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ttenuating effects of nicotinamide riboside on hepatic and brain inflammation in vitro and in vivo

        Hee Jae Lee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33023

        니코틴아미드 리보사이드는 최근 발견된 비타민 B3 중 하나로 우유와 같은 식품에 존재한다. 니코틴아미드 리보사이드는 니코틴아미드 리보사이드 카이네이즈 경로와 니코틴아미드 우회경로를 통하여 NAD+ 형태로 변환된다. 니코틴산과 니코틴아미드가 부작용으로 인해 사용이 제한적인데 반해, 아직까지 니코틴아미드 리보사이드는 부작용이 보고된 바가 없다. 또한, 니코틴아미드 리보사이드가 최근 미국에서 건강기능식품으로 소비자에게 판매되고 있어 접근성과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당뇨병은 신체 전반에 영향을 주는 만성질환이며 다양한 합병증이 전신에 걸쳐서 발생하여 사망률 증가 위험을 높인다. 염증은 제2형 당뇨, 비만, 비알콜성간질환, 알츠하이머병 등과 같은 질환의 발병과 진행에 작용하는 주요한 요소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세포 모델과 동물 모델을 이용하여 니코틴아미드 리보사이드의 염증완화효과를 간과 뇌 조직에서 확인하고 그에 대한 세부작용 기전으로 시르투인 경로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니코틴아미드 리보사이드는 당뇨 및 제2형 당뇨 쥐 모델에서 혈당조절능력을 향상시키면서 간의 총콜레스테롤 수준을 감소시켰다. 또한, 니코틴아미드 리보사이드는 간과 혈중 염증 인자들의 수준을 개선했고, 이는 간의 염증조절결합체 NLRP3 인플라마좀과 그 구성인자들의 발현 감소와 함께 나타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니코틴아미드 리보사이드의 염증 조절 기전을 확인하기 위해 먼저 쥐 간세포모델을 이용하였다. 지방간세포모델에서 니코틴아미드 리보사이드의 처리는 Sirt1 activity와 Sirt1, Sirt3, Sirt6의 발현을 증가시켰고, 팔미트산으로 인해 감소했던 Sirt1과 Sirt6의 단백질 수준을 니코틴아미드 리보사이드가 회복시키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또한 니코틴아미드 리보사이드는 미토콘드리아 관련 인자들의 발현을 증가시켰으나 이러한 효과는 Sirt1과 Sirt6 knockdown으로 인해 사라졌다. 또한, 니코틴아미드 리보사이드의 염증 관련 인자의 발현 감소 효과는 Sirt6 knockdown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즉, 세포 모델에서 니코틴아미드 리보사이드의 염증 및 미토콘드리아 관련 인자 조절 효과는 Srit1/Sirt6에 의존적임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동물모델에서 간 조직에 특이적으로 Sirt1과 Sirt6을 knockdown하여 니코틴아미드 리보사이드의 작용 기전을 확인한 결과, 이 모델에서 니코틴아미드 리보사이드는 TNF-α 발현 및 미토콘드리아 관련 인자의 발현을 개선시키지 못하였다. 즉, 니코틴아미드 리보사이드의 간에서 염증 및 미토콘드리아 관련 인자의 개선효과는 Sirt1 또는 Sirt6 경로에 의존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고혈당으로 유도된 치매동물모델에서 니코틴아미드 리보사이드가 염증 조절 및 치매관련 요소들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니코틴아미드 리보사이드를 섭취한 쥐들의 nest construction test에서의 고득점을 통해 니코틴아미드 리보사이드의 해마 기능의 손상 개선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뇌조직 관찰을 통해서는 니코틴아미드 리보사이드의 핵농축현상에 대한 보호효과를 관찰하였다. 또한 휴식시간 및 활동 속도가 니코틴아미드 리보사이드의 섭취를 통해 개선되었다. 이러한 니코틴아미드 리보사이드의 인지기능 이상 개선효과는 뇌조직에서 염증 인자와 NLPR3 인플라마좀의 발현 감소 및 아밀로이드 베타의 수준의 저하가 수반됨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2형 당뇨병 실험 동물에게 니코틴아미드 리보사이드가 혈당조절을 향상시키면서 간 조직의 NLRP3 인플라마좀을 조절하여 염증완화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쥐 지방간세포모델을 이용하여 니코틴아미드 리보사이드가 Sirt1, Sirt3, Sirt6의 발현을 향상시키고, 미토콘드리아 관련 인자들과 염증인자들을 개선시킴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효과는 Sirt1 또는 Sirt6 경로에 의존적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간 조직에 특이적으로 Sirt1과 Sirt6을 knockdown한 쥐의 간에서도 니코틴아미드 리보사이드가 TNF-α 발현 및 미토콘드리아 관련 인자의 발현을 개선시키지 못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니코틴아미드 리보사이드의 간 조직에서 미토콘드리아 관련 인자 개선 및 염증완화효과가 일부 시르투인 경로를 통하여 나타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당뇨병성 치매 실험 동물에서 니코틴아미드 리보사이드의 섭취는 해마 기능 손상 및 뇌 조직의 핵농축현상을 개선시키면서 염증 인자를 비롯한 NLRP3 인플라마좀, 아밀로이드 베타 수준을 낮춤을 확인하였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는 니코틴아미드 리보사이드가 간과 뇌조직에서 염증완화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니코틴아미드 리보사이드가 간 조직과 뇌의 염증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기초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 Effect of Gd-alloyed Neutron Absorber on Thermal Performance of a Spent Fuel Cask

