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건축공사의 시공 VE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이강옥 中央大學校 建設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8719

        From the aspect of related laws and public policies, the introduction of domestic construction management (CM) system began in 1997 with the enactment of construction management provision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Basic Law. This law prescribed the definition of CM and the basic content of consignment, but it did not prescribe concrete contents to execute CM. In 1999, the Law on Contract of Which Main Party is Government prescribed construction management contract, thus establishing CM as a contract method of large size public construction work. In the same year, the 'public business effectuation strategy' of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diversified the method of placing an order and planned the compulsory introduction of Value Engineering (VE) and Earned Value Management System (EVMS), advanced management techniques for the activation of CM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2001). The application of VE technique was to strengthen the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then reform the execution system of construction business. Its concrete methods of implementation were the establishment of all-inclusive organization of construction VE which could be operated in association with design, construction and manufacture sectors, the carrying out a pilot project of VE database system and studies on its activation strategy, the preparation of a system which was related to the extended application of VE to the private sector, and the ensuring of element techniques.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desperately needs the reduction of prime cost, the improvement of profitability, and the ensuring of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for the present than any other time. In this vein, CM has been highlighted as a professional service which applying effective management technology to planning, design and construction over the period from initial stage of business to its completion in order to manage its term of work, expenditure and quality. As an integral function of cost management which can satisfy necessary functions with minimal costs by removing unnecessary functions within the extent of not lowering the quality and performance of components through life cycle cost (LCC) theory and functional analysis, the significance of value engineering (VE) increases greatl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oblem of construction VE application and present its improvement strategy through analyzing the cases of VE application in the field of construction. For this, the investigator examined the existing data and carried out interview investigation with special technicians, on-spot constructors, and experts from a supervising agency of overall responsibility to find out their understanding of VE and their recognition of its necessity.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1) Systematic Aspect As for the problem of systematic aspect, there are the improperness of construction VE-related provisions, the obscurity of contract amount adjustment criteria, and the absence of all sorts of procedures. Therefore, the initial profits of constructors must be ensured at the time of design change-oriented adjusting of contract amount by means of activating construction VE-related provisions and contract systems. And the method of compensating the cost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must be introduced actively. The adjusting criteria of contract amount must be clarified at the step of construction VE and then the implementation of construction VE must be prescribed in the provision of construction contract. In addition, the written procedure of VE implementation must be prepared. 