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曲管에 있어서 壓力降下에 관한 硏究

        유영태 朝鮮大學校 1982 국내석사

        RANK : 1839

        The pressure drops of coiled pipes are studied experimentally for distilled water in laminar and turbulent flows. In addition friction factors velocity profiles, and secondary flow steam functions are determined as curvature ratio(d/D), Reynolds number(Re) and Dean number(De). The presence of a secondary flow is postulated to be the cause of the oscillations and a simple schematic model is presented to confirm to postulate. Experimental coil is used with curvature ratio 0.06839. The Reynolds numbers (Re) is varied up to 8000 in larminar region and 20000 in turbulent region. The experimental results agrees with White and Ito's fomula.

      • 덕트 入口領域에서 定常流動, 振動流動과 脈動流動의 遷移 流動 特性에 關한 硏究

        유영태 朝鮮大學校 大學院 1989 국내박사

        RANK : 1839

        In the present study, analysis and experiments a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transitional flow characteristics and entrance length of developing transitional steady flows, oscillatory flows and pulsating flows in the entrance region of a square duct. A systems of conservation equations for transitional steady, oscillatory and pulsating flows in a square duct are solved analytically by linearizing non-linear convective term and adoption of modified eddy viscosity from empirical correlations. Analytical solutions are obtained in the form of infinite series for velocity profiles, pressure distributions and shear stress distributions of these flows. The experimental study for the air flow in a square duct (40㎜ × 4O㎜ and 4000㎜ long) is carried out to measure velocity profiles and pressure distributions by using a hot -wire anemometer and high-sensitivity pressure transducer with data acquisition and processing system. The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results povides major characteristics of the transitional steady and unsteady flows such as the classification of critical Reynolds number, velocity profiles, entrance length, shear stress distributions, pressure distributions and boundary layer. The results obtained from analytical and experimental studie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entrance length of steady flow depends on hydraulic diameter and Reynolds number. The empirical formula of entrance length of transitional steady flows in a square duct is obtained to be Le_(st) / D_(h)= 0.02 Rest. (2) The entrance length of oscillatory flows depends on hydraulic diameter, Reynolds number and dimensionless frequency parameter. The empirical formula of entrance length of transitional oscillatory flows in a square duct is obtained to be Le_(os)/D_(h) = K (Re_(os))/(2(ω^(+)^(2)), experimental constant. (3) The entrance length of transitional pulsating flow is a function of hydraulic diameter, time-averaged Reynolds number, dimensionless frequency parameter and velocity amplitude ratio in a square duct flows. The empirical formula of entrance length is obtained as Le_(ps)/D_(h) = (A_(1)R_(e)t_(a))/((ω^(+)^(2))where K is an experimental constant. (4) Excess pressure drop of steady flow of boundary layer in the entrance region of a square duct is larger than that of fully developed region by a factor of 1.31. (5) The velocity and shear stress distributions in deceleration phase are larger than those in accelerating phase for the developing transitional oscillatory and pulsating flows. (6) The pressure gradients in a reversing transitional pulsating flow are similar to those in laminar pulsating flow and relaminarization of flow are produced in accelerating phase of transitional pulsating flow. The turbulent burst is not observed in developing transitional pulsating flow of a accelerating phase. (7) The logarithmic velocity distributions do not depended on velocity amplitude ratio of A, nor dimensionless angular frequency of ω^(+), but on the time-averaged Reynolds number of Re_(ta), for the developing transitional pulsating flows.

