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공급사슬관리하의 제약이론을 이용한 건설 하도급 리스크 관리 모델 연구
안현제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2009 국내석사
건설공사의 하도급공사의 비중이 높아지고 협력업체의 역할 또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정부의 중소기업 및 전문건설업체에 대한 제도적 지원, 보호정책에도 불구하고 전문건설업체의 부도는 끊이지 않고 있다. 이러한 하도급 협력업체의 부도발생은 건설공사의 전반적인 공급사슬의 순환에 막대한 영향을 초래하며 건설현장의 공기지연, 품질저하, 원가상승의 원인이 되고 현장근로자와 거래처에 많은 피해를 끼침으로 인하여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하도급 협력업체의 부도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도급 리스크 관리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일련의 하도급 관련업무의 전반적 프로세스를 공급사슬의 개념으로 규정하여 협력업체를 등록하고 선정하는 사전단계와 공사계약 후 착공과 시공, 준공까지의 시공단계, 준공이후 인수인계와 하자보수, 준공평가 등의 사후단계로 구분하여 각 단계 프로세스별 리스크 인자를 도출하고 분석하여 하도급 리스크의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하도급 공급사슬의 최적화를 위하여 하도급관리 단계별 TOC의 집중개선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관리시스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공종별 연관성에 따른 적기발주방식의 제안을 통하여 공급사슬의 균형을 이루고 하도급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In a situation where subcontracting portion is ever growing in construction works and also the roles of subcontract collaborating companies become conspicuous, a number of subcontracting companies are going under in spite of the government's efforts to protect and policy backup toward small and medium sized construction companies. Failure of such subcontractor may create bottleneck to smooth streaming of supply chain and lead to delay in time the deadline for construction project, quality deterioration, and cost push-up which may incur hardship and difficulties to workers, vendors, and other relevant parties. This kind of problems may result in social issues and unrest. This paper is to present a solution to manage risks associated with subcontracting by analyzing causes in every stage of the construction proces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resulting from the bankruptcy of companies in the lower phase of supply chain. For convenience of this study we divided construction process in three stage; "pre-construction stage" from registration to selection of subcontractors and "construction stage" from contract and starting of work, execution, to completion and "post- construction stage" from hand over, flaw repairs, final evaluation. We also intended to enhance productivity of subcontractors and to balance supply chain by proposing just in time delivery method under cross relevance factor in each process of construction and to present a way to improve managing system using the focusing steps, Process of Ongoing Improvement of TOC on every stage of subcontracting.
장내천 中央大學校 建設大學院 2002 국내석사
건설산업은 다른 산업과 비교하여 다양한 형태의 불확실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실제로 이러한 불확실성으로 인해 초기의 기대되었던 결과와 상이한 다양한 형태의 실패가 발생한다. 과거 발생한 실패의 조사.분석을 통해 정확한 실패의 원인을 파악하게 되면, 유사한 형태의 실패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을 수립함에 있어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건설실패정보들은 국내.외를 막론하고 여러 가지 문헌, 사례집, 보고서 등에 산만하게 분산되거나 중복적으로 기술되어 있어 비효율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건설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각 주체들간의 효율적인 실패사례 정보의 공유는 동일한 유형의 실패를 줄이고, 성공적인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 프로젝트 수행 중에 발생하는 실패정보의 효율적인 공유를 위한 건설실패정보 분류체계와 이를 근간으로 한 건설실패정보전산시스템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현재 기록.보고되는 건설실패정보의 문제점을 정리하면, 대부분의 실패정보가 구조적 붕괴에 국한되고, 과거의 실패사례를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정형화된 건설실패정보 기록양식이 존재하지 않으며, 건설실패 정보의 효율적인 관리 및 정보 공유를 위한 정보관리 체계의 부재로 건설실패정보의 이용에 어려움이 있다. (2) 건설실패관련 연구를 비교.분석하여 건설실패정보 이용자가 과거의 실패상황을 정확하게 유추하여 필요한 정보를 활용하고 실패정보를 재구성하여 건설실패정보분류체계를 제시하고 프로젝트 일반정보, 실패상황정보, 실패원인정보, 실패대책정보를 항목별 또는 전체항목을 연계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기존의 건설실패정보에는 단순한 기술적 원인만을 표현하고 있는데, 반면에 제시된 건설실패정보 분류체계는 기술적 원인 외에 관리적 원인 및 외부적 원인들도 분석.표현될 수 있도록 분류항목을 확대하였다. 제시된 건설실패정보 분류체계를 이용하여 건설실패정보가 표준화되도록 하였다. (3) 제시된 건설실패정보분류체계를 근간으로 건설실패정보시스템의 개념적 구성방안을 제시하였고, 상용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또한 시설물 유형, 구조형식, 발생단계, 발생형태, 발생원인에 따른 분류체계를 적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검색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참여기업 관점의 공공건설공사 전자입찰제도 개선 방안 : 조달청 100억 미만 공사 대상
