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의 기술혁신체계와 기술추격에 대한 연구 : 1980-90년대 반도체산업을 중심으로

        Jiang Ming Xu 인제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33023

        Study on Korea’s Technological Catch-up Based on NIS Focusing on Korea’s Semiconductor Industry in 1980-1990s Jiang Mingxu (Advisor : prof. Park Seok Keun, E, D) Department of International Trade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Catch-up is a very important phenomenon in the world economy. Gershenkron argues that targeting rapidly growing and advanced technologies is the advantage of catching-up countries. From national innovation system approach, technological innovation are central to the catching-up process, and a country(or firm) must be able to use a specific “window of opportunity” to realize catch-up if they implement appropriate social, industrial and technology policies, here is NIS; otherwise, it will continue to lag behind. Many countries and economies have successfully exploited their window of opportunity, such as the USA in the 19th century, Japan from the 1960s, later Korea, Taiwan and Singapore. Korea, the new industrialized country emerging in East Asia, just through these kinds of catching up process, achieved the “Han River Miracle”(漢江奇蹟) in the relatively short time in last century and now have been one of the economic powers of the world especially in the field of electric industry, auto motor, semiconductor industry, shipbuilding and so on. But the catching up road also has the Korean characteristics so the paper here will explore and analyze the Korea’s catching up road on case of semiconductor industry, which is regarded as today and tomorrow’s “ industry of industries”, to explain the Korea’s success. Korea were first able to enter the semiconductor market in the early 1980s and produced less than one per cent of world semiconductor output in the mid-1980s; but emerged as significant semiconductor producer in the late 1980s/ 1990s and rapidly had overtaken Europe in output terms, and by the 1990s it became the world’s third largest semiconductor producer, next only to the United States and Japan, with about 10 per cent of the world total share and the world-class semiconductor producer: Samsung and Hyundai. This success of Korea’s semiconductor industry has been the typical case for the developing countries and especially for Korea’s neighbor-China. Therefore, as a new economy with the rapid developing rate, China should learn from Korea’s valuable experience of NIS and create its own window of opportunity to realize technological catching up at the field of semiconductor. Key words: technological catch- up, national innovation system, semiconductor industry 국문 초록 한국의 기술혁신체계와 기술추격에 대한 연구 : 1980-90년대 반도체산업을 중심으로 장명욱 (지도교수: 박석근) 인제대학교 대학원 국제통상학과 경제적 후발국가가 선진국을 추격하는 것은 세계경제의 중요한 현상이고 주요 연구과제다. 게르센크론에 의하면 후발국가는 주로 선진국의 급속히 성장하는 선진기술을 모방과 흡수의 목표로 삼고 추격을 하게 된다. 이와 함께 적절한 기술정책, 산업정책 및 사회정책 등을 포괄적으로 수행할 때 그 후발국가는 소위 도약을 위한 ‘기회의 창’을 활용할 수 있게 되고 결국은 추격에 성공을 하고 선진산업국의 대열에 진입을 하게 된다. 이것은 19세기 미국, 20세기 일본, 나아가 20세기 말 한국과 싱가폴 등의 경험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강의 기적’을 통해 신흥공업국에서 전자, 자동차, 조선 및 반도체 등의 산업에서 강력한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성공한 한국은 기술후발국에 의해 이뤄진 ‘추격’의 전형적인 사례다. 그러나 한국의 추격에는 후발국의 추격과정이 갖는 보편적인 내용 뿐만 아니라 한국 고유의 특수성이 확인된다. 이것을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국가혁신체계라는 틀 속에서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산업은 반도체로 하였고, 시대는 1980-1990년대로 하였다. 반도체는 이 시대에 ‘산업 중의 산업’이다. 시기를 1980-90년대로 국한한 것은 한국의 국가혁신체계가 국가주도에서 재벌주도로 극적으로 변화하는 시기였고 그 경향을 반도체산업을 통해 가장 잘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국이 세계적인 산업대국으로 부상하는데 성공하는 데에는 순조로운 세계경제적 환경뿐만 아니라 정교하고도 역동적인 한국만의 고유한 국가혁신체계가 작동하였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여기에는 한국의 정부, 재벌 및 대학 및 연구기관의 조화로운 역할과 이를 아우르는 다양한 정책들이 포괄된다. 이러한 한국의 성공사례는 반도체 등의 산업에서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고 있는 중국의 추격에 매우 유익한 타산지석의 교훈이 될 수 있다. 아직 전통적인 국가 주도적 국가혁신체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중국이 반도체를 비롯한 미래지향적 산업에서 추격을 이뤄내고 선진산업국가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한국과 같이 유연하고 역동적인 국가혁신체계를 구축하여야 할 것이고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핵심단어: 기술추격, 국가혁신체계, 반도체산업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