        Hee-Jae Lee Graduate School of UNIST 2017 국내석사

        RANK : 233023

        A spent fuel cask must be designed to provide safety functions. In particular, in order to maintain the sub-criticality safety, different neutron absorbers have been used for the spent nuclear fuel management system. Although BORAL is the most used neutron absorber, several problems have been reported and it has some potential problems for long term storage of spent nuclear fuels. Recently, a Gd-alloyed duplex stainless steel demonstrated the possibility of fabrication and under development for an advanced neutron absorber and structural material as well. In this study, the effect of Gd alloyed neutron absorber on thermal performance of a spent fuel cask has been studied. The thermal properties of Gd-alloyed DSS was measured using the specimens provided by KITEC. The effect of Gd-alloyed duplex stainless steel adoption was analyzed for the reference casks, KSC-1 and KORAD-21. The analysis method was verified by comparing the analysis results with the reported values. Their system with Gd-alloyed DSS should remove decay heat with passive cooling. The KSC-1 and KORAD-21 casks were modeled with a 2D axis-symmetry condition and 3D symmetry condition, respectively, using ANSYS FLUENT v17.0. Based on the verified method, thermal performance of KORAD-21 which adopts Gd-alloyed DSS was analyzed. The maximum fuel cladding temperature with Gd-alloyed DSS exceeded allowable temperature of 400 ℃ and it could affect the fuel integrity. Therefore, basket wall thickness and disk thickness were optimized to enhance thermal performance. When the basket wall thickness was reduced, the gap between the basket surface and disk square holes was consequently increased. The increased gap enhanced the upward flow of helium and it improved the decay heat removal. Additionally, disk thickness was optimized to 60mm from 20mm. The increased heat-conducting surface enhanced the conduction heat transfer. As a result, UNIST-version design of the KORAD-21 cask was developed with the 5.0mm basket wall thickness and 60mm disk thickness. Thermal performance of UNIST design cask satisfied thermal requirements in normal operation.

      • Smartphone Applications for Women’s Safety Using Location Tracking: Focused on User Data Analysis

