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주변적 대상을 통한 틈새로서의 그림 그리기 연구

        안병남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343

        본 논고는 그리기와 그림의 의미에 대해 질문하며 2022-2023년에 걸쳐 제작한 본인의 그림 작품들을 분석한 글이다. 분석의 대상이 되는 작품들 은 소위 중심(中心)적이라기보다 잉여적이고 주변(周邊)적이라고 볼 수 있는 대상들을 담고 있다. 내가 생각하는 그리기는 특정 대상을 나의 눈 과 손을 통해 시각화할 수 있는 행위이다. 나의 그리기를 통해 대상은 보 고 감상하게 되는 ‘그림’ 속에 놓인다. 나의 작품 과정을 ‘틈새’ 혹은 ‘사이-공간’으로서의 그리기라 정의한다. 일반적으로 ‘사이-공간’은 건축의 결과 생겨난 공간적 틈으로서 사람들에 게 여유를 제공하는 공간들을 일컫는다. 이를 인용한 이유는 내가 그리기 를 유희적, 잉여적이면서 동시에 중요한 행위라고 인지하기 때문이다. 다 시 말해, 그림 그리기는 일상적 틈새로서 나의 주변 대상들과 나의 상상 을 담아낸다. 나는 그림의 가능성을 대상과 나 사이의 거리감에서 찾고는 하는데, 이는 작업을 통해 대상에 대해 다루는 것의 한계를 인지하기 위 함이다. 그림에 담고자 하는 것들은 일종의 일시적이고, 임시적이며 유동 적인 것들이다. 내가 바라보는 이 같은 일시성은 이내 사라질 것 같이 연 약한 대상들이 가진 특성이다. 나는 나의 주변에서 쓰임새가 다해 사라지 고 상실되는 대상들에 계속해서 관심이 있다. 어쩌면 이 대상들이 이내 곁에서 사라지기 때문에 그림으로 그리는 것일 수도 있다. 연구의 대상이 되는 그림의 소재들은 인물부터 사물까지 광범위한데, 공통적으로는 무엇 인지 한눈에 알아보게 되지 않는 모호함을 가지고 있는 대상들이라는 점 에 있다. ‘경계 없는 밤’, ‘배회하는 사람들’, ‘치워지는 사물들’ 등의 소재 들은 내가 보았던 주변 모습들을 반영한다. 이러한 소재들은 내가 생각하 는 중심성, 예컨대 낮, 배타적인 목적성, 고정성 등에서 벗어나 보이는 대 상들이며, 이러한 소재들로 그림을 통해 우리가 인식하는 중심적인 인식 의 틀에 대해 질문하고자 한다. 본 논고는 또한 내가 그림을 그리는 방법론에 대해서 다룬다. 나의 그 림은 한 장에서 끝나지 않고 연작으로 진행된다. 그림을 그리면서 계속 궁금한 점들이 생기며, 이는 다음 그림을 그리게 하고 결과적으로 연작으 로 그림을 그리는 동원이 되기 때문이다. 그림의 의미가 한 장의 그림에 서 발생하지 않고 그리기의 일련의 과정들에서 생겨난다고도 생각한다. 그림을 그릴 때. 대상의 형태나 아이디어 자체에서 재치를 찾는데 이는 만화와도 유사하다. 만화적인 표현을 넣음으로써 그림에서의 재치를 찾는 이유는 ‘가볍지만 무거운’, ‘정적이지만 유동적인’ 등지의 역설에 대한 관 심에서 나온 것이기도 하며, 그림이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것이 되길 바라기 때문도 있다. 대상을 단단한 틀에 고정하는 행위인 그리기를 통해 부재한 것에 대해 인식을 하려는 태도도 바로 역설과 연관되어 있다. 유 동적인 것들을 화면에 어떻게 고정할 수 있을 것인가와 관련된 역설 말이 다. 나의 그림은 여전히 언어에 귀속되지 않는 ‘틈새’ 들을 남겨놓기 때문에 서사적이지만, 비(非)-서사적이기도 한, 모호한 것이기도 하다. ‘틈새’는 그 림을 보여주는 방식에서도 보인다. 나는 그림들을 종종 가깝게 붙여 연속 적으로 보여주지만, 실제로 걸려있는 그림들 사이는 동시에 불-연속적인 것이기도 하다. 즉, 내가 사용하는 사이, 혹은 틈새로서의 그림은 현실과 상상 사이, 그림과 그림 사이를 의미하는 것이다. 나는 이 사이의 공백을 보는 이가 스스로 만들며 생각해보게 되길 바란다. 주요어 : 틈새, 사이-공간, 중심과 주변, 역설, 배회, 과정, 모호함 학 번 : 2022-2416 This paper is an analysis of my own drawings and paintings produced from 2022 to 2023 while exploring the act of drawing and the meaning of painting. Works for analysis are those that can be regarded ‘redundant’ and ‘marginal’ rather than ‘central.’ Drawing, as I understand it, is an act of visualizing a specific object through my eyes and hands. Through an artist’s act of drawing, an object is placed in a ‘picture’ for viewing and appreciation. I define my act as drawing as a ‘gap’ or ‘inter-space.’ In general, ‘inter-space’ refers to the space that provides space for people as a spatial gap created as a result of architecture. I cite this because I perceive drawing as a playful, redundant, yet important activity at the same time. In other words, the act of drawing captures both the objects around me and my imagination. I try to find the potential of painting in the distance between the object and myself, and that is to recognize the limitations of dealing with the object through my work. What I try to represent in my paintings is something temporary, provisional, and fluid. The temporality as I understand is a characteristic of fragile objects that seem to vanish before long. I have continued to take interest in the objects around me that disappear and are lost as they cease to serve their purpose. Perhaps I draw them because they will soon disappear from my sight. The subject matters of the paintings to be discussed are wide ranging from human figures to objects, but what they have in common is that they are objects that have a certain ambiguity that defies my effort to grasp their identity at a glance. Subject matters such as ‘boundless night’, ‘wandering people’, and ‘objects being removed’ reflect what I have observed around me. These are objects that seem to deviate from what I think of as centrality, such as daylight, purposeful attitude, fixity