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보사회에서의 인터넷사용여부에 따른 가정관리만족도

        우이란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19

        The rapid changes and development of the external circumstances of a house, increased needs of family members and the complicated life styles make the importance of home management more outstanding. Particularly, in information-oriented society, as the internet linking a family with external circumstances, the interactions with the informations are considered very important. As a tool for the informations, the internet satisfies the various desires of family members, particularly housewives' needs for the effective home management.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suggest the basic data for increasing the satisfaction degree for home management by housewives' using internet for home management with examination of the satisfaction degree for home management with respect to the properties of the internet and the usage between internet-using housewives and not-internet-using housewives facing the information-oriented age. From August 10. 1999 to September 6, a survey and on-line researching was held with internet-using housewives and not-internet-using housewives. In the survey, 314 pieces of questionnaire out of 430 pieces are used for the analysis, excluding the things with poor answers. In the on-line researching, e-mails are sent to 2,000 housewives, who are using housewives clubs in the internet its related clubs and internet-sites for householding, and 131 pieces of answers are used as well. Total 445 pieces of answers are used as the data for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methods such as the frequency, percentile, mean, standard deviation, Cronbach' α coefficient, t-test, X^(2)-test, Oneway-ANOVA,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rough SPSS/WI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 At first, among housewives who participated on this research, about 49% of them were internet users. And the satisfaction degree for home management were medium level. Second, internet-using housewives are long-term users on both usage period and time and they prefer information sites and word wide web. The their main motivation of internet usage is information search, but the internet itself is not directly related to their family life. Moreover, it is appeared that they are not so satisfied with the internet after using it. There are some reason that other housewives are not using the internet; not knowing the usage method, feeling no necessity, and not having a computer or not using a computer. And they have passive attitude toward the use of the internet in the future. Third, age, education level, income level, state of employment, last child's age, house type, perception of information society and time constraints, degree of housework socialization, and perception of life level were variables to discriminate state of housewives' internet using. In other words, housewives who a lower of age, a higher level education and income, employed, a lower of last child's age, apartment type, a higher perception of information society and time constraints, the degree of housework socialization, perception of life level, and internet educated were using internet. Fourth, internet using housewives' home management satisfaction was different significantly in accordance with the income level, state of employment, last child's age, perception of time constraints, degree of housework socialization, and perception of life level. In other words, a higher level income, employed, a lower of last child's age, a lower perception of time constraints, a higher degree of housework socialization and perception of life level is, the higher home management satisfaction is. On the other hand, not-internet-using housewives' home management satisfac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income level, house type, degree of housework socialization, and perception of life level. In other words, the higher income level, apartment type, and the higher the degree of housework socialization and perception of life level is, the higher home management satisfaction is. Fifth, the satisfaction degree of home management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state of internet using. In other words, home management satisfaction of internet using housewives is higher than not-internet-using housewives. Last, state of employment, perception of time constraints and life level were variables to have influence on home management satisfaction of internet-using housewives. In other words, housewives who employed, a lower the perception of time constraints is, and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life level is, the higher the home management satisfaction is. The exponent of all variables was 26.4%. On the other hand, income, perception of information society, degree of housework socialization, and not-internet-educated were variables to have influence on home management satisfaction of not-internet-using housewives.