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호천수계 수질오염특성과 유기오염지표의 상관관계분석

        김남종 충북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35343

        본 연구는 미호천 본류와 지류의 시⋅공간적 유기물 오염특성과 그 원인을 파악하고, 다양한 유기물 오염지표간 상관분석을 통해 하천수질관리 기준으로써 TOC의 대표성과 활용성을 검증하는데 있다. 미호천 본류 7개 지점과 지류 10개 지점을 선정하고, 9년간의 데이터를 R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기술통계에 따르면 CODMn의 평균은 BOD5의 평균보다 2배 이상 높았고, EC의 분포를 보았을 때 하류로 갈수록 오염도가 심해졌다. 본류와 지류의 비교결과 본류의 오염도가 높았다. 공간적 변화특성을 확인해본 결과 MH4와 MH5사이에 유입되는 MS, SN, BC가 하류의 수질변화에 영향을 주었다. 시계열분석 결과 CODMn과 TOC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 하천의 유기물 증가는 난분해성 유기물이 원인인 것으로 보인다. 미호천 유기물 오염지표인 BOD5와 CODMn의 분석값이 수체의 유기물을 얼마나 반영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BOD-C 및 COD-C와 TOC의 비율을 산출한 결과 BOD-C/TOC는 약 20 %, COD-C/TOC는 약 48 %로 타수계의 선행연구에 비해 낮은 값을 보인다. 미호천의 BOD5, CODMn은 유기물 총량을 과소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수체의 유기물을 정량하는데 TOC를 사용하는 것이 타당해 보인다. 미호천의 BOD5와 TP가 목표수질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MS, SN, BC을 집중관리해야 한다. 미호천의 유기물의 총량을 해석하는데 TOC를 사용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patiotemporal organic matter pollution characteristics and its causes in the main stream and tributaries of Miho Stream, and verify the representativeness of total organic carbon(TOC) as a river water quality management standar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various organic matter pollution indicators. Seven points of Miho Stream and ten points of tributaries into Miho Stream were selected,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R program for 9 years of data. According to descriptive statistics, the average of chemical oxygen demand(CODMn) was more than twice the average of biochemical oxygen demand(BOD5), and when looking at the distribution of electric conductivity(EC), the pollution degree became more severe as it went downstream. As a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the main stream and the tributaries, the pollution degree of the main stream was higher. As a result of the time series analysis, CODMn and TOC tend to increase, and it seems that the increase of organic matter in the river is caused by non-degradable organic matter. As a result of checking the spatial change characteristics, Musimcheon(MS), Seoknamcheon(SN), and Byeongcheoncheon(BC) flowing between MH4(point in Miho Stream) and MH5(point in Miho Stream) influenced the change in water quality downstream.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ratio of BOD-C, COD-C and TOC to find out how much the analysis values ​​of BOD5 and CODMn, which are organic matter pollution indicators in Miho Stream, reflect the organic matter in the water body, BOD-C/TOC is about 20%, COD-C/TOC is about 48%, showing a lower value than previous studies of other water systems. BOD5 and CODMn in Miho Stream appear to underestimate the total amount of organic matter, so it seems reasonable to use TOC to quantify organic matter in water bodies. In order for Miho Stream's BOD5 and TP to meet the target water quality, MS, SN, and BC must be managed intensively. TOC is found to be a suitable water quality indicator to represent the organic matter pollution in Miho Stream.

