 경험을 통한 장소성 획득의 과정에 담긴 문화 권력의 속성을 건축가의 철학적 사유와 건축적인 담론으로 논증하였다. 4장 건축 공간 현상론에서는 앞서 다루었던 이론적 이해와 3인의 건축가로부터 도출한 형태와 공간 그리고 도시적 차원의 건축적 요인들을 바탕으로 경험과 기억의 건축 공간 현상, 건축 형태의 재료와 구조적 현상, 풍경과 문화 그리고 권력의 도시 현상을 다루었다. 즉 김수근의 건축을 바탕으로 한 경험과 기억의 건축 공간 현상에서는 공간의 체험으로 귀결되는 공간의 현상학적 특성을 통하여 중심과 경계 혹은 기하학적 공간과 물적 공간의 순서와 시차 간격에 대한 개념이 어떻게 장소성을 획득하며 시간과 공간 속에 귀결되는지를 김수근의 공간 속에 표현된 현상학적 공간을 통해 논증하였다. 김중업 건축을 중심으로 한 건축 형태의 재료와 구조적 현상에서는 근·현대 건축의 주요한 이슈 중 하나인 형태와 기능의 분리가 결국은 현상학적인 수직 하중에 대한 응력의 관계로 규정되면서 수직과 수평 그리고 사선의 영향과 그 효과 그리고 이러한 자유로운 형태의 기술적 구현이 건물의 외피와 형태 그리고 건물의 상징성 획득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에 대한 논증과 학술적 의미를 기술하였고 승효상의 풍경과 문화 그리고 권력의 도시 현상에서는 도시 건축의 결정적 고려 대상이 되는 도시 인프라망과 사람의 활동 공간에 대한 사적이고 공적인 영역에 대한 담론과 그 활동을 담아내는 프로그램(program)이 건축과 관계 맺는 사례와 방식에 대하여 승효상의 공간을 통해 현상학적 근거를 들어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전통이나 지역성 혹은 문화와 같은 거대 담론 보다는 시대적이고 국제적인 흐름에 편승한 건축가들의 건축 언어 속에 담긴 내면의 세계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건축물의 보존 방식이나 보존의 당위성에 대한 검증, 가치를 논하기 위한 연구나 아카이브한 활동들이 전무하다. 이는 본 연구의 한계이자 우리의 문화유산이 될 가능성이 큰 건축물의 보존 및 가치 검증을 위한 이론적 발전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기도 하다. 문화 강국의 위상을 위한 공적 자산 연구는 정부 차원의 지원과 예산의 확충이 필요한 것임은 누구나 동의하는 사항이다. 본 연구를 통해 건축물은 사회적 자본의 근간이며 인문학적 가치를 지닌 우리의 소중한 유산임을 다시 한번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본 연구가 건축적 요소를 도구화하여 근·현대 건축가들의 공간 언어 속에 투영된 건축 현상 들을 탐구한 현상학적 연구이자 이들로부터 담론화된 우리 건축의 실체적 모습과 근·현대 건축의 한계를 타진하여 본 연구임을 감안할 때 건축의 물리적인 요소와 인문학적이고 철학적인 요소가 하나의 논리로 엮이기에는 태생적 모순과 한계가 존재한다는 사실과 현상이란 단어조차 방정식의 변수와 같은 측면이 있어서 건축 공간 이해의 주요한 논리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인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 그러나 건축의 본질은 사람의 감각에 기초한 것이며 인식할 수 있는 공간적 요소 들은 빛이나 소리 혹은 체험이나 시간과 같은 시퀀스(Sequence)적 요소 들이 주를 이루는 까닭에 이러한 요소적 사고에 가장 근접한 체계적 학문이 바로 현상학이며 현상이란 단어 속에 내포한 형상, 체험, 경험 혹은 관념이나 선험의 이해 등을 감안할 때 현상학적인 공간의 이해는 매우 의미가 있으며 공간의 본질을 논하기에 가장 적합한 분야이다.

