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사회복지시설의 개방적 운영에 관한 연구 : 장애인복지를 중심으로한 사례 연구
권태순 대전대학교경영행정대학원 1999 국내석사
본 연구는 현재 장애인복지시설들이 폐쇄적 운영을 탈피하여 어느 정도 개방적으로 운영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장애인복지시설의 자원활용과 지역사회와의 상호작용 측면을 고찰함으로써 앞으로 장애인복지시설이 개방적 운영을 할 수 있는 기반을 찾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장애인복지시설을 개방적으로 운영한다는 것은 시설과 지역사회의 공동 노력으로 상호 수용적이며 상호 협력적인 관계로 전환하여, 지역사회와 격리된 시설이 아닌 시설의 장애인이 지역사회의 일원으로 받아들여지고, 일방적으로 수혜받는 시설이 아닌 지역사회주민에게도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자원으로 인식되고, 지역사회 주민도 시설을 지역 고유의 자원으로 활용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장애인복지시설의 개방적 운영에 대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국의 254개 장애인복지서설 중 재활(요양)시설 155개를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여 55개 시설로부터 응답을 얻었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원, 이사회, 후원자 및 후원회, 자원봉사자의 항목으로 나누어 조사한 자원활용 측면에서는 장애인복지시설의 개방적 운영의 기반이 될 수 있는 이들에 대한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고, 시설장의 잘못된 인식으로 인하여 이들을 다양한 측면에서 활용되어지는 것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원의 채용 방법 및 최종 결정권자, 이사회의 개최 유형 및 선정 방법, 후원자 및 후원회의 활용, 자원봉사자의 활용 등에 관해 살펴본 결과, 개방적 운영의 기반을 이루기에는 실제적으로 미흡한 점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시설의 설비 및 프로그램의 개방, 시설의 홍보, 재정 및 프로그램 계획의 개방 범위, 직원과 장애인의 지역사회 참여유도 등을 살펴본 결과 지역사회와의 상호작용에 관한 사항에서는 전체적으로 상호작용의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에 대하여 설비를 개방하거나 재가장애인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서설의 비율이 낮았으며, 주로 방문객이나 이용자에 의존하는 홍보 방법을 이용하고 있었다. 또한 재정 및 프로그램 계획의 개방 범위는 직원과 이사회, 행정기관 등에 한정되어 있었으며, 직원과 장애인의 지역사회 참여 형태는 행정협의회나 기관 관련행사 등이 많아 지역사회 주민과 직접적으로 만나고 이해할 수 있는 것이라고 보기에는 미흡하였다. 마지막으로 개방적 운영에 관한 견해에 있어서는 앞의 항목들에서 현재 시설의 개방적 운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것과 달리 응답자들이 '현재 우리 서설은 개방적 운영을 함으로써 지역사회와의 관계 형성이 잘 이루어지고 있다'고 답변하여 차이를 보여주었다. 이것은 시설 운영자들이 장애인복지시설의 개방적 운영에 관한 올바른 개념 이해와 개방적 운영의 필요성을 실제적으로 공감한 상태에서 답변이라기보다는 '지역사회주민들이 우리 시설을 언제든지 자유롭게 방문 할 수 있으므로 개방적 운영을 하고 있는 것이다'라는 식으로 '개방적 운영'에 대한 나름대로의 잘못된 개념을 갖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개방적 운영의 장애요인으로는 지역사회 주민의 편견 및 이해 부족과 시설 내 전문인력의 부족이 가장 많이 지적되었다. 그밖에 '시설의 설비 미비 및 재정 부족' '시설 운영자의 의식 부족'도 고루 지적되었다. 여기에서 지적된 요인들은 곧 우리 나라 장애인복지의 현실을 가늠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며, 이러한 현실은 장애인시설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조장하여 탈 시설화 등의 거센 바람을 일으키는데 일조하고 있다고 볼 수 있고 장애인복지시설의 개방적 운영에 저해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이 요인들은 어느 한쪽에 의해서만 야기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시설과 관련된 주변의 모든 조직과 지역사회주민, 지방정부와 중앙정부의 제도적 정책적 측면 등에 전반적으로 걸쳐 있는 것이다. 본 조사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제언할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설 직원과 이사회, 후원자 및 후원회, 자원봉사자 등은 장애인복지시설이 개방적 운영을 해나가는 데 중요한 자원이 되기 때문에 직원의 공개 채용을 통한 우수한 인적자원 보충, 이사회에 지역사회 인사 참여를 통한 전문가 집단의 조직화, 후원자·후원회의 활성화방안 연구, 지속 가능한 전문자원봉사자에 지역사회 주민을 적극 활용 등 이들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도적·정책적 지원을 통하여 마련해야 한다. 둘째, 장애인복지시설과 지역사회의 상호작용은 시설의 장애인과 지역사회 주민 양측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므로 상호이해와 협력이 증진되어나갈 수 있도록 시설과 지역사회에서 인식 개선을 바탕으로 상호작용을 촉진시켜야 할 것이다. 셋째, 장애인복지시설의 개방적 운영에 대한 필요성을 시설과 지역사회에서 새롭게 인식하여야 하며, 이 부분에 대한 보다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시설장애인들에 대한 서비스가 물질적 필요(의식주 욕구충족)에 주력하고 있는 것을 정신적 필요(만족스런 인간관계형성, 자기성장)측면으로 전환하고, 이를 위해 개방적 운영프로그램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다섯째, 한국장애인시설협회 등 장애인관련단체에서는 시설에 대한 조사연구를 통하여 시설의 개방적 운영을 할 수 있도록 시설 상호간 정보 교류와 함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여섯째, 장애인복지시설 설립자 및 시절장의 개방적 운영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더불어 개방적 프로그램을 연구·실행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한편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는 시설직원의 장기근속이 가능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일곱째, 사회복지서비스 행정 전달체계 문제점을 보완하고 전문적이고 통합적인 사회복지업무 수행·관리·감독을 위해 보건복지부에서 분리되어 별도의 사회복지부의 신설이 요구된다.