김영재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2011 국내석사
Facility in an e-tendering system in the entire government procurement market reaches 72 Percents Especially construction companies bid for less than ten billion won-scale facilities in bidding PQ(Pre-Qualification) have a bidding strategy, the current strategic thinking is more in need. The construction companies, less than ten billion won-scale of the bidding held by the PQ, have an internal and external vulnerability due to lack of infrastructure. Nevertheless the social needs of its companies are very high. The construction work of ten billion won-scale is in need of ordinary average daily labor in construction of the scale from 20 to about 25 personnel. However, if you own a large construction company in all aspects of the construction workers can be processed, or otherwise, even if the bulk through contracts with subcontractors, subcontractors subcontracts very unfavorable made. However, small-and-medium construction companies - less than ten billion-scale facilities - have its manpower shortage due to the employment relationship with the horizontal subcontracting. This causes to contribute to make job creation and the rationalization of the healthy growth of subcontractors(professional construction company). The healthy development of small-and-medium construction companies become fruitful significantly of the national economy and the local economy.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activated. Based on these needs, the current e-tendering system improvement of the three proposed alternatives. First of all, the screening program price evaluation system of the improvement in the rating calculation is required. Specifically, if the rating of construction companies in 6th grade through calculation raised the passing score is required. It upgrades the passing score from 95 points to 96~97 points by improving the qualifications awarded bid, while the bid management controlled strictly and successful bid rate is improved. It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streamline the management of small construction companies. Second, the pre-screening system to improve the credibility of ratings is required. Score credibility in the current ratio of ratings in 2010, was reduced to 24/100 from 40/100 in 4~5th grade, to 18/100 from 30/100 in the 6th grade. However, the competitiveness of the new company to participate in e-tendering system is the ankle catch. Therefore, the percentage of credibility scores need to upgrade for increasing the participations of new companies while expanding opportunities for the existing participating companies will have to increase non price assessment function elements. Third, screening systems except the price evaluation based on state assessment scores of business expansion is needed. Level larger than the current score by level of existing e-tendering system for companies involved will have to be leveled up. In other words, the state assessment scores of business by expanding increase in participate a healthy small companies to bid. Therefore the electronic tendering system is able to operate in a more substantial will be improved. If the system is not improved, perfect score bidding company of the existing non-price evaluation factors will lowest the rate to fit. If the system is improved, through escape from current bid of the system, the healthy small companies will be able to increase the successful bid. It also removes the burden on small and medium-sized construction companies with the risk reduction of management and bad construction work, it makes a great contribution toward escape from the damage of price competition by the lowest limit of successful bid. 