      • 도시 경계의 비공식 건축 : 서울의 하천·철도·문화재 주변을 중심으로

        홍윤주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375

        서울은 압축 성장의 과정을 거치면서 속도, 성과, 개발주의가 획일적인 시스템을 만들어 도시를 끊임없이 발전시켜왔다. 생산과 효율 위주의 정책들은 시스템 밖의 존재에 대해서는 정비라는 방법으로 제거하거나 시스템 안으로 재배치하려는 통제의 성격이 강하다. 제도적이고 체계적인 도시시스템 안에서 건축은 제한된 형태와 공간을 갖게 된다. 하지만, 파편화된 관계 사이에서 도시 요소들 간의 상호 침투와 영역간의 교차, 그리고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되는 개발로 인해서, 공식적인 체계를 벗어난 건축형태들이 나타나고 있다. 비공식 건축(informal architecture)은 도시화라는 사회, 경제적 배경 속에서 배태된 건축의 하나로서 그 형성의 본질과 가치는 도외시된 채 불량 건축으로 파악되어 끊임없는 해체의 과정을 겪으면서도 재생산되어 왔다. 공식적 요소(formal codes)는 도시•건축법 상의 규제들이고, 비공식적 요소(informal codes)는 지형과 관습 등이 있다. 법적 규제와 상관없이 지역 주민들간에 보이지 않는 규칙들이 있고, 현재는 없어졌지만 이전 시대의 규제가 관습처럼 남아있는 경우도 있다. 비공식 건축을 조사함으로써 우리가 가진 것을 구체적으로 점검하고 기록하고자 하였다. 비공식 건축의 발생과 유지되는 원인을 밝히고, 각 경계(edge)의 다양한 환경적 특성과 건축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또한 비공식 건축이 도시 구조 속에서 갖는 의미는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무허가 정착지라고 불려온 비공식 주거지들은 1983년부터 시작된 합동재개발 사업으로 대대적으로 재개발된 탓에 서울시 내의 기존 대단위는 거의 사라지고, 소수로 분산되어 거주하고 있다. 도성으로서 오랜 역사와 인구밀집을 가지고 있어서 60~70년대 개발시대에 쉽게 건드리지 못한 도시 구조를 가진 서울 강북지역을 넓은 범위로 잡고, 도시 내부에 선형의 경계를 만들고 있는 하천, 철도, 문화재 주변으로 주로 남아있게 된 비공식 건축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형태에 관한 것으로 구성요소를 크게 가로와 경계, 대지, 건물, 네 요소로 나누고 요소 자체의 형태적 특성을 추출하여, 상호간의 관련성을 파악함으로써 전체 공간구조를 이해하고자 했다. 경계에 인접한 건물은 경계의 위험요소가 적을수록, 경계로 인해 대지가 폐쇄적일수록 비공식적 변형에 적극성을 띄었다. 하천, 철도, 문화재는 법적•물리적으로 완충공간을 확보하게 되어있는데 공식적인 틀 안에서는 공공영역이라는 빈 공간을 제공하지만, 비공식적 관계에서는 사유지와 공유지라는 두 영역이 관계를 가지게 되는 중간영역으로 존재하게 된다. 공유지는 사용과 관리 상의 주체가 없는 공간으로 인식되어 사적 점유와 동시에 건축의 변형이 발생된다. 주로 공간확장의 방식으로 진행되는데 건축의 형태가 기능적 필요성에 부응한다는 측면을 갖기도 하지만, 그 변화가 소유자의 경제적 이익에 기인함으로써 임대라는 기능이 부가되면서 비공식 건축이 발생된다. 또한 상대적으로 오래된 건축은 도시의 수평적 밀도를 줄이기 위한 현재의 도시•건축법을 적용하는 경우 면적의 축소로 이어지기 때문에 건축이 노후화되더라도 공식적인 건축행위를 하지 않으면서 비공식적인 건축행위로 유지된다. 비공식 건축은 시간의 가치들을 내재하고, 도시가 균질화 되려는 효율성의 관성에 저항하는 장치로써 그 역할을 지속하고 지역의 성격을 드러내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경계를 중심으로 현재 존재하는 개별건축의 형태를 채취하고 각 요소들의 관계를 연구하였으나 광범위한 지역을 다루다 보니 다양한 관계망을 알아보는 데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역사가 오래된 경계이고 개별적•자의적으로 발생된 비공식건축이 주를 이룬다. 한편, 현대에 생긴 도시인프라 시설과 신•구의 경계는 도시계획으로 집단적•타의적으로 비공식 건축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도시에서 자율성과 불확실성을 어떻게 담아내는냐에 대한 고민과 함께 이분법적 구분으로 인한 통제 아니라 수용과 조정이라는 방법으로 접근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Architecture and urban planning have radically changed in the past few decades in Seoul Korea, due to social and political demand such as globalization and ceaselessness of human exchange into urban fabric. In order to easily reorder the city, creating homogeneous form and space was most efficient for accomplishing fast redevelopment under private and governmental control; changing zoning code and providing strong regulations and city regeneration guideline, etc. However, due to partially and simultaneously regenerating urban fabric in short period time was creating city debris, which is fragmented between planned urban matrixes and presenting various architectural form outside of formal systems. Informal architecture is an outcome of left by urbanized under social, economic needs, those urban forms were defined as flaw forms in which these areas were bulldozed and relocated existing traditional elements in certain area without any value and concern. Formal codes are one of the urban and architectural regulations but informal codes contains traditional outfit with topographical understanding. Regardless under the current control, in this informal context, it still remains people house themselves, creating their own opportunities for trade, entertainment and education through informal economic and social networks. Through this analysis of informal urban presence within the developing formal systems, my research has attempted to record this informal phenomenon at present, defin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focusing on stream, railroad, and cultural properties in Seoul Korea. Furthermore, study is related about between variety of environmental and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d questioning about critical thinking and creative of informal one in planned city. These natural settlements called informal residences have almost disappeared within Seoul, due to the massive joint redevelopment projects that started in 1983, but the place is still remained and breakup small number of people in relatively vulnerable urban fabric. Investigating the long history and population density in the northern area of Seoul, the city developed during the era of the 1960s and 1970s and created linear edges in the inner city with a wide range of stream, railroad, and cultural assets mainly around informal architectural remains. Its spatial expressions may be found all over, especially four main characteristics in urban components: path, edge, site and building. At the same time, their own characters are extracted, then comprehending interaction of human and natural forces shaping cities. Informal architecture is radically metamorphosed in spatial hierarchy near the edge, and buildings adjacent to the edge stood out in their bold interventions into the boundaries. The stream, railway, and cultural assets in Seoul are official public spaces where the borders are legally protected and provided as a buffer zone. Within a dynamic space involving complex states of struggle and intervention, informal relationship is giving us to new experimental and spatial orders between private ownership and public land. Public property without proper management is often Illegal use by people moving from outskirt and rural area and may occur a spatial transforming at the same time. This kind of spatial morphology is needed not only expanded space as a form following function, but landowners was welcoming value-added rental areas, due to their large economic interests and confidence in their control as well. Relatively old buildings are still use informal construction caused by area reduction under the current zoning regulation, even though the buildings are ongoing deterioration. Informal architecture is including historical time value and showing a vernacular attractiveness as an inertial resistance medium of homogeneous system. Although there are some constraints to discover pre-existing individual architectural forms and to research about connections among other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ed in the historical boundaries that pre-governed the informal architecture which was generated individually and arbitrarily. Informal architecture is happened in between planned urban matrix in modern times and active beyond traditional building and property lines. In contemporary urban place, how to adapt to these historical unprecedented changes on self- regulation and uncertainty, also new design and methods need to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urban planning and creative, excluding the dichotomous categorization.

