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골프연습장 이용자의 운동몰입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황인춘 용인대학교 체육과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골프연습장 이용자들의 운동 몰입과 생활만족도의 변수를 중심으로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및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선택형 8문항과 5점 Likert 20문항 등, 총 28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조사도구로 사용하였다. 조사대상은 수도권에 소재한 골프연습장을 이용하는 30세에서 69세 사이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2012년 11월 10일에서 2013년 2월 28일의 기간 동안 무선추출법을 통한 176명에게 자기평가기입법으로 설문내용에 응답하게 하여 최종 167부를 본 연구에서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167부의 설문지를 Windows Program SPSS/PC Version 17.0을 이용하여 연구 목적에 맞게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t-test, one-way ANOVA,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골프연습장 이용자의 운동몰입의 차이 검증에서 하위요인인 인지몰입에서 유의한 차이로 높게 나타낸 것은 40대 연령, 핸디캡 9이하, 이용횟수 3-4일/주이며, 행위몰입에서 유의한 차이로 높게 나타낸 것은 여자, 40대 연령, 월수입 500만원이상, 핸디캡 9이하, 골프구력 3년 이상, 이용횟수 3-4일/주 등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골프연습장 이용자의 생활만족도의 차이 검증에서 하위요인인 건강만족에 유의한 차이로 높게 나타낸 것은 여자, 60대 연령, 핸디캡 9이하, 골프구력 1년미만이며, 수준만족에 유의한 차이로 높게 나타낸 것은 성별을 제외한 60대 연령, 월수입 500만원이상, 핸디캡 9이하, 골프구력 3년이상, 이용횟수 1-2회/주에서 나타났다. 또한 일과만족에 유의한 차이로 높게 나타낸 것은 여자, 월수입 300만원대, 골프구력 1년-2년에서 나타났다. 셋째, 골프연습장 이용자의 운동몰입이 생활만족도와의 상관관계에서 운동몰입의 하위요인인 인지몰입은 생활만족의 하위요인인 건강만족과 일과만족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운동몰입의 하위요인인 행위몰입은 생활만족도의 하위요인인 건강만족, 수준만족, 일과만족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운동몰입의 인지몰입과 행위몰입 모두 생활만족도의 건강만족, 수준만족, 일과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특히 여성이, 50대에서, 월수입 500만원이상, 핸디캡 9이하, 골프구력 3년이상, 이용횟수 3-4일/주 일수록 생활만족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verify correlations and influences of factors based on game commitment of golf course users as well as life satisfaction using questionnaires with 8 multiple-choice questions and 20 5-point Likert questions. Targets were people in the ages between 30 to 69 using golf courses in metropolitan areas, and a self-administration method was used for 176 users randomly selected from November 10 2012 to February 28 2013. 167 questionnaires were processed by the Windows Program SPSS/PC Version 17.0 for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relationship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belows. First, as the results of game commitment difference check, the high difference in recognitive immersion, which is the sub factor, appeared in the age of 40s, handicap under 9, using the course in 3-4 days/week.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behavioral commitment appeared in female age of 40s, monthly income of more than KRW 5 million, handicap under 9, golfing for more than 3 years, and using the course in 3-4 days/week. Second, as the results of life satisfaction of gold course users, women in 60s with handicap under 9, and golfing for less than one yea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health satisfaction. Significant difference in level satisfaction appeared in 60s in any gender with monthly income of KRW 5 million, handicap lower than 9, golfing for more than 3 years, and using the course 1-2 times a week. Also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work satisfaction appeared in women with monthly income of KRW 3 million golfing for 1-2 years.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ame commitment and life satisfaction of golf course users, the sub factor of game commitment, recognitive commitment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in health satisfaction and work satisfaction. and the other sub factor, behavioral commitment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in sub factors of life satisfaction, which are health, level, and work satisfactions. In conclusion, the recognitive and behavioral commitments in game commitment have influences on health, level, and work satisfactions in life satisfaction, especially for women in 50s with monthly income of KRW 5 million, handicap lower than 9, golfing for more than 3 years, and using the golf course in 3-4 days/week.