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income, the perception of information society and degree of housework socialization are, the higher the home management satisfaction is. And housewives who not-internet-educated is high home management satisfaction. The exponent of all variables was 18.6%. From the analysis for the data, it is found that there is a meaningful relation between whether housewives use the internet or not and the satisfaction degree for home management. Though the usage of the internet are spreading yet, that the satisfaction degree for home management marks high shows that the usage of the internet would be great benefit for home management.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degree for home management, it is important for a housewife to get and use informations from the interaction with the external circumstances of a family thus it is required for a housewife to be able to use the internet, the core of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So housewives should be more aware of the informations and able to use the internet and domestic atmosphere for using the internet is required. When a housewife manages the home management in the domestic informational atmosphere, the satisfaction degree for home management is increased, improving the quality of standard of living. 가정 외부환경의 급속한 변화와 발달, 증가된 가족원의 욕구와 생활의 복잡성은 가정관리의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가정의 인적·물적자원의 사용에 관한 관리문제도 증가하였으며, 문제해결을 위한 대체안이 필요하게 되었다. 바야흐로 정보사회에서는 가정과 정보환경과의 효율적인 상호작용이 중요하게 인식되므로 이러한 대체안으로서 인터넷은 가족원들의 다양한 욕구와 주부의 가정관리 효율화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켜 줄 것이다. 따라서 연구자는 인터넷 사용주부와 비사용주부의 인터넷 관련특성 및 인터넷 사용여부에 따른 가정관리만족도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정보화시대를 맞이하여 주부가 인터넷을 가정관리에 활용하여 가정관리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위와 같은 연구목적을 가지고 인터넷 사용주부와 비사용주부의 인터넷 관련특성, 사회인구학적/심리적·자원변인에 따른 인터넷 사용여부와 가정관리만족도, 인터넷 사용여부에 따른 가정관리만족도, 인터넷 사용여부에 따른 가정관리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변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는 인터넷을 사용하는 주부와 사용하지 않는 주부를 대상으로 1999년 8월 10일부터 9월 6일에 걸쳐 설문조사와 통신상에서의 조사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전자의 방법으로는 인터넷 사용주부와 비사용주부를 대상으로 하여 총 430부중 314부를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후자의 방법으로는 통신에서 활동하고 있는 주부동호회와 주부관련 동호회, 주부관련 사이트를 이용하는 주부 2000명에게 개인 E-mail을 발송하여 부적절한 것을 제외한 131부를 분석자료로 사용, 총 445부를 최종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을 이용하여 Cronbach' α계수,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X^(2)-test, t-test, ANOVA, Pearson's 적률상관계수, 중회귀분석 등의 통계방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주부의 49%가 인터넷을 사용하였으며, 가정관리만족도는 5점 만점에 3.01점으로 대체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터넷 사용주부의 사용기간은 1년미만, 2년~4년미만인 주부가 가장 많았으며, 일주일에 2시간~4시간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사이트를 선호하였으며, www(world wide web)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이들은 정보추구를 위해 인터넷 사용을 사용하였으며, 인터넷 사용에 약간 불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비사용주부의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사용방법을 몰라서가 가장 많았고, 앞으로의 사용계획에서는 상황이 허락하면 사용하겠다라고 답한 사람이 가장 많았다. 셋째, 배경변인에 따른 인터넷 사용여부는 연령이 낮고, 교육수준과 월평균가계소득이 높으며, 취업주부인 경우, 막내자녀연령이 낮고, 아파트에 거주하며, 정보사회인식도가 높을수록, 시간제약인지도가 높을수록, 가사노동사회화정도와 생활수준인지도가 높을수록, 인터넷 교육경험이 있을 때 인터넷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배경변인에 따라 가정관리만족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인터넷 사용주부의 경우 월평균가계소득이 높고, 취업주부이며, 막내자녀연령이 낮고, 시간제약인지도가 낮을수록, 가사노동사회화정도와 생활수준인지도가 높을수록 가정관리만족도가 높았다. 인터넷 비사용주부는 월평균가계소득이 높고, 아파트에 거주하며, 가사노동사회화정도가 높을수록, 생활수준인지도가 높을수록 가정관리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인터넷을 사용하는 주부의 가정관리만족도가 인터넷을 사용하지 않는 주부의 가정관리만족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인터넷 사용주부의 가정관리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시간제약인지도·취업여부·생활수준인지도 순이었으며, 인터넷 비사용주부의 가정관리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월평균가계소득·정보사회인식도·인터넷 교육경험여부·가사노동사회화정도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꾸어 말하면 인터넷 사용주부 대부분은 취업을 했으며, 이들 가운데 시간제약을 높게 인지하는 주부들은 정보자원인 인터넷 사용을 통해 이들의 시간부족을 해결하고 있음을 말해준다. 또한 주부의 취업은 가계경제에 기여하기 때문에 생활수준을 높게 인지한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인터넷 비사용주부는 인터넷 사용주부보다 사용가능한 정보자원이 적으므로 여러 가지 자원중에서 월평균가계소득이 가정관리만족도에 특히 영향을 준다. 정보사회인식도의 경우 인터넷 비사용주부는 그 편차가 커 인터넷 사용주부에 비해 정보사회인식도가 가정관리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비사용주부의 가사노동사회화는 인터넷 사용주부처럼 시간부족이나 역할부담의 이유에서 보다는 여가시간의 증가, 자아개발 등을 위해 이루어지므로, 가사노동사회화정도가 가정관리만족도에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인터넷이라는 정보자원 활용을 통해 인터넷 사용주부들은 생활수준을 높게 인지하며, 이것이 인터넷 사용주부의 가정관리만족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인터넷 비사용주부는 대체로 연령이 높아 지금까지의 생활방식을 고수하려는 경향이 많으므로 인터넷 교육경험이 없을수록 가정관리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앞으로 인터넷이 가정관리에 얼마나 유용할지를 보여준다. 따라서 가정관리만족도의 향상을 위해서는 가정을 둘러싼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여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주부들의 정보화의식 향상과 인터넷 사용능력 배양, 가정생활에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여건 형성 및 유용한 정보사이트의 개발이 요구된다.