      • 디지털 건축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 : 퍼포먼스와 텍토닉을 중심으로

        이동윤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359

        In order to explore the changes and possibilities caused by the use of digital technology in architecture, this study looked at the design process as the basis for analysis of performance and tectonic. The reason for considering the design process is that the generative process is the most noticeable change in the use of digital technology. Performance and tectonic, which were mainly considered after the design process, are considered in the early design stage due to the continuous generation process of digital architecture and act as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the design. We analyzed these features through examples of digital architecture and looked at the possibilities. The most striking part of digital architecture is the generative process. The use of digital technology has changed the concept of space, morphogenesis, and production methods, with each process linking digital technology to the centric point. Architects recognized spatial concepts such as topology and non-Euclidean geometry under the influence of Deleuze, which, in conjunction with the digital modeling method of NURBS, began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digital architecture. The way of morphogenesis depends on the changed concept of space. To build a variety of relationships and create a form that responds to situations, rather than to give functions to a set form. Parametric, Dynamics and fields of forces, diagram and datascape, genetic algorithm, performative architecture, meta-morphosis are part of this formative mode in digital. Formal information means direct constructability. This is because information functions directly as production information through CNC technology. The possibility of physical construction of form is further increasing the persuasive power of digital architecture. The use of digital technology connect the processes of form generation and production, while also changing the standards and fabrication methods of design. Digital architecture is realized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method of production and the properties of materials, that is, Tectonic, while the standard of form creation is set to a specific performance. The shift from the existing deterministic design process to the non-deterministic design generation process caused by digital technology creates a form that shows performances of structure, environment, aesthetics and social economy from external conditions such as users and nature, culture and society. This form is mass-customized regardless of the degree of complexity through digital fabrication technology. In addition, through production using digital technology, form is integrated with structure in itself and optimized for the efficient use of digital technology. Materials also have existing materials that represent new properties, and new materials that were not used for construction are applied to architecture. In a series of generating processes, such as design, analysis, production and construction of digital architecture, performance and tectonic act as the main factors affecting design, not the separate elements that are considered after design. The cases of Additive robotic fabrication of complex timber structures by Gramazio and Kohler, ICD/ITKE's 2014-15 Pavilion and Toyo Ito's Taichung Opera House reveal the effects of performance and tectonic on the design process. In the process of each case, the form is created not determined by the architect's intuition, but by organizing the relationship of information related to the form. In the context of technology, society, culture, and environment, the performance of architecture and the tectonics due to the digital production method are the main parameters that determine the form. The emergent forms produced by manipulating each variable become final design information through repeated feedback processes and are also used as fabrication, construction information. Prior to this study, discourse was formed on the performative architecture and Digital Tectronics due to the application of digital technology in architecture, but it was studied as a separate area. This study aimed to show that the two discourses, performance and tectonics due to the use of digital technology, are working together in the digital architectural design process. Cases of ICD/ITKE, Gramazio/Kohler and Toyo Ito are projects that recognize and implement the possibility of tectonic due to digital technology. However, in the process of digital design, a number of performances were set and iteratively fed back, along with the possibility of digital tectonics so that a complex goal could be seen achieved. In the continuous process of digital architecture, performance and tectonic function as elements of design while simultaneously influencing between two elements and expanding the possibilities of architecture. 본 연구는 건축에서 디지털 기술의 사용으로 인한 변화와 가능성을 탐구하기 위해, 퍼포먼스와 텍토닉을 분석의 기준으로 디자인 프로세스에 대해 고찰하였다. 주로 설계과정 이후 고려되었던 퍼포먼스와 텍토닉은 디지털 건축의 연속적 생성프로세스로 인해 초기 디자인 단계에서 고려되어 디자인에 영향을 주는 주요요소로 작용한다. 이러한 특징을 실제 디지털 건축의 사례를 통해 분석하였다. 디지털 건축에서 가장 두드러진 변화를 보이는 부분은 생성 프로세스다. 디지털 기술의 사용으로 인해 공간개념, 형태생성, 제작방식이 변화하였는데, 각 과정은 디지털 기술을 구심점으로 그 프로세스가 연결된다. 건축가들은 들뢰즈의 영향으로 위상학, 비유클리드 기하학 등의 공간개념을 인식하였고, 이것이 넙스NURBS 디지털 모델링 방식과 맞물려 디지털 건축의 가능성이 탐구되기 시작한다. 변화된 공간개념에 따라 형태를 생성하는 방식도 변화한다. 정해진 형태에 기능을 부여하는 것이 아닌 다양한 관계를 구축하고 상황에 반응하는 형태를 생성한다. 파라메트릭, 힘과 역학의 장, 다이어그램과 데이터스케이프, 유전 알고리즘, 퍼포머티브 건축, 메타모포시스는 디지털에서 이러한 형태생성 방식의 일부이다. 형태정보는 직접적인 구축가능성을 의미한다. CNC기술을 통해 정보가 제작정보로서 바로 기능하기 때문이다. 형태의 물리적인 구축가능성은 디지털 건축의 설득력을 더욱 높이고 있다. 디지털 기술의 활용으로 형태생성과 제작의 프로세스가 하나로 통합되는 동시에 설계의 기준과 제작방식 또한 변화한다. 디지털 건축은 형태생성의 기준이 특정 퍼포먼스로 설정됨과 동시에 제작방식과 재료의 성질에 대한 이해, 즉 텍토닉을 통해 구현된다. 기존의 결정론적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디지털 기술로 인한 비결정적 디자인 생성 프로세스로의 변화는 사용자와 자연, 문화, 사회 등의 외부조건으로부터 퍼포먼스, 움직임, 미학, 사회경제, 구조, 환경 등의 퍼포먼스를 보이는 형태를 만들어낸다. 이 형태는 디지털 패브리케이션Digital Fabrication 기술을 통해 복잡함의 정도에 상관없이 대량 맞춤생산Mass customization된다. 또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제작을 통해 형태는 그 자체로 구조와 통합되고, 효율적인 디지털 기술의 사용을 위해 그 형태가 최적화된다. 재료 역시 디지털 기술로 기존의 재료가 새로운 물성을 나타내고, 구축에 사용되지 않았던 새로운 재료가 건축에 적용된다. 디지털 건축의 디자인, 분석, 제작, 건설 등 연속된 생성프로세스에서 퍼포먼스와 텍토닉은 설계 이후 고려되는 분리된 요소가 아닌 디자인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로서 작용한다. 그라마지오·콜러Gramazio·Kohler의 로봇 패브리케이션을 통한 적층방식 목구조, ICD/ITKE의 2014-15 파빌리온, 토요 이토Toyo Ito의 타이중 오페라하우스의 사례는 퍼포먼스와 텍토닉이 디자인 프로세스에 미치는 영향을 잘 드러낸다. 각 사례의 프로세스에서, 형태는 건축가의 직관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형태와 관련된 정보들의 관계를 조직하는 것으로 생성된다. 기술, 사회, 문화, 환경 등 맥락에서 건축의 퍼포먼스와 디지털 제작방식으로 인한 텍토닉은 형태를 결정하는 주요변수가 된다. 각 변수를 조작함으로 생성된 창발적 형태들은 반복적인 피드백 과정을 거쳐 최종적인 디자인 정보가 되고, 이후 구축의 정보로 역시 활용된다. 선행연구에서, 디지털 기술의 활용으로 인한 퍼포머티브Performative 건축과 디지털 텍토닉Digital Tectonics에 대한 담론이 형성되었으나 별개의 영역으로 연구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기술의 활용으로 인한 퍼포먼스와 텍토닉, 두 가지의 담론이 디지털 건축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임을 보이고자 하였다. ICD/ITKE, 그라마지오·콜러, 토요 이토의 사례는 디지털 기술로 인한 텍토닉의 가능성을 인식하고 그것을 구현하고자 한 프로젝트다. 그러나 디지털 디자인의 프로세스에서 디지털 텍토닉의 가능성과 함께 다수의 퍼포먼스가 설정되고 반복적으로 피드백되어, 복합적인 목표가 성취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디지털 건축의 연속적인 프로세스에서 퍼포먼스와 텍토닉은 디자인의 요소로 기능하는 동시에 두 요소 사이에 영향을 미치며 건축의 가능성을 확장시킨다.

