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색채감성을 활용한 방송타이틀 디자인에 관한 연구 : 드라마 타이틀을 중심으로
산업시대와 정보화시대를 거쳐 감성문화의 시대가 도래한 지금, 영상은 산업시대의 산물이며 가장 대중적이고 효율적인 매체이다. 시청자 중심으로 매체와 시대가 변화해 가는 속에서 감성까지 고려한 영상매체의 개발이 불가피해졌다. 사전적의미로 감성이란 감각이나 지각에 의하여 그것에 지배되는 심적, 체험적 전체, 또는 인상을 받아들이는 힘을 말한다. 인간의 내면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출발한 감성에 대한 연구는 현재 마케팅, 심리학, 디자인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다. 영상매체 분야에서 감성의 요소가 도입되어야 한다는 내용은 지속적으로 언급되어오고 있으나, 감성을 영상매체에 도입하기 위한 체계적인 틀은 미비한 실정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인간의 색채감성을 분석해 시청자의 감성에 맞는 방송타이틀 제작에 기본적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색채감성시스템의 이론적 배경을 감성공학, 문헌조사, 기존 논문을 바탕으로 하여 개념을 정립하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TV드라마타이틀의 색채를 중심으로 상관분석을 하였다. 분석대상의 장르는 사극으로 제한하고 2006년에서 2009년까지 방송3사(KBS, MBC, SBS)에서 방영된 드라마타이틀 중에서 색채감성을 적절히 사용하여 감성반응에 있어 전달력이 높은 것을 중심으로 선정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극 드라마 타이틀의 배색에 따른 형용사 이미지는 이미지 스케일에서 우아한, 클래식한, 전통적인의 영역에 위치하였다. ‘우아한’은 고명도, 저채도 색조의 대조로써 표현되었고, ‘클래식한’은 저명도, 고채도의 유사색 계열의 대조되는 색조의 배색으로 표현되었다. 유사색 대조는 톤의 조화로 안정적이고 정적인 배색을 이루고 있으며 채도가 낮고 담백한 색조의 구성으로 전통적 색상을 통한 영상미를 나타내고 있었다. TV 드라마에 사용된 타이틀의 배색은 주로 채도가 다소 낮은 색을 사용하였으며 색조의 변화와 색의 3속성에 통일감을 부여함으로써 전통적이면서도 현대적인 느낌을 부여하였다. 본 연구가 향후 TV방송타이틀 디자인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며 디자인에 있어 감성적 요구사항을 체계화하여 감성에서 디자인으로 연결되는 감성디자인 방법의 창출을 기대해 본다. In an emotional culture era after industrial era and IT era, images are the most popular and effective media as a product of industrial era. With viewer-oriented media and era spreading around the world, developing image media considering emotional factors is absolutely required. 'sensitivity' refers to emotion and experience dominated by sense and perception, or power accepting impression. Researches on sensitivity originated from interests in human being's interior are wildly applied to marketing, psychology and design. The idea of applying emotional factors to image media continues to be suggested, but systematic framework for introducing sensitivity to image media is not strong. Therefore,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analyze human being's color sensitivity and suggest fundamental direction of developing broadcasting titles to meet viewers' sensitivity. In addition, based on sensitivity engineering, reference investigation and previous theses, this research aims to establish accurate concept of color sensitivity system. To this end, correlation analysis of TV drama titles' colors was conducted. The analysis was restricted to Korean historical dramas. Among dram titles broadcasted in three broadcasting stations(MBC, KBS, SBS) from 2006 to 2009, some drama titles using appropriate color sensitivity to improv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drawing viewers' sensitivity response were selected for this research.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Adjective images based on color arrangement of historical dram titles are located in elegant, classical and traditional position of image scale. ‘Elegant’ is expressed with contrast of high brightness and low color saturation, and ‘classical’ is expressed with similar color contrast of low brightness and high color saturation. Contrast of similar colors is stable with tone harmony and expresses images with traditional colors of low color saturation and simple color tone. TV drama titles mainly use low color saturation and unifies changes of color tones and three attributes of colors, expressing traditional yet modern images. Hoping that this research can be used as fundamental data for future TV title design, I expect that requirements for sensitivity are systemized for design and sensitivity design connecting sensitivity with design is improved.