2) Construction VE Application Aspect As for the problem of construction VE application aspect, there are the absence of confidence in the application of construction VE, the reduction of contract amount, and the absence of all sorts of procedures. Therefore, the construction VE application must be systematically improved to the direction that the decision of construction quantity and amount is easy, the construction scope, content and plan is clearly described in the method of total-amount unit-price contract, and compensation is on the basis of budget reduction regardless of the reason of construction cost reduction. 3) Construction VE Operation Aspect As for the problem of construction VE operation aspect, there are the absence of discussion and approval steps by supervising agency and ordering party, the inactivation of construction VE organization, and the non-implementation of LCC analysis. Therefore, construction VE activities must be supported by improving the discussion and approval of plan amendment. And the cultivation of VE experts and the establishment of certification system must be realized to ensure the expertise of VE activities and change the recognition of ordering party and supervising agency. In addition, the provision of exemption from responsibility and the insurance system of liability compensation for experts must be established for the ordering party's personnel in charge and designers. 국내 건설사업관리(CM)의 제도적 도입은 관련된 법과 공공정책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우선 1997년 건설산업기본법(이하 건산법)에서의 건설사업관리에 대한 조항 신설로 시작되었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건설사업관리의 정의와 위탁에 관한 기본적인 내용만 규정되어 있을 뿐, 건설사업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들은 제정되지 못하였다. 1999년에는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이하 국계법)에서 건설사업관리계약을 규정함으로써 CM 이 대형 공공공사 계약방식의 하나로 정립된다. 또한 같은 해 건설교통부의 ‘공공사업 효율화 대책’에서는 발주방식의 다양화와 함께 CM 활성화를 위하여 선진 관리기법인 Value Engineering (VE), Earned Value Management System(EVMS) 등의 도입 의무화를 계획하였다 (건기연 2001). 건설엔지니어링의 기술경쟁력강화를 위해 VE(Value Engineering)기법을 적용하여 건설사업 수행체계를 혁신시키고자 하였으며, 구체적인 수행방법으로는 설계·시공·제조 부문을 연계하여 운영할 수 있는 건설VE 통합기구 설립, VE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시범사업 추진 및 활성화 방안연구, 민간부문에 VE 확산 적용을 위한 관련 제도 마련 및 요소기술 확보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건설 산업의 원가절감과 수익성의 향상, 기술경쟁력 확보가 어느 때보다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공기, 비용과 품질을 관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업 초기에서부터 종료 시까지 계획, 설계, 시공에 대하여 효과적인 관리기술을 적용하는 전문적인 서비스인 건설 사업 관리가 주목 받고 있다. 그 중에서도 Cost Management를 위한 핵심적인 기능으로서 Life Cycle Cost(LCC)이론과 더불어 기능(Function)분석을 통하여 구성요소의 품질(Quality)과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불필요한 기능을 제거함으로서 최소의 비용(Cost)으로 기능을 충족시킬 수 있는 Value Engineering(가치공학 : 이하, VE)의 중요성이 크게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분야에서 VE적용 사례분석을 통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시공 VE적용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현재까지 조사된 자료와 현업에서 건설분야에 종사하는 전문기술자, 현장시공사, 전면책임감리단 전문가들에게 VE에 대한 이해도와 필요성 인식에 관한 면담조사를 바탕으로 건설분야에서의 시공 VE적용실태 및 문제점을 파악하여 현장에서 시공 VE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도적 측면 제도적 측면의 문제점으로 시공 VE 관련 규정의 부적정, 계약금액조정기준의 불명확, 각종 절차의 부재 등이며, 시공 VE관련 규정 및 계약제도를 활성화하여 설계변경으로 인한 계약금액의 조정시 시공사의 초기이익을 보장하고 기술개발비를 보상하는 방법을 적극 도입하여야 하고 시공 VE 단계에서 계약금액 조정기준을 명확히하여 공사계약조항에 시공 VE 수행을 규정하고 절차서를 마련하여야 하겠다. 2) 시공 VE 적용측면 시공 VE 적용 측면의 문제점으로는 시공 VE적용에 대한 확신부재, 계약금액의 감소, 각종 절차의 부재 등이며, 공사수량과 공사금액의 결정이 용이하고 총액단가계약방법에 공사범위, 내용, 규모를 명확히하여야 하며, 예산절감이라는 결과를 두고 공사비 절감의 원인과 관계없이 보상해주는 방향으로 제도개선이 되어야 하겠다. 3) 시공 VE 운영측면 시공 VE 운영측면의 문제점으로는 감리자, 발주자의 검토, 승인 단계의 부재, 시공 VE조직의 비활성화, LCC 분석의 미수행 등이며, 설계변경에 관한 사항의 검토 승인사항을 개선하여 시공 VE 활동지원을 하여야 하며, VE 활동에 대한 전문성 확보 및 시공 VE에 대한 발주처 및 감리단의 인식 변화를 위한 VE 전문인력 양성 및 인증제도 마련을 하여야 하겠다. 또한, 발주처 업무담당관 및 설계자에 대한 면책조항 및 전문가 책임보상 보험제도 마련을 하여야 하겠다.

