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FoMO와 가격판매촉진이 소비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WU MINJIE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1967

        현대사회에서 소셜 미디어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더 많은 소비자들이 FoMo의 영향을 받고 있다. FoMO의 영향을 받는 소비자들은 최신 유행하는 제품이나 브랜드를 끊임없이 추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이 FoMO를 마케터들 사이에서 중요한 이슈로 만들었다. 많은 브랜드와 기업들이 마케팅 전략에서 일부 FoMO를 사용한다. 오늘날 FoMO를 활용하는 광고나 마케팅 캠페인들이 적지 않은데 이는 많은 조사에서 FoMO가 소비자들의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결과에서 그 근거를 보여준다고 하겠다. 하지만 유행하는 제품이나 브랜드가 어느 시점에 인기가 떨어지면, 소비자들의 구매의도도 영향을 받아 갑지기 떨어지고 매출 급감으로 이어지는 현상을 볼 수 있다. 한편, 급감한 매출을 다시 회복하기 위해 마케터들은 보통 가격할인 판매촉진 수단을 사용한다. 이에 본 연구는 브랜드 FoMO에 영향 유무와 가격할인 판매촉진 유무 상황에 따라 소비자 구매의도를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실험설계는2x2 (브랜드 FoMO에 영향 유무 : 노스페이스vs 나이키) x (가격할인 판매촉진 유무 : 40% 할인가 판매 vs 원가 판매)로 이원 혼합 요인 설계를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FoMO는 소비자들의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FoMO에 영향을 받았던 브랜드인 노스페이스보다 FoMO에 영향을 받지 않은 브랜드인 나이키에 대해 소비자 구매의도가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제품이나 브랜드가 유행에 지난 것으로 인식되면 가격할인 판매촉진 유무 상황에 따라 소비자 구매의도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FoMO가 장기적으로 소비자 구매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보여준다. In the contemporary society, more and more customers are affected by FoMO owing to the rapid development of social medias favoring to purchase products or brands in trend. This makes FoMO an important topic among the marketers. Many brands and companies employ FoMO in some marketing strategies. Nowadays, it’s not uncommon advertising and marketing campaigns to capitalize on FoMO. A lot of research results shows that FoMO can influence consumer consumption behaviors. However, when the products or brands in trend become out of fashi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will suddenly drop off and sales will have sharp declines. Usually in order to increase sales, marketers will take depreciate sales promotion means. This study aimed to research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after the effect of FoMO and how price promotion influenc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This study designed a model for this with the mixed function design 2(FoMO effect: with vs without) x 2(price promotion: 0 vs 40% discount). According to the research outcomes, the results of study 1 and study 2 showed tha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purchase intetion of the brand with the effect of FoMO (The North Face) and the brand without the effect of FoMO (NIKE), while purchase intention was higher for the brand without the effect of FoMO. And the results from study 2 suggested that no differences between the purchase intention of 40% price discount promotion and no price discount promotion. These results imply that FoMO has negative effects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in the long run and when product/ brand out of trend price promotion has no influence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