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승검초 첨가가 생면품질에 미치는 영향

        황현주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47

        본 연구에서는 승검초를 분말과 즙으로 가공하여 승검초의 이화학적 특성과 기능성을 분석하고 승검초를 첨가한 생면 반죽의 호화성상 및 이화학적 품질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승검초를 첨가한 생면의 기능성 및 물리화학적 품질, 관능 특성을 통해 승검초 첨가 생면 제조를 위한 최적의 제조조건을 제시하고 기능성을 가진 건강식품으로서 승검초 첨가 생면의 개발 가능성과 승검초를 이용한 다양한 건강식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 색채감성을 활용한 방송타이틀 디자인에 관한 연구 : 드라마 타이틀을 중심으로

        황현주 강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산업시대와 정보화시대를 거쳐 감성문화의 시대가 도래한 지금, 영상은 산업시대의 산물이며 가장 대중적이고 효율적인 매체이다. 시청자 중심으로 매체와 시대가 변화해 가는 속에서 감성까지 고려한 영상매체의 개발이 불가피해졌다. 사전적의미로 감성이란 감각이나 지각에 의하여 그것에 지배되는 심적, 체험적 전체, 또는 인상을 받아들이는 힘을 말한다. 인간의 내면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출발한 감성에 대한 연구는 현재 마케팅, 심리학, 디자인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다. 영상매체 분야에서 감성의 요소가 도입되어야 한다는 내용은 지속적으로 언급되어오고 있으나, 감성을 영상매체에 도입하기 위한 체계적인 틀은 미비한 실정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인간의 색채감성을 분석해 시청자의 감성에 맞는 방송타이틀 제작에 기본적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색채감성시스템의 이론적 배경을 감성공학, 문헌조사, 기존 논문을 바탕으로 하여 개념을 정립하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TV드라마타이틀의 색채를 중심으로 상관분석을 하였다. 분석대상의 장르는 사극으로 제한하고 2006년에서 2009년까지 방송3사(KBS, MBC, SBS)에서 방영된 드라마타이틀 중에서 색채감성을 적절히 사용하여 감성반응에 있어 전달력이 높은 것을 중심으로 선정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극 드라마 타이틀의 배색에 따른 형용사 이미지는 이미지 스케일에서 우아한, 클래식한, 전통적인의 영역에 위치하였다. ‘우아한’은 고명도, 저채도 색조의 대조로써 표현되었고, ‘클래식한’은 저명도, 고채도의 유사색 계열의 대조되는 색조의 배색으로 표현되었다. 유사색 대조는 톤의 조화로 안정적이고 정적인 배색을 이루고 있으며 채도가 낮고 담백한 색조의 구성으로 전통적 색상을 통한 영상미를 나타내고 있었다. TV 드라마에 사용된 타이틀의 배색은 주로 채도가 다소 낮은 색을 사용하였으며 색조의 변화와 색의 3속성에 통일감을 부여함으로써 전통적이면서도 현대적인 느낌을 부여하였다. 본 연구가 향후 TV방송타이틀 디자인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며 디자인에 있어 감성적 요구사항을 체계화하여 감성에서 디자인으로 연결되는 감성디자인 방법의 창출을 기대해 본다. In an emotional culture era after industrial era and IT era, images are the most popular and effective media as a product of industrial era. With viewer-oriented media and era spreading around the world, developing image media considering emotional factors is absolutely required. 'sensitivity' refers to emotion and experience dominated by sense and perception, or power accepting impression. Researches on sensitivity originated from interests in human being's interior are wildly applied to marketing, psychology and design. The idea of applying emotional factors to image media continues to be suggested, but systematic framework for introducing sensitivity to image media is not strong. Therefore,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analyze human being's color sensitivity and suggest fundamental direction of developing broadcasting titles to meet viewers' sensitivity. In addition, based on sensitivity engineering, reference investigation and previous theses, this research aims to establish accurate concept of color sensitivity system. To this end, correlation analysis of TV drama titles' colors was conducted. The analysis was restricted to Korean historical dramas. Among dram titles broadcasted in three broadcasting stations(MBC, KBS, SBS) from 2006 to 2009, some drama titles using appropriate color sensitivity to improv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drawing viewers' sensitivity response were selected for this research.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Adjective images based on color arrangement of historical dram titles are located in elegant, classical and traditional position of image scale. ‘Elegant’ is expressed with contrast of high brightness and low color saturation, and ‘classical’ is expressed with similar color contrast of low brightness and high color saturation. Contrast of similar colors is stable with tone harmony and expresses images with traditional colors of low color saturation and simple color tone. TV drama titles mainly use low color saturation and unifies changes of color tones and three attributes of colors, expressing traditional yet modern images. Hoping that this research can be used as fundamental data for future TV title design, I expect that requirements for sensitivity are systemized for design and sensitivity design connecting sensitivity with design is improved.