      •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유아의 문제 행동에 관한 연구

        윤초연 인천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유아의 문제행동이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유아의 문제행동의 관계를 알아본 후 이러한 변인들이 다문화가정 유아의 문제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 보았다.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에 있는 만 3-6세 유아를 양육하고 있는 다문화가정 어머니 143명을 대상으로 양육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유아의 문제행동에 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고, t-검증과 F-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차이가 없었다.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는 어머니의 학력, 가정월소득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다문화가정 유아의 문제행동은 어머니의 학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문제행동은 모든 하위변인에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음이 밝혀졌다.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와 유아의 문제행동은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고 유아의 문제행동 하위변인인 위축, 우울/불안, 비행, 문제행동 총점에서 부적 상관이 있음이 밝혀졌다. 셋째, 다문화가정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관련변인의 영향력에 대해 알아본 결과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This study investigated what mothers’ stress of multicultural families on nurturing children, social supports and children’s problem behaviors made a difference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and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mothers’ stress of multicultural families on nurturing children and social supports, and children’s problem behaviors, to find out how these variables have influence on those children’s problem behaviors. In this study, a survey about stress on nurturing children, social supports and children’s problem behaviors was conducted with 143 moth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nurturing 3 ~ 6 year-old children in Inchon, and related data were collected. Cronbach’s α coefficient was calculated using SPSSWIN 12.0, and t-test and F- test, Pearson’s momen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implemen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difference in mothers’ stress of multicultural families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Mothers’ social supports of multicultural families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made no meaningful difference in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and monthly income. Children’s problem behaviors of multicultural families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Second, mothers’ stress of multicultural families on nurturing children and children’s problem behaviors showed a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in every sub-variable. Mothers’ social support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children’s problem behaviors revealed a meaningful negative correlation, and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in the total score of sub-variables of children’s problem behaviors such as children’s frustration, depression or anxiety, delinquency and problem behaviors. Third, as a result of finding out the effect of related variables on children’s problem behaviors of multicultural families, mothers’ stress of multicultural families on nurturing children showed a meaningful influence on children’s problem behaviors.

