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특수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 경험 및 지원 요구

        황지원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연구는 특수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 경험에 대해 알아보고, 그에 대한 특수교사의 지원 요구를 들어봄으로써 특수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에 대한 지원 체계를 마련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 경험은 어떠한가? 둘째, 특수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에 대한 지원 요구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참여자는 극심한 직무 스트레스로 인해 신체적 또는 심리적 증상을 경험한 적이 있는 특수교사 10명으로, 목적 표집과 눈덩이 표집 방법을 사용하여 선정하였다. 반구조화된 면담 질문을 개발하여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지속적 비교분석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특수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 경험에서 3가지 대주제와 10가지 하위주제, 특수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에 대한 지원 요구에서 1가지 대주제와 6가지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특수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 경험의 첫 번째 주제는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연구에 참여한 특수교사들은 수업, 생활지도, 문제행동과 같은 ‘학생 지도의 어려움’, 특수 업무 자체와 특수 이외의 업무, 그리고 업무로 인해 수업을 못 하는 주객전도의 상황과 같은 ‘과도한 업무’, 많은 업무를 하고 있음에도 받게 되는 성과급 차별, 각종 부당한 대우, 학교 내에서 외딴 섬이 되는 것과 같은 ‘부당한 대우와 차별’, 학부모, 관리자, 보조인력, 동료교사와의 ‘관계의 어려움’에 의해 직무 스트레스를 받고 소진된다고 하였다. 두 번째 주제는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의 영향으로, 연구에 참여한 특수교사들은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으로 인해 두통, 생리불순, 위경련 등의 갑작스러운 신체적 증상과 대상포진, 암 등의 질병과 같은 ‘신체적 반응’, 그리고 불안과 불면증, 우울감과 무기력과 같은 ‘심리·정서적 반응’을 경험하였다. 세 번째 주제는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에 대한 대처 방법으로, 연구에 참여한 특수교사들은 참고 내려놓는 등의 ‘인내와 체념’, 병가나 무급휴직을 통한 쉬어 가기, 새 학년도 담임 및 업무 변경, 전근 등을 통한 ‘환경의 변화’, 동료가 든든한 내 편이 되어주거나 동료와의 대화를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동료로부터의 지지’, 새로운 배움, 외부 모임, 취미 생활 등의 ‘외적인 활동’ 등의 방법으로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에 대처하였다. 특수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에 대한 지원 요구는 그 자체가 하나의 대주제이며, 연구에 참여한 특수교사들은 학급당 인원수 감축과 적절한 배치를 통한 ‘적정 학생 수’, ‘업무 경감 및 수업 지원’, ‘심리 상담 및 법률 지원’, 관리자로서의 책임에 충실하기, 전문가로 대해 주기, 정서적 지원과 같은 ‘관리자로부터의 지원’, 학부모, 보조인력, 관리자, 일반교사에 대한 ‘인식 개선’, 멘토 멘티제와 특수교사 커뮤니티 형성을 통한 ‘특수교사 네트워크’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에 대한 지원 방안을 논의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PRECEDE-PROCEED Model을 활용한 희귀난치성 질환 영아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적 지원에 관한 연구 : 영아연축을 중심으로