      • 박테리오신 생성세균 분리 및 동정

        황현주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박테리오신은 여러 종의 미생물이 생산하는 천연의 항균성 단백질로서 열과 산에 안정성이 높아 사회적인 관심이 증가하고 연구가 확대되고 있다. 박테리오신의 경우 유전자분석 및 조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분자적 변이를 통하여 특성이 더욱 우수한 박테리오신을 합성할 수 있다. 또한 박테리오신은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어 인체에 섭취되는 즉시 분해됨으로써 인체에 무독성이고 잔류성이 없기 때문에 새로운 생물학적 보존제(biopreservative)내지는 발효식품의 생물제어제(bioregulator)로 그 효용이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김치로부터 bacteriocin 활성을 갖는 야생형 유산 균주를 분리 동정 하였으며 그의 항균 활성 능력, 생성 조건, 특성을 조사 하였다. Bacteriocin 활성을 나타내는 야생형 유산균을 분리 동정하기 위하여 김치에서 유산균을 분리하였으며 여러 그람 양성과 음성 지시균주에 대한 용균 활성을 agar spot assay, agar well diffusion, turbidometric assy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분리균주는 혐기적 조건에서 호기적 조건에 비해 좀 더 빠른 생육과 박테리오신 역가가 생성됨을 알 수 있었고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의 열처리 안정성을 조사한 결과 100℃에서 20분간 열처리 후에도 역가가 그대로 잔존하여 상당한 열안정성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pH2에서 pH10 범위내의 산도 변화에서도 역가가 대체로 일정하여 pH안정성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proteinase K, trypsin, pepsin, a-amylase, lipase의 효소반응에 대하여 각기 다른 반응을 보여 이러한 결과를 통해 박테리오신의 화학적 성질은 유사할지라도 구조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분리균주의 형태학적, 생화학적 특성 조사와 최종적으로 PCR로 증폭하여 얻은 16S rDNA 염기서열 결정을 통해서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brevis, Lactococcus lactis ssp lactis, Lactobacillus sakei등으로 동정 되었다. Bacteriocins are small peptides (3~7 kDa), with antimicrobial activity, that are produced by bacteria. Several classes of bacteriocin have been described, with most interests focussing on the class I and the class II, the small, heat stable peptides. Due to the antimicrobial nature, these peptides, have potential for use as the alternatives for antibiotics and food preserving agents. A total of 100 strains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when grown on solid media, yet only 15 strains produced inhibition zones when the cell free supernatant of these strains were checked with the well diffusion assay.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bacteriocin was studied against various bacteria including some pathogenic food spoilage microorganisms; L. monocytogenes, S. enteritidis, and E. coli. The antimicrobial activity was especially strong against and Escherichia coli ATCC 10536. The bacteriocin activity remained stable between pH 2.0 and pH 10.0 and during heating for 20min at 100℃. The bacteriocin activity decreased by proteinase K, trypsin, pepsin, and a-amylase. However lipase did not affect the bacteriocin activity. The fifteen strains were identified as Lactobacillus brevis, Lactobacillus plantarum, and Lactococcus lactis ssp lactis by using API 50 CHL Kit. Also, the sequence of its 16S rDNA was analysed too. As a result, the sequence showed 99% homology with those from Lactobacillus brevis, Lactobacillus plantarum, and Lactobacillus sakei.

