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관광자원해설 상호작용의 척도개발 및 적용

        황금희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관광자원해설에 있어 관광자원에서 관광객이 경험하는 감성적인 측면으로서 관광객에게 감동을 줄 수 있는 요인을 규명하고, 상호작용과 장소애착, 방문만족과의 관련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관광자원해설에 대한 이해의 틀을 확장시키고, 관광자원해설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함으로써 관광자원해설에 대한 이론적, 정책적, 실증적 실마리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와 전문가․일반인 의견조사를 통해 관광자원해설의 상호작용 구성개념을 분석하고 전문가 집단의 내용타당성 조사와 예비조사를 통해 38개의 초기 항목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38개의 항목은 창덕궁에서 관광자원해설을 들은 관광객을 대상으로부터 수집한 자료(n=383)의 분석을 통하여 제기된 연구문제를 실증적으로 밝히고, 연구문제와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관광자원해설의 상호작용 측정척도 개발 검증은 기술 분석과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등을 통해 문항을 정제하였다. 그리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거쳐 집중타당성․교차타당성․판별타당성을 통해 타당성 검증을 실시하여 관광자원해설의 상호작용에 대한 33개 항목의 최종 측정척도를 개발하였다. 아울러 척도개발과 동시에 관광자원해설의 상호작용, 장소애착, 방문만족과의 관계 구조를 파악함으로써 개발된 척도가 실증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자원해설의 상호작용에 대한 척도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공감적 상호작용’요인이 새롭게 도출되었으며, 이는 상호작용의 상위수준인 ‘심층적 상호작용’에 해당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로써 관광자원해설의 상호작용에 대한 구성개념은 층위구조를 가진 개념으로 확인되었으며, 관광자원해설의 상호작용의 하위수준인 ‘표면적 상호작용’에는 내용적 상호작용, 상황적 상호작용, 사회적 상호작용이 포함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표면적 상호작용이 활발할수록 공감적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면적 상호작용은 지식적인 내용보다도 해설 상황에서 발생하는 상황적 분위기가 가장 중요한 영향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중요한 영향요인이 사회적 관계로 나타났다. 이는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상호작용이 되기 위해서는 해설당시의 분위기와 사회적 관계가 중요한 요인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셋째, 공감적 상호작용은 장소애착과 방문만족에 매우 중요한 영향요인임이 밝혀졌다. 특히 방문만족 보다도 장소애착에 더 영향력이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감적 상호작용은 표면적 상호작용과 장소애착 사이에서 완전매개 효과를 가지며, 표면적 상호작용과 방문만족 사이에서는 부분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관광자원 속에 숨어 있는 수많은 사람들의 땀과 노동, 그리고 희망과 소망을 느끼고 상상할 수 있도록 공감적 상호작용에 중점으로 두고 해설을 해야 할 것이다. 넷째, 장소애착이 높을수록 방문만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소애착이 공감적 상호작용과 방문만족 사이에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감적 상호작용은 직접적으로 방문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지만 장소애착을 불러일으킨다면 방문만족은 더 높아지는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일정시점에서 하나의 연구대상지에서 수행된 연구라는 점에서 연구 결과의 일반화와 표준화의 검증이 요구된다. 이러한 한계는 이 주제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축적되고 진행됨으로써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가설 검증에서 표면적 상호작용이 장소애착에 미치는 영향에서 음(-)의 영향은 향후 재논의 되어야 할 과제이다. 또한 척도개발에서 포함되었던 사회적 환경이 상호작용과 장소애착, 방문만족과의 관계구조를 분석함에 있어 미미한 영향력으로 인해 제외되었지만, 향후 재 논의되어야 할 부분이다. 본 연구의 결과로 가장 유용한 것은 관광자원해설에 있어 관광객의 가슴을 뭉클하게 흔들어주는 감동이 있는 해설, 즉 꿈과 감성만족을 위한 해설을 위해서는 공감적 상호작용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관광자원에 대한 내용적인 지식만으로는 관광객을 만족시키거나 애착을 가질 수 있게 만들지 못한다는 것이다. 이는 관광자원해설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것으로 이제는 관광자원해설도 변화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관광자원해설 현장은 일대일 해설이 아닌 일대 다수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고, 불특정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공감적 상호작용은 도달하기 어려운 방향성일 수도 있다. 따라서 공감적 상호작용을 위한 제도적인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하며, 이는 관광자원해설현장에서의 사전 예약제와 주제별 해설 프로그램의 실시로부터 실행 할 수 있다. 또, 본 연구에서 관광자원해설의 상호작용에 대한 측정척도를 개발함으로써 관광객이 지각하는 상호작용 측정이 용이해졌다. 그러나 관광자원해설의 상호작용을 측정함에 있어 반드시 공감적 상호작용이 함께 측정하여야 한다. 이러한 이유는 상호작용은 단순히 이루어진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얼마나 심도있게 이루어졌는지가 더 중요한 것임을 본 연구를 통해서 확인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첫째, 관광자원해설의 상호작용의 층위구조를 실증적으로 밝혔으며, 둘째, 관광객에게 감동을 줄 수 있는 요인을 밝혔으며, 셋째, 층위구조를 포함한 상호작용과 장소애착, 방문만족과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의 통합모형으로 발전시킴으로써 관련 분야의 이론적, 정책적, 실증적 기반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여성주의 매체의 정치학과 딜레마에 관한 연구

