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어 과거 회상 표현 관련 문법 항목의 교수 방안 연구 : 중국인 학습자의 말뭉치 자료를 중심으로

        LU YAO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255

        <국문초록> 한국어 과거 회상 표현 관련 문법 항목의 교수 방안 연구 -중국인 학습자의 말뭉치 자료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한국어학 전공 LU YAO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의사소통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던'과 관련된 문법의 교육 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한국어 중⦁고급 수준의 학습자가 학습하는 '-던'과 관련된 문법들의 의미와 기능을 살피고 유사 문법 사례와의 비교를 통해 다각적으로 바라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실제 외국인 학습자의 문법 사용 오류 사례들을 수집하고 오류가 생긴 원인들을 파악하였으며, 한국 어학원에서 사용하는 교재들을 종합 분석하여 '-던'과 관련된 문법 교육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1장에서는 '-던' 관련 문법이 실제 의사소통에서 얼마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그 중요성에 비해 외국인 학습자들의 본 문법의 사용이 많지 않다는 사실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한국어 실력 중⦁고급 단계에서 '-던' 문법의 교육을 중요시해야 함을 밝혀냈다. 그리고 선행연구를 통해 '-던' 관련 문법 및 비슷한 의미적 기능을 가지고 있는 연결어미의 교육 방안을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국립국어원에서의 '-던'과 관련된 문법들의 의미적 특징과 유사 문법 사례와의 비교하는 내용을 정리하였다. 이 문법들은 각 사용 상황마다 어떤 의미적 특징과 제약이 있는지 확인하였는데, 이를 통해 '-던'과 관련된 문법의 교육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3장에서는 국립국어원의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 나눔터'의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 자료를 활용하여 오류 분석을 하였다. 자료 중에 중국인 학습자들이 쉽게 범하는 오류를 대상으로 '-던'과 관련된 문법의 대치 오류 양상을 분석했다. 이를 통해 오류가 생기는 원인을 파악하여 중국인 학습자들이 해당 문법을 실제로 사용하는 데에 있어 어려움을 겪는 부분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4장에서는 현재 한국 대학의 한국어교육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재를 분석하였다. 사용한 교재는 경희한국어 중급1 문법, 경희 한국어 중급2 문법, 연세한국어 2-2, 연세한국어 활용 연습 2-2, 연세 한국어 3-2, 활용 연습 3-2, 연세한국어4-1, 연세한국어 활용 연습 4-1, 서강NEW한국어 3A, 서강NEW한국어 3B, 이화한국어 2-2, 이화한국어 3-1, 성균 한국어 어휘 문법3, 성균 한국어 어휘 문법4, 총 14권이다. 이를 통해 어학원에서 사용하는 각 교재마다 가르치는 방식과 교재 구성이 다양하고 문법 교육의 중점도 다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중 몇 교재들의 효과적인 문법 교육 내용들을 분석하여 올바른 문법 교육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문법 항목의 의미적 특징에만 집중해서 교육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들이 실제 의사소통에서도 능숙하게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육 방안은 '실제 의사소통에서의 사용 양상'에 중점을 두었다. 과거 회상의 '-던'과 관련된 문법 항목의 교육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Research on the Underwater Target Detection of Laser Technology

        Yao, Lu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5 국내석사

        RANK : 231999

        레이저를 이용한 수중 목표 탐측 기술은 현재 선진 기술로 개발하였다. 이 기술은 레이저기술, 통신기술, 신호처리기술, 목표탐측기술 등 다 포함하였다. 그래서 레이저 탐측 기술을 각각 수중 목표 탐측 기술 중에 제일 많이 이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레이저를 이용한 수중 목표 탐측 방법을 제시하였다. 우선 레이저 탐측 대한 수중 목표 형상, 레이저 광 입사각도, 목표 크기 등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림과 탐측 결과에 따라 수중 목표 탐측 방법이 레이저와 소나 비교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계산 결과에 따라 레이저 이용한 수중 목표 탐측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This paper mainly researched into the effects of underwater channel and object shapes on laser underwater target detection; compared with some imaging technologies which commonly used in underwater detection. All the researches are important problems underwater laser detection,and offer the base of theory to improve the capability of laser detection.

