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Refreshable haptic display using phase-changeable liquid pouch motors

        성정빈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81

        The role of haptics as a communication medium has been increasingly emphasized across various disciplines. One typical example is the Braille system, which gained popularity among worldwide blind unions due to its intuitiveness and simplicity. As a result, multiple studies that explore different actuation methods for Refreshable Braille Displays have been introduced. However, despite the profuse amount of previous methods, developing a reliable Braille display that is easy to manufacture, low cost, low power consuming, and ultimately, portable remains an unresolved issue. This paper introduces a novel actuation method for refreshable Braille displays using phase-changeable liquid pouches attached to flexible heating elements. The displacement of the pins that form the display, is generated through controlled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pouch motors due to phase transition. Through a series of experiments, key parameters such as displacement, force, and temperature are examined. Next, we introduce the portable Braille display handle, which is highly compatible with other standard assistive devices such as the walking stick and the wheelchair, to demonstrate the proposed mechanism in a practical situation. Lastly, we propose a flexible epidermal VR device to provide haptic stimulations. This device takes full advantage of the softness of its components to deform accordingly to the target surface. 촉각은 커뮤니케이션 매체로서 다양한 분야에서 점점 더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그중 대표적인 예가 점자 시스템인데 직관적이고 간편한 장점으로 글로벌 블라인드 매뉴얼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다. 그래서 재생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방식에 대한 탐구에 많은 연구가 도입되었다. 그러나 그간 많은 방법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제조가 간편하고, 저비용, 저전력 소모, 휴대가 편이한 점자 디스플레이의 개발은 여전히 미해결된 과제로 남아 있다. 저희 연구에서는 유연한 히팅애리먼트와 상변화 액체 파우치를 결합한 새로운 구동방식으로 구동한 재생 가능한 점자 디스플레이을 소개 하였다.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핀의 위상 변화는 파우치 모터의 팽창 및 수축에 의해 생성된다. 일련의 실험을 통해 위상 변화, 힘 및 온도와 같은 주요 변수를 테스트했다. 다음으로 우리는 실제 상황에서 제안된 메커니즘을 보여주기 위해 다른 표준 보조 장치(지팡이 및 휠체어와 같은)와 매우 호환되는 휴대용 점자 디스플레이 핸들을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촉각 자극을 제공하는 유연한 표피 VR 장치를 제안하였다. 이 장치는 구성 요소의 유연성을 최대한 활용하고 대상 표면에 따라 변형한다.

      • 이사의 내부통제시스템 구축의무와 책임에 관한 연구 : 중국회사법을 중심으로

        DING BING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375

        내부통제는 기업 경영의 기초로서 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중요한 것이며, 기업의 경영리스크에 대한 대처 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메카니즘이라고 할 수 있다. 21세기초 미국과 글로벌 금융시장에 큰 영향을 주었던 엔론(Enron)사건과 월드컴(WorldCom)사건은 모두 기업의 내부통제에 중대한 결함이 있었기 때문이다. 엔론사건과 월드컴 사건은 세계적으로 내부통제에 대한 관심을 불러 일으켰고, 많은 나라들이 기업의 내부통제를 규율하는 입법을 제정하였다. 중국 관련부처도 내부통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기업내부통제를 다양한 각도에서 규정해 왔다. 가장 대표적인 것은 중국 정부가 2008년 발표한 「기업내부통제기본규범」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중국의 기존 내부통제 법규는 대부분 지나치게 원칙적이며, 통일성이 없어서 법규 간의 충돌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해 중국의 기업이 내부통제시스템을 완비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으며, 내부통제시스템의 중대한 결함으로 인한 사건이 빈발하고 있다. 본 논문은 비교법적 분석의 방법을 통해 선진국의 내부통제제도를 연구함으로써 향후 중국의 내부통제제도의 입법의 완전성을 추구하고 있다. 제1장에서는 본 논문의 연구의 목적 및 연구 범위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제2장에서는 COSO보고서, 신 COSO 보고서 및 2017년 COSO보고서상의 내부통제의 정의와 요소의 진화를 이론적으로 탐구한 후, 미국의 기업지배구조원칙 및 모범회사법전상의 내부통제와 이사의 의무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제3장에서는 미국, 일본, 한국의 내부통제시스템 입법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중국의 내부통제입법의 개선에 시사하는 바를 탐색하였다. 나아가 이사의 내부통제시스템구축의무에 관한 미국, 일본, 한국의 판례를 분석하였다. 제4장에서는 중국 내부통제의 정의, 현황 및 문제점에 대한 분석과 요약, 이사의 의무와 책임을 명확히 한 후, 효과적인 내부통제시스템의 구축을 위한 입법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제5장은 본 논문의 결론으로 앞의 장들의 내용을 요약하여 정리하였다. As the foundation of the company's management, internal control is an important guarantee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company and an effective mechanism to improve the company's management level and risk prevention capability. The Enron incident and the WorldCom incident, which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U.S. and global financial markets at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were caused by significant deficiencies in the company's internal control. The incidents of Enron and WorldCom have aroused world-wide attention to internal controls, and many countries have enacted legislation to regulate the internal control of companies. The relevant authorities in China have also graduall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internal control and have regulated internal control of companies from different perspectives. In 2008 China has issued the Basic Internal Control Norms for Enterprises. It marked that the system of internal control norms, which is based on basic norms and complemented by complementary standards, had taken initial form. However, as most of the existing internal control laws and regulations in China are too principled and lack operability, the conflict of the law phenomenon is serious. Moreover, there is a lack of in-depth study on the internal control responsibilities of directors who are at the core of internal control. Under such circumstances, it is difficult for Chinese companies to establish perfect internal control, and incidents caused by significant deficiencies in internal control are frequent. In this paper, a comparative analysis is used to research how to clarify directors' internal control responsibilities and establish a perfect internal control legislation in China on the basis of advanced internal control experience. The first chapter describes the purpose and scope of this paper. The second chapter takes the evolution of the definition and elements of internal control in the COSO report (Internal Control-Integrated Framework)and the new COSO report (Enterprise Risk Management-Integrated Framework) as the theoretical basis, and then organizes and summarizes the principles of corporate governance structure and the provisions of MBCA regarding corporate governance and directors' duties. The third chapter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legislation on internal control systems in the United States, Japan, and Korea, with the hope that it can provide some inspiration for the improvement of internal control legislation in China. The fourth chapter analyzes and summarizes the definition, current situation and practice of internal control in China, clarifies the obligations and responsibilities of directors, summarizes the impact of the internal control system on directors' obligations and responsibilities, and sorts out and evaluates some cases caused by the failure of internal control in recent years. The fifth chapter summarizes the first few chapter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he internal controlsystem to the development of Chinese companies, and the necessity of building an internal control with the company's core. In recent years, Some cases caused by the failure of the enterprise's internal control have fully proved the diversity and complexity of the cause of the out of control of the enterprise. The case reflects the simplification and process of China's internal control and risk management related legislation; there is no concreteness of relevant obligation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company's main director; there is no clear internal control system with the company's core as the core. These issues are a bigger and stronger obstacle to Chinese companies. In response, this paper proposes to build an internal control system with the Chinese company law as the core, clarify the obligations and responsibilities of directors, and to strengthen external supervision in order to improve the current situation of Chinese enterprise internal control problems.

