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구강건강신념이 대학생들의 예방적 구강건강행동에 미치는 영향

        황혜림 단국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구강건강신념이 대학생의 예방적 구강건강관리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충남 천안시 소재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31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구강건강신념모형을 이용한 수정변수는 성별과 연령, 행동계기는 인지구강상태와 구강보건교육으로, 개인적 인지는 구강건강의 중요성과 구강질환의 심각성, 행동가능성은 구강건강행위와 유익성과 장애를 모형에 대입하였다. 이러한 구강건강신념이 구강위생실천과 예방적 가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잇솔질 행태와 정기적 스켈링 유무를 조사하였고,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성별과 연령에 따른 요인별 구강건강신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여자가 남자보다 심각성, 중요성, 유익성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고(p<0.05), 연령은 ‘21세 이상’이 ‘20세 이하’보다 심각성을 더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2. 구강보건교육 및 자가인지구강상태에 따른 요인별 구강건강신념 점수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구강보건교육 경험이 없는 집단이 장애가 더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5). 인지구강상태의 질문에서 ‘나쁘다’라고 대답한 집단이 심각성, 중요성, 장애가 높게 나타났다(p<0.05). 3. 성별, 연령, 구강보건교육경험, 인지구강건강상태가 구강건강신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 회귀 분석한 결과, 심각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지구강상태(B=0.174)이었다(p<0.05). 중요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B=-0.044)과 인지구강상태(B=0.074)로 나타났다(p<0.05). 인지된 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역시 인지구강상태(B=0.191)로 나타났다(p<0.05). 4. 구강건강신념이 개인의 구강위생실천과 예방적 가료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 및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다. 잇솔질 행태에는 구강건강의 중요성(B=0.076, p<0.05)과 장애(B=0.098, p<0.05)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기적 스켈링 유무에 구강건강의 중요성(B=0.434, OR=1.543, p<0.05)과 구강보건교육(B=0.795, OR=2.214, p<0.05)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대학생의 구강건강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구강건강신념의 요인은 구강건강의 중요성, 예방행동의 장애인지로 나타났다. 또한 행동계기 중 구강보건교육 경험이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구강건강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구강보건교육의 필요성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ral health belief on the personal oral health practice and preventive dental care in college students. The total 319 individuals completed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on oral health belief such as importance, seriousness, benefits and barriers, modifying factors and oral health behaviors. 1. The Female students showed a higher level of seriousness, importance, benefits (p<0.05), and the respondents who were older than 21 years showed a higher level of seriousness(p<0.05). 2. The group who didn't experience oral health educations showed a higher level of barriers scores(p<0.05) and the group who perceived showed a lower level of perceived oral health status(p<0.05). 3. 'Perceived oral health status' effects on seriousness according to gender, age, oral health education and perceived oral health status(B=0.174, p<0.05). The factor effecting importance were age(B=-0.044) and perceived oral health status(B=0.074). The perceived oral health status effected on perceived barriers(B=0.191). 4.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showed that importance(B=0.076, p<0.05) and barriers(B=0.098, p<0.05) affected on tooth brushing practice and importance(B=0.434, OR=1.543, p<0.05) and oral health education(B=0.795, OR=2.214, p<0.05) affected on regular scaling. Factors affecting oral health behaviors were 'importance', 'barriers' in oral health belief and the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ece in cue to action.

