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東洋繪畵에서의 阿膠 硏究

        신학 同德女子大學校 2012 국내석사

        RANK : 248719

        회화작품은 화가의 예술의욕(藝術意慾)에서 기인(起因)된 정신적인 측면은 물론, 선(線)과 색(色) 등의 표현요소를 구체적으로 드러내주는 물질적․기술적인 요소들이 유기적인 방식으로 결합과 해체, 그리고 통합의 과정을 거쳐 평면 위에 구체화된 것이다. 그 중에서도 특히 작품의 바탕과 형식적인 부분을 구축하는 요소 중 가장 기본이 되는 물질적․기술적 요소에 대한 이해는 해당 작품에 내포된 표현요소들이 질료(質料)에 의해 구체화되는 과정과 완성된 작품의 결을 읽어내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회화의 질료(質料)적 구성은 크게 지지체가 되는 바탕재료, 안료 등의 발색재료, 지지체를 반수처리하거나 안료와 혼합하여 물감을 만드는데 사용하는 접착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재료들은 서로 다른 물성(物性)과 기능을 지니고 있으며, 이 재료들을 조합하는 방법에 따라 다양한 회화기법이 만들어진다. 그러므로 작품의 제작의도와 의미를 효과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재료 선택의 문제는 화가에게 있어서 중요한 관심대상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재료를 다루는 기법은 회화양식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는 동양회화의 접착제로 사용되는 아교(阿膠)의 물성을 재료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작품제작이나 감상의 정확한 기반을 제공하는데 목표를 둔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여러 단계의 실험을 거쳐 종이의 반수에 활용 가능한 아교와 명반의 혼합비율을 수치화시켰고, 교반수의 혼합비율을 측정한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안료의 접착에 적합한 아교액의 농도를 산출하여 제시했다. 중국이나 일본의 경우, 고대부터 화가들이 자신의 작업 과정 및 기법에 관해 저술한 상당량의 화론서가 출판되어 있다. 또한 대학 및 박물관, 연구소 등을 주축으로 아교를 포함한 다양한 회화재료에 관한 연구가 폭넓게 진행되고 있으며, 그 연구 성과 역시 괄목할 만하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 비교적 근래에 들어와서야 박물관과 국립문화재 연구소, 문화재 보존수복 관련학과를 중심으로 아교 등의 접착재료를 포함한 회화재료에 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있다. 그러나 그것은 화가 자신의 실질적인 제작경험을 기반으로 해야 됨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연구 성과는 상대적으로 매우 미약한 수준에 머물고 있고, 회화재료 자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작업 역시 부족한 상태이다. 따라서 아교의 특성과 사용법, 아교와 안료의 접착 관계, 그리고 아교의 반수기능 등을 규명해 보고, 교반수의 비율과 아교의 접착농도 측정실험을 기반으로 회화의 제작과정에 실질적으로 적용 및 활용이 가능한 구체적인 데이터를 산출해내는 작업은 재료기법적인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회화 작품에 대한 과학적 접근의 일환이라는 점에서도 매우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아교는 동물의 내피(內皮)나 물고기의 부레 등을 물과 함께 끓여서 가열시킨 뒤, 여기에서 접착성분인 ‘교원질(collagen)’을 추출하고, 그 추출액을 냉각․건조․성형하여 제조한 천연 단백질 접착제이다. 건조된 고체 상태의 아교를 물에 팽윤시켜 가열시키면 교질상 현탁액(膠質狀懸濁液, colloidal suspension)이 생성된다. 이렇게 얻어진 교질상 현탁액, 즉 아교액은 온도의 변화에 따라 ‘졸-겔 전이’(sol-gel transition) 현상을 반복할 수 있는 독특한 성질을 지니고 있으며, 물을 용매(溶媒)로 사용하여 농도를 조절한 뒤, 접착제(接着劑), 전색제(展色劑), 또는 교반수(膠礬水)의 재료로 사용된다. 동양에서 아교를 접착제로 사용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춘추시대(春秋時代) 의 문헌『주례(周禮)』,「동관 고공기(冬官考工記)」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6세기 전반에 간행된『제민요술(齊民要術)』에서 체계적인 아교제조 기술을 확인할 수 있다. 회화의 재료로서 아교의 활용에 관한 최초의 기록은 9세기 중반 당(唐), 장언원(張彦遠)이 저술한『역대명화기(歷代名畵記)』에서 확인된다. 이 책에서 장언원은 녹교(鹿膠)․표교(鰾膠)․우교(牛膠)를 채색에 필수적인 접착재료로 기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접착제로서의 아교’ 외에도, ‘교반수(膠礬水)재료로서의 아교’가 종이 또는 비단과 굴절률(屈折率)이 거의 비슷하기 때문에, 지지체의 물성을 보전하는 동시에 반수의 기능을 지닌다. 또한 ‘반수 재료로서의 아교’는 발색재료로 사용되는 대부분의 안료보다 상대적으로 굴절률이 낮기 때문에, 안료의 발색에 최대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접착기능을 수행한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특성을 지닌 아교는 작품의에서 채색되지 않은 여백에서 드러나는 지지체의 일부분, 그리고 그 자체의 색을 발산하는 안료들과는 다르게, 화면에 그 물성(物性)을 직접적으로 드러내지 않고 교반수(膠礬水)로서의 역할을 수행함은 물론, 지지체를 견고하게 하는 동시에 전색제나 접착제로서의 기능도 발휘하면서 먹과 안료의 운용과 고착 및 발색을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아교의 다양한 재료적 특성 및 기능, 그리고 실제 작품 제작 과정에 적용시킬 수 있는 사례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밝히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 두 가지 종류의 실험을 수행했다. 첫 번째 실험에서는 종이의 반수에 적용되는 교반수의 혼합비율을 산출해냈고, 두 번째 실험에서는 안료의 접착에 적합한 아교의 농도를 산출해냈다. 첫 번째 실험에서는 무게와 두께가 각기 다른 2종류(평량 24g/㎡, 평량57g/㎡)의 닥종이[楮紙]를 대상으로, 4단계 농도(1%․1.5%․2%․2.5%)의 아교액에 각각 0%~15% 비율의 명반을 혼합시킨 교반수를 도포한 뒤, 피펫으로 농먹(濃墨)을 점의 형태로 떨어뜨려 관찰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이 실험의 주안점은 교반수가 도포된 두 종류의 닥종이에서 먹물이 번지지 않는 상태가 나타나는 교반수 비율을 얻어내는 것에 맞춰졌다. 실험 결과 1.5% 농도(물200㎖, 아교3g)의 아교액에 명반을 혼합한 교반수에서 목표로 했던 반수 효과가 가장 명확하게 나타났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1%에서 10%까지 10단계 농도의 아교액을 만들어 입자의 굵기가 서로 다른 석청(石靑) 안료의 접착에 유효한 농도를 실험한 결과 아교액의 농도가 4%~8%일 때 석청안료의 전색(展色)이 원활하였으며, 평균 6%의 농도를 지닌 아교액이 안료의 발색과 접착에 가장 이상적이라는 점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막연하게 알고 있던 교반수의 기능과 작용원리가 과학적인 시각에서 다소나마 규명되었고, 본 연구에서 얻은 교반수비율과 아교의 접착농도는 작품제작을 위한 구체적인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 증명되었다.

