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소병원 간호사-간호조무사 간 갈등경험

        김성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5343

        Registered nurses are responsible for care activities and nursing outcomes as a leader of a nursing care team including nursing assistants. As comprehensive nursing care has been expanded in Korea, RNs’ leadership role has become more critical. However, RNs have experienced conflict with nursing assistants, which seems to be more serious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Nurse managers have to understand the conflict between RNs and assistive nursing personnel for effe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Few studies have focused on this type of conflict so far, and thus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ir experience of conflict, focusing on perceived causes of conflict and how to manage it. Eight RNs and eight nursing assistants from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with fewer than 300 beds participated in a face-to-face, individual interview from November 2018 to August 2019. The data was analyzed applying Braun and Clarke (2006)’s thematic analysis. As a result, causes of conflict between RNs and nursing assistants were categorized into five themes: “unclear boundaries of roles and responsibilities,” “a burden due to deficient performance of nursing assistants,” “low staffing levels in nursing,” “low understanding of job roles,” and “lack of mutual respect.” RNs and nurse assistants adopted different approaches for their conflicts: “avoidance,” “responding to the person concerned,” “seeking mediation of a nurse manager,” “resignation,” and “refreshing oneself by sharing one’s conflict experience with peers.” To prevent the conflict, it is recommended that the roles and the scope of practice should be clearly defined and abided for RNs and nurse assistants. Also, undergraduate nursing programs need to stress nurse leadership, right delegation and supervision skills, and communication skills. Nurse assistants should learn how to assist nursing practice and get enough supervision from RNs. Both RNs and nurse assistants often managed conflicts in a passive way and so are encouraged to adopt more positive and active approaches. Nurse managers should make sure that different nursing personnels work within their scope of practice in a proper staffing level. They need to equip with conflict management skills as a mediator among nursing personnels. 간호사는 간호조무사를 비롯한 보조 인력의 간호행위를 지휘하고 책임져야 하며, 이 역할은 간호·간병통합서비스 확대로 더욱 중요해졌다. 그러나 실무 현장에서 간호사와 간호조무사는 갈등을 겪고 있으며, 특히 국내 병원의 다수를 차지하는 중소병원 내 갈등은 심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간호 인력 관리를 위해 간호관리자와 간호사는 간호사-간호조무사 간 갈등을 이해해야 하지만, 그동안 체계적인 접근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따라서 중소병원 간호사와 간호조무사 간 갈등 원인과 대처방식을 중심으로 이들의 갈등 경험을 탐색하는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눈덩이 표본추출법을 통해 300병상 미만 중소병원의 병동이나 외래 근무 경험이 1년 이상인 간호사 8명, 간호조무사 8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개인 인터뷰는 2018년 11월부터 2019년 8월에 실시되었고, Braun과 Clarke(2006)의 주제 분석 방법을 이용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 및 해석하였다. 그 결과, 간호사와 간호조무사 간 갈등 원인은 ‘불분명한 역할과 책임의 경계’, ‘미흡한 간호보조업무에 대한 부담감’, ‘간호인력 부족’, ‘직무역할에 대한 이해 부족’, ‘상호존중 부족’의 5개 주제로 나타났다. 이들의 갈등 대처방식은 ‘회피’, ‘직접대처’, ‘간접대처’, ‘사직’, ‘감정 전환’의 5개 주제가 발견되었다. 따라서 간호 인력의 갈등 예방을 위해 간호사 및 간호조무사의 역할과 실무 범위를 명확하게 정의하고 준수할 것을 제언한다. 뿐만 아니라 간호조무사는 안전한 간호를 위해 간호사의 관리감독 권한을 인식하고 존중해야 한다. 이를 위해 간호사 학부 교육과정에서 간호사 리더십, 올바른 위임 및 감독 기술, 의사소통 기술을 강조해야 한다. 이와 동시에 간호조무사 교육훈련기관의 교육의 질을 관리하고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간호사와 간호조무사의 갈등 대처방식이 주로 수동적이고 소극적인 경향을 보이므로 보다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갈등 대처가 가능하도록 교육하고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 특히 간호관리자는 갈등 중재자로서 필요한 갈등 관리 역량을 갖추어야 한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 확대로 더욱 중요해진 간호사와 보조인력 갈등 관리를 위해 본 연구결과가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임상실습기간 중 간호대학생의 수면 영향요인 : Spielman의 수면장애 모델을 근간으로