전자입찰제도에 있어서 시설공사가 전체 정부조달시장에서 72%에 달하고 있다. 특히 PQ(사전심사)자격을 가지고 있으면서 100억원 미만 규모의 공사입찰을 하고자하는 건설업체들은 입찰전략을 갖고 있어야 하며, 오늘날 전략적 사고가 더욱 필요한 상황이다. 100억원 미만 규모의 공사입찰 PQ자격 보유 건설업체들은 내적, 외적 인프라 부족의 취약성을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필요성은 매우 높다. 통상적으로 100억원 규모의 건설공사에 있어서 일평균 노무 인력은 20~25명 정도가 필요하다. 그러나 대규모 건설회사의 경우 자체인력으로 공사전반에 대한 처리가 가능하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도 하도급 업체와의 일괄계약을 통해 하도급 업체에 매우 불리한 하도급 계약이 이루어진다. 하지만 100억원 미만 공사 수행 중소형 건설업체의 경우는 자체인력 부족으로 인하여 하도급 업체와의 수평적 관계로 하도급계약을 맺는다. 이로 인해 고용창출은 물론 하도급 건설업체(전문건설회사)의 경영 합리화에도 기여한다. 중소형 건설업체의 건전한 성장은 크게는 국가경제의 내실화, 작게는 지역경제의 활성화 측면에서 매우 의의가 크다. 이러한 필요성을 바탕으로 현행 전자입찰제도에서 3가지 개선 대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적격심사제도 가격평가제도에서 평점 계산방식의 개선이 요구된다. 구체적으로 6등급 건설업체의 경우 평점 계산방식을 통한 통과점수의 상향조정이 필요하다. 현행 95점에서 96~97점으로 상향조정할 수 있도록 개선하여 낙찰 자격을 보다 엄격하게 관리하는 동시에 낙찰하한율을 상승(낙찰가격 개선)하게 함으로써 영세 건설회사의 경영합리화에도 일조하는 것이다. 둘째, 사전심사제도의 신인도 평가기준의 개선이 요구된다. 현행 신인도 평가기준에서 신인도 평가점수 비율이 2010년 4, 5등급 건설사의 경우 40/100에서 24/100으로 6등급 건설사의 경우 30/100에서 18/100으로 축소되었다. 그러나 이는 경쟁력 있는 신규업체의 전자입찰제도 참여에 발목을 잡고 있다. 따라서 신인도 평가점수 비율을 확대함으로써 신규업체의 참여기회를 확대하는 동시에 기존 참여업체의 비가격 요소 변별력을 증대시켜야 할 것이다. 셋째, 가격평가 외 적격심사제도에 있어 경영상태 평가 기준점수의 확대가 필요하다. 현행 배점점수보다 확대시킴으로써 기존 전자입찰제도 참여기업들의 수준을 상향시켜야 할 것이다. 즉, 경영상태 평가 기준점수의 확대는 건실한 중소업체가 입찰에 참여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전자입찰제도가 보다 내실 있게 운영되어지고 개선 될 것이다. 입찰제도가 개선되지 않는다면 기존 비가격평가요소 부문에서 입찰기업 대부분이 만점을 받아 낙찰하한율을 맞추는 기업이 낙찰 될 것이다. 그러나 제도가 개선된다면 현행 낙찰제도에서 탈피하게 되어 건실한 중소형 회사가 낙찰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증대 될 것이다. 또한 이는 중소 건설회사의 경영상의 부담 제거를 통한 부실공사 등의 위험성 감소 및 최저 낙찰하한율 설정으로 인한 가격경쟁 피해 현상에서 탈피할 수 있도록 크게 도움을 줄 것이다.
PL법 적용에 따른 건설업체의 품질경영시스템 개선에 관한 연구
최승철 中央大學校 建設大學院 2003 국내석사
최근 국내 제조업을 포함하여 건설산업에서는 지난 2002년 7월1일부터 시행중인 "제조물책임법(이하 PL법)"으로 인하여 구체적인 대응 방향을 수립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PL법은 제조물의 결함으로 인한 소비자(이하 고객)의 생명, 신체 및 재산상의 피해를 구제하려는 고객 보호의 인식에서 출발하여 궁극적으로는 안전한 제조물로 건전한 사회 질서와 국가 경쟁력을 확보하려는 목적을 갖고 제정된 사회법적 성질의 법률 내용이다. 본 연구 수행은 건설업체를 중심으로 PL에 관한 현황을 조사 및 분석하여 ISO 9001:2000 품질경영시스템 활동에서 PL을 대응하기 위한 제조물책임경영시스템 (PLMS: Product(Project) Liability Management System)으로의 적용과 효율적으로 확장운용 할 수 있는 품질경영시스템 개선에 관한 연구에 그 목적을 두었다. 국내 건설산업분야의 설계, 감리, 시공분야에 종사하는 건설기술자를 대상으로 PL대응 실태를 조사한 결과 많은 건설업체에서 무방비 상태로 있음이 나타났으며, PL대응체제 구축을 위해 최고경영자의 PL에 대한 관심과 고객의 클레임 소송을 대비한 리스크 관리상의 건설산업 각 분야 업체의 PL 예방(PLP)과 방어(PLD) 관리능력의 개발, 정부 및 관련기관의 PL 대응 활동 지원등이 중요한 과제로 도출되었다. 특히 자금력과 기술력이 미약한 건설산업의 중 소 기업체의 PL 대응상태가 대기업 과 비교하여 더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PL 사고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국내 건설업체 의 취약한 대응체계를 효율적인 대응체계로의 전환을 위해 PL에 대한 인식 전환과 전 사적 대응조직을 구축 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를 하였다. - PL법의 의미 및 건설산업분야 각 기업의 환경 변화에 대한 연구 - 국내 건설업체중 ISO 9001:2001 인증기업의 PL 대응 현황 연구 - 건설업체에서 PL에 대응하기 위한 PLP &PLD 요구사항의 연구 - 건설업체에 PLMS 요구사항을 구현하기 위한 ISO 9001:2000 규격의 적용 연구 - 기존의 품질, 안전, 환경의 건설경영시스템과 PSMS의 통합 방안에 대한 연구 이에 근거하여, PLMS 체제 구축을 마친 5개의 시범 건설업체 에서 기존의 ISO/KS A 9001:2001 품질경영시스템 제도를 활용하여 PL대응을 효율적으로 실행하고, 통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효과 분석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ISO 9001:2000 요구사항을 건설업체의 설계, 감리, 시공부문의 PLMS 요구사항으로의 확장, 적용을 제시하였지만 건설시공에 수반되는 자재 (제품)분야의 특성을 고려한 건설자재 생산회사 의 PLMS 구축에 따른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EC 관점에서의 3D CAD 활용 저조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연구
