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독교대안학교의 교사교육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황규석 성결대학교 신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807

        This study proposes the direction of training for teachers by grasping and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 of teacher training conducted in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how is the status of teachers’ qualification at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Second, how is the actual state of teacher education at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Third, what are the ways to improve teacher education in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teachers in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in order to grasp and analyze the status of teachers' teacher qualifications and teacher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eacher qualification, 22.5% of teachers who responded to the survey did not have teacher qualifications. In addition, 65.8% of teachers had the same teacher qualifications as the subjects they teach were in charge of, and 77.5% of teachers had the same teacher qualification certificate as the subjects they were in charge of with their major in college or graduate school. However, 18.9% of teachers also did not match the subject they were in charge of with their majors completed in college or graduate school. Second, regarding teacher education, 45% of respondents completed the first-time teacher education (training), but 55% did not. 70.1% of respondents who completed the training completed less than 20 hours (1,200 minutes) of training, so it is not known whether effective training was achieved. Institutional and school-centered teacher education (training) were found to be completed by 76.6% of the respondents, and 23.4% did not. Individual-centered teacher education (training) was completed by 66.4% of the respondents, and 33.6% did not. In the learning community teacher education (training), 51% of respondents participated, and 49% did no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er suggested the following ways to improve teacher qualifications and teacher education. The first is the improvement plan for teachers who do not have a teaching certificate and those who do not have a major mismatch. In the mid-to long-term, schools create conditions for entering graduate schools to obtain a teacher’s license, and in the short-term, they impose a teacher’s education so that teachers can develop their expertise and competence as teachers. To this end, a curriculum was proposed that could be provided to those who do not have a teacher's license and those who have a major mismatch among teachers who work at the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The second is the improvement plan for teacher education. It proposed the establishment of the tentatively-named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Teacher Education Center" and the establishment of a "comprehensive information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that institutional-oriented teacher education (training) requires the launch of an organization equipped with a higher level of support system than public educational institutions. It is expected that the Teacher Education Center will be able to help the quality management of teachers by storing and managing the education completion records along with the education practices of teachers using a comprehensive information system. The third is an improvement plan for the first-time teacher education (training) and learning community with a relatively low participation rate among the field of teacher education. To beginner teachers, a curriculum consisting of 80 hours (4,800 minutes), which is equivalent to that of public education institutions, is proposed, and teachers' learning activities can be included in the educational performance and accumulated as an alternative to revitalize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It was suggested that each learning community would be provided with a small budget to increase the morale of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activities. And, each school suggested that the principal or vice principal take responsibility for education and take a systematic and planned approach to it in order to to cultivate expertise and competence taking the accountability for teacher education. 본 연구는 기독교대안학교에서 시행하고 있는 교사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분석함으로서 교사를 위한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 세 가지를 설정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기독교대안학교 교사의 교사자격증 보유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기독교대안학교 교사의 교사교육 실태는 어떠한가? 셋째, 기독교대안학교 교사교육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이를 위해, 기독교대안학교 교사의 교사자격증 보유 실태와 교사교육 실태를 파악하고 분석하기 위하여 기독교대안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자격증과 관련하여, 설문조사에 응답한 교사들 중에서 22.5%가 교사자격증을 보유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교사들이 교수(담당)하는 과목과 동일한 교사자격증을 보유(65.8%)하거나, 대학 혹은 대학원 전공과 일치하는 비율이 77.5%이었으나, 교수(담당)하는 과목과 대학 혹은 대학원에서 이수한 전공이 전혀 일치하지 않는 교사의 비율도 18.9%에 이르고 있다. 둘째, 교사교육과 관련하여, 초임 교사교육(연수)은 응답자의 45%가 이수했으나, 55%는 이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을 이수한 응답자의 70.1%가 20시간(1,200분) 미만의 교육을 이수하여 과연 실효성 있는 교육이 이루어졌는지 알 수 없는 상황이다. 기관 및 학교 중심 교사교육(연수)은 응답자의 76.6%가 이수하였으며, 23.4%는 이수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개인 중심 교사교육(연수)은 응답자의 66.4%가 이수하였으며, 33.6%가 이수하지 않은 것으로, 학습공동체 교사교육(연수)은 응답자의 51%가 참여했으며, 49%는 참여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자는 이러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자격증 및 교사교육과 관련한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는 교사자격증 미보유자 및 전공불일치 교사에 대한 개선방안이다. 중·장기적으로는 대학원에 진학하여 교사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 주는 것이고, 단기적으로는 교사로서의 전문성과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교사교육을 부과하는 일이다. 이를 위해 기독교대안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 중에서 교사자격증 미보유자 및 전공불일치 교사에게 제공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제안하였다. 둘째는 교사교육에 대한 개선방안이다. 기관 중심 교사교육(연수)을 위해서는 공교육기관 이상의 수준 있는 지원체제를 갖춘 기구의 출범이 필요하다는 취지에 따라서 가칭 “기독교대안학교 교사교육원”(이하 교사교육원)의 설립과 “종합정보시스템”의 구축을 제안하였다. 교사교육원은 종합정보시스템을 활용한 교사들의 교육실천과 함께 교육이수 실적을 저장 관리함으로써 교사들의 질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는 교사교육 분야 중에서 참여율이 상대적으로 저조한 초임 교사교육(연수) 및 학습공동체를 위한 개선방안이다. 초임 교사에게는 공교육기관과 대등한 수준인 80시간(4,800분) 내외로 구성된 교육과정을 제안하였으며, 학습공동체 활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대안으로 교사들의 학습활동을 교육실적에 포함시켜 누적할 수 있도록 하며, 각각의 학습공동체에 소정의 예산을 지원하여 활동에 참여하는 교사들의 사기를 진작시켜 줄 것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각 학교는 교사교육에 대한 책무성을 제고하고 이를 통해 전문성과 역량을 배양하기 위해 교육에 대한 책임을 학교장 혹은 교감이 맡아 체계적이고 계획적으로 접근할 것을 제안하였다.