      • 건설사업관리(CM) 발주방식의 시설물 특성에 따른 적용방안

        지형권 中央大學校 2008 국내석사

        RANK : 248719

        최근 우리나라의 건설공사에서는 발주자의 요구가 반영된 시설물의 특성을 중시하는 소비자 중심의 건설문화가 확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업관리 능력이 취약한 발주자를 대리하고 보완하는 건설사업관리 발주방식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및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건설공사 시설물을 그 특성에 따라 구분하고 용역형 및 위험분담형 건설사업관리 발주방식중 시설물의 유형에 적합한 방식을 제시하고, 발주자가 주어진 예산과 공기 내에서 시설물의 유형에 따라 적합한 건설사업관리 방식을 선정하도록 하는 것 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시설물 특성에 따른 CM 발주방식 적용방안을 도출하기위해 첫째, 용역형 및 위험분담형 건설사업관리 발주방식에 대한 사례분석의 방법에 의하여 수행되었다. 둘째, 국내 대형 할인마트 사례 중 용역형 및 위험분담형 건설사업관리에 해당하는 사례를 각각 2개 현장씩 선정하여 각 건설사업관리 방식의 장단점 및 관리요소별 적용상황을 분석하였다. 셋째, 관리요소별 적용상황 분석을 통한 건축법의 기준에 따라 시설물을 구분하고 시설물 특성에 따른 공정·원가·품질관리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여 적합한 건설사업관리 방식을 도출하였다. 이상의 방법과 과정에 따라 진행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어진 공기를 준수하면서 특히 품질이 중요한 프로젝트에서는 용역형 건설사업관리방식이 적합하다. 둘째, 공기단축 및 예산절감이 필요한 프로젝트에서는 위험분담형 건설사업관리방식이 적합하다. 아직까지 용역형이든 위험분담형이든 건설사업관리 방식의 발주는 활발하지 않아 분석의 한계가 있다. 그렇지만 향후 건설사업관리 방식의 발주가 활성화되면, 보다 많은 사례에 대한 비교분석이 가능 할 것이며, 발주자 상황을 기준으로 한 적용사례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s the consumer oriented culture that value the characteristic of facilities in which client's demands are reflected is spreading in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the recognition of necessity and the need of Construction Management delivery system representing and complementing a client not able to manage risks is increasing recently. For this, in this study, the aim is to classify facilities by property, suggest the proper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between 'CM for Fee' and 'CM at Risk' as the type of facility and allow clients to select the proper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as the type within a given budget and construction period. To reach to application of CM delivery system, first,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the analyzing cases of CM for Fee and CM at Risk. Second, two cases were selected out of domestic hyper markets for each system, and analyzed each case in the view of pros and cons and application situation for managemental element. Finally, this paper divided facilities according to the building code based on the analysis of application situation for managemental element, analyzed from three aspects, work process, cost and quality management, in terms of characteristics of facilities, and reached to the proper management system.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for the projects that need to be completed on time and value quality considerably, the CM for fee is suitable. Second, the CM at risk is suitable for the projects to reduce construction period or budget. Still, there's a limitation of analysis, since the construction management delivery system, whether CM for Fee or CM at Risk, is not popular. When the construction management delivery system becomes popular, however, more comparison analysis of cases would be possible and the study of application cases based on the client's condition needs to be carried out.

      • 공급사슬관리하의 제약이론을 이용한 건설 하도급 리스크 관리 모델 연구

        안현제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19

        건설공사의 하도급공사의 비중이 높아지고 협력업체의 역할 또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정부의 중소기업 및 전문건설업체에 대한 제도적 지원, 보호정책에도 불구하고 전문건설업체의 부도는 끊이지 않고 있다. 이러한 하도급 협력업체의 부도발생은 건설공사의 전반적인 공급사슬의 순환에 막대한 영향을 초래하며 건설현장의 공기지연, 품질저하, 원가상승의 원인이 되고 현장근로자와 거래처에 많은 피해를 끼침으로 인하여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하도급 협력업체의 부도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도급 리스크 관리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일련의 하도급 관련업무의 전반적 프로세스를 공급사슬의 개념으로 규정하여 협력업체를 등록하고 선정하는 사전단계와 공사계약 후 착공과 시공, 준공까지의 시공단계, 준공이후 인수인계와 하자보수, 준공평가 등의 사후단계로 구분하여 각 단계 프로세스별 리스크 인자를 도출하고 분석하여 하도급 리스크의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하도급 공급사슬의 최적화를 위하여 하도급관리 단계별 TOC의 집중개선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관리시스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공종별 연관성에 따른 적기발주방식의 제안을 통하여 공급사슬의 균형을 이루고 하도급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In a situation where subcontracting portion is ever growing in construction works and also the roles of subcontract collaborating companies become conspicuous, a number of subcontracting companies are going under in spite of the government's efforts to protect and policy backup toward small and medium sized construction companies. Failure of such subcontractor may create bottleneck to smooth streaming of supply chain and lead to delay in time the deadline for construction project, quality deterioration, and cost push-up which may incur hardship and difficulties to workers, vendors, and other relevant parties. This kind of problems may result in social issues and unrest. This paper is to present a solution to manage risks associated with subcontracting by analyzing causes in every stage of the construction proces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resulting from the bankruptcy of companies in the lower phase of supply chain. For convenience of this study we divided construction process in three stage; "pre-construction stage" from registration to selection of subcontractors and "construction stage" from contract and starting of work, execution, to completion and "post- construction stage" from hand over, flaw repairs, final evaluation. We also intended to enhance productivity of subcontractors and to balance supply chain by proposing just in time delivery method under cross relevance factor in each process of construction and to present a way to improve managing system using the focusing steps, Process of Ongoing Improvement of TOC on every stage of subcontracting.