이강홍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최근 건축물의 대형화, 초고층화, 복합화 경향에 따라 건설 산업의 환경이 빠르게 진행되는 것에 대응하여 건설 정보화에 대한 관심이 점차 커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건설 산업은 건설업의 특성 상 분야별 산업 연계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고 건설 정보 인프라가 미약하여 그 발전 속도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학계, 업계 등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건설 정보화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건설 전 단계 정보 인프라 구축을 위한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노동 집약적 건설 시공의 혁신을 이루기 위한 VC(Virtual Construction), 컴퓨팅 기술과 건설 산업의 연계를 위한 CIC(Computer -Integrated Construction) 분야가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이렇게 건설 정보화를 이루기 위한 기초로써 객체 정보 분야는 중요하게 자리 잡고 있다. 객체 지향 3D CAD는 기존 2D CAD 기반의 설계 작업의 비효율성 개선 효과뿐만 아니라 건설 정보화의 데이터베이스에 해당하는 건축정보를 구성하는 데 효율적인 도구로써 그 활용성이 높다. 하지만 3D CAD는 그 기대효과에 비해 아직까지 실무에서 그 활용 정도가 매우 미비하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3D CAD의 실무 적용 미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건설 정보화의 실무 적용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제 1장은 서론으로 연구의 배경과 목적, 그리고 연구의 범위 및 방법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현재 본 연구의 당위성과 목적을 서술한 후 그 연구방법 및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2장은 이론적인 개념들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3D CAD와 건설 정보화의 개념을 설명한 후 3D CAD 문헌 조사를 분석하여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연구에 대해 분석하였다. 제3장에서는 3D CAD 활용 저조 영향 요인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영향 요인 도출 프로세스를 설명하고 기존 문헌을 통해 분석하여 설문 조사 항목을 작성할 3D CAD 활용 저조 영향 요인을 도출하였다. 제4장에서는 설문 조사와 AHP 분석 결과를 서술하였다. 설문 조사 개요와 관점별 AHP 중요도 결과를 중심으로 각 프로세스 단계별 3D CAD 활용 저조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다. 제5장은 결론으로 AHP 중요도 분석 결과와 향후 연구 진행 방향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Because the construction is becoming bigger and the construction environment is rapidly changing, IT/IS(Information Technology and Information System)of the construction is recently suggested with the alternative proposal. So not only is a study progressed in the area of the BIM(Buidilng Information Modeling), VC(Virtual Construction) and CIC (Computer-Integrated Construction) but also of the information database of the construction for building the information infrastructure of the construction in the domestic construction. Because object-oriented 3D CAD improves the efficiency of a design work and includes the object information which can use with the base of the information database of the construction, it has the high value not only in the design level but also in the construction life cycle. But compared with the effect, the use of 3D CAD is sluggish in the construction. In this study, after surveying about lowly using 3D CAD on the point of AEC(Architect-Engineer-Contract), the result is analyzed with AHP(AnalyticHierarchy Process). S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offer the base to find the solution of the Affecting factors about lowly using 3D CAD
건설사업관리(CM) 발주방식의 시설물 특성에 따른 적용방안
최근 우리나라의 건설공사에서는 발주자의 요구가 반영된 시설물의 특성을 중시하는 소비자 중심의 건설문화가 확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업관리 능력이 취약한 발주자를 대리하고 보완하는 건설사업관리 발주방식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및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건설공사 시설물을 그 특성에 따라 구분하고 용역형 및 위험분담형 건설사업관리 발주방식중 시설물의 유형에 적합한 방식을 제시하고, 발주자가 주어진 예산과 공기 내에서 시설물의 유형에 따라 적합한 건설사업관리 방식을 선정하도록 하는 것 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시설물 특성에 따른 CM 발주방식 적용방안을 도출하기위해 첫째, 용역형 및 위험분담형 건설사업관리 발주방식에 대한 사례분석의 방법에 의하여 수행되었다. 둘째, 국내 대형 할인마트 사례 중 용역형 및 위험분담형 건설사업관리에 해당하는 사례를 각각 2개 현장씩 선정하여 각 건설사업관리 방식의 장단점 및 관리요소별 적용상황을 분석하였다. 셋째, 관리요소별 적용상황 분석을 통한 건축법의 기준에 따라 시설물을 구분하고 시설물 특성에 따른 공정·원가·품질관리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여 적합한 건설사업관리 방식을 도출하였다. 이상의 방법과 과정에 따라 진행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어진 공기를 준수하면서 특히 품질이 중요한 프로젝트에서는 용역형 건설사업관리방식이 적합하다. 둘째, 공기단축 및 예산절감이 필요한 프로젝트에서는 위험분담형 건설사업관리방식이 적합하다. 아직까지 용역형이든 위험분담형이든 건설사업관리 방식의 발주는 활발하지 않아 분석의 한계가 있다. 