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내건설현장의 외국인근로자 생산성 측정에 관한 실험 연구 : 거푸집 공종의 생산성 향상인자 적용 및 미적용 분석을 중심으로
조충기 中央大學校 建設大學院 2007 국내석사
현 건설산업은 개인 소득의 상승으로 인해 건설현장에 종사하고자 하는 국내 건설기능 인력이 줄어들고 있다. 이로 인해 건설산업은 인력난을 격고있다. 이러한 인력난은 외국인 근로자로 하여금 채워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외국인 근로자의 경우 불법적인 방법으로 국내로 유입되어 임금이 비교적 높은 건설현장으로 고용이 되고 있다. 그러나 건설현장으로 유입된 외국인 근로자의 경우 본국에서 건설기능이나 언어교육을 받지 않음으로 건설현장에 적응하는 기간이 길다. 이에 따라 발생하는 작업 생산성 저해 문제가 있다. 본 연구는 국내 건설현장을 중심으로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생산성 분석을 통한 향상인자 적용을 목적으로 수행 되었다. 이를 위해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기존 연구 문헌과 관련 보고서를 중심으로 생산성 저해 인자를 추출하였다. 추출 된 외국인 근로자 생산성 저해 인자를 중심으로 생산성 향상 인자를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선정된 생산성 향상인자를 국내 아파트 건설현장 3곳을 적용 현장으로 선정한 후 생산성 향상 인자를 적용하여 일정기간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과 방법에 따라 수행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조사된 외국인 근로자의 생산성 저해 인자를 살펴보면, 언어소통의 문제, 작업자의 책임감 부족, 기능도의 수준, 잦은 결근, 작업장 이탈 등의 문제를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들이 곧 외국인 근로자의 작업 생산성을 저해 하는 요인이다. 이로 인해 건설공사 전반적으로 공정관리, 품질관리, 인력관리에 많은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선정 된 생산성 향상 인자를 적용하여 실험하였다. 적용 된 외국인 근로자의 생산성 향상 인자로는 복지수준 향상, 현장실무 교육수준 향상, 공정관리 업무수준 향상으로 선정하여 사례 현장에 적용하였다.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생산성 향상 인자를 적용함으로써 근로자 스스로의 의식변화와 현장 적응 그리고 최종적으로 작업량이 증가 되었다. 즉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요구사항과 지속적인 교육을 통하여 개인의 의식변화에 많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 되었다. 따라서 건설현장에서의 외국인 근로자 고용에 따른 생산성 저해 문제에 대해 관리자들과 작업자간의 지속적인 교육과 의식수준의 향상을 통해 건설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사례를 아파트 현장으로 제약하고 거푸집공종에 종사하는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정하였다. 따라서 여러 건설현장에서의 생산성 향상실험이 요구되며, 현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즉 외국인 근로자의 본질적인 문제 개선을 위해 합법적인 제도 개선의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The construction business of today has witnessed the shortage of skilled construction workers in domestic construction sites in the wake of personal income increase. This shortage is filled with foreign workers in reality. However, foreign workers come to Korea illegally and prefer to be employed in construction sites where wages are relatively high. Since they did not receive the training of construction skills and language in their homeland, their period of adaptation to construction sites is long. Thus, they interfere with construction productivit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pplication of productivity enhancing factors through analyzing the productivity of foreign workers centering on domestic construction sites. For this, the investigator drew out productivity impediment factors centering on the preceding literatures and related reports to foreign workers. And from the productivity impediment factors of foreign workers drawn out, productivity enhancing factors were selected. And by selecting three domestic construction sites of apartment, the investigator carried out an experiment of applying the selected productivity enhancing factors for a certain period.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As for the productivity impediment factors of foreign workers, there are the problem of communication, workers' insufficient sense of responsibility, the low levels of skills, frequent absence, and desertion of jobs. By these impediment factors, construction work suffers from many problems of construction progress management, quality management, and workforce management in general. In this vein, the investigator carried out an experiment of applying productivity enhancing factors to the selected sites. As for the productivity enhancing factors of foreign workers applied, there are the improvement of welfare, the enhancement of on-site training, and the betterment of service level of construction progress. As the productivity enhancing factors are applied to foreign workers, workers' consciousness has changed, on-site adaptation has improved, and finally the quantity of work has increased. In other words, the acceptance of workers' requests and continuous training seem to analytically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upon the changes of consciousness. Therefore, the competitiveness of construction business can be secured through continuous training of supervisors and workers on the issue of productivity impediment and enhancing the level of consciousness. However, the foreign works are limited in construction sites of apartment and mold work in this study. Therefore, an experiment on productivity enhancement must be carried out in a variety of construction sites, an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tudy systematic improvement for foreign workers. In other words, studies on the legitimate improvement of a system must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to improve the inherent problems of foreign workers.
