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포괄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간호사의 간호업무와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이민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포괄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간호사의 간호업무 수행도, 중요도, 지식정도를 확인하여 간호업무의 실태를 파악하고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포괄간호서비스병원 1차 시범사업에 참여중인 5개 의료기관의 보호자 없는 병실에 근무하는 간호사 119명이었다. 일반적 특성, 간호업무별 수행도, 중요도, 지식정도,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으로 구성된 총 486문항의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포괄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간호사의 12개 간호업무영역(대분류)의 수행도는 ‘환자간호관리 및 정보관리’(4.23±0.65), 중요도는 ‘투약 및 수혈’(4.59±0.47), 지식정도는 ‘투약 및 수혈’(4.41±0.59)이 가장 높았다. 2. 포괄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간호사의 간호업무영역별 149개 간호업무(소분류)의 수행도는 ‘경구약 투약’(4.86±0.54), 중요도는 ‘의식상태 관찰’(4.86±0.42), 지식정도는 ‘활력징후 측정’(4.71±0.63)이 가장 높았다. 3. 포괄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는 평균 49.42±8.67점(점수범위 0∼100점)이다. 하위영역별 평균 점수는 ‘보상부적절’ 52.75±15.73점, ‘조직체계’ 51.4±13.3점, ‘직무자율성결여는 49.58±12.97점, ‘직무불안정’ 43.14±17점, ‘직무요구’ 43.14±17점, ‘관계갈등’ 29.51±14.64점이었다. 4. 포괄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간호사의 직무만족은 문항 평균 점수 2.78±0.793점(점수범위 1-5점)이다. 5. 포괄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은 서로 유의한 부적상관관계를 보였다(r=-.604, p<.001). 본 연구의 결과, 포괄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간호사의 간호업무 중 일상생활 보조업무의 수행이 증가하였으며 포괄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정도는 모두 낮았고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향후 포괄간호서비스병원의 간호업무 기준을 마련할 때 간호업무 실태를 파악한 본 연구의 결과가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포괄간호서비스병원의 효과적인 간호사 인력 관리를 위해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고 직무만족을 높이는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nurses’ work performance, importance, knowledge, the degree of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working in the hospital with no guardian. The sample of the study were 119 nurses, who work in the hospital with no guardian.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composed of 488 items: background characteristics, performance, importance, knowledge of nursing task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 21.0 to calculate frequencies,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ost frequently performed nursing task was patient nursing management and information management(4.23±0.65), the most importantly perceived nursing task was medication and transfusion(4.59±0.47) and the most knew nursing task was medication and transfusion(4.41±0.59) by nurse with no guardian. 2. The most frequently performed nursing activity was oral medication(4.86±0.54), the most importantly perceived nursing task was observating mental status(4.86±0.42) and the most knew nursing task was checking vital sign(4.71±0.63) by nurses working in the hospital with no guardian. 3. The mean score of nurses’ job stress was 49.42±8.67(possible range of score 0∼100). 4. The mean score of nurses’ job satisfaction was 2.78±0.793(possible range of score 1∼5). 5. Nurses’ job stres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job satisfaction(r=-.604, p<.001). The data indicated that nurses working in hospital with no guardian perform daily living assistance services more than before. The mean scores of nurse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were low. This study will be useful to establish for nursing standard of hospital with no guardian. And also, effective managements of nurses’ job stress and satisfaction need to be established.

      • 방문간호 및 주간관리 프로그램이 재가 만성정신질환자의 가족부담감과 가족지지도에 미치는 영향

        양순승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8719

        현대 사회는 경제중심의 산업화 정책으로 인한 급격한 변화에 따라 생활양식이 복잡해지고, 사회 문화적 환경과 더불어 건강에 대한 요구도 다양하게 변화되고 있다. 질병의 원인에 대해서도 유전적, 생화학적, 생물·생리학적 기전상의 결함 학설 외에 가족 상호관계나 사회 문화적 환경요인에 대한 학설이 날로 유력하게 대두되고 이에 따라 질병의 치유, 회복, 적응 과정의 변수로서 사회적 지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개인의 건강과 질병발생, 치료과정에 작용하는 사회적 지지의 자원인 가족의 역할은 대단히 중요한 요인으로 보고있으며 최근에는 가족상호작용, 역할구조, 의사소통 양상에 따라 개인의 정신건강에 장애가 생기기도 하며 또한 건강증진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견해에서 가족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전 세계 인구의 약 2%가 정신분열증과 같은 만성정신질환으로 이행되어 가는 것으로 간주되며, 만성정신질환자는 질병의 경과가 매우 길기 때문에 이를 위한 장기적인 치료 및 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들이 갖고 있는 정신사회 영역에서의 기능적인 장애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임상적 증상뿐 아니라 정신사회 측면의 포괄적인 재활이 요청되고 있다. 아울러 이들 만성정신질환자들이 지역사회 환경 내에서 보다 독립적이고 만족스럽게 살아갈 수 있도록 하고, 정신사회장애를 극복하여 사회에 복귀하도록 도와주는 체계적인 지역사회정신재활간호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환자를 포함하여 이들을 돌보는 가족원 전체를 대상으로 그들이 겪고 있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경제적, 영적 고통을 이해하며 가족들의 부담감을 감소시켜 환자에게 사회적응 및 재활에 필요한 지지를 제공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만성 정신질환자와 함께 거주하면서 환자를 돌보는 가족원이 지각한 부담감과 만성정신질환자가 지각한 가족의 지지도에 방문간호 및 주간관리 프로그램이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며, 가족부담감과 가족지지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설계는 사전·사후 단일군 반복측정 유사실험으로, 연구대상은 서울 시내 S보건소에서 진행되고 있는 UNDP Project인 지역사회정신재활간호 사업에 참여한 환자와 그 가족에 대한 자료 중에서 정규적인 방문간호와 주 3회 이상 주간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환자와 그 가족 50명의 자료를 임의표집하였다. 이들 자료는 1996년 7월 1일부터 1998년 8월말까지 수집되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참여전과 참여후 1년되는 시점의 가족부담감과 가족지지도에 대한 이차 자료(Secondary Data)를 이용하여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실수, 백분율, 평균(M)과 표준편차(S.D), Paired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등의 통계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구조화된 질문지로써 환자의 일반적 특성과 정신질환자 가족부담감 및 환자가 지각하는 가족의 지지도를 측정하는 내용을 포함하였다. 재가 만성정신질환자를 주로 돌보는 가족원이 지각하는 가족부담감을 측정한 도구는 Montgomery 등(1985)이 개발한 주관적, 객관적 부담감 측정도구를 수정·보완한 16문항으로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문항분석을 한 결과 내적일치도 α= .8958 이었고, 재가 만성정신질환자가 지각하는 가족의 지지도를 측정한 도구는 박지원(1985)이 개발한 사회적지지 측정도구 중 간접적으로 지각한 측정도구를 수정·보완한 25문항으로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문항분석을 한 결과 내적일치도 α= .9219 이었다. 연구자료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재가 만성정신질환자의 일반적 특성은 남자가 54%(27명), 연령은 30대가 32%(16명), 교육수준은 고졸 이상이 54%(25명)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어 재가 만성정신질환자의 대부분이 한창 활동기에 있는 고학력의 남자임을 알 수 있다. 환자의 직업은 무직이 80%(40명), 결혼상태는 미혼이 72%(36명)로 대부분 직업이 없는 미혼상태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진단명은 정신분열병이 64%(32명)로 가장 많았으며 이는 세계적인 추세와 비슷함을 알 수 있다. 46%(23명)의 기독교를 포함한 78%(39명)의 연구대상자가 종교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대부분의 만성정신질환자가 종교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환자 1인당 월 5만원 이하의 의료비를 지출하는 가족이 66%(33명)로 나타나 대부분의 환자들이 의료보호 수혜자인 대상자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었다. 주로 만성정신질환자를 돌보는 가족원은 부모가 78%(39명)로 가장 높아 대부분의 재가 만성정실질환자는 부모가 돌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16문항으로 구성된 가족부담감을 측정하는 도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문항분석을 한 결과 내적일치도 α = .8958으로써 신뢰도가 높아 모든 문항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가족부담감의 평균점수는 4점 척도로 사전조사에서 3.211점, 방문간호 및 주간관리 프로그램 참여 1년후 2.567점으로 감소되어 제 1 가설인 "재가 만성정신질환자의 가족부담감 점수는 방문간호 및 주간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보다 참여 1년후에 더 감소될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 -8.2568, p= .0001). 이 결과로 볼 때 방문간호 및 주간관리 프로그램이 가족부담감 감소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고 판단된다. 이는 환자가 방문간호 및 주간관리 프로그램 참여하기 때문에 가족원은 낮 시간동안에 환자를 돌보는 부담도 줄었고, 다양한 주간관리 프로그램을 통하여 환자 자신의 자가관리 및 일상생활기술이 증진되어 가족원의 부담이 줄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가족원도 가족교육 및 가족지지 모임에 참여함으로 환자로부터 받은 스트레스를 발산하며 교육내용을 통해 병에 대한 두려움이나 환자를 바라보는 시각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여 가족부담감이 줄었음을 알 수 있었다. 3. 25문항으로 구성된 가족지지도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문항분석을 한 결과 내적일치도 α = .9219로 신뢰도가 높게 나타나 모든 문항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재가 만성정신질환자가 지각한 가족지지도의 평균점수는 5점 척도로 사전조사에서 3.42점, 방문간호 및 주간관리 프로그램 참여 1년후 조사에서 3.52점으로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제 2 가설인 "재가 만성정신질환자가 지각하는 가족지지 점수는 방문간호 및 주간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보다 참여 1년후에 더 높을 것이다."는 기각되었다(t= 1.1484, p= .256). 이는 재가 만성정신질환자가 가족들의 지지를 긍정적으로 인정하고 받아들이데는 1년이상의 장시간을 요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4. 재가 만성정신질환자 가족이 느끼는 가족부담감과 환자가 지각하는 가족지지도와의 상관관계는 방문간호 및 주간관리 프로그램 참여 전에서는 없었으나 (γ= 0.0708, P= 0.6254), 방문간호 및 주간관리 프로그램 참여 1년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어 제 3가설인 "방문간호 및 주간관리 프로그램 참여 1년후 재가 만성정신질환자 가족부담감 점수가 낮을수록 환자가 지각하는 가족지지 점수는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γ= -0.2886, p=0.0421). 이는 방문간호 및 주간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재가 만성정신질환자의 가족부담감이 감소함에 따라 환자를 이해하고 지지해 주는 가족의 일관적인 행동이 증가하며, 환자는 질병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갖게되고 증상에 대해 적절한 대처를 할 수 있는 자신감을 갖게됨에 따라 증가된 가족의 지지행동을 긍정적으로 인정하고 수용하는 결과에 기인한 것으로 본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방문간호 및 주간관리 프로그램의 효과는 재가 만성정신질환자를 돌보는 가족원의 부담감을 줄이고 만성정신질환자가 지각하는 가족지지도를 높이는데 효과가 있음이 증명되었다. 또한 방문간호 및 주간관리 프로그램에 참여전보다 참여 1년 후의 가족부담감이 적을수록 환자가 지각한 가족지지도가 높아 방문간호 및 주간관리 프로그램의 효과가 크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방문간호 및 주간관리 프로그램은 환자와 가족 모두에게 실제적이고 체계적인 지지를 제공하며 지지의 강화를 통하여 재가 만성정신질환자 가족의 부담감을 감소시켜 삶의 질을 향상시키며, 환자에게는 정신재활을 통하여 사회적응을 도와주는 간호중재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community-based nursing intervention(hereinafter intervention) that include home visit and day care program for long-term psychiatric patients in the community. Original data include 314 participants of UNDP Project which implemented different rehabilitation care modalities for long-term psychiatric patients and their families. Of those data, 50 records were conveniently selected from sung-book community health care center and analyzed for this study. A quasi - experimental pre- and post intervention design was use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nursing intervention offered to long-term psychiatric patients. Duration between pre- and post- intervention was one year. Family burden was measured by Montgomery et al.(1985) and perceived family support was measured by the social support scale developed by Bak(1985). Both tools showed high reliability in term of Chronbach's alpha scores of .8958, .9219. Paired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s: Hypothesis 1 : ‘The post-intervention score of the family burden is lower than its pre-intervention score’was supported (t= -8.2568, p=0.0001). Hypothesis 2 : ‘The post-intervention score of the family support score perceived by patient is higher than it's pre-intervention score’was not supported (t=1.1484, p=0.256). Hypothesis 3 : ‘In the post-intervention the family burden score is negatively related to the family support perceived by the patient’was supported (γ= 0.2886, p=0.0421). I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community-based nursing intervention that include the home visit and day care program have a significant effects on decreasing family burden, but not on increasing the family support perceived by long-term psychiatric patients. This means that it takes longer than one year to change the family support perceived by the long-term psychiatric patients.

