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역사회복지 증진을 위한 주민자치센터 역할강화방안 : 부산광역시 주민자치센터를 중심으로

        노윤석 부산대학교 행정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363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the welfare of the community through strenghtening the role of community autonomy centers.(CAC) The nation-wide network of Dong offices, except for town and Myon offices, generally administer residents' autonomy center. Resident autonomy centers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community but their administrative and operating procedures have problems in terms of standardization and duplication of programs. There are also limitations on the number of users and difficulties securing operating expenses. There is a perception by the general public that the potential of community centers has not been fully realized. However, given that the performance of residents autonomy centers is meaningful to the promotion of community welfare when their purpose, functionality and value are considerd, activation methods for promoting community through the use of community center should be positively considered. Methods for promoting welfare through the efficient use of residents autonomy centers are as fellows. Firstly, residents autonomy centers and community welfare centers should be set up to strengthen co-operative relations with government institutions and private institutions in its initial phase. Government-initiated residents autonomy centers need to operate in an administratively logical manner. Therefore, the government's continuous attention and institutional methods for supporting should be implemented to help CAC operate more efficiently and effectively. Secondly, institutional methods should be implemented for professional social welfare workers to directly participate in carefully selected and the community welfare actively. Special education and the trained professional social welfare workers should be utilized to optimize the use of CAC and thus improve community welfare. Thirdly, CAC should include a residents campaign organization for improving community welfare. The campaign organization should make residents pay more attention toward community affairs and co-operate closely by utilizing each CAC for its pro-functionality. The campaign organization should also be a place for educating volunteers and providing opportunities for volunteers to participate in the operator of the CAC Fourthly, the residents autonomy center should function as a resource for identifying community protection target community residents are ideally placed to identify who need protection and support. The CAC should also play a role in minimizing the number of illegal beneficiaries and in identifying persons who need financial, security and health support. Fifthly, the CAC should provide a function to educates residents'. The CAC couldn't exist without residents participation, therefore, the CAC should help residents participate in community affairs and provide access to community educator programs. Sixthly, the CAC should provide a function that integrate the community. The CAC should be a place where the disabled, the healthy, the poor and the rich can lead a life together impartially. Finally, the CAC should open the door for volunteers' participation, hold various events and lead a residents' campaign for improving community welfare.

      • 복지환경 변화에 따른 지역사회복지관 운영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고재수 부산대학교 행정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36399

        In 21st century, it's turning to the society of focusing on the human and respecting individuals who choose and pursue various life styles and values freely, assuming high quality of life. We'll pursue more healthful, pleasant, convenient and secure life as the life span is lengthened and the desire for quality of life moves from the material wealth to the qualitative value. The change of the social circumstances brings about that of the welfare circumstances along with various social problems, it also results in the diversification of individual needs and increase of the populations who need the social welfare service. It'll have a tremendous influence on the welfare policies with the local autonomy, now getting on the track, and decentralization of, so called, the participation government, it's also required serious changes in the transmission system of the social welfare. In the transmission system of the social welfare, civil social welfare service is mainly supplied by the non-profit organization like social welfare corporations, and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can be the exemplary.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executing the overall welfare plans mainly focusing on the community welfare with the possession of the facilities and experts in addition to the mobilization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has the important role in providing service related to social welfare in the certain area. However, many questions are being raised about the functions of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which is conducted to improve the welfare of the local community, substantially acting as a mediator in the closest status to the residents, not only for forming solidarity between the local community and residents but also for raising ability of self-support of the low-income bracket. Namely, those are insufficiency in the participation of the community people and building connections between the organization and corporation related to the social welfare system in the community like residents' autonomy center, inadequacy in administrating the program without considering the peculiarity of the community, lack of the resources for managing community welfare center and unsatisfactory professionalism in the management. Therefore, in this study I'd like to present the analysis of the problems shown up while managing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with the change of circumstances of the welfare system and the activation plans in operating the center as follows. First, it should perform the role of the comprehensive welfare center, as a mediator to promote welfare of the community people to build the connection between the local community and community people by preventing and healing the overall social problems, along with growing self-reliance of the low-income bracket and leading it to the middle class, through the synthetical and systematical operation of welfare plans. Second, related to the criteria for supporting budget to administrate community welfare center, it's necessary to be subdivided with various factors, such as the subject of the administration, peculiarity of the local community and contents of the project, which is currently classified to three sections simply by the dimensions of the building. Third, it should be developed positively specialized programs which reflects opinions of the community people and advisory committee of the center as well as the regular research results about the need of the community people since those programs has been operated indiscriminately without considering the peculiarity of the community and people's need. Forth, there should be the improvement of the treatment for the staff working in the field, doing their job solely with the pure passion and responsibility for the social welfare even in the inferior working condition. Fifth, the staff in the center must be fully aware of the needs and problems of the community people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by obtaining cooperation among organizations and positive participation of the community people, not to mention acquiring the resources of the community to work out the problems efficiently. Especially when accomplishing various programs within the limited resources, they have to exert themselves to secure the volunteers for proper volunteer work. Sixth, with providing diversified and professional welfare service, it should fulfill their leading role in the private social welfare transmission system based on the tie-up with the public sector to embody productive and participating social welfare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overall citizens needless to say the low-income bracket. Moreover, it is required to get the full support by the government and municipal corporation.