이태형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전 지구적인 문제로 떠오른 지구온난화(Global Warming) 문제는 단순한 환경문제를 넘어 경제, 사회, 정치적 이슈로 확대되고 있으며, 특히 지구온난화지수(Global Warming Potential : GWP)는 낮지만 배출량이 온실가스 중 80%를 차지하는 이산화탄소 배출권을 둘러싼 경제문제는 국가적인 이슈이며 그 영향력은 전 산업계에 미치고 있다. 건설업은 세계 에너지 소비의 약 30%, 이산화탄소 배출의 50%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중 기계 장비의 탄소 배출량은 전 세계 총 탄소 배출량의 0.35%를 차지하고 있으나 현재 진행되고 있는 녹색건설은 단열성능 강화, 신재생에너지 사용 등 대상 구조물과 이의 운영과 관련된 에너지 소비의 절감을 중심으로 추진되어 왔으며, 실제 건설장비 및 시공현장의 친환경성 제고를 위한 노력은 미미한 실정이다. 또한 현재 건설 시공 프로세스에서는 건설 기계 장비의 시공 의존도가 날로 높아지고 있으며, 다양한 건설장비가 투입/운영되고 있으나 장비간의 커뮤니케이션 및 작업 정보 제공의 부족, 비숙련공의 시공 오류, 측량의 오차 누적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와 이에 따른 방대한 양의 탄소 배출 그리고 각종 안전사고에 노출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건설장비의 운영 효율화를 통한 탄소 저감을 목적으로 해외 선진국 기술 분석을 통해 국내 도입을 위한 전략 수립을 제시한다. 해외에서는 Fleet Management(현장에 투입되는 모든 건설장비의 위치, 데이터 취득, 작업가이던스 및 모니터링, 스마트 진단, 리포팅이 가능한 관리 시스템) 개념의 적용과 장비 조종자의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Machine Guidance 시스템을 적용하여 건설장비의 탄소 배출량을 감소시키고 있으나, 건설 장비의 탄소 배출량 측정기술은 아직 개발 단계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술들을 국내 실정에 맞게 발전 방향과 도입 방안에 대하여 제시하고 있으며, 이는 단지 건설장비의 탄소 배출 저감뿐만 아니라 건설장비의 시공효율성 증대, 에너지 저감, 안정성 증대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
CMr(Construction Manager)의 역할 분석을 통한 리모델링 프로젝트의 CM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박세호 中央大學校 建設大學院 2002 국내석사
지난 IMF 경제 위기를 통해서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건축 환경의 조성과 새로운 건축 시장 형성 및 지구 환경의 보전과 자원의 효율적 이용,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요구의 대응이라는 측면에서 대두된 리모델링의 중요성과 비중은 날로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리모델링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해서는 정확하고 신속한 의사결정을 위한 건설사업관리자의 역할과 체계적인 조직의 구성이 무엇보다도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이에, 현재 시행되고 있는 일반건설공사의 건설사업관리 역할 분석을 통하여 리모델링 프로젝트 건설사업관리와의 차이점을 파악하고, 리모델링에 대한 문헌조사를 통하여 그 특성과 건설사업관리자의 역할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사례분석을 통하여 나타난 리모델링 프로젝트의 문제점과 결부시켜, 리모델링 프로젝트의 성공요인을 도출하였고, 나아가 총체적인 리모델링 프로젝트의 사업관리 체계화를 위한 CM 모델을 제안하였다. 기존 연구의 한계성으로는 리모델링 프로젝트의 특성에 대한 제한된 분석과 참여자들의 요구 사항에 대한 의견수렴 부재 및 결과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자료의 축적 부재를 들 수 있다. 그리고 리모델링 프로젝트 건설사업관리자의 역할에 대한 인식 부족과 CM 모델 및 구체적인 프로세스의 정립 부재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해서 구체적인 리모델링 프로젝트의 건설사업관리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반건설공사의 건설사업관리 역할에 대한 미국 CM협회의 ‘표준CM서비스’의 내용을 고찰하고, 문헌조사와 인터넷을 통한 리모델링 전문기업들의 동향 및 프로젝트 분석 자료를 수집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그리고 사례분석을 통한 리모델링 프로젝트의 특성 및 공사 진행상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리모델링 프로젝트의 성공요인 도출 및 CM 모델의 제안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리모델링 프로젝트가 건물 성능 개선을 통하여 실질적인 건물가치를 향상시키고자 하는데 가장 큰 목적이 있다는 점에서 다양한 형태의 대안이 제시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였으며, 일반 오피스빌딩을 대상으로하는 보수나 개수 및 전면 개보수 등의 리모델링 유형을 전제로 하였는데, 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리모델링 프로젝트의 프로세스에 따라 건설사업관리자의 역할을 대상건물검토, 자료조사, 대상건물진단, 법규검토, 주변환경조사, 기획설계, 사업성분석, 시공, 유지관리 단계로 나누어 세부적인 역할 분석을 하였다. (2) 문헌조사와 사례분석을 통하여 리모델링 프로젝트의 성공요인으로 리모델링에 대한 분명한 목적의식, 명확한 사업성 분석, 프로젝트 진행중의 리스크에 대한 사전준비, 법적규제에 대한 초기단계의 대응 등의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이것은 리모델링 프로젝트에서 건설사업관리자 역량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3) 리모델링 프로젝트의 사업관리 체계화를 위해 제안된 CM 모델은 리모델링 프로젝트의 성공요인들을 효율적으로 준비하고, 진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건설사업관리자와 참여자와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정의하고 있다. 