      • 곡교천 수계의 수질오염 현황에 관한 연구

        이상은 호서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5343

        Although our country have achieved rapid growth through the change and expansion of industry architecture since 1960s, the demand of water has increased abruptly while the number and loading of pollution sources discharged have increased. The necessity of new system introduction to improve drastically the quality of water has been proposed because just the existing post-disaster based density regulation had its limit in controlling the increase of pollution loading according to local development as the serious environment problems were confronted by rapid industrialization as the economy grew up. This study made check of the water pollution status and pollution source at some points around Asan local rivers such as 3rd point of main flow of Gokkyo River, 4th Point of a branch stream of Anyang River and 1st point of branch stream of Sapkyo Lake, analyzed the loading of pollution materials through calculation of loading of pollution and expectation for future, made study of how to decrease the future loading of pollution materials, and studied the loading of pollution in Asan City by computing the measured quantity of load including decrease plan based on environment basis facility. The water quality test for each rivers showed the average BOD_(5) for Eumbong River was the best as 2.55mg/ℓ, T-N 1.05mg/ℓ, T-P 0.43mg/ℓ, which means the second class quality and the water class of the rest rivers except the main branch of Gokgyo and Onyang River mostly belonged to 4th ~ 6th class. The test by flow speed-size method showed that the main branch of Gokgyo had increasingly high values influenced by branch streams but there was decrease of water flux in the downstream of Gokgyo River due to installation of water storage appratus and agricultural use. The loading of aquaculture system and reclamation system was proved to be not so high whereas in case of T-N, life system showed the highest loading as 54.4%, 7,853kg/d and in case of the loading of T-P, livestock farming system showed the highest loading as 49.1%, 1,213kg/d. The loading of BOD_(5) for Asan City was estimated to be increasing 0.21% until year 2015 and loading for T-N will be decreased total of 0.05% whereas it will be 1.16% increase for Baebang Myun, 0.25% decrease for whole Asan City and 2.03% increase for Baebang Myun. For decrease of loading, Asan City planned installation of new wastewater treatment area, enlargement of existing wastewater treatment areas, new installation of 12 sewers, enlargement of existing a sewer and maintenance project of primary sewers and estimated the annual decreases. Its result estimated that on basis of year 2015, for loading of BOD_(5), it would be reduced from 76,670kg/d to 67,153kg/d while for loading of T-N, from 16,714kg/d to 14,449kg/d, and for T-N, from 2,962kg/d to 2,424kg/d. The plan of new facilities to decrease it seems to be necessary because as the region develops, with the increase of population, the pollution loading is getting high, water pollution gets serious, and loading of pollution is estimated to be increasing. 우리나라는 1960년대 이후 산업구조의 변화와 팽창을 통해 급속한 경제 성장을 이루어 왔지만 인구증가와 무분별한 개발로 인하여 물의 수요가 급속히 증가하였을 뿐만 아니라, 오염원 및 환경에 배출되는 오염부하의 양이 증가되어 왔으며, 1970년대 경제개발정책으로 급격한 산업화에 인하여 경제성장과 더불어 심각한 환경문제가 직면하게 되자 기존의 사후처리 위주의 농도규제만으로는 지역개발에 따른 오염부하량의 증가를 억제하는데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어 획기적 수질개선을 위한 새로운 제도 도입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아산시지역 하천의 곡교천 본류 3지점과 곡교천으로 유입되는 지류 4지점, 안양천 지류 1지점, 삽교호 지류 1지점에서 수질오염현황을 조사하였고, 오염원조사를 실시하여 오염부하량 산정과 장래예측을 통해 아산시의 오염물질부하에 대해 분석하고, 장래오염물질 부하를 줄이기 위한 방법을 연구하여 환경기초시설 등을 계획하여 삭감계획을 포함한 대책부하량 산정하여 아산시의 오염부하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하천별 수질측정 결과 음봉천은 평균 BOD_(5)가 2.55mg/ℓ, T-N 1.05mg/ℓ, T-P 0.43mg/ℓ로 Ⅱ등급으로 측정되어 가장 수질이 좋았으나 곡교천 본류와 온양천을 제외한 나머지 하천들의 수질등급은 나쁜 부분에 속하는 Ⅳ~Ⅵ등급으로 나타났고, 유속-면적법으로 유량을 측정한 결과, 곡교천 본류는 지천들의 영향을 받아 점점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나, 곡교천 하류지점은 저류조 설치와 농업용수로서의 사용으로 인한 유량 감소가 나타났다. 아산시는 도시개발에 의해 타 시군에 비해 높은 인구 증가율을 보여 6개의 오염원 그룹별로 분류하여 오염부하량을 산정한 결과, BOD_(5)의 발생부하는 생활계가 40.0%인 39,775kg/d로 가장 큰 부하량을 차지하였다. 산업계는 전체의 33.92%를 차지하고, 토지계, 양식계, 매립계의 부하량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T-N.의 경우 생활계가 54.4%인 7,853kg/d로 가장 큰 부하량을 차지하였고, T-P의 부하량은 축산계가 49.1%인 1,213kg/d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2015년까지 아산시의 부하량 예측 결과 BOD_(5) 발생부하는 0.21% 증가하는 것으로 산정되었고, T-N의 발생부하는 총 0.05% 감소되나 배방면의 경우 1.16% 증가하며, T-P의 발생부하도 아산시 전체는 0.25%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배방면은 2.03%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로부터 부하량 삭감을 위해 아산시에 하수종말처리장 1개소 신설 및 기존 하수종말처리장 증설, 마을하수도 12개소 신설 및 1개소 증설과 하수관거 정비사업을 계획하여 연차적으로 삭감량을 산정한 결과, 2015년 기준으로 발생부하 BOD_(5)의 경우 총 76,670kg/d에서 67,153kg/d로 삭감되었으며, T-N은 16,714kg/d에서 14,449kg/d로 삭감되었으며, T-P는 2,962kg/d에서 2,424kg/d로 삭감을 제시할 수 있었다. 지역이 발전됨에 따라 인구증가와 함께 오염물질 부하량도 높아짐에 따라 수질오염은 심각해지기 때문에 오염물질 부하는 계속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므로 삭감시설의 계획이 필요할 것이다.

      • 환경기초시설을 활용한 환경봉사활동 프로그램 개발

        김미정 朝鮮大學校 環境保健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35343

        A result of this study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service activating-program utilizing environmental foundation plant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necessary of environmental education was recognized as being anlaysis for the use of Junior·Senior high school environment and environmental science textbook in domestic. 2) The places were selected as environment foundation plants of the object of environmental service activating-program developing are where, for example, reservoir, a filtration plant, a sewage disposal plant, a might-soil treatment plant, Industrial waste water treatment plant, the ocean pollution zone, incineration plant and a center of recycling resource etc. And students come and survey after they learn about these plant and the scene of process. 3) They put result of the survey on record with the form made. This program become a active and positive study-activating, as they discuss about a suggestion of feeling of study and observation, a bottleneck of plant, and environmental campaign and a service acting related to a community and then practice.

