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구 금호강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군집구조의 시간적, 공간적 변화

        황인철 한서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금호강은 포항시 죽장면 입암리 에서 발원하여 낙동강과 합류 하는 수계로 본류의 길이는 116㎞, 유로면적은 2,053㎢에 달한다. 금호강 수계는 영천시와 대구광역시를 통과하고 있어 많은 생활하수와 공장폐수가 유입되었던 역사적 배경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재 금호강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군집구조의 현황파악을 위하여 2007-2008년에 금호강의 본류구간 중 6개 지점을 선정하여 윤등이 1992년 발표한 자료를 토대로 조사된 자료와 비교를 실시하였다. 2007-2008년 총 4문 7강 14목 31과 56종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1992-1993년에 비해서 종수는 1/5배정도 증가하였고, 군집지수의 높은 풍부도 지수와 다양도 지수의 두드러진 증가는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이 비교적 안정되어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화학적 수질자료인 BOD, DO, COD는 과거보다 양호해진 것으로 측정되었다. 수생태 건강성 평가의 등급은 1992-1993년의 평균등급은 약 D등급으로 나타났지만 2007-2008년의 평균등급은 약 B등급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종합적인 결과는 금호강이 건강성을 회복하고 있고, 적극적인 관리여부에 따라 앞으로 더 건강해 질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Guemho river originates from Pohang-si, Jukjang-myeon, Ibam-ri, and joins Nakdong river. She runs 116㎞ to southern direction, and its total watershed area is 2,053㎢. Historically, the river had been known to be severely polluted by various pollutants originated from industrial and domestic waste water. In order to see spatiotemporal change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in Geumho river, we sampled bentic macroinvertebrate at six sites and compared with precedent survey result which was carried out in 1992-1993. Resultantly the occurrence of 56 species, belonging to 31 families, 14 orders, 7 classes, and 4 phyla were measured in 2007-2008. This species number was one fifth of one in 1992-1993, showing increasement of stabilized habitat for benthic macroinvertebrate in 2007-2008. Water quality parameters especially BOD, DO, and COD measured in 2007-2008 were much better than those of a precedent study in 1992-1993. Also, it is very supportive that the community structure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became more stable in 2007-2008. Which was easily inferred from the fact that higher diversity and richness indices were measured in 2007-2008 in spite of striking increasement of individual numbers at some sites. Stream ecosystem health was averagely assessed as "poor condition(D grade)" in 1992-1993, but as "good condition(B grade)" in 2007-2008.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ream ecosystem health in Geumho river has been improved with not only artificial elavoration to decline pollutant but also natural effect by subsequent establishment of biological elements.