        황금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언론을 통한 여성운동'으로서 여성주의 매체가 실천하고 있는 정치학에 대한 분석이자,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이들 매체가 부딪히고 있는 딜레마에 대한 탐구이다. 그간 여성운동진영과 여성주의 미디어 연구자들은 대중매체나 주류언론의 남성중심성과 성차별 관행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시정을 촉구해 왔으며 이 부분에 있어서 상당부분 성과를 냈다. 그러나 정작 이러한 운동의 연장선상에 놓여 있는 여성주의 매체는 그간 관심과 논의의 대상이 되지 못했다. 여성주의 매체들은 언론사와 여성운동사 둘 중 어느 곳에서도 찾을 수 없는 '보이지 않는 존재'였다. 여성주의 매체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언론을 통한 여성운동의 한 지형에 대한 탐구이자, 동시에 여성주의 매체에 기록된 여성의 삶과 경험을 복원시키는 작업이라는 점에서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의 대표적인 여성주의 매체인 『여성신문』과 『이프』를 연구대상으로 삼고, 이들 매체의 여성운동으로서의 정치성과 언론으로서의 대안성, 그리고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이들 매체가 처해 있는 딜레마적 상황에 대해 분석했다. 이를 탐구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와 심층인터뷰, 참여관찰의 방법을 모두 사용했다. 문헌연구로는 관련 연구 문헌과 함께 이들 매체의 내용을 분석했고, 심층인터뷰는 이들 매체에서 일했던 스텝, 여성운동관계자, 그리고 독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그리고 참여관찰의 부분에는 『여성신문』과 『이프』에서 일했던 연구자의 경험과 사례를 포함시켰다. 본 연구의 연구 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여성주의 매체는 여성운동과 밀접한 관계 속에서 등장한다. 1980년대 진보적인 여성운동의 활성화는 『여성신문』의 창간의 배경이 되었으며, 『여성신문』는 여성운동의 대중화를 가장 중요한 편집원칙으로 삼았다. 1990년대 페미니즘의 대중화와 성정치학은 『이프』의 창간 배경이 되었고, 이에 기반을 두어서 『이프』는 단체 중심의 여성이슈에서 벗어나 개인 '여성'의 경험과 욕망을 공론화한다는 편집원칙을 세웠다. 둘째, 여성주의 매체는 언론매체로서 여성주의저널리즘을 추구하며, 매체를 활용한 여성운동으로서 정치성을 발휘한다. 즉, 이들 매체는 주류언론에서 소외되거나 하찮게 여겨지던 여성의 뉴스를 주목할 만한 것, 비중 있는 것으로 끌어올렸으며, 더불어 여성의 경험에 기반을 둔 문제들을 새로운 여성의 뉴스로 정의하는 등 여성주의 대안 언론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여성주의 매체는 매체를 활용해 여성주의적 시각을 갖은 인력을 배출하거나, 여성인물을 집중적으로 부각시키고, 여성주의 담론을 대중화시키는 다양한 문화행사를 개최함으로써 여성운동으로서 정치성을 발휘하고 있다. 셋째, 여성주의 매체의 대안성, 정치성은 이러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 이들 매체가 언론으로서 그리고 여성운동으로서 자리매김 하는데 딜레마로 작용한다. 여성주의 매체는 여성운동진영과의 거리두기에 실패함으로써 언론으로서의 정체성을 갖는데 어려움을 갖게 되었다. 여성주의 매체의 이러한 상황은 지속적인 경영난과 함께 내부적인 조직과 운영의 문제에 맞물려 들어가 여성주의 매체의 정체성을 위협하고 있다. 넷째, 그간 여성주의 매체의 독자는 어느 매체 보다 그 존재가 명확할 것이라고 생각되어 왔지만, 이들 매체가 연령별, 직업별로 분류해 상정하고 있는 독자층은 실질적으로 이들 매체의 진실한 독자와는 거리가 있다. 본 연구 결과 여성주의 매체의 진실한 독자들은 이들 매체로부터 뉴스거리만을 취하는 것이 아니라 삶의 가치관이나 지향점까지 취하고 있으며, 이들 매체를 동지이자, 조력자로 여기고 있다. 이러한 독자층에 대한 치밀한 점검과 해석은 여성주의 매체의 정체성 확립과 대중화전략의 측면에서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최근의 주류언론은 페미니즘을 점점 더 '감각적이고' '흥미로운' 아이템으로 다루면서 대중의 시선을 끌고 있고 다양한 내용과 형식을 가진 여성주의 매체들도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여성주의 매체는 언론으로서의 대안성과 여성운동으로서의 정치성을 잃지 않으면서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 그간 이들 매체에서 시도한 대중화전략은 매체의 여성주의적인 성향을 희석시키고 대중 여성을 위해 다양한 뉴스거리를 다루는 것이었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 여성주의 매체의 대중화는 이들 매체가 더 철저하게 여성주의를 견지하면서, 더 쉽고, 재미있게 독자와 만날 수 있는 방법론을 개발하는 것이다. 여성주의적 글쓰기의 개발은 그 방법의 하나로 제안될 수 있다.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politics that feminist media are practicing for Feminist Movement through Media and a research on dilemma that these media face during the proces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Yeoseongshinmun (Women's Newspaper) and If, which are representative feminist media. The politics, alternativeness and the situations of dilemma were analyzed. Literature review, in-depth interview and participative observation were used for this study. For literature review, previous studies and contents of those media were used. In-depth interviews were performed with staffs, feminist movement personnel and readers of those media. Participative observation included experiences and cases of the present researcher who had worked for the two media, Yeoseongshinmun (Women's Newspaper) and If. The contents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feminist media in Korea are closely related with feminist movement. Liberal feminist movement in the 1980s influenced the establishment and editorial directions of Yeoseongshinmun and the popularization of feminism and sexual politics in the 1990s influenced the establishment and editorial directions of If. Secondly, they, as journalistic media, pursued feminist journalism and exercised its political influence utilizing media. Those media enhanced the importance of women-related news that were often ignored by major media, and sought for new news with regard to women. Additionally, they displayed their political power as feminist campaigners through women-oriented cultural activities. Thirdly, the alternativeness and political characteristics of feminist media presented a dilemma in becoming feminist campaigners and journalistic media regardless of their achievements. Because those media failed to keep distance from the powers of feminist movement, they had difficulties in having identity as journalistic media. With financial difficulties and internal problems with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these situations threatened the identity of the media. Fourthly, people thought that readers of these media would be more distinguished than those of other media. However, those who these media considered to be their readers according to age and occupation were different from the actual readers.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real readers of the media did not simply find news from those media but they acquired the sense of value of life as well as the orientation and goals of life. They considered these media as colleagues and helpers. Fifthly, major media have recently started to deal with feminism as a ‘ sensible item’ and there are an increasing number of various feminist media with different styles and contents. It has become very critical how to survive this situation. The strategy for popularization attempted by these media diluted the feministic character of these media, and admitted diverse kinds of news for general women. However,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e true popularization of feminist media would mean the development of an easier and more interesting way to meet readers without losing thorough feminism. A possible strategy for this is to develop a feministic writing method.