체험활동 중심 장애이해교육이 비장애학생의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
황현주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이 연구는 체험활동 중심 장애이해교육이 비장애학생의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연구로써,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체험활동 중심 장애이해교육이 비장애학생의 통합교육 태도, 장애인의 능력 인식, 행동의도, 학급동료 인식 기대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이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체험활동 중심 장애이해교육은 비장애학생의 통합교육 태도를 향상시키는 데에 효과적이다. 둘째, 체험활동 중심 장애이해교육은 비장애학생의 장애인의 능력 인식을 향상시키는 데에 효과적이다. 셋째, 체험활동 중심 장애이해교육은 비장애학생의 행동의도를 향상시키는 데에 효과적이다. 넷째, 체험활동 중심 장애이해교육은 비장애학생의 학급동료 인식 기대를 향상시키는 데에 효과적이다.
사이코사이버네틱 미술치료 모델에 근거한 집단미술심리치료가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대인관계 및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
황현주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이코사이버네틱 미술치료 모델에 근거한 집단미술심리치료가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대인관계 및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미술심리치료적 개입이 대학생들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 데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울 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1, 2학년 여대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39명으로 연구를 시작하였으나, 실험집단에서 1명, 통제집단에서 8명이 제외되어 최종적으로 30명의 데이터가 연구에 활용되었다. 실험집단에 15명, 통제집단에 15명이 배정되었으며, 실험집단에는 2015년 9월부터 11월까지 8주간 주 2회 총 16회기의 사이코사이버네틱 미술치료 모델에 근거한 집단미술심리치료를 실시하였다. 집단미술심리치료는 Nucho(2003)의 사이코사이버네틱 미술치료 모델에 근거하여 4단계의 구조화된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실험집단의 연구 대상자들은 매 회기 스스로 자유롭게 주제를 선택하거나 이전의 작업을 연속하여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기결정력이 증진될 수 있도록 하고 자기 자신을 탐색하고 표현하고 통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집단미술심리치료 실시 전과 실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에게 한국형 자아정체감 검사, 대인관계 검사(Relationship Change Scale: RCS), 자기표현 검사(Assertive Behavior Assessment Scale: ABAS)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첫째, 사이코사이버네틱 미술치료 모델에 근거한 집단미술심리치료 실시 후 대학생의 자아정체감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사이코사이버네틱 미술치료 모델에 근거한 집단미술심리치료 실시 후 대학생의 대인관계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셋째, 사이코사이버네틱 미술치료 모델에 근거한 집단미술심리치료 실시 후 대학생의 자기표현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실험집단의 자아정체감, 대인관계 및 자기표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아진 반면, 통제집단의 자아정체감, 대인관계 및 자기표현 점수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사이코사이버네틱 미술치료 모델에 근거한 집단미술심리치료가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대인관계 및 자기표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사이코사이버네틱 미술치료 모델에 근거한 집단미술심리치료를 통해 대학생들이 정상적인 심리사회적 발달단계를 성실히 이행할 수 있도록 돕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해 제안을 논의하는 바이다. 주요어: 사이코사이버네틱 미술치료 모델, 집단미술심리치료, 대학생, 자아정체감, 대인관계, 자기표현
Abstract A Study on Mother's Attachment to her Infant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orean Maternal Attachment Inventory _ Hwang, Hyun Joo Dept. of Home Economics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Korean mother's Attachment Inventory (KMAI). The subjects were 417 mothers located in Seoul and the surrounding metropolitan area. The KMAI items were identified from the traditional literature and interview of Korean mothers.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s, two-way ANOVA, explanatory factor analyses, and a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KMAI developed through this research may be regarded as a scale that appropriately measures the modern Korean mother attachment to her infant. The KMAI demonstrated evidence of validity through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other indicators of the MBRI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and the MAI (Maternal Attachment Inventory). Second, the factor that best represented the KMAI was 「positive emotions」. A lot of sacrifice and difficulties accompany with the bringing up of an infant. However, the joy that mothers feel toward their infants allows them not to consider fatigue and these hardships as sacrifices. In other words 「positive emotions」 turned out to be the factor that best represents the attachment of Korean mothers to their infants. Factors other than this primary「positive emotions」that represented the mother's