      • 기후변화를 고려한 저수지 수환경 영향 평가 시스템 개발 및 적용

        윤성완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35343

        The 21st century global climate is expected to experience long term changes in response to anthropogenic greenhouse gas emissions. Discussions on the potential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reservoir water environment have only recently begun and our scientific understanding to date has focused on identifying existing impacts and trends in the historic data. Considering quantity and quality of water resources management, water resource managers need to know the potential effects of changing climatic conditions on a variety of topics such as expected future air temperature, amount of precipitation, stream discharge, sediment and nutrient loading characteristics, lake mixing and water quality response. In this study, a novel modeling framework is developed for evaluating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water resources and reservoir water environments. The developed system consist of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algorithm for down-scaling climate data, SWAT for prospecting changing hydrology and water quality in watershed, and CE-QUAL-W2 for the assessment of reservoir response on thermal structure, mixing, and water quality. The modeling system was applied to Juam Reservoir (Korea) for analyzing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the reservoir water environment. The down-scaled climatic data from General Circulation Model (ECHO-G/MM5), based on the IPCC’s greenhouse-gas emissions scenario A1B, using the ANN module were used as input data for SWAT, and the stream discharge and nutrient loads were simulated for the future prospect. The simulated stream discharge and nutrient loads by SWAT were used as input data of CE-QUAL-W2 for the assessment of reservoir water environment considering climate change.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cipitation, relative humidity, maximum temperature and minimum temperature tends to increase toward the future. The future dam inflow rate was expected to increase as the result of increased precipitation. In addition, sediment and nutrient loading to the reservoir was projected to increase because of increasing precipitation and dam inflow rate. The water residence time of the reservoir showed tendency to decrease with the increase of the inflow rate toward the future. Along with the air temperature increased, the water temperature increased, and the thermal stratification developed earlier and last for longer periods. Toward the future, the occurrence time of blue-green algae was earlier and its concentration also increased. Especially, it is expected to increase the likelihood of damage occurrence by the blue-green algae during low inflow year. For the sustainable use of reservoirs in the future, water resources managers need to be adapted to the changing water environment including the water quantity and quality. The developed modeling framework is expected to provide a useful tool for the reservoir managers to find and implement effective constitutional and technical countermeasures against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 水質汚染總量管理制의 適用을 위한 星州郡 白川流域의 排出負荷量과 水質改善方案에 관한 연구

        최성준 嶺南大學校 2011 국내석사

        RANK : 235343

        본 연구에서는 수질오염총량관리제의 적용을 위한 성주군 백천유역의 배출부하량과 수질개선방안에 관한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성주군 낙동강수계 내 인구는 2009년 39,422명 → 2010년 38,822명이며, 물사용량은 2009년 8,710㎥/일 → 2010년 9,844㎥/일, 산업폐수 발생량은 2009년 5,616㎥/일 → 2010년 6,177㎥/일, 축산사육두수는 2009년 1,031,480두 2010년 1,134,629두, 매립장침출수는 12㎥/일, 양식장은 양식장 면허면적은 1,999㎡으로 분석 및 예측되었으며, 백천유역 내 인구는 2009년 32,795명 → 2010년 31,849명이며, 물사용량은 2009년 7,306㎥/일 → 2010년 8,475㎥/일, 산업폐수 발생량은 2009년 3,058㎥/일 → 2010년 3,363㎥/일, 축산사육두수는 2009년 743,237두 2010년 817,561두, 매립장침출수는 12㎥/일, 양식장은 양식장 면허면적은 1,999㎡으로 분석 및 예측되었다. 위의 결과에서 보듯이 성주군 낙동강수계 유역과 백천유역에 인구를 제외한 나머지 오염원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 성주군 낙동강수계 유역과 백천유역의 환경기초시설 조사결과 총 6개소가 운영중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6개소의 평균방류농도는 BOD 1.6㎎/L ~ 5.9㎎/L, T-N 3.575㎎/L ~ 42.515㎎/L, T-P 0.045㎎/L ~ 3.874㎎/L로 분석되었다. 하천수․모니터링지점 및 말단지점은 총 9개 지점에서 측정을 하였으며, 평균농도는 BOD 1.3㎎/L ~ 2.7㎎/L, T-N 0.870㎎/L ~ 5.346㎎/L, T-P 0.043㎎/L ~ 0.177㎎/L로 분석되었다. 3. 성주군 낙동강수계 유역의 2009년 배출부하량은 BOD 4,852㎏/일, T-N 2,848㎏/일, T-P 279㎏/일로 분석되었으며, 2010년 전망 배출부하량은 BOD 4,881㎏/일, T-N 2,854㎏/일, T-P 281㎏/일로 증가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 중 오염원그룹별 배출부하량을 분석해 보면 토지계(비점오염원)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소유역별 배출부하량을 분석해 보면 낙본F13 유역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었다. 백천유역의 2009년 배출부하량은 BOD 3,673㎏/일, T-N 2,154㎏/일, T-P 213㎏/일로 분석되었으며, 2010년 전망 배출부하량은 BOD 3,732㎏/일, T-N 2,128㎏/일, T-P 216㎏/일로 증가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 중 오염원그룹별 배출부하량을 분석해 보면 토지계(비점오염원)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소유역별로 분석해 보면 낙본F13 유역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백천유역은 성주군 낙동강수계 유역의 배출부하량 중 BOD 약 75%, T-N 약 76%, T-P 약 76%가 해당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4. 