      • 한국교회의 청소년부 교육과정 변천사 : 5개 교단을 중심으로

        안병창 백석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9791

        오늘날 한국교회는 세속적 가치관의 영향과 교인들의 신앙과 삶이 이원화되면서, 그리스도인의 정체성은 점차 사라져가고 있다. 이와 함께 한국교회는 양적 성장이 멈춘 지 오래 되었고, 그 중에서 어린이와 청소년, 그리고 청년층의 감소는 두드러지고 있다. 그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던 교회학교도 역시 성장이 멈추게 되었다. 특히 청소년부의 격감현상은 주목할 만하다. 청소년부가 감소하게 된 원인은 교회학교 교육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였기 때문이었다. 청소년 교회교육의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 이유 중에 첫째는 청소년을 위한 교회교육은 양적·질적 측면에서 열악하였고, 두 번째는 교회교육의 역동적인 힘을 잃어버렸기 때문이었고, 세 번째는 목회와 교육, 신앙과 생활 등의 분리현상 때문이었고, 네 번째는 교육과정 편성에 문제가 있기 때문이었고, 다섯 번째는 세속적 가치가 교회로 스며들어 왔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해서 청소년부가 성장하게 하기 위해서는 청소년부 교육과정을 개선하여야 한다. 좋은 청소년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지난 120여년 동안 한국교회에서 사용해 온 청소년부 교육과정 변천사를 교훈으로 삼아야 한다. 한국교회 청소년부 교육과정 변천사는 전학문기와 학문기로 구분할 수 있다. 전학문기는 1970년 이전 시기이고, 학문기는 기독교교육학을 전공한 학자들이 교단 신학대학에서 기독교교육학 과정을 개설하고 기독교교육학을 연구하기 위하여 연구소를 개설하면서 각 교단이 독자적으로 청소년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던 1970년 이후 시대이다. 전학문기는 두 가지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첫째는 특징을 중심으로 시기를 구분하는 방법이었다. 이 방법으로 전학문기는 탄생기, 발전기, 암흑기, 재건기로 구분할 수 있었다. 두 번째는 청소년부가 교회조직에 공식적으로 편성되기 시작했던 1954년 이후와 이전 시기로 구분해 보는 것이다. 청소년 교회교육은 선교초기부터 실시되고 있기는 했지만, 1954년 이후부터 공식적으로 교회교육 조직에 편성되었고, 그 이전에는 유년부나 소년부 혹은 청년부나 장년부에 편성되어서 청소년 교회교육이 이루어졌다. 학문기는 교단별로 개발한 교육과정에 따라 특징이 있었고, 그 교육과정을 시간적 순서에 따라 구분하였다.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측(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PCK)은 ‘성서와 생활’, ‘말씀과 삶’, ‘하나님의 나라 : 부르심과 응답’으로 청소년 교육과정이 변천하였고, 대한예수교장로회 합동측(The General Assembly of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GAPCK)은 ‘계단공과’, ‘하나님의 언약과 믿음(생활)’, ‘말씀, 믿음, 삶’으로 청소년 교육과정이 변천하였으며, 기독교대한감리회(The Korean Methodist Church, KMC)는 ‘하나님과 세계, 하나님과 교회, 교회와 세계’, ‘말씀과 성화’, ‘파워스톰 시리즈’로 청소년 교육과정이 변천하였고, 기독교대한성결교회(Korea Evangelical Holiness Church, KEHC)는 ‘성경공부’, ‘성결한 삶’, ‘성결과 비전’으로 청소년 교육과정이 변천하였다. 그리고 기독교한국침례회(The Korea Baptist Convention, KBC)는 ‘교회학교 모범공과’, ‘예수꼴 공과’, ‘틴틴 파워 인 지저스’로 청소년 교육과정이 변천하였다. 전학문기는 시기별로 특징이 있었다. 탄생기에는 청소년을 포함한 장년과 소년부의 교회교육을 위해 교육과정이 구성된 교재를 처음 사용한 시기였다. 장로교와 감리교는 세계주일학교연합회에서 발행한 교재를 번역하여 사용하였고, 성결교와 침례교는 독자적으로 교육과정을 발행하여 사용하였다. 발전기에는 한국 교회교육이 크게 발전하였던 시기였다. 가장 특징적인 것은 통일공과와 함께 연령별로 사용할 수 있도록 계단공과가 발행 된 것이었다. 또한 장로교나 감리교, 그리고 성결교와 침례교가 모두 선교사 중심에서 한국인 중심으로 교육과정 연구와 교육 정책을 결정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었다. 이 시기에는 교회교육을 지원할 수 있는 정기간행물이 간행되었고, 교사 양성 교육도 활성화 되었다. 암흑기에는 한국 교회교육이 거의 중단되었던 시기였다. 이 시기에는 일제에 의해서 교회가 폐쇄되었고, 교육과정 개발을 할 수도 없었으며, 교재를 인쇄할 수도 없었다. 재건기에는 청소년부가 교회교육에 공식적 조직으로 편성되면서, 청소년 교회교육의 중요성이 커져 가던 시기였다. 이 시기의 특징은 장로교가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측과 합동측으로 분열되었고,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측·대한예수교장로회 합동측·기독교대한감리회·기독교대한성결교회는 세계기독교교육협회가 출판한 교재를 대한기독교교육협회가 번역한 ‘세계주일학교통일공과’를 주로 사용하였다. 기독교대한성결교회가 1961년에 ‘성경공과’라는 독자적인 교육과정을 개발하기는 했지만, ‘세계주일학교통일공과’를 기초로 하여 개발한 것이었다. 기독교한국침례회는 미국 남침례회에서 사용하던 교육과정을 1959년에 ‘주일학교 공과’라는 주제별 교육과정으로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재건기에는 교육과정이 많이 발전하였지만, 기독교교육 이론에 근거하여 한국 If we have a dream of a future growth of youth in Korean churches, its first step would be started in youth curriculum evaluation. Therefore, this thesis deals with the history of youth curriculum that has been used in Korean churches for the past 120years. The history of youth curriculum in Korean churches may be divided into pre-academic and academic period with 1970 as a starting point. Since 1970, each denominations has independently been developing the youth curriculum with the professors who had finished their degrees of religious education in USA. We may examine the pre-academic period with diachronic way in terms of historical transition. We may examine the academic period with synchronic way in terms of particular point in time. From two different perspectives, we may see the whole picture of the past changes of youth curriculum of Korean Churches. When we deal with the pre-academic, we named 4 periods as follows; Beginning, Expanding, Dark, Restoring Period. Beginning Period was come from the early Christian education by the foreign missionary at the late 19 C. Since then, Church used the lessons composed with a adult curriculum. The Presbyterian and The Methodist used translated lessons that The World Sunday School Association had published. KEHC and KBC used a curriculum that developed on its own. Expanding Period was characterized by expansion of churches in Korea. They published 'the graded lessons' based on the age. The religious periodicals has printed not only to support the church education but also to activate the teacher training. Dark Period was a period when the church education in Korea was weak. In this period, many churches closed, curriculum could not developed, materials could not printed. Restoring Period was a time when the importance of the church youth education was emphasized than before. The major presbyterian denomination was devided into PCK and GAPCK. PCK, GAPCK, KMC, and KEHC had usually used 'The World Sunday School Uniform Lessons', that The Korea Association of Christian Education translated. KEHC independently developed the curriculum as the title of 'The Bible Lessons' in 1961, but it also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World Sunday School Uniform Lessons'. KBC had been used the thematic curriculum as 'Sunday School Lessons' in 1959, which translated The Southern Baptist Sunday School materials. When we deal with the Academic periods, we may examine 5 denominations as follows; PCK, GAPCK, KMC, KEHC, KBC. First, PCK shifted the youth curriculum from 'The Bible and Life' to 'The Word and Life', and from 'The Word and Life' to 'The Kingdom of The God : the Calling and the Response'. The curriculum had been shifted through three steps, but their goal was consistent in the contents for the changed christian's life through the Bible. But the process of each curriculum shifted from the teacher-centered to the learner-centered, and from the learner-centered to the experience-centered. Second, GAPCK shifted the youth curriculum from 'The Graded Lessons' to 'The Covenant of the God and The Faith(Life)', and 'The Covenant of the God and The Faith(Life)' to 'The Word, The curriculum shifted through three steps. it focused all three curriculums in the reformed church theology and the presbyterian doctrine, developed the curriculum for the youth as consistent theme as the Bible and the God and the Man. The Word, The Faith, The Life' curriculum changed from a year cycle to three year cycles, applied the youth development psychology. The process improved from the teacher-centered to the learner-centered with the emphasis of identity and the history of the denomination. Third, KMC shifted the youth curriculum from 'The God and The World, The God and The Church, The Church and The World' to 'The Word and The Sanctification', and from 'The Word and The Sanctification' to 'Power Storm series'. The curriculum differed all three steps. The process of 'The God and The World, The God and The Church, The Church and The World' curriculum was the teacher-centered. The process of 'The Word and The Sanctification' curriculum shared in the teacher-centered and the learner-centered together. 'Power Storm series' curriculum included the culture and the christianity culture, the christian's identity and the youth, and the process shared in the teacher-centered and the learner-centered and the church-centered together. Fourth, KEHC shifted the youth curriculum from 'The Bible Studies' to 'the Holy Life', and from 'the Holy Life' to 'The Holiness and The Vision'. The curriculum applied to understand the Wesley theology and KEHC's four gospels in three steps. 'The Holy Life' curriculum revised from the group graded lessons to the class lessons in 1992, and 'The Holiness and The Vision' curriculum published with the class lessons. Fifth, KBC shifted the youth curriculum from 'Sunday School Exemplary Lessons' to 'The Jesus Valley Lessons', and from 'The Jesus Valley Lessons' to 'Teen Teen Power in Jesus'. The curriculum was consistent with the lessons that centered the Bible all three steps, developed 'the graded lessons' as the cycle theme. The difference was that 'The Church School Exemplary Lessons' curriculum focused to be understand a Bible, 'Jesus Valley Lesson' curriculum stressed the doctrine and the practical life. 'Teen Teen Power in Jesus' curriculum connect the understanding of Bible Truth with youth's developmental feature and Christian world view and experienced culture. I wish this thesis would be a small step of pursuit of new perspective of youth curriculum that have learned a insight and lesson from the past.