      • 한국인과 결혼한 일본여성의 성격유형별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차이분석

        황인춘 선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과 결혼한 일본여성을 대상으로 MBTI를 이용하여 성격유형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내는데 일차적 목적을 둔다. 그리고 이들의 정신적,육체적 건강과 가정 전체의 행복,나아가 건강한 사회와 국가를 구현하기 위한 가족치료학적 접근의 개발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궁극적 목적으로 삼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소속으로 서울과 수도권에 있는 가정교회 중에서 11군데와 서울 북부권 교회학교 교사모임등 총 12군데를 선정하여 한국인과 결혼한 일본여성 1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연구 대상자의 평균연령은40세였고, 평균결혼기간은 10년이었다. 조사기간은 2006년 4월부터 7월까지 이루어졌으며 유효표본124부를 연구?분석하였다. 성격유형별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차이분석을 위해 통계프로그램인 SPSS 12.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변인별 신뢰도는 Cronbach's α 계수를 통해 측정하였고,연구의 주된 분석 방법으로 평균과 표준편차,T검증,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 , 대상자의 선호지표 분포는내향형(I), 감각형(S), 감정형(F), 인식형(J)이 높게 나타났고, 성격유형 분포는 ISTJ유형이, 기능별 성격유형 분포는 ST유형이, 기질별 성격유형 분포는 SJ기질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외향형(E) 성향을 지닌 집단이 내향형(I) 성향을 지닌 집단보다 능동적 대처인 문제 중심적 대처와 사회적 지지 추구를 스트레스 대처방식으로 많이 사용하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p=.003)가 나타났다. 셋째, 기능별 성격유형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질별 성격유형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근거로 하여 후속 연구 및 실행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본 연구의 대상은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소속의 일본여성들로 국한되었다. 그러므로 연구 대상의 표집에 있어서 국적, 지역 등의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연구 집단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성격유형별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차이분석 연구가 외향형 (E) 집단과 내향형(I)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지만,선행연구가 없으므로 반복적인 연구에 의한 검증이 필요하다. 셋째, 후속 연구에서는 성격유형별 스트레스 대처방식 뿐만 아니라 개인의 환경적 특성과 스트레스 대처의 효과 등의 다양한 측면에서의 연구가 후속되어야 할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istinguish the MBTI types of Japanese Women who married Koreans, and to find out if they have different stress coping strategies according to their different personality types. Also, this research intends to provide basic data to help and support the Family Therapy’s approach toward their mental and physical health, the happiness of their families and to help establish a healthy society and nation.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members of the FFWPU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who are members of 11 Family Churches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surrounding Seoul, and also from 12 selected places where Church School Teachers gather in the northern part of Seoul. One hundred fifty Japanese women married to Koreans were selected for this research. Their average age was 40, and the average duration of their marriages was 10 years. The duration of the research was from April to July 2006 and 124 valid samples were analyzed and researched. I used the statistic program SPSS 12.0 to find the differences of the stress coping strategies by the different types of personality. The reliability of each individual’s stress coping strategies was measured through Cronbach's Alpha Coefficient, the main research methodologies wer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first, the distribution of the preferred index had high numbers of Introversion (I), Sensing (S), Feeling (F), and Judging (J). The highest distribution of personality type was ISTJ. The ST type had the highest distribution of personality type by ability, and the SJ type had the highest distribution of personality type for temperament. Second, the Extraversion (E) group used more of the active coping methods which are problem-centered coping methods and which pursue the support of the society more than the Introvert (I) group. This showed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p=.003).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among the different personality types based on ability with the stress coping strategies. Forth,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among the different personality types based on temperament with the stress coping strategies. Based on the research data, I suggest the following for further research and practice. First,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all Japanese women who are members of the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ve follow-up research done considering various groups of subjects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ir different nationalities and their area’s characteristics.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Extroverts (E) and the Introverts (I) for coping with stress among the different personality types, but there has been no previous research about it. Therefore verification is needed through repetition of the research. Third, the follow-up research should not be limited to stress coping strategies by the different personality types. It should also includ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s environment, the effect of the stress coping methods and other research from various view points.

