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및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황예지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of university students,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covert narcissism and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on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for this purpose, 315 university students (124 men and 191 women) completed measures of CNS, CERQ, and SAOQ,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The research problem we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Second, What is the effect of covert narcissism on university life adjustment? Third, What is the effect of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on university life adjustment and what is the gender difference?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problem,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d stepwis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university life adjustment and covert narcissism.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university life adjustment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control strategies and it showed an negative correlation with maladaptive emotion control strategies. Second, In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target instability and hypersensitivity/vulnerability among sub-factors of covert narcissism influenced university life adjustment. Third, the more they use adaptive emotion control strategies, the more they adapt to university life, and the more they use maladaptive emotion control strategies, the less they adapt to university life. Among cognitive emotion control strategies, male students were influenced by plan reconsideration, acceptance, catastrophe, self-criticism, and rumination. And the female students were influenced by the plan reconsideration, positive reevaluation, and catastroph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djustment effect of gend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emotion control strategies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confirmed the adjustment effect of gend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emotional control strategies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Through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life adjustment,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covert narcissism. and adaptive cognitive control strategies that are adaptable to university life are important factor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s suggested. 본 연구는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및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내현적 자기애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성별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대학생 315명(남 124명, 여 191명)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 척도(CNS),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CERQ), 대학생활적응 척도(SACQ)를 실시하고 SPSS 22.0을 사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 대인관계능력 및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내현적 자기애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하며 성별에 따른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상관분석, 다중 회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 조절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내현적 자기애와 대학생활적응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하위요인인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은 대학생활적응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부적응적 정서조절전략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내현적 자기애의 하위요인 중 목표불안정과 과민/취약성이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을 사용할수록 대학생활적응이 높아지며 부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을 사용할수록 대학생활적응이 낮아졌다. 남학생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중 계획 다시 생각하기, 수용, 파국화, 자기비난, 반추 순으로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쳤으며, 여학생은 계획 다시 생각하기, 긍정적 재평가, 파국화 순으로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쳤다.