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반응표면분석을 이용한 히비스커스와 캐모마일 혼합차의 혼합비율 최적화=

        황은주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의 목적은 반응표면분석법(RSM)을 이용하여 히비스커스(X1)와 캐모마일(X2)의 최적 혼합비율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에 히비스커스(X1)와 캐모마일(X2)을 독립변수로, 항산화 활성, 효소활성을 종속변수로 11개의 실험을 설계하였다. 항산화 활성 분석 결과, 히비스커스와 캐모마일 혼합차의 total polyphenol 함량은 23.10∼69.47 mg TAE/g 범위였고, 3번 샘플(H 0.75 g, C 1.5 g)이 69.47 mg TAE/g으로 가장 높았고, 5번 샘플(H 0.25 g, C 0.5 g)이 23.10 mg TAE/g으로 가장 낮았다. 히비스커스와 캐모마일 혼합차의 total flavonoid 함량은 16.00∼32.97 mg QE/g 범위였으며, 3번 샘플(H 0.75 g, C 1.5 g)이 32.97 mg QE/g으로 가장 높았고, 11번 샘플(H 0.75 g, C 0.5 g)이 16.00 mg QE/g으로 가장 낮았다. 히비스커스와 캐모마일 혼합차의 DPPH radical scavenging 활성은 99.69∼90.83%의 범위였으며, 3번 샘플(H 0.75 g, C 1.5 g)이 99.69%로 가장 높았고, 6번 샘플(H 0.5 g, C 1.0 g)이 90.83%로 가장 낮았다. 히비스커스와 캐모마일 혼합차의 ABTS radical scavenging 활성은 84.03∼45.88%의 범위였으며, 3번 샘플(H 0.75 g, C 1.5 g)이 84.03%로 가장 높았고, 5번 샘플(H 0.25 g, C 0.5 g)이 45.88%로 가장 낮았다. 효소활성 분석 결과, 히비스커스와 캐모마일 혼합차의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는 39.79∼84.52%의 범위였으며, 3번 샘플(H 0.75 g, C 1.5 g)이 84.52%로 가장 높았고, 2번 샘플(H 0.25 g, C 1.5 g)이 39.79%로 가장 낮았다. 히비스커스와 캐모마일 혼합차의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는 54.40∼61.15%의 범위였으며, 2번 샘플(H 0.25 g, C 1.5 g)이 61.15%로 가장 높았고, 11번 샘플(H 0.75 g, C 0.5 g)이 54.4%로 가장 낮았다. 히비스커스와 캐모마일 혼합차의 elastase inhibitory activity는 97.82∼55.09%의 범위였으며, 3번 샘플(H 0.75 g, C 1.5 g)이 97.82%로 가장 높았고, 5번 샘플(H 0.25 g, C 0.5 g)이 55.09%로 가장 낮았다. 히비스커스(X1)와 캐모마일(X2)의 혼합차에서 캐모마일이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할수록 항산화 활성과 효소활성이 높아졌다. 이때 항산화 활성과 효소활성이 최대로 발현된 히비스커의(X1)의 함량은 0.56 g, 캐모마일(X2)의 함량은 1.50 g이었다. 이 최적점의 total polyphenol 함량은 67.02 mg TAE/g, total flavonoid 함량은 30.25 mg QE/g, DPPH radical 소거능은 99.69%, ABTS radical 소거능은 82.52%, 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79.91%,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는 57.88%, 그리고 elastase inhibitory activity는 89.47%로 예측되었고, desirability는 0.642였다. 결론적으로 히비스커스와 캐모마일 혼합차의 생리활성(항산화 활성과 효소활성)의 최적점은 히비스커스 0.56 g에 캐모마일이 1.50 g으로 혼합되었을 때였다. 향후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다양한 건강 차가 개발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the optimal mixing ratio of hibiscus (X1) and chamomile (X2) by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Therefore, 11 experiments were designed with hibiscus (X1) and chamomile (X2)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antioxidant activity and enzymatic activity as dependent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antioxidant activity analysis,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the hibiscus and chamomile blends ranged from 23.10 to 69.47 mg TAE/g, with sample 3 (H 0.75 g, C 1.5 g) being the highest at 69.47 mg TAE/g, and sample 5 (H 0.25 g, C 0.5 g) being the lowest at 23.10 mg TAE/g. The total flavonoid content of the hibiscus and chamomile blends ranged from 16.00 to 32.97 mg QE/g, with sample 3 (H 0.75 g, C 1.5 g) having the highest at 32.97 mg QE/g and sample 11 (H 0.75 g, C 0.5 g) having the lowest at 16.00 mg QE/g.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hibiscus and chamomile blends ranged from 99.69 to 90.83%, with sample 3 (H 0.75 g, C 1.5 g) having the highest at 99.69% and sample 6 (H 0.5 g, C 1.0 g) having the lowest at 90.83%.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hibiscus and chamomile blends ranged from 84.03 to 45.88%, with sample 3 (H 0.75 g, C 1.5 g) having the highest at 84.03% and sample 5 (H 0.25 g, C 0.5 g) having the lowest at 45.88%. The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the hibiscus and chamomile blends ranged from 39.79 to 84.52%, with sample 3 (H 0.75 g, C 1.5 g) having the highest activity at 84.52% and sample 2 (H 0.25 g, C 1.5 g) having the lowest at 39.79%. The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the hibiscus and chamomile blends ranged from 54.40 to 61.15%, with sample 2 (H 0.25 g, C 1.5 g) having the highest at 61.15% and sample 11 (H 0.75 g, C 0.5 g) having the lowest at 54.4%. The elastase inhibitory activity of the hibiscus and chamomile blends ranged from 97.82% to 55.09%, with sample 3 (H 0.75 g, C 1.5 g) having the highest at 97.82% and sample 5 (H 0.25 g, C 0.5 g) having the lowest at 55.09%.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enzymatic activity increased as the percentage of chamomile in the blend of hibiscus (X1) and chamomile (X2) increased. At this time, the content of hibiscus (X1) was 0.56 g and the content of chamomile (X2) was 1.50 g, which expressed the maximum antioxidant activity and enzymatic activity.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at this optimum point was 67.02 mg TAE/g, total flavonoid content was 30.25 mg QE/g,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99.69%,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82.52%, 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was 79.91%,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was 57.88%, and elastase inhibitory activity was 89.47%, and desirability was 0.642. In conclusion, the optimal point of bioactivity (antioxidant activity and enzyme activity) of hibiscus and chamomile blend tea was 0.56 g of hibiscus and 1.50 g of chamomile. We hope that various healthy teas will be developed based on this study.