and stability. By drawing these subject matters, I try to raise questions about the central framework of perception we assume. This paper also discusses the methodology of my drawings and paintings. Usually, my work does not end with a single piece, but rather proceeds to a series. As I draw, questions continue to arise, which leads me to draw the next picture, which ultimately motivates me to paint in series. I also believe that the significance of a painting arises not from a single painting, but from a series of drawing processes. When I draw, I look for wit in the shape of the object or the idea itself, which is similar to a cartoon. The reason for seeking wit in paintings by incorporating cartoon-style expressions comes from an interest in paradoxes such as ‘light yet heavy’ and ‘static yet fluid’, as well as from a desire to make paintings more accessible. The approach of recognizing what is absent through drawing, which is the act of fixing an object in a solid frame, is also associated with paradox. It is a paradox related to how to fix fluid things on the painting surface. My drawings and paintings are narrative, but at the same time they are also non-narrative and ambiguous. The ‘gaps’ are also visible in the way my paintings are presented. I often display paintings in succession by placing them close together, but the space between paintings actually hung is close to being discontinuous. In other words, the picture as an inter-space or gap means something between reality and imagination, between pictures. I hope that those who view my paintings will have the opportunity to create the spaces between them and ponder over them.

      • 이미지와 텍스트의 틈 형성을 통한 언어의 사회적 규정성 연구 : 나의 작품을 중심으로

        홍우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343

        This paper started with a question on the conventional language that defines objects, which led me to further study my works dealing with fragments of thoughts that originated from the same question. I thoroughly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that defines objects and the objects themselves and figure out an error caused by words we take for granted naturally. The triviality of such problems makes me think about how deeply the conventional order is penetrating our lives, which in turn demonstrates the influence of language itself. I first examine how we use and understand words on a microscopic scale, tracing what is behind conventional language. Focusing on the human desire hidden behind the way we name exterior objects and the personified expressions into which we project a part of ourselves, I make works based on errors arising from anthropocentric ideas as such. Above all, a plant is a frequently used subject in my work. I consider a plant as a representative of non-linguistic, speechless beings who can't protest against our arbitrary interpretation. I believe we set the one-way relationship between plants and us by filling up the blank area created by the silence of plants with human language. Such a way of using language makes it seem natural that we project ourselves into objects. I raise a question about how these one-sided expressions of language are taken for granted. I choose to take a roundabout way of distorting the language system that defines objects rather than showing the problems directly. Also, I compose the structure of meaning by first creating the image structure and the text structure separately, and then overlapping them disjointedly. Image and text interact expanding the possibility of diverse interpretations, not by fixing and explaining each other but by creating an analogical relationship between them. I temporarily disturb the meaning of learned representations by scattering the definitive language system and intentionally reversing, contrasting, dividing, repeating, and varying