      • 몽골 건축법 및 관련 법령에 대한 변천과정 분석 연구

        수뱃 나란툰갈락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359

        Abstract An Analysis on Mongolian Building Codes and other Related Laws Sukhbat, Narantungalag (Supervisor Lee, Young Han) Dept. of Architectural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upport Korean companies and individuals who enter Mongolia, the“brother country,”closely related to historical and geographical aspects of South Korea, to comprehend the Mongolian laws and regulations on architecture, land, and urban development. Also, it is to contribute to the defined interpretation of the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of Mongolia by presenting the country’s historical and natural environment backgrounds. For South Korean companies to take part in the construction of new city in Mongolia, the South Korean government needs a precise understanding of Mongolian laws and regulations on architecture, land, and urban development. However, comprehending of Mongolian building laws and regulations are highly likely to cause concerns due to the lack of research on building-related laws and regulations because of language and cultural differences, and complications in collecting data and statistics. The South Korean Embassy in Mongolian, the Mongolian Embassy in South Korea, and the World Legislation Information Center have been provided with the Mongolian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as in Korean-Mongolian translations, yet they have been issued in 1990. After 20 years, the architecture laws and regulations of Mongolia have been revised; however,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re is a lack of research and translated data related to those subjects. The laws and related regulations of architecture, land, and urban development in Mongolia have been translated into the lasted legislation by the actual state in South Korea. The scope of the thesis is to describe the difference and relatedness between the related laws of South Korea and Mongolia through the historical and characteristics analysis. The Mongolian Legal Information Center (www.legalinfo. mn/law/details/112) provides the latest status, and conducts the comparative research of 1998 legislation at the South Korean Embassy in Mongolia. The Mongolian Building Act is originally enacted on August 7 of 1998, consisting of a total of 7 acts and 19 articles. In 2008, parts of the law are revised but abolished in 2016. In that year, a total of 9 acts and 50 articles are enacted and maintained until now. Mongolia’s building law and related regulations that has a relatively short history needs further development. Hence, this thesis examines the fields that need the improvement compared with the South Korean building laws and related regulations. As a result of the thesis, the Mongolian Building Act shows the differences from the constitution, terms, and expressions of law in South Korea, and also lacks the building laws and related regulations to prepare fore the future society. Regrettably,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laws and regulations in Mongolia. Mongolia is a country with a population of about 3 million, yet, it has a vast land size that is more than 15 times that of South Korea. Since the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fields in Mongolia has pronounced potential to develop in the future; hence,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comprehensive research on the legal system of architecture laws and regulations. 요 약 제 목 : 몽골 건축법 및 관련 법령에 대한 변천과정 분석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역사적·지리적으로 아주 밀접하여 “형제 국가”라 할 수 있는 몽골에 진출하는 한국 업체와 개인에게 건축, 토지 및 도시개발에 대한 몽골법령의 올바른 이해를 돕기 위해서이다. 관련 법령의 제정 근간이 되는 몽골의 역사·자연환경적 배경과 건축 관련 개개 법령의 분석 및 변천과정을 한국의 법률용어를 가미하여 제시함으로써 몽골의 관련 법령의 정확한 이해와 해석에 기여하고자 노력하였다. 몽골 정부의 신도시 건설에 한국 업체의 활발한 참여를 위하여 현재 한국 정부의 신북방정책 등 전략적 측면에서 몽골법령에 관한 정확한 법적 이해는 절실히 필요하고 중요한 문제일 것이다. 그러나 몽골의 건축 관련 법령의 정확한 이해는 언어·문화적 차이, 정보의 부재, 자료 및 통계 파악의 곤란성 등 관련 법령의 연구 미비로 문제점과 부작용 발생 가능성이 높다. 몽골에 관련된 법령은 주한 몽골대사관, 주몽골 한국대사관, 세계법제정보센터 등에 있는데 1990년에 한국어로 변역된 것이다. 이 후 20년간 몽골의 건축 및 관련 법령이 개정되고 많은 변화가 있었지만 이에 관련 된 연구 및 번역된 자료가 부족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몽골의 건축 관련 법령 중 대표적인 건축법, 토지법, 도시개발법 등 3개 법령을 최신 법령으로 한국 실정에 맞게 번역하여 연혁, 특성분석 등을 통하여 양국의 관련 법령 간의 다름과 연관성을 설명하는 것을 연구의 범위로 삼았다. 몽골법률정보센터(www.legalinfo.mn/law/details/112)에서 최신법령을 검색하고, 주몽골 한국대사관 사이트에 있는 한국어번역본(1998제정법)을 비교 연구했다. 몽골 건축법은 1998년 8월 7일 총 7장 19조 구성으로 최초 제정되었다. 2008년에 일부분이 개정되어 사용하다 2016년 폐지되었고 그해에 총 9장 제50조로 새롭게 제정되어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 비교적 짧은 역사를 가진 몽골의 건축법은 더 많은 발전이 필요하다. 이에 한국의 건축법과 비교하여 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로 몽골건축법은 법의 구성, 용어 및 표현 등에서 한국과 많은 차이점이 보이며, 발전된 사회를 대비할 건축법이 부족하다. 현재 몽골 건축법 관련 법령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여 법령에 관한 연구물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몽골이 약 300만명의 인구로 이루어진 나라이지만 한국의 15배가 넘는 광활한 국토를 가진 나라로서 향후 토목·건설의 발전 가능성이 많은 나라이기 때문에 관련 법령 및 하위법의 일괄된 번역, 법률체계에 대한 꾸준한 연구가 필요하다.