        Lee, Jae Hee Hongik University 2020 국내석사

        RANK : 233007

        여성 안전을 위한 스마트폰 앱은 점점 더 대중화되고 기능적으로 다양 해지고 있다. 여성에 대한 성폭력의 증가와 모바일 기술의 발전은 이러한 앱의 대중화에 기여한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앱들은 '개인 안전 앱(personal safety app)' 또는 '안심귀가 앱(safe return app)'이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줄이고 긴급 상황에서 즉각적인 도움을 얻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늦은 밤 귀가길에 위험한 상황이 발생하면 가족, 친구 또는 경찰에게 실시간으로 알릴 수 있으며, 또한 범죄 발생 후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한다. 여성을 위한 개인 안전 앱은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도록 발전하였다. 그 범위는 단순한 패닉 버튼에서 위치 추적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 움직임을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는 고급 기능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반 구조화 인터뷰 또는 설문 조사를 통해 개인 안전 앱의 기능 및 효과에 대한 연구들이 수행되었지만 개인 안전 앱의 주관적인 사용자 경험에 관한 사전 연구는 거의 또는 전혀 없었다. 이러한 격차를 메우기 위해 본 연구는 국내외 실제 통용되고 있는 개인 안전 앱의 기능에 대한 개요를 제공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인식, 감정 및 경험을 이해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최근 활용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위치 추적기술을 사용하여 실시간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 보다 구체적으로 여성의 보행안전을 향상시키고자 설계된 개인 안전 앱들을 중점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이러한 연구범위에 해당하는 여덟 개의 앱에 대한 개략적인 개요와 기능을 살펴본다. 다음으로 이중 Google Play에서 평점정보를 얻을 수 있는 여섯 개의 앱의 사용자 평점을 비교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선정된 샘플 앱의 사용자 리뷰 데이터를 사용하여 단어 빈도 분석(word frequency analysis), 감정 분석(sentiment analysis) 및 주제 분석(thematic analysis)으로 구성된 포괄적인 정성 분석을 거친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로 개인 안전 앱의 기능들 중에서 실시간 모니터링 및 친구나 가족에게 긴급 알림 기능은 공통된 기능으로 보여주고 있으며, 이중 일부 앱들은 비디오 스트리밍 및 지오펜싱(geofencing)과 같은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평점 분석에 사용된 여섯 개 앱 모두 1점에서 5점까지의 평점에서 3.5 이상의 합리적으로 높은 누적 평균 평점을 보여주었고, 샘플 앱 사용자 리뷰 데이터의 주제분석에서는 사용자는 안전, 유용한 기능 및 사용 편의성에서 높은 평점을 주면서 만족했지만 오동작 및 배터리 소모와 같은 기술적인 문제, 비용발생으로 인한 접근성에 관해서는 불만족했다는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에서 사례연구로 제시한 서울시의 공공 앱인 안심이는 오프라인에서 진행하고 있는 안심귀가 스카우트 서비스와 함께 CCTV와 통합관제 센터가 연계된 안심귀가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점에서 타 해외의 개인안전 앱들과 차이점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안심이는 공공 데이터에 접근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안심이의 벤치마킹을 통해 타 개인 안전 앱의 활용영역도 확대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더 많은 공공-민간의 협력은 공공 인프라를 활용한 실시간 모니터링 서비스와 경찰에 직접적인 신고 서비스를 통해 여성 안전, 더 나아가 공공안전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기대한다. Smartphone applications for women’s safety are becoming more popular and functionally diversified. Increasing numbers of sexual violence against women and advances in mobile technology are major contributing factors to the popularity of these apps. They are also called ‘personal safety apps’ or ‘safe-return home apps’. They focus on reducing fear of crime and accessing immediate assistance in emergencies. Women can alert family, friends, or the police in real time when dangerous situations arise on the way home at night. The apps also enable immediate response after occurrence of crime. Personal safety apps for women have been developed with various features. Their range varies from simple panic button to advanced features, such as real-time monitoring using location tracking of user movement. Even though semi-structured interviews or surveys have been conducted on the features and effectiveness of personal safety app, little or no prior research concerning the subjective user experience of personal safety apps exists. To fill this gap in research, this study aims to provide an overview of the features of personal safety app on the market, while also endeavoring to understand the user’s perceptions, feelings and experiences in relation to them. This study focuses on apps that implement real-time monitoring service using location tracking, which usage has been rapidly increasing.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looks at personal apps designed to enhance women’s pedestrian safety by using user data as follows. First, overview and function of eight target apps that fall within this research scope are reviewed through feature analysis. Second, user ratings analysis of six apps, freely available on Google Play, is conducted. Last, the apps are subjected to comprehensive qualitative analyses, consisting of word frequency analysis, sentiment analysis, and thematic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eature analysis shows that most apps provide real time monitoring and emergency notification to friends or family. Some apps are found to offer differentiated services, such as video streaming and geofencing. Second, rating analysis indicates that all six apps received a reasonably high cumulative average rating of over 3.5 out of 5. Word frequency analysis shows the importance of physical configurations (CCTV, control center, mobile phones), app features (safe-return home, emergency reporting, SOS calls, scouts), and crime related keywords (criminal, risks situation, and emergencies). Thematic analysis reveals that users are satisfied with safety, useful features and easiness to use, while they are dissatisfied with its inaccessibility due to cost and technical issues, such as problematic operation and battery drain. The case study finds that Ansimi, the public app developed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s unique in providing CCTV-linked safe-return home services together with offline safe-return home services. The Ansimi app prevents crime by providing a monitoring service linking offline scout service, CCTVs and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As a consequence, response to crime can be immediate after an emergency request is received. For private apps, Ansimi’s can serve as a benchmark for providing real-time monitoring service and direct report service to police through greater public-private cooperation.