      • 가정용 인공호흡기(Home Ventilator)사용 환자의 간호 요구도

        송용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19

        국내에서 가정용 인공호흡기의 사용 환자가 1992년부터 점차로 늘어나고 있으며, 가정용 인공호흡기를 사용하는 환자들은 가정간호사나 가족의 도움에 의존하게 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간호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가정용 인공호흡기를 사용하는 환자들의 간호요구를 살펴보므로 퇴원 시 간호교육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 가정간호사들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가정용 인공호흡기를 사용하는 환자와 돌보는 사람의 간호요구도를 측정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기간은 2002년 9월 16일부터 2002년 10월 31일까지 이루어졌고, 연구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에 거주하며 2002년 7월 현재 가정에서 인공호흡기를 사용하는 성인환자와 돌보는 사람 중에서 이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를 한 사람으로 하였다. 연구절차는 가정에서 인공호흡기를 사용하는 환자 또는 간호제공자의 간호요구를 조사하기 위해 개발된 설문지를 가지고 대상자들을 방문하여 1:1 면담을 하였고, 방문을 원하지 않거나 여건이 안되는 경우에는 전화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설문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충분한 설명과 함께 이루어졌으며, 설문지 작성이 불가능한 대상자는 직접 연구자가 물음에 대한 대답을 기록하여 작성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PC+ 1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가정용 인공호흡기 사용 관련 특성 분포는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였고, 대상자의 간호요구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으며, 대상자 일반적 특성 및 가정용 인공호흡기 사용 관련 간호요구도의 차이는 t-test, ANOVA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들의 평균연령은 46세였으며, 성별로는 여자가 89.2%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학력은 고졸이 51.4%로 가장 많았고, 환자와의 관계는 배우자(43.2%), 자녀(40.5%), 부모(8.1%), 기타(8.1%)의 순이었다. 가정용 인공호흡기를 사용하는 환자의 질병그룹은 신경근육 장애가 75.7%으로 가장 많았고, 중추신경계 장애(16.2%), 호흡기 장애(8.1%) 순이었다. 사용기간은 1년 미만이 67.5%, 1년 이상 32.5%였다. 인공호흡기 사용 방법으로는 캐뉼라 이용이 75.7%이고 마스크 이용이 24.3%로 나타났다. 가정간호사 방문정도는 월 4회 미만이 40.5%, 월 4회 이상이 32.4%, 방문을 받지 않는 경우가 27%로 나타났다. 2. 간호요구도는 평균 4.21±.48점으로 높은 간호요구도를 보였다. 영역별 간호요구도의 평균점수는 응급상황 시의 간호가 4.46±.67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산소사용법 간호가 4.39±.63점, 인공호흡기 간호는 4.35±.42점, 기도유지 및 흡인 간호는 4.33±.67점, T-cannula 간호는 4.29±.78점, 질병에 관한 지식은 4.25±.51점, 체위변경 간호는 4.18 ±.62점, 운동 간호는 4.11±1.19점, 비위관(위관) 간호는 4.10±.66점, 감염예방 간호는 3.79±1.12점, 의사소통 간호는 3.25±1.65점의 순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간호요구도에서는 대상자가 중졸이하의 학력에서 질병에 관한 지식 영역(F=3.683, p=.036), 의사소통 간호 영역(F=7.745, p=.003)에서 유의하게 간호요구도가 낮았다. 환자와의 관계에서는 질병에 관한 지식의 간호 영역(F=5.572, p=.003)에서 간호요구도는 배우자, 자녀, 기타, 부모의 순으로 나타났다. 환자의 질병그룹에 따라 호흡기 환자들이 응급상황 시의 간호 영역(F=11.197, p=.000), 감염예방 간호 영역(F=4.045, p=0.27), 기도유지 및 흡인간호 영역(F=5.541, p=.009), 캐뉼라 간호 영역(F=5.674, p=.009), 위관 간호(F=4.432, p=.026), 산소사용법 간호 영역(F=12.441, p=.001)에서 간호요구도가 낮았다. 인공호흡기 의존 정도에 따라 부분적으로 의존하는 그룹이 감염예방 간호 영역(t=-3.625, p=.001)과 운동 간호 영역(t=-3.612, p=.030), 체위변경 간호 영역(t=-2.383, p=.024)에서 간호요구도가 낮았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연구를 토대로 가정용 인공호흡기를 사용할 대상자들에게는 응급상황 시의 간호, 산소사용법 간호, 인공호흡기 간호, 기도유지 및 흡인 간호에 대한 퇴원 전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가정간호사들에게도 이러한 간호요구도가 높은 내용을 알려주어 추후관리에도 참조할 수 있도록 하며, 질병에 관한 지식이나 의사소통 간호의 교육 시에는 간호제공자의 학력을 고려하여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고, 환자의 질병그룹에 따른 구별화 된 퇴원교육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The number of patients dependent on home ventilator in Korea have increased from one in 1992 to sixty-six in July of 2002 and this number is expected to increase in the future. The family members take care of the patients overall health as well as the monitoring of the respiration and provide the necessary nursing care. This study, by studying the requirements of the patient on home ventilator and the family member who provide the nursing, was intend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in this subject so it may contribute to better and more accurate nursing and education prior to discharge. The study was performed between September 16 and October 31, 2002. The study population comprised of adult patients on home ventilator in Seoul or Kyung-Gi province or their family members who were willing to participate in this survey. The survey was performed with a questionnaire developed to assess the nursing needs of the patient and the care-giver of the home ventilator by a interviewer who visited the family in person. If the patient or the family refused or could not be visited, the survey was performed through the telephone. Plenty of explanations were given, and when the patient was unable to fill out the questionnaire themselves, their response were recorded by the interview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mean age of caregiver was 46, Most of them were female(89.2%) and degree of high-school graduation(51.4%). The relationship of them with patients was spouse(43,2%), children(40.5%), parents(8.1%), and others(8.1%), in order. The patients were assisted by home ventilator due to a variety of disease such as neuromuscular disorder(75.7%), CNS disorder(16.2%), and respiratory disorder(8.1%). The duration of usage of home ventilator by patients was mostly less than 1 year(67.5%), and some patients have been using home ventilator more than 1 year(32.5%). The applying methods of home ventilator were T-cannula(75.7%) and mask(24.3%). The numbers of visiting by home-visiting nurser were less than 4(40.5%), 4 or more than(32.4%) in a month, respectively. However, no visit was done in some patientsl(27%). 2. Overall the scores of the need of nursing care on the patient with home ventilator was 4.21±.48 in overall. In analysis of the each section, the need of nursing care was highest in the emergency situation(4.46±.67), and the scores of others are as follows: usage of oxygen(4.39±.63), home ventilator(4.35±.42), airway management with prevention of aspiration (4.33±.67), T-cannula care(4.29±.78), knowledge of the disease(4.25±.51), position change(4.18±.62), patient's excercise(4.11±1.19), nasogastric (gastric) tube(4.10±.66), prevention of infection(3.79±1.12), communication with patients(3.25±1.65). In this study, the highest score of the need of nursing care was in immediate management for airway obstruction(4.97±.34). When the power was failed, the score of need of nursing care was 4.84±.55, and when the ventilator was out of order, the score was 4.68±.78. These two situations were not belong to the territory of nursing care. In addition, there were high level of needs of nursing care for knowledge of disease such as patient's medical problem(4.68±.47) and the importance of airway management(4.68±.60). 