      • 미투 이후 공동체 이상의 재구성과 진정성의 수행 : 민간극단 S의 연극 실천에 대한 민족지적 연구

        황혜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effects of the #Metoo movement in performing arts in South Korea. Specifically, I examined the changes in theater culture it caused and the meanings of these changes. The #Metoo movement kicked off in January of 2018 when the prosecutor Seo Ji-hyeon revealed a sexual abuse case from within the Public Prosecutor’s Office that had spread from the political, legal, and business fields to the culture and arts fields, causing a great stir in Korean society. The #Metoo movement not only accused the perpetrators of sexual violence and criticized certain individuals but also created a movement to reflect on the entire culture and system of the theater industry. Given the critical discourse on the hierarchical and closed communities that arose during the #Metoo movement, there is a need to understand how the movement affected relationships and the working environment of actual theater workers. Through ethnographic field research, this study explored sociality and theatre practices at a private theatre, referred to here as Theatre Company S. Theater S is pursuing changes collectively as a theater company in the wake of the #Metoo movement. To survive in the competitive world of performing arts, its members have pursued the important goal of working together with other members to continue holding performances. For those young actors who had not secured their place in the theatrical world, the theater company was a stepping stone; by working together, they would elevate their social position collectively. After the #MeToo Movement, the members placed more emphasis on the protective aspect of the theater company, intensifying the emotional dimension of relationships among the members. As of now, their feelings of belonging towards each other in the company are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their social achievement and are now pursued as a significant goal in itself. Moreover, a sense of danger triggered by the #MeToo Movement served as a momentum for the members to strive for safety, which led them to form an alternative community ideal with a keen awareness of the limitations of the established structure. The community ideal was practiced by establishing and reinforcing norms of a judicial nature to make the company a safer place. The norms, documented in the form of guidelines, emphasize victim-centered ethics and assume a strict attitude against hurt and pain. To minimize the damage to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heater members and protect the value of safety, the scope of the guidelines has gradually expanded, and its content has become more detailed. The members aspired for an equal, safe, and honest community, but the norms of the theater company also restrained them, becoming a mechanism that made it challenging to communicate as sincerely as they wished. The victim-centered ethics was not only considered an important value in relationships within the company but was regarded as a linchpin that constitutes the artistic authenticity of the theater company. The members wished to face their honest selves through plays, which was an important reason they continued working in theaters. The members reflected on their own actions in accordance with the victim-centered ethics valued in the company and reaffirmed the ethical value pursued in the group. The process of the members reflecting on their true selves was collectively practiced through the collaborative production process of the theater company. The members have become catalysts that lead and encourage each other to better self-introspection. This process, superimposed with the ‘we-ness’ of the company, was understood as an opportunity for not only ‘me to face myself’ but ‘us to face us.’ The creation and performance of plays thus took a ritualistic character as the process of facing ‘me’ within the framework of ‘us’ made ‘our’ community more authentic and ethical. This study found that artists have been attempting various practices to reflect on and change the theater scene surrounding them in the wake of the #MeToo movement. Such practices were not only transforming the environment in which theater art is created but were creating a new trend of recreating the value and meaning of artistic authenticity.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MeToo Movement displayed an aspect of a social movement that not only accuses the perpetrators of sexual violence but also serves as an opportunity for theater artists to realize their rights and create an impetus for changes throughout the production sites. 본고는 공연예술계 미투운동이 한국 연극계에 미친 영향, 구체적으로는 극단 문화에 만들어낸 변화와 그 의미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18년 1월 서지현 검사의 검찰 내부 성폭력 폭로로 촉발된 미투(#metoo)운동은 법조계와 정·재계에 이어 문화예술계로 확산되며 한국 사회에 큰 파장을 불러일으켰다. 미투운동은 성폭력 가해자를 고발하는 것뿐만 아니라 연극계의 문화와 제도 전반을 성찰하고 변화를 촉구하는 움직임을 만들어내었다. 미투운동 과정에서 공연예술계에 작동하는 강한 위계질서와 특유의 집단주의적 문화에 대한 비판적인 담론이 형성되었던 만큼, 미투운동이 실제 연극인들의 상호관계와 작업 환경에 어떤 영향을 가져왔는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에 본 연구는 미투운동 이후 극단 차원에서의 변화를 추구하고 있는 민간 청년 극단 S의 연극 실천을 탐구하였다. 극단 S의 단원들은 경쟁적인 공연예술계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 극단 단위로 단합하여 연극 활동을 지속하는 것을 중요한 목표로 추구해왔다. 즉 극단원들에게 극단은 연극계에 아직 자리잡지 못한 청년 연극인들의 집단적 계층 상승을 위한 도구적 의미를 강하게 띠고 있었다. 미투운동 이후, 단원들은 극단의 도구적 측면보다도 보호적 측면을 더욱 강조하는 모습을 보이며 관계의 서정성 또한 강화되는 양상을 띤다. 현재 극단에서 서로를 향한 마음은 ‘우리’를 연결해주는 접착제로서의 도구적 역할을 넘어서 그 자체로 중요하게 추구되어야 할 목적으로 여겨지고 있다. 또한 미투운동이 촉발한 위험의 감각은 극단원들의 안전 욕구를 추동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는 기성 구조를 강하게 인식하는 가운데 대안적 공동체 이상을 세우는 실천으로 이어지고 있다. 공동체적 이상의 실천은 극단을 안전하게 만들기 위해 사법적 성격의 규범을 세우고 이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특징을 가진다. 지침서라는 문서화된 형태로 표현되는 극단의 규범은 피해자 중심적 윤리를 강조하며 상처와 고통에 엄격하다. 극단원들간 관계에서 상처를 최소화함으로써 안전함의 가치를 보호하기 위해 지침서가 다루는 대상의 범위는 점점 확대되고 그 내용은 세분화된 형태로 발전해왔다. 단원들은 평등하고 안전하며 서로에게 진솔한 공동체를 지향하지만, 극단에서 작동하는 규범들은 구성원들의 행위를 구속함으로써 이들이 지향하는 진솔한 소통을 어렵게 만드는 기제로 작동하기도 하였다. 피해자 중심적 윤리는 극단 내 인간관계에서 중요한 가치로 여겨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극단의 예술적 진정성을 구성하는 핵심 축으로 작동하고 있다. 단원들은 연극을 통해 솔직한 스스로의 모습을 마주하기를 원하며, 이는 연극을 하는 중요한 이유로 여겨진다. 단원들은 극단에서 중시되는 피해자 중심적 윤리에 따라 스스로의 모습을 반성적으로 성찰하면서 집단에서 추구되는 윤리적 가치를 재확인한다. 이때 진정한 스스로를 마주하는 과정은 공동창작이라는 극단의 제작 방식을 통해 집단적으로 실천된다. 단원들은 서로를 반성적 성찰로 이끄는 촉매제이자 반성이 잘 일어날 수 있도록 관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과정은 극단이 가지고 있는 ‘우리성’과 겹쳐지면서 ‘내가 나를 마주하는 것’뿐만 아니라 ‘우리가 우리를 마주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이처럼 연극의 창작과 수행은 ‘우리’의 틀 안에서 ‘나’를 마주하는 과정을 통해 ‘우리’ 공동체를 더 진정하고 윤리적인 것으로 만드는 의례적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는 미투운동이라는 사회적 사건을 계기로 예술인들이 자신을 둘러싼 공연예술계 환경을 반성적으로 성찰하고 변화를 위한 여러가지 실천을 시도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실천들은 예술이 창작되는 환경을 변화시키고 있을 뿐만 아니라 예술적 진정성의 가치와 의미를 재구성하는 새로운 흐름을 만들어내고 있었다. 이를 통해 미투운동이 성폭력 가해자 고발을 넘어서 공연예술인들이 자신의 권리를 인식하는 계기이자 공연 제작 현장 전반에서 변화의 움직임을 만들어내는 사회운동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 홀랜드 직업 흥미 유형에 따른 미술 관련 직업 선택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예술고등학교를 중심으로

