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건축물 누수 하자 사례분석 및 주요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김남수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719

        건축물의 누수발생은 원인은 내적요인과 외적요인으로 나누어질 수 있으며 세부적으로는 설계적, 재료적, 시공적, 유지관리적인 원인에 따라 건축물에 누수가 발생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누수발생의 원인들은 해당 건축물에 적정한 방수공법이 선정되어야 방수의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으면 건축물의 수명이 장기적으로 안정적으로 보여진다. 하지만, 현실은 방수자재 및 기술공법을 선정함에 기준은 현까지는 재료적 물질시험에 의존해 왔으며 재료성능은 단순히 국가공인규격 및 시험에 합격함을 규정하고 있는 품질기준으로서 실질적으로 현장에서 요구하는 방수공법 및 방수기능에 적합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여 건축물의 누수 하자가 발생된다. 또한, 해당 건축현장의 공사비, 계약조건, 건설관리시스템, 건설 기술자 능력 및 현장관리자의 책임감, 현장 노동자들의 기술력 및 책임감 등에 따라 방수 공사의 품질이 결정된다 그리고 건축물의 방수공법 선정은 사용용도, 위치, 내외부적인 영향에 따라 적정한 방수공법이 선정되어야하나 상기에서 일부 언급했듯이 불리한 공사금액 및 계약조건, 현장의 기술자 및 관리감독자의 일부 불합리한 결정에 의하여 잘못된 방수공법이 선정되어 건축물의 라이프 사이클과 유지관리적 측면에서 많은 손실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준공되어 유지되고 있는 일반건축물과 공동주택 아파트에 발생되는 누수하자발생의 유형과 빈도, 여기에 따르는 누수피해 복구 및 손실로 발생되는 비용을 분석하고 각 건축물에 적용된 선정되어 적용된 방수공법의 적정성 여부 등을 데이터 마이닝을 적용하여 최종 연구 분석하여 누수 하자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주요관리방안을 선정을 연구하였다.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 배경 및 목적을 제시하여 본 연구의 필요성을 검토하였다 제2장 이론적 고찰에서는 건축물의 방수공법 선정 및 누수하자에 관하여 연구하였으며 주요 내용은 건축물의 사용용도 및 해당위치에 적정 방수공법 선정의 중요성과 이를 다시 검토하기 위한 주요 방수공법에 종류 및 특성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또한 누수 피해 등을 검토하여 예방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른 최근 선행 연구 동향 및 과제 등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기존 자료 및 데이터 마이닝을 통한 누수하자 사례별 원인에 따른 대책방안을 검토하여 이해하고자 하였다. 제3장 건축물의 누수하자 현황조사에서는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선행 연구 조사 사항을 검토하고 건축물 누수 피해 발생 및 복구에 관련된 데이터 마이닝 등을 연구 검토하여 조사 대상 및 방법들을 선정하여 누수하자 발생 빈도를 연구하여 이에 따르는 누수하자 손실 피해 및 투입된 비용들을 조사하였다. 제4장 누수하자 방지를 위한 주요관리방안 선정에서는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 검토 결과 및 데이터 마이닝을 통한 본 연구에서 확인하고 하는 방수공법 선정 시 주요 핵심 사항 및 누수하자 손실 비용에 따른 주요관리 방안을 선정하였다. 제5장 주요 관리 방안으로 선정된 항목에 대하여 세부 분석을 통한 발생 원인에 따른 주요 관리 방안을 구체적으로 검토하여 대책방안을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분석하여 도출하였습니다. 제6장 결론부에서는 이러한 연구 및 조사 검토 결과에 따른 최종 검토 내용을 재확인하고 현장 반영 시 적장한 방수공법 선정방안과 누수 피해 방지를 위한 중요관리적용 사항을 선정하여 본 연구 자료를 향후 건축물 공사에 도움이 되는 방향성을 정하는데 도움이 되는 개선안을 도출 및 제시하였다.  It is a water leakage defect that has the most negative effects on durability and lifespan of a building. It is true that direct and indirect damage has occurred due to problems of waterproofing methods. In addition, applying an inappropriate waterproofing method could make a building lose its function and then it brings enormous loss cost, so that individual, corporate, and national damage has occurred because of it, and even it could deteriorate the national brand image. Still, since standardized and general waterproofing methods are applied in the construction fields, the same defects have been repeated and caused inappropriate maintenance costs. Therefore, this study has a purpose that it is to derive a management measure for water leakage defect as identifying mainly used waterproofing methods and a management plan to adopt a proper waterproofing method applying the use, location, effects of the air and external influences of a building, and researching and analyzing many cases of water leakage defect by using data mining. Since it is difficult to record and manage specific contents on section for exclusive ownership in a multi-family housing, this study mainly analyzed water leakage defect cases in general buildings, and it deduced items of important management measures. Then, as researching loss cost with occurrence frequency, it is to derive the loss cost as the important management measures based on those items.  This study is to check again and review the major management items which are finally selected based on defect cases and damage costs the research results deduced.