      • 의료전문직의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 인식에 관한 연구 : P 의료원을 중심으로

        정옥란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6399

        사회복지사는 사회복지에 관한 전문지식과 기술을 가진 자로 그 규모는 양적인 측면에서 엄청난 증가를 보이고 있다. 이에 의료시설 내에서 의료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협력을 하는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 더욱 고조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관심과 함께 직업 내적으로도 자선사업가 혹은 자원봉사자의 이미지로부터 탈피하여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원조전문가의 이미지를 실제로 구축하기 위해서 1997년 8월 22일 국가시험에 합격한 자에게 사회복지사 1급 자격을 부여하는 자격증 시험 방법과 함께 변화와 발전을 위한 노력을 다각적으로 모색해 오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우리 사회에서는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해 과거 이해 및 지향이 존재하는 동시에 일부에서는 기대되는 바람직한 인식을 갖고 있는 등 다양하고도 복합적인 이미지들이 공존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종합병원의 의료전문직과 의료사회복지사들이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을 어떻게 인식하고, 기관장의 지원 정도에 따라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 사회사업실과의 협력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또한 의료사회사업을 어느 정도 알고 있는지 살펴보고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어떤 역할기대를 가지고 있는지 검토해봄으로써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의료사회사업을 수행하기 위한 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과 기능을 실천적 차원에서 제시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P 의료원에 근무하는 의료사회복지사와 의료전문직들의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 정도를 비교 하고, 분석하는데 있다. 제1장에서 제기된 문제를 바탕으로 하여, 제2장의 이론적 배경에서는 의료사회사업의 개념, 의료사회사업의 발달, 의료사회사업의 기능, 의료사회사업의 역할, 의료사회사업의 직무, 의료사회사업의 활동근거 등 이론적 연구를 시도하였고, 제 3 장 조사 설계 및 연구의 분석틀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 대상은 의료사회복지사가 근무하는 P 의료원을 대상으로 하여 서울 지역 2개 병원, 경기 지역 1개 병원에 근무하는 의료전문직과 의료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의료전문직은 의사, 간호사, 의료기술직, 행정직 등 균등하게 병원별, 직종별로 각 30부씩 배부 하였으나 서울의 경우 각 부서의 인원 현황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다. 연구조사 대상자는 총 348명으로 조사대상자의 가장 큰 전문직은 행정직과 간호직이 각각 27.9%(97명), 27.3%(95명)을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의료기술직 21.3%(74명), 의사직 16.1%(56명), 의료사회복지사 7.5%(26명) 순으로 나타났다. 병원별로는 일산병원 34.5%(120명), 상계병원 32.2%(112명), 서울병원 29.3%(102명) 순으로 나타났으며, 의료사회복지사는 P의료원에서는 전수조사를 하였으며, 조사 대상이 적은 관계로 서울, 경기 7개 병원에 협조를 의뢰하여 14부를 회수 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각 문항에 대해 점수처리한 후 SAS WIN 8.2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분석 방법은 첫째, 의료전문직의 인구학적 특성과 설문 대상 전체의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 백분율, 평균 등의 기술적 통계기법을 사용한다. 둘째, 가설검증으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인과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단순회귀분석과 t-검증 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체 조사대상자의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 정도의 점수는 총 5점 만점에 평균 3.63점으로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은 심리, 사회, 정신적 문제의 조사 및 평가하는 일, 지역사회 자원 연결을 제공하는 일, 사회복귀 및 재활 문제에 대해 상담지도 하는 일, 팀 접근 문제해결, 병원의 행정 및 경영의 회의참석, 자선진료 및 무료진료를 계획 실시하는 일,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조사대상자를 의료전문직과 의료사회복지사로 구분하여 두 집단의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 인식의 차이를 비교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각의 문항에서는 심리·사회·정신적 문제의 조사 및 평가(1번 문항), 지역사회 자원 연결을 제공하는 일(3번 문항), 사회복귀 및 재활 문제에 대해 상담지도 하는 일(4번 문항), 팀 접근 문제해결(회진참여 및 타부서와 Conference)(5번 문항), 병원의 행정 및 경영의 회의참석(6번 문항), 자선진료 및 무료진료를 계획 실시하는 일(10번 문항)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의료사회복지사들이 의료전문직에 비해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이 높게 나타났으나 자선진료 및 무료진료를 계획 실시하는 일(10번 문항)은 의료전문직이 의료사회복지사보다 높게 나타나 역할인식의 차이를 보였다. 3) 의료사회복지사 집단에서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 수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 연령, 근무기간에 따른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 수준의 차이는 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조사대상자의 성별, 연령, 근무기간에 상관없이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 수준은 유사한 분포를 보였다. 4) 의료전문직과 의료사회복지사 집단에서 사회사업실의 인력, 재정 지원 정도에 따른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 수준 조사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즉, 의료전문직과 의료사회복지사는 사회사업실 인력, 재정 지원에 상관없이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 수준은 유사한 분포를 보였다. 반면 의료전문직의 경우 사회사업실의 시설지원 정도에 따른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 수준을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P<0.0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의료전문직은 “ 사회사업실 시설지원 충분정도에 대하여 그렇다”라고 응답한 집단이 “그렇지않다”라고 응답한 집단대비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의료전문직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 수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 연령, 근무기간에 따른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조사대상자의 성별, 연령, 근무기간에 상관없이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 수준은 유사한 분포를 보였다. 6) 의료전문직이 사회사업실과 협력만족도가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 수준을 단순회귀분석 수행결과, 의료전문직의 업무협력 만족도는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 수준에 대해여 P<0.001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사업실과 업무협력 만족도가 높을수록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 수준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사업실과 업무협력 만족도는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 수준에 대하여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그 밖에 사회사업실의 업무인식, 필요성, 활성화, 병원 경영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서 의료전문직과 의료사회복지사 간에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0.001). 선행 연구의 결과 보다 평균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근거로 의료사회복지사와 의료전문직간의 역할인식 차이를 확인 하였으며, 다만 가설에서 설정한 개인적 특성(연령, 성별, 근속기간 등)과 기관장의 지원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설정은 수준의 차이는 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P 의료원의 경우 뿐 아니라 모든 종합병원이 의료기관평가, 병원신임평가, 장기이식, 후원금 모금 등 다양한 형태의 제도나 프로그램으로 병원 내·외 의료사회복지사의 활동이 과거보다 활발해 졌으며, 지속적인 홍보를 하고 있다. 또한 신규 직원 및 재직 교직원을 상대로 의료사회사업의 의의와 필요성 등에 대한 교육과 대중매체를 통한 의료사회사업의 소개와 활동으로 인하여 교직원의 인식수준이 높아졌으며, 병원 내 각종 지지모임과 자원봉사 인력 활용, 공익사업 프로그램 개발 등으로 개인적 특성에 따른 유의미한 결과가 나오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아울러 선행연구 결과와 비교해 볼 때 사회사업실의 필요성도 4.27점으로 높은 점수가 나왔으며, 병원 경영에 도움이 되는 것 3.27점으로 인식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의료사회복지사들의 끊임없는 노력에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이 전체적으로 좋아졌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기관장의 지원정도를 나타내는 인력, 재정, 시설에 관한 문항에서는 인력 지원 2.63점, 재정 지원 2.75점, 시설 지원 2.71점으로 평균(M=3)보다 낮게 나타나 아직 까지도 의료사회사업이 미시적으로 낭비적인 요소로 보는 견해가 많은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제는 의료사회사업의 역할에 대한 의료전문직의 인식은 양적(경제적 관점, 지역사회 연계)으로 많이 향상 되었다고 생각되지만 질적인 측면에서는 타 학문 전공자들과 호흡을 맞출 수 있는 업무관계의 발전과 더불어 동시에 전문적 정체성과 기능에 대한 명확한 개념을 유지함으로써 의료사회복지사의 전문성인정의 향상을 위해 많은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과정은 의료 셋팅에서의 의료사회사업의 보다 발전적인 모습을 정립하는데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며, 궁극적으로 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인식 수준도 높아지게 될 것이다. Social worker is a person who has expertise and practical skills in social welfare. In Korea, there are remarkably increasing number of social workers in the aspect of quantity. Accordingly, there are more social attentions to medical