      • 공공도서관 계획에 나타나는 패시브 디자인 요소와 에너지 사용에 관한 연구 : G-SEED 인증, 비인증 도서관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가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343

        The function and the role of public libraries have expanded as they became the cultural facilities to provide places for communication, by fulfilling the cultural demands of local residents. Present day libraries are not only storages of knowledge, but also places of lifelong education and facilities for the communities that provide pleasure to the users by combining various factors such as exhibition, experience, and commerce. According to ‘the 2nd Master Plan for Library Development’, which reflects the importance of such library facilities, the expansion of library infrastructure is the main objective, and they planned to establish 1,100 libraries by 2018, as the primary political assignment. For a better space organization and facility efficiencies, in particular, they are planning to consult experts about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from the beginning of the establishment, and they announced that they have already supported the establishment of 68 environmentally friendly energy-saving public libraries from the year 2008 to 2012. In such a way, there are insufficient preceding studies on the environmental friendly libraries, despite the increasing needs of their establishment.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relation between G-SEED and the passive design, through the overall evaluation results of environment-friendly libraries, which is the combination of the evaluation results of public libraries in the perspective of passive design and the simulation results based on the energy analysis. This study will further provide the foundation for establishing plans to build environment-friendly libraries. This study focused on identifying the status of passive design application and comparing the energy usage of the objects, which are the public libraries that attained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and the excellent public librarie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Such analysis and comparison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ssive design within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and the energy usage. The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draw a common factor among the factors of public library plans and the passive design. Then, identify the status of passive design factors applied to the public libraries, by evaluating the application level of the reclassified environment-friendly public library factors. In the case of a public library, the energy-saving operation is difficult considering that it requires a pleasant environment for all age users, it needs a large amount of energy for maintaining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preservatory libraries and computer server rooms, and the users are constantly moving inside and outside. Therefore, a careful examination of environment-friendliness at the initial stage of design is important.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fuel, electricity, and yearly energy consumption with Green Building Studio, to analyze the energy usage of public library buildings, in which unspecified masses visi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ertified libraries scored less in the construction and installation factors compared to the uncertified libraries, but the two scored similarly in the factors affected by the land environment, such as the widths of neighboring roads, the angle of the main axis countering South, A/V ratio, and W/D ratio. Second, the indices of passive design certification are insufficient within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and the relevant methods of quantitative analysis are also insufficient. Although there are factors that affect the heating ∙ cooling load reduction and the building’s energy efficiencies, such as the way of building arrangement in accordance with land usage, the A/V and W/D ratios based on the construction plan, or solar radiation controlling equipment, there is no evaluation tools within the certification, but instead, there are only the evaluation standards about the temporary methods such as the material usage or equipment installation. Third, when the same conditions are inserted in the energy analysis program, the green building certified libraries were measured to be consuming more energy than the uncertified libraries. Although there is an index reflecting the energy usage in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the