복지환경 변화에 따른 지역사회복지관 운영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고재수 부산대학교 행정대학원 2004 국내석사
In 21st century, it's turning to the society of focusing on the human and respecting individuals who choose and pursue various life styles and values freely, assuming high quality of life. We'll pursue more healthful, pleasant, convenient and secure life as the life span is lengthened and the desire for quality of life moves from the material wealth to the qualitative value. The change of the social circumstances brings about that of the welfare circumstances along with various social problems, it also results in the diversification of individual needs and increase of the populations who need the social welfare service. It'll have a tremendous influence on the welfare policies with the local autonomy, now getting on the track, and decentralization of, so called, the participation government, it's also required serious changes in the transmission system of the social welfare. In the transmission system of the social welfare, civil social welfare service is mainly supplied by the non-profit organization like social welfare corporations, and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can be the exemplary.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executing the overall welfare plans mainly focusing on the community welfare with the possession of the facilities and experts in addition to the mobilization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has the important role in providing service related to social welfare in the certain area. However, many questions are being raised about the functions of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which is conducted to improve the welfare of the local community, substantially acting as a mediator in the closest status to the residents, not only for forming solidarity between the local community and residents but also for raising ability of self-support of the low-income bracket. Namely, those are insufficiency in the participation of the community people and building connections between the organization and corporation related to the social welfare system in the community like residents' autonomy center, inadequacy in administrating the program without considering the peculiarity of the community, lack of the resources for managing community welfare center and unsatisfactory professionalism in the management. Therefore, in this study I'd like to present the analysis of the problems shown up while managing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with the change of circumstances of the welfare system and the activation plans in operating the center as follows. First, it should perform the role of the comprehensive welfare center, as a mediator to promote welfare of the community people to build the connection between the local community and community people by preventing and healing the overall social problems, along with growing self-reliance of the low-income bracket and leading it to the middle class, through the synthetical and systematical operation of welfare plans. Second, related to the criteria for supporting budget to administrate community welfare center, it's necessary to be subdivided with various factors, such as the subject of the administration, peculiarity of the local community and contents of the project, which is currently classified to three sections simply by the dimensions of the building. Third, it should be developed positively specialized programs which reflects opinions of the community people and advisory committee of the center as well as the regular research results about the need of the community people since those programs has been operated indiscriminately without considering the peculiarity of the community and people's need. Forth, there should be the improvement of the treatment for the staff working in the field, doing their job solely with the pure passion and responsibility for the social welfare even in the inferior working condition. Fifth, the staff in the center must be fully aware of the needs and problems of the community people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by obtaining cooperation among organizations and positive participation of the community people, not to mention acquiring the resources of the community to work out the problems efficiently. Especially when accomplishing various programs within the limited resources, they have to exert themselves to secure the volunteers for proper volunteer work. Sixth, with providing diversified and professional welfare service, it should fulfill their leading role in the private social welfare transmission system based on the tie-up with the public sector to embody productive and participating social welfare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overall citizens needless to say the low-income bracket. Moreover, it is required to get the full support by the government and municipal corporation.
社會福祉館 運營實態와 改善方案에 關한 硏究 :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전채근 대전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1999 국내석사
사회복지관은 "지역사회내에서 일정한 시설과 전문인력을 갖추고 지역사회의 인적·물적 자원을 동원하여 지역사회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하고 주민의 복지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관의 조직적이고 전문적인 활동체계를 중심으로 한 종합적인 사회복지 사업을 수행하는 사회복지 시설이며, 1987년 大統領 公約事業으로 선정된 이후 전국적으로 1989년에는 46개소 1999년 현재에는 245개소로 급격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대전광역시에도 1989년 2개소의 사회복지관이 1998년말 현재 16개소로 증가하였는데 지방자치시대를 맞이하여 지역주민의 복지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다양해지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사회복지관에서 담당하고 있는 주요사업으로는 가정복지사업, 아동복지사업, 청소년복지사업, 장애인복지사업, 노인복지사업, 지역복지사업 등 사회복지서비스 욕구를 가지고 있는 모든 지역사회 주민을 대상으로 보호서비스의 제공, 자립능력 배양을 위한 교육 훈련기회 제공 등 그들이 필요로 하는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 가정기능 강화 및 주민상호간 연대감 조성을 통한 각종 지역사회 문제를 예방 치료하는 매체로서 주민의 복지증진을 위한 종합복지센타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사회복지관은 복지의 선진화를 달성하는데 있어서 가장 대표적인 직접 서비스 기관으로 그 중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으나, 지역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획일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든지, 전문인력이나 재정능력의 취약성 등으로 지역주민들에게 만족할 만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사회복지관의 운영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개선방안과 정책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지방정부나 정부차원의 지속적인 관심과 사회복지관 운영주체 스스로 개혁 차원에서 거듭나겠다는 자조적 노력이 실천되기를 기대한다. 