these representations. For this, I emphasize units and rules that texts in my works are repeatedly committed to, repeat or reduce the conventional language system into minimum units, and sometimes transform the structure of sentences. I also actively use distorted meanings or abbreviations of punctuation for a visual structure to escape the grammatical and semantic orders of language. This is the reason my works seem joyful. On the other hand, images are slowly edited with lots of remaining space so that enough space to loosen a fixating property of words is reserved. The image structure is used as a device for upsetting the meanings and delaying the interpretation of texts, and it prepares the possibility of various readings of words. Disjointedly overlapping the structures of image and text creates a gap where the real meaning or story behind is not revealed directly, therefore demanding viewers possess an active attitude as they encounter difficulty decoding my riddle-like works. I also provide an opportunity to think about how easily we use language and how complex it is, when viewers get through the hardship of making sense of scattered fragments. Visualizing the distorted and scattered system of object-defining language satisfies me in that I am liberated from the negative language blocking between me and objects and the authority of defining language is disturbed. Furthermore, expressing what I could not put into usual words before helps me unravel my fragmentary thoughts. This study let me clearly figure out the reason why my colleagues used words like 'poetic', and 'joyful' in describing my works. It resulted not from a vague play but from the way I go against the conventional language system. But, as I try to go against language, I'm self-conscious about the impossibility of going beyond language in the end. The predictable failure as such could not stop me from keeping failing again and again, because I think it'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impossibility of language first, even when we try to make sense of the very possibility of language. 이 논문은 존재를 정의하는 관습적 언어에 의문을 가지고, 그에 관한 단상을 여러 갈래로 풀어내는 나의 작품에 관한 연구이다. 나는 일방적으로 대상의 의미를 결정하는 언어와 그 대상의 관계를 관심 있게 살펴보고, 우리가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말들이 발생시키는 오류를 찾아낸다. 이런 오차는 너무 사소해서 관심 밖에 놓이고 쉽게 눈치 채기 어렵다. 하지만 나는 오히려 이러한 문제들이 사소한 만큼 그 관습화된 질서가 우리의 일상에 침투해있다고 생각하며, 언어의 영향력을 실감한다. 먼저 나는 미시적 차원에서 우리가 단어를 어떻게 이해하고 사용하는지 살펴보고, 관습적 언어 속에 숨겨진 실체가 무엇인지 추적한다. 나아가 나는 인간이 인간 외적 대상을 명명하는 방식 속에 감추어진 욕망과 우리의 어떤 것을 투사하는 의인화된 표현 등에 주목하며, 인간 중심으로 판단하고 생각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오류로부터 출발해 작품을 만든다. 특히 그중에서도 식물은 나의 작품에 자주 등장하는 소재다. 나는 식물이 말이 없어서 사람들이 자의적인 해석을 덧붙이더라도 항변할 수 없는 비언어 존재의 대표주자로 여긴다. 나는 우리가 식물의 침묵이 만들어내는 공백을 언어로 채워 넣으며 식물과 인간의 관계를 일방향의 것으로 만든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언어 사용은 대상에게 인간의 일면을 투사하는 행위가 자연스러운 것으로 여겨지게끔 한다. 나는 이러한 일방적 표현이 어떻게 당연하게 여겨지는지 의문을 가진다. 나는 내가 가진 문제의식을 직설적으로 드러내기보다 대상을 규정하는 언어체계를 비트는 방식으로 우회한다. 또한 나는 이미지 구조, 텍스트 구조를 따로 만들고 이를 어긋나게 중첩해 작품의 의미 구조를 만든다. 이미지와 텍스트는 서로를 고정하거나 설명하지 않는 유추적 관계에 놓여 다양한 해석 가능성을 만들며 상호작용한다. 나는 학습된 표상을 의도적으로 역전, 대조, 분절, 반복, 변주해 규정하는 언어의 체계를 흩트려 그 표상의 의미를 일시적으로 교란한다. 이를 위해 나는 텍스트를 만들 때 반복되는 단위와 규칙을 볼 수 있게 만들어 그 인상을 강조한다. 그리고 관습적 언어체계를 반복하거나 최소단위로 감축시키고 때로는 구문을 변용시킨다. 나는 적극적으로 어긋난 의미, 시각적 구조를 위한 구두점의 생략 등을 사용하여 문법 질서와 의미 질서로부터 벗어난다. 이로 인해 작품 속에 유희적 측면이 두드러진다. 한편 이미지는 느리고 여백이 많게 편집되어 말의 고정적 성질을 느슨하게 만드는 여유 공간이 되어준다. 따라서 이미지는 중요한 역할을 도맡고 있다. 이미지 구조는 글의 해석을 지연시키거나 의미들을 뒤엎는 장치로 사용되며 말의 의미가 하나로 읽히지 않도록 돕는다. 작품을 만들 때, 나는 각각 관습을 거스르는 이미지 구조, 텍스트 구조를 어긋나게 중첩해 틈을 만든다. 또한 나는 이미지와 텍스트가 들어맞지 않는 의도적인 간격과 차이를 목표하기 때문에 그 내막이 감추어져있다. 나는 관객들이 수수께끼처럼 만들어진 작품을 해독할 때 어려움을 느끼게 함으로써 능동적인 태도를 요구한다. 나는 관객이 흩어진 조각들을 힘들게 읽어내는 경험을 통해 기존에 우리가 말을 쉽게 사용하고 있다는 것과 언어의 복잡한 측면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도록 만든다. 