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예비 가정과 교사의 가족개념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이정수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823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과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결혼 및 가족관련 가치관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정도를 파악하여 이들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예비 가정과 교사의 연령, 전공, 학력, 종교, 직업, 소득수준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첫째, 예비교사의 전공에 따른 각 집단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은 어떠한가, 둘째, 예비교사의 전공에 따라 가족의 정의 및 범위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가, 셋째, 예비교사의 전공에 따라 결혼과정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넷째, 예비교사의 전공에 따라 부모됨의 의미에 차이가 있는가, 다섯째, 예비교사의 전공에 따라 이혼관련 가치관에 차이가 있는가, 여섯째, 성역할태도와 관련변인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면서 사범대학이나 교육대학원에서 가정과교육을 전공하고 있는 예비 가정과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최종 242부를 연구 분석에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for 11.0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문제별로 각각 빈도와 평균, t-test, one way ANOVA,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가정교육 전공집단의 연령이 가장 낮았고, 아동가족소비자 집단과 식품영양 집단의 연령이 높게 나타났다. 학력은 비사범대 출신의 경우, 대학원에 입학하는 경우가 많아 집단 간의 차이가 나타났고 종교는 없음이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기독교, 천주교, 불교 순이었다. 또 학업에만 전념하는 학생이 가장 많았고 그 외에는 학업과 다른 일을 병행하고 있었다. 결혼상태는 가정교육학과는 비교적 미혼이, 식품영양학과는 비교적 기혼이 많았다. 다시 종합하면, 연령, 학력, 종교, 직업, 결혼 상태에서 전공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예비 가정과 교사들은 가족을 정의하는데 있어 혈연을 가장 먼저 떠오르는 항목으로 꼽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안식처, 애정, 따뜻함 순이었다. 가족의 범위에 대해서는 90%이상이 자녀, 배우자, 부모, 형제자매를 가족이라 규정하였고 50%이상은 시부모, 입양한 자녀, 조부모, 재혼으로 인한 새부모, 재혼으로 인한 새자녀, 재혼으로 인한 새형제자매였으며 혼인으로 인한 기타 친족과 증조부모, 고조부모, 동거커플, 동성애커플은 과반수이상이 가족이 아니다라고 규정하였다. 셋째, 예비교사들의 결혼과정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결혼은 하는 것이 더 좋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으며 해도 되고 하지 않아도 된다는 의견이 그 다음으로 차지하였으나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결혼전 교제기간에 대한 결과로, 1년 이상의 교제기간이 바람직하다고 답한 응답자가 많았고 전공에 따라서는 가정교육 전공집단이 2년 이상, 아동가족소비자와 의류직물 전공집단이 1년~1년 6개월, 식품영양 전공집단은 기간에 상관없다고 응답하였다. 결혼동기로는 애정충족을 위해서, 정서적 안정과 경제적 안정을 위해서, 자녀출산을 위해서의 순서로 결혼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혼전 성관계에 대해서 결혼할 사이라면 괜찮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으나 전공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혼전동거에 대한 항목별 태도를 보면 결혼 전이나 후보다 성적으로 더 만족스럽고 성적인 충실성이 더 요구된다는 점에서 집단 간의 차이를 보였는데 의류직물 전공집단이 가정교육과 아동가족소비자 전공집단에 비해 위의 두 항목에 대해 동의수준이 높았다. 넷째, 예비 가정과 교사들의 전공에 따라 부모됨의 의미에서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다음 4개의 영역 즉, 시민으로서의 책임 수행, 성인에게 기대되는 자연스러운 행동, 성정체성 수용 및 성적능력 확인, 원만한 부부관계와 결혼생활의 만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의류직물 전공한 예비교사들의 문항별 유의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이혼에 대한 태도를 요인별로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친족과의 불화와 배우자의 부정행위로 인한 이혼에 대해서 가장 허용적인 태도를 보였다. 특히, 심리정서적 요인과 도구적 요인에 의한 이혼에 대해 의류직물 전공집단이 가장 허용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었고 가정교육과 아동가족소비자 전공집단이 가장 보수적인 태도를, 식품영양학 전공집단이 중간정도의 동의수준을 보여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이혼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의식을 살펴본 결과 의류직물 전공집단이 가장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강하였다. 여섯째, 성역할 태도와 결혼 및 가족관련 가치관 변인간의 관계를 알아보면, 응답자의 연령이 많을수록 전통적인 성역할태도를 보였고 전통적인 성역할태도를 가질수록 호주제 위헌 결정에 동의하지 않았다. 한편, 여성의 직업역할에 대해 전통적인 태도를 가질수록 심리정서적, 친족과의 불화, 도구적 요인에 의한 이혼에 덜 허용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이혼으로 인해 자녀에게 부정적인 영향이 클 것이라 생각하였다. 또 남녀의 가정역할에 대해 전통적인 태도를 가질수록 친족과의 불화로 인한 이혼에 덜 허용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정과 교사의 전공에 따른 가치관의 차이는 중등학교 가정교과의 가족생활영역의 목표와 내용을 교수하는데 영향을 미치며 학생들의 가치관 형성에도 영향을 끼친다. 특히, 가족생활 영역은 다른 영역에 비해 가치지향적인 특성이 강하므로 교사가 가족에 대해 가지고 있는 가치관에 따라 미래 가족생활을 영위할 학생들에게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더 나아가 미래에 교사가 될 예비교사들의 가치관을 파악함으로써 가정과 교사 양성과정 및 교사의 선발과 연수 프로그램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에도 중요한 근거가 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general recognition on marriage and family-related values targeting candidate teachers of home economics subject and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values, according to the variables of socio-population. To analyze the influencing factors, the age, major, educational background, religion and income level of candidate teachers of home economics subject were surveyed. In this study, socio-population features of each group, according to candidate teachers' majors, have been identified, and whether differences are shown in recognition on the definition and scope of family, marriage process, being parents and divorce-related values have been investigated. The study proposition is what relation exists between gender role attitude and related variables. This paper targeted the candidate teachers who were majoring in home economics-related subjects in the colleges of education or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Capital Area. The final 242 questionnaire responses were used for analyses in this study. Frequency, average, t-test, one way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for each study propositions by using the SPSS for 11.0 Window program to process the collected data. First, as a result of comparing socio-population features of the candidate teachers, the age of the group whose major was home economics education was the lowest, while the age of the groups whose majors were child, family and