사회복지관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회복지관 운영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첫째, 사회복지관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대체로 만성적인 재원부족으로 자율적이고 특수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시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사회복지관 예산중 보조금이 차지하는 비율은 약 50∼60%에 불과하며 나머지는 위탁법인이 자체적으로 조달하게 되는데 수익사업인 유료사회교육 프로그램에 의존하게 된다. 결국 사회복지관이 본연의 전문복지 기관으로서의 위상을 찾지 못하고 사회교육 프로그램을 늘려 나가는 모순을 되풀이하고 있다. 둘째, 재정부족과 관련되는 문제로, 조직과 인력구성이 본래의 사업과 특수사업을 운영하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는 점이다. 물론 이러한 현상의 근본 원인은 운영규정에 따른 직원의 배치와 특수 전문직 요원을 확보하지 못한 때문일 것이다. 셋째, 사회복지관의 사업분야 가운데 지역사회복지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로 인하여 지역사회의 사회문제 해결이나 주민참여에 의한 조직체 형성, 타 기관과 협력·연대를 통한 사회제도적 변화가 유도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사회복지관의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사업과 재가복지 서비스의 구분이 모호하고 민간법인이 운영 주체이면서 재정구조상 보조금의 의존도가 높고 운영지침이 정부에서 제시되고 있기 때문에 운영의 자율성이 상당 부분 제한 받고 있다는 점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지역의 특성에 부합하는 전문적인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하겠으며, 지역의 물적·인적 자원동원을 극대화하는 것은 물론 과학적인 관리기법을 동원하여 경쟁력과 자생력을 기르는데 주안점이 주어져야 할 것이며, 그리고 사회복지관 운영의 상당 부분이 정부의 정책방향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지방정부나 정부차원의 정책적 개선 노력도 우선 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 하에서 구체적 개선방안을 살펴보면, 첫째, 사회복지관 프로그램과 관련하여 가장 비판의 대상이 되는 것은 각종 취미, 교양교실 같은 사회교육 프로그램이므로 본연의 역할인 전문·상담·예방적 서비스 제공등의 활성화를 위해서 재정 지원의 현실화가 최우선 과제이다. 당장 사회복지관 보조금 재원을 확보하는 것은 어려울 것이나, 점진적으로 확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나가야 하겠다. 둘째, 사회복지관 사업은 계획(plan)-집행(do)-평가분석(see)의 환류(feed back) 과정이어야 하는데 사회복지관의 중장기 계획이 수립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유사시설 중복투자등 비효율성이 발생하기도 한다. 자치구 단위로 각 복지시설별 양적수요 분석과 함께 주민욕구를 분석하여 소비자 중심의 지역단위 복지종합계획이 수립 실천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지역사회복지체계의 수립과 계획을 위하여 종합적인 지역사회복지 관련법이 필요하므로 가칭 "지역사회복지법"이나 "사회복지관 및 재가복지봉사센타 운영에 관한 법률"등의 형태로 법이 제정되어야 할 것이다. 영국의 경우 "지역사회보호법"이 제정되어 있어 지방정부가 매년 실정에 적합한 지역복지 계획(community care plan)을 수립할 의무가 명시되어 있으며, 이를 공식적인 문서로 출판하고 있다. 넷째, 자원봉사자의 전문화는 곧 서비스 전문화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므로 분야별 전문인력 자원봉사자 확보가 가능하도록 제도적·법적 보완이 필요하다. 또한 평가에 있어서도 운영 평가와 프로그램 평가로 구분하여 운영평가는 회계감사로 대신하고 프로그램 평가는 질적 평가를 실시하며 평가제를 운영 법인에도 실시하여 위탁 운영 재계약 여부를 결정하는 자료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끝으로, 사회복지관 운영의 전문성 제고, 지역사회복지 기관간의 서비스 연계통합조정, 지역주민의 참여확대와 지역사회와의 관계 개선, 지역복지 전달체계 개선, 사회복지관 협회의 기능과 역할 강화 등도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개괄적이나마 사회복지관에 관련된 전반적인 분야를 다루어, 보다 효과적인 운영을 모색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으나 여러 가지 미흡한 점 부끄럽게 생각하면서 앞으로 각 분야에 대한 연구가 계속해서 진행되어 사회복지관이 주민의 복지증진을 위한 종합복지센터로서 거듭 났으면 하는 바램이다.
사회복지분야에 있어서 민관공동출자사업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대전광역시 중구 장수마을관리원 사례를 중심으로
송정숙 대전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1999 국내석사
사회복지정책을 수행함에 있어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역할을 엄격히 구분하기는 매우 어렵다. 그러나 인간의 욕구가 다양해지고 민간부문이 공공부문에 비해 융통성이 있고 창의적이며 새로운 욕구에 즉시 반응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한다면 공공부문의 서비스에만 의존하는 것보다 다양한 민간부문이 서비스를 제공할 때 광범위한 인간의 욕구에 보다 쉽게 반응하고 그 충족 수준도 높힐 수 있을 것이다. 경영수익사업분야에서는 민관공동출자사업에 대한 연구가 많이 있었지만 사회복지분야에 있어서는 아직도 미흡한 점이 많다. 수익성보다는 공공성이 우선되어야 하는 사회복지사업이기 때문에 수익성을 고려해야 하는 민간부문으로서는 참여의 매력이 적었던 것이다. 사실 서구 사회복지의 역사적 전개과정을 볼 때 사회복지사업은 먼저 민간부문 위주로 성립 발전되어 왔다. 그러나 20세기에 들어와 특히 1930년대 대공황과 그에 따른 만성적 대량실업과 국민생활의 파탄으로 민간사회복지에서 공공사회복지로의 대전환을 가져오게 되었던 것이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복지국가로 향한 각종 사회보장제도의 실시 등으로 정부의 역할이 증대되었고 공공부문의 사회복지가 국민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급격히 증가되었다. 따라서 공공부문의 사회복지에의 지나친 부담으로 인하여 생기는 여러 가지 경제적 비효율성의 문제, 정부재정의 적자, 정부에 대한 신뢰감의 상실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사회복지서비스를 민간부문에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논의가 시작되었다. 민관공동출자사업이란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이 공동으로 출자하여 공동으로 운영하는 사업으로 공공부문에서 부족한 자본, 기술, 인력 등을 민간부문에서 도입하거나 민간부문의 활성화를 위해 공공부문이 선도 또는 지원하는 것을 말한다. 우리 나라에서는 아직까지 민관공동출자사업에 대한 인식의 부족, 제도적 차원에서의 지원미비 등으로 선진국에 비해 활성화되어 있지 못하지만 1990년대부터 민관공동출자사업에 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고 특히 지방자치단체의 경영수익사업분야에서는 민관공동출자사업이 취약한 지방재정의 확충, 전문적인 경영능력의 효율성과 기술적인 노하우 등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 경영수익사업분야에서 많이 연구되었던 민관공동출자사업을 사회복지정책의 수행에 도입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대전광역시 중구 장수마을관리원을 사례로 연구해 보았다. 대전광역시 중구 장수마을관리원은 핵가족화와 노령화의 추세에 따라 소외된 노인계층을 위한 미래 지향적인 노인복지정책이 절실하다는 인식하에 노인의 건강관리와 휴양, 문화, 교양시설이 완비된 노인종합복지시설을 건립함으로써 경로풍토의 확산과 소외된 노인들에게 삶의 의지와 보람의 제공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나 막대한 시설 공사비와 사업운영에 따른 재정적자로 사업주체인 중구청의 재정부문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방안으로 민관공동출자사업의 도입 가능성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사회복지정책의 수행에 있어서 민관공동출자사업방식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민간부문이 투자할 수 있는 환경이나 여건의 조성이 필요한 데 그 첫째는, 사회복지서비스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다. 즉 사회복지서비스가 단순히 비용을 받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제적인 차원의 것이 아니라 민간부문에서는 기업의 이익 등에 따른 사회환원적인 의미와 공공부문에서는 보다 건강하고 잘사는 사회를 건설하기 위한 복지국가 지향적인 차원에서 사회복지사업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민간부문과 공공부문의 사회복지서비스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선행될 때 보다 나은 복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민간부문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투자환경의 조성이다. 공공부문에서는 민간부문의 참여를 확대하기 위한 재원의 조달, 세제지원, 금융 및 재정지원, 제도적 지원 등을 통한 여건을 조성해주어야 한다. 수익성이 크지 않은 복지사업이기 때문에 민간부문의 투자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그에 적절한 인센티브가 필요한 것이다. 사회복지분야에 있어서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은 상호보완적인 관계가 되어야 할 것이며 복지의식의 함양, 지방자치의 활성화, 민간부문의 자율성 제고 등 정부의 정책적인 노력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다고 하겠다.