나는 대상을 규정하는 언어 체계가 어질러지고 흩어진 상태를 시각화하는 것에 만족감을 느낀다. 나는 이를 통해 규정하는 언어의 권위를 교란하며, 나와 대상을 왜곡하고 가로막는 부정적인 언어로부터 해방된다. 또한 기존의 말로 설명할 수 없다고 느끼던 것을 표현함으로써 나의 단상을 풀어낸다. 대학원에서 진행한 작업을 연구하며 평소 나의 작품에 따라붙는 ‘시적이다’, ‘유희적이다’와 같은 표현이 어느 지점에서 비롯되는지 명확하게 밝혀 알 수 있었다. 이는 막연한 놀이의 결과가 아니라 관습적 언어체계를 거스르는 방식이 만들어낸 인상이었다. 그러나 나는 언어체계를 거스르는 동시에 궁극적으로 언어를 벗어나는 일이 불가능함을 알고 있다. 예견된 실패임에도 이러한 시도를 계속했던 이유는, 우리 중 누구도 언어의 지시적 측면을 벗어날 수 없고 언어의 가능성을 따지기 위해서라도 그 불가능성을 먼저 이해해야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 팽창된 인체의 조형성 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임영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327

        초현실주의 시인인 엘뤼아르(Paul Eluard 1895~1952)는 '예술가가 창조에의 욕망을 느끼게 되는 것은, 그들을 에워싸고 있는 모든 것들과의 불일치를 느낄 때'라고 하였다. 인간은 수많은 혼선과 갈등 속에서 긍정적 혹은 부정적인 욕구를 가지게 되며, 그것이 자기 표현의 동기로 작용하여 그로 인해 분출되는 행위, 표현들이 예술의 바탕이 된다는 것이다. 본인은 본인의 작업에서 크게는 국민, 작게는 한 가정의 구성원으로서 살아가면서 부딪힐 수밖에 없는 많은 혼선과 갈등을 자신의 회화 어법으로, 화면 안에서 그 해답을 풀어 나가고자 하였다. 미술에 있어서 오랜 관심의 대상으로서의 인간의 몸은 더 이상 유미주의 틀 안에 머물거나, 소재 구분에 따르는 소 장르의 의미를 부여받는데 만족하거나, 일차원적 대상의 표현이라는 소박한 목표에 충실하고자 했던 과거의 영역에 머물지 않고 그 자체로 일정한 의미의 대상으로 존재할 수 있는 힘을 부여받게 되었다. 즉 시·공간의 지평을 급속히 확대시키며, 동시에 심각한 정체성의 혼란을 경험하고 있는 이 시대의 인간들에게 인체는 이제 자의식과 본능적 욕망의 표상으로 수많은 담론이 교차하는 대상이 된 것이다. 또한 인체는 인간이 추구하는 사상과 감정을 표현해 주며 무한한 생명력과 동적인 변화에서 느껴지는 선의 변화, 양감 등의 외적인 아름다움을 통해 다양한 표현이 가능한 까닭에 여러 가지 가능성과 오묘한 조형미로 오랜 세월 예술 분야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표현 대상이 되어왔다. 본인의 작품 속에서도 인체는 절단과 팽창, 단순화 등의 다양한 양식으로 표현되어진다. 인간은 생각하는 동물이다. 생각할 수 있는 머리 덕분에 인간들은 편리한 생활을 영위하고 추위로부터 막아줄 옷과 집을 갖게 되었으며 맛있는 음식도 먹게 되었지만 언제부터인가 인간들은 더 많은 것을 얻기 위해, 남의 것을 빼앗기 위해 머리를 쓰기 시작했다. 그 머리를 없애는 본인 작업의 시작이다. 인간을 정신병원으로 내몰고 사람과 사람을 서로 이간시키며 전쟁과 기아에 허덕일 수밖에 없게 만든 인간의 머리를 없애 버린다. 결국 인간은 머리대신 풍만하고 단순한 인체를 얻게되고 몸으로만 느끼고 살아가는 본능적인 인간이 된다. 정신과 육체가 분리되고 이성은 사라졌다. 곧 개성이 배제된 전형적인 특징을 갖게된 인체는 그러한 조건 속에서도 더 강한 메시지를 전달하게 되는데 마치 이는 인터넷에서 자신의 모습을 숨기고 나서야 자신의 내면을 더욱 솔직히 표현하는 현대인들과 흡사하다. 이성을 담당하는 머리를 없애고, 심하게 팽창되어진 신체를 표현하는 행위는 이 사회에 대한 체험의 편견들을 주관적 감정으로 재해석하는 동시에 자신의 개인적인 발언이라 할 수 있다. 현시대는 어느 시대보다 물질적 풍요를 누리고 있으나 진정 추구해야할 참다운 가치의 열쇠는 욕심과 편견을 버려야하는 바로 우리 자신에게서 찾아야 한다는 것이 본 논문의 요지이며 본인 의지의 표현이기도 하다. 본 논문에서는 "머리 없는 사람들의 이야기"라는 부제로 2002년에 전시된 본인의 작품과 그 이전의 작품들까지 포함하여 그 내용과 형식을 살펴보았다. Ⅰ장 서론에서는 본인 작품의 연구목적과 내용, 그리고 연구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고 Ⅱ장 본론에서는 머리를 없애고 인체를 팽창시키게된 계기와 변형의 배경을 설명하면서 인체를 통하여 표현하고자 하는 조형성에 관해 작품에 나타나는 특징적인 조형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과거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시대적으로 변모하는 인체표현에 대하여 알아보았고 머리가 잘림으로서 몰개성화 되어버린 인간과 결과적으로 인체가 화면 위에서 가지는 기능은 조형적 구성요소로서의 역할을 하게되는 것을 여러 근거를 통해 설명하였다. 그리고 이상의 내용을 토대로 만들어진 본인의 작품을 개별적으로 연구 분석하여 구체적으로 해설하였다. Ⅲ장 결론으로는 본 논문의 연구를 통하여 본인의 내면과 의지를 시각적으로 표현해온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본인의 작업을 새로이 정리하였다. A suurealism poet, Paul Eluard said "Artists arouse a desire for creation when they feel discord with what surround themselves." Human has positive or negative desire in lots of confusion and conflict, which gets motive of self-_expression, _expression and actions caused from which is becoming background of art. I want to solve lots of confusion and conflict which I shold meet as nation or a member of a family with my paints, That is expressed by human body removed head and swelled. In arts, human bday that has been concerned for a long time does not stay in frame of estheticism, endow meaning of a small genre by material division, or stay in the areaof the past which is faithful to simple goal, the _expression of the first dimentional object, any longer. It has been given the power as object of meaning. That is, to the current generation which enlarge the area of space time rapidly and experience confusion of identity seriously at the same time, human body become object which cross argument as self-consciousness and the site of instinct desire. Human body also has become important