social workers who cooperate with professional medical staffs to meet desired medical goals in medical facilities. Apart from these social interests, in order to actually build images of medical assistance professional having expertise and practical skills beyond conventional images of charity worker or volunteer in the aspect of occupation, there have been multilateral efforts for change and development involving national qualification test for Social Worker Class 1(established on Aug. 22, 1997). However, it is in reality that there are various and complicated images on medical social workers in our society. For instance, some still have out-of-date understanding and orientation on medical social workers, while some have expected and favorable awareness on them. In this context, this study seeks to address how professional medical staffs and medical social workers working in general hospital recognize the roles of medical social workers,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their awareness depending on extent of support from institutional director and depending on availability of cooperation with nosocomial social work division, and how much they know about medical social works. And this study examines possible role expectations for medical social workers, so that it takes practical perspectives to suggest both roles and functions of medical social workers to carry out medical social works more effectively and efficien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awareness on roles of medical social workers, which is found from a survey on medical social workers and professional medical staffs working at P Medical Center. Based on questions posed for discussion in Chapter 1, Chapter 2 dealt with theoretical backgrounds. That is, this chapter tried a theoretical examination in concept, historical evolution, functions, roles, duties and activity basis of medical social work. Then, Chapter 3 suggested an analytic framework for survey design and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outlined as follows: 1) It was found that total respondents scored relatively high points on the average(mean score = 3.63 out of full 5) in their awareness on the roles of medical social workers. Here, it is no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wareness on roles of medical social workers such as survey and measurement on psychologic, social and metal problems; making connections with local community resources; counseling on the issues of social return and rehabilitation; resolution of team accessibility issues; participation in hospital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sessions; and scheduling and implementing charity and complimentary medical treatments. 2) This study divided all respondents broadly into two groups, i.e. professional medical staffs and medical social workers to compare differences in their awareness on the roles of medical social workers.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wareness between two groups on the whole.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respective question items such as survey and measurement on psychologic, social and mental issues(Q1), making connections with local community resources(Q3), counseling and guidance on social return and rehabilitation issues(Q4), resolution of team accessibility issues(participation in round of visits, conference with other divisions)(Q 5), participation in hospital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sessions(Q6) and scheduled execution of charity and complimentary medical treatment (Q10). Overall, it was found that medical social workers had relatively higher awareness on the roles of medical social worker than professional medical staffs, but the latter group had higher awareness on scheduled execution of charity and complimentary medical treatment(Q10) than the former group, which reveals differences in the role awareness between two groups. 3) According to analysis on differences in the extent of awareness on the roles of medical social workers 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medical social worker group,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extent of awareness on the roles of medical social worker depending on sex, age and working years, but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on statistical level. That is, there were similar statistical distributions in the extent of awareness on the roles of medical social worker, regardless of respondents' sex, age and working years. 4) According to survey results on the extent of awareness on the roles of medical social worker depending on the manpower and financial supports of social work division, there was not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wareness between professional medical staff group and medical social worker group. That is, there were similar statistical distributions between two groups in the extent of awareness on the roles of medical social worker, regardless of the manpower or financial supports of social work division.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survey on the extent of awareness on the roles of medical social worker depending upon facility support of social work division,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fessional medical staff group at p<0.05. That is, in a question item on the sufficiency of facility support available from social work division, “Yes" group of professional medical staffs showed higher awareness on the roles of medical social worker than “No" group of said staffs. 5) According to analysis on differences in the extent of awareness on the roles of medical social worker 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rofessional medical staff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tent of awareness depending on sex, age and working years. That is, there were similar statistical distributions in the extent of awareness on the roles of medical social worker between two groups, regardless of respondents' sex, age and working years. 6) According to simple regression analysis on the extent of awareness on the roles of medical social worker depending on professional medical staffs' satisfaction at cooperation with social work division, it was found that their satisfaction at cooperation with social work divis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extent of awareness on the roles of medical social worker at p<0.001. That is, it is found that the higher satisfaction with cooperation with social work division leads to the higher awareness on the roles of medical social worker. Thus, it is concluded that satisfaction at cooperation with social work division has positive effects on the extent of awareness on the roles of medical social worker. 7)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ofessional medical staffs and medical social workers in task understanding, necessity and promotion of social work division as well as its effects on hospital management(p<0.001). And mean scores reached higher points than results of preceding study.