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성별의 조절 효과를 분석한 결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성별의 조절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생활적응에 적응적인 인지조절전략이 중요한 요소이며 내현적 자기애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 포스트 코로나 시대 온라인 공연예술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황예지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ABSTRACT A Study 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Online Performing Arts in the Post-Corona Era Hwang, Ye-Ji Dept. of Performing Arts Management The Graduate School of culture and technology Sangmyung University This thesis aimed to research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measures of online performances based on the perspective following the experiences of producing it. The ‘Post-Corona’ era has arrived. The ‘Post-Corona’ means the era when the daily life and economy are newly and socially changed after the COVID-19(hereafter, Corona 19) has passed. For this reason, in the domestic performing arts world, many private performance halls, national theaters, or large agencies are creating the ‘untact’ performance methods meaning contact-free and non-face-to-face, in the form of producing online performances and relevant image contents. Also,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nounced the 2021 budget bill strengthening the untact contents, and also carried out the Corona 19 arts forum. The production of online performances tends to be continuously increasing while the necessity of untact contents has been nationally cognized. Thus, this thesis researched the experiences of producing an online performance focusing on online performance in the Post-Corona era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 and also studied its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Through the results of in-depth interview, there were largely three problems of online performances. The concrete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due to the absence of audiences, the breathes and feelings were not delivered. During the performance, the performers felt the decline of realism, immersion, and energy, and there were no methods to cope with happenings they could face in the middle of performance. It was also impossible to produce the scenes participated by audiences. Second, as a problem of platform utilization, there were problems with the function of platform itself. And the online performances with star quality were only consumed. They also said that the platform was not fully generalized yet. Third, due to the increase of low-budget online performances by the change of image media, it is highly possible to be standardized downward, and the image could become a subject instead of performance. As it became possible to reshoot the performance, the performers’ tension and vitality got lowered. There were also problems caused by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of each area between performance producer and person related to image media, and problems with the design of existing performance halls that were not suitable for online performances. Based on such problems, this study researched total three improvement measures for online performances. First, there should be the researches on audience-centered online performance and the researches on performer-centered online performance at the same time. In the performing arts, the percentage of performers is very high, and the performers’ work satisfaction plays a great role in the creation of great performance. Thus, there should be the researches on the performer-centered methods such as the performers could see the audiences’ responses. Second, a platform suitable for online performances should be developed. It would be necessary to establish the platform equipped with functions suitable for the provision of online performance or easy-to-view classification & service for users. Third, there should be performance halls suitable for online performances. It would be necessary not only to design the performance halls for the production of various online performances, but also to modernize and develop the existing performance halls. Due to the Corona 19, the face-to-face performances could not be performed, so the online performances were conducted as its alternative. Even though the online performances were universally carried out as a newly-rising method to enjoy performing arts, there are some problems because of the absence of on-the-spotness which is the unique characteristic of performing arts. Thus, i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even though it is almost impossible to contain the on-the-spotness of face-to-face performance in online performances for now, the performing arts world was trying hard to continuously complement the problems of online performances and also to develop the new forms through interviews and researches. Thus, the budget support, operation methods, and technology shall be disseminated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in the performance format. also, there should be continuous researches on online performances of performing arts as an area different from face-to-face performances. However, this study also has limitations as follows. First, this thesis conducted interviews focusing on online performance producers. Thus, this study could not collect the realistic and direct information