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㛢⹭孋㰳夤夰ᵩ䗢㮧孋㓎愭嬫㛢⹭䝲䧔

        LI MINGYUE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1967

        本研究从数量词构式一些看似违反语言常规的“错配”现象出发,采用构式语法理论对现代汉语名量词构式和动量词构式形式与语义的泛化情况展开研究。本文旨在探索数量词构式“形式-语义”的多样性语法普遍特征,从而总结其梯度变化规律和发展过程。同时本文的目的还在于通过分析数量词构式的构式演变及构式化过程,描绘出各数量词构式间的内部关系和构式网络的具体内容,并揭示促进数量词构式泛化以及构式网络形成的动因和机制。本文的研究结果可以通过以下内容来进行阐述。 首先,本文对名量词构式“Num+NCL+X”的构式语法特征展开了分析,并以“X”和名量词为中心对比了各构式的能产性、图式性以及组合性规律。研究结果发现,名量词构式形式及语义功能的扩张虽然以不同的程度出现在各类别名量词(个体量词、集合量词、不定量词、度量词)构式上,但其扩张自身以及扩张的方向呈现出一致的倾向性特征。其中不同程度的扩张是指在个体量词构式、集合量词构式、不定量词构式中表现出最大的形式图式和语义图式,但在度量词构式中表现出相对较小的形式图式和语义图式。而其中一致的倾向性特征可以表现为两点:1)所有名量词都可与“形容词”、“动词”相结合且名量词与“X”搭配时呈现出一致性规律;2)所有名量词构式的意义扩张方向都为“典型计量意义-->非典型计量意义-->主观评价或描述”(只是度量词因构式化程度低,从而其发展停留在非典型计量意义阶段)。并且本文在总结嵌入成分与名量词搭配规律的同时,也根据被嵌入成分的“具体-抽象”、“静态-动态”、“可控-不可控”以及“有界-无界”等特征对这种规律的出现做出了相应解释。本文还分析了名量词构式的形式与语义配对关系,确认了名量词构式的泛化程度及覆盖范围等内容。 其次本文对动量词构式“X+Num+VCL”的构式语法特征展开了分析,并同样以中心语“X”和动量词为中心揭示了各下位动量词构式的能产性、图式性以及组合性规律。嵌入动量词构式的“X”成分在与动量词搭配时各类别动量词构式都体现出一致性的语义聚类分布规律,即在动词上呈现出“动作动词>结果动词>状态动词”的绝对倾向性;形容词上呈现出“可变性质形容词>典型性质形容词>状态形容词”的绝对性梯度;名词上呈现出“活动名词>程度性名词>工具名词”的相对性梯度特征。并且在统计嵌入成分与动量词搭配规律的同时,本文根据被嵌入成分的“动态-静态”、“有界-无界”等特征对这种语言表征规律做出了解释。同时本文分析了动量词构式的形式与语义配对关系,确认了动量词构式的发展倾向、泛化程度以及覆盖范围等内容。根据研究结果,动量词构式与名量词构式一样,其形式与功能的扩张虽然以不同的程度出现在各类别动量词构式上,但是其扩张自身以及扩张的方向在各类别动量词构式上呈现出一致的倾向性特征。 然后本文在第五章以上述数量词构式语法特征分析结果为基础,总结了数量词构式的构式演变及构式化过程,并揭示了各构式之间的内在关系以及在网络上的具体表征。研究结果表明,在名量词构式和动量词构式中都分别存在构式演变过程和构式化过程。并且在各构式间的继承关系上,名量词构式中共存在“IP”和“IM”两种内部继承关系;动量词构式中共存在“IS”和“IM”两种内部继承关系。之后,本文又以数量构式的演变过程和构式化过程、继承关系的分析结果为基础,在数量词构式的网络中标出了各构式之间的位置和内容。 最后本文对数量词构式的发展演变过程和构式生成机制进行了考察。以构式语法相关讨论和研究结果为基础,数量词构式的生成机制可以包括“CENCE ME原则”、“语用上凸显异感/新奇”、“新分析”、“类比思考和类比化”、“构式和词汇双向压制”等。另外,从认知视角来看,人类拥有的隐喻、转喻、概念混合等机制也对数量词构式的发展起着重要的作用。 通过上述研究结果,本文确认了数量词构式的泛化是具有普遍性的(或者至少可以说是数量词构式发展的共同方向),而并非仅发生在个别高频率的特殊量词词汇上。并且由于语言的流动性,这种趋势会随着语言使用者的使用而继续不断地发展下去。纵观漫长的数量词构式演变系统,数量词构式的发展也可以看作是一个无限循环进化的系统。 본 연구는 수량사 구문이 언어의 관습을 위반하는 것처럼 보이는 “불일치”라는 현상에서 출발하여, 구문문법의 측면에서 현대 중국어 명량사 구문과 동량사 구문의 형식과 의미의 일반화 과정에 대해 연구한다. 본고는 수량사 구문 ‘형식-의미’의 다양한 문법적 특징을 탐색하고, 그에 따른 경사도적 변화 규칙과 발전과정을 분석한다. 이와 동시에, 본고의 목적은 수량사 구문의 구문변화와 구문화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각 수량 구문 간의 내부적 관계와 구문 네트워크의 구체적 내용을 기술하고, 수량 구문의 변화와 구문 네트워크 형성을 추진하는 동인과 메커니즘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고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정리할 수 있다. 