      • 네트워크 시장지향성과 기술지향성이 동적역량과 신제품성과에 미치는 영향 : 한국 벤처기업을 중심으로

        황인철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network market orientation and technology orientation of Korean venture business operating in high-tech knowledge-intensive businesses effect their dynamic capabilities and new product performance. The eight research hypotheses were established to achieve the above research purposes, and 150 high tech industries venture business as a target were conducted to demonstrate for verification of hypotheses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for hypothesis verification are as follows. First, Technology orientation of venture busines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network market orientation, and absorption capacity, innovation orientation capacity also.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network market orient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absorption capacity of venture business, but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innovation capacity. Third, the absorptive capability to absorb and assimilate external knowledge and information into the compan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innovation capability to promote and support new strategies in new products, improvement products, processes, components, and services. Finally, absorptive capability and innovation capability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new product performance that provides new functions, improved products and new services to customer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through the abov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n academic implication, absorption and innovation capabilities, which are dynamic capabilities, are important influencing factors for new product performance of high-tech venture business. and the importance of network market orientation and technology orientation is suggested as preceding factors for strengthening these dynamic capabilities. Accordingly,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t roles and various applications of technology orientation and network market orientation, venture business should prepare a plan for strengthening the dynamic capabilities of the company and understand how to acquire and maintain competitive advantage through this. Second, As a practical point of view, by identifying the factors that can significantly affect the new product performance of high-tech venture business and the impact relationship between them, it provided logic for practical implementation measures that high-tech venture business can use to secure and sustain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case of high-tech venture business, there are essentially many difficulties in developing and applying innovative ideas related to new high-tech new technologies, To respond to this, it will be able to strengthen its absorption capacity based on network market orientation and technology orientation. and based on this, strengthen its innovation capability to lead the high-tech field and create a competitive advantage by developing world-class new products and processes. 본 연구의 목적은 첨단기술기반(High-tech Knowledge-Intensive)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한국 벤처기업의 네트워크 시장지향성과 기술지향성이 동적역량과 신제품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8개의 연구가설을 수립하고, 첨단기술을 사업목적으로 하는 150개 벤처기업들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가설검증을 실시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한 실증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벤처기업의 기술지향성은 네트워크 시장지향성과 흡수역량 및 혁신역량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네트워크 시장지향성은 벤처기업의 흡수역량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혁신역량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부의 지식과 정보를 기업 내부로 흡수하고 동화시키는 흡수역량은 신제품, 개선제품, 프로세스, 구성요소, 서비스 등에 새로운 전략을 촉진하고 지원하는 혁신역량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흡수역량과 혁신역량은 새로운 제품 기능, 기존의 형태에서 개선된 제품 그리고 새로운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신제품성과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통한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술적 시사점으로 첨단기술기반 벤처기업의 신제품성과에 동적역량인 흡수와 혁신역량은 중요한 영향요인이며, 이러한 동적역량의 강화를 위한 선행요인으로 네트워크 시장지향성과 기술지향성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첨단기술기반 벤처기업들은 기술지향성과 네트워크 시장지향성의 중요 역할 및 다양한 활용범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해당 기업의 동적역량 강화에 대한 구축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통한 경쟁우위 획득 및 유지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일정부분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실무적 시사점으로 첨단기술기반 벤처기업들의 신제품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과 이들 간의 영향 관계를 파악해 봄으로써 첨단기술기반 벤처기업들이 경쟁우위를 확보하고 지속시키는데 활용할 수 있는 실무적인 실행 방안 관련 논리를 제공하였다는 점이다. 첨단기술기반 벤처기업들의 경우 새로운 첨단 신기술과 관련된 혁신적인 아이디어 개발과 적용에는 본질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존재하고 있는데,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시장지향성과 기술지향성을 바탕으로 흡수역량을 강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혁신역량을 강화하여 첨단기술 분야를 선도하고 세계 수준의 신제품과 프로세스를 개발하여 경쟁우위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 자궁근종 환자에서 양측 자궁동맥 색전술의 임상적 평가

        황인철 순천향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자궁근종은 가임기 여성의 20%를 차지하는 매우 흔한 질환으로 과거에는 증상을 경험하는 대부분의 환자에서 자궁적출술과 자궁근종절제술등과 같은 수술적 요법이 시행되어져 왔으나 최근에는 자궁을 보존하려는 보존적 치료요법으로서 자궁동맥 색전술을 이용한 치료가 많이 시행되고 있다. 이에 저자는 2004년 3월부터 2009년 3월까지 5년 동안 자궁 출혈 등 증상을 경험했던 환자 중 자궁을 보존하고자 하는 67명을 대상으로 자궁동맥 색전술을 시행하였고 시행 후 변화된 자궁과 자궁근종의 용적 및 임상적 특징을 분석하여 일차적 치료방법으로서 자궁동맥 색전술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4년 3월부터 2009년 3월까지 자궁근종으로 진단 받은 환자 중 월경 과다, 자궁출혈, 월경통, 비뇨기계통의 증상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 중에서 자궁을 보존하기를 원하는 환자 74명에게 치료목적의 자궁동맥 색전술을 시행한 후 외래 추적관찰이 가능한 67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모든 환자에 있어서 시술 후 3, 6, 18개월 뒤 추적관찰을 하였으며 MRI와 초음파를 이용하여 자궁과 자궁근종의 용적을 계산함으로서 연속적인 비교를 하였으며, 외래에서 환자의 임상적 증상을 문진의 방법으로 추적관찰 하여 임상증상의 호전 정도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는 Paired t-test를 이용했고, p값이 0.05미만인 경우에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했다.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자궁근종의 주된 증상은 월경 과다 및 자궁출혈이었으며(97%), 월경통(73%), 비뇨기계통의 증상(34%)등을 호소하고 있었다. 2. 자궁동맥 5었으나 각각은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었다. (P<0.01). 4. 환자가 호소하는 임상증상 중 가장 뚜렷한 변화를 보인 것은 월경 과다 및 자궁출혈이며 3개월째 추적관찰에서는 매우 호전된 경우가 48%, 호전된 경우가 49%로 대부분 호전된 증상을 보였고 18개월까지 악화되거나 특별한 변화는 없었다. 5. 자궁동맥 색전술 후 발생된 합병증으로는 하복부 통증 (59%), 오심 및 구토 (14%), 발열 (12%)등이 가장 흔한 증상이었으며 그 외에 시술부위의 혈종 (4%) 및 다리의 감각이상 (4%), 장막하 근종의 질을 통한 만출 (2%)의 증상이 있었다. 6. 자궁동맥 색전술 후 한명의 환자에서 조기폐경의 합병증이 생겼으며 시술 후 임신한 4명의 여성 중 1명의 여성에서 계류 유산이 있었고, 3명의 여성에서는 성공적인 임신 및 출산의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자궁동맥 색전술 후 수태능력의 평가는 주의 깊은 세밀한 산전 진찰이 요구되며, 더 자세한 연구가 필요하다 하겠다. 결론: 증상이 있으며 자궁보존을 원하는 자궁근종의 환자에게서 자궁동맥 색전술은 자궁근종의 용적의 감소와 임상증상의 호전을 위한 최소 침습적이고 효과적인 일차적 치료방법이라 할 수 있다.