object of _expression in the field of art for a long time by various possibility and profound formative beauty because it can be expressed by various mode, which is realized by cutting and swelling of the body , and simplization. Man is thinking animal. Thank to head which can think, man has lived convenient life, has clothes and house which pretects himself from the cold, and has come to have the delicious dish. Meanwhile man has used his brain to get a lot of things and to take things from others. Cutting the head is the beginning of my work. I removed human being's head which drove man into a mental hospital, alinated a person from another, and suffered from war and starvation. In the end, human being had a plump and simple body, became instinct man who felt and live worth only body. Spirit detached from body, and rationality disappeared. In other words, The body that has had characteristic excluded personality show stronger message, which closely resemble a modern person who hide himself in chatting and express himself. Removing a head which take charge rationality and expressing a body which is swelled badly, are reinterpreting the prejudice of experience about the society with subjective feeling. We live abundant life. but that we have to look for the key of real value which we pursuit is the point of the thesis and the expression of my hoped will. I have studied my works which were exhibited as title ' people who are removed a head' in 2002, including the former works. In chapter Ⅰ, introduction, I described the goal of study about my works and the method of study. And in chapter Ⅱ, the main subject, as I explain background that I removed a head and swelled a human body, I studied formation to express through a human body. I considered _expression of body which has changed from past to modern. In chapter Ⅲ, conclusion, as I studied the course that I expressed my inside and will as paints, I have arranged my works newly.

      • 풍자로 희화화된 현대인 표현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강미혜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327

        본 논문은「Uniform game」展 (2011年 11月)에 전시되었던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내용과 형식적 전개과정을 분석한 것이다. 예술가에 의해 만들어진 예술작품은 온전히 그들만의 것이 아니라 시대가 만들어낸 사회, 문화적 배경의 모든 요소들이 혼재되어 있는 총체물이다. 왜냐하면 예술가는 자신이 속한 시대적 환경에 영향을 받으며 이렇게 탄생된 작품은 예술가가 처한 현실을 여지없이 드러내기 때문이다. 그래서 예술작품은 역사를 증언하는 산증인으로서, 이것은 곧 예술이 가진 힘이자 사회에서 예술가의 역할과 책임으로 그 의미가 확장 될 수 있다. 본인의 작품은 오늘날의 현실 속에서 몸소 느꼈던 불안, 우울, 소외 등 현대인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경험했을 법한 일상의 일들이 계기가 되어 그것을 극복하려는 탈출구로써 본인을 희화화하기 시작하였다. 스스로를 희화화하며 시작된 풍자가 이제는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고 발전하는 현대 물질문명 속 현대인을 상징하고 있다. 그래서 자신도 모르게 병들어가는 현대인들에게 거울을 비춤으로써 그 속에 감춰진 인간의 본질을 보여주고, 인간이란 무엇인가? 라는 의문을 던지며 궁극적으로는 인간에 대한 연민과 사랑으로 향하고 있다. 과거로부터 수많은 예술가들은 비판적 태도를 일관하며 현실을 풍자하고 자신이 몸담고 있는 현실에 대한 사회적 입장을 적극적으로 표명해왔다. 그래서 풍자는 어둡고 암울한 현실 속에서 사회와 소통하는 유일한 연결 고리이자 이러한 현실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일종의 탈출구로써 그 역할을 하였다. 본인에게도 물론 풍자는 심리적 위안을 가져다주고 사회와 소통하는 등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지만 때론 이러한 것들이 단순히 본인에게 익숙해진 또 하나의 표현상의 법인지 헷갈릴 때가 있다. 그래서 본 논문을 통하여 본인이 풍자라는 표현방식을 취하게 된 근원을 작품의 내용과 형식의 전개 과정에 따라 찾아가서 이를 통하여 풍자표현의 당위성을 스스로에게 정립할 기회를 가지고, 또한 앞으로 작업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그러기 위해 본 논문 제 1장에서는 본인이 사회의 관찰자로서 현대사회의 불안과 위기를 언급하며 피터브뢰겔과 오노레 도미에가 처했던 각 시대적 배경과 그들이 통렬히 비난했던 풍자의 대상, 목적, 그리고 표현 기법 등을 작품을 통해 비교 분석하고, 풍자가 시대의 변화에 따라 어떻게 현실을 반영하고 또한 변모하여 왔는지를 알아보고 있다. 또 제 2장에서는 본인의 일상에서 시작된 작품의 소재가 사회로 확장하게 된 과정을 초기 작업으로 거슬러 올라가서 풍자표현의 궁극적인 의도와 목적을 살펴보고 있으며, 제 3장에서는 신문의 이미지를 차용함으로써 재구성하는 작품의 조형적 전개과정과 이미지의 왜곡, 변형을 통하여 풍자를 극대화 시키는 형식적 요소에 초점을 두고 있다. 본 논문은 모순과 병폐가 만연하는 현대사회 속 그 안에 내재된 현대인들의 욕망을 희화화 하고 있으며, 이러한 풍자가 단순히 시대를 반영하는 의미를 넘어서 인간 본질을 향한 끊임없는 물음을 던지고 나약한 인간에 대한 사랑, 결국 휴머니즘의 세계로 향하고 있는 과정을 보여주고자 한다.