      • Blanching에 의한 나물류의 베타카로틴 함량 변화와 영양소 보존률(True Retention, %)에 대한 연구

        황금희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e present study, Reverse phase HPLC was utilized to quantify the β-carotene content in raw and blanched vegetables that one of most frequently consumed in Korea. In addition, True Retention(TR,%) of β-carotene in samples was obtained. The 26 vegetables are grouped to species by APG Ⅲ classification system as one dennstaedtiaceae, four chenopodioideae, one malvaceae, seven brassicaceae, one apiaceae, one raliaceae, one campanulaceae, six asteraceae and three kinds of liliaceae. Also, the β-carotene was found to be present in all of them. In raw vegetables, the six samples had β-carotene content ranged from 155.08μg/100 g to 938.85μg/100 g and the nineteen samples contained ranged 1494.16μg/100 g to 7050.73μg/100 g, although the β-carotene content of two samples was lower than 20μg/100 g. In contrast with their raw states, fourteen blanched vegetables have been found to increase the contents of β-carotene ranged from 0.58% to 952.81% (9.24μg/100 g-7669.80μg/100 g). This could be due to the heat treatment during the blanching that softens the cell walls on matrix and makes the chemical extraction easier. On the other hands, β-carotene content in twelve samples had reduced from 0.21% to 29.16% after blanching. The β-carotene is likely to be adversely affected by blanching such as thermal denaturation, isomerization. Overall, The β-carotene content in raw and blanched vegetables were varied but no consistent pattern could be discerned. Whereas, An increase of β-carotene content by blanching was observed in the result but TR(%) was lower than 100% or the opposite. In this study, β-carotene retention of six samples from 59.35% to 77.55% and of twelve samples from 80.13% to 96.42%. Besides, that blanching had increased retention of β-carotene in eight samples from 100.02% to 958.33%. Calculate of true retention(%) was a valid alternative to average percentages of concentration change. Because it was the accurate data to assess degradation of the β-carotene considering change of weight. Consequently, the present study would aim to compare the crucial data on blanched vegetables to the health benefits of provitamin A.

      • 문화관광전문해설사의 직무만족·불만족 요인에 관한 연구

        황금희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자원봉사자가 아닌, 전문 직업인으로 활동하고 있는 문화관광전문해설사의 직무만족 및 직무 불만족 결정요인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동시에 직무만족 결정요인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문화관광전문해설사가 직업으로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부분에 중점을 두어야 하는가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전문 직업인으로 활동하는 문화관광전문해설사와 자원봉사자인 문화관광해설사의 직무만족 및 불만족 결정요인의 내용적 차이를 비교해봄으로써 자원봉사자를 전문 직업인으로 개발, 발전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조사, 실증조사를 통해 문화관광전문해설사의 직무만족 및 불만족 요인, 직업만족도에 관한 측정척도를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서울의 5대궁궐과 종묘, 왕릉 등 세계문화유산 관광지에서 활동하고 있는 전문인인 문화관광전문해설사를 선정하였고, 조사방법으로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9월 17일부터 30일까지 총 14일 동안 157부의 유효 표본을 획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문화관광전문해설사의 직무만족․불만족과 강한 관련성이 있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행하였으며, 