      • 신갈나무림과 잣나무림의 총 토양 co2 발생에 대한 뿌리호흡의 기여

        황은주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토양표면의 CO2 방출(토양호흡)은 육상생태계와 대기 사이의 중요한 탄소순환 경로이며, 환경변화에 대하여 민감하게 반응한다. 토양호흡(Rs)을 뿌리호흡(Rr)과 미생물호흡(Rm)으로 구분하는 것은 식생형태에 따른 그들의 서로 다른 반응을 이해하기 위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대학교 학술림의 낙엽활엽수인 신갈나무림과 상록침엽수인 잣나무림을 대상으로 트렌칭방법을 적용하여 Rs에 대한 Rr의 기여율을 파악하였다. 각 임분에 대조구와 단근처리구를 설치하고 2008년 9월부터 2009년 10월까지 IRGA를 사용하여 토양호흡속도를 측정하였다. 두 임분 모두 Rs와 발생원별 뿌리와 미생물 호흡은 토양온도(ST)의 계절변화와 동조하는 패턴을 보였다. Rs속도(g CO2/m2/hr)는 겨울철에 낮았고 7월 하순에 가장 높았다(신갈나무림과 잣나무림 각각 1.18과 0.95). 각각의 처리구에서의 평균 Rs속도(g CO2/m2/hr)는 신갈나무림의 대조구와 단근처리구, 잣나무림의 대조구와 단근처리구에서 각각 0.556, 0.382 및 0.447, 0.311이었다. 두 임분 모두 대조구와 단근처리구의 CO2 방출과 토양온도간의 지수함수 관계는 57∼87%의 설명력을 보였으나, CO2 방출과 토양수분간에는 상관성이 크지 않았다. 잣나무림의 Rs, Rr 및 Rm에 대한 Q10 값은 (Rs: 4.35, Rr: 4.62 및 Rm: 3.74)는 신갈나무림의 Q10 값(Rs: 3.35, Rr: 3.45 및 Rm: 3.32) 보다 높았으며, Rm보다 Rr이 온도에 대한 민감성이 컸다. Rs에 대한 Rr의 비율은 신갈나무림과 잣나무림이 각각 34.4∼34.3%로 임분간 차이는 없었다. 연간 Rs, Rr 및 Rm 값(t C/ha/yr)은 신갈나무림에서 13.1, 4.1 및 9.0, 잣나무림에서 10.5, 3.2 및 7.3으로 추정되었다. 연간 litterfall 생산은 신갈나무림이 잣나무림보다 1.7배 정도 많았으나, 분해계수(k)는 신갈나무림이 0.23으로 잣나무림의 0.12 보다 높았다. 신갈나무림은 잣나무림에 비해 토양의 총질소와 유효인 및 토양유기물 함량이 높았고 용적밀도는 낮았다. 본 연구의 결과 신갈나무와 잣나무의 식생형 차이에 따른 총 토양호흡에 대한 연간 뿌리호흡의 기여는 차이가 없었으나, Rs에 대한 Rr의 계절변화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두 임분모두 Rm보다 Rr의 온도에 대한 민감도가 Rs의 연간변이를 결정하는데 보다 중요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Soil surface CO2 efflux (soil respiration, Rs) is a major carbon pathway from terrestrial ecosystems to the atmosphere and is sensitive to environmental changes. Partitioning Rs into root respiration (Rr) and microbial respiration (Rm) components is crucial for understanding their differential responses to vegetation types. A trenching method was used to determine the contribution of Rr to Rs in an evergreen coniferous stand (Pinus koraiensis, standP) and a broad-leaved deciduous stand Quercus mongolica, standQ) in Research Forest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Soil respiration rates in a trenched plot (standQ, Qtren ; standP, Ptren) and in a control plot (standQ, Qcont ; standP, Pcont) in each stand were measured from September 2008 to October 2009 by using IRGA. The seasonal changes in Rs and its components paralleled the seasonal pattern of soil temperature (ST) in both stands. Rs rate (g CO2/m2/hr) was low during the winter and peaked in late July (1.18 in standQ and 0.95 in standP). The average Rs rate (g CO2/m2/hr) measured in each plots were 0.556, 0.382, 0.447 and 0.311 for stands Qcont, Qtren, Pcont and Ptren, respectively. A simple exponential relationship between soil ST and efflux accounted for 57 - 87% of the observed variation for the control and trenched plots for both stands, where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Rs with soil water content (SWC) was detected. The Q10 values for Rs , Rr and Rm in standP (Rs : 4.35, Rr : 4.62 and Rm : 3.74) were higher than in standQ (Rs : 3.35, Rr : 3.45 and Rm : 3.32), respectively. The temperature sensitivity of Rr was higher than that of Rm. The contribution of Rr to Rs was 34.4% for standQ and 34.3% for standP. The annual values for Rs, Rr and Rm were estimate as 13.1, 4.1 and 9.0 t C/ha/yr for standQ and 10.5, 3.2 and 7.3 t C/ha/yr for standP, respectively. Litterfall mass in standQ was greater than that in the standP about 1.7 times. Litter decomposition rate constant (k) was much higher for standQ (0.23) than for standP (0.12). The concentrations of total nitrogen, available phosphorus and sil organic matter were higher in standQ than in standP, whereas bulk density was lower than that in standP.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uggested that vegetation type (Q. mongolica and P. koraiensis) did not affect the annual mean contribution of Rr or Rm, but did affect the pattern of seasonal change in contribution of Rr to Rs. In addition, the temperature sensitivity of Rr may be more important in determining the annual variability of Rs than that of Rm in Q. mongolica stand and P. koraiensis stand.