      • 파편화된 인체를 통한 삶의 표현

        주영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327

        다원주의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은 이성중심에 대한 반발을 일으켰으며 미적 다양성을 존중하고 진리의 내용 자체보다 각 진리의 차이를 강조하며, 특정이념의 진리독점에서 오는 지적문화의 폭력을 거부하였다. 모더니즘 시기에서는 인간의 본질을 정신적인 것으로 보고 이성작용을 통해 철저한 자기비판과 내면세계를 탐구하였다. 그러므로 모더니즘의 순수조형 예술은 추상을 통하여 자기의 주관적 세계를 추구하는 것의 대표적인 표현방법이었다. 인간을 정신적 존재로 보던 모더니즘의 사고에서 벗어나 인간을 더 이상 정신과 신체로 분리하여 볼 수 없는 존재로 인식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모더니즘의 반성으로 탈이성주의, 탈중심주의의 성향들이 대두되면서 1900년대 중반에 들어선 오늘날의 현대미술에서는 신체표현이 두드러지게 되었다. 현대미술로 통용되는 오늘날의 미술속에서 신체는 고전적 전형의 의미를 점차 상실해 가고 소외와 분열, 감정의 복합체로 다루어진다. 본인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인체에 대한 시각은 정신을 우위에 두는 이념적인 신체와 상실과 고독의 성적인 신체사이의 갈등을 극복하고 정신과 육체의 혼합체로서의 신체에 대한 탐구이다. 이것은 보다 적극적으로 자아와 신체사이의, 사회와 개인간의 깊은 고랑속에서 신체의 의미를 점검하고 자신의 정체성을 탐구하게 만든다. 한 개인이 현대의 일상적인 삶을 살아간다는 것은 사회적으로든지 문화적으로든지 자신에게 주어진 상황 속에서 경험을 쌓아가는 것이다. 현대의 일상은 인간소외와 환경오염, 물질만능주의가 팽배해 있다. 그래서 본인은 이 시대의 일상적 삶을 개인에게 부과되는 신체적 고통으로 파악하였다. 이러한 각 개인의 일상에서 부여되는 고통의 경험과 본인의 고통을 동시에 작품에서 표현하기 위하여 신체를 해체-파편화하여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표현방법에 있어서는 확장된 판화의 개념을 받아들여서 타인의 경험을 대리체험하기에 적절한 캐스팅을 활용하였다. 본 논문은 작품제작에 대한 논문으로서 내용적 측면에서는 신체에 대한 담론으로 신체에 대한 이원론에서 일원론으로의 시각의 변화와 이것이 현대미술에서는 어떻게 보여지는가를 살펴보고, 이런 포스트 모더니즘적 사고와 본인 작품제작의 연관성을 다루어 보았다. 방법적 측면에서는 육체의 체험과 고통을 공유하기 위한 보다 실질적인 방법으로 신체를 직접 떠내 방법을 이용하였다. 여기서 판화의 보편적 개념인 간접성과 복수성의 개념을 본인의 작품제작에 적용하여 표현하고자 하였다. 최근 두드러지게 보여지는 경향으로서의 찍어서 보여지는 판화가 아니라, 확장된 개념으로서의 입체적 판화로서 작품제작에 임하였다. 그것은 판화의 보편적 개념인 간접성과 복수성에 근거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인의 작품을 제시하고 그것을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작업에 대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As the world becomes post-modern, this modernistic thought oriented to reason began to be rejected, and in this times difference between principles rather than the substance of one truth is being emphasized, aesthetical variety respected, and any violence of intellectual culture from the monopoly of truth by one particular ideology is being rejected. As a result, a new paradigm of culture, i.e., pluralism, has been born. At the age of modernism human natures are regarded as a spiritual being, and it has been explored in the world of through self-criticism and inner world through rational acts. Therefore, pursuing the artist's own subjective world through abstraction is a typical way of expression in the world of modernistic pure formative art. Under this cultural circumstance, people began to the modernistic view of human being as a only spiritual being and to see humanbeing as an existence which body and soul can not be divided. As reactions to modernism, the trend of rationalism or centralism appeared, expressions of human body have become prevalent. In today's contemporary art the body is being dealt as a complex of man's isolation, dissociation and feelings gradually losing its classical meanings. My view about body which is shown in the works is to overcome the conflict between the ideological body in which mentality is worshipped and the body as a sensual flesh of loss and loneliness, and is to inquire in the body combined with the mind. It will make possible to explore meaning of the body in the deep furrow between self and flesh, society and individuals, and to search for identity. To make an ordinary life in this modern times is to acquire social or cultural experiences under given conditions. So, I thought this ordinary life as a physical pain which is added to individuals to express this painful experiences in general, my own sufferings in a work, I shows the body disjointed and fragmentary. And by employing the concept of woodcut print, the author reveals people's experiences through proper casting to feel empathy. This study consists of theoretical aspect and methodological aspect: in the theoretical aspect, changes in interpreting the human body and results of them in the contemporary art are investigated at first, and then my own thought on the meaning of the body or physical suffering are presented; in the methodological aspect, I actually cast a body to share physical experiences and sufferings in a more substantial way. At this point,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ose traditional concepts of woodcut print like concept of the indirect and concept of the plural to my working was analyzed. And finally, I seek proper directions of groping on new methods of work through presentation and analysis of my own works.