      • 기독교 청소년을 위한 탈인습적 통일교육 모형 연구

        이문아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9791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기존의 사회조사 연구를 바탕으로 통일교육과정 요소 중 교육방법과 내용적 측면에 주목하면서 통일교육과 청소년 통일의식의 문제점을 찾아보고 청소년들이 좀 더 성숙한 방향의 통일의식이 형성될 수 있도록 “탈인습적 기독교통일교육 모형”을 그 대안으로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실천신학적 연구방법론 중 하나인 해석학과 실천실학의 패러다임에 기반 하여 신학과 타학문을 연계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아스머(Richard R. Osmer)의 ‘합의모델’(Consensus model) 방법론을 차용하였다. 본 논문의 요지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남북분단이 장기화됨에 따라 통일의 당위성과 다양한 담론에 대한 인식의 격차가 점점 더 커짐으로 갈등이 양산되는 상황에서, 기독교교육이 추구하는 가치는 통일의 당위성을 넘어 기독교의 근본정신인 예수의 사랑과 화해를 실천하는 것으로써, 기독교통일교육 공동체(기독청소년)는 하나님으로부터 화해를 실천하기 위한 사명을 부여받았으며, 법률적 이해관계를 넘어 타자와의 화해와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을 추구해야 할 사명이 있다는 것이다. 연구자는 이러한 논지를 펼치기 위해 그간 통일교육과 기독교통일교육에서 문제제기가 지속된 사항들인 인습적 교육방법과 기독교정체성이 결여된 교육 내용적 측면을 비롯하여 청소년 학습자들의 통일의식의 문제가 이념적 차별주의, 자민족우월주의, 그리고 개인 및 집단 이기주의임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인습적 성향은 돌봄, 긍휼, 공감, 소통, 존중, 평등과 같은 예수그리스도의 사랑이나 탈인습성의 가치와는 반대되는 모습으로써 깊은 갈등을 양산하므로, 이러한 인습적 통일의식에서 한 단계 성장해 갈 수 있기 위한 ‘탈인습적 기독교통일교육 모형’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근거로 연구자는 기독교적 가치와 탈인습적 사고를 지향하는 기독교교육학 및 신학적 이론을 기반으로, 통일교육의 문제를 극복하고 청소년들로 하여금 인습적 통일의식에서 벗어나 좀 더 성숙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탈인습적 기독교통일교육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견지에서 이 모형은 청소년들의 탈인습적 사고인 평등적, 개방적, 관계적 사고를 키워주기 위한 교육목적과 목표 그리고 내용과 방법 등으로 구성되는데 교육목적으로는 ‘하나님의 뜻을 깨달아 화해와 평등을 실천하는 청소년’, 하위 목표로 ‘하나님이 모든 사람을 평등한 존재로 창조하셨음을 깨닫고 이해하는 청소년’, ‘나와 다름을 인정하고 서로 존중하는 삶의 태도를 기르는 청소년’, ‘예수 그리스도의 화해를 실천하는 청소년’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와 밀접하게 관련된 교육내용으로는 ‘비판적 성찰 능력 육성’, ‘인권존중 능력 강화’ 그리고 ‘화해역량 육성’을, 교육방법으로는 논문에서 개발한 ‘4C 4단계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교육평가는 집단면담과 설문지법을 활용한 평가방법으로 제안하였다. 이로써 ‘탈인습적 기독교통일교육 모형’을 통하여 통일에 대한 생각과 이념의 차이로 인해 다양한 갈등을 경험하고 있는 청소년들이 그들 안에 내재되어있는 인습적 사고와 행동에 저항할 수 있는 비판적 성찰 능력이 육성되고, 서로의 인권을 존중하며 예수그리스도의 사랑과 화해를 실천하는 청소년으로 좀 더 성장해 가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roblems of unification education and youth unification consciousness, focusing on the educational method and content aspects of unification curriculum elements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and previous social research studies. The “Unconventional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Model” is suggested as an alternative.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borrowed Richard R. Osmer's Consensus Model Methodology that connects theology with other studies based on the paradigm of analytics and practical practice, one of the practical theological research methodologies. The main poin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As the division between the two Koreas becomes longer and the gap between the justification of reunification and the perception of various discourses increases and the conflict is mass produced, the value pursued by Christian education is to practice the love and reconciliation of Jesus, the fundamental spirit of Christianity beyond the justification of reunification. In other words, the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Community (Christian Youth) was given a mission to practice reconciliation from God and has a mission to pursue reconciliation with others and the love of Jesus Christ beyond legal interests. In order to develop this claim, the researcher has continuously raised issues in unification education and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In other words, the researcher pointed out that the problems of unification consciousness among adolescent learners are ideological discrimination, self-ethnic superiority, and individual and collective egoism, as well as educational content lacking conventional educational methods and Christian identity. In addition, the researcher claimed the necessity of ‘Unconventional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Model’ so that they may grow one step more from such conventional unification consciousness since the customary propensity is contrary to Jesus Christ's love or unconventional values such as care, compassion, empathy, communication, respect, and equality, and produces deep conflict only. As the basis of this, the researcher presented ‘Unconventional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Model’ in order to help the youth mature more in departing from the conventional unification consciousness and overcoming the problems of unification education based on the Christian pedagogy and theological theories that aim at Christian values and unconventional thinking. In this regard, the model consists of educational objectives, goals, content and methods. This paper presented ‘Adolescents who realize the will of God and practice reconciliation and equality’ as the purpose of education and presented ‘Adolescents who understand that God created all people as equals,’ as a subordinate goal while presenting ‘Young people who develop attitudes of respect for each other’ and ‘Young people who practice reconciliation of Jesus Christ.’ In addition, ‘Cultivation of critical reflection ability’, ‘Strengthening of respect for human rights’, and ‘Cultivation of reconciliation ability’ were proposed as educational contents closely related to this. As an educational evaluation, an evaluation method using group interview and questionnaire was proposed. Through this ‘Unconventional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Model’, the researcher expects that the critical reflection ability inherent in the adolescents who are experiencing various conflicts due to different idea and ideology on the unification will be cultivated so that they can resist against the conventional thoughts and acts and grow to the youth who respect the human rights of others and practice the love and reconciliation of Jesus Christ.