        황지원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671

        최근 세계는 저출산, 고령화, 인구증가, 고용 및 소득과 자산의 불평등(양극화) 등 다양하고 구조적인 사회문제의 점증과 직면하고 있다. 이로 인해 국·내외를 막론하고 세대적, 계급적, 계층적 갈등과 불안이 심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특히 국내의 경우 1980년 전체인구의 41%였던 아동의 비율이 2013년 18.6%으로 감소될 만큼 심각한 저출산 문제를 겪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지속되어 2020년에는 아동의 비중이 전체인구의 15.9%까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영아연축은 영아기 3~8개월에 호발 되는 질환이다. 영아연축의 특징 중 하나인 정신운동능력의 중단 혹은 퇴행은 1세까지 빠르게 성장하는 뇌 발달 중단에 기인한다. 이는 인지・신체・정서・사회성 발달의 중단으로 연결되어 삶의 질을 결정하는데 주요하게 작용한다. 희귀・난치성 질환인 영아연축・레녹스-가스토 증후군은 개인이나 가족의 희생만으로는 해결되기 어렵다. 국가가 적절한 정책으로 대응하지 못할 경우 개인과 가족의 고통스러운 삶이 평생 지속될 수 있기에 사회문제로서 접근해야 한다. 본 논문은 영아연축・레녹스-가스토 증후군 영・유아의 건강권 확보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국가가 정책적으로 일정한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는 규범적 입장에서 접근한다. 희귀・난치성 질환 중 영아연축・레녹스-가스토 증후군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사회 전반적 지원정책을 살펴보고, 정책 간 연계 및 정책 보완 등 다양한 개선방안 제시를 통해 대상자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영아연축・레녹스-가스토 증후군 질환과 관련한 정책들을 문헌 고찰하였다. 5명의 질환 영·유아 부모님과의 면담 및 설문을 진행하였다. 또한 네이버, 다음, 구글에 한정하여 로그인하지 않고 누구든지 접근할 수 있는‘영아연축’과‘레녹스-가스토 증후군’을 검색하여 질환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의미 있는 사례들을 일부 발췌하였다. 면담(설문)과 인터넷에서 발췌된 사례들을 종합하여 문제점을 정리하고 정책적 대안을 마련하기 위해 전문가 설문 및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다. PRECEDE-PROCEED model을 수정・보완하여 활용함으로써 정책전문가나 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자가 상황의 심각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끝으로 정책적 개입의 시기와 필요성 그리고 개입의 내용을 용이하게 찾아볼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주목한 문제와 정책적 대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연축 및 레녹스-가스토 증후군 질환 영・유아의 삶의 질은 조기발견과 조기치료의 가능성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이다. 시기적 방법적으로 적절한 질환의 발견과 치료가 그 예후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것이 연구과정을 통해 밝혀졌다. 조기발견과 치료를 위해 전문 의사를 중심으로 싱크탱크를 구성하여, 질환의 경중에 따른 항경련제의 사용 여부 등 진료가이드와 표준치료 프로토콜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영・유아의 삶의 질을 결정하는 문제이기도 하고, 진료의 통일성을 확보하여 치료의 부작용과 자원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까닭이다. 진료가이드와 표준치료 프로토콜을 마련하여 진료지침을 희귀・난치지정병원과 내용에 동의가 되는 일차의료기관에도 공유하여 진료 비접근적 상담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의료기관 쇼핑의 형태로 나타나는 사회적 자원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현재 국・공립 병원을 희귀질환 관리병원으로 지정하여 질환을 관리하고는 있지만 숫자적으로 부족하여 접근성과 이동성이 떨어진다. 지역거점 병원을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일상생활활동 능력에 따라 삶의 질이 달라질 수 있기에 소아재활까지 가능하도록 인적・물적・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영아연축의 원인으로 밝혀진 질환이 잠재된 태아 및 신생아’, ‘호발 시기인 3~8개월의 영아’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를 통해 질병을 예방하고 영아연축 질환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영아연축 중앙센터 구성을 제안한다. 셋째, 조기 발견된 영아연축 영·유아를 돌보는 가족의 어려움을 파악하고, 이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전문가를 포함한 사회적 지지체계와 지역복지 협의체의 협력을 통해 효율적인 의료 정책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지역복지 협의체는 관련 정책의 조직적이고 효율적인 전달체계 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심사지침을 완화하여 치료비용에 대한 부담을 낮추고 다양한 가족지지프로그램을 계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영아연축에 대한 인지검사와 발달치료의 심사기준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영아연축·레녹스-가스토 증후군 영·유아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영・유아건강검진 정책 1차시기(4~6개월)에 보호자교육내용으로 영아연축 질환을 추가해줄 것을 제안한다. 이는 조기발견의 계기가 되기 때문이다. 현재 희귀질환관리법에 의하면, 1. 희귀질환자의 연령별・성별・지역별 분포 등에 관한 사항 2. 희귀질환자의 임상적 증상 및 경과 등에 관한 사항 3. 희귀질환자의 진단・검사・처방 등 진료정보에 관한 사항 4. 희귀질환의 진료 및 연구와 관련된 인력・시설・장비 등에 관한 사항 5. 희귀질환에 대한 각종 문헌 및 자료 등의 조사에 관한 사항 6. 그 밖에 희귀질환 관리를 위하여 보건복지부장관이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등에 대해 실태조사를 해야 한다. 그러나 일부 희귀질환에 대한 실태조사만 이루어지거나 그조차 본격적인 역학조사가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이다. 영아연축질환의 경우 중앙관리센터에서 총괄 관리가 가능하게끔 해야 한다. 영아연축질환 중앙관리센터는 영아연축 중앙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 잠재적 질환에 노출되어 있는 태아와 신생아를 예방차원에서 관리하고 조기발견과 조기치료의 견인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영아연축 중앙관리시스템은 지정병원의 의료시스템 및 시・도의 행정시스템과 연계하여 산정특례보상체계 등의 행정처리를 담당하게 된다. 이를 통해 영아연축 환아의 부모들은 치료에만 집중할 수 있게 된다. 이 연구는 희귀난치성 영아연축 영아의 건강증진 개념과 의료정책에 한정하여 삶의 질 향상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후 건강문제 이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포괄적이고 통합적인 관점의 연구가 요청된다. 또 아동에 대한 보건정책 측면의 지원뿐 만 아니라, 보육정책까지 포함한 아동복지 전반에 대한 통합적인 관점에서의 연구 필요성이 제기된다.