      •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산사태 발생요인 가중치결정시스템 구현

        유영태 韓南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의 목적은 산사태 취약성 분석을 위하여 인공신경망을 이용하여 산사태 요인의 가중치를 결정하는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이다. 산사태 발생 지역은 항공사진, 현장조사와 지형도 등으로부터 위치를 파악하였다. 장흥 지역에 대해서 산사태에 영향을 주는 지형경사, 지형곡률, 토양 배수, 토양 유효심도, 토양 종류, 식생 경급과 영급 등의 13가지자료가 사용되었다. 이들 자료를 이용하여 인공신경망의 층간 가중치가 역전파 트레이닝 알고리즘에 의해 계산되었으며, 이는 산사태 요인의 가중치를 결정하는데 사용되었다. 즉, 트레이닝 후 층간 가중치를 해석하여 분류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함으로서 각 산사태 요인의 가중치가 결정되게 된다. 가장 높은 값은 지형경사로서 2.45의 값을 나타냈으며 지형 곡률이 1 로 낮은 값을 나타냈다. 역전파 알고리즘을 이용한 가중치는 분석에 중요하지 않은 요인을 제거함으로 계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GIS를 이용한 중첩 분석 연구에 활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lement the weights determination system of the factors for landslide susceptibility analysis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Landslide locations were identified from interpretation of aerial photographs, field survey data, and topography. The landslide-related factors such as topographic slope, topographic curvature, soil drainage, soil effective thickness, soil texture, wood age and wood diameter and so on, The thirteen landslide-related factors, were extracted from the spatial database in study area, Janghung. Using these factors, the weights of neural networks were calculated by backpropagation training algorithm and were used to determine the weight of landslide factors. Therefore, by interpreting the weights after training, the weight of each landslide factor can be ranked based on its contribution to the classification. The highest weight is topographic slope that is 2.45 and topographic curvature is 1 . Determined Weights using backprogpagation algorithms can be used for overlay analysis of GIS so the factor that have low weight can be excluded in future analysis to save computation time.

      • 구리증기레이저 공진기 연구

        유영태 전남대학교 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1839

        구리증기레이저 출력선속의 퍼짐각(beam divergence)을 제어하고 far-field pattern를 개선하기 위하여, intra-cavity beam splitter를 사용한 불안정공진기와 intra-cavity adjustable aperture를 추가한 안정공진기에 대한 실험적인 연구를 시행하였다. Hemiconfocal 공진기의 기본형태를 갖는 안정공진기를 구성하고, intra-cavity beam splitter의 방향의 변화 (공진기 손실의 변화)와 출력단 쪽에 설치된 평면경의 위치의 변화(공진기 길이의 변화)에 따른 출력빔의 퍼짐각과 레이저출력의 의존성을 파악하였고, 평면경 앞에 설치된 조리개(iris diaphragm)의 투과 직경의 변화에 따른 레이저출력의 퍼짐각의 감소를 측정하였다. 조리개의 크기를 ASE(Amplified Spontaneous Emission) 빔의 직경인 14 mm에서 2 mm로 줄임에 따라 퍼짐각을 6 mrad에서 0.5 mrad으로 연속적으로 조절할 수 있었으며, 원거리 출력밀도의 증가는 최대 7.5배의 결과를 얻었다. 불안정공진기의 형태로서는 공진기 내에 초점을 갖지 않는 양영역 공초점 불안정공진기(positive branch confocal unstable resonator)를 선택하여 intra-cavity beam splitter의 방향의 변화와 출력단 쪽에 설치된 볼록거울의 위치의 변화 (공진기 길이의 변화)에 따른 출력빔의 퍼짐각과 레이저출력을 각각 측정하고 퍼짐각을 최소로 하는 공진기 구성을 결정하였다. 최소 퍼짐각은 곡률반경 10 cm인 볼록거울 (M=30)을 사용한 경우에는 0.3 mrad 이었으며, 곡률반경 5 cm인 볼록거울 (M=60)을 사용하였을 때, 0.2 mrad의 값이 측정되었다. 퍼짐각의 감소와 관련한 불안정공진기의 원거리 출력밀도의 증가는, 안정공진기 경우의 퍼짐각 6 mrad 발진실험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대략 280배의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 실험에서 시도된 intra-cavity beam splitter의 사용은 공진기의 손실과 관련하여 놓여진 각도에 따라 20% 정도의 출력감소를 보여주었으나, 종래의 불안정공진기 구리증기레이저 장치가 보여주는 annular 모양의 근거리빔의 형태를 개선하여 flat-top 형태를 얻었다. 또한, beam splitter가 Brewster 각인 55.5°로 설치되었을 때, 30:1 보다 높은 편광도로 선형편광된 낮은 퍼짐각의 레이저발진을 얻을 수 있었다. An unstable resonator equipped with an intra-cavity beam splitter and a stable resonator utilizing an additional intra-cavity adjustable aperture has been studied experimentally to achieve a controlled low beam divergence operation in a copper vapor laser system. The present stable resonator was set up in the basically hemiconfocal configuration. The dependence of the beam divergence and the output power on the angle of beam splitter to the laser beam direction (the change in the cavity loss) and the location of the plane mirror (the change in the cavity length) placed in the laser output side has been investigated and the reduction of beam divergence with reduced diameter of the adjustable aperture placed in front of the plane mirror has been measured. By changing the aperture diameter from 14 mm (the diameter of the ASE, the amplified spontaneous emission beam) to 2 mm, beam divergence was adjusted continuously from 6 mrad to 0.5 mrad and the maximum 7.5 times increase in the far-field power density was achieved. A positive branch confocal unstable resonator was set up and both the beam divergence and the output power on the angle of beam splitter to the laser beam direction and the location of the convex mirror (the change in the cavity length) placed in the laser output side has been measured to determine such a configuration to have the minimal beam divergence. At the experiment with the 10 cm curvature convex mirror (M=30), 0.3 mrad has been achieved for the minimal beam divergence and it was 0.2 mrad for the 5 cm curvature convex mirror (M=60). For both convex mirrors, the power density of the far-field beam was increased by about 280 times when compared with the 6 mrad-operation of the stable resonantor. Although the use of intra-cavity beam splitter in the present experiment causes additional cavity loss and leads to the overall decrease in the output power by about 20% depending on the angle of beam splitter, near-field pattern is improved as it replaces the annular beam pattern of the conventional unstable resonator by flat-top pattern. Also, when the beam splitter is placed at the Brewster's angle of 55.5°, the degree of linear polarization of the low-divergence beam was better than 30:1.