      • 형상과 기호 Image의 회화적 표현에 관한 연구

        박연희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19

        이 연구는 최근 5년 동안(2002~2006) 진행된 일련의 연작들의 회화적 특성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매체의 범람으로 현란한 영상물들이 생활환경을 자극하고 회화의 존립에 대한 회의마저 거론되고 있다. 하지만 우리는 평면 회화의 가능성을 믿는다. 회화는 현실을 반영하고 개인의 감정과 표현을 담아내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회화는 작가가 직접 제작한 직접적 표현의 결과로서 화가의 모든 세계를 그대로 드러낸다. 이러한 본인의 믿음은 회화가 지닌 표현의 진실에서 비롯된다고 본다. 회화는 작가의 상상력과 감정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며 형상과 배경의 작용에 따라 시각적 환영을 보여준다. 이 연구는 2006년 초에 완료된 본인의 회화 연작 "4악장"을 중심으로 삶과 연관된 회화의 본질적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현대미술의 양식들과 비교함으로써, 그 형식적 특성과 흐름을 밝힘과 동시에 회화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했다. 초기의 작품에서 최근의 연작에 이르는 동안 회화적 표현이 두드러진 특성(painterly quality)은 밝은 형상에 대비된, 어둡고 채도 높은 바탕에서 출발하여 점차 밝아지고 급기야 캔버스 바탕의 물리적인 속성을 노출시킬 정도로 얇아졌다. 초기의 작품들이 물감과 제스처의 결합에 의존한 추상성의 추구라면 최근의 것은 화면 전체의 구성을 결정하는 시각적 요소에 의존한 구조적 회화가 특성으로 보인다. 이러한 변화는 개인적 내면의 사색에 대한 주목에서 외부의 현실에 대한 반영으로 전개해 온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크게 어두움에서 밝음으로, 내면에서 환경으로, 정체에서 긍정으로 요약 될 수 있다. 그러한 변화 속에 회화를 구성하는 물감의 제스처와 캔버스의 물리적 속성에 대한 주목은 본인의 회화에 지속되는 일관성이며 특징으로 파악된다. 이러한 본인의 회화의 특성을 포비즘(Fauvism)과 독일 표현주의(Germany Expressionism)와 같은 회화적 제스처 중심의 유럽전통에 비교했을 때 본인의 화면은 포비즘의 시각적 논리 그 자체에 대한 강조나 독일표현주의에서 목격되는 형상의 변형과 구별되는 직접적 기록이 나타난다. 한편 본인의 화면에 적용된 소묘나, 낙서, 이미지의 차용은 평평한 색면과 이웃하거나 결합함으로써 색면의 순수한 추상성과 충돌한다. 이를 통해 색면의 시각적 속성이 갖는 견고함에 울림을 자아내게 한다. 이를 색면회화(Color Field Painting)와 같은 전후 미국 미술과 비교했을 때 색면 회화는 단순한 대상성(object-hood)과 분명한 차이를 보인다. 즉 본인의 화면은 시각에만 머문 문제가 아닌 삶의 다양한 비유와 복합적 요소를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정리 된다. 이러한 기록성은 회화적 형상과 배경의 관계, 그리고 차용된 이미지가 제작자와 보는 이의 감정에 직접적으로 반응하게 하는 추구를 통해 상상의 자유와 감각의 확대를 가능하게 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회화가 시각적 환경의 급속한 변화 속에서도 존재하는 이유가 있으며 또한 대중과 함께 하는 미술언어로서의 중요한 가치를 지닐 것이다. This study works up the pictorial characteristics of my painting series that I have produced between 2002 and 2006. Lately, the flood of multifarious media stimulates skepticisms of pictorial possibility to continue. It has already surrounded over the environments with the features of gorgeousness. Many viewers believe, however, in the pictorial possibility and the continuance of painting. Because painting is the media responding to the human life which can put the personal contemplation in it. Above all, it reacts to maker's gesture directly and revives the maker's temperature. The trust of painting is derived from the pictorial quality of documentation with visual honesty. Painting responds to the current of imagination and mind. It makes the visual magic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figure and ground. This study purposes to illuminate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4 act" that I have finished at the early 2006 with the analysis of visual elements which relate to my life. I try to define the possibility of painting relating to the documentation of life. And I try to compare it with the style of the paintings in the history of modern. The development of painterly characteristic from my early painting series to the recent one is that dark and heavy ground painted against light and bright figure has started at first and now the ground has come to bright tone. The recent series has exposed the physical surface of the canvas that the paint has been thinner ever than the early one. This comes to an interpretation: My paintings are a development which at first I started inner description with a personal contemplation and I come to recover affirming the outer actuality and vitality. It is definite that the development responses to painterly quality of European tradition such as Fauvism and German Expressionism with immediate documentation without visual logic and transformation of figure. I tried to apply drawing, scribbling, and images on the surface that cause the anxiety about visual solidness derived from physical quality of the paintings. But I overcome the anxiety and created a sympathy expanding to the senses over the visual sense. I found vitality and freedom in the later works. This pictorial tryout defines that my pictures are response with the document of the figurative to the object-hood found in American modern art post war such as Color-Field Painting. In conclusion, these qualities of documentation in my paintings are the sources of imagination, freedom and expansion of sense which respon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pictorial figure and ground, and inquire into the direct response to the sense of the spectator and the artist.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despite the rapid change of the visual environment, painting has its own cause to exist and has its own value as an artistic language in the public.

      • 회화의 변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 본인의 회화, 설치,퍼포먼스를 중심으로

        박종래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19

        유물론 철학의 변증법 이론에 의하면, 물질과 시간을 빌어 존재하는, 인간을 비롯하여, 이 세상의 모든 정형, 비정형의 생명, 자연, 인류 문명, 사회 현상 등은 정반합(正反合)의 나선형 순환 고리를 갖고 변화, 발전하는 것이 필연이라고 한다. 그러한 필연적 변화의 도상 한가운데 놓여 삶을 영위하는 인간으로서 예술가들 역시 일생의 삶을 통해 변화, 발전한다. 또, 인간의 인격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소가 주변의 환경임을 전제할 때, 예술가는 자신만의 독특한 세계를 형성하고, 작품을 통해 정체성을 드러내는 과정에 있어 환경의 영향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나아가서 역사적, 미술사적 변화 과정에 변증법적으로 관계 맺고 조응하는 방향으로 성장, 발전하게 된다. 결국, 작품은 작가 자신의 본질에 대한 표출이며, 미술사의 맥락 안에서라야만 비로소 당위를 획득하게 된다. 이런 문맥 속에서 본 논문은 본인의 작품 분석에 앞서, 주된 작업 양식인 설치와 퍼포먼스에 대한 미술사적, 개념적 분석을 시도하고, 변증법적 세계관을 가진 본인의 작업에 드러나는 ‘회화적인 설치와 퍼포먼스’라는, 회화의 변용된 양태의 가능성을 타진해 본다. 그 과정으로써 여전히 진행 중인 본인의 설치, 퍼포먼스에 드러나는 회화적 변용의 특징들을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하여 설치, 퍼포먼스가 회화적 담론으로 분석될 수 있음을 드러내고, 회화와 설치 그 중간에 위치하는 회화적 설치물과 같은 본인의 작업을 통해 더욱 확장된 회화가 설치로까지 전개되는 모습을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회화의 정체성이 일정한 범주에 머물지 않고 더욱 확장되고 변용되어 장르의 혼합으로서가 아닌, 양식적으로 확장된 회화의 모습을 본인의 퍼포먼스와 설치를 통하여 논하게 될 것이다. 그 특징은 첫째, 설치와 퍼포먼스에 있어서 그 기획과 제작의 과정에 회화적 조형성을 적극적으로 도입한다는 것이고 둘째, 회화적 이미지가 설치와 퍼포먼스의 표현 요소로서 기능하며 셋째, ‘설치회화’라는 새로운 시도를 통해 적극적 변용을 시도하였다는 점이다. 이는 평면 회화를 근간으로 회화가 더 이상 평면이 아닌 다양한 방식으로의 전개가 가능하여 설치와 행위가 모두 회화라는 주장이 아니라 그 속에 녹아들고 포함되고 이용되어 확장된 개념의 회화로 존재하는 방식의 가능성에 대한 탐구이며, 퍼포먼스와 설치, 평면회화 등 다양한 관심을 갖고 임해 온 본인 작업의 정체성에 대한 검증의 시도이다. 본고를 통하여 회화, 설치, 퍼포먼스에 이르는 본인의 작업을 되돌아봄과 동시에 이론적 접근을 통한 고찰로 본인이 진행해 온, 또 앞으로 해 나가야 할 작업의 의미를 조금 더 확장시켜 이해할 수 있었다. 아울러 이후에 이어질 작업에 회화라는 근간을 가지고 다양한 접근을 시도하고 심화시킬 수 있는 정당성과 추진력을 획득하였다는 데 의의를 둔다. According to Materialism, not only human-beings but also all typical and atypical lives, nature, civilization and social phenomenon, which have a spiral circulation loop of thesis-antithesis-synthesis and borrow substances and time, are necessary to change and advance. Artists also do change and advance them-selves throughout their lives as the human race that carries on their subsistence in the middle of changes. And artists establish their unique art and cannot be free under the influence of surroundings in the process of showing their identity through the works when it is considered that circumstances affect to the formation of human-beings' characters. Moreover, they are brought up and improved toward the correspondence and relationship with thesis-antithesis-synthesis including historical and art historical change process. After all, works are to express artists' essence, and obtain a just and great cause in the coherence of art history. This thesis percuss possibilities of aspects changed from paintings; that is, called as 'painting installation and performance' which shows the person himself's world view oriented from thesis-antithesis-synthesis before the analyzing the person himself's works throughout this context. The thesis proves potentialities to analyze 'installation and performance' as the pictorial discourse after defining characters of picturesque modification that contains in the person himself's installation and performance works that it is being continued by me, and looks into features to be expanded to installation from painting via pictorial installation works located in the middle between paintings and installations. In this thesis, the identity of painting doesn't stay in a specific field, and is not combining genres but expanded and changed by patterns, and the expanded paintings will be discussed through the person himself's performances and installation works.