      • 현대건축의 비-구성적 특성에 따른 다이어그램의 역할 연구

        손민정 弘益大學校 大學院 2012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에서는 현대건축이 다양한 관계들에 주목하여 유연한 형태를 생성하는 도구로서 활용되는 다이어그램의 역할에 관해 고찰하고자 한다. 현대에 들어와 사회는 질서를 가지고 부분을 통제하기 보다는 다양성을 인정하고 특이성을 존중하는 가운데 자연스럽게 하나의 전체로써 발생되기에 이르렀다. 건축 역시 사회 안에 존재하는 물질적 실체로서 끊임없는 변화를 거듭하고 있다. 그 중에서 연구자가 집중한 부분은 건축 형태에 나타나는 개념변화와 다이어그램의 관계에 주목하고자 한다. 건축 형태는 공간, 디자인과 함께 모더니즘 건축의 3대 용어 로 볼 수 있다. 형태는 건축의 존재를 지탱하는 극히 기본적인 측면으로서, 형태에 관련하는 고찰과 분석은 건축이론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시대적으로 형태관을 나누어 고찰해보면 근대건축의 경우, 전체를 위해 부분을 조화롭게 통일시키는 구성의 원리를 가지고 형태를 부여하였다. 이에 반해 현대건축의 형태는 체계적인 질서에 의해 전체를 위한 부분의 디자인이 아닌, 부분의 관계를 통해 전체가 생성되는 것으로 보고 구성의 원리에 반하는 비-구성적 경향을 가지고 형태를 창조하고자 하였다. 현대건축에서 나타나는 비-구성적 원리는 공간 및 형태를 완전히 고정된 상태로 사고하지 않으며, 자율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여러 현대 건축가들은 이러한 성격을 토대로 하여 형태를 도출할 때 다이어그램을 사용하고 있었다. 현대건축 사례를 통해 알아 본 다이어그램은 프로그램의 적층과 동일한 카테고리의 반복을 통해 비 위계적인 성격을 구현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연속적인 공간 관계를 보여주는 미로적⦁리좀적 공간을 통해 방향성을 갖지 않으면서 탈 중심적/ 다 중심적인 성격을 갖게 하였다. 또한 보이드와 솔리드의 병치, 공간 내 구조의 사라짐을 통해 공간을 열린 장으로서 사유하고 있었다. 결국, 현대건축에 나타나는 다이어그램은 결과물로써 구체화된 형태생성을 위해 작동한다기보다는 형태의 과정이 되는 공간에 집중되어 나타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현대 건축가들은 공간간의 관계, 공간을 구성하는 부분 또는 요소들 간의 잠재되어 있는 다양한 관계를 사유하고자 하며, 그를 위해 다이어그램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 진다. 다이어그램은 설명론적 도구나, 형태생성의 도구이기 이전에 관계의 사유를 위한 도구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를 바탕으로 현대건축에서 비-구성적 변화를 이해하고 이 변화를 수용하여 새로운 형태를 생성하는 도구로서 다이어그램의 역할과 활용 가능성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In this study, the role of diagrams as a tool for generating changeable, new forms was investigated by focusing on various relations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In the contemporary society, diversity and unique characteristics are valued. Due to such a trend, various theories and trends have become complicated and the cycle of change has become faster and shorter. Architecture is also a continuously changing physical subjects within the society. This study focuses on conceptual changes in architectural forms and their relations in diagrams. Three major terms that express contemporary architecture are: form, space, and design. Forms are the most basic aspect of architecture that sustains the existence of architecture. In that sense,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forms are very important in the theory of architecture. In modern architecture, the principle of constructing forms is unifying parts harmoniously for the whole. Whereas,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forms are constructed in non-compositional way. That is, parts are designed not for the whole, but through relations between parts. The principle of non-composition does not treat space or forms as a fixed state, but provides autonomous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several contemporary architects are using diagrams when deriving forms based on such characteristics.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diagrams have non-hierarchical characteristics in composing forms by repeating the same categories and using the layering of programs. They do not have directionality in the space of maze and rhizome, which show continuous spatial relations, so they have de-centralized and multi-centr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diagrams have an open space field by placing both void and solid together and by doing away with structures within space. As a result, diagrams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do not generate forms, but rather they concentrate on space in the process of composing forms. Contemporary architects try to possess various potential relations that exist among parts and elements, and they seem to use diagrams for that purpose. Diagrams are a tool for possessing relations. They are not a tool for explaining or generating forms. As such, this study will help us understand non-compositional change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By accepting such changes, we will be able to use diagrams as a tool for generating new forms.