      • 액체 주석을 이용한 육불화황의 열화학적 분해에 관한 연구

        황지원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71

        Thermochemical decomposition of sulfur hexafluoride (SF6) by molten tin was studied in a bubble column reactor for the reaction temperature ranges of 468-668 oC. The performance of the reactor is strongly dependent on temperature and other operating conditions such as flow rate of target gas, height of the tin bed and size of gas injection nozzle are also affected to the destruction removal efficiency (DRE) of SF6. As temperature increases, the DRE increases, and the maximum DRE was observed as 97.5% at the reaction temperature of 668 oC. The residence time of the gas bubble is also important that the DRE was significantly declined with increasing the size of gas injection nozzle. However, it is less sensitive to the change of flow rate or the bed height. In addition, no hazardous substance which is able to be generated from thermochemical decomposition of SF6 was detected from the product gas.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process has a great potential to be used as an effective method for treating SF6. 본 연구는 열 유동 매체로써 액체 주석을 적용한 버블 칼럼 반응기에서의 육불화황의 분해제거율 (DRE )에 관한 연구이다. 육불화황의 제거율은 반응온도, 대상 가스 유량, 주석 층의 높이 그리고 노즐의 크기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았다. 반응온도가 상승할수록 육불화황의 제거율이 크게 상승하였으며 최대 제거율은 반응온도 668 oC에서 97.48%로 나타났다. 또한 가스 노즐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변화하는 무차원 수의 영향에 의해 육불화황의 제거율이 크게 영향을 받은 반면, 유량이나 층 높이에 대한 영향은 낮게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고상 및 기상 반응 부산물의 특성에 대하여 파악하기 위해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기 (FTIR ) 그리고 에너지 분산형 X-선 분광분석기가 부착된 주사전자현미경 (SEM-EDS ) 분석을 실시하였다. 육불화황을 열화학적으로 분해할 시 다양한 유해 물질이 발생할 수 있지만 액체 주석을 이용한 열화학적 분해 방법에서는 이러한 물질의 발생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액체 주석을 이용한 육불화황 분해 방법은 제거효율이 높은 동시에 유해 물질의 발생이 없으므로 잠재성이 높은 차세대 기술로 판단된다.