      • 현대회화의 일상성 표현에서 부감법의 적용에 관한 연구 : 연구자의 <여가>, <군중> 연작을 중심으로

        이상원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19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significance of the researcher's paintings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art, focusing on the series of <Leisure> and <Crowd>, since 2006 by analyzing them in two ways: leisure in topic and bird's-eye view in technique. Working with bird's-eye view to transform the photographs of the surrounding landscapes and figures into paintings since the early 2000s, I found a regular repeatability of daily life in social, historical and cultural structure. My painting series are those which edit and reconstruct the objects and landscapes taken by photos, along with the investigation of the ‘everydayness’ discourses in contemporary thoughts. Art's historical change since modern period proceeded along with the social changes, and the theme of the everydayness uprose with the Realism in the mid nineteenth century and, via Impressionism, became the most common one of the contemporary art, in which even commonplaces are frequently used for art's material. This sort of art's change gained power on the basis of the fact that the 'Alltäglichkeit(everydayness)' of Dasein was first proposed by Martin Heidegger's ontology out of the metaphysics-centered philosophy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and the sociologists like Henry Lefevre treated it important by determining the changed properties of contemporary society. Raising objections against the western metaphysical tradition in philosophy, Heidegger first paid his attention to the surroundings in his ontology by taking a main topic of everydayness which exists prior to the recognition of Dasein, or human being as 'in-the-world-being.' Meanwhile, Lefevre critically analyzed the urban scenes and capitalism in the contemporary industrial society. Whereas his stress on the everydayness by watching it with unfamiliarized views exposes a similarity with which the researcher has pursued, it differs from the present situations ahead to the 2020's in terms that his critical discussion was practiced in aiming those of 1960's. The researcher has traced theoretical momentums, therefore, according to the changes of labor ethics in the fragments of leisure life, and has captured, reorganized, and painted daily landscapes in <Leisure> series since 2006 based on the circumstances in Korea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five-day workweek. As observed in the analysis with diagrams, the series of <Crowd> have showed transitions little by little and have went through the changing process of various motifs by the expansion of the concepts on everydayness. In other words, the researcher began attempting to exhibit the substantial properties and the problems of contemporary society in the paintings beyond simple representations of everydayness. The very change of the technique that I applied is bird's-eye view, which has allowed me to reflect the gaze of the artist as both an in-the-world-being and an objective observer on the basis of the consistent exploration of how common and familiar images of everydayness could be seen unfamiliar and unusual. This might have been achieved while referring and comparing with such artists as David Hockney and Andreas Gursky so as to express diverse events, landscapes, or figures simultaneously within a single canvas or photograph in their works. Although having begun their career respectively in painting and photography they intercross various genres for the compositions and reorganization of viewpoints and have conspicuously exhibited similar aspects with the works of the researcher. Through such a process of analysis, it has been verified that the researcher uses painterly form and throws fundamental questions, within the specific discourses of everydayness in contemporary society, about the structure of contemporary consumer's society and the factors of anxiety latent in everyday life. The successive painting series of <Leisure> and <Crowd> are the stream of my consciousness resulted from watching, experiencing, and investigating the everyday life within it with an objectified view. Particularly, the paintings have been adopted with bird's-eye view in order to contain as many scenes of leisure from diverse time and space as possible and to discover new things by watching them from un-familiarized vantage point. By thi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found where the discourse of everydayness, discovered from common surrounding landscapes in daily life by the artist's view, is expanded and the theoretical, practical basis are established for orienting the researcher's future art. 본 논문은 연구자가 2006년부터 현재까지 현대사회의 일상성 표현을 주제로 진행해 온 작품들의 전반적인 제작과정을 여가라는 내용과 이를 카메라 앵글에 의한 기계적 시점으로 포착하고 부감법으로 재구성한 형식으로 구분하여 분석한다. 이를 통해 이 주제가 어떻게 시점을 재구성하는 기법과 연관성이 있는지를 밝힘으로써 연구자의 회화가 동시대 미술에서 갖는 의미와 가능성을 밝혀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2000년대 초반부터 연구자는 주변의 풍경과 인물들을 사진으로 촬영, 편집하여 부감시점의 회화로 제작해 왔다. 그 과정에서 이러한 주변 세계의 일상이 사회적, 역사적, 문화적 구조 안에서 일정한 반복성을 드러내고 있음을 발견했으며 이를 일상성의 담론 안에서 시각화하고 있다. 미술의 역사적 변화는 사회의 변화와 나란하게 진행되어 왔고, 일상이라는 주제는 19세기 중반의 리얼리즘으로부터 인상주의를 거쳐 20세기 예술의 가장 빈번한 주제가 되어 왔다. 이러한 예술의 변화는 관련 담론의 측면에서도 20세기 초 하이데거(Martin Heidegger)의 존재론을 통해 제기된 ‘현존재(Dasein)’의 일상성이 그동안의 사유 중심적 철학에서 고개를 들기 시작하고, 현대의 변화된 속성을 사회학적으로 규명함으로써 르페브르(Henri Lefevre)와 같은 사회학자들이 일상성을 중요하게 다루면서 힘을 얻게 된다. 철학 안에서 의식의 주체를 중심으로 사유해 온 서양의 전통적인 형이상학에 반론을 제기했던 하이데거는, ‘세계-내-존재(In-der-Welt-Sein)’로서의 현존재인 인간이 의식하기 이전에 이미 존재하는 주변세계를 철학적 대상으로 삼으며 존재론 안에서 처음으로 일상성에 주목하였다. 르페브르는 현대산업사회 도시와 자본주의에 대한 비판적 입장에서 일상성을 분석하고 다루었다. 그가 일상성에 대한 낯설게 바라보기를 강조했던 점은 연구자의 작품이 추구해 왔던 방향과 유사한 일면을 보이지만, 그의 사회비판적 논의가 1960년대의 상황을 중심으로 펼쳐졌다는 점에서는 2020년 현재와는 많은 차이점을 보이기도 한다. 따라서 연구자는 그간의 작품들이 성립할 수 있었던 이론적 계기들을 노동윤리의 변화에 따른 여가 생활의 단면들을 중심으로 고찰하여, 특히 2000년대 초반을 지나면서 시행된 주5일 근무제라는 국내의 상황을 바탕으로 2006년부터 <여가> 연작을 통해 일상의 풍경들을 포착하고 재구성하여 화폭에 담아오고 있다. 이후에 주제와 기법 면에서 조금씩 변화를 보이기 시작하는 <군중> 연작은 도표로 정리하여 분석을 통해 보여주듯이, 일상성의 개념을 확장하고 그에 따른 다양한 소재의 변화과정을 겪게 된다. 연구자는 일상성을 회화적으로 표현하는 데 있어 일상의 단순한 재현을 넘어 현대사회의 본질적인 성격과 문제점들을 드러내고자 시도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격적으로 채택한 기법의 변화가 바로 부감법으로, 평범하고 익숙한 일상의 모습을 낯설게 보여주는 방식을 지속적으로 연구한 결과를 토대로 ‘세계-내-존재’인 동시에 객관적 관찰자로서 작가의 시선을 담아낸다. 이는 동양의 전통적 구도를 이루어 온 삼원법과, 이를 현대적으로 적용하면서 상이한 시간과 공간의 사건이나 풍경 혹은 인물들을 캔버스나 콜라주된 사진으로 한 곳에 표현한 데이비드 호크니(David Hockney), 그리고 현대산업사회의 풍경을 유형학적 사진 형식으로 분류하고 표현한 안드레아스 구르스키(Andreas Gursky)와 같은 작가들을 참조하고 비교하는 가운데 형성된 것이다. 이들은 각각 회화와 사진의 영역에서 출발하여 다양한 시점의 조합과 재구성을 위해 장르를 넘나들었기에 특히 연구자의 작품과 유사한 일면들을 강하게 드러낸다. 이와 같은 분석과정을 통해 연구자는 동시대의 특수한 일상성 담론들을 다양한 세부 내용과 회화적 표현형식을 사용하여 현대소비사회의 구조, 일상에 잠재된 불안요소들에 대해 근본적인 질문을 제시하고 있음을 확인하고 있다. <여가>, <군중> 연작으로 이어지는 연구자의 회화작품들은 연구자가 일상 속에서의 직접적인 체험과 객관화된 시각으로 바라보고 연구하여 온 결과물이다. 특히 연구자는 상이한 시공간에서의 여가의 모습을 최대한 많이 담아내고 일상을 다른 시각에서 바라봄으로써 새로운 것을 발견해내고자 부감법을 적용하고 있다. 이로써 일상이라는 주변 세계의 평범한 풍경에서 미술가의 시선으로 찾아내는 일상성의 담론이 확장되고 향후 전개되어 갈 연구자의 작품 제작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이론적, 실천적 토대를 형성하는 데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그리드'를 통한 이미지의 회화적 변용 연구 : 연구자의 <잔상> 연작을 중심으로