and statistics based on the responses of actual audiences and performers, so it was not possible to discuss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based on it. Second, as a thesis focusing on a specific online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not represent the whole online performances. Third, even though this thesis researched the improvement measures for online performances, the interviews for its verification were not performed. Thus, this study reveals that there are some tasks that should be continuously researched in the futur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online performances based on the experiences of producing an online performance, and also to establish better online performance environment. Thus, this study could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providing realistic helps in relation to seeking for the measures for vitalizing online performances and also increasing the work satisfaction of both audiences and performing artists in the Post-Corona era. Keywords: Post-Corona, Online Performance, Performing Arts, Problem, Improvement Measures, Corona 19 국 문 요 약 포스트 코로나 시대 온라인 공연예술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본 논문은 온라인 공연을 제작한 경험에 따른 시각으로 접근해 그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가 도래 하였다. ‘포스트 코로나’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가 지나가고 새롭게 변화 된 일상과 경제가 사회적으로 변화하는 시대를 말한다. 이에 맞춰 국내 공연예술계도 다수의 민간 공연장이나 국립극장, 대형 기획사가 온라인 공연, 관련 영상 콘텐츠 등을 제작하는 형태로 비접촉, 비대면을 뜻하는 ‘언택트(untact)'공연 방식을 만들어가고 있다. 또한 문화체육관광부가 비대면 콘텐츠를 강화하는 2021년 예산안을 발표하고 코로나19 예술포럼을 진행하면서 온라인 공연 제작은 꾸준히 증가 할 추세를 보이고 있는 동시에, 비대면 콘텐츠의 필요성을 국가적으로 인지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 온라인 공연을 중심으로 온라인 공연 제작 경험을 심층 인터뷰로 조사하였고 이를 통해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연구하였다. 심층 인터뷰 결과를 통한 온라인 공연의 문제점은 크게 3가지가 있었다. 그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는 관객 부재로 인해 호흡과 느낌이 전달되지 않으면서 생기는 문제였다. 실연자가 공연을 진행하면서 현장감, 몰입도, 에너지 저하를 느낀다고 하였으며, 공연을 진행하면서 생길 수 있는 문제와 같은 해프닝들의 대처 방법이 없다고 하였다. 또한 관객 참여 장면 제작이 불가 한 점이 있었다. 둘째는 플랫폼 활용의 문제로 플랫폼 기능 자체의 문제와 스타성 온라인 공연만 소비되는 현상이 있었으며, 플랫폼 보편화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하였다. 셋째는 영상 매체 전환에 따른 저예산 온라인 공연 증가로 인한 하향평준화와 공연이 아닌, 영상이 주체가 될 가능성이 있다고 하였다. 또한 재촬영이 가능해 지면서 실연자의 긴장감과 생동감이 저하되었으며, 공연 제작자와 영상 매체 관련자의 각 분야의 이해도 차이로 인한 문제와 온라인 공연에 알맞지 않는 기존 공연장 설계의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통해 온라인 공연의 개선 방안으로 3가지를 연구하였다. 첫째는 관객 중심의 온라인 공연 연구와 실연자 중심의 온라인 공연 연구가 함께 진행 되어야 한다. 공연예술에서 실연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크며, 실연자의 작품 만족도가 좋은 공연을 만들어 내는 것에 큰 역할을 한다. 따라서 실연자가 관객의 반응을 볼 수 있도록 하는 등과 같은 실연자 중심의 방법도 함께 연구되어야 한다. 둘째는 온라인 공연에 알맞은 플랫폼 개발이 진행되어야 한다. 온라인 공연 제공에 맞춘 기능이나 이용자가 보기 편리한 분류 및 서비스 등이 있는 플랫폼이 구축되어야 한다. 셋째는 온라인 공연에 알맞은 공연장이 준비되어야 한다. 다양한 온라인 공연을 제작할 수 있는 공연장을 설계하는 것 뿐 만아니라 기존 공연장을 먼저 첨단화하고 발전 시켜야 한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대면공연이 불가능해짐에 따라 대안 책으로 온라인 공연이 진행되었다. 온라인 공연은 보편적으로 진행되기 시작했고 공연예술을 즐길 수 있는 새로운 방법으로 떠올랐지만, 공연예술의 고유한 특성인 현장성이 결여되면서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론으로 이러한 대면 공연의 현장성을 온라인 공연에 담는 것은 현재 불가능에 가까우나, 인터뷰와 조사를 통해 공연예술계는 온라인 공연의 문제점을 지속적으로 보완과 새로운 형식을 개발 하면서 노력중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른 공연형식 변화에 맞춘 예산지원과 운영방식 및 기술을 보급화 시켜야 한다. 또한 온라인 공연이 대면 공연과는 다른 분야로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하지만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이 논문은 온라인 공연 제작자를 중심으로 인터뷰되어있다. 따라서 실제 관객과 실연자의 반응을 토대로 현실적이고 직접적인 정보 및 통계를 수집하지 못하였으며, 그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하지 못하였다. 둘째, 특정 온라인 공연을 중심으로 연구되어진 논문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다수의 온라인 공연을 대표하는 의견이 될 수 없다. 셋째, 온라인 공연의 개선방안을 연구하였지만, 그에 따른 검증을 위한 인터뷰는 진행하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향후 지속적인 다양한 시각의 연구와 구체적인 모델 연구가 남아있음을 밝혀둔다. 본 연구는 온라인 공연 제작 경험을 기반으로 온라인 공연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연구하였으며, 더 나은 온라인 공연 환경을 설정하는데 그 의의를 두었다. 이에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온라인 공연 활성화와 관객과 공연예술인 모두가 작품 만족도를 증가 시킬 수 있는 방안을 구하고 그와 관련하여 현실적인 도움을 얻을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될 수 있길 바란다. 주제어: 포스트코로나, 온라인 공연, 공연예술, 문제점, 개선방안, 코로나19

      • 미용사(네일) 국가기술자격증 실기과제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네일 실기과제 활용도 증진방법

