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農村地域 住民들의 保健醫療院 利用樣相과 聯關要因

        황병덕 慶北大學校 保健大學院 1990 국내석사

        RANK : 248719

        농촌지역 주민들의 보건의료원에 대한 인식도 및 이용양상을 파악하여 보건의료원 제도와 관련된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1990년 9월 24일부터 90년 9월 28일까지 5일간 경상북도 울진군 소재 국민학교 3개교와 중학교 3개교의 학부모들에게 설문지를 배부, 회수된 832가구의 가구원 3,754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응답자는 남자 60.3%, 여자 39.7%였고 연령은 30, 40대가 81.3%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교육수준은 고졸이 40.3%, 의료보장형태로는 지역의료보험이 44.1%를 차지하였다. 응답자의 58.4%가 보건의료원이라는 명칭을 알고 있었는데, 응답자의 학력과 수입이 높을수록 그리고 거주지역이 보건의료원에 근접한 지역일수록 보건의료원에 대한 인식도가 높았다(p<0.0l). 보건의료원의 진료사업 내용중에서 의료보호대상자 진료와 치과진료를, 각각35.1%와 31.0%가 알고 있었으며, 보건예방서비스 사업에서는 예방접종사업을 36.1%로 가장 많이 인지하고 있었는데, 학력과 지리적 근접도가 높을수록 보건의료원의 사업내용 인지도는 높게 나타났다. 보건의료원의 연간 외래이용율과 예방서비스이용율은 대상자 100명당 11.1회 및 4.5회였으며, 입원이용율은 10,000명당 34.6회였다. 보건의료원 이용동기는 잘나아서(45.7%), 약이 좋아서 (45.2%), 거리가 가까워서 (42.9%) 순이었다. 일반병의원과 비교해서 보건의료원의 진료수준이 더 좋다고 응답한 이용자는16.3%였고, 더 못하다는 19.0%였다. 또한 보건의료원의 진료비가 저렴하다고 한 응답자는 61.5%인데 비해 비싸다고한 경우는 3.9%였다. 보건의료원 이용시의 교통수단으로는 도보가 55.0%, 버스가 35.5%로 대부분이었다. 보건의료원 이용시 느낀 불편사항으로는 장시간 대기가 46.7%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이용시간이 제한되어 있어서가 17.8%였다. 보건의료원을 한번도 이용하지 않은 이유로는 아픈적이 없어서가 33.5%, 교통이 불편하고 거리가 멀어서가 28.0%, 장시간 대기한다고 해서가 12.8%순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아직도 보건의료원에 대한 인식이 낮고, 잘못 인식하고 있는 주민이 많기 때문에 보건의료원에 대한 전반적인 홍보가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보건의료원의 이용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의료시설, 장비확충과 더불어 의료진의 보강이 필요하고 관리의 효율성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health medical center utilization pattern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the rural inhabitants for the purpose of contribution to establishment of health medical center institution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for object of 3,754 population of three primary school and three middle school student's parents(total 832 household) in kyungbook Ulchin Gun rural area from 24 to 28 September, 1990. The summarized result are as follows. Respondents are 60.3% in sale, 39.7% in female and 30-40s 81.376 in age, high school graduates 40.3% in education level and a regional medical insurance scheme in 44.1% in forms of health insurance. Recognition for health medical center was showed higher according to high educational, high income level, and short distance for location of health medical center of respondents (p<0.01). Recognition for health medical center services was showed higher about care of medicaid in medical treatment services and higher preventive vaccination in health prevention services by respondents. Utilization rates of health medical center by out-patient care and preventive care service were 11.1 and 4.5 per 100 persons by year. but admission utilization rate was 34.6 per 10.000 persons by year. Motivations of health medical center utilization were showed a good care-(45.7%), a good drugs(45.2%), and nearby health medical center(42.9%). In comparison health service levels of health medical center with general clinic was better(16.3%), similar(38.7%), and worse(19.0%) in view of health medical center utilizators. Inconvinience about health medical center utilized was the most higher longtime waiting, the next was limited utilization times. Transportation utilited were on foot(55%), by bus(35.5%), and so on. As mentioned above there are many inhabitants who less understanding and acknowledgement about health medical center, therefore, it was need generally information for health medical center. Accordingly there must be considered medical facilities improvement, expansion of equipment, reinforced to medical staffs, and promoted efficiency of management according to higher make use of health medical center.

      • 경상남도 주민의 보건기관 이용도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혜진 인제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19

        국 문 초 록 경상남도 주민의 보건기관 이용도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 혜 진 (지도교수 : 전 진 호)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관리학과 목적: 지역사회 보건의료서비스 소비자들의 보건의료 이용 경험 및 만족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1년 경상남도 시․군의 지역사회건강조사에 참여한 만 19세 이상 성인 18,101명 중, 관련 자료가 충실한 17,868명(시 지역 9,182명, 군 지역 8,68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동 조사의 조사 내용 중 본 연구에서 이용한 자료는 주이용 의료기관 유형, 보건기관 이용 경험과 만족도, 보건기관 제공 서비스 경험, 보건기관 제공 교육홍보 경험, 필요의료서비스 미 충족 여부, 미 충족 이유, 지역의 의료서비스 여건 만족, 타 지역 의료 이용 및 이유 등의 의료이용 특성과 거주 지역, 성, 연령, 교육 및 소득수준, 결혼상태 등의 대상자 특성이었다. 자료 분석은 SPSS 프로그램(ver. 18.0, Chicago, Illinois, USA)을 이용하였으며, chi-square test, t-test, ANOVA로 특성별 율과 평균치를 비교하고, 보건기관 이용 여부와 만족도에 대한 단변량 및 다변량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통계적 유의성의 판단기준은 α=0.05로 하였다. 결과: 전체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53.6세였고 군 지역에서 여자와 고령이 더 많았으며, 교육과 소득 수준이 낮았다(P<0.001). 주이용 의료기관은 대부분 병의원(80.3%) 이었으며, 보건소는 7.8%로 낮았다. 보건기관이용 경험률은 시 지역 38.4%, 군 지역 58.3%로 군지역이 높았으며(P<0.001), 이용 이유는 비용(40.0%), 거리(33.1%)가 많았다. 보건기관이용 만족도는 만족 76.4%로 대체로 만족하는 편이었으며, 군지역의 만족률이 상대적으로 높았다(P<0.001). 필요의료서비스 미 충족률은 16.7%, 경제적 이유로 인한 미 충족률은 24.9%였다. 보건기관 서비스 유형별 이용 경험은 예방접종(69.7%), 일차 진료(46.5%), 건강검진(16.1%), 방문검진(12.5%) 등은 비교적 높았던 반면, 건강교실(6.1%), 모자보건(4.9%), 영양관리(2.0%), 정신보건(0.8%) 등은 매우 낮은 편이었다. 보건기관 제공 교육홍보 경험은 고혈압(31.3%), 당뇨병(29.5%), 관절염(24.0%), 치매(22.5%), 아토피(18.6%) 순으로 많았으며, 모두 군 지역에서 시 지역 보다 높았다(P<0.001). 특성별 비교에서 보건기관 서비스 이용 경험은 군 지역, 여자, 고 연령층에서 더 높았으며, 보건기관 서비스 이용 만족은 군 지역, 고 연령층에서 더 높았다(P<0.05). 보건기관 서비스 유형별 만족도는 일차 진료, 방문보건 등에서 유의하게 높은 편이었으며, 보건기관 제공 교육홍보 유형별 만족도는 관절염, 고혈압, 당뇨병, 치매, 아토피 순이었다.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 결과 보건기관이용 경험률은 군 지역(OR=1.61, 95% CI=1.50~1.73), 여자(OR=1.73, 95% CI=1.61~ 1.85), 고 연령층(45-64세 OR=1.08, 95% CI=0.99~1.19, 65세 이상 OR=3.55, 95% CI=3.15~4.00), 필요의료서비스 미 충족이 있는 경우(OR=1.27, 95% CI=1.16~1.39)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높은 교육수준(중고등 OR=0.78, 95% CI=0.71~0.86, 대학이상 OR=0.84, 95% CI=0.74~0.96), 높은 소득수준(200≤ OR=0.87, 95% CI=0.81~0.94), 지역 의료서비스 여건에 만족하는 경우(OR=0.80, 95% CI=0.75~0.86) 유의하게 낮았다. 보건기관 이용 만족도는 고 연령층(45-64세 OR=1.20, 95% CI=1.31~1.39), 65세 이상 OR=1.61, 95% CI=1.32~1.96), 필요의료서비스 미 충족이 있는 경우(OR=1.15, 95% CI=1.00~1.31) 유의하게 높았으며, 지역 의료서비스 여건에 만족하는 경우(OR=0.56, 95% CI=0.51~0.63) 유의하게 낮았다. 거주 지역, 성별, 교육, 소득 수준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 보건기관이용 경험과 만족도는 지역의 여건과 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지역 간 격차 해소와 상대적 취약 군을 위한 지역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며 민간의료 와의 적절한 역할분담과 함께 핵심 공공의료 서비스의 내용과 충실도를 개선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중심단어: 보건기관, 공공의료, 이용, 만족 ABSTRACT Influencing Factors of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of Public Health Institute among Gyungsangnam-do Residents Hye-Jin, Lee (Directed by Prof. Jin-Ho Chun, M.D., Ph.D.)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Inje University Purpose: To assess the experiences and satisfactions about public health institutes use of a community dwelling residents. Methods: Study subjects were total 17,868 adults (urban 9,182, rural 8,686) who subjected 2011 community health survey in Gyungsangnam-do. Collected informations were abou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use of health services and unmet healthcare needs, etc. Data analysis was done with chi-square test, t-test, ANOVA, and simple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ver 18.0), Chicago, Illinois, USA). Results: Mean age of the total subjects were 53.6 years, and more women, higher age, lower education and income in the rural area (P<0.001). In the type of using health organizations, public health institutes was low as 7.8% but higher as hospital 80.3%. The experience of public health institutes use higher in rural area (58.3%) than urban area (38.4%), and the major reasons why were cost (40.0%) and distance(33.1%), etc. However, they satisfied about public health institutes use, generally. The scale of unmet healthcare needs was 16.7% with 24.0% from economical shortness. Experiences of use the public by the service type were relatively higher about vaccination (69.7%), primary care (46,5%), screening (16.1%), home visiting care (12.5%), however, quite lower about health education (6.1%), maternal and child health (4.9%), nutrition (2.0%), mental health(0.8%). In the comparison by the characteristics, experiences of use the public were higher in rural area, women and older age group, and the satisfactions were higher in rural area and older age group. By the service type, the satisfactions were higher in primary care and home visiting care. As a result of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experiences of the use public were higher in rural area (OR=1.61, 95% CI=1.50~1.73), women (OR=1.73, 95% CI=1.61~1.85), older age group (45-64 years OR=1.08, 95% CI=0.99~1.19, over 65 years OR=3.57, 95% CI=3.17~4.03), hold unmet healthcare need (OR=1.27, 95% CI=1.16~1.39), however, lower in higher education (high and middle school OR=0.78, 95% CI=0.71~1.00, university OR=0.86, 95% CI=0.76~0.97), higher income (200≤ OR=0.87, 95% CI=0.81~0.94) and in case satisfied with local medical service condition (OR=0.56, 95% CI=0.50~0.62). The satisfactions were higher in older age group (45-64 years OR=1.20, 95% CI=1.03~1.39), over 65 year (OR=1.61, 95% CI=1.32~1.95), hold unmet healthcare need (OR=1.15, 95% CI=1.00~1.31), but lower in case satisfied with local medical services (OR=0.56, 95% CI=0.51~0.63). The residential district, gender, education, income had no associations with the satisfaction. Conclusion: The experiences and satisfaction about public health use were identified as different with residental area and subjects’ characteristics. The effort from local governance are needed to reduce regional disparity, and to support the vulnerable group. Furthermore, with moderate sharing roles in private healthcare service, the contents and quality of public health service would be needed to improve. Key words: Public health institute, Utilization, Satisfaction