      • 사회복지시설의 개방적 운영에 관한 연구 : 장애인복지를 중심으로한 사례 연구

        권태순 대전대학교경영행정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36399

        본 연구는 현재 장애인복지시설들이 폐쇄적 운영을 탈피하여 어느 정도 개방적으로 운영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장애인복지시설의 자원활용과 지역사회와의 상호작용 측면을 고찰함으로써 앞으로 장애인복지시설이 개방적 운영을 할 수 있는 기반을 찾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장애인복지시설을 개방적으로 운영한다는 것은 시설과 지역사회의 공동 노력으로 상호 수용적이며 상호 협력적인 관계로 전환하여, 지역사회와 격리된 시설이 아닌 시설의 장애인이 지역사회의 일원으로 받아들여지고, 일방적으로 수혜받는 시설이 아닌 지역사회주민에게도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자원으로 인식되고, 지역사회 주민도 시설을 지역 고유의 자원으로 활용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장애인복지시설의 개방적 운영에 대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국의 254개 장애인복지서설 중 재활(요양)시설 155개를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여 55개 시설로부터 응답을 얻었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원, 이사회, 후원자 및 후원회, 자원봉사자의 항목으로 나누어 조사한 자원활용 측면에서는 장애인복지시설의 개방적 운영의 기반이 될 수 있는 이들에 대한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고, 시설장의 잘못된 인식으로 인하여 이들을 다양한 측면에서 활용되어지는 것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원의 채용 방법 및 최종 결정권자, 이사회의 개최 유형 및 선정 방법, 후원자 및 후원회의 활용, 자원봉사자의 활용 등에 관해 살펴본 결과, 개방적 운영의 기반을 이루기에는 실제적으로 미흡한 점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시설의 설비 및 프로그램의 개방, 시설의 홍보, 재정 및 프로그램 계획의 개방 범위, 직원과 장애인의 지역사회 참여유도 등을 살펴본 결과 지역사회와의 상호작용에 관한 사항에서는 전체적으로 상호작용의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에 대하여 설비를 개방하거나 재가장애인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서설의 비율이 낮았으며, 주로 방문객이나 이용자에 의존하는 홍보 방법을 이용하고 있었다. 또한 재정 및 프로그램 계획의 개방 범위는 직원과 이사회, 행정기관 등에 한정되어 있었으며, 직원과 장애인의 지역사회 참여 형태는 행정협의회나 기관 관련행사 등이 많아 지역사회 주민과 직접적으로 만나고 이해할 수 있는 것이라고 보기에는 미흡하였다. 마지막으로 개방적 운영에 관한 견해에 있어서는 앞의 항목들에서 현재 시설의 개방적 운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것과 달리 응답자들이 '현재 우리 서설은 개방적 운영을 함으로써 지역사회와의 관계 형성이 잘 이루어지고 있다'고 답변하여 차이를 보여주었다. 이것은 시설 운영자들이 장애인복지시설의 개방적 운영에 관한 올바른 개념 이해와 개방적 운영의 필요성을 실제적으로 공감한 상태에서 답변이라기보다는 '지역사회주민들이 우리 시설을 언제든지 자유롭게 방문 할 수 있으므로 개방적 운영을 하고 있는 것이다'라는 식으로 '개방적 운영'에 대한 나름대로의 잘못된 개념을 갖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개방적 운영의 장애요인으로는 지역사회 주민의 편견 및 이해 부족과 시설 내 전문인력의 부족이 가장 많이 지적되었다. 그밖에 '시설의 설비 미비 및 재정 부족' '시설 운영자의 의식 부족'도 고루 지적되었다. 여기에서 지적된 요인들은 곧 우리 나라 장애인복지의 현실을 가늠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며, 이러한 현실은 장애인시설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조장하여 탈 시설화 등의 거센 바람을 일으키는데 일조하고 있다고 볼 수 있고 장애인복지시설의 개방적 운영에 저해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이 요인들은 어느 한쪽에 의해서만 야기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시설과 관련된 주변의 모든 조직과 지역사회주민, 지방정부와 중앙정부의 제도적 정책적 측면 등에 전반적으로 걸쳐 있는 것이다. 본 조사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제언할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설 직원과 이사회, 후원자 및 후원회, 자원봉사자 등은 장애인복지시설이 개방적 운영을 해나가는 데 중요한 자원이 되기 때문에 직원의 공개 채용을 통한 우수한 인적자원 보충, 이사회에 지역사회 인사 참여를 통한 전문가 집단의 조직화, 후원자·후원회의 활성화방안 연구, 지속 가능한 전문자원봉사자에 지역사회 주민을 적극 활용 등 이들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도적·정책적 지원을 통하여 마련해야 한다. 둘째, 장애인복지시설과 지역사회의 상호작용은 시설의 장애인과 지역사회 주민 양측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므로 상호이해와 협력이 증진되어나갈 수 있도록 시설과 지역사회에서 인식 개선을 바탕으로 상호작용을 촉진시켜야 할 것이다. 셋째, 장애인복지시설의 개방적 운영에 대한 필요성을 시설과 지역사회에서 새롭게 인식하여야 하며, 이 부분에 대한 보다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시설장애인들에 대한 서비스가 물질적 필요(의식주 욕구충족)에 주력하고 있는 것을 정신적 필요(만족스런 인간관계형성, 자기성장)측면으로 전환하고, 이를 위해 개방적 운영프로그램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다섯째, 한국장애인시설협회 등 장애인관련단체에서는 시설에 대한 조사연구를 통하여 시설의 개방적 운영을 할 수 있도록 시설 상호간 정보 교류와 함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여섯째, 장애인복지시설 설립자 및 시절장의 개방적 운영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더불어 개방적 프로그램을 연구·실행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한편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는 시설직원의 장기근속이 가능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일곱째, 사회복지서비스 행정 전달체계 문제점을 보완하고 전문적이고 통합적인 사회복지업무 수행·관리·감독을 위해 보건복지부에서 분리되어 별도의 사회복지부의 신설이 요구된다.