      • 정신지체 특수학급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유영태 전주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1991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초·중등 특수학급 담당교사들이 자기직무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고 있는가를 분석·연구하여 보다 자발적이며 자기 직무에 만족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특수교육의 효율성을 높이며 향후 전북특수교육의 정책결정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급 담당교사들의 직무만족도 전체경향과, 둘째, 하위요인(직무, 보상, 근무환경, 인간관계, 감독방식, 특수교육지원)별 직무만족도를 알아보고, 셋째, 표집대상의 제 특성(초·중등별, 성별, 연령별, 기·미혼별, 교직경력별, 수학연한별, 특수학급경력별, 지역별)에 따른 직무만족도와 그 차이를 알아본다. 본 연구는 특수학급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알아보고 그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의 자료를 얻으려는데 목적이 있다. 전라북도내 초·중등 특수학급교사 195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배부하였는데 회수처리된 수는 148명(75.%)이었다. 질문지는 대학교육연합회에서 개발한 교사직무만족척도(K.T.O)를 중심으로 선행연구물을 참고하여 본 연구목적에 적합하도록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였는데, 그 내용은 직무만족 하위요인 6개를 선정하고 그에 적절한 24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것이었다. 예비검사를 통한 신뢰도는 Cronbach α=0.8383이었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연구목적에 따라 빈도, 백분율, t-test, ANOVA를 적용하였다. 이러한 연구절차에 의해 도출된 결과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린다. 첫째, 전체적인 직무만족도는 대부분의특수학급교사가 자신의 직무에 대하여 만족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수학급교사의 직무에 대한 만족도는 정신지체아의 교육성과에 직접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행정당국은 특수교육의 질적 개선을 위한 적절한 대책을 서둘러 강구해야 할 것이다. 둘째, 직무만족 하위요인별 만족도는 6개요인중, 인간관계요인, 감독방식요인이 아주 낮고, 특수교육지원요인, 직무요인이 그 다음으로 낮았다. 구체적인 문항별로 살펴보면 동료교사와의 관계, 교장·교감과의 관계에서 아주 낮고, 다음으로 일반직과의 관계, 특수교사의 자율성, 특수교육에의 보람, 직무의 성취감 순으로 저조했다. 물질적, 가시적인 것이 아닌 정신적인 문제에 많은 문제가 있음을 알 수있다. 이로써 특수학급교사의 직무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협조하는 학교 교육풍토의 조성과 교장·교감·동료교사 및 감독기관의 깊은 이해와 지도감독방식의 개선등 행정적인 개선책이 강구되어야 하겠다. 셋째, 대상자의 제 특성별 직무만족도를 살펴보면 연령별 비교에서는 20대 젊은 교사의 만족도가 가장 높고 30대, 40대, 50대로 가면서 점차 낮아지는 경향이었고, 결혼여부별 비교에서는 미혼교사의 만족도가 기혼교사보다 높았다. 교직경력별 비교에서는 교직경력이 10년이하인 교사의 만족도가 가장 높고, 경력이 많을수록 만족도가 낮아졌다. 학력별 비교에서는 학력이 16년(사대, 일반대졸)인 교사의 만족도가 가장 높고 학력이 낮아질수록 만족도가 낮아졌다. 특수교육경력별 비교에서는 5년 미만인 교사의 만족도가 높고, 5년 초과한 교사의 만족도는 낮았다. 초·중등별, 남·녀별, 근무지역별 비교에서는 의미있는 차가 없었다. 이로 보아 특수학급담당교사는 가급적 의욕적인 젊은 교사, 미혼교사, 교직경력이 적으나, 학력이 많은 교사를 배치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학력수준을 높이고 자질향상을 위해서는 많은 연수의 기회가 부여되어야 하겠다. 또한 특수교육경력 5년 초과한 교사는 연장하여 승진 부가점수를 부여하거나, 새 자격교사로 담당 배치해야 되겠다.