      •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특성 및 가족환경에 따른 자녀의 언어능력에 관한 질적 분석

        주혜영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의 자녀 언어능력에 대해 자녀와 가장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어머니에 대한 특성과 그 가족환경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자녀의 언어능력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어머니의 특성과 가족환경이 자녀의 언어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자녀의 언어능력은 어떠한가? 둘째,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특성은 자녀의 언어능력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다문화가정 가족환경은 자녀의 언어능력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울산시에 거주하는 만 3세(2008년 생) ~ 만 5세(2006년 생)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의 결혼이민자 여성과 자녀이며, 자료수집은 연구대상을 개별 방문하여 심층면접 하였다. 면접 시 반구조화된 질문지와 녹음기를 사용하였으며, 총 15사례를 수집하여 11사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다문화가정의 자녀 언어능력을 살펴보고, 어머니의 특성과 가족환경에 대해 연구대상과의 상호작용을 기술하고 분석함으로써 전반적인 형태를 찾아보았다. 이를 통해 자녀의 언어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면서 전체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에 따라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자녀의 언어능력은 어떠한가? 자녀 언어실력은 유아 언어 능력 검사 도구인 “취학 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 언어 발달 척도(Preschool Receptive- Expressive Language Scale: PRES)”로 측정된 자료와 담당 언어발달지도사 및 어머니와의 면담을 통해 자녀의 언어발달 수준을 파악할 수 있었다. 현재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언어발달지원사업에서는 검사 도구를 통해 10%lie 미만으로 평가될 경우 그 아동을 “언어촉진 및 심화평가대상”으로 교육이 필요다고 판단하며 ‘Vi2-C’, ‘Ca1-C’, ‘Ja1-C’가 이에 속한다. 검사 도구를 통해 아동이 10%lie 이상으로 측정 된 경우 “정상발달”로 보고 있으며 총 11사례 중 8사례가 이에 해당한다. 둘째,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특성은 자녀의 언어능력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어머니의 특성은 『워킹맘』, 『열혈엄마』, 『긍정적인 어머니』 세 가지 측면으로 살펴보았다. 먼저『워킹맘』에서는 11사례 중 4사례를 제외하고는 모두 직업을 가지고 있었다. 직장여성의 경우 비교적 유동적이고 4~5시간가량 근무할 수 있는 곳에서 일하고 있었으며 반일제 근무를 선호하고 있었다. 직장여성은 경제활동을 통해 지역과 교류하며 활발한 대외적인 활동을 하고 있었고, 이는 자녀양육 및 교육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접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를 통해 자녀가 다양한 언어적 자극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많았다. 하지만 어머니의 경제활동이 자녀의 언어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은 줄 수 있지만, 다양한 주변요소로 인해 지역사회의 교류가 활발하다고 해서 자녀의 언어능력이 높다고 단정 지을 수 없다. 다음『열혈엄마』에서는 자녀의 언어능력 향상을 위해 직접 선생님으로써 활동을 하거나 다양한 매체를 통해 자녀교육 정보를 습득하여 이를 적용하는 사례의 경우 자녀의 언어발달수준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대체로 어머니들은 부모로써 어떤 태도를 지녀야 하는지, 그리고 자녀에게 어떤 교육을 어떻게 시켜야 하는지에 대해 모르고 있었다. 비다문화가족과 비교해 보았을 때 정보로부터 상당한 격차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긍정적인 어머니』에서는 자녀와 함께 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많은 어머니의 가치관이 자녀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언어발달수준이 높은 사례의 어머니는 자녀를 양육하고 교육하기에 주변 환경이 좋지 않더라도 현실에 주저 않지 않았다. 긍정적으로 사고하고 그 곳에서의 장점을 찾아 활용하였으며, 만일 부족하다면 새로운 방안을 찾아 나가는 모습을 보였다. 더불어 자녀를 키우는데 자신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경우 이를 채우기 위해 배우고 공부를 하는 등 노력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어머니가 언어적 장벽과 세대 차이에 힘들어 하였고, 부적합한 환경에 대한 불만 등을 지니고 있었다. 셋째, 다문화가정 가족환경은 자녀의 언어능력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다문화가정의 자녀가 생활하는 가족환경이 언어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는데, 이는 『시부모와의 독립』,『함께하는 부부』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먼저『시부모와의 독립』에서는 시부모와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시부모님과 동거를 하고 있는 경우는 총 11사례 중 3사례로, 8사례는 부부와 자녀로 구성된 핵가족의 형태를 보였다. 그러나 독립한 8사례를 살펴보면 시부모와 따로 살게 된 시점이 최근 몇 개월이었다는 공통점을 나타내었다. 한국에 거주한 5-6년 경 자연스럽게 분가를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어머니는 자녀교육에 대해 시부모와 가끔씩 논의를 하지만 보통 배우자와 상의해서 진행하거나 배우자가 알아서 하는 경향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시부모와는 적당한 경계를 둔 상태에서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고, 시부모와의 관계가 좋지 않은 경우에는 어머니의 자의식에 상당한 영향을 끼칠 수 있었으며 이는 자녀에게도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함께하는 부부』에서는 부부 관계 및 배우자의 자녀교육에 얼마나 참여를 하는지가 자녀의 언어능력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는 세 가지로 유형화 할 수 있었다. 첫 번째로는 “교육에 참여하는 유형”으로 어머니가 서툰 한국어로 인해 자녀의 한국어 교육이나 숙제와 같은 것을 가르쳐주고 챙길 수 없어 배우자가 함께 자녀양육 및 교육에 참여하고 있었다. 두 번째로는 “활동적인 유형”으로 자녀가 한국어를 배우고 이중언어를 학습하는데 있어서 직접적인 노력은 하지 않지만, 자녀와 신체활동 및 야외 체험 활동을 함께 함으로써 친밀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마지막은 “무관심하고 방관하는 유형”으로 지금 현재 자녀의 언어수준이나 교육수준이 뒤처지는 것은 크게 중요하지 않기 때문에 자녀가 학교에 입학하고 나서 바로 잡아도 늦지 않다는 것이다. 첫 번째와 두 번째 유형은 자녀의 언어능력이 높은 수준에 있는 사례의 전반적인 특성이었으나, 자녀의 언어적 수준이 낮은 사례의 경우는 “무관심하고 방관하는 유형”을 나타내었다. 특히, 이중언어를 사용하는 경우 자녀의 한국어능력 격차가 상당한 수준을 보였는데, 부부가 함께 교육에 참여한 사례일수록 높은 언어능력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경제적 활동을 위한 지원, 지역사회와 활발한 네트워크를 할 수 있는 기회 마련, 가정경영과 자녀 양육 및 교육에 관한 생애주기별 가족생활교육의 필요성, 다양한 정보로부터 고립된 다문화가정에게 정보의 접근성을 높여줄 수 있는 다양한 매체의 필요성, 이중언어에 대한 필요성 및 교육방법과 그 시기에 대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 주부의 정보사회화가 가정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