      • 펄 벅의 『대지』에 나타난 땅과 여성의 의미

        황은주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s of earth and woman in The Good Earth. Humans live for food that comes from the earth and live in a society on the ground. Life is compared to a journey, not a destination. As a corollary, the earth begins to play an important role on this long journey, since humans by deduction cannot live without land, agriculture, and so on. Wang Lung’s reverence for land is responsible for his inner goodness, as well as for his increasing material success. While human success is transitory, the earth endures forever. It shows us the circle of human life and property just as circle of life of human. As Wang Lung got more land, he got some more power. Throughout the novel, a connection to the land is associated with moral piety, good sense, respect for nature, and a strong work ethic, while alienation from the land is associated with decadence and corruption. Wang Lung, a farmer, has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 earth because he produces his harvest through his own labor and relaxes on it. Earth is an essential thing like blood and body consisting of body consisting of body. Whenever he got tired and weary, he goes to his own field. Earth always healed his illness as well as loneliness. Therefore Earth is a religion to him. It also is the resource that produces all lives. Every living creature is from the land and lives on it. Earth embraces all living things and make them grow in the mother nature. The Good Earth also explores the position of women in traditional Chinese culture, focusing on the hardships and limitations faced by women, from abuse in childhood to servitude in adulthood. It presents in an unbiased manner the practices of foot-binding, female infanticide, and selling daughters as slaves, constantly drawing attention to the circumstances that would impel a woman to commit such actions without ever endorsing the actions themselves. She also suggests that husbands who take concubines and work their wives like slaves are not necessarily cruel men, but people behaving as their society mandates. According to this story, I divided the roles of woman as gender and sex with the consideration and found the meanings of woman. Through Olan as a good gender model in a sociocultural aspect, the meaning of woman is defined as sacrifice, dignity and wisdom. Olan is deeply associated with the good land for her diligence and thrift. And Lotus and Cuckoo play roles as sex in a biological aspect. They lived a passive and consumptive life, selling their body as a sexual product. So the meanings of woman as a sex could be regarded as production in a state of tool and assistant in a man society. It is very important for us to live a harmonious life with a nature keeping true value of woman in mind. 인간들의 영원한 고향인 땅과 모든 인류의 어머니인 여성의 의미를 『대지』에서 찾아보고자 한다. 인간은 땅에서 와서 땅이 내어 주는 것을 먹고 그 땅 위에서 터를 이루고 살아간다. 인생을 긴 여정으로 비유할 때 땅은 그 여정의 출발지이고 목적지이다. 인간은 땅을 떠나 살아갈 수 없고 대자연의 좋은 땅은 모든 인류의 어머니와 같다. 그러므로 땅과 여성은 모든 인류의 어머니라고 할 수 있다. 『대지』는 왕릉이 가지고 있는 자연에 대한 경외심이 그를 부자로 만들고 왕릉 내면에 존재하는 선함의 이유가 된다고 제시한다. 또한 인간의 흥망성쇠는 일시적이고 변하는 것이지만 땅은 영원하다는 것을 나타낸다.『대지』는 인간이 태어나고 자라고 죽는 것처럼 인간의 삶과 그 재물도 흥하고 망하면서 같이 순환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왕릉(Wang Lung)은 땅을 가지면서 권력을 갖게 된다. 왕릉과 땅의 결속은 도덕적인 경건, 뛰어난 분별력, 자연에 대한 경외, 열심히 일하는 노동 가치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반면에 왕릉과 땅과의 불화는 부패타락과 연관된 것으로 나타난다. 농부 왕릉은 땅에서 열심히 일하고 땅에서 평안을 누리므로 땅과 친밀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땅을 중심으로 살아가는 왕릉에게 땅은 왕릉의 몸을 이루고 있는 살과 피와 같은 절대적인 가치로 존재하고 또 왕릉의 신념과 꿈이 되는 종교와 같은 이상적인 가치로 존재한다. 땅은 모든 생명이 시작되는 원초적인 공간으로서 유기적 생명체에게 생명력을 공급해주는 생명의 터이고 원동력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땅을 떠나 왕릉이 도시에서 살아갈 때도 땅은 왕릉이 돌아가 안식하고 싶어 하는 영원한 고향이었다. 