      • 사회복지전문요원의 전문성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 대전광역시 동근무중심으로

        한병수 대전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36399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문요원의 전문적 서비스 수행의 문제요인을 체계적으로 파악하여 사회복지 전문요원이 생활보호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며 나아가 이들의 전문성을 제고시킬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첫째로는 사회복지 전문요원의 개인적자질은 어떠하며,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지식과 기술은 얼마나 갖추고 있으며 둘째는 사회복지 전문요원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사회 복지 업무 수행에 대해서 알아보았고 셋째는 사회 복지 업무 처리에 있어서 조직환경은 어떠한가? 넷째로는 사회복지 전문요원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사회복지 전문요원의 전문적 서비스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등을 제시하여 대전시 소재 동사무소에 근무하는 사회복지 전문요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여 분석을 하였다. 결과적으로 첫째는 대부분의 동사무소에 개별 상담실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유스러운 상담이 이루어지도록 개별 상담실을 배치하여 양질의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둘째, 생활업무가 업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았으며, 업무도 과중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전문성을 발휘하는데 장애요인이 된다. 따라서, 전문요원을 증가 배치하고, 정확한 업무배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보수교육은 비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교육내용도 실무에 치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수교육은 정기적으로 실시되어야 하며, 그 내용도 구성되어야 한다. 넷째, 사회복지전문요원은 위치와 직급, 위상과 처우에 대해 불만족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요인들은 사회복지전문요원이 업무를 처리하는 데에 사기를 저하시키고 있으며, 근무의욕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현재의 별정직 직급을 일반 사회복지적으로 전환하여 승진의 기회를 부여해야 하고, 그들의 신분을 보장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사회복지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회복지전문요원의 성취욕구를 촉진하고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회복지 직렬을 설치해야 하며, 사회복지 사무소 운영을 활성화해야 한다. 이상에서 사회복지전문요원의 사회복지서비스 실태를 바탕으로 전문성을 발휘하지 못하는 원인과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시급한 점은 사회복지전문요원의 처우 개선은 물론 양질의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부의 제도적 지원과 재정적 지윈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 사회복지종사자의 이직의도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박나래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6399