      • 한국어 교육 초급 문법 항목 선정과 범주화를 위한 연구

        황지원 동덕여자대학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cognize the need for researches on selecting grammatical items suitable to each level in the grammar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nd to select the grammatical items in the elementary level. In Chapter 1, the importance of study of grammar in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nd preceding researches on grammar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were examined. In Chapter 2, since the grammar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is different from the teaching grammar as native language in the objects to be educated, educational purpose, and educational contents, the need was discussed for categorizing the grammar of Korean language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Therefore, I presented ‘basic grammatical factors’, ‘syntax and meaning’, and ‘sentence expansion’ as the grammatical category of Korean language. The ‘basic grammatical factors’ mean word order, particle, and conjugation in understanding the sentence structure of Korean language. The ‘syntax and meaning’ refers to syntax such as tense, negation, honorific that expresses semantically complex concepts based on ‘basic grammatical factors’, and the meaning such as presumption, wish. The ‘sentence expansion’ means modification, connection, connotation, and quotation that are necessary to form more complex structure. The grammar category presented in Chapter 2 was used as the framework to analyze grammatical items of the elementary level in Chapter 3 and Chapter 4 and select the grammatical items. Chapter 3 examined the contents and criteria of elementary evaluation of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that is conducted domestically, and <Public Grammar list> presen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and grammatical items evaluated in the grammar part of the 16th∼18th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connected together. Besides, the elementary grammatical items in the Korean language text book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looking at the text books like Konkuk지원University’s지원<Discovering지Korean지Language>,지Sogang University’s지<Sogang지Korean지Language>,지and지Ewha지Womans University’s <Ewha Korean Language>. In Chapter 4, the grammatical items that were chosen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elementary level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 Chapter 3 were presented by grammar category of Korean language. In Chapter 5, the last chapter, I summarized previously discussed researches and based on the summary, the main purpose of the researches was reaffirmed. Moreover, the possible direction for better researches was suggested in the area of selecting and categorizing grammatical items of educat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이 연구는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각 단계에 맞는 문법 항목의 선정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초급 단계의 문법 항목을 선정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1장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 문법 교육의 중요성과 한국어 문법 교육에 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한국어 문법이 교육 대상과 교육 목표, 교육 내용면에서 국어 문법과 다르기 때문에 국어 문법 범주와는 다른 한국어 문법 범주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에 따라 초급 단계의 한국어 문법 범주로 ‘기본 요소’, ‘통사 의미’, ‘문장 확대’를 제시하였다. ‘기본 요소’는 한국어의 문장 구조를 이해하는 데에 기본적으로 교수·학습되어야 하는 어순, 조사, 활용을 뜻하며, ‘통사 의미’는 ‘기본 요소’를 밑바탕으로 하여 의미적으로 복잡한 개념을 표현하는 시간, 부정, 높임 등의 통사와 추측, 희망 등의 의미를 말한다. ‘문장 확대’는 통사적으로 더 복잡한 구조를 형성하는 데에 필요한 수식, 연결, 내포, 인용 등이다. 2장에서 제시한 문법 범주는 3장과 4장에서 초급 단계의 문법 항목을 분석하고 선정하는 틀로 사용하였다. 3장에서는 국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숙달도 시험인 한국어능력시험의 초급 평가 내용과 기준, 한국어교육과정평가원에서 제시한 <공개문법목록>, 한국어능력시험 초급 16∼18회 문법 영역에서 평가된 문법 항목을 서로 연관 지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초급 문법 평가 내용이 <공개문법목록>과 출제된 문법 항목을 포괄하고 있지 못하였으며 <공개문법목록>은 초급 문법 항목으로 보기 어려운 문법 항목이 포함되어 있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한국어 교재의 초급 문법 항목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건국대학교의 『한국어』, 서강대학교의 『서강 한국어』, 이화여자대학교의 『이화 한국어』를 대상으로 삼았다. 분석 결과 세 교재에 제시된 문법 항목에 큰 차이점이 나타나지는 않았으나 『한국어』와 『이화 한국어』는 초급 단계에서 교수·학습하기에 난이도가 있는 문법 항목을 제시하는 경우가 있었고, 『서강 한국어』는 다른 두 교재에 비해 문법 항목의 수가 적었다. 4장에서는 3장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초급 단계에 교수·학습되어야 하는 문법 항목을 선정하여 한국어 문법 범주별로 제시하였다. 5장에서는 앞서 논의한 내용을 정리하고 이를 토대로 이 연구가 갖는 의의를 확인하였으며 문법 항목 선정을 위한 연구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 학령기 지적장애아동의 K-ABC와 K-SIB-R 통합 하위검사의 관계 및 요인에 관한 연구

        황지원 대구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d factor analysis between the integrated sub-tests of Korean version of K-ABC and K-SIB-R tested of school-aged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is research, 115 students aged 7 to 12.5 years who belong to clinics in Busan and Daegu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 sub-tests of K-ABC for school-aged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analysed as 2 factors: sequential processing scale and concurrent processing scale. They also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rrelation between the sequential processing scale and the concurrent processing scale nor the intellectual processing scale and achievement scale; (b) sub-tests of K-SIB-R for school-aged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analysed as 2 factors, and showed fairly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sub-tests; and (c) integrated sub-tests of K-ABC and K-SIB-R were analysed using 2 factors from each test for a total of 4 factors. There was a low correlation between the intellectual processing scale in K-ABC and the sub-tests of K-SIB-R while the correlation of the achievement scale in K-ABC and the sub-tests of K-SIB-R was significantly higher.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tests of K-ABC as the representative of intellectual abilities and K-SIB-R as the representative of adaptive behavior had to be considered to achieve validation to diagnosis and evalua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지역문예회관의 미션과 프로그램 운영방안 : 의정부예술의전당 사례를 중심으로