        현종광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19

        이 논문은 연구자의 <잔상(After-image)> 연작을 분석함으로써 시적 회화의 구조인 그리드와 이미지의 상호작용을 통한 의미 생성의 가능성을 탐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자는 표현의 순수성이라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그리드 형식을 산발적이지만 지속적으로 회화적 방식에서 추구해 왔으며 디지털 코드의 배열 방식으로 전환시키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일련의 회화 작업을 통해서 연구자는 그리드의 역사성을 회화적 관점에서 재고찰하였고, 이를 변용하는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전용과 사용을 실험해왔다. 연구자의 연작 분석을 위해 ‘그리드,’ 상징주의적 시학, 예술적 변용, 그리고 포스트프로덕션 등의 개념이 동원되었다. 연작 분석을 위한 사전 작업으로서 ‘일탈의 체계와 시적 뉘앙스,’ ‘예술적 변용과 포스트프로덕션,’ ‘이미지의 회화적 변용 가능성’에 관해서 알아보았다. 첫째, 뉘앙스를 재현하고자 그리드와 이미지가 활용된 연구자의 ‘잔상’이라는 연작들이 보여주는 시적 환기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크리스테바의 문학이론과 단토의 예술 철학 그리고 부리요의 포스트-프로덕션의 전략이 그 이론적 바탕이 되었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에서 예술 작품을 텍스트, 즉 의미실천으로 상정함으로써 시적 회화의 요소들이 가지는 의미의 다층성과 가변성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였다. 현대 미술계에서 새로운 의미 생성의 주요한 방식인 예술적 변용 사례에 대한 분석을 위해 뒤샹의 <샘(Fountain)> (1917), 워홀의 <브릴로 박스(Brillo Box)>(1964), 그리고 마이클 하이저(Michael Heizer)의 <부유하는 덩어리(Levitated Mass)>(2012)라는 구체적인 사례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둘째, 그리드와 이미지의 상호작용을 통한 의미 생성에 관한 논의에서는 크라우스의 그리드 개념을 살펴보고 그리드가 은유적으로 표현되었거나 변용된 작품들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상징주의 화가 오딜로 르동의 ‘창문의 불투명성’과 러시아 형식주의 화가 에릭 블라토프의 ‘양가적 도피공간,’ 아그네스 마틴의 그리드를 내포한 ‘순수 회화,’ 그리고 그리드의 생성 장을 디지털 공간으로까지 확장한 존 사이먼의 <모든 아이콘(Every Icon)>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시적 회화의 구조로 그리드를 수용한 작품들을 통해서 시적 회화의 구조로서의 그리드가 매우 다양한 스펙트럼으로 변용 가능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위와 같은 이론적 검토 및 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연구자가 그리드를 시적 회화의 구조로 수용하고 이를 변용함으로써 추구하고자 했던 바를 시기별로 탐색했다. 첫 번째 시기인 <메이크업(Makeup)> 연작(1997-2009)에서 연구자는 선(線)에 관한 다양한 실험적 표현에 천착하면서 우연적으로 그리드의 단초를 발견하였다. 두 번째 시기인 <아이콘과 그리드의 꿈(A Dream of Icons and Grids)> 연작(2014-2017)에서부터 그리드가 시적 회화의 구조로 명시적으로 도입되었다. 이 시기에 연구자는 그리드를 매개로 ‘콜라병의 추억’과 같은 시적 환기를 의도하였다. 세 번째 시기인 <잔상과 반복시(After-image and Palinopsia)> 연작(2017-2018)에서 연구자는 그리드의 변용을 통해서 시적 회화의 장소성에 천착하였다. 네 번째 시기인 ‘창작 스튜디오(C-1) 보고서: CMYK 방식’(2019)에서 연구자는 단편적인 그리드와 색채의 실험을 수행하기 위해 풍경화, 정물화, 초상화와 같은 전통적인 회화장르의 규칙을 그리드 구조 안에서 어그러트림으로써 잔상, 즉 시간성을 포착하고자 노력하였다. ‘시적 회화’를 추구하는 연구자의 연작은 그리드를 전유하여 그것을 예술적으로 재배치하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드가 사용된다는 점에서 연구자의 작업은 모더니즘 회화의 역사성에 거주하지만, 그리드가 뒤흔들리고 침해된다는 점에서 연구자의 작업은 모더니즘 회화로부터 일탈하여 시적회화로 나아간다. 연구자가 추구해온 ‘시적 회화’는 그리드를 내포한 상징적이고 함의적인 변용을 위한 장소이며 고정된 규율로부터 다양한 위반을 시도하는 회화적 실천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semantic generation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poetic painting and structural grid by analyzing the After-image series by the researcher. As an attempt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urity of expression, the researcher has been consistently albeit sporadically pursuing the grid in a pictorial way and has switched it to the arrangement in digital codes. Through a series of painting works, the researcher has reviewed the historicity of the grid from a pictorial perspective and has tested the possible diversions and usages that could emerge from its transfiguration process. For the analysis of the researcher’s series, such concepts as grid, symbolic poetics, artistic transfiguration and post-production were used. As a preliminary work for the analysis on the series, the research was made on the ‘system of deviation and poetic nuances’, ‘artistic transfiguration and post-production’, and ‘possibility of pictorial transfiguration of images. Firstly, Julia Kristeva’s literature theory, Arthur Danto’s artistic philosophy and Nicolas Bourriaud’s post-production strategy became the theoretical foundation in understanding the poetic awakening that was shown in the researcher’s ‘After-image’ series where grid and image were utilized in reproducing the nuance. In this theoretical background, the aim was to gain understanding about the multilayers and variability of the poetic pictorial elements by postulating the artistic piece text, that is the practice of the meaning. For the analysis of the examples of artistic deviation which has become the major way of creating new meanings in modern art, the analysis of the specific cases was made on the Fountain by Marcel Duchamp (1917), Brillo Box by Andy Warhol (1964), and Leviated Mass by Michael Heizer (2012). Secondly, for the purpose of discussing the creation of meaning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grid and image, Rosalind E. Krauss’ concept on grid was examined and the analysis was made on the pieces that include metaphorical expression of grid deviation. The subjects of such analysis included ‘Stained Glass Window’ of the symbolist painter Odilon Redon, ‘Ambivalent escape’ by Russian formalism painter Eric Bulatove, grid connoting ‘Innocence’ by Agnes Martin, and Every Icon by John F. Simon Jr. that expanded the boundary of grid creation to a digital space. The study on the pieces that accommodated the grid as a poetic pictorial structure showed that the grid as a poetic pictorial structure can be deviated to diverse spectrum. Based on the above theoretical review and case analysis, the researcher’s intention and purpose of accommodating and deviating the grid as a poetic pictorial structure were examined in time frame. Through the Make up series (1997~2009) in his first period, the researcher stumbled upon the clue to the grid while inquiring diverse experiment expressions on the line. The second period that is represented by A Dream of Icons and Grids series (2014~2017) was when the grid was explicitly introduced as the poetic pictorial structure. During this time, the researcher intended the poetic awakening to be like the ‘Memory of Coca-Cola bottle’ by using the grid as the medium. During the third period of the series After-image and Palinopsia (2017~2018), the researcher explored the sense of poetic pictorial place through the deviation of the grid. In the fourth period with his ‘Creative Studio (C-1) Report: CMYK method’ (2019), in order to conduct experiments on fragmentary grid and color, the researcher strived to capture the after image; in other words, the sense of time by skewing the rules of those traditional painting genres such as landscape painting, still life painting and portrait within the grid structure. The series of the researcher who pursues ‘poetic painting’ can be defined as a process of appropriating the grid and artistically relocating it. It can be said that the researcher’s works reside in the historicity of modernism painting in the sense that the grid is used. However, his works have also broken away from modernism painting and made their way forward to poetic painting in the sense that such grid is disturbed and infringed upon. The ‘poetic painting’ pursued by the researcher is the place for the symbolic and metaphoric deviation that connotes the grid and the pictorial practice of attempting various violations of the stipulated disciplines.