      • 초등학교 구강보건사업의 치아우식증 예방효과 : 사업군과 비사업군에서의 치아우식증 관련지표 추적관찰

        이정화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19

        목적: 학교구강보건사업을 실시한 학교(사업군)와 실시하지 않은 학교 (대조군) 학동들의 치아우식증 관련지표를 추적 관찰하여 학교구강보건 사업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한 것이다. 방법: 경남 Y시의 1997년부터 학교구강보건사업을 실시하고 있는 일개 초등학교 학동 230명과 대조군 초등학교 학동 225명을 대상으로 2003년 4월 현재의 치아우식증 관련지표를 비교 관찰하였다. 한 명의 치과의사가 모든 구강검사를 담당하여 영구치우식경험자율(DMF rate), 우식영구치지수(DT index), 충전영구치지수(FT index), 우식경험영구치지수(DMFT index), 구강위생관리능력지수(PHP index) 등의 우식증 관련지표를 산출하였으며, 잇솔질 방법과 회수 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ver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결과: 전 학년의 영구치우식경험자율 (DMF rate) (OR and 95% CI=0.81 and 0.68∼0.97)과, FT index 및 DMFT index는 사업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나(p<0.001) DT index와 PHP index는 차이가 없었다. 설문응답에서 전체의 올바른 잇솔질(회전법)은 27%∼28%, 하루 3번이상 잇솔질은 37∼38%, 취침전 잇솔질은 61∼65%였으며 두 군 간에 차이는 없었다. 취침전 잇솔질을 하는 경우에서 DMF rate(p=0.072)와 DT index(p=0.070)가 낮은 편이었으나, 잇솔질 방법과 횟수에 따라서는 관련지표의 차이가 없었다. 결론: 구강보건지표의 학년별 증가율이 사업군(A학교)에서는 낮은 반면, 대조군(B학교)에서는 상대적으로 급격한 증가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대표적인 구강보건지표로 활용되고 있는 DMF rate와 DMFT index가 사업군(A학교)에서 유의하게 낮게 관찰되므로 시행한 구강보건사업은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저학년에 비하여 고학년에서의 효과는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아홈메우기의 자연 탈락 등을 고려한다면 초등학생에 대한 구강보건사업은 지속성이 특히 중요한 것으로 여겨지며, 한정된 인력이 다수의 초등학교를 담당하고 있는 현행 구강보건사업 체계보다는 학교구강보건실의 역할 강화를 통한 지속적인 사업 제공과, 동기유발을 강조하는 구강보건교육의 강화가 절실하다. Objectives: To evaluate the preventive effects of oral health care program for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ESOHCP) on the development of dental caries through the longitudinal case-reference study for the indices related to dental caries Methods : Subjects were 230 students of the one elementary school subjected ESOHCP from 1997 (case), and 225 students of the other one elementary school (reference) in Yangsan area. During April 2002, oral health examination was entirely done by a dentist to minimize inter observer variation, and the DMF rate, DT index, FT index, DMFT index, and PHP index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Brief questionnaire survey about their habits of teeth brushing was also done.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SPSS (ver 10.0) program. Results: For the total grader, DMF rate (OR and 95% CI=0.81 and 0.68∼0.97), FT index and DMFT index were lower in the case group than the reference group (p<0.00l),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DT index and PHP index. The habits of teeth brushing had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deal method (rotation) 27%∼28%, more three times 37∼38%, brushing before sleep 61∼65%, in total. Conclusions: It considered that the ESOHCP was effective because the increase of indices by the grader were slower, and DMF rate and DMFT index were lower in the case group. However, the ESOHCP leaved much to be desired especially in the higher grader with natural loss of the previously pit and fissure sealant, etc. Therefore, the continuity and paralleled preventive health education would be emphasized for enhancing the efficiency of ESOHCP.