        김미예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5343

        목적 : Spielman의 수면모델을 근간으로 간호대학생의 수면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방법 :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임상실습을 하는 3, 4학년 총 119명을 대상으로 자가 보고식 설문지와 액티그래프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이용하여 t-test, ANOVA, 회귀분석 하였다. 결과 : 간호대학생 119명의 자고보고식 수면의 질 측정에서 70.6%의 학생은 수면의 질이 낮았다. 액티그래피에서 간호대학생의 평균 수면시간은 4.34시간으로 총 수면시간 5시간 이하 학생이 58.5%이었고, 수면효율성은 평균 82.55% 였다. 회귀모형 분석결과, 수면의 질에 일주기수면유형(β=.27, ρ=.005), 알코올 섭취(β=.20, ρ=.032)가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총 수면시간에 좌식생활(β=-.23, ρ=.018), 주간졸림증(β=-.29, ρ=.003)이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 : 임상실습기간 중 간호대학생의 상당 수가 수면장애를 겪고 있다. 이들의 수면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자가보고형식의 설문지를 통한 주관적수면측정과 객관적인 생리적수면측정방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일주기수면유형이 저녁형인 학생들은 수면의 질이 낮게 나타났고, 좌식생활과 주간졸림증은 수면부족의 원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추후 수면장애를 연구할 때 주관적 측정과 함께 객관적 측정을 병행하여 수면의 주관적, 객관적 측면을 모두 고려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주제어 : 간호대학생, 수면, 액티그래피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sleep patterns of nursing students, to examine influencing on factors sleep patterns in based on Spielman’s model. Methods: Participants were 119 junior and senior nursing students who were in the clinical practice period. Self-report questionnaires and actigraphy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Data were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r ANOVA, correlation and regression with SPSS/WIN 21.0 program. Results: When sleep was measured by self-report questionnaire (Korean version of Modified Leeds Sleep Evaluation Questionnaire: KMLSEQ), 84 students (70.6%) showed poor sleep quality. Mean total sleep time measured by actigraphy is 4.34 hours, and the number of student who sleeps for 5 hours and less was 70 (58.5%). Mean sleep efficiency was 82.55%, and the number of students showed low sleep efficiency (less than 85%) was 67 (56.3%). The factors affecting subjective sleep pattern measured by KMLSEQ were circadian sleep type (β=.27, ρ=.005) and alcohol use (β=.20, ρ=.032). The factors affecting total sleep time were sedentary behavior (β=-.23, ρ=.018) and daytime sleepiness (β=-.29, ρ=.003). Conclusion: Many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period perceived sleep disturbance. Affecting factors on perceived sleep measured by self-report questionnaire and objective sleep evaluated by physiologic measure were different. The evening type of students perceived poor sleep quality, however, sedentary life style and daytime sleepiness caused short sleep time. Sleep consists of subjective and subjective characteristics, therefore, more studies measure objective sleep characteristics are needed.

      •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조직 내 의사소통과 셀프리더십이 환자안전역량에 미치는 영향