문화관광전문해설사의 직무만족요인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다단계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관광전문해설사의 직무 만족과 강한 관련성이 있는 요인은 ‘성취감’과 ‘제도적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중에서 직무 만족과 가장 높은 인과관계를 보이는 요인은 ‘성취감’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문화관광전문해설사의 직무 불만족과 강한 관련성이 있는 요인은 ‘보수 및 근로환경’, ‘독자성’, ‘성취감’, ‘인정감’으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 직무 불만족과 가장 높은 인과관계를 보이는 요인은 ‘보수 및 근로환경’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문화관광전문해설사의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성취감’과 ‘제도적요인’, ‘인정감’으로 나타났으며, 이중에서 직업만족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보수 및 근로환경’이 아닌 ‘성취감’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문화관광전문해설사는 보수의 많고 적음이나 근로환경의 좋고 나쁨에 관계없이 전문해설사 활동을 통해 얻는 ‘성취감’만으로도 직업에 대해 긍지와 만족을 느끼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문화관광전문해설사의 성향은 그들이 비록 유료해설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경제적인 이익보다도 사회적인 가치 실현을 중시하고 있다. 이는 헌신적으로 그 활동에 참여하고 지원하고자 하는 사회적 기업가의 정신과 그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또한 문화관광전문해설사가 속해 있는 기관들 중에 사회적 기업이 있다는 것은 분석의 결과와 일치함을 보여준다. 따라서 문화관광전문해설사를 통한 사회적기업의 발전 가능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넷째, 전문인인 문화관광전문해설사의 직무만족․불만족 결정요인과 자원봉사자인 문화관광해설사의 직무만족․불만족 결정요인이 서로 다름을 확인하였다. 문화관광해설사에 관한 선행연구(이순자, 2008)에서는 문화관광해설사의 직무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취감 및 잠재성’, ‘독자성’이며, 직무불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제도적 요인’, ‘해설시스템’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문화관광전문해설사의 직무 만족․불만족 결정요인과 차이가 있다. 또한 문화관광해설사에 관한 선행연구(이순자, 2008)에서는 동기요인이 직무만족 결정요인으로, 위생요인이 직무불만족 결정요인으로만 작용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동기․위생요인이 직무만족과 직무불만족 결정요인으로 동시에 작용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문화관광전문해설사가 직업으로는 이제 시작된 초기 단계의 직업으로, 아직은 사회적으로 인정받거나 확립된 직종이 아니며, 보수 또한 안정적이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즉 문화관광전문해설사가 이제 막 시작되는 새로운 직업군에 해당하고, 이들을 위한 완전한 직업영역으로의 시스템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본 연구의 평가변인으로 선정된 동기․위생요인들의 경우, 문헌연구를 통해 자원봉사자인 문화관광해설사의 측정변수를 그대로 원용하다보니, 전문 직업군인 문화관광전문해설사의 제반문제와 내면적인 인과 관계적 요소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할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다소 평면적인 내용을 제시하고 있어 이에 대한 보완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관광해설사 제도는 2001년 도입 당시 기본 취지와 같이 향후에도 자원봉사형태의 제도로서 정착되어야 할 것임은 분명하다. 그러나 자원봉사자로 활동하고 있는 우수한 해설인력을 전문적인 새로운 직업 영역으로서 개발 또한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둘째, 전문인인 문화관광전문해설사는 향후 유료해설 서비스 분야를 개척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문화관광전문해설사가 가지고 있는 직업관은 일반적인 직업관이 아닌, 사회적 기업가의 시각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성향은 유료해설서비스 분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이들을 활용한 사회적기업의 개발이 가능하겠다. 넷째, 문화관광전문해설사에 대한 정책이나 제도가 없는 상황에서 무분별한 문화관광전문해설사의 수의 증가는 자칫 혼란을 야기 시킬 수 있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또한 문화관광해설사에서 사회적기업인에 해당하는 문화관광전문해설사로 전환 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현실성 있는 규정과 대책마련이 필요하다. 따라서 하루 빨리 이에 대한 제도마련 및 법제정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향후, 문화관광전문해설사에 대한 정책 및 제도 마련 시 자료로서 활용되고, 문화관광전문해설사의 발전방향 모색에 기여하기를 바란다.