또한 도시의 새로운 사상과 혁명도 왕릉이 땅을 향해 가지고 있는 염원을 무너뜨릴 수 없었다. 또한 『대지』는 여자로서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고난과 한계상황에 초점을 맞추어 중국여성의 학대받는 어린 시절과 예속되어 있는 여자의 삶을 이 작품에서 말하고 있다. 펄 벅의 삶 전체가 여성주의였지만 그녀는 이 현상을 정치적이고 사회적으로 문제화시키지 않고 냉정하고 중립적인 어조로 중국 여자들이 당하는 압박을 나타냈다. 여성들의 전족, 여자유아 살해, 딸아이 인신매매 그리고 여자 스스로가 그런 행동을 할 수 밖에 없도록 만드는 중국 사회의 분위기를 편견이나 선입견 없이 말하고 있다. 첩을 들이고 아내를 종처럼 대하는 남편들의 모습을 잔인하게 설정하지 않고 그 사회로부터 부여받은 당연한 권리를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냈다. 이에 따라 이 작품에 나타난 여성들을 젠더(gender)와 섹스(sex)의 개념으로 나누고 그에 부합하는 여성들을 살펴보고 그 의미를 알아보았다. 먼저 사회문화적으로 훌륭한 역할을 한 젠더로서의 올란(Olan)의 삶을 통해 그녀의 희생과 순종과 지혜를 여성의 의미로 부여했다. 올란의 정직하고 화려하지 않고 부지런하게 살아가는 모습은 좋은 땅과 많이 일치한다. 올란은 땅에서 열심히 일할 뿐만 아니라 땅의 가치를 알고 땅을 소중하게 여기는 삶을 살았다. 이런 올란과 반대 이미지로 나오는 로터스(Lotus)와 쿠쿠(Cuckoo)는 생물학적 성 섹스로서의 여자역할을 한다. 이들은 예쁜 외모로 자신의 몸을 하나의 상품화시키면서 자신들의 정체성을 남자나 사회로부터 부여 받는다. 이들은 주체적이고 생산적인 올란의 삶과는 달리 수동적이고 소비적인 삶을 살았다. 이에 따라 섹스로서 여성의 의미를 생산자와 남성 욕망의 대상으로 볼 수 있고 이는 지극히 남성사회의 도구적이고 보조적인 개념이라 할 수 있겠다. 위에서 살펴본 땅과 여성의 의미를 통해 인간은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살아갈 때 행복하고, 남성은 여성의 참 가치를 소중히 여기면서 함께 살아가야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 손병사 이야기 연구 : 밀양 산내·산외면 현지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황은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고는 이야기판의 여러 조건이 이야기 연행(演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손병사 이야기의 변이 양상을 통해 살펴본 것이다. 손병사 이야기는 손씨(孫氏) 성(性)을 가진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에 관한 것으로, 경상도 일대에 전해오고 있다. 특히 손병사가 태어났다고 하는 밀양지역은 이야기 전승에 있어서 일종의 거점 역할을 하고 있다. 손병사는 과거 지방의 한 중소 도시에 불과했던 밀양에서 높은 벼슬을 했던 양반으로 회자되고 있으며, 그에 대한 여러 이야기가 전승되었던 것이다. 이야기판은 대체로 혈연과 지연 등 오랜 기간 축적된 관계망을 토대로 만들어지는데, 손병사 이야기는 지역사회와 이야기 속 인물의 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있기 때문에 이야기가 연행되는 과정에서 이야기판의 여러 조건들이 상호 작용하는 양상 또한 첨예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양상은 연행자가 손병사 이야기를 꺼내게 된 계기나 태도, 이야기에 대한 평가 등 이야기 연행의 전 과정에서 찾을 수 있다. 따라서 밀양 산내면과 산외면의 현지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각각의 연행자들이 손병사 이야기를 어떻게 수용?향유하는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서 연행자들이 선호한 손병사 이야기의 내용을 ‘손병사 어머니가 당을 없애는 이야기’, ‘손병사가 발가벗고 집으로 돌아오는 이야기’, ‘손병사가 도깨비와 만나는 이야기’, ‘윤좌수가 손병사를 무서워하지 않은 이야기’ 등의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유형별로 살펴본 결과 손병사 이야기의 연행에는 이야기판에 참여한 연행자의 일직손씨(一直孫氏) 여부나 성별, 계층적 성향 등의 조건이 변이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일직손씨 연행자들은 손병사를 자신의 가문에서 배출되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인물에 관해 잘못 해석될 여지가 있는 내용을 피하거나 손병사의 대범함이 나타나는 내용을 강조하여 이야기했다. 그리고 여성 연행자는 손병사가 발가벗고 온 사건 자체를 재미있게 다루고 있어서, 지역 출신이라는 측면을 부각하는 의도가 강했던 남성 연행자들과 일정한 차이를 보였다. 연행자의 계층적 성향에 따라서도 다원마을 앞길을 막았던 대상이나 윤좌수에 대해 서로 다르게 이야기했다. 산외면과 산내면은 다양한 성씨가 모여 사는 민촌이 많았던 반면 이야기에 등장하는 손병사를 자신의 선조로 여기는 일직손씨가 일가를 이룬 마을도 있었다. 이에 연행자들이 손병사 이야기를 대하는 이해관계 또한 서로 다를 수밖에 없었다. 특히 손병사가 결정적인 순간에 보인 행동으로 인해 큰 인물이 되지 못했다는 내용의 이야기를 연행할 경우, 인물에 대한 연행자들의 평가는 여러 가지로 나타났다. 병사라는 관직에 대해 밀양이라는 지역과 연결지어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주기도 했다. 즉 손병사 이야기의 연행을 통해 지역민으로서의 다양한 시각이 교차되고 있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지역사회 통합돌봄의 욕구에 관한 질적 연구 : 노인, 가족, 서비스 제공자의 관점을 중심으로