      • 극사실회화에서 실재와 이미지 가상성에 관한 연구 : 연구작품의 이미지 형성과 구조분석을 중심으로

        정영한 弘益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박사

        RANK : 248719

        본 논문은 현대 극사실회화에서 사진이미지의 활용에 의한 극도의 사실적 표현이 전통적 개념의 재현 문제와는 다르다는 관점에서, 현실과 관계한 재해석의 논의나 사진적 이미지 생산의 방법론과 의미론을 통해 연구자의 연구작품이 갖는 실재(real)와 이미지 가상성(virtual character)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극사실회화는 굳이 내러티브의 복귀나 형상의 부활 같은 포스트모더니즘의 담론을 거론하지 않더라도 새로운 조명을 받으며 재등장한 것이 주지의 사실이다. 따라서 오늘날의 극사실회화는 극도의 사실적인 표현 이외에 회화의 외적인 면을 넘어서고자하는 계산된 의도와 감추어진 조형, 탈구축적 시각문제가 불명료한 해석의 여지로 남아 새로운 지각을 유발시키는 가능성을 열고 있다. 일반적으로 가상성(virtuality)이란 용어는 지각될 수 있지만 현실과 모든 잠재적인 현실화로부터 분리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이미지와 소리, 운동 등 새로운 기술의 영역과 관련된다. 그래서 현대미술에서 이미지의 가상성은 매체예술-뉴미디어 아트와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기술적 특성과 관련한 이미지 규명에 상당부분 전용되는 한계를 가진다. 이러한 디지털복제에 의한 이미지 산출이 가능한 시각환경은 회화에서 재현의 성립조건으로 이미 실재를 증발시켰으며, 이미지를 중심으로 한 논쟁에서 다시 문제 삼는 것은 지시대상의 지각이 아니라 가시적인 것, 즉 지각자체이다. 연구자가 논문에서 제론하는 이미지의 실재와 가상성은 일반적 정의처럼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형상표현이나 상상력으로 존재하는 형태가 아니다. 극사실적 묘사에 의해 화면에서 드러나는 너무나 현실적이면서도 비현실적인 허구의 실재, 즉 탈재현적 방법의 회화적 실재가 갖는 변이된 이미지와 조작된 화면구조를 분석하는 용어로 성격을 설정하고 있다. 따라서 연구의 범위는 포스트모더니즘의 담론에서 리얼리티를 하이퍼리얼리티로, 재현성을 가상성의 개념으로 논의하였던 1960년대 포토리얼리즘으로부터 현대 극사실회화에 이르는 시기까지로 한정한다. 이 시기 회화의 이미지 해석의 문제에서 탈근대 철학자들이 제시하는 예술적 실재의 새로운 유형들을 대입하여 살펴보고, 작가의 사례분석을 근거로 하여 연구작품의 이미지 형성과 구조를 분석한다. 극사실회화에서 실재와 이미지 가상성의 분석과 관련한 작가연구는 척 클로즈(Chuck Close)와 게르하르트 리히터(Gerhard Richter)를 선정하여 현대 극사실회화에서 보이는 사진적 이미지의 사례들을 살펴보고 있다. 그들의 회화를 중점적으로 다루는 이유는 회화의 본질을 고수하면서 사진이미지의 활용을 통해 구상과 추상, 리얼리즘과 형식주의의 간극을 자유롭게 넘나들면서 그 양상을 확대시킨 미국과 유럽의 대표적 작가이기 때문이다. 클로즈와 리히터의 회화는 결과적으로 모더니즘 회화가 전제한 유일성, 진정성, 작가의 독창성 담론에 대한 성찰로부터 회화의 속성을 더욱 강조하며 탈재현성과 시각적 가상성, 탈중심적 시각개념 등과 같은 포스트모더니즘의 논리로 해석된다. 연구자는 이상의 논거들을 바탕으로 기계복제시대 이후 오늘날 디지털복제시대의 시각환경을 연구작품의 시대성으로 설정하여, 극사실적 경향의 형상작업을 특징으로 하는 연구자의 작품연작을 분석하고 있다. 특히 본 논문에서 2005년부터 <우리時代 神話 Myth of our time>라는 명제로 우리 시대를 상정하는 풍경과 상징물들을 사진매체를 활용하여 극사실적 묘사와 화면의 복합구조로 제시하는 연구작품은 탈재현적 논리로부터 기인하는 회화적 실재의 탐구결과이다. 따라서 연구작품에서 실재는 이미지의 원본성을 벗어난 것으로, 사진이미지의 변용과 자율적인 수용으로 원본과 무관한 허구적 이미지를 복원하고자 하는 의도로 볼 수 있다. 또한 연구작품에서 허구적인 이미지 생산은 신화의 생성과도 같이 원본도 사실성도 없는 실재를 생산하는 시뮬라시옹의 방식과 동의적 관계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이미지의 허상적 실재, 즉 가상성을 드러내는 것으로 구체적인 시각적 제시와 실천적인 사례들을 보여주기 위해 실제 연구작품의 제작과정에서는 다음과 같은 특성화된 방법론을 사용하여 이미지를 형성한다. 첫째, 현대시각매체의 화면구조로 회화를 변환하여 탈재현의 논리를 밝히는 이미지의 적층구조. 둘째, 현실을 벗어난 이미지의 자율적 도입과 재배치로 화면에서 탈현실화를 조장하는 이미지와 공간의 가상성. 셋째, 사실적인 화면에 오류의 흔적과도 같은 생소하고 기이한 형태를 삽입하여 가상화를 노출하는 이미지의 변형과 왜상. 넷째, 외형의 다름에서 보이는 개념적 차이가 아니라 반복에서 미분적 차이의 강도를 발견하는 다중화면 형식의 이미지의 동어반복성이다. 이러한 이미지 표현의 방법과 화면의 형성구조는 연구작품을 지시적 관계의 사진적 회화와 구분되는 시각적 특성의 차별화와 표현기법의 독자적 특질을 강화시켜 준다. 본 논문에서 ‘극사실회화에서 실재와 이미지 가상성’에 관한 연구가 제기되는 최근의 연구작품이 완성되기까지, 사진과 흡사한 이미지 그리기의 방법론을 통해 일관되게 탈재현의 개념을 실험한 연구자의 작품은 시기별로 1) 초기단계 모델인 <現代-理想의 喪失> 연작 ; 1996-1999, 2) 실험단계 모델인 <現代-21世紀 風景> 연작 ; 2000-2004, 3) 발전과 확증단계의 모델인 <우리時代 神話> 연작; 2005-2009의 세 단계로 구분된다. 이 연작에 대한 연대기별 관찰과 분석은 지금까지의 연구자의 작업 활동과 비평적 논의를 이론적으로 규정할 수 있고, 본 연구의 필요성과 의의를 뒷받침하는 제논의의 검증도구와 해석 자료로서 기능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현대회화에서 모더니즘의 절정 이후에도 다양한 형식주의의 분파로 나타나고 있는 사실적 형상표현이 과거의 지시적이거나 고정적이고 규범적인 개념이 아니라, 시대적 요구와 사회적 조건에 따라 얼마든지 새롭게 정의될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그리고 연구작품에서 ‘이미지로서 실재와 가상성’의 문제를 제기하고 분석하고자 한 배경은 오늘날의 극사실회화를 재평가하고 새롭게 조명 받는 세계관의 한 형식으로 부각시키고 하는 의도에 있다. 아울러 연구자의 작품이 현재의 <우리時代 神話 Myth of our time> 연작 이후에도 새로운 변화와 탐구를 지속하게 하는 근거를 마련하고 사실적 회화의 확장가능성을 추론하고자 한다.