index only considers the equipment examination and is unrelated to the architectural factors. Fourth, currently, the public libraries are evaluated by the ‘other buildings’ standards. Thus, public libraries are evaluated along with the buildings that have totally different energy-usage purposes, such as art museums, hospitals, or laboratories. Considering that there are an increasing number of newly built libraries, the standards in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need to be subdivided. Fifth, the public libraries are constantly open to the unspecified public, so they consume a large amount of energy to provide a pleasant studying environment for convenience. Therefore, considering the libraries have relatively low energy efficiency, not enough studies have been made on the analysis of energy efficiencies of public libraries, or in a broad sense, cultural facilities. Public libraries are required to provide a pleasant environment to the users, and their values cannot be simply estimated by economic standards. Thus, the standards for the public libraries should be high enough to consider them as environmentally friendly facilities, and the application of passive design that reflect the natural environment is essential to the initial planning stages of their construction. Further, continuous supplementation to the guidelines and standards about such issue is important, and the studies for the quantitative evaluation of passive design are necessary. 공공도서관은 지역 주민들의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키고 이것을 매개로 소통의 장을 제공하게 되는 문화시설로서 그 기능과 역할이 확장되었다. 오늘날 도서관은 단순히 지식이 축적된 저장고에서 탈피하여, 전시, 체험, 상업 등 다양한 구성 요소가 융합되어 이용자에게 즐거움을 줄 수 있는 평생 교육의 장이자 커뮤니티 시설로써 그 기능이 확장되었다. 이러한 도서관 시설의 중요성을 반영하여 현재 발표된 '제2차 도서관발전 종합계획'에 따르면 도서관 기반 확충을 주요 과제로 꼽으며, 2018년 까지 1100개의 도서관 건립을 주요 정책 과제로서 수립하였다. 특히, 공공도서관의 공간 구성 및 설비 효율화를 위하여 건립 초기 단계에서 부터 건축 및 운영 분야 전문가 자문을 실시할 예정이며 이미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친환경 에너지 절약형 공공도서관 68개관의 건립을 지원하였다고 밝혔다. 이처럼 친환경 도서관 건립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친환경 도서관에 관련한 선행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패시브 디자인 관점에서의 공공도서관 평가결과와 에너지 해석기반 프로그램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종합한 친환경 도서관 평가를 통해 녹색건축 인증제도와 패시브 디자인의 연관을 찾고자 함이며 나아가 향후 친환경 도서관 건립계획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녹색건축 인증제도에서 인증을 획득한 도서관과 문체부에서 선정한 건축 우수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패시브 디자인 적용 현황과 에너지 사용량으로 비교하여 녹색건축 인증제도 내 패시브 디자인과 에너지 사용의 연관성을 밝히고자 한 것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공공도서관 건축 계획 요소와 패시브 디자인의 공통요소를 도출하고 재분류한 친환경 공공도서관 요소의 적용 정도를 평가하여 공공도서관 시설에 적용된 패시브 디자인 적용 현황을 밝힌다. 공공도서관의 관련 법규와 계획 기준을 검토하고 패시브 디자인에 대한 정의를 선행연구를 통해 고찰한다. 이후 각종 도서관 계획 기준에서 도출된 도서관 계획 요소와 패시브 디자인에 관한 선행연구를 통해 추출된 패시브 디자인 요소의 공통된 요소를 평가항목으로서 도출하고 사례를 통해 분석한다. 공공도서관의 경우 전 연령층 대상 이용자들을 위한 쾌적한 환경이 요구되고 보존서고와 컴퓨터 서버실의 경우 항온항습 유지로 인해 에너지 사용량이 증가되며, 끊임없이 이용자가 외부와 내부를 움직이기 때문에 에너지 절감을 위한 운영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초기 설계 단계에서의 친환경성에 대한 검토가 중요하다. 이에 따라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공공도서관 건물의 에너지 사용을 분석하기 위해 Green Building Studio를 이용하여 연료와 전기, 연간 에너지 사용량을 분석한다. 위와 같은 방법에 따라 연구를 진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획득 도서관이 획득 도서관보다 조성 및 설치요소로서의 획득 점수가 더 적었지만, 접근 도로의 폭, 남향을 대향으로 하는 주 축의 각도, A/V비, 건물의 종횡비 등 대지의 환경에 영향을 받는 요소의 점수 획득은 획득 도서관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둘째, 녹색건축 인증제도 내 패시브 디자인 인증항목이 부족하며 이에 따른 정량적 평가 방법이 미흡하다. 대지이용에 따른 배치 건물 배치 방법과 건축설계 계획에 따른 A/V비와 종횡비 및 일사 조절 장치 등 냉·난방 부하 절감 및 건물 에너지 성능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존재하지만 인증제도 내 평가도구가 없으며 자재의 사용 및 기기의 설치 등 일시적인 방법에 대한 평가 기준만이 제시되었다. 셋째, 에너지 해석 프로그램에 같은 조건을 입력한 경우 녹색건축 인증제도 내 인증을 획득한 도서관이 비획득 도서관보다 에너지 사용량이 많다고 계산됐다. 녹색건축 인증 제도 내 에너지 사용 관련 항목이 있지만 이는 설비적 검토 내용으로 건축적 요소와는 관련이 없기 때문이다. 넷째, 현재 공공도서관은 주로 그 밖의 건축물 기준으로서 평가된다. 즉, 미술관, 병원, 연구소 등 각각의 쓰임에 따른 에너지 사용이 모두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는 시설과 함께 평가를 받는 것이다. 점차 더욱 많은 도서관 시설이 건립되는데 반해 녹색건축 인증제도의 시설 평가 분야가 더욱 세분화 될 필요가 있다. 다섯째, 공공도서관의 경우 불특정 다수의 시민들에게 개방되어 있으며 상시 개방되어 운영되는 공간임에도 이용에 방해되지 않을 만큼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타 문화시설보다 에너지 사용이 크다. 따라서 에너지 효율에 있어 불리함에도 불구하고 아직 공공도서관, 나아가 문화시설의 에너지 효율 분석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지 않았다. 공공도서관은 이용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단순히 경제적 가치로서 논할 수 없는 공공시설물이다. 따라서 도서관 관련 기준은 높은 수준의 친환경 시설로서 검토되어야 하며 초기 기획 및 계획 단계에서의 자연환경을 적극 도입하는 패시브 디자인의 적용은 필수적이다. 향후 이와 관련한 지침과 기준의 검토가 지속적으로 보완되어야 할 것이며, 패시브 디자인의 정량적 가치 평가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 Religious Aspect in the Formation of Architectural Identity