consumer and food nutrition were shown higher. As for educational background, many from non-college of education entered graduate schools, so differences were shown among groups. Regarding religion, no religion accounted for the most, followed by Christianity and Buddhism. The most students were dedicated to only studying, and others were simultaneously conducting studying and other jobs. As for the status of marriage, many home economics education majors were unmarried, while many food nutrition majors were married. In general, significant differences by major were shown in age, educational background, religion, job and status of marriage. Secondly, candidate teachers of home economics subject counted blood relation as the most remarkably thinkable in defining family, followed by a place to find peace, then love and warmth. Regarding the scope of family, more than 90% of the respondents prescribed children, spouse, parents and siblings as family, more than 50% included parents-in laws, adopted children, grand parents, step parents, step children and step siblings, deriving from remarriage in the scope of family. Other relatives, stemming from marriage, great grand parents or higher, de factor couple, same sex couple were excluded from the family by more than a majority of the respondents. Thirdly, as a result of looking at recognition on the marriage process of candidate teachers, the opinion that getting married was better was the most, followed by don't care about getting married or not getting marred.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groups. As a result of association period before marriage, the respondents saying that more than a year of association period was desirable accounted for the most. According to major, the home economics major group said more than 2 years, the groups of child, family and consumer and garment textile said a year ~ a year and 6 months and the group of food nutrition major said they did not care about the association period. Regarding marriage motives, meeting love, for emotional and economic stability, and child birth were shown in order. Concerning sexual relation before marriage, the most opinion was it's all right, if two people were to marry,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depending on majors. Looking at the attitudes by item concerning living together before marriage, differences were shown among the groups in that being sexually more satisfactory and faithful was more demanded than before and after marriage. The agreement level of the group of garment textile major was higher for the two items above than the group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child, family and consumer majors. Fourthly, as a result of looking at the difference in the meaning of being parents, according to the majors of candidate teacher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in four areas: performing responsibility as a citizen, natural behavior expected from adults, acceptance of sex identity and confirmation of sexual ability and smooth couple relation and marriage life satisfaction. The candidate teachers with garment textile major showed the highest significance level by questions. Fifthly, looking at the attitudes by each factor, the most permissible attitude was shown about divorce arising from discord with relatives and spouse' infidelity behavior. Especially, the garment textile major group showed the most permissible attitude about divorce, due to a psychological emotion factor and an instrumental factor. Groups with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child, family and consumer majors showed the most conservative attitude and the group with food nutrition major showed intermediate level of agreement level. In this wa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among groups.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influence consciousness of divorce on children, the group of garment textile major showed a strong tendency thinking the influence would be the most negative. Sixthly, regarding the relation between gender role attitude and family-related value variables, as the age was higher, they showed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 As respondents had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 they did not agree to the decision of unconstitutionality on the head of the family system. Meanwhile, as respondents had traditional attitude on female's job role, they were less permissible to the divorce, which arises from the psychological emotional factor and the factor of discord with relatives and the instrumental factor, and they thought negative influence of divorce on children would be large. As respondents had traditional attitude regarding the roles of men and women at home, they were less permissible to divorce, arising from discord with relatives. The differences in value, according to the majors of home economics subject, impact teaching of the objectives and contents of family life area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home economics subject, and also impact the formation of students' values. Especially, we can see that decisive influence is imposed to the students who will lead a future family life, according to the value of a teacher on family, because the family life area has a strong value-oriented feature. Also, identifying the values of the candidate teachers who will be teachers in the future will be important foundation in setting the direction of home economics teacher fostering, teachers' selection and training programs.