        사회복지기관에 종사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들은 기관과 개인의 이익 보다는 클라이언트를 위해 전문적인 사회복지서비스를 개발하고, 클라이언트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그들이 사회복지서비스를 제대로 이용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위해 존재한다. 따라서 사회복지사의 이직은 서비스질의 저하를 초래하게 되고 클라이언트와 조직에 부정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런 부정적인 영향에도 불구하고 2007년 통계청의 자료에 의하면 사회복지기관 종사자의 이직률이 20.5%로 매우 높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복지관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들을 대상으로 이직의도 결정의 요인을 분석 하고 그 원인을 밝혀 이직의도를 낮추어 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사회복지사들의 이직요인 제거를 위한 개선방안의 제시를 통해 사회복지조직의 인적관리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는데서 시작되었다. 이직의도에 관한 요인들을 찾기 위하여 이직에 관한 이론(인적자본이론, 교환이론, 조직균형이론), 이직에 관한 모형(경제학적 모형, 심리학적 모형, 사회학적 모형) 그리고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독립변수는 직무관련 특성요인, 조직관련 특성요인, 그리고 이직용이성 요인으로 설정하였으며, 인구통계학적 변수 또한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구성하였다. 위의 선행연구들을 중심으로 연구의 분석틀을 구성하였고, 이것을 통해 총 10개의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설문지를 구성하여 서울특별시의 사회복지기관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들을 대상으로 배부·회수하였다. 분석결과 결혼여부, 이직경험여부, 학력, 직급, 사회복지기관 유형 간에는 이직의도 결정에 대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반면에 성별, 연령, 근무기간, 자격증 종류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간 차이에 있어 남성과 여성 간에 차이가 이직용이성 요인에서 나타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사회복지기관 종사자의 남녀비율에 있어 여성이 약 3배 정도 많은 반면 사회복지관에서의 업무가 힘들기 때문에 사회복지기관에서 남성종사자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이런 이유로 남성종사자가 여성종사자에 비해 이직용이성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연령간의 차이에 있어서는 50대와 20대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나이가 어릴수록 다른 직장으로 취업의 기회가 많이 열려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사회복지기관에 종사하고 있는 종사자들 또한 나이가 어릴수록 이직에 대한 생각 및 행동을 많이 한다고 판단된다. 근무기간의 차이에 있어서는 조직관련 특성과 이직용이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년 미만의 종사자들은 대부분 새로운 직장에 대한 열정을 가지고 업무에 임하지만 1년 정도가 지나면서 업무에 대한 열정이 사라지고 직장에 대한 불만이 높아지게 되면서 상사나 동료 및 조직에 대한 몰입도가 낮아지게 된다. 또한 어느 정도의 경력을 인정받게 되면 이직이 쉽고 기업에서도 새로운 사람에 대한 잠재능력 보다는 경력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직용이성에 대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자격증 간의 차이에 있어서는 2급과 3급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 차이는 자격증을 취득하는데 있어 2급에 비해 3급을 취득하기가 상대적으로 쉽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업무환경, 승진절차의 공정성, 임금의 만족도는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직무만족, 상사에 대한 몰입도, 동료에 대한 몰입도, 조직몰입도, 이직용이성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이직용이성 변수가 다른 변수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복지사들의 이직이 많이 일어나는 만큼 새로운 구성원의 채용 및 모집이 빈번히 일어나고 있어 쉽게 새로운 직장을 구함에 있어서 어려움이 다소 적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또한 보상이나 업무량 같은 외재적 요인보다는 인적요인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사 및 동료에 대한 몰입도 같은 인적요인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어떠한 사람들과 어떻게 일하는지가 중요함을 말해준다. 따라서 조직구성원간의 조화로운 관계유지 및 이직용이성을 줄이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직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평균분석에서 다른 변수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나온 임금의 만족도, 업무환경, 승진절차의 공정성에 대한 문제점 또한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이 개선된다면, 본 연구에서 이직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이직용이성인 이직에 대한 생각과 행동은 줄어들 것이라고 본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함의를 살펴보면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사회복지종사자들의 임금 및 처우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2008년을 상반기를 기준으로 사회복지종사자들의 평균 임금은 월 1,460,245원으로 평균 임금인 2,127,430원으로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회귀분석 결과 임금의 만족도와 업무환경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평균분석에서 임금의 만족도와 업무환경이 가장 낮은 평균값을 나타내고 있다. 어느 사회복지관이나 대부분 임금이 낮고 근무 시간과 업무량이 많은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사회복지종사자들의 임금 및 처우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사회복지조직 구성원들 승진 및 승진 절차상의 공정성이 필요하다. 직급별 회귀분석 결과 승진에 가장 직접적이고 큰 의미를 갖는 일반직원의 경우에서 승진절차의 공정성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승진 절차 및 승진 과정상에 있어서의 투명한 승진체계 및 평가체계가 필요하다. Social workers exist to develop social welfare services: tender good quality services to the clients and help them to use the services better. Therefore, as the social workers’ turnover rate increases, the quality of service will get lower and it could present negative influences to the organization and their clients. According to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7 Research data, 20.5% of social workers have transferred their job. Therefore, the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which affect turnovers of social workers; to decrease the turnover intentions, to increase the quality of the services for clients, and to rise the efficiency of human resources management in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n this study, turnover intention factors were explored through literature reviews, turnover theories, and turnover models to set up the analysis framework where duty, organization, and ease movement levels are identified. For the study,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the social workers who work at social welfare organs which are located in Seoul.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re a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rital status, experience of turnover, education, position level, and type of social welfare organs. However,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age, duty of time, and certificate of qualification. It also has turned out that job satisfaction, commitment to the supervisor and colleagues, organization commitment and ease of movement have influenced the turnover intentions. In particular, compared to the other factors, ease of movement has strongly associated with turnover intentions. On the other hand, job environment, clear elevation system, satisfaction of payment have not influenced to the turnover intentions. These results have shown that social workers are easy to transfer the job since there are a lot of recruitments in the field. It also has shown that personal factors have more impacts on the turnover intentions rather than the external factors such as payment or workloads. Since the impacts of personal factors mean the importance of who we work and how we work together, there need to be a plan to maintain the harmony among the organization employees to decrease the easy of movement. Although the satisfaction of payment, job environment and clear elevation system do not have direct influences to the turnover intention, there also need to be a clear plan against these variables to prevent the increase of turnover intentions. As we solve out these problems, thoughts and behaviors about turnover intentions will be decreased.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came up with policy implications for turnover intentions in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First of all, there need to be a better treatment and payment system to social workers. According to the research about payment in the first half of the year, average payment of social workers are 1,460,245 won where the average work payment are 2,127,430 won. Secondly,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need to develop the fairness in the elev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osition level regression analysis, most employees are influenced to decide on turnover intentions based on the clear elevation system. Therefore,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need to develop the clear elevation system.