백천유역 수질모델은 제1단계 오염총량관리 기본계획․시행계획에서 보정한 모델을 이용하여 보정을 하였으며, 기준유량 20% 범위 내의 측정자료를 이용하여 보․검정에 사용하였다. 수질예측 결과, 2010년 백천유역은 BOD 약 2.0㎎/L, T-N 약 2.19㎎/L, T-P 약 0.15㎎/L로 예측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5. 백천유역의 수질개선 방안으로 삭감계획의 추가 확대가 필요하며, 타․시군에서 추진중인 삭감계획(가축사육제한지역확대지정, 완충저류시설 설치, 하수종말처리시설 하수 재이용)을 백천유역에 적용하여 수질예측을 한 결과, 백천유역은 농도가 BOD 약 2.0㎎/L → 약 1.8㎎/L, T-N 약 2.19㎎/L → 1.96㎎/L, T-P 약 0.15㎎/L → 0.14㎎/L로 당초 예측한 농도보다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성주군 백천유역의 배출부하량과 수질의 영향을 파악․조사를 하여 성주군 백천유역의 수질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백천유역 뿐만 아니라 타 시․군의 하천지류도 낙동강수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제기했다는 데 의의를 두고있다. 본 연구의 한계는 평균적인 삭감계획량만을 제시하여 분석하였으므로, 향후 지역적 특성에 맞는 세부적인 삭감계획량 적용과 많은 연구가 수행될 경우 더욱 미시적인 접근이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conducted a research on emission pollution load and water quality improvement measures by applying water pollution load management plan in Baekchon drainage area, Seongju-gun. The next ar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1. The population in Nakdong river hydrospheres decreased from 39,422 in 2009 to 38,822 in 2010, water usage increased from 8,710㎥ per day in 2009 to 9,844㎥ per day in 2010, its industrial waste water increased from 5,616㎥ per day in 2009 to 6,177㎥ per day in 2010, and the number of livestock raised there increased from 1,031,480 in 2009 to 1,134,629 in 2010. Landfill leachat was estimated to be 12㎥ per day and the area of licensed fish farm was a total of 1,999㎡ in 2010. The population in Baekchon drainage area decreased from 32,795 in 2009 to 31,849 in 2010, its usage of water increased from 7,306㎥ per day in 2009 to 8,475㎥ per day in 2010, its industrial waste water increased from 3,058㎥ per day in 2009 to 3,363㎥ per day in 2010, the number of livestock raised there increased from 743,237 in 2009 to 817,561 in 2010, and its landfill leachat was estimated to be 12㎥ per day and the area of licensed fish farm was a total of 1,999㎡ in 2010. As you can see from above, all the pollution sources except the number of population increased in 2010 compared to those in 2009 in Nakdong river hydrospheres, Sungju-gun, and Baekchon drainage area. 2. It was found that 6 waste treatment facilities were being operated in Baekchon drainage area and Nakdong river hydrospheres in Seongju-gun and their average water discharge concentration reached BOD 1.6 ~ 5.9㎎/L, T-N 3.575 ~ 42.515㎎/L, T-P 0.045 ~ 3.874㎎/L. The measurements were conducted at a total of 9 points including stream water monitoring points and downstream points and their average concentration were found to be BOD 1.3 ~ 2.7㎎/L, T-N 0.870 ~ 5.346㎎/L, T-P 0.043 ~ 0.177㎎/L. 3. 2009 emission pollution load was analyzed to be BOD 4,852㎏/day, T-N 2,848㎏/day and T-P 279㎏/day. For 2010, they are expected to increase to BOD 4,881㎏/day, T-N 2,854㎏/day and T-P 281㎏/day. As for discharge load, Non-point source took the most share among waste sources and Nakbon f13 basin top the list of discharge load among various districts there. 2009 Discharge load in Baekchon area was found to be BOD 3,673㎏/day, T-N 2,154㎏/day and T-P 213㎏/day, and in 2010 the figures is expected to increase to BOD 3,732㎏/day, T-N 2,128㎏/day and T-P 216㎏/day. As for discharge load, Non-point source took the most share among waste sources and Nakbon f13 basin top the list of discharge load among various districts there.. It was found that Baekchon area took 75% of BOD, 76% of T-N and 76% of T-P in Nakdong river hydrospheres in Sungju-gun. 4. This study revised the 1st water pollution load master plan and enforcement plan for Water quality modeling for Baekchon area, and used measured date within 20% of standard flux to verify the results. As for the results of water quality, 2.0㎎/L BOD, 2.19㎎/L T-N and 0.15㎎/L T-P were expected in 2010 5. As a means for enhancing water quality in Baekchon area, a plan to reduce pollutants should be established. This study reestimated water quality after adjusting for pollutant reduction plan by local governments, expansion of livestock husbandry limit, establishment of buffer undercurrent facilities and water recycling program using sewage treatment facilities, and found out they would enhance water quality from current 2.0㎎/L to 1.8㎎/L in BOD, from 2.19㎎/L to 1.96㎎/L in T-N, from 0.15㎎/L to 0.14㎎/L in T-P. This study suggested the ways of improving the quality of water in Baekchon area, Sungju-gun, by investigating and examining the volume of discharge load and its effects on water quality in the area.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ed the way to minimize the impact from not only Baekchon drainage area but also other city and region's tributaries on Nakdong river hydrospheres. However, this study has limits in that it suggested analysis adjusted only for average estimated pollutant reduction volume. Therefore, further researches on effects of reduction on water quality should be conducted by adding specific reduction target figures of each region.