        황은주 아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노인이 지역사회 안에서 살아가는데 필요한 지역사회 통합돌봄의 욕구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8년 이후 노인 돌봄서비스가 다양하게 지원되고 있지만, 여전히 노인을 비롯한 가족, 서비스 제공자 어디 하나 만족 없이 돌봄에 대한 부담과 한계를 느끼고 있다. 또한, 돌봄에 대한 노인, 가족, 서비스 제공자 세 주체의 경험과 인식이 각기 다름에도 불구하고 획일적이고 정형화된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노인이 되면 누군가의 도움으로 살아야 하지만, 서비스의 한계로 인해 생의 마지막을 낯선 시설에서 보내야 하는 현실에 노인은 좌절한다. 시설이 아닌, 자신이 살던 곳에서 이웃과 함께 생활하기 위한 기대 욕구를 당사자의 목소리로 들어보고 그에 맞는 서비스 실현을 위해 정책적 제언을 개진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돌봄에 대한 노인, 가족, 서비스 제공자 세 주체의 경험과 인식은 무엇이며 지역사회 안에서 살기 위해 기대하는 서비스는 무엇인지를 당사자의 언어로 표현했다. 연구 결과 노인, 노인의 가족, 서비스 제공자가 말하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공통점으로 첫째, 돌봄서비스 시간 증가 욕구이다. 둘째, 사회활동의 중요성이다. 셋째, 노인에게 맞는 의료지원과 주거환경개선이다. 차이점은 첫째, 안전과 자유 간의 딜레마이다. 둘째, 서비스 제공자의 역할에 대한 다른 기대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한 정책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욕구에 맞는 다양한 주거형태가 필요하다. 둘째, 통합적 의료지원과 맞춤형 주거환경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해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복지개선과 정확한 지침이 있어야 한다. 넷째, 노인의 욕구에 맞는 돌봄을 위한 2인 1조의 서비스 지원이 필요하다. 이러한 지원과 제도의 변화를 통해 노인이 타의에 의해 낯선 시설입소가 아닌, 자신이 살던 지역에서 생의 마지막을 보낼 수 있을 것이며, 더 나아가 자기 삶의 주체적 선택과 인간의 존엄성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 고등학교 사회과 교과목에 있어서 통합교육과정과 과목선택형 수준별 교육과정의 비교 연구

        황은주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고등학교 사회과의 교육과정인 ‘통합 교육 과정’과 ‘과목 선택형 수준별 교육과정’에 대한 비교 연구이다. 또한 이 연구가 앞으로 있을 사회과의 교육개정에 도움이 되고자,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함께 제시하였다. 현실적으로는 이 논문이 사회과 교사가 되려고 준비하고 있는 사범대생과 교직이수자, 그리고 교육 대학원의 학생들에게 참고가 되었으면 한다. 우리가 사회과목의 교사가 되기 위해서 교육학 수업과 전공 수업, 교양 수업, 교수법 등을 배우고 있지만, 학교를 다니고 있는 동안에도 고등학교 교과의 구체적 내용을 모르고 졸업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전문성을 갖춘 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자기가 담당한 교과과목에 해당하는 전공 분야에서 고도의 지식과 기능을 갖추어야 한다. 여기서의 기능은 교수 기술이다. 가르칠 내용을 잘 알고 있는 사람이 그것을 가르치는 방법도 잘 알 수 있다. 교과목에 대한 전문가적 지식을 가진 교사는 핵심적인 요소와 주변적인 내용을 구별할 수 있고, 학생들에게 유용한 내용과 부적합한 내용을 선택하여 가르칠 수 있으며, 특정한 학습내용을 가르친 후에 나타나는 성과가 바람직한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가르치는 내용에 대한 완전한 지식을 가지고 있는 교사는 해당 교과목의 내용이 근거하고 있는 가장 본질적인 기초개념, 기초원리 등을 학생들에게 가르칠 수 있다. 그리고 기초에 의한 심화와 이해를 돕기 위한 예들도 적절히 들 수 있다. 여기에 교과서 내용 분석의 이유가 있다. 제1장에서는 ‘통합교육과정’과 ‘과목선택형 수준별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내용을 사회과 개선 방향의 제시와 사회과 교과 내용 분석의 중요성을 중심으로 서술하였다. 제2장에서는 ‘통합교육과정’과 ‘과목선택형 수준별 교육과정’이란 무엇이고, 어떤 유형들이 있는가, 그리고 아직도 운영상의 혼란이 계속되고 있는 교육과정으로의 개정이 왜 필요했는가를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복잡하게 편성되어 보이는 고등학교 교과 중에서 통합교과와 일반사회 계열의 선택 교과의 내용을 분석했다. 이 분석은 교과 내용의 주요 개념에 충실하여, 각 단원의 영역별로 학습 내용이 무엇인지, 또 사용되고 있는 주요 용어가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물론 교수 시 유의할 점까지 분석한 것은 아니지만, 이 장을 보면 각 선택 교과 과목의 내용 체계와 제7차 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의 일반사회과목의 학습내용이 무엇인지, 각 분과 별로 특징을 한번에 알 수 있을 것이다. 제4장에서는 통합교육과정과 과목선택형 수준별 교육과정의 문제가 되고 있는 점과 그에 대한 개선 방향을 언급했다. 교과 내용을 정확이 알아야 학생을 가르치듯이, 혼란스러운 교육 현장에서 깨어 있는 사회과 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교사가 되기 이전부터 현재 운영 중인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그에 대한 보완점을 미리 생각하고, 준비해야 된다. 또 그렇게 준비한다면 사회과 개정 취지에 맞는 효과적인 교과 운영이 될 것이다. 제5장에서는 앞 장의 내용들을 간단하게 요약을 했으며 문제점등을 보완하는 여러 개선점 중에서 연구자가 개인적으로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던 것을 중심으로 몇 가지를 제안했다. 그 중 하나가 교원 임용에 관한 것으로 사범대생의 역할과 교육대학원생의 역할을 분화하여 ‘통합교육과정’에 해당하는 교과과목은 교육기간을 1-2년 정도 늘린 사범대의 사회교육과가 담당하고 ‘과목선택형 수준별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교과과목은 해당 전공분야를 졸업한 교육대학원생이 담당하는 것이 교사의 전문성을 높이고 교원양성의 혼선을 줄일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의 하나임을 제언 하였다. 현재 고등학교 현장에서 사회과는 혼란을 겪고 있다. 학생들은 사회 과목을 별로 중요하지 않은 과목으로 생각하고 있다. 또한 재미없고 암기 할 것이 많은 과목으로 인식한다. 사회 과목의 교사가 되고자 하는 한 사람으로 안타까운 일이다. 고등학교의 학생들은 자신의 사고를 좌우할 수 있는 가치관을 정립할 시기이며, 사회 과목은 학생들의 가치관을 올바르게 형성시키고 올바른 판단력과 합리적인 사고를 형성시키는 교과 과목이다. 그러나 고등학교 사회과의 현실은, 대학 입시를 위한 객관식 시험 제도로 인해, 모든 영역에 대한 개념의 인지가 학습목표가 되어 버렸다. 사회 과목이 학생들에게 외면당하지 않는 교과가 되기 위해서는 교과서나 교육과정의 개선을 통해서 학생들에게 바람직한 교육을 제공하는 것도 꼭 필요하다. 그렇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교사가 학생들을 다각적인 측면에서 바라볼 수 있도록 도와주며,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넓은 세상에 나아가 자신들의 의지와 가치관을 가지고 사회에 적응하는 능력을 키워 주는 것이다. 