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온성 액체 전해질을 이용한 그래핀-리튬 황 전지 특성 연구

        황지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87

        이 논문에서는 PPV-MoS2라는 물질을 양극재로 이용한 리튬 황 전지의 전해질에 이온성 액체를 용매와 일정 비율로 섞었을 때의 배터리 성능이 어떻게 변하는지 관찰했다. 현대 사회에서는 기존의 화석연료 고갈과 지속적인 에너지 사용량 증가로 인해 여러가지의 이차전지 분야가 연구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리튬 이온 배터리가 우수한 성능으로 인해 가장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리튬 이온 배터리 같은 경우에는 이론적인 용량에 한계가 있어서 고용량의 이차전지를 만드는 것에 한계가 있어서 이론적인 용량이 높고, 황의 저렴한 가격, 가벼운 무게 등 상용화하기에 여러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는 리튬 황 전지의 연구가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리튬 황 전지란 황을 양극재로 쓰고 리튬 금속을 음극재로 쓰며, 양극재와 음극재 사이에 산화, 환원 반응이 일어나면서 에너지가 생성되게 되는 배터리를 말한다. 리튬 황 전지에서 황은 여러가지 형태의 동원소의 형태로 존재하게 되는데 가장 흔한 형태의 황은 Cyclo-octasulfur (cyclo-S8) 이라는 형태로 존재하며 방전될 때에는 음극재인 리튬 금속이 산화되어 리튬이온으로 변하게 되고 양극재인 황 물질이 점차적으로 환원되면서 폴리 설파이드(Li2S2, Li2S4, Li2S6, Li2S8.)가 생성되고 최후에는 Li2S로 완전히 환원되게 된다. 충전이 될 때에는 리튬이온이 리튬으로 환원되고 낮은 차수의 폴리 설파이드가 높은 차수의 폴리 설파이드로, 그리고 최종적으로 원소 형태의 황으로 산화되게 된다. 리튬 황 전지가 차세대 신재생 에너지로 각광받는 이유는, 양극재로 쓰이는 황이 무게가 가볍고 저렴한 가격으로 인하여 상용화하기에 용이하며 이론적으로 리튬 이온 배터리보다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용화하기에 넘어야 하는 단점들도 존재하는데, 황의 높은 저항 값으로 인해 형성되는 낮은 전도도, poor cycling efficiency, short life cycle, high self-discharge rate, shuttle mechanism이다. Shuttle mechanism이란 리튬 황 전지가 지속적으로 충. 방전되면서 양극재 물질이 녹아 나와 리튬 황 전지의 용량을 줄어들게 하는 문제점을 말한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 더 성능이 좋은 리튬 황 전지를 만들기 위해 shuttling mechanism에 가장 영향을 끼치는 부분 중의 하나인 전해액 관련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여러 가지 연구되고 있는 전해액 분야 중에 이온성 액체가 있는데, 이온성 액체는 상온에서 액체상태의 염으로 존재하는 물질로 유기 양이온과 무기 음이온으로 구성된다. 이온성 액체는 낮은 난연성, 낮은 휘발성, 높은 이온 전도도 그리고 높은 열정 안정성이라는 특성을 보여서 전해액에 이온성 액체를 섞을 경우 폴리설파이드가 전해액에 녹는 양이 줄어들어, shuttle mechanism이 일어나는 것을 막아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이 논문 에서는 두 가지 종류의 이온성 액체들을 (Reliance사의 이온성 액체, 1-Hexyl-3-methylimidazolium bromide((Ionic liquid H)) 용매(EC:DMC=1:1, 1,3-Dioxolane)들과 여러가지 비율(2:8, 4:6)으로 섞은 전해액을 사용하여 Graphene-MoS2 리튬 황 전지의 성능을 비용량, cyclic voltammetry, 임피던스 등을 측정해 이온성 액체를 넣지 않은 전해액을 사용한 Graphene-MoS2 리튬 황 전지와 비교해보았다. 측정결과 Reliance사의 이온성 액체와 1,3-Dioxolane을 2:8의 비율로 섞은 전해질을 사용했을 때 가장 높은 비용량 값을 (~400mAh/g) 유지하면서 오랫동안 충. 방전 되는 것을(300 사이클) 관찰했고 계속 충. 방전이 되면서 비용량이 급격하게 감소하지 않고 일정한 비율로 감소하는 형태를 보여 높은 안정성을 가지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이온성 액체를 넣은 Graphene-MoS2 리튬 황 전지의 Cyclic voltammetry 그래프를 관찰했을 때도 형성되는 폴리 설파이드의 양이 적어서 shuttle mechanism이 덜 일어나게 끔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 수 있다. 이는 리튬 황 전지의 전해질에 이온성 액체를 섞음으로써 shuttle mechanism, stability등 여러가지 단점들을 보완해주는 것을 알 수 있다.