        황지원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In 1990s, many cultural facilities like the regional arts centers were built all over the country due to the change in the policy of arts and cultural facilities. The regional arts centers, accordingly, have gathered strength as a key position to bridge the cultural gap among regions and to develop new regional culture under the situation of all the culture being concentrated in Seoul. Since 1988, 7 to 8 arts center have been opened every year and all these centers faced the need for improvement and repair in 2008. These issues should be carefully examined not only regarding the durability matters of the building, but regarding the new management methods of the 20-year-old arts center. For the arts centers to carry out their roles in the regions, it may be necessary to reexamine the significance of existence from the starting point, as well as to alther the facilities or operational forms for the better. While the mission is the aim and the ultimate results of the organization, many regional arts centers have feeble grip of the members'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desires, and have set their mission just based on the general description like "promotion of regional culture and arts". Therefore, their programs are generally similar despite of the fact that the regions and the operational structures of the arts centers are different. The main aim of the organization is expressed through the mission statement. In other words, the mission statement explains who we are, what we do and why we do it. In a mission statement of the organization, its aim, target, philosophy and vision should be included. The expression should also be simple, easy to remember, persistent, reliable, roughly right, encouraging all and have the originality as well as its unique characteristic. In this research, the necessity of the mission statement and the conditions for the mission building have been examin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brand image (mission) of the cultural sector may be easily influenced by the contents (programs). Uijeongbu Arts Center has been investigated as a case study and the research has put its purpose in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mission statement by the in-depth interviews with the customers, staffs, local authority members and the program analysis. The mission of the arts center starts from "promoting the cultural arts activities and expanding opportunities to enjoy the arts" and brings the various results. As the mission is closely connected to the positive effects such as development of the regional culture, improvement of the regional image and the economic revitalization, it should be built more concretely according to each arts center's characteristics.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문화기반시설정책의 변화로 전국 각지에 문예회관 등 많은 문화시설이 설립되었다. 이에 지역문예회관은 모든 문화가 서울로 집중되는 상황에서 지역 간 문화격차를 해소하고 새로운 지역문화 발전의 거점기관으로 계속적으로 대두되어왔다. 1988년부터 한 해 7~8개의 문예회관이 개관되면서 2008년은 이들 초기 문예회관의 대대적인 개ㆍ보수 시점이 시작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문예회관의 개ㆍ보수는 단순히 건축물의 내구성 문제 때문만이 아니라 20년차를 맞는 해당 문예회관의 새로운 운영방안과 관련되어 검토되어야 할 사안이기도 하다. 문예회관이 하나의 지역사회에서 그 존재역할을 성실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시설이나 운영형태(조직)의 변화도 물론 필요하지만 존재의 의미를 원점에서 재검토 할 필요가 있다. 단체가 이루고자 하는 목표, 궁극적인 결과를 나타내는 말을 미션이라고 한다면, 현재 많은 수의 지역문예회관들이 구성원들의 문화적 특성과 욕구를 파악하지 못하고 지역문예회관의 미션을 “지역문화예술의 진흥”이라는 보편적 방향으로 설정하기 때문에 문예회관이 존재하는 지역이 다르고, 운영조직의 형태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그 운영프로그램이 대동소이하게 나타나는 것이다. 조직의 주된 목표는 주로 미션을 통해서 표현된다. 즉 미션은 우리가 누구이고, 무엇이며, 무엇을 하고, 왜 그 일을 하는가 라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조직의 미션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목적, 타겟, 철학, 비젼이 포함되어 있어야 하며 그 표현은 간결하고, 기억하기 쉽고, 지속적이고, 신뢰할만하고, 대략적으로 옳으며, 모두를 격려해야 하고 개성적이고, 독창성이 있어야 한다고 요약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예술부분의 브랜드이미지(미션)가 컨텐츠(프로그램)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는 것을 전제로 하여 미션의 필요성과 미션수립을 위해 갖추어야 할 조건이 무엇인지 의정부예술의전당이라는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실제 적용시켜보았다. 인구, 지역, 문화적 환경분석과 의정부예술의전당을 중심으로한 고객, 운영실무자, 시정책당국자 그리고 외부전문가의 심층인터뷰, 프로그램분석을 통해 미션의 중요성을 강조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문예회관의 미션은“문화예술활동을 진흥시키고 국민의 문화향수 기회를 확대”하는 것을 시작으로 다양한 파급효과를 가져오는데 지역문화의 발전과 지역이미지 개선 및 경제 활성화 등 지역사회 안에서 여러 가지 긍정적인 효과로 이어지기 때문에 각각의 문예회관의 특성에 맞게 보다 구체화하여 미션을 수립하는 것을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 도로변 대기중 입자상물질의 입경별 오염원 평가