      • 기독교 대학의 예배 음악에 대한 이해와 음악 교육 실태 및 방향성 연구

        유은성 총신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91

        요약 한국에서 개신교 교회나 기독교 단체들이 예배를 드림에 있어서 찬양이 예배 순서에 없는 예배는 없을 것이다. 오히려 현 시대의 예배에서 찬양은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찬양은 음악이라는 매개체 없이 행위나 말을 통해서도 하나님을 높이며 칭찬할 수 있지만 대부분 음악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표현되어 진다. 음악은 사람의 감성을 터치하기 때문에 예배 때 사용하는 음악은 특히 중요하며 음악을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때로는 예배의 활력과 생동감을 주기도하고 때로는 잔잔한 감동과 긴장을 주어 예배에 필요한 요소에 활용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찬양 인도자나 찬양을 인도해야하는 위치에 있는 사역자들이 예배 음악에 필요한 기본적인 음악적 지식을 배우고 알아야 하며 그렇지 못할 경우 찬양을 하는 중간에 음악적인 실수나 오류를 범하기가 쉽고 그러한 실수를 통해 예배의 분위기를 어렵게 하거나 예배에 참여하는 자들의 감정을 잘못 이끌 수 있다. 중요한 것은 한국 교회들이 찬양에 대한 중요성과 예배의 관계성의 비중을 알기 때문에 이러한 찬양 인도를 신학을 전공한 부교역자나 신학 전공자에게 찬양인도자의 자리를 권유한다는 것이다. 설문 조사 결과 10명의 신학생들 중에 약 7-8명이 교회에서 찬양 인도에 대한 권유를 받고 있고 8-9명의 신학생들이 찬양인도에 필요한 실용 음악 과목이 기독교 대학 교육에 개설되어야 한다고 응답한 것은 기독교 음악 교육이 기독교 대학 중 신학과에서 절대적이고 필수적으로 필요하다는 증거이다. 분명한 것은 기독교 대학에서 신학에 관련된 교과목과 함께 실용 음악 에 관련된 교육을 받은 부교역자들이 세워지고 현장으로 나간다면 이들을 통해 교회 현장에서 바른 예배 음악이 정립되고 세워질 수 있으며 음악이라는 도구를 잘 사용하여 예배가 살아나고 성도들의 영적인 부흥이 다시 일어나며 그에 따른 한국 교회의 부흥이 불같이 일어나는 밑거름이 기독교 실용 음악 교육을 통해 시작 될 것이며 예배 현장 속에서 찬양을 통해 그 열매가 맺어질 수 있을 것이다. 결론 현대의 예배에 있어서 음악은 빠질 수 없는 중요한 위치에 있다. 그 부분은 목회자 뿐 아니라 일반 성도들 그리고 학교의 현장에서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사람은 영적인 존재이고 음악은 영적이고 감정적인 부분을 터치하기 때문에 예배에서 예배 음악에 따라 사람들이 더 깊은 하나님과의 만남과 은혜를 체험할 수 있는 통로의 역할을 감당하기 때문에 그만큼 예배 음악은 민감하고 주의 깊게 사용하고 다뤄야한다. 왜냐하면 음악을 인도하고 연주하고 부르는 주체가 바로 사람이기 때문에 그 사람들을 통해 하나님은 예배를 받으시기 때문이다. 그렇게 예배에서 사용되는 예배 음악이 중요하고 큰 비중을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너무나 무분별하게 예배로 들어오고 있다. 또한 이렇게 중요한 위치에 있는 음악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여 음악적인 실수를 하고 그로인해 예배의 흐름을 끊거나 예배에 집중하지 못하게 한다면 예배의 질은 떨어질 것이고 예배를 받으시는 주체인 하나님께도 기뻐하지 않으실 것이다 교회는 신학을 토대로 음악의 기반을 쌓아 공부하고 연구한 음악 전문 사역자들을 교회에서 배출 시키는데 투자를 아끼지 말아야 하며 교회의 상황과 사정이 어려운 교회들은 바른 신학과 함께 바른 음악 교육을 받은 사역자를 교회 안에 세워서 예배의 올바른 예배 음악을 통해 하나님께 찬양과 경배를 드려야하며 학교는 기독교 음악 교육을 통해 신학 위에 바로 서있는 음악을 받은 사역자를 지속적으로 교회로 또한 세상으로 배출해야한다. 많은 음악들이 교회 안으로 그리고 예배 안으로 들어오고 있다. 간접적인 찬양과 직접적인 찬양들을 잘 구분하여 예배 때 사용할 수 있는 음악과 사용할 수 없는 음악들을 나눌 수 있어야 하며 교회와 예배로 들어와서는 안되는 음악과 찬양에 대한 분별력을 갖추도록 잘 교육받은 예배 인도자를 통해 회중과 성도들을 예배와 찬양에 대한 바른 교육을 해야 하고 한국 교회의 CCM에 대한 무지로 인해 갖는 찬송가에 대한 부분은 무조건 적으로 관대하게 받아들여지고 CCM의 대한 부분은 무조건적인 거부와 선입견을 갖는 것은 교육을 통해 수정해 나가야 한다. 결코 멀티 사역자를 준비시키자는 것이 아니라 신학교육 과정에 조직신학, 역사신학, 실천신학 등 신학서론, 신학개론, 구약학, 신약학, 창조론, 구원론, 인간론, 상담학 등 목회에 있어서 필요한 과목들을 교육하는 학교 과정이 기독교 대학이기 때문에 현대 교회에서 담임 교역자나 전임 교역자나 파트 교역자로 사역하는 사역의 현장에서 필요한 신학 교육 과정에 기독교 음악 교육이 꼭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현대 사회에 있어서 목회자들이 성도들을 양육하고 지도함에 있어서 성도들의 상황과 어려움들을 이해하고 성경적인 해결점을 찾아주고 제시하는 것을 목회 상담을 통해 하고 있다. 교회에서 목회를 함에 있어서 목회 상담이 필요하기 때문에 교육 현장에서 목회 상담에 대한 교과 과목을 교육하고 있듯이

      • 교회학교 활성화를 위한 어린이 심방의 역할 고찰

        황윤경 백석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91

        Abstract Study on the Role of Children Visitation for the Vitalization of Church Schools Hwang, Youn-Kyoung Major in Christian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Baekseok University Recession of church schools is worsening today. In such a time, visiting children's places help us to know children's condition and circumstances, and it is a good opportunity to evangelize their parents, which means that it should not be ignored but important and urgent matter in Christian education. Today, many churches endeavor for visiting homes for adults' spiritual salvation and growth, whereas children's spiritual salvation and growth has been neglected. However, children are so important that they are going to carry on next generation and their spiritual growth and salvation is an important matter that we cannot overlook. Therefore, as a measure of resolving the problem of recession of church schools, this research attempts to consider the role of visits for activation of church schools in Christian education. Chapter Ⅱ examines physical,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that we are facing in order to help understanding children who are subjects of visits from children's structural perspective and looks at social, moral and spiritual characteristics and the problems that we are facing from functional perspective, which is to understand reality and needs of children. Children today have many characteristics physically, intellectually, socially, morally and spiritually, and because of child abuse, many stresses, various family situations, and bullying, they experience many difficulties and are important and urgent for spiritual salvation. Chapter Ⅲ investigates the needs and importance of visitation by looking at examples and biblical origin of the word in order to help biblical and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visitation. Visitation started from visitation of God who restored relation with humanity as he visited humans with many sins, and continued to visitation of Jesus who restored God's kingdom by healing, comforting and evangelizing, which is continued in the visitation of in-filling of the Holy Spirit. These visitations tell us that visitation was done to check our faith in God, encourage, guide in our life of faith, and have fellowship. In addition, by looking at the definition and purposes of visitation, it could be understood that visitation is to give benefits of life of faith in taking care of subject of visitation by those who have the heart of God. Chapter Ⅳ examines Christian education through understanding it's concepts and purposes, and studies educational role of visitation by looking at teachers as a visitor. Christian education is a study that teaches children to discover and develop their talents and gifts that God gave to them so that they can worship God properly and help others, which is their life. The final goal of the education is to help people to have a life of holiness and perfect that resembles God in the Bible so that they glorify God. Teachers as a visitor is a relational intimate, social, welfare, and spiritual being, visit and consult children as a friend, endeavor for salvation of children's spirits by helping them and solve problems happening in their life. ChapterⅤ proposes types, process and educational effect of visitation and explores processes of visitation in each stage, things that are needed in the preparation state through practical processes of visitation, and processes after visitation. In order to make visitation ministry effective, several things have to be in mind. Not only achieving the purposes of visitation, but not to make mistakes in visitation, visitors should check the things that help visitation. For effective visitation, there are basic things that have to be prepared. Therefore, this research attempts to help in planning and conducting visitation for children by planning it according to preparation, visitation, and after visitation state for visitations. In addition, visitation can help visitors to have personal relationship with children as they visit children's places and understand children's condition and family circumstance, and has educational meaning since it can be an opportunity to pray for specific requests and evangelize families with unbelievers. In terms of Christian education, visitation for children helps us to understand God's amazing plans for children as we have intimate relationship with children who have to be saved with love of God, to comfort weak people and help them to solve problems, help children to worship God as they find their talents and gifts that God gave to them and to live their life on the earth as they resemble Jesus Christ who sacrifices himself for people and the world, which have educational role. This study limits to considering the role of children visitation for activation of church school, but moreover, it is important for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ies of practical visitation and suggests urgent implementation of visitation in each church. 국문초록 교회학교 활성화를 위한 어린이 심방의 역할 고찰 황윤경 기독교교육학 전공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교회학교는 오늘날 침체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시기에 어린이 심방은 어린이의 형편과 상황을 알게 하고, 어린이의 부모에게 전도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점에서 기독교 교육에 있어서 절대 관과 해서는 안 되는 중요하고 시급한 일이다. 오늘날 수많은 교회는 어른들의 영혼 구원과 영적 성장을 위한 심방에 힘쓰고 있는 반면, 어린이의 영혼구원과 영적성장을 위한 심방은 등한시 되어왔다. 그러나 어린이는 다음세대를 이어가야 할 중요한 존재이며 이들의 영적 성장과 영혼구원은 더 이상 보고 있을 수 없는 중요한 일이다. 따라서 교회학교 침체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논문에서는 기독교 교육에 있어서 교회학교 활성화를 위한 심방의 역할을 고찰하고자 한다. Ⅱ장에서는 심방 대상자인 어린이의 이해를 돕기 위해 어린이의 구조적 차원에서 신체적, 인지적 특징과 당면 하고 있는 문제를 살펴보고, 기능적 차원에서 사회적 도덕적 영적 특징과 당면하고 있는 문제를 살펴봄으로 어린이의 현실과 필요에 대해 살펴보았다. 오늘날의 어린이는 신체적, 인지적, 사회적, 도덕적, 영적으로 많은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아동학대와 수많은 스트레스와 다양한 가정형편과 왕따로 인하여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영혼구원의 중요하고 시급한 문제 앞에 놓여져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Ⅲ장에서는 심방의 성경적, 신학적 견해를 돕기 위해 심방의 성경적 어원과 예들을 살펴봄으로 심방에 대한 필요와 중요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심방은 죄 많은 인간을 찾아오셔서 인류의 관계를 회복시키신 하나님의 심방에서 시작하여 어렵고 힘든 자들을 찾아와 만남과 대화를 통하여 삶에 놀라운 변화를 촉구하며, 치유하고 위로하고 전도하여 하나님의 나라를 회복시키시는 예수님의 심방으로 이어졌다가 성령 충만함을 받은 사람들의 심방으로 이어져 신앙을 점검하고 격려하며 신앙생활을 지도하고 교제하였음을 볼 수가 있다. 또한 심방의 정의와 목적을 살펴봄으로 심방이란 하나님의 마음을 품은 자가 하나님의 사랑으로 심방 대상자들을 돌아보아 신앙생활의 유익을 주기 위함임을 알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기독교 교육의 개념적 이해와 목적적 이해를 통해서 기독교 교육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심방자로서 교사에 대해 살펴봄으로 심방의 교육적 역할에 대해 살펴보았다. 기독교 교육은 어린이들이 하나님이 주신 재능과 소질을 발견하여 육성해 줌으로 하나님을 바로 예배하고 이웃에게 봉사하도록 하는 인간 본연의 삶을 살도록 가르치는 학문으로 교육의 최종 목적은 사람들로 하여금 거룩한 생활과 성경 안에서 하나님을 닮은 완전함을 소유케 하여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것임을 알았으며, 심방자로서의 교사는 친밀한 관계적 존재로, 사회‧복지적 존재로, 영적 존재가 되어 어린이들의 친구가 되어 집을 방문하여 상담하고 어린이들의 삶의 현장에서 일어나는 문제를 해결하고 도와주며 어린이의 영혼 구원을 위해 힘써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Ⅴ장에 이르러 심방의 종류와 심방의 과정, 심방의 교육적 효과를 제안해 봄으로 실제적인 심방의 과정을 통해 심방의 예비 단계에서는 무엇이 필요하며, 심방단계에서 어떻게 심방을 진행해야 하며 심방 이후의 단계에서는 무슨 과정이 필요한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심방 사역이 효과적인 방문이 되기 위해서 여러 가지의 내용들을 챙겨야 한다. 심방 하는 목적을 달성할 뿐만 아니라, 심방에서 실수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해 심방을 도와주는 사항들에 대해 점검이 있어야 한다. 효과적인 심방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준비해야 할 사항들이 있다. 따라서 심방을 하기 위한 단계로서 심방의 예비 단계와 심방 단계 심방 후 단계를 계획해 봄으로 어린이 심방을 계획하고 실천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또한 심방이란 어린이의 가정을 찾아가 어린이와 인격적인 교제를 나눌 수 있으며 어린이의 사정과 가정형편을 알게 되며 도울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기도할 수 있고, 불신가정을 전도하는 기회를 삼을 수 있다는 심방의 교육적 의미에 대해 알게 되었다. 기독교 교육에 있어서 어린이 심방은 하나님의 사랑으로 구원받아야 할 영혼들을 찾아가서 친밀한 관계를 맺음으로 가르침을 통해 어린이들을 향한 주님의 놀라운 계획을 알아가게 하며, 연약한 자들을 위로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어린이들에게 주신 재능과 은사들을 발견하여 하나님을 온전히 예배하며, 이웃을 향하여 세상을 향하여 봉사하는 성숙한 그리스도인의 모습으로 주님을 닮은 이 땅의 인간 본연의 모습을 살아갈 수 있도록 세워주는데 교육적 역할이 있다. 이 논문은 교회학교 활성화를 위한 어린이 심방의 역할을 고찰하는 것에 그쳤지만 더 나아가