      • 심리검사 개발에서 계획된 결측 설계를 위한 대체 방법의 정확성 비교 : 단순 대체법, 다중 대체법, 동시추정법을 중심으로

        이희재 한림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32991

        연구배경: 연구는 계획된 결측 설계에서 결측비율에 따라 각 대체 방법의 정확성을 비교하여 계 획된 결측 설계의 심리검사 개발에서 사용을 제언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계획된 결측 설계는 연 구자에게는 피험자 모집의 부담을 줄여주고, 피험자에게는 검사 수행의 피로도를 줄여줄 수 있 는 방법 중 하나로 제안될 수 있으나, 아직 관련 연구가 적어 실제 연구에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동시추정법으로 명명한 가중 최소 제곱법(WLSMV; Weighted Least Squares adjusted Mean and Variance) 역시 추정방법 중 하나로써 그 정확성을 인정받았으나, 추정법 자체가 결측치를 처리하며 동시에 추정할 수 있음에도 결측치에 대한 대체 수행 비교 연 구가 많이 진행되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심리검사 개발 및 사용에서 계획된 결측 설 계의 사용과 대체방법으로서 가중 최소 제곱법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는 개발 중인 심리검사에 피험자가 실제로 응답한 자료를 진점수로 가정하였다. 원자료에 계획된 결측 설계를 결측비율에 따라 적용하여 평균 대체법, 회귀 대체법, EM 알고리 즘 대체법, MCMC 대체법, 동시추정법(WLSMV)의 다섯 가지 방법으로 결측치를 대체한 후, 확 인적 요인분석(CF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여 진점수와 유사한지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계획된 결측 설계에서 결측된 부분에 대한 대체결과 평균 대체법과 회귀 대체법은 결 측비율에 따라 오차가 다소 증가하였다. MCMC 대체법의 경우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와 상이 한 결과가 나왔으므로 이에 대해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EM 알고리즘은 분산을 지나치게 과소추정하여 결측비율이 높아짐에도 안정적인 지나치게 안정적인 수행을 보였다. 동시추정법 (WLSMV)은 결측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오차가 증가하였으나 모든 조건에서 가장 진점수와 차 이가 작았다. 동시추정법(WLSMV)을 사용할 경우 진점수와 오차가 0.01(0.005)수준이었기 때문 에 동시추정법(WLSMV)을 통한 계획된 결측 설계의 사용을 제언하였다.

      • Study of low temperature transformation welding consumable for reduction of deformation on thin plate welds