        황예지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hat the practicality of the Beautician (Nail)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test was not practical in the field, and tried to discuss improvement measures to increase practicality in the field. The aim is to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practical use of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Certificate for Beauticians(Nails) and to support students in acquiring the expertise and ability to actively work as a Beautician in the actual fiel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e surveyed the degree of utilization of practical skills in the field among those eligible for the national license for Beauticians (Nails). Targeting those who are eligible to acquire qualifications, we analyzed the acquisition status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for Beauticians (Nails) and the practical use of Beautician(Nails) practical problems, and analyzed the need to improve practical skills problems and the work satisfaction of beauty professionals. The analysis and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46.9% of respondents said that they had obtained a national skill certificate for Beauticians(Nails) because they wanted to find a job or start a business, followed by 42.5% that they wanted to improve their expertise. Second, the difficulty level of the written test for the National Skills Certificate of Beautician(Nail) is an average of 3.21 points, and the difficulty level of the practical test is an average of 3.60 points. I found it to be difficult. Thirdly, the need to obtain a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for Beauticians(Nails) was high, with an average of 4.26 points, indicating that the need for obtaining a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is high for graduate school and above. Fourthly, when asked about the reasons why it is necessary to acquire a national technical license for Beauticians(Nails), the most common reason, at 66.2%, was to improve expertise as a Nail Beautician. And 16.4% answered that it is possible to start a business. Fifth, the difference in utilization of tasks performed by Beauticians(Nails) due to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is as follows: 1 task - wet manicure - nail care, 1 task - wet manicure - red full code, 1 task - wet manicure - French, 1 task - Wet manicure - deep French, 1 task - wet manicure - gradation, 3 tasks - artificial nail - gel one-tone catcher, 4 tasks - artificial nail removal, etc. While 7 tasks are highly practical, 2 tasks - gel manicure - Sun Marble, 2 tasks - gel manicure - marvel fan, 2 tasks - gel manicure - marvel fan, 3 tasks - artificial nails - natural tip weed wrap, 3 tasks - artificial nails - silk extensions, 3 tasks - artificial nails - acrylic French nails Five issues such as catcher were surveyed as having low actual utilization rates, and it seems that the issues with low actual utilization rates must be improved. Sixth, items (multiple response) that can be treated with the skills of the Beautician(Nail)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practical task are overall nail care and coloring, which is the highest at 36.9%, followed by artificial Nails (lengthening) (26.4%) followed by hand/foot massage and exfoliation (14.7%). Seventh, the average satisfaction level for nail practical use in practical tasks for the National Nail Technician License is 2.90 points, and the overall degree of technical applicability in the field after obtaining the National License for Beautician(Nail). The average is 2.61 points, which is a little lower than usual, so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roblems with the actual machine, and it is necessary to combine the practical skills of the problems with the actual machine so that it can be used immediately in the field. Eighth, the subject that should be added to the national qualification practical test is the repair of torn nails, which is the most common overall at 35.4%, followed by problematic nail management (27.0%), shain and flat art (20.8%), was the most common. This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frequently encountered problem while working in the beauty industry, and it seems necessary to listen to the voices of the field when improving the National Qualification Practical Test. Ninth, regarding work satisfaction by occupation and career, working hours, number of days off per month, satisfaction on days off, and satisfaction with work environment were generally slightly higher than normal. As mentioned above, in order to increase the degree of practical utilization in the field, we actively listen to the opinions of nail workers and make it possible to immediately apply the actual machine problems to the field without separate external retraining. It seems that there is a need for improvement measures. Also, in order to meet the eye level of nail consumers, nail professionals will have to learn new techniques and strive to improve their services. Keywords: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Beauticians(Nails), practical assignment, Improvement, practical use 이 연구는 미용사(네일)국가기술자격증 실기과제가 현장에서의 실용도가 낮다는 판단을 하여 현장에서 실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며 이러한 논의를 통해 미용사(네일) 국가기술자격증의 실무 활용도를 높이는 데 기여하고, 실제 현장에서 미용사로서 능동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전문성과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 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미용사(네일) 국가자격증 취득 대상자를 대상으 로 실기과제의 현장 활용도를 조사하여 실기과제의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미용사(네일) 국가기술자격증 취득대상자를 대상으로 미용사(네일) 국가기 술자격증에 대한 취득 실태와 미용사(네일) 실기과제의 현장 활용도 분석 을 통해 실기과제 개선의 필요성, 미용 종사자의 근무만족도를 분석하였 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용사(네일) 국가기술자격 증 취득이유에 대해서는 취업 및 창업이 46.9%, 다음으로는 전문성향상이 42.5%로 많았다. 