        황지원 忠南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ollution sources contributed to air quality at roadside area were identified using receptor model with highly qualified data of the elements in airborne coarse and fine particulate samples. In this study, a total of 120 airborne particulate matter (APM) samples were collected at near the main roadside area of Daejeon, Korea from April to December 2003. Then, this study focuses on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about 30 trace metals including toxic ones (As, Cr, Mn, V, Zn) for roadside airborne particulates. Elements (Al, As, Ba, Br, Ce, Cl, Co, Cr, Cs, Cu, Fe, Hf, I, In, K, La, Mg, Mn, Na,Sb, Sc, Se, Sm, Th, Ti, V, and Zn) were analyzed by Instrumental neutron activation analysis (INAA). The study also centers on the assessment of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metals and source identification of APM by both enrichment factor analysis and varimax rotation factor analysis. The following results were summarized from this study : 1) The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level shows that coarse fraction particulate matter (CPM, aerodynamic diameter in 2.5~10 μm) and fine fraction particulate matter (FPM, aerodynamic diameter less than 2.5 μm) were 31.2±15.2 μg/m3 and 15.6±6.5 μg/m3, respectively. 2) The concentrations of target elements in the certified reference material (NIST SRM 2783, Urban dust on filter media) were determined by INAA. The concentrations of elements were statistically compared with the certified values. The relative errors of Al, Ca, Co, Cu, K, Mn, Na, Sm, Ti, V, and Zn fell below 5%, while those of As, Ba, Ce, Cr, Fe, Sb, and Th less than 10%. 3) The range of distribution is clearly distinguished between metals with their concentrations ranging over several orders of magnitude. Based on a simple comparison of the magnitude, the data sets can be grouped into five different categories: for CPM, a) <10-2 ng/m3: In; b) <10-1 ng/m3: Sm, Hf, Sc, Cs, Th, Co, Se, and La; c) <100 ng/m3: Ce, As, I, V, Cr, and Sb; d) <101 ng/m3: Cu, Mn, Br, Ba, Ti, and Zn; and e) 102 ng/m3: Cl, Mg, Na, K, Fe, and Al. For FPM, a) <10-2 ng/m3: Sc, Sm, In, Th, and Hf; b) < 10-1 ng/m3: La, Co, Cs, Ce, and Se; c) <100 ng/m3: V, As, I, Ba, Sb, Mn, Cu, Cr, and Ti; d) <101 ng/m3: Br, Zn, Mg, Cl, and Na; and e) 102 ng/m3: Al, Fe, and K. For the coarse fraction, the mean concentrations of toxic metals, As, Mn, Se, V, and Zn, were 1.22±0.83, 16.2±7.68, 0.47±0.32, 1.45±0.78, and 47.9±47.1 ng/m3, respectively. And those for the fine fraction were 1.22±0.70, 6.48±2.8, 0.91±0.64, 1.08±0.62, and 32.9±13.3 ng/m3, respectively. 4) Based on the enrichment factor to evaluate the pollution level of metal element, Br, As, Zn, I, Cl, Se and Sb are seriously enriched in CPM, and Zn, As, Cl, I, Br, Se, Sb as well as Cr, Cu and In are seriously enriched in FPM. These elements seem to be artificially polluted by motor vehicle, gases from fossil fuel and industrial activity. Also, the EF value in FPM is greater than that in CPM since most of the elements generated from the artificial pollution source exist in the region of fine dust with 2.5 μm in aerodynamic diameter. 5) Based on results of the varimax rotated factor analysis to evaluate the pollution source of CPM and FPM in the research area, factors are in the order of road dust, soil dust, vehicle exhaust, sea-salt and fossil fuel combustion in CPM while the factors are in the order of vehicle exhaust, road dust, fossil fuel combustion, soil dust and sea-salt in FPM. Therefore, the pollution sources of APM in the research area are clearly distinguished by particulate size distribution and the pollution source by motor vehicle seems to have the greatest effect due to the research area's inherent characteristic of the high motor vehicle traffic.