      • 페루 내 미충족의료의 영향요인: 코로나19 전·후 비교를 중심으로

        이정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19

        Background: Since 2020, the rapid spread of the COVID-19 pandemic has negatively affected access and use of health care services around the world (Blanchet et al., 2020; Pujolar, Oliver-Anglès, Vargas, & Vázquez, 2022). I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which already suffer from large disease burdens and scarce resources, COVID-19 has exacerbated these strains on their health care systems. The impact of COVID-19 is not equal across populations of different socioeconomic status, race, and ethnicity, exacerbating existing inequity in access to health care services (Núñez et al., 2021; Orekeke et al., 2021; Roy et al., 2021). Despite continuing efforts to achieve universal health coverage in Peru, the prevalence of the Peruvian population’s unmet needs in health care remained high and increased from approximately 53% before the pandemic to 65% after. However, only a handful of research has addressed unmet health care needs in Peru. It is imperative to identify individual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a high risk of experiencing unmet health care needs, specifically during the pandemic in order to minimize limited access to essential health care services and negative health outcomes.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a high risk of experiencing unmet health care needs among the Peruvian population, changes in these factors, and their effect before and after the pandemic. By doing so, this study intends to seek measures to meet health care needs of individuals, who are at high risk of experiencing unmet health care needs, and to improve equity in health care access. Methods: In order to identify changes in factors associated with unmet health care needs in Peru before and after the pandemic, this study used the 2019 and 2021 National Household Survey (Encuesta Nacional de Hogares, ENAHO) conduc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Statistics and Information (Instituto Nacional de Estadística e Informática, INEI) of Peru, which is representative of the entire Peruvian population. The research model was constructed based on Andersen and Newman’s behavioral model of health service utilization.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eruvian population’s unmet health care needs. Three binary logit models were estimated in this study. The first and the second model study the effects of common factors associated with unmet health care needs before and after the pandemic, using the 2019 and 2021 datasets respectively. The third model explores the effects of common factors before and after the pandemic, with the addition of COVID-19-related factors using the 2021 dataset. Results: Among the Peruvian populations who had health care needs at any time in the four weeks preceding the survey in 2019 and 2021, the prevalence of unmet health care needs was 54% and 65%, respectively. In 2019, male sex, young age, ethnic minority status, long working hours, low income, no access to health insurance, non-Lima residence, urban residence, disability, no contraction of chronic disease, and no hospitalization or surgical history in the past year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experiencing unmet health care needs. In 2021, sex, age, disability, income reduction due to COVID-19, and receiving COVID-19 subsidies were not found to have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unmet health care needs. Whereas, low education level, having non-COVID-19 health care needs, and no vaccination history for COVID-19 within the past three month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 odds of experiencing unmet health care needs. Ethnic minority status, long working hours, low income, no access to health insurance, non-Lima residence, urban residence, no contraction of chronic disease, and no hospitalization or surgical history in the past year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unmet health care needs as in 2019.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policy recommendations were derived. First,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monitor the level and patterns of unmet health care needs in the Peruvian population and take relevant measures so that the high prevalence of unmet needs does not remain permanent. Second, effective risk communication strategies should be developed and adopted in order to improve access to health care services for people with low education levels amid the pandemic. Third, greater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health of ethnic minorities in Peru, who are at the intersection of low income levels, low educational attainment, and vulnerable residences. It is essential to take action to meet the health care needs of ethnic minorities, with consideration of their cultural backgrounds and beliefs in health. Fourth, increased focus should be given to improving the quality of public health care and expanding its substantial service coverage by allocating more financial resources to the sector, which will lead to enhancing the capacity and resilience of the overall health care system in Peru. Fifth, efforts to reduce overall inequality in Peruvian society are vital to the improvement of health care access for the vulnerable. The current study is the first effort that has attempted to comprehensively explore and compare individual factors associated with unmet health care needs in the Peruvian population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outbreak, where a high prevalence of unmet needs in health care merits more attention. The study suggests that future research should employ mixed research methods to explore and analyze in depth the context and mechanisms of unmet health care needs in Peru. Future research should consider the factors that the current study could not cover,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dataset employed, such as individual health behaviors and beliefs, satisfaction with health services, and distribution of health care resources in the community. 연구배경: 2020년부터 지속된 코로나19 팬데믹의 급격한 확산은 전 세계의 보건의료서비스 접근과 이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Blanchet et al., 2020; Pujolar et al., 2022). 또한, 코로나19는 이미 질병부담이 높고 자원이 부족한 중저소득국가의 보건의료체계에 부담을 가중하고 있으며, 코로나19의 영향은 사회경제적 지위, 인종, 종족(ethnic groups)과 같은 요인에 따라 불균등하게 나타나고 있어 기존의 보건의료서비스 접근에 대한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있다(Núñez et al., 2021; Orekeke et al., 2021; Roy et al., 2021). 페루 내 보편적건강보장(Universal Health Coverage) 달성을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페루 인구의 미충족의료 경험률은 팬데믹 이전부터 약 53%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었으며, 팬데믹 이후에는 약 65%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페루 내 미충족의료 연구는 활발하지 않은 상황이며, 인구 전체를 대상으로 한 미충족의료의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인 실정이다. 팬데믹으로 인한 보건의료서비스 접근성 제한과 그로 인한 부정적 건강 결과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팬데믹 상황하에서 어떤 특징을 가진 개인들이 미충족의료를 경험할 위험이 더 높은지 파악하고, 이들의 보건의료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연구목적: 본 연구는 페루 인구 전체 수준에서 미충족의료의 영향요인을 탐색하여 미충족의료를 경험할 위험이 높은 개인들의 특성을 확인하고, 코로나19 이전, 이후로 이러한 특성들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파악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미충족의료를 경험할 위험이 높은 개인들의 보건의료 필요를 충족시키고 보건의료 접근의 형평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 모색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페루 내 코로나19 이전, 이후 미충족의료 영향요인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는 전국 대표성이 있는 자료인 페루 국립통계정보원(INEI)의 전국가구조사(Encuesta Nacional de Hogares, ENAHO) 2019년, 2021년 자료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Andersen과 Newman (1973)의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의 결정요인 모형에 기반하여 연구모형을 구축하였으며,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미충족의료의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회귀 모형은 코로나19 전·후 공통요인을 투입하여 2019년 자료를 분석한 모형 1, 코로나19 전·후 공통요인을 투입하여 2021년 자료를 분석한 모형 2, 코로나19 전·후 공통요인과 코로나19 이후 요인을 추가로 투입하여 2021년 자료를 분석한 모형 3 총 세 가지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2019년과 2021년 페루 내 보건의료 필요가 있었던 사람 중 미충족의료를 경험한 사람의 비율은 각각 약 54%, 65%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2019년 페루 내 미충족의료 경험과 유의한 연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난 요인은 남성 성별, 젊은 연령대, 소수 종족, 일자리 보유 및 긴 노동시간, 낮은 소득분위, 건강보험 미가입, 비수도권 거주, 도시 거주, 만성질환 미보유, 장애 보유, 지난 1년간 입원 또는 수술 경험 미보유였다. 팬데믹 이후인 2021년 자료 분석 결과, 성별, 나이 및 장애 유무, 코로나19로 인한 소득 감소 경험, 코로나19 보조금 수혜 여부는 미충족의료와 유의한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낮은 수준의 최종학력, 코로나19가 아닌 다른 상병 보유, 지난 3개월 이내 코로나19 백신 미접종은 코로나19 이후 미충족의료의 경험을 유의하게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수 종족, 일자리 보유 및 긴 노동시간, 낮은 소득분위, 건강보험 미가입, 비수도권 거주, 도시 거주, 만성질환 미보유, 지난 1년간 입원 또는 수술 경험 미보유는 2019년과 유사하게 미충족의료와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에 기반하여, 다음의 정책적 제언을 도출하였다. 첫째, 팬데믹 이후 증가한 높은 수준의 미충족의료 경험률이 고착화되지 않도록, 페루 인구 전체 수준에서 미충족의료 수준과 양상에 대한 지속적인 추적 관찰과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팬데믹 상황하 교육수준이 낮은 사람들의 보건의료 접근성 확대를 도모하기 위해 효과적인 위기 의사소통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셋째, 낮은 소득수준, 낮은 최종학력, 취약 거주지와 모두 교차하는 지점에 있는 페루 내 원주민 소수 종족의 건강에 관심을 가져야 하며, 이들의 문화적 배경과 건강에 대한 신념을 고려하여 이들의 미충족의료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넷째, 공공보건의료서비스의 품질 개선과 실질적 보장 확대 및 그를 위한 재정 투입 확대를 통해 보건의료체계 전반의 역량 및 회복탄력성 강화를 도모해야 한다. 다섯째, 사회 내 전체적인 불평등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미충족의료 경험률이 높지만 미충족의료가 상대적으로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는 페루 인구를 대상으로, 인구 전체 수준에서 코로나19 이전, 이후 페루 내 미충족의료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수준의 영향요인을 포괄적으로 탐색하여 비교하고자 시도한 첫 연구로서 그 의의가 있다. 향후 자료원의 한계로 본 연구에서 포함하지 못한 개인의 건강 관련 행태와 신념, 보건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지역사회 보건의료자원의 분포 등 개인 차원의 요인과 공급자 요인을 모두 고려하여 페루 내 미충족의료의 심층적인 맥락과 기전을 분석하기 위한 혼합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 지역정신보건센터의 서비스 우선순위와 표준 업무수행방식에 대한 연구