        이재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32990

        아크 용접은 아크 열 에너지를 사용하여 금속을 국부적으로 녹여서 접합하는 일반적인 방법이다. 아크 열 에너지에 의해 녹은 용접 금속은 냉각 중에 필연적으로 수축된다. 용접 금속이 냉각 중에 수축되면 고정된 모재에 의해 구속되어 용접부에는 상대적으로 인장 잔류 응력이 발생하게 된다. 용접의 인장 잔류 응력은 최종 제품의 변형 및 피로 강도 감소와 같은 다양한 문제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박판 용접에서 더욱 심각하게 발생한다. 저온 변태(LTT) 용접 재료는 오스테나이트에서 마르텐사이트로의 상변태시 일어나는 부피 팽창 현상을 활용하여 인장 잔류 응력을 감소시키는 용접 재료이다. LTT 용접 재료는 마르텐사이트 변태 시작 (Ms) 온도에 따라 부피 팽창 성능을 제어 할 수 있으며 Ms 온도는 주로 합금 원소의 첨가를 통해 조절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박판 용접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LTT 용접 재료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총 4 개의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주제로는 LTT 용접부의 합금 성분이 Ms 온도, 미세 구조 및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이다. 합금 성분 설계은 Schaeffler 다이어그램을 사용하여 Cr 및 Ni 함량을 변화시켰다. Ms 온도는 Cr, Ni 함량 및 Cr 당량 / Ni 당량 (Creq / Nieq) 비에 의해 제어되었다. Dilataion 분석 및 Thermo-calc 계산을 통하여 Ms 온도를 도출하고 합금 성분과 미세조직 간의 연관성을 규명하였다. 오스테나이트 부피 분율은 Creq / Nieq 비율이 같다고 하더라도 Ms 온도가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초정 δ-ferrite의 부피 분율은 동일한 Ms 온도가 같더라도 Creq / Nieq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했다. 결정립계에 존재하는 초정 δ-ferrite의 부피 분율이 증가함에 따라 충격 인성은 감소하였다. 두 번째 주제에서는 Ms 온도 변화에 따른 변형과 잔류 응력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합금 주괴에 비드 온 플레이트 용접으로 용접 시편을 제작하였으며, 용접부의 잔류 응력을 측정하기 위해 홀 드릴링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상온에서 가장 많이 팽창된 용접부에서 가장 높은 압축 응력이 측정되었으며, 변형과 잔류 응력 사이의 선형 관계가 도출되었다. 이 선형 관계를 미세조직적으로 접근하여 분석하였다. 세 번째 주제는 설계된 합금 성분을 기반으로 용접 재료 시제품을 제작하여 합금 성분이 실제 좌굴 변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평가하였다. 용접 전과 후의 차이에 의한 변형량의 비교 평가를 위해 기존 용접 재료와 LTT 용접 재료를 적용하여 좌굴 변형 시험을 수행하였다. 실제 용접은 비드 온 플레이트 용접으로 수행되었다. 마지막으로 네 번째 주제에서는 3번 주제에서의 좌굴 변형 평가에서 가장 높은 변형량 감소 효과를 보이는 용접 재료를 선택하여 적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변형 감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제 적용 부위와 동일한 크기의 Mock-up 시편을 2개 제작하였고 각각 기존 용접 재료와 LTT 용접 재료를 적용하여 변형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마르텐사이트 변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저온 균열에 대한 저항성을 확인하기 위해 CTS 시험과 Mock-up 시험을 수행하여 기존 용접 재료와 LTT 용접 재료를 비교하였다. 결과적으로 개발된 용접 재료는 용접부의 변형을 감소시켰고 저온 균열에 대한 저항성이 확보되었다. Arc welding is widely used for joining metals throughout the shipbuilding industry due to its relatively low facility cost and high productivity. Welding has a characteristic that heated rapidly to become a liquid state, and cooled rapidly to become a solid state. Normally, the weldment is presented in shrinkage during this phase transformation process. Tensile stress is inevitably generated in a weld that shrinks during a rapid phase transformation due to restraint by the parent material, which is called tensile residual stress. Tensile residual stress remaining in the weldment causes deformation of the product and a decrease in fatigue strength. The fatigue strength reduction can be controlled by sufficient margin in consideration of thickness and strength of the parent material at the design stage and it is relatively easy to control fatigue strength reduction through the welding process. However, since the deformation caused by the residual stress appears in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the parent material,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welding consumable and the amount of heat input to the welding, it is difficult to control and correct. There are various types of welding deformation, such as transverse shrinkage, longitudinal shrinkage, longitudinal distortion, longitudinal bending, angular distortion, and buckling distortion depending on the shape of deformation. In thin plate welds, the deformation appears to be more dramatic and critical than thick plate welds. In particular, buckling distortion is the most difficult to correct and requires a long straightening work because the steel material shrinks in the form of a sine wave. In order to reduce the deformation of the weld, various methods are applied in the shipbuilding industry. In the design stage, deformation resistance i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steel or by adjusting the size and spacing of the stiffener. In the construction stage, deformation is minimized by applying reverse deformation during fit-up or by changing the welding process to high density energy welding. However, these methods are difficult to be regarded as a fundamental solution because they are temporary measures or have disadvantages such as requiring a high cost to reduce