        황혜림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홀랜드 직업 흥미 유형을 통하여 진로교육을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미술 관련 직업 선택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알고 미술로서의 진로교육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또한 이론과 실재의 폭을 좁히고 더욱 체계적인 과정을 통해 앞으로의 미술 관련 직업을 위한 효과적인 진로교육을 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뿐만 아니라 미술교육이 단순히 학업교육에 국한되지 않고 더욱 포괄적인 범위로 개인의 성장 및 발전에 영향을 미치고 더 나아가 사회적 효용성을 이루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홀랜드 직업 흥미 유형의 이해와 미술 관련 직업 선택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 및 교육 현황을 알아보았다. 홀랜드 직업 흥미 유형의 이해를 위하여 해당 문헌과 선행 연구를 통해 개념 및 정의와 이론적 배경을 알고자 하였다. 또한 홀랜드 직업 흥미 유형에 따른 미술 관련 직업 선택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도출하고자 선행연구들을 알아보았으며, 진로선택 교육 현황 연구의 방법으로 고등학교 미술교과서 8종을 분석하였다. 또한 전국의 예술고등학교 현황 분석을 위해 개설되어 있는 전공을 조사하였으며 이에 따른 미술 관련 세부 전공을 표로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홀랜드 직업 흥미 유형에 따른 미술 관련 직업 선택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사례 분석을 하였다. 연구 대상 및 절차와 함께 미술 관련 직업 선택 프로그램 계발 계획으로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과의 관련성을 두었으며 교수·학습 계획과 교수·학습 방법에 의한 수업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홀랜드 직업 흥미 유형에 따른 미술 관련 직업 선택 프로그램으로 ‘홀랜드 직업 흥미 유형 검사 프로그램’을 기초로 ‘A형 유형에 따른 작가 분야 직업 선택 프로그램’, ‘I형 유형에 따른 특수제작 분야 직업 선택 프로그램’, ‘S형 유형에 따른 예술치료 분야 직업 선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대표 학교로 전주예술고등학교를 선정하여 해당 학교 미술과 전공학생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적용 및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홀랜드 직업 흥미 유형을 통한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진로 및 직업 선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자가 제시한 홀랜드 직업 흥미 유형에 따른 미술 관련 직업 선택 프로그램을 통해 자신의 태도에서 달라진 점으로 미술과 관련한 다양한 진로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전공에 대한 의욕이 강해졌다고 응답한 학생들이 다수였다. 또한 자신의 흥미성향을 통해 다양한 직업세계를 모색하려는 의지를 보였다. 이어서 전주예술고등학교 학생들의 직업 흥미 유형을 알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예술고등학교에서는 흥미 유형 중 예술형인 A유형이 대부분일 것이라는 예측과는 달리, A유형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긴 하였으나 타 유형에도 고르게 분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4장에서는 프로그램 분석 결과와 설문지 분석을 통하여 홀랜드 직업 흥미 유형에 따른 미술 관련 직업 선택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 및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였다. 교육적 효과로 미술 관련 직업의 올바른 이해 및 진로인식 함양, 직업 흥미 유형의 이해를 통환 개인적 성장 증대, 적성파악 후 진로선택 방향 습득을 제시하였고, 활성화 방안으로 진로교육의 사회적 인식 보완, 직업 흥미 유형에 따른 진로 선택 학습체계 구축, 적성을 고려한 미술수업 프레임 재설계, 흥미 유형에 따른 수업 활동 지원환경 조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자는 미술 관련 직업 선택 교육이 선행 연구들과 함께 흥미 유형 혹은 적성 탐색을 기반으로 이루어진다면, 결과적으로 자기주도적 학습이 가능하고 이로서 자신에게 알맞은 진로 선택에 보탬이 될 것이라 본다. 또한 직업의 가치를 인식하고 자신의 역량을 연계한 평생 동안의 자아실현을 이룰 수 있는 선택을 돕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변화하는 직업 세계에 발맞추어 미술 분야에서도 직업 선택을 위한 프로그램들이 지속적인 발전을 이루어 사회적 성장에 이바지하여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importance of art-related occupational selection program based on understanding of course education program through Holland’s vocational interest and to explore on the development plan of course education in terms of art. It also aims at narrowing the gap between theory and reality and to create an effective course education for future art-related occupations through a more systemized process. Moreover, art educa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academic education, but rather to promote personal growth and development, even to instill social utility on a more comprehensive level. To ensure this end, part 2 examines the need for understanding Holland’s vocational interest type, the need to develop an art-related vocational selection program, and the current state of education. Holland’s vocational interest type is understood in terms of concepts, definitions, and its theoretical background through corresponding reference and previous research. In addition, previous research is examined in order to deduct the necessity of Holland’s vocational interest type of art-related vocational selection program, and 8 kinds of high school art textbooks are analyzed as mean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of course selection education. Also, the pre-established majors were examined for the purpose of analysis of the current state of arts high schools, and in accordance, the art-related specific majors are presented as a diagram. In part 3, it analyzes the development and applied cases of art-related vocational selection program in terms of Holland’s vocational interest type. Along with the research subjects and procedures, this paper attempts to propose a lesson model based on professor / study plan and professor / study method, and planned for an art-related vocational selection program development in relation to 2015 Revised Art Curriculum. Also, with ‘Holland’s vocational interest type test program’ as the foundation of arts related occupation selection programs based on Holland’s vocational interest type, ‘A-type vocational selection program in the field of artist’, ‘I-type vocational selection program in the field of special productions’, and ‘S-type vocational selection program in the field of art therapy’ are developed. Jeonju Fine Arts High School was selected as a representative school, and the application results of the programs for students of arts major were analyz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grams based on Holland’s vocational interest typ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tudent’s course and occupation selection. Through art-related vocational selection program based on Holland’s vocational interest type presented by the researchers, the students experienced a change in attitude, which lead them to realize that there are a variety of vocations related to art, and these students replied that their motivation toward their majors became stronger. Also, they had the eager to explore the world of various occupations through their own interest types. Thus, the interest types of the students of Jeonju Fine Arts High School were identified. Unlike the prediction that most students of arts high schools will mostly be type A, which is based on artistic interest, although type A had the highest percentage, it was confirmed that they were evenly distributed among the other types. Part 4 deducted the educational effects and activation plan of art-related vocational selection program based on Holland’s vocational interest type through program result analysis and studies done by surveys. Appropriate understanding of art related occupation, increase of individual growth through understanding of vocational interest type, and acquisition of course selection direction after identifying aptitude, are the proposed educational effects. Supplementing the social recognition of career education, building a learning system for course selection based on vocational interest type, redesigning frames of art classes in terms of aptitude, and creating a supportive environment of lesson activities according to interest type, are by means of activation plan of this program. As the researcher, I believe that self-lead learning will become possible and assist students in their vocational selection process with proper education of art-related vocational selection based on interest type or aptitude navigation along with previous research. In addition, it also seeks to assist them to select the right vocation for themselves for which they can recognize the value of, in connection to their capability, to achieve lifelong self-realization Through this, the program for occupation selection should continue to develop in the field of art in accordance with the changing world of professions, consequentially contributing to social growth.