      • 한국인에서 무릎키를 이용한 신장추정의 유효성

        황인철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65세 이상의 노인과 보행이 불가능하여 신장의 측정이 어려운 사람에게 무릎키를 이용한 신장의 추정식을 적용하여 그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이며, 선정된 대상을 임의로 두 군으로 배정하여 한 군에서 유도된 공식을 다른 군에 적용하는-교차타당성만을 평가했던-이전의 연구방법과는 다르게, 보행 및 신장의 측정이 가능한 성인에게서 무릎키를 이용한 신장의 추정식을 유도하고 이것의 교차타당성 평가 뿐 아니라 실제 좌식생활을 하고 있는 사람들이나 노인에게 적용하여 그 임상적 타당성까지 평가한 최초의 연구이다.공식 유도 및 교차타당성 평가는 제 5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사업의 자료를 이용하여 성장이 멈추었다고 판단되는 20세부터 69세까지의 남녀 5063명(남자 2532명, 여자 2531명)의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5세 또는 10세 간격으로 층화한 후 각 연령대에서 임의로 20%를 추출하여 교차타당군으로 선정하고 나머지 80%에서 공식을 유도하였다. 임상적 타당성 평가는 두 종류의 대상군을 이용하여 진행하였으며, 65세 이상의 건강한 노인 군과 나이제한 없는 20세 이상의 보행이 불가능한 군이 그 대상이었다. 노인 군의 경우 2008년 4월 한 달 동안 가천의과학대학교 길병원 가정의학과 외래 및 종합검진센터에 내원한 65세 이상의 남녀 33명(남자 7명, 여자 2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은 신장의 감소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현 병력 및 과거병력이 없고, 홀로 신장을 측정할 수 있는 자들이었다. 보행불가능군의 경우 동일 기간 동안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신촌 세브란스병원 중환자실과 재활의학과에 입원해 있는 남녀 39명(남자 25명, 여자 14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이들은 적어도 연구기간동안 좌식생활을 하고 있었고, 좌식생활을 하기 이전의 신장을 의무기록을 통해 조회할 수 있는 자들이었다. 대상자에 선정된 모든 사람들의 키, 몸무게, 나이, 그리고 무릎 키를 기록하였다. 공식유도군에서 나이와 무릎키를 독립변수, 키를 종속변수로 하여 다중선형 회귀식을 유도하고, 이 식에 대하여 교차 타당성 평가 및 임상적 타당성 평가를 시행하였다.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한국인에서 나이와 무릎키를 이용하여 신장을 유추하는 공식은 남녀모두에서 매우 높은 타당도를 보였으며, 이는 보행이 불가능한 환자와 65세 이상의 노인에게 임상적으로 타당하게 적용되었다.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무릎키를 이용한 신장의 추정식은 65세 이상의 노인 뿐 아니라 실제 보행이 불가능하고 신장을 측정할 수 없는 환자들에게 임상적으로 유효하게 적용할 수 있다. 향후 무릎키를 이용한 신장의 추정식에 대한 유효성 뿐 아니라 그 유용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겠으며, 신장의 측정이 불가능한 사람들의 영양상태 평가를 위한 신체계측 시 무릎키 측정을 포함시켜야 하겠다. Information on height is prerequisite in metabolic and nutritional assessment of patients. Practical difficulties are often encountered to measure the height of the elderly and handicapped person, arising from the disability of standing straightly. This study was designed for validating height-estimated equation using knee height in elderly over 65 years old and handicapped person. This is the first study to perform the clinical validation applied in elderly and handicapped person as well as cross validation of the equation for predicting height using knee height induced by healthy adults. This study is discriminated from the previous study in that only cross validation, which an equation induced by randomly selected group was applied to the other group.A total of 5063 people (2532 males, 2531 females) ranging in age from 20 to 69 years who are determined to stop growing were included in this study from the SIZE KOREA 2004 database published by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validation group and cross validation group by stratified random sampling. Clinical validation was performed through two groups; 33 healthy elderly people over 65 years (7 males, 26 females) and 39 handicapped people over 20 years (25 males, 14 females). Height, age, and knee height were recorded in all subjects. Regression model was induced with age and knee height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height as a dependent variable. Cross validation and clinical validation were performed with respect to this equation.The main result of this study are following;It shows that height-estimated equation using knee height in Korean has high validity on both sex, and that equation was applied efficiently to the elderly and handicapped persons.Henceforth, there is a need of study that investigate the clinical usefulness of height estimation using knee height, and it should be included measuring knee height on anthropometry of handicapped person and elderly for assessing their nutritional status.