        송영경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8719

        오늘날의 급격한 환경변화는 가정의 물적․인적자원의 범위를 확장시켰고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가정관리능력을 주부들에게 요구하고 있다. 또한 최근 정보화라는 급격한 사회변화로 인터넷과 첨단 정보통신기기가 가정 안에 깊숙이 자리잡았고 이것들은 가정과 사회가 커뮤니케이션하는 중요한 수단이 되었다. 따라서 가정의 주체인 주부의 정보화에 대한 대처 능력은 가정관리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주부의 정보화정도와 정보활용능력이 가정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정보화시대의 주부가 가정정보화의 편리함과 다양함을 가정관리에 활용하여 가정관리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연구 목적으로 주부의 정보사회화 및 가정관리능력의 일반적 경향과 배경변인에 따른 정보사회화와 가정관리능력, 정보사회화에 따른 가정관리능력, 배경변인 및 정보사회화정도가 가정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을 사용하는 주부와 사용하지 않는 주부를 대상으로 2001년 2월 28일부터 3월 20일에 걸쳐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방법을 실시하였다. 이 기간 동안에 총 421부가 회수되었으나 부실기재된 설문지를 제외하고 최종 404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을 이용하여 Cronbach'α계수,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χ²-test, t-test, ANOVA, Pearson's 상관계수, 던컨의 사후검정, 중회귀분석 등의 통계방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조사대상자의 57.9%가 인터넷을 사용하였으며, 정보통신기기 이용도는 5점 만점에 2.46점으로 중간을 약간 밑도는 수준이고, 생활정보활용도는 5점 만점에 평균 2.92점으로 중간수준을 보였다. 가정관리능력도 5점 만점에 평균 3.38점으로 중간을 약간 상회하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별로 보면 행위별 영역에서 통제가 가장 높고 평가, 계획능력이 가장 낮았으며 대상별 영역에서 인적자원보다는 물적자원에 대한 관리능력이 더 높았다. 둘째, 배경변인에 따른 정보사회화의 차이는 연령이 낮고, 교육수준과 월평균가계소득이 높고, 남편직업이 사무․경영관리․전문직이며, 가족생활주기가 초기 에 해당되고, 아파트에 거주하며, 생활수준인지도와 부부의사소통도, 자원적정인지도가 높은 집단의 경우에 정보통신기기 이용도와 생활정보활용도가 높고 인터넷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취업주부의 경우, 정보통신기기의 이용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생활정보활용도와 인터넷사용여부는 취업여부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세째, 배경변인에 따른 주부의 가정관리능력의 차이는, 연령이 40대, 20대, 30대, 50대 집단 순으로, 가족생활주기도 자녀교육기, 가족형성기, 자녀출산과 양육기, 자녀성년기 이후 집단 순으로 가정관리능력이 높게 나타났고, 교육수준과 월평균가계소득, 남편의 직업지위가 높고, 아파트에 거주하며, 부부의사소통도, 자원적정인지도, 생활수준인지도가 높고, 정보통신기기 이용도와 생활정보활용도가 높은 집단의 경우와 인터넷을 사용하는 집단의 경우에 가정관리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정관리능력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주부의 연령, 부부의사소통도, 생활정보활용도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서 보면, 가정관리능력은 사회인구학적 변인 외에 주관적 변인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특히 정보화 관련변인 중에 생활정보활용도가 중요한 영향 변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조사대상자의 절반이상이 인터넷사용자였음에도 불구하고 인터넷사용여부와 정보통신기기 이용도는 가정관리능력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지금까지 주부는 쉽게 접할 수 있는 매체를 통해 정보를 얻으려하고 정보화에 있어 소극적인 경향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볼 때, 주부들 사이에 인터넷이 많이 보급되었으나 아직은 실생활에 활용되는 수준까지 미치지 못한 것으로 사료된다. 정보통신기기 이용에 있어서도 아직까지 다양한 첨단기기의 보급이 많이 확산되지 않았거나 가정에 보급이 되었어도 주부가 두루 활용하지 못하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하지만 앞으로는 정보활용의 중요성이 점점 커질 것이고 가정 안에서 가족원의 요구도 다양해지기 때문에 이러한 변화를 감당하기 위해서 주부가 좀 더 적극적으로 정보화에 참여해야 한다. 또한 현재 정보화의 혜택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는 주부들에게 더욱 집중적인 교육 및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고, 주부간의 정보활용격차를 줄일 수 있는 정부와 기업차원의 지원도 뒤따라야 할 것이다. Today, as environments surrounding households are changing and the range of their material and human resources are expanding, housewives' competence managing households correspondent to these changes are getting important. Lately, changing into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rapidly, internet and high-technological communication facilities are on familiar terms with households, so they became useful communicative methods between society and households. After all, it is considered that housewives' competence treating information as a center of houses affect the management of house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competence of managing households according to housewives' level and practical competence of information. The study is to supply basic information for searching methods that housewives in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can improve their competence of managing households using convenience and variety of household's information. For the above purpose of the study, I intended to look into housewives' informationalized degree, information-oriented socialized degree and competence of managing household according to general tendency and background about managing households, competence of managing household along with information-oriented society, primary variable of the background's change and the influence of the society into the competence of managing households. From Feb. 28. 2001 to Mar. 20, a survey and was held with internet-using housewives and not-internet-using housewives. In the survey, 404 pieces of questionnaire out of 421 pieces are used for analysis, excluding the things with poor answ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methods such as frequency, percentile, mean, standard deviation, Cronbach'α coefficient, t-test, χ²-test, Oneway-ANOVA,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ough SPSS/WIN. Some of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 1) 57.9% of people surveyed were using internet, wholly average level of using communicative facilities was 2.46 out of 5 points and it indicated medium level. Average level of using life information was 2.92 out of 5 points and it indicated slightly high level. The competence of managing households was 3.38 out of 5 points and it showed relatively higher level than that of others. Among activities field of sub-class, control was highest, and appraisal and planning competence was lowest, while among objects field of sub-class, human resources is higher than material resources in points. 2) In the case of the information-oriented socialization according to variable of background's change, the follow class-they are in lower ages' class, their educational level and monthly income were high, their husbands' occupation were office-work, management and professional, they lived in apartment, and perception of life level, the degree of communication in couple and perception of the adequacy of resource were high-got higher points in the level of using communicative facilities and life information, and was using internet. Also housewife with a job got higher points in the level of using communicative facilities than the others, but concerning about the level of using life information and whether they use internet, it does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3) In the difference of housewives' managing household, it was higher in due order of 40's, 20's, 30's and 50's, and also in family life cycle, it was higher in due order of in the stage of children's education, that of family's formative period, that of delivering and bringing up children and that of children's adulthood. And so was the group that their educational level, monthly income, and husbands' position were high, the degree of communication in couple and perception of the adequacy of resource and perception of life level were high, their level of using communicative facilities and life information are high, and they were using internet. 4) The variable of competence of managing household was higher in due order of the age of housewife, communication in couple and the level of life inform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I could understand that the competence of managing a household was affected by subjective factors except socially populational factors, especially the level of using life information from the causes was the relatively important one. Over half of people, however, surveyed were internet users, their level of using communicative facilities was too low to affect the competence of managing a household. Until now, a housewife shows passive tendency of information-oriented society, and intend to use only easily accessible media. Through the study, I could determine that despite of the expansion of internet among housewives, still it didn't affect their lives. And I could judge that in the level of using communicative facilities, they didn't expand over households enough or though they were expanding, housewives didn't use properly. But the importance of using information would be increased and housewives should participate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for the various demands from members of a family. Additionally, they should support more information and education to housewives who currently don't share in the benefits from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and governmental and corporative assistance should follow the above in order to diminish the gap among housewives living in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 맞벌이 夫婦의 公平性 認知.意思決定 參與 및 家庭生活滿足度 : 事務職, 管理.專門職을 中心으로