향후, 이러한 리모델링 프로젝트 건설사업관리자의 역할 분석과 성공요인 도출및 CM 모델의 제안은 리모델링 프로젝트의 의사결정에 작은 영향력을 행사하며, 나아가 리모델링 프로젝트의 건설사업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것이라 기대한다. The importance and volume of remodeling is on the rise because of environment preservation and efficient use of resources in addition to the establishment of the construction environment responsive to changes and formation of the new construction market after the IMF crisis in Korea. The success of such remodeling projects are deemed to be hinged on the performance of the construction project manager and systematic organization for fast and accurate decision making. Thus, the difference of the remodeling project management was determined through the roll analysis of traditional construction projects, and the roll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 project manager was analyz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e factors affecting the success of a remodeling project were determined through case studies of problems in remodeling projects, and furthermore, a CM model is proposed for systematic organization of remodeling project management. The limitations of the traditional research method are limited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remodeling projects, and lack of acceptance of demands from the participants, of accurate analysis and of result data accumulation. Furthermore, there is a lack of recognition on the roll of remodeling project manager, CM model and concrete process establishment. To do so, the contents of the 'Standard CM Service' of the CM association in the U.S. has been studies for the roll of construction management in general construction projects. The trend of remodeling companies and project analysis data have been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literature and internet research. Through case studies, characteristics of remodeling projects and problems in the construction process have been determined and utilized as data for studying factors affecting success of a remodeling project and for offering CM models. The most important purpose of this research is improving the real value of a building by improving functionality of the building through a remodeling project, and considering the fact that various solutions can be offered, all kinds of remodeling, including repairs, improvement and complete renovation, was kept in mind. The summary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1) According to the remodeling project process, the rolls of the construction manager has been divided and analyzed in details regarding selection of the subject building, data research, building examination, regulation investigation, environment study, planning, profitability study, remodeling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management. (2) Through literature study and case studies, clear purpose, definite profitability analysis, preparation for risks in the course of a project and initial measures for legal regulations have been determined as the factors for success in a remodeling project. This shows the importance of the roll of the construction manager in a remodeling project. (3) CM models offered for systematic management of a remodeling project defines the systematic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truction manager and the participants for efficient preparation and progress of the project regarding the factors related to the success of the project. In the future, the fore-mentioned roll analysis of the remodeling project construction manager, determination of the factors for success and suggestion of CM model will affect the decision-making in a remodeling project. At the same time, it is hoped that they will form the basic data for remodeling project construction management.