      • SANAA 건축에 나타나는 비재현적 공간의 생성에 관한 연구

        이준수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703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adopting the concept of diversity and uncertainty, as well as reestablish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rchitecture and cities are becoming important issues in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regulatory order and a dichotomous way of thinking expressed in the space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This perspective is meaningful in that it will play an important functional role in creating new concepts and structures by accepting not only resultant physical subjects but also potential meanings of cities and architecture, as well as by regulating various, complex programs existing in contemporary society. However, this approach has been taken to break away from customary ways of following existing, established architecture and to suggest a new way of creating physical forms, but it also has some limitations in that it cannot express the latent diversity of space Conretizing or 'becoming something' means expressing existence. A French philosopher Gilles Deleuze paid attention to 'becoming' as events identified by difference, not as a resultant state. He asserted that we can express complex, undefined contemporary socie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paradigms by creating endless, meaningful events through various relationships. Accordingl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architectures in concretizing and constructing form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potential architectural space, which can embrace various complex programs required by contemporary architecture; and to explore architectural alternatives and possibility, which can accommodate uncertain, various events existing in contemporary society and can concretize space with 'repetitive events'. Japan's representative architectural group, SANAA (Kazuyo sejima & Ruye Nishizawa) perceives architecture as a park. They concretize and develop architectural space by paying attention to non-presentational relationships and architectural placeness, which are the key issues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non-presentational space expressed in architecture by SANAA, this study investigated SANAA's architectural perspectives of space and analyzed the process of their architectural thinking through their works of architec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ANAA eliminated any hierarchy existing in customary space and they re-established various relationships with events to allow new architectural experiences by using ‘polycentric composition’, ‘generative boundaries’, ‘non-presentational construction’, and ‘integrative diagrams’. They attempted to express non-presentational architecture to accommodate various values and meanings of our contemporary society and to break away from the past, customary architectural forms and space. Our understanding of SANAA's architectural features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concretizing non-presentational space and to applying SANAA's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to the planning of designs. 도시와 건축에서의 잠재적 의미들을 수용하고 현대사회의 다양하고 복합적인 프로그램을 조율하여 새로운 개념과 구조를 창조하는 과정적 역할에 대한 가능성 측면에서 의미가 있는 것이다. 하지만 기존 건축에서 답습되어지는 구축적 표현들과 생성적 사유로 비롯되었으나 물리적 형태생성을 위한 제안은 공간의 잠재적 다양성을 표현하지 못하는 한계성을 보이고 있다. 