      • 국어 유행어에 대한 연구

        DING YING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375

        本□究□□言□的□面出□考察□□流行□,以此□基□□流行引入□□知□□域,以探索流行□目□。因此需要考察□□流行□的多□多□的□型。通□□究□其他□家的□□□□者和□□人正□理解和□□□□流行□的定□和特征。□而□□□□者能□通□□□□□的流行□更容易地了解□□社□。同□,本□文的□究考察□□言□的□点出□不□□□目□停留在□□□的□□上□包括□□整□□□,□就使□次□究更具深刻的意□。 本□究中流行□包括形□素,□□,句子,文章甚至故事□范□的□言□系。因此流行□的定□不□□只是□□的指□□□范□的□是指流行□言。□流行□言□括的□"所□流行□是指通□某事件或者社□□象,媒□的□播□大□□得同感,□趣,幽默,或者具有□刺意味的新□的感□,□此同□被□繁使用的□□的□言"。□本□文的□容□括如下。 在第一章的□容里□述了本□文的□究必要性和目的,□展示了□于流行□的先行□究。通□□文,我□可以□□到□代□□使用的□□是如何被□造的,流行□是□□□生的,以及流行□近代的□展□□。□以此□基□□本文的□究作□□第2外□的□究,提高□□□□者□□□的理解和受容度。同□,分析□代□□人使用的□□□流行□的□□□□。然后□□述了本次□究的主□和本次□究的□成。 在第二章□容里□了正□的□述流行□的□念,通□□卷□□□□□□果,通□分析□述□□流行□的定□和特征,□□例。然后□□□流行□和其他□型□行比□,比如新□,□□,俗□,基本□□,□□。通□比□和展示具□的□例使流行□的特征更加□明。 在第三章的□容里通□□卷□□的□果和具□的□例□明制造流行□的主□,流行□□生的原因。□□上,制造流行□的主□有的明□,有的却不明□。社□上的事件□生□分明□有人制造有□的流行□。□有明星,政治家,□者,□些都可以成□制造流行的主□。在制造流行□的作者不明□的情□,比如流行的作者不□,□刺社□□象的□且大多□人同感的被□泛使用的流行□等等。流行□□播的只要原因包括年□,性□和媒□。同□□□述了流行□的使用□境□□例□明。□里分□七□□型。包括政治集□,社□集□,喜□,□告,□播,□□□和□□。 在四章的□容里□了□一步□明流行□的□型,□流行□按照流行的□期分□,流行的范□分□,□成形式分□,表□手段分□。其中□述按照流行的□期分□的□候又□其□1900年到2007年17年□的□□流行□收集起□,□述流行的范□分□的□候又□其分□全□流行□和局部流行□。其中局部流行□又被分成地域流行□,□□流行□,年□□流行□三□方面。在□述□成形式分□的□候□流行□分成形□素,□□,句子,文章和故事□□述。其中特□收集的90年代最流行的有趣的猪八戒□□等。在□述表□手段的□候,通□□究我□可以□□到,流行□除了文字以外□可以通□□意,□字,音素和□□□表□。□通□具□的□例□□述。在□述□言分□的□候□□容分成固有□和□字□,日□,西□□,□□□□用□□□述。 본 연구는 한국 유행어를 사회 언어학적인 면에서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행어를 國語知識 영역에 끌어들여 탐구 수업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한국 유행어에 대한 다양한 모습을 고찰해야 할 것이다. 연구를 통해 다른 나라의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인으로 하여금 한국어 유행어의 정의, 특징을 정확하게 이해시키고자 한다. 결과적으로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의 유행어를 습득하는 데 기여하고 한국 사회를 쉽게 이해시키고자 한다. 그리고, 본고는 이러한 맥락에 착안하여 현재 한국에서 보도되는 언어상의 유행 현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유행어의 고찰은 언어학적 관점에서 한국어를 이해할 뿐만 아니라 한국사회를 이해하는 사회학적 범주까지도 포괄하고 있다는 점은 이 고찰의 의의를 더욱 생각하게 하는 점이라 하겠다. 본 고에서는 유행어가 유행어소, 유행단어(單語), 유행어구(句), 유행어문(文章), 이야기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言語 體系에 속한다. 따라서 여기서 유행어의 의미는 단순히 단어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고 유행 언어의 의미를 가리키고 있다는 것이다. 유행어를 유행 언어로 규정하여 “유행어란 어떤 사전이나 사회적 현상, 매스 미디어의 전파에 의해 언중들의 공감을 얻어 재미와 해학성, 또는 풍자성을 띠며 신기한 느낌을 주면서 일시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간결하고 세련되는 언어”라고 정의 내렸다. 본 연구의 결과를 크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연구 필요성과 목적을 제시하고 유행어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현대 한국에서 어떻게 유행하는 어휘들이 창조?유포되고 있는지, 유행어의 발생원인과 최근의 흐름을 살펴봄으로써 본인의 기존 연구를 보다 확대?발전시키고 제2외국어로서 한국어를 사용하는 독자들에게 유행하는 어휘의 형태 ? 의미론적 변화에 대한 연구를 통해 유행어에 대한 이해도(理解度)와 수용성(受容性)을 높이고자 한다. 동시에 현재 한국에서 사용되는 유행어의 사용 실태를 분석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연구 주제와 논의의 구성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유행어의 개념을 분명하기 위해 설문 조사의 결과를 의하여 유행어의 정의와 특징을 살펴 보고 구체적인 예를 제시하였다. 다음에 유행어와 신조어, 은어, 속어, 기본어휘, 욕설 그리고 사회방언등 유형의 비교를 통해 구체적인 예를 제시하여 유행어의 특징을 분명히 드러냈다. 3장에서는 설문 조사의 결과를 의하여 유행어를 만드는 주체와 발생원인, 유행어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유행어의 사용환경을 설펴 보았다. 유행어를 만드는 주체와 발생원인에서는 구체적인 예를 제시하면서 유행어는 작가가 분명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특정한 사회적인 사건의 경우는 대개 만드는 사람이 분명히 있다. 특히 연예인은 유행어를 만드는 분명한 주체이다. 정치가 역시 많은 유행어를 만들고, 학자도 유행어를 만드는 주체가 될 수 있다. 작가가 분명하지 않은 것은 누가 만든 것인지는 모르나 그것이 세태를 풍자하고 익살스러운 맛을 지녀 대중의 공감을 받아 널리 쓰이게 된 것이다. 유행어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서는 나이, 성별과 매체가 유행어 확산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 주었다. 유행어의 사용 환경은 정치 집단, 사회 집단, 코미디 방송, 광고 방송, 라디오 방송, TV 드라마와 컴퓨터 통신/인터넷의 7가지 나누어 구체적인 예를 살펴 보았다. 4장에서는 유행어의 다양한 분류를 설명하기 위해 유행어의 유행 시기에 따른 분류, 유행 범위에 따른 분류, 구성 형식에 따른 분류와 표현 수단에 따른 분류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유행 시기에 따른 분류에서는 1900년부터 2007년까지 17년간의 유행어를 수집하여 제시하였다. 유행 범위에 따른 분류에서는 다시 전국민적인 유행어와 국부적인 유행어로 나누었다. 그 중에서 국부적인 유행어는 지역유행어, 단체유행어와 세대 유행어로 나누어 살펴 보았다. 구성 형식에 따른 분류에서는 구조적으로 형태소, 단어, 구와절, 문장, 이야기로 표현되는 구체적인 예를 제시하였다. 특히 이야기에서는 90년대 들어 크게 유행한 서사 유행담인 사오정 시리즈등을 소개하고 웃음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표현 수단에 따른 분류에서는 轉意 및 숫자를 이용한 유행어, 음소 및 그림을 이용한 유행어와 어종별 유행어로 나누어 살펴 보았다. 구체적인 예를 통해서 유행어는 문자인 표현 수단을 제외하면 轉義, 숫자, 음소, 그림등으로도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어종별 유형을 고유어와 한자어, 일본어, 서구 외래어, 학술 전문 용어로 나누어 살펴 보았다.