둘째, 미용사(네일) 국가기술자격증의 필기시험의 난이 도는 평균 3.21점이며, 실기시험의 난이도는 평균 3.60점으로 필기시험과 실 기시험 모두 조금 어렵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용사(네 일) 국가기술자격증 취득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평균 4.26점으로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원 이상이 국가기술자격증 취득의 필요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미용사(네일)국가기술자격증의 취득이 필 요한 이유에 대해서는 네일 미용인으로서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서가 66.2%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자격증을 취득해야 취업 및 창업이 가능 해서가 16.4%로 많았다. 다섯째, 직업특성에 따른 미용사(네일) 실시 과 제 활용도 차이는 1과제-습식 매니큐어(네일 케어), 1과제-습식 매니큐어 (레드풀코트), 1과제-습식 매니큐어(프렌치), 1과제-습식 매니큐어(딥프렌치), 1과제-습식 매니큐어(그라데이션), 3과제-인조네일(젤 원톤 스캅춰), 4과제-인조네일 제거 등 위의 7과제는 실제 활용도가 높은 반면에 2과제 -젤 매니큐어(선 마블), 2과제-젤 매니큐어(부채꼴 마블), 3과제-인조네일 (내추럴 팁위드랩), 3과제-인조네일(실크익스텐션), 3과제-인조네일(아크릴 프렌치 스캅춰) 등 위의 5과제는 실제 활용도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어 실제 활용도가 낮은 과제는 개선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여섯째, 현장에 서 미용사(네일) 국가기술자격증 실기과제의 기술들로 시술이 가능한 항목 (다중응답)은 전체적으로는 네일 케어 및 컬러링이 36.9%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인조 네일(연장)(26.4%), 손/발의 마사지 및 각질제거(14.7%) 순 으로 많았다. 일곱째, 미용사(네일) 국가기술자격증 실기과제의 네일 실 무 현장 활용 만족도는 평균이 2.90점이며, 미용사(네일) 국가자격증 취득 후 현장에서의 기술 적용 가능 정도는 전체적으로는 평균이 2.61점 등 보통보 다 조금 낮으므로 실기과제의 개선이 필요하며 현장에서 곧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실기과제의 실무기술 결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국 가자격 실기 시험에 추가되어야 할 과목은 전체적으로는 찢어진 손발톱 보 수가 35.4%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문제성 손발톱 관리(27.0%), 쉐입 및 평면 아트(20.8%) 순으로 많았다. 이는 미용업에 종사하면서 가장 많이 접해 보는 문제일 것으로 판단되며 국가자격 실기시험 개선 시 현장의 목소리 를 청취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아홉째, 직종, 경력에 따른 근무 만족도는 근무시간, 한 달 기준 휴무 일수, 휴무일 만족도, 근무환경 만족 도는 전체적으로 보통보다 조금 높았다. 위와 같이 현장에서의 실무 활용 도를 증진하기 위해서는 네일 실무 종사자들의 의견을 적극 청취하여 별도 의 외부 재교육을 받지 않아도 실기과제가 바로 현장에 적용할 수 있게 개선하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네일 수요자들의 눈높이에 맞추고자 네일 종사자들은 새로운 기술을 익히고 서비스 향상에 매진하여 야 할 것이다. 주제어: 국가기술자격증, 미용사(네일), 실기과제, 개선방안, 실무 활용도

      • 초등학생의 인공지능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인공지능·진로 융합 교육 프로그램 개발

        황예지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은 국가 경쟁력을 좌우할 정도로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리고 엄청난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교육부에서는 인공지능 기술 발전에 따른 급격한 디지털 전환에 대응하고자 했다. 그래서, 사회 변화와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여 2022 개정 교육과정에 인공지능 교육을 도입하였다. 인공지능의 발전은 미래 직업 세계에도 큰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인공지능은 인간의 지적 기능도 수행하는 수준까지 발전하면서 일자리 변동 등 사회의 변화도 유발하고 있다. 인공지능 기술은 사회 발달에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되고, 초등학생을 위한 진로와 연계된 인공지능 교육의 필요성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교육 프로그램과 교육 자료가 매주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과 진로 융합하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려고 한다. 초등학생의 인공지능 리터러시 역량과 진로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여 학생들의 인공지능 리터러시 역량과 진로발달의 향상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다양한 선행연구 및 교육과정 내용을 분석하여 인공지능·진로 융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총 9차시 교육 프로그램을 3주간 적용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은 초·중등 인공지능 교육 내용 기준과 2015 개정 교육과정 창의적 체험활동의 진로 활동 영역을 분석한 후 인공지능 리터러시 구성요소를 학습하며 진로발달 역량이 향상되도록 개발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인공지능 리터러시 역량과 진로발달 역량을 측정하는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인공지능 리터러시 역량과 진로발달 역량의 하위 변인의 평균점수가 모두 향상되었으며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서술형 설문조사를 통해 학생들의 인공지능에 대한 이해도가 향상되었고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한 미래 진로 설계에 대한 생각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인공지능·진로 융합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인공지능 리터러시와 진로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 제58회 베니스비엔날레에 나타난 카니발레스크(Carnivalesque) 연구 : 미하일 바흐친의 카니발 이론을 중심으로