      • 민간 건축사업의 리스크 요인 분석 및 개선방안 : 주거시설 사례 중심으로

        신문식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19

        국내 건설업에 종사하는 건설사의 경우 다양한 분야에서 건설수주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지만 시공 능력 100위 이내의 업체들의 개발사업 분야를 조사 한 경우 주택부분이 86.5%로 가장 높은 비중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현재 국내 건설업계의 주 프로젝트 수주가 플랜트(Plant), 사회간접시설, 공공시설물과 달리 주택건설 및 주택보급 시장의 비중이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현재 국내 건설사는 부동산개발사업의 주 목표사업 대다수를 주택건설로 선정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인구수 1천명을 기준으로 주택수가 387.7 으로 2013~2016년 OECD 기준 미국과 영국의 1천명을 기준으로 주택수가 419.4 과 434.6에 비해 주택수가 부족하다는 것을 통해 앞으로도 계속해서 주택건설사업의 수주가 진행될 것이라는 것을 확인 수 있다. 국내 건설사의 경우 과거부터 현재까지 수년간 주택건설사업 및 해외 또는 여러 분야의 건설프로젝트를 시행하면서 다양한 시공경험과, 유지관리의 경험을 통해 각각의 건설사마다 다양한 리스크 관리와 시공능력 향상의 결과를 얻었음에는 틀림없다. 하지만 국내의 건설사들은 정부의 정책 및 법안이 변경 될 때마다 변동하는 주택건설경기하락에 따른 주택수요자 동향에 가장 민감하며, 가장 밀접한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상황에 치닫게 되고, 이에 사업계획 및 시공과정 그리고 건물의 유지관리에 따른 전 과정에 있어, 리스크 관리의 중요성이 매우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의 부동산개발사업에 따른 주택건설 분야에 있어 중시 되고 있는 리스크 요인에 관하여 국내의 건설사들이 투자를 결정함에 있어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리스크 요인을 문헌 및 전문가의 의견을 바탕으로 리스크 요인 도출 그리고 체크리스트 도출 과정을 거쳐 현재 진행되고 있는 사업의 사례와 대입하여 결과를 분석하고, 중요한 리스크 요인의 중요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국내 건설사 개발 파트에서 자금관리, 신탁사, 증권사 분야의 실무경험이 10~20년 경력의 실무자를 대상으로 선정하여 주택건설 및 부동산 개발의 다양한 리스크 요인들 중 투자결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하여 고찰하며, 현장에서 중요하게 관리되는 리스크 요인에 관하여 고찰하고, 도출 된 데이터를 통하여 현재 진행 중인 사례에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부동산개발사업에 따른 주택개발사업을 시행행하는 각각의 건설사가 중점적으로 관리해야하는 부분과 추가적으로 보완되어야 할 부분이 어느 항목인지를 파악하고 인지되어야 시행되고 있는 프로젝트의 성과와 최적의 목표를 도모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 EPC Lump-Sum 턴키방식에 의한 해외플랜트 건설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사우디.아랍에미리트연합(UAE)의 화공플랜트를 중심으로