      • 중학교 가정과 교사의 녹색생활교육 학습요소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및 요구도

        우윤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9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if the domestic science teachers understand how important the components of green lifestyle education are, how much teaching is being done through classes, and what kind of educational components are required.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are domestic science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s throughout the country and a remote sampling via e-mail had been used. E-mail addresses of the domestic science teachers were gathered by visiting respective web pages. Except those e-mails without responses and incorrect e-mail addresses, 97 out of total 512 e-mails were used as analytical data for the research.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18.0. The summary of th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desired components of green lifestyle education for each section of domestic science (children/family life, household management/consumer lifestyle, eating, wearing, and residing) have been looked into. For children/family life section, ‘caring-for-family experience and evaluation (creating a sustainable society through looking after family in harmony), ‘practicing green lifestyle at home’, ‘establishing a democratic family relationship to form a sustainable household’, ‘ways to reduce CO2 emission during wedding ceremony (outdoor wedding ceremony)’, ‘eco-friendly family welfare service (using health center)’, ‘participating voluntarily in local community’, and ‘understanding different cultures and diversity. Highly desired educational components in children/family lifestyle section are ‘green purchasing (use of local markets)’, ‘use of eatery marking system (food tracking system)’, ‘environment ledger writing-method’, ‘status of household’s disposing of container wastes’, ‘finding out of CO2 level per unit’, ‘quality guarantee mark for green consumption (environmental mark, carbon level mark)’, ‘Lohas lifestyle, Lohas spending’. In the eating section, the highly desired educational components are ‘use of food bank’, ‘eco-cooking (reasonable cooking time, saving water, etc.)’, ‘relationship between food and environment’, ‘food diet using organic products’, ‘quality guarantee mark for traditional food products’, ‘recycling of used cooking oil’, and ‘significance of GAP (Good Agricultural Practices)’. Highly desired educational components for wearing section include ‘eco-friendly and pro-human underwear-putting on methods’, ‘selection of more eco-friendly detergent such as natural detergent’, ‘use of natural fabrics and eco-friendly fabrics (corn fabric clothes, etc.), ‘use of natural dyeing’, ‘period of buried clothes to be decomposed’, ‘relationship between synthetic detergent and environmental pollution’, and ‘ways to redo clothes’. Lastly, in the residing section, highly desired educational components include ‘eco-friendly materials’, ‘nature-centric residence design’, ‘energy-saving houses’, ‘eco-friendly components of hanok’, ‘eco-friendly DIY furniture’, ‘eco-friendly architecture recognition program’, and ‘sick house syndrome and building syndrome’. Second, as a result of researching the importance and status of green lifestyle education for domestic science, the difference in importance and status among children/family, household management/consumer lifestyle, eating, wearing and residing - subsections of green lifestyle educational components were significant, and the importance for all subsections was shown to be higher than the status. Hence, we can see that the execution status is lower than the importance for all subsections. Lastly, child/family lifestyle section had shown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textbook usage, green lifestyle training experience, and educational credibility as per establishment type and reformation of educational courses in 2007. The teachers of children/family lifestyle section who did not teach using the reformed textbooks required more green lifestyle education. The