      • PMLSM의 디텐트력 및 측력 최소화를 위한 V-skew 모델의 특성 해석

        황인철 창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PMLSM의 영구 자석 형상에 따른 특성을 고찰하였다. PMLSM의 추력 리플을 저감하기 위한 방법으로 영구 자석 또는 철심에 skew를 시행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skew 적용에 따른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첫 번째 단점은 추력의 감소이다. 추력의 감소를 보상하는 방법으로 영구 자석에 오버행을 시행하였으며 오버행 길이에 따른 PMLSM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두 번째 단점은 측력(lateral force)의 발생이다. 영구 자석이 만드는 자계와 전기자 전류에 의한 자계가 비대칭이 됨으로서 스큐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발생하게 되며, 이 힘의 Z-축 방향성분 즉, 영구 자석의 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lateral force가 발생하게 된다. Lateral force는 가동자와 LM 가이드 사이에 마찰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추력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진동 및 소음원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결과를 유한 요소 해석 결과와 실험 결과를 비교함으로서 그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Skew에 의한 Lateral force를 저감하기 위해서 V 형상의 skew를 적용하였다. Lateral force의 발생 원인은 전기자 철심과 영구 자석이 Z-축 방향으로 비대칭이 되기 때문에 발생함으로 대칭 구조를 만들기 위해 V-skew 모델을 적용하였다. 유한 요소 해석 및 실험 결과, 제안 모델인 V-skew모델의 디텐트력과 Lateral force가 매우 큰 폭으로 감소하는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In order to reduce the detent force, it is universal Method to skew the permanent magnet or the armature core. However, the PMLSM have some problems by skewing them. The first problem is reduction of a thrust density. In order to compensate a decrement of the thrust density, it is applied to increase a length of the permanent magnet. That is, the permanent magnets have overhang length. The second problem is a generation of the lateral force. If the permanent magnets were skewed, the air-gap flux density caused by permanent magnets and that caused by the armature current are asymmetrical. So the lateral force is generated. The lateral force is acted as frictional force between mover and LM-guide. Therefore, the thrust density is decreased. Also, that is causative of noise and vibration. So, to eliminate the effect of lateral force, the V-skew arrangement of permanent magnet is proposed. The detent force of V-skew model is the same as that of the skew model. And the lateral force of the V-skew model is To demonstrate the propriety of this paper, the result of 3D FEM is compared with experimental value.