      • 중국인 중·고급 학습자의 수용적·생산적 연어 지식 습득 양상 연구

        Yao, Lu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1999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acquisition of receptive and productive knowledge of korean lexical collocations according to the learners' Korean language proficiency levels. Vocabulary education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in Second Langage Education. And knowledge of collocations as a critical component of vocabulary knowledge,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communication-oriented teaching and learning. In order for the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of Korean collocation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need for study on acquisition of receptive and productive knowledge of Korean collocations has been raised.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cquisition of Korean lexicon collocations of intermediate-level and high-level learners in China and then tried to find out effective activities to teach and revise collocations for each stage of language development. First of all, this study described research purpose and necessity in Chapter I, and literature review has been done to analyze and combine sources to identify trends, debates, or gaps in the research. Chapter II discussed some of the fundamental concepts and issues of Korean collocation knowledge, receptive and productive vocabulary knowledge, and three typical theoretical hypothese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Since this study was focusing on Korean learners in China, the present presentation method of collocation was reviewed in Korean textbooks compiled by Chinese. Chapter III described research methods for acquisition study on knowledge of Korean collocations. A total of 54 Chines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were selected for the experiment using the pseudo-longitudinal study method. The COLLMATCH task, gap-filling task, and L1-L2 translation task were designed based on the principle and procedure of receptive and productive task design method. A total of 32 collocations selected by frequency of occurrence and educational value in the corpus data of the Korean speaker, the Korean collocation dictionary and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materials used in China. The COLLMATCH task was used to determine how well learners understand collocation, while the gap-filling task and L1-L2 translation task were used to identify how accurately learners can produce collocation from a productive perspective. In order to accurately investigate the learners' acquisition patterns of collocations, two tasks measuring productive collocational knowledge were completed by learners, and then learners were given the last task which was aimed to measure receptive collocational knowledge. Based on the data collection results, the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learners' receptive and productive acquisition patterns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derived from Chapter III, Chapter IV analyzed the collocation acquisition patterns of Chinese intermediate and high-level learners and has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by analyzing the accuracy of the receptive and productive tasks, there was a difference in accuracy depending on the task type, and the difference in accuracy according to learners' proficiency level was also significant. Second, as for acquisition patterns according to collocation types, Chinese Korean learners showed similar results in terms of both productive and receptive. Third, by investigating the acquisition patterns of learners' knowledge of productive collocation, it reveal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rrors Chinese learners have made. That is, regardless of proficiency level, all learners center their errors on verb errors, and the error rate of particle use was also high. Fourth, it can be inferred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receptive collocational knowledge and productive collocational knowledge of Chinese Korean learners. Given that the intermediate learners have a weak correlation, the processes of receptive collocational knowledge and productive collocational knowledge of intermediate learners are not acquired and developed at the same time. The above discussion has examined the acquisition patterns of Korean collocation knowledge among Chinese Korean learners in terms of both receptive and productive aspects, which will be meaningful in establishing receptive and productive collocation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and method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Lastly, more research of collocation education for Chinese learners should be encouraged to investigate. And teaching and learning collo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put more emphasis on more productive acquisition.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수용적·생산적 연어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중국인 중·고급 한국어 학습자들의 연어 습득 양상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의사소통 중심 교수·학습에서 어휘 교육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 가운데 한 단어가 다른 단어와 빈번하게 공기하는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연어(collocation)에 관한 지식은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정확하고 유창한 의사소통능력의 배양이라는 목표하에서는, 학습자들이 수용과 생산에 필요한 어휘 지식을 모두 균형 있게 갖추어야 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고 바람직한 목표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연어 교수·학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한국어 학습자의 수용적·생산적 연어 습득 양상을 보다 면밀하게 분석해 볼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국에서 한국어를 전공하는 중·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어휘적 연어에 대한 습득 양상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국인 학습자의 수용적·생산적 연어 구사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유용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Ⅰ장에서 연구 목적 및 필요성과 기존의 연어에 관한 국어학적 연구, 연어 교육에 관한 연구, 수용적·생산적 어휘에 관한 연구를 검토하였다. Ⅱ장에서는 기존의 연구를 토대로 한국어 연어의 개념, 범주 및 분류 체계, 수용적 어휘 및 생산적 어휘와 관련된 이론적 논의, 제2언어 습득과 학습자 언어에 대한 이론적 가설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중국에서의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선정하였기 때문에 학습자들이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중국에서 개발된 한국어 교재 내 연어 제시 현황을 검토하였다. Ⅲ장에서는 한국어 연어 지식 습득을 위한 연구 방법을 기술하였다. 유사-통시적(pseudo-longitudinal)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중국인 중·고급 학습자 총 54명을 실험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수용적 및 생산적 연어 측정 과제의 개발 원리에 의해 'COLLMATCH 과제', '빈칸 채우기(gap-filling) 과제', '모국어-목표어 번역(L1-L2 translation) 과제'를 설계하였다. 한국어 모어 화자의 말뭉치 자료, 한국어 연어 사전과 중국에서 쓰이는 한국어 교재를 바탕으로 하여 출현 빈도와 교육적 가치가 높다고 판단된 연어 총 32개를 실험 연어 문항으로 선정하였다. 학습자의 연어 습득 양상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먼저 생산적 연어 지식 측정 과제 두 가지를 실시한 후 수용적 연어 지식 측정 과제를 실시하여 학습자들이 직접 산출한 언어 자료를 수집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도출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인 중·고급 학습자의 연어 습득 양상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밝혔다. 첫째, 수용적·생산적 연어 측정 과제의 정확성 분석을 통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은 과제 유형에 따른 정확성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숙달도에 따른 정확성 차이도 유의미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학습자들의 한국어 수준에 따른 연어 습득의 정확성은 수용적 측면과 생산적 측면 모두에서 차이가 명확히 보이고 있으며, 고급 학습자가 중급 학습자보다 연어를 더 잘 습득한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언어 유형에 따른 연어 습득 양상에 대해서 중급 학습자들은 세 가지의 연어 유형 중 목술 관계 연어를 가장 잘 습득하고 주술 관계 연어와 수식 관계 연어를 습득하는 데 비교적 큰 어려움을 겪는다고 할 수 있다. 셋째, 학습자들의 생산적 연어 습득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범하는 오류에 대한 특성을 밝혔다. 전체 학습자들은 숙달도와 관계없이 용언 오류를 가장 많이 범했으며, 부적절한 오류 사용 빈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연어 교육에서 어휘뿐만 아니라 연어 관계를 이루는 문법 요소에 대한 교육도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연어 산출의 다양성 측면에서 중급 학습자와 달리 고급 학습자들은 일부 연어 문항에서 풍부한 연어 생산 능력을 보여주었지만, 나머지 연어 문항에서는 연어 사용 능력이 특별히 크게 발달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연어 습득 및 생산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수용적 연어 지식과 생산적 연어 지식은 상호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중급 학습자 집단의 경우는 이 두 가지 유형의 지식 사이의 상관관계가 낮아 연어에 대한 수용 지식과 생산 지식이 동시에 습득·발달되지는 않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학습자들이 한국어 연어 습득 과정에서 안고 있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한국어 교실에서 수용적·생산적 습득을 촉진할 수 있는 교수·학습 활동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연어 교수·학습은 보다 더 중시함으로써 한국어 학습자의 연어 사용 능력을 향상함은 물론 한국어 구사 능력을 높이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Interpretation of specific safeguard provisions in China's accession protocol to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Lu, Yao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1999