권기대 國民大學校 行政大學院 2005 국내석사
우리나라는 인구의 증가, 경제성장, 실업 등 사회·경제적 여건의 변화에 따라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의 수요도 늘어나게 되었고 이에 대한 정부의 관심도 1990년대 중반이후부터 증가하게 되었다. 1900년대 중반까지는 사회복지에 대한 관심이 저조하여 경제개발에 치우친 소위 ‘개발재정’이라는 특징 하에 국가재정 지출이 이루어졌으며 소득재분배 등 사회복지와는 거리가 멀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OECD 가입이후 국민의 정부, 참여정부에서는 복지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어 복지지출이 늘어나는 추이에 있다. 이러한 관심 속에는 1990년대부터 일부 학자들에 의하여 복지지출에 관한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으나 전반적인 사회·경제적 변화에 대한 복지지출의 결정요인에 대한 실증적인 분석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최근까지의 사회·경제적 여건의 변화 현상과 복지국가유형별로 변화형태를 비교하여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사회복지 지출에 대한 세계적인 변화추세를 살펴보고, 복지지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하여 시계열적 data에 의거 실증적 분석의 실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복지국가유형별 9개 OECD국가를 대상으로 사회복지지출과 관련이 있는 1인당 국민총소득(GDP), 사회복지지출, 공공부문 사회보장 및 복지비, 조세부담률 및 사회보장세율 등에 대하여 SPSS통계프로그램의 다중선도표에 의하여 변화흐름을 살펴보았고, 1981∼2001년의 기간동안 우리나라의 사회복지지출, 노령인구 증가, 여성경제활동인구의 증가, 실업률, 조세부담률의 증가, 비정규직의 증가 등에 대하여 살펴보고 분석을 실시하였다. 사회복지지출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분석방법은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수들 간의 선형적 연관관계를 규명하는 상관관계분석에 있어서의 사회복지지출비율과의 연관성을 보면, 노령인구의 증가, 조세부담률의 증가, 비정규직근로자의 증가, 여성경제활동인구의 증가, 1인당 GDP의 증가 등의 순으로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변수들 간의 관계에 대해 수학적 함수모형을 설정하여 수집한 자료로부터 이 모형을 추정하고 추정된 모형을 이용하여 종속변수를 예측하는 데 이용되는 통계적 방법인 다중회귀분석에 있어서는 독립변수의 영향력은 다음과 같다. (1) 노령인구비율(X_(1))은 분석과정에서 다중공선성의 문제로 제거되었으며, (2) 여성경제활동인구비율(X_(2))은 변수선택방법으로 『단계적 선택법』을 이용하여 회귀분석 한 결과, 선택에서 제외되어 사회복지지출결정요인의 영향력에 크게 관여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그러나 1인당GDP(X_(3)), 실업률(X_(4)), 조세부담률(X_(5)), 비정규직비율(X_(6))은 사회복지지출결정요인에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향력이 큰 순서대로 "적합한 모형의 회귀식"에 의거 설명하면, ① 실업률(X_(4) : 베타 0.47)이 2% 상승하면 1.75%의 사회복지지출비율이 상승하는 효과가 있으며, ② 1인당 GDP(X_(3) : 베타 0.43)가 5,000달러의 상승 시에는 1%의 사회복지지출비율이 상승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③ 전체 근로자 중 비정규직근로자의 비율(X_(6) : 베타 0.36)은 10%상승 시 1.1%의 사회복지지출비율이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④ 조세부담률(X_(5) : 베타 0.3)은 10% 상승 시 5%의 사회복지지출 비율이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이 종속변수(Y)인 사회복지지출비율의 결정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X)는 실업률(X_(4)), 1인당GDP(X_(3)), 비정규직비율(X_(6)), 조세부담률(X_(5))의 순으로 검증되었으며, 인구의 증가 등 사회적인 요인보다는 실업 등 경제적 요인이 사회복지지출결정에 긍정적인 영향력이 있는 것을 검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이론적 함의를 지닌다. 첫째, 사회복지지출비율의 결정요인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실업률 및 경제성장(1인당 GDP 증가)은 그 동안 연구결과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지지되었으며, 둘째, 비정규직근로자의 증가(과거 최저 20%수준에서 현재 50% 수준으로 증가)의 구조화현상은 새로운 사회복지지출결정요인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셋째, 국민의 조세부담의 증가는 사회복지지출결정에 영향을 미쳐 사회복지재원의 확보에 용이하며, 복지선진국의 사회보장세율과의 비교를 통해서도 복지지출비용 확보의 연구대상이 될 필요성이 있다. 한편, 복지국가 실현을 표방하는 정부의 복지정책 속에서 다음과 같은 정책적 함의를 지닐 수 있다. 오늘날은 사회·경제적 성장과 발전이 수반되면 복지를 강조하는 것이 세계적인 추세이며 우리나라도 국민의 정부에 이어 참여정부에서도 복지정책을 표방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결과는 사회복지정책의 실천기조의 한 자료로서 정책적 의의가 있음을 시사한다. 즉, 실업률의 변동, 경제성장율(1인당 GDP), 비정규직근로자의 변화추이, 조세부담액의 변화 등은 사회복지지출결정과의 영향력이 있음을 인식하고 사회복지재정 확충에도 반영할 수 있는 유용한 방향성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While South Korea was undergoing the social transformation of economic growth, population increase, and the issue of unemployment, it has also generated the increased number of people who may require certain assistance to adjust to such changes. Corresponding to these changes, South Korean government began to pay more attention to social welfare since mid 1990's. Little attention was paid to social welfare up until that time, and the national finance was spent lopsided toward economic development, under a so-called "development finance," which was far from a budget structure that bears in mind social welfare including redistribution of income. Since South Korea joined OECD, however, the Government of People (DJ administration) and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Roh administration) have exhibited the progress of augmenting its expenditure on welfare with increased awareness toward the issue. In the midst of all this attention, certain scholars have performed studies on welfare expenditure since 1990's, but the positive analysis on determinants of welfare expenditure concerning overall social and economic transformation has been yet shown inadequate. In this respect, this study examines the global trend as well as South Korea on welfare expenditure with a close look at the past and the most recent social and economic transformation and the comparison based on certain types of welfare state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lso include the positive analysis on the determinants that affect welfare expenditure using time series data. To accomplish the objectives, this study has utilized a multiple-line graph of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to examine the trend of change targeting nine OECD countries that represent different types of welfare states; the factors examined here are GDP per head, social welfare expenditure, social security and public welfare expenditure on public sector, and ratio amount of taxes and social security tax rate. An analysis was performed on social welfare expenditure that South Korea has spent between 1981 and 2001; the study also examined of the same period the increase of the older population, the increase of economically active women population, the unemployment rate, ratio amount of taxes, and the increase of non-regular employment. The analytic methods used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social welfare expenditure ar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ollowing shows the results of the analyses. First of all, if you