      •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조직몰입이 교사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황혜림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조직몰입이 교사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보육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사회적 지지, 조직몰입, 교사 전문성은 차이가 있는가? 2.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 조직몰입, 교사 전문성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3.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조직몰입이 교사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S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246명이다. 교사 전문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백은주와 조부경(2004)이 개발한 교사 전문성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기 위하여 박지원(1989)과 임진형(2000)의 사회적 지지 척도를 어린이집에 맞게 수정, 보완한 이재영(2011)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Allen과 Meyer(1990)가 개발한 조직몰입 측정도구를 마상진(2004)이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WIN 23.0을 사용하여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분석하였고, 보육교사의 일반적 특성과 변인들의 일반적 경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독립표본 t검증, ANOVA 검증, Scheffé 검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일반적인 특성 중 연령, 교육 총 경력, 결혼 여부에 따라서는 사회적 지지, 조직몰입, 교사 전문성에 차이를 보였다. 둘째, 사회적 지지 전체와 조직몰입 전체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사회적 지지 전체와 교사 전문성 전체도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조직몰입 전체와 교사 전문성 전체에서도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조직몰입의 하위변인인 근속적 몰입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조직몰입은 보육교사의 교사 전문성에 정적인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는 사회적 지지 중 평가적 지지는 교사 전문성에 정적인 영향력이 있는 변인이었고, 조직몰입의 정의적 몰입과 규범적 몰입은 교사 전문성에 정적 영향력이 있었으며 근속적 몰입은 부적인 영향력이 있었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조직몰입이 교사 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보육교사의 교사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해서는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 체계를 강화하고, 조직몰입을 위한 제반 환경구성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eacher professionalism in childcare teachers.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Are there any differences among childcare teachers in social suppor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eacher professionalism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2. What are the correlations of the soci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hildcare teachers to teacher professionalism? 3. What influence do the soci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hildcare teachers exercise on teacher professionalism?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46 selected childcare teachers who worked in daycare centers in an urban community. The instrument used to measure teacher professionalism was Back & Cho(2004)'s Teacher Professionalism Scale. The instrument used to measure social support was Lee(2011)'s inventory that modified and complemented Park(1989)'s Social Support Scale and Lim(2000)'s Social Support Scale. The instrument used to assess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childcare teachers was Mha(2004)'s Scale, which is an adapted version of Allen & Meyer(1990)'s Organizational Commitment Inventory.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SPSS version 23.0 for Windows was employed to analyze the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s, and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percent,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obtained. In addition, independent-samples t-test, ANOVA, Scheffé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the childcare teachers in social suppor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eacher professionalism according to age, total teaching career and marital status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Seco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overall social support and overall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also between overall social support and overall teacher professionalism. Overall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overall teacher professionalism as well, but that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ontinuance commitment that was one of the subvariable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the soci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childcare teachers had positive impacts on teacher professionalism. Out of the subfactors, evaluative support that was part of social support was a variable to affect teacher professionalism in a positive manner, and affective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that were the subvariables of social support exercised a positive influence on teacher professionalism. Continuance commitment was negatively influential. The findings of the study illustrated that the soci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hildcare teachers is a critical variable to affect teacher professionalism.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teacher professionalism of childcare teachers, a social support system geared toward these teachers should be strengthened, and all sorts of environments that are necessary to bolster organizational commitment should be created.