        이명수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19

        In Korea,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CMHC) is an important infrastructure of national mental health service system and is expected to play a major role for the prevention, promotion, management and rehabilitation of mental illness.Although everyone can agree with the importance of CMHC as an key unit of national mental health system, there are many debates about what and how the CMHC should do. So we need the consensus about the direction and service standard of CMHC in the near future.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service priority and standard performance of CMHC.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the delphi method. 40 experts of community mental health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future directions and service priority of CMHCBased on a general increase and strengthening the quality of mental health services to serious mental illness, we can expand to other candidates such as child & adolescent, depression, aged people and so on with rational priority setting process.2) Standard performancea. screening and primary mental health services (eg; counseling & providing information) for early psychosis, child & adolescent, depressed people and geriatric mental health problemsb. specialized mental health services(case management) for the serious mentally ill people, depressed people, child and adolescentc. education and consultation for the serious mental illness, child and adolescent, depression and suicide high risk groupd. crisis intervention for the high risk group of suicide and serious mental illnesse. public relations and community organization for the improvement of attitude toward mental illness and for the reintegration of mental illness patients into societyWe expect these results can be applied to national mental health service guideline for the standardization of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우리나라는 1995년 정신보건법의 제정과 지역정신보건센터의 설치를 기점으로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을 시작하게 되었다. 그동안 센터의 수는 증가하였고 다양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왔지만, 정신보건센터의 역할 설정에 대해서는 점차 그 논란이 가중되어 오는 실정이다. 이에 사업의 가치 및 이념에 대한 공감대 형성과 더불어, 정신보건문제 및 사업목표에 따른 객관적 우선순위 선정이 필요하고 미래 지향적 과업을 고려한 정신보건센터의 정체성 확립이 필요한 시기라고 할 수 있다.본 연구는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여 공공정신보건의 가치 실현과 목표 달성을 위해서 중요한 축으로서 기능하고 있는 정신보건센터의 서비스 우선순위와 표준적 업무체계에 대해서 조사해 보고자 하였다. 지역정신보건사업에 상당한 전문적 지식을 가지고 있는 40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두 차례에 걸쳐 델파이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고 이를 분석하였다.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만성중증정신질환자 대상 사업의 성장이 다른 영역의 성장보다 앞서야 하나, 만성정신질환을 포함하는 중증정신질환자 관리사업의 질적 향상과 상대적 비교우위를 유지하는 전제하에 다른 영역의 사업비중도 점차 증가해야 한다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둘째, 정신보건센터의 업무수행방식 중 우선순위가 높은 항목들은 다음과 같다.- 초기정신질환자. 우울증, 소아청소년, 노인정신질환에 대한 스크리닝 및 일반상담- 만성정신질환자 및 초기정신질환자, 우울증 및 소아청소년에 대한 전문적 사례관리 서비스- 만성정신질환, 초기정신질환, 소아청소년, 우울증 및 자살, 노인정신 건강 영역에 대한 지역사회 교육 및 자문- 자살고위험군 및 중증정신질환에 대한 응급관리- 인식개선과 사회통합을 위한 홍보 및 지역사회 조직 활동본 연구 결과는 향후 국가정신보건서비스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를 통해 정신보건센터의 표준적서비스 체계가 구축됨으로서 보편타당성을 획득함과 동시에, 지역사회의 다양한 욕구 충족 방안을 수립 실천함으로서 적절한 정신보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보건소 실무자의 경험을 통해 본 주민참여의 의미 : 서울시 참여형 보건지소 사례연구

        정다솔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19

        보건의료 분야에서 주민의 참여가 강조된 것은 최근에 일어난 현상이 아니다. 참여는 사회의 문제가 점차 다양해지고 복잡해짐에 따라 기존의 정부와 시장중심의 해결방식이 한계를 보이며 강조되기 시작하였으며, 보건의료 분야도 예외는 아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보건의료 분야의 주민참여를 높이기 위한 본격적인 시도는 1990년대 지방자치제도를 통해 이뤄졌으며, 이후 지역보건의료계획과 최근의 참여형 보건지소 설립 계획에 이르기까지, 주민들이 스스로 지역의 건강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 능동적인 참여를 이뤄내고자 하는 정부의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하지만 참여를 높이기 위한 정부의 시도가 늘어나고 목표로 하는 주민참여의 수준이 높아짐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우리나라의 주민참여는 그 형태나 방식이 형식적인 수준에 머물고 있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지금까지의 연구를 통해 밝혀진 주민참여 활성화의 장애요인은 크게 주민의 역량 문제나 참여 제도의 미흡함이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참여에 대한 공무원의 부정적 인식과 태도가 새로운 요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정부에서 목표로 하는 높은 수준의 주민참여 사업이 제대로 이뤄지기 위해서는 해당 직원들의 업무 및 제도에 대한 이해와 수용성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여겨지고 있다. 지금까지 참여에 관련된 많은 연구들이 이뤄졌음에도 주민참여 사업을 진행하는 주체인 공공조직의 직원을 대상을 한 연구는 극히 드물었다. 이에 본 연구는 주민의 직접적인 참여를 기반으로 하는 참여형 보건지소의 업무 담당자의 경험을 토대로 주민참여의 의미와 인식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토대로 현재 보건소 직원들의 참여 수용성의 수준과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직원들이 인식하는 참여의 중요성과 활성화 요인을 통해 참여 수용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참여형 보건지소 직원들의 경험을 통해 개인의 인식을 보는 연구로, 현상을 수량화하는 양적 연구보다 개인의 경험 및 인식을 알아보는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참여형 보건지소를 통해 참여에 대한 인식이 직원과 주민 모두에게서 긍정적으로 변한 것을 볼 수 있었다. 직원들의 경우 주민들으 참여를 통해 사업이 더 효율적으로 운영되며 주민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높아졌으며, 주민들 또한 자신의 의견이 직접 반영됨을 경험하면서 공조직에 대한 신뢰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참여 수용성 향상에 가장 큰 영향요인은 직접적인 경험을 통한 인식의 변화 및 주민과의 신뢰관계 형성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앞으로 더 넓은 의미에서 조직 전체의 참여 수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참여를 이해할 수 있도록 교육을 제공하고 조직의 문화나 환경을 변화시켜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放射線士의 職務滿足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성대 仁濟大學校 保健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719

        보건의료기관은 지역주민에 대한 진료기능 뿐만 아니라, 교육, 연구기능까지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보건의료기관에 종사하는 보건의료 인력들의 직무만족은 지역주민들에게 양질의 보건의료서비스 제공에 크게 기여한다. 본 연구는 보건 의료기관에 종사하는 방사선사들의 근무실태 및 직무만족에 관련된 요인을 밝혀냄으로써 합리적인 인력관리와 업무생산성 향상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남도내 소재하는 보건의료기관별 방사선사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성실히 응답한 254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설문내용은 사회인구학적 특성 및 직무만족에 관한 내용을 자기 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해 2003년 3월 17일부터 3월 24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개인적 특성 및 의료기관별 특성은 빈도분석과 백분율을 구하였고, 직무만족과 관련된 하위요인들은 t-test, ANOVA, correlation coefficient, mutiple stepwise regression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업무량에 대한 부담은 종합병원이 3.20으로 보건소의 2.71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P=0.014), 남성이 3.10으로 여성의 2.76에 비해 유의하게 업무량에 대한 부담이 높았다(P=0.008). 2. 동료관계에 대한 만족도는 보건소가 다른 의료기관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고(P<0.001), 맞벌이를 안하는 군이 3.64로 맞벌이 하는 군의 3.46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15). 3. 승진에 대한 만족은 종합병원이 2.70으로 다른 의료기관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P=0.014), 남성이 2.54로 여성의 2.27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20). 4. 급여에 대한 만족은 보건소가 2.78로 병원의 2.25보다 유의하게 높았고(P=0.008), 여성이 2.67로 남성의 2.36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17), 노조가 있는 군이 2.79로 노조가 없는 군의 2.25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01). 5. 후생복리에 대한 만족은 의원이 2.38로 다른 의료기관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고(P<0.001), 기혼이 2.85로 미혼의 2.70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47). 노조가 있는 군이 3.02로 노조가 없는 군의 2.68보다 유의하게 높았고(P<0.001), 이직경험이 있는 군이 2.94로 이직경험이 없는 군의 2.64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01). 6. 직무만족은 보건소가 2.71로 종합병원의 3.06보다 유의하게 낮았고(P=0.017), 이직경험이 있는 군이 3.04로 이직경험이 없는 군의 2.85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20). 7. 직무만족은 그 하위요인인 인정(r=0.666), 승진(r=0.616), 동료관계(r=0.539), 상사관계(r=0.485), 후생복리(r=0.476), 급여(r=0.408) 등의 순으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01). 8. 단계별 회귀분석결과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변수로는 동료관계, 인정, 승진, 급여, 후생복리에 대한 만족이 정의 관계에 있었고, 이들 변수가 직무만족을 설명하는 정도는 65.7%였다. 9. 직무만족과 관련된 요인을 의료기관별로 회귀분석한 결과, 보건소 근무자들은 동료관계가 유의하게 관련되어 36.8%를 설명하였다. 의원 근무자들은 상사관계, 인정, 급여와 관련된 변수들이 직무만족에 유의하게 관련되어, 68.1%를 설명하였다. 병원 근무자들은 인정, 후생복리, 승진, 동료관계가 유의하게 관련되어 79.6%를 설명하였다. 종합병원 근무자들은 인정, 승진, 급여가 유의하게 관련되어 56.9%를 설명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볼때 직무만족은 동료관계, 상사관계, 인정, 승진, 급여, 후생복리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의료기관별 분석에서 나타난 자료를 바탕으로 생각해볼 때, 보건소 근무자들의 직무만족의 향상을 위해서는 동료관계 개선을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며, 의원에서는 원장과의 관계개선을 위한 충분한 대화나 방사선 협회 차원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병원과 종합병원에서는 인정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직장에서 전문 직종으로 인정을 받기 위한 계속적인 직무교육과 이를 뒷받침할 자체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활용해야 할 것이다. Health services organizations have various functions, including health service in community. For those functions to be done effectively, the personnels who work in those health services organization should be satisfied with their job.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factors 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of radiology technologis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radiology technologists of various health service organizations in Kyungsangnam Province.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featuring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work related variables and job satisfaction from 17th to 24th March.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percentage, t-test, ANOVA,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workload of general hospitals was 3.20 and i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public health centers with 2.71(P=0.014). And that of men was 3.10 and i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women with 2.76(P=0.008). 2. The colleagueship satisfaction of public health center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other health services organizations(P<0.001), and that of single-income couples was 3.64 and i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double-income couples with 3.46(P=0.015). 3. The promotion satisfaction of general hospital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other organizations(P=0.014), and that of me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women(P=0.020). 4. The satisfaction with pay level of public health centers was 2.78 and i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general hospitals of 2.25(P=0.008). And that of women was 2.67 and i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men with 2.36(P=0.017). That of groups with labor un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without labor union(P<0.001). 5. The satisfaction with welfare of the private clinic was 2.38 and it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other organizations(P<0.00l). And that of married was 2.85 and i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unmarried with 2.70(P=0.047). That of groups with labor un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groups without labor union(P<0.001). 6. The overall job satisfaction of public health centers was 2.71 and it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general hospitals with 3.06(P=0.017). And that of those who had experienced job-switch was 3.04 and i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ose who had not(P=0.020). 7. The overall job satisfaction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recognition by others(r=0.666), promotion(r=0.616), colleagueship(r=0.539) and relationships with superiors(r=0.485). 8.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overall job satisfaction was positively affected with colleagueship, recognition, promotion, pay level and welfare, and 65.7% of it was explained by these variables. 9. In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for each health services organizations, the overall job satisfaction of public health centers was positively affected with colleagueship, and that of private clinic was positively affected with relationship with superiors, recognition and pay level, and that of hospitals was positively affected with recognition, welfare, promotion and colleagueship, and that of general hospitals was positively affected with recognition, promotion and pay level. Above results showed that the overall job satisfaction was closely related with colleagueship, relationship with superiors, recognition, promotion, pay level and welfare. And we also found several factors 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of subgroups. From these results, we recommend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colleagueship for those who work in public health centers. And it is also necessary to improve the relationship with superiors for those who work in private clinics. And for those who work in hospitals and general hospitals, the recognition is essential factor for job satisfaction, so the education programmer that will improve the professional capability is needed.