        이규민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5327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evaluat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self-leadership for on patient safety competence in nurses working at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This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factors affecting patient competency. A 171 nurses working at medium-sized hospitals, which are operating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in Seoul completed structured self-reported questionnaire by on-line survey from February 10, 2020 to February 28, 202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test, chi test, AN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with SPSS version 22.0 for window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age of participant was 48.0% for those under 30 years of age, 67.8% for singles, and education 66.7% of bachelor's degree, 52.6% of mixed wards in the working ward department, 60.2% of the surgical departments had more. The average work experience of nurses was the most, with 17.5 years or less and less than 3 years, 37.5%, and 3 shifts with 65.5%. The position was 55.5% for general nurses, the average number of patients in charge of nurses was 55.0% for less than 10, and the average number of education completions was 3 times, and 59.6% for those with experience in reporting patient safety accidents. 2. The subject's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was 76.64±11.55 points and vertical communication among the sub-areas was 28.32±3.77 points. self-leadership averaged 64.66±9.18 points, and self-compensation among the sub-areas was highest at 11.31±2.23 points. The patient safety competency was 164.93±19.87 points and the attitude was 60.09±7.69 points. 3. The subject's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elf-leadership was. Patient safety compete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number of department (t=-2.17, p=.032) and the department of unit (t=2.31, p=.022). 4. The subject's patient safety competence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r=.35, p<.001) and self-leadership (r=.55, p<.001). 5. The subject's Self-leadership (β=0.49, p=.001) and combined ward (β=0.18, p=.004) were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patient safety competence. These factors explained 32.4% of the patient safety competence (F=21.401, p<.001). This study found that the nurses working at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engaged in patient safety competence to self leadership.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 to improve the patient safety competence among nurses working at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considering self-leadership affect the patient safety competence. 본 연구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를 대상으로 조직 내 의사소통과 셀프리더십의 정도를 알아보고, 변수들 간의 관계 및 환자안전역량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소재의 3개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을 운영하고 있는 200병상 규모의 중소종합병원 171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SNS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되었다. 자료 수집은 2020년 2월 10일부터 2월 28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연령은 30세 이하가 48.0%, 미혼이 67.8%, 교육정도는 학사 학위자가 66.7%, 병동 진료과는 혼합병동이 52.6%, 근무부서는 외과계가 60.2%가 더 많았다. 간호사의 평균 근무 경력은 1년 이상 ~ 3년 미만이 37.5%, 근무형태는 3교대가 65.5%로 가장 많았다. 직위는 일반 간호사가 55.5%, 간호사가 담당하는 평균 담당환자 수는 10명 미만이 55.0%, 교육이수 횟수는 평균 3회, 환자안전사고 보고 경험이 있는 경우 59.6%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조직 내 의사소통은 116점 만점에 평균 76.64±11.55점이었고 하위영역 중 수직적 의사소통이 평균 28.32±3.77점(평균 평점 3.59점)으로 나타났다. 셀프리더십은 평균 64.66±9.18점이었고, 하위영역 중 자기보상이 평균 11.31±2.23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환자안전역량은 205점 만점에 평균 164.93±19.87점이었고, 환자안전태도가 70점 만점에 평균 60.09±7.69 점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조직 내 의사소통 분석 결과, 근무형태(F=6.35, p<.001), 직위(F=10.46, p<.001), 담당환자 수(F=6.47, p=.002)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셀프리더십은 결혼여부(t=-3.17, p=.002), 학력(F=4.36, p=.014), 근무부서(t=3.06, p=.003), 근무형태(F=4.32, p=.006), 직위(F=4.46, p=.013)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조직 내 의사소통(r=.35, p<.001)과 셀프리더십(r=.55, p<.001)은 환자안전역량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환자안전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셀프리더십 (β=0.49, p=.001), 혼합병동(β=0.18, p=.004) 순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환자안전역량에 대한 이들 요인의 설명력은 32.4%로 확인되었다(F=21.401, p<.001). 이상의 결과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 향상을 위하여 조직 내 의사소통과 셀프리더십 향상을 독려하는 중재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들은 차후 간호사들의 환자안전역량 향상을 위한 효율적인 방안 구축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항암화학요법으로 인한 말초신경병 증상 발생 및 완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단기전향적 설계