attachment to her infant were「seeking contact」, 「self-sacrificing generosity(warm care)」,「proximity-keeping behaviour(separation anxiety)」, 「protection」,「unity(bonding)」,「detachment」, and「expectation」. Third, two of the factors that constitute the KMAI,「self-sacrificing generosity(warm care)」 and「expectations」, did not appear in research or scales of the western society. Thus it may be proposed that the attachment of the Korean mother was not the same concept as the attachment concepts derived from the western attachment scales. Fourth,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infant's gender in the mother's attachment to the infan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between the age groups, either. Fifth, the analysis showed that a mother's attachment to her infant was related to the attachment security that the mother herself had with her own mother. The「self-sacrificing generosity(warm care)」 and 「positive emotions」 were discovered to be factors especially deeply related with the attachment security that the mother formed with her own mother during infanc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at though it derived from the research on the attachment of the child towards his/her main caregiver, it focused on the attachment of the mother's side, which had been neglected until now. It is true that attachment is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as a pan cultural and universal emotional unity formed on top of a biological basis. However it is implied in this research that biological universality and cultural individuality exist together within the factors that constitute attachment. That is to say that attachment is a biological trait inherent in all of mankind, but the specific expressions of such attachment show some differences among different cultures, due to the cultural differences related to child rearing practices. This is because the values that each culture endows attachment, or the concept of what ideal attachment is, differ.
연예인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TSL®-CEL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 의생명사회과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황현주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8 국내박사
This study aims to develop TSL-CEL(Thank, Sorry, Love–Celebrity) program for promoting mental health of celebrity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For this purpose, the study used TSL-CEL program to modify and supplement the previous TSL family program, the results after application are verified with Biomedical-Social-Scientific perspective method. To ensure a ethical research standard, this study was conducted after obtaining research approval from YUIRB(Yonsei University Institutional Review Board), in March 2017. The research process is aimed at about 90 celebrities who engage in celebrity activities to explain the purpose and intent of research. Ultimately, total targeting voluntary participants of 60 celebrities, the experiment group(n=5), the comparison groups(n=5) and the control group(n=5) during the first program, the experiment group(n=10), the comparison groups(n=10), the control group(n=10) during the second program, and the experiment group(n=5), the comparison groups(n=5), the control group(n=5) during the third program were utilized in the analysis. The experiment group participated in TSL-CEL program comprised of 10 sessions, and the comparison group participated in 10 sessions of a different program for reinforcing capabilities for entertainment activities and empathy code. There was no additional intervention in the case of the control group. The measurements were conducted for 3 times(pre-intervention, post-intervention and follow-up) on depression, stress, suicidal ideation, emotional labour, differentiation of self related to interpersonal skills, which are social scientific variables. and cortisol level which is biomedical scientific variable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verified using ANCOVA(Analysis of Covariance), paired samples t test.