      • 國內 인터넷上의 保健 醫療 情報의 評價 硏究

        박경화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19

        21세기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가장 중요한 것이 인터넷과 건강에 대한 정보라고 여겨질 만큼 일상 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인터넷은 세계를 하나로 묶는 네트워크로 지구상의 어느 곳에서 개발된 신물질이나 건강 관련 정보도 공유하게 만들었다. 오늘날은 자신에게 일어나는 조그만 상처부터 크게는 생명을 위협하는 암에 이르기까지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얻는 상황이 되었다. 이런 정보 교환이라는 사회 변화는 전문 지식을 요구하는 보건, 의료분야에서도 그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그 동안 의료서비스에 대한 지식은 매우 전문적이란 이유로 의료인들이 독점하였고, 소비자인 환자는 의료인이 제공하는 의료정보에 수동적으로 의존해 왔었다. 그러나 지식과 정보가 교류하는 인터넷의 발전과 경제성장으로 인한 소득증가와 첨단 기술 발달로 인한 의료기술의 발전은 소비자의 건강에 대한 기대감과 요구를 증가시켰고, 환자나 가족, 일반인들은 일반적인 건강증진을 위한 단순한 건강행위에서부터 의료의 전문적인 지식에 이르기까지 포괄적인 의학지식을 요구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요구에 인터넷은 요구를 충족시켜주는 가장 효과적인 매체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이렇게 인터넷은 우리에게 필수요소가 되었는데, 인터넷을 통해 얻는 정보가 모두 정확한 것이 아닌데 문제가 있다. 오히려 잘못된 정보로 인해 위협을 받을 수도 있다는 사실은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웹사이트에 올라 있는 여성관련 의료정보 중에서 골다공증, 유방암, 자궁암의 정보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료는 2001년 3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 총 49개의 한국의 보건사이트, 보건소 10개, 종합병원 15개 및 기타 24개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평가기준은 신뢰성, 접근용이성, 내용적절성, 자료인증과 연결성 및 편리성의 5가지 항목으로 구분하였으며 likert 척도에 따라 평가하였다. 웹사이트는 비교의 편의상 보건소, 종합병원 및 기타로 나누었으며, 질병별로 기관별 평균점수를 구하여 비교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보건소의 경우, 골다공증에 대해서 신뢰성은 보통(15), 접근용이성은 하(12), 내용적절성은 보통(15), 자료인증과 연결성은 하(11) 및 편리성은 보통(14)으로 나타났다. 유방암에 대해서 신뢰성은 보통(14), 접근용이성은 하(13), 내용적절성은 보통(15), 자료인증과 연결성은 하(12) 및 편리성은 보통(14)으로 나타났다. 자궁암에 대하여는 신뢰성은 하(13), 접근용이성은 하(12), 내용적절성은 보통(15), 자료인증과 연결성은 하(11) 및 편리성은 보통(14)으로 나타났다. 종합병원의 경우, 골다공증에 대해서 신뢰성은 상(20), 접근용이성은 보통(16), 내용적절성은 보통(18), 자료인증과 연결성은 보통(14) 및 편리성은 보통(17)으로 나타났다. 유방암에 대해서 신뢰성은 상(20), 접근용이성은 보통(16), 내용적절성은 보통(18), 자료 인증과 연결성은 보통(14) 및 편리성은 보통(17)으로 나타났다. 자궁암에 대하여는 신뢰성은 상(20), 접근용이성은 보통(16), 내용적절성은 보통(18), 자료 인증과 연결성은 보통(14) 및 편리성은 보통(16)으로 나타났다. 기타의 경우 골다공증에 대해서 신뢰성은 상(20), 접근용이성은 하(12), 내용적절성은 보통(16), 자료인증과 연결성은 하(10) 및 편리성은 보통(15)으로 나타났다. 유방암에 대해서 신뢰성은 상(21), 접근용이성은 하(13), 내용적절성은 보통(17), 자료 인증과 연결성은 하(11) 및 편리성은 보통(17)으로 나타났다. 자궁암에 대하여는 신뢰성은 보통(18), 접근용이성은 하(13), 내용적절성은 보통(18), 자료 인증과 연결성은 하(10) 및 편리성은 보통(15)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보건정보의 내용의 신뢰성을 제외하고는 모두 보통 이하의 평가를 받았다. 따라서 일반인들이 웹사이트 상의 보건의료정보를 안심하고 이용하게 하기 위하여 보건의료전문가에 의한 내용검증이 필요하며, 주기적인 갱신과 정보의 신뢰성을 부여하기 위한 정보인증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medical information about women's health such as osteoporosis, breast cancer and uterine cancer on the Korean web-sites. This study analysed 49 Korean health sites from March 1, 2001 to March 31, 2001 through search engine like daum, hanmir, lycos and yahoo. Evaluation criteria were devided into 5 different categories as follows reliability, accessibility, appropreateness of contents, authentication and link, and conveniency, and the web-sites were scored with likert scale by those criteria. The web-sites were classified into 3 different categories such as health center, hospital, and others. for the conveniency and compared mean scores by diseases and the categor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case of health center, reliability was good(l5), accessibility was low(l2) , appropreateness of contents was good(15), authentication and link was low(12), conveniency was good(14) for osteoporosis. Reliability was low(l4) , accessibility was low(l3), appropreateness of contents was good(15), authentication and link was low(12) , conveniency was good(l4) for breast cancer. Reliability was low(l3), accessibility was low(l2), appropreateness of contents was good(15), authentication and link was low(l1), conveniency was good(13) for uterine cancer. In case of hospital, reliability was excellent(20), accessibility was good(16), appropreateness of contents was good(18), authentication and link was good(14), conveniency was good(17) for osteoporosis. Reliability was excellent(20), accessibility was good(16), appropreateness of contents was good(18), authentication and link was good(14), conveniency was good(18) for breast cancer. Reliability was excellent(20), accessibility was good(16), appropreateness of contents was good(18), authentication and link was low(14), conveniency was good(16) for uterine cancer. In case of others, reliability was excellent(20),accessibility was low(12), appropreateness of contents was good(16), authentication and link was low(10), conveniency was good(15) for osteoporosis. Reliability was excellent(20) , accessibility was low(13), appropreateness of contents was good(17), authentication and link was low(11), conveniency was good(17) for breast cancer. Reliability was good(18), accessibility was low(13), appropreateness of contents was good(18), authentication and link was low(10), conveniency was good(15) for uterine cancer.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the score were good or low except reliability.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verify health information before it is loaded on the web-site, to update periodically, and to introduce authentication system for the approateness of health information by medical professionalist. As a result of this researcher will make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for accessing medical information in the web-sites; First, the retrieval system concerning medical-information in web-sites must be developed to offer correct information to the medical worker. Second, to evaluate about medical-information, it needs to set a new standard. Third, above all, it needs to give consideration to the internet user, so that the medical-information web-site can be developed more effectively.