        헨드 함디 아브델카더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343

        건축 분야에서의 정체성은 건축적 특징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 이 개념은문화적 중요성을 표현하고 상징하는데 사용되는 독특한 건축적 특징들과 디자인 요소들로 특징지어지는 전통적 건축에 명확하게 반영되어 있다. 이러한 요소들은 특정 원칙과 가치의 결과로서 형성된다. 많은 전통적 건물에서 관찰되는 바와 같이 건축적 정체성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어왔던 주요 측면 중 하나가 종교적 측면이다. 이 연구는 두 개의 선별 된 전통 건축물의 건축적 특징과 종교적 원리 사이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건축적 정체성 형성에 종교가 미치는 영향을 결정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위한 사례 현장으로는 동시대에 한국과 이집트에서 만들어진 건축물로 각각 불교 건축과 이슬람 건축을 대표하고 있다. 종교적 의례의 개념, 기능, 주요 설계 요소의 맥락에서 두 종교의 비교를 수행하였다. 이것은 연구 영역의 건축 설계가 겪어 온 여러 단계를 추적하고 건축 매개 변수 (설계, 사용법, 위치, 예술적 특징)를 기반으로 두 사례들을 분류함으로서 이러한 비교를 수행하였다. 각각의 경우에 종교가 어떤 방식으로 건축적 특징의 형성에 영향을 주었는지를 설명하기 위해 비교 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양국의 전통적 건물의 건축설계에 신성한 믿음과 교리가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이집트와 한국의 종교의 무형적 측면은 해당 국가의 전통적 건축물의 건축적 정체성 형성에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The identity in the architectural field is directly related to architectural character. This concept is clearly reflected in traditional architecture, which is characterized by unique architectural features and design elements that is used to express and symbolize cultural significance. These elements are formed as a result of certain principles and values. As observed in many traditional buildings, one of the main aspects that ha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architectural identity is the religious aspect. The study aims to determine the impact of religion in the formation of architectural identity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rchitectural features and the religious principles of two selected traditional buildings. These case study sites, which were established at the same era in Korea and Egypt, were selected to represent Buddhist and Islamic architecture, respectively. A comparison between the two religious complexes was conducted in the context of ritual concepts, functions, and major design elements. This was done by tracking the different stages that the architectural design of the study areas has undergone and by classifying the two cases based on their architectural parameters (design, usage, location, artistic features). The comparative analysis is used to explain how religion has influenced the formation of the architectural features in each case. The research findings revealed that the sacred beliefs and tenets have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architectural design of the traditional buildings in both countries. The intangible aspects of Egypt and Korea’s religion became a crucial element in the formation of the architectural identity of their traditional buildings.

      • 바이오필릭 디자인을 적용한 공동주택의 치유환경 조성에 관한 연구

        심주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343

        최근 지속 가능한 건축의 재정의가 이루어지면서 건물 에너지 저감과 같은 건축과 환경의 관계를 넘어, 공간을 점유하는 사용자 역시도 좋은 환경의 영향을 받으며 쾌적한 환경에서 거주하도록 해야 한다는 점에서 인간, 건축, 환경 모두의 관계를 고려하는 차원의 건조환경 내의 ‘치유 환경 설계(Restorative Environmental Design)’가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현재 치유 환경 설계에 있어 그 디자인 수단이자 개념으로 바이오필릭 디자인이 중요한 키워드로 사용된다. 본 연구는 이론적 선행연구 분석을 바탕으로 실제 건축공간으로 적용을 위한 실증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스티븐 켈러트와 윌리엄 브라우닝과 동료 연구가의 연구 내용을 분석하여 바이오필릭 디자인이라는 용어의 생성 배경을 분석하고, 모하메드 압델라와 베로니카 소바르트 연구 분석을 통해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공간 내 치유 효과를 정리한다. 이론적 선행 연구는 용어 생성의 배경 형성과 앞으로 실증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의료기관에 집중하여 치유효과를 설명한다는 점에서 공간의 실증적 연구는 부족하다는 한계점이 발견된다. 이에 따라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바이오필릭 디자인과 바이오필릭 디자인이 적용된 공간에서 보여지는 심리적인 치유 효과를 기반으로 2000년 이후 지어진 건축물 중 주거시설, 업무시설, 교육연구시설, 문화시설의 건축물 사례 분석을 통해 용도별 건축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바이오필릭 패턴과 치유 효과를 정리한다. 선행연구 분석과 사례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오늘날 팬데믹의 가속화와 메타버스 공간의 확장으로 재택근무 등 개인 거주공간에 머무는 시간이 증가하는 사회적 배경에 따라 바이오필릭 디자인을 적용한 주거 공간 내 치유 환경 조성 방안을 제안하는 주거 · 상업 · 문화 복합시설을 설계한다. 바이오필릭 디자인 요인과 공간 심리적 효과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공간 계획에서 고려해야 할 주거 공간 설계 방향을 제안하면서, 이를 통해 인간, 건축, 자연의 관계가 서로가 지속되고 유지되도록 하는 신개념 지속 가능한 건축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Recently, sustainable architecture is being redefined to "restorative environmental design" in sense that a built environment needs to be considered that users who occupy space also should be in a pleasant environment. Biophilic design is used as an important keyword for a design method and concept in designing a restorative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necessity of empirical research for application as an actual architectural spac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oretical preceding studies. It analyzes the research of Stephen Kellert, William Browning, and fellow researchers to analyze the background of the term ‘biophilic design’, and organizes the psychological restoration effects of biophilic design in space through analysis of Mohamed Abdelall and Veronica Soebart’s research. Theoretical preceding studies suggest the shaping up a background of term generation and the necessity of empirical research for the future, and explain the psychological restorative effect focusing on medical facilities, so there is some limitations for empirical research in space. Based on the psychological restorative effect shown in the space where biophilic design are applied through prior research analysis, it studies the cases of the residentials, offices, educational&research facilities and cultural facilities which have been built since 2000 with design keyword of biophilic design. Based on the results of prior theoritical studies and case analysis studies, a residential and commercial complex is designed to create a restorative environment in residential spaces with biophilic design for the people who spent almost of their life time in their housing spaces corresponding to severe pandemics and expansion of metabus. Based on bio-philic design factors and spatial psychological effects, it expects that this study may lead to a new concept of sustainable architecture that allows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rchitecture, and nature to continue and maintain each other.