        황예지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In contemporary art, the Biennale serves to communicate discourses, share cultures, unite politically. With the advent of the era of globalization, the political role of the biennale has become stronger. The Biennale has dramatically expanded the field of contemporary art by actively responding to changing times and providing related art experiences that reflect social changes. Until now, Biennale has been studied with regard to topics such as institutional criticism, globalization, and political instrumentalization, but this study has focused on the festivity of Biennale in the perspective of a viewer and examined the significance and positive aspects of Biennale in contemporary art. Through Mikhail Bakhtin's Carnival theory, this study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Biennale and carnival is identified with regard to liberation from taboo, and sought to understand the concept and aesthetics of Carnival, which are characterized by "People's Humorous Laughter, Grotesque Realism, Subversive Dialogue." Based on this, we examined the ‘Carnivalesque’ in the 58th Venice Biennale, which was held most recently. In the 58th Venice Biennale, there were many works on issues of the times, especially racial issues, women, refugees, disabilities, sexual minorities, the Third World, and the environmen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art that reflect the spirit of the times, the 58th Venice Biennale broadened our views of the world, solved community problems together, and drew creative solidarity that gained the power of creation. Ralph Lugoff, the general director of the exhibition, declared the 58th Venice Biennale, hoping that the audience would take with them the energy and experiences of the exhibition to confront the reality and expand their views of the world. By opening the exhibition, Lugoff expected and intended to understand the world through interaction and coexistence. The participants in the carnival are not independent of them. They become the subject of communication and actively enjoy the carnival in making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s, individuals and works, works and works, and individuals and Biennale. The 58th Venice Biennale is a site where the voices of the alienated are freely expressed and the active interactions occur between audiences, the audience and the works, the audience and the biennale, and even between the nations. This research analyzed the aesthetic aspects of the biennale which represent people’s consciousness through art and tried to shed light on the role of art that the biennale should play in today's society. In order for Biennale to show and sustain the original characteristics of the art festival of pursuing the liberation of existence, rather than remaining an authoritative institution, more cases need to be analyzed. 동시대미술에서 비엔날레는 담론을 전달하고 문화를 공유하며 정치적으로 연대하는 종합적 소통창구로 그 역할을 하고 있다. 세계화 시대의 도래 이후 비엔날레의 정치적 역할은 더욱 강해지고 있다. 비엔날레는 변화하는 시대에 적극적으로 반응하면서 사회변화를 반영한 예술을 경험하게 하며 현대미술의 장을 획기적으로 확장하였다. 현재까지 비엔날레는 제도 비판적 관점, 전 지구적 세계화, 정치적 도구화 등의 문제에 주목하여 연구됐으나 본 논문은 관람자의 관점에서 비엔날레의 축제성에 주목하여 동시대미술에서 비엔날레가 갖는 의미와 긍정적인 측면을 살펴보았다. 본론에서는 미하일 바흐친의 카니발 이론을 통해 축제를 금기로부터의 해방으로 바라보는 관점으로 ‘비엔날레-축제’의 관계를 파악했으며, ‘민중의 해학적인 웃음, 그로테스크 리얼리즘, 전복적인 대화’와 같은 특성으로 나타나는 ‘카니발레스크’개념과 미학을 이해하고자 했다. 이를 토대로 하여 가장 최근에 개최된 제58회 베니스비엔날레에 나타난 카니발레스크를 살펴보았다. 제58회 베니스비엔날레에서는 특히 인종 문제, 여성, 난민, 장애, 성 소수자, 제3세계, 환경 등 시대의 이슈를 주제로 하는 작업을 많이 볼 수 있었다. 시대정신을 반영하는 예술의 특징을 고려할 때 제58회 베니스비엔날레는 세계를 바라보는 시각을 넓히고 공동체의 문제를 함께 해결하며 생성의 힘을 얻는 창조적 연대를 끌어냈다. 전시의 총감독인 랄프 루고프는 관객들이 전시를 통해 경험한 것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고민하고, 전시로 인해 확장된 시각과 새로운 에너지로 일상의 현실에 맞설 수 있기를 기대하며 제58회 베니스비엔날레의 개최를 선언했다. 그가 전시를 열면서 기대하고 의도했던 세계이해 방식은 상호작용과 공존을 통해 이루어진다. 카니발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그 안에서 독립적으로 머무르지 않는다. 개인으로서는 소통의 주체가 되며, 개인과 개인, 개인과 작품, 작품과 작품, 개인과 비엔날레가 상호작용하면서 형성한 관계로서 축제의 즐거움을 능동적으로 향유한다. 제58회 베니스비엔날레는 소외된 이들의 다양한 목소리를 자유롭게 표출하는 장이자 관객과 관객, 관객과 작품, 관객과 비엔날레, 나아가 국가와 국가까지 전 세계가 함께 상호작용하는 축제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예술을 통해 민중의식을 드러내는 비엔날레의 미학적 측면에 대해 분석하고 오늘날의 사회에서 비엔날레가 담당해야 할 예술의 역할을 재조명하고자 했다. 비엔날레가 권위적인 제도로서의 예술이 아닌 존재의 해방을 추구하는 미술축제의 본래적 특성을 드러내고 지속되기 위하여 향후에도 보다 많은 사례에 대한 분석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문제중심학습(PBL)을 기반으로 2009개정 교과서 분석 및 PBL문제 개발 : 중1 함수 단원 중심으로

        황예지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It is important that the mathematics education should pursue a more efficient teaching method to motivate students and help students improving creativity, communication skills, and information application skills which are required in this society. In this thesis, we analyze how the Problem-Based Learning(PBL) has been applied and helped in the 2009 Mathematics curriculum, and suggest a teaching plan applying the Problem-Based Learning.