      • Built environments and physical activity: Improving understanding of the moderators

        Ding, Ding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2012 해외박사(DDOD)

        RANK : 247375

        Background. Growing evidence supports the associations of neighborhood environments with physical activity. Understanding moderators of such associations is a critical gap in current research. Objective. The dissertation aims to examine a series of potential moderators of the associations between neighborhood environments and physical activity. Selection of moderators was based on ecological models. Methods. Secondary data from three separate studies were used. Chapter 2 used data from the Neighborhood Quality of Life study (NQLS), an observational epidemiological study of 2199 adults from selected neighborhoods in two U.S. regions. The moderators examined were psychosocial attributes about physical activity. Chapter 3 used data from the Senior NQLS study, a study of 880 seniors with similar design to that of NQLS. The moderator examined was the driving ability of seniors. Chapter 4 used data from the International Prevalence Study. Data were collected in 11 countries with standardized methodologies and instruments. The moderator examined was country. With each study, appropriate statistical models were selected based on the nature of data and the distribution of outcomes. Results. In Chapter 2, psychosocial attributes (self-efficacy, social support, enjoyment, benefits, and barriers) were found to be moderators of neighborhood environments with leisure walking as the outcome, but not with transport walking or accelerometer-based physical activity as the outcome. All interactions consistently supported stronger neighborhood environments-leisure walking associations among those with less favorable psychosocial attributes. In Chapter 3, driving ability of seniors was found to be a moderator with leisure walking as the outcome, but not with transport walking or accelerometer-based physical activity or sedentary behavior as the outcome. Patterns of interactions were consistent, suggesting neighborhood environments-leisure walking associations among driving-able seniors, but not non-driving-able seniors. In Chapter 4, the associations of physical activity/walking with land use mix, sidewalks, and bicycle facilities were more consistent across countries, suggesting generalizability. Associations involving other neighborhood attributes were more variable across countries, suggesting country as a moderator of the association. Discussion. There was evidence suggesting that psychosocial attributes, driving-ability, and country could modify associations between neighborhood environment attributes. Future studies should continue this inquiry with improved theories,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instruments.