      • 사회성 측정법과 SN(Social Network)을 적용한 사회성 측정 도구의 개발 및 분석에 관한 연구

        황지희 경희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As social being, human lives in a society influencing each other. At education fields, students get potential education establishing sociality not only through learning knowledge but also through indirectly learning social adaptation by way of communal living and relationship with their peer group. In addition, children live their lives creating relationship at schools. Recognizing that such friendship shows same aspect as that of social network, it reminds us of "relations diagram" as a sociometry measuring instrument. Social network is the sociological concept that grasps relationship between an individual, group and society as a network. In order to confirm whether students enter into mutual relations to maintain proper sociality or not, schools have used a method to measure sociality of students through a handwritten survey by the teacher in charge and a questionnaire methodology by a specialized institution. Such methods only provide fragmentary information because it grasps sociality level of individual student through analysis and then submits a document to the teacher in charge for one-time us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accurate diagram of student's relations within a group and to verify sociality level of individual students. The diagram can be completed using a program after information has been collected through a simple survey on which related students form at a school. If you use this program, you can understand at a glance that students with good sociality form lots of relationship while students without good sociality have a problem in formation of relationship. If a teacher distinguishes students with good sociality (popular children) from students those who less sociality (unpopular children) and he (or she) organizes lessons after having reflected it on class management as well as cooperative learning and etc, students can be provided with opportunities to reestablish sociality. In addition, a teacher can early sort out and manage such children who are excluded due to lack of sociality and then, he (or she)will be able to provide quick solutions to students who need help. Studies with respect to relationship between socia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have been reported in various fields and we are able to understand that sociality of students may give influence on school grades and therefore, it is also important to make efforts to attain and improve sociality. A teacher easily distinguishes unpopular children from popular children through this program and so, he (or she) can obtain data without spending extra expenses and time. Research method is as follows; the teacher in charge obtains information through a survey to make a student write down names of intimate friends limitlessly; he (or she) inputs such information into a program. Then, the survey is conducted as below; students with large number of selections (more than 3 persons) are