그렇지만 향후 건설사업관리 방식의 발주가 활성화되면, 보다 많은 사례에 대한 비교분석이 가능 할 것이며, 발주자 상황을 기준으로 한 적용사례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s the consumer oriented culture that value the characteristic of facilities in which client's demands are reflected is spreading in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the recognition of necessity and the need of Construction Management delivery system representing and complementing a client not able to manage risks is increasing recently. For this, in this study, the aim is to classify facilities by property, suggest the proper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between 'CM for Fee' and 'CM at Risk' as the type of facility and allow clients to select the proper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as the type within a given budget and construction period. To reach to application of CM delivery system, first,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the analyzing cases of CM for Fee and CM at Risk. Second, two cases were selected out of domestic hyper markets for each system, and analyzed each case in the view of pros and cons and application situation for managemental element. Finally, this paper divided facilities according to the building code based on the analysis of application situation for managemental element, analyzed from three aspects, work process, cost and quality management, in terms of characteristics of facilities, and reached to the proper management system.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for the projects that need to be completed on time and value quality considerably, the CM for fee is suitable. Second, the CM at risk is suitable for the projects to reduce construction period or budget. Still, there's a limitation of analysis, since the construction management delivery system, whether CM for Fee or CM at Risk, is not popular. When the construction management delivery system becomes popular, however, more comparison analysis of cases would be possible and the study of application cases based on the client's condition needs to be carried out.
강정수 中央大學校 建設大學院 2007 국내석사
본 연구는 새로운 변혁기에 당면한 중소건설업체의 생존과 성장을 위해 새로운 건설경영 전략으로 중소건설기업의 아파트브랜드이미지 형성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건설기업의 마케팅전략 실태분석과 이론적 고찰, 사례분석으로 아파트시장의 세분화와 고급화에 대응하는 브랜드이미지전략의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중소건설기업은 지속적인 마케팅 노력으로 품질의 향상과 신뢰구축, 아파트 가격형성, 아파트의 차별성과 신디자인, 공공성의 확보 등으로 구성된 시나리오전략이 필요하다. 둘째, 경쟁회사의 경쟁 브랜드에 확연히 차별화된 브랜드를 개발하고 육성하고, 가장 경제성과 기능성이 큰 세분시장을 표적시장으로 선정하여 소비자의 욕구에 부합하는 제품개발, 홍보전략 등 마케팅 자원을 할당해야 한다. 셋째, 후발건설업체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과거 생산중심에서 마케팅 중심으로, 그리고 차별화된 아파트개발 중심으로 전략을 이전시킴으로서 선발기업의 빈틈을 공략하여 소규모시장에서 선도자가 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strategy of creating apartment brand image of medium and small enterprises for their survival under the coming environmental change of construction industry. It analyzed marketing strategies of construction companies based on literatures, and deduced the points of forming brand image strategy based on theoretical analysis and example study, in order to compete against premium apartments and market segmentation.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medium and small enterprises are required to make constant effort for marketing so that it can contribute to scenario strategies, including quality improvement, building confidence, making competitive price of the apartment, differentiating the design and guaranteeing publicity. Second, they need to establish and raise totally unique brand name value against competitors, and should allocate marketing resources, such as developing the goods which fits to needs of customers or marketing strategy, to the segmented market considering its biggest efficiency and capability. Last, it is important to reinforce competitiveness of backup construction enterprises, so they are recommended to change former manufacturing -oriented business to marketing-oriented one, and modify their strategy toward development of unique apartment. They also need to drive into the small crevice of the market and take over the market share, in order to be frontiers in small market.