먼저, 본고는 명량사 구문인 ‘Num+NCL+X’의 문법적 특징을 분석하고, ‘X’와 명량사를 중심으로 각 구문의 생산성, 도식성, 합성성의 규칙성을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명량사 구문의 형식 및 의미기능의 확장은 각각의 명량사 구문에서 상이한 정도로 나타났지만, 확장되었다는 사실 자체와 그 확장 방향은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우선 상이한 정도의 확장이란 개체양사 구문, 집합양사 구문, 부정양사 구문의 경우 최대의 형식 도식 및 의미 도식을 보이지만, 도량사 구문은 상대적으로 작은 형식 도식과 의미 도식을 보임을 의미한다. 일치하는 경향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첫째, 모든 명량사는 ‘형용사’, ‘동사’와 결합할 수 있고, 명량사가 “X”와 결합할 때, 일관된 규칙이 나타난다. 둘째, 명량사 구문의 의미 확장은 모두 ‘전형적인 계량의미-->비전형적인 계량의미-->주관적 평가 혹은 묘사’의 방향으로 나타난다. (다만 도량사의 경우 구문화 정도가 낮아 비전형적인 계량의미 단계에 머물러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삽입 성분과 명량사 간의 결합 규칙을 제시하는 동시에, 이러한 규칙의 출현에 대해 삽입 성분의 ‘구체-추상’, ‘정태-동태’, ‘통제 가능-통제 불가능’, ‘유한-무한’ 등의 특징에 따라 상응하는 해석을 했다. 동시에, 해당 장에서 명량사 구문의 형식과 의미의 쌍을 분석하여 명량사 구문의 일반화 정도, 적용 범위 등에 관한 확인을 진행하였다. 본고는 이어서 동량사 구문인 “X+Num+VCL”의 문법적 특징을 분석하고, ‘X’와 동량사를 중심으로 각 구문의 생산성, 도식성, 합성성 규칙에 대해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동량사 구문에 삽입된 ‘X’가 동사일 때는 ‘동작동사>결과동사>상태동사’의 절대적 경향성을, 형용사일 때는 ‘변화성질형용사>전형성질형용사>상태형용사’의 절대적 경향성을, 명사일 때는 ‘활동명사>정도성명사>도구명사’의 상대적 경향성의 의미적 분포 규칙을 나타낸다. 나아가 본고는 ‘X’가 가지는 ‘동태성-정태성’, ‘유한-무한’이라는 특징을 근거로 이러한 규칙성에 대한 해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해당 장에서 동량사 구문의 형식과 의미의 쌍을 분석하여 동량사 구문의 발전 방향, 일반화 정도, 또한 적용 범위에 관한 확인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명량사 구문과 마찬가지로 동량사 구문의 형식과 의미기능의 확장은 각종 동량사 구문에서 상이한 정도로 나타나지만, 그 확장 사실 자체와 확장 방향은 각종 동량사 구문에서 일치하는 경향성 특징을 보였다. 본고는 5장에서 명량사 구문과 동량사 구문의 구문변화 및 구문화 과정, 각 종류 구문 간의 상속관계, 수량사 구문의 네트워크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명량사 구문과 동량사 구문이 하위구문으로 발전해 나가며, 모두 구문변화와 구문화 과정을 거쳤음을 확인하였다. 구문 간 내부적 상속 관계에서는 명량사 구문에 “IP”와 “IM”의 두 가지 상속관계가 존재하고, 동량사 구문에는 “IS”와 “IM”의 두 가지 상속관계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또한 수량사 구문의 구문변화와 구문화 과정, 상속관계를 통해 수량사 구문 네트워크에서의 각 구문의 위치와 내용을 정리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고는 수량사 구문의 발전 과정과 구문 생성 기제에 대해 고찰하였다. 구문문법 관련 논의와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했을 때 수량사 구문의 생성 기제로는 “CENCE ME 원리”, “화용적 현저성”, “신분석”, “유추적 사고와 유추화”, “구문과 어휘의 상호 강요”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인지적 관점에서 인간이 가지고 있는 은유, 환유, 개념적 혼성 기제 등이 수량사 구문의 발전에 중요한 작용을 한다. 앞서 서술한 연구 결과를 통해, 수량사 구문의 발전과 확장 과정이 특수한 고빈도 양사 어휘에서뿐만 아니라, 보편성을(혹은 적어도 수량사 구문의 보편적 발전 방향성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언어는 계속해서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위와 같은 구문 확장은 언어 사용자의 사용에 따라 지속적으로, 끊임없이 발전해 나갈 것이다. 또한 수량사 구문의 긴 변화 체계와 발전은 하나의 무한한 순환적인 시스템으로 볼 수 있다.