      • 학교계속구강건강관리 실시에 따른 초등학생의 구강보건 실태 비교

        김현숙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19

        초등학교 학동기의 구강보건행동은 일생동안 구강건강관리의 기초가 된다. 그러므로 평생구강건강의 기본이 되는 영구치가 맹출하는 초등학교 시기의 예방 지향적 구강보건사업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본 연구는 1999년 보건복지부 보건증진국의 구강보건과를 중심으로 전국적으로 15개 학교에 구강보건실이 설치된 지 만 3년이 지난 현재 학교구강보건실의 효과와 개선방안을 모색하고, 아동의 구강보건관리 실천 행태에 따른 구강보건 관리 실천 방향과 지도방향을 모색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 사업군은 1999년도 울산지역에 구강보건실이 설치된 언양읍 E초등학교 1-3학년 아동 151명과, 대조군으로 구강보건실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언양읍 B초등학교 1-3학년 아동 1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002년 2월 1일부터 2월 9일까지 연구자가 직접 실시한 설문조사와 함께, 조사자간의 오차를 줄이기 위해 한 명의 치과의사가 구강검진을 실시하였다. 설문에 응답하고 구강검사에 응한 331명 전원을 분석에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영구치우식경험자율(DMF rate)은 사업군에서 41.1%였고, 대조군에서 50.0%를 나타내었다. 특히 1학넌에서 사업군이 20.0%로 대조군의 37.3%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성별로 보았을 때 남학생에게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여학생에게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우식경험영구치지수(DMFT index)는 사업군에서 유의하게 낮았으며, 성별로 나누어 살펴보았을 때에도 남녀 모두 유의하게 사업군에서 낮았다. 3. 우식경험영구치율(DMFT rate)은 사업군 5.5%, 비교군 10.0%로 사업군에서 유의하게 낮았고, 성별비교에서도 남학생, 여학생 모두 사업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4. 우식영구치율(DT rate)과 처치영구치율(FT rate)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 구강보건관리 지식수준은 사업군에서 7.6으로 대조군의 7.0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성별비교에서는 남학생에게서는 사업군에서 유의하게 높았고, 여학생은 사업군에서 높게 나타났지만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6. 구강보건관리에 대한 아동의 실천과 영구치우식경험도와의 관계에서 치아관찰 빈도를 제외한 전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학교계속구강건강관리 사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사업군 학교에서 구강보건지표로 적용되는 영구치우식경험도가 대체로 낮았다. 이와 같이, 소수 인력으로 전반적인 사업수행이 힘든 대규모학교에서, 지속적인 추후관리나 치료사업이 되고 있지 않다 하더라도 긍정적인 효과를 검증할 수 있고, 또한 아동의 구강보건관리 실천이 영구치우식경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미루어 학교계속구강건강관리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대규모학교에 맞는 재정적, 인적지원이 국가적 차원에서 지속적으로 지원이 되어 치료사업까지 함께 실시되어진다면 더욱 효과적인 사업이 수행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s children's oral health behavior acquired in elementary school is the foundation of lifelong oral health care, preventive oral health project is very crucial in elementary school, where children cut permanent teeth that determines lifetime oral health. The school dental health care center has been installed in 15 schools nationwide by the oral health department of the health promotion bureau at the Ministry of Health & Welfare since 1999, but evaluation of the programme was not suffic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dental health care center in school, to seek for reform measures for school dental health care and to suggest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31 students in their first, second and third year of elementary school. Among them, 151 students were from E elementary school at Eonyang-eup in the city of Ulsan that has been equipped with the dental health care center since 1999, and 180 were from B elementary school without that center. The former group was select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latter was chosen as a control group. A survey was conducted by this researcher from February 1 through 9, 2002, and a dentist implemented dental examination to produce more accurate results. Since there were no incomplete answer sheets and every student was eligible for the dental examination, every data yielded by the survey and the dental examination were chosen for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1. The DMF rate was 41.1 perc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50.0 percent. Specifically, the rate among the first grad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20.0 percent, which was significantly less than the rate of 37.3 percent among their counterparts in the control group. By gender, there appeared mo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boy students in the two groups, but not between the girl students. 2. The DMFT index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experimental group. Both girl and boy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less in this index than in the control group. 3. The DMFT rat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experimental group, since its DMFT rate was 5.5 percent and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10.0 percent. By gender, both boy and girl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less in this rate than their counterparts in the control group. 4. The DT rate was lower in the control group where the school- based oral health care wasn't provided, and the FT rate was higher in that group.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n't significant. 5. The experimental group's oral health care knowledge scored 7.6. This was remarkably bett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hich was 7.0. By gender, the boy students had significantly better knowledge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 girl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more knowledgeable than their counterparts in the control group, but the difference wasn't significant. 6. Concerning the relationship of actual oral health care to caries experience rate, there was no notabl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every item, except for teeth observation frequency.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ed that the student from the school where the school-based oral health care program was implemented had less caries experience rate in general. This program turned out to have a positive effect even in the large school, although it's not easy for such a school to promote that program with limited human resources and there were little sustained follow-up care or treatment efforts. And when it's additionally considered that the children's actual oral health care had no bearings on the caries experience rate, the school-based oral health care should be highlighted more. This program is expected to be more successful, if the government gives continuing financial and personnel support to large schools so that they could push ahead with not only oral health care but treatment services.

      • 재난 시기 필수의료의 보장 - 보건의료체계는 어떤 방식으로 작동해야 하는가?