      • 변형을 통한 생명 이미지 표현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이안 성신여자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327

        In art, various technologies are being utilized positively in manufacturing art works by having close relationship with art, while the course which makes analogical inference and makes transformation of images in digital environment, had changed essence of art in art works pursued by the existing pure art. In particular, computer is possible to capture images and transformation manipulation and passes through the course distorting with computer by projecting psychological angle of vision of oneself on the images which pass through daily life or become the object of interest and attention. Images created through distortion of these forms have used reproduction method of traditional paintings. Art works of myself intend to find out essence of things by containing static things in organic form through transforming images via computer graphic and through re-composing by subjective sensitivity just like application of color with method which re-presents actual photographs newly by combining photographs, computer graphic and pictorial expression methods. In addition, it reflects images of life obtained by exploring essential and specific life activities through light generating within things while making fluid light within screens through image transformation course. And it is also for encapsulating images of life and for expressing life force by modeling images of life by light into organic form. To myself, light is the light which is a life energy in organic form while destructing boundary between things which are seen and things which are not seen and things which shine and things which are shed. Area of expression is limitless as forms of fluid light change according to its direction and strength and also appear differently according to its distance. light seems like to sprawl strongly while its flow is dim and to be empty but energy overflows within it and it can be said that we look at there is energy in things because each shape we look at has light and bends and because I am the life instead of energy owned by the life as it is felt and detected to me. A field of vision looking at works was also expanded because things were also thought again in connection with the life. Works are done with daily forms we can see in our surroundings and ‘me’, who is the self of an author looking at the object things becomes the subjectivity. This means that light does not look at what exists within things but liveliness is blown in as the gaze looking within me sees things with light of the life. And images of photographs adopted through camera have attempted transformation of forms of expression in order to maximize the meaning intended to deliver instead of visual reproduction of images of things or famous pictures as re-composition of images has begun through computer works. It was tried to indicate effects of transforming static images into dynamic images in screen composition while preparing momentum to induce new experiences and interests through aesthetic effect and creative expression which appear by transforming objects. In order to blow feeling of life into paintings with forms by transformation abd distortion, works for re-creating traces images leave were carried out by using programs like photo shop in digital environment and visual effects in which forms are seen to have been transformed form space in which refraction of light is enlarged and space in which light of life is created. Also, by borrowing Gogh image, it was tried to change fixed images of screen by re-producing powerful and dynamic features by providing subjective values with another different gaze and by re-interpreting into forms and colors which actuality cannot have. Imagination of oneself and intervention provides screen with liveliness by falsification of images and by modeling images of life by light into organic forms and transformation of color is for diverting into new images. Just like color has