deformation. Therefore, the concept of low temperature transformation (LTT) was introduced to fundamentally solve the problem caused by the deformation. The volume expansion phenomenon that occurs when the steel is transformed from austenite to martensite during the phase transformation of the weldment is applied to the LTT weldment. In other words, the basic concept of the LTT weldment is to reduce the deformation by offsetting the thermal shrinkage with the volume expansion by controlling the martensite starting temperature at a low temperature. Since the LTT weldment generates compressive stress due to volume expansion, research has been mainly conducted with a focus on improving the fatigue strength properties. However, recently, when the residual stress of the weld is generated in the compressive, the strain is reduced compared to the tensile stress, so studies on the strain control through the LTT weldment are also actively progressing. Francis et al. investigated the effect of filler metal transformation temperature on residual stress in high-strength steel weld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high-strength steel plates welded with LTT electrodes were investigated by Özdemir et al. Martinez et al. showed how metal phase transformations could be used to generate compressive, rather than tensile, residual stress in structural steel weld toes. Gyubaek An et al. investigated the effects of high toughness and welding residual stress for unstable fracture prevention. The above studies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LTT materials which control the Ms temperature and residual stress, relating mechanical (tensile and fatigue) properties to variations in chemical composition. However, there are insufficient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LTT materials considering microstructure. Also, sufficient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toughness and strength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application of LTT materials. In this paper, the development of LTT welding consumable for application regarding with microstructures and mechanical properties was studied through a total of 4 sections. 1) The effects of chemical composition in LTT welds on Ms temperature,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were studied. In this secti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alloy was designed by variation of Cr and Ni contents using a Schaeffler diagram. For the designed alloy, the Ms temperature was measured by a dilatometer test. LTT characteristic analysis was approached from the view point of microstructure in response to the change Ms temperature. In addition, mechanical propertie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microstructure generated by the changing chemical composition of LTT weldment. 2) The relationship between net strain and residual stress according to changing of Ms temperature was studied. The weld was performed by bead on plate welding on the alloy ingot designed in Section 1, and a hole drilling test was carried out to measure residual stress. As a result of plotting the net strain obtained by the dilatometer test and the residual stress result obtained by the hole drilling test with the Ms temperature, characteristic points were found and discussed. 3) Prototype welding consumables was fabricated based on the designed chemical composition, and the effects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LTT welding consumables on the actual buckling distor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were evaluated. The specimen was designed to present buckling mode, and the displacement was measured using sokkia to measure the amount of deformation before and after welding. Actual welding was performed by bead on plate welding. 4) The applicability evaluation was performed by selecting the welding consumable that showed the best buckling strain reduction effect from the evaluation of buckling deformation results in section 3. To verify the effect of reducing deformation, two mock-up test specimens of the same size as the actual application were designed, and the conventional welding consumable and the LTT welding consumable were applied respectively. the displacement before and after welding was measured using sokkia to compare and evaluate the variation in the amount of deformation. CTS test and hydrogen crack mock-up test were carried out to verify the resistance to hydrogen cracking that may occur due to martensitic transformation, and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welding consumable.