        김진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19

        The vision of universal health coverage, which states that everyone should be able to enjoy good health is accepted as the standard on a global scale. According to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universal health coverage is having access to health services whenever and wherever people need it without financial difficulties. In this case, health services go beyond the narrow definition of ‘medical’ to include the complete service, from health promotion and prevention to treatment, rehabilitation, and palliative care. This is because universal health coverage encompasses more than just the static idea of pursing human progress regarding health; it also functions as a social safety net that regulates many external circumstances that affect health. The COVID-19 pandemic, which started at the end of 2019, amplifies the importance of universal health coverage as a safety net by emphasizing once more that "purchasing" and "financial protection" are only components of universal health coverage. The understanding that a health system with a constrained understanding of universal health coverage cannot manage a catastrophe like the COVID-19 epidemic is proliferating. To guarantee people's health broadly and equitably, however, there is little knowledge regarding how the health system should respond to calamities beyond COVID-19. This study uses the COVID-19 pandemic as a primary backdrop and subject for analysis with the goal of developing a strategy to ensure essential health services while taking into account the indeterminacy of the term "essential" in disaster situations. To that end, knowledge was developed to ensure essential health services in future disasters by explaining the indeterminacy of essential health services and reviewing the process of establishing essential health services based on indeterminacy as well as the framework for ensuring essential health services. This research was divided into three sections. The first section theoretically reviewed the health care system and necessity during the disaster period. In the second part, a preliminary work list of essential health services was developed to be used in determining the scope of essential health services, and in the third part, monitoring, one of the small strategies, was implemented as an example of the COVID-19 pandemic. Chapter 2. In the theoretical resources and essential medical boxes, three concepts were reviewed. The first is a disaster in the context of essential health service, the second is essential and need as a concept presenting the normative orientation of essential, and the third is health system resilience as the health system's operating principle. The essential health service cube was proposed as a conceptual framework based on the review to address the indeterminacy of essential health services and the practical need for ensuring essential health services. If social vulnerability is central to a disaster setting, the essential health services provided during the disaster result from the social vulnerability embedded in the health system interacting with external risks or harm. The social understanding of disasters and the scope and content of essential health services that must be provided flow over time and space and have an indeterminate nature that no one person can handle alone. This indeterminac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including a participatory process and deliberation that fosters a shared understanding and leads to necessary (social) changes in ensuring essential health services during disasters. However, the health sector's high technological complexity exacerbates indeterminacy and makes it difficult for citizens, experts, and governments to develop a shared understanding of events. The theory of need, on the other hand, suggests that it is impossible to create an irrefutable and "objective" list of needs on which everyone can agree. Instead, it suggests that determining essential health services is a political process, because needs are derived through competing people's various needs. This process should occur between the minimum level of social participation and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people's lives, with the absolute condition of the worst-off serving as a reference point. In other words, the equity approach is ingrained in the provision of essential health services during a disaster. A health system that can guarantee essential health services during a disaster should use peacetime (inter-disaster time) to actively consider time as a major running variable to adjust the system to future disaster situations. The concept of health systems resilience was used as a basic framework, and its three dimensions, absorptive capacity, adaptive capacity, and transformative capacity, were combined with Archer's morphogenetic theory to reinforce the theory's dynamic nature. Furthermore, it was intended to increase the theory's specificity and practicality by combining the framework with crisis standard of care, which contained specific contents to demonstrate absorptive and adaptive capacity in medical services. Based on these theoretical resources, a framework for determining the tentative contents of essential health services was developed, consisting of three dimensions: type of health services, health needs, and time scope.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scope and content of essential health services is a social one, not one conducted by experts. However, there are almost no processes or spaces that allow it. Conscious of this practical absence, the following two chapters carried out tasks in the previous and later stages, based on the premise of a social consensus process. Specifically, the previous step of developing a preliminary list of essential health services to be included in the social consensus process using the essential health service cube (Chapter 3) and the subsequent step of monitoring the essential health service cube each area of the essential health service cube (Chapter 4) were done. Chapter 3. The process of establishing essential health services was examined, focusing on the discussion of Kapiriri et al. (2020), and the location of the process of establishing essential health services according to the uncertainty of essential health services was outlined. This means that health officials have decided that it is an essential health service that should be examined and guaranteed rather than ignored before creating a work list to ensure essential health services during disasters. To create a working list, it is necessary to decide who to consult and what standards and procedures to use to make decisions. This necessitates explicit consideration of time because when the disaster lasts more than two years and ends in three months, the scope of essential health services is bound to change. In other words, the same principle applies to determining the contents of essential health services, just as both essential and need are not stable, regardless of time but continuously changing. Based on the schematic process of setting up essential health services, health services were classified and ranked in terms of importance using the essential health service cube developed earlier. Instead of developing a new classification system, the classification system used in existing health systems, such as DRG and OPG, was arranged to make decisions quickly in emergency situations. Using expert opinions, the process of developing a working list of essential health services to be presented in the social consensus process was explained, and the actual list and presentation method were demonstrated. Chapter 4. In the case of essential health coverage, we propose the health system's principle for ensuring essential health services in a disaster situation, explain the principle of essential health services monitoring in light of the essential health service guarantee policy, and examine the outcome and process indicators. A socially agreed-upon vision for a desirable future should be created in the pre-disaster or inter-disaster period and forecasting and backcasting should be based on this. During disasters, the essential health service guarantee policy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transition of the entire health system with forecasting and backcasting i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monitoring, designation, and direct provision. Monitoring is the process of monitoring the changing use of essential health services, designation is the process of granting formal functions and authority to medical institutions and associated entities that can provide adequate qualities and quantities of health services, and direct provision is the process of establishing medical institutions and directly providing health services in areas where monitoring or designation is insufficient. Various policie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health system during the inter-disaster period, such as appropriately allocating resources and filling empty spaces while keeping disasters in mind, are similar to the policy of ensuring essential health services during disasters. Monitoring was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the framework of essential health service guarantee, taking into account both the time when the event occurred and the time of observation, given that there is always a time gap between the occurrence and observation of health service utilization changes. Excess mortality was chosen as an outcome-lagging indicator, and three disease groups (colorectal cancer surgery, dialysis, and pneumonia) representing each area of the essential health service cube were chosen as a process-lagging indicator. The analysis of excess mortality, which corresponds to the outcome-lagging indicator, shows that the changes that occurred may not correspond to people's usual expectations, and that the specific aspects of the changes may vary significantly from population to population. Colorectal cancer surgery, a process-lagging indicator, demonstrates the impact of