deemed as popular children (high sociality) while students who only selected others instead of being selected are deemed as unpopular children (low sociality). It can be said that the more selections there are between both parties, the closer their relationship is. Experiment was proceeded on 3rd grade students of primary school in Suwon and 4 classes were randomly selected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of students. Number of each class was 32 students and the formation of a diagram for their relationship could be verified through a survey and input of survey data into a program. Research results could be achieved through a survey conducted on respective teachers in charge who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with respect to the change in academic achievement and sociality when they had planned a class after having judged and reflected sociality of student's through a relationship diagram of students or otherwise to the contrary. Implications given by this study are such that experimental results through sociality of a child and relationship diagram are accurate enough to be applied in actual classes. Sociality of a child is very important data for a teacher to plan lessons and to guide students and the teacher can plan a class to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and sociality of a student if the teacher reflects the survey result of relation diagram. Furthermore, it is possible for a teacher to measure at any time he (or she) wants and it is also possible to measure long-term change of a student through data programming instead of fragmentary record only. In other words, we can anticipate an effect to prevent social problems including suicide, bullying and antisocial behavior earlier by sorting out unpopular children and continuously managing them. This study expects that the "program of student relation diagram", a sociometry measuring instrument, is actually utilized by a teacher to guide students and lessons so that it will help improvement and management of student sociality. 인간은 사회적 존재로서 사회 속에서 상호 영향을 미치며 살아간다. 교육의 현장에서 학생들은 지식을 습득하는 것 뿐 아니라 집단생활과 또래와의 관계를 통해 사회 적응에 대하여 간접적으로 학습하는 등 사회성을 확립하는 잠재적 교육을 받게 된다. 또한 아동들은 학교 내에서 인간관계를 맺으며 생활하게 되는데 그러한 교우관계의 형상이 사회연결망과 동일한 형상을 보인다는 것을 알고 여기에 착안하여 사회성 측정 도구로 “관계도”를 연상하게 되었다. 사회연결망(Social Network)이란 사회학에서 개인, 집단, 사회의 관계를 네트워크로 파악하는 개념이다. 학생들이 상호 관계를 맺고 적절한 사회성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기존의 학교에서는 학생들의 사회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담임교사의 수기에 의한 설문조사와 전문기관에 의뢰한 사회성 설문검사를 통해 검사하는 설문조사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조사는 분석을 통해 학생 개개인이 사회성의 높고 낮음을 파악하여 담당교사에게 1회적인 문서로 제공되기 때문에 단편적인 정보 제공에 그칠 수밖에 없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이 집단에서 맺고 있는 관계도를 파악하여 학생 개개인의 사회성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학생들이 학교에서 상호간에 어떤 관계를 형성하는지 간단한 설문조사를 통해 정보를 수집하고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관계도를 완성할 수 있다. 