      • 사이코사이버네틱 미술치료 모델에 근거한 집단미술심리치료가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대인관계 및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

        황현주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이코사이버네틱 미술치료 모델에 근거한 집단미술심리치료가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대인관계 및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미술심리치료적 개입이 대학생들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 데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울 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1, 2학년 여대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39명으로 연구를 시작하였으나, 실험집단에서 1명, 통제집단에서 8명이 제외되어 최종적으로 30명의 데이터가 연구에 활용되었다. 실험집단에 15명, 통제집단에 15명이 배정되었으며, 실험집단에는 2015년 9월부터 11월까지 8주간 주 2회 총 16회기의 사이코사이버네틱 미술치료 모델에 근거한 집단미술심리치료를 실시하였다. 집단미술심리치료는 Nucho(2003)의 사이코사이버네틱 미술치료 모델에 근거하여 4단계의 구조화된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실험집단의 연구 대상자들은 매 회기 스스로 자유롭게 주제를 선택하거나 이전의 작업을 연속하여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기결정력이 증진될 수 있도록 하고 자기 자신을 탐색하고 표현하고 통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집단미술심리치료 실시 전과 실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에게 한국형 자아정체감 검사, 대인관계 검사(Relationship Change Scale: RCS), 자기표현 검사(Assertive Behavior Assessment Scale: ABAS)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첫째, 사이코사이버네틱 미술치료 모델에 근거한 집단미술심리치료 실시 후 대학생의 자아정체감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사이코사이버네틱 미술치료 모델에 근거한 집단미술심리치료 실시 후 대학생의 대인관계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셋째, 사이코사이버네틱 미술치료 모델에 근거한 집단미술심리치료 실시 후 대학생의 자기표현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실험집단의 자아정체감, 대인관계 및 자기표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아진 반면, 통제집단의 자아정체감, 대인관계 및 자기표현 점수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사이코사이버네틱 미술치료 모델에 근거한 집단미술심리치료가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대인관계 및 자기표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사이코사이버네틱 미술치료 모델에 근거한 집단미술심리치료를 통해 대학생들이 정상적인 심리사회적 발달단계를 성실히 이행할 수 있도록 돕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해 제안을 논의하는 바이다. 주요어: 사이코사이버네틱 미술치료 모델, 집단미술심리치료, 대학생, 자아정체감, 대인관계, 자기표현

      • 체험활동 중심 장애이해교육이 비장애학생의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

        황현주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체험활동 중심 장애이해교육이 비장애학생의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연구로써,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체험활동 중심 장애이해교육이 비장애학생의 통합교육 태도, 장애인의 능력 인식, 행동의도, 학급동료 인식 기대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이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체험활동 중심 장애이해교육은 비장애학생의 통합교육 태도를 향상시키는 데에 효과적이다. 둘째, 체험활동 중심 장애이해교육은 비장애학생의 장애인의 능력 인식을 향상시키는 데에 효과적이다. 셋째, 체험활동 중심 장애이해교육은 비장애학생의 행동의도를 향상시키는 데에 효과적이다. 넷째, 체험활동 중심 장애이해교육은 비장애학생의 학급동료 인식 기대를 향상시키는 데에 효과적이다.