        전승환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19

        최근 국내건설경기의 불황에도 불구하고, 해외플랜트 건설에 대한 수주는 매년 확대되어 2008년 9월 기준 누계를 분석하여 보면 전년 동기(281억 달러) 대비 35.9% 가 증가한 382억 달러를 수주하였다. 또한 연말까지 500억 달러 수주가 무난히 달성할 것으로 전망되며, 관련업계에서는 2012년 까지 1,000억불 이상의 플랜트가 수주될 것으로 전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해외플랜트 호황에도 불구하고 국내 플랜트건설업계의 내면을 살펴보면 기본설계 분야 및 국제적 특허기술이 부족하여 해외 플랜트건설의 수행함에 있어서 많은 어려움을 격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EPC Lump-Sum 턴키방식으로 진행된 해외 화공플랜트건설에 대한 사례를 통하여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에 대한 고찰을 실시하였고, 예비적 고찰을 통한 이론적 배경을 확립하였으며, 사례지역을 사우디아라비아 및 아랍에미리트연합국(UAE)으로 국한하였다. 또한 광범위한 플랜트에 대하여 연구의 범위를 이들 지역에 건설된 화공플랜트를 중심으로 하여 가스플랜트를 제외한 정유플랜트 2개 프로젝트, 석유화학플랜트 4개 프로젝트에 대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사례분석 과정으로는 각 프로젝트별로 작성된 프로젝트 리포트 및 프로젝트 현장종사자, EPC 각 업무분야별 담당자를 상대로 한 면담조사를 근거로 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의 주요 방법은 원가상승, 품질저하, 공기연장 등 화공플랜트건설의 성공과 실패를 가름 할 수 있는 요소를 중심으로 문제점 및 원인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연구의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이 크게 세 가지로 요약 된다. 첫째, 원가상승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세설계 시 가치공학(Value Engineering) 등 설계상의 분석 및 구매상의 적정벤더선정을 통해 원가를 절감해야 한다. 둘째, 품질저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사적 품질관리를 통하여 3D Modal review 및 위험성평가(Hazop study)등을 설계수행에 있어서 기본적 수행사항으로 포함하고, 적정수준 이상의 벤더를 발굴하여 관리하여야 한다. 셋째, 시간지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자사에 맞는 통합관리시스템(Integration Management System)을 도입하여, EPC 각 업무에 대하여 통합관리를 실시하여야 한다. Although the domestic construction business has been stagnant, orders received from the overseas plant construction increases year after year. The total amount of orders received as of September 2008 is increased by 35.9% (38.2 billion US dollars) than that of previous year (28.1 billion US dollars). In addition, the total amount of orders received to the end of 2008 is expected to be 50 billion US dollars. Related business circles expect that the total amount of orders received in the year of 2012 will be more than 100 billion US dollars. Although orders received from the overseas plant construction have increased like this, domestic plant construction business circles suffer from the lack of schematic design techniques and internationally patent technology in its execution of overseas plant construction. In this vei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blem and improvement strategy of overseas plant construction, focusing on the cases of chemical plant construction in the overseas by EPC(Engineering-Procurement-Construction) Lump-Sum turnkey system. For this, the research performs preceding studies and establish theoretical background through preliminary investigation. Study subjects are limited to the chemical plant construction in Saudi-arabia and UAE. Examined are 2 oil refinery plant projects and 4 petrochemistry plant projects, except gas plants. As for the concrete analysis of case, the research studies every project report and interviewed with on-site employees and staffs in charge of each section of EPC. As for the method of analysis, the research performs to analyze problems and reasons of such factors as prime cost increase, quality degradation, and work term extension which have to do with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chemical plant construction, and then presents improvement strategies of it.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prime cost increase, the analysis of detailed drawing must be carried out with value engineering technique and so on. In addition, proper vendors must be selected in purchase. Secon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quality degradation, 3D modal review and Hazop study must be included in the process of drawing through company-wide quality management. In addition, vendors of more than a certain level must be selected in purchase. Thir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work term extension, an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which is appropriate for the company must be introduced. In addition, every sectional business of EPC must be managed comprehensively.