건설업의 리엔지니어링 전략이 경영성과에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사의 BPR 추진사례를 중심으로
장동요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2006 국내석사
본 연구에서는 타 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구가 미진한 건설업의 성공적 BPR의 구현․추진을 위한 연구를 진행 하였다. 또한, 종합적 BPR을 단계적으로 추진한 A사의 추진관점․단계별 사례를 통한 실행상의 시사점을 살펴보고, 종합적 BPR을 추진한 A사를 중심으로 건설업의 리엔지니어링 활동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A사의 BPR전․후의 재무 현황을 조사하여 정량적 요소를 분석하였다. 또한 BPR효과에 대한 각 추진관점․단계별 효과 분석을 위한 항목을 도출하고 BPR수행 실무자들이 느끼는 인식 조사를 실시하여 정성적 요소를 분석함으로써 정량적 요소와 함께 건설업의 BPR추진 성과를 비교․분석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수행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기존의 연구와 문헌을 종합하여 BPR 실행 관점, 실행단계, 구성요소별 상호 연관성 분석을 통한 건설업의 종합적 BPR 추진을 위한 연구 모형을 제시하였다. 2) A사의 사례를 통하여 건설업의 성공적 BPR의 수행을 위한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정보시스템, 조직․프로세스, 기업기반의 3가지 관점과 사람?기술?조직?업무의 조직 4가지 구성요소간 적절한 믹싱을 통한 종합적 관점의 BPR을 단계적으로 추진함으로써 급격한 변혁에 대한 역효과 방지 및 적응력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성과․보상 관리체계에서는 정성적 요소에 대한 적절한 평가가 수반되어야 함을 시사하여 주었다. 3) BPR추진에 따른 정량적 측면의 성과 분석을 종합하여 볼 때, 8가지 조사항목(총매출액, 당기순이익, 매출총이익, 판매비와관리비, 자기 자본비율, 부채비율, 주가변동, 주가 수익비)이 BPR추진 이전보다 꾸준한 상승을 보였으며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BPR의 추진이 경영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재무제표 상으로는 기업 외부환경의 변화나, BPR 외적 요소의 영향, 투자 부문의 자금흐름에 따른 간접수익 효과 등의 내용적인 면과는 무관하게 수치화 될 수 있어 분석 시 주의가 요구된다. BPR 추진에 따른 정성적 효과 분석을 위하여 A사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종합적 BPR추진을 통한 정보시스템의 활용으로 개인 업무량은 증가하였으나, 업무능률이 향상되고 의사결정 및 프로세스 시간이 단축되고, 정량화된 D.B로 정보의 접근과 활용도가 높아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프로세스의 혁신성면에서 BPR전보다 업무의 흐름(표준)이 변화하여 원할 해 지고, 부서 간 관계가 향상되고 능률적으로, 조직의 슬림화(최적화)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조직의 구조적 변화는 경쟁력 향상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기업기반의 혁신 활동을 통하여 생산성 향상에 도움이 되었고 긍정적 기업 풍토의 변화를 준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다수의 직원들은 기업기반의 혁신 활동이 기업 경쟁력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30~50%로 비교적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경영혁신과 아웃소싱 측면에서 건설업의 BPR이 타 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뒤처져 있으며, 건설업의 특성상 적용이 어려울 것이라고 조사되었다. BPR 활동은 변화의 대응과 기업 경쟁력 우위에 도움을 주고, 향후 결과와 전망에 대하여는 전반적으로 긍정적 기대와 조심히 관망하는 의견으로 나누어지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A사의 종합적 관점의 BPR추진에 따른 경영성과를 정량적 요소와 정성적 요소로 나누어 비교․분석 하여 본 결과, 건설업에 있어서 종합적 BPR의 추진이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본 연구의 분석을 통한 자료들은 향후 건설업의 BPR추진을 고려하는 건설업체의 의사결정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중소형 전문건설회사의 현금보유 결정요인에 관한 분위적 접근
국제금융위기에서 촉발된 장기적 경기침체는 건설산업 및 기업 경영환경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대형 및 중견 종합건설회사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규모가 영세한 전문건설회사의 유동성을 위축시켰으며, 파산에 이르게 하였다. 건설산업의 경우 타 산업에 비해 고용창출효과가 매우 큰 특징을 가지고 있음에 따라 건설회사의 파산은 사회적·경제적으로 다양한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정부에서는 위와 같은 맥락에 근거하여 기업경영정상화, 법정관리, 미분양주택매입, 세금감면, 공공사업 추진 등의 다양한 정책을 통해 건설경기 침체를 완화 및 건설회사의 유동성 위기를 해소하려 하였지만, 그 효과는 미미하였다. 국내 다수의 연구자들은 건설회사의 유동성 위기와 파산이 단지 거시경제적·외부적 요인에 국한되지 않으며, 건설회사의 경영 행태도 상당한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결과적으로 유동성 위기와 같은 재무적 어려움에 대해 건설회사 스스로 사전적인 대응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까지 건설회사의 현금보유와 관련된 이론적·실증적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태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총 5개년 동안 314개의 중소형 전문건설회사를 대상으로, 분위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현금보유 결정요인의 변화행태를 실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타인자본의존도, 총자산순이익률, 현금흐름비율은 전문건설회사의 실제현금보유비율을 효과적으로 설명하는 결정요인으로 분석되었으며 기업의 규모와 순운전자본비율은 한정된 분위에서 실제현금보유비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실증되었다. 기업의 규모, 타인자본의존도, 총자산순이익률은 실제현금보유비율 분위에 따라 그 영향이 달라지는 패턴을 보이고 있었다. 이는 일반화된 분석기법으로는 식별할 수 없는 영향관계로 판단되며, 기존의 일반화된 연구결과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와 같은 연구 문제를 갖는 부분에 있어, 분위회귀분석방법을 도입할 경우 기존에는 식별하지 못했던 영향관계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해외건설시장 동향분석을 통한 한국 해외건설의 경쟁력 향상 전략
조규대 中央大學校 建設大學院 2002 국내석사