이 프로그램을 활용하면 사회성이 좋은 학생은 관계를 많이 형성하는 반면 그렇지 못한 학생은 관계 형성에 문제가 있음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 이렇듯 사회성이 좋은 학생(인기아동)과 그렇지 못한 학생(배척아동)을 변별하여 교사가 학급운영, 협동학습 등에 이를 반영하여 수업을 조직한다면 학생은 사회성을 재확립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교사는 사회성 부족으로 배척되는 아동을 조기에 선별하여 관리함으로서 도움이 필요한 학생에게 빠른 해결책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미 사회성과 학업성취도 간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가 여러 분야에서 보고되었고 이를 통해 학생의 사회성이 교과 성적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는 만큼 사회성 파악과 개선을 위한 노력 역시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교사는 배척아동과 인기아동을 쉽게 파악할 수 있고 교사가 필요한 경우 별도의 비용과 많은 시간투자 없이 데이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연구 방법은 담임교사가 학생에게 자신과 친하다고 생각되는 친구의 이름을 무한대로 쓰게 하는 설문조사를 통해 정보를 얻고 이를 프로그램에 입력하여 선택 받은 수가 많은 학생(3명이상)이 인기아동(사회성이 높음), 선택 받은 수가 없이 일방적으로 선택만 한 학생을 배척아동(사회성이 낮음)으로 기준 지었다. 쌍방의 선택이 많을 경우 서로의 관계를 긴밀하게 유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를 위해 수원 소재의 초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험하였으며 학생들의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4개 반을 임의 지정하였다. 각 반의 인원은 32명으로 설문조사와 이를 통한 데이터를 프로그램에 입력하여 학생들의 관계도 형성을 확인할 수 있다. 연구의 결과는 학생관계도 프로그램을 통해 학습자의 사회성을 판단하고 이를 반영하여 수업을 설계하였을 때와 그렇지 않았을 때 학습자의 학습 성취도 및 사회성의 변화를 실험에 참가한 각 담임교사에게 실시한 설문조사로 통계할 수 있었다. 이 연구가 주는 시사점은 실제 학급 내에서 아동의 사회성과 관계도를 통한 실험 결과가 유사하게 나타났다는 점이다. 아동의 사회성이 교사가 수업을 설계하고 학생들을 지도하는데 있어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으며 관계도의 측정결과를 반영하면 학습자의 성취도 향상 및 사회성을 높이기 위한 수업을 설계할 수 있다. 또한 교사가 원할 때 언제든 측정이 가능하고 단편적인 기록으로 그치는 것이 아닌 프로그램으로 데이터화하여 학습자의 장기적인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즉 배척아동을 선별하여 계속적으로 관리함으로서 자살, 따돌림, 반사회적 성향 등의 사회문제를 조기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까지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사회성 측정 도구인 “학생관계도 프로그램”이 교사의 학생 및 학습지도에 실제로 활용되어 학생들의 사회성 향상과 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무용동작치료를 통한 양육시설 지적장애 아동의 자아개념 및 자기표현 향상에 관한 연구 : 지적장애 아동 대상 단일사례연구

        황지희 순천향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양육시설 안에서 지적장애 판정을 받은 아동을 연구대상으로 무용동작치료를 진행하여 자아개념과 자기표현 정도가 향상되었는가를 보고자 하였다.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양육시설 지적장애 아동에게 자아개념과 자기표현의 변화정도의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A시 소재 H양육시설에 입소한 지적장애 판정을 받은 초등학교 5학년 여학생이다. 무용동작치료 진행에 있어서 전체 25회기를 진행하였으며, 한 회기에서의 진행 시간은 60분이다.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은 양육시설의 지적장애 아동의 자아개념, 자기표현의 향상을 목표로 하여, 치료 초기에서는 치료사와 서로간의 라포를 형성해 신체 자아인식을 해나갔으며 치료 중기에서는 정서적, 사회적 자기탐색, 치료 후기에는 창의적 활동을 통한 자아개념, 자기표현 향상 단계로 진행을 하였다. 자아개념의 변화를 알아가기 위해 자아개념 척도지(정종진, 1996)를 통하여 사전․사후 점수변화 정도와 신체상 그리기에서 사전․사후 내용적 변화를 알아보았다. 자기표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 Samuels and Chaiklin의 동작관찰척도(Levy, 1988)를 활용하여 LMA(Laban Movement Analysis)요소 중 신체(Body), 에포트(Effort), 공간(Space)을 영상 분석 하였으며, 음성적 자기표현은 Rokos 와 Schroeder(1979)의 자기표현 평정척도를 우리의 문화적 배경에 맞게 재구성한 최명신(2000)의 자기표현 척도 중 음성적 척도 부분만으로 관찰지를 만들어 영상분석을 하였다. 각각에 1-5점까지 점수화를 하였고 객관성을 위하여 연구자 외 1명의 무용동작치료 전문가(Academy Registrated Dance Therapist)와 2명의 무용동작치료사(Registrated Dance Therapist)가 동시적으로 영상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른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한 양육시설 지적장애 아동의 자아개념을 사전․사후 척도 점수를 비교해본 결과 학업적, 정서적 자아개념이 향상되었음이 나타났다. 