이러한 역할은 교육과정의 개선보다도 교사의 개인적인 노력이 더욱 더 필요하다. This research is a comparative study on "integrated curriculum" and "elective stratified curriculum," both of which are the curriculum of high school social science subjects. The thesis starts with a hope that it serves as a good reference for students at teachers' college who are preparing to be teachers, prospective teachers who completed required education courses to be qualified for the teaching license, and students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ough they take education courses, elective courses and teaching methodology courses, most of them graduate without having an opportunity to learn the organization of highschool textbook contents. However, to be professional, a teacher should be equipped with advanced knowledge and functions in their specialized field of the subject they teach. The functions here refer to teaching skills. Those who know well about what to teach are expected to be familiar with how to teach as well. The teachers with professional knowledge in their own subjects of teaching can tell core subjects from marginal contents, and can teach students selections of useful contents. They are even able to judge the appropriate performance which teaching certain learning contents lead students to make. Chapter II addresses the concepts of what "integrated curriculum" and "elective stratified curriculum," and the need to reform the existing curriculum which has confusion in its operation. Chapter III is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of integrated subjects and general social science subjects among high school subjects, which seem to be organized in a complicated manner. This analysis reflects the major concepts in the textbooks as they are, examining the learning contents by unit and the major terms in use. This chapter is very informative to understand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learning contents by subject. Chapter IV is the presentation of problems in integrated curriculum and elective stratified curriculum with some suggestions for future improvement. Just as a teacher can teach students only when they have accurate knowledge of textbook contents, prospective teachers need to think and be prepared for the problems and complementary solutions of the curriculum currently in operation in order to be alert in practice. If well prepared, a teacher will be able to operate curriculum effectively to best suit the purpose of the reformed social science subjects. Chapter V is a brief summary of this thesis along with a few suggestions of what to be improved, which this researcher considers the most important. Currently, there are confusions in social science subjects in practice at schools. Student consider social science subjects unimportant. They think of social science as a dull subject with a lot to memorize. It is an undesirable reality to a prospective social science teacher. High school period is an important time when students can establish their lifelong values, and social science is the subject that helps them develop sound value sets and form sound judgment and rational thinking. It is essential that social science subjects be reformed to provide students desirable education not to be neglected by students. More importantly, however, it is necessary for teachers to lead students to look at things from more diverse points of view and to help them to develop abilities to adapt themselves to the society after graduation with well-balanced values and strong wills. Thus, the focus of the suggestions for future improvement is placed on the teachers' individual efforts over the curriculum.