      • 한국어 학위논문 국문 초록의 장르 분석적 연구 : 미디어학과 중국인 유학생과 한국어 모어 화자를 대상으로

        DING YUJI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359

        본 연구는 미디어학 전공에서 한국 모어 화자와 중국인 유학생들이 작성한 석사 학위 논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며 미디어학 전공 중국 유학생에게 적합한 초록 작성 방안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을 밝히고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에 관한 연구, 한국어 분 야 장르 분석 연구, 초록에 관한 선행연구, 기타 분야의 장르 분석 연구 네 가지로 분류하여 검토하고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에 대해 살펴보았다. 우선 장르와 장르 분석의 개념을 제시 하고 장르 중심 접근법과 초록의 장르적 특징에 대해 알아봤다. 3장은 연구 절차 및 분석 방법을 설정하고 이에 따라 분석하였다. 2018년부터 2022년까지 5년 사이에 5개 대학의 미디어학과에서 중국 학습자와 한국 학습자가 작성한 국문 초록을 수집하여 무선 추출의 방식으로 한국인이 작성한 학위논문 22 편과 중국인 유학생 작성한 학위논문 37편을 최종 추출하였다. Santos(1996)에 제시한 미동 마디 모형을 이용하여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먼저 평정자 3명은 간 단한 훈련을 받아 텍스트 1차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어서 일치하지 않은 부분을 교 섭하고 2차 분석을 진행하며, 평가자 간의 결과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을 때, 한 평 가자를 선택하여 모든 초록에 대해 분석을 하였다. 4장에서는 한국인과 중국인 학습자의 초록 분석 결과를 제시한다. 분석 결과는 언 어적 측면과 구조적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 초록의 글자 수는 500-2000자 정도이며 특히 분석 결과에 따르면 - vi - 중국인 유학생 초록은 한국인의 초록보다 글자 수가 훨씬 많거나 적은 경우가 많았 다. 둘째, 중국 유학생의 논문 글자 수는 많지만, 단락의 개수가 적은 이유는 한 단락 에 많은 내용을 썼기 때문이다. 이런 구조의 단점은 얻고 싶은 내용을 명확하게 추 출하기 어려워 독자들을 불편하게 만드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초록의 연구 배경에서 주로 현재 시제나 현재완료 시제, 과거 시제를 사용 하고, 연구의 목적을 진술할 때는 과거 시제나 현재 시제를 사용하였다. 연구 방법 은 과거 시제로 기술하고, 연구 결과를 진술할 때에는 과거 시제를 사용하며, 마지 막 연구의 결론 부분에서 주로 현재 시제로 기술하는데 연구의 의미를 서술할 때는 일반적으로 현재 시제이고, 시사점을 서술할 때는 과거 시제를 사용하며, 한계점이 나 이후의 연구 방향 등을 서술할 때 주로 미래 시제를 사용한다는 것이 나타났다. 넷째, 초록의 이동 마디 구조와 순서는 다양하다. 또한 이동 마디는 반드시 전통 적인 방식에 따라 배열되는 것이 아니며 비상식적인 배열도 나타날 수 있다. 중국 인 유학생 초록의 이동 마디 유형은 3개 이하와 7개 이상의 비율이 한국인 학습자 보다 높았고 유형이 적었다. 초록의 구성이 적합하지 않으면 전체 논문의 핵심 내 용을 담을 수 없으며 핵심 내용을 전달하지 못할 수 있다. 5장에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미디어학 전공 유학생을 위한 효과적이고 실행 가능 한 초록 쓰기 교육 방안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미디어학 전공 학위논문 초록 부분의 일반화 모형과 정형화 표현은 앞으로 미디어 전공 유학생들이 학위논문을 작성할 때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 자료가 되기를 희망한다. 본 연구는 논문 일부 장르 연구에서 연구가 비교적 적은 초록 부분을 분석 대상으로 하고 이전에 연구하지 않았던 미디어학 분 야를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나, 분석 대상을 미디어학 분야에 한정하여 분 석 대상자료의 수가 적었다는 한계가 있다.또한 연구에서 제시한 교수․학습 방안 은 교수 효과를 검증하지 못한 것이 아쉽고 앞으로의 연구에서 보완되기를 바란다 This research selects the abstract of the master's degree thesis written by Korean and Chinese students majoring in media as the analysis object, aiming to reveal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nd develop a summary writing scheme suitable for Chinese students majoring in media. The first chapter clarifies the purpose of the study, which is divided into four parts: academic purpose Korean writing related research Korean genre analysis research abstract related advance research and genre analysis research in other fields and puts forward the composition of this study. The second chapter introduc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First the concept of genre and genre analysis is put forward and the genre centered teaching method and genre characteristics are understood. The third chapter specifically implements the selection of research materials research procedures and analysis methods. During the five years from 2018 to 2022, in the media field of five universities we collected abstracts written by Chinese learners and Korean learners and finally selected 22 dissertations written by Korean people and 37 dissertations written by Chinese students. Using the move model proposed by Santos (1996), and in order to ensure objectivity three evaluates were first selected to receive simple training and the text was analyzed for the first time. Then negotiate the inconsistent parts and conduct a secondary analysis. When the results of the evaluates are basically consistent select one evaluate to analyze all the summaries. The fourth chapter gives themselves analysis results of Korean and Chinese students. The analysis results are divided into language level and structure level and the specific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st abstracts are generally about 500-2000 words. According to move analysis the number of words in Chinese student's abstracts is far more than that in South Korea and there are many abstracts with very many words or very few words. Second the reason for the large number of words and the small number of paragraphs in the abstracts of Chinese foreign student's papers is that a paragraph contains a lot of content. It is reported that the disadvantage of this structure is that it can not clearly extract the desired content which brings inconvenience to readers. Third under the research background of the abstract the present tense the present perfect tense and the past tense are mainly used and the past tense or the present tense is used when stating the research purpose. The research method is described in the past tense. The research results are presented in the past tense. The conclusion of the final research is mainly described in the present tense. The research significance is generally described in the present tense and the inspiration is described in the past tense. The research shows that the future tense is mainly used when describing limitations or later research. Fourthly the structure and order of the moving section of the summary are various. There can be two mobile sentences in a sentence or they can appear repeatedly in the sentence. Ore the mobile nodes may not be arranged in a traditional way but may also be arranged in an unconventional way. In addition there are more mobile festival types of Chinese student's abstracts of less than 3 and more than 7 than Korean learners. If there are very few types even the core part of grass green can not be fully discussed. If there are too many types the whole grass green will appear disorderly. Moreover there are many discussions on the research results and research methods of the two groups. The research background part shows that Chinese students have made a detailed description In Chapter 5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a practical summary education program is developed for Chinese students majoring in media.

      • 재한 중국 유학생의 SNS 사용시간이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DING MEIJUN 부경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359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에 소재한 중국 유학생을 대상으로, 고향을 떠난 유학생들의 SNS 사용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유학생의 SNS 사용시간이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하위 요임 자각된 차별감, 향수병, 문화적 출격에 미치는 영향, 또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에 동의하여 설문지에 응한 23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22년 4월 1일부터 2022년 4월 12일까지로 총 12일간 시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6.0과 AMOS 26.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들 간의 상호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학생의 SNS사용시간, 자각된 차별감, 향수병,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간 상관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유학생의 SNS사용시간과 자각된 차별감, 향수병은 서로 부(-)적상관을 보였고,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SNS 사용시간이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자기효능감,사회적 지지가 매개역할을 하는가에 대한 조사결과,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SNS 사용시간이 자각된 차별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SNS 사용시간이 자각된 차별감,향수병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SNS 사용시간이 자각된 차별감,향수병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와 자기효능감이 순차적으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를 종합하면, SNS 사용이 자기효능감,사회적 지지 향상과 SNS상의 관계에서 도 정서적 지지를 인지할 수 있다는 긍정적 의미를 가지며,자기효능감,사회 적지지가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SNS를 이용한 대학생의 문화적응증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활용이 문화적응 스트레스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며,본 연구가 SNS와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대한 후 속연구의 기초자료 및 보충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SNS의 순기능을 강화시 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 청소년의 자아 정체성 형성을 위한 한·중 전기문 교육 비교 연구