      • 통일교 신학생과 목회자의 성격유형 선호지표에 관한 연구 : MBTI를 활용한 성격유형 선호지표를 중심으로

        황인춘 선문대학교 신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하나님은 각 시대마다 중심인물, 제사장, 선지자들을 소명하여 구원섭리를 발전시켜 오셨다. 하나님의 소명과 소명 받은 자의 고백에 따라 임무와 사명이 다르겠으나 현재에 있어서 가장 보편적 직무는 '목회자'(牧會者)이며 그 장소는 교회일 것이다. 전통적으로 목회자는 개교회에 있어서 중심이 되고,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며, 교인들의 모든 삶과 영혼을 돌보는 자이기 때문에 감당해야 할 역할이 무척이나 많고 모든 역할을 완벽하게 수행해야 한다고 느끼고 있다. 하지만 교회와 교인들이 원하는 모든 역할을 완벽하게 수행할 수 있는 목회자는 없을 것이다. 이제 목회자들은 교회와 교인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해야 할 것이다. 즉 교회는 '기독교적 구원의 방주적 개념'이 아닌 '하나님 나라의 훈련의 장'이고, 목회자와 교인은 질적인 차이가 있는 것이 아닌 섭리적 차이가 있을 뿐이며 '하나님 나라를 향한 공동운동체'라는 인식이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연구 필요성으로 첫째 교회는 하나님의 구원섭리를 완성해야 할 소명을 가지고 교인들을 훈련하는 장소이기 때문에 이들을 교육시킬 다양한 목회적 접근분야가 필요한데, 이를 위해 목회자는 자신에게 적합한 목회사역의 분야를 발견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교회는 목회자와 교인간에, 목회자들 간에, 또한 교인들 간에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성 훈련의 장소이기 때문에 각자의 성격과 요구조건을 조화시킬 다양한 목회적 접근방법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목회자는 자신에 대한 이해와 타인에 대한 이해를 높일수 있는 방법론을 배우고 이를 교육하는 문제가 필요하다. 연구 대상은 하나님의 소명을 받고 복귀섭리의 최일선에서 활동하고 있는 통일교 목회자와 탁월한 목회자가 되기를 원하는 통일교 신학생이다. 연구 목적은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를 활용한 성격유형 선호지표를 중심으로 첫째, 통일교 신학생과 목회자에게 성격유형별 유사성과 차이성에 대한 교육을 통해 자신에 대한 이해와 타인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이다. 둘째, 한국 대학생과 한국 일반인과의 비교를 통해 통일교 신학생과 목회자의 성격유형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를 통해 통일교 신학생과 목회자에게 적합한 목회사역의 방향제시와 이들에 대한 교육프로그램과 정책결정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써 도움을 주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MBTI검사와 교육을 실시하고, 검사결과를 해석하였으며, 16가지 성격유형별 영성개발과 목회사역의 분야를 찾기 위한 자료를 각각 배부했다. MBTI는 Jung의 심리유형론을 근거로 하여 모녀관계인 Briggs와 Myers에 의해서 연구 개발된 인간이해에 유용한 심리유형 검사도구이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통일교 신학생들은 사람과의 대면관계에서 이루어지는 목회의 영역에서, 통일교 목회자들은 조직의 체계와 행정을 위한 목회의 영역에서 뛰어난 자질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연구 제한점은 통일교 신학생과 목회자의 자료는 한국인 남자에 한정되어 있으므로 전체 통일교의 특성으로 일반화하기 어렵다. 그리고 통일교 신학생과 목회자의 성격유형별 특성은 나타났지만, 신학생들이 목회자가 되기까지 각자의 성격유형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는 추후 연구를 통해서 밝혀야 할 것이다. God has developed salvation providence by summoning the central figure, the chief officiating priest and the prophet of each era. The mission and order are different from God's summon and the confession of each summoned person but in recent, the most general duty is the priest and its place must be the church. Traditionally the priest is the center in the terms of Protestantism and transfers God's words as well as takes care of followers so that he feel himself have a plenty of roles to carry out and accomplish completely. But there is no such a priest who completely achieves all the roles that the church and followers demand. Now the priest should newly recognize the church and followers. Namely the church is not 'ark notion of christian salvation' but 'the training spot of God's land' and the church and followers don't have the qualitative difference but have the difference in the terms of the province and the recognition of the jointed fatal body for God's land is requested. Accordingly based on study necessity, firstly because the church is the place in which the followers should be trained with mission to accomplish God's summon, there should be a pastoral approach field to educate the followers and for this purpose, the pastor needs to develop a pastoral employment field appropriate to himself. Secondly because the church is the relationship training place between the pastor and followers, between pastors and between followers, there should be a pastoral approach field to harmonize individual personality and demands