      • 이광자 수은 / 카드뮴(Ⅱ) 이온 표지자의 합성과 물성 연구

        황혜림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Many intensity-based fluorescent sensors for Cd2+ has been reported. Although intensity-based reagents are of practical utility, external influences that lead to variations in probe concentration and environment can complicate measurements in biological samples. These potential artifacts can be minimized by ratiometric imaging, which relies on probes that have two distinct measurable signals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alyte. The ratiometric measurements are preferable because the ratio of the fluorescence intensities at two wavelengths is in fact independent of the total concentration of the dye, photobleaching, fluctuations of the source intensity, sensitivity or the instrument, etc. The most actively investigated structural motifs for TP materials are donor-acceptor-donor quadrupoles. In QCd1, we utilize two aniline nitrogen of the receptor and the other aniline nitro group as the electron donor and the CN group of the core as the acceptor. The fluorophore contains electron-donating group conjugated to an electron-withdrawing group, it will undergo an intramolecular charge transfer(ICT) from the donor to the acceptor upon excitation by light. So, a cation interaction with the receptor reduces the electron-donating character result in a blue shift of the absorption spectra and emission spectra. We report a ratiometric probe(QCd1) that exibits large blue shift of emission spectra as Cd2+ binding.

      • 아동·청소년의 자기자비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을 중심으로

        황혜림 숙명여자대학교 심리치료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청소년의 자기자비와 관련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객관적으로 종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11년부터 2021년까지 석‧박사 학위 논문 및 학술지 논문 37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총 70개의 효과크기를 산출한 후 CMA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아동‧청소년의 자기자비 관련변인을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으로 분류하였고, 보호요인은 개인요인과 관계요인으로, 위험요인은 개인요인과 관계요인, 환경요인으로 2차 범주화하였다. 그리고 보호요인의 개인요인은 기질·성격·사회정서요인으로 위험요인의 개인요인은 기질·성격· 인지·사회정서요인으로 세분화하였다. 다음으로 변인군별 효과크기를 산출하고 비교하였으며, 출판물 형태와 연령, 성별을 조절변수로 설정하여 메타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청소년의 자기자비 관련 선행변인의 전체 효과크기는 =.424 로 중간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청소년의 자기자비 관련변인 중 보호요인의 효과크기는 =.367로 중간 효과크기로 나타났고, 보호요인 내 하위요인 효과크기는 관계요인(=.373), 개인요인(=.361) 순으로 나타났으나 두 요인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개인요인 내 상세유목의 효과크기는 사회정서요인(=.494), 성격요인(=.293), 기질요인(=.177) 순으로 나타났으며, 상세유목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아동‧청소년의 자기자비 관련변인 중 위험요인의 효과크기는 =.465로 중간 효과크기로 나타났고, 위험요인 내 하위요인 효과크기는 개인요인(=.544), 환경요인(=.469), 관계요인(=.341) 순으로 나타났으며 그 차이는 유의하였다. 개인요인 내 상세유목의 효과크기는 사회정서요인(=.618), 인지요인(=.583), 성격요인(=.555), 기질요인(=.151) 순으로 나타났고, 효과크기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출판물 형태와 연령, 성별을 조절변인으로 설정하여 메타회귀분석을 통한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출판물 형태와 연령, 성별은 보호요인과 위험요인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의 자기자비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돕고자 하였고,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여 학문적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resent study conducted a meta-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self-compassion of child and adolescent. A total of 37 dissertations and journal papers published in Korea from 2011 to 2021 were gathered for analysis. A total of 70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and meta-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CMA3.0 program. First, variables related to self-compas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ere categorized as protective factors and risk factors. Protective factors were catagorized as individual factors and relationship factors, and risk factors were catagorized as individual factors, relationship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addition, the individual factors of the protective factors were subdivided into temperament factors, personality factors, and social-emotions factors. The individual factors of the risk factors were subdivided into temperament factors, personality factors, cognition factors, and social-emotions factors. Next, the effect size of each variable group was calculated and compared, and meta-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how relationships between child and adolescent's self-compassion and related causative variables changed according to publication type, age, and gend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variables related to self-compassion of child and adolescent(=.424) showed a medium effect size. Second, the effect size of the protective factors(=.367) showed a medium effect size. and the sub-factor effect size within the protective factors was in the order of relationship factors (=.373) and individual factors (=.361),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factor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effect size of detailed categorization within individual factors was in the order of social-emotion factors(=.494), personality factors(=293), and temperament factors(=.177),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facto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 effect size of the risk factors(=.465) showed medium effect size. and the sub-factor effect size within the risk factors was in the order of individual factors (=.544), environmental factors (=.469), and relationship factors (=.341), and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The effect size of detailed categorization within individual factors was in the order of social-emotion factors(=.618), cognition factors(=.583), personality factors(=.555), and temperament factors(=.151), and the difference in effect siz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inally, this study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 through meta-regression analysis by setting publication type, age, and gender as regulatory variables. As a resul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ype of publication in both protective and risk factor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and gender in both protective and risk factors. As such, this study attempted to help comprehensively understand self-compassion of child and adolescent, and it is expected to be meaningful in that it can contribute to academic development by presenting the direction of follow-up research.