해외건설산업은 한국경제에 있어 경제성장의 주축으로서 경제발전을 선도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왔다. 80년대를 전후로 중동시장을 중심으로 비약적인 성장을 이루어 세계 2위의 반열에 오르기도 했으며, 97년에는 아시아시장에서의 선전에 힘입어 141억 달러의 수주실적을 기록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우리나라 해외건설은 97년 동남아시아 경제위기에 이은 IMF 외환위기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세계 해외건설시장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 해외건설 수주액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해외건설의 현실을 인식하고, 해외건설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기존 해외건설 관련 문헌연구를 통해 최근연구동향을 파악하였으며, 각종 통계자료 분석을 통해 최근 7년의 해외건설시장의 동향 및 추세를 분석하였다. 또한 문헌연구를 통해 도출한 비교항목을 중심으로 국내외 해외건설 선진기업 간의 비교·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분석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국내 해외건설기업의 경쟁력 강화 전략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최근 7년 간 해외건설시장의 동향 및 추세분석을 통해 지역별, 상품별 시장동향을 파악하였고, 해당 지역별, 상품별 우세국과 우세기업을 도출해내었다. 또한, 국내 해외건설수주실적 분석을 통해 지역편중 및 상품별 실태를 파악하였다. 2) 국내외 해외건설 선진기업 간 비교분석을 수행한 결과, 외국선진기업에 비해 해외시장 의존도, 시장점유율, 현지화, 주력상품, 재무상태에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3) 국내외 선진기업의 비교·분석을 통해 도출된 국내 해외건설의 문제점들을 바탕으로 해외건설기업의 경쟁력강화를 위한 전략을 제안하였다. 경쟁력 강화 전략은 지역편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신(新)시장 진출전략, 주력상품부재 및 기술력 부족을 해결하기 위한 주력상품 개발전략, 재무 및 경영상태의 취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경영합리화 전략 등 크게 세 가지 방향의 전략을 제안하였다. Overseas construction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as a main axis in developing Korean domestic economy. In 1980s, the Korean overseas construction industries had grown so rapidly in Middle East market that they were ranked as the second biggest international contractor groups in the world, and in 1997, as a result of outstanding works in Asia market, the volume of the foreign construction contracts had increased up to the scale of 14.1 billion dollars. However, it has suffered from Korean currency crisis followed by South-east Asia economic crisis, afterward. During recent years, while international construction market has been enlarging continuously, the Korean overseas contracts even have been decreasing. They have been unsuccessful in obtaining new works. There are so many reasons for this decline, such as their limited geographical markets, the lack of technologies, financial problems, and so on. Aiming to understand current status of the international construction market and to suggest the strategies for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Korean overseas construction, this study analyzes the trends of the international construction markets and compares the domestic enterprises' performance with the foreign enterprises. Extensive review and analysis of statistical data related to overseas construction have been performed, and 217 cases of Korean overseas project during 1999 to 2001 have been reviewed. Moreover, the financial statements for the domestic and foreign enterprises during 1996 to 2000 have been also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By analyzing the overseas construction markets during the recent seven years, the trends in terms of the regions and project types were researched, and the superior nations and enterprises for those regions and project types were summarized. Furthermore, based on the records of Korean enterprises overseas new contracts, the actual condition of regional distribution and project types was reviewed. 2) The results of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domestic enterprises' performance and the foreign show that the domestic overseas construction enterprises were inferior to the foreign enterprises regarding the dependency on the foreign construction, market share, localization, major products, and financial conditions. 3) This study suggests the strategies for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Korean overseas construction, which are designed to cope with the inferiority of the Korean overseas construction enterprises. The strategies were comprised of three categories: the strategy for entering new markets, developing major products, and management efficiency.