physical characteristics, it also has strength of life and expresses emotion of individual and also takes another different color in re-production during the course of forming on screens. Therefore, transformation of color provides subjective values of color itself from objective colors and also operates maximizing images with harmony and contrast of colors within screens and has the purpose of forming space order and sense of unification. And for maximizing transformed images, it takes forms of repeat in works and makes impression of being expanded into outside of screens and it was tried to induce new images by composing overall screen instead of one form being seen in itself. It was tried that intended repeats were read in new gaze and forms take organic forms as they are repeated and are seen as expanded space. Lastly, it is the work which expresses while saving pictorial feeling which is different from images of computer screen by repeating and overlapping touches of brush several times on transformed new screen. Creation of works to an author is the behavior providing life within space. I have handled expression forms called transformation in the course which specifies organic form on screen through daily things in the aspect of form feature expression and blow a life. 예술에 있어서 다양한 테크놀러지는 미술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면서 작품을 제작하는 데에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디지털 환경에서 이미지를 유추하고 변형시키는 과정을 통해 기존의 순수 예술이 지향하던 작품에서 예술의 개념을 변화시켰다. 컴퓨터는 이미지를 포착하고 변형 조작이 가능하며, 일상을 통해 스쳐 지나가거나 관심의 대상이 되는 이미지들에 본인의 심리적 시각을 투사하고 컴퓨터로 왜곡시키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 것에 비해 형태의 왜곡을 통해 창조된 이미지는 전통적 회화의 재현 방법을 이용한다. 본인의 작업은 사진과 컴퓨터 그래픽, 회화적 표현방법을 조합하여 이미지를 새롭게 재현하는 방법으로, 컴퓨터 그래픽을 통해 이미지를 변형하고 색채의 적용과 같은 주관적 감성에 의해 재구성하여 정적인 사물을 유기적인 형태로 담아봄으로써 사물의 본질을 찾고자 한다. 또한 이미지 변형 과정을 통해 화면 안에 유동적인 빛을 만들어 가며, 사물 속에서 발생하는 본질적이고 구체적인 생명활동을 탐구함으로써 얻어진 생명의 이미지를 반영한다. 그리고 빛에 의한 이미지를 유기적 형태로 조형화시킴으로써 생명의 이미지를 형상화하고 생명력을 표현하는 데 있다. 본인에게 빛이란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비추는 것과 비추어진 것 사이의 경계를 허물고 유기적인 형태로 생명적 에너지로서의 빛이다. 유동적인 빛은 그 방향과 세기에 따라 그 형태가 달라지고 거리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등 표현의 영역은 무한하다. 빛은 흐름이 희미하면서도 강하게 퍼져나가고 공허한 듯 하지만 그 안에는 에너지가 넘친다. 바라보는 형체마다 빛이 있고 굴절을 하고 그것이 나에게 감지된다. 생명체가 지니고 있는 에너지가 아니라 내가 생명체이기 때문에 사물에 에너지가 있음을 바라본다 할 수 있다. 사물 또한 생명과 연결해서 다시금 생각함으로써 작업을 바라보는 시야가 확장되었다. 우리 주위에서 볼 수 있는 일상적인 형상들로 작업을 하고 대상물을 바라보는 작가 본인인 ‘나’를 주체성으로 한다. 이는 빛이 사물에 내재되어 있는 것을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내 안에 바라보는 시선이 생명의 빛으로 사물을 봄으로써 생동감을 불어 넣는 것이다. 그리고 카메라를 통해 채택된 사진이미지들은 컴퓨터 작업을 통해 이미지의 재구성이 시작되었으며 사물이나 고전의 명화를 가시적인 재현이 아니라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를 극대화시키고자 표현형식의 변형을 시도하였다. 대상을 변형함으로써 나타나는 미적 효과와 창의적 표현을 통해 새로운 경험과 흥미를 유발시키는 계기를 마련하고 화면 구성에 있어서 정적 이미지를 동적이미지로 전환하는 효과를 나타내고자 하였다. 변형과 왜곡에 의한 형상을 회화에 생명감을 불어 넣고자, 디지털 환경에서 포토샵과 같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미지가 남기는 흔적을 재창조하는 작업을 하고, 형태가 변형되어 보이는 시각적 효과는 빛의 굴절현상이 확대된 공간과 생명의 빛이 창조되는 공간을 형성시킨다. 또한, 고흐이미지를 차용하여 또 다른 시선으로 주관적인 가치를 부여하고 실재가 가질 수 없는 형태와 색채로 재해석하여 힘 있고 역동적인 모습으로 재현함으로써 화면의 고정된 이미지를 변화시키고자 하였다. 본인의 상상력과 개입은 이미지를 변조함으로써 화면에 생기를 부여하고 빛에 의한 생명의 이미지를 유기적인 형태를 조형화시키고 색채의 변환은 새로운 이미지로 전환시킨다. 색채는 물리적 특성을 가지는 것처럼 생명의 힘을 가지고 있고, 개인의 감정을 나타내며 재현에 있어 화면에 형상화하는 과정에서 또 다른 색채를 취하게 된다. 그러므로 색채의 변환은 객관적 색채로부터 색채 자체의 주관적인 가치를 부여하고 화면 안에 색채의 조화와 대비로 이미지를 극대화시키는 작용을 하며 공간질서와 통일감을 형성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변형된 이미지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작업에 있어 반복의 형식을 취한 것은 현대 사회의 대량 생산되는 물건으로서 매스컴에서 반복되어 나오는 선전 광고 속의 이미지와 지속적으로 반복하여 돌아가는 사물에 변화를 통한 연속성과 시간성을 부여하고자 한 것이다. 이것은 화면 밖으로 확장되는 인상을 만들고 하나의 형태가 그 자체로서 보이기보다는 전체적인 화면을 구성해 새로운 이미지를 도출하려 하였다. 의도한 반복은 새로운 시각으로 읽혀지고 형태가 반복됨으로써 유기적인 형상을 취하고 확장된 공간으로 보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변형된 새로운 화면에 색의 변환을 거쳐 페인팅으로 중첩을 해가며 컴퓨터 화면의 이미지와는 또 다른 회화적인 느낌을 살려내면서 표현하는 작업이다. 본인에게 있어 작품의 창조는 공간 속에 생명을 부여하는 행위다. 형상표현이라는 측면에서 일상적인 사물의 본질을 찾아 화면에 유기적인 형태로 구체화시키고 생명을 불어넣는 과정에서 변형이라는 표현형식을 다루어 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