      • 農村社會福祉를 위한 敎會의 役割 : 農村社會福祉를 감당하는 農村敎會를 중심으로

        이종열 대전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36399

        사람은 누구나 다 행복하게 살아야만 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행복하게 사는 사람과 불행하게 사는 사람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구분을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하여 사회복지가 탄생하였다. 오늘날 도시와 농촌의 삶의 모습을 보면 도시는 많은 혜택 속에서 살아간다. 농촌은 그렇지가 못하다. 많은 사람들로부터 따돌림을 당하면서 불행하게 살아가고만 있다. 진정으로 사회복지의 혜택을 받을 곳은 농촌이다. 이러한 농촌에는 마을 마을마다 교회가 있다. 이 교회들이 농촌을 위하여 복지사업을 감당한다면 소외되고, 가난한 농촌에도 행복한 삶을 살 수가 있다. 교회의 사회복지 참여는 예수 그리스도의 혁명으로부터 기인한다. 이 혁명은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라'(마 22:37-38)는 기독교 계명의 핵심적인 기초를 이룬다. 그런데 한국교회에는 '사회란 교회와는 아무런 관련도 없는 집단이며 또 교회는 그러한 사회문제에 선교적 입장에서 관여해야 할 아무런 명분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인식이 만연해 있었다. 기독교의 신앙은 하나님을 사랑하는 것으로부터 출발되며 인간을 내 몸같이 사랑하는 진실된 사랑안에서 율법을 완성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참된 사랑은 인간의 전인적인 구원(영적, 육체적, 사회적)을 목표로 하며 이의 실현이 기독교 사회복지참여의 가장 중요한 이념이라 할 수 있다. 농촌은 오늘 우리에게 최상의 것을 거저 얻게하는 녹색 은총의 보고요 사실이다. 그리고 농촌에서 일어나고 있는 농사는 천하지대본이다. 그런데 현재의 농촌 사회는 수많은 사람들에게 버림을 받고 있다. 더더욱 슬픈 것은 농촌에서 태여나 농촌에서 자란 농민들 마저 농촌이 농사가 싫다고 자식을 도시로 떠나 보내고 자신의 삶을 후회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패배 의식이 농촌을 황폐하게 만든다. 농촌은 영원히 살아 있어야 할 곳이다. 그래야 미래를 책임질 수가 있다. 그러므로 농촌 사회가 어느 사람이든지 와서 살고 싶어하는 곳이 되어야 한다. 정부는 정책과 지원으로 농촌을 살리기 위해서 많은 노력을 했지만 빚만 늘어나게 되었다. 앞서 말했듯이 농촌은 최상의 것을 얻는 곳이다. 그런데 지금은 최하의 것을 얻는 것으로 인식을 하고 떠나가므로 피폐하게 되었다. 피폐했다고 해서 농촌을 버려서는 안 된다. 교회를 이룩하신 예수님은 가난한 자와 소외된 자들에게 복음을 전하셨다. 그리고 "인자가 온 것은 섬김을 받으려 함이 아니라 도리어 섬기려 하고 자기 목숨을 많은 사람의 대속물로 주려 함이니라"(마20:28)고 말씀하셨다. 농촌에 있는 교회들은 성경에 나타난 교회의 사회적 책임 감당을 깨달아서 가난하고 소외된 농촌사회에 맞는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농촌사회를 섬길 때 농촌사회는 복지사회로 풍요로운 자연과 더불어 천국을 이룰 수 있다.