생성은 존재의 나타냄을 의미하는데 프랑스의 철학자 질 들뢰즈는 결과적 상태로서의 생성이 아닌 차이에 의한 사건으로서의 생성에 주목하며 다양한 관계를 통한 끊임없는 사건으로 의미 생성만이 현대사회의 복잡하고, 불확정적이며, 다양한 특성의 패러다임을 담아 낼 수 있다고 제안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대건축에서 요구되는 다양하고 복합적인 프로그램을 수용할수 있는 잠재적 건축공간의 특성과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는 기존 건축에서 보여지는 프로세스 과정에서 비롯된 물리적 결과물로서의 형태생성 및 형태구축의 한계성을 극복하고 ‘반복적 사건’으로서의 장소적 공간 생성을 통하여, 현대사회의 불확정적이고 다양한 사건을 담는 건축적 대안과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일본의 대표적인 건축그룹 SANAA는 현대건축이 주목하고 있는 비재현(비표상)적인 관계를 중심으로 한 공원으로서의 건축을 추구하고, 이러한 건축적 장소성(장:場)에 주목하여 건축 공간의 생성을 전개하고 있다. SANAA의 건축에서 나타나는 비재현적 공간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그들의 언설에서 드러나는 건축적 관점과 공간에 대한 사고를 면밀히 살펴보고 작품사례를 통해 그들의 건축적 사고가 전개 되는 생성과정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결과, SANAA는 ‘다중심적 구성’, ‘생성적 경계’, ‘비재현적 구축’, ‘통합적 다이어그램’을 통하여 관습화된 공간의 위계를 소거하고 재설정함으로써 다양한 관계들간의 사건으로 새로운 건축적 경험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과거 관습적 건축형태와 공간에서 벗어나 현대의 다양한 가치와 의미를 수용하기 위한 비재현적 건축이라고 이해할 수 있겠다. 이와같은 SANAA의 건축적 특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현대건축에서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는 건축적 프로세스 과정 속에서 비재현적 공간의 생성과정을 파악함은 물론 설계계획 적용에도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 I. M. Pei 건축에 나타난 전통성의 현대적 표현에 관한 연구 : 소주박물관을 중심으로

        양시명 弘益大學校 大學院 2012 국내석사

        RANK : 250703

        근대 건축의 핵심적 이슈는 시간과 공간의 새로운 해석이었고, 그 시대 건축가들은 건물을 경험하기 위한 실체로 나타내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현대 건축에 이르러서는 대지가 가지고 있는 장소성과 기술적 현대성의 복합적 의미를 가진 정적인 중심성을 가진 장소로서 뿐만 아니라 공간체험을 위한 동적인 대상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근대건축의 맥을 잇고 현대건축의 거장의 한 사람으로 알려져 왔을 뿐 대부분의 건축 관련 자료에서 심도 있게 연구되어 있지 않은 중국계 미국 건축가 이오밍 페이(Ieoh Ming Pei)가 설계한 소주박물관에 대한 연구로서, 당시의 새로운 기술을 적극적으로 건축에 도입하며 전통성과 접목시키는 방식으로 자신의 뚜렷한 건축언어를 가지고 석재, 콘크리트, 유리, 철 등을 이용하며 모더니즘 건축의 마지막 건축가로서 전 세계의 근대건축에서 현대건축에 이르는 흐름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 M. Pei가 전통성의 현대적 표현을 규명하고 작품에 표현된 그의 건축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범위는 그의 건축적 배경이 된 후기 모더니즘이 형성, 발전하기 시작한 20세기 중반부터 건축 상황을 배경으로 하여 페이의 작품에서 전통성이 구체화 된 현재까지를 그 범위로 한다. 그의 작품을 시기별로 분석․고찰하여 초기의 모더니즘적 성향이 중기로 갈수록 신 재료와 새로운 기술의 도입으로 건축의 구조화, 재료화를 연구, 실천하고 이후 작품의 대지에 알맞은 건축적 해석을 도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The core issue of the modern architecture had been the renewed interpretation of the time and space, and the architects of the time made efforts to express the building as an entity for the experience’s sake. As for the today’s architecture, a building is not just as a place of tranquil centrality, where it incorporates in itself the complex meaningfulness of the technical modernity as well as with the spatiality of the Earth, but has become a dynamic object for the spatial experience. This study, an investigative report on the Suzhou Museum designed by Ieoh Ming Pei, a Chinese-American architect known only as a great master of the present architecture world, who inherited the spirit of the modern architecture, has come to the conclusion that he, as the last surviving architect of modernism,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trends from the world’s recent architecture to the present day’s. He aggressively introduced new techniques of the contemporary era into the buildings by applying various materials such as stones, concrete, glass and steel in a way of grafting the traditionalism into his works with a vivid architectural language of his own. The author of this study, therefore, wishes to put into light the modernistic expression of the traditionalism by I. M. Pei and analyze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expressed in his works. The scope of this study ranges from the formation and the development of postmodernism in the middle of the 20th century, which became his architectural background, to the present where the traditionalism is embodied in the works of I. M. Pei in the context of the architectural circumstances. Through the analysis and study of I. M. Pei’s works by period, the aim is to examine the early modernistic tendency, as it approaches the middle period, of studying and putting into practice the structuralization and materialization of architecture by the introduction of new materials and techniques, and to deduce an architectural explanation suitable with the Earth in his later works.