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SL-CEL program intervention for celebrity decreased participants’ depression, stress, suicidal ideation, emotional labour, and self-differentiation of experiment group participants. Second, it showed that TSL-CEL program decreased their cortisol level which is the index for physical stress. It prove the effect of stress reduction by TSL-CEL program intervention. Third, the result of paired samples t test o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TSL-CEL program intervention was effective in promoting differentiation of self and relieving depression, stress, suicidal ideation, emotional labour.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individual cases of participation in the experiment group, the celebrities who participated more actively and sincerely in the TSL-CEL program were more likely to improve self-differentiation and change positively in depression, stress, suicidal ideation, and emotional labour.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SL-CEL program is considered effective as a comprehensive and customizable intervention program to help the celebrity's mental health. As this TSL-CEL program embraces the overall aspect of life and ultimately enhances the positive perspective, it is believed that it is possible for celebrity agencies to introduce themselves as a celebrity education program in the long-term. Second, TSL-CEL program intervention for celebrities showed that it significantly decreased their cortisol level which is the physical stress index. This proves that TSL-CEL program has the effectiveness for reducing stress. Third, unlike previous social welfare studies, by adopting biomedical scientific measurements beyond social scientific method, the study secured higher levels of objective and scientific character in measuring effectiveness of programs related to celebrity. By increasing the validity of program effectiveness test through improvement of the level of objectivity, which was difficult to guarantee solely by social scientific measures, the study also contributed strengthening the responsibility for practical interventions in the area of social welfare. Fourth, unlike previous TSL program based research, by repeating the TSL-CEL program over third phases, the study has far more improved the reliability of the effectiveness measurements.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n empirical basis for applying an intervention program for celebrities. Based on the findings, it is possible to consider expanding the TSL-CEL program to solve the diverse and complex mental health problems experienced by celebrities in their field of life. The study suggested further follow-up studies based on these findings and implica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연예인의 정신건강의 문제를 탐색하고 이를 토대로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기존 TSL 가족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한 TSL-CEL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적용 이후 나타나는 결과를 사회과학적 방법과 의생명과학적 방법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윤리를 확보하기 위해 2017년 3월 연구자가 소속되어 있는 연세대학교 생명윤리심의위원회(YUIRB: Yonsei University Institutional Review Board)로부터 연구승인을 받은 후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수행 과정은 연예활동에 종사하는 연예인들을 대상으로 약 90명에게 연구의 목적과 취지 등을 설명하였다. 자발적 참여자를 대상으로 최종적으로 1차 실험집단, 비교집단, 통제집단에 각각 5명, 2차 실험집단, 비교집단, 통제집단에 각각 10명, 3차 실험집단, 비교집단, 통제집단 각각 5명으로 총 60명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실험집단에는 10회기로 구성된 TSL-CEL 프로그램을, 비교집단에는 10회기의 연예활동 역량강화 및 공감코드강화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의 경우 추가적 개입을 실시하지 않았다. 조사는 사전, 사후, 추후 3회로 이루어졌으며, 사회과학적 접근으로 우울, 스트레스, 자살생각, 감정노동, 자기분화를, 의생명과학적 접근으로 cortisol을 측정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공분산분석(ANCOVA: Analysis of Covariance), 대응표본 t 검증 방법을 통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예인의 정신건강을 위한 TSL-CEL 프로그램 개입이 실험집단 참여자의 사회과학적 측정으로 우울, 스트레스, 자살생각, 감정노동 등을 감소시키고 정서적 융합, 타인과 융합의 균형조절 등 대인관계와 관련된 자기분화 능력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TSL-CEL 프로그램이 의생명과학적 측정으로 신체적인 스트레스의 지표인 cortisol 수치를 감소시켜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셋째, TSL-CEL 프로그램으로 개입한 실험집단에 대해 대응표본 t 검증을 실시한 결과, 우울, 스트레스, 자살생각, 감정노동, cortisol 개선과 자기분화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실험집단 참여자의 개별사례를 분석한 결과, TSL-CEL 프로그램에 진심으로 적극적으로 참여한 연예인일수록 자기분화 수준이 보다 향상되고, 우울, 스트레스, 자살생각, 감정노동, cortisol도 보다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TSL-CEL 프로그램은 연예인의 정신건강을 도울 수 있는 종합적인 맞춤형 개입 프로그램으로 효과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TSL-CEL 프로그램은 삶의 전반적인 영역을 포괄하고 궁극적으로 긍정적 관점을 강화할 수 있어 연예인 유관기관에서 장기적으로 연예인 정신증진 프로그램으로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둘째, 연예인을 위한 TSL-CEL 프로그램 개입은 참여자의 신체적 스트레스 지표인 cortisol 수치를 유의미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TSL-CEL 프로그램이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입증한다. 