        강기연 淑明女子大學校 2000 국내박사

        RANK : 248719

        최근 들어 맞벌이 가족이 늘어나자 부부가 공동으로 가족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공평성에 대한 부부들 특히 여성들의 요구수준이 커지고 있다. 이와 함께 맞벌이 부부관계 연구에서도 '부부간의 공평성' 문 제가 관심있는 주제로 등장하고 있다. 또한 공평성 연구의 발전으로 맞벌이 부부의 권력 및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에서 공평성의 개념 또는 공평성 이론 을 적용하는 경향도 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맞벌이 남편과 맞벌이 부인을 대상으로 공평성 인지수 준을 파악하고 공평성 인지도에 따라 의사결정 참여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며, 배경변인, 공평성 인지도, 의사결정 참여도 및 가정생활만족도 간 의 인과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가정관리 분야를 연구하는 데 공평성 개념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해 보고, 맞벌이 부부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 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를 둔다. 이러한 목적에 맞추어 맞벌이 남편과 부인의 배경변인 즉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변인으로 남편 및 부인의 연령, 학력, 자녀수, 직업 유형, 소득, 주당 총 근무시간, 가계총소득을 선정하였으며, 심리적 변인으로는 성 역할태도, 자원적정인지도, 의사소통도, 직업만족도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및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며, 1명 이상의 자녀가 있고, 전 문직, 관리직, 사무직에 종사하는 맞벌이 남편 또는 부인(부부도 포함)을 대 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조사를 거쳐 본조사에서는 총 560부(맞벌이 남편과 맞벌이 부인 각 28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기재 가 미비하거나 응답자의 남편 또는 부인이 사무직 이상의 직종에 종사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된 설문지를 제외한 총 500부(맞벌이 남편과 맞벌이 부인 각 250부)를 본 연구의 최종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AS/PC+를 이용하여 빈도, 평균, 비율,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Cronbach's α계수, 요 인분석, ANOVA, t-test, 중다회귀분석, 경로분석의 통계방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남편과 부인간에 공평성 인지도에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불 공평성 인지도에서는 남편의 경우 유리한 관계에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 은 반면 부인의 경우는 불리한 관계에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공평성 인지도에 따른 의사결정 참여도를 조사한 결과, 맞벌이 남편과 부인 모두 정서적 면에서나 일상생활에서 공평한 관계에 있다고 인지할 때 부부의 의사결정 참여도도 높게 나타났다. 이는 부부 상호간에 이해와 배려 를 바탕으로 가족역할을 공평하게 분담할 때, 가정내 주요 사항을 부부가 함께 의논하고 공동으로 결정하는 경향이 높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그러 나 공평한 부부관계를 원하는 맞벌이 부부들도 오랫동안 지속되어 온 전통 적인 가치관에 부딪힐 때 어려움을 느끼는 것이 현실이므로, 더 많은 연구 를 통해 공평한 결혼생활을 하는 부부의 예를 제공하는 것도 의미있는 일이 라 생각된다. 3) 인과관계를 분석한 결과, 다수의 배경변인이 공평성 인지도와 의사결정 참여도를 매개로 하여 가정생활만족도에 직ㆍ간접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나 인과모형의 적합성이 검증되었다. 다만 맞벌이 남편에 견주어 부 인의 공평성 인지도가 가정생활만족도에 미치는 간접 및 직접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맞벌이 부인이 부부간의 공평성 문제에 관 심이 많으며, 결혼생활에서 공평성의 확보 여부가 부인의 가정생활만족도를 높이는데 중요하게 작용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4) 의사소통도는 맞벌이 남편과 맞벌이 부인의 가정생활만족도에 가장 큰 인과효과를 가지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즉 의사소통도는 가정생활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은 물론, 공평성 인지도와 의사결정 참여도를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까지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맞벌이 부부의 만족의 근원 이 원활한 의사소통에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이들을 대상으로 더 많은 의사소통 관련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맞벌이 부부의 공평성 인지도와 의사결정 참여도 및 가정생활만족도 간에 인과관계를 검증함으로써 이들간에 유의미한 관계 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공평성의 개념을 가정관리 분야 연구에 적용하는 것이 적절함을 보여주며, 이를 통해 앞으로의 가정관 리 연구 범위를 넓혀가는 데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 개발한 공평성 인지도 척도는 부부간의 공평성을 연구하는 데 적합한 것으 로 밝혀졌으므로 척도에 대한 약간의 수정 및 보완을 통해 앞으로 연구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연구는 전통적 이념과 근대적 사고 사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맞벌이 부부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맞벌이 부부 연구 및 복지 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With the enormous increase in the number of women participation in the labor force while married and raising a family, the dual-career family has emerged as a part of our family type. But the shift toward greater equity and role-sharing has not occurred even though many dual-career couples want to have more equitable relationships. On the basis of the equity theory, as the couple perceives their relationship is equitable, they tend to make decisions jointly and are satisfied with their family lives. Therefore this study is ai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perception of equity, decision-making styles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in dual-career couples.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self-recording method for the object of the study. The perception of equity was measured by the revised TUW scales and the Walster's Global Measure. Also decision-making styles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were assessed by using the 'final-say' scale and multi-item scale each.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the employed husbands and wives who have at least one child in dual career families, and live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s.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to 560 employed husbands and wives and 500 cases of them were used as the data of the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methods such as the Mean, Frequency, Percentage, Pearson's Correlation, ANOVA,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ss analysis using the SAS/PC+. The findings of analysi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is no big difference between husbands' perception of equity and wives' one, but husbands perceive themselves more over-benefited, on the other hand, wives perceive themselves more under-benefited. Both husband and wife are more satisfied when they feel fairness in their relationships. 2) The working hours appears as a factor which has an important effect upon the decision-making styles. So it shows that the more working hours they have, the smaller percentage of the joint decision-making they show. 3) The decision-making styles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perception of equity in emotional and day-to-day life domains. The more equity they perceive in marital relationship, the more percentage of joint decision-making they show. 4)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ause-effect relationship, it shows that many socioeconomicㆍpsychological variables have directㆍindirect impact on family life satisfaction through medium factor, so this study proves the application of the cause-effect model. However the influence of the perception of equity of wives were higher than husbands'. 5) Among socioeconomicㆍpsychological variables, communication wa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which impacts positively on family life satisfaction, that is, communication has indirect impact as well as direct impact on family life satisfaction. As we have seen above, the study suggests the meaningful relationship among the employed husbands' and wives' marital equity, decision-making styles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cause-effect model. Therefore, the study shows that it is proper to apply conception of equity to the field of home management. It can b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in dual career family. Besides it will be utilized as the basic data when the government and public groups make policies for an improvement of general well-being of dual-career families.