      • 연속파 Nd:YAG 레이저에 의한 중탄소강의 표면열처리

        유영태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박사

        RANK : 1839

        금속표면처리방법에서 고출력 레이저 응용은 다양한 공구, 크랭크샤프트, 기어와 내연기관 부품에 적용함으로서 자동차산업과 공작기계산업에 커다란 기여를 하고 있다. 레이저로 표면조직을 변화시키면 단단한 내마모성 층이 형성되어 부품의 수명을 크게 증가시킨다. 레이저 경화처리로 표면처리하면 경도와 상변태는 레이저 출력, 빔 직경, 빔 형태, 조사속도, 초점조건과 보호가스 뿐만아니라 재료의 화학적 성질과 에너지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 사용하는 코팅층의 성질 등이 표면경화를 위한 최적공정변수를 결정하는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레이저빔이 금속표면에 조사되었을 때 강의 미세구조와 표면경화에 영항을 미치는 공정변수를 실험적으로 관찰하였다. 디포커싱방법에 의한 열처리결함을 보완하기 위해 균일한 경도를 갖는 폭넓은 열처리 면적을 얻기 위해 타원형 분포를 갖는 광학렌즈를 설계하여 열처리 하였다. 연속파형 Nd:YAG레어저로 SM45C를 용접 할 경우 레이저 용접 접합부 내부결함을 제어하기 위해 열처리 후 용접하는 방법으로 내부결함을 제거하였다.

