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Developing a conceptual model of Open Science Policy Design and Implementation Process

        Hanna Shmagun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2024 국내박사

        RANK : 231983

        Several phenomena, such as the Digital Revolution and the so-called ‘replication crisis’, influenced the emergence of the Open Science (OS) movement, emphasising the necessity of collaborative co-production of scientific knowledge and its open sharing via the Internet within and beyond research communities. While various OS initiatives, like Open Access to publications and open research data, have surfaced over the past decades and the value of OS has been underscored by various stakeholders, especially during the coronavirus pandemic, numerous issues related to the adoption of OS practices still arise largely because of the fragmentation and lack of structured holistic approaches i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related policy interventions at different levels. The aim of this doctoral research was to develop a conceptual model of OS Policy Design and Implementation Process that can be used as a basic framework for formulating, evaluating, improving and/or analysing (inter)national and institutional OS policies and strategies in a systematic way. To achieve this aim, a mixed methods research methodology was employed. This included policy document analysis of various legal and quasi-legal instruments at international, European Union and country levels; semi-structured interviews; a questionnaire survey; a virtual participatory workshop with subject matter experts. The core output of this doctoral dissertation is a conceptual model of OS Policy Design and Implementation Process. This model, anchored by a generic flowchart adapted from Ostrom’s Institutional Analysis and Development (IAD) framework, is structured as an iterative cycle. It encompasses five interdependent components or stages: enabling or inhibiting factors for OS development; deliberate actions taken in response to these OS factors; interaction and coordination mechanisms among stakeholders within and across action situations, capturing power relations and role dependences; OS outcomes derived from collective actions; evaluative criteria and associated performance measures, applied to outcomes and interaction patterns, which can invigorate feedback loops iterating the entire cycle. Delving into this model, the dissertation offers a typology of possible OS factors, ranked by significance, and proposes a guide of detailed actions for relevant stakeholders, complemented by real-world examples. It also suggests evaluative criteria alongside associated performance measures for assessing potential OS outcomes. The conceptual model can assist various stakeholders in the research and innovation sector – including policy-making governments, funding agencies and research institutions – in adopting a structured and comprehensive approach to OS policy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emphasising continuous improvement. Moreover, it can be used as a tool in case study research, providing scholars a systematic method to analyse and describe national or institutional-level OS policy landscapes. Keywords: Open Science, policy design and implementation, enabling and inhibiting factors and recommended actions, Ostrom’s Institutional Analysis and Development (IAD) framework 세계적으로 디지털 혁명과 재현성 위기와 같은 현상들이 나타났으며, 이를 통하여 과학적 성과를 만들기 위해서는 협업을 통한 공동작업의 중요성을 인식하였고 인터넷을 통한 연구자 커뮤니티 안밖에서의 공유와 개방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으며, 이것이 오픈사이언스(Open Science; OS)의 출현에 깊은 영향을 주었다. 지난 수십 년 동안 학술 출판물에 대한 오픈액세스와 공개된 연구데이터와 같은 다양한 OS 이니셔티브가 표면화되었으며, 특히 코로나바이러스 팬데믹 기간 동안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에 의해 OS의 가치가 강조되었지만, 다양한 수준의 관련 정책을 개발하고 구현하는 데 있어 구조화된 총체적 접근 방식의 부족과 구조화되지 않은 단편화된 문제로 인해OS 도입과 관련해서는 여전히 수많은 문제가 존재하고 있다. 본 박사과정 연구의 목적은 국제·국가·기관의 OS 정책 및 전략을 체계적으로 수립하고 평가하며 개선하고 분석하기 위한 기본 틀로 활용될 수 있는 ‘OS 정책 설계 및 구현 프로세스의 개념적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혼합적 방법의 연구 방법론’을 사용하였다. 이 방법론에는 국제, 유럽연합, 국가 차원의 다양한 법적·준법적 수단에 대한 정책 문서 분석과 반 구조화된 인터뷰 조사, 설문 조사, 해당 전문가들의 가상 참여형 워크숍이 포함되었다. 이 논문 연구의 핵심 결과물은 ‘OS 정책 설계 및 구현 프로세스의 개념적 모델’이다. Ostrom의 IAD(Institutional Analysis and Development) 프레임워크에서 채택한 일반적인 흐름도를 기반으로 하는 이 모델은 반복 주기로 구조화되어 있다. 이 모델은 5개의 상호 의존적인 구성요소 또는 단계가 포함되어 있다. 즉, (1) OS 개발을 활성화하거나 저해하는 요인; (2) 이러한 OS 요인에 대응하여 취해지는 의도적인 조치; (3) 조치 상황 내외에서 이해관계자 간의 상호 작용 및 조정 메커니즘이 거버넌스 관계와 역할 의존성을 포착하는 것; (4) 집단 조치에서 파생된 OS 성과; (5) ‘(3)’과 ‘(4)’에 적용되는 평가 기준 및 관련 성능 측정이다. 본 박사과정 연구에서 제시한 개념적 모델은 가능한 OS 요인의 유형을 중요도에 따라 순위를 매기고 실제 사례를 통해 보완된 관련 이해관계자를 위한 세부 행동 지침을 제안한다. 또한 잠재적인 OS 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관련 성능 측정과 함께 평가 기준을 제안한다. 이 개념적 모델은 정책을 입안하는 정부, 자금 지원 기관 및 연구 기관을 포함하여 연구 및 혁신 분야의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OS 정책 개발 및 구현에 대한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접근 방식을 채택하고 지속적인 개선을 시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이 모델은 사례 연구의 도구로 사용될 수 있으며, 학자들에게 국가 또는 기관 수준의 OS 정책 환경을 분석하고 설명할 수 있는 체계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주요단어: 오픈사이언스(Open Science; OS), 정책 기획∙실행, 촉진∙저해 요인 및 권장 활동, 엘리너 오스트롬(Elinor Ostrom)의 제도분석(Institutional Analysis and Development; IAD) 프레임워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