      • 전국 일반초등학교의 통합교육 실제에서 학교관리자의 역할

        황현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근거로 작성된 설문지를 연구도구로 사용하였으며 요인분석을 통해 일반 초등학교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학교 관리자 역할을 ‘학생지원’의 역할, ‘교사지원’의 역할, ‘정보자원’으로서의 3가지 하위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전국 특수학급이 있는 초등학교의 학교관리자를 모집단으로 하여 지역별로 표본을 추출하여 총 500부의 질문지를 배포하였다. 학교관리자의 자기평정의 방법으로 측정하였고, 회수된 총 372부를 연구결과로 분석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라 t검정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일반초등학교 학교관리자의 역할 수행 중 ‘교사들의 전문적인 성장을 격려 한다’는 문항이 가장 높았고 ‘교내 통합 프로그램 개발에 직접 참여 한다’에서 가장 낮음을 알 수 있었다. 2.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학교관리자의 역할 중 교사에 대한 지원의 역할에 대한 평균 수행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정보자원으로서의 역할과 학생지원의 역할 순으로 나타났다. 3. 학교관리자 역할에 대한 전체적인 수행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던 배경변인은 특수교육경력 여부와 특수교육관련연수 이수 시간이었으며 특수교육 경력이 있는 학교관리자 집단과 특수교육관련연수 이수 시간이 긴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수행 빈도가 높았다. 본 연구는 설문 항목에 대해 학교관리자가 자기평정의 방법으로 작성한 자료를 근거로 분석한 것이다. 따라서 보다 객관적이고 사실적인 실태조사를 위해서는 관찰, 면접 등의 다양한 방법을 병행할 필요성이 있으며 실제 해당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통합의 정도와 비교분석할 필요가 있다는 제한점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일반초등학교의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학교관리자의 역할에 대한 하나의 행동목록을 제공하고, 학교관리자의 특수교육경력과 관련연수 경험이 학교관리자의 역할 수행 정도와 관련이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학교관리자의 적극적인 역할 수행을 위해서는 특수교육관련 연수 내용이 단순한 정보를 제공하기보단 실제 적용할 수 있는 사례 중심의 내용으로 구성될 것과 교육청의 지원중심의 장학활동이 더 활발하게 이루어 질 것, 그리고 장애 학생 통합의 실제와 학교관리자의 역할과의 상관관계를 연구할 필요성을 제안한다. As the paradigm of education changes towards a streamlined system integrating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s to provide not only handicapped children but also normal ones with the opportunities for useful educational experiences with the slogan "Education for Every Student", it is deemed necessary to review the conditions of the current inclusion, while various experts involved in the inclusion are obliged to change their mentality and attitudes. In particular, school administrators are authorized to make firm decisions for more favorable school environment and effective schooling policies, and therefore, they are deemed to play most important and essential roles in changing their schools responsively to diverse spectra of students. With such basic conceptions in mind, this study was aimed at 1) surveying how frequently the school administrators play their roles for the inclusion at general elementary schools and 2) determining the differences of school administrators' role-play for the inclusion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 variables. To this end, the researcher sampled the school administrators working for the general elementary schools with handicapped children enrolled. For this study, relevant literature was reviewed to design a questionnaire, and the collected data were factor-analyzed. The population for this study were the school administrators working for the general elementary schools with special classrooms, and the subjects were sampled as per region. A total of 500 copies of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372 ones were returned.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for means, standard deviations, and T-test and one-way ANOVA if necess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In terms of school administrators' roles for the inclusion, the item Encourage teachers to grow their professionalism' scored highest, while the item 'Participate personally in development of an in-school inclusion program' scored lowest. 2. According to result of analyzation sub-areas of school administrators' roles for inclusion, the area of support for teacher is highst scored, the area of source of information follows that, and the role of support for studentis lowst scored. 3. The demographic variables significantly affecting school administrators' overall roles for the inclusion were whether he has experience as special education reacher or not, and hours of being trained for special education. The experienced group as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the more trained group for special education play the roles of school administrator more than the not experienced group and fewer traned group. This study suggests that school administrators should be trained for their roles and specific educational strategies conducive to the inclusion at general elementary schools, while being supported in diverse and effective ways. In additio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followed up by future studies which will analyze how school administrators' roles are correlated with the effects of the inclusion for handicapped children at general elementary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