      • 설계관리 분야에서의 사업관리(CM) 성공요인 도출 및 모델 구축에 관한 연구

        신동훈 中央大學校 建設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719

        건설산업의 경쟁력을 위해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관리기법으로 도입된 건설사업 관리(Construction Management, CM)는 국내건설 현장에서 점차 적용 비중을 높여가고 있다. 그러나 다른 환경에서 개발 정립된 제도의 국내적용에 있어 문화적, 사회환경적 요소에 의한 시행착오는 필연 적이며 이 오류를 분석하고, 개선점에 대한 체계적이고도 실무에 적용 가능한 문제 해결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건설사업의 초기개념 설정부터 참여하여 건설 전 과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설계분야의 CM 역할과 업무수행 과정을 통한 설계관리 분야 CM 모델의 제시를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설계분야 에서의 CM 역할과 수행체계를 검토 분석하여 계약체계 및 발주방식에 따른 CM활동의 사례를 분석 파악하고, 실무 경험자의 설문을 통하여 현 CM활동의 문제점과 성공요인을 추출하여 국내 여건에 적합한 설계관리 분야 CM 모델을 제시하였다. 연구를 진행하며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발주체계 및 계약방식에 따른 CM의 유형만큼이나 설계분야의 건설사업관리 업무 또한 다양한 형태의 CMr활동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건설공사현장의 주목표와 특성에 따른 다양한 CMr의 모습이며 설계관리 분야 CMr의 활동 또한 기본체계와 수행 절차서를 바탕으로 각 현장에 적합한업무수행 체계를 갖추어야 함을 나타낸다. 2) 건설사업은 다양한 전문 업체의 참여로 이루어지며, 참여업체들은 이해 관계에 따라 이윤 추구를 기본으로 하여 업무를 수행한다. 설계관리 분야CMr의 활동은 다양한 업체들의 전문적 업무참여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것이다. 설계관리 분야 CMr의 구성조직의 형태는 대표 2?3개 업체의 컨소시움이 유리하며, 신속하고 순발력 있는 업무수행을 위해 책임자 조직의 수직적 체제가 되어야한다. 조직의 특성상 공동의 목표설정 및 수평적인간관계 와 더불어 Interface 문제해결을 위한 수행 지침서가 요구된다. 3) 설계관리 분야 CMr의 건설사업 참여 시기는 건설공사의 초기 개념설정및 목표확립 부터 이며, 설계의 진도관리 절차서와 도면 성과도의 가중치에 따라 단계별로 설계관리를 하여 후속작업과 연결된 CM활동으로 초기개념의 건물완성까지 일관성 확보가 필요하다. 여기에는 각 전문조직의 Coordination 체제구축과 더불어 정보관리와 전문가 자문 및 사례분석을통하여 사전에 오류를 줄이는 작업이 요구된다.

      • 건설공사 하도급 협력관계가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정용구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19

        오늘과 같은 무한경쟁시대에 건설업체는 경쟁이 심해지는 기업 환경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여야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비용의 절감과 생산효율성 제고를 기할 수 있는 경제적 분업시스템인 아웃소싱방식이다. 건설업의 생산과정에서 하도급업체는 사업수행에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므로 하도급업체의 관리 및 상호 협력관계는 매우 중요하다. 지속되는 국내 건설경기의 불황으로 건설업이 침체되고 있는 현 실정에서 하도급 업체와의 협력관계를 통해 이를 타개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건설공사 하도급업체와의 관계가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분석하고, 검증된 영향을 바탕으로 사업성과 향상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실증분석을 병행하였다. 문헌연구는 건설공사 하도급 및 하도급업체와의 협력관계에 관한 논문과 연구자료를 위주로 하여 하도급 및 협력관계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서는 인터뷰조사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인터뷰는 대형 건설업체 중 하도급을 관리하는 관계자를 대상으로 하여 하도급 업체들과의 협력관계, 활성화 방안 등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설문조사는 이론적 근거 및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한 내용을 종합하여 구성된 자료를 바탕으로 건설업체에 직원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하도급업체와의 협력관계가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협력관계를 통한 사업성과 향상방안 제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하도급업체와의 신뢰가 높을수록 하도급업체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하도급업체와의 신뢰가 높을수록 인지된 효과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쟁입찰방식인 경우의 프로젝트성과에 신뢰와 갈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리고 실증분석 결과와 건설공사 하도급 실태 및 협력관계에 관한 인터뷰조사에 의한 심층분석 결과에 기초해 협력관계를 통한 사업성과 향상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하도급업체와의 상생협력을 통한 관계협력 구축을 통해 건설공사의 사업성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둘째, 하도급 관계의 불만족을 해결하여 하도급업체와의 지속적이고 원활한 관계유지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하도급업체의 기술과 전문인력에 대한 신뢰가 있어야 하고, 등록업체의 선정이 신중해야 할 것이다. 