look at the Correlation Analysis that defines linear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in connection with social welfare expenditure rate, the increase of older population shows the highest correlation followed by the increase in ratio amount of taxes, non-regular workers, economically active women population, and GDP per head, in the order in which they are written. Second of al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hich is used to predict a dependent variable using an assumed model formulated by the data collected from mathematical function model about the relations among variables, offers the following analysis on the impacts of independent variables. (1) Ratio of older population (X_(1)) was eliminated due to the problem of multi-collinearity in the process of analysis; (2) Ratio of economically active women population (X_(2)) was eliminated under regression analysis using stepwise method, which in consequence shows little effect on the determinants of social welfare expenditure; (3) However, GDP per head (X_(3)), unemployment rate (X_(4)), ratio amount of taxes (X_(5)), and the rate of non-regular employment (X_(6)) showed to have an effect on the determinants on social welfare expenditure. Let's go over one by one according to "regression equation of proper model," starting with the one that has the most impact: ① The 2% increase of unemployment rate (X4: beta 0.47) brings up social welfare expenditure by 1.75%; ② The increase of $5,000 of GDP per head (X3: beta 0.43) has an effect of raising 1% on the expenditure; ③ 10% growth of the rate of non-regular workers (X6: beta 0.36) out of the total workers raises the expenditure by 1.1%; ④ 10% increase of ratio amount of taxes (X5: beta 0.3) raises the expenditure by 5%. As shown above, independent variableso(X) that are the determinants to have the most impact on social welfare expenditure, by its order, are unemployment rate(X4), GDP per head(X3), the ratio of non-regular workers(X6), and ratio amount of taxes(X5). In conclusion, the study shows that the economic factors rather than social factors have positive effect on increasing the social welfare expenditure. Based on the analyses above, this study entails the following theoretical significance. First, unemployment rate and economic growth (GDP per head1proven to be the determinants of social welfare expenditure ratio were selectively supported based on the previous analyses. Second, the increase of non-regular workers (increase to 50% from the lowest rate of 20% in the past) has surfaced as a new determinant of social welfare expenditure. Third, the increase of ratio amount of taxes eases acquisition of social welfare resources, and it also deserves a thorough study in comparison with social security rate of the other welfare states in order to acquire appropriate welfare expenditure.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may embody certain political significance in the midst of welfare policies that government advocates to attain the status as a welfare state. Today the global trend is such that much of the emphasis is placed on public welfare after economy gets on the track, and accordingly, both the Government of People and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of South Korea have also claimed to stand for welfare policies. As one of the materials for practical keynotes concerning social welfare policies, this study likewise suggests significance in terms of welfare policies. With the proper recognition of their relation to welfare expenditure, fluctuation of unemployment rate, the GDP growth per head, the trend of change in non-regular employment, and the change of ratio amount of taxes will surely provide useful direction to expand the social welfare budget.
한국교회의 사회복지 접근에 관한 연구 : 교회의 질적 성장을 위해
박현택 대전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1999 국내석사
사회복지관 모든 국민들의 인간다운 생활을 보장키 위하여 사회복지생활의 곤란과 문제를 개인적, 집단적, 지역사회수준에서 예방하고, 보호하며, 치료하고, 회복하기위한 민간적, 공적 개입의 프로그램 서비스 제도 등의 총체적인 체계라 정의하고, 또한 이러한 체계를 전문적인 방법으로 실천하는 총체적 행위가 전문사회사업이라 할 때 결국 사회복지는 인간을 창조이념에 의해 지은 인간에로의 인간성 회복이라는 큰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는 곧 교회가 인간과의 관계에서 강조하는 하나님의 형상회복이란 교회론적 입장과 동일시 될 수 있는 점을 주시할 수 있다. 특히 사회복지가 교회조직의 근본이념이 성서적 바탕에서 시작된다는 점에서 교회와 사회복지는 상호 불가분의 관계속에 있다고 보는 것이다. 그래서 본 연구는 교회의 질적 성장을 위해 성서와 예수 그리스도의 사상 그리고 하나님의 선교 입장을 중심으로 "한국기독교의 사회복지 접근에 관한 연구"에 목적을 두고 있으므로 복지사업의 성서적 신학적 기초를 논하려 한다. 먼저 복지사업의 성서적 근거를 정리하고, 목회와 복지사업을 성서를 중심으로 율법에 나타난 사회복지사상과 예수 그리스도에게 나타난 복지사상을 정리하고 기독교의 복지사업의 실천의 당위성을 이해하려 고 한다. 복지사업을 위한 교회사적 고찰과 제반견해들 교회사적으로 정리하고자 한다. 이제까지 한국 교회가 사회복지에 어떻게 접근하였는지 현실을 분석하고 사회복지적인 측면에서 한국교회의 문제점을 파악하려고 한다. 하나님의 바른 교회로서 새롭게 갱신디기 위해 한국교회 사회복지의 과제를 제시한다
가톨릭교회의 사회복지활동 실태와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대전 시내 본당을 중심으로 한 사례연구
박재홍 대전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1999 국내석사
가톨릭 교회가 복지활동을 시작한 것은 가톨릭 교회가 우리 나라에 들어온 초기에서부터 시작되었다. 그간 일제하, 6.25사변, 근대화의 격동기를 거치면서 가톨릭 교회는 어려운 환경에 처해있는 사람들을 위하여 꾸준하게 봉사활동을 하여온 것은 가톨릭 교회가 본성적으로 지녀온 믿음의 본질에서 연유된 것으로 일반사회에서 하고 있는 박애주의적이고 인도적인 관점을 포함하면서도 그러한 차원을 넘어서 신앙적 차원이 그 기저를 이루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 가운데 각 지역 공동체인 본당의 사회복지 활동은 본당내의 인적, 물적 자원을 동원해 교구나 수도회에서 운영하고 있는 시설들을 지원하거나 본당내의 불우 이웃에게 잠정적인 경제적 지원을 해주는 것이 그 활동의 전부였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교회는 점차 본당내에 있는 엄청난 자원과 잠재성이 사회적 책임과 요구를 수행하는데 사용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깨닫고 미약하지만 자체적인 노력을 시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본당내에 잠재한 환경조건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 지역사회 복지활동을 좀더 효과적으로 운영하여 지역사회 발전에 이바지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외 문헌을 포괄적으로 개관하여 가톨릭 본당의 사회복지 활동정신, 본당의 기능, 본당의 사회복지활동의 내용을 살펴보았고 현재 대전시내 34개의 본당에서 가톨릭 사회복지 활동의 실천정신에 따라 현재 활동하고 있는 본당사회복지 회장을 대상으로 배부한 설문지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본당사회복지회의 조정기능, 교육기능, 지원기능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정 기능면에서 살펴보면 - 각 본당의 활동대상자의 발견과 그에 대한 지원활동은 본당 사회복지회원만이 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연계되지 않은 수많은 단체의 사회복지활동은 중복, 누락, 방치차원에 대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시대적인 변천에 따라 대상자의 욕구는 복합적이지만 본당과 수혜자간에는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지원이 이루어짐으로써 여러 가지 문제를 안고 있는데 이러한 문제의 해결 방안으로는 풍부한 본당내 인적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사회복지 대상자를 중심으로 행정기관, 지역내 사회복지 시설, 기관단체, 지역주민 대상자의 가족, 자원봉사자, 지역사회복지관, 교구사회 복지회등과 연계하여 활동하여야 한다. 