        정계숙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531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risk factors for onset Chemotherapy-induced peripheral neuropathy(CIPN) symptom. In addition, a short-term prospective study was attempt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remission of CIPN symptoms. The study included a variety of factors exercise, massage, warm therapy and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which can be applied on a daily basis. Data were collected from 130 willing cancer participants who are receiving a adjuvant chemotherapy after receiving surgery from August 10, 2018 to July 23, 2019.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HADS), the Medical Outcomes Study Social Support Survey (MOS-SSS), and the FACT / GOG-Ntx-12 Version 4 subscal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statistic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CIPN symptom at the completion of the third chemotherapy in participants was 11.52 ± 7.39 out of 48 and that completion of the 4th or 5th chemotherapy was 10.68 ± 7.38 out of 48. The onset incidence of CIPN was 93.1% (121 cancer participants). The remission incidence of CIPN was 50.8% (66 cancer participants). The unconverted incidence of CIPN was 10.0% (13 cancer participants) and the aggravation incidence of CIPN was 39.2% (51 cancer participants). 2. Adjustment were not made significantly different by factors of age, smoking, occupation, exercise, massage, and warm therapy before chemotherapy. Behavioral factors included walking, mountain climbing, massage and warm therapy, which were performed after the start of chemotherapy and the completion of 3rd chemotherapy. Soci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ncluded social support, depression, and anxiety measured at the completion of the 4th or 5th chemotherapy.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 in this study showed 43.6% of explanatory power (F=7.54, p<.001). Among the variable, warm therapy (β=.34, p<.001) and massage (β=.21, p=.012) performed after 3rd chemotherap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emission of CIPN symptom. In addition, walking (β=.26, p=.021) and depression (β=.19, p=.027) at least five times a week from the start of chemotherapy to the completion of the 3rd phas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mission of CIPN symptom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socio-demographic and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of subjects and factors related to pre-onset health behaviors (exercise, massage, and warm therapy) had no effect on CIPN incidence. Therefore, when seeking for nursing intervention measures for the occurrence and alleviation of CIPN symptom of cancer participants, it is necessary to take measures on an individual level, considering social psychological factors as well as exercise or activity that the subject can apply in daily life by considering the degree of performance, intensity, and duration. 본 연구는 항암화학요법으로 인한 말초신경병(Chemotherapy induced peripheral neuropathy; CIPN) 증상 발생의 위험요인을 확인하고 나아가 CIPN 증상 완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단기전향적 연구를 시도하였다. 암 환자가 일상 상황에서 스스로 적용 가능한 운동, 마사지, 온요법과 사회심리적 특성까지 다양한 요인들을 포함하였다. 대상자는 본 연구에 참여하기를 자발적으로 동의한 K 상급종합병원에서 수술 후 보조화학요법을 받는 130명의 암 환자이다. IRB 승인을 거쳐 2018년 8월 10일부터 2019년 7월 23일까지 설문지와 전자의무기록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조사는 총 세 번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항암화학요법 시작 직전, 3차 항암화학요법 완료 시, 4차 혹은 5차 항암화학요법 완료 시에 진행하였다. 측정 도구는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HADS), The Medical Outcomes Study Social Support Survey (MOS-SSS), FACT/GOG-Ntx-12 Version 4 하위척도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5.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에서 CIPN 증상 발생은 항암화학요법 시작 전에 측정한 점수와 3차 항암화학요법 완료 시 측정한 점수의 차이를 의미하며, CIPN 증상변화는 3차 항암화학요법 완료 시 측정한 CIPN 점수와 4차 혹은 5차 항암화학요법 완료 시 측정한 점수의 차이를 의미한다. 점수의 차이 값이 양수이면 CIPN 증상이 발생했거나 악화된 것을 의미하고, 점수의 차이가 없으면 CIPN 증상이 발생하지 않았거나 변화가 없는 것, 그리고 차이 값이 음수이면 CIPN 증상이 완화된 것을 의미한다. 연구 결과 CIPN 점수는 3차 항암화학요법 완료 시 11.52±7.39점, 4차 혹은 5차 항암화학요법 완료 시 10.68±7.38점으로, CIPN 증상이 발생한 대상자는 총 121명(93.1%)이었다. 그리고, CIPN 증상이 완화된 대상자는 총 66명(50.8%)이고, CIPN 증상변화가 없는 대상자는 13명(10.0%)이며, 증상이 악화된 대상자는 51명(39.2%)으로 나타났다. 2. 본 연구 결과 연령과 항암화학요법 이전의 흡연, 직업, 운동, 마사지, 온요법 수행의 변인들을 단변량 분석을 통해 분석하였으나 모든 변수가 CIPN 증상 발생 정도와 유의한 관련이 없었다. 단변량 분석에서 CIPN 증상변화와 유의한 관련이 있는 변수들을 독립변수로 투입하였다. 행동요인으로는 항암화학요법 시작 후 3차 항암화학요법 완료까지 수행한 걷기, 등산, 마사지, 온요법이 포함되었다. 사회심리적 특성으로는 4차 혹은 5차 항암화학요법 완료 시 측정한 사회적 지지와 우울 및 불안이 있었으나, 다중공선성의 기준에 따라 불안은 독립변수에서 제외하였다. 본 연구의 다중회귀 모형은 43.6%의 설명력을 보였다(F=7.54, p<.001). 변수들 중 3차 항암화학요법 후 수행한 온요법(β=.34, p<.001), 마사지(β=.21, p=.012), 그리고 항암화학요법 시작 후부터 3차 완료 시까지 주 5회 이상 걷기(β=.26, p=.021)와 우울(β=.19, p=.027)이 CIPN 증상 완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대상자의 인구 사회학적 및 질병 관련 특성과 발병 이전의 건강 행위 관련 요인(운동, 마사지, 온요법)은 CIPN 발생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못했다. CIPN 증상 완화 영향요인은 온요법과 마사지, 걷기, 우울이었다. 따라서 암환자의 CIPN 증상 발생과 완화를 위한 간호 중재방안 모색 시 건강 행위 관련 요인의 주기적인 수행 정도와 강도, 기간 등을 고려하여 대상자가 일상에서 스스로 적용 가능한 운동이나 활동뿐만 아니라 사회심리적 요인까지 고려한 개별적 간호 접근이 필요하다. 특히,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암환자들은 반복적인 입원치료를 해야 하는 특성으로 퇴원 후 가정에서 손쉽게 활용 가능한 운동프로그램과 치료단계에 맞는 차별화된 교육시스템 개발이 변화된 상황과 치료과정에 적극적으로 대처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뇌졸중 환자와 주돌봄제공자의 스트레스, 자기효능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자기-상대방 상호의존 모형 적용