      • 기독교대학 교양교육의 실천적 구성원리

        박현정 백석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9791

        본 논문은 문헌연구, 사례 분석, 그리고 양적 측정을 통해 기독교대학의 교육이념이 교양교육을 통해 실현되기 위해서 어떠한 요소들이 고려되어야 하는지, 나아가 이러한 요소들이 어떠한 단계와 과정을 거쳐 기독교대학 교양교육을 구성하는 원리로 작용하게 되는지를 제시한다. 이를 통해 기독교대학 교양교육을 신앙공동체 패러다임의 틀 안에서 기독교세계관과 소명개념에 근거한 비판적 탐구과정으로 개발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들을 제시하고, 이러한 요소들이 기독교대학 교양교육을 구성하는 원리로 작용하는 교육과정화의 단계를 제시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먼저 본 논문은 일반적인 교양교육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그리스 자유교육 정신의 유래와 자유교육이 시대적 요구를 수용하여 변천되어 온 역사적 과정을 고찰한다. 이를 통해 전공교육을 위한 예비교육의 성격과 개론수준의 도구적 과목으로 채워지는 현대 교양교육의 특징들이 전인적 교양 함양을 위해 편협하지 않는 지식과 지적, 정서적, 도덕적 능력의 개발을 추구하는 교양교육 본래의 의미와 상반된 것임을 지적한다. 근대 산업사회로의 변화가 본격화되면서 대학교육에서 직업수행을 위한 세분화된 전문교육을 중시하는 추세에 의해 직업교육과 상반된 개념으로 인식되어 오던 자유교육의 중요성이 급격하게 퇴색되었다. 이 후 지속적으로 교양교육의 중요성이 약화되고 전문적인 학문 영역으로 인식되지 못하면서, 교양교육이 전공교육을 위한 준비과정 정도로 인식되고 학문영역별 상식 수준의 내용을 전달하는 개론적 성격의 과목들로 채워지게 된다. 이러한 현상들은 전문적 직업교육으로 인한 대학교육의 지나친 세분화와 도구화를 극복하고 전인적 교육을 실천하기 위해 그 필요성이 대두된 교양교육 본연의 의미와 상당히 동떨어진 것이다. 그러므로 교양교육은 지적, 정서적, 도덕적 능력을 갖춘 전인적 지성의 개발이라는 교육목적을 반영하여 다양한 학문 영역에 대한 광범위한 지식을 습득하게 하고, 비판적 사고 능력을 키우며, 윤리의식과 책임감을 키우는 과정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고등교육기관으로서 기독교대학과 일반대학이 공유하는 교양교육의 목적 외에 기독교대학은 “기독교적 지성의 개발”이라는 차별화된 교육목적을 갖는다. 특히 교양교육은 대학이 추구하는 교육이념을 고스란히 반영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때문에 기독교대학의 교양교육은 차별화된 교육이념을 반영하는 고유한 교육과정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하지만 일반대학이 사회적 변화 요구를 수용하며 교육목적과 체계를 수정해 오는 동안, 기독교대학은 학문적 수월성에서 일반대학과의 경쟁에 뒤처지지 않기 위해 그들의 교육체계를 답습하는데 머물러 왔다. 이와 같은 역사적 고찰을 통해 기독교대학의 차별화된 교육목적이 반영된 교양교육과정 개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기독교대학교육의 목적과 특성에 근거하여 기독교대학의 교양교육이 갖추어야 할 요소들이 무엇인지 파악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기독교대학의 교양교육과정이 신앙의 탈사유화 특성, 교육과정의 탈분화적 특성, 그리고 교육내용과 범위의 광의적 특성을 반영하여 설계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대학이 당면한 교육환경의 변화들을 검토하고 기독교대학 교양교육과정의 특성들을 반영하여 교육과정화 작업이 이루어지는 원리와 과정을 제시하기 위해, 21세기 포스트모던 사회에서 대학교육이 당면하고 있는 사회적 요구들을 분석하였다. 현재 대학이 실용적 지성주의, 상대주의적 다원주의, 그리고 필요한 정보들을 선별할 수 있는 비판적 사고의 중요성을 반영하여 교육과정을 마련할 것을 요구받고 있으며, 이들 중 역사적으로 자유학문의 논리적 특성에 기원을 둔 대학교육의 본질과 깊은 관련이 있는 비판적 사고능력의 개발을 교양교육과정화 작업에서 비중 있게 다룰 것을 제언하였다. 기독교대학교육의 목적과 특성을 교육과정에 반영하고자 교육과정의 연속성과 통합성을 중시하는 신앙-문화화 공동체 패러다임의 적용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기독교대학 교육과정에 드러나는 문제점들을 극복해 나가기 위해서는 현재의 학교형 패러다임만으로는 신앙-교육공동체로서 기독교대학이 추구하는 기독교교육의 가치들을 충분히 교육과정화 작업에 반영할 수 없다고 판단하였다. 기독교교육이 공동체적 학습경험을 통한 지, 정, 의를 포함하는 학습자의 전인적 신앙성장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기독교대학 교육과정이 공통의 세계관을 토대로 연구하고 교육하며, 잠재적 교육과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기독교소명교육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현대 대학교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와 기독교대학교육이 갖는 특성을 반영하여 기독교대학 교양교육과정화 작업이 이루어지는 원리와 과정을 세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첫 째, 기독교세계관과 소명개념을 반영하는 통합중핵교육과정을 개발할 것을 제언하였다. 둘 째, 교양교육을 구성하는 교과목들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학문영역별, 학습단계별 균형을 추구하는 이수체계를 갖출 것을 제언하였다. 셋 째, 기독교대학 교양교육의 목적을 고려한 효과적인 교수방법을 개발하여 활용하고, 학습효과를 측정하여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갈 것을 제언하였다. 마지막으로 백석대학교와 한동대학교의 교양교육 현황을 교육목적, 졸업이수체계, 교양이수체계와 관련하여 살펴보고, 관찰 내용에 대한 개선점을 모색하여 제안하였다. 이와 함께 앞서 제시된 기독교교양과목의 운영을 마치고 측정한 학습결과를 양적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composed of literature review, case study, and quantitative analysis on the general education of Christian colleges, with an intention to suggest structural strategies for developing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of Christian colleges based on the core values of Christian education. The definition of general education is originated from the concepts of liberal education in Greek society and modified by later social transitions throughout the Middle Age, Renaissance and Reformation period and Modern Age. The historical analysis explains how decentralized and instrumental character of current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has been formed. It is noticeable that general education has continually weakened by the requests of training professional expertise since the eighteenth century. As a result, a reductionistic perspective, which perceives general education as mere pre-requisites for major requirements or instrumental survey classes, has been generally accepted. However, such perspective on general education is far from the substantial goals of general education.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should be aimed for developing learners' whole personality, stimulating critical thinking and logical reasoning, enhancing moral and ethical senses, fostering civic responsibilities, and so on. Besides these shared educational goals, Christian colleges have a distinctive educational goal in their own - cultivating Christian mind. General education program of a higher learning institution must reflect what the institution believes it to be a well-educated person. Christian colleges should make an effort to develop their own creativ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reflecting their distinctive educational goals. Unfortunately, however, most of the Christian colleges of today have ended up imitating the academic systems and methodologies of non-Christian colleges for the sake of achieving academic excellence. Having these current problematic trends as a background, this dissertation intended to examine what distinctive educational goals Christian colleges have and what educational values and principles should be integrated in constructing Christian colleges' general education system.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e general education of Christian colleges should be a focal point for integrating faith and learning, the core curriculum for overcoming decentralized character, and a vocational training center for integrating faith and everyday life. In order to present structural strategies for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of Christian colleges, a thorough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enty-first postmodern society has conducted. Educational pragmatism, relativistic pluralism and critical thinking are introduced as examples of social challenges of this era to higher learning institutions. The researcher also examined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faith enculturation community paradigm as a frame of developing general education programs at Christian colleges. The researcher found that a schooling paradigm was not appropriate enough to develop the distinctive values of Christian education. Instead, Christian education needs to underscore Christian integrity in harmony of learners' cognitive, affective, behavioral and spiritual growth through sharing life experiences in a faith community. Thus, any educational programs of Christian colleges should be constructed on the basis of Christian educational values having a communal Christian worldview, utilizing implicit curriculum, and practicing Christian vocation. The researcher proposed structural strategies for developing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of Christian colleges in three aspects. First, Christian colleges need to develop integrated core curriculum based on Christian worldview and Christian vocation as a centerpiece of faculty development and further interdisciplinary studies for integrating faith and learning. Second,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of Christian colleges needs to take the various educational fields and learning developmental process seriously. Third, Christian colleges must commit themselves to facilitating effective teaching methodologies and measuring specific learning outcomes of general education. This dissertation also supplemented a case study to diagnose the current situation of Baekseok and Handong University's general education, respective of their educational goals, graduation requirements, and general course requirements. An addendum is attached at the end to present a quantitative analysis to measure the learning outcomes of the Christian liberal arts curricula mentioned above.