3. The requirement for nursing care by care-giver was low in those with degree of junior or middle school graduations. The score of needs of nursing care were low in aspects of knowledge of disease(F=3.683, p=0.036) and patient's communication(F=7.745, p=.003). The needs of nursing care for knowledge of the disease were high in spouse, children, others, and parents, in order(F=5.572, p=.003). In patients with respiratory disease, the needs of nursing care were low in the emergency situation (F=11.197, p=.000), prevention of infection(F=4.045, p=.27), airway management with prevention of aspiration(F=5.541, p=.009), T-cannula care(F=5.674, p=.009), nasogastric(gastric) tube(F=4.432, p=.026), and usage of oxygen(F=12.441, p=.001). According to the dependency of home ventilator, there were low needs of nursing care in prevention of infection (t=-3.625, p=.001), patient's excercise(t=-3.612, p=.030), and position change(t=-2.383, p=0.024).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urvey, we conclude that education must be done prior to discharge on the subjects that scored high in the nursing needs questionnaire to prevent many of the problems that can arise when nursing a home ventilator patient. Also, individual variation in the nursing needs was observed based on the patient and the care-givers educational status, disease entity, degree of dependence on the ventilator, and we think an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taking this variability into consideration is required prior to dischage in order for a satisfactory nursing to be performed at home.

      • 입원한 아동에게 제공되는 간호의 질 측정도구 개발

        조해련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8719

        환자의 눈을 통한 간호의 질(QUality Of care Through patients' Eyes, QUOTE)은 환자와 가족 중심 간호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또한 QUOTE는 환자와 가족의 요구에 적합한 간호를 제공하도록 하고, 더 나아가 간호의 질 개선 및 향상을 도모한다. 그러나 아동과 가족 중심 간호를 표방하는 아동 간호를 측정하는 QUOTE 도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입원한 아동에게 제공되는 환자와 가족 중심 간호의 질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이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정하기 위해 방법론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아동 간호의 철학인 환자와 가족 중심 간호와 이를 측정할 수 있는 QUOTE를 개념적 기틀로 하고, DeVellis의 도구개발 지침에 따라 수행하였다. 문헌고찰, 개인 면담, 초점집단 면담을 통해 도구의 구성요소를 확인하였고, 44개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내용타당도는 8인의 전문가 집단에게 2차례 검정을 받았다. 그리고 입원한 아동에게 제공되는 간호를 경험한 보호자 5인의 안면타당도를 검정하여 22개의 최종 예비문항을 선정하였다. 소아병동에 입원한 환아 보호자 24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시행하여 문항의 오류를 검토하였다. 본 조사는 서울·경기도, 전라도·충청도, 강원도·경상도 별로 표집하여 226부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응답이 불완전한 설문지 5부를 제외하고 총 221부 설문자료로 구성타당도, 준거타당도, 신뢰도를 검정하였다. 구성타당도를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에서 3문항 삭제 후 19개 문항으로 주성분분석을 실시한 결과, 4개의 요인이 도출되었고 각각의 요인은 `존중', `설명', `친절', `숙련'이라고 명명하였다. 이 요인은 본 연구의 개념적 기틀인 입원한 아동에게 제공되는 간호의 질 속성을 내포하였다. 4개 요인의 누적설명력은 70.68%로 충분한 설명력을 보였다. 준거타당도를 위해 아동 가족 만족도와 돌봄 정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개발한 도구의 4개 요인도 각각 아동 가족 만족도 및 돌봄 정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준거타당도 역시 확보하였다. 신뢰도 검정을 위해 내적일관성, 문항의 반분신뢰도, 표본의 반분신뢰도를 확인하였다. 전체 19문항의 중요성과 수행 Cronbach's α값, 각 요인별 중요성과 수행의 Cronbach's α값, 문항을 전후법과 기우법으로 나눈 중요성과 수행의 Spearman-Brown 계수, 110개 자료의 19문항에 대한 중요성과 수행의 Cronbach's α값이 적합한 수준으로 측정되어 도구의 안정성을 확보하였다. 이와 같이 타당도와 신뢰도가 양호한 수준으로 검정된 입원한 아동에게 제공되는 간호의 질 측정도구는 환자와 가족 중심 간호의 속성과 한국 사회·문화적 환경에서 환자와 가족이 요구하는 아동 간호를 반영하였고, QUOTE 평가 방법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입원한 아동에게 제공되는 간호의 질을 종합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입원한 아동과 가족을 대상으로 한 실무 및 연구 영역에서 폭 넓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The QUality Of care Through the patients' Eyes (QUOTE) could evaluate the patient- and family-centered care (PFCC). PFCC has become the philosophy in pediatric nur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strument that evaluates QUOTE for hospitalized children in South Korea, and examine the evidence of validity and reliability. After conducting a literature review,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and focus group interviews, an item pool was generated. These items were reviewed by eight experts to determine content validity, and face validity was examined by five care givers; twenty-two preliminary items were then selected. The level of feasibility and comprehension of these items was evaluated using a pilot survey. To tes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21 care givers of hospitalized children.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1.0. Construct validity was examined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ith varimax rotation.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of the Pediatric Family Satisfaction Questionnaire and Caring Tool was used to assess criterion validity. Internal consistency was estimated using Cronbach's alpha and the Spearman-Brown coefficient for split-half reliability. Construct validity was evaluated using factor analysis. Factor analysis yielded the 19 items in four factors including 1) respect, 2) explanation, 3) kindness, and 4) skillfulness, with a cumulative explanatory variance of 70.68%. The result supported four attributes which were identified in a theoretical framework; dignity and respect, explanation, participation and collaboration, and nursing practice. For criterion-related validit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he quality of care and the pediatric family satisfaction and between the quality of care and the measurement tool of caring. For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the Cronbach's α was .93 (importance) and .95 (performance) for the overall instrument. The half split reliability were .86, .95 (importance) and .92, .97 (performance). The Cronbach's α of 110 data was .92 (importance) and .94 (performance). This instrument was found to have good validity and reliability as a measure of quality of care for hospitalized children. This measure was unique in that it was designed considering attributes of quality of care for hospitalized children (PFCC & QUOTE) of diverse pediatric care needs of cultural backgrounds in Korean society.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can use this instrument to systematically assess quality of care for hospitalized children and identify areas of support for hospitalized children and their family.