건설업체 지식경영시스템의 문제점 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현석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2006 국내석사
1990년대 IMF이후 국내 건설시장은 민간부문 및 공공부문의 건설시장 개방에 따른 업계의 국제 경쟁력 확보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그리고 경기침체로 인하여 경쟁은 더욱 심화되어 건설기업들은 새로운 경영전략과 경쟁력을 필요로 하게 되었고, 어떠한 환경변화에서도 생존할 수 있는 자생력을 요구하게 되었다. 세계는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다방면의 경영전략을 도입하게 되었고, 그중에 ‘지식’이 우리 미래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을 하게 되었다. 이러한 ‘지식’을 기업의 경쟁력 강화에 중심에 두기 시작하였으며 선진국 및 국내의 대기업부터 도입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건설기업도 대기업을 중심으로 1990년대 말부터 도입을 시작하여 지식경영이 정보화 사회의 기업운영에 얼마나 중대한가를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및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얻어진 지식경영의 성공요인을 5가지로 분류하였다. 그에 따른 국내 사례기업들의 지식경영시스템의 문제점을 도출하여, 지식경영시스템의 구축 및 운영상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문화적 요인에서 업무의 특성상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업무수행 자세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므로 교육프로그램을 개설하여 개개인의 지식경영 마인드를 함양할 수 있는 문화를 형성시켜야 하겠다. 2) 기술적 요인에서 정보기술의 인프라는 높은 수준에 이르렀는데 반하여, 정보처리능력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정보처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의 기회를 충분한 기간을 통하여 부여해야 할 것이다. 3) 프로세스 요인에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등을 표준화하고, 시스템 효율성, 유연성, 확장성 등을 높이기 위하여 지속적인 성능관리를 해야 아며, 프로세스별 필요한 정보기술 요소를 갖추어야 할 것이다. 4) 전략적 요인에서는 지식경영시스템을 운영함에 있어서 핵심역량의 발굴과 핵심역량의 판단이 각 부서에서 실시한 사항은 문제점으로 지적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는 각 부서별 차원에서 판단하기 보다는 전사적 차원에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5) 보상 및 평가 요인으로 지식경영시스템이 올바른 방향으로 그리고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보상수준이 적절한가, 인사정책과 연계 시행하는가 등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할 수 있도록 동기 부여를 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사례기업들의 지식경영시스템 성과측정 모델에 대한 충분한 자료발표와 이에 대한 더욱 객관적인 지식경영시스템 도입의 문제점 도출, 개선방안을 제시 할 수 있고 본 연구의 타당성을 보다 높이기 위한 방법이라 할 수 있겠다.