      • 綠內障患者의 臨床的 考察

        황인철 全南大學校 大學院 1992 국내석사

        RANK : 247631

        녹내장 환자의 조기 발견 및 치료에 도움을 주고자 1986년 1월부터 1990년 12월까지 본 병원 안과에 내원한 녹내장 환자 362명 489안에 대한 임상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안과 외래 환자중 녹내장 환자는 1.92%이었고, 속발성 녹내장(35.6%), 원발성 광우각형 녹내장(30.5%), 원발성 협우각형 녹내장(26.2%) 순으로 많았으며, 속발성 녹내장의 원인중 신생혈관성 녹내장(44.1%)이 가장 많았다. 원발성 광우각형 녹내장의 평균연령은 52.5세였고 남자(68.2%)에 많았으며, 원발성 협우각행 녹내장의 평균연령은 60.4세였고 여자(72.6%)에 많았고, 선천성 녹내장의 평균 연령은 5.8세였고 남자(68.4%)에 많았다. 원발성 광·협우각형 녹내장은 40 세 이상이 85.9%, 속발성 녹내장은 82.2%로서 많았고, 연령에 따라 증가하는 추세였다. 좌·우안간의 이환율은 전체적으로는 차이가 없었으나 원발성 광우각형 녹내장은 양안(59.1%), 속발성 녹내장은 단안(89.2%)에 발생율이 높았다. 성별에 따른 안압의 차이는 없었으며, 초진시 시야변화는 호상암점 (43.2%) 및 중심주변암점 (31.6%)이 많았다. 위와 같은 결과는 일반적으로 녹내장에 대한 인식이 낮아 병이 매우 진행한 이후에 내원하는 경향을 시사하는 것으로 간주되었기에 녹내장에 대한 계몽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We retrospectively analyzed on the data of 498 eyes of 362 patients with glaucoma from January 1986 to December 1990 in the Department of ophthalmology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prevalence of glaucoma in all patients was about 1.92 %. 2. The glaucoma patients consisted of 35.6 % of secondary glaucoma, 30.5 % of primary open angle glaucoma (POAG), 26.2 % of primary angle closure glaucoma. (PACG). 3. Neovascular glaucoma (44.1 %) has the highest prevalence rate on secondary glaucoma. 4.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ith POAG was 52.5 year and 60.4 year was that of the patients with PCAG. 5. In overall glaucoma patients there was no remarkable sex-difference except primary open angle glaucoma and secondary glaucoma. 6. The age group over 40 years old of POAG and PACG occupied 85.9 % and that of secondary glaucoma did 82.2 %. The incidence of glaucoma rises with advancing age. 7.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aterality between left and right eyes. 8. At first visit, arcuate scotoma and paracentral scotoma were common of glaucomatous visual field changes.