      • 간호학생의 비경구 투약에 대한 임상실습경험

        박금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8719

        최근 단기간에 걸친 간호대학의 양적인 팽창으로 간호교육의 질적인 수준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환자 권리와 안전 의식이 강화되면서 임상현장에서 간호학생들의 직접적인 실습 참여가 어려워지고 있다. 투약은 간호업무 중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간호활동이며, 특히 비경구 투약은 침습적인 간호활동으로서 간호지식과 간호술기를 통합하여 임상 상황에 적용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임상실습 현장에서 간호학생이 어떻게 비경구 투약을 하게 되며, 비경구 투약을 통해 얻는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가를 탐구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임상현장에서 비경구 투약을 경험한 간호학과 4학년 학생 41명이며, 자료수집 기간은 포커스 그룹 면담을 위해서는 2011년 8월 2일부터 9월 30일까지, 일대일 면담을 위해서는 2013년 5월 27일부터 9월 30일까지였다. 자료수집은 그룹 당 3명에서 7명으로 구성된 8개의 포커스 그룹 면담 35명과 일대일 심층 면담 6명을 이용하여 자료가 포화될 때까지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Giorgi (2009)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분석절차에 따라 연구 참여자의 기술을 의미단위로 나누고 이를 학문적 용어로 전환하여 구성요소로 범주화하였다. 간호학생이 임상현장에서 경험하는 비경구 투약의 의미는 5개의 구성요소와 17개의 하위 구성요소로 도출되었다. 비경구 투약경험에 대한 의미의 첫 번째 구성요소는 ‘투약실습의 기회를 얻고자 노력함’ 이었으며 이에 대한 하위 구성요소는 ‘간호사의 실습지도에 대한 적극성 정도를 탐색함’, ‘투약을 준비하는 간호사에게 도움을 제공함’, ‘간호사의 관심을 끌기 위해 질문을 시도함’ 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구성요소는 ‘투약에 대한 환자와 간호사의 우려속에서 위축됨’ 으로 하위 구성요소는 ‘학생의 투약으로 환자에게 문제가 생길까봐 두려움’, ‘학생실습을 꺼려하는 환자에게 다가가기 어려움’, ‘실습 지도를 부담스러워 하는 간호사의 눈치를 봄’, ‘투약지체가 간호업무를 방해하는 것 같아 미안함’ 이었다. 세 번째 구성요소는 ‘투약을 실수하지 않기 위해 연습함’ 으로 이에 대한 하위 구성요소는 ‘투약물품을 익숙하기 위해 미리 다루어 봄’, ‘친구와 가족을 대상으로 주사 삽입을 연습함’, ‘투약 실수를 통해 경각심을 가지고 배움’ 이었다. 네 번째 구성요소는 ‘투약실습에 부분적으로 참여함’ 으로 하위 구성요소로는 ‘약물 준비과정에서부터 무균술이 중요함을 깨달음’, ‘정확한 약물 용량 계산에 주의함’, ‘약물 주입에 대한 기술을 터득함’, ‘투약 결과에 대한 환자의 반응을 확인함’ 이었다. 마지막 다섯 번째 구성요소는 ‘주위의 긍정적인 반응으로 투약에 자신감이 생김’ 이었고 이에 대한 하위 구성요소는 ‘간호사의 피드백으로 투약에 지지를 얻음’, ‘실습 기회를 준 간호사의 신뢰에 자부심을 가짐’, ‘환자의 투약설명 요청에 당당해짐’ 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간호학생은 투약실습을 경험하기 위해 간호사의 눈에 뜨이는 적극적인 태도를 취할 때 투약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 그러나 투약을 수행하는 과정 또한 간호학생을 바라보는 주위의 시선으로 인해 긴장과 경각심을 갖는 등 편안하지 않은 환경이었지만 투약과정을 미리 익히고 반복적인 연습을 통해 투약실습에 참여하고 간호사로부터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을 때 투약을 해냈다는 자신감을 가질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임상현장에서 비경구 투약에 참여하는 간호학생의 적극적인 태도를 격려하고 투약결과에 대한 임상현장에서의 정확한 피드백이 간호학생에게 투약실습에 대한 동기부여가 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As the demands of quantitative level of the quality of nursing education is increased because of the short-term expansion of the College of Nursing in recent years, and patient rights and safety awareness are enhanced, it became difficult to perform direct practice as a nursing student in the clinical fiel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the nursing students get the medication administration opportunity in clinical field and what is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s gained from medication administration. The participants were 41 Grade 4 students in the College of Nursing who experienced parenteral medication administration in the clinical field, an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August 2 to September 30 in year 2011 and May 27 to September 30 in year 2013, by focus group interviews an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until it was saturated.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the method of phenomenological analysis by Giorgi (2009), participants’ descriptions are divided into meaning units and categorized into constituents after transformed into disciplinary expressions. The meanings of nursing students' medication administration experiences during clinical practice were extracted as 5 constituents and 17 sub-constituents. First constituent was ‘make an effort to obtain the opportunity of medication administration’ and its sub-constituents were ‘explore the level of positiveness for teaching practice’, ‘help nurses to prepare medications’, ‘ask questions to draw nurse's attention’. Second constituent was ‘intimidated in patients’ and nurses’ concerns for the medication administration’, and its sub-constituents were ‘be afraid of the problems which might cause to patients by nursing student’s medication administration’, ‘have a difficulty to approach the reluctant patient’, ‘read nurse’s countenance who is uncomfortable with student’, ‘feel sorry because student's delaying medication administration might interrupt the nurse's task’. Third constituent was ‘train to prevent the mistakes from medication administration’, and its sub-constituents were ‘try to handle the needed supplies for medication administration in advance to be good at’, ‘practice with friends and family for inserting a needle’, ‘learn from having a consciousness through mistake experiences’. Forth constituent was ‘participate in the partial process for medication administration’, and its sub-constituents were ‘realize to apply aseptic technique during the process of preparing medications’, ‘pay attention to calculate the medication dose accurately’, ‘acquire the technique during the process of preparing medication’, ‘check the patients’ response for result of the medication administration’. Lastly, the fifth constituent was ‘have self-confidence because of the positive response of others’, and its sub-constituents were ‘have support in performing medication administration with nurse's feedback’, ‘be proud of oneself for nurses’ trust to offer an opportunity of practice’, ‘be dignified for patients’ request for explaining about medicat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that it confirmed the necessity of structured and systematical education of medication administration practice in clinical field by presenting the general structure of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in the medication administration by exploring the meanings of medication administration experiences performed in clinical practice. These findings had provided preliminary data to develop the programs for medication administration practice required in clinical practice curriculum and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of nursing students.