      • 현대회화에서 스테레오타입 이미지의 개념적 표현에 관한 연구

        최종식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8719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stereotype image and its background in contemporary painting in company with the development of consuming capitalism, which pursues mass production and mass consumption. The conceptualization in art was derived from the process of the Abstract Expressionism to Pop Art in 1950's. It gained an attention as a procedure along with the debate on the tendency of modern painting towards drawing. Conceptualization of perception is essential for the process of abolishing old system and establishing a new order. The establishment of new order requires relative study. For example, during the upheaval period from the Renaissance to medieval times,‘drawing’took that role. The drawings of Leonardo da Vinci from the Renaissance show the epitome of researching theories and conceptualization of perception. They were the examples of immediate understanding of‘disego interno’among other roles of ‘drawing.’ During the golden age of Impressionism in 19th century, Cezanne rejected the masters of Classicism. Although he approved the contention of Impressionism claimed; seeing with naked eye, he felt insufficient on the obsession of‘moment of time.’Eventually he constructed his painting in structural manner preoccupied with purposes, named‘clarity and order’, and‘inevitable perception.’This tells us that he depicted‘constructive form’ with rational sense. Cezanne's notion had influenced Cubism, and it became a point of departure for Constructivism and Suprematism. Conceptual tendency in art was increased by emphasizing condensed expression through Piet Mondrian and Kazimir Malevich. Ultimately, it reached its zenith on Minimal Art and De Stijl. Pop Art makes an appearance in mass consuming society with industrial development. The similarity with Dadaism is able to regard Pop Art as intellectual. In other words, it shows conceptual aspect. Roy Lichtenstein, in particular, represented crude comic book images with his unique technique by which halftone is magnified. In the series of <Brush Strokes>, Lichtenstein revealed condensation by eliminating unnecessary parts from Abstract Expressionist brush strokes in order to make essential elements stands out. This nature of conceptualization can be portrayed as Platonism. Contemporary painting shows propensity of disapproving emotionalism and advocating conceptualization, as well as a tendency of confrontation between conceptual and emotional aspect. However, Western critics have a consensus of declining compromise with emotionalism. For the concept is founded on reason, it creates inclination of formal composition and limited usage of colors. At these circumstances, it is not the matter of choice of emotionalism or conceptualization, and either one is not able to settle the current aspect of contemporary painting. On the contrary, it seems to be a problem to comprehend the both as an antagonistic relationship. The researcher began this study from the point that stereotype image is crucial to understand contemporary painting. Although I concurred on the role of stereotype image that explains a concept, I disagreed on the aspect of stereotype image excluding affective elements. When it comes to the completion of a work, the artist must have considered many factors such as sensibility, history, society, gender, or background of the artist himself. Even the procedure of conceptualization has the probability of fortuitous intervention from affective aspect. Therefore, it is certain that stereotypical procedure includes these latent emotional values. On the other hand, in the procedure of stereotyping, the process that transposes clich&eacute; to schematization will automatically control the parody. Namely, the parody might have ancillary expectation; however, it loses its utmost function. This point of view differentiates Lichtenstein from Robert Rauschenberg or Andy Warhol while it alludes to the limit that exists in returning to the procedure of conceptualization. The researcher makes a comparison between the works of Lichtenstein that has non-affective aspect of stereotype image with the researcher’s work to suggest an alternative for the conceptualization of contemporary painting. However, the purpose of a comparison with Lichtenstein is to reveal the difference from the researcher’s work in which stereotype image never excludes characteristic of parody, especially affective substance. To develop this thesis, each chapter unfolds procedures as follows. In chapter I, the researcher sees‘drawing as the absolutization of concept in the history of modern painting. This chapter verifies the tendency of conceptualization through Leonardo da Vinci, Post- Impressionism, Analytic Cubism, Constructivism, Suprematism, De Stijl, and Minimal Art. Subsequently, it confirms Conceptual Art along with the conceptual propensity of stereotype painting. The researcher selected Lichtenstein as a model artist and examined his conception and stereotype image. In chapter II, the researcher observed the history of model artist’s artwork, and confirmed that the intervention of affective element was limited throughout his history. This chapter also preliminarily stipulated the notion of conceptualization and stereotype image. Thereafter, it refers the methodology and procedure while it defines the problem whether the affective element of parody has been converged. In chapter III, the researcher explained the outline and plan of developing models that are necessary for the production of original artwork. After determining the type of models, the study clarifies the scheme of each type by the description using objective visual language. This study takes two sampled models and one modified model. The researcher described each model with visual language as scale, scheme of form, compositional quality, subtended angle quality, structural plan, tree diagram, and articles of each lexicon.‘Gims Visual Linguistic Research Institute’provided technical consultation in extraction and verification of relative data. According to Gims theory, there is a visual language exists in a form that we recognize by our visual perception. As the main point of Gims theory is that we visually recognize things by the arrangement of specific elements such as O, NW, or M, which is similar to RGB displayed on a monitor, these visual linguistics acquired quantitative standard. This study was also able to verify the artworks by applying this theory. As a result, a finished work is presented. In chapter IV, the researcher verifies and interprets determined problem from chapter II by visual linguistic description that is introduced in chapter III. The researcher not only pointed out the limit of problem in contemporary painting that has a biased current of conceptualization, but also investigated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between the artworks of the researcher and the model artist by comparing the conception and procedure of production. In conclusion, the researcher not only contemplated an answer to the question of contemporary painting by studying mutual encounter of affective aspect and stereotype image beyond dichotomy, but also suggested to seek the both in holistic perspective rather than antagonistic view. 대량생산과 대량소비를 지향하는 소비자본주의의 발전과 더불어 현대회화에서는 스테레오타입 이미지와 그 배경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다. 1950년대 추상표현주의에서 팝아트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도출된‘개념화’는 현대회화의‘드로잉화’ 경향과 같이 논의되면서 과정 절차로 주목받는다. 구질서를 해체하고 새로운 질서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사람들 의식의‘개념화’는 필수적이다. 새로운 질서의 정립은 연구가 전제되어야 하는데, 예를 들어 중세에서 르네상스로 넘어가는 시기와 같은 격변기에서는 그 역할이 드로잉에게 주어지게 된다. 르네상스 시대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드로잉은 원리를 탐구하고 의식을‘개념화(conceptualization)’하는 전형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드로잉의 역할 중‘disego interno’의 직접적 이해의 표본이었던 것이다. 19세기 인상주의가 주목받고 있을 때, 세잔은 고전주의 거장에게 거부감을 느끼고, 인상주의가 말하는 눈에 의한 확인에는 동의하지만‘순간’의 집착에는 부족함을 느낀다. 결국‘명료성과 질서’,‘필연의 감각’이라는 목적에 더욱 매달리면서 건축적 방법으로 화면을 구축한다. 이는 이성적인 감각으로‘구조적인 형상(constructive form)’을 그렸음을 말한다. 세잔의 개념은 이후 입체주의에 영향을 주었으며 구성주의와 절대주의를 잇는 계보의 출발점이 되었다. 몬드리안과 말레비치를 거쳐 축약적인 표현이 강조되면서 개념적 경향은 더욱 가중되는데, 데 슈틸과 미니멀리즘에 이르러 그 절정을 맞는다. 산업의 발달로 대량소비 사회 환경의 팝 아트가 등장하는데 다다와 유사함에 있어 이들의 작업이 지적(知的)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즉 개념적 면모를 볼 수 있다. 특히 리히텐슈타인은 조잡한 만화 이미지를 값싼 인쇄의 망점을 그대로 확대하여 묘사하는 기법으로 재현하였다. 그의 <붓자국>연작은 추상표현주의 작가의‘붓자국’시리즈에서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고 본질적인 것만 보이게 하는 축약성(縮約性)을 드러낸 것이다. 이런 개념화의 성격은 플라톤주의로 묘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현대회화는 주정주의를 거부하고 다분히 개념적인 경향으로 전개되고, 개념과 정서적인 측면이 대립되는 양상을 보이나, 서구 비평가들은 주정주의와의 타협을 거부하는 입장을 견지하는 것이 전반적인 입장이 되고 있다. 개념은 이성을 바탕으로 하는 것이어서 그림에서 딱딱한 화면과 제한적인 색 등과 같이 한쪽 경향으로만 기우는 양상이다. 이런 상황에서 연구자는 개념화와 주정주의의 그 어느 한쪽을 선택한다는 문제가 아니며, 그 어느 하나만으로는 회화의 국면을 해결할 수 없다고 본다. 오히려 개념과 주정주의를 대립관계로만 파악한다는 것 자체가 문제라고 생각한다. 연구자는 스테레오타입 이미지가 현대의 회화를 이해하는데 있어 중요하다는 인식에서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스테레오타입 이미지가 가지는 개념을 설명하는 역할에는 공감하지만 그 이미지가 정의적 요소를 배제하는 데에는 동의하지 않았다. 하나의 작품이 완성될 때는 작가의 감수성, 역사, 사회, 성별, 동양과 서양, 등 수많은 요소를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개념화 절차조차도 정의적 측면이 우연적으로도 개입될 개연성을 얼마든지 있다. 따라서 스테레오타입과정에서도 이러한 잠재된 감정 가치들이 포함될 것이 틀림없을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스테레오타입화 절차에서 클리쉐를 도식화 절차로 전치하는 과정에서 패러디는 자동적으로 제어될 것으로 생각된다. 즉 패러디는 부수적인 기대성은 가질 수 있어도 전폭적인 패러디 기능을 상실한다. 이점에서 리히텐슈타인은 로젠버그나 워홀 등과 차별화되고 그 한계가 개념화 절차로 복귀하는데 있다. 이와 같이 표본작가 리히텐슈타인의 작품에서 스테레오타입 이미지가 가지고 있는 비(非)정의적 모습을 연구자의 연구작과 대비하여 보아 현대회화가 가지고 있는 개념화의 경향에 대한 하나의 대안이 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연구가 연구자를 리히텐슈타인과 대비시켜 고찰하고자 하는 것은 본 연구자의 경우 스테레오타입이 결코 패러디적 측면, 특히 정의적(情意的) 내용을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이려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논의를 전개하기 위해 다음 각 장의 절차를 갖는다. I장에서 현대회화사에서 개념의 절대화로서의 드로잉을 사적인 면, 즉 레오나르도 다 빈치에서 후기 인상주의, 분석적 입체주의, 구성주의와 절대주의, 데 슈틸과 미니멀리즘을 잇는 과정에서 개념화의 경향을 확인하였다. 이어 현대의 개념주의와 스테레오타입 회화의 개념적 성향을 확인하였다. 표본작가로 리히텐슈타인을 선정하고 그의 개념과 스테레오타입의 면을 살펴본다. II장에서는 표본작가의 선행연구사를 먼저 살펴보고 그 연구사에서 정의적 요소의 개입이 제한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개념화와 스테레오타입의 개념을 예비적으로 규정한다. 이후 문제를 패러디의 정의적 요소가 융합되었는가 여부에 한정하고 방법론과 절차를 설명한다. III장에서는 원본제작을 위한 모형 제작의 개요를 설명한다. 우선 연구모형작의 개요를 밝히고 컨셉을 계획한다. 이어 모형의 유형을 설정하고 각 유형의 계획을 객관적인 시각언어로 기술하여 밝힌다. 여기서는 표본모형 두 가지, 변형모형 한 가지를 설정하였다. 각 모형의 규모를 비롯하여 형상의 계획, 위치자질, 현각자질, 구조도, 수형도 각 어휘항목 등과 같은 시각언어로 기술한다. 여기에‘김스시각언어과학연구소(Gims Visual Linguistic Research Institute)’의 기술적인 자문을 받아 관련 데이터를 추출하고 검증하였다.‘김스이론(Gims theory)’에 따르면 우리의 시지각을 통해 인식되는 형상에는 시각언어가 존재한다고 한다. 모니터에 출력되는 RGB와 같이 O, NW, M 등의 특정한 안배에 의해 시각적으로 인식된다고 하는 것이‘김스이론’의 골자인 바, 이러한 시각언어를 사용하여 정량화된 기준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 역시 이러한 이론을 수용하여 검증이 가능하였다. 이에 따라 완성작을 제시한다. IV장은 II장에서 한정한 문제를 III장의‘시각언어’의 기술(記述)로 검증과 해석을 행한다. 연구자는‘개념화’의 한쪽으로만 흐르고 있는 현대회화에 있어서의 문제의 한계점을 지적하고, 연구자의 작품의 개념과 제작 절차를 표본작가와 비교하여 비슷한 점과 차이점을 검토하였다. 결론적으로 연구자는 현대회화에서 문제의 해결이 이분법을 넘어 정의적 국면과 스테레오타입 이미지의 상호조우의 과정을 다루고, 대립이 아닌, 전체를 보는 시각에서 지향할 수 있음을 보였다.