      • 빛 공해 차단을 위한 디자인연구 : 서울시 강동구 주거지역 가로조명을 중심으로

        황혜림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과거 빛 공해에 대한 인식 없이 무분별하게 조명을 설치했던 것과는 달리 오늘날에 와서는 인간 삶의 질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옥외 조명으로 인한 주거지로의 빛 침해에 대한 관심 역시 높아지고 있다. 서울시는 우리나라 최초로 빛 공해 방지 및 도시 조명관리 조례를 제정하였고 이는 잘못된 조명 설치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 빛 공해를 줄이기 위한 노력으로 볼 수 있다. 현재 많은 학회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잘못된 조명환경 디자인으로 인한 빛 공해의 발생은 천체 관측을 어렵게 만들고 생태계는 물론 인간 생활에도 악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그 원인으로는 과도한 경관 조명과 네온사인, 장소에 적합하지 않은 조명기구의 사용을 들고 있다. 적합하지 않은 가로조명의 사용은 야간의 주거지로의 빛 침입을 유발하며 그것은 안락한 실내 환경조성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야간의 주거지로의 빛 침해에 가장 큰 피해 요인으로 작용하는 가로조명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이론조사를 통해 빛 공해의 원인과 문제점을 인식하고 저층의 거주지는 고층의 거주지보다 가로조명으로 인한 빛 공해 피해에 더 쉽게 노출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우리나라 최초로 빛 공해 방지 조례를 발표한 서울시를 연구지역으로 선정하여 용도지역 분류에 따라 주거지역으로 지정된 강동구 지역에서 현장조사, 설문조사, 심층면접을 진행하여 일반적으로 가지고 있는 가로조명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였고 또한 기존 가로조명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기존 빛 공해 방지를 위한 가로조명 사례조사와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토대로 개선해야 할 요소들을 파악한 결과 도로의 너비와 주거지의 위치에 따라 빛의 분포면적과 분포각도가 달라져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분포면적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으로 램프의 앞부분에 조리개 구조를 넣어 빛이 분포되는 면적을 조절 할 수 있게 하였으며 조리개가 위치하는 부분을 몸체 부분과 분리가능하게 하여 각도조절이 용이한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가능성 검증을 위해 빛의 분포면적과 각도조절 부분을 Soft mockup으로 제작 하였으며 그 결과 조리개의 넓이 조절에 따라 변하는 빛의 분포면적과 각도 조절에 따라 변하는 빛의 방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빛 공해를 차단할 수 있는 가로조명 디자인을 제안하였으며 가능성 검증을 통해 제안한 디자인이 빛 공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그러나 향후 보다나은 제품 연구를 위해서는 정확한 치수조절에 의한 빛의 분포면적과 분포각도의 변화에 대한 결과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가로조명의 전체적인 교체작업 없이 기존의 가로조명을 이용해 빛의 분포면적과 분포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부분의 조립만으로 빛 공해를 차단할 수 있는 조립형 구조와 재질과 컬러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Light fixtures were installed without any concepts of light pollution in the past. However, today the light trespass to residential areas by outdoor lighting is more seriously dealt with as the quality of human life becomes hot issues. Seoul city enacted Light Pollution Prevention and Urban Light Control Act for the first time in Korea, which may be considered as the efforts to reduce light pollution to be caused by improper lighting installation. The researches results by many societies shows that improper lighting environment designs like excessive landscape lighting and neon signs as well as lighting fixtures at wrong places interfere with astronomical observatories and have adverse effects on human life as well as ecosystems. The improper street lighting causes the light trespass into residential areas and has adverse effects against convenient indoor life environments. Therefore, this study was based on the street lighting which is considered the most critical factor to the light trespass into residences. And the hypothesis that the residence in low floors may be exposed to light pollution more easily due to street lighting than the one in high floors was set up after finding the cause and problems of light pollution by theoretical survey. Seoul pronouncing Light Pollution Prevention Act for the first time in Korea was selected as a research area. And generally perceived concepts about street lighting as well as the problems which the existing street lighting has were investigated by field surveys, questionnaire surveys, and intensive interviews in Gangdong-gu designated as a residential area according to zoning classification. After that, the hypothesis was verified based on the results above. With the results from the case study and the research for preventing the existing light pollution, it was understood that the distribution areas and angles of light should be different based on the width of roads and the locations of residences. The details of the design suggested by me was that the distribution area is able to be adjusted by adding the structure of aperture shape to the front part of lamp and the angle is able to be adjusted to get the parts where aperture is located to be separable from the body part. The feasibility study with the soft mockup matching the distribution area and angle adjustment parts of light showed the changes of light distribution areas according to the width of aperture and the changes of light direction according to angle adjustment. The street lighting design to reduce light pollution were presented based on the study results, and the design suggested based on the feasibility study result was proved to minimize the light pollution. However, more studies are considered to need for covering the accurate dimension adjustment corresponding to the change of light as well as the structure of assembly type to control light pollution by assembling only the parts adjusting the distribution areas and angles of light without entirely changing the existing street lighting equipment.

      • 국제물품매매계약에서 본질적 계약위반의 해석에 관한 연구 : CISG와 미국법을 중심으로

        황혜림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he internationalization accelerates, the market tends to be unify. On the other hand, as trade business is expending due to the market unification, a lot of difficult problems occur because the business between different nations cause diverse conflicts. They need to execute exact regulation in order to stand strong to fit themselves under the reputation of CISG.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efficient solution for resolving the conflict between parties. This Study is mainly focused on Article 25 Fundamental breach of contract. The article above has enough power to avoid the contract, but they aim to clarify a fundamental breach of contract through cases since the standards and requirements are very abstract and wide ranged. The fact that UCC is acting as a model for international provision especially related to sales of contract at international business under the support of United States is a fact cannot be doubted. Through this study the author was able to discover couple facts by analyzing CISG and American Law. But, First the author can set clear standards through case studying ‘Substantial detriment’, ‘Foreseeability’, ‘Reasonable person’, which were set as breach of contract according to Article 25 CISG. When It comes to judging foreseeability, the author made a decision considering extra circumstance, content of contract, course of performance, the rule of interpretation contract. Also, when it comes to judging proof about substantial detriment, the author offers absolute standard about judgment depends on procedure standard. For example, when other party’s loss occur due to breach of contract by a party, the other party can provide the proof in order to make the case as a fundamental breach of contract. Fundamental breach of contract of CISG can show its effect from the perspective of a party who are use the avoid of contract under the Perfect Tender Rule of American Law, there was a difference that Perfect Tender Rule are applying more strict standard compare to CISG.