        The transitional product-specific safeguard mechanism in China’s Accession Protocol is recognized as an unfavorable clause towards China after China’s entry into the WTO. The inclusion of the SSM in the Protocol is a result of long-term tough negotiations due to China’s special market and economic conditions. The different phrases of the SSM in the Protocol from the general safeguards rules and the ambiguities are argued to leave China at an unfair situation; especially, the revival of gray-area measures and departure from MFN principle, and some departures from the phrases used in general safeguards rules. However, the language of the SSM in the Protocol must be read carefully, in its context which includes the Protocol and the WTO Agreements, in the light of its object and purpose, and keep in mind of the general-special relation between the general safeguards rules and the Protocol. Then it can be found that not all the different terms set out a less restricted requirement on applying a SSM towards China, some even set forth more restricted requirements; and some of the ambiguities can be solved by referring the general safeguard measure rules, such as Article XIX of the GATT, the Agreement on Safeguards and the Anti-dumping Agreement. In order to interpret and apply the SSM in the Protocol properly, the language must be read in reference to the general safeguards rules as far as possible. 중국의 WTO 가입의정서의 한시적 긴급수입제한조치 (Transitional Product-Specific Safeguard Mechanism)는 WTO 가입 후 중국에게 불리한 조항으로 인식된다. 이러한 긴급수입관세제도 (Transitional Product-Specific Safeguard Mechanism)가 의정서에 포함된 것은는 중국의 특수한 시장 및 경제 조건으로 인해 중국의 WTO 가입협상이 장기적으로 순조롭지 않게 진행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인 세이프가드 규정과 상이한 여러 요건과 규정의 해석상의 애매성에 대한 논란은 세이프가드 조치를 당하는 중국기업들에게는 불공평한 상황을 초래할 가능성이 많은 것이다. 그 중 무엇보다도 일종의 회색지대조치 (灰色地帶措置, grey area measure)가 부활한 것과 최혜국 원칙에 대한 일탈 및 일반적 세이프가드 조치 원칙에서 사용되는 요건규정에서 일탈한 것이 그렇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의정서의 긴급수입관세 용어는 의정서뿐만 아니라 전체적인WTO협정의 틀과 을 맥락하에서 의정서의 목적을 고려한 상태에서 신중하게 해석되어야 하며 일반 세이프가드제도와 의정서의 특별제도간의 일반적-특수적 관계를 염두에 두어야 한다. 그런 견지에서 볼 때, SSM을 중국에 적용할 때 발동국 입장에서 모든 발동 요건들이 쉽게 규정되어 있다고는 말할 수 없으면, 몇몇의 것들은 더 제한적인 요건으로 해석됨을 알 수 있다. 해석상의 애매한 점들은 GATT (관세와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의 제XIX조와 ‘세이프가드 협정’과 ‘반덤핑 협정’과 같은 무역구제 규범상의 상응하는 규정들을 참조하여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WTO 체제적이고 통합적인 접근방법이 의정서의 SSM을 적절하게 해석, 적용하기 위해서 필요하면, 그것이 의정서의 특별제도와 일반세이프가드 제도간의 상응성을 가급적 제고하여 다자주의로의 궁극적 통합을 실현하는 길리 것이다.