      • 유아양육을 위한 기독교 부모교육

        김보경 이화여자대학교 신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775

        현대사회의 급속한 경제 성장과 과학의 발달은 인간 문명의 편리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성장은 사회구조 변화 및 가족 구조 변화 등의 다양한 문제점들을 만들어 내고 있으며 이로 인해 일반 가정은 물론 기독교 가정에도 예전에 볼 수 없었던 역기능적인 문제들이 나타나고 있다. 가정은 인간 형성이 이루어지는 교육의 현장이며 누구나 가정이라는 장소를 통해 삶의 과정에 필요한 기초적인 행동 양식을 배우고 인격을 형성해 가는 곳으로 특히 유아기 성장 발달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곳이다. 또한 가정에서 유아는 부모와의 상호 관계를 통해 인격을 형성해 가며 종교적, 도덕적 생활태도 등을 배워 나간다. 따라서 유아를 양육시키는 첫 번째 교사의 역할을 하는 부모는 유아 양육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감당하게 된다. 그러므로 유아를 온전한 인격과 기독교 신앙을 가진 인간으로서 성장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부모로서 부모됨의 역할을 감당해 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를 위한 교육을 위해 교회와 가정의 교육적 중요성을 깨닫고, 교회와 가정의 연계 교육으로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함을 제안하고 있다. 그리고 유아기 자녀의 신앙 교육을 위한 노력과 기독교 신앙을 가진 부모됨의 역할과 기능을 잘 감당하도록 하기 위해 효과적인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함을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교회에서 실시하고 있는 유아와 함께 하는 부모교육 프로그램 사례들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기독교 가정에서 유아 양육을 위해 교회와 가정이 연계된 부모교육 프로그램들을 모색해 보았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유아 양육을 위한 부모교육은 교회와 가정이 연계된 교육으로 진행되어야 하며, 교회의 적극적인 지원과 관심으로 부모교육프로그램을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따라서 현대 사회의 다양한 가족구조와 부모들의 역할의 변화로 인해 많은 시간을 낼 수 없다는 점을 감안하여 주일 유아, 유치부 예배를 통하여 유아와 함께 할 수 있는 부모교육 방법과 정보화 사회에 발맞추어 인터넷 부모교육 방법, 그리고 모임 활동을 통한 부모교육 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제 한국 교회는 다양한 변화와 문제를 가진 현대 가정과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들에 대해 새로운 교육적 책임을 가져야 하며, 특히 유아기 교육의 중요성을 깨달아 부모를 위한 교육이 선행되어야 함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교회와 가정의 연계교육으로서 부모교육을 통해 자녀의 신앙 성장은 물론 부모의 신앙 성장과 부모로서의 책임감을 가질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교회는 감당해야 할 것이다. Today's rapid economic growth and scientific advancements are exerting great influence on the convenience of human civilization. However, these growths in turn are creating diverse problems such as changes in the social and family structures. As a result, unprecedented inverse functional problems are rising in both regular and Christian families. Family is the field of education where human beings are formed. Anyone learns the basic behavior and norms, needed for their lives, through the place called home. It is also where the characters of human beings are formed. In particular, family exerts most influence on the growth of children. Moreover, children at home form their characters based on interaction with their parents, and they also learn religious and ethical life norms. Accordingly, parents who play the role of the first teacher in rearing children are critical in child rearing. Thu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raining, to enable parents to play their role in order to cultivate the children into rightful human beings with Christian faith. Accordingly, this research helps raise awareness on the educational importance of the church and homes to ensure effective parental training for child rearing. Moreover, it recommends the development of training program for parents as linkage education between church and family. To enable effective playing of parents' roles and functions and to help them make the necessary effort to instill Christian faith in their children, this research recommends development of effective training program for parents. In this study, research and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training programs for parents that are executed along with children and which are underway in churches. As such, training programs for parents in which the church and family are linked for the cultivation of children in Christian families were investigated. A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raining for parents for child rearing needs to be conducted as a training program that links the church with the family. The development of training program for parents based on the church's active support and consideration is needed. Accordingly, given that parents cannot spare time due to the diverse family structure of today and changes in the role of parents, method of training parents in line with the age of information by leveraging the Internet and group activity is examined as a way of training parents along with their children during Sunday infant and children sermons. Now, the Korean church needs to assume new educational responsibility for parents who rear children and in the modern families that face diverse changes and problems.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become aware of the fact that training for parents needs to be conducted first by realizing the importance of children education. Accordingly, the church needs to play the role of helping parents gain sense of responsibility and of helping them increase their faith with the end of increasing the faith of children through linkage education of the church and family.