      • 주부의 가족자원적정지각과 대상별 가정관리 수행에 관한 연구

        서리나 전남대학교 1994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체계적 접근법을 이용한 최근 연구결과에서 가족자원적정지각의 인식이 증가하고 있고 이러한 심리적인 가족자원지각 정도가 가정관리수행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되어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주부가 가족자원을 보다 적정하게 지각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가정관리를 실행하는 주부의 가정관리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가정관리수행에 미치는 가족자원적정지각의 영향력을 규명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갈다. <연구문제 1> 주부의 가족자원적정지각의 수준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사회인구학적변수, 가사노동변수, 주거변수에 따라서 주부의 가족자원적정지각의 수준은 어떠한 차이를 보이며, 이들 변수의 영향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주부의 대상별 가정관리수행의 수준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4> 사회인구학적변수, 가사노동변수, 주거변수에 따라서 주부의 대상별 가정관리수행은 어떠한 차이를 보이며, 이를 변수의 영향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5> 주부의 가족자원적정지각이 대상별 가정관리수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상과 같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광주시에 거주하는 336명의 주부를 대상으로, 자원적정지각(PAR: Perception of Adequacy of Resources)척도와 50문항의 가정관리수행 척도를 이용하여 설문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Computer Program를 사용하여 빈도분포, 백분율, 평균,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t-test, 피어슨의 상관계수(pearson's r), 단계적 회귀분석(Stepwise Regression Analysis) 등이 통계 처리되었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주부의 가족자원적정지각을 살펴보면, 대인관계자원과 주거자원의 적정지각이 가장 높고, 그 다음은 건강자원, 지식·기술, 시간자원, 지역사회자원의 순이고, 금전자원의 적정지각이 가장 낮았다. 2. 주부의 전체 가족자원적정지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내구재소유수와 주부의 취업유무로써, 내구재를 많이 소유한 비취업주부일수록 전체적으로 가족자원을 보다 적정하게 지각하였다. 3. 주부의 대상별 가정관리수행 수준은 기질·성격관리수행이 가장 높고, 그 다음은 애정관리수행능력이고, 지식·기술관리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4. 주부의 대상별 전체 가정관리수행에서는 남편의 가사조력정도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어, 남편의 가사조력이 많다고 지각하는 주부가 전반적인 관리수행이 높았다. 5. 전체 대상별 가정관리수행은 전체 가족자원적정지각과 정적상관을 가지며 r=.40), 전체적인 관리수행에 유의한 영향 변수는 주부의 지식·기술자원적정지각과 대인관계자원적정지각이다. 본 연구결과 주부의 가족자원적정지각은 가정관리수행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요한 요인으로써, 가족차원을 보다 적정하게 지각하는 주부일수록 가정관리수행 수준은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factors influencing the perceived adequacy of family resources and home management performance of housewive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erceived adequacy of family resources on home management performance of housewives. The research questions are described as follows 1. What is the degree of the perceived adequacy of family resources? 2. What is the difference to the perceived adequacy of family resources by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what is the influence of them on it? 3. What is the degree of the home management performance in object specific? 4. What is the difference to home management performance by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what is the influence of them on it ? 5. What have perceived adequacy of family resources effect on home management Performance in object specific? The selected variables for this research are sociodemographic variables(age of housewife, education level, incomes, occupation, the form of family), housework variables(husband's housework helping, housewife's housework time), and house variables(the house type, homeownership, endurance-goods). The subjects are 336 housewives with more than one child, who lived in the Kwang ju city. The data obtained a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one-way ANOVA, t-test, Pearson's r,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level of the perceived adequacy of family resources is relatively high as 99.48 score in comparison with median value(90 score). The level of the interpersonal relation resource and physical environment resource are the highest, and that of financial resource is the lowest 2. The total perceived adequacy of family resources according to endurance-goods and occupation shows difference. Housewives with more number of endues goods and nonoccupation are more adequately perceiving total family-resources. 3. The level of home management performance is more high than median value(150 score) as 179.25 score. In object specific, character and affection management performance are high, and housewife's home management performance of knowledge or skill is the lowest. 4. The variables which have influence on total level of home management performance are husband's housework-helping. Therefore housewife perceiving that husband helps housework very much is high on Home Management Performance wholely. 5. The family-resources adequacy perception correlates with the home management performance. Housewife perceives more adequate, her level of management performance is more high.

      • 기혼여성의 가정내 리더십과 가정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 변혁적 리더십을 중심으로