      • 한국 모노크롬 회화의 특성과 점의 조형성 연구

        김인철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모노톤 추상회화에 동양 정신과 한국적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이상적인 한국적 현대미술로 부각된 1970년대 한국 모노크롬 회화의 형성과정과 특성을 밝히고, 본인 작품에 나타난 점의 조형성과 내적인 요소로서 모노크롬 회화의 다양한 표현 가능성에 대해 연구해 보는데 있다. 모노크롬(monochrome)은 한마디로 정신성으로 물들여진 일종의 세계이다. 모노크롬은 우리의 자연관과 결코 무관한 것이 아니며, 모노크롬 속에 담겨진 자연은 어떤 객관적인 대상세계가 아니라, 인간의 정신과 함께 생성하는 보다 원천적인 의미의 자연이다. 모노크롬 회화가 바로 그와 같은 자연관에 상응하는 예술형태로, 작가의 인격과 사상을 기반으로 기교에 구애됨이 없이 자연관을 대상으로 표현한 정신성의 산물이다. 한국 모노크롬 회화는 서구적 구조 개념인 평면성과 한국적 정서인 흰색이 접합된 단순한 서양식 그림이기 전에, 단색 표현의 전형을 이루어내고 고도의 정신세계를 암시하는 회화 양식에까지 도달했다고 할 수 있다. 한국 모노크롬 회화는 1970년대 모노크롬 화가들에 의한 단색의 표현과 색채에 대한 이론들을 배경으로 표현이 시작되었으나, 오늘날 현대미술에서는 작가들의 주관적 감정이 투영되어 내면세계의 표현에 이르렀고, 모노크롬 회화의 표현 영역은 무한대로 확장되어 나타나고 있다. 또한 본인의 작품에 있어서 모노크롬의 형식과 내용에서 점의 표현방법이 현대작가들에게서 보여 지는 특징적 경향들이 부분적으로 포함되어 있으며, 최근 현대작가 작품들에서도 점은 다양한 의미와 방법으로 표현되고 있다. 이러한 점은 기계적 복제, 이미지의 표현, 시각적 움직임의 표현과 반복적 표현수단으로 현대미술에서 사용되고, 작가의 주관적 감정이 투영된 내면세계의 표현으로서 현대미술 흐름 속에 보여 지고 있다. 또한 점의 표현 가능성은 제한적이지 않고 무궁무진하며, 훌륭한 조형적 소재가 되며, 많은 작가들이 점이라는 조형요소를 통해 다양한 사고와 방법으로 점을 표현하고 있다. 본인은 이러한 점의 다양한 표현 가능성을 전통과 한국미를 기반으로 모노크롬 회화를 통해 한국 정신주의 전통을 접목시킴으로써 새로운 조형세계를 추구하고자 한다. In this study, abstract paintings monotone Korean oriental spirit by giving value to the ideal of Korean contemporary art in the 1970s Korea outlined the formation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monochrome painting said, and my work is shown in the dot as an element of the plastic and the internal variety of monochrome painting was to study that is expressed about the possibility. Monochrome in a word, a kind of spirit the world is colored castle. Monochrome is unrelated to our nature, and never, nor any objective nature is contained in the monochrome world, not the destination, generating more than with the human spirit and meaning of the source is natural. Such a view of nature and the monochrome paintings that match the personality of the artist as an art form based on the techniques and ideas, without giving regard to the nature of the mental representation of the target is the product. Structure of the western concept of monochrome painting Korea and Korean idealism flat white before it is bonded a simple Western-style painting, achieved a solid representation of a typical highly suggestive of the spiritual world has reached a conversational style can be up to. Korea monochrome painters of the 1970s by painting a solid color for the expression and representation theory was initiated in the background, contemporary art is reflected in the authors' subjective feelings had grown to an expression of the inner world, the areas of monochrome painting appears to have expanded to infinity. And in my work, in form and content of monochrome dots to represent the characteristic trends shown from contemporary artists are included in part, the recent works of contemporary artists who are represented by dots are various means and methods. The representation of today's dot mechanical replica of the image representation in contemporary art, as a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repetitive motion is used as a means, the artist's subjective expression of inner feelings as a reflection of contemporary art are shown in the flow. The dot representation of the possibilities are endless, and without restrictive material is never a good plastic, and many writers through the various design elements of the dot a dot represent the thoughts and ways are. I represent the various possibilities of these dot based on tradition and Korea traditional beauty mental state through the monochrome paintings combining tradition is to seek a new plastic world.