      • 온라인 패션 스토어의 유형 및 브랜드 관여도에 따른 수용자 태도

        황혜림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터넷 사용인구가 계속해서 증가하면서 인터넷 전자상거래는 급속도로 보편화 되고 있다. 인터넷 전자상거래를 활용하는 기업은 브랜드 이미지를 활용한 체계적인 디자인 스타일을 필요로 할 것이기 때문에, 그에 따른 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앞으로 제작되는 온라인패션스토어의 디자인을 관여도에 따라 효과적인 유형을 제시하고, 더불어 기업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온라인 스토어의 유형이 관여도에 따라 수용자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해 알아보기 위해, 온라인스토어 유형을 2가지 유형 (Mass Flow 유형, LineFlow 유형)으로 분류하였고, 고관여 브랜드와 저관여 브랜드에 접목시켜 실험물을 제작하였다. 105명을 대상으로 각 브랜드에 관련한 시나리오와 함께 Line Flow 유형과 Mass Flow 유형에 해당하는 프로토타입을 경험시킨 후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후 인터뷰에 응한 10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온라인스토어의 경우 고관여 브랜드는 Mass Flow유형, 저관여 브랜드는 Line Flow 유형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관여 브랜드일수록 선호도에 대한 격차가 극명하게 나타났으며, 저관여 브랜드는 비교적 격차가 적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항상 변화하는 온라인 공간, 온라인스토어의 유형을 관여도에 따라 수용자 태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실증적으로연구하였다. 본연구에서 제시하는 브랜드 관여도에 따른 온라인스토어의 디자인 방향성이 브랜드 가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을 기대한다. As the number of Internet users continues to grow, Internet ecommerce is rapidly becoming common. Companies that use Internet e-commerce will need a systematic design style that utilizes brand images, so research is required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effective type of design for future online fashion stores according to their involvement, and to increase the brand value of the enterprise. To find out how the type of online store affects receptor behavior according to its involvement, the online store type was divided into two types (Mass Flow type, LineFlow type) and the experiment was created by combining them with high- and low-controlling brands. A survey of 105 people was conducted after experiencing the scenarios associated with each brand, as well as prototypes corresponding to the Line Flow type and Mass Flow type. Since then, the company has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0 people who responded to the interview. The study found that for online stores, high tolerance brands are mass flow type and low control brands are effective line flow type. Also, the higher the number of high-ranking brands, the wider the gap on preference, and the smaller the gap between low-maintenance brands. This study empirically researched how the types of online spaces, online stores that always change, affect the attitudes of inmates according to their involvement. We hope that the design direction of the online store according to the degree of brand involvement presented in this study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brand value.

      • 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 활용을 통한 모두를 위한 전시 및 작품 해설 연구 : 시각장애인 대상을 중심으로

        황혜림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목적은 시각장애인을 중심으로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야외조각공원의 소장품을 활용한 ‘모두를 위한 전시 및 작품해설’ 연구하는 것이다. 이는 전시의 물리적·정보적 접근성 측면의 개선을 의미하는 것으로, 시각장애인을 중심으로 할 경우, 어린이, 노인, 장애인 등 다양한 관객을 포괄할 수 있음을 유니버셜 디자인 개념에 근거하여 분석했다. 이와 함께 연구 대상지인 과천 야외조각공원의 소장품 특징과 관람 동선, 작품해설 현황 등 기초 분석을 실시한 결과, 현재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야외조각공원은 소장품을 활용한 전시 및 장애인, 노약자 등을 위한 프로그램과의 연계도 단발성에 그치고 있음을 확인했다. 이에 국립현대미술관에서 기획되었던 야외조각공원 프로그램 중 2017년 <조각공원산책 빙(氷)-빙빙(being)>의 전시 관람 코스를 시각장애인의 관람 환경 측면에서 재분석한 후, 이를 토대로 본 연구의 ‘모두를 위한 전시 및 작품’을 설정했다. 이를 위한 구체적 방법으로는 해외 박물관·미술관의 촉각 전시 사례와 국내 선행연구 사례인 김포국제조각공원의 무장애 전시 및 작품해설 콘텐츠 개발에서 제안된 작품 특성 분류와 관객 부류 4단계 가이드라인을 참고했다. 특히 시각장애인을 위한 작품해설의 경우 작품을 볼 수 없어도, 언어 해설을 통해 이미지를 상상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이미지 리딩 방법을 본 연구에서 선정한 9점의 작품에 직접 적용하여, 기존 국립현대미술관의 작품해설과 비교해 시각장애인의 이해 및 감상 만족도 평가를 거쳤다. 따라서 이 연구는 ‘모두를 위한 전시 및 작품해설’을 통해 실제 과천 야외조각공원을 대상으로 한 물리적·정보적 접근성 문제점 분석과 개선 방법론을 연구하고, 소장품 활용 및 포용적 미술관을 위한 국립현대미술관의 과제에 대한 응답으로서 제시한 것에 의의 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