        최난영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5311

        목적 : 본 연구는 자기-상대방 상호의존 모형(APIM)에 근거하여 뇌졸중 환자와 주돌봄제공자의 스트레스, 자기효능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자기 효과와 상대방 효과를 파악함으로써 뇌졸중 환자와 주돌봄제공자의 삶의 질을 증가시키기 위한 간호중재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방법 : S시 K 상급종합병원의 신경과에 내원하여 뇌졸중으로 진단받고 회복 중인 환자와 주돌봄제공자 95쌍(190명)을 대상으로 2016년 7월 21일 부터 10월 31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5.0 및 Mplus 8.3 program을 이용하여 측정모형을 분석한 후 적합한 모형으로 판명되어 APIM 분석 기법으로 모형을 검증하였다. 결과 : 자기-상대방 상호의존 모형을 적용한 스트레스와 삶의 질 모형 적합도는 χ2 240.56, χ2/df 1.56, CFI .95, TLI .94, RMSEA .08 이었으며 권장수준 이상의 적합도를 가짐으로써 대상자의 삶의 질을 설명하기에 적합한 모형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 모형 적합도는 χ2 320.45, χ2/df 1.48, CFI .94, TLI .945 RMSEA .07 이었으며 권장수준 이상의 적합도를 가짐으로써 대상자의 삶의 질을 설명하기에 적합한 모형으로 나타났다. 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자기효과로 스트레스 β=-.99(p<.001), 자기효능감은 β=.61(p<.001)이 있었으며 상대방 효과는 주돌봄제공자의 스트레스 β=.09(p<.05)가 있었다. 주돌봄제공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과로 스트레스 β=-.71(p<.001), 자기효능감 β=.83(p<.001)이 있었으나, 상대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뇌졸중 환자와 주돌봄제공자는 상호작용을 하는 존재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주돌봄제공자의 스트레스는 상대방 효과가 크게 나타났으며 환자와 주돌봄제공자 상호간의 삶의 질 증가에 미치는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뇌졸중 환자와 주돌봄제공자의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간호중재 제공시 환자와 주돌봄제공자가 함께 참여하여 스트레스 관리 및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이 이루어졌을 때 서로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더 큰 효과를 미칠 것으로 생각한다.