      • Kefir grain을 접종한 우유와 두유의 발효 산물과 기능적 특성의 비교

        황예지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s purpose is to prove the excellent function of soy milk kefir and LAB (Lactic acid which is included in soy milk kefir by comparing with cow s milk kefir. Because of increasing attention about the Vegan and soy milk has enough nutrients to replace the cow s milk. According to these trends, fermented kefir was prepared using raw materials for cow s milk and soy milk in this study and verifying the difference in the metabolites produced by each raw material and the functional effec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anti oxidation assay , soy milk kefir has a lot of DPPH scavenging activity and ABT S scavenging activity than cow's milk kefir . In other words, soy milk kefir has better antioxidant properties than milk kefir. Also, soy milk kefir has anti microbial effects against the Listeria monocytogenes. LAB was isolated from soy milk kefir and cow's milk kefir and we can prove the ability of attachment to intestine's epithelial HT 29 cell. Also, soy milk kefir's LAB had a greater cholesterol inhibitory effect than milk kefir's LAB. Finally, soy milk kefir's LAB has the tolerance of the pH2.5 acidity and 0.3% oxagall. We can confirm that the soy milk kefir has high research value both nutritional and commercially as much as cow's milk kefir.

      • 1990년대 이후 북한경제의 성격에 대한 연구 : 지대기반경제(rent-based economy)

        황예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1990년대 경제난 이후 북한경제를 지대(rent)의 창출과 분배, 추구라는 관점에서 살펴봄으로써 오늘날 북한경제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했다. 이른바 ‘고난의 행군’이라 불리는 1990년대 경제난이 초래한 핵심적 변화는 공식 경제체제인 계획경제 시스템이 유명무실화되면서 경제주체들의 활동양상이 크게 달라졌다는 것이다. 시장화가 진전되어 상당 부분의 자원이 국가를 통하지 않고 경제주체들 사이에서 직접 거래되었다. 공식적 경제활동이 생계를 보장해 주지 않았기 때문에 제도적 보호를 받지 못하는 ‘비공식’ 경제활동을 통해 소득을 얻는 양상이 가계·기업·기관을 불문하고 일반화되었다. 그동안 북한경제연구에서는 이러한 변화를 주로 사회주의 경제 이행(transition)의 관점에서 바라보았다. 경제체제를 규정하는 주요 기준 중 하나인 자원배분 메커니즘이 계획이 아니라 시장으로 옮겨가고 있는 것이 변화의 핵심이며, 따라서 그 추세를 면밀히 파악하는 것이 주된 연구과제라는 견해가 지배적이었다. 이에 따라 현재 북한경제의 성격을 계획경제와 시장경제가 공존하는 ‘이중경제(dual economy)’로 이해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결론으로 받아들여져 왔다. 그러나 본 연구는 북한경제에서는 상업적 활동의 기회가 정치적 위계에 따라 철저하게 제한되어 있으며, 새롭게 창출되는 경제잉여의 상당 부분이 비생산적인 권력 집단에 돌아가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는 경제가 정치로부터 독립되지 못한 북한체제의 특성에서 비롯되는 것이며, 1990년대 이후 북한경제를 이해하는데 있어 간과해서는 안 되는 결정적 특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북한경제를 ‘지대기반경제(rent-based economy)’라고 규정함으로써 이러한 특성을 잘 포착하고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지대기반경제는 비생산적 소득을 의미하는 지대가 가장 기본적인 부의 원천이며, 지대를 창출하고 보존하기 위한 경쟁의 제한 조치가 만연한 경제이다. 이렇게 발생된 지대는 대부분 사회의 소수에 해당하는 권력 집단에 의해 전유된다.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1990년대 이후 북한에서 지배적인 경제활동 유형으로 자리 잡은 계획외적 경제활동(시장부문 또는 비공식 경제부문)의 작동 메커니즘과 대외무역 부문을 구체적인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현재 북한에서 수행되고 있는 경제활동의 대부분은 외관상 시장경제와 유사해 보이지만, 지대기반경제라는 개념틀을 통해서 보면 시장경제라고 부르기 어려운 결정적인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다. 시장 메커니즘에 의해 대부분의 자원이 배분되고 있다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것이 북한경제의 본질적 성격을 말해주는 것은 아니다. 북한 지대기반경제의 핵심특성은 타인의 노력을 탈취하여 무상으로 이전 받은 소득이 절대적인 부의 원천이 되고, 이러한 구조가 국가에 의해 방치되고 조장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북한경제에서 시장화가 계속해서 진척되더라도 그 이면에는 비생산적이고 약탈적인 구조가 자리 잡고 있으며,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시장경제와는 거리가 멀다는 것이 본 연구의 결론이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rth Korean economy after the economic crisis in the 1990s by specifically focusing on the creation, allocation, and seeking of rents. The core change brought about by the economic crisis the 1990s, so-called 'the March of Hardship', was the great change in the behavior patterns of economic agents as the planned economy system collapsed. As marketization progressed,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resources were traded directly among economic agents without going through the state. Since the state-directed ‘official’ economic activities did not guarantee livelihoods, obtaining income through 'informal' economic activities that are not supervised by the official institutions has become prevalent regardless of households, enterprises and even governmental institutes.   In the meantime, the research of the North Korean economy has looked at these changes mainly from the viewpoint of transition in a socialist economy. One of the main criteria for defining the economic system, the resource allocation mechanism, is the core change involving the shift to the market rather than the planning. Accordingly, it has been considered to be the most appropriate conclusion to understanding the nature of the existing North Korean economy as a 'dual economy' in which the planned economy and the market economy coexist.   