      •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의 고위험신생아 임종간호 스트레스

        장수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19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를 파악하고 이를 해소 및 완화시키기 위한 전략을 위해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서울특별시 및 경기도에 소재한 신생아중환자실을 운영하고 있는 3개 대학병원의 신생아중환자실에 근무경험이 있고, 임종간호를 1회 이상 경험한 68명의 간호사로 자료수집기간은 2012년 11월 21일부터 12월 5일까지였다. 연구도구는 연구자가 문헌고찰과 임상경험을 기반으로 개발하였으며 지식 부족, 임종간호수행 관련 어려움, 심리적 어려움, 물리적 환경 및 체계 부족의 4개요인의 총 29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전문가집단에 의한 내용타당도와 요인분석으로 구성타당도를 검증했고,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865 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5.0 windows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와 t-test, ANOVA, LSD 등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 정도는 5점 만점에 3.90(±.33) 으로 높게 나타났다. 요인별로 보면 임종간호수행 관련 어려움 4.04(±.51), 지식 부족 3.99(±.52), 물리적 환경 및 체계부족 3.86(±.50), 심리적 어려움 3.71(±1.0) 순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 스트레스 정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임종간호 스트레스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지식 부족 요인에서는 연령에 따라 임종간호 스트레스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F=6.95, p<.01), 20세~25세 미만 군 4.18(±.43)과 25세~30세 미만 군 4.11(±.35)이 30세 이상 군 3.66(±.66)보다 임종간호 스트레스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결혼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F=2.22, p<.05), 미혼 4.08(±.44)이 기혼 3.77(±.66)보다 임종간호 스트레스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4. 심리적 어려움 요인에서는 연령에 따라 임종간호 스트레스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F=4.82, p<.05), 25세~30세 미만인 군 3.92(±.48)에서 임종간호 스트레스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 정도가 높게 나타났고, 이러한 높은 임종간호 스트레스는 간호사들을 소극적이고 업무만족의 저하로 이어져 소진에 이르게 하며, 임종하는 신생아와 그 가족에게 질적이고 효과적인 임종간호를 수행하는데 장애요인이 된다. 그러므로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를 파악하고 이를 해소 및 완화시킬 수 있는 적절한 중재와 지원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stress of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urses who provide care for high risk newborn. The participants were 68 nurses of three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and Gyeongi-do, from November 21 through December 5, 2012. They had experienced working at NICU and the End-of-Life care for the newborn more than once. Based on the literature, preceding researches and clinical experience, the stress tool were developed. It consisted of 29 questions in four factors, including the lack of knowledge, difficulties related to end-of life care practice, emotional stress, and lack of physical and structural environment. Content and structure validity by the experts via factor analysis were verified(Cronbach's α=.855). Data were analyzed by SPSS 15.0 window program for frequency, percentag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and LS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stress relating end-of life care was 3.90(±.33) out of 5. The cause of the highest stress was the difficulties related to End-of life nursing practice 4.04(±.51), followed by the lack of knowledge 3.99(±.52), lack of physical and structural environment 3.86(±.50), and emotional stress 3.71±(1.0), respectively. 2. The results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nurses' stress level and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howe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ose two variables, except for the work experience of nurses. 3. In the cause of the lack of knowledg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ress level of End-of-life care according to their age (F=6.95, p<.01), the stress level of the age group of 20 to 25 4.18(±.43) and the age group of 25 to 30 4.11(±.35) was higher than the age group of over 30 3.66(±.66). And there also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marital status (F=2.22, p<.05), the stress level of unmarried 4.08(±44) was higher than married 3.77(±.66). 4. In the cause of the emotional stres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ress level of End-of-life care according to their age (F=4.82, p<.05), the stress level of the age group of 25 to 30 3.92(±.48) showed the highest level among other age group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NICU nurses experienced a high level of stress caused by end-of life care for the newborn. Which in turn led them from active quality care to passive and unsatisfactory work patterns and finally burnout. Therefore it would be recommend that identifying the major stressor threatening nurses' work performance and having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ies.

      • 특수부서 남녀 간호사의 감정노동, 회복탄력성, 직무스트레스 비교연구

        이윤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특수부서 남녀 간호사의 감정노동, 회복탄력성, 직무스트레스 차이를 파악하고 이들의 관계를 비교하기 위한 서술적 비교조사 연구이다. 서울, 대전, 부산, 인천, 경기 지역의 10개 종합병원 및 상급종합병원의 남자간호사 107명과 여자간호사 11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 기간은 2014년 4월 1일부터 5월 30일까지였다. 감정노동은 Morris와 Feldman(1996)이 개발한 도구를 기초로 김민주(1998)가 수정, 보완한 도구로 측정하였고 회복탄력성은 Connor와 Davidson(2003)이 개발한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CD-RISC)을 백현숙, 이경욱, 주은정, 이미영과 최경숙(2010)이 번안, 타당화한 한국형 회복탄력성(Korean Version of th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K-CD-RISC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직무스트레스는 김매자와 구미옥(1984)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WIN 23.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각 변수의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정노동, 회복탄력성,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는 t-test, ANOVA로 분석하였으며 사후검증은 Scheffe test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감정노동, 회복탄력성,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고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남녀 간호사의 평균연령은 남자 28.54±4.88세, 여자 28.92±4.57세로 전문학사졸업이 남자 50.5%, 여자 56%이었다. 총 임상경력은 평균 남자 60.22±56.75개월, 여자 61.60±55.94개월이었으며 현 근무지 경력은 평균 남자 49.61±47.78개월, 여자 42.37±36.29개월로 나타났다. 근무시간은 10시간-11시간 미만인 간호사가 남자 43.9%, 여자 52.6%로 가장 많았다. 2. 남녀 간호사의 감정노동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t=-2.140, p=.033), 남자간호사 3.27±0.64점, 여자간호사 3.44±0.53점으로 여자간호사가 남자간호사보다 감정노동 정도가 높았다. 남녀 간호사의 감정노동은 연령(남자 F=3.73, p=.014, 여자 F=4.49, p=.005), 결혼상태(남자 F=7.24, p=.008, 여자 F=4.47, p=.031), 총 임상경력(남자 F=2.55, p=.044, 여자 F=4.42, p=.002), 근무부서(남자 F=14.99, p<.001, 여자 F=15.74,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3. 남녀 간호사의 회복탄력성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t=3.918, p<.001), 남자간호사 3.58±0.43점, 여자간호사 3.36±0.39점으로 남자간호사가 여자간호사보다 회복탄력성 정도가 높았다. 남녀 간호사의 회복탄력성은 결혼상태(남자 F=5.25, p=.024, 여자 F=10.20, p=.002)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여자간호사의 경우 연령(F=2.76, p=.045)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4. 남녀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792, p=.429). 하부요인 중 성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수는 밤 근무(t=-6.139, p<.001)로 여자간호사가 밤 근무로 인한 스트레스 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남자 2.69±1.14점, 여자 3.57±0.99점). 남녀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연령(남자 F=6.37, p=.001, 여자 F=3.46, p=.019), 총 임상경력(남자 F=3.70, p=.007, 여자 F=4.63, p=.002)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남자간호사의 경우 결혼상태(F=9.79, p=.002), 현 근무지 경력(F=3.86, p=.006)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5. 남녀 간호사의 감정노동은 직무스트레스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남 r=.552, p<.001, 여 r=.482, p<.001). 남자간호사의 감정노동은 회복탄력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210, p=.030). 6. 남녀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감정노동으로 나타났다(β=.524, p<.001).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특수부서 남자간호사의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감정노동은 낮아지고 남녀 간호사의 감정노동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녀 간호사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나 직무스트레스 감소를 위해 업무특성을 고려한 감정관리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게다가 여자간호사가 남자간호사보다 감정노동 정도가 높았으므로 여자간호사를 위한 다양한 관리전략과 제도적 지원이 요구된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descriptive correlation between relevant factors including emotional labor, resilience, and job stress for both male and female nurses working in special departments, and grasp how these factors are influential to a varied level depending on their gender. It also attempts to provide baseline data for establishment of efficient labor management planning that considers the gender quality of male and female nurses.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a group of total 116 female and 107 male nurses from General Hospitals and Advanced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Seoul, Daejeon, Busan, Incheon, and Gyeonggi-do. The period of data collection was between April 1st, 2014 and May 30th, 2014. This study also used a structured survey for data collection with sections designated for general traits, emotional labor, Korean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K-CD-RISC), and a measurement tool for job stress. The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 WIN 23.0 Program.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1. Average age of the objects was 28.54±4.88 for male and 28.92±4.57 for female. Among them, 50.5% of the male group had college degrees while 56% of the female had the degrees of the same level. Total clinical experience for male was 60.22±56.75 months, whereas for female, it was 61.60±55.94 months. Service years for the current job turned out to be 49.61±47.78 months for male and 42.37±36.29 months for female. As for working hours, the scope between 10-11 hours made up the most portion with 43.9% for male, and 52.6% for female. 2. Emotional labor signified a notable level of difference depending on gender (t=-2.140, p=.033) with the average of 3.27±0.64 points for males, and 3.44±0.53 for females. The female group showed slightly higher emotional labor level. Also, this factor showed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ge of male and female nurses(Male F=3.73, p=.014, Female F=4.49, p=.005), marital status(Male F=7.24, p=.008, Female F=4.47, p=.031), total years of clinical services(Male F=2.55, p=.044, Female F=4.42, p=.002) and working department(Male F=14.99, p<.001, Female F=15.74, p<.001). 2. Resilience had a notable difference depending on gender(t=3.918, p<.001) with the average of 3.58±0.43 points for male nurses, and 3.36±0.39 points for female, representing higher resilience for male nurses. Also, the resilience factor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nurses’ marital status(Male F=5.25, p=.024, Female F=10.20, p=.002), and for female nurses, age was another factor that impacts the resilience(F=2.76, p=.045). 3. Job stress for male nurses turned out to be 3.28±0.66 points, and 3.34±0.49 points for female on average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gender (t=-.792, p=.429). Among the sub factors, a meaningful difference was observed for the variable of night shift work(t=-6.139, p<.001) with the female being more stressed about it(Male 2.69±1.14 points, Female 3.57±0.99 points). However, job stress was relevant to the age(Male F=6.37, p=.001, Female F=3.46, p=.019) and total years of clinical service(Male F=3.70, p=.007, Female F=4.63, p=.002), and male nurses’ job stress was also influenced by their marital status(F=9.79, p=.002) and their service years at current workplace(F=3.86, p=.006). 4. Emotional labor factor for both male and female nurse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statistically(Male r=.552, p<.001, Female r=.482, p<.001). Emotional labor of male nurse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resilience factor to a significant level(r=-.210, p=.030). 5. A major factor that influences the job stress for both female and male nurses is emotional labor(β=.524, p<.001). From the research as above, this study has shown that, as the resilience of male nurses in special departments becomes larger, their emotional labor level goes down, while if the emotional labor factor becomes stronger for male and female nurses, their job stress becomes larger. Also, the emotional labor was proven to be one of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for job stress, which results in the need for an emotion management program to decrease such job stress. Additionally, as female nurses are observed to deal with a higher intensity for emotional labor, it is required to establish various management strategies and systematic support to take care of their stress level caused by the emotional labor factor.