      • EFDC 모델을 이용한 영산강 오염 부하 저감 및 보 운영에 따른 수질 개선 영향 분석에 관한 연구

        김진수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0 국내석사

        RANK : 235343

        본 연구에서는 영산강 본류와 지류 그리고 점오염원 및 비점오염원의 수질 변화 특성 및 영향을 분석하고 수리동역학 및 수질 모델인 EFDC 모델을 활용하여 이를 재현하였다. 이후 시나리오 모의를 통해 하수처리장 및 주요 지류들의 오염부하 저감에 따른 영산강 본류의 수질 개선 효과를 분석하여 수질 개선 우선순위를 선정하였다. 또한 보 운영에 따른 영산강 본류의 수질변화 모의를 통해 효과적인 보 운영 관리 방안 수립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1) 본 연구에서는 영산강의 죽산보 상류 6개 지점 및 주요 유입 지류 8개 지점과 2곳의 하수처리장 방류수 대하여 2018-2019년, 2년 동안의 수질 변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영산강 본류 내 TN 부하는 광주 제 1 하수처리장에서 가장 크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어서 지석천 및 장성천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TP의 경우 지석천, 장성천 및 황룡강의 오염부하가 특히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한편 Chl-a는 최상류 에서 평균 50 mg/m3 수준으로 매우 높게 나타나다가 하수처리장 방류수와 광주천이 유입된 후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영산강 본류로 약 600,000 m3/d 이 유입되는 하수처리장 방류수에 의한 희석과 유속 형성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2) 배수문을 통해 강우 시 비점오염원에 의한 오염부하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나 자료의 부족으로 본 연구에서는 18개의 배수문 중에서 실측자료가 존재하는 4개의 배수문에 대해서만 분석하고 있다. 분석 외 배수문에서도 상당량의 오염물질이 영산강으로 유입될 것으로 추정되며 영산강 본류에서 간헐적인 TP 농도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추측되며 이는 추후 별도의 연구를 통해서 확인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3) EFDC 모델의 구축을 위한 경계조건 자료는 모두 국가 측정망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유량 경계 조건은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wamis.go.kr) 및 광주 환경공단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활용하였다. 그러나 일부 지류의 경우 유량 자료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유량자료가 존재하는 지류의 유량과 해당 유역면적 비를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기상자료는 기상자료개방포털(data.kma.go.kr)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수온 및 수질의 경우 물환경정보시스템(water.nier.go.kr)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조류(Algae), 탄소(C), 질소(N), 인(P), 규소(Si) 계열 및 용존산소(DO)를 모의하였다. 4) 수위 보정은 승촌보와 죽산보를 포함한 본류의 6개 지점에 대해 실시하였으며 보정 결과 통계 평균값은 MAE 0.10 m, RMSE 0.12 m, NSE 0.96, R-square 0.96 으로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수온 보정은 본류 내 6개의 수질 측정 지점에서 실시하였으며 보정 결과 통계 평균값은 MAE 1.30 m, RMSE 0.12 m, NSE 0.96, R-square 0.97 로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5) 수질 보정은 본류 내 6개의 수질 측정 지점에서 실시하였다. TN의 재현성이 타 수질항목에 대비하여 가장 높았으며 TP가 가장 낮았다. 이는 간헐적으로 유입되는 비점오염원의 영향이 반영되지 못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사료된다. 모든 수질항목이 전반적으로 하류로 갈수록 오차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이는 향후 간헐적으로 유입되는 비점오염원의 자료가 보완·반영된다면 재현성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6) 광주 제1 하수처리장 방류수 수질 개선 시 영산강 본류의 TN 개선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기할 만한 것은 수질을 75 %까지 개선하여도, 본류의 녹조현상(Chl-a)은 변화가 없다는 것이다. 이는 지류 및 비점오염원에서 유입되는 영양염류의 대한 대책 없이 하수처리장의 방류수 수질 개선 만으로는 본 연구대상지역의 녹조현상 제어는 어렵다는 것을 시사한다. 7) 타 지류와 대비하여 오염부하가 큰 지류들의(광주천, 황룡강, 평동천, 지석천, 장성천) 수질 개선 시 황룡강이 유입된 후 본류의 수질 개선 효과가 증가하고, 지석천과 장성천의 합류 후(나주) 가장 크게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류로 갈수록 지류들의 유입에 따른 수질 개선에 따른 효과가 증가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 Chl-a 또한 하류로 갈수록 감소되며 이는 본 연구대상지역의 녹조현상 개선을 위해서는 주요 지류에서 영양염류 부하를 저감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8) 시나리오 분석을 통해 황룡강이 승촌보의 녹조현상 제어에 가장 큰 영향 나타내는 동시에 죽산보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죽산보 수질에는 지석천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영산강 본류의 수질 개선을 위해서는 황룡강의 수질 개선이 선제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분석되며 이어서 지석천의 수질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9) 승촌보와 죽산보 운영에 따른 영산강 수질변화를 모의하였다. 보를 개방할 경우 연구대상지역 전반적으로 체류시간이 감소하면서 보가 닫혀있을 때와 대비하여 Chl-a는 감소하나 TN, TP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Chl-a의 감소는 하류로 갈수록 효과가 감소하다가 죽산보 인근에서는 오히려 Chl-a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하류에서는 유속에 의한 조류의 성장 제한보다 상류에서 유입되는 조류 및 영양염류의 영향이 더 큰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통해 보 전면개방이 영산강 본류의 녹조와 같은 수질문제에 근본적인 해결 방안으로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오히려 영산강 하류에 수질 악화를 야기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영산강 본류의 수질개선을 위해서는 유입 오염부하의 저감과 함께 수질 관리에 효과적인 보 운영 방안 수립이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Yeongsan River Water Quality deteriorate due to the inflow of Pollution Loads through various channels, including discharge water from wastewater treatment plant and Tributaries and non-spotted pollution sources. So, For effective water quality management, comprehensive analysis of each pollutant and analysis of long-term water quality change are needed. Therefore, the water quality and behavior of each pollutant and the effect on the main stream were comprehensively analyzed. As a result, the pollutant load of Total Nitrogen(TN) in the Yeongsan River was the largest in the Gwangju 1st wastewater treatment plant(WWTP1). Total Phosphorus(TP) and Total Organic Carbon(TOC) flowing into the Yeongsan River through Hwangryong, Jisuk and Jangsung Tributary was large. and it was analyzed that a significant amount of non-point pollutants from the city and agricultural land are inflow to the Yeongsan River during rainfall. The EFDC model was used to confirm the change in the water quality of the Yeongsan River when the WWTP 1 and Tributary with Large pollution load Water Quality is improved. and Changes in water quality due to the operation of the Weir were also confirmed. When the Water Quality of the effluent from the WWTP1 was improved by 50 % and 75 %. it was confirmed that the improvement of TN was noticeable in the Yeongsan River. This is because the pollutant load of TN in the Yeongsan River is the largest in the WWTP1. The average of improvement of TN was 27.2 % and 40.8 %, respectively. Even if the effluent water quality of the WWTP1 is improved to 75 %, the concentration of Chlorophyll-a(Chl-a) in the mainstream does not decrease. This means that the Yeongsan River has sufficient nutrient concentrations for algae to grow even if the water quality of the effluent from the WWTP1 is improved. When the main tributaries with large pollution loads(Gwangju, Hwangryong, Pyeongdong, Jisuk, Jangsung) improve water quality at the same time, the effect of improving water quality increases after the inflow of Hwangryong. and the water quality improves the most after inflow Jisuk and Jangsung. This is because toward the downstream of the Yeongsan River, the effect of improving the water quality increases as the inflow of tributaries increases. The reduce effect of Chl-a also increases toward the downstream. it is suggest that reduce the nutrient load in the tributaries is very important to reduce algae bloom in the Yeongsan River. when improving the water quality of each tributary individually,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effect of the Yeongsan River was evaluated based on the weir. In the case of Seungchon Weir(Weir1), the improvement of TN, TOC and Chl-a is most affected by the Hwangryong. This is due to Hwangnyong is the largest pollution load tributary about Weir1. In the case of Jooksan Weir(Weir2), Jisuk was the greatest impact on water quality. This is due to Jisuk is the largest pollution load than other tributaries. and it is relatively close to Weir2. Hwangryong is relatively far from Weir2 but has the greatest impact on water quality of Weir2 after Jiuk.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Hwangryong has a significant effect on water quality of the Yeongsan River including Weir1 and Weir2.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of the Yeongsan River,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of the Hwangryong needs to be made preemptively. Nex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of Jisuk, which has the greatest impact on the water quality of Weir2. Finally, the changes in the water quality of the Yeongsan River due to the operation of Weir1 and Weir2 were simulated. When weir is opened, the Residence time decreases throughout the study area, So compared to when the Weir is closed Chl-a decreases but TN, TP tends to increase. However, the Chl-a tends to increase in the Weir2, downstream of the Yeongsan River. It is considered that In the downstream, the effect of algae and nutrients inflow from the upstream is greater than the restriction of algae growth due to the flow velocity. As a result, it seems that the Weir opening has a limit as a fundamental solution to water quality problems such as algae bloom in the Yeongsan River. and it is possible that the water quality deteriorates downstream of the Yeongsan River.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of the Yeongsan River, it is considered that the reduction of the inflow pollution load and the establishment of effective weir operation plan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should be carried out in parallel.