      • Improving statistical word alignment reflecting alignment tendency between part-of-speeches

        이재희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11 국내석사

        RANK : 232990

        The part-of-speech tagged to each word helps to disambiguate in selecting word correspondences. Previous studies try to append POS information to an individual word. But despite that, this method boosts discriminative power, it intensify data sparseness problem due to the increasement of vocabulary size. 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opose a new method to mistigate such problem by reflecting alignment tendency between part-of-speeches to statistical word alignment. POS alignment tendency, a probability of how likely the source and target POSs are to be aligned, is estimated by using co-occurrence statistics based on bilingual sentence and initial word alignment result produced by the IBM model. Because the proposed approach does not rely on any language-dependent knowledge, it is very simple and purely statistic to be applied to any language pairs. End-to-end evaluation shows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improve not only the quality of statistical word alignment in terms of precision, recall, f-score but the performance of statistical machine translation in terms of BLEU, NIST score.

      • Design and operating performance of a heat pump-driven liquid desiccant air-conditioning system for residential buildings

        이재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990

        In this study, a workable design of a small-scale heat-pump-driven liquid-desiccant (HPLD) air-conditioning system was proposed for residential buildings. By composing the system with only one set of feasibly decoupled controlling both the sensible and latent loads, the proposed system enhances the system compactness and practicality contributing to the system to be widespread used. The proposed system consists of a liquid-desiccant (LD) unit for removing the latent load of process air and a heat-pump (HP) unit for removing the sensible load of process air and also removing the desiccant-solution cooling and heating loads. The solution dual sumps that showed energy saving potential by reducing the solution cooling and heating loads was adopted for LD unit in this study. A prototype of the proposed system was constructed, and its operating performances for various operating modes and energy efficiencies for representative summer and winter modes wer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Based on the established sequence of operation capable of handling the annual indoor sensible and latent load variations, the proposed system showed ideal and reliable air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desiccant-solution (temperature and concentration) behaviors for each operating mode. The energy efficiencies were evaluated to 7.72 EER for summer and 2.51 COP for winter which both satisfy the approved minimum efficiency requirements. In conclusion, the proposed system demonstrated its great application potential for residential buildings in terms of not only system compactness and practicality but also operating performances including energy efficiency.

      • Effects of Fluoxetine in Maternal Separation Model

        이희제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2001 국내박사

        RANK : 232990

        어머니와 자식들간의 관계는 매우 원초적인 현상으로, 어린 시절 어머니의 보살핌을 받지 못할 경우 발생, 행동, 정신적인 측면 등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항우울제로 널리 처방되고 있는 fluoxetine은 한편으로 소아 정신과 질환에서도 널리 처방되고 있다. 본 실험에서 생후 14일째인 어린 쥐들을 모성분리한 후 fluoxetine 과 BrdU를 투여하고, 면역조직화학법, TUNEL staining 방법을 사용하여, 어머니의 보살핌을 받지 않았을 경우와 이 때 fluoxetine을 처리했을 경우 각각 새끼 쥐들의 뇌에서 어떤 생물학적 변화, 특히 세포 증식과 자살의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모성문리한 어린쥐들의 치상골에서 세포 증식이 감소되었으나, 이때 fluoxetine을 투여한 경우 세포 증식이 증가하였다. 2. 모성분리한 어린 쥐들의 치상골 부피가 그렇지 않은 어린 쥐들에 비해서 감소하였다. 3. TUNEL staining, Caspase-3 면역조직화학법의 결과, 모성분리한 어린쥐들에서 apoptosis 가 증가하였다. 4. 모성분리한 어린 쥐들의 해마에서 세라토닌의 발현이 감소한 반면, fluoxeitine 투여 후, 해마에서 세라토닌 발현이 증가하였다. 본 실험에서 fluoxetine은 모성분리 후의 세포 증식, 자살 그리고 치상골의 부피에 영향을 주었으며, 따라서 fluoxetine의 모성분리등에 의한 정신질환의 처방제로 응용 가능성을 시사한다. Mother-infant relationship is an instinctive phenomenon, and loss of maternal care in early life influences neonatal development, behavior and physiologic responses. Furthermore, the early loss may affect the vulnerability of the infant to neuropsychiatric disorders, such as childhood anxiety disorders, personality disorders and depression, over its lifespan. Fluoxetine is prescribed worldwide for depression and is often used in the treatment of childhood mental problems related to maternal separation of loss of maternal care. In the present study, fluoxetine was administrated to rats with maternal separation to determine its effects on neuronal development, in particular with respect to cell proliferation and apoptosis in the dentate gyrus of the hippocampus. Rat pups were separated from their mothers and socially isolated on postnatal day 14 and were treated with fluoxetine (5mg/kg) and 5-bromo-2'-deoxyuridine (BrdU) (50mg/kg) for 7 days, after which immunohistochemistry and a 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mediated dUTP nick-end labeling(TUNEL) staining were carried out. In the pups with maternal separation treated with fluoxetine, the number of BrdU-positive cell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at of TUNEL-positive cells and caspase-3-positive cell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dentate gyrus compared to pups with maternal separation that did not receive fluoxetine treatment.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fluoxetine affects new cell proliferation and apoptosis, and we propose that fluoxetine may be useful in the treatment of maternal separation-related dise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