      • Essays on global corporate governance issues

        Lu, Yao University of Michigan 2009 해외박사(DDOD)

        RANK : 231983

        My dissertation studies the issues on corporate governance in a global context. In the first chapter, I study a well-documented but little understood phenomenon that foreign acquirers target only well-performing in emerging markets. To explain this phenomenon, I develop a law and finance model, in which I argue that controlling shareholders of acquiring firms from strong-investor protection (IP) countries consume fewer private benefits and, hence, value control premia lower than does a controlling shareholder in a weak-IP country. Within a weak-IP country, controlling shareholders of well-performing firms have less incentive to consume private benefits because of greater opportunity costs of foregoing profitable investment opportunities. Thus, these firms demand lower control premia, making them more palatable to a foreign acquirer from a strong-IP country. These hypotheses are supported by data on cross-border acquisition bids. They reveal that foreign acquirers target only well-performing films in weak-IP countries, but not in strong-IP countries. I also conduct a difference-in-difference estimation using corporate governance reforms (CGRs) undertaken by 29 countries since 1999. I find that the cherry picking tendency declines when target countries undertake CGRs, narrowing the gap in IP between acquirer and target countries. Conversely, the cherry picking tendency increases when acquirers' home countries undertake CGRs, enlarging the IP gap. These findings imply that CGRs have important impacts on underperforming firms' accessibility to foreign investors; however, whether the impact is favorable or unfavorable depends on which country undertakes the reform. The second chapter is based on a paper co-authored with E. Han Kim. We find a hump shaped relation between Tobin's Q and CEO share ownership, but only when external pressure for good governance is weak, where the pressure is measured by product market competition and institutional ownership concentration. When external governance is strong, CEO share ownership is unrelated to Tobin's Q. These results are robust to firm or CEO-firm pair fixed effects, alternative definitions of key variables, different statistical properties between strong and weak external governance regimes, founder effects, reverse causality, and other endogeneity issues. The hump shaped relation appears to be a manifestation of some CEOs capturing incentive contracts under weak external governance, while no relation under strong external governance is consistent with the contracting view that CEO ownership is a component of equilibrium contracts.