household management/consumer lifestyle section had shown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eaching of 2007 reformed materials, teaching experience, major of undergraduate degree, educational level, in-charge area, and type of school. The teachers who did not teach using 2007 reformed courses did require more green lifestyle education in terms of household management/consumer lifestyle section. For eating section, marriage status, training experience, major of undergraduate degree, educational level, in-charge section, and type of schoo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Married teachers and teachers with no training background required more eating section green lifestyle education. Wearing sec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teaching experience, and location. Men were shown to require more wearing section green lifestyle education than women. Lastly, for residence section, marriage status, use of 2007 reformed materials, training experience, major of undergraduate degree ha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Married teachers and teachers with no training background required more residing section green lifestyle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과 교사들이 녹색생활교육 학습요소에 대해 얼마나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수업을 통해 어느 정도 실행하고 있는지, 그리고 어떤 학습요소를 요구하고 있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의 중학교에 재직하는 가정과 교사이고 표집은 이메일을 통한 무선 표집방법을 사용하였다. 무선 표집 방법은 중학교 홈페이지에 모두 방문하여 가정과 교사 이메일 주소를 찾아내었다. 이메일 주소는 512개를 수집하여 응답이 없는 경우와 메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수된 이메일 중 97부부를 연구의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 각 영역(아동/가족생활, 가정경영/소비생활, 식생활, 의생활, 주생활)의 녹색생활 학습요소의 요구도를 알아본 결과, 차기 교육과정이나 교과서에서 포함되어야할 요구도가 높은 학습 요소는 아동/가족생활역에서는 ‘가족 돌봄 체험과 재평가(협력적 가족 돌봄을 통한 지속가능한 사회 형성)’, ‘가정에서 녹색생활 지침 활용’, ‘지속가능한 가정 형성을 위한 민주적 가족관계 형성하기’, ‘CO2 발생을 줄이는 결혼식 방법(야외 결혼식 등)’, ‘친환경적인 가족 복지 서비스(건강가정센터 활용)’, ‘지역 공동체 자발적 참여’,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다문화, 다양성 인정하기’로 나타났다. 가정경영/소비생활영역에서 요구도가 높은 학습 요소는 ‘녹색구매(알뜰시장의 활용)’, ‘먹을거리 표시제 활용(식품이력 추적제)’, ‘환경가계부 작성 방법’, ‘가정 쓰레기 중 용기포장 폐기물 실태’, ‘1세대 당 연간 CO2 배출량 추이’, ‘녹색소비와 관련한 품질인증마크(환경 마크, 탄소 성적 표지 마크)’, ‘로하스 의식, 로하스 소비’이었다. 식생활영역에서 요구도가 높은 학습 요소는 ‘푸드 뱅크 활용’, ‘에코 쿠킹(합리적 조리시간, 물 절약 등)’, ‘식품과 환경과의 관계’, ‘유기농 제품을 이용한 식생활’, ‘전통식품 품질인증마크’, ‘폐식용유의 재활용 방법’, ‘우수농산물관리제도(GAP)의 의의’이었다. 의생활영역에서 요구도가 높은 학습 요소는 ‘친환경 및 친인간적 속옷 착용법’ ‘천연세제와 같은 오염도 낮은 세제 선택’, ‘천연섬유와 환경 배려 섬유(옥수수섬유 옷 등)’, ‘천연염색의 이용’, ‘의복 매립 시 분해될 때까지 걸리는 기간’, ‘합성 세제와 환경오염 관계’, ‘의복 고쳐 입는 방법’이었다. 마지막으로 주생활영역에서 요구도가 높은 학습요소는 ‘친환경 건축자재’, ‘자연중심적 주거생활양식’, ‘에너지 절약형 주택’, ‘한옥의 친환경적 요소’, ‘친환경 DIY 가구’,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 ‘새집 증후군과 헌집 증후군, 빌딩 증후군’이었다. 둘째, 가정과 영역의 녹색생활 교육의 중요도와 실행도를 알아보고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녹색생활 학습요소의 하위영역인 아동/가족생활영역, 가정경영/소비생활영역, 식생활영역, 의생활영역, 주생활영역에서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모든 녹색생활 학습요소의 하위영역 모든 영역에서 중요도가 실행도 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녹색생활 학습요소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중요도에 비해서 실행도가 낮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가정과 영역의 녹색생활 교육이 일반적 특성에 따라 요구도 차이가 있는 지 알아본 결과, 아동/가족생활영역은 설립유형,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사용 여부, 녹색생활 연수 경험 유무, 학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2007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로 수업하지 않는 교사들이 아동/가정생활 영역 녹색생활 학습을 더 많이 요구하였다. 가정경영/소비생활영역은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수업 여부, 학부전공, 학력, 담당영역, 학교유형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2007개정 교육과정으로 수업하고 있지 않는 교사가 가정경영/소비생활 영역 녹색생활 학습을 더 많이 요구하였다. 그리고 식생활영역에서는 결혼여부, 연수경험, 학부전공, 학력, 담당영역, 학교유형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미혼보다는 기혼의 교사가, 연수경험이 없는 교사가, 식생활영역 녹색생활 학습을 더 많이 요구하였으며 의생활영역은 성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성별에서는 남자교사보다 여자 교사가 의생활영역 녹색생활 학습을 더 많이 요구하였다. 마지막으로 주생활영역은 결혼 여부,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사용 여부, 연수 경험, 학부전공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기혼 교사가 미혼 교사에 비해서, 연수경험이 있는 교사가 주생활영역 녹색생활 학습을 더 많이 요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