      • 대청호 조류성장과 환경요인의 상관관계 분석

        정장원 충북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5327

        In the Daecheong Lake, the algae succession can be divided into the early period in spring (~ July) dominated by diatom, the middle period in summer (July ~ October) dominated by blue?]green algae, and the late period (October ~) dominated again by diatom. Particularly in the middle period dominated by blue?]green algae, succession is made from Microcystis spp. Anababena spp. and Aphanizomenon spp. to Microcystis spp. Anababena spp. and Oscillatoria spp., showing a high correlation with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entire area of the Daecheong Lake. It was found that the correlation is higher during the rainy season than the non?]rainy season and that the succession and quantitative change of algae species are active when a stable stratum is formed. However, in the early and late periods, conditions for forming the algal stratum changed as diatom became the dominant algae and, as a result, the correlation was lowered and the stratum became unstable. In the Daecheong Lake, eutrophication was different by season and by area. Eutrophication appeared in the upper reaches of Hoinam area before the flood season and in its lower reaches after the flood season.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data analysis by water layer, turbid inflow water from the rainfall during the summer contained a lot of nutrients like N and P and organic matters (BOD and CODmn). This suggests that the change of flow rate during the seas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eutrophication. Thus, for effective control of eutrophication, we suggest the prevention of inflow of nutrients like P from the upper reaches based on the flow rate of 200CMS as the flow rate for extracting nutrients from soil. What is mo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in previous research, data from 2005 showed that the number of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 decreased and p?]value increased. Accordingly, the application was considered unreasonable yet. However, it was found sufficiently possible to forecast eutrophication through SS, etc. during autumn and winter because of the mixture of all water layers due to constant aeration.