      • 간호사의 감정노동 측정도구 개발

        홍지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719

        임상현장에서 간호사는 환자와 상호작용하면서 자신의 감정을 사용해야 하는 감정노동을 경험하게 된다. 간호사의 감정노동이 임상현장에서 제대로 평가받고 관리되기 위해서는 그 현상과 정도를 정확하게 파악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국내 간호사의 감정노동을 측정하는 데에 사용된 도구들은 간호전문직 속성이 반영된 감정노동을 측정하기에는 제한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사가 환자와 상호작용하면서 경험하는 감정노동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이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먼저 문헌고찰과 경력단계별 초점집단 및 개별 면담결과를 분석하여 개념적 틀을 마련하였고 이에 따라 총 33개의 예비문항을 추출하였으며, 2회의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정을 거쳐 본 조사를 위한 최종 25문항을 선정하였다. 국문학자의 자문과 예비조사를 통해 선정된 문항을 일부 수정한 후 확정된 25문항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도권 지역 4개 종합병원, 4개 상급종합병원 간호사 3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이 중 304부의 자료를 사용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정하였다. 구성타당도 검정을 위해 문항분석, 요인분석, 총점-요인 간 상관관계, 집단비교법을 사용하였다. 고전검사이론에 따라 문항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3개 요인, 16문항이 도출되었다. 3개 요인의 설명분산은 52.13%로 개발된 도구는 간호사의 감정노동을 충분히 설명하고 있었다. 제 1요인은 7개 문항으로 ‘전문직 감정조절 노력’, 제 2요인은 5개 문항으로 ‘대상자 중심 감정억제’, 제 3요인은 4개 문항으로 ‘규범에 의한 감정가장’으로 명명하였다. 최종도구의 각 요인의 점수와 총점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집단비교법을 사용한 타당도 검정 결과 경력단계, 직위, 간호직 만족도, 교대근무 여부 등 4가지 변수별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구성타당도가 검정되었다. 준거타당도 검정을 위해 Emotional Labor Scale(Brotheridge & Lee, 2003)과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상관계수는 .63(p<.001)으로 개발된 측정도구의 타당도가 입증되었다. 내적일관성 신뢰도 검정 결과 Cronbach's α 계수는 .81, 반분신뢰도 검정 결과 .84로 도구의 안정성과 일관성이 확보되었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간호사의 감정노동 측정도구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모두 검정된 도구로서 간호전문직 특성과 우리나라 문화적 특성이 반영되었으므로 전문직 간호사로서 임상현장에서 경험하는 감정노동을 타당하고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실무 현장의 효율적인 감정노동 관리전략 마련과 대학 내 간호학생의 간호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Nurses get through emotional labor of using their emotion while they interact with patients at the clinical field. In order for nurses' emotional labor to be appreciated and managed, the phenomena and degree should be understood accurately. However, the tools used to measure their emotional labor in Korea have limit to measure the emotional labor with the profession's characteristics reflect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instrument to measure the emotional labor that nurses experience in the middle of interaction with patients in clinical settings, and to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tool. To lay the conceptual framework, this study looked into literatures and had interviews with focus group and individuals according to their career, and drew a total of 33 preliminary items. After two times of content validity examination made by experts, 25 items were finally chosen for this study. The chosen questions were partially changed on the basis of consultation of a scholar of Korean literature and preliminary survey, and the confirmed 25 items were applied for data collection. The questionnaire survey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320 nurses working at four general hospitals and four tertiary hospitals in metropolitan areas. Among them, 304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used to examine validity and reliability. For construct validity, we used item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between total points and factor, and group comparison method. In accordance with classical testing theory, item analysis was conducted. As the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ree factors and 16 items were drawn. The explanatory variance of three factors was 52.13%, which means that the developed scale explained nurses' emotional labor sufficiently. The 1st factor included 7 items, which was named ‘emotional modulation efforts in profession’. The 2nd factor had 5 items, which was named ‘patient-focused emotional suppression’. The 3rd factor consisted of 4 items, which was named ‘emotional pretense by norms’. The result of correlation between points of each factor and total point show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The result of construct validity with the group comparison method used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for 4 variables including experience level, position, job satisfaction and shifts. The result of correlation with Emotional Labor Scale(Brotheridge & Lee, 2003) for criterion validity showe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63(p<.001), which proved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measurement tool. As a result of a reliability test about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s α coefficient was .81. As a result of a split-half reliability test, a coefficient was .84, so stability and consistency of the tool were secured. Given all, the scale to measure nurses' emotional labor, developed in this study, was proved to have validity and reliability, and reflected the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of nursing and Korean cultural characteristics. Therefore, this scale can be used to measure nurses' emotional labor in clinical settings in valid and reliable ways. In addition, based on the measured results, it is possible to contribute to coming up with an efficient strategy to manage emotional labor in nursing settings and developing the education program to enhance nursing competency related to emotional labor in college and university.