      • 一部 農村地域 婦人의 營養實態 및 血液性狀에 關한 硏究

        황금희 全南大學校 大學院 1982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view of national health, the health of rural woman is important. In Korea, several studies reported that the difficiency and the high retio of anemia in intakes of energy and animal protein were in rural area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nutritional states and blood contents of the rural women in Mo-Jung Burak, An-Lo Ree, Geum-Jung Myon, Young-Arm Koon, Channam. Forty-Seven persons(from 26 to 75 years old) were selected and practised ditary survey by three day records in May,1981. Also hematological and parasitological tests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average Calorie intake(1995±390Kca1) was almost sufficient against R.D.A.. Lacking nutrients were Calcium, Vitamin A, B₂, these percentages of RDA were 64.1%, 55.1%, 65%. The percentage of Vegetable food intake was 95.6% of total food intake and that of Animal food intake was 3.5%. 2. The mean Red Blood Cell Number was 410.8±26.4 X 10⁴/ □, most of the subjects were included normal criteria. The average Hemoglobin level was 12.5±0.9 gm%, 23.4% of the subjects was anemic(12.0 gm% below). The average Hematocrit value was 37.5±2.4% and 23.4% was anemic(below 37%). The average M.C.H.C. value was 33.2±0.5% and 14.9% was anemic (belowa 33%). 3. The mean values of Blood Specific Gravity was 1.044±0.002, the mean values of Serum Total Protein and Albumin were 7.1±0.4gm%, 4.3±0.3gm%, A/G Ratio was 1.6±0.2. The mean values of Serum Iron, T.I.B.C., Transferrin Saturation were 91.9±27.5㎍/100m1, 297.5±31.4㎍/100m1, 31.2±9.7%. The mean values of Serum Cholesterol was 164.3±25.4mg/l00m1. In the relation of Serum Contents, Hb showed positive correlation Hct (p<0.01), Serum Protein(p<0.05) and Serum Protein also showed the correlation. with Serum CholeSterol(p<0.01). 4. It was showed that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nutrients intake and blood contents. The intake of Vitamin C was correlated with Serum Iron, Serum Protein and Hemoglobin(p<0.01), the intake of Iron with Serum Iron. Serum Cholesterol(p<0.01) and the intake of Protein with Serum Iron(p<0.05). 5. The Nutrients intake and blood contents between the Healthy and the Anemic group were noted differences significantly. Intake of Protein of the Healthy group was higher than the Anemic(p<0.05), RBC Number, Hb, Hct, M.C.H.C., Serum Protein value and A/G ratio were higher too(p<0.05). 6. The infestation rate of helminthes was 59.6%(Ascaris Lumbricodies 20.3%, Trichuris Trichiura 29.7%) and there was no Hookworm-infected case. 7. The 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Pregnancy and the ratio of Anemia was not indicated.