      • 요한福音의 生命神學 및 生命回復의 關係性 考察

        柳榮泰 湖南神學大學校 神學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1839

        요한복음에 나타난 생명에 관련된 말씀들을 중심으로 요한복음의 생명신학을 논해보았다. 생명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과 성서적인 개념을 비교, 설명했으며, 로고스(말씀) 안의 생명과 그리스도 안의 생명, 그리고 에고에이미로 표현된 생명들과 죽어짐의 생명, 중생 등의 신학적인 의미를 요한복음의 말씀들을 가지고 살폈고, 생명위기의 현상과 원인, 그리고 생명회복을 위한 개인과 교회, 사회적인 대안까지를 언급했다. 생명(生命)의 위기(危機)는 어느 날 우연히 찾아온 불청객(不請客)이 아니다. 숫한 나날을 그 위기를 외치면서 경종을 울렸지만 인간은 자신의 욕망과 탐욕에 정신을 뺏겨 그 소리를 듣지 못했다. 아니 들으면서도 한사코 외면하며 살아왔다고 하는 것이 더 솔직한 표현인지 모른다. 과학(科學)도 신학(神學)도 지식(知識)마저도 하나님을 앞서 가지는 못한다. 과학(科學)이 혁명적인 발전으로 의기양양하면서 변혁해 놓은 것은 인간의 지식의 한계선을 넓혀 놓은 것에 불과하다. 다음엔 또 무엇을 찾아내고 인간들 앞에서 오만(傲慢)과 만용(蠻勇)을 부릴지 알 수 없다. 이렇게 말하는 것은 과학을 부정하는 것도 과학에 도전하는 것도 아니다. 과학은 인간에게 많은 유익을 주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배면(背面)에는 인간의 파멸(破滅)을 부추기는 죽음의 그림자가 늘 함께 도사리고 있었기 때문이다. 결국 그것은 과학의 문제가 아니었다. 인간(人間)의 문제(問題)였다. 인간의 손이 선(善)할 때와 악(惡)할 때 그 용도가 달라짐은 명백하다. 선악과의 비밀이 여기에도 그 실체를 드러낸다. 하나님의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가 침해를 당했을 때 인간은 그 낙원(樂園)을 상실(喪失)했다. 생명을 잃게 된 것이다. 선악과를 따먹기 전의 낙원과 인간의 상태는 어떠했겠는가? 거기에는 하나님의 생명이, 하나님의 사랑이, 자연과 사람과의 사랑과 평화(平和)가 충만(充滿)했을 것이다. 생명(生命)을 회복(回復)하는 것은 사랑을 찾는 것이다. 무관심과 미움으로 대했던 것을 이제는 사랑의 눈으로 관심(關心)의 눈으로 바라보는 것이다. 사람을 사랑의 눈으로 바라보며 관심을 갖자. 자연을 관심을 가지고 사랑하자. 이웃을 사랑하라는 주님의 계명의 의미는 무엇인가? 잃어진 낙원의 비밀, 곧 사랑을 회복하라는 것이다. 사랑은 생명이다. 생명은 사랑이 없으면 죽고 만다. 그래서 사랑을 나누라는 것이다. 이 세상은 사랑이 없으면 파멸한다. 그것은 하나님께서 사랑의 말씀으로 이 세상을 창조하셨기 때문이다. 인간도 사랑이 없기에 곳곳에 죽음과 갈등(葛藤)과 대립(對立)이 있다. 이제 우리 모두가 사랑을 찾아 십자가(十字架)의 그리스도를 바라보아야 한다. 하나님이 성육신(聖肉身) 하여 찢으신 그 살과 피를 통해 진정한 생명의 사랑을 부여받아야 한다. 성령(聖靈)의 바람이 새로운 세대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불기를 기도(祈禱)한다. 그분의 역사(役事)하심이 있어야 한다. 치유(治癒)의 빛이 비춰야 하리라. 고침의 능력(能力)이 나타나야 하리라. 생명의 주인 되시는 하나님께로 돌아가는 것이 우리의 생명을 새롭게 살리는 길이다. 물과 성령으로 거듭나지 아니하면 결단코 하나님의 나라를 볼 수 없다는 것은 인간의 만용(蠻勇)을 의지하지 말라는 경고(警告)이다. 