population groups that are disproportionately affected by hospital accessibility due to social distancing and highlights the need to identify and respond to population groups that will be more vulnerable because of social changes. Dialysis, the second case study, demonstrates that existing social vulnerabilities persist and worsen during disasters, and that they can only be avoided by intervening proactively in pre-disaster social vulnerabilities. The third analysis, pneumonia, suggests the importance of closely examining their lives, and there are population groups that do not enjoy much of the benefits while the pattern of disease is generally changed to an advantageous side due to disasters. Theoretical location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monitoring not to confirm the presence or absence of disaster impacts but to help to make specific decisions by directing the need for follow-up measures such as designation or direct provision by politically accountable agents. Furthermore, in the case of a socially vulnerable population, it is necessary to interpret the impact of the disaster period in comparison to the general population, as well as respond to and interpret the worst situations that the population may face in all cases. The contribu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The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practical plan for how the Korean health system should respond to future disasters using the COVID-19 pandemic as an example. The study's attempt to weave various policies into a framework can be used as a basic framework to envision the health system's prospects. ● The study examined concepts such as disaster, need, essential, and health system resilience before conducting a theoretical synthesis centered on the specific policy goal of ensuring essential health services during a disaster. The theorization will be one of several efforts to strengthen the nature of health sciences as a social science concerned with society as an open system. ● The study used a case study to develop a working list of essential health services associated with the ensuring strategy. It also presented monitoring results that were mindful of social vulnerability by utilizing relatively widely available national health insurance claim data. The principle of the health system to practically protect people's lives during disasters was explained in this paper, and the necessary conditions to implement them were investigated. It is hoped that by synthesizing theoretical knowledge and connecting it to real-world problems, the current state will be altered in order to respond to future crises. 누구나 보편적으로 좋은 건강을 향유할 수 있어야 한다는 보편적 건강보장의 가치는 많은 사회의 규범으로 공유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는 보편적 건강보장을 모든 사람이 각자 필요로 하는 보건의료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경제적 어려움 없이 접근할 수 있는 것이라 규정한다. 여기서 보건의료서비스는 건강증진과 예방, 치료, 재활, 완화의료에 이르는 서비스 전체를 아우르는 것으로, 좁은 의미의 ‘의료’로 통칭하는 범위를 넘는다. 보편적 건강보장은 건강을 내용으로 인류의 진보를 추구하는 정적인 개념을 넘어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외부요인을 통제하는 사회적 안전망의 기능까지 포함하기 때문이다. 2019년 말 시작된 코로나19 범유행은 ‘구매’와 ‘재정적 보호’가 보편적 건강보장의 부분일 뿐임을 여실히 드러내며 안전망으로서 보편적 건강보장의 의미를 다시금 부각하고 있다. 건강보장에 대한 협소한 관점으로는 코로나19 범유행에 대응하는 보건의료체계를 기획하고 실현할 수 없다는 인식이 주류화되고 있다. 그러나 코로나를 넘어 재난 전반에 대응해 보건의료체계가 어떤 방식으로 작동해야 사람들의 건강을 너르고 형평하게 보장할지에 대한 지식은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는 코로나19 범유행 상황을 핵심 맥락이자 분석의 소재로 삼아 재난 상황에서 필수의 불확정성(indeterminacy)을 고려하여 필수의료를 보장하기 위한 전략을 세우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필수의료의 불확정성을 설명하고, 불확정성에 기반한 필수의료의 설정 과정과 필수의료 보장의 얼개를 검토함으로서 향후 발생할 재난 상황에서 필수의료를 보장하기 위한 지식을 생성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이와 같은 관점에서 세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첫 번째 부분에서는 재난, 필수, 보건의료체계를 이론적으로 검토하였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필수의료의 설정 과정을 개괄하고 필수의료의 범위를 정하는데 사용할 필수의료의 잠정적 작업목록을 만들고, 마지막으로 세 번째 부분에서는 검토한 이론적 자원에 기반하여 필수의료 보장의 얼개를 짜고, 소전략의 하나인 모니터링을 코로나19 범유행을 사례로 삼아 실제로 수행해보는 순서로 이루어졌다. 2장. 이론적 자원과 필수의료상자에서는 필수의료 보장의 맥락으로 재난, 필수와 필수의 규범적 지향을 제시하는 개념으로 필요, 보건의료체계의 작동원리로 대응탄력성을 검토하고 필수의료의 불확정성과 필수의료 보장을 위한 실용적 필요 모두를 충족시키기 위한 개념적 틀로 필수의료상자를 제안하였다. 재난의 중심에 사회적 취약성 개념을 두면 재난 시기 필수의료 문제는 의료체계에 내장된 사회적 취약성이 외부에서 기인한 위험 또는 위해와 상호작용한 결과가 된다. 재난이 사회적으로 이해되는 방식과 보장되어야 하는 필수의료의 범위와 내용은 모두 시간과 공간에 따라 유동하는 것으로 누군가가 하나로 정해줄 수 없는 성격을 띤다. 이런 불확정성은 공통의 이해를 만들어 내고 그를 통해 필요한 (사회적) 변화를 이끌어내는 참여와 숙의의 과정이 재난 시기 필수의료 보장의 전략에 포함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그러나, 보건의료 영역의 높은 전문성은 이런 불확정성을 증폭하고, 시민 일반과 전문가/정부가 사건에 대한 공통의 이해를 만들기 어렵게 만드는 극복해야 할 조건으로 위치한다. 그러나 필요의 이론은 반박할 수 없고, 누구나 동의할 수 있는 ‘객관적’인 필요의 목록을 구성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대신 사람들의 다양한 욕구가 경합하는 과정에서 필요가 도출된다는 점에서 필수의료를 정하는 일은 곧 정치 과정임을 시사한다. 이 과정은 사회적 참여를 최소한으로 방해받는 수준(참여 최적)에서 사람들의 삶의 양식을 결정하는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수준(임계 최적) 사이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여기서 판단의 준거는 가장 나쁜 처우를 받는 사람(worst-off)의 절대적 조건으로 재난 시기 필수의료 보장은 곧 형평 접근을 내장하고 있다. 이런 방식으로 재난 시기에 필수의료를 보장할 수 있는 보건의료체계는 시간을 체계의 주요 변수로 적극적으로 고려함으로써 평시를 재난 상황을 염두에 두고 체계를 조정하는 시기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지시하는 기본 틀로 보건의료체계의 대응탄력성 개념을 활용하되, 그의 세 차원인 흡수 역량, 적응 역량, 전환 역량을 Archer의 형태발생 이론(morphogenetic theory)과 결합하여 이론의 동적인 성격을 강화하였다. 더불어 의료서비스에서 흡수 역량과 적응 역량을 발휘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담은 틀로 위기의료표준을 더해 이론의 구체성과 현실적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이런 이론적 자원에 기반하여 필수의료의 잠정적 내용을 결정하기 위한 틀로 보건의료서비스, 보건의료필요, 시간적 범위로 구성된 필수의료상자를 만들었다. 필수의료의 내용과 범위를 정하는 과정은 전문가의 것이 아니라 사회적 과정이지만 현실에는 그를 가능하게 하는 절차 혹은 공간이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다. 이런 현실적 제약을 고려하여 이어지는 두 개의 장에서는 사회적 합의과정의 존재를 전제로 하여 각각 앞 단계와 뒷 단계에 위치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필수의료상자를 이용하여 사회적 합의 과정에 투입될 필수의료의 작업목록을 만드는 앞 단계 작업(3장)과 필수의료상자의 각 영역에 속하는 의료서비스의 영향을 실제로 모니터링하는 뒷 단계 작업(4장)을 각각 수행하였다. 3장. 필수의료의 설정에서는 Kapiriri et al(2020)의 논의를 중심으로 필수의료 설정 과정을 살피고, 필수의료의 불확정성에 따른 필수의료 설정 과정의 위치를 개괄하였다. 재난 시기 필수의료 보장의 틀에서 작업목록을 만드는 일은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영향을 피할 수 없다고 하더라도 이를 방치하는 대신 건강당국이 나서 살피고, 보장해야 하는 것으로 필수의료라는 것이 있다는 판단을 내렸다는 뜻이다. 이와 같은 작업목록을 만들기 위해서는 누구에게 의견을 물을 것인지, 또 어떤 기준과 절차로 의사결정을 할 것인지에 대한 결정을 필요로 한다. 여기에도 시간에 대한 명시적인 고려가 필요한데 (i) 필수의료를 보장하는 작업은 재난이 발생한 이후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재난이 일어나기 전에 이미 준비가 되어 있고, 재난이 발생한 이후에는 상황에 맞도록 준비된 내용을 다듬는 방식의 정책 집행이 필요하며, (ii) 2년이 넘는 시간 동안 재난이 지속되는 상황과 3개월이면 끝나는 상황에서 필수의료의 범위가 달라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즉, 필요와 필수가 모두 시간에 무관하게 안정적인 존재(being)가 아니라 계속해서 그 내용을 맞춰보고 채워 나가는 하기(doing)이듯, 필수의료의 내용을 정하는 일 역시 동일한 원리가 적용된다. 이런 필수의료 설정의 개략적인 과정에 기반하여 앞에서 개발한 필수의료상자를 틀로 삼아 보건의료서비스를 분류하고, 대략적인 중요도의 순위를 매겼다. 보건의료서비스를 분류하는 과정에서는 새로운 분류체계를 사용하는 대신 DRG, OPG와 같은 기존의 보건의료체계에서 활용되던 분류체계를 이용하여 긴급한 상황에서 빠르게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안배하였다. 이런 과정을 통해 전문가의 의견을 바탕으로 사회적 합의 과정에 전문가의 의견으로 제시될 필수의료의 작업 목록을 만드는 과정을 설명하고, 실제 만들어진 명단과 제시방식을 시연하였다. 4장. 필수의료 보장의 얼개와 사례에서는 재난 상황에서 필수의료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보건의료체계가 어떤 원리에 따라 작동해야 하는지를 한국의 기존 정책과의 연관성 안에서 제안하고, 필수의료 보장정책의 얼개를 고려하여 필수의료 모니터링의 원리를 설명하고 결과 지표와 과정 지표에 대한 사례 분석을 수행했다. 재난전기 혹은 재난간기에는 바람직한 미래에 대한 사회적으로 합의된 전망(vision)을 만들어야 하며, 이를 기반으로 미래로 나아가는 예측(forecasting)과 미래에서 돌아오는 예측(backcasting)이 모두 필요하다. 전향예측과 후향예측을 주 전략으로 하는 전체 보건의료체계의 전환이 작동한다는 전제로 재난 시기 필수의료 보장정책은 모니터링, 지정, 직접 제공의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모니터링(monitoring)은 필수의료의 이용이 변화하는 양상을 살피는 것, 지정(designation)은 적절한 질의 필수의료를 필요에 부합하는 양으로 제공할 수 있는 의료기관 및 관련 주체에 공식 기능과 권한을 부여하고 일련의 지원을 제공하는 것, 마지막으로 직접 제공(direct provision)은 의료서비스의 시공간적 제약을 고려했을 때 모니터링이나 지정만으로 충분하지 않은 지역에 필수의료서비스 제공역량을 갖춘 의료기관을 세우고 건강당국이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는 것이다. 평시 보건의료체계의 성과 향상을 위한 여러 정책에서 재난 시기를 염두에 두고 자원을 적절하게 배치하고 비어 있는 공간을 채우는 일이 곧 재난 시기 필수의료 보장정책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뜻이다. 필수의료 보장의 얼개에 근거하여 의료이용 변화의 발생과 관측 사이에 시간적 간격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사건의 발생시점과 관측시점 모두를 고려한 방식의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결과-후행 지표에 해당하는 초과사망과 과정-후행 지표 중 필수의료상자의 각 영역을 대표할 수 있는 세 가지 질병군(대장암 수술, 투석, 폐렴)을 골라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후행 지표에 해당하는 초과사망 분석은 사람들이 갖고 있는 통상적인 기대와 실제 발생한 변화가 일치하지 않을 수 있고, 변화의 구체적인 양상은 인구집단에 따라 상당히 다를 수 있다는 사실을 실증한다. 과정-후행 지표에 해당하는 대장암 수술은 사회적 거리두기에 따라 병원 접근성에 영향을 많이 받는 인구집단에서 발생한 영향을 보여주며, 사회의 변화가 더 취약하게 만들 인구집단을 확인하고 대응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두 번째 사례 분석인 투석은 기존의 사회적 취약성이 재난 시기에 지속, 강화되는 양상을 보여주며, 평시에 존재하는 사회적 취약성에 사전적으로 개입해야 이를 막을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세 번째 분석인 폐렴은 재난으로 인해 질병의 양상이 대체로 유리한 쪽으로 바뀌는 중에도 그로 인한 이익을 크게 누리지 못하는 인구집단이 존재하며, 이들의 삶을 촘촘하게 살피는 일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이론적 위치를 고려하는 분석은 모니터링이 단지 재난 영향의 유무를 확인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정치적 책임이 있는 주체의 필수의료 지정, 직접 제공과 같은 후속 조치의 필요성을 지시하여 구체적인 의사결정을 바꾸기 위해 수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더불어 사회적으로 취약한 조건에 처한 인구집단의 경우 일반 인구집단과 비교해서 평소에도 실현되지 못한 의료필요가 있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재난 시기의 영향을 해석할 필요가 있고, 예상되는 변화가 나타나거나 나타나지 않은 모든 경우 해당 인구집단이 처할 수 있는 가장 나쁜 상황을 염두에 두고 대응하고 결과를 해석할 필요가 있다. 연구의 기여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는 코로나19 범유행이라는 징후적 사건을 사례로 한국의 보건의료체계가 미래의 재난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에 대한 실용적 기획을 그려내고자 하였다. 여러 정책을 하나의 틀에서 엮어내는 이 연구의 시도가 향후 보건의료체계의 전망을 구상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둘째, 연구는 다소 기술적으로 다루어져 왔던 재난, 필수, 필요, 보건의료체계의 대응탄력성 등의 개념을 이론적으로 검토하고 재난 시기 필수의료 보장이라는 구체적인 정책 목표를 중심으로 엮어내는 이론적 종합을 수행하였다. 개방 체계로서 사회를 다루는 학문으로서 보건학의 사회과학적 성격을 강화하는데 기여하고자 하는 기획의 하나로 자리매김할 수 있기를 바란다. 셋째, 연구는 앞에서 검토한 재난 시기 필수의료를 이론으로 삼아 필수의료의 작업 목록을 정하고, 필수의료 보장 전략과 연결하고, 비교적 널리 사용되는 국민건강보험 청구자료를 이용하여 사회적 취약성을 염두에 둔 모니터링 결과를 제시하는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재난 시기 사람들의 삶을 실질적으로 지키기 위한 보건의료체계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고, 이를 현실에서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을 탐색하였다. 이론적 지식을 종합하고 현실의 문제와 연결지음으로써 다시 찾아올 위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현재의 모습을 바꾸어 나가는 데에 작게나마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