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Bookinship을 통한 내용중심 교수법이 교육 복지투자 연계학교 아동에 미치는 영향 - 6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

        황한주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내용중심 교수법을 중심으로 교육 복지투자 연계학교 6학년 학생들에게 과학교과에서 영어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내용을 다양한 영어 읽기 자료와 내용중심 교수법 수업 적용하였을 때, 학습자들의 인지적 영역 변화를 살펴보고, 학습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학습자들의 참여도와 흥미도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내용중심 교수법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고 부산광역시 교육청의 Science English 교재를 본교 학생의 특성에 맞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으며, 학년별 지도 단원과 관련된 다양한 영어 읽기 자료를 선정하여 이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 소재 교육 복지투자 우선지역의 소규모 학교의 6학년 학생 35명이며, 연구 기간은 2011년 1월부터 2011년 11월까지이고, 측정도구는 연구대상의 정의적 영역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사전, 사후 설문지, 연구 기간동안 관찰한 내용을 기술한 자료(관찰일지)와 주요 학생의 구조적 면담자료(면담 질문지), 학생의 인지적 변화를 측정할 TOSEL평가지를 활용하였다. 사후 검사는 마지막 수업이 끝난 후 사후 설문결과와 인터뷰, 관찰일지, 그리고 TOSEL평가지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이 소규모인 관계로 모든 자료는 기술 통계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Bookinship 내용중심 영어교수법은 교육력 제고 학교 아동들의 영어수업에 대한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준 반면 주의력에서는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즉, 학생들로 하여금 영어 수업에 대한 높은 만족감을 바탕으로 영어를 예전보다 잘하게 되었다는 자신감을 가지게 하였지만 영어학습에 부담감을 주어 영어 수업에 대한 주의력을 향상시키는 못하였다. 둘째, Bookinship 내용중심 영어교수법은 교육력 제고 학교 아동들의 영어실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는 Bookinship 내용중심 영어교수법 적용을 통해 학생들에게 지속적인 영어 노출의 기회를 제공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와 같은 EFL환경에서, 특히 환경이 열약한 교육 복지투자 연계학교의 학습자들에게 영어 노출기회를 확대하여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시사점이라고 할 수 있다.

      • 자기통제훈련이 온라인게임중독관련 증상에 미치는 효과

        황한주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자기 통제 훈련 프로그램이 온라인 게임 중독자들의 게임 중독 수준, 공격성, 충동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전북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교에 재학중인 대학생 및 일반인들에게 게임 중독, 공격성, 충동성 척도를 실시하여, 게임 중독 점수가 72점 이상이며, 게임 시간이 하루에 2시간 30분 이상인 사람들을 선별하였다. 21명의 피험자들이 본 연구에 참가하였으며, 10명은 10회기의 자기 통제 훈련 치료 집단으로, 11명은 대기 집단으로 할당 되었다. 자기 통제 훈련은 10회기로 실시되었다. 게임 중독, 공격성, 충동성 수준은 사전 검사, 사후 검사 및 1개월 추적 검사 기간에 평가 하였다. 게임중독 점수에서 집단 간의 차이가 있었으며[F(1, 19) = 12.293. p < 0.01], 검사 시기에 대한 효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F(2, 38) = 13.954, p < 0.001], 검사 시기와 집단 간 상호작용의 효과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2, 38) = 9.288, p < 0.01]. 따라서 자기 통제 훈련 치료집단(치료군)과 대기통제집단(대조군)에서 시기별로 게임 중독 수준이 다름을 알 수 있다. 치료군은 검사 시기에 따른 게임중독 수준에서 점수의 유의한 변화가 있는 반면에, 대조군은 사전에 비해 사후에 게임 중독 수준이 차이가 없었다.. 치료군과 대조군의 공격성 수준은 검사 시기 효과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F(2, 38) = 3.761, p < 0.05], 집단 간 차이 및 검사 시기 및 집단 간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공격성 수준은 검사 직후의 효과는 감소하였다[F(2, 38) = 3.761, p < 0.05]. 하지만 집단 간 차이가 뚜렷하지 않으며 검사 시기 및 집단 간 상호작용 효과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자기 통제 훈련 프로그램이 공격성 수준의 감소에 효과가 있는지는 명확하게 설명할 수 없었다. 충동성 점수에서 집단간의 차이가 있었으며[F(1, 19) = 9.033, p < 0.01], 검사 시기에 대한 효과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F(2, 38) = 9.156, p < 0.01], 검사시기와 집단 간 상호작용의 효과도 유의하게 차이를 보였다[F(2, 38) = 5.201, p < 0.05] 따라서 치료군과 대조군에서의 시기별로 충동성 수준이 다름을 알 수 있다. 결국 자기 통제 훈련 치료집단은 대조군보다 충동성 수준이 사전보다 사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치료 효과가 1개월 추적 검사에서도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쉽게도 본 연구는 진행하면서 다음과 같은 문제를 노출하였다. 연구자의 영향을 배제하기 어려웠고 참가자들이 일부를 대상으로 이루어졌고 때문에 모든 성인들에 대해서 일반화 하는데 무리가 있었다. 또한 참가자들은 장기간의 조사 기간을 요구하는 조사라 처음에는 열성적인 태도를 보였으나 불성실한 태도나 개인적인 사정으로 중도 포기를 한 참가자들이 나타났고 개인적으로 거리나 시간상 문제로 인한 어려움을 겪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겪으면서 이번과 같은 연구는 장기간의 연구 조사를 요구하기 때문에 참가자들과 연구자의 유대적 관계가 필수라는 점을 인식했고 다음에 같은 연구를 진행 시 해당 분야에 대한 공부와 참가자들의 보다 적극적 참여를 유도해야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향후 유사 문제로 논문을 작성 시 위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한 새로운 논문이 나오길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