      • Parametric Control of Flux-tunable Superconducting Circuits

        Lu, Yao ProQuest Dissertations & Theses The University of 2019 해외박사(DDOD)

        RANK : 231983

        Quantum computing is at an exciting time, with practical quantum processors coming closer to experimental realization. Yet a major challenge in building a practical quantum computer is to generate and manipulate interactions between its many components. Superconducting (SC) qubits are promising candidates not only because they have strong coupling and high-fidelity readout, but also for allowing versatile parametric control that can realize different effective interactions at will, which might be difficult to achieve through other means. In this thesis, we start from the simple example of parametrically flux modulated SC qubit and demonstrate its application towards quantum communication between remote SC modules. We then move on to discuss the parametric modulation of the light-matter interaction strength, where we introduce a novel SC tunable coupler device that allows for the direct dc-flux control of qubit-qubit or qubit-cavity coupling strength without sacrificing qubit coherence, as well as the convenient realization of blue- and red-sideband interactions through appropriate choice of parametric flux-modulation frequency. By engineering the dissipative system-environment interactions through sophisticated parametric control of this tunable coupler device, we achieve the autonomous stabilization of arbitrary qubit states, in a manner akin to laser cooling in atomic physics. Finally, we present our on-going experimental effort of extending the idea of autonomous stabilization to autonomous quantum error correction, an important step towards the ultimate realization of universal quantum computer.

      • Risk Factors for Abdominal Aortic Aneurysm and Larger Infrarenal Aortic Diameters in a General Population

        Yao, Lu ProQuest Dissertations & Theses University of Minn 2018 해외박사(DDOD)

        RANK : 231983

        Abdominal aortic aneurysms (AAAs) comprise an important public health issue, which could be reduced by primary prevention. Identifying AAA risk factors is critical for developing effective preventive strategies. Previous epidemiologic studies ha. With the exception of screening studies where AAAs were defined commonly as a maximum infrarenal aortic diameter (IAD) &ge. Manuscript 1 examined the associations of carotid atherosclerosis and stiffness with later AAAs in ARIC. We used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1987--1992) and atherosclerotic plaque (1987--1989) as indices of carotid atherosclerosis, and used. Manuscript 2 explored risk factors for an elevated IAD (IAD &ge. Manuscript 3 represents a meta-analysis of prospective cohort studies and case-control studies to examine further the relation between diabetes and AAAs. We searched for English literature from online database search (MEDLINE (1966-- ), EMBASE a.

      • The link between migration and health: A longitudinal analysis of Indonesian data

        Lu, Yao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2008 해외박사(DDOD)

        RANK : 231983

        This project examines the link between two complex population processes, migration and health, in a developing setting, Indonesia. I assess the conjecture that health can influence the likelihood of migration, and migration can affect the health of not only those who move but of those who are left behind in sending regions. I offer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analytic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and incorporate individuals in sending communities as a vital component in understanding all the research questions. This research exploits longitudinal data and conceptualizes migration and health as dynamic processes to strengthen causal claims. To unveil the complexity of the relationship, I study measures reflecting multiple dimensions of health (physical as well as psychological), and explicitly evaluate proximate socioeconomic and behavioral mechanisms. Specifically, I first assess the long-standing but little examined "healthy migrant" hypothesis---whether migrants are largely drawn from healthy individuals---by comparing pre-migration health status of those from the sending population who do and do not move. I find support for the health selection hypothesis. But the strength and direction of the selection vary by different types of migration and distinctive dimensions of health. I next examine how the migration experience affects health outcomes of migrants. I address the possible selection of migrants and contrast migrants with the appropriate counterfactual, by modeling the change in health of young rural-urban labor migrants prior to and after migration and contrasting it with the corresponding change for non-migrants who remain in rural regions, under the fixed-effect framework. I find that overall in the short run, rural-to-urban labor migration has very little impact on physical health, but has a detrimental effect on psychological health as measured by depression symptoms, largely due to family separation. The null effect on physical health in part speaks to the physiological resilience of young labor migrants to various life stressors. Pathway analysis, which demonstrates various offsetting influences of migration, further explains the lack of an overall effect. It turns out that labor migration improves economic conditions, household hygiene, and health care opportunities, but also creates information barriers and work stressors. Importantly, improved economic conditions do not seem to translate into better health, because migrants often curtail their spending in order to send back a large amount of remittances. Finally, I relate migration to the health of the left-behind population to study whether the effect of migration extends to the sending communities and to social well-being such as health, again using the fixed-effect method to adjust for possible selection. Results point to both the costs and benefits of labor out-migration. Adults in households with labor migrants enjoy better nutritional status than their counterparts in households without labor migrants, but they are also more susceptible to stress-related health impairments such as hypertension and also are more vulnerable to psychological ailments such as depression. The detrimental effect due to increased stress is largely borne by males as a result of their traditional gender roles, whereas the disruptive effect on psychological health mostly applies to females. I also find that older adults are especially sensitive to health risks, which lends support to the physiological resilience of young adults. Pathway analysis tells a coherent story by illustrating the importance of migration, both as a means of enhancing household living standards through remittances, and in terms of loss of local support and labor that leads to excessive stress and emotional burden.