      • 大學캠퍼스와 地域社會의 連繫性에 관한 硏究 : 京畿地域 第 2 캠퍼스를 中心으로

        유병안 明知大學校 1996 국내석사

        RANK : 247343

        이 논문은 현재 우리나라 대학 캠퍼스가 안고 있는 문제들을 대학과 주변여건변화 과정을 통해 그 원인을 분석하고 사례조사를 통하여 문제 해결방안으로써 대학이 위치한 지역사회와의 연계 방법을 제시한 대학캠퍼스와 지역사회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이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들이 앞으로 수년간 지금까지와는 다른 수많은 여건변화를 겪어야 하는 시점에서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통하여 지역사회 발전은 물론 대학캠퍼스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 본다는 것에 의미를 가진다. 제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의의, 연구범위와 방법,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졌다. 선행연구의 검토에서는 기존 대학캠퍼스 관련 연구를 검토한 결과 대학캠퍼스 마스터플랜의 요소 중 연구의 대상이 대학시설에 극히 치중되어 있었고 포괄적 측면에서 대학캠퍼스가 위치한 지역사회와 연관되게 분석하고 있지 못하여 대학이 앞으로 당면할 여러 여건변화에 단지 도식화된 계획안으로서의 연구만이 있음이 문제점으로 발견되었다. 이것은 계속되는 연구들을 통해 여러 여건변화에 적응하며 실제로 실현될 수 있는 다양한 분석들이 나올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제 2장에서는 연구의 대상인 대학캠퍼스의 성립과 그에 따른 대학캠퍼스와 사회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본 논문은 역사적으로 대학이 지역사회와 이루었던 관계변화의 분석을 통하여 이상적인 대학과 지역사회의 관계를 산업혁명 이전 대학과 지역사회가 이루었던 상호보완관계로 규정하고 현재의 대학에서 이러한 관계로의 발전을 위해 필요한 노력의 일환으로 지역사회시설로서의 대학상을 제시하였다. 제 3장에서는 우리나라 대학의 현재 모습을 살펴보고 그러한 모습으로의 변화를 주변여건변화과정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대학정책변화에 따른 캠퍼스의 지방이전 현상과 그에 따른 문제점으로 대학의 지방캠퍼스, 특히 서울과 인접하여 이용학생 대다수가 서울에 거주하는, 경기지역 대학캠퍼스가 각기 위치한 지역사회와 동떨어진 부지는 물론 지역사회와 아무런 관계를 설정하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아울러 2000년까지 완전 개방될 교육시장 개방분석은 위와 같은 문제점과 더불어 대학이 지역사회와 연계를 이루어야 하는 당위성을 제시하게 되었다. 제 4장에서는 제 3장에서 제시된 문제들을 토대로 경기지역에 위치한 대학 중 서울과 동시에 캠퍼스를 보유하고 있는 7개 사립대학을 항목별로 사례조사하였다. 이 같은 조사 결과 우리나라 대부분의 대학에서 앞서 제시되었던 지역사회시설로서의 대학상을 고려한 시설배치 및 마스터플랜이 마련되어 있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제 5장에서는 대학과 지역사회의 연계를 통한 대학문화단지 조성을 위하여 건축계획적, 도시계획적 측면의 방안을 고찰하였다. 대학과 지역사회간 연계가 가능한 시설물의 대학캠퍼스 내 배치와 지역사회와 동떨어진 곳에 위치한 대학캠퍼스주변의 개발방법을 도시계획법의 검토를 통하여 살펴 보았다. 제 6장에서는 앞에서 조사한 내용을 총체적으로 종합, 대학과 지역사회간의 연계 방안으로 유형적 연계와 무형적 연계방법을 제시하였다. 이외에 대학시설기준령과 연구과정에서 답사 조사하였던 28개 대학의 시설배치도면을 부록으로 첨부하였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correlation of university campus, and community to have suggested the connecting method of university with the community as the solution to that issue through cause analysis and case survey via changing process of university and surroundings which our present university campus has held.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has grasped for the activation plan of university campus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community by means of connection with community at the time when our universities have to go through many other condition changes for years to come. Chapter 1 examined the purpose and significance, scope and method of study, study precedent. In reviewing the study precedent, a problem was found that there is a study as schematized plan to many changes of condition for universities to confront with because the subject of study among the elements of university campus plan is extremely focused on the university facilities and in the comprehensive aspect, not analyzing the subject in connection with the community in which universities are located, according to this it is expected that many applicable and realizable analyses to changes of conditions would come out. Chapter 2 considered the establishment of university campus as the subject of study, the relation of university campus and society. Also this study defined the relation of ideal university and community as mutual supporting one of pre-industrial revolution university and community through analysis about change of relation historically formed between them, suggested an image of university with communal facility as a part of necessary efforts for the development to this relation. Chapter 3 looked into the present look of the university in our country, considered the change to that condition by means of change process of surroundings. Also this chapter pointed out the problem according to the transfer phenomenon of campus due to the change of university policy that university campuses of Kyunggi-Province where are close to Seoul, whose most students reside in Seoul, have isolated locations from and no connections with community. In addition, the analysis for the openness of educational market to be completely opened by 2,000 brought on the necessity that the university be connected with the community, and the above problems, Chapter 4 surveyed the cases of 7 private universities with campues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among the ones located in Kyunggi province based on the problems presented in Chapter 3. As a result of this survey, most universities in our country have not prepared the arrangement of facilities and master plan considering the university image as communal facility previously presented. Chapter 5 considered the plan of architectural and municipal aspects to form the university cultural complex through the connection of university and community. This chapter looked into the method of arranging the community connectable facilities in university campus, developing the surrounding of university campus isolated from the community by means of reviewing the city planning law. Chapter 6 comprehensively integrated the above examined contents, presented the tangible and intangible connection method as a plan of connecting university and community. Besides, the drawings for facility arrangement from 28 universities investigated during study process were added as an appendix.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