학업적 자아개념의 사전 점수는 26점 이었으나, 사후에는 31점으로 5점이 향상되었으며, 정서적 자아개념은 사전 39점에서 50점으로 11점이 향상되었다. 이는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자연스럽게 나오는 작은 움직임의 수용과 확장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게 하여 아동의 욕구만족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틀을 배제하고 아동의 표현성에 중점을 두었으므로 아동은 자신이 기준이 되는 자기표현을 할 수 있었다. 항상 자신이 하지 못한다는 학습된 무기력에서 벗어나 현실에서 나의 모습에 대하여 알아볼 수 있도록 하였으며 자신의 존재감을 인식하고 평소 억제되어 있던 전능함을 발휘하여 스스로 긍정적인 생각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사회적, 신체적 자아개념의 점수에서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은 이유는 회기가 계속적으로 진행이 되었지만 학교 안에서의 또래 관계적인 부분이 아동이 원하는 만큼 개선이 되지 않아 현실적으로 친구들을 많이 사귀지 못하였다는 부분과 아동이 또래 아이들에 비하여 왜소하고, 활동적인 운동에 소질이 없어 다른 아이들에 비하여 차이가 나타남으로 인한 영향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한 양육시설 지적장애 아동의 신체상 그리기의 내용적인 면을 비교해본 결과 자아개념이 향상되었다. 초기에는 내용적인 면의 질문을 하였을 때 반복적으로 “몰라요”, “없어요”라고 대답하여 심리상태를 알 수 없었다. 하지만 사후 신체상 그리기에서는 전체적인 신체상의 크기가 사전보다 커지고, 여성스러운 그림을 그렸으며, 잘 하는 활동으로는 “우크렐레, 바이올린, 하모니카, 오카리나, 리코더”라고 하였다. 친구는 세 명이고, 제일 친한 친구는 모른다고 대답하였지만 그들과 같이 “춤추고 있어요.”라고 하였다. 신체 자아개념과 관련된 질문에서는 “몰라요”, “없어요”로 대답하고 스스로가 “키가 더 커야 돼요.”라고 하였다. 그 중 그래도 자신이 힘이 세지만 “지금도 괜찮아요.”라는 표현을 하였고 스스로에 대하여 “웃는 것, 화내는 것”을 잘 하지만 “좋은 사람”이라고 이야기를 하였다. 이처럼 아동은 자아개념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셋째,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한 양육시설 지적장애 아동의 음성표현을 비교해본 결과 자기표현정도가 향상되었다. 초기에는 아동이 단호하게 말하지 못함, 중얼거림, 자신감이 없음, 중간에 말이 끊기거나 주저하는 등의 모습이 자주 보여 높은 평균 점수(3.82)를 보였지만, 중기(1.92), 후기1(1,71)로 진행이 되면서 아동의 음성표현의 척도 점수가 줄어들어 표현정도가 늘어났다. 다만 후기2(1.82)에서는 종결로 인하여 아동의 음성표현이 다시 줄긴 하였지만 초기에 비해서는 낮은 평균점수를 기록해 자기표현성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음을 알 수 있다. 넷째,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한 양육시설 지적장애 아동의 영상분석에서 움직임 질을 분석하였을 때, 자기표현정도가 향상되었다. 초기에는 신체(Body)의 에너지 수준, 표현능력, 자발성, 상호작용이 낮고, 신체 중심(Core)이 무너져 바닥으로 가라앉거나, 낮은 레벨의 움직임을 많이 사용하였다. 그리고 움직임에서 에포트(Effort)적인 요소를 잘 찾아볼 수 없고 치료사에게 집중을 하지 못하는 간접적인(Indirect) 부분이 강하였다면, 점점 회기를 진행하면서 에너지수준, 표현능력, 자발성, 상호작용이 높아졌다. 그리고 신체 중심(Core)에 힘이 느껴지거나 다양한 에포트(Effort)와 공간(Space)을 사용하여 움직임의 표현이 가능해졌다. 또한 종결에 대한 이야기를 들으면서 다시 바닥에 의지하는 퇴행적인 움직임이 나오긴 하였지만, 본 활동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다양한 움직임을 표현하는 아동을 볼 수 있었다. 다섯째,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한 양육시설 지적장애 아동의 보육사 면담 보고서를 보았을 때 아동의 생활에서의 자기표현성이 향상되었다. 초기 아동은 자신의 의사표현을 잘 하지 못하고, 주눅 들어 보이거나 활동성이 낮았다. 처음에는 아동의 의사정도를 볼 수 있는 부분이 신체적으로 소극적인 모습뿐이었지만, 회기가 진행되면서 다른 아동들에게 소리를 지르거나 깨물기, 그리고 담당 보육사를 째려보는 등의 공격적인 행동을 보였다. 후기가 되면서 아동은 야외활동이 늘어나면서 여러 상황에서 딱딱하게 굳어있던 모습이 탄력적으로 부드러워진 부분이 보였다. 또한 공격적인 언행이 줄어들어 언어적으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는 방식이 발달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종합하여, 무용동작치료가 양육시설 지적장애 아동의 자아개념, 자기표현정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연관성을 밝혔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양육시설 아동에게 무용동작치료로 접근한 연구로써 그 변화정도를 증명해낸 것에 의의가 있으며, 이와 같은 연구를 토대로 이 후 양육시설의 지적장애 아동의 그룹을 대상으로 장기간 무용동작치료프로그램의 개발과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지지면 좋을 것으로 보여 지는 바이다.