교육 기능면에서 살펴보면-본당사회복지활동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인적자원의 양적인 중가만으로는 충분하지 않고 자원을 얼마나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사회복지활동을 전개할 것인가는 인적자원의 능력개발에 달려있는데 그 중심역할을 하는 사회복지회장단은 대부분 사회복지와 무관한 직업을 가지고 있고 사회복지교육에 할애할 시간적인 여유도 한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본당사회복지회장단의 교육을 교구사회복지회의 연간 3회정도의 영성 및 실무교육으로 완전히 실행되었다고 할 수 없으며 지속적이고 쳬계적인 교재의 개발이 시급하며 이들의 교육을 교구사회복지회의 정기적인 교육에서 탈피하여 사회복지회장단의 정기모임에서 사회복지 전문가를 파견하여 각 본당의 사례토의시 전문가를 참여하여 해결책을 함께 모색하고 사회복지 전문가와의 상담등의 활동을 계속해서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지원 기능면에서 살펴보면 - 80%이상의 본당에서 수혜자에 대한 재정지원 및 노력봉사활동이 중점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수혜자에 대한 지원금 책정방법과 1가구당 지원금액은 각 본당별로 다양하며 본당사회복지 활동에 있어서 장애 요소로 지적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본당구역내 지역조사를 실시하여 다양한 문제점을 평가하고 전문가의 자문과 주민들의 반응을 통하여 복지적 욕구 및 문제점을 확인한 후 확인된 주민들의 복지적 욕구 및 문제에 따라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자원과 능력의 한계를 검토한다. 구체적인 장, 단기적 목표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평가기준을 설정하여야 하는데 평가기준은 사업의 성패를 예측하고 예측되는 장애요인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여 평가기준을 설정한다. 본당사회복지활동이 지역사회내 수혜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본래의 기능을 갖기 위해서는 지역적 특성을 기초로한 활동프로그램, 국가정책제도의 보충적, 보조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한데 이러한 프로그램은 교구사회 복지회에서 개발하여야 할 과제이다 교회의 모든 활동은 본당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당에는 사회복지사업에 필요한 인적, 물적자원이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자원을 원활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공동체 연대감 조성, 조직력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및 교재의 개발, 교구사회복지회의 각 본당에 대한 획일화된 활동지침, 안정적인 재정확보를 위한 사목적 배려가 있을시에 가능하게 된다고 사료된다. 교회의 사회복지가 이웃사랑의 실천이라면 일부 사회복지회원만의 노력으로는 본당의 사회복지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본당의 사회복지는 전신자의 긍정적인 관심과 협조, 참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앞으로 각본당의 사회복지회원을 조직화, 전문화시킨다면 이들은 준 사업가의 역할수행도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이러한 준 사회사업가의 수가 계속 증가하여 활동한다면 더욱 인간답고 더불어 함께 사는 지역사회의 건설을 앞당길 수 있다고 사료된다.
지역사회복지 증진을 위한 주민자치센터 역할강화방안 : 부산광역시 주민자치센터를 중심으로
노윤석 부산대학교 행정대학원 2003 국내석사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the welfare of the community through strenghtening the role of community autonomy centers.(CAC) The nation-wide network of Dong offices, except for town and Myon offices, generally administer residents' autonomy center. Resident autonomy centers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community but their administrative and operating procedures have problems in terms of standardization and duplication of programs. There are also limitations on the number of users and difficulties securing operating expenses. There is a perception by the general public that the potential of community centers has not been fully realized. However, given that the performance of residents autonomy centers is meaningful to the promotion of community welfare when their purpose, functionality and value are considerd, activation methods for promoting community through the use of community center should be positively considered. Methods for promoting welfare through the efficient use of residents autonomy centers are as fellows. Firstly, residents autonomy centers and community welfare centers should be set up to strengthen co-operative relations with government institutions and private institutions in its initial phase. Government-initiated residents autonomy centers need to operate in an administratively logical manner. Therefore, the government's continuous attention and institutional methods for supporting should be implemented to help CAC operate more efficiently and effectively. Secondly, institutional methods should be implemented for professional social welfare workers to directly participate in carefully selected and the community welfare actively. Special education and the trained professional social welfare workers should be utilized to optimize the use of CAC and thus improve community welfare. Thirdly, CAC should include a residents campaign organization for improving community welfare. The campaign organization should make residents pay more attention toward community affairs and co-operate closely by utilizing each CAC for its pro-functionality. The campaign organization should also be a place for educating volunteers and providing opportunities for volunteers to participate in the operator of the CAC Fourthly, the residents autonomy center should function as a resource for identifying community protection target community residents are ideally placed to identify who need protection and support. The CAC should also play a role in minimizing the number of illegal beneficiaries and in identifying persons who need financial, security and health support. Fifthly, the CAC should provide a function to educates residents'. The CAC couldn't exist without residents participation, therefore, the CAC should help residents participate in community affairs and provide access to community educator programs. Sixthly, the CAC should provide a function that integrate the community. The CAC should be a place where the disabled, the healthy, the poor and the rich can lead a life together impartially. Finally, the CAC should open the door for volunteers' participation, hold various events and lead a residents' campaign for improving community welfare.