셋째, 기존 사회복지연구에서와 달리, 사회과학적 측정 이외에 의생명과학적 측정을 도입함으로써 연예인과 관련한 프로그램의 효과성 측정에 보다 높은 수준의 객관성과 과학성을 확보하였다. 사회과학적 측정만으로 담보하기 어려웠던 객관성의 수준을 향상시켜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에 대한 타당도를 높임으로써 사회복지영역의 실천적 개입의 책임성을 강화하는데도 기여하였다. 넷째, 본 연구는 기존 TSL 프로그램 기반 연구와 달리 TSL-CEL 프로그램 개입을 1, 2, 3차 시기에 걸쳐 그 결과의 측정을 반복함으로써 프로그램 효과성 측정에 대한 신뢰성의 수준을 한층 더 향상시켰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연예인에 대한 개입 프로그램의 적용에 실증적 근거가 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연예인들이 삶의 현장에서 경험하거나 경험했던 다양하고 복잡한 정신건강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TSL-CEL 프로그램을 확대하여 적용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와 연구의의를 토대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황현주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박테리오신은 여러 종의 미생물이 생산하는 천연의 항균성 단백질로서 열과 산에 안정성이 높아 사회적인 관심이 증가하고 연구가 확대되고 있다. 박테리오신의 경우 유전자분석 및 조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분자적 변이를 통하여 특성이 더욱 우수한 박테리오신을 합성할 수 있다. 또한 박테리오신은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어 인체에 섭취되는 즉시 분해됨으로써 인체에 무독성이고 잔류성이 없기 때문에 새로운 생물학적 보존제(biopreservative)내지는 발효식품의 생물제어제(bioregulator)로 그 효용이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김치로부터 bacteriocin 활성을 갖는 야생형 유산 균주를 분리 동정 하였으며 그의 항균 활성 능력, 생성 조건, 특성을 조사 하였다. Bacteriocin 활성을 나타내는 야생형 유산균을 분리 동정하기 위하여 김치에서 유산균을 분리하였으며 여러 그람 양성과 음성 지시균주에 대한 용균 활성을 agar spot assay, agar well diffusion, turbidometric assy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분리균주는 혐기적 조건에서 호기적 조건에 비해 좀 더 빠른 생육과 박테리오신 역가가 생성됨을 알 수 있었고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의 열처리 안정성을 조사한 결과 100℃에서 20분간 열처리 후에도 역가가 그대로 잔존하여 상당한 열안정성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pH2에서 pH10 범위내의 산도 변화에서도 역가가 대체로 일정하여 pH안정성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proteinase K, trypsin, pepsin, a-amylase, lipase의 효소반응에 대하여 각기 다른 반응을 보여 이러한 결과를 통해 박테리오신의 화학적 성질은 유사할지라도 구조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분리균주의 형태학적, 생화학적 특성 조사와 최종적으로 PCR로 증폭하여 얻은 16S rDNA 염기서열 결정을 통해서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brevis, Lactococcus lactis ssp lactis, Lactobacillus sakei등으로 동정 되었다. Bacteriocins are small peptides (3~7 kDa), with antimicrobial activity, that are produced by bacteria. Several classes of bacteriocin have been described, with most interests focussing on the class I and the class II, the small, heat stable peptides. Due to the antimicrobial nature, these peptides, have potential for use as the alternatives for antibiotics and food preserving agents. A total of 100 strains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when grown on solid media, yet only 15 strains produced inhibition zones when the cell free supernatant of these strains were checked with the well diffusion assay.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bacteriocin was studied against various bacteria including some pathogenic food spoilage microorganisms; L. monocytogenes, S. enteritidis, and E. coli. The antimicrobial activity was especially strong against and Escherichia coli ATCC 10536. The bacteriocin activity remained stable between pH 2.0 and pH 10.0 and during heating for 20min at 100℃. The bacteriocin activity decreased by proteinase K, trypsin, pepsin, and a-amylase. However lipase did not affect the bacteriocin activity. The fifteen strains were identified as Lactobacillus brevis, Lactobacillus plantarum, and Lactococcus lactis ssp lactis by using API 50 CHL Kit. Also, the sequence of its 16S rDNA was analysed too. As a result, the sequence showed 99% homology with those from Lactobacillus brevis, Lactobacillus plantarum, and Lactobacillus sake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