        Ding, Boya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359

        이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전기문 교육을 비교함으로써 청소년의 자아 정체성 형성을 위한 전기문 교육 내용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실존 인물의 인간상을 탐구하고, 그들의 삶으로부터 깨달음과 삶의 방향을 찾게 하기 위한 교육은 오랫동안 이루어져 왔지만, 전기문 교육이 청소년의 자아 정체성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와 같은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한·중 양국 중학교 전기문 교육을 비교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시사점에 주목하고, 청소년들의 올바른 자아 정체성 형성을 위한 전기문 교육 내용을 마련하고자 한다. 청소년기는 한 사람의 삶의 과정에서 자아 정체성을 형성하는 결정적인 시기이다. 이 시기의 청소년은 미성숙의 상태에서 벗어나서 자신에 대한 인식을 확대하고자 노력한다. 이때 자아 정체성은 한 개인이 과거, 현재, 미래의 자아의 연속성과 일관성을 인식하며 자신이 타인과 구별된 존재라는 것을 깨닫는 것이다. 즉, 자아 정체성은 자신의 고유성을 자각하는 동시에 자기가 속하는 집단에 대한 일체감이나 귀속감 같은 집단의식도 함께 자각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전기문은 특정한 사람의 진솔한 삶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독자들에게 교훈을 전달하는 글이기 때문에 이러한 전기문을 읽고 씀으로써 청소년은 자신과 타자를 새롭게 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할 수 있다. 청소년기의 전기문 독서가 가지는 의미를 고려하는 가운데 이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중학교 교과서에 수록된 전기문 교육 양상을 비교함으로써 각각 어떠한 인간상을 목표로 하는지 살펴보았다. 한국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는 청소년들에게 공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전기문과 개인의 고유성을 인식하게 하는 전기문이 많이 수록되어 있다. 이것은 청소년들이 개별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에 유익한 것이다. 한국과 달리 중국 중학교 어문 교과서에 수록된 전기문은 청소년들에게 사회적 책임감을 형성하는 데에 더 큰 비중을 두고 있다. 이 연구는 양국 교과서에 수록된 전기문의 비교를 통해 청소년들이 개별적 정체성과 사회적 정체성을 형성하기 위해서 필요한 교육 내용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자아 정체성의 개념과 청소년들의 자아 정체성 형성 과정의 분석을 바탕으로 전기문과 자아 정체성 형성간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청소년들은 전기문 읽기에서 발견적, 수용적, 성찰적 동일시를 통해 타인의 삶을 이해할 수 있고, 자서전 쓰기나 전기문 쓰기를 통해 자신의 삶을 성찰하면서 자아에 대한 인식을 구체화할 수 있다. 그리고 한·중 양국의 자아관에 대한 이해를 정리하고, 양국의 중학교 국어 교육과정이 자아 형성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청소년의 자아 정체성 형성을 위해 한·중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전기문을 비교하였다. 양국 중학교 국어 교과서 전기문의 인물 경향을 살펴보았는데, 한국은 개성적 자아 형성의 경향을, 중국은 집단적 자아 형성을 중심으로 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양국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전기문의 교육적 가치를 분석하였다. 한국 국어 교과서는 공감의 폭이 넓은 인물의 전기문을 수록하여 학생들이 인물의 삶을 이해하고 그를 통해 정체성의 위기를 극복하며 고유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자신의 진로 방향을 탐색하는 계기를 제시하였다. 중국 어문 교과서는 위인의 생애가 담긴 전기문의 읽기를 통해 인격을 도야하게 하고, 국가를 위해 공헌한 인물의 전기문을 통해 집단의식을 심화시켰다. 마지막으로 한·중 양국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전기문의 학습활동을 분석하였다. 한국은 학생들에게 자아 성찰을 위한 자서전 쓰기 활동을 중심으로 하고 있고 중국은 체험의 확대를 위해 텍스트 읽기 활동을 주로 제시하고 있다. Ⅳ장에서는 한·중 양국 전기문 교육의 특성을 토대로, 청소년의 자아 정체성 형성을 위해 전기문의 교육 내용과 방법을 제시하였다. 양국의 자아관과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전기문의 교육적 가치를 고려하며 개인의 고유성 형성과 사회적 책임감 형성을 주제로 삼은 내용을 청소년의 긍정적 자아 정체성 형성을 위하여 마련하였다. 또한 양국 국어 교과서에 제시된 학습활동이 줄 수 있는 시사점을 파악하며 교육 방법을 제시하였다. 첫째, 상호텍스트성을 통한 인식의 확대이다. 둘째, 교육연극을 통한 인물의 내면 이해이다. 셋째, 쓰기활동을 통한 자아 탐색이다. 제시된 세 가지 방법 전기문 내용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게 해주고 자신의 삶에 대해도 재인식할 기회를 마련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전기문 교육에서 청소년의 자아 정체성 형성에 주목하고, 이를 고려한 전기문 교육 내용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전기문이 교육의 장에서 청소년의 자아 정체성 형성에 적극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teaching contents of biography for teenagers to form their Ego-identity through comparing the education of biography between Korea and China. Although the biography intends to explore the characters of existent figures, the studies on impact of education of biography on the formation of teenagers’ senses of identity are still incomplete. According to the problem recognized, this study proceeds with implication got from comparing the biography education of middle schools between Korea and China and presents the teaching contents of biography for teenagers to develop their own ego-identity. The period of adolescence is the most important in one's life. It is the tim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Unfinished' for the formation of ego-identity. For the record of a real existed person, biography delivers the lesson of the behavior from the recorded person, not only to relieve the anxiety of the young people but also provide a chance for the youth to have a self-aware. Thus, the education of biography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growth