의료전문직의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 인식에 관한 연구 : P 의료원을 중심으로
정옥란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2008 국내석사
사회복지사는 사회복지에 관한 전문지식과 기술을 가진 자로 그 규모는 양적인 측면에서 엄청난 증가를 보이고 있다. 이에 의료시설 내에서 의료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협력을 하는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 더욱 고조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관심과 함께 직업 내적으로도 자선사업가 혹은 자원봉사자의 이미지로부터 탈피하여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원조전문가의 이미지를 실제로 구축하기 위해서 1997년 8월 22일 국가시험에 합격한 자에게 사회복지사 1급 자격을 부여하는 자격증 시험 방법과 함께 변화와 발전을 위한 노력을 다각적으로 모색해 오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우리 사회에서는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해 과거 이해 및 지향이 존재하는 동시에 일부에서는 기대되는 바람직한 인식을 갖고 있는 등 다양하고도 복합적인 이미지들이 공존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종합병원의 의료전문직과 의료사회복지사들이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을 어떻게 인식하고, 기관장의 지원 정도에 따라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 사회사업실과의 협력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또한 의료사회사업을 어느 정도 알고 있는지 살펴보고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어떤 역할기대를 가지고 있는지 검토해봄으로써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의료사회사업을 수행하기 위한 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과 기능을 실천적 차원에서 제시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P 의료원에 근무하는 의료사회복지사와 의료전문직들의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 정도를 비교 하고, 분석하는데 있다. 제1장에서 제기된 문제를 바탕으로 하여, 제2장의 이론적 배경에서는 의료사회사업의 개념, 의료사회사업의 발달, 의료사회사업의 기능, 의료사회사업의 역할, 의료사회사업의 직무, 의료사회사업의 활동근거 등 이론적 연구를 시도하였고, 제 3 장 조사 설계 및 연구의 분석틀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 대상은 의료사회복지사가 근무하는 P 의료원을 대상으로 하여 서울 지역 2개 병원, 경기 지역 1개 병원에 근무하는 의료전문직과 의료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의료전문직은 의사, 간호사, 의료기술직, 행정직 등 균등하게 병원별, 직종별로 각 30부씩 배부 하였으나 서울의 경우 각 부서의 인원 현황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다. 연구조사 대상자는 총 348명으로 조사대상자의 가장 큰 전문직은 행정직과 간호직이 각각 27.9%(97명), 27.3%(95명)을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의료기술직 21.3%(74명), 의사직 16.1%(56명), 의료사회복지사 7.5%(26명) 순으로 나타났다. 병원별로는 일산병원 34.5%(120명), 상계병원 32.2%(112명), 서울병원 29.3%(102명) 순으로 나타났으며, 의료사회복지사는 P의료원에서는 전수조사를 하였으며, 조사 대상이 적은 관계로 서울, 경기 7개 병원에 협조를 의뢰하여 14부를 회수 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각 문항에 대해 점수처리한 후 SAS WIN 8.2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분석 방법은 첫째, 의료전문직의 인구학적 특성과 설문 대상 전체의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 백분율, 평균 등의 기술적 통계기법을 사용한다. 둘째, 가설검증으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인과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단순회귀분석과 t-검증 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체 조사대상자의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 정도의 점수는 총 5점 만점에 평균 3.63점으로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은 심리, 사회, 정신적 문제의 조사 및 평가하는 일, 지역사회 자원 연결을 제공하는 일, 사회복귀 및 재활 문제에 대해 상담지도 하는 일, 팀 접근 문제해결, 병원의 행정 및 경영의 회의참석, 자선진료 및 무료진료를 계획 실시하는 일,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조사대상자를 의료전문직과 의료사회복지사로 구분하여 두 집단의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 인식의 차이를 비교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각의 문항에서는 심리·사회·정신적 문제의 조사 및 평가(1번 문항), 지역사회 자원 연결을 제공하는 일(3번 문항), 사회복귀 및 재활 문제에 대해 상담지도 하는 일(4번 문항), 팀 접근 문제해결(회진참여 및 타부서와 Conference)(5번 문항), 병원의 행정 및 경영의 회의참석(6번 문항), 자선진료 및 무료진료를 계획 실시하는 일(10번 문항)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의료사회복지사들이 의료전문직에 비해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이 높게 나타났으나 자선진료 및 무료진료를 계획 실시하는 일(10번 문항)은 의료전문직이 의료사회복지사보다 높게 나타나 역할인식의 차이를 보였다. 3) 의료사회복지사 집단에서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 수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 연령, 근무기간에 따른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 수준의 차이는 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조사대상자의 성별, 연령, 근무기간에 상관없이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 수준은 유사한 분포를 보였다. 4) 의료전문직과 의료사회복지사 집단에서 사회사업실의 인력, 재정 지원 정도에 따른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 수준 조사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즉, 의료전문직과 의료사회복지사는 사회사업실 인력, 재정 지원에 상관없이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 수준은 유사한 분포를 보였다. 반면 의료전문직의 경우 사회사업실의 시설지원 정도에 따른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 수준을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P<0.0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의료전문직은 “ 사회사업실 시설지원 충분정도에 대하여 그렇다”라고 응답한 집단이 “그렇지않다”라고 응답한 집단대비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의료전문직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 수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 연령, 근무기간에 따른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조사대상자의 성별, 연령, 근무기간에 상관없이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 수준은 유사한 분포를 보였다. 6) 의료전문직이 사회사업실과 협력만족도가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 수준을 단순회귀분석 수행결과, 의료전문직의 업무협력 만족도는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 수준에 대해여 P<0.001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사업실과 업무협력 만족도가 높을수록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 수준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사업실과 업무협력 만족도는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 수준에 대하여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그 밖에 사회사업실의 업무인식, 필요성, 활성화, 병원 경영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서 의료전문직과 의료사회복지사 간에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0.001). 선행 연구의 결과 보다 평균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근거로 의료사회복지사와 의료전문직간의 역할인식 차이를 확인 하였으며, 다만 가설에서 설정한 개인적 특성(연령, 성별, 근속기간 등)과 기관장의 지원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설정은 수준의 차이는 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P 의료원의 경우 뿐 아니라 모든 종합병원이 의료기관평가, 병원신임평가, 장기이식, 후원금 모금 등 다양한 형태의 제도나 프로그램으로 병원 내·외 의료사회복지사의 활동이 과거보다 활발해 졌으며, 지속적인 홍보를 하고 있다. 또한 신규 직원 및 재직 교직원을 상대로 의료사회사업의 의의와 필요성 등에 대한 교육과 대중매체를 통한 의료사회사업의 소개와 활동으로 인하여 교직원의 인식수준이 높아졌으며, 병원 내 각종 지지모임과 자원봉사 인력 활용, 공익사업 프로그램 개발 등으로 개인적 특성에 따른 유의미한 결과가 나오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아울러 선행연구 결과와 비교해 볼 때 사회사업실의 필요성도 4.27점으로 높은 점수가 나왔으며, 병원 경영에 도움이 되는 것 3.27점으로 인식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의료사회복지사들의 끊임없는 노력에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이 전체적으로 좋아졌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기관장의 지원정도를 나타내는 인력, 재정, 시설에 관한 문항에서는 인력 지원 2.63점, 재정 지원 2.75점, 시설 지원 2.71점으로 평균(M=3)보다 낮게 나타나 아직 까지도 의료사회사업이 미시적으로 낭비적인 요소로 보는 견해가 많은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제는 의료사회사업의 역할에 대한 의료전문직의 인식은 양적(경제적 관점, 지역사회 연계)으로 많이 향상 되었다고 생각되지만 질적인 측면에서는 타 학문 전공자들과 호흡을 맞출 수 있는 업무관계의 발전과 더불어 동시에 전문적 정체성과 기능에 대한 명확한 개념을 유지함으로써 의료사회복지사의 전문성인정의 향상을 위해 많은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과정은 의료 셋팅에서의 의료사회사업의 보다 발전적인 모습을 정립하는데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며, 궁극적으로 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인식 수준도 높아지게 될 것이다. Social worker is a person who has expertise and practical skills in social welfare. In Korea, there are remarkably increasing number of social workers in the aspect of quantity. Accordingly, there are more social attentions to medical social workers who cooperate