전문건설업체 선정방식이 공사비 및 기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채민관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국내건설시장은 발주처로부터 일반건설업체가 공사를 수주하여 각 전문분야별로 별도의 전문건설업체를 선정하여 공사를 수행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입찰과 수의계약을 통해 전문건설업체를 선정하고 있다. 공사도중 예상하지 못한 설계상 오류, 공사물량의 증감, 계획의 변경 등으로 설계내용을 수정함에 따라 많은 설계변경이 발생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전문건설업체의 계약금액 및 공사기간을 조정하게 된다. 이번 연구에서는 전문건설업체 선정방식(입찰, 수의계약)에 따라, 공사비 및 공사기간에 변동을 미치는 요인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전문건설업체 선정전 리스크 분석을 통해 최적의 전문건설업체 선정 방식 및 사전 검토요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A건설회사 토목분야의 10개년(2010년 ~ 2019년) 실제 전문건설업체 선정 데이터 3,321건을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각 선정방식별로 그래프를 통하여 비교분석을 실시하여, 선정방식에 따른 공사기간 및 비용분석, 각 하도급 공종별 공사기간 및 비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전문건설업체 선정시 그 공사의 금액, 공기, 세부공종 등을 고려하여 선정방식을 결정한다면, 비용이나 공기적인 측면에서 좀 더 유리하게 전문건설업체를 선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곽민정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IMF 이후 부동산 경기가 살아나면서 건설업체의 경영상황도 점차 회복되고 있었다. 하지만 참여정부 시절 각종 부동산 투기 억제정책과 함께 미국발 서브프라임 금융위기는 심각한 건설경기 침체를 발생시켰으며 결국 다시 건설업체들의 경영상태는 악화되어 현재까지 회복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건설경기 침체에 따른 건설업체 부실화는 단순히 건설업체만의 문제가 아니라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는 각종 이해관계자, 즉 공공기관, 금융기관, 가계 등에게 매우 심각한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와 같이 건설업체의 부실화가 다른 참여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막대한 만큼 건설업체의 부실화에 따른 정량적 분석에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건설업체 규모별 부실화 변동 과정에는 특성이 존재할 것으로 판단되는 바 이에 대한 비교분석은 유의미한 시사점을 나타낼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블랙-숄츠 옵션가격결정이론을 토대로 개발된 KMV 모형을 활용하여 건설업체 예상부도확률(Expected Default Frequency; EDF)을 측정하여 종합적인 건설업체 부실화 추이뿐만 아니라 건설업체 규모별로 부실화 과정을 확인하고 그 특성을 비교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시공능력평가순위 50위권 내에서 국내에 상장된 건설업체 중 32개 업체를 선정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KMV 모형을 통해 예상부도확률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자산가치와 자산가치변동성, 채무불이행점(Default Point)을 먼저 산출하고 이를 기초로 부도거리(Distence to Default)를 측정하여 최종적으로 예상부도확률을 측정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예상부도확률을 2001년 1분기부터 2010년 4분기까지 분기별로 측정하였다. 이를 위한 분석변수로는 해당기업의 시가총액과 주가변동성, 재무정보, 무위험이자율 등이 필요하다. 이를 확보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기업의 시가총액과 주가변동성, 재무정보를 확보하기 위해서 한국상장회사협의회에서 구축한 TS2000을 활용하였으며 무위험이자율은 3년만기 국고채 이자율로 선정하여 통계청을 통해 확보하였다. 분석결과 선험적으로 인지하고 있듯이, 대규모 회사가 중소규모 회사보다 재무적으로 건전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소규모 회사의 경우 부실화 변화 추이가 경기변동과는 매우 둔감하게 나타났다. 즉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회사는 열악한 재무환경이 지속적으로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대규모 회사의 경우 전반적으로 중소규모 회사보다 재무적으로 안정적이었지만 경기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급격한 경기변동이 발생했을 때 중소규모 회사보다 체감적으로 재무상황이 급격히 나빠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