셋째, 갈등을 감소시키고, 신뢰를 증대시킬 수 있는 양 주체간의 교환적이고 균형적인 협력관계 구축이 필요하다. In the age of unlimited competition like today, constructors need to effectively cope with the changing environment of business where competition becomes vehement. Outsourcing mode is the economic system of division of labor to save cost and enhance the productivity as a method to solve these tasks. Since subcontractor occupies considerable portion in the performance of production of construction industry, the management of subcontractor and mutual cooperative relation are very important. At this time when construction industry is stagnant due to constant recess of domestic construction, it is required to prepare method so as to solve the situation through cooperative relation with subcontractor.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degree of influence that the relation with subcontractor of construction has on the business result and to present the method to improve the business result on the basis of the verified influence. For this objective, literature research and corroborative analysis are performed in parallel. For literature research, the theoretic investigation and problems on the subcontract and cooperative relation were checked mainly on the basis of dissertation and research data in the subcontract of construction and cooperative relation with subcontractor. The investigation by interview and questionnaire was performed for corroborative analysis. The interview was performed with the staffs who work in large constructors to be in charge of managing subcontract so as to get their opinions on the method to activate cooperative relation with subcontractor. The questionnaire was performed to the staffs of constructor on the basis of materials composed by generalizing the contents based on theoretic ground and preceding research. Then, the influence that cooperative relation with subcontractor has on the business result was verified and the method to improve business result through cooperative relation was presented. Corroborative analysis showed the following result. First, the higher the trust with subcontractor is, subcontractor is more satisfied. Second, the higher the trust with subcontractor is, the recognized effect is higher. Third, trust and conflict do not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result of project in the case of competitive bid mode. Then, the method to improve business result was presented as follows by cooperative relation on the basis of in-depth analytic result by interview on the result of corroborative analysis, present situation of construction subcontract and cooperative relation. First, it is required to prepare method to improve business result of construction by constructing cooperative relation through symbiotic cooperation with subcontractor. Second, it is necessary to maintain constant and smooth relation with subcontractor by resolving the dissatisfaction in the relation of subcontract. For this purpose, it is essential to trust the technology and specialized manpower of subcontractor and to select the registered company prudently. Third,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exchanging and balanced cooperative relation between both entities so as to reduce conflict and to increase trust.