      • 공동주택 소방시설 적법성 검토를 위한 화재안전규정 체크리스트 및 매뉴얼 개발

        정수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687

        고층건물의 적법하지 않은 소방시설로 인한 화재 증가로 안전성 확보를 위한 법규 검토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지만 국내 공동주택의 경우 소방시설 화재안전규정에 대한 적법성 검토는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구조적 특성상 화재 시 인명피해의 위험이 큰 건축물임에도 검토가 미흡한 이유는 건축법과 소방법 혼재에 따른 법규 해석 오류에 있으며 이로 인해 설계도에 소방시설 일부가 누락된 상태로 준공검사 과정까지 진행되기도 하고 반대로 불필요한 소방시설의 과설계를 발생시키기도 하여 공사비 상승에 따른 건설사의 부담을 가중시킨다. 그러나 소방시설이 건축, 기계, 전기 등 각 공종별 설계도에 부분적으로 반영되고 있어 상당한 경력의 설계관계자라 하더라도 모든 법규 요소들을 파악하여 확인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며 이에 공사 실행 이전 단계에서의 보완이 시급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건축공사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공동주택의 소방시설에 대하여 혼재돼 있는 법규 사항을 파악하고 공동주택 소방 법규 관련 선행연구 고찰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선행연구 고찰과 소방시설 설계검토 사례에서 발견된 화재안전규정 관련 설계오류 및 누락사항을 검토하여 건축법과 소방법 상의 소방시설을 한 번에 검토할 수 있는 항목을 도출하고 공종 간 간섭이 발생하는 부분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도출된 검토항목들을 세부 기준에 따라 체크리스트로 정리하였으며 이를 소방 준공 업무에 참여하는 실무자 대상으로 항목별 중요도 및 현수준에 대한 IPA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모든 항목들이 중요도에 비해 현업에서의 실행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이를 바탕으로 실무 활용성을 고려한 매뉴얼을 개발하여 건설사의 소방 준공 리스크 저감에 기여하고자 한다.

      • 발주자를 활용한 건설현장 안전관리체계 구축 연구

        문장옥 군산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671

        The role of construction project clients is critical in occupational injury prevention as well as in successful project implementation. However, the role of clients has not been fully utilized yet and relative legislative measure has not been established either in the Republic of Korea. Thus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client-initiated safety and health organization with both client-motivating and client-enforcing strategies through comparisons of countrywide comparisons in safety and health organizations and questionnaire surveys on the client roles in ongoing construction projects. Outcome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Safety and health organization in construction projects has to be rectified as proposed according to the nature of construction projects and has to involve all participants ie, clients/owners, architects/engineers, consultants, prime contractors and subcontractors etc. (2) Relative legislations has to be amended accordingly. (3) Various strategies and measures to motivate and to enforce project clients are proposed.