      • 농촌지역 노인을 위한 IMB모델기반 호흡기 감염예방 교육 프로그램 효과

        양인숙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35295

        목적: 본 연구는 농촌지역 읍·면 단위에 거주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IMB 모델에 기반을 둔 호흡기 감염예방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농촌지역에 소재한 보건지료소를 방문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IMB 모델에 기반을 둔 호흡기 감염예방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유사 실험설계를 이용하였다. 연구기간은 2020년 7월 22일∼9월 4일로 6주간이었으며 대상자는 중재군 45명, 대조군 47명이었다. 중재군에게는 총 6주간의 이론강의, 실습, 집단토의, 개별 전화상담 등으로 구성된 호흡기 감염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였고 대조군에게는 자료수집을 마친 후 중재군에게 적용된 프로그램이 제공되었다. 두 군을 대상으로 사전과 사후에 호흡기 감염예방 지식, 건강태도, 호흡기 감염에 대한 지각된 위험, 호흡기 감염예방 자기효능감, 손씻기 및 호흡기위생 수행정도, 구강위생 수행정도에 대한 설문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호흡기 감염예방 교육 프로그램 중재 후 중재군은 대조군에 비해 호흡기 감염예방 지식(z=-2.32, p=.020), 건강태도(z=-2.65, p=.008), 호흡기 감염에 대한 지각된 위험(t=2.56, p=.012), 호흡기 감염예방 자기효능감(t=4.14, p=<.001), 손씻기 및 호흡기위생 수행정도(t=4.66, p=<.001), 구강위생 수행정도(t=2.97, p=.004)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본 연구에서는 농촌지역 읍·면 단위에 거주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IMB 모델에 기반을 둔 호흡기 감염예방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호흡기 감염예방 교육 프로그램은 대상자의 호흡기 감염예방 지식, 건강태도, 호흡기 감염에 대한 지각된 위험, 호흡기 감염예방 자기효능감 및 호흡기 감염 예방활동(손씻기 및 호흡기위생, 구강위생)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test the effects of an respiratory infection prevention education programs based on an IMB model for the older adults residing in rural areas of South Korea. Methods: I recruited participants from two public health care centers in rural towns for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respiratory infection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IMB model, this study adopted a pre and post-quasi-experimental design.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47 participants, and the intervention group did 45 participants. The intervention group received respiratory infection prevention education based on the IMB model for six weeks. The program included theoretical lectures, group discussions, and individual counseling by pho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measured using a survey questionnaire on respiratory infection prevention knowledge, health attitudes, perceived threat on respiratory infection, self-efficacy on respiratory infection prevention, performance on hand washing and respiratory hygiene, and performance on oral hygiene.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tervention group ha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respiratory infection prevention knowledge (z=-2.32, p=.020), health attitude (z=-2.65, p=.008), less perceived threat on the respiratory infection (t=2.56, p=.012), self-efficacy on respiratory infection prevention (t=4.14, p=<.001), degree of performance on hand washing and respiratory hygiene (t=4.66, p=<.001), and degree of performance on oral hygiene (t=2.97, p=.004)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is study tested the respiratory infection prevention education programs effects on older adults in rural areas. The result demonstrated its effects in increasing respiratory infection prevention knowledge, health attitude, perceived threat on respiratory infection, self-efficacy on respiratory infection prevention, performance on hand washing and respiratory hygiene, and performance on oral hygiene. Keywords : rural areas, respiratory infection, education program, Information-Motivation-Behavior model