      • 화법 교육과정의 변화에 대한 비판적 고찰 : : 수시 개정 교육과정기를 중심으로

        황지원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화법 교육에서 내세우고 있는 교육과정상의 성격 및 목표, 내용 체계, 담화 유형, 성취기준,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등에 대한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화법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모습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수시 개정 체제 도입 이후의 교육과정인 2007년 개정 교육과정부터 2015년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국어과 듣기·말하기 교육과정과 화법 교육과정을 살펴보면서 화법 교육의 변화에 대해 비판적으로 논의하였다. 해당 교육과정의 범위를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2015년 개정 교육과정까지로 제한한 이유는 많은 화법 연구 성과가 2000년대에 쏟아져 나왔고, 학위 논문도 이 시기에 집중적으로 발표되어 화법 교육 연구자의 저변이 확대되었기 때문이다. 관련 연구가 집대성되고 체계성을 수반하게 되면서 교육과정상에 반영되기 시작한 시기를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이라고 보았다.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먼저 수시 개정 이전의 화법 교육과정 전개 양상을 고찰함과 동시에 수시 개정 이후 국어과 교육과정의 전반적인 변화를 간략히 살펴 논의의 배경으로 삼았다. 다음으로 국어과 교육과정의 체계를 토대로 성격 및 목표, 내용 체계, 담화 유형, 성취기준,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의 변화를 주요 특징별로 분석하였다. 성격 및 목표는 진술의 추상성을 배제하고 중복되는 내용을 체계화하는 방향으로 바뀌었으며, 내용 체계는 범주의 신설과 삭제, 듣기·말하기 영역의 통합 제시 등의 변화가 있었다. 담화 유형은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이래 큰 변동 없이 유지되어 왔고, 성취기준은 양과 수준의 적정성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변화하였다. 또한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는 영역을 통합한 일반적 지침 사항을 제시하던 기존의 방식에서 탈피하여 각 영역별로 방법 및 유의사항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세부 설명의 부족, 듣기·말하기 교육과정과 화법 교육과정의 연계성 부족, 내용 체계 범주 설정의 비체계성, 특정 담화 유형의 편중, 일부 성취기준 간 수준의 위계성 미확보,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와 성취기준의 불완전한 연계 등 아직 미흡한 점이 발견되었다. 이에 차후 교육과정 구성의 과제로 교육 일반과 구별되는 구체화된 국어과 성격 설정, 듣기·말하기 교육과정과 화법 교육과정의 연계성 강화, 화법 영역의 특성을 반영한 고유의 내용 체계 범주의 설정, 담화 유형 선정의 체계화와 적절성 마련, 성취기준 간 수준의 위계성 및 양의 적정성 강화,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의 다양한 예시와 적용 사례 추가 설정 등을 제시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directions and forms the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should be headed by analyzing the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goals, content system, discourse types, achievement standard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of the current curriculum. In this study, the changes of speech education were critically discussed by examining Korean language, listening and speaking curriculum and speech education curriculum from 2007 revision curriculum after revision system introduction to revision education curriculum of 2015. Therefore, the speaking and listening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and discourse curriculum from 2007 revised curriculum to 2015 revised curriculum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stant revision system is critically discussed. The reason for limiting the scope of the curriculum from 2007 education curriculum to 2015 education curriculum is because many discourse research performance and theses were intensively published in the 2000s which led to the expansion of the base of discourse education researchers and activists. The related research was integrated, systemized and reflected in the education curriculum starting from 2007 education curriculum. A study on the discourse education development appearance with a brief analysis of the overall change in the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after the constant revision set the background of the discussion prior to the research. Next, based on the system of the education curriculum of the Korean Language, the characteristics, goals, content system, discourse types, achievement standard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were analyzed by main characteristics. The abstractness of the statement was excluded and overlapping contents were systemized regarding characteristics and goals. The changes in the contents system include the establishment and deletion of the category, the integration of the listening and speaking areas, etc. The types of discourse remained without major changes since the 2007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achievement standards have transformed in consideration of various factors such as the appropriateness of quantity and level. The evalu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have also exited from the previous way of suggesting general guidelines on an integrated area, but rather suggested cautions and methods for each separate area. However, the lack of detailed explanation, the absence of a connection between listening and speaking curriculum and narrative education curriculum, the non-systematic nature of setting content system category, the bias of specific discourse types, the uncertainty of the hierarchy between some achievement standards, inadequate linkage betwee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and achievement standards remain as limitations. Therefore, as a task of constituting the future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pecific Korean language education characteristics distinguished from general education and increase linkage between listening and speaking education curriculum and discourse education curriculum. Also, a unique content system category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course area, a provision of systemization and appropriateness of discourse type selection, enhancement hierarchy of levels between achievement standards and the adequacy of quantity, and various example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and additional application examples are needed.