      • 입원 환자의 간호서비스 품질에 대한 기대 및 만족도와 병원 재이용 의사에 관한 연구

        서미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19

        As the health care market has been enlarged, every medical institute is equipped with state-of-the-art medical equipment to lure more patients. In order to ensure the revisit of patients, their expectations for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 and satisfaction with that should accurately be grasped. Satisfactory nursing service leads to the revisit of patients, which will, in turn, guarantee hospitals a larger profi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atients' expectations for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 their satisfaction level with that, and the relationship of their expectation and satisfaction level to revisit intention in a bid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 on hospital profit. And it's also meant to accentuate the importance of nursing service quality and its relationship to the revisit intention of patien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50 inpatients in two different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y were going to be released from the hospitals in a day. A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10 through 27, 2007, and the answer sheets from 315 patients were gather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SPSS WIN 13.0 program was utilized, and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percent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obtained. Besides,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employed.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In regard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including gender and age, the women outnumbered the men, and those who were in their 40s made up the largest age group. By education and monthly mean income, many were high school graduates. 114 patients(39.3%) had a monthly mean income of less than 1.5 million won, and 67 patients earned less than 2.5 to 3.5 million won a month. 140 patients(15.2%) received treatment in a medical ward, and 74 patients(23.9%) were hospitalized in a surgery ward. 21 patients(6.8%) received treatment in obstetrics and gynecology. By the length of stay, more than half stayed in the hospitals for a short period of time, which was a week or less. 2. Concerning their characteristics related to nursing service including the reason of choosing the hospitals, 102 patients(32.7%), the largest percentage, made that choice through the recommendation of others. More than half hoped for a separate nursing service, as 216 patients (69%) wanted to receive a separate nursing service and 97 patients(31%) didn't. 140 patients(90.4%), the greatest percentage, found it advisable to pay 30 or 50 thousand won for the separate nursing service. 3. As for connections betwee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expectations for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 the patients from obstetrics and gynecology expected more reliable, more prompt, more guaranteed and more sympathetic nursing service, and the gap between them and the othe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4. Regarding relations between their characteristics related to nursing service and expectations for that, those who had higher expectations for a unique type of nursing service wanted to receive separate nursing service, and the patients who expected for more reliable and more guaranteed service were willing to receive good nursing service though it required additional payment. 5. As to connections betwee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with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 whether they received treatment in obstetrics and gynecology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ir satisfaction level with the type and reliability of nursing service, and their satisfaction with the type and security of nursing service differed significantly with the frequency of hospitalization. The patients who were hospitalized for the first time expressed the best satisfaction, and those who repeatedly checked into the hospitals were less satisfied as they had higher expectations. 6. Concerning relations between their characteristics related to nursing service and satisfaction with that, their satisfaction level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willingness for additional payment and the reliability, promptness and security of nursing service. 7. As to connections between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and reuse intention, whether they were willing to recommend the hospitals for other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cademic background. Those who stopped at elementary school were most willing to do that, and those who received graduate school education had the least intention. 8. As for the relationship of their characteristics related to nursing service to reuse intention, the reason why they chose the hospitals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ir reuse intention. The Internet was the greatest channel for them to choose the hospitals. 9. In terms of expectations for and satisfaction with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 they got a mean of 3.92 and 3.79 respectively out of possible five points. It showed that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 fell short of their expectations. They especially expected for guaranteed nursing service, and expressed satisfaction in that regard as well. 10.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ir satisfaction level with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 and reuse of the hospitals. The willingness of recommending the hospital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their satisfaction with the promptness of nursing service, which denoted that satisfactory nursing service had an impact on their reuse intention.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ed that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 run counter to their expectations, and sustained efforts should be directed into providing satisfactory nursing service to meet their expectations. Those who found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 more satisfactory were more willing to reuse and recommend the hospitals, and the patients who were less educated and who were older used the hospitals again. Accordingly, new marketing strategies should be formulated to keep retaining both of the satisfied patients and well- educated young patients. More than half the patients asked for separate nursing service, and many were willing to pay for that additionally. Therefore differentiated nursing service should be provided to patients who want to pay for that service separately, and it's needed to concentrate marketing efforts on those patients. Besides, efficient nursing products should be developed to let more patients buy nursing services. 의료 시장의 확대로 병원의 대형화와 종합 병원의 집중화 현상을 불러 일으켜 각 의료 기관들 마다 최첨단 의료 시설을 구비하면서 환자 유치 전략을 벌이고 있다. 환자들이 다시 찾는 경쟁력 있고 수준 높은 의료 기관이 되기 위해서는 간호서비스 품질에 대한 기대와 만족도가 정확히 평가되어야 하고 간호서비스 품질에 대한 만족은 행위적 차원에서 재이용의사에 영향을 미쳐서 결과적으로 병원에 경제적인 이득을 가져오게 되고 병원 재이용 의사는 병원의 의료 서비스 질을 총체적으로 평가 할 수 있는 간편하고 효율적인 지표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서비스 품질에 대한 기대와 만족도를 측정하고 재이용 의사와의 관계를 규명하여 간호서비스 품질이 병원 이익에 미치는 영향과 간호서비스 품질이 차지하는 위치를 확고히 하고 간호서비스 품질과 재이용 의사와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지역의 2개 대학 병원에서 간호서비스를 받은 후 퇴원 1일 전 퇴원 예고를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2007년10월 10일부터 2007년 10월 27일까지 총35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고 이중 315부가 회수되어 분석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를 토대로 측정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3.0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 편차,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을 이용하여 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성별은 여자가 남자보다 많고 연령은 40대가 교육 정도는 고등학교 졸업이 많았고 수입은 월평균 150만원 미만이 114명(39.3%)고 250-350만원 미만이 67명(23.1%)이었다. 입원과는 내과가 140명(45.2%), 외과 74명(23.9%), 산부인과 21명(6.8%) 순이었다. 입원 기간은 1주 이하의 단기 입원 환자가 전체의 과반수를 차지했다. 2. 대상자의 간호서비스 관련 특성에서 병원 선택 이유로는 타인의 추천이 102명(32.7%)으로 가장 많았고 간호사에게 별도의 간호서비스를 받겠느냐는 질문에는 별도의 질 높은 간호 서비스를 받고 싶다는 환자가 216명(69%), 받지 안겠다는 환자 97명(31%)으로 과반수가 넘는 환자들이 별도의 간호서비스를 원했고 별도의 간호서비스가 제공된다면 별도의 금액을 지불 하겠느냐 에서는 별도의 금액을 지불 하겠다는 환자가 154명(71.6%), 별도의 서비스는 받고 싶지만 돈은 지불하고 싶지 않다는 환자도 61명(28.4%)이나 되었다. 별도의 서비스에 대한 지불 금액으로는 3-5만원이 140명(90.4%)으로 가장 많았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서비스 품질에 대한 기대 차이는 입원과의 산부인과가 검사나 처치 시행 전 충분한 설명과 간호사의 건강 교육 자료 제공에 대한 신뢰성과 환자에게 문제 가 생기면 바로 해결해주고 아무리 바빠도 환자의 요구를 잘 해결해 주는 신속성과, 환자들이 안심하고 간호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간호 업무에 대한 지식이 풍부한 보장성(F=4.115, p=.007)과, 환자의 얘기를 끝까지 들어주고 친절하고 따뜻한 응대의 공감성(F=4.117, p=.007)에서 기대 점수가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4. 대상자의 간호서비스 관련 특성에 따른 간호서비스 품질의 기대 차이는 간호사가 안전하고 깨끗한 환경을 제공하고 좋은 시설에서 깨끗한 인상을 주는 유형성 면에서 기대가 높은 환자는 별도의 간호 서비스를 받길 원하고 간호사가 처치나 검사 시행 전 충분한 설명을 하고 환자의 문제를 해결해주고 건강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해주는 신뢰성면 과 간호사들이 업무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갖고 환자에게 친절하게 사명감을 갖는 보장성에서 기대가 높은 환자는 기꺼이 별도의 금액을 지불 하고서라도 질 높은 간호서비스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서비스 품질에 대한 만족도 차이는 산부인과와 유형성(F=6.717, p=.000), 신뢰성(F=3.456, p=.017)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산부인과에서 유형성과 신뢰성에 만족도 점수가 높게 나온 것은 환자들이 좋은 시설에서 안전하고 깨끗한 환경과 검사 전 충분한 설명, 문제 발생 시 충분한 관심을 갖고 해결하려는 간호 서비스 품질에 다른 과의 환자들 보다 더 많이 만족하는 것을 의미한다. 입원 횟수는 유형성(F=3.502, p=.004), 보장성(F=2.273, p=.047)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처음 입원한 환자가 가장 만족도가 높았고 반복 입원 할수록 기대 수준이 높아져서 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6. 대상자의 간호서비스 관련 특성에 따른 간호서비스 품질에 대한 만족도 차이는 별도 금액 지불 의사와 간호서비스 품질의 신뢰성(F=1.994), 신속성(F=2.265), 보장성(F=2.544)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것은 고객이 간호서비스를 받을 때 능숙한 간호를 수행하고 환자가 문제가 발생하면 관심을 보이는 신뢰성과 환자가 혼자 하기 힘든 일을 흔쾌히 도와주고 신속한 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신속성에서 또한 간호사들이 간호 업무에 충분한 지식을 갖고 친절하게 환자를 간호하는 보장성에서 만족한 환자는 간호서비스에 대해 만족도가 높고 별도의 간호서비스에 대해 충분히 별도의 금액을 지불하겠다는 것을 의미한다. 7.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재이용 의사는 교육 정도(F=3.223, p=.013)가 타인에게 재 추천 하겠는 지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는데 초등학교 졸업이 다른 사람에게 추천 하겠다는 점수가 가장 높고 대학원 졸업이 가장 낮게 나왔다. 연령은 타인에게 재 추천(F=2.266, p=.048)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60세 이상에서 불편을 감수하고서라도 재이용 하겠다는 대답이 가장 많았고 수입도 재이용의사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수입이 적을수록 재이용 의사가 높았다. 8. 대상자의 간호서비스 관련 특성에 따른 재이용 의사는 병원 선택 이유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는데 병원 선택 이유로는 인터넷이 병원 선택에서 가장 많은 수를 나타냈다. 타인에게 재 추천 의사도 인터넷이 가장 높았다. 또한 직원 가족이어서 병원을 선택 한다는 의사도 높았는데 이것은 직원 가족을 위한 병원 이용의 편리함과 할인 혜택 등의 차별화 전략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9. 간호서비스 품질에 대한 기대와 만족도는 총 5점 만점에 기대 3.92점이고 만족도는 3.79점으로 환자의 간호서비스 품질의 기대 수준에 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서비스 품질에서 기대는 보장성이 높았고 만족도도 보장성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보장성에 대한 기대 점수(4.07)보다 만족도의 점수(3.92)가 더 낮으므로 간호서비스의 품질에 대한 개발과 수행평가는 계속되어야 하고 간호사의 전문적인 능력을 충분히 활용하여 병원체서의 마케팅 전략을 강화 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10. 간호서비스 품질에 대한 만족도와 재이용에는 모두 순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433, p=.000). 타인에게 재 추천과 만족도 신속성(r=.449, p=.000)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는데 이는 간호서비스에 대해 환자가 만족을 느끼게 되면 재이용의사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병원 재이용의사를 높이기위해서 간호서비스 품질의 유형 별 만족도를 분석하고 만족도가 높은 유형을 관리 할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 또한 간호서비스 품질의 만족도 신속성과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병원에서 서비스가 신속하게 이루어진다면 병원을 이용하는데 불편함을 감수 하고서라도 이 병원을 재이용하고 타인에게 재 추천 하겠다는 의사가 높은 것을 의미 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간호 서비스 품질에 대한 만족도는 기대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환자의 기대에 따른 만족도를 높이기위한 간호서비스 품질 향상 노력을 계속해야 할 것으로 본다. 영역별로 볼 때 간호서비스의 기대 보장성과 만족도의 보장성이 다른 영역보다 높아 환자들은 간호사에게 친절하고 공평한 대우를 받고 간호사가 간호 업무에 충분한 지식을 갖기를 기대하고 만족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만족도가 높으면 재이용 의사도 높았고 만족도의 신속성 에서 만족이 높은 환자가 타인에게 재 추천 하겠다는 점수가 높았고 교육이 낮고 나이가 많을수록 재이용 율이 높았다. 따라서 재이용이 높은 군의 만족도를 잘 관리하고 고학력의 젊은 층의 재이용을 높이기 위한 새로운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겠다. 별도의 간호 서비스를 받겠다는 환자가 과반 수 이상이고 별도의 금액에 대한 지불 의사가 있는 환자의 수도 많음을 감안 할 때 간호 서비스의 제공에 있어 지불의사가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차별화된 간호가 필요하며 이들을 대상으로 한 마케팅 노력을 집중하고 간호 상품을 개발하여 간호 서비스의 구매로 연결되어질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겠다.