      • 생명과 종의 기원에 관한 합리적인 수업모형 연구 : 중학교 3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황지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resent educational course of our country regards evolution as the only scientifically reasonable hypothesis as to how life and the various species of animals originated. However, evolution is still a controversial topic and many scientists disagree with unscientific elements in evolutionary theory. Accordingly, this study analyses the problems of evolution and proposes a more reasonable class model derived from surveying middle school students' opinions on evolutionary theory. The process of this study involves analyzing nine different, ninth-grade, science textbooks and the controversial topics surrounding evolution. It also involves a survey given to middle-school students at two schools in Seoul to determine what their opinion was. Finally, this study concludes with proposing an alternative class model that effectively teaches evolution while still addressing its controversy developed using a perspective of constructionism. The study concludes that: First, the science textbooks support evolutionary theory with evidence such as fossil, anatomy and genetics, but the lack of intermediate fossil, the discordance of homologous genes and flaw of law of recapitulation cast a problem on them. Second, the theories support evolution are limited and do not adequately explain macro-evolution; these theories include natural selection, isolation, modern synthesis and mutation. Third, from surveying middle-school students in Seoul, it appears that while students generally support the view of evolutionary theory, a large percentage(55.6%) of students are curious and eager to know the problems that cast doubt on evolution's legitimacy. In conclusion, this study presents a critical class model. This class model consists of six steps; Learning theory, Suggestion of problems, Discussion, Alternative research, Drawn conclusions, and Reflection.

      • 수학과 음악 통합 교수-학습 자료 개발

        황지희 전남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에게 수학 과목에 대한 흥미를 갖고 긍정적인 인식을 갖도록 통합 교육 이론을 토대로 수학 수업에 음악을 통합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음악 작곡에 이용된 수학적 원리들 중 네 가지를 선택하여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수학과 음악의 통합 교육 자료를 제시한다. Ⅱ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기초로 음악의 역사에서 나타나는 수학과 음악에 이용되는 수학적 원리를 분석해봄으로써 본 연구에서 개발한 수업자료에 적용되는 데 무리가 없음을 보여준다. Ⅲ장에서는 통합 교육의 개념과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고 수학과 음악의 통합교육의 목적을 설정한 후 구체적인 통합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통합 교수학습 자료는 네 가지 수학적 원리를 토대로 4차시로 지도안을 작성하였다. 수학과 음악의 통합 학습을 위해 개발한 교수-학습 자료들을 활용한 수업을 통해 음악에서 찾아볼 수 있는 수학적 이론을 깊이 이해하고 수학의 유용성을 인식하게 되며 나아가 학생들이 수학에 흥미를 느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습전략 및 학업성취의 관계

        황지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학습에 관련된 성취목표지향성의 특성을 분석하고,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습 전략 및 학업성취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 유형의 특성 파악, 두 번째 목적은 대학생의 학습전략 활용 수준의 특성 분석, 세 번째 목적은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습전략, 학업성취 간에 존재하는 관계에 대한 분석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첫째,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은 성, 학년, 전공, 성적평가 방식에 따라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중다목표지향성 유형별 집단 분포는 어떤 형태로 나타나는가?둘째, 대학생의 학습전략의 활용은 성, 학년, 전공, 성적평가 방식에 따라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가?셋째,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습전략, 학업성취의 관계는 어떠한가?연구대상은 서울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대학인 Y대학, K대학, E대학에 재학 중인 2~4학년 학생 469명이며, 연구방법으로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습전략, 학업성취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2.0K를 사용하여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고, 각 변인 점수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다변량분석(MANOVA) 및 사후검정분석,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이러한 절차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가 도출되었다.