      • 한ㆍ중 분류사 대조 고찰 : 동형 한자어를 중심으로

        Lu Yao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1983

        (국문초록) 본 논문은 한 ․ 중어 수량 표현에 쓰이는 분류사를 취해서 그 기본 개념과 체계를 제시하고 그 중에서도 동형 한자어 분류사 대조 고찰을 통하여 동형 한자어 분류사의 의미와 용법에 있어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밝히고자 한다. 앞으로 한국어 어휘교육의 기초자료로 삼으려는 목적에서 시작되었다. 특히 한국어, 중국어 두 언어에는 동일 형태의 한자어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의미와 기능이 일부 다르거나 완전히 다른 경우도 있으므로 연구하는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본고는 한 ․ 중 분류사를 분석하여 그 특징을 밝히고 두 언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규명함으로써 특히 한 ․ 중 양 국어 동형 한자어 분류사의 비교를 중심으로 완전동의, 부분동의, 완전이의 세 토막으로 분류하여 한국어와 중국어 학습자에게 도움을 주는데 그 목적을 두고 논의를 전개하였다. 먼저 1장에서는 고찰 목적과 필요성에 대하여 제기한다. 또한 본고의 연구 방법과 연구 범위를 제시한다. 그리고 한 ․ 중 분류사 대조 연구, 다른 언어의 분류사와 한국어 분류사 대조 연구와 관련된 선행 연구도 함께 알아본다. 2장에서는 한 ․ 중 분류사의 이동을 살펴보기 위하여 한 ․ 중 분류사의 개념, 분류체계 및 특징을 살펴보았다. 2.1에서는 한 ․ 중 분류사의 개념을 논의하였다. 한 ․ 중 양국 언어학자들의 견해들을 정리하고 분석해 본고의 정의를 다루고자 하였다. 2.2에서는 한 ․ 중 분류사의 분류체계에 대하여서 살펴보았다. 그 분류는 학자에 따라 의견을 다르기 때문에 아직도 동일한 분류가 없다. 2.3에서는 한․중어 분류사의 특징을 논술하였다. 3 장에서는 한 ․ 중 분류사에서 동형 한자어를 완전동의 부분동의, 완전이의 3 가지 측면에서 대조하여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 장에서는 동형 한자어 분류사를 총 106 항목으로 설정하고 그들의 의미와 용법에 대하여 대조해서 고찰해 보았다. 이 중에서 완전동의 한자어 분류사는 35 항목을 차지하고 부분동의 한자어 분류사는 59 항목을 차지하며, 완전이의의 한자어 분류사는 12항목을 차지한다. 이 장에서는 한 ․ 중 동형 한자어 분류사의 의미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기고 예문을 통해서 용법도 제시하였다. 그러나 사전에서 같은 의미로 나왔더라도 실제 용법상 그 쓰임이 다른 경우도 존재하고 있으니 한국어 학습자들이 유의할 필요가 있다. 4 장에서는 본고의 전체적인 내용을 정리하고 이를 토대로 본 연구가 갖는 의의를 확인하고 연구에서 부족한 부분과 앞으로 한 ․ 중 분류사 연구 방향을 제언해 본다.

      • (An) attempt to estimate the confidence of interval analysis result and related alarms

        Cui, Lu Yao Hanyang Univ. 2011 국내석사

        RANK : 231982

        Warnings of program analysis are not always true. Program analysis statically estimates possible values during program execution and reports possible errors. Since it is impossible to compute what values are exactly possible, it sometimes reports a false warning which does not really happen during program execution. In this thesis, in order to figure out whether warnings of program analysis are true or not, I propose another program analysis named confidence analysis. For interval analysis, instead of the range of possible values, it computes the number of possible values. Only when the range of possible values is over safe range and the number of possible values is bigger than the size of safe range, we can be definitely sure that there is an error. I propose how to compute confidence of interval analysis, prove its soundness, and propose how to use it for improving warning repo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