      • 생태계서비스를 활용한 이익공유 법리 연구 : 환경비용편익분석과 통합환경평가의 연계를 중심으로

        황은주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639

        보전과 개발을 둘러싼 환경갈등에서 환경영향평가는 사업을 늦추기는 하였으나 사업 그 자체를 멈추게 하지는 못하였다. 환경영향평가 제도는 본래 동물상과 식물상 중심의 정태적 환경자산을 조사하기 때문에 개발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알기 어려웠고 특히 갈등에 당면하여 이해관계자나 일반 대중이 환경영향평가 부실을 이유로 개발사업에 대한 사법심사를 청구할 수 없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였다. 결과적으로 환경영향평가는 갈등해소에 별다른 도움을 주지 못한 채 오히려 개발사업에 대한 면죄부라는 비판을 자초하였으며 보전진영 쪽에서는 그런 역할에 머무는 환경영향평가보다는 차라리 개발대상지에 서식하는 멸종위기종에 의존하여 개발을 저지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곤 하였다. 물론 대규모 국책사업의 경우에는 사전타당성평가절차에서 비용편익분석을 실시한다. 하지만 비용편익분석의 주체와 방법에 따라 편차가 심하여 객관적인 평가의 척도로 작용하기 어려웠다. 또한 비용편익분석은 민간개발사업의 경우에는 의무적인 과정이 아니었다. 이러한 이유로 말미암아 종래 환경을 둘러싼 분쟁은 객관적인 계산이나 척도가 부실한 가운데 대부분 주관적 판단에 의존하여 진행되었기 때문에 합의가 어려웠고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었다. 생물다양성협약(1992)에 기원을 둔 ‘생태계와 생물다양성의 경제학’은 정책 부재로 인하여 발생하는 비용에 주목하면서 생태계서비스를 정책무대에 등장시켰다. 특히 UN환경계획의「새천년 생태계평가 보고서」(2005)는 생태계 건강성의 유지 및 생물다양성의 보전 그리고 이로부터 유출되는 생태계서비스와 인류후생의 관계에 주목하면서 생태계서비스를 중요한 의제로 다루었다. 「새천년 생태계평가 보고서」는 “자연 생태계가 인류에게 제공하는 모든 혜택”을 생태계서비스로 정의하면서, 이를 지원(지지)서비스, 공급서비스, 조절서비스 및 문화서비스의 네 가지 범주로 구분하였다. 이어 생물다양성협약 제10차 당사국 총회에서 채택한 아이치목표(2010)는 각 당사국에 대하여 생태계와 생물다양성 및 생태계서비스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것을 요구하였다. 우리나라는 이러한 흐름을 수용하여 ‘생태계가 제공하는 서비스’(제15조)라는 개념을「생물다양성의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2012)에 도입하였고, 제3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에서 개발과정에 생물다양성의 가치를 통합시키고 사회적 취약계층의 생태계서비스 수요를 증진시킨다는 목표를 구체화시켰다. 대부분의 개발계획이나 개발사업에서 갈등이 빚어짐은 개발로 얻는 경제적 편익과 개발로 잃는 생태적 편익 그리고 이 편익들이 초래하는 기회비용 간의 불균형 때문이라 볼 수 있다. 반복되는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해법을 모색하는 측면에서라도 개발사업자들은 생태계서비스 공급의 조력자, 예컨대 토지 소유자 혹은 관리자나 지역주민들과 함께 자연자본에서 발원하는 혜택과 비용을 공평하게 분배해야 함을 인식하여야 한다. 이 연구는 ‘생태계서비스를 고려한 개발사업계획의 수립’이란 관점에서 생태경제학과 맥락을 같이하는 ‘생태계와 생물다양성의 경제학’이 국제사회에 제시한 방법론을 원용하여 개발과 보전의 갈등에서 초래되는 기회비용의 환산과 보상에 이해당사자 상호 간의 이익교환을 실현할 수 있는 제도적 경로를 모색함을 연구의 출발점으로 삼았다. 생물다양성협약은 ‘생물다양성 요소의 지속가능한 이용’(제10조)을 규정하였고 나고야의정서는 ‘유전자원에 대한 공정하고 공평한 이익의 공유’(제15조)를 표명하였지만, 이 연구에서는 유전자원을 넘어 생태계서비스 전반에 대한 공정하고 공평한 이익의 공유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입장을 취한다. 독일 국제개발협력기구가 추구하는 이익교환은 이러한 측면에서 이익공유와 맥락을 같이한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는 ‘생태계와 생물다양성의 경제학’을 넘어 제도주의 생태경제학 방법론과 맥락을 같이 하는 영국 환경‧생태계서비스평가 방법론과 독일 국제개발협력기구(GIZ)의 단계별 접근법에 따라, “개발계획에 생태계서비스를 통합한다”는 목표를 염두에 두고 그 목표의 달성을 위하여 생태계서비스와 관련된 현행 법제를 분석하였으며 생태계서비스의 가치를 개발계획이나 개발사업들에 언제 또 어떻게 구체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가를 성찰하였다. 우리 현행법제가 UN환경계획이 권고하는 ‘통합환경평가’를 수용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미흡함을 전제로 이해당사자 간에 조합계약(컨소시움)을 체결하고 생태계서비스지불과 같은 수단을 통하여 이익교환을 달성해 볼 것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계약방식에 의한 이익의 공유는 법적안정성을 결여할 소지가 있기 때문에 이 연구에서는 궁극적인 방법으로 환경영향평가 절차를 개선하는 입법론으로서 환경영향평가법령에 생태계서비스 평가를 접목시키고 이후 환경비용편익분석을 추가하는 단계적 접근방안을 제안하였다. 나아가 이 연구는 종래 GDP를 중심으로 하는 국가계정체계에 자연자본계정을 도입하고 그에 따라 생태계서비스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법적 경로를 제시하였다.