      • 현대회화에 있어서 초상화에 관한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김동섭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19

        Pop art has developed a unique art in a popular culture and material well-being, and created a new field called popular beauty with the public. Having daily topic for painting widely spread in mass society, it has extended the topic of painting by reviewing everyday life, which led to the source of aesthetics. From that, there are recently lots of paintings with the view and color of Pop art from the 60’s in our group of western painting artists. By accepting such Pop art portrait paintings and expressing them, every attempt is being made to have a new understanding of the value of personality traits. Plus, this thesis is to analyze contemporary portrait paintings and consist of them mainly, and its purpose is to expend the popularity combined with Pop art portrait paintings and its possibility. This viewpoint is that my painting is to have the popular image. My painting is to match popularity and purity shown onto portrait with Pop art method and its image, so that the potential diversity of expression for a western painting can be on today's painting. These efforts have been growing steadily, and the perception of the existing western painting has been changed, and its expression method is to propose a new way as a subject of study. A portrait painting theory is to shape the development process with an effective expression technique of color, drawing in lines and shape and with symbolism, architecture and popularity, etc. Through the theoretical symbolism and images shown to this work, the paintings of the inner world is that their themes will be the significant figures, celebrities and modern famous people, etc. The romantic, impressive and heroic expression has the meaning of attraction, glory, beauty, greatness, desire, respect and closeness, etc. The study is to break the stereotype and prejudice of a western paining, and have its meaning and worth connected with contemporary painting image and view. By shaking off the fetters of old traditional painting and expression methods dramatically, and introducing semantics of Pop art and processing methods, a new trend for painting has formed in order to raise popularity and artistry in a multiple ways. The future painting is focused on plane painting style which is within contemporary art with artistry. This study is to compare my painting with the ones of contemporary painters; Andrew Warhol, Zeng Fanzhi and Chuck Close, and I try to re-create artistry combined with Pop art image and complex painting skill. I put an importance on architecture, popularity, purity and creativity, and a modern western painting with pop-art has been developing into a future-oriented art and a comprehensive way with trying a new way. By using of a variety of paintings and art materials with sensibility and dynamism I have newly felt nowadays, I combined with Pop art painting. In order to express my motive being with internal desire and life as well as mental life, I have formed a Pop art portrait paining. I would like to broad the infinity of possible futures up to searching the nature and worth from inside of human which have an effect on Pop art portrait and its image directly. This writing is seeking for its progress, and is base on philosophical artistry, popularity and architecture of human’s face, and is to contemplate the facial expression of portrait. We are able to try to find the study’s purpose through the mode of expression and working method described in contemporary portraits. 팝아트는 일반 大衆文化와 物質的 豊饒함 속에서 獨自的인 藝術로 굳혀졌고 대중 속에서 생산, 大衆과 더불어 呼吸하여 大衆的 美의 영역을 열었다. 그런 대중사회에 유통되고 있는 일상성을 회화의 소재로 끌어들임으로써 日常性의 再評價에 의한 회화의 영역을 확대시켰으며, 美學의 根源으로 삼았다. 이를 바탕으로 최근 우리의 西洋畵壇에서는 60년대 팝아트의 관점과 색채를 적용시킨 작품들이 눈에 많이 띠고 있다. 즉, 팝아트적인 肖像繪畵를 받아들여 표현함으로써 인간적 얼굴의 가치를 재인식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자신이 인지한 새로운 感受性과 逆動性을 함께 다양한 기법과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팝아트회화를 접목시켰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신적 삶뿐만 아니라 내면적 욕구와 일상적 삶들을 본인의 모티브로 활용하여 팝아트적인 초상회화를 具現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現代肖像繪畵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팝아트회화에 결합된 大衆性과 可能性 擴張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인의 작품은 현대작가 앤디 워홀, 쩡판즈, 척 클로즈의 작품과 비교하여 팝아트적인 이미지와 새로운 복합적 표현기법을 결합하여 현대적 美感에 부응하고자 하는 藝術性을 의도적으로 再創造하려고 노력을 하였다. 이와 같은 造形性이나 大衆性, 純粹性의 창조에 意義를 두었는데 팝아트적인 현대의 서양화는 얼굴중심으로 주제를 선택하고, 未來指向的 作品世界로써 넓고 종합적인 방법으로 새로운 表現樣式을 시도하면서 발전해 가고 있다. 본 연구는 전통적 회화에 대한 막연한 固定觀念과 先入觀을 탈피하고, 동시대의 회화적 이미지와 시각화와 연계되어 그 의미와 가치를 갖고자 한다. 즉, 傳來的인 傳統繪畵의 觀念中心적인 畵風과 表現樣式에서 과감히 탈피하고, 합리적인 팝아트의 意味論과 실험적인 제작방식을 도입시킴으로써 본격적인 서양화에 있어서 大衆性과 可能性을 理論的으로 부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이런 관점을 모티브로 다루고자 하는 본인의 작품을 통하여 초상화에 담긴 大衆性과 純粹性을 내포한 팝아트적인 방식과 이미지들을 조화시킴으로써 서양화의 潛在的 표현의 多樣性과 科學的 지평(地平)을 고구(考究)하는 것이다. 이에 따른 시도는 꾸준히 발전되어 기존의 서양화에 대한 인식을 바꾸었으며, 그 表現技法에서는 새로운 방법을 硏究對象으로 提示하였다. 따라서 그 결과로서 본인의 작품은 대중적 이미지의 수용에 있어서 화면구성과 같은 대중의 고유한 이미지를 차용하는 특징을 보인다. 팝아트적인 肖像表現에 나타나는 이론적 象徵과 이미지는 대부분 세계사의 중요한 여러 인물, 대중스타, 현대의 유명인사 등을 주제로 삼으며, 浪漫的이고 印象的이고 英雄的인 표현은 매력, 榮光, 아름다움, 위대함, 동경(憧憬)함, 尊敬함, 親密感 등을 내포한 의미를 드러낸다. 또한 앞으로 藝術性 있는 現代美術의 특징에 내재된 팝아트적인 平面繪畵의 스타일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리고 팝아트적인 肖像形象과 이미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우리 시대 속에 내재된 顔面存在의 本質과 價値에 대한 探究의 장으로 未來의 可能性을 열어두고자 한다. 본고는 그 동안의 작업과정을 성찰하고, 인간의 안면에 대하여 보다 깊은 哲學的 藝術性과 大衆性, 造形性을 바탕으로 두고 人物肖像의 表情을 관조하고자 한다. 이 구체적인 작품에 나타낸 현대의 초상형상(肖像形象)에 드러나는 表現樣式과 作業方式을 통하여 본인의 硏究目的을 모색하는 계기라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