      • 성경 인물을 통한 청소년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신정숙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75

        본 연구는 학교 교육현장에서 점점 더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진로교육에 대해 살펴보고, 학교에서 진행되는 진로교육에 아무 준비 없이 내몰리는 기독교 청소년들에게 제공되어야 할 기독교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면서 시작되었다. 기독교 세계관이 세워지지 않은 상태에서 전 생애에 영향을 미치는 청소년기의 진로탐색이 세상에서 추구하는 가치관으로만 이끌려 진행된다면, 기독교 청소년들은 자신의 정체성을 잃어버린 채 세상의 원리에 이끌리듯 진로 탐색을 할 것이고 또한 진로목표의 성취를 위해 모든 힘을 쏟을 것이다. 그들이 경험했던 진로교육에서 세우지 못했던 든든한 기초를 세울 수 있게 도와야 한다. 그래서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먼저 학생들이 학교 교육 현장에서 준비 없이 경험한 진로교육 내용에 대해 기독교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재해석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육 내용은 성경 속 인물의 이야기로 설정하였다. 성경의 이야기가 먼 옛날의 신화 속 이야기가 아닌 우리와 같은 삶을 살아냈던 사람들이었음을 인식하고, 모델링 학습을 통해 그들과 동일하게 우리 삶에서도 함께하시며, 일하시는 하나님을 만날 수 있게 돕는다. 교육 방법은 HOOK-BOOK-LOOK–TOOK의 교육 방법을 통해 우리의 실제의 삶에 적용하고, 특히, 가정과 연계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여 교회-가정이 연결되는 신앙교육 환경을 만들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진로탐색역량으로 진로 흥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목표를 세울 수 있도록 힘이 되어주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 그리고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소명의식이 향상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독교 진로교육 개발을 위해 먼저 학생들에게 올바른 기독교 세계관을 세워주고, 이를 통한 진로교육이 진행될 수 있도록 ‘창조-타락-구속’의 관점과 ‘소명’으로 인식하는 기독교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진로교육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진로발달이론을 통해 청소년기의 진로탐색의 특징을 이해하고 어떠한 조력이 필요한지 확인하였고, 홀랜드의 인성이론을 통해 각자의 특성에 맞는 가장 적합한 진로를 찾는 방법을 확인하였다. 개인의 심리적 요소와 사회적·환경적 변인 등이 어떻게 진로결정이나 행동의 선택과정에서 작용하는지 설명하는 이론인 사회인지진로이론의 진로선택 이론을 바탕으로 기독교적 진로탐색의 경험이 학생들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에 영향을 주어 진로 흥미를 이끌고, 그 속에서 목표를 세우고 실제 행동을 유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학교 진로교육의 현황과 비교하여 기독교 진로교육의 현황을 살피고, 기독교 진로교육의 개발 및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성경 인물을 통한 청소년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었고, 이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첫 번째, 본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진로교육 과정을 그대로 따라 설계되었다. 학생들이 학교 진로교육 현장에서 경험한 진로활동의 내용들을 기독교 세계관으로 바라보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두 번째, 친숙하게 만날 수 있는 성경 인물의 삶을 통해 그들의 삶을 관찰하고, 그 삶의 결과를 통해 자신의 삶 속에서도 일하시는 하나님을 기대할 수 있게 돕는 모델링 학습을 진행하는 것이다. 세 번째, HOOK-BOOK-LOOK-TOOK의 교육 방법을 활용하여 효과적인 가르침이 일어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네 번째, 유연한 교육과정 구성으로 가정과 연계하거나, 주일학교 예배와 연결하거나, 직업인 멘토링과 같이 다른 진로탐색 프로그램과 자유롭게 연계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기독교 교육 현장에서 사용될 수 있는 청소년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로 실제 현장에서 시행되지 않아 후속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 프로그램 실행을 통해 학생들의 진로소명의식이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결과기대 등의 역량의 변화를 확인하고, 이후의 더 효과적인 기독교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활용되어야 할 것을 제언한다.

      • 청소년의 성품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이해주 총신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75

        기독교교육 안에서 성품교육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이것은 “그리스도의 장성한 분량까지 자라가라”(엡4:13)는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하는 것이며, 복음전도와 영적인 성숙이라는 교회의 본질에도 부합되는 일이다. 그런데도 그동안의 교회교육이나 각종 기독교 단체의 교육에서 성품교육은 아예 무시되거나 일반 인성교육으로 오해하여 “있으면 좋고 없어도 그만”이라고 생각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런 생각이 한국교회와 신자들의 삶에 큰 고통과 좌절을 가져왔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교회와 기독교학교의 청소년들에게 성경적인 성품을 계발시켜 주기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것을 통해 교회나 기독교 단체에 속해 있는 청소년은 물론, 교회의 모든 연령층에 적용할 수 있는 성품교육의 준거 틀을 마련하고, 실제 수업에 사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진행 안의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내용을 보면, 첫째 성경적인 성품교육에 대한 이론적인 배경을 조직신학적, 발달심리학적, 교육학적 접근으로 연구했고, 둘째 성품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을 설계하여 성품교육의 특징을 고려한 성품수업 안에 대한 준거 틀을 마련했고, 셋째 이것을 기초로 청소년 문제의 가장 큰 원인 중에 하나인 올바른 가치관의 실천, 즉 솔선에 초점을 맞추어서 교회와 기독교학교에서 사용할 수 있는 성품수업 교수-학습 진행 안을 만든 후 이것을 분당에 있는 독수리기독중고등학교에서 실제 수업으로 진행한 결과를 질문지법에 의해 조사하고 평가했다. 이러한 연구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품교육에는 신학적 배경뿐만 아니라 발달심리학적 배경과 기독교교육학적 배경이 필요하며, 이것이 성품교육의 이론과 실제에 뿌리가 된다. 또한 성품교육은 성화에 속하기 때문에 그 궁극적인 힘의 원천은 하나님이지만, 그러면서도 인간의 노력과 협력이 필요한 부분이다. 이것을 위해 우리는 인간의 내면에 대한 연구와 인격의 3요소인 지성, 감정, 그리고 의지에 대한 연구를 통해, 과연 무엇이 인간을 움직이고 행동하게 하는가에 대한 깊은 이해와 통찰을 가져야 한다. 이와 더불어 인간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인격의 3요소인 지·정·의에 주목해야 하고, 지·정·의가 함께 변화되지 않으면 인격의 변화가 어렵다는 점을 발견하게 되었다. 둘째, 성품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을 설계할 때 인간의 내면에 초점을 맞추고 인격의 3요소를 모두 다룰 뿐만 아니라 지·정·의 각각에 맞는 교육과정을 만들어야 하며, 청소년과 성품교육의 특징에 맞는 학습방법과 교수법을 선정해야 한다. 또한 교육내용의 조직은 청소년의 흥미와 필요를 고려할 뿐만 아니라 학습에 대한 집중도를 높이기 위해 심리적인 순서와 논리적인 순서를 다 고려한 절충식 배열을 취해야 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셋째, 이렇게 만들어진 성품수업 교수-학습 진행 안을 가지고 실제 기독교학교에서 수업을 진행한 결과는, 학생들이 성품의 개념에 대한 숙지, 즉 인지적인 면에서는 많은 발전이 있었으나, 성품의 실천에 큰 영향을 주는 정서적인 면에서는 아직 동기부여가 부족했고 학생들의 자세나 태도를 바꿔줄 수 있는 방법을 좀 더 강화할 필요가 있었으며, 마지막으로 의지적인 면에서는 인간의 의지가 인지적인 깨달음과 정서 문제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앞으로 인간의 지·정·의의 상호 관련성에 대한 연구를 좀 더 진행하여 성품교육의 효과를 높일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앞으로의 성품교육에 대한 많은 연구에 도전이 되고, 나아가서 한국교회와 기독교학교, 또 기독교 가정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성품교육 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촉매제가 됨으로써 한국교회와 기독교 단체의 실천적인 기독교교육에 밑거름이 되기를 바란다.