첫째,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은 성, 전공계열, 성적평가방식에 따라 차이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목표, 수행접근목표, 수행회피목표 각각의 수준에 따라 8가지 유형의 중다목표지향성 집단이 구분되었다. 이러한 중다목표지향성 집단에 따라서도 학업성취, 학습전략, 강의환경지각 수준에서 차이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둘째, 대학생의 학습전략은 성, 전공계열, 성적평가방식에 따라 차이를 가졌으며, 학습전략의 전반적인 활용 수준은 여학생, 사회계열, 절대평가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셋째, 성취목표지향성 중 학습목표와 수행접근목표가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으며, 학습전략 중에서는 초인지 전략이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취목표지향성의 하위변인 역시 학습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학습목표와 수행접근목표는 표층적, 심층적 전략 모두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수행회피목표는 학습전략에 대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이처럼 학습목표와 수행접근목표 및 초인지 전략이 모두 학업성취와 유의미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초인지 전략이 학습목표와 학업성취를 매개하는 효과를 갖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초인지 전략은 학습목표와 학업성취를 매개하지만 수행접근목표와 학업성취를 매개하는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첫째, 학습목표와 수행접근목표가 모두 높은 수준인 학습자들이 성취 상황에 긍정적으로 대처한다.둘째, 수행접근목표는 학업성취에 대해 직접적인 영향력을 갖는다. 학습목표는 적절한 학습전략을 통해 학업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수행접근목표는 적절한 학습전략이 수반되지 않더라도 대학생들의 학업성취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셋째, 전공 특성, 평가 방식 등의 성취상황 특성에 따라 성취목표와 학습전략이 특색있게 나타난다.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에서 요구되는 점을 논하였다.

      • 소설 『빈집』 분석을 통해 본 도박중독증상과 핵가족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보웬의 가족체계이론을 중심으로

        황지희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기독교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emplate the relations and conflicts a gambling addict and his family experience as depicted in a novel by Joo Young Kim, An Empty House, through the lenses of Bowen’s family therapy theory. Gambling addiction is a topic that gets a lot of attention as it results in personal dysfunction, social isolation, and economic loss which are linked to the increase in the crime rate. One of the most serious consequences of gambling is family conflict. Financial loss due to gambling addiction brings material difficulties and mental suffering to the family, so the issues of family disorganization and confusion needs to be closely examined. Therefore, this paper focuses on the dynamics and conflicts among a gambling addict’s family in An Empty House with a therapeutic approach. In An Empty House, difficulties in relations and the factors of conflicts that a gambling addict and his family experience are depicted in a specific and dramatic manner. The nuclear family depicted in this novel consists of a gambling addict father, an enraged mother, and a victimized daughter whose emotional system is quite unstable in general with chronic anxiety and conflicts. The husband and wife express their tension and conflicts by triangling in their daughter, and the unresolved anger and anxiety lead to physical and mental abuse towards the child. The child experiences loneliness and low self-awareness and later shows symptoms of dysfunction. Ultimately, each family member feels oneself as if “an empty house.” The conclusions from the analysis of An Empty House with the Bowenian approach of family therapy are as follows: 1) gambling addiction is not a personal issue but a matter of the entire family; 2) gambling addiction gives negative influences to the next generation; and 3) a family therapy approach is necessary in order to cure gambling addiction. This study expands from previous studies that limited the issue of gambling addiction to a personal matter and acknowledges the difficulties that a gambling addict’s family suffer, and thereby throws new lights on the grounds of gambling addiction and the ways to recover from it. Considering gambling addiction as an illness that affects the next generation provides new perspectives on a gambling addict’s family and the potential for a transition from a dysfunctional to a functional family.