      • 사회복지지출의 결정요인에 관한 분석

        권기대 國民大學校 行政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36399

        우리나라는 인구의 증가, 경제성장, 실업 등 사회·경제적 여건의 변화에 따라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의 수요도 늘어나게 되었고 이에 대한 정부의 관심도 1990년대 중반이후부터 증가하게 되었다. 1900년대 중반까지는 사회복지에 대한 관심이 저조하여 경제개발에 치우친 소위 ‘개발재정’이라는 특징 하에 국가재정 지출이 이루어졌으며 소득재분배 등 사회복지와는 거리가 멀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OECD 가입이후 국민의 정부, 참여정부에서는 복지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어 복지지출이 늘어나는 추이에 있다. 이러한 관심 속에는 1990년대부터 일부 학자들에 의하여 복지지출에 관한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으나 전반적인 사회·경제적 변화에 대한 복지지출의 결정요인에 대한 실증적인 분석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최근까지의 사회·경제적 여건의 변화 현상과 복지국가유형별로 변화형태를 비교하여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사회복지 지출에 대한 세계적인 변화추세를 살펴보고, 복지지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하여 시계열적 data에 의거 실증적 분석의 실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복지국가유형별 9개 OECD국가를 대상으로 사회복지지출과 관련이 있는 1인당 국민총소득(GDP), 사회복지지출, 공공부문 사회보장 및 복지비, 조세부담률 및 사회보장세율 등에 대하여 SPSS통계프로그램의 다중선도표에 의하여 변화흐름을 살펴보았고, 1981∼2001년의 기간동안 우리나라의 사회복지지출, 노령인구 증가, 여성경제활동인구의 증가, 실업률, 조세부담률의 증가, 비정규직의 증가 등에 대하여 살펴보고 분석을 실시하였다. 사회복지지출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분석방법은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수들 간의 선형적 연관관계를 규명하는 상관관계분석에 있어서의 사회복지지출비율과의 연관성을 보면, 노령인구의 증가, 조세부담률의 증가, 비정규직근로자의 증가, 여성경제활동인구의 증가, 1인당 GDP의 증가 등의 순으로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변수들 간의 관계에 대해 수학적 함수모형을 설정하여 수집한 자료로부터 이 모형을 추정하고 추정된 모형을 이용하여 종속변수를 예측하는 데 이용되는 통계적 방법인 다중회귀분석에 있어서는 독립변수의 영향력은 다음과 같다. (1) 노령인구비율(X_(1))은 분석과정에서 다중공선성의 문제로 제거되었으며, (2) 여성경제활동인구비율(X_(2))은 변수선택방법으로 『단계적 선택법』을 이용하여 회귀분석 한 결과, 선택에서 제외되어 사회복지지출결정요인의 영향력에 크게 관여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그러나 1인당GDP(X_(3)), 실업률(X_(4)), 조세부담률(X_(5)), 비정규직비율(X_(6))은 사회복지지출결정요인에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향력이 큰 순서대로 "적합한 모형의 회귀식"에 의거 설명하면, ① 실업률(X_(4) : 베타 0.47)이 2% 상승하면 1.75%의 사회복지지출비율이 상승하는 효과가 있으며, ② 1인당 GDP(X_(3) : 베타 0.43)가 5,000달러의 상승 시에는 1%의 사회복지지출비율이 상승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③ 전체 근로자 중 비정규직근로자의 비율(X_(6) : 베타 0.36)은 10%상승 시 1.1%의 사회복지지출비율이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④ 조세부담률(X_(5) : 베타 0.3)은 10% 상승 시 5%의 사회복지지출 비율이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이 종속변수(Y)인 사회복지지출비율의 결정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X)는 실업률(X_(4)), 1인당GDP(X_(3)), 비정규직비율(X_(6)), 조세부담률(X_(5))의 순으로 검증되었으며, 인구의 증가 등 사회적인 요인보다는 실업 등 경제적 요인이 사회복지지출결정에 긍정적인 영향력이 있는 것을 검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이론적 함의를 지닌다. 첫째, 사회복지지출비율의 결정요인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실업률 및 경제성장(1인당 GDP 증가)은 그 동안 연구결과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지지되었으며, 둘째, 비정규직근로자의 증가(과거 최저 20%수준에서 현재 50% 수준으로 증가)의 구조화현상은 새로운 사회복지지출결정요인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셋째, 국민의 조세부담의 증가는 사회복지지출결정에 영향을 미쳐 사회복지재원의 확보에 용이하며, 복지선진국의 사회보장세율과의 비교를 통해서도 복지지출비용 확보의 연구대상이 될 필요성이 있다. 한편, 복지국가 실현을 표방하는 정부의 복지정책 속에서 다음과 같은 정책적 함의를 지닐 수 있다. 오늘날은 사회·경제적 성장과 발전이 수반되면 복지를 강조하는 것이 세계적인 추세이며 우리나라도 국민의 정부에 이어 참여정부에서도 복지정책을 표방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결과는 사회복지정책의 실천기조의 한 자료로서 정책적 의의가 있음을 시사한다. 즉, 실업률의 변동, 경제성장율(1인당 GDP), 비정규직근로자의 변화추이, 조세부담액의 변화 등은 사회복지지출결정과의 영향력이 있음을 인식하고 사회복지재정 확충에도 반영할 수 있는 유용한 방향성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While South Korea was undergoing the social transformation of economic growth, population increase, and the issue of unemployment, it has also generated the increased number of people who may require certain assistance to adjust to such changes. Corresponding to these changes, South Korean government began to pay more attention to social welfare since mid 1990's. Little attention was paid to social welfare up until that time, and the national finance was spent lopsided toward economic development, under a so-called "development finance," which was far from a budget structure that bears in mind social welfare including redistribution of income. Since South Korea joined OECD, however, the Government of People (DJ administration) and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Roh administration) have exhibited the progress of augmenting its expenditure on welfare with increased awareness toward the issue. In the midst of all this attention, certain scholars have performed studies on welfare expenditure since 1990's, but the positive analysis on determinants of welfare expenditure concerning overall social and economic transformation has been yet shown inadequate. In this respect, this study examines the global trend as well as South Korea on welfare expenditure with a close look at the past and the most recent social and economic transformation and the comparison based on certain types of welfare state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lso include the positive analysis on the determinants that affect welfare expenditure using time series data. To accomplish the objectives, this study has utilized a multiple-line graph of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to examine the trend of change targeting nine OECD countries that represent different types of welfare states; the factors examined here are GDP per head, social welfare expenditure, social security and public welfare expenditure on public sector, and ratio amount of taxes and social security tax rate. An analysis was performed on social welfare expenditure that South Korea has spent between 1981 and 2001; the study also examined of the same period the increase of the older population, the increase of economically active women population, the unemployment rate, ratio amount of taxes, and the increase of non-regular employment. The analytic methods used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social welfare expenditure ar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ollowing shows the results of the analyses. First of all, if you look at the Correlation Analysis that defines linear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in connection with social welfare expenditure rate, the increase of older population shows the highest correlation followed by the increase in ratio amount of taxes, non-regular workers, economically active women population, and GDP per head, in the order in which they are written. Second of al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hich is used to predict a dependent variable using an assumed model formulated by the data collected from mathematical function model about the relations among variables, offers the following analysis on the impacts of independent variables. (1) Ratio of older population (X_(1)) was eliminated due to the problem of multi-collinearity in the process of analysis; (2) Ratio of economically active women population (X_(2)) was eliminated under regression analysis using stepwise method, which in consequence shows little effect on the determinants of social welfare expenditure; (3) However, GDP per head (X_(3)), unemployment rate (X_(4)), ratio amount of taxes (X_(5)), and the rate of non-regular employment (X_(6)) showed to have an effect on the determinants on social welfare expenditure. Let's go over one by one according to "regression equation of proper model," starting with the one that has the most impact: ① The 2% increase of unemployment rate (X4: beta 0.47) brings up social welfare expenditure by 1.75%; ② The increase of $5,000 of GDP per head (X3: beta 0.43) has an effect of raising 1% on the expenditure; ③ 10% growth of the rate of non-regular workers (X6: beta 0.36) out of the total workers raises the expenditure by 1.1%; ④ 10% increase of ratio amount of taxes (X5: beta 0.3) raises the expenditure by 5%. As shown above, independent variableso(X) that are the determinants to have the most impact on social welfare expenditure, by its order, are unemployment rate(X4), GDP per head(X3), the ratio of non-regular workers(X6), and ratio amount of taxes(X5). In conclusion, the study shows that the economic factors rather than social factors have positive effect on increasing the social welfare expenditure. Based on the analyses above, this study entails the following theoretical significance. First, unemployment rate and economic growth (GDP per head1proven to be the determinants of social welfare expenditure ratio were selectively supported based on the previous analyses. Second, the increase of non-regular workers (increase to 50% from the lowest rate of 20% in the past) has surfaced as a new determinant of social welfare expenditure. Third, the increase of ratio amount of taxes eases acquisition of social welfare resources, and it also deserves a thorough study in comparison with social security rate of the other welfare states in order to acquire appropriate welfare expenditure.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may embody certain political significance in the midst of welfare policies that government advocates to attain the status as a welfare state. Today the global trend is such that much of the emphasis is placed on public welfare after economy gets on the track, and accordingly, both the Government of People and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of South Korea have also claimed to stand for welfare policies. As one of the materials for practical keynotes concerning social welfare policies, this study likewise suggests significance in terms of welfare policies. With the proper recognition of their relation to welfare expenditure, fluctuation of unemployment rate, the GDP growth per head, the trend of change in non-regular employment, and the change of ratio amount of taxes will surely provide useful direction to expand the social welfare budg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