      • 모바일 쇼핑몰의 인공지능 기능을 활용한 소비자의 사용의도 연구 : 중국 타오바오 어플 사례

        LI MINGYUE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1967

        모바일 쇼핑몰은 데스크톱이나 노트북을 이용하여 유선 인터넷을 사용하여 제한된 장소 내에서 이루어지는 전통적인 온라인 쇼핑에 비해 유연하고 간편하며 언제 어디서나 개성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시간과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이용 가능이동 중에 손으로 쇼핑을 하는 것, 잠재 사용자의 규모가 크고 보급이 용이하다는 등의 특징이 사람들의 쇼핑 패턴과 편리성을 크게 변화시켰습니다. 특히, 중국에서는 모바일 쇼핑 사용자가 전세계적으로 30%를 넘어서, 2019년 1월부터 9월까지 전 중국의 온라인 매출은 전년 대비 16.8%가 증가했다. 수많은 소비자가 사용하기 때문에 모바일 쇼핑몰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도 더 다양해지고 있으며, 빠르게 발전하는 인공지능 기술도 다수의 모바일 쇼핑몰에서 활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 가장 활용도가 높은 세 가지 기능이 바로 챗봇기능, 상품추천 기능 그리고 모바일LBS기능이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쇼핑몰의 지각된 인공지능 기능을 보이는 점에 주목하며 모바일 쇼핑몰의 소비자와 인지된 인공기능이 있는 사용 의도에 미치는 변수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모바일 쇼핑몰에서 제공 하고 있는 대표적인 여러 인공지능 기능들이 결국 모바일 쇼핑몰의 이미지에 영향을 주어 매개효과로 인해 사용 의도가 증가한다고 생각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중 모바일 쇼핑몰에 이용하는 소비자들의 인지된 인공지능 기능, 챗봇 기능, 상품 추천 기능, 모바일 LBS기능은 독립변수로, 모바일 쇼핑몰 이미지의 상품 속성, 분위기 속성, 서비스 속성을 매개 변수로 하며 사용 의도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였다. 중국의 타오바오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10대부터 345부의 설문조사 표본으로 통계프로그램인 SPSS 23.0과 AMOS 23.0을 이용한 기초통계 분석을 시행하였고, 요인 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과 기술통계 그리고 경로 분석을 시행하며 그 결과를 기술하였다. 연구 결과 인지된 상품 추천기능은 모바일 쇼핑몰의 상품 속성, 분위기 속성, 서비스 속성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고; 인지된 모바일 LBS 기능도 모바일 쇼핑몰의 상품 속성, 분위기 속성, 서비스 속성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고;인지된 챗봇 기능은 모바일 쇼핑몰의 상품 속성에 영향을 준다는 가설은 기각되었으며, 인지된 챗봇 기능은 모바일 쇼핑몰의 분위기 속성,서비스 속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고; 모바일 쇼핑몰 이미지의 상품 속성,분위기 속성,서비스 속성이 모바일 쇼핑몰 사용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모바일 쇼핑몰에서 소비자들의 인지된 인공지능 기능의 경로를 최대한 활용하여 사용 의도를 높이는 마케팅과 어플리케이션 운영에 도움이 되어야 할 것이다. Mobile shopping malls are more flexible and simple than traditional online shopping, which is done within a limited location using wired Internet using desktops or laptops, and offer personalized services anytime, anywhere, so the characteristics of shopping by hand while on-the-go, regardless of time and space, and the size and ease of distribution of potential users have greatly changed people's shopping patterns and convenience.In particular, in China, mobile shopping users exceeded 30 percent worldwide, with online sales in all China rising 16.8 percent year-on-year in the January-September period of 2019. Because it is used by countless consumers, the services provided by mobile shopping malls are becoming more diverse, and the fast-develop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s also being used in a number of mobile shopping malls.Among them, the three most utilized functions are chatbot function, product recommendation function, and mobile LBS function. In this study, we wanted to study the variables on the consumers of mobile shopping malls and their intention to use perceived artificial functions, noting that mobile shopping malls display perceived artificial intelligence functions. Several represent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functions provided by mobile shopping malls eventually affected the image of mobile shopping malls, which led to an increase in the intention of use due to the medium effect. Among them, the perceived artificial intelligence function, chatbot function, product recommendation function, and mobile LBS function of consumers who use mobile shopping mall were studied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how much influence they had on the intention of use by using product properties, atmosphere properties, and service properties of mobile shopping mall images as parameters. The basic statistical analysis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s SPS 23.0 and AMOS 23.0 were conducted with survey samples from teenagers to 345 who had experience using the Taobao application in China, and the results were described by conducting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and path analysis. The hypothesis that perceived product recommendation functions will affect product properties, atmosphere properties, and service properties of mobile shopping malls was adopted; the hypothesis that recognized mobile LBS functions will also affect product properties, atmosphere attributes, and service properties of mobile shopping malls was adopted; the hypothesis that recognized chatbot functions affect product properties of mobile shopping malls was rejected; the hypothesis that perceived chatbot functions will affect the mood attributes of mobile shopping malls was adopted; and the hypothesis that service properties was adopted. Therefore, mobile shopping malls should take full advantage of the consumers' perceived path of artificial intelligence functions to help them run marketing and applications that enhance their intended u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