        김지은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19

        Family has ever been facing lots of crisis and conflicts in a rapidly-changing modern society. Therefore, to cope efficiently with and to adjust oneself to the change for development, a new paradigm strategy beyond the existing family management was required for an individual family. At this phase, a research on a family leadership that reinforces a growth and development for individual and family is quite necessary. The successful model of family leadership will be a sound foundation for a healthy society and the base for national competitiveness. In spite of its necessity, few researches covering a family for concept and title of leadership have been ever tried. To provide a basic date for a model establishment for the family leadership, therefore, the research, aimed at married women who take a leading role as a leader at home, put its purpose for getting factors that impact a family life satisfaction, by applying a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most-spotlighting issue to families. Besides, by reviewing the impacts of this family leadership on a family life satisfaction, it would provide a theoretical frame of a family leadership on a times and environment basis and plan follow-up researches. To do this, the married women residing in Seoul with primary school students and higher degreed ones were aimed at, and residential area and age were also considered for quota sampling. This research as a basic study for family leadership entrusted its whole process from selection of survey object to a questionnaire to a professional research institute, in order to have more accurate and trustworthy result, as well as it used a total of 300 answered survey for a final analysis data through post verification process. SPSS/Win Ver. 12.0 Program was used for the analyzed date to implement the followings :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Cronbach's alpha, Pearson's product correlation coefficient, Factor Analysis, t-test, Chi-square, one-way ANOVA, Duncan's multiple comparis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data analysis of the research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urveyed married women's family leadership got the average of 3.8 out of 5 as a perfect score. The score belongs to quite high level. Average of the detailed leadership items showed Charisma,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and then Intellectual Stimulation to the order, which indicated that married women present members with a desirable value, respect, and confidence, as well as reasonably displaying a charismatic tendency with a vision-presenting characteristics. Second, study on the overall level of leadership based on social demography variables, private psychological variables, family variables, leadership-relevant variables showed that the class with higher education and income among social demography variables presented higher level of leadership. In regard to private psychological variables, a group with higher internal control tendency and self-esteem showed higher level of leadership. The level of leadership showed a big difference according to all family variables except for stress variable. That is, the groups with married women who have good-communication skills, high social status and economic standings, strong interior control tendency, and positive self-evaluation showed higher level of leadership than the ones who do not. Besides, regarding the attitude of children rearing, groups with married women who have a reasonable way of fostering, understanding ears to their children, a good intimacy, and much time to spare with their children showed higher leadership capacity at home. This result means that family variables in this research become very important factors in married women's leadership capacity. Moreover, regarding the leadership-relevant variables, groups with married women who have been in leaders, frequent experience as a leader, and an leadership training showed higher level of leadership than the ones who do not, which conclusively showed that leadership training or experience as a leader is important in family leadership capacity of married women. Also, the level of leadership of a group who is willing to take a future leadership training turned out to be higher than the one who is not. This suggests that the necessity of leadership training be required for the enhancement of family leadership capacity of married women. Third, the study on private psychological variables of married women's leadership and relative influence of family variables showed that analysis on step 2 with all variables included have presented high communicative degree, and married women with a strong interior control tendency and with a good understanding manner in children fostering have showed high level of leadership, which after all put consequent impacts on family leadership capacity. In particular, judging from the greatly-increased(34%) explanation of additionally-analyzed 2nd step with family variables, the family variables put its great impact on the married women's leadership. Therefore, regarding the follow-up researches and program development on future family leadership, I consider that the impacts of family variables centered with communication and locus of control, and fostering attitude should be greatly considered and reflected. Fourth, the study on family life satisfaction as per leadership level of the married women indicated that the family life satisfaction turned out to be high in a group with high level of leadership. And, the study on the impact of actual married women's leadership on family life satisfaction based on regression analyssi have proven that leadership puts its statical influence on family life satisfaction. At the conclusion, the study on a relative influence of private psychological variables, family variables, and a leadership level on a family life satisfaction have shown that married women's level of leadership turned out to be an important factor along with communication, social status, economic standings, and self-esteem. The analysis taken so far indicated that married women's family leadership became a very important factor to enhance a family life satisfaction. This means that the married women's level of leadership is a key factor which increases whole family life satisfaction as preceding element of life quality. So, multiple follow-up researches centered with derived variables via this research should be suggested to enhance a married women's family leadership. 급속하게 변화하는 현대사회에서 가정은 그 어느 때보다 많은 위기와 갈등에 직면해 있다. 따라서 개개의 가정이 급격한 변화 속에서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적응·발전하기 위해 기존의 가정경영을 넘어서는 새로운 패러다임 전략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시점에서 개인과 가정의 성장과 발전을 강화시키는 가정리더십의 연구는 매우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성공적인 가정리더십 모델은 건강한 사회의 초석이 될 것이며 국가경쟁력의 근간이 될 것이다. 이러한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리더십의 개념과 주제를 가정 분야까지 적용하는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가정리더십 모델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가정생활을 이끌어가는 리더로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최근 가장 각광받고 있는 변혁적 리더십을 가정에 적용하여 가정내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제변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가정내 리더십이 가정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시대적·상황적으로 요구되는 가정리더십의 이론적 틀을 제공하고 후속 연구들을 도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거주하는 초등학생 이상의 자녀를 둔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거주지역과 연령을 고려해 할당표집을 하였다. 본 연구는 가정리더십의 초기연구로서 보다 정확하고 신뢰성 높은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조사대상 선정부터 설문까지의 전 과정을 전문적인 리서치기관에 의뢰하여 조사하였고, 사후검증작업을 통해 총 300명의 응답결과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Ver. 12.0 프로그램을 통해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신뢰계수(Cronbach's alpha), 피어슨(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요인분석(Factor Analysis), 티 테스트(t-test), 교차분석(Chi-square),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던컨(Duncan)의 사후검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 기혼여성의 가정내 리더십은 5점 만점일 때 약 3.8점의 평균을 기록해 비교적 높은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리더십의 세부 항목별 평균은 카리스마, 개별적 고려, 지적자극 순으로 높게 나타나 기혼여성이 구성원들에게 바람직한 가치관, 존경심, 자신감을 심어주고 비전을 제시하는 특성을 지닌 카리스마적 자질을 잘 발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인구학적 변인, 개인심리 변인, 가정내 변인, 리더십관련 변인에 따른 전체 리더십 수준을 살펴본 결과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 학력, 소득이 높은 집단이 리더십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개인심리 변인에서는 내적통제성향과 자아존중감이 높은 집단이 리더십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스트레스 변인을 제외한 가정내 변인 모두에 따라 리더십 수준이 큰 차이를 보였다. 즉 의사소통이 잘되고, 사회적 지위와 경제적 지위가 높으며, 내적통제성향이강하고,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하는 기혼여성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리더십 수준이 높았다. 그리고 양육태도에 있어서는 양육방침이 정당하고, 자녀를 이해하는 태도를 지니고, 자녀와 친밀하며, 자녀와의 접촉시간이 많은 기혼여성 집단이 가정에서의 리더십 역량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의 가정내 변인이 기혼여성의 리더십 역량에 상당히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함을 의미한다. 또한 리더십관련변인 중 리더 경험이 있고, 그 횟수가 많으며, 리더십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기혼여성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리더십 수준이 높게 나타나 기혼여성의 가정내 리더십 역량에 리더십 교육이나 리더 경험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향후 리더십 교육을 받을 의향이 있는 집단의 리더십 수준이 의향이 없는 집단보다 리더십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기혼여성의 가정내 리더십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리더십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셋째, 기혼여성의 리더십에 대한 개인심리 변인, 가정내 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모든 변인들이 들어간 2단계 분석에서 의사소통도가 높고 내적통제성향이 강한 기혼여성일수록, 자녀를 이해하고 인정하는 양육태도를 가진 기혼여성일수록 리더십 수준이 높았으며, 가정내 리더십 역량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특히 가정내 변인을 추가하여 분석한 2단계에서의 설명력이 34%나 크게 증가한 것에서 볼 때 기혼여성의 리더십은 무엇보다 가정에서의 변수가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가정리더십과 관련된 후속 연구와 프로그램 개발에서 의사소통과 내외통제성, 양육태도를 중심으로 한 가정내 변인의 영향력을 고려하여 반영할 필요성이 크다고 사료된다. 넷째, 이러한 기혼여성의 리더십 수준에 따른 가정생활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리더십수준이 높은 집단의 가정생활만족도가 높았다. 그리고 회귀분석을 통해 실제 기혼여성의 리더십이 가정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본 결과 리더십이 가정생활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가정생활만족도에 대한 개인심리 변인과 가정내 변인 그리고 리더십 수준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기혼여성의 리더십 수준이 의사소통, 사회적 지위, 경제적 지위, 자아존중감과 함께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서 기혼여성의 가정내 리더십이 가정생활만족도를 증진시키는데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기혼여성의 리더십 수준이 삶의 질의 선행요소인 전체 가정생활만족도를 상승시키는 주요인이라는 것을 의미하므로, 기혼여성의 가정내 리더십 역량 강화를 위해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변인들을 중심으로 한 다각적인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