      • 긴급 원격교육 상황에서의 초등 영어 원격수업 운영실태 및 교사 인식

        황지원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reality of the elementary school English remote teaching that has been introduced urgently as a result of COVID-19, look at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deduce implications related to the direction of the remote education to be conducted in the future. To do this, a survey was performed with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ll over the country, and a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ly, respondents to the questionnaire showed that during COVID-19 situations, most of them had experience in real-time interactive classes and mainly used desktops to conduct elementary English remote classes. Additionally, in regard t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quipment such as technology utilization ability, hardware, software, and platform, participants noted scores higher than the average of 4points on the 5-point scale. Secondly, in rel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English subject,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study participants were aware of the necessity of classification of instructional methods to some extent. However, in practice, the ratio of teachers who actually classified the teaching method was low. Thirdly, the satisfaction of the remote English teaching class method in elementary school was revealed in the order of real-time interactive, task performance-oriented, content utilization-oriented (lecture-oriented), and content utilization-oriented (lecture-active-type). Fourthly, regarding the evaluation, there were respondents who showed high satisfaction due to various evaluation methods and easy evaluation management. However, regardless of satisfaction, the issue of reliability was generally noted, and while the cognitive domains can be evaluated, the survey results displayed that it is difficult to evaluate domains such as attitudes. Lastly, the problem was presented in various ways, but one of the common ways was the problem of inducing students to participate. To this end, the most necessary improvement that was noted was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In addition, opinions related to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competency development were also presented in the response presented to open questions. 본 연구는 COVID-19로 인해 긴급하게 진행되었던 초등 영어 원격수업의 운영실태를 파악하고, 초등교사의 인식을 살펴본 뒤 향후 진행될 원격교육의 방향성과 관련된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근무 중인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 194명의 응답을 정리 및 분석한 연구 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설문에 응답한 연구 대상자들은 대부분 COVID-19 상황 동안 이루어진 초등 영어 원격수업에서 실시간 쌍방향 수업의 경험이 있으며, 주로 데스크톱 컴퓨터를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인의 정보통신 기기 및 기술 활용 능력과 관련하여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플랫폼 세 영역 모두 5점 척도 중 평균 4점 이상의 높은 수준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연구 대상자들은 초등 영어 교과 특성과 관련하여 차시별 수업 방식 구분이 어느 정도 필요함을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실제 수업 시 차시별 수업 방식 구분을 둔 연구 대상자의 비율은 낮았다. 셋째, 초등 영어 원격수업 방식별 만족도는 실시간 쌍방향, 과제 수행 중심, 콘텐츠 활용 중심(강의형), 콘텐츠 활용 중심(강의 및 활동형) 순으로 높았다. 넷째, 평가와 관련해서는 다양한 평가 방식, 평가 관리 용이 등의 이유로 보통 이상의 높은 만족도를 보이는 응답자가 있었다. 하지만 만족도와 상관없이 응답자들은 대체로 신뢰도 문제를 지적하였고, 학습 내용의 성취에서 인지적 영역의 평가는 가능하지만, 태도와 같은 정의적 영역의 평가는 힘들다는 의견도 제시되었다. 다섯째, 수업 방식별로 다양한 문제점이 제시되었고, 그중 공통된 것은 학생의 수업 참여 유도의 어려움이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 해결을 위해서 다양한 교수 학습 콘텐츠 개발 및 보급이 가장 시급한 개선점으로 꼽혔다. 그뿐만 아니라 개방형 질문에 제시된 응답에서 다양한 교수 학습 방법, 환경 개선, 역량 개발과 관련된 요구를 발견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