This study, however, noted that the opportunities for commercial activity in the North Korean economy are strictly limited by the political hierarchy, and that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newly created economic surplus is in the unproductive power group. This is due to the nature of the North Korean regime in which the economy is not independent from politics and is an essential characteristic that should not be overlooked in understanding the North Korean economy since the 1990s. Therefore, this study argues that the North Korean economy can be understood and explained by defining it as a ‘rent-based economy.’ A rent-based economy is where rent, which is unproductive income, is the most basic source of wealth, and removal of competition to create and preserve rent is prevalent. The resulting rents are largely appropriated by the privileged groups that belong to the minority of the society.  To support this argument, this study analyzed the mechanism of unplanned economic activity (market sector or informal economy sector), which became a dominant economic activity type in North Korea since the 1990s, and the foreign trade sector. Although most of the economic activities currently carried out in North Korea appear to be similar to the market economy in appearance, we can find a crucial difference in terms of the market economy by looking into it through the lens of a ‘rent-based economy.’   It is true that most of the resources are distributed by the market mechanism, but that does not represent the essential nature of the North Korean economy. The core characteristic of the North Korean rent-based economy is that the income transferred by seizing the results of others’ efforts becomes an absolute source of wealth, and the state does not intervene but promote this structure.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s that even if the North Korean economy continues to progress with marketization, it is distant from a market economy that is normally understood, and hides a non-productive and predatory structure.

      • 노인일자리사업 참여 여부가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황예지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사업 참여 여부가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자는 2017년도 노인실태조사 전체 대상자 중에서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한 자 673명과 참여하지 않은 자 9,561명으로 전체 10,235명을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노인 우울을 종속변수로 선정하고 경제적 요인, 심리·사회적 요인, 건강 관련 요인을 독립변수로 하고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통제변수로 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하지 않은 경우, 연령이 높을수록, 거주형태가 자가가 아닌 경우, 사회적 관계망이 적을수록, 사회활동이 적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낮은 경우, 죽음준비를 하는 경우, 차별경험이 있는 경우, 주관적 건강상태가 낮을수록, 만성질환 수가 많을수록, ADL수준이 높은 경우 우울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에 따른 제언을 제시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욕구를 고려한 다양한 분야의 노인일자리사업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며 일자리 선발요건을 사업특성에 따라 제정해야 한다. 둘째, 노인의 일자리사업 외에 다양한 사회참여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활동성을 높이고 사회적 관계 형성을 통해 심리·정서적 지지체계를 형성하여야 한다. 셋째, 노인의 우울 완화를 위해 신체적 건강 외에도 정신적 건강까지 포괄적 개입을 제공하여야 하며 지역사회 내에 신체적·심리적 건강관리가 통합적 관리 체계가 형성되어야 한다. 앞으로 노인일자리사업 정책 개선을 통한 참여증진과 체계적인 우울 관리를 통해 노인에게 건강하고 활기찬 노후생활을 보장하여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factor of participation in the national elderly public work(NEPW) on depression in the elderly.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the 2017 Survey of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of Korean Older Persons.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in the NEPW, a total of 10,235 people were extracted and analyzed, with 673 participants and 9,561 non-participant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higher depression when not participating in the NEPW, higher age, living with someone, lower social support, less social activity, lower life satisfaction, lower subjective health, and higher ADL level. Suggestion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development of the NEPW for the elderly in various fields considering the demand for the elderly should be promoted, and job selection requirement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PW should be reorganized. Secon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activity through the development of various social participation programs in addition to the NEPW and to form a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system through the formation of social relationships. Third, in order to alleviate depression of the elderly, comprehensive intervention should be provided not only in physical health but also in mental health.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management should be formed within the community.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ensure a healthy and active retirement life for the elderly through participation promotion and systematic depression management through improvement of the NEPW poli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