      • 학습 속도 제어 기능을 가진 적응 퍼지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

        황은주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thesis proposes a adaptive fuzzy sliding mode control of uncertain nonlinear systems. A nonlinear plant is represented by fuzzy model and unknown parameters are estimated by a derived adaptive law using fuzzy modeled plant. Fuzzy logic controller depends greatly upon the expert's knowledge or experience and the design procedure is not well defined yet. Furthermore, we can hardly determine the stability or the robustness of the fuzzy controlled systems. A new sliding mode fuzzy controller with time-varying fuzzy sliding surface is introduced and the fuzzy rules are defined based on the variable structure control theory to overcome the shortcoming of the variable structure controller. This design method makes the fuzzy controller design more structured and can guarantee the stability and robustness of the fuzzy controller.Adaptive fuzzy control theory makes the systems insensitive to parameter perturbation and a sliding mode controller is used for uncertainty of disturbances. Also the proposed method with -fuzzy tuning improve the performances, so that the controller can track the trajectories faster and more exactly than ordinary controller.Finally, the global stability of the proposed adaptive sliding control system by using Lyapunov method is proved.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controller, it is applied to the control of a nonlinear system under the disturbance and the improved performance with -fuzzy tuning is verified by some simulation results. 본 논문에서는 불확실한 비선형 시스템에 대한 적응 퍼지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를 설계한다. 퍼지 제어기는 전문가의 지식이나 경험에 의한 제어 규칙에 절대적으로 의존하는 제어기로써 체계적인 설계 절차가 아직 정립되어 있지 않고, 강인성과 안정도가 명확히 보장되지 않는다. 이러한 퍼지 제어기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제시한 슬라이딩 모드 퍼지 제어기는 시변 퍼지 슬라이딩 면을 설계하고 가변 구조 제어 이론에 따른 제어 규칙을 만듦으로써 보다 체계적인 설계가 가능하고 강인성과 안정도가 보장된 제어기이다.불확실한 비선형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파라미터의 변화를 대처하기 위해서 적응 퍼지 이론을 이용하였고, 외란으로 인한 불확실성을 슬라이딩 모드의 제어기를 통해서 해결하였다. 또한 퍼지 튜닝을 통해 슬라이딩 조건을 가변화함으로써 기존의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에 비해 빠르고 정확하게 추종 가능하도록 제어기의 성능을 향상시킨다.제안하는 제어기는 정확한 동역학 모델의 구현이 어렵고 복잡한 비선형 시스템에 외란 특성이 우수한 슬라이딩 모드와 실제 시스템을 표현하는 범용 근사자로 유용성이 입증된 퍼지 시스템을 이용하여 간단하고 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다음으로 이러한 비선형 시스템을 안정화 하기위한 설계방법을 보여준다. 비선형 시스템과 불확실한 파라미터들은 적응 법칙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안한 제어기는 Lyapunov 이론을 통하여 전역적인 안정화를 보인다.마지막으로 역진자 시스템에 적용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비선형 시스템의 퍼지 모델링과 fuzzy tuning으로 향상된 제어기의 성능을 검증한다.

      • 초등영어 일기의 수준별 학습지도 방안 : For Pupils with Different Abilities

        황은주 수원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 educational program for English reading on the improvement of 6th-year pupils' reading ability. The goal of the educational program in this study is to offer the children various reading activities which they can choose according to their learning abilities; thus, advanced students are taught with advanced activities whereas pupils with poor progress are taught with supplementary activities. A class taught by the educational program shows more interest in English than the other one taught by customary educational program does. As a result of this study, I find the following educational method for advanced pupils and pupils with poor progress in English reading are effective. (1) Teachers start the class with greetings and the time for motivation for about 5 minutes, and then proceed the whole class with the textbook for about 15 minutes. The children decide their groups(level) for themselves according to their abilities and study for 15 minutes. After the group work, the class is completed with songs or chants for the rest 5 minutes. (2) Advanced children are led to such activities as word exchange in a sentence, sentence arrangement, reading of English juvenile stories, making some booklets and so forth. (3) Children with poor progress are led to such activities as making new flash cards and reading aloud, card game, arrangement of words and phrases, arrangement of pictures and sentences and so forth, with teacher's aid or the cooperation with their companions. (4) Learning contents on each group should be explained in detail in order to help children choose their group. (5) Teachers should be careful to pay equal attention to learners with poor progress as well as advanced learn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