      • 잠재계층성장분석을 활용한 알레르기질환 유아의 문제행동 변화유형 분석 : 한국아동패널 자료를 바탕으로

        손미선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35295

        본 연구는 알레르기질환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과 외현화 문제행동의 변화양상 유형을 분류하고, 생태학적 체계이론과 문제행동이론을 바탕으로 영향요인을 추출하여 각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한국아동패널 자료를 사용한 이차자료 분석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 5∼7차년도(2012∼2014년)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천식, 알레르기비염 및 아토피피부염 중 한 가지 이상의 알레르기질환을 진단받은 유아 8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알레르기질환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과 외현화 문제행동의 변화양상별 잠재계층을 분류하고 각 계층의 변화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R 3.6.1의 poLCA를 사용하여 각 문제행동의 변화도에 따라 계층을 분류하는 잠재계층성장분석을 실시하였다. 잠재계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기 위해 유아의 성별과 기질을 포함한 개인요인, 부모의 연령, 최종학력, 월평균 가구소득, 양육스트레스, 부부갈등, 가족상호작용을 포함한 가족요인, 또래요인인 또래상호작용, 사회적 지원과 지역사회의 전반적 양육 적절성을 포함한 지역사회요인을 투입한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을 위해 SPSS 26.0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알레르기질환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과 외현화 문제행동의 변화양상에 따른 잠재계층을 분석한 결과, 각 문제행동은 ‘악화형’, ‘완화형’, ‘변동형 1(감소-증가)’, ‘변동형 2(증가-감소)’ 및 ‘낮은 수준 지속형’, 5개의 집단으로 나뉘었다. 2) 각 잠재계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재화 문제행동의 경우 ‘낮은 수준 지속형’ 집단과 비교하여 ‘악화형’ 집단은 가족상호작용이 낮을수록 속할 확률이 증가하였으며, ‘완화형’ 집단은 유아의 정서성 기질이 높을수록, 사회성 기질이 낮을수록 속할 확률이 증가하였다. ‘변동형 1(감소-증가)’ 집단은 유아의 정서성 기질과 또래상호작용에서의 놀이단절 수준이 높을수록, 가족상호작용이 낮을수록 속할 확률이 증가하였으며, ‘변동형 2(증가-감소)’ 집단은 유아의 정서성 기질, 아버지의 학력, 또래상호작용에서의 놀이단절 수준이 높을수록, 사회성 기질이 낮을수록 속할 확률이 증가하였다. 둘째, 외현화 문제행동의 경우 ‘낮은 수준 지속형’ 집단과 비교하여 ‘악화형’ 집단은 유아가 남아일 경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지역사회가 양육에 적절하지 않을수록 속할 확률이 증가하였으며, ‘완화형’ 집단은 남아일 경우, 유아의 정서성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속할 확률이 증가하였다. ‘변동형 1(감소-증가)’ 집단은 유아의 정서성 기질이 높을수록 속할 확률이 증가하였으며, ‘변동형 2(증가-감소)’ 집단은 유아의 정서성 기질과 부부갈등 수준이 높을수록,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가족상호작용이 낮을수록 속할 확률이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의 변화양상이 ‘악화형’ 집단에 속하는 알레르기질환 유아는 문제행동 예방과 개입의 차원에서 가장 주목해야하는 고위험군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알레르기질환 유아의 생태학적 요인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를 통해 문제행동의 변화양상 유형별 특성에 맞는 중재를 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latent class of both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al problem trajectories in children with allergic diseases, and to investigate the predictors based on ecological systems theory and problem behavior theory for latent class of behavioral problems. This study used data from 2012∼2014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PSKC).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840 children aged 4∼6 years with asthma, allergic rhinitis, or atopic dermatitis. Children’s gender and temperament, parent’s age, education, monthly income, parenting stress, marital conflict, family interaction, peer interaction, social support, and appropriate parenting environment were included to ver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potential class.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LCGA) of R 3.6.1.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of SPSS 26.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trajectories of behavioral problems in children with allergic diseases were classified into five groups, that is ‘deteriorative’, ‘recovering’, ‘changing 1 (decreasing-increasing)’, ‘changing 2 (increasing-decreasing)’ and ‘low state persistent’ group. 2) The predictors for latent class of behavioral problems trajectories were as follows: First, The predictor for ‘deteriorative’ group of internalizing behavioral problem was family interaction. The predictors for ‘recovering’ group were emotional and social temperament of child. The predictors for ‘changing 1 ’ group were children’s emotional temperament, family interaction, and disconnection in peer interaction. And the predictors for ‘changing 2’ group were emotional and social temperament of child, father’s education, and disconnection in peer interaction. Second, The predictors for ‘deteriorative’ group of externalizing behavioral problem were children’s gender,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environment. The predictors for ‘recovering’ group were children’s gender and emotional temperament, and mother’s parenting stress. The predictors for ‘changing 1 (decreasing-increasing)’ group was children’s emotional temperament. And the predictors for ‘changing 2 (increasing-decreasing)’ group were children’s emotional temperament, marital conflict, father’s parenting stress, and family interact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children with allergic diseases in ‘deteriorative’ group are the high-risk group for prevention of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al problem. It is necessary to provide effective intervention for latent class of behavioral problems trajectory based on ecological factors to children with allergic dise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