of juvenile. In addition to the formation of ego-identity, it is the first comparison of collected educational biographies in the national language of China and South Korea. There are many biographies arouse one's sympathy and have personal recognition are recorded in the national language textbooks in Korea. This is beneficial to shaping the individual identity of young people. It is different from the South Korea, a lot of biographies on the social responsibility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young people are contained in the Chinese textbooks in middle school. This study through a comparison of the biographies contained in the textbooks of the two countries explains the positive impact on the youth in the formation of individual identity and social identity. Therefor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formation of ego-identity and self-recognition of the young people. In the second chapter, to view the adolescent ego-identity formation an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biographies, the author investigates the relations of the formation of ego-identity on the basis of the concept of i해-identity and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ego-identity of young people. Also finds that in young people, by reading biographies ever with the attitude of detection, reception and reflective identification of the lives of others had a better understanding. At the same time, the writing reflects the life of the existed people in history for a better recognition of the youth themselves and enhance mutual understanding. Finally, the author unveils what is the affection of national language curricula in the middle school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In the third Chapter, it compares the biographies collected in the textbook of middle school of Korea and China in order to form teenagers’ sense of identity. First, by examining the tendency of biography figures collected in the textbooks of native language class in middle school, it could be found that Korean tends to take individual self formation as the center while China tends to take collectivism as the center. The educational value of biography collected in the textbooks of middle school of both countries is also analyzed. Korean textbooks collect the familiar large-minded figures’ biographies and propose the chance for students to explore their direction to overcome the crisis of sense of identity and recognize the uniqueness through their understanding the lives of those figures. Chinese textbooks make students to train their characters by reading the biography about whole lives of the great men and enhance their collectivism by reading those biographies who made contribution for country. Finally, study activities of biographies collected by two countries middle school are analyzed. Korea takes the autobiography writing activities as the center so as to the students to introspect while China proposes text reading activities to enlarge the experiences. The fourth Chapter presents the teaching contents and method of biography for ego-identity formation of teenagers on the basis of educational characters of biography of both countries mentioned in the part of ego-identity in Chapter 3. According to the understanding of both countries’ self-awareness and considering the educational value of biography collected in native language class textbook, the contents composed of uniqueness formation and social responsibility formation is presented respectively in order to make teenagers form positive ego-identity. Moreover, according to the implication elicited from the study activities in the textbooks of both countries, teaching method is presented. First, through the mutual text, recognition is enlarged. Second, educational play makes the figures understood. Third, explore oneself through writing activities. The biography can be understood well via these three methods, a new understanding about life is also obtained. This is very important for ego-identity formation.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ego-identity of teenagers in the education of biography and intends to present the teaching contents of biography. Through this, there is a reasonable prospect that biography would become an educational practice support to impact positively in the ego-identity formation.