      • 牙山市 河川의 水質評價 및 指標微生物의 抗生劑 耐性에 關한 硏究

        김근하 호서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5327

        지표미생물을 이용하여 수질오염을 평가하려는 노력이 오래전부터 시도되어왔으며, 수질관리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폭넓게 진행 되면서 기준이 점차 강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또한 최근 항생제 남용으로 인해 항생제를 투여한 동물과 인체에서 배출되는 배설물에 높은 농도의 항생제가 분해되지 않고 잔류한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이는 생태유해성이나 보건유해성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하천수의 이화학적 분석과 미생물학적 분석을 통해 수질오염을 평가하고 지표미생물의 항생제 내성정도를 파악하였다. 지표미생물로는 사람과 환경 내에 많이 분포하고 환경의 변화에 안정하며, 오염원에 대한 특이성을 가지고 있어 수질을 평가하는데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총대장균(TC), 종속영양세균(HB), 분원성대장균(FC), 대장균(E. coli), 분원성연쇄상구균(FS)등을 분석하였고, 지표미생물의 항생제 내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천에서 분리한 대장균을 Ampicillin을 포함한 8가지 항생제에 대한 감수성정도를 확인하였다. 아산시지역 하천수의 이화학적 분석 중 유기물지표인 BOD_(5), COD_(Mn)분석결과 인구분포가 높은 G1지점과 가축농가가 많은 DP지점에서 유기물에 의한 오염이 가장 높음을 확인하였고, G1지점과 DP지점에서 지표미생물의 개체수는 연중평균 각각 G1지점은 총대장균(1205 CFU/100㎖), 분원성대장균(270 CFU/100㎖), 대장균(253 CFU/100㎖), 분원성연쇄상구균(210 CFU/100㎖), DP지점은 총대장균(1480 CFU/100㎖), 분원성대장균(438 CFU/100㎖), 대장균(560 CFU/100㎖), 분원성연쇄상구균(348 CFU/100㎖)등으로 가장 높은 값을 보이고 있어 G1과 DP가 오염도가 가장 높았다. 분원성 지표미생물인 FC와 E. coli, FS등은 우기 이후인 가을에 전체 지점에서 높은 분포를 보였으며, 연중분포는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지표미생물로부터 분리한 분리균주 대장균(Escherichia coli)에 항생제 감수성 정도를 파악한 결과 축사농가의 분포가 높은 경우 거의 대부분의 균주에서 항생제에 내성을 보였으며, 특정 지역에 따라 내성정도에 차이를 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인구밀도가 높은 OY지역으로부터 분리한 균주의 경우 AM10, Va30에 강한 내성을 나타내었으며, 내성이 심각한 지점은 DP, OY지점으로 지표미생물중 대부분의 분리균주들이 AM10에 대해서는 내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성이 전이 되지 않은 지점은 EB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이화학적 분석과 지표미생물 간의 수질 오염을 평가하여 유기물지표인 BOD_(5), COD_(Mn)가 높게 나타난 DP와 G1지점의 경우, 분원성 지표미생물의 개체수가 높게 나타나 이화학적 분석과 지표미생물 간의 연관성을 확인하였으며, 지표미생물의 항생제 내성정도를 확인한 연구이고, 기존의 이화학적인 방법을 통해 오래전부터 진행되어 왔던 수질평가 방법과 더불어 G천의 수질관리에 의미 있는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Efforts to evaluate water pollution by using indicator microorganism have been attempted for decades, and driven by researches on water purity control application, water quality criteria are growing more and more strict. In addition, there are reports on research results that recently high concentration of antibiotics are not dissolved and remain in the excrements discharged from the animals and human bodies to which antibiotics are dosed due to antibiotics abuse. As this problem emerges as very important issue in the standpoint of ecological harmfulness or hygienic hazardousness, this research evaluated water pollution through physico-chemical analysis and microbiological analysis, and investigated the antibiotics resistance degree of indicator microorganism. As indicator microorganisms, the research analyzed total coliform(TC), heterotrophic bacteria(HB), fecal coliforms(FC), E. coli and Fecal streptococci(FS) etc which, distributed in environment near human, are stable to environmental changes and have peculiarity against pollutants, being used for water purity evaluation, and to check the antibiotics resistance of indicator microorganism, checked the degree of sensitivity of 8 antibiotics including E. coli and ampicillin separated from river.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pollution by organisms was highest at G1 location that has high human population and DP location that has many livestock household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BOD_(5) and COD_(Mn), the organism indicator among physico-chemical analysis where G1 location has total coliform(1205 CFU/100㎖), fecal coliforms(270 CFU/100㎖), E. coli(253 CFU/100㎖) and fecal streptococci(210 CFU/100㎖), and DP location has total coliform(1480 CFU/100㎖), fecal coliforms(438 CFU/100㎖), E. coli(560 CFU/100㎖), fecal streptococci(348 CFU/100㎖) etc. FC, E. coli and FS etc, fecal indicator microorganisms, showed high distribution at all the location in fall the period after rainy season, and the yearly distributions showed similar tendenc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egree of sensitivity of antibiotics in Escherichia coli, isolate which is separated from indicator microorganism, if livestock households distribution is high, almost all the strains showed resistance to antibiotics, some particular areas showed different resistance degree. In case of strains that separated from OY area that has high population density, they showed strong resistance to AM10 and Va30, and while DP location and OY location showed severe resistance, EB location did not show any resistance at all. In conclusion, this paper was confirmed the correlation of water pollutions between physico-chemical analysis and indicator microorganism. It was also confirmed that has high the analysis results of indicator organisms(BOD_(5) and COD_(Mn)) at DP and G1 locations, where have many fecal indicator microorganisms. Also this paper was to check the antibiotics resistance degree of indicator microorganism, and it is judged that the paper offers meaningful data for the water purity control of 'G' river along with the water quality evaluation that has been executed from long before through existing physico-chemical methods.