and for this purpose, the pastor is requested to acquire a methodology so as to increase understandings for himself and others and educate them. The study subjects are pastors of Unification Church who are working in the fire front in compliance with God's summon and seminary students of Unification Church who want to be outstanding pastors. Focusing on personality type preference index utilizing Myers-Briggs Type Indicator (MBTI),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of all enables pastors and seminary students of Unification Church to improve the understandings for themselves and others by educat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for each personality type. The second purpose is to widen the understandings for personality types of Unification Church pastors and seminary students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Korean students and Korean citizens. Lastly through these results, they can help provide Unification Church pastors and seminary students with adequate pastoral employment direction and they can be used as basic materials utilized for educational programs and policy decision. The study method was complied with MBTI test and education and test results were interpreted and materials for finding divine nature development of 16 personality type and field of pastoral employment were distributed. MBTI is a test method useful for the understandings of human beings developed by Briggs and her daughter, Myers based on Jung's psychology material theory. The summary of this study shows that pastors are outstanding in the area of pastoral duty relating to organization's system and administration and seminary students in the area of pastoral duty relating to relationship with others. The limit of this study is that the data of Unification Church seminary students and pastors are restricted to female Korean so that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it to the total characteristic of Unification Church. In addition, even though the characteristics by personality type about Unification seminary pastors and seminary students appears, further study is required to reveal how each personality type will affect until the seminary students become pastors.

      • 韓國의 地方財政調整制度에 관한 연구

        황인춘 檀國大學校 1992 국내석사

        RANK : 247631

        Korean society is now experiencing a new era of the localization with the revival of the local autonomy which is so-called "grass -roots democracy" in 30 years. To manage a successful local autonomy enhancing the standards of living and the social welfare conditions of the people the local government needs a proper and enough financial sources. Reviewing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local public finance in Korea, it is unable to establish without the local financial secure for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operation of local self govern. Since the generation of 60. required location administration incressed greatly accompanied urgent urbanization with high degree of economical growth. Due to the exchange of industrial structure, concentrate of richpart of special local group profound of deep unbalance of localized economical power with intensified of unbalanced economic power between each local groups. Such as the result, to strengthening of the control power superise between the standard administrative group and self control ward office with direct control city, expanding for financial source in order to builde to foundation of balanceable site development balanceable, suitability devide of financial sources concom itant with the problem of its execative. Form a practical point of view, however, the expansion of independent financial resources by transforming national taxes