with professional medical staffs to meet desired medical goals in medical facilities. Apart from these social interests, in order to actually build images of medical assistance professional having expertise and practical skills beyond conventional images of charity worker or volunteer in the aspect of occupation, there have been multilateral efforts for change and development involving national qualification test for Social Worker Class 1(established on Aug. 22, 1997). However, it is in reality that there are various and complicated images on medical social workers in our society. For instance, some still have out-of-date understanding and orientation on medical social workers, while some have expected and favorable awareness on them. In this context, this study seeks to address how professional medical staffs and medical social workers working in general hospital recognize the roles of medical social workers,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their awareness depending on extent of support from institutional director and depending on availability of cooperation with nosocomial social work division, and how much they know about medical social works. And this study examines possible role expectations for medical social workers, so that it takes practical perspectives to suggest both roles and functions of medical social workers to carry out medical social works more effectively and efficien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awareness on roles of medical social workers, which is found from a survey on medical social workers and professional medical staffs working at P Medical Center. Based on questions posed for discussion in Chapter 1, Chapter 2 dealt with theoretical backgrounds. That is, this chapter tried a theoretical examination in concept, historical evolution, functions, roles, duties and activity basis of medical social work. Then, Chapter 3 suggested an analytic framework for survey design and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outlined as follows: 1) It was found that total respondents scored relatively high points on the average(mean score = 3.63 out of full 5) in their awareness on the roles of medical social workers. Here, it is no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wareness on roles of medical social workers such as survey and measurement on psychologic, social and metal problems; making connections with local community resources; counseling on the issues of social return and rehabilitation; resolution of team accessibility issues; participation in hospital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sessions; and scheduling and implementing charity and complimentary medical treatments. 2) This study divided all respondents broadly into two groups, i.e. professional medical staffs and medical social workers to compare differences in their awareness on the roles of medical social workers.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wareness between two groups on the whole.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respective question items such as survey and measurement on psychologic, social and mental issues(Q1), making connections with local community resources(Q3), counseling and guidance on social return and rehabilitation issues(Q4), resolution of team accessibility issues(participation in round of visits, conference with other divisions)(Q 5), participation in hospital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sessions(Q6) and scheduled execution of charity and complimentary medical treatment (Q10). Overall, it was found that medical social workers had relatively higher awareness on the roles of medical social worker than professional medical staffs, but the latter group had higher awareness on scheduled execution of charity and complimentary medical treatment(Q10) than the former group, which reveals differences in the role awareness between two groups. 3) According to analysis on differences in the extent of awareness on the roles of medical social workers 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medical social worker group,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extent of awareness on the roles of medical social worker depending on sex, age and working years, but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on statistical level. That is, there were similar statistical distributions in the extent of awareness on the roles of medical social worker, regardless of respondents' sex, age and working years. 4) According to survey results on the extent of awareness on the roles of medical social worker depending on the manpower and financial supports of social work division, there was not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wareness between professional medical staff group and medical social worker group. That is, there were similar statistical distributions between two groups in the extent of awareness on the roles of medical social worker, regardless of the manpower or financial supports of social work division.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survey on the extent of awareness on the roles of medical social worker depending upon facility support of social work division,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fessional medical staff group at p<0.05. That is, in a question item on the sufficiency of facility support available from social work division, “Yes" group of professional medical staffs showed higher awareness on the roles of medical social worker than “No" group of said staffs. 5) According to analysis on differences in the extent of awareness on the roles of medical social worker 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rofessional medical staff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tent of awareness depending on sex, age and working years. That is, there were similar statistical distributions in the extent of awareness on the roles of medical social worker between two groups, regardless of respondents' sex, age and working years. 6) According to simple regression analysis on the extent of awareness on the roles of medical social worker depending on professional medical staffs' satisfaction at cooperation with social work division, it was found that their satisfaction at cooperation with social work divis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extent of awareness on the roles of medical social worker at p<0.001. That is, it is found that the higher satisfaction with cooperation with social work division leads to the higher awareness on the roles of medical social worker. Thus, it is concluded that satisfaction at cooperation with social work division has positive effects on the extent of awareness on the roles of medical social worker. 7)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ofessional medical staffs and medical social workers in task understanding, necessity and promotion of social work division as well as its effects on hospital management(p<0.001). And mean scores reached higher points than results of preceding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