      • 정수시설에서 전처리 방법에 따른 분리막 성능에 관한 연구

        백순옥 호서대학교 2006 국내박사

        RANK : 235327

        Drinking water treatment plants have suffered from a seasonal algal bloom, taste and odor problems and contaminations encountered from water resources. Current processes used in the conventional water treatment plants have limitation for eliminating virus, colloids and disease related microorganisms. Therefore, interest in membrane separation technology is rapidly expanding worldwide because membrane separation is considered to be a stable and efficient processes available to meet the drinking water standards recently reinforced. However, membrane fouling should be overcome because it determines the overall treatment efficiency. Therefore, to overcome membrane fouling in the membrane filtration for water treatment, pretreatment such as coagulation, adsorption and ozonation is applied and their impacts were evaluated. Thu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etreatment on the membrane filtration characteristics. After ultrafitration of pretreated water with alum, ferric sulfate coagulation and activated carbon adsorption, the R_(c) and R_(f) decreased. In the combined process of coagulation and dead end ultrafiltration, R_(c)+R_(f) which shows a degree of membrane fouling decreased and the flux improved. R_(c) reduction was higher than the R_(f), which means that the membrane fouling was mainly caused by cake resistance. Similar results were occurred in the cross flow ultrafiltration. The alum coagulation showed the most high flux improvement in both the dead end and cross flow filtration. For the water quality, the removal efficiency was not different between in dead end flow and cross flow filtration. 9.3% and 6.3% of flux for NF and RO increased after alum coagulation. Turbidity removal efficiency were 96% and 97% for the NF and RO only filtration. For the combined filtration of alum-NF and alum-RO, turbidity removal efficiency of alum supernatant were 93% and 95%, respectively. Removal efficiency of turbidity, TOC and COD after alum coagulation were 56, 56, and 54%, respectively. TOC and COD in the final effluent, i.e., the permeate were not detected for all filtration of NF and RO, and all combined processes. Permeate turbidity from all NF, RO and combined filtration were less than 0.1 NTU which satisfied the drinking water standards. 5.8% and 6.3% of flux for NF and RO increased after UF filtration. Turbidity removal efficiency were 96% and 97% for the NF and RO only filtration. For the combined filtration of UF-NF and UF-RO, turbidity removal efficiency of UF permeate were 59% and 65%, respectively. Removal efficiency of turbidity, TOC and COD for the UF prefiltration were 93, 73 and 69%, respectively. TOC and COD in the final effluent were not detected for all filtration of NF and RO, and all combined processes. Permeate turbidity from all NF, RO and combined filtration were less than 0.1 NTU which met the drinking water standards. 3.3% and 4.9% of flux for NF and RO increased after ozonation. Turbidity removal efficiency were both 97% for the NF and RO only filtration. For the combined filtration of ozone-NF and ozone-RO, turbidity removal efficiency of pre-ozonated water were both 99%. Turbidity, TOC and COD for the pre-ozonated water were 1.9, 1.2 and 2 times higher than those of the raw water. TOC and COD in the final effluent were not detected for all filtration of NF and RO, and ozone combined NF and RO. The flux improvement between the combined NF and RO processes was not so much noticeable, but the flux of the alum pretreated NF was most higher than that of any other pretreatments. The final effluent water qualities according to the various pretreatments were similar each other. Particularly, turbidity of NF and RO permeates regardless pretreatment methods satisfied the water quality for drinking water standards. 하천수 또는 호소수를 상수원수로 하는 국내 중대규모 정수시설 여러 곳에서 계절적인 조류, 맛, 냄새 발생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고, 생활수준 향상으로 수질에 대한 기대가 증가함에 따라 기존의 정수처리 방식으로는 수질을 보장할 수 없게 되었다. 또한 기존의 정수 처리방식은 병원균을 포함한 바이러스 및 미세 콜로이드를 제거하는데 어려움이 많아서 원수로부터 용존성, 콜로이드성, 입자성 오염물질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막 분리 기술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국내외적으로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 강화된 음용수 수질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는 가장 안전한 정수 처리방식으로 막 여과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막이용 공정에서 가장 큰 문제점인 막오염을 해결하는 것이 막 공정의 성패를 결정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도 정수처리시설에서 막오염 제어를 위해 전처리 방법에 따른 분리막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상수원수에 Alum, 황산제이철과 같은 응집제 및 활성탄 전처리 공정 후 한외여과를 수행하여 응집, 흡착 메커니즘에 따른 막여과 특성을 고찰하였다. 또한 상수원수에 Alum, 한외여과, 오존을 각각의 전처리 공정으로 하여 나노여과 (NF)와 역삼투 (RO)여과를 수행하여 각각의 분리막 공정에서의 막여과 특성을 고찰하였다. Alum, 황산제이철의 응집제 및 활성탄의 각 전처리 공정 후 회분식 한외여과 결합공정에서 상수원수보다 R_(C)와 R_(F) 값이 모두 감소하였고, 막오염 발생 정도를 나타내는 R_(C)+R_(F) 값 또한 전체적으로 감소하여 플럭스가 향상되었다. R_(C)가 R_(F)보다 상대적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는데, 이는 분리막에서의 막오염은 케이크 저항이 주된 원인임을 시사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Alum, 황산제이철 및 활성탄 전처리 후 십자형 연속 한외여과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그 중에서 Alum으로 전처리한 후 여과한 경우가 회분식과 연속식 모두에서 플럭스 향상이 제일 높게 나타났다. 수질 측면은 회분식과 연속식 방식 모두에서 한외여과 단독과 큰 차이가 없었다. Alum을 전처리 공정으로 한 NF (Alum-NF)와 RO (Alum-RO)에서 Alum-NF는 NF로 단독여과한 경우보다 9.3%, Alum-RO는 RO로 단독여과한 경우보다 6.3% 정도의 플럭스가 각각 향상되었다. NF와 RO 단독여과에서 탁도는 각각 96%, 97%가 제거되었고, Alum-NF와 Alum-RO에서는 Alum 응집상등수 탁도의 93%, 95%가 각각 제거되었다. Alum 응집상등수의 탁도, TOC 및 COD는 상수원수보다 각각 56%, 56%, 54% 제거되었다. TOC와 COD는 NF와 RO의 모든 여과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탁도는 모든 공정에서 0.1 NTU 이하로 상수도 수질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었다. UF를 전처리 공정으로 한 NF와 RO에서 UF-NF는 NF로 단독여과한 경우보다 5.8%, UF-RO는 RO로 단독여과한 경우보다 6.3% 정도의 플럭스가 향상되었다. NF와 RO 단독여과에서 탁도는 각각 96%, 97%가 제거되었다. UF-NF와 UF-RO에서는 UF로 여과한 투과수 탁도의 59%, 65%가 제거되었다. UF로 여과한 투과수의 탁도, TOC 및 COD는 상수원수보다 각각 93%, 73%, 69%가 제거되었다. TOC와 COD는 NF와 RO의 모든 공정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탁도는 모든 여과에서 0.1 NTU 이하로 상수도 수질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었다. 오존을 전처리 공정으로 한 NF와 RO에서 오존-NF는 NF로 단독여과한 경우보다 3.3%, 오존 -RO는 RO로 단독여과한 경우보다 4.9% 정도의 플럭스가 향상되었다. NF와 RO 단독여과에서 탁도는 각각 97%가 제거되었고, 오존-NF와 오존-RO에서는 오존처리수 탁도의 99%가 제거되었다. 오존처리수의 탁도, TOC 및 COD는 상수원수보다 각각 약 1.9배, 1.2배, 2배 정도 더 높게 나타났다. TOC와 COD는 NF와 RO의 모든 공정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탁도는 모든 여과에서 0.1 NTU 이하로 상수도 수질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었다. NF 결합공정과 RO 결합공정에서의 플럭스 향상 면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지만, 그 중 Alum-NF가 플럭스 향상 면에서 제일 높게 나타났다. 제거율과 수질 측면은 NF와 RO 각각의 단독여과와 결합공정에서는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각 공정에 관계없이 모든 방법의 NF와 RO 여과에서 탁도는 0.1 NTU 이하로 상수도 수질 기준을 만족 시킬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