      • G. Puccini의 Opera "La Bohême" 연구 : - Vocal Ensemble들을 중심으로 -

        DING HAODONG 한세대학교 음악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359

        Vocal Ensemble은 가창의 한 예술 형태로서 인류의 예술 실천 과정과 예술 표현의 수요에 따라 점차적으로 성립 ・ 변형되어 왔고, 차차 오페라에 있어 필수불가결한 성악 장르가 된다. 그 내용에 따라 크게 인물이 특정한 상황에서 느끼는 감정과 심리 상태를 보여주는 서정적(抒情的)인 것, 둘 이상의 인물이 함께 사건을 서술하고 줄거리를 설명하며 추억을 되돌아보는 기능의 서사적(敍事的)인 것, 그리고 희극적 효과를 덧입히면서 인물의 심리를 그려내는 희극적(喜剧的)인 것으로 나누어질 수 있는데, 모두 Aria 및 서창적 특징을 갖추고 줄거리를 전개해 나가는 데 중요한 작용을 하고 있다. 본 논문은 Vocal Ensemble이라는 가창 예술을 중심으로, Giacomo Puccini의 오페라 La Bohême(1896)을 분석 대상으로 삼는다. 이 오페라에는 Aria뿐만 아니라 다양한 조합의 Vocal Ensemble도 많이 포함되어 있다. 연구 방법은 먼저 Vocal Ensemble의 역사와 기능을 알아보고 작품 개요로서 극작가와 작곡가, 등장인물들과 내용, 그리고 음악적 구성과 특징을 개관해 본 다음, 분석으로 들어간다. 분석은 서정적 ・ 서사적 ・ 희극적인 것 중 가장 깊은 반향을 불러일으키는 서정적인 것들을 중심으로 각각 가사와 음악을 고찰한다. 이에 해당하는 세 개 중 남녀 주인공의 비중이 크고 따라서 상대적으로 서정성이 더 강하게 부여되어 있는 <오 사랑스런 아가씨>(O soave fanciulla, Primo Quadro의 Duetto)와 <잘 있소, 내 사랑을 일깨워 준 이여>(Addio dolce svegliare alla mattina!, Terzo Quadro의 Quartetto)을 분석 대상으로 한다. G. Puccini(1858-1924) was the leading composer of Italian opera in the last part of the 19th century and the early 20th century. La Bohême, based on a fiction of H. Mürger(1822-1861), based upon beauty of an young artists’ routine life with pathetic instants in the sense of Verismo. As one of Puccini’s three great operas and being recognized as his best work, the opera consists of abundant lyric melodies and expressionistic compositional techniques. This thesis studies two of vocal ensembles of La Bohême systematically about lyrics and music, and the latter is examined in terms of form, melody, tonality, meter, rhythm, harmony, dynamics, and other characteristics.