      • 고속도로 건설공사 안전사고 특성분석 : 구조물공사를 중심으로

        허운찬 中央大學校 建設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8719

        최근 고속도로 건설공사는 대형화, 복잡화, 첨단화로 인한 작업환경 및 작업의 종류도 다양화 되고 있다. 공사 장비 또한 대형화와 고소작업의 증가에 따라 안전사고가 증가하고 있어 안전사고를 감소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구체적이고 통계적인 방법을 사용한 기술적 대처 수단이 부족하다. 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안전사고 유형 및 사고요인 등을 통계적인 방법으로 분석하여 각 변수들에 대한 안전관리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이 구체적으로 필요하다. 이에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 건설공사의 12년간의 안전사고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여 사고발생요인들에 따라 사고유형 및 환산재해자수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안전사고 특성분석을 위해서 사고가 가장 많은 구조물공사를 중심으로 안전사고 요인과 안전관리 요인간의 상관성을 분석 하였다. SPSS13.0을 사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선행연구의 고찰을 하여 고속도로 건설공사 안전사고에 특성분석에 대한 필요성을 나타냈다. 이어 고속도로 건설공사 안전사고의 특성분석을 위한 연구설계를 위해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연구모형 및 안전사고 구성변수를 도출하였으며, 측정변수의 기술통계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고속도로 건설공사 안전사고 특성분석에 대한 대상과 사고발생유형에 따른 안전사고 특성분석, 사고발생요인에 따른 환산재해자수 차이분석을 도출하였다. 기간별, 작업여건별, 공사여건별 등의 사고요인과 사고 유형 및 환산재해자수와의 차이 분석을 실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고발생요인과 사고발생유형과의 실증 분석한 결과 사고발생원인 및 사고발생높이는 안전사고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사고발생요인과 환산재해자수와의 차이를 실증 분석한 결과 기간별 요인 중에서는 사고발생시간이 환산재해자수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작업여건별 요인 중에서는 사고발생원인, 사고발생높이, 사고발생유형이 환산재해자수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사고발생요인별 사고발생유형과 사고발생요인별 환산재해자수 차이에 대한 실증분석에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두 집단간의 특징이 있는 변수들을 구분하여 요인별로 제시하였다. 요인별 사고특성을 분석하여 제시한 것은 안전관리 대책방안에 고려하여 할 변수로써 중요한 요인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고속도로 건설공사의 사고요인들로써 안전사고 유형과 환산재해자수와의 사고에 대한 특성을 통계적 방법으로 분석한 것은 처음 시도된 연구로써 의의가 있다. 요인들 간의 변수별 특징을 안전관리 대책방안으로 활용할 수 있고 기술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이므로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변수들로 기대한다. The environment and types of work in constructing expressway is getting diversified recently due to the enlargement, complexity and advanced property. It is required to try to reduce accident, because accident is increasing due to the enlarged work equipment and increased work on the high place. However, the technical countermeasure that uses concrete and statistical method is deficient. To prevent accident, it is to required to statistically analyze the types and factors of accident so as to prepare the specific program applicable to safety control of each variable. Thus,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accidents of expressway construction for 12 years to analyze the type of accident and property of calculated number of victims- corroborative analysis. To analyze the property of accident, the research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accident factor and safety control factor on the basis of the structure construction with the most frequent accidents. SPSS13.0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For this purpose, the preceding research was investigated to describe the necessity to analyze the property of accident in expressway construction. Then, method to collect and analyze materials, research model and accident variables were drawn to design research so as to analyze the property of accident in expressway construction. Next, the measuring variables were analyzed in technical statistics. In accordance with analysis, the target of analysis of accident property in expressway construction and analysis of accident property for the types of accident and the analysis of difference in the calculated number of victims for the factors of accident were drawn. The factors of accident for term, work location and construction location, the types of accident and the difference in calculated number of victims were analyzed, suggesting the following result. First, corroboratively analyzing the factor and type of accident,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cause of accident/the height of accident and the accident. Second, corroboratively analyzing the factor of accident and the calculated number of victims, the accident time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he calculated number of victims among the factor of each term. In the factors of work location, the cause of accident, the height of accident, the types of accident, etc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he calculated number of victims. Third,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rroborative analysis on the cause of accident, the types of accident and difference in the calculated number of victims, the researcher presented the variables of 2 groups for each factor by dividing them. The accident property was analyzed and presented for each factor, because it was important factor to be considered as variable for countermeasure of safety control. This research is meaningful, because it is the first attempt to analyze statistically property of accident type as accident factors of expressway construction and accident with the calculated number of victims. Since the property of variable among factors can be used as countermeasure for safety control in technical and scientific method, the variables are expected to be used efficiently.

      • GPS를 활용한 덤프의 이동경로 분석을 통한 생산성 분석

        권영민 한양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19

        최근 건설장비는 건설시공 프로세스에서 작업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나, 다양한 건설장비가 일정 건설현장 내·외에 투입되어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건설장비 간 커뮤니케이션 및 작업 정보 제공의 부족, 장비 운전자의 과속, 부주의 등의 문제점은 건설 시공 생산성을 저하시키며, 작업 중 안전사고의 위험을 노출시키고 있다. 2014년 산업 사망사고 통계에 따르면 모든 사업 중에서 건설업이 26% 이상을 차지하여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건설장비 안전성 확보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통계청, 2015) 최근 벌어진 서산의 레미콘사고도 대형운전자들은 운행횟수로 임금을 받는 속칭‘탕뛰기’계약을 하기 때문에 운전자들은 연료절감이나 이동시간 절약의 이유로 과속 신호 위반, 난폭운전을 하는 현실을 보여주고 있다. 대부분의 건설공사에 요구되는 토공사의 경우를 살펴보면 시공 중 장비-관리자간, 장비-장비간 커뮤니케이션의 미흡으로 인하여 건설현장 내의 생산성이 매우 낮으며, 토공사에 많은 수의 건설장비가 투입되는 경우에는 건설현장 내에서의 혼잡도가 가중되기 때문에 건설공정의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김경민, 2009)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에서는 진천-증평간 도로건설공사현장에서 오픈 Global Map을 이용하여 공사현장과 토취장의 위치를 확인하고 계획경로 대비 장비의 이동경로 분석을 통한 생산성 분석을 시행하고,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건설장비(덤프, 그레이더)에 부착하여 장비의 이동경로 및 장비의 상태등을 원격 모니터링하여 회사 설계단가와 비교하여 최적 투입 장비 대수와 경비 분석을 시행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