      •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의 완화간호에 대한 지식과 태도 및 죽음에 대한 인식

        위다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의 완화간호에 대한 지식과 태도 및 죽음에 대한 인식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서울, 경기, 전남의 총 5개의 종합병원에서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 110명을 대상으로 자료 수집을 시행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2016년 2월 25일부터 3월 22일까지 이루어졌다. 연구도구로 완화간호에 대한 지식은 Ross, McDonal, and McGuiness (1996)가 개발한 The Palliative Care Quiz for Nursing (PCQN)을 Kim 등(2011)이 한국어로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완화간호에 대한 태도는 Engler 등(2004)이 개발한 The Bereavement/End-of-Life Attitudes About Care: Neonatal Nurses Scale (BEACONNS)을 이영희와 양희모(2015)가 한국어로 번안한 도구를 이용하였다. 죽음에 대한 인식은 김분한, 김홍규, 탁영란(1997)이 개발하고 한문숙(1998), 김미애(2006)가 수정·보완하고 조영자(2011)가 수정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 2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완화간호에 대한 지식과 태도 및 죽음에 대한 인식 대상자의 완화간호에 대한 지식은 가능한 총점 20점 중 평균 8.92±2.42점으로 나타났다. 완화간호에 대한 태도는 3가지 하위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영영의 평균은 가능한 총점 5점 중 ‘편안함’ 2.82±0.57점, ‘역할’ 3.19±0.32점, ‘참여’ 3.80±0.38점이었다. 죽음에 대한 인식은 가능한 총점 5점 중 평균 3.63±0.34점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완화간호에 대한 지식과 태도 및 죽음에 대한 인식 1) 대상자의 완화간호에 대한 지식은 총 임상경력(F=5.94, p=.004), 신생아중환자실 임상경력(F=5.97, p=.003), 3년 이내 담당 환아 임종 경험(t=2.03, p=.045)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완화간호에 대한 태도 하위영역 중 ‘편안함’ 영역은 총 임상경력(F=4.30, p=.016)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완화간호에 대한 태도 중 ‘역할’ 영역은 결혼상태(t=-2.41, p=.018), 자녀의 유무(t=-1.99, p=.049), 완화간호 교육 경험(t=-2.31, p=.023), 병동 내의 완화 간호에 대한 프로토콜(t=-3.11, p=.002)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 영역은 연령(F=4.63, p=.012)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죽음에 대한 인식은 종교(t=-2.76, p=.007), 지난 1년 동안 가까운 가족 또는 지인의 사별 경험(t=-3.56, p=.001), 총 임상 경력(F=3.20, p=.045)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완화간호에 대한 지식과 태도 및 죽음에 대한 인식 간의 상관관계 완화간호에 대한 지식은 완화간호에 대한 태도 하위 구성 요인 중 ‘편안함’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r=.229, p=.016). 또한, 완화간호에 대한 태도의 하위 구성 요인 중 ‘편안함’(r=.194, p=.042)과 ‘역할’(r=.385, p=.001)은 죽음에 대한 인식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완화간호에 대한 지식과 태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완화간호에 대한 태도와 죽음에 대한 인식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따라서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를 위한 완화간호 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이를 고려하여 신생아 완화간호에 대한 지식을 향상시키고 긍정적인 태도를 함양할 수 있도록 해야 하겠다. 또한 국내 신생아중환자실에 신생아 완화간호에 대한 프로토콜이 있는 병동이 많지 않은 것을 감안하여, 신생아 완화간호 프로토콜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기본 바탕이 되는 자료로 활용하여 궁극적으로 신생아 완화간호의 발전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In recent years, as the amount of high risk infant increases, so does the need for neonatal palliative care. However, studies identifying the level of nurses’ qualification in neonatal palliative care are lack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nurses toward palliative care and perception of death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was performed using 110 nurses who work at level Ⅲ NICUs around South Korea. Knowledge towards palliative care was measured by The Palliative Care Quiz for Nursing (PCQN), attitude was measured by The Bereavement/End-of-Life Attitudes About Care: Neonatal Nurses Scale (BEACONNS), and perception of death measured on its own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1.0 to discern th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cheffe’s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 1. The mean score for knowledge of palliative care was 8.92±2.42. The attitude scale was divided into 3 subsections: comfort level, nurses’ role and nurses’ involvement with family. The average score for comfort level was 2.82±0.57, the average score for nurses’ role was 3.19±0.37, and the average score for nurses’ involvement with patient’s family was 3.80±0.38. 2. The total clinical experience (F=5.94, p=.004) and NICU work experience of the nurses (F=5.97, p=.003)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knowledge. The Attitud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otal clinical experience (F=4.30, p=.016), marital status (t=-2.41, p=.018), children (t=-1.99, p=.049), palliative education experience (t=2.31, p=.023), and palliative guideline in NICU (t=-3.11, p=.002). The perception of death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religion (t=-2.76, p=.007), recent death experience of family or acquaintance (t=-3.56, p=.001), and total clinical experience (F=3.20, p=.045). 3. Comfort level among attitude towards palliative c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knowledge (r=.220, p=.016) and the perception of death(r=.194, p=.042). Nurses’ rol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perception of death (r=.395, p=.001). The results suggest that attitude towards palliative care was correlated with knowledge and the perception of death. Therefore, developing a systematic education plan for palliative care and putting into action would very likely improve nurses’ knowledge and nursing ability. In addition, the plan should include a section that focuses on fostering a positive perception of death, which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nurses’ attitude towards palliative ca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