      • 국립대학 예산회계통합 모형연구

        황인철 단국대학교 2005 국내박사

        RANK : 247631

        One of the most pivotal factors that have greatly influenced national competitive power in the information-centered 21st century is the capacity to create new knowledge. How that knowledge is stored and applied into practical nature is an essential element in the competitive edge of an individual and on grand scale, a nation. Subsequently, as national universities gateways of information, they play an indispensable role in the country's competitiveness. However, the Korean government's uniform regulations and inflexible standardized application have often prevented and suppressed Korean national universities from administering individualized autonomy in par with each institution's unique characteristics and qualities. Consequently, the budgeting and general accounting systems of the universities and related national funds, which are under the guidelines of the government, have been inefficiently affected. Therefore, the national universities' current budget systems are in dire need of revision and improv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ent national universities' budget systems to improve the model to integrate national funds and individual universities' accounts effectively enhancing administrative operation as well as ensuring autonomy and accountability of the institutions. This study also attempted to find a desirable policy model. This study investigated both legal status and current budgeting system of universities and analyzed the changes of government policies in integrating budget system. Methodologies used in this study were mainly qualitative analysis, focusing on literature which includes academic journals, academic dissertations, government policy research reports, and other publications. Major findings in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tegrating individual university's budget system accordingly to the legal status of school is required. In the current model, limitations exist in the university budget systems that are presently under the legal jurisdictional of government policies and administration. Therefore, for better efficient budgeting, policy modifications to the legal status of universities are needed. Rather than radical conversion, the modifications should be applied in 'National University Special Accounting' model in step progressions with adequate transition time given to school administrators. Second, a plan to integrate all national university budgeting system should be considered. Integration of general account in the national account system and national property management special account, which use the cash accounting and single entry bookkeeping, school-support account for the non-national fund and indirect research expense account. It is advisable to also integrate consumer cooperation account and university endowment account, which use accrual accounting and double entry bookkeeping in the long-term. Third, in order to assimilate integrated budgeting system, it has to be in the jurisdiction of each individual institution. Each national university should be organized into special jurisdiction body or introduce a new law that sets up each universities that are exempted from Budgeting Accounting Laws which stipulates the standardized and consolidated budget system. In addition, establishing more established and comprehensive expenditure for more efficient allocation of subsidies or grants to universities should also be explored. Fourth, the bestowing corporation status to the universities should be deliberated. With the long-term strategy in promoting and propelling universities into individual corporation-like organization is feasible, maintaining the current legal status and introducing integrated budgeting system is realistic and ideal in short-term assessment. Lastly, the plan to integrate the budget systems should be viable and practical. By and large, the model should have validity, desirability, and feasibility. Rather than placing excessive focus on the validity and desirability qualities, which can yield failure, feasible approach is needed. Clear and definite strategy for the integrating of budgeting system is needed in the short-term basis. In addition, for those associated with policy decision-making process, each should also have a clear objective that they want to accomplish. Continued agreement and structuring of strategic plan will be necessary direction for the success of the model.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서는 새로운 지식의 창출과 활용 및 축적의 수준에 따라 개인과 기업 및 국가의 경쟁력이 결정되고 지식과 정보가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작용하게 됨에 따라 지식과 정보를 생산하는 지적재산의 주체인 대학의 경쟁력이 곧 국가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적인 요소가 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국립대학 운영에 대하여 국가 행정기관의 획일적·공통적인 법규와 지침을 적용함에 따라 국립대학의 특성에 맞는 자율적 운영에 지장을 초래하고 있으며 국립대학의 예산편성 및 회계 운영에 있어 국고 일반회계의 경직성과 대학자체 기성회계의 비효율성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지적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국립대학 예산회계의 운영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여 국립대학 운영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자율성과 책임성을 확보하기 위한 예산회계통합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립대학의 법적지위와 예산회계 정책을 탐색하고 현행 국립대학 예산회계의 운영 실태를 분석하며 그동안 정부가 추진하여 왔던 예산회계통합 정책의 변천과정과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관련분야의 전문서적, 석·박사학위논문을 중심으로 한 학술논문과 선행연구, 교육행정당국의 관련정책 연구보고서와 간행물 등을 중심으로 문헌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립대학 법인격에 부합하는 예산 회계제도 모형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국립대학이 현재와 같이 정부 부속기관으로서의 법적지위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예산회계 통합방안을 도입하더라도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어 국립대학 예산회계 통합방안 도입과 더불어 국립대학의 법적지위를 특수법인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다만, 일시에 전환하기 보다는 ‘국립대학특별회계’ 형태로 운영하여 대학구성원이 경험을 하고 법인화에 대비할 수 있도록 점진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국립대학의 모든 예산회계를 통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국립대학 예산회계의 통합범위는 우선 현금주의와 단식부기를 적용하고 있는 국고회계의 일반회계와 국유재산관리특별회계, 비국고회계중 기성회계와 간접연구경비회계만 통합하는 방안이 현실적이다. 장기적으로는 발생주의와 복식부기를 적용하는 소비조합회계와 발전기금회계까지 통합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셋째, 국립대학 통합예산회계의 설치단위는 개별국립대학단위가 되어야 한다. 국립대학을 특수법인으로 전환하거나 특별법을 제정하여 예산회계법에 대한 특례의 제도화를 통해 예산통일의 원칙과 예산총계주의 원칙에 대한 예외를 인정하여 각각의 개별국립대학이 설치 단위가 되어야 한다. 또한 국가의 예산은 비목의 용도를 포괄적으로 설정하여 각 국립대학에 포괄보조금 또는 교부금 형태로 총액배분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국립대학에 법인격을 부여할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국립대학에 독립된 법인격을 부여하는 것을 전제로 한 국립대학 예산회계 통합방안은 중장기적으로 추진하되 단기적으로는 현재의 법적지위를 유지하면서 일부 예산회계라도 통합하는 것이 보다 현실적인 추진전략이다. 다섯째, 실현가능성이 있는 예산회계 통합방안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국립대학 예산회계통합 방안 마련시 정책의 타당성, 소망성, 실현가능성 모두 중요하나 지나치게 타당성과 소망성을 강조하여 제도도입 자체가 실현되지 못하는 것보다는 실현가능성 있는 통합방안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단기적으로 예산회계 통합방안의 목적을 분명히 하여 정책결정과 관계되는 이해 당사자에게 적어도 한분야의 목표라도 달성되도록 지속적인 협의과정을 통하여 합의에 도달하는 전략적인 추진방안을 수립해 나가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