      • 이러닝환경에서 인지된 유용성과 용이성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사이버대학생을 대상으로

        황지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평생학습시대 도래에 따른 성인학습자들의 학습동기 증가, 예상치 못한 코로나 19로 인해 온라인 학습 수요 증가는 더욱 가속화 되고 있다. 그간의 성인학습자의 학습참여는 주로 비형식적 교육을 통해 진행되어 오다가, 2016년 이후 정부 주도 하에 성인학습자의 고등교육의 참여 기회가 확대되었다. 성인학습자들 대부분은 온라인을 기반으로 한 이러닝 형태의 학습에 참여하고 있다. 이러닝은 시·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학습의 확장성과 유연성을 제공하여 성인학습자들의 학습 수행을 효과적으로 지원한다는 장점도 있지만, 오프라인 학습과 비교하여 학습 촉진 장치의 취약, 학습실재감 저하 등 긍정적인 학습효과를 내기 어렵다는 지적도 있다. 하지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꾸준한 성인학습자의 수요 증가와 코로나 19라는 예측하지 못한 상황들로 인해 이러닝 시장의 비약적인 확대는 피할 수 없는 현실로 받아들이게 되었다. 이에, 다수의 교육기관들이 점차 온라인 학습환경을 구축하고 확대해 가는 등 교육 패러다임의 전환이 진행되고 있다. 이 연구의 출발은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들이 ‘이러닝’이라는 특수한 학습환경을 어떻게 수용해야 높은 학습성과를 달성할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서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새로운 기술을 수용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이론적 틀인 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하여 이러닝 학습자들의 학습만족도 제고를 위해 필요한 요인들이 어떠한 것들이 있으며, 그 영향관계는 어떠한지 파악하고자 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주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나타낼 수 있다. 첫째, 이러닝 환경에서 인지된 유용성은 이용태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이러닝 환경에서 인지된 용이성은 이용태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이러닝 환경에서 이용태도는 인지된 유용성·인지된 용이성과 학습성과와의 관계를 매개하는가? 실증분석을 위해 사이버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179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이를 실증분석에 이용하였다. 연구문제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분산분석, 회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이러닝 환경에서 인지된 유용성과 용이성은 이용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이용태도는 학습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이용태도는 인지된 유용성 및 용이성과 학습성과 사이에서 부분매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하여 이러닝 학습자의 학습성과에 미치는 선행요인들을 규명했다는 점이다. 구체적으로 학습자의 유용성과 용이성 지각이 사용태도와 학습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했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러닝을 통해 학습콘텐츠를 제공할 때 학습자들이 충분히 유용성과 용이성을 지각할 수 있도록 학생포털 및 LMS의 설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With the advent of the age of lifelong learning, the increase in learning motivation of adult learners, and the unexpected COVID 19, the demand for online learning is accelerating even more. Adult learners' participation in learning has been mainly conducted through informal education, but since 2016, opportunities for adult learners to participate in higher education have been expanded under the leadership of the government. Most of the adult learners are participating in e-learning based on online. E-learning has the advantage of effectively supporting the learning performance of adult learners by providing scalability and flexibility of learning without being constrained by time and space. There are also opinions that it is difficult to achieve an effect. However, as mentioned above, the rapid expansion of the e-learning market has been accepted as an unavoidable reality due to the steady increase in demand for adult learners and the unexpected situation of COVID 19. Accordingly, a shift in the educational paradigm is underway, with a number of educational institutions gradually establishing and expanding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This study started with the question of how learners must accept the unfamiliar learning environment called 'e-learning' in the e-learning environment to achieve high learning outco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what factors are necessary to enhance the learning satisfaction of e-learning learners by apply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which is a theoretical framework that explains the process of accepting new technologies, and what their influence relationship is. Therefore, the main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can be expressed as follows. First, does perceived usefulness in the e-learning environment affect the attitude toward use? Second, does perceived ease of use in the e-learning environment affect the attitude toward use? Third, does the attitude toward use in the e-learning environment mediate the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learning outcomes? For empirical analysis, data were collected from 179 students enrolled in cyber university and used for empirical analysis. In order to empirically test the research questions, analysis of variance,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use in the e-learning environ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ttitude toward use, and that the attitude toward us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learning outcomes. In addition, it was empirically confirmed that attitude toward use plays a partial mediating role among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learning outcome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the antecedents affecting the learning outcomes of e-learning learners were identified by apply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Specifically, it is confirmed that learners' perceptions of usefulness and ease of use have a positive effect on attitude toward use and learning outcomes. Therefore, when providing learning contents through e-learning, the design of the student portal and LMS should be made so that learners can sufficiently perceive usefulness and e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