to local taxes would rather deepening financial imbalance between each self - governing body due to the maldistribution of the sources of tax rource in major cities. Therefore, the across the board distribution of financial resources between national finance and local finance in necessary to streng -then stabilized local finance and the adjustment of local finance is considered to be inevitable to maintain balanced finance between each local self - governing body. It is a question of reasonable operation of local grant tax system and grants - in - aid administration system which is the most important financial resources for the adjustment of local finance. It is intended in the present study to inqure into the actual conditions of local finance now in operation in our country and induce problem it involves, thereby attempting to work out corrective measures and contribute to the effective operation of local finance adjustment system. The following are the improvement schemes : First, Scale of local grant tax 1) Upward adJustment of local grant rate (current : 13.27X of total internal taxes). 2) Allocation of local grant tax : Ration calculation of the amount of basic financial demand for the effective allocation of ordinary grant tax (adjustment of measuring itens, improvement of measuring unit, actualization ofunit cost), optimum calculation of basic financial resource and promoting efforts of collecting local tax. Second, the reasonable level of government subsidy and its effect must be heightened, the extension of local transfer tax institution is urgent. Third, As a way of improving the present local financial adjustment system, this thesis recommended the following foreign local financial policies that are expected to remove structural difficulties related to the present local fonancial adjustment system. They are : the sharing tax system of West Germany for the vertical financial adjustment, and the equalization payment system of the U. S. and the negative grant system of West Germany for the horizontal adjustment. these are recommended for a serious consideration of a way of improving Korean local financial adjustment system. This study was carried out referring to the literature on local finance, thesis in addition to the investigation of various statistical data, such as a synopsis of the Local Autonomy governnent budget and the Local Finance. These statistical data wear tabulated for analysis and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地方自治가 30년만에 復活되어 본격적인 地方化時代를 맞고 있다. 地方自治는 경제·사회·문화 등 모든 活動에 걸쳐 지역주민의 福祉增進과 地域開發을 위한 충분한 재정을 필요로 하고 있지만 韓國의 지방재정수준에서 볼때 地方自治의 효과적 실시와 그 발전은 지방재정의 確保없이는 이루어질 수 없다. 韓國은 60년대 이후 高度經濟成長과 급격한 都市化에 수반하여 地方行政需要가 크게 늘어나고, 産業構造가 變化하여 富의 특정지방자치단체로의 集中과 경제력의 지역적 불균형의 深化, 지방자치단체의 재정력의 不均衡이 激化되었다. 따라서 중앙재정과 지방재정 등 상호간의 統轄적 調整權을 강화함으로서 均衡있는 지역발전의 기반을 構築하기 위한 재정력의 확충, 재원의 배분의 적정성과 그 執行 등의 課題가 수반된다. 그러나 現實 여건화에서는 國稅의 地方移讓 둥이 어려우므로 순수한 의미의 地方自治團體의 자주재원 확충방식으로는 稅源의 대도시 偏重만을 초래하여 지방자치단체간 재정불균형을 오히려 심화시키는 結果를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安定的인 지방재정력의 保障을 위해서는 국가재정의 지방재정간의 總體的 財源配分 및 자치단체간 재정형평의 圖謀라는 지방재정조정의 문제로 歸結되어 지며, 이는 곧 지방재정조정을 위한 가장 重要한 財源인 지방교부세와 국고보조금의 合理的인 運營을 요구하게 된다. 이러한 時點에서 本 硏究는 우리나라 지방재정의 現況을 살펴보고 문제점을 導出한 후 그 개선방향을 提示하여 지방재정조정제도의 효율적 운영에 寄與하고자 한다. 첫째, 地方交付稅의 규모에 관한 改善方案으로 법정교부율 ( 現行: 내국세 총액의 13.27% )의 상향조정과 지방세 징수노력의 促進 등을 提示하였다. 둘째, 國庫補助金의 적정화와 보조금의 效果를 극대화시켜야 하고 地方讓與秘制度를 强化할 필요성이 時急하다. 세째, 現行 지방재정조정제도의 개선방안으로서 本 論文은 外國의 지방재정제도를 檢討하여 현행 지방채정조정제도와 關聯하여 지방구조적 어려움을 除去할 것으로 期待하고 있다. 즉, 수직적 재정조정을 위한 미국의 衡平支拂金制度, 그리고 수평적 재정을 위한 서독의 逆交付稅制度가 있다. 이것은 韓國의 지방재정조정제도의 개선방안으로 深刻하게 考慮되어야 할 것 이다. 이의 接近方法으로서 文獻調査를 통해 지방재정과 관계되는 書籍,論文,學術紙 등을 參考하였고 각종 統計資料는 地方自治團體豫算槪要, 地方財政年鑑, 豫算書 및 각종 統計資料 등을 調査하여 통계표를 作成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