建設工事 下都給의 工事代金과 관련한 紛爭의 問題點分析 및 豫防方案에 관한 硏究 : 公正去來委員會 및 法院 등의 判定事例를 중심으로
민병욱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2005 국내석사
건설하도급공사에서 발생하는 분쟁 중 공사대금과 관련한 분쟁은 그 해결 방향에 따라 하수급인의 공사 손익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게 됨은 물론 분쟁발생 이후 해결단계에서의 인적 및 물적 자원의 소모 등은 하수급인의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이는 건설하도급공사만의 문제가 아닌 국내 건설산업 전체의 문제라 할 것인 바, 건설하도급공사에서 발생하는 분쟁의 예방에 대한 필요성은 절실하다. 이에 본 연구는 하도급 공사대금 분쟁에 대한 공정거래위원회, 법원 등의 판정사례 및 유권해석 사례 등을 검토․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분쟁의 발생원인 유형별 문제점 분석과 분쟁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관련 제도개선 방안 및 계약 이행상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과 방법에 따라 진행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하도급 계약금액조정 관련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① 하수급인과 관련된 계약금액 조정 내용 등의 통지 규정, ② 계약금액 조정방법을 분명히 하는 용어의 변경과 용어의 정의 규정, ③ 연장비용의 부담 및 산정기준 등을 정하는 규정, ④ 설계변경 등에 대하여 하수급인의 의견제시 기회를 제공하는 규정 등을 예시하였다. (2) 하도급 공사대금지급 관련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① 공사대금 직접지급과 관련한 수급인의 협조를 의무화하고, 또한 발주자의 의무로 하는 규정, ② 하수급인과 관련된 공사대금의 지급하는 경우 그 내용과 비율 등의 통지 규정, ③ 연장비용의 부담 및 산정기준 등을 정하는 규정, ④ 설계변경 등에 대하여 하수급인의 의견제시 기회를 제공하는 규정 등을 예시하였다. (3) 하도급 계약시 특약조건상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관계법령 및 계약조건 등에 규정된 하수급인의 계약상 이익을 부당하게 제한하는 특약 또는 조건을 정해서는 아니되는 규정을 예시하였다. (4) 계약이행상의 개선사항으로 수급인의 구두지시를 문서화 등으로 구체화하는 절차 모델을 <그림5-2>과 같이 제시하였고, 하수급인이 자구노력에 대한 방향으로 평소 기록의 유지, 분쟁 해결방법, 해결기구 및 판정 성향 등에 대한 파악 등을 제시하였다. 이와 더불어 하수급인은 위 예시 규정의 제․개정 이전으로서 분쟁 등의 협상을 할 경우 본 연구에서 조사된 판정사례의 취지 또는 개선방안으로 예시된 규정의 취지를 유용하게 인용할 수 있을 것이다.
최종규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2007 국내석사
건설공사는 여러 가지 다양한 공종이 복합된 것으로 그것의 위험관리는 금융 및 제조업의 위험관리와는 구분되어야 하며, 사업결과에 대한 예측이 어려운 대북사업에서도 특히, 정부의 관리적 보호에서 다소 떨어져 시행하는 민간부분에 있어서의 대북 건설공사는 더욱 그 필요성이 강조된다고 할 수 있지만, 현재까지 이 분야에 대한 공사 사례만 있고 공사 위험 연구는 찾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북 민간 의료지원 건설공사의 사례를 통하여 공사계획에서부터 준공까지 대북공사 승인과 자재반출 및 운송, 방북절차, 북한 체류, 시공과 안전관리에 대한 각종 위험요인들을 분석하여 그 위험 대응방안을 연구하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대북 민간건설공사는 많은 위험이 내제되어 있는데 위험의 성격도 일반 건설공사의 위험요소가 아닌 특수한 위험요소인 경우가 많다. 계약과 관련하여 북쪽과 사전 협의를 진행하여야 할 부분과 반출승인과 자재운반에 있어서는 손.망실의 위험요소가 많아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2) 공사 진행 중에는 북한 작업인력의 미숙련에 따른 비경제성 보완과 안전관리가 중요하며, 예상치 못한 통제나 분쟁이 발생될 경우를 대비하고, 체류기간 중 남쪽인력들의 통제된 일상의 적절한 긴장 해소도 고려할 부분이다. 3) 대북공사는 상시 접촉이 불가능한 특수지역에서의 공사이므로 사전 준비가 철저하지 못하면 비용적, 시간적 위험에 빠질 수 있어 사전답사 및 협의에 철저를 기하여야 하고, 공사 진행은 수시로 북쪽 관계자 및 안내자들과 협의를 통하여 지원을 요청하여 보완하면 많은 위험 부분을 개선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