우리가 지향하는 복지(福祉), 그 하나님의 나라는 회개(侮改)하고 거듭나는 중생(重生)을 통해서만 회복된다는 진리를 가르치고 있는 것이다. 교만은 패망의 선봉이라고 했다. 겸허(謙虛)하게 인류의 미래를 하나님께 의탁(依託)하고 이제는 아끼고 사랑하는 일에 몰두하자. 지혜를 모아 회복의 전선(戰線)에 진력해야 한다. 인간중심(人間中心)의 세계관(世界觀)에서 이제는 신 중심(神 中心)의 사고(思考)와 신앙(信仰)하는 생활의 기쁨을 되찾자. 이 길이 인류의 영적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길이다. 〈20:31〉 오직 이것을 기록함은 너희로 예수께서 하나님의 아들 그리스도이심을 믿게 하려 함이요, 또 너희로 믿고 그 이름을 힘입어 생명을 얻게 하려 함이니라. 지상 최대의 사건인 그리스도께서 죽었다가 다시 사신 부활사건(復活事件)을 보도한 제20장의 마지막 부분에 나타난 31절의 이 짧은 단문(短文)은 요한복음 본론(本論)의 마지막 부분이기도 하다. 요한복음을 기록(記錄)한 목적(目的)을 단도직입적으로 말하고 있는 본 절은 신학적인 질문에서 시작된 요한복음의 생명신학(生命神學)을 요약(要約) 정리하고 있다. 그것은, 인간은 누구인가? 예수는 누구신가? 하나님은 어떤 분이신가? 하나님의 아들은 누구며, 그리스도는 누구인가? 믿음이란 무엇이며, 예수의 이름을 힘입는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생명이란 무엇이며, 생명을 얻는다는 것은 또 무엇을 의미하는가? 에 대한 답인 것이다. 생명회복의 목적은 인간의 편에서 이루어지는 인간의 '하나님 형상(形象)‘의 회복(回復)에 있다면, 생명의 원천이신 하나님과의 일치(一致)는 이 원천으로부터 사는 모든 살아있는 것들과의 일치(一致), 그리고 어디에서나 만나는 생명 자신에 대한 경외(敬畏)와 함께 이루어질 것이다. 여기에 생명회복의 대안(代案)은 관계성(關係性)을 회복(回復)하는 길 밖에 없음을 우리는 알게 된다. 이제는 하나님과의 관계를 온전히 회복하자. 이는 하나님을 사랑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웃을 사랑하자. 서로 사랑하자. 서로 사랑해야 한다. 일방적(一方的)인 사랑으로는 우리의 생명을 회복하기에 역부족(力不足)이다. 우리는 하나님이 아니기 때문이다. 우리의 무력(無力)함을 깨닫고 서로 사랑하면서 하나님의 능력(能力)의 손길을 기다리자. 우리의 가진 바 빛을 가리우지 말자. 우리의 빛을 발하자. 어둠은 빛으로 말미암아 물러나게 된다. 말씀이 육신이 되어 우리 가운데 거하신다. 그 말씀은 사람들의 생명의 빛이며 그 가운데 생명(生命)이 있다. 생명의 근원이신 하나님께로 돌아갈 때 하나님과의 관계성(關係性)을 회복하고 이웃인 우리 인간(人間)들이 서로 사랑하고 자연(自然)을 사랑하고 만물(萬物)을 사랑할 때 생명은 회복될 것이다. 생명의 위기(危機)는 극복(克復)될 것이다. 그러지 않는다면 우리는 종말(終末)의 죽음을 향(向)하여 질주(疾走)할 수밖에 없다. 우리는 다시 하나님에게로 회귀(回歸)하지 않으면 안된다. 아무리 과학과 문명이 발전하고 쾌락의 유혹이 심화(深化)되어도 시간(時間)과 우주(宇宙)는 제 길을 가고 있다. 제아무리 복제 인간을 만들어내고 무병장수(無病長壽)의 비결을 찾아 게놈지도를 완성해도 죽음의 두려움을 떨치지 못한다. 생명의 위대함을 격하(格下)시킬 순 없다. 이제는 요한복음 전편(全篇)에 흐르는 생명(生命)의 근간(根幹)인 사랑의 흐름을 느껴야 한다. 하나님의 사랑이 인간에 흐르고 성령을 통하여 역사 하는 그리스도의 사랑이 우리를 구원(救援)하고 인류(人類)의 생명(生命)을 살릴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