      • 미술관 전시공간의 벽구성 방법과 시각구조 : 아이소비스트(ISOVIST) 이론을 응용한 평면적 분석을 중심으로

        박승열 弘益大學校 大學院 2012 국내석사

        RANK : 250671

        박물관은 사람-공간-전시물에 의한 밀접한 상관관계가 존재한다는 점에서 특수한 종류의 공간이다. 특히 박물관(museum)의 전형적인 공간경험은 다른 건축물과는 달리 관람객들이 전시공간을 움직이는 동안 고정된 전시물과 공간들을 통해 직접적이고 연속적인 시각적 접촉을 통해 이루어진다. 즉 관람객의 입장에서 박물관은 전시물을 이해하기 위한 물리적 실현이라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박물관 전시공간에 대한 연구는 이러한 물리적 실현의 결과로 나타나는 관람객의 행태 예측이 설계의 중요한 지표로 작용한다는 논의를 바탕으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단위공간의 관계성은 박물관의 평면도를 기준으로 분석되며, 공간을 구성하는 여러 요소 중 벽면 구성에 의해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 벽은 공간을 한정하며 영역을 구분하는 동시에 개구부를 통해 주변공간과 연결된다. 이에 따라 하나의 단위공간은 벽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성과 개구부에 의해 다른 공간이 보여지는 가시성으로 표현될 수 있다. 미술관에서 벽의 구성이 전시를 위한 배경적 역할이라는 전시론적 관점에 앞서 공간을 분할하며 제한함에 따라 다수의 단위공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된 각 단위공간의 관계 속에서 개구부는 분할된 단위공간을 시지각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즉 개구부의 크기와 위치에 의해 형성되는 시각구조는 단위공간 간의 시각적 인지를 통해 관람객의 경로선택과 정위판단(正位判斷), 미술관 전체의 규모에 대한 인지 정도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한다. 미술관에서 단위공간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는 위상학적 의미로 주로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을 이용하여 공간구조 분석을 통해 관람객의 정량적인 공간적 경험을 형성하고 과정을 이해하려는 의도로 연구되었다. 그러나 벽구성에 의해 형성되는 전시환경이 관람객의 시각구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선행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공간(구조)분석의 관점에서 공간을 구성하는 요소 중 벽의 구성적 특징에서부터 분석의 출발점으로 한정하여, 단위공간의 형성과 시지각적 전시환경이 구축되는 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벽의 구성적 방식에 따라 형성되는 시각구조를 각각의 구성요소로 나누어 그 특성을 분석하고, 벽과 시각구조의 구성요소 간의 상관관계를 고찰하였다. 미술관에서 벽구성은 그 미술관의 전시내용, 전시물의 종류, 전시배치 등의 성격에 따라 다양하게 계획되고, 벽구성에 의해 이루어지는 시각구조는 그 의도를 보여주는 계획의 발현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분석된 전시공간의 벽구성과 시각구조의 특성과 상관성은 미술관 전시공간의 계획에 있어서 중요한 시사점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at figuring out the characteristics of walls in the gallery exhibition space, and analyzing its territoriality and visibility to apply to exhibition space planning and to understand its meaning. The museum has been developed and changed variety by a social change and extension of its concept and social role. It might say that the relationship of unit space seems to be analyzed on the basis of floor plan, and is particularly determined by the wall structure. The wall restricts and divides space and also connects to other space through the gate. Accordingly, one unit space can be explained as territoriality restricted by the wall, and visibility connected by the gate. Through the analysis of four art museums, it proved that the characteristic wall structure of the gallery played an important and direct role in forming the flat shape of exhibition space and the structure of visual percep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