      • 개신교교회 청소년의 정체성과 신앙교육과의 상관성 연구 : 대전지역을 중심으로

        유재령 호서대학교 연합신학전문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9775

        ABSTRACT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ristian Youth's Identity and the Faith Education of Protestant Churches in Daejeon, Choong-Nam Province of Korea Jae-Lyoung Yoo The United Graduate School of Theology Hoseo University CheonAn, S.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Dong-Joo Kim, Ph.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task and direction of faith education focused on establishing Christian identity of the youths by developing the measurement tool for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quo of the identity of the Protestant church's adolescent generations. The summary of the doctoral thesis including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Christian identity is in fact an identity: common to all Christians. The youth period is the time when this Christian identity is formed by choosing and trying as one's will. Erikson, however, said that at this critical time, if adolescents fail to establish self-identity, they will experience identity confusion. First, the problem of identity confusion was diagnosed by examining the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in the hyper connected age. Meerha Hahn once mentioned that the Korean youths who experiencing identity confusion are easily exposed to the following four crises; premature sexual premature, greed and addiction, porno-content contact, and devaluation of human life. According to developmental psychology, adolescence is a time to solve the challenge of establishing identity. Recently, the youth generations are newly named and divided by every 15 years, such as 1)Generation millennials, 2)Generation Z, and 3)Generation Alpha, and has different values among generations in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In particular, Generation Z, the current generation of teenagers, faces a serious identity crisis due to the digital environment. Second, In Korean church history,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testant church was an important educational place for the formation of Christian identity. In the curriculum of the corrent church school, traces of efforts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youth were found. It was also found that education of identity through the community of faith was important. Third, this study conceptualized Christian identity to assess the identity of Christian youths. Five concepts, e.g. God's image, conviction of salvation, free will, community spirit and initiative were carefully defined as the key components for explaining the Christian identity of youths. And the conceptualization of this study employed the five components in order to logically articulate and correlate one and another to address what the Christian identity is. For this, previous theological and biblical studies of Christian identity, socio-psychological theories on the youth identity, and the theory of community of faith were thoroughly reviewed. In sum, as the Christian youths grow, they are able to firm the foundation for their faith and life through learning at least these 5 components of theological as well as biblical and communal identity. So to speak, they are now able to bring their life into Christian community. Fourth, a statistically reliable measuring tool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study on the Christian identity of youths. A survey was conducted on 1,011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attend churches for developing a measuring tool. Exploratory factor analysis(EFA) and Promax Rotation using the Maximum Likelihood Method were performed. As a result, Christian identity consists of five factors with 71.242% variance. Cronbach’s α was all higher, above 0.817. The number of items in the developed tool was decided into 23 and 5 components. The image of God, which is a component of Christian identity, is relat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reator God and human beings and includes the fact that man became a child of God by God's sovereignty and grace. Free will is associated with the pride of faith and the content of autonomous religious attitudes. The assurance of salvation includes the content of belief in the salvation of Jesus Christ and the results of faith. Community spirit is the content of the attitude toward others and initiative is related to the attitude of leading life. Fifth, using the developed tools, the identity of Christian youths who are now attending church was analyzed with 2-way ANOVA according to gender and according to born Christian or no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od's image, assurance of salvation and initiative, depending on whether or not born Christian. In particular, the assurance of salvation had an interaction effect according to gender and whether or not born Christian.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ree will and community spirit according to gender and whether or not born Christian. The identity factor affecting the happiness of Christian youth was free will. In addition, free will contributes greatly to raising Christian pride and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redibility of church education. Therefore, education is needed to strengthen the free will. Among the elements of Christian identity, community spirit was strongly correlated with the level of adherence to rules and etiquette. Prayer and worship were the preferred methods of spirituality education for Christian youth, and effective methods of spirituality education were worship, church training programs, and prayer meetings. But the Bible study, which was generally recognized as an important religious education, was found to be ineffective as a spiritual education method. Therefore, appropriate Bible study methods should be suggested for Generation Z. In conclusion, the period of faith has an important effect on the Christian identity of adolescents. But the fact that he grew up in a Christian environment from a young age cannot guarantee that he established a Christian identity. In reality, Christian youth are also experiencing identity chaos. In addition, because there are not many young people living revealing their Christian identity, the church must focus on education to establish its identity. Therefore, the church must be willing to lean shoulders for the wounded young soul in times of identity turmoil. And the church should provide an education of salvation and an education that give Christian youths the purpose and direction of life as a Christian. The church has a responsibility to provide community education so that young people can have a firm faith that is not affected by the temptations and pressures of the environment. 본 연구는 초연결시대 기독청소년들의 정체성 측정 도구개발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삶 및 신앙교육과의 상관성을 분석함으로서 기독교 정체성 확립을 위한 신앙교육의 과제와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첫째, 초연결시대 청소년들의 심리사회적 특성을 고찰함으로서 정체성 혼란의 문제를 진단하였다. 청소년기는 발달심리학적 특성상 정체성 확립의 과제를 해결해야 하는 시기에 있다. 최근 청소년 세대는 M세대, Z세대, Alpha세대로 구분되며 급변하는 사회속에서 세대 간의 차이점을 보인다. 또한 현재 청소년 세대인 Z세대의 특성을 디지털 환경으로 인해 심각한 정체성 위기에 직면해 있다. 둘째, 한국 교회사를 통해 개신교교회는 기독교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교육현장이 되어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현재 교회학교의 교육과정에서도 청소년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노력의 흔적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정체성 교육의 중요한 장은 신앙공동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기독청소년의 정체성을 평가하기 위한 기독교 정체성의 개념화가 이루어졌다. 기존의 기독교 정체성 연구, 성서의 청소년 정체성 고찰, 사회심리적 field theory, 신앙공동체의 이론적 배경을 종합하여 하나님형상, 구원의 확신, 자유의지, 공동체성, 주도성이라는 기독교 정체성의 구성 요소를 확인하였다. 넷째, 기독교 정체성 구성요소를 토대로 기독청소년의 정체성을 평가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도구개발을 위한 설문조사는 교회에 출석하는 중·고등학생 1011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탐색적요인분석(EFA)은 Maximum Liklihood 방식으로 Promax Rotation 하였다. 그 결과 기독교 정체성은 71.242%의 설명력(variance)을 나타냈며 5개 하위구성요소(factors)로 구성되었다. Cronbach’s α는 0.817 이상으로 모두 높았다. 개발한 도구의 문항 수는 23개, 5개의 구성요소로 최종화 되었다. 기독교 정체성 구성요소인 하나님형상은 창조주 하나님과 피조물인 인간의 관계, 하나님의 주권과 은혜에 의한 자녀됨과 관련된다. 자유의지 요소는 신앙에 대한 자부심, 자율적인 신앙생활태도의 내용과 관련된다. 구원의 확신 요소는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에 대한 믿음, 믿음의 결과와 관련된 내용으로 구성된다. 공동체성 요소는 타인에 대한 나의 태도의 내용이며 주도성 요소는 주도적 삶의 태도와 관련되어 있다. 다섯째, 개발한 도구를 이용하여 현재 교회에 출석중인 기독청소년의 정체성을 성별, 모태신앙별로 분석한 결과(2-way ANOVA) 모태신앙여부별 하나님형상과 구원확신 및 주도성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모태신앙인 경우 더 높았다. 특히 구원의 확신은 상호작용(interaction effect)이 있었다. 그러나 자유의지와 공동체성은 차이가 없었다. 기독청소년의 삶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정체성 요소로는 자유의지의 기여도가 매우 높았다. 또한 기독교적 자부심을 높이는데도 자유의지의 영향력이 높으며, 교회교육에 대한 신뢰도에도 유의한 영향력이 있었다. 따라서 자유의지를 높이는 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기독교 정체성 요소 중 공동체성 요소는 규칙과 예절의 준수 정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기도하기와 예배는 기독청소년이 선호하는 영성교육방법이며 효과적인 영성교육방법은 예배, 교회 훈련프로그램, 기도회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신앙교육의 중요한 부분인 성경공부는 영성교육방법으로 효과적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 Z세대에 적합한 성경공부방법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결론적으로 신앙시작시기는 청소년의 기독교 정체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어린시절부터 기독교적 환경에서 자랐다는 사실만으로 기독교 정체성을 확립했다고 단언할 수는 없다. 현실에서는 기독청소년 또한 정체성 혼란을 경험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기독교 정체성을 드러내며 살고 있는 청소년이 많지 않다는 것을 생각할 때 오히려 교회가 청소년들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교육에 초점을 맞추어야 할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교회는 정체성 혼란의 시대에 살고 있는 청소년에게 영혼의 안식처가 되어주며 구원에 대한 교육과 함께 삶의 목적과 방향을 제시하는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 교회는 전공동체적인 교육을 통해 청소년들이 주변 환경의 유혹과 압력 속에서도 영향을 받지 않는 확고한 신앙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해야 할 책임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