      • 이화로서의 영어 자음군 간소화 현상

        황금희 강릉원주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People communicate interactively through the medium of sound. There are speakers as subjects making sounds, and listeners who understand the sounds made by the speakers. When there are syntagmatic sounds in communication processes, the speakers can assimilate or eliminate particular sounds in order to articulate the sounds more conveniently, rather than pronounce the sounds independently.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assimilation or elision, the listeners want to let the speakers articulate more clearly because the pronunciation would otherwise not be easily distinguished or heard. In this case, the speakers' articulation produces dissimilation in order to satisfy the listeners’ requirement. The resulting assimilation or dissimilation is ultimately the product of a communicative negotiation between the speakers and the listeners. In this paper, I have divided various phonological phenomena into the views of the speakers and those of the listeners. The phenomena that make speakers articulate more conveniently have been understood before. In the aspect of the listeners, however, I will suggest the phenomena of elision, addition, and phonotactic constraints in the onset and coda clusters. First, we will examine the sound change in the diachronic perspective. In terms of the auditory phonetics, we explain why /k/ on /kn-/ is not pronounced. Using the sonority hierarchy to describe why particular consonants are not realized, we argue that certain sounds, recognized more clearly by listeners, are pronounced while other sounds, not recognized, become silent. Second, we explore possible and impossible combinations within the phonemic arrangements. Then we study why particular syntagmatic sounds such as /tr-/ and /sl-/ are allowed, but other sounds such as */tl-/ and */sr-/ are not allowed. The reason for the unallowable sounds is not because the sounds are hard for the speakers to pronounce, but because the listeners prefer clearer sounds in contrasting phonemes during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speakers and the listeners. Third, with the eliminated phenomena displayed in consonant cluster simplification, we intend to explain that the elimination does not satisfy a quick-and-easy articulation preference of the speakers, but is rather a phonological phenomenon indicated by the listeners. We try to explain that the phonemic elimination shown in the simplification of the consonant clusters, is a form of dissimilation for listeners.

      • 보편원리로서의 OCP

        황금희 강릉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trend in linguistics today is to look for broad-ranging principles to explain linguistic phenomena, rather than to proliterate rule systems. One of such principles is the Obligatory Contour Principle(OCP) as a central constraint which prohibits the specification of identical adjacent segments in phonological representations. The goal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OCP in English and Korean phonology. For this purpose, the interactions between phonological rules and representation will be discussed. And then it will be shown how the phonological processes should be represented on the basis of the OCP constraint. As theoretical assumptions for those analyses, I will discuss true vs. apparent geminate, feature geometry by McCarthy's model, antigemination and tier conflation which are consistent with the OCP with well-known examples from English, Korean and other languages. In this thesis I suggest that many phonological phenomena in Modern English can be analyzed more simply and adequately when we make use of the OCP. As for Modern English phonological English rules, for example, a spirantization rule is blocked when a target segment is already adjacent to /s/. Similarly, the plural prefix and past tense suffix rule are also subject to this blocking effect of the OCP, and the complementary distribution of -tion/- ive suffixes respects the OCP by the epenthesis rule to repair the OCP violation. The OCP may behave as a Syllable Structure Constraint in the choice of well-formed onset cluster in English, and as a Morpheme Structure Constraint. In chapter 4, I will try to examine the OCP effects in Margi and Shona. From this analysis, the OCP can be proved to be a universal constraint and be effective in putting together the seemingly discrete phenomena in a consistent way. In chapter 5, I will explain the Consonant Cluster Simplification phenomena in terms of the OCP. In my explanation, the OCP allows the statement of the rule to be simplified in Korean. The degemination rule of Vowel Contraction in Korean is also offered in support of this argument of the OCP. Another evidence of the OCP in Korean is the tensification of obstruents. I will mention two kinds of tensifications. One is the general tensification which [-aspirated] consonants change to [+tense] consonants and the other is 't-insertion' between two compound nou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