      • 온라인 미디어 환경에서의 기업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 전략 : 중국과 한국의 기업 사례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DING ZEYU 충북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359

        Through the life course of development, no individual or organization is free from crisis, in which dangers and opportunities coexist. Its impact can destroy an enterprise in an instant, and it can also make the enterprise become more mature in the crisis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e two results of destruction and maturity do not come from the crisis itself, but the results of the enterprise's decision. In current era, it has become an inevitable natural phenomenon for enterprises to encounter crises. In the face of these fierce and potentially life-threatening crises, enterprise can not only sit idle. Conversely, if they can take timely, reasonable, scientific and effective response actions, it is completely possible to change the crisis into an opportunity. And in the process of coping with crisis, communication is an indispensable strategy. From the perspective of enterprises, in the enterprise crisis management, communication is the key point and plays a great role in solving the crisis. Therefore, enterprises must make unremitting efforts to improve their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ability in crisi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media era, this paper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of enterprise crisis and typical cases of enterprise crisis response in the new media era, and puts forward the strategic problem of enterprise crisis management. Introducing strategic problems into enterprise crisis management and further enriches and deepens the communication theory of enterprise crisis management. This study first conducts literature research on concept part of the characteristics under new media information environment, the definition of enterprises and crises under new media, crisis management communication strategy, which lays an overall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is study. Then through the communication tactics for enterprise crisis management — Pre-crisis: prevention tactics; While crisis: coping tactics; Post-crisis: Recovery tactics, so that enterprises can quickly deal with the crisis, and reduce losses. Secondl, through the comparison of crisis management cases, to study and explore the correct crisis management communication strategy. In this study, the Samsung Note7 explosion and KFC food safety incidents are selected for comparative analysis. And use crisis management communication tactics to analyze the different results of the two enterprises under different coping strategies. Finally,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tactics and results of Samsung (China) and KFC (China) in coping with the crisis, Summarized the enterprise crisis management communication strategy suitable for the new media era. 인생의 발전 과정을 통해 어떤 개인이나 조직도 위험과 기회가 공존하는 위기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그 영향은 기업을 순식간에 파괴할 수 있으며, 동시에 기업을 위기 상황에서 더욱 성숙하게 만들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파괴와 성숙의 두 가지 결과는 위기 자체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기업의 결정의 결과이다. 현 시대에는 기업이 위기에 직면하는 것은 피할 수 없는 자연스러운 현상이 되었다. 이러한 치열하고 잠재적으로 생명을 위협하는 위기에 직면하여 기업은 가만히 있을 수 없습니다. 반대로, 그들이 적시에, 합리적이고, 과학적이고 효과적인 대응 조치를 취할 수 있다면,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것은 완전히 가능하다. 그리고 위기에 대처하는 과정에서 소통은 필수불가결한 전략이다. 기업 입장에서는 기업 위기관리에서 소통이 핵심이며 위기 해결에 큰 역할을 한다. 따라서 기업들은 위기에 처한 기업들의 소통과 협력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끊임없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본 논문은 뉴미디어 시대의 특성을 바탕으로 뉴미디어 시대 기업위기의 특성과 대표적인 기업위기 대응 사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고, 기업위기 관리의 전략적 문제를 제시한다. 전략적 문제를 기업 위기 관리에 도입하고 기업 위기 관리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더욱 풍부하고 심화시킵니다. 본 연구는 먼저 뉴미디어 정보환경 하에서 특성의 개념적 부분, 뉴미디어 하에서 기업과 위기의 정의,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대한 문헌연구를 수행하여 본 연구의 전반적인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그런 다음 엔터프라이즈 위기 관리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통해 — 위기 이전: 예방 전략, 위기 이전: 대처 전략, 위기 이후: 기업이 신속하게 위기에 대처하고 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복구 전략을 제공합니다. 둘째, 위기관리 사례 비교를 통해 올바른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연구하고 탐구한다. 본 연구에서는 삼성노트7 폭발사고와 KFC 식품안전사고를 비교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사용하여 서로 다른 대처 전략 하